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4289A - A carrier for a bogie transfer - Google Patents

A carrier for a bogie transf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4289A
KR20120064289A KR1020100125456A KR20100125456A KR20120064289A KR 20120064289 A KR20120064289 A KR 20120064289A KR 1020100125456 A KR1020100125456 A KR 1020100125456A KR 20100125456 A KR20100125456 A KR 20100125456A KR 20120064289 A KR20120064289 A KR 201200642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air
carrier
carriage
rai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54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대식
마성호
김경환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공사 filed Critical 한국철도공사
Priority to KR1020100125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64289A/en
Publication of KR20120064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428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5/00Other railway vehicles, e.g. scaffold cars; Adaptations of vehicles for use on rail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3/00Wagons or vans
    • B61D3/16Wagons or vans adapted for carrying special l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3/00Wagons or vans
    • B61D3/16Wagons or vans adapted for carrying special loads
    • B61D3/18Wagons or vans adapted for carrying special loads f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3/00Wagons or vans
    • B61D3/16Wagons or vans adapted for carrying special loads
    • B61D3/18Wagons or vans adapted for carrying special loads for vehicles
    • B61D3/187Details, e.g. bridges for floor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3/00Types of bogies
    • B61F3/16Types of bogies with a separate axle for each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JSHIFTING OR SHUNTING OF RAIL VEHICLES
    • B61J1/00Turntables; Traversers; Transporting rail vehicles on other rail vehicles or dollies
    • B61J1/12Rollers or devices for shifting or transporting rail vehicles on r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PURPOSE: A carrier for transferring a bogie is provided to reduce repair time by repairing a bogie while moving the bogie mounting on a carrier along a rail. CONSTITUTION: A carrier for transferring a bogie comprises a first frame(110), a second frame(120), and multiple connection rods(130). A pair of wheels is arranged in the first frame in a row and is driven along one of a pair of rails. Mounting parts projected to the outside are formed in both ends of the first frame. A guide part is formed in the first frame. A pair of brake stopper fixture bodies arranged in a power car bogie is mounted on the upper center part of the guide part. The second frame is driven along the other of the pair of rails, and is composed symmetrically to the first frame. The connection rods connect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Description

대차 이송용 캐리어{a carrier for a bogie transfer}Carrier for a bogie transfer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분해 정비 시 대차를 용이하게 이송하며 정비를 수행할 수 있는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rier that can easily transport and carry out maintenance for the maintenance of the railway vehicle.

일반적으로 철도차량은 복수의 철도차량이 연결된 상태로 레일을 따라 주행하게 된다. 이러한 철도차량은 레일을 따라 주행하도록 바퀴가 설치되는 대차와 대차의 상부에 위치되는 차체로 구성된다.In general, a railroad vehicle travels along a rail with a plurality of railroad cars connected. Such a railway vehicle is composed of a bogie in which wheels are installed to travel along a rail and a vehicle body positioned on the top of the bogie.

그리고, 대차는 상부에 안착되는 차체에 따라 운전실이 안착되는 경우에는 동력 대차, 승객을 수송하는 객차가 안착되는 경우에는 객차 대차, 및 승객을 수송하는 객차가 안착되되 구동하는 모터가 설치된 경우에는 동력객차 대차로 일컬어진다.And, when the cab is seated according to the vehicle body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ruck, the power truck when the passenger carriage is seated, the carriage carriage is seated, and the passenger carriage is seated, but when the driving motor is installed It is called a carriage bogie.

한편, 철도차량은 복수의 철도차량이 연결된 형태로 주행하기 때문에 한번 사고가 발생되면 경미한 사고가 아닌 대형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철도차량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철도차량의 운영에 있어서 철도차량은 정비는 없어서는 안 될 요소이다.On the other hand, because the railway vehicle travels in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railway vehicles are connected, once an accident occurs, it may cause a large accident rather than a minor accident.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accidents of railway vehicles, railway vehicles are indispensable in the operation of railway vehicles.

철도차량의 정비의 방법으로는 수시로 정비를 수행하는 수시정비와 일정거리(대략 350만km)를 주행 후 정비를 수행하는 분해정비가 있다.The maintenance methods of the railway vehicles include frequent maintenance, which is performed frequently from time to time, and disassembly and maintenance, which is performed after driving for a certain distance (approximately 3.5 million km).

분해정비는 철도차량의 구동부인 대차를 분해하여 수행하는 정비로서, 대차를 분해 시에는 기중기 또는 지게차로 대차를 들어올려 각 정비가 수행되는 장소로 대차를 이동시키는 형태로 정비가 수행된다.Disassembly maintenance is a maintenance that is performed by disassembling a bogie, which is a driving unit of a railway vehicle, and when the bogie is disassembled, maintenance is performed by lifting a bogie with a crane or a forklift and moving the bogie to a place where each maintenance is performed.

하지만, 종래의 분해정비를 수행할 때에는 대차를 기중기 또는 지게차로 들어올려 각 부분이 분해될 분해정비의 장소로 이동하며 분해정비를 수행하기 때문에 분해정비의 소요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when performing the conventional disassembly maintenanc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takes a long time to disassemble and maintain the truck by lifting the truck with a crane or a forklift, and performing the disassembly maintenance by moving each part to the place of disassembly maintenance.

또한, 기중기에 매달려 이동하는 대차에 작업자가 충돌하거나 상대적으로 무거운 대차가 이동하는 중에 낙하하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a safety accident, such as a worker collides with a crane that is hanging on a crane or falls while a relatively heavy truck is moving.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대차를 용이하게 이동시키며 정비를 수행할 수 있어 분해 정비의 소요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분해 정비 시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대차 이송용 캐리어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carry out maintenance and carry out the maintenance can shorten the time required for overhaul maintenance, which occurs during overhaul It is to provide a carrier for transporting the balance that can prevent safety accidents.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대차 이송용 캐리어는 철도차량의 동력객차 대차를 안착시켜 한 쌍의 레일을 따라 이송하며 정비하는 대차 이송용 캐리어로서, 상기 한 쌍의 레일 중 어느 하나의 레일을 따라 주행하도록 한 쌍의 바퀴가 일렬로 배치되고, 양단에 외측으로 각각 돌출된 안착부가 형성되며, 중앙 부분이 상부로 돌출되어 돌출된 부분의 양단이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상단 중앙 부분에 상기 동력객차 대차에 구비된 한 쌍의 제동명령스토퍼 취부대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제1 프레임, 상기 한 쌍의 레일 중 다른 하나의 레일을 따라 주행하고, 상기 제1 프레임과 서로 대칭되도록 구성되는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대를 포함할 수 있다.Balance transport carr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balance transport carrier for transporting and maintaining along a pair of rails by seating the power carriage cart of a railway vehicle, the pair of rails A pair of wheels are arranged in a row so as to travel along any one of the rails, and a seating portion protruding outwardly is formed at both ends, and a guide portion is formed so that both ends of the protruding portion are inclined at the center portion. And a first frame having a seating groove in which a pair of braking command stopper mounting units provided in the power car carriage is provided at a center portion of the upper end of the guide unit, and traveling along the other rail of the pair of rails, A second frame configured to be symmetrical with the first frame, and a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connecting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Can be included.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면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상면에는 탄성매트가 설치될 수 있다.An elastic mat may be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frame and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frame.

상기 제1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 및 상기 연결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작업자에게 시각적으로 경고하는 반사판이 구비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first frame, the second frame, and the connecting rod may be provided with a reflector to visually warn an operator.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차 이송용 캐리어는 철도차량의 객차 대차를 안착시켜 한 쌍의 레일을 따라 이송하며 정비하는 대차 이송용 캐리어로서, 상기 한 쌍의 레일 중 어느 하나의 레일을 따라 주행하도록 한 쌍의 바퀴가 일렬로 배치되고, 양단에 외측으로 각각 돌출된 안착부가 형성되며, 중앙 부분이 상부로 돌출되어 돌출된 부분의 양단이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상단 중앙 부분에 상기 객차 대차에 구비된 안티롤링바 취부대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제1 프레임, 상기 한 쌍의 레일 중 다른 하나의 레일을 따라 주행하고, 상기 제1 프레임과 서로 대칭되도록 구성되는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대를 포함한다.The carrier for transporting bogi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rrier for transporting bogies for transporting and maintaining a pair of rails of a railroad vehicle along a pair of rails, and traveling along any one of the pair of rails. A pair of wheels are arranged in a line so as to form a seating portion protruding outwardly at both ends, and a guide portion is formed so that the center portion protrudes upward to incline both ends of the protruding portion, and the center of the upper end of the guide portion. A first frame having a seating groove in which an anti-rolling bar mounting portion provided in the carriage cart is mounted, the second frame configured to run along the other rail of the pair of rails and be symmetrical with the first frame; And a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connecting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면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상면에는 탄성매트가 설치될 수 있다.An elastic mat may be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frame and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frame.

상기 제1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 및 상기 연결대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작업자에게 시각적으로 경고하는 반사판이 구비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first frame, the second frame and the connecting rod may be provided with a reflector to visually warn an operator.

본 발명에 따르면, 대차 이송용 캐리어에 대차를 안착시켜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분해 정비를 수행함으로써, 분해 정비의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time for the overhaul maintenance by carrying out the overhaul maintenance while seating the trolley on the carrier for transporting the balance and moving along the rail.

또한, 대차를 기중기로 들어 옮길 필요가 없어 대차가 낙하하거나 작업자와 충돌하여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not necessary to move the truck to the crane to prevent the safety accident caused by the truck falls or collides with the worker.

또한, 대차 이송용 캐리어의 상면에 탄성매트가 설치되어 대차의 안착 시 대차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astic mat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rrier for transporting the balance can prevent damage to the balance when the balance is mounted.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대차 이송용 캐리어에 안착되는 동력대차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대차 이송용 캐리어에 안착되는 동력객차 대차의 프레임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대차 이송용 캐리어에 안착되는 동력객차 대차의 프레임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대차 이송용 캐리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대차 이송용 캐리어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대차 이송용 캐리어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동력객차 대차의 프레임이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대차 이송용 캐리어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동력객차 대차의 프레임이 상하로 뒤집힌 상태로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차 이송용 캐리어에 안착되는 객차 대차의 프레임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차 이송용 캐리어에 안착되는 객차대차의 프레임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차 이송용 캐리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차 이송용 캐리어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객차 대차의 프레임이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side view showing a power balance seated on a balance transfer carr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frame of a power carriage bogie mounted on a carrier for transporting bog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frame of a power carriage bogie seated on a bogie transport carr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rrier for balance transf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front view showing a carrier for balance transf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carrier for transporting a bogi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a frame of a powered carriage bogie is seated. FIG.
7 is a side view showing a carrier for transporting the bal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rame of the power carriage bogie is seated upside down.
8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frame of a carriage cart seated on a carrier for transporting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frame of a carriage carriage seated on a carrier for transporting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arrier for balance transpo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carrier for transporting a bogi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a frame of the carriage bogie is seated.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될 한 실시예에 따른 대차 이송용 캐리어는 객차 대차가 안착되어 객차 대차를 이송하는 대차 이송용 캐리어이고,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차 이송용 캐리어는 동력객차 대차가 안착되어 동력객차 대차를 이송하는 대차 이송용 캐리어이다.First, the carriage transport carr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to be described herein is a carriage transport carrier for transporting the carriage truck by mounting the carriage truck, and the carriage transport carri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s powered by the carriage carriage seat It is a carrier for transporting a trolley | bogie for conveying a carriage truck.

한편, 본 명세서에서의 객차 대차 및 동력객차 대차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개략적으로 구성을 설명하며, 본 발명과 관련된 특징된 부분만을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the carriage cart and the power carriage cart in this specification are well-known techniques,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and the configura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and only the characteristic part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대차 이송용 캐리어(100)에는 동력객차 대차(200)가 안착될 수 있다. 이 동력객차 대차(200)는 철도차량의 승객을 수송하는 객차(미도시)의 하부에 위치되어 객차를 레일(500) 따라 이동시킬 수 있으며, 동력객차 대차(200)는 복수의 객차가 연결된 철도차량의 객차 중 몇몇의 객차의 하부에 위치되어 객차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power carriage bogie 200 may be seated on the bogie transfer carri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carriage cart 200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carriage (not shown) for transporting the passengers of the railroad vehicle can move the carriage along the rail 500, the power carriage bogie 200 is a railway that a plurality of carriages are connected It may be located below some of the carriages of the vehicle to provide driving force to the carriage.

한편, 동력객차 대차(200)는 바퀴(215), 구동부(210) 및 프레임(220)을 포함할 수 있다. 바퀴(215)는 철도차량이 레일(500)을 따라 주행할 수 있도록 동력객차 대차(200)의 좌, 우 양측에 한 쌍의 바퀴(215)가 각각 일렬로 배열되는 형태로 구비되며, 좌,우 양측에 위치되는 바퀴(215)는 하나의 차축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ower carriage cart 200 may include a wheel 215, the drive unit 210 and the frame 220. The wheels 215 are provided in a form in which a pair of wheels 215 are arranged in a row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ower carriage bogie 200 so that the railway vehicle can travel along the rail 500. Wheels 215 located on both right sides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one axle.

그리고, 구동부(210)는 철도차량이 레일(500)을 따라 주행할 수 있도록 바퀴(215)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전기에 의해 구동하는 모터, 동력을 제어하는 브레이크, 모터의 동력을 차축으로 전달하는 차축기어감속기, 차축기어감속기에 과도한 토크가 발생될 때 다른 구동기구들을 보호하기 위해 제동배관에 흐르는 공기를 제동배관에서 배출시켜 비상제동을 수행하는 제동명령스토퍼(270) 등 바퀴(215)의 구동 및 제동에 관련된 모든 기구들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ving unit 210 provides driving force to the wheels 215 so that the railroad vehicle can travel along the rail 500, and the motor driven by electricity, the brake controlling the power, and the power of the motor as the axle. Wheel 215, such as a brake command stopper 270 that performs emergency braking by discharging air flowing in the braking pipe from the braking pipe to protect other drive mechanisms when excessive torque is generated in the axle gear reducer and the axle gear reducer. It may include all mechanisms related to driving and braking of the vehicle.

아울러, 바퀴(215)는 구동부(210)는 일체로 형성되어 구동부(210)에 바퀴(215)가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wheel 215, the driving unit 210 is formed integrally, the wheel 215 may be included in the driving unit 210.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객차 대차(200)의 프레임(220)은 동력객차 대차(200)의 골격을 이루는 것으로서, 서로 대칭되도록 한 쌍의 지지대(230)가 설치되고, 한 쌍의 지지대(230)는 가로대(238)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형태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2 and FIG. 3, the frame 220 of the power carriage bogie 200 forms a skeleton of the power carriage bogie 200, and a pair of supports 230 are installed to be symmetrical with each other. The pair of supports 230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crossbar 238.

지지대(230)는 한 쌍의 레일(500)과 각각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각 지지대(230)의 양단은 상향된 절곡부(231)와 절곡부(231)의 끝단에서 수평하게 외측으로 돌출되는 수평부(232)로 구성될 수 있다.The support 230 may be disposed in parallel with each of the pair of rails 500, and both ends of each support 230 protrude horizontally outward from the ends of the bent portion 231 and the bent portion 231. It may be composed of a horizontal portion 232.

이때, 지지대(230)를 구성하는 수평부(232)의 하부에 바퀴(215)가 위치되며, 바퀴(215)와 수평부(232)의 사이에는 댐퍼(damper) 또는 스프링과 같은 완충기(250)가 설치되어 바퀴(215)에서 동력객차 대차(200)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wheel 215 is positioned below the horizontal portion 232 constituting the support 230, and between the wheel 215 and the horizontal portion 232, a shock absorber 250 such as a damper or a spring (250) Is installed may be configured to absorb the shock transmitted from the wheel 215 to the power car carriage 200.

그리고, 지지대(230)의 상부 중앙 부분에는 충격흡수장치(260)가 설치되어 프레임(220)의 상부에 안착되는 객차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hock absorbing device 260 is installed at the upper center portion of the support 230 to absorb the shock delivered to the passenger car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220.

한편,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동력객차 대차(200)는 분해정비 시에 프레임(220)과 구동부(210)가 체결되는 부분의 체결을 해제하고, 기중기로 프레임(220)을 상부로 들어올리면 구동부(210)와 바퀴(215)만 레일(500)에 남고 프레임(220)은 상부로 용이하게 분리된다.On the other hand, the power carriage trolley 20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releases the fastening of the part in which the frame 220 and the drive unit 210 are fastened during the disassembly and maintenance, and lifts the frame 220 to the upper portion of the drive unit 210. ) And the wheel 215 is left on the rail 500 and the frame 220 is easily separated to the top.

그리고, 각 지지대(230)의 하단 중앙 부분에는 동력객차 대차(200)의 비상제동을 수행하는 제동명령스토퍼(270)가 설치되도록 한 쌍의 제동명령스토퍼 취부대(237)가 서로 이격된 상태로 프레임(220)의 하부 즉, 하단 기준선(x)의 하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In addition, a pair of braking command stopper mounting units 237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uch that a braking command stopper 270 for emergency braking of the power car carriage 200 is installed at a lower center portion of each support 230. It is formed to protrude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rame 220, that is, the lower reference line (x).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대차 이송용 캐리어(100)는 상기한 동력객차 대차(200)가 안착되어 동력객차 대차(200)를 이송할 수 있다.In the balance transfer carrier 1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carriage bogie 200 may be seated to transfer the power carriage bogie 200.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대차 이송용 캐리어(100)는 제1 프레임(1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제1 프레임(110)은 한 쌍의 레일(500) 중 어느 하나의 레일(500)을 주행할 수 있으며, 제1 프레임(110)에는 레일(500)을 따라 주행하도록 한 쌍의 바퀴(117)가 일렬로 설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o FIG. 7, the carrier for transporting a balan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frame 110. The first frame 110 may travel on any one rail 500 of the pair of rails 500, and the pair of wheels 117 may travel on the first frame 110 along the rail 500. ) Can be installed in line.

이때, 제1 프레임(110)의 내부에는 바퀴(117)가 하단으로 일부 돌출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nside of the first frame 110 may be installed in a form in which the wheel 117 is partially protruded to the bottom.

그리고, 제1 프레임(110)의 상단의 중앙부분에는 상부로 돌출된 가이드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가이드부(111)에는 동력객차 대차(200), 더 구체적으로는 객차 대차의 프레임(220)의 지지대(230)가 제1 프레임(110)과 나란하게 안착될 수 있으며, 가이드부(111)의 양단은 각각 가이드부(111)의 중앙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guide part 111 protruding upward may be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end of the first frame 110. In this guide portion 111, the support carriage 230 of the power carriage bogie 200, more specifically, the frame 220 of the carriage bogie, may be seat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frame 110, and the guide portion 111 may be mounted. Both ends of the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center of the guide portion 111, respectively.

이때, 가이드부(111)는 동력객차 대차(200)의 프레임(220)을 상하로 뒤집었을 때, 지지대(230)의 양측에 위치되는 절곡부(231)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절곡부(231)의 내측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도 7 참조). At this time, the guide portion 111 is bent 231 so as to be located between the bent portion 231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230 when the frame 220 of the power carriage bogie 200 upside down It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shape of (see FIG. 7).

즉, 가이드부(111)의 양단이 각각 중앙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됨으로써, 동력객차 대차(200)의 프레임(220)을 상,하를 뒤집어 안착시킬 때에는 절곡부(231)가 가이드부(111)의 경사지도록 형성된 부분에 가이드되어 동력객차 대차(200)의 프레임(220)이 대차 이송용 캐리어(100)에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다.That is, both ends of the guide part 111 are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center, respectively, so that the bent part 231 guides the seat part 231 when the frame 220 of the power car carriage 200 is turned upside down. Guided to the portion formed to be inclined of the frame 220 of the power carriage trolley 200 can be easily seated on the balance carrier carrier (100).

그리고, 제1 프레임(110)에는 안착부(115)가 형성될 수 있다. 이 안착부(115)는 제1 프레임(110)의 양단에서 레일(500)과 직교되는 외측으로 각각 돌출되어 동력객차 대차(200)의 프레임(220)을 상,하로 뒤집어 안착 시 지지대(230)의 수평부(232)가 안착부(115)에 안착될 수 있다.In addition, a seating part 115 may be formed in the first frame 110. The seating portions 115 protrude outwardly orthogonal to the rails 500 at both ends of the first frame 110 to flip the frame 220 of the power carriage bogie 200 up and down, and then to support the seat 230. The horizontal portion 232 of the may be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115).

한편, 제1 프레임(110)의 중앙부분 더 구체적으로는 제1 프레임(110)에 형성되는 가이드부(111)의 상단 중앙부분에는 동력객차 대차(200)의 제동명령스토퍼 취부대(237)가 안착되는 안착홈(113)이 형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braking command stopper mounting portion 237 of the power carriage bogie 200 in the center of the upper portion of the guide portion 111 formed in the first frame 110 more specifically the center portion of the first frame 110 A seating groove 113 to be seated may be formed.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대차 이송용 캐리어(100)는 제2 프레임(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제2 프레임(120)은 한 쌍의 레일(500) 중 제1 프레임(110)이 주행하지 않는 다른 하나의 레일(500)을 주행할 수 있으며, 제1 프레임(110)과 서로 대칭된 형태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Balance transport carri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econd frame (120). The second frame 120 may travel the other rail 500 which the first frame 110 does not travel among the pair of rails 500 and is symmetrical with the first frame 110. It may be configured to have the same configuration.

제2 프레임(120)에는 레일(500)을 따라 주행하도록 한 쌍의 바퀴(127)가 일렬로 설치되고, 제2 프레임(120)의 내부에는 바퀴(127)가 하단으로 일부 돌출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A pair of wheels 127 are installed in a row in the second frame 120 to travel along the rail 500, and the wheels 127 are installed in a part of the second frame 120 to protrude downward. Can be.

그리고, 제2 프레임(120)의 상단의 중앙부분에는 상부로 돌출된 가이드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가이드부(121)에는 동력객차 대차(200), 더 구체적으로는 프레임(220)의 지지대(230)가 제2 프레임(120)과 나란하게 안착될 수 있으며, 가이드부(121)의 양단은 각각 가이드부의 중앙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guide portion 121 protruding upward may be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end of the second frame 120. The guide portion 121 may be mounted on the power carriage cart 200, more specifically, the support 230 of the frame 220 may be parallel with the second frame 120, and both ends of the guide portion 121 may be seated. Each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center of the guide portion.

이때, 가이드부(121)는 동력객차 대차(200)의 프레임(220)을 상하로 뒤집었을 때, 지지대(230)의 양측에 위치되는 절곡부(231)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절곡부(231)의 내측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guide portion 121 is bent 231 so as to be located between the bent portion 231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230 when the frame 220 of the power carriage bogie 200 upside down It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shape of the.

즉, 가이드부(121)의 양단이 각각 중앙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됨으로써, 동력객차 대차(200)의 프레임(220)을 상,하를 뒤집어 안착시킬 때, 절곡부(231)가 가이드부(121)의 경사진 부분에 가이드되어 동력객차 대차(200)의 프레임(220)이 대차 이송용 캐리어(100)에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다.That is, both ends of the guide part 121 are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center, respectively, so that the bent part 231 is guide part 121 when the frame 220 of the power car carriage 200 is turned upside down. Guided to the inclined portion of the), the frame 220 of the power carriage bogie 200 can be easily seated on the balance carrier carrier (100).

그리고, 제2 프레임(120)에는 안착부(125)가 형성될 수 있다. 이 안착부(125)는 제2 프레임(120)의 양단에서 레일(500)과 직교되는 외측으로 각각 돌출되어 동력객차 대차(200)의 프레임(220)을 상,하로 뒤집어 안착 시 지지대(230)의 수평부(232)가 안착부(125)에 안착될 수 있다.In addition, a mounting portion 125 may be formed in the second frame 120. The seating portions 125 protrude outwardly orthogonal to the rails 500 at both ends of the second frame 120 to flip the frame 220 of the power carriage bogie 200 up and down to support the support 230 when seating. The horizontal portion 232 of the may be seated on the mounting portion (125).

한편, 제2 프레임(120)의 중앙부분 더 구체적으로는 제2 프레임(120)에 형성되는 가이드부(121)의 상단 중앙부분에는 동력객차 대차(200)의 제동명령스토퍼 취부대(237)가 안착되는 안착홈(123)이 형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enter portion of the second frame 120 More specifically, in the upper center portion of the guide portion 121 formed in the second frame 120, the braking command stopper mounting table 237 of the power carriage bogie 200 A seating groove 123 to be seated may be formed.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대차 이송용 캐리어(100)는 연결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연결대(130)는 막대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프레임(110)과 제2 프레임(120)을 연결하여 제1 프레임(110)과 제2 프레임(120) 중 어느 하나를 이동 시 함께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대(130)는 대차 이송용 캐리어(100)의 주행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Balance transport carri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nnecting table (130). The connecting rod 130 is formed in a rod shape and connects the first frame 110 and the second frame 120 to move together when the one of the first frame 110 and the second frame 120 moves. Can be configured. In addition, a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130 may be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travel direction of the balance transfer carrier 100.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대차 이송용 캐리어(100)는 손잡이(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손잡이(160)는 대차 이송용 캐리어(100)를 분해 정비를 수행하는 작업자가 파지하여 대차 이송용 캐리어(100)를 레일(500)을 따라 이송할 수 있다.Balance transport carri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handle (160). The handle 160 may be gripped by an operator who performs an overhaul of the balance transport carrier 100 to transport the balance transport carrier 100 along the rail 500.

한편, 손잡이(160)는 제1 프레임(110) 및 제2 프레임(120)에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프레임(110) 및 제2 프레임(120)의 전방 또는 후방에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the handle 160 may be provided at the first frame 110 and the second frame 120, respectively, and may be provided at the front or the rear of the first frame 110 and the second frame 120.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대차 이송용 캐리어(100)는 반사판(17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반사판(170)은 빛을 반사시키는 형태로 작업자에게 시각적으로 경고를 할 수 있다.Balance transport carri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reflector plate (170). The reflector plate 170 may visually warn the worker in the form of reflecting light.

즉, 반사판(170)은 작업자가 대차 이송용 캐리어(100)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하여 주의를 요할 수 있도록 빛을 반사시켜 작업자에게 경고를 할 수 있다.That is, the reflector plate 170 may warn the worker by reflecting the light so that the worker can easily grasp the position of the balance transfer carrier 100 to require attention.

한편, 반사판(170)은 제1 프레임(110), 제2 프레임(120), 및 연결대(130)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구비될 수 있으며, 대차 이송용 캐리어(100)의 상부 둘레를 따라 구비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reflector plate 170 may be provided at at least one of the first frame 110, the second frame 120, and the connecting table 130, and may be provided along the upper circumference of the carrier transporting vehicle 100. It may be.

이상에서 설명한 각 구성 간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The operation and effect between the above-described respective constitutions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대차 이송용 캐리어(100)는 제1 프레임(110)이 한 쌍의 레일(500) 중 어느 하나의 레일(500)을 주행하도록 위치되고, 제2 프레임(120)은 한 쌍의 레일(500) 중 다른 하나의 레일(500)을 주행하도록 위치된다.The balance transport carri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ositioned such that the first frame 110 travels any one rail 500 of the pair of rails 500, and the second frame 120. Is positioned to travel the other rail 500 of the pair of rails 500.

그리고, 제1 프레임(110) 및 제2 프레임(120)은 연결대(13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레일(500)을 따라 주행할 수 있도록 레일(500)에 위치된다. 이때, 제1 프레임(110)과 제2 프레임(120)은 서로 대칭된 형태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도록 구성된다.The first frame 110 and the second frame 1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connecting rod 130 and are positioned on the rail 500 to travel along the rail 500. In this case, the first frame 110 and the second frame 120 are configured to have the same configuration in a symmetrical form.

이렇게 구성된 대차 이송용 캐리어(100)에는 먼저, 동력객차 대차(200)의 바퀴(117,127)를 프레임(220)에서 분리한 후 기중기를 사용하여 동력객차 대차(200)의 프레임(220)을 대차 이송용 캐리어(100)에 안착시킨다(도 6 참조).In the balance transfer carrier 1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first, the wheels 117 and 127 of the power carriage bogie 200 are separated from the frame 220, and then the frame 220 of the power carriage bogie 200 is transferred using a crane. It rests on the carrier carrier 100 (refer FIG. 6).

이때, 한 쌍의 지지대(230)가 각각 제1 프레임(110)과 제2 프레임(120)의 상면에 나란하게 안착되고, 프레임(220)의 하단보다 더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제동명령스토퍼 취부대(237)는 제1 프레임(110)에 형성된 안착홈(113) 및 제2 프레임(120)에 형성된 안착홈(123)에 각각에 삽입되는 형태로 안착된다.In this case, the pair of supports 230 are respectively mounted side by sid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frame 110 and the second frame 120, and the braking command stopper mounting plate provided to protrude more than the lower end of the frame 220 ( The 237 is seated in the form of being inserted into each of the seating groove 113 formed in the first frame 110 and the seating groove 123 formed in the second frame 120.

이렇게 대차 이송용 캐리어(100)에 동력객차 대차(200)가 안착되면, 제1 프레임(110) 또는 제2 프레임(120)에 구비된 손잡이(160)를 잡고 대차 이송용 캐리어(100)를 분해 정비가 수행되는 장소로 이동시키고, 각 구성이 분해되는 장소를 이동하면서 분해 정비를 수행하게 된다.When the power carriage bogie 200 is seated on the bogie conveying carrier 100, the handle 160 of the first frame 110 or the second frame 120 is grasped to disassemble the bogie conveying carrier 100. It is moved to the place where the maintenance is performed, and performing the overhaul maintenance while moving the place where each component is disassembled.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20)의 하부에 위치되는 부품들을 분리하는 분해 정비를 수행할 때에는 기중기로 동력대차의 프레임(220)을 대차 이송용 캐리어(100)의 상부로 들어올리고, 프레임(220)을 상,하가 반전되도록 뒤집은 상태로 대차 이송용 캐리어(100)에 안착시킨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7, when performing the overhaul to separate the parts loca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rame 220, lift the frame 220 of the power cart with a crane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arrier for transporting the balance 100 It raises, and mounts the frame 220 on the carrier 100 for balance transfer in the state which turned upside down so that it may be reversed.

이때, 지지대(230)의 절곡부(231)가 가이드부(111)에 경사지도록 형성된 부분에 가이드 되면서 동력객차 대차(200)의 프레임(220)이 대차 이송용 캐리어(100)에 정확히 안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ent portion 231 of the support 230 may be guided to the portion formed to be inclined to the guide portion 111 while the frame 220 of the power carriage bogie 200 may be accurately seated on the bogie transport carrier 100. have.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차 이송용 캐리어(100)는 동력객차 대차(200)를 용이하게 이동시키면서 분해 정비를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력객차 대차(200)의 분해 정비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balance transfer carrier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not only perform the overhaul maintenance while easily moving the power carriage bogie 200, but also shorten the overhaul maintenance time of the power carriage bogie 200. You can.

또한, 대차 이송용 캐리어(100)에는 탄성매트(150)가 구비되어 대차 이송용 캐리어(100)의 상부에 동력객차 대차(200)의 파손 없이 안정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으며, 동력객차 대차(200)를 기중기나 지게차와 같은 운송수단으로 옮길 필요가 없기 때문에 분해 정비 시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alance transfer carrier 100 is provided with an elastic mat 150 can be stably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alance transfer carrier 100 without damaging the power carriage bogie 200, the power carriage bogie 200 Since there is no need to move the vehicle to a vehicle such as a crane or a forklift truck, safety accidents can be prevented during overhaul.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차 이송용 캐리어에는 객차 대차가 안착되어 분해 정비를 위해 객차 대차를 이송할 수 있다.In the carriage transport carri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riage truck may be seated to transport the carriage truck for disassembly and maintenanc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차 이송용 캐리어(100)에는 객차 대차가 안착될 수 있다. 이 객차 대차는 철도차량의 승객을 수송하는 객차의 하부에 위치되어 객차를 레일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The carriage cart may be seated on the carrier transfer carrier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riage carriage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carriage for transporting passengers of the railway vehicle and can move the carriage along the rail.

한편, 객차 대차는 바퀴 및 프레임(320)을 포함할 수 있다. 바퀴는 객차가 레일을 따라 주행할 수 있도록 객차 대차의 좌, 우 양측에 한 쌍의 바퀴가 각각 일렬로 배열되는 형태로 구비되며, 좌,우 양측에 위치되는 바퀴는 하나의 차축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arriage cart may include a wheel and the frame (320). The wheels are provided in a form in which a pair of wheels are arranged in a row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arriage bogie so that the carriage can travel along the rail, and the wheels located at both left and right sid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one axle. Can be.

그리고, 차축에는 차축을 제동하는 형태로 바퀴를 제동하는 복수의 브레이크 디스크가 설치될 수 있다.And, the axle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rake discs for braking the wheels in the form of braking the axle.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객차 대차의 프레임(320)은 객차 대차의 골격을 이루는 것으로서, 서로 대칭되도록 한 쌍의 지지대(330)가 설치되고, 한 쌍의 지지대(330)는 가로대(340)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형태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8 and 9, the frame 320 of the carriage bogie forms a skeleton of the carriage bogie, and a pair of supports 330 are installed to be symmetrical with each other, and the pair of supports 330 is a crosspiece. 340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그리고, 지지대(330)는 한 쌍의 레일(500)과 각각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각 지지대(330)의 양단은 상향된 절곡부(331)와 각 절곡부(331)의 끝단에서 수평하게 외측으로 돌출되는 수평부(332)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330 may be disposed in parallel with each of the pair of rails 500, and both ends of each support 330 may be horizontally disposed at the ends of the bent portions 331 and the bent portions 331 that are upwards. It may be composed of a horizontal portion 332 protruding outward.

이때, 지지대(330)를 구성하는 수평부(332)의 하부에 바퀴가 위치되며, 바퀴와 수평부의 사이에는 댐퍼(damper) 또는 스프링과 같은 완충기가 설치되어 바퀴에서 프레임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wheel is position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horizontal portion 332 constituting the support 330, and a shock absorber such as a damper or a spring is installed between the wheel and the horizontal portion to absorb the shock transmitted from the wheel to the frame. Can be configured.

그리고, 지지대(330)의 상부 중앙 부분에는 충격흡수장치가 설치되어 프레임(320)의 상부에 안착되는 객차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In addition, a shock absorbing device is installed at the upper center portion of the support 330 to absorb the shock transmitted to the passenger car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320.

아울러, 가로대(340)는 한 쌍이 서로 이격된 상태로 한 쌍의 지지대(330)를 서로 연결할 수 있으며, 가로대(340)에는 상기 차축에 설치되는 복수의 브레이크 디스크와 접촉하여 바퀴를 제동하도록 복수의 브레이크 디스크와 대응되는 개수의 제동실린더가 설치되는 제동실린더 설치부(341)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rossbar 340 may connect a pair of supports 330 to each other in a state in which the pair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crossbar 340 contacts a plurality of brake disks installed on the axle to brake the wheels. A braking cylinder installation unit 341 in which a number of braking cylinders corresponding to the brake disc may be installed may be provided.

그리고, 가로대(340)에는 객차 대차의 주행 시 객차 대차가 주행하는 방향의 좌,우 흔들림을 방지하는 안티롤링바가 설치되는 안티롤링바 취부대(337)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rossbar 340 may be provided with an anti-rolling bar mounting unit 337 is provided with an anti-rolling bar to prevent the left and right shak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arriage carriage is running when the carriage carriage.

이 안티롤링바 취부대(337)는 한 쌍의 가로대(340)를 서로 연결하고, 지지대(330)의 내측으로 지지대(330)와 나란하게 서로 이격되는 한 쌍의 세로대(338)가 구비되며, 각 세로대(338)의 중앙 부분에서 객차 대차가 주행하는 방향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약간 치우치도록 위치된다. 그리고, 안티롤링바 취부대(337)는 프레임(320)의 하단 기준선(x) 보다 더 하부로 돌출되는 형태로 구비된다.
The anti-rolling bar mounting unit 337 is connected to a pair of cross bars 340, and is provided with a pair of longitudinal bars 338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parallel with the support 330 inside the support 330, In the center part of each longitudinal stand 338, it is located so that it may be slightly biased to the front or rear of the direction in which the carriage pulley travels. In addition, the anti-rolling bar mounting unit 337 is provided in the form of protruding lower than the lower reference line (x) of the frame 320.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차 이송용 캐리어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대차 이송용 캐리어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병기하고 동일한 구성은 작용과 효과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balance transfer carri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balance transfer carri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 same configuration and the same operation and effect are omitted.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차 이송용 캐리어(100)는 한 실시예에 따른 대차 이송용 캐리어(10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다만, 제1 프레임(110) 및 제2 프레임(120)에 형성되는 안착홈(119,129)에 특징이 있다.As shown in FIGS. 10 and 11, the carrier carrier 100 for transpo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carrier carrier 100 for trans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but includes a first frame ( There is a feature in the mounting grooves (119,129) formed in the 110 and the second frame (120).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차 이송용 캐리어의 안착홈(119,129)은 제1 프레임(110) 및 제2 프레임(120)의 각각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제1 프레임(110) 및 제2 프레임(120)의 부분 중 각각의 가이드부(111,121)의 상단 중앙 부분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안착홈(119,129)에는 객차 대차의 프레임(320)의 하부로 돌출되는 안티롤링바 취부대(337)가 안착될 수 있다.The seating grooves 119 and 129 of the carrier for balance transpo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re formed in each of the first frame 110 and the second frame 120, and the first frame 110 and the second frame 120 It may be formed in the upper center portion of each guide portion (111, 121) of the portion, the mounting grooves (119,129) may be mounted on the anti-rolling bar mounting portion 337 protrud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rame 320 of the carriage cart have.

그리고, 안착홈(119,129)은 객차 대차의 프레임(320)이 전,후가 바뀐 상태에서도 중앙을 중심으로 일측으로 치우치게 위치되는 안티롤링바 취부대(337)가 안착될 수 있도록 제1 프레임(110) 및 제2 프레임(120)의 중앙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한 쌍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ating grooves 119 and 129 may include the first frame 110 so that the anti-rolling bar mounting unit 337 positioned to be biased toward one side with respect to the center may be seated even when the frame 320 of the carriage bogie is changed before and after. ) And a pair may be formed to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second frame 120.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차 이송용 캐리어(100)는 객차 대차를 용이하게 이동시키면서 분해 정비를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객차 대차의 분해 정비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arrier transport carrier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not only perform the disassembly maintenance while easily moving the carriage, but also shorten the disassembly maintenance time of the carriage.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차 이송용 캐리어(100)에는 탄성매트(150)가 구비되어 대차 이송용 캐리어의 상부에 객차 대차의 파손 없이 안정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으며, 객차 대차를 기중기나 지게차와 같은 운송수단으로 옮길 필요가 없기 때문에 분해 정비 시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alance transfer carrier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n elastic mat 150 can be stably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alance transfer carrier without damage to the carriage cart, such as a crane or forklift Since it does not need to be transpor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safety accidents during overhaul.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And all changes and modifications to the scope of the invention.

100: 대차 이송용 캐리어 110: 제1 프레임
111,121: 가이드부 113,123,119,129: 안착홈
115,125: 안착부 117,127: 바퀴
120: 제2 프레임 130: 연결대
150: 탄성매트 170: 반사판
200: 동력객차 대차 210: 구동부
220,320: 프레임 215: 바퀴
230,330: 지지대 231,331: 절곡부
232,332: 수평부 237: 제동명령스토퍼 취부대
238,340: 가로대 250: 완충기
260: 충격흡수장치 270: 제동명령스토퍼
300: 객차 대차 337: 안티롤링바 취부대
338: 세로대 341: 제동실린더 설치부
500: 레일 x: 하단 기준선
100: carrier for conveying the balance 110: first frame
111,121: Guide portion 113,123,119,129: Seating groove
115,125: Mounting part 117,127: Wheel
120: second frame 130: connecting rod
150: elastic mat 170: reflector
200: power carriage cart 210: drive unit
220,320: Frame 215: Wheels
230,330: Supports 231,331: Bends
232,332: horizontal section 237: brake command stopper mounting table
238,340: crossbar 250: shock absorber
260: shock absorber 270: braking command stopper
300: carriage cart 337: anti-rolling bar mount
338: stand 341: braking cylinder mounting portion
500: rail x: lower baseline

Claims (6)

철도차량의 동력객차 대차를 안착시켜 한 쌍의 레일을 따라 이송하며 정비하는 대차 이송용 캐리어로서,
상기 한 쌍의 레일 중 어느 하나의 레일을 따라 주행하도록 한 쌍의 바퀴가 일렬로 배치되고, 양단에 외측으로 각각 돌출된 안착부가 형성되며, 중앙 부분이 상부로 돌출되어 돌출된 부분의 양단이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상단 중앙 부분에 상기 동력객차 대차에 구비된 한 쌍의 제동명령스토퍼 취부대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제1 프레임,
상기 한 쌍의 레일 중 다른 하나의 레일을 따라 주행하고, 상기 제1 프레임과 서로 대칭되도록 구성되는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 이송용 캐리어.
As a trolley carrier for transporting and maintaining along a pair of rails by seating a powered carriage bogie of a railway vehicle,
A pair of wheels are arranged in a line so as to travel along one of the rails of the pair of rails, and a seating portion protruding outwardly is formed at both ends, and a central portion protrudes upward so that both ends of the protruding portion are inclined. A first frame having a guide portion formed to extend, and a seating groove in which a pair of braking command stopper mounts provided in the power carriage cart is mounted at an upper center portion of the guide portion;
A second frame configured to travel along the other one of the pair of rails and to be symmetrical with the first frame; and
And a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connecting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면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상면에는 탄성매트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 이송용 캐리어.
The method of claim 1,
Balance carri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lastic mat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fram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fra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 및 상기 연결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작업자에게 시각적으로 경고하는 반사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 이송용 캐리어.
The method of claim 1,
At least one of the first frame, the second frame and the connecting rod is provided with a reflector plate for visually warning a worker.
철도차량의 객차 대차를 안착시켜 한 쌍의 레일을 따라 이송하며 정비하는 대차 이송용 캐리어로서,
상기 한 쌍의 레일 중 어느 하나의 레일을 따라 주행하도록 한 쌍의 바퀴가 일렬로 배치되고, 양단에 외측으로 각각 돌출된 안착부가 형성되며, 중앙 부분이 상부로 돌출되어 돌출된 부분의 양단이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상단 중앙 부분에 상기 객차 대차에 구비된 안티롤링바 취부대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제1 프레임,
상기 한 쌍의 레일 중 다른 하나의 레일을 따라 주행하고, 상기 제1 프레임과 서로 대칭되도록 구성되는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 이송용 캐리어.
It is a carrier for transporting trolleys, which transports and maintains along a pair of rails by seating a carriage of a railroad car.
A pair of wheels are arranged in a line so as to travel along one of the rails of the pair of rails, and a seating portion protruding outwardly is formed at both ends, and a central portion protrudes upward so that both ends of the protruding portion are inclined. A first frame having a guide part formed to be formed, and having a seating groove in which an anti-rolling bar mounting unit provided in the carriage cart is seated at an upper center portion of the guide part;
A second frame configured to travel along the other one of the pair of rails and to be symmetrical with the first frame; and
And a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connecting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면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상면에는 탄성매트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 이송용 캐리어.
The method of claim 1,
Balance carri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lastic mat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fram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fra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 및 상기 연결대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작업자에게 시각적으로 경고하는 반사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 이송용 캐리어.

The method of claim 1,
At least one of the first frame, the second frame and the connecting rod is provided with a reflector plate for visually warning a worker.

KR1020100125456A 2010-12-09 2010-12-09 A carrier for a bogie transfer KR2012006428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5456A KR20120064289A (en) 2010-12-09 2010-12-09 A carrier for a bogie transf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5456A KR20120064289A (en) 2010-12-09 2010-12-09 A carrier for a bogie transf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4289A true KR20120064289A (en) 2012-06-19

Family

ID=46684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5456A KR20120064289A (en) 2010-12-09 2010-12-09 A carrier for a bogie transf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64289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4714B1 (en) 2018-03-15 2018-09-04 정의열 Cargo Moving System for Fixed type Cargo Vehicle Scanning Systems
KR20190002410U (en) 2018-03-19 2019-09-27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Radiographic Testing Carriage having turning table
KR20190002421U (en) 2018-03-20 2019-09-30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Jig for radiographic testing carriage having turning tabl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4714B1 (en) 2018-03-15 2018-09-04 정의열 Cargo Moving System for Fixed type Cargo Vehicle Scanning Systems
KR20190002410U (en) 2018-03-19 2019-09-27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Radiographic Testing Carriage having turning table
KR20190002421U (en) 2018-03-20 2019-09-30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Jig for radiographic testing carriage having turning tab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44818C2 (en) System transporting people
KR101314809B1 (en) Front/rear and left/right movable work platform for repairing rail equipment
JP5945137B2 (en) Monorail vehicle
CN109747676A (en) Rail vehicle truck and rail vehicle with eddy current braking device
WO2022062089A1 (en) Magnetic suspension carriage and magnetic suspension train
CN201432689Y (en) Four-axle high-speed bogie used for locomotive
KR101654896B1 (en) Space saving bogie for railway car
KR20140094969A (en) Apparatus to unload rails
KR20120064289A (en) A carrier for a bogie transfer
KR101164933B1 (en) Monorail bogie assay with a sub-tire module
CN102501864A (en) Trailer of narrow-gauge electric locomotive
KR20120064288A (en) A carrier moving a power bogie
CN202449002U (en) Railway freight car journal box suspension swing-type bogie
KR200441074Y1 (en) Lift truck for maintanance of train
CN209904765U (en) Bogie frame of electric drive engineering detection vehicle
KR101001095B1 (en) Device for preventing a train from derailing
SI9400227A (en) Railway goods wagon
JP2011020655A (en) Monorail vehicle transport system
KR100914760B1 (en) Traction engine with a buffer
CN110654410A (en) Bogie and straddle type monorail vehicle with same
JP2015522462A (en) Rail vehicle
CN202294860U (en) Trailer for narrow-gauge electric locomotive
CN209904764U (en) Electric drive engineering detection vehicle for bogie and subway
KR200473235Y1 (en) support arm structure for sanding device of train
CN218316112U (en) Coupling device for road and railway dual-purpose transport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