KR20120065803A -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뚜껑 및 그 용기 - Google Patents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뚜껑 및 그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5803A
KR20120065803A KR1020100127111A KR20100127111A KR20120065803A KR 20120065803 A KR20120065803 A KR 20120065803A KR 1020100127111 A KR1020100127111 A KR 1020100127111A KR 20100127111 A KR20100127111 A KR 20100127111A KR 20120065803 A KR20120065803 A KR 201200658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ntents
upper body
rupture
low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7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3073B1 (ko
Inventor
김종수
Original Assignee
김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수 filed Critical 김종수
Priority to KR1020100127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3073B1/ko
Publication of KR20120065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58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3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30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65D51/281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 B65D51/28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said element being a film or a foil
    • B65D51/283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said element being a film or a foil ruptured by a sharp element, e.g. a cutter or a pierc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65D51/281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 B65D51/284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said element being provided with a preformed weakened line
    • B65D51/28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said element being provided with a preformed weakened line ruptured by a sharp element, e.g. a cutter or a pierc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종물질(내용물)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두 물질을 하나의 용기 내에 분리된 상태로 보관할 수 있고 사용시에 간단히 혼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관상의 용이함과 사용상의 편리함을 동시에 충족하는 이종물질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을 위한 용기뚜껑 및 그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음용수 용기에 결합이 가능한 용기뚜껑에 있어서, 용기뚜껑은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로 이루어져 있고, 상부몸체는 하부몸체로 삽입되는 내용물 저장고, 내용물 저장고 하부의 파열막, 끼움부결합부 및 선택적으로 막음부재로 구성되고,
하부몸체는 삽입부, 삽입부 말단의 파열부재, 용기결합부, 끼움부로 구성되어 있되,
상부몸체의 내용물 저장고 하단은 V자 또는 U자 형의 단면부로 형성되고, 상기 V자 또는 U자 형의 단면부는 파열막 및 상부파열부가 형성되며, 하부몸체의 삽입부의 파열부재는 상부몸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내용물 저장고 하단의 V자 또는 U자 형의 단면부의 파열막을 파열하는 구조로 형성되고, 하부몸체의 삽입부에는 사선단면부 및 파열막이 구성되어 상부몸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상부파열부에 의해 이 파열막이 파열되는 구조로 되어 있는 상부몸체를 회전하여 파열막을 파열하는 특징이 있는 내용물이 저장되는 기능성 용기뚜껑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뚜껑 및 그 용기{the cap containing contents and the container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이종물질(내용물)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두 물질을 하나의 용기 내에 분리된 상태로 보관할 수 있고 사용시에 간단히 혼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관상의 용이함과 사용상의 편리함을 동시에 충족하는 이종물질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을 위한 용기뚜껑 및 그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분말캡을 구비한 음료수 병이 있는데, 분말을 수용하기 위해 마개에 분말수용부를 형성하고, 이 분말수용부에 담긴 분말은 파열성 포장막으로 밀폐되어 있으며, 파열성 포장막으로 밀폐된 부분을 파열시켜 분말이 용기 내로 방출되도록 용기내에 별도로 파열성 포장막 절개침을 설치하는 것을 그 내용으로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분말캡을 구비한 음료수 병은 분말수용부에 담긴 분말수용부가 상광하협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서 절개침에 의해 파열성 포장막이 파열됐을 때 배출구가 좁게 형성되어 있어서 분말수용부의 배출구 부분에 분말의 막힘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이를 방지 하기 위해 캡의 상부에는 분말수용구와 연통된 공기마개를 별도로 형성하였으나 그와 같은 구조가 추가되므로 캡의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분말수용부의 파열성 포장막을 파열시키키기 위해 캡을 조여서 절개침의 파열작업이 이루어졌을 때 분말수용부의 좁은 배출구가 막혀지는 현상이 발생되므로 조였던 캡을 다시 조금 풀어주어 절개침에 의해 막힌 공간을 개방시켜주어 분말이 낙하되게 한 다음 혼합하여야 하므로 사용상 불편함이 초래됐다.
아울러 절개침을 용기 내의 목(neck)부분에 캡과 별도로 설치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공개특허 10-2009-0055374 분말캡을 구비한 음료수 병"에서는 생수, 음료수 등과 분리되게 분말을 별도로 캡(cap)에 보관하여 소비자가 음용하고자 할 때 별도로 보관된 분말을 생수, 음료수 등과 간단히 혼합하여 먹을 수 있도록 캡의 하부에 절개침을 갖추고, 분말용기가 안치되는 절개부재를 현수되게 지지하고, 절개부재에 안치된 분말용기를 가압하도록 가압부재가 상부몸체에 형성되고 어깨부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 하부몸체에 병의 목부분에 결합되도록 암나사부를 갖게 캡을 형성하여 음료수 병을 제공한 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생수와 분말용기를 캡에 결합되는 병 내에 별도로 보관하여 사용시 분말용기를 터트려서 생수, 음료수 등에 분말을 간단히 혼합하여 음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보관기간을 길게 하고 휴대 및 사용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갖고자 하였다.
하지만 상기 선행기술은 병뚜껑(캡)의 구조가 너무 복잡하여 제조하기 어렵다는 단점을 내포하고 있어 쉽게 상용화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캡의 하부에 절개침이 있고 절개부재에 안치된 분말용기를 누르는 가압부재에 가압하는 구조로 인하여 분말용기의 밀봉커버가 쉽게 절개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분말, 추출물 등이 캡에 저장되어 음용수 병에 결합될 때 보관 유통 중인 때에도 누구나가 쉽게 분말, 추출물을 교환하거나 제거할 수 있어서 음용수 병의 안전상의 문제점을 유발하고 있었다.
더군다나 상부캡과 하부캡의 결합구조로 인한 특성으로 상부캡이나 하부캡 어느 하나에 내용물이 보관되고 파열막으로 밀봉한 후 음용시에 파열막을 파열하여 용기속으로 내용물을 유입시켜 음용하고는 있으나, 상부캡과 하부캡의 결합이라는 본질적인 구성으로 인하여 상부캡과 하부캡을 완전히 밀봉할 수 있을 정도로 결합하기란 지극히 곤란하다는 문제점으로 용기 내부로의 불순물, 공기, 액체 등의 이물질의 투입을 저지하기란 극히 곤란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는 완전한 밀봉의 효과를 가지면서 내용물을 저장하는 기능성 병뚜껑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음용수 용기에 결합이 가능한 용기뚜껑에 있어서, 용기뚜껑은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로 이루어져 있고, 상부몸체는 하부몸체로 삽입되는 내용물 저장고, 내용물 저장고 하부의 파열막, 끼움부결합부 및 선택적으로 막음부재로 구성되고,
하부몸체는 삽입부, 삽입부 말단의 파열부재, 용기결합부, 끼움부로 구성되어 있되,
상부몸체의 내용물 저장고 하단은 V자 또는 U자 형의 단면부로 형성되고, 상기 V자 또는 U자 형의 단면부는 파열막 및 상부파열부가 형성되며, 하부몸체의 삽입부의 파열부재는 상부몸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내용물 저장고 하단의 V자 또는 U자 형의 단면부의 파열막을 파열하는 구조로 형성되고, 하부몸체의 삽입부에는 사선단면부 및 파열막이 구성되어 상부몸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상부파열부에 의해 이 파열막이 파열되는 구조로 되어 있는 상부몸체를 회전하여 파열막을 파열하는 특징이 있는 내용물이 저장되는 기능성 용기뚜껑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종래의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뚜껑의 구조가 매우 복잡하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이므로 내용물이 저장되는 구조임에도 용기뚜껑의 구조가 매우 단순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뚜껑이 그 내용물 저장고를 파열하는 작용이 상부몸체를 아래로 가압하여 파열막을 파열하는 구조를 취하는 반면 본 발명은 상부몸체를 회전함으로써 쉽고 간편하게 파열막을 파열하는 구조를 취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상부몸체 회전형(twisting type) 파열방법으로 인하여 파열막이 부드럽고 정확하게 파열되는 효과가 나타난다.
이와 더불어 가이드돌기의 절취연결부와 가이드홈의 구조로 본 발명의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뚜껑을 최종소비자가 사용하기 전까지는 상부몸체를 회전시키지 못하게 함에 따라 안전하고 안정적인 유통 및 보관 효과를 창출한다.
또한 상부몸체의 상부걸쇠부와 하부몸체의 하부걸쇠부의 작용으로 인하여 한번 결합된 상부몸체 및 하부몸체는 인위적인 힘으로는 분리할 수 없어 안전하고 안정적인 유통 및 보관 효과를 나타낸다.
그리고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적인 효과는 종래의 상부캡과 하부캡으로 이루어진 용기뚜껑이 그 결합구조로 인한 특성으로 상부캡과 하부캡을 완전히 밀봉할 수 없어 용기내부로 불순물, 공기, 액체 등의 이물질의 투입 저지의 불가능 하였는데, 본 발명은 이중의 파열막으로 구성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완전히 해소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 뚜껑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몸체와 하부몸체가 결합되어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뚜껑의 정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몸체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따른 하부몸체의 파열부재 하나의 예의 투영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몸체 가이드홈의 하나의 예.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몸체 가이드홈의 또 다른 예.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몸체 가이드홈의 또 다른 예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막음부재의 하나의 예.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 뚜껑의 분해 사시도(다른 측면에서 본 것).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예인 상부몸체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예인 하부몸체 단면도.
본 발명을 도면을 참고로 하여 아래와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음용수 용기에 결합이 가능한 용기뚜껑으로서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로 이루어져 있고, 상부몸체(100)는 하부몸체로 삽입되는 내용물 저장고(110), 끼움부결합부(120), 선택적으로 막음부재(130)로 이루어지고, 하부몸체(200)는 파열부재(220), 삽입부(210), 사선단면부(300), 파열막(310), 용기결합부(230), 끼움부(240)로 이루어진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뚜껑이다.
본 발명의 상부몸체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용물이 저장되는 내용물 저장고가 형성되어 있다.
내용물 저장고는 도 1에서처럼 양쪽 모두가 관통된 형태 또는 도 8에서처럼 한쪽만 관통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내용물은 액체추출물형, 분말형 등 다양한 기능성 추출물 또는 분말로서 용액에 녹거나 미세한 분말로 분산되어 음용이 가능한 물질을 통칭하는 개념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내용물 저장고는 액체추출물, 분말 등이 저장되고 난 후 밀봉되는 형태를 취하게 된다.
즉, 한쪽만 관통된 형태인 경우 상부몸체의 상부로부터 내용물을 주입(투입)하고 막음부재로 밀봉을 하는 방법을 취할 수가 있다. 또한 막음부재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내용물 저장고 하단에서 내용물을 주입하고 파열막으로 밀봉하는 방법을 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양쪽이 관통된 형태는 관통된 한쪽을 막음부재로 미리 막거나 파열막으로 미리 밀봉하고 난 후 내용물을 주입하고 나머지 한쪽을 파열막으로 밀봉하거나 막음부재로 밀봉하는 방법을 취할 수도 있다.
상부몸체의 끼움부결합부는 하부몸체의 끼움부에 끼워지면서 하부몸체와 결합하면서 하부몸체의 용기결합부에 안착되게 되는 기능을 하는 부분을 의미한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끼움부결합부는 내용물 저장고보다 더 넓은 직경의 환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끼움부결합부 환형의 모양은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 해당하며 끼움부결합부의 외형이 다각형 형태의 모습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끼움부결합부 안쪽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걸림부(121)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걸림부의 기능은 다음에서 설명할 하부몸체의 끼움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하부걸림부(241)와 맞물려서 상부몸체와 하부몸체가 분리되는 것을 막는 기능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상부몸체 끼움부결합부의 상부걸림부와 하부몸체 끼움부의 하부걸림부는 상부몸체와 하부몸체가 결합되었을 때 서로 분리가 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상부걸림부와 하부걸림부의 기능으로 인하여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뚜껑으로 한 번 결합되면 다시 통상적으로 인위적인 힘에 의해서는 분리가 서로 불가능하게 된다.
이런 작용 효과로 인하여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뚜껑이 유통되어 어느 누구의 지배하에 있든지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를 분리할 수가 없어 최종소비자가 사용하기 전까지 아주 안전한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뚜껑이 될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끼움부결합부의 상부걸림부와 하부몸체 끼움부의 하부걸림부가 결합되어 연결되어도 상부몸체는 회전운동을 할 수가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하여 다음에 설명할 상부몸체에 사람의 손으로 돌릴 수 있는 인위적인 힘을 가하여 돌리면 내용물저장고도 함께 회전하며 내용물 저장고 하단의 파열막이 완전히 찢어져서 내용물을 유출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부걸림부는 하부걸림부에 걸려서 결착되지만 그 단면으로 회전운동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그 예로 상부걸림부는 끼음부결합부의 외주를 빙 둘러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중간 중간이 끊어져 있는 형태 또는 하나 또는 다수로 돌출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하부걸림부 또한 하부몸체 끼움부의 외주를 빙 둘러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중간 중간이 끊어져 있는 형태 또는 하나 또는 다수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부걸림부와 하부걸림부의 형태는 서로 걸려서 이탈되지 않는 구조 즉, 상부걸림부와 하부걸림부가 암수로 서로 결합하는 형태 즉 요철(凹凸)구조 또는 ㄴ ㄱ 형상, ㄷ 자 형상 등 다양하게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부몸체의 끼움부결합부는 그 하부에 가이드돌기(140)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돌기는 하부몸체 용기결합부 상단에 가이드홈(250)이 형성되어 있어 이 가이드홈을 따라서 상부몸체가 회전될 때 정확하게 회전할 수 있는 작용을 하게 된다.
따라서 가이드홈의 일예로 하부몸체 용기결합부 상단에 홈의 형태로 파여 있되 원주를 그리듯이 전체적으로 홈이 파여 있는 형태를 들 수 있다.
다른 예로는 가이드홈은 처음과 끝이 있는 형태인 원주상의 한 부분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용기결합부 상단의 원주상에 일부형성된 가이드홈은 상부몸체를 돌려서 회전시킬 때 더 이상의 불필요하고 과도한 회전을 방지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회전운동의 처음과 끝을 알려주는 작용을 하는 구조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또 다른 가이드홈의 예로 가이드홈이 가이드돌기의 크기에 맞는 크기로 형성된 구조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장 큰 기술적인 특징으로서 상부몸체 내용물 저장고의 하단이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V자 또는 U자 형상의 단면부(111)로 된 것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내용물 저장고의 하단이 V자 또는 U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 V자 또는 U자 형상의 단면부에 얇은 필름과 같은 구조의 파열막(11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몸체가 회전운동을 하게 되면 내용물 저장고가 회전운동을 하게 되고 다음에 설명할 하부몸체의 파열부재에 의하여 내용물 저장고의 V자 또는 U자 형상의 단면부의 파열막이 찢어지면서 파열됨에 따라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게 되는 구조가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가장 큰 기술적 특징인 내용물 저장고의 하단이 형상이 V자 또는 U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함은 그 단면부가 완전히 서로 상호 대칭 하여 이루어져 있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다시 설명을 하겠지만 내용물 저장고의 끝 부분이 상부파열부(113)로서의 기능 및 작용을 할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되 V자 또는 U자와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 단면부를 파열막으로 막을 수 있는 형태 또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음을 의미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내용물 저장고의 V자 또는 U자 형상의 단면부는 내용물이 저장되고 난 후 파열막으로 밀봉되어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파열막의 의미는 내용물 저장고 안의 내용물의 유출을 막으면서 파열부재(좀더 구체적으로는 파열돌부)에 의해 접촉 및 압박하는 힘이 가해지면 쉽게 파열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 얇은 필름과 같은 구조의 막 또는 쉬트(sheet) 등을 의미한다.
상기와 같은 파열막 구조는 상부몸체를 플라스틱 등과 같은 고분자 물질로 제조할 때 내용물 저장고의 하단을 얇은 막의 형태로 제조하면 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열막을 별도로 제조하여 부착하는 방법 등 다양하게 채용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나무, 금속, 고분자 물질 등의 재료로 상부몸체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내용물 저장고 하단의 파열막을 나무, 금속, 고분자 등과 같은 물질로 동시에 제조할 경우에도 작은 힘으로도 쉽게 파열될 수 있도록 얇은 막의 형상을 이루도록 제조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만약 상부몸체를 제조할 때 내용물 저장고의 하단도 함께 형성되는 제조공정을 채택한다면 내용물 저장고에 내용물을 주입하고 그 입구를 막을 막음부재가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만약 내용물 저장고의 V자 또는 U자 형상의 단면부가 미리 관통되어 제조되어 있을 때에는 종이, 금속, 고분자 물질 등의 재료로 만든 얇은 시트지를 파열막으로 하여 통상의 밀봉할 수 있는 수단을 채용하여 밀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내용물 저장고의 하단이 관통되어 있으므로 내용물을 주입하고 난 후 얇은 시트지로서 밀봉할 수가 있으므로 막음부재의 유무를 선택적으로 구성할 수가 있게 된다.
상기한 밀봉수단으로서 얇은 시트지는 종이, 금속, 플라스틱 등의 고분자 물질 등의 재질로 된 얇은 필름 형태로 다양하게 채용할 수 있으며 통상의 접착수단으로서 밀봉을 하여 파열막으로 완성하게 된다.
본 발명의 하부몸체(200)는 파열부재(220), 삽입부(210), 용기결합부(240), 끼움부(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부몸체의 끼움부(230)는 상부몸체의 끼움부결합부와 대응하여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를 결합시켜 주는 부분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부몸체의 끼움부결합부가 끼움부에 끼워지면서 결합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일반적으로 상부몸체의 끼움부결합부에 끼움부가 끼워지는 형태를 취하겠지만 상부몸체의 끼움부결합부가 끼움부에 끼워지는 형태도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부몸체 끼움부결합부에는 상부걸림부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몸체의 끼움부에는 하부걸림부가 형성되어 있어, 일단 상부몸체와 하부몸체가 결합이 되면 특별한 큰 힘이 아니고서는 분리를 할 수 없는 결합상태를 만들어 주는 작용을 한다.
상걸림부와 하부걸림부에 대하여는 앞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상부몸체와 하부몸체가 결합하였을 때 서로 분리가 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하부몸체의 삽입부는 상부몸체의 내용물 저장고가 하부몸체로 삽입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따라서 관통된 관형 형태를 갖는 것이 일반적이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어떠한 모양이든 내용물 저장고가 삽입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면 좋다. 도 10과 11은 그 일 예를 잘 보여준다.
하부몸체의 용기결합부는 음용수 용기에 결합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부분을 의미한다.
음용수 용기에 결합될 수 있는 구조라 함은 음용수 용기의 입구는 숫나사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 게 일반적이므로 용기결합부는 암나사 형태로 이루어진 구조를 의미하며 기타 다른 결합수단을 채용하여도 가능하다.
또한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용기결합부의 상부에는 상부몸체의 가이드돌기에 대응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가이드홈은 용기결합부 상부에서 원주의 일부, 원주의 전부 또는 원주의 특정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홈이 원주의 특정부분에 가이드돌기 정도 크기로 형성된 경우 상부몸체의 가이드돌기가 가이드홈에 안착되어 상부몸체와 하부몸체가 결합되면서 용기뚜껑이 되면 특정한 힘(인위적인 힘) 이상을 가하지 않고는 상부몸체가 비틀려져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상부몸체와 하부몸체가 결합되어 완성된 용기뚜껑은 사용자가 최종적으로 음용하기 전까지는 상부몸체를 회전시켜 파열막를 파열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런 작용으로 본 발명의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뚜껑을 사용하는 음용용기는 안정성 및 유통성이 현저히 상승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가이드 홈이 원주의 일부에 형성된 경우 상부몸체 회전 운동의 처음과 끝을 알려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기능으로 상부몸체의 원활한 회전 작용을 유도할 수 있으며 회전운동의 끝에서 쉽게 가이드돌기가 절취되거나 또는 더 이상 회전하는 힘이 필요 없도록 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더불어, 가이드 홈이 원주의 전부에 형성된 경우 상부몸체 회전을 원활하게 가이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상부몸체의 회전은 자유롭고 원할하게 이루어져 얇은 파열막을 쉽게 파열하는 작용을 나타내는 효과를 창출하게 된다.
본 발명의 가장 큰 기술적 특징 중의 하나인 하부몸체 삽입부의 구조와 형상에 대한 설명을 한다.
하부몸체의 삽입부 말단에는 파열부재(220) 및 사선 형상으로 이루어진 사선단면부(30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큰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하부몸체 삽입부 말단이 밀폐되어 막혀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는 것을 큰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파열부재는 막혀있는 형상으로서 유체가 통과할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한 사선 형상의 단면부에는 파열막(310)이 형성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하여 하부몸체가 용기와 결합되었을 때에 완전한 밀폐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 상부몸체와 하부몸체가 결합되어 있을 때 만약 삽입부 말단이 관통되어 있을 경우에는 공기 등과 같은 분자성 물질의 유통을 완전히 차단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과정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하부몸체의 삽입부 말단이 밀폐된 구조를 갖게 된다면 통상의 병뚜껑을 용기에 결합하는 정도의 기술로도 완전한 밀봉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작용으로 용이하고 간편한 완전한 밀봉이 가능하며 내용물을 저장할 수 있는 기능성 용기뚜껑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부몸체 삽입부 말단은 도 1 및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삽입부 말단의 한 부분에 파열부재(200)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파열부재 외의 부분은 파열막이 형성되어 있는 사선단면부(30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파열부재는 상부몸체가 회전할 때 내용물 저장고도 회전하고 이에 따라 내용물 저장고의 V자 또는 U자 형상의 양쪽 단면부 파열막이 상기한 파열부재와 접촉을 하고 파열막에 힘이 가하면서 파열막을 찢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파열부재는 삽입부 말단에 마감판(222)과 마감판 위에 돌출 형성된 파열돌부(223)로 이루어진다.
이때 파열돌부의 위치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삽입부 말단 마감판에서 삽입부 위쪽 방향으로 위치하고 있는 형태를 들 수 있다. 그러나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것은 파열돌부에 대한 위치의 하나의 예이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자면 상부몸체와 하부몸체가 결합되어 있을 경우를 상정해서 판단해 봤을 때 파열돌부는 내용물 저장고 하단의 상부파열부(113)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어서 내용물 저장고가 회전함에 따라 내용물 저장고의 V자 또는 U자 형상의 양쪽 단면부 파열막을 파열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면 어떤 구조이든 가능하다.
또한 상부몸체가 회전할 때 내용물 저장고의 내주면을 접촉할 정도 바람직하게는 접촉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야 한다. 따라서 내용물 저장고가 회전할 때에 파열돌부에 의한 걸림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하부몸체 삽입부 말단의 사선단면부(300)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삽입부 말단에서 삽입부 상단으로 빗겨 베어진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하부몸체 삽입부 말단의 파열부재와 삽입부 말단부의 접촉되지 않는 미접촉부(320)에서부터 삽입부 몸체 방향으로 사선의 형태 즉, 빗겨 베어진 형태로 형성된 구조를 의미하며 상기한 바와 같이 내용물 저장고의 상부 파열부가 회전하면서 사선단면부의 파열막을 파열할 수 있는 구조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사선단면부는 파열막(310)으로 밀봉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사선단면부에 파열막으로 밀봉하는 방법은 상부몸체의 파열막으로 파열하는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면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파열막 구조는 하부몸체를 플라스틱 등과 같은 고분자 물질로 제조할 때 삽입부의 사선단면부를 얇은 막의 형태로 제조하면 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열막을 별도로 제조하여 부착하는 방법 등 다양하게 채용할 수 있다.
그리고 사선단면부의 파열막의 의미도 회전하는 상부파열부에 의한 접촉 및 압박하는 힘이 가해지면 쉽게 파열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 얇은 필름과 같은 구조의 막 또는 쉬트(sheet) 등을 의미한다.
상기한 밀봉수단으로서 얇은 시트는 종이, 금속, 플라스틱 등의 고분자 물질 등의 재질로 된 얇은 필름 형태로 다양하게 채용할 수 있으며 통상의 접착수단으로서 밀봉을 하여 파열막으로 완성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하부몸체 삽입부의 하단은 평상시에는 밀봉의 형태가 되어 하부몸체만이 용기에 결합된다고 하더라도 용기에 대한 완전한 밀봉을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안전하고 위생적인 용기뚜껑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가이드돌기나 가이드 홈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내용물이 저장된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를 결합하여 완성된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뚜껑을 제조한 경우 그 전체를 비닐, 금속, 고분자물질 등으로 랩핑(wrapping)하여 마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랩핑마감으로 가이드돌기나 가이드홈의 유무에 관계없이 일단 상부몸체와 하부몸체가 결합되어 완성된 용기뚜껑은 랩핑을 제거하지 않으면 상부몸체를 회전할 수 없어 내용물을 용기 속으로 투입할 수 없게 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상부몸체와 하부몸체가 결합되어 최종 형성된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뚜껑"의 용기결합부와 음용 용기를 결합하게 되면 다양한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뚜껑에 관한 음료용기가 만들어지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마개를 사용하는 각종 저장용기에 본 발명에 의해 생산된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뚜껑을 결합하여 제조, 판매, 유통하는 산업에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또한 각종 음료수 제품, 각종 생수 제품, 각종 추출액 및 추출물을 저장하는 제품, 의약품 등의 산업에 골고루 이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각종 액체상 또는 분말상의 물질을 저장하는 용기를 생산, 제조, 판매하는 산업에 매우 유용하다.
더불어 각종 주류제품의 생산, 가공, 판매 분야에도 이용가능성이 높다.
100 : 상부몸체 110 : 내용물 저장고
111 : V자 또는 U자 형상 단면부 112 : 파열막(상부몸체)
113 : 상부파열부(상부몸체) 120 : 끼움부결합부
121 : 상부걸림부 130 : 막음부재 140 : 가이드돌기 141 : 접합연결부
200 : 하부몸체 210 : 삽입부
220 : 파열부재 222 : 마감판
223 : 파열돌부
230 : 용기결합부 240 : 끼움부
241 : 하부걸림부 250 : 가이드홈
300 : 사선단면부(하부몸체) 310 : 파열막(하부몸체)
320 : 미접촉부

Claims (8)

  1. 음용수 용기에 결합이 가능한 용기뚜껑에 있어서,
    용기뚜껑은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로 이루어져 있고,
    상부몸체는 하부몸체로 삽입되는 내용물 저장고, 내용물 저장고 하부의 파열막, 끼움부결합부 및 선택적으로 막음부재로 구성되고,
    하부몸체는 삽입부, 삽입부 말단의 파열부재, 용기결합부, 끼움부로 구성되어 상부몸체를 회전하여 파열막을 파열하는 특징이 있는 내용물이 저장되는 기능성 용기뚜껑.
  2. 제1항에 있어서,
    상부몸체의 내용물 저장고 하단은 V자 또는 U자 형의 단면부로 형성되고, 상기 V자 또는 U자 형의 단면부는 파열막 및 상부파열부가 형성되며,
    하부몸체의 삽입부의 파열부재는 상부몸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내용물 저장고 하단의 V자 또는 U자 형 단면부의 파열막을 파열하는 구조로 형성되고,
    하부몸체의 삽입부에는 사선단면부 및 파열막이 구성되어 상부몸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상부파열부에 의해 이 파열막이 파열되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이 저장되는 기능성 용기뚜껑.
  3. 제2항에 있어서,
    끼움부결합부는 내부에 상부걸림부가 형성되고, 끼움부는 내부에 하부걸림부가 형성되어 상부몸체를 회전하여 파열막을 파열하는 특징이 있는 내용물이 저장되는 기능성 용기뚜껑.
  4. 제1항 내지 제3항에 있어서,
    끼움부결합부 하단에 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끼움부의 상단은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상부몸체를 회전하여 파열막을 파열하는 특징이 있는 내용물이 저장되는 기능성 용기뚜껑.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돌기는 끼움부 결합부 하단에 절취연결부로 연결되어 상부몸체를 회전하여 파열막을 파열하는 특징이 있는 내용물이 저장되는 기능성 용기뚜껑.
  6. 제1항 내지 제3항에 의한 용기뚜껑이 결합된 용기.
  7. 제4항에 의한 용기뚜껑이 결합된 용기.
  8. 제5항에 의한 용기뚜껑이 결합된 용기.
KR1020100127111A 2010-12-13 2010-12-13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뚜껑 및 그 용기 KR1012130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7111A KR101213073B1 (ko) 2010-12-13 2010-12-13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뚜껑 및 그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7111A KR101213073B1 (ko) 2010-12-13 2010-12-13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뚜껑 및 그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5803A true KR20120065803A (ko) 2012-06-21
KR101213073B1 KR101213073B1 (ko) 2012-12-21

Family

ID=46685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7111A KR101213073B1 (ko) 2010-12-13 2010-12-13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뚜껑 및 그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30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50159A1 (en) * 2015-03-23 2016-09-29 Cogito Et Creo Limited Lid for container, contain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5301B1 (ko) * 2013-09-25 2014-05-27 주식회사 청아람 첨가제의 개별투입수단이 구비된 음료용기용 캡슐캡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50159A1 (en) * 2015-03-23 2016-09-29 Cogito Et Creo Limited Lid for container, contain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3073B1 (ko) 2012-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381341C (zh) 具有可穿破帽的包囊、带有容纳加入到密封容器的内容物中的物质的这种包囊的塞子、以及相应容器
EP2697135B1 (en) Bottle for extemporaneous preparation products, particularly medical, pharmaceutical, cosmetic products
US8297456B1 (en) Drinkable storage and dispensing ingredient cap for a liquid container
US8459502B2 (en) Reclosable dispensing closure with vent
US20080067172A1 (en) Container Closure for a Container Comprising a So-Called "Push-Pull" Closure
EP2850014B1 (en) Bottle for extemporaneous-preparation products, particularly medicinal, pharmaceutical, cosmetic products or the like
US20100044254A1 (en) Beverage mix dispensing closure
CA2811474C (en) Closing device for a container and container comprising said closing device
PH12015502079B1 (en) Device for closing beverage containers and assembly of such a device and a beverage container
EP2627574A1 (de) Kunststoffverschluss mit kapsel zur abgabe von wirkstoffen
MX2014006263A (es) Adaptador para recipientes.
AU2018234458B2 (en) Doser cap for liquid container
KR101213073B1 (ko)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뚜껑 및 그 용기
JP2016533983A (ja) 液体容器上に装着するための閉鎖キャップ
KR200466751Y1 (ko)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뚜껑 및 그 용기
KR101697555B1 (ko) 자동 개폐 스파우트 마개 및 이를 이용한 포장용기
KR200450908Y1 (ko) 자연향 추출물이 저장되는 음료 용기 뚜껑
KR101395301B1 (ko) 첨가제의 개별투입수단이 구비된 음료용기용 캡슐캡
TWM358800U (en) Safety sealed reservoir cap
KR20130116642A (ko) 차(茶) 및 음료 용기
RU129086U1 (ru) Съемное слив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акетов с напитками
AU2006213131A1 (en) A container
BRMU9000532U2 (pt) disposição introduzida em tampa com lacre e dosador para garrafas de bebidas em ger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