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2222A - 동시 호 처리 방법 및 그를 위한 dect 시스템 - Google Patents

동시 호 처리 방법 및 그를 위한 dect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2222A
KR20120062222A KR1020100123387A KR20100123387A KR20120062222A KR 20120062222 A KR20120062222 A KR 20120062222A KR 1020100123387 A KR1020100123387 A KR 1020100123387A KR 20100123387 A KR20100123387 A KR 20100123387A KR 20120062222 A KR20120062222 A KR 201200622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stn
voip
signal
portable device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3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승완
Original Assignee
엘지에릭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에릭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에릭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3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62222A/ko
Publication of KR20120062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22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12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for working between exchanges having different types of switching equipment, e.g. power-driven and step by step or decimal and non-decimal
    • H04M7/1205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for working between exchanges having different types of switching equipment, e.g. power-driven and step by step or decimal and non-decimal where the types of switching equipement comprises PSTN/ISDN equipment and switching equipment of networks other than PSTN/ISDN, e.g. Internet Protocol networks
    • H04M7/121Details of network access arrangements or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8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home cordless telephone systems using the DECT stand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및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호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방법 및 그를 위한 DECT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DECT 시스템은,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망으로부터 수신되는 PSTN 신호와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망으로부터 수신되는 VoIP 신호를 주기적으로 교대로 수신하여 어느 하나의 신호를 선택할 경우 다른 어느 하나의 신호에 대하여 대기 처리할 수 있는 휴대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동시 호 처리 방법 및 그를 위한 DECT 시스템{METHOD FOR SIMULTANEOUS CALL PROCESSING AND DECT SYSTEM FOR THE SAME}
본 발명은 디지털 무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및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호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방법 및 그를 위한 DECT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CT(Digital Enhanced Cordless Telecommunications) 기술은 유럽형 디지털 무선전화기를 이용한 무선 전화 서비스를 지원하는 디지털 무선 기술이다. DECT 기술은 더 좋은 음질, 개선된 보안 및 진보된 목소리 능력, 멀티미디어, 데이터 네트워킹 트래픽(data networking traffic)과 같은 이점을 아날로그 기술보다 더 많이 제공한다.
DECT 방식은 쉽게 말하면 무선 휴대전화 방식이라고 볼 수 있으며, DECT 방식의 인터넷 전화는 인터넷 라인이 AP(Access Point)까지 연결되어 있고 AP와 단말기 사이는 무선 전화기처럼 연결되는 시스템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DECT 기술은 장거리까지의 신호 수신이 가능해 명확성을 보장할 수 있고, 무선 휴대장치를 다중으로 동시에 사용해도 다른 무선 휴대장치의 방해를 받지 않으며, 보안 기능이 향상되어 도청 가능성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DECT 기술은 무선 휴대장치와 AP가 무선 전화기처럼 연결되어 있어 디지털 신호 범위가 와이파이(WIFI: Wireless Fidelity) 방식보다는 넓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AP의 신호 도달 범위를 벗어난 경우 사용이 불가능하다는 단점도 가지고 있다.
한편, 최근 들어 DECT 기술의 장점으로 인해 기존의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전화 서비스를 인터넷 전화 서비스로 교체 신청하는 사용자가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PSTN 전화기는 인터넷 전화기용으로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PSTN 전화를 인터넷 전화로 전환하게 되면 기존에 사용하던 PSTN 가정용 일반 전화기는 무용지물이 되고 만다. 이에, 기존의 PSTN 전화기를 인터넷전화용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인터넷 게이트웨이(Gateway) 등에 SLIC(Subscriber Line Interface Circuit) Telline Interface 회로를 추가하여 FXS 기능을 갖도록 하고 있다. FXS는 구역 외 가입자 인터페이스로서 아날로그 선을 가입자(PSTN 전화기)에게 제공하는 포트이다. FXS 기능은 PSTN 전화기에 배터리 전류 및 링 전압을 제공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VoIP와 PSTN의 통화를 처리할 수 있는 방법은 대부분이 PSTN 전화기 내에서의 처리가 아닌 제어장치를 게이트웨이나 PC 등에 설치하여 VoIP 및 PSTN 호를 제어하는 방식이며 PSTN 전화기 내에서 처리를 하더라도 무선 휴대장치에서 두 호를 처리하는 방법은 존재하지 않는다.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제어장치(CA) 내에서 VoIP 호에 대해서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PSTN 전화기(T)로 입력하여 통화를 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PSTN 호에 대해서는 아날로그 신호를 PSTN 전화기(T)로 바로 입력하여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주로 고정장치인 PSTN 전화기(T)에서 호 처리가 이루어지며, PSTN 전화기(T)가 무선 휴대장치로 호를 전송하여 무선 휴대장치가 제어하는 방식은 존재하지 않는다. 즉, 최근 거의 대부분의 전화가 무선임을 감안할 때 무선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식은 고려되어 있지 않으며 VoIP 호와 PSTN 호가 동시에 수신되는 경우도 고려되지 않는다.
그리고, 최근 개발되는 VoIP와 PSTN 통화 기능을 모두 갖춘 전화기는 전화기 내에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호 처리부(SCP)에서 VoIP 호를 제어하며 PSTN 호의 경우는 아날로그 호(Analog Call) 처리부(ACP)에서 호를 제어하게 된다. 그러나 기존의 기술은 주로 하나의 호만을 점유하여야 하거나 PSTN 모드와 VoIP 모드를 따로 두어 VoIP 용도로 전화기를 사용할 때는 SIP 호 처리부(SCP)만이 동작하게 하고 PSTN 용도로 전화기를 사용할 때는 아날로그 호 처리부(ACP)만을 동작시키도록 하였다.
사용자가 하나의 무선 휴대장치로 VoIP 번호와 PSTN 번호를 모두 사용하는 경우 호가 각각 다른 망에서 동시에 수신되었을 때 처리할 수 있는 방법이 없게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및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호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방법 및 그를 위한 DECT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DECT 시스템은,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망으로부터 수신되는 PSTN 신호와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망으로부터 수신되는 VoIP 신호를 주기적으로 교대로 수신하여 어느 하나의 신호를 선택할 경우 다른 어느 하나의 신호에 대하여 대기 처리할 수 있는 휴대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호 처리 방법은, a) 휴대장치가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망으로부터 수신되는 PSTN 신호와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망으로부터 수신되는 VoIP 신호를 주기적으로 교대로 수신하는 단계; 및 b) 상기 PSTN 신호 및 상기 VoIp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를 선택할 경우 다른 어느 하나의 신호에 대하여 대기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무선 휴대장치를 이용하여 VoIP 및 PSTN을 모두 사용하는 사용자가 하나의 호를 점유하거나 받고 있을 때 다른 호를 유실하지 않고 인지하여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DECT 시스템의 구성을 보이는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ECT 시스템 고정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ECT 시스템 휴대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
도 4 및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시 호 처리 절차를 보이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시 호 처리 절차를 보이는 플로우챠트.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우려가 있는 경우, 널리 알려진 기능이나 구성에 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ECT 시스템 고정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고정장치(10)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호 처리부(11), 아날로그 호 처리부(12), 호 처리부(13), 무선 데이터 제어부(14) 및 통신부(15)를 포함한다.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망과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망에서 동시에 호가 수신될 경우 고정장치(10)는 VoIP 망으로부터 디지털 형태의 초대 메시지(invite message)를 받고 PSTN 망으로부터는 특정 온-오프(on-off, 국내의 경우 1초 온, 2초 오프) 주기를 갖는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이때 고정장치(10)는 2개의 호가 동시에 들어오므로 그에 해당하는 신호를 휴대장치(20)로 전송하여야 한다.
SIP 호 처리부(11)는 VoIP 망으로부터 전송된 SIP 메시지인 초대 메시지를 수신하면 통화가 가능한 경우 VoIP 망으로 이를 알리기 위하여 Ack 신호인 "100 trying" 신호를 전송하고, 초대 메시지를 분석하여 착신 번호에 대한 정보 등을 추출하여 VoIP 링 데이터를 형성한다. 아울러, SIP 호 처리부(11)는 통화중이어서 통화가 불가능한 경우 VoIP 망으로 이를 알리기 위하여 "486 busy"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아날로그 호 처리부(12)는 PSTN 망으로부터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면 아날로그 신호를 분석하여 착신 번호에 대한 정보 등을 추출하여 PSTN 링 데이터를 형성한다.
호 처리부(13)는 SIP 호 처리부(11)에서 형성한 VoIP 링 데이터 및 아날로그 호 처리부(12)에서 형성한 PSTN 링 데이터를 이용하여 휴대장치(20)로 전송할 무선 메시지를 형성한다. 무선 메시지는 일정 주기로 VoIP 링 데이터 및 PSTN 링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호 처리부(13)에서는 현재 어느 호를 점유하고 있는지 어느 호가 들어오고 있는지를 판단하여 휴대장치(20)로 정보를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무선 데이터 제어부(14)는 호 처리부(13)에서 생성한 무선 메시지를 휴대장치(20)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 신호를 생성한다. 통신부(15)는 무선 데이터 제어부(14)에서 형성한 무선 신호를 무선 패킷(packet)에 실어 휴대장치(20)로 전송한다. 일 실시예로, 통신부(15)는 RF 방식을 이용하여 휴대장치(2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PSTN 망으로부터 수신되는 PSTN 신호의 경우는 링(Ring) 주기(예를 들어, 1초 온, 2초 오프)를 갖고 있어 링 주기에 맞추어 고정장치(10)가 휴대장치(20)로 신호를 전송하고 VoIP 망으로부터 수신되는 VoIP 신호의 경우는 고정장치(10)에서 임의로 주기를 만들어 휴대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VoIP 신호는 PSTN 신호의 링 주기와는 반대로(예를 들어, 1초 오프, 2초 온) 휴대장치(20)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ECT 시스템 휴대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휴대장치(20)는 통신부(21), 무선 데이터 제어부(22), 데이터 제어부(23), 키패드부(24), LCD부(25)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서, 고정장치(10)에서 휴대장치(20)로 전송하는 VoIP 링 신호를 0xXX, PSTN 링 신호를 0xYY, VoIP 대기 링(VoIP Waiting Ring)을 0xWW, PSTN 대기 링(PSTN Waiting Ring)을 0xZZ 이라고 한다면 고정장치(10)는 해당 신호가 온 상태일 때만 휴대장치(20)로 신호를 전송한다. 즉, PSTN 신호가 온 상태인 1초 동안은 PSTN 링 신호인 0xYY를 휴대장치(20)로 전송하고, VoIP 신호가 ON 상태인 그다음 2초 동안은 VoIP 링 신호인 0xXX를 휴대장치(20)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주기적으로 VoIP 링 신호와 PSTN 링 신호를 교대로 전송한다.
고정장치(10)로부터 신호를 수신한 휴대장치(20)는 통신부(21)에서 신호를 수신하여 무선 데이터 제어부(22)에서 PSTN 또는 VoIP에 해당되는 신호인지를 판별한다. 데이터 제어부(23)에서는 수신된 신호에 해당하는 휴대장치의 동작을 하도록 해당하는 키패드부(24)나 LCD부(25)로 전송한다. 키패드부(24)는 상기 PSTN 신호 및 상기 VoIP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받을 수 있도록 동작한다. 데이터 제어부(23)는 VoIP 링 신호를 수신할 경우 LCD부(25)에 VoIP 전화라는 표시와 착신 번호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벨을 울리도록 휴대장치(20)를 제어한다. 한편, 데이터 제어부(23)는 PSTN 링 신호를 수신할 경우 LCD부(25)에 PSTN 전화라는 표시와 착신 번호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벨을 울리도록 휴대장치(20)를 제어한다. 즉, LCD부(25)에는 서로 다른 신호가 수신될 때마다 다른 전화임을 상대방 착신 번호(CID;caller indentification)와 전화 타입(PSTN 전화 또는 VoIP 전화)을 표시한다. PSTN 링 신호 및 VoIP 링 신호의 주기에 따라 휴대장치(20)의 LCD부(25)에 표시되는 상태가 달라질 수 있다.
휴대장치(20)에서는 PSTN 및 VoIP 두 가지 링 신호에 대해서 제어가 가능하다. 두 링 신호를 모두 수신하여 LCD부(25)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으며 VoIP 링 신호를 우선으로 처리하려면 PSTN 링 신호를 데이터 제어부(23)에서 무시하고 VoIP 링 신호만을 LCD부(25)로 전송하여 해당 링 신호에 대한 정보만을 디스플레이한다.
휴대장치(20)에서는 하드웨어적으로 키패드부(24)에 VoIP 와 PSTN 버튼을 각각 구성을 할 수도 있으며 그렇지 않은 경우는 사용자가 LCD부(25)를 보고 현재 휴대장치(20)로 수신되는 링 신호에 대한 호를 선택하면 휴대장치(20)는 고정장치(10)로 선택된 호에 해당하는 링 신호를 수신하였음을 알려주고 호가 연결되면 또다른 링 신호에 대해서는 휴대장치(20)가 대기(Waiting) 호로 처리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시 호 처리 절차를 보이는 예시도이다. 2개의 호를 수신하고 있는 사용자는 VoIP 전화와 PSTN 전화(휴대장치 키패드부에 서로 다른 버튼으로 구성 : VoIP 전화/ PSTN 전화) 버튼을 눌러 2개의 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VoIP 전화 버튼을 눌러 VoIP 전화를 수신하면 고정장치(10)는 휴대장치(20)로 VoIP 호를 연결해주고 PSTN 망으로부터 계속 링 신호를 수신하여 휴대장치(20)로 PSTN 대기 신호(0xZZ)를 전송하고 휴대장치(20)는 LCD부(25)에 PSTN 통화가 대기중이라는 표시를 해준다. 반대로 PSTN 전화 버튼을 눌러 PSTN 전화를 수신하면 고정장치(10)는 휴대장치(20)로 VoIP 대기 신호(0xWW)을 전송하고 LCD부(25)에 VoIP 통화가 대기중이라는 표시를 해준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시 호 처리 절차를 보이는 예시도이다. 2개의 호가 동시에 들어오다가 어느 하나의 호가 끊어진 경우 끊어진 호의 링 신호를 휴대장치(20)로 전송하지 않고, 계속 들어오고 있는 호의 링 신호를 휴대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시호 처리 절차를 보이는 플로우 챠트이다. 우선 고정장치(10)가 VoIP 호 및 PSTN 호를 수신할 경우(S110), 휴대장치(20)는 VoIP 링 신호를 수신할 경우 LCD부(25)에 VoIP 발신자 정보를 표시하고 PSTN 링 신호를 수신할 경우 LCD부(25)에 PSTN 발신 정보를 표시한다(S120). 통화가 연결되기 전 고정장치(10)는 VoIP 호 또는 PSTN 호의 종료 여부를 판단한다(S130). 판단 결과 VoIP 호가 종료되었을 경우에 고정장치(10)는 PSTN 링 신호만을 휴대장치(20)로 전송하고, 휴대장치(20)는 LCD부(25)에 PSTN 발신 정보만을 표시한다(S140). 판단 결과 PSTN 호가 종료되었을 경우에 고정장치(10)는 VoIP 링 신호만을 휴대장치(20)로 전송하고, 휴대장치(20)는 LCD부(25)에 VoIP 발신 정보만을 표시한다(S150). 한편 판단 결과 어떤 호도 종료되지 않았을 경우 사용자가 PSTN 호 또는 VoIP 호 중 어떠한 호를 선택하였는지를 판단한다(S160). 사용자가 VoIP 호를 선택하였을 경우 VoIP 호가 연결되고 휴대장치(20)는 LCD부(25)에 PSTN 호가 대기중임을 표시한다(S170). 사용자가 PSTN 호를 선택하였을 경우 PSTN 호가 연결되고 휴대장치(20)는 LCD부(25)에 VoIP 호가 대기중임을 표시한다(S180).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이 일부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명세서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T: PSTN 전화기 CA: 제어장치
SCP: SIP 호 처리부 ACP: 아날로그 호 처리부
10: 고정장치 11: SIP 호 처리부
12: 아날로그 호 처리부 13: 호 처리부
14: 무선 데이터 제어부 15: 통신부
20: 휴대장치 21: 통신부
22: 무선 데이터 제어부 23: 데이터 제어부
24: 키패드부 25: LCD부

Claims (12)

  1. DECT 시스템으로서,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망으로부터 수신되는 PSTN 신호와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망으로부터 수신되는 VoIP 신호를 주기적으로 교대로 수신하여 어느 하나의 신호를 선택할 경우 다른 어느 하나의 신호에 대하여 대기 처리할 수 있는 휴대장치를 포함하는 DECT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VoIP 망으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여 VoIP 착신 번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VoIP 링 데이터를 형성하는 SIP 호 처리부;
    상기 PSTN 망으로부터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여 PSTN 착신 번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PSTN 링 데이터를 형성하는 아날로그 호 처리부;
    상기 VoIP 링 데이터 및 상기 PSTN 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장치로 전송할 무선 메시지를 형성하는 호 처리부;
    상기 무선 메시지를 상기 휴대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 신호를 형성하는 무선 데이터 제어부; 및
    상기 무선 신호를 무선 패킷(packet)에 실어 상기 휴대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고정장치를 포함하는 DECT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VoIP 신호는, 상기 PSTN 신호가 온(on) 된 경우 오프(off)되고, 상기 PSTN 신호가 오프된 경우 온되는 주기를 갖도록 형성되는 DECT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PSTN 신호가 온된 경우 상기 PSTN 신호를 상기 휴대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VoIP 신호가 온된 경우 상기 VoIP 신호를 상기 휴대장치로 전송하는 DECT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장치는,
    상기 PSTN 신호 및 상기 VoIP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받을 수 있는 키패드부; 및
    상기 VoIP 착신 번호에 대한 정보 및 상기 PSTN 착신 번호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LCD부를 포함하는 DECT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LCD부는,
    상기 PSTN 신호를 선택할 경우 상기 VoIP 착신 번호가 대기 중이라는 표시를 수행하고, 상기 VoIP 신호를 선택할 경우 상기 PSTN 착신 번호가 대기 중이라는 표시를 수행하는 DECT 시스템.
  7. 동시 호 처리 방법으로서,
    a) 휴대장치가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망으로부터 수신되는 PSTN 신호와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망으로부터 수신되는 VoIP 신호를 주기적으로 교대로 수신하는 단계; 및
    b) 상기 PSTN 신호 및 상기 VoIp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를 선택할 경우 다른 어느 하나의 신호에 대하여 대기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시 호 처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고정장치가 상기 VoIP 망으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여 VoIP 착신 번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VoIP 링 데이터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고정장치가 상기 PSTN 망으로부터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여 PSTN 착신 번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PSTN 링 데이터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고정장치가 상기 VoIP 링 데이터 및 상기 PSTN 링 데이터를 이용하여 무선 메시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고정장치가 상기 무선 메시지를 상기 휴대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 신호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고정장치가 상기 무선 신호를 무선 패킷(packet)에 실어 상기 휴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시 호 처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VoIP 신호는, 상기 PSTN 신호가 온(on) 된 경우 오프(off)되고, 상기 PSTN 신호가 오프된 경우 온되는 주기를 갖도록 형성되는 동시 호 처리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PSTN 신호가 온된 경우 상기 PSTN 신호를 상기 휴대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VoIP 신호가 온된 경우 상기 VoIP 신호를 상기 휴대장치로 전송하는 동시 호 처리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장치는,
    상기 PSTN 신호 및 상기 VoIP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받을 수 있는 키패드부; 및
    상기 VoIP 착신 번호에 대한 정보 및 상기 PSTN 착신 번호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LCD부를 포함하는 동시 호 처리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LCD부는,
    상기 PSTN 신호를 선택할 경우 상기 VoIP 착신 번호가 대기 중이라는 표시를 수행하고, 상기 VoIP 신호를 선택할 경우 상기 PSTN 착신 번호가 대기 중이라는 표시를 수행하는 동시 호 처리 방법.
KR1020100123387A 2010-12-06 2010-12-06 동시 호 처리 방법 및 그를 위한 dect 시스템 KR201200622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3387A KR20120062222A (ko) 2010-12-06 2010-12-06 동시 호 처리 방법 및 그를 위한 dect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3387A KR20120062222A (ko) 2010-12-06 2010-12-06 동시 호 처리 방법 및 그를 위한 dect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2222A true KR20120062222A (ko) 2012-06-14

Family

ID=46683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3387A KR20120062222A (ko) 2010-12-06 2010-12-06 동시 호 처리 방법 및 그를 위한 dect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6222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58589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착신알림 설정방법
KR100473722B1 (ko) 펄베이시브 음성 핸드셋 시스템
KR101031752B1 (ko) 통신 디바이스를 위한 무선 확장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및 방법
US20080084991A1 (en) Automatic switch-dialing system and method
US20050147085A1 (en) Communication system
KR20090058808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유선 통화 시스템 및 그 방법과이를 위한 유선통화 중계장치
JP4877952B2 (ja) 無線lanを利用した音声通話システム、無線端末及び中継装置
WO2013173367A2 (en) Mobile and landline call switching
JP2006311147A (ja) 電話機、サーバ装置及び通信方法
KR100677362B1 (ko) 삼자 통화 중 호 처리 방법
CN101197888B (zh) 实现非智能sip终端呼叫等待选择挂机的方法和系统
KR10065195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설정 방법
KR100713338B1 (ko) 다자간 통신을 서비스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실제통화자의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KR20120062222A (ko) 동시 호 처리 방법 및 그를 위한 dect 시스템
WO2002009372A1 (en) Internet video phone
KR100607703B1 (ko) 듀얼모드 착발신 전화 단말기
KR20190131859A (ko) Dect시스템을 이용한 실시간 통신처리방법
US7299060B1 (en) 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 bridging
US20050250488A1 (en) Wireless interface that supports multiple remote station sets and devices
KR20110033630A (ko)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794508B1 (ko) 화상전화기의 통화모드 선택방법
TWI617174B (zh) 網路電話系統
JP2007067498A (ja) 宅内電話通信システム、加入者宅内装置及び無線電話端末
KR100925244B1 (ko) 인터넷 전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66341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 상태정보 확인 서비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