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2296A - 기능성 신발 - Google Patents

기능성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2296A
KR20120062296A KR1020100123499A KR20100123499A KR20120062296A KR 20120062296 A KR20120062296 A KR 20120062296A KR 1020100123499 A KR1020100123499 A KR 1020100123499A KR 20100123499 A KR20100123499 A KR 20100123499A KR 20120062296 A KR20120062296 A KR 201200622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space
opening
closing member
s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3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운학
Original Assignee
백운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운학 filed Critical 백운학
Priority to KR1020100123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62296A/ko
Publication of KR20120062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22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9Resilient soles filled with a non-compressible fluid, e.g. gel, wat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2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 A43B17/026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filled with a non-compressible fluid, e.g. gel, wat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백의 공간부에 모래, 비즈, 유체 등이 수용되어 있어, 착용자가 해변가의 백사장을 걸을 때와 같은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고 특히, 모래, 비즈, 유체 등을 상기 백의 전측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백의 중간부공간의 개폐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개폐부재를 이용하여 모래, 비즈, 유체 등의 단단한 정도를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보행시 발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백의 중간부공간을 폐쇄하면 발가락 부위가 안착 되는 부분을 높게 할 수 있어, 산을 오를 때와 같은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기능성 신발{A FUNCTIONALITY SHOOES}
본 발명은 백의 공간부에 모래, 비즈, 유체 등이 수용되어 있어, 착용자가 해변가의 백사장을 걸을 때와 같은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고 특히, 모래, 비즈, 유체 등을 상기 백의 전측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백의 중간부공간의 개폐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개폐부재를 이용하여 모래, 비즈, 유체 등의 단단한 정도를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보행시 발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백의 중간부공간을 폐쇄하면 발가락 부위가 안착 되는 부분을 높게 할 수 있어, 산을 오를 때와 같은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는 기능성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행시 인체의 중량은 최종적으로 발이 지탱하게 된다.
보행시 발에 받게 되는 충격은 무릅 관절과 허리를 통해 목 관절까지 도달되어 충격을 주게 되는 것이기 때문에 보행에 있어서 무리한 보행이나 발을 헛딛게 되는 요인에 의해 발에 무리한 충격이 오게 되면 무릅 관절을 포함하여 신체 전체 관절 부위가 손상되는 등의 문제가 따르게 된다.
선행기술에 있어서 한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2006-0038899와 같이 밑창부재와 안창부재 사이에 플렉시블주머니부재와 모래가압부재가 내장되고 모래가 충전된 모래완충수단이 설치되도록 한 것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보행 충격을 흡수 및 완화시키는 작용을 하지만 착용자의 발가락 부위가 안착 되는 부분의 높이 조절이 불가능하여, 산을 오를 때와 같은 운동효과를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모래의 단단한 정도를 조절할 수 없어 보행시 발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백의 공간부에 모래, 비즈, 유체 등이 수용되어 있어, 착용자가 해변가의 백사장을 걸을 때와 같은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고 특히, 모래, 비즈, 유체 등을 상기 백의 전측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백의 중간부공간의 개폐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개폐부재를 이용하여 모래, 비즈, 유체 등의 단단한 정도를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보행시 발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백의 중간부공간을 폐쇄하면 발가락 부위가 안착 되는 부분을 높게 할 수 있어, 산을 오를 때와 같은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는 기능성 신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아웃솔과 인솔을 갖는 신발에 있어서, 상기 아웃솔과 인솔 사이에 밀폐된 공간부를 갖는 백;이 구비되고, 상기 백의 공간부에는 모래, 비즈, 유체 중 선택된 1종 이상이 수용되고, 상기 백의 중간부공간을 개폐시키는 개폐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는 볼 밸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아웃솔과 상기 백 사이에 또는 상기 인솔과 상기 백 사이에 축설 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신발은 백의 공간부에 모래, 비즈, 유체 등이 수용되어 있어, 착용자가 해변가의 백사장을 걸을 때와 같은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고 특히, 모래, 비즈, 유체 등을 상기 백의 전측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백의 중간부공간의 개폐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개폐부재를 이용하여 모래, 비즈, 유체 등의 단단한 정도를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보행시 발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백의 중간부공간을 폐쇄하면 발가락 부위가 안착 되는 부분을 높게 할 수 있어, 산을 오를 때와 같은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볼 밸브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개폐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백의 중간부의 공간을 폐쇄함으로써, 발가락 부위가 안착 되는 부분을 보다 더욱 용이하게 높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백의 수용홈의 일측 내주면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상기 끼움홈과; 상기 노브의 타측면에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에 각각 끼움고정되는 상기 끼움돌기로 인해 상기 백의 공간부의 중간부공간을 완전개폐 또는 부분개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노브와 회전축이 정역회전된 상태로 견고하게 위치고정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백의 공간부 후측에서 전측으로 이동될 모래, 비즈, 유체 등의 이동량 및 상기 백의 공간부 전측에서 후측으로 이동될 모래, 비즈, 유체 등의 이동량을 보다 용이하게 조절하여 모래, 비즈, 유체 등의 단단한 정도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보행시 발에 가해지는 충격량 또한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상기 표시부를 통해 착용자가 상기 백의 중간부공간의 개폐정도를 보다 용이하게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회전축과 캠부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개폐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백의 중간부공간을 폐쇄함으로써, 발가락 부위가 안착 되는 부분을 보다 더더욱 용이하게 높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기능성 신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아웃솔과 인솔 사이에 밀폐된 공간부를 갖는 백이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개폐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A - A선에 따른 부분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모래, 비즈, 유체 등이 백의 공간부의 전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기능성 신발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B - B선에 따른 부분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6의 모래, 비즈, 유체 등이 백의 공간부 전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기능성 신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아웃솔(110)과 인솔(130) 사이에 밀폐된 공간부(11)를 갖는 백(10)이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기능성 신발은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아웃솔(110)과 인솔(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아웃솔(110)과 인솔(130)은 공지된 기술임과 동시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이해하여 실시할 수 있는 사항임으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아웃솔(110)과 인솔(130) 사이에 밀폐된 공간부(11)를 갖는 백(10)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도 1 및 도 2의 Y축)으로 수평구비된다.
상기 백(10)은 유연성 있는 고무시트, 튜브시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백(10)의 공간부(11)에는 모래, 비즈, 유체 중 선택된 1종 이상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백(10)의 공간부(11)에 수용되는 모래, 비즈, 유체 등에 의해 착용자는 해변가의 백사장을 걸을 때와 같은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백(10)의 중간부공간(12)을 개폐시키는 개폐부재(30)가 구비된다.
상기 개폐부재(30)는 착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정역회전하여 상기 백(10)의 중간부공간(12)을 개폐시키는 볼 밸브(도 3의 31)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착용자는 상기 볼 밸브(31)를 수동으로 정회전시켜 상기 백(10)의 중간부공간(12)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착용자의 신체부위 중 발바닥 후측이 상기 백(10)의 후측 상부면을 하부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면 상기 백(10)의 공간부(11)의 후측의 모래, 비즈, 유체 등이 상기 백(10)의 공간부(11)의 전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개폐부재(3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A - A선에 따른 부분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모래, 비즈, 유체 등이 백(10)의 공간부(11)의 전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이후 착용자가 상기 볼 밸브(31)를 수동으로 역회전시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백(10)의 중간부공간(12)을 폐쇄하여 상기 백(10)의 공간부(11)의 전측으로 이동한 모래, 비즈, 유체 등이 상기 백(10)의 공간부(11)의 후측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백(10)의 공간부(11)의 전측 즉, 착용자의 신체부위 중 발가락 부위가 안착되는 부분의 상하높이를 높게 할 수 있다.
상기 볼 밸브(31)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개폐부재(30)를 이용하여 상기 백(10)의 중간부공간(12)을 폐쇄함으로써, 발가락 부위가 안착 되는 부분을 보다 더욱 용이하게 높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백(10)의 일측면 중심부에는 상기 공간부(11)로 일정깊이로 함몰되는 수용홈(10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용홈(100)의 일측 내주면에는 상기 공간부(11)로 일정깊이로 함몰되는 끼움홈(101)이 원호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30)의 볼 밸브(31)는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회전축(310)과 노브(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회전축(310)과 노브(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볼 밸브(31)는 탄성력을 지닌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다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회전축(310)은 좌우방향(도 3의 X축)으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되어 상기 공간부(11)의 중간부공간(12)내에 정역회전가능하게 축설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310)의 전후측면에는 좌우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슬릿(311)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백(10)의 공간부(11)에 수용된 모래, 비즈, 유체 중 선택된 1종 이상은 상기 슬릿(311)을 통과할 수 있다.
상기 노브(330)는 상기 회전축(310)의 일측에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브(330)가 상기 백(10)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노출될 시 상기 백(10)의 외관의 미려함이 저하됨으로, 상기 노브(330)는 상기 백(10)의 수용홈(100)내에 완전수용되어 상기 백(1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노브(330)의 중심부에는 착용자가 상기 노브(330)를 정역회전시키고자 할 시 사용할 수 있는 동전, 일자 드라이버 등의 도구가 삽입될 수 있는 전후방향(도 4의 Y축)으로 연장될 수 있는 삽입홈(332)이 상기 노브(330)의 내측으로 일정깊이 함몰형성될 수 있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노브(330)의 타측면에는 상기 수용홈(100)의 끼움홈(101)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노브(330)와 상기 회전축(310)의 정역회전시 상기 끼움홈(101)에 각각 끼움고정되는 끼움돌기(331)가 등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백(10)의 수용홈(100)의 일측 내주면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상기 끼움홈(101)과; 상기 노브(330)의 타측면에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101)에 각각 끼움고정되는 상기 끼움돌기(331)로 인해 상기 백(10)의 공간부(11)의 중간부공간(12)을 완전개폐 또는 부분개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노브(330)와 회전축(310)이 정역회전된 상태로 견고하게 위치고정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백(10)의 공간부(11) 후측에서 전측으로 이동될 모래, 비즈, 유체 등의 이동량 및 상기 백(10)의 공간부(11) 전측에서 후측으로 이동될 모래, 비즈, 유체 등의 이동량을 보다 용이하게 조절하여 모래, 비즈, 유체 등의 단단한 정도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보행시 발에 가해지는 충격량 또한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백(10)의 일측면 중심부에는 상기 백(10)의 중간부공간(12)을 개폐시키는 상기 개폐부재(30)의 개폐정도를 표시하는 표시부(50)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5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개폐부재(30)의 노브(330) 주변에 위치하도록 상기 백(10)의 일측면 중심부 상측에 호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1, 2, 3... 등을 포함한 숫자 또는 문자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부(50)가 1, 2, 3 등의 숫자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착용자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상기 노브(330)의 삽입홈(332)이 상기 표시부(50)의 1을 가리킨 경우 상기 개폐부재(30)는 상기 백(10)의 중간부공간(12)을 완전개방시킬 수 있다.
상기 노브(330)의 삽입홈(332)이 상기 표시부(50)의 2를 가리킨 경우 상기 개폐부재(30)는 상기 백(10)의 중간부공간(12)을 부분개방시킬 수 있다.
상기 노브(330)의 삽입홈(332)이 상기 표시부(50)의 3을 가리킨 경우 상기 개폐부재(30)는 상기 백(10)의 중간부공간(12)을 완전폐쇄시킬 수 있다.
상기 표시부(50)를 통해 착용자가 상기 백(10)의 중간부공간(12)의 개폐정도를 보다 용이하게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기능성 신발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B - B선에 따른 부분 평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개폐부재(30)는 일측에 상기 노브(330)가 형성되는 회전축(32)과; 캠부(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축(32)은 상기 아웃솔(110)과 상기 백(10) 사이 또는 상기 인솔(130)과 상기 백(10) 사이에 수평으로 축설 될 수 있다.
상기 아웃솔(110)과 상기 백(10) 사이 또는 상기 인솔(130)과 상기 백(10) 사이에 수평으로 축설 되는 상기 회전축(32)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좌우방향(도 7의 X축)으로 수평연장될 수 있다.
상기 캠부(33)는 상기 회전축(32)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캠부(33)는 상기 회전축(32)의 외주면에서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 돌출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캠부(33)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32)의 길이방향 즉, 상기 회전축(32)을 따라 좌우 방향(도 4의 X축)으로 수평연장될 수 있다.
도 8은 도 6의 모래, 비즈, 유체 등이 백(10)의 공간부(11) 전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착용자는 상기 회전축(32)와 연결되는 상기 노브(330)를 사용하여 상기 회전축(32)을 수동으로 정회전시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백(10)의 중간부공간(12)을 개방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착용자는 상기 노브(330)를 사용하여 상기 회전축(32)을 수동으로 정회전시켜 상기 백(10)의 중간부공간(12)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착용자의 신체부위 중 발바닥 후측이 상기 백(10)의 후측 상부면을 하부 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면 상기 백(10)의 공간부(11)의 후측의 모래, 비즈, 유체 등이 상기 백(10)의 공간부(11)의 전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후 착용자가 상기 노브(330)를 사용하여 상기 회전축(32)를 수동으로 역회전시켜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백(10)의 중간부공간(12)을 폐쇄하여 상기 백(10)의 공간부(11)의 전측으로 이동한 모래, 비즈, 유체 등이 상기 백(10)의 공간부(11) 후측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백(10)의 공간부(11)의 전측 즉, 착용자의 신체부위 중 발가락 부위가 안착 되는 부분의 상하높이를 높게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32)과 캠부(33)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개폐부재(30)를 이용하여 상기 백(10)의 중간부공간(12)을 폐쇄함으로써, 발가락 부위가 안착 되는 부분을 보다 더더욱 용이하게 높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백(10)의 공간부(11)에 모래, 비즈, 유체 등이 수용되어 있어, 착용자가 해변가의 백사장을 걸을 때와 같은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고 특히, 모래, 비즈, 유체 등을 상기 백(10)의 전측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백(10)의 중간부공간(12)의 개폐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상기 개폐부재(30)를 이용하여 모래, 비즈, 유체 등의 단단한 정도를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보행시 발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백(10)의 중간부공간(12)을 폐쇄하면 발가락 부위가 안착 되는 부분을 높게 할 수 있어, 산을 오를 때와 같은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10; 백, 11; 공간부,
12; 중간부공간, 30; 개폐부재,
31; 볼 밸브, 32; 회전축,
33; 캠부, 50; 표시부,
100; 수용홈, 101; 끼움홈,
110; 아웃솔, 130; 인솔,
310; 회전축, 311; 슬릿
330; 노브, 331; 끼움돌기,
332; 삽입홈.

Claims (5)

  1. 아웃솔(110)과 인솔(130)을 갖는 신발에 있어서,
    상기 아웃솔(110)과 인솔(130) 사이에 밀폐된 공간부(11)를 갖는 백(10);이 구비되고,
    상기 백(10)의 공간부(11)에는 모래, 비즈, 유체 중 선택된 1종 이상이 수용되고,
    상기 백(10)의 중간부공간(12)을 개폐시키는 개폐부재(3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30)는 볼 밸브(31)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백(10)의 일측면에 상기 공간부(11)로 일정깊이로 함몰되는 수용홈(100)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100)의 일측 내주면에 상기 공간부(11)로 일정깊이로 함몰되는 끼움홈(101)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개폐부재(30)의 볼 밸브(31)는 상기 공간부(11)내에 축설되고, 전후측면에 슬릿(311)이 각각 형성되는 회전축(310)과;
    상기 회전축(3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홈(100)내에 수용되고, 타측면에 상기 수용홈(100)의 끼움홈(101)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끼움홈(101)에 각각 끼움고정되는 끼움돌기(331)가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노브(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백(10)의 일측면에 상기 백(10)의 중간부공간(12)을 개폐시키는 상기 개폐부재(30)의 개폐정도를 표시하는 표시부(5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30)는 상기 아웃솔(110)과 상기 백(10) 사이에 또는 상기 인솔(130)과 상기 백(10) 사이에 축설되는 회전축(32)과, 상기 회전축(32)의 외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캠부(3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신발.
KR1020100123499A 2010-12-06 2010-12-06 기능성 신발 KR201200622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3499A KR20120062296A (ko) 2010-12-06 2010-12-06 기능성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3499A KR20120062296A (ko) 2010-12-06 2010-12-06 기능성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2296A true KR20120062296A (ko) 2012-06-14

Family

ID=46683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3499A KR20120062296A (ko) 2010-12-06 2010-12-06 기능성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6229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69086A4 (en) * 2017-01-13 2021-03-10 Pereira Lage, Ana Paula PHYSIOLOGICAL FITTING WITH DYNAMIC CONFIGURATION WITH MICROPARTICLES APPLIED TO THE PLANT BASE AND IRREGULAR LAYOUT APPLIED TO THE SO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69086A4 (en) * 2017-01-13 2021-03-10 Pereira Lage, Ana Paula PHYSIOLOGICAL FITTING WITH DYNAMIC CONFIGURATION WITH MICROPARTICLES APPLIED TO THE PLANT BASE AND IRREGULAR LAYOUT APPLIED TO THE SO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99275B2 (en) Golf shoe with an outsole having wave-like flex channels
ES2624137T3 (es) Calzado
KR960014888B1 (ko) 밑창이 포옴으로 되어 있는 운동화
US6082023A (en) Shoe sole
US8732982B2 (en) Footwear
WO2005039340B1 (en) Shoe sole to improve walking, sensory response of the toes, and help develop leg muscles
US6018891A (en) Shoe construction
KR100627678B1 (ko) 신발의 솔 구조
KR100720960B1 (ko) 회전수단이 내장된 구름운동 건강신발 장착용 미드솔
NO130378B (ko)
JP5677417B2 (ja) 健康靴および方法
KR102090974B1 (ko) 개인 맞춤형 신발
KR100761897B1 (ko) 이중 충격흡수 신발 밑창
KR200390153Y1 (ko) 발교정용 인솔덧신
KR20120062296A (ko) 기능성 신발
KR100758678B1 (ko) 기능성 신발 안창
KR20100083692A (ko) 다 기능성 신발깔창
KR101478955B1 (ko) 미드솔 및 인솔
KR20080090758A (ko) 아치 지지체가 형성된 신발
KR20090006030U (ko) 신발인솔
KR200238254Y1 (ko) 충격흡수 신발
KR101099708B1 (ko) 자유롭게 분리가 가능한 통기성 및 발 아치 지압기능과 충격흡수,반발탄성을 강화한 삽입체 삽입용 신발
KR200495829Y1 (ko) 기능성 신발
WO2008054146A1 (en) A shoe having turning and stamping function and lower structure for the shoe
US20120060394A1 (en) Human body-balancing footwear capable of preventing knock-knees and providing cushioning suitable for the weight of wear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