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0097A - 빛 파동 에너지 생성, 전달 장치 및 이의 이용방법 - Google Patents

빛 파동 에너지 생성, 전달 장치 및 이의 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0097A
KR20120060097A KR1020100121671A KR20100121671A KR20120060097A KR 20120060097 A KR20120060097 A KR 20120060097A KR 1020100121671 A KR1020100121671 A KR 1020100121671A KR 20100121671 A KR20100121671 A KR 20100121671A KR 20120060097 A KR20120060097 A KR 201200600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ergy
bioenergy
light
antenna
irradi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1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영웅
윤상익
Original Assignee
윤영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영웅 filed Critical 윤영웅
Priority to KR1020100121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60097A/ko
Publication of KR20120060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00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7/00Devices or methods for introducing solid, liquid, or gaseous remedies or other materials into or onto the bodies of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2Irradiating part of the body at a certain d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62Visible light
    • A61N2005/0663Coloured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64Detai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원은 빛 파동 에너지 생성. 전달장치 및 이의 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생물체에 면역력을 증가시켜 주는 빛 파동 에너지를 만들어 전달해주는 수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생체에너지 조사장치 내의 전구 등과 같은 벌브에 의하여 발생된 빛 파동 주파수가 다중 프리즘에 의하여 분광된 포톤(Photon) 에너지와 금속판으로 된 반사판에 의하여 방출되는 광전자주파수가 상호 작용에 의하여 중첩 보강되고 컬러 밸런서를 통하여 생체에 유용한 에너지로 생성되어 외부로 발산시키도록 제공되는 생체에너지 조사장치를 통하여 빛 파동 에너지를 얻고 상기의 생체에너지 조사장치와 동조성 및 방향성을 갖는 안테나를 이용하고 안테나와 연결된 배관을 추가시켜 원거리에 있는 생물체의 면역력을 증가시켜주도록 적용범위를 확장하는 방법과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상기의 생체에너지 조사장치와 안테나 및 안테나와 연결된 배관재에 의해 생체에너지 신호를 원거리에 있는 인간의 신체나 돼지나 소, 닭 등의 동물체, 기타 다른 생물체에 적용하여 활성산소를 제거해주는 수단 등에 의해 면역력을 증가시켜주는 용도에 사용되는 생체에너지 조사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빛 파동 에너지 생성, 전달 장치 및 이의 이용방법{A generating and delivering apparatus of photon energy}
본원은 빛 파동 에너지 생성. 전달장치 및 이의 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생물체에 면역력을 증가시켜 주는 빛 파동 에너지를 만들어 전달해주는 수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생체에너지 조사장치 내의 전구 등과 같은 벌브에 의하여 발생된 빛 파동 주파수가 다중 프리즘에 의하여 분광된 포톤(Photon) 에너지와 금속판으로 된 반사판에 의하여 방출되는 광전자주파수가 상호 작용에 의하여 중첩 보강되고 컬러 밸런서를 통하여 생체에 유용한 에너지로 생성되어 외부로 발산시키도록 제공되는 생체에너지 조사장치를 통하여 빛 파동 에너지를 얻고 상기의 생체에너지 조사장치와 동조성 및 방향성을 갖는 안테나를 이용하고 안테나와 연결된 배관을 추가시켜 원거리에 있는 생물체의 면역력을 증가시켜주도록 적용범위를 확장하는 방법과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상기의 생체에너지 조사장치와 안테나 및 안테나와 연결된 배관재에 의해 생체에너지 신호를 원거리에 있는 인간의 신체나 돼지나 소, 닭 등의 동물체, 기타 다른 생물체에 적용하여 활성산소를 제거해주는 수단 등에 의해 면역력을 증가시켜주는 적용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생물(生物, living organism) 이란 생장이나 생식력이 있고, 물질교대의 능력이 있으며 외계의 자극에 반응하고, 세포 또는 그의 집합으로 된 일정한 현상을 가진 것으로서 비생물(非生物:무생물)에 대응되는 말이다.
자연계를 생물계와 무생물계로 나누는 것은 아리스토텔레스의 분류에서 비롯되고 생명 자체를 일의적으로 정의하기는 어렵지만 그 생명을 지니고 있는 물체는 생장, 생식, 진화, 자극 반응성 등이 생물이 무생물과 다른 특징이다.
생물계에는 오늘날까지 알려진 종만 해도 150만 종이 넘고 이러한 생물의 다양성은 생물의 중요한 특색이라고 할 수 있으나 생식, 유전, 호흡, 진화 등의 현상은 대다수의 생물에 공통되어 있으며, 또한 동물계에 있어서의 발생양식에는 일정한 규칙성이 있고 녹색식물이 영양을 섭취하는 방식이 같은 것처럼 다양성이 있는 중에도 통일성을 찾아볼 수 있다.
생물체가 생명을 유지하며 활동을 하기 위해서는 요구되는 에너지가 연속적으로 공급되어야 생명활동이 가능하며, 이와 같은 생물체의 기본적인 에너지원은 녹색식물과 같은 1차 생산자에 의하여 생산된 물질을 음식물을 통하여 섭취하여 몸안에 저장하였다가 호흡과 함께 서서히 분해하여 생명활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얻게 된다.
녹색식물에 있어 광합성 작용은 빛에너지를 흡수하여 이산화탄소로 부터 유기물을 합성하는 반응으로서, 이때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흡입하고 산소를 배출하여 지구의 환경과 모든 생물을 지탱하는 매우 중요한 물질대사작용을 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광합성 작용은 식물의 엽록소가 빛 에너지(Photon)를 흡수하여 작용함으로 이루어진다.
식물에 의해 생산된 유기물은 사람을 비롯한 여타의 동물이 섭취하여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게 되는데 동물의 세포 내에서는 신진대사를 통하여 에너지원(ATP)과 물 및 이산화탄소로 분해하여 생활하게 되고 이 신진대사 과정에서 이온 등 전하를 띤 에너지가 발생되고 세포내의 ATP는 전자에너지의 저장 역활을 하며 생물체는 에너지를 다양하게 변환하여 간접적으로 에너지를 얻게 된다.
본원의 기술사상과 관련하여 그동안 문헌에 의하여 밝혀진 관련내용을 살펴보면 사람의 인체 내에서 직접 얻는 에너지는 인체 내에 있는 필수지방산이 직접 빛 에너지(photon)를 흡수하여 인체에 흐르는 전자와 서로 작용하여 생체에 유용한 에너지를 발생시키게 된다. (Dr. J. Budwing)
세포 내의 필수 지방산이나 아미노산 등 영양물질은 마치 전선의 전도체(inductance) 역활을 하며, 그는 광자에너지에 의한 상호작용으로 진동상태를 일으켜 발진(oscillation)시키게 되며, 상기와 같은 작용을 통하여 얻어진 에너지가 세포내에서 발진상태가 충실히 유지될 때 생물체는 생명이 유지되며, 건강하고 면역성이 강화되며 세포분할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작용의 근원은 결과적으로 빛(photon) 에너지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이며, 따라서 모든 생물체는 생명을 유지/활동하는데 있어 빛에서 오는 포톤 에너지가 결정적인 요소로 작용하게 되는바, 본 출원인은 외부의 기기장치에 생명체의 세포 내에서 이루어지는 에너지 발생의 원리를 응용/적용하여 인체에 유효한 에너지를 발생시켜 직접 생물체에 투사시켜 주는 수단에 의해 생물체에 활성을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필요한 에너지를 용이하게 발생 투사시키는 생체에너지 투사장치를 개발하여 등록특허 제079474호 발명의 명칭 '생체에너지 투사장치'로 특허등록된바 있으며, 상기 생체에너지 투사기는 원통 튜브의 후측 단부에 설치된 스위치를 작동시켜 전원을 공급하면 빛에너지 발생수단인 벌브에 불이 켜지면서 장치 내의 전계가 급변하여 전자계파로 전개되고 빛에너지는 파동상태 이외의 광자인 입자 상태로도 나타나며, 빛 에너지는 에너지 변환수단인 다중 프리즘에 의하여 분광되고 동시에 빛 에너지는 금속재인 반사판에 부딪히면서 광전 효과에 의하여 미량의 밀리볼트(mV)로 변환 측정될 수 있는 전자에너지를 발생시키며, 상기 전자에너지는 광자의 에너지와 함께 혼재하면서 상호작용에 의해 인체에 유용한 에너지로 변형 활성화되며, 이렇게 생명체에 유용한 에너지를 발명자는 편의상 "생체에너지" 라 명명하여 사용하거나 "빛 파동 에너지"라 명명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의 등록특허 제079474호에서 개시된 생체에너지 조사장치는 예를 들면, 직경 10~20㎝의 원통형에 길이 30~50㎝ 정도의 크기로 제작되는 경우 생체에서 10㎝ 이내 범위의 근거리에서만 생명체에 유효한 에너지를 발생시켜주는 한계점을 갖는 것으로, 적지 않은 무게와 크기를 갖는 생체에너지 조사장치를 매일 소지하고 다니기도 어려운 상황에서 그 적용이 극히 제한되는 효과를 누릴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본원은 사람을 포함한 동물체나 식물체의 세포에 미세한 광 에네지를 조사시켜 줌으로 생명체에 활력을 주고자 하는 기술사상을 갖는 것으로, 상기 광 에네지와 동조성을 갖는 빛의 파장이 생명체 내의 세포 광(photone) 에너지와 공명하면서 세포에 흡수되고 세포의 광 에네지를 증폭시킬 수 있는 적용범위의 확대 가능성을 찾고자 시작된 발명이고, 또한 종래의 생체에너지 조사장치가 극히 제한된 범위에서 적용대상 생명체와 10㎝ 이내 범위의 근거리에서만 생명체에 유효한 에너지를 발생시켜 적용할수 밖에 없었던 문제점을 개선하여 생체에너지 조사장치의 적용범위를 넓혀주기 위한 과제를 갖고 시작된 발명이다.
본원은 생체에너지 조사장치를 통하여 동조성과 편광을 이룬 빛 파동 주파수를 형성하고, 상기 빛 파동주파수를 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와 안테나와 연계된 배관재가 포함된 구성으로 빛 파동 에너지 생성 및 전달장치를 제공하여 원거리에 있는 생물체 즉, 인간의 신체나 돼지나 소, 닭 등의 사육동물, 기타 다른 동물체의 신체에 직접 접촉시켜서 면역력을 증가시켜 주는 적용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 발명이다.
또한 본원에서 제공되는 기술사상은 상기 구성의 생체에너지 조사장치를 이용하여 동조성과 편광을 이룬 빛 파동주파수를 형성하고, 상기 빛 파동주파수를 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 및 배관재가 포함된 구성으로 빛 파동 에너지 생성 및 전달장치를 형성하고 상기 빛 파동주파수 생성 및 전달장치의 배관재 단부가 음용수에 담긴 구조를 이루어서 활성화수를 만들어주고 활성화수를 생명체가 음용하도록 제공되거나 또는 상기 빛 파동주파수 생성 및 전달장치의 배관재의 일측이나 그 단부가 생명체에 직접 텃치(touch) 되는 수단에 의해 생명체의 면역력을 증가시켜 주는 적용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 발명이다.
본원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동조성과 편광을 이룬 빛 파동주파수를 형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원통형 프레임 내부에 빛에너지 발생수단과 에너지 변환수단 및 에너지 조절수단을 포함하는 빛 파동 에너지 생성장치가 제공되되, 빛에너지 발생수단이 내장되는 측부로는 원통형 프레임을 감싸는 캡(cap)부에 외부의 전원공급선과 연결되기 위한 접속플러그와 전원스위치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제공되고, 전구소켓 및 벌브를 구비한 빛에너지 발생수단과 상기 빛에너지 발생수단으로부터 발생 된 빛 에너지를 분광 및 상호 간섭과 중첩으로 변환시키도록 다중프리즘으로 구성된 에너지 변환수단과 상기 에너지 변환수단으로부터 변환된 에너지를 조정하도록 컬러밸런서와 프리즘디스크로 이루어지는 에너지조절수단과 타측으로는 마련되는 에너지 방출부는 원통형 프레임 내부에 내장되는 구조를 통하여 동조성과 편광을 이룬 빛 파동 에너지를 얻는 생체에너지 조사장치와, 상기 생체에너지 조사장치와 동조성과 방향성을 갖는 안테나가 준비되는 단계와 상기 안테나와 연결된 채 동조성과 방향성을 유지하는 배관재가 준비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생체에너지 조사장치와 안테나가 10㎝ 이내의 근접거리에 배치되고, 안테나와 빛 파동 에너지 조사를 원하는 대상 생물체까지 배관재가 연결되는 구성을 이루어서 생체에너지 조사장치에서 발생되는 에너지가 원거리에 있는 생물체에 전달되어 면역력을 증가시켜 주도록 적용되어 생체에너지가 조사되는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원에서 이용되는 빛 파동 에너지 생성장치인 생체에너지 조사장치는 빛의 발광 수단과, 빛의 증폭수단과, 빛의 분광수단과, 빛의 선별수단과, 빛의 파장의 회절 및 간섭을 통한 확장수단과, 빛의 흡수수단을 통하여 빛의 파장을 증폭시키면서 유해한 빛의 파장은 흡수하고 유익한 파장만을 통과하게 하며 특히 검정필터를 이용하여 극미량의 550nm~720nm의 파장대의 빛을 통과하게 하여 체세포에서 발산하는 광전자와 공명을 얻을 수 있도록 하고 형성하여 혈액의 고농도의 산소를 헤모그로빈에 결합시킬 수 있고 세포막을 형성하는 필수지방산과 동조성을 갖게 하여 체세포에 공명활동을 증폭시키므로서 생체에 에네지 활성을 부여하거나, 손상된 DNA의 회복능을 부여 하거나, 면역력을 증강시키도록 제공되는바, 상기의 면역력 증강효과를 안테나 및 안테나와 연결되는 배관재를 통하여 원거리까지 확장시키고자 하는 기술사상을 갖는 것이다.
본원에서 생체에너지 조사장치로부터 얻어지는 에너지를 실제적으로 생명체까지 확장시켜 적용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는 안테나 및 안테나와 연결되는 배관재는 닉켈(Ni)과 크롬(Cr)성분을 함유한 도금액으로 코팅된 합성수지재나 섬유재가 이용되거나 또는 닉켈(Ni)과 크롬(Cr)성분을 함유한 스텐레스 스틸재가 사용되어 동조성과 방향성을 갖도록 제공된다.
따라서 본원에서 생물체의 면역력을 증가시켜 주기 위한 기능을 갖도록 원통형 프레임 내부에 빛에너지 발생수단과 에너지 변환수단 및 에너지 조절수단을 포함하는 생체에너지 조사장치와 상기 생체에너지 조사장치와 근접하여 설치되는 안테나가 동조성과 방향성을 갖는 재질로 제공되고, 안테나와 연결되는 배관재도 동조성과 방향성을 갖는 배관재로 제공됨으로 생체에너지 조사장치에서 발생되는 에너지가 원거리에 있는 생물체에 전달되어 면역력을 증가시켜 주도록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빛 파동 에너지 생성 및 전달장치를 통하여 본원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원에서 이용되는 상기 빛 파동 에너지 생성장치와 안테나 및 안테나와 연결되는 배관재는 닉켈과 크롬성분을 함유한 도금액으로 코팅된 합성수지재로 제공되거나 또는 닉켈과 크롬성분을 함유한 도금액에 함침되거나 또는 코팅된 섬유재질로 파이프나 판재를 감싸주는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거나, 또는 닉켈과 크롬성분을 함유한 스텐레스 스틸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원의 기술사상이 적용되는 실시양태는 사육되는 동물의 면역력을 증가시켜 주기 위한 면역력 증가방법으로서, 원통형 프레임 내부에 빛에너지 발생수단과 에너지 변환수단 및 에너지 조절수단을 포함하는 생체에너지 조사장치가 준비되고, 상기 생체에너지 조사장치와 동조성과 방향성을 갖는 안테나가 준비되며, 상기 안테나와 연결된 채 동조성과 방향성을 유지하는 배관재가 준비되어서, 상기 생체에너지 조사장치와 안테나가 10㎝ 이내의 근접거리에 배치되고 안테나와 생체에너지 조사를 원하는 사람을 포함한 모든 동물체까지 배관재가 연결되는 구성을 이루어서 생체에너지 조사장치에서 발생되는 에너지가 원거리에 있는 생물체의 몸체에 접촉시키는 수단에 의해 면역력을 증가시켜 주도록 적용되는 사육동물의 면역력 증가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양태로서, 사육되는 동물의 면역력을 증가시켜 주기 위한 면역력 증가방법으로 상기 생체에너지 조사장치와 안테나 및 안테나와 연결되는 배관재가 모두 닉켈(Ni) 또는 크롬(Cr)성분을 함유한 도금액으로 코팅된 합성수지재나 섬유재가 이용되거나 또는 닉켈(Ni) 또는 크롬(Cr)성분을 함유한 스텐레스 스틸재가 사용되어 동조성과 방향성을 갖도록 제공되는 범위에서 상기 생체에너지 조사장치와 안테나가 10㎝ 이내의 근접거리에 배치되고 안테나와 생체에너지 조사를 원하는 사육대상 동물체까지 배관재가 연결되는 구성을 이루고 배관재의 단부가 동물의 음용수에 담겨지는 구성을 이루어서 생체에너지 조사장치에서 발생되는 에너지가 전달된 음용수를 사육동물에 식음시키도록 하여 면역력을 증가시켜 주도록 적용되는 면역력 증가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는 기술사상을 포함한다.
상기 본원의 기술사상을 뒷받침하기 위한 이론적 근거로 광 파동 주파수는 빛이 전자기파 스펙트럼의 일부분으로 전자볼트는 에너지의 측정단위로서 Philip S. Callahan의 저서 'Exploring the Spectrum'(스펙트럼 탐험)에서 "전자 볼트는 1개의 전자가 1볼트의 전위(전압)차를 통하여 움직이는데 얻게 되는 에너지의 량에 의해 결정된다.(electron volt determine by calculating how much energy is acquired by a single electon in moving through a potential (voltage) difference of one volt)"라고 한 것을 근거로 하여, 본원에서 이용하는 빛 파동 주파수와 전자볼트 에너지 방사장치에서 방사하는 전자기파의 세기 및 생체에 흡수되는 현상이 같을 것이라는 판단 아래, 멀티미터(multimeter)와 바이오트론 검침기(biotron ray detector)를 사용하여 두 장치에서 방사되는 에너지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고, 또한 물의 pH값과 EC(전기전도도)의 시험결과 동일한 효과를 갖는지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동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생명체는 기본적으로 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사람의 신체는 약 70% 정도가 물로 이루어지고 있는데 신체에너지가 가장 활발하게 작용하기 위해서는 물을 함유한 혈액의 pH값이 7.35~7.45의 알칼리성을 유지해야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물의 전기전도도(EC)란 물의 단위거리당 저항값의 역수를 말하는 것으로서, 전기전도도가 높아질수록 이온의 이동 및 전달이 쉬워져 에너지 대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본 출원인은 본원의 빛 파동 에너지 생성 및 전달장치를 통하여 제공되는 생체에너지가 생명체에 조사하였을 때 생명체 내의 혈액 및 수분의 pH 값과 EC(전기전도도)를 높임으로서 결과적으로 생체에너지를 활성화하고 면역력을 강화시키는 가능성을 확인하여 완성된 발명이다.
따라서, 본원의 사람을 포함한 동물체의 면역력을 증가시켜 주기 위한 면역력 증가방법으로, 동조성과 방향성을 갖는 원통형 프레임 내부에 빛에너지 발생수단과 에너지 변환수단 및 에너지 조절수단을 포함하는 생체에너지 조사장치가 제공되되, 빛에너지 발생수단이 내장되는 측부로는 원통형 프레임을 감싸는 캡(cap)부에 외부의 전원공급선과 연결되기 위한 접속플러그와 전원스위치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제공되고, 전구소켓 및 벌브를 구비한 빛에너지 발생수단과 상기 빛에너지 발생수단으로부터 발생된 빛 에너지를 분광 및 상호 간섭과 중첩으로 변환시키도록 다중프리즘으로 구성된 에너지 변환수단과 상기 에너지 변환수단으로부터 변환된 에너지를 조정하도록 컬러밸런서와 프리즘디스크로 이루어지는 에너지조절수단과 타측으로는 마련되는 에너지 방출부는 원통형 프레임 내부에 내장되는 구조를 갖는 생체에너지 조사장치가 준비되는 단계; 및 상기 생체에너지 조사장치와 동조성과 방향성을 갖는 안테나가 준비되는 단계; 및 상기 안테나와 연결된 채 동조성과 방향성을 유지하는 배관재가 준비되는 단계; 및 상기 생체에너지 조사장치와 안테나가 10㎝ 이내의 근접거리에 배치되고 안테나와 생체에너지 조사를 원하는 동물체까지 배관재가 연결되는 구성을 이루어서 생체에너지 조사장치에서 형성되는 에너지가 원거리에 있는 생명체의 몸체에 접촉시키는 수단에 의해 면역력을 증가시켜 주도록 적용될 수 있는 기술사상을 갖는다.
본원 발명의 기술사상이 적용되는 실시양태는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란 기재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빛의 발광 수단과, 빛의 증폭수단과, 빛의 분광수단과, 빛의 선별수단과, 빛의 파장의 회절 및 간섭을 통한 확장수단과, 빛의 흡수수단을 통하여 빛의 파장을 증폭시키면서 유해한 빛의 파장은 흡수하고 유익한 파장만을 통과하게 하며 특히 검정필터를 이용하여 극미량의 550nm~720nm의 파장대의 빛을 통과하게 하여 체세포에서 발산하는 광전자와 공명을 얻을 수 있도록 하고 형성하여 혈액의 고농도의 산소를 헤모그로빈에 결합시킬 수 있고 세포막을 형성하는 필수지방산과 동조성을 갖게 하여 체세포에 공명활동을 증폭시키므로서 생체에 에네지 활성, 손상된 DNA의 회복, 면역력 증강시키는 효과를 제공하는 적용범위를 확장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원은 생체에너지 조사장치의 광 에네지와 동조성을 갖는 빛의 파장이 생명체 내의 세포 광(photone) 에너지와 공명하면서 세포에 흡수되고 세포의 광 에네지를 증폭시킬 수 있는 적용범위의 확대를 위하여 개시된 발명으로 종래의 생체에너지 조사장치가 극히 제한된 범위에서 적용대상 생명체와 10㎝ 이내 범위의 근거리에서만 생명체에 유효한 에너지를 발생시켜 적용 할 수 밖에 없었던 문제점을 개선하여 생체에너지 조사장치의 적용범위를 넓혀 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 : 출원인의 선 출원 등록발명인 생체에너지 투사장치 예시도.
도 2 : 본원의 빛 파동 에너지 생성 및 전달 장치 예시도.
도 3 : 본원에 적용되는 안테나의 예시도.
이하 본원의 기술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발명의 실시예를 겸하여 본원 기술사상이 구현되는 실시양태를 도면으로 제시하여 설명하고자 하는바, 본 출원의 명세서나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며, 본원의 보호범위는 발명의 기술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고, 또한 본원의 도면으로 제시되는 내용은 본원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적용예를 나타낸 것에 불과할 뿐이고 본원의 기술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원의 출원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이하 본원 발명의 기술사상이 구현되는 실시양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출원인의 선 출원 등록발명인 생체에너지 투사장치(10)를 나타낸 것으로, 빛에너지 발생수단은 전기에너지를 빛에너지로 바꾸어주는 통상의 벌브(4) 및 전구소켓(2)과 전원스위치(3)를 구비하고, 벌브(4)는 내측 중앙부에 설치된 전구소켓(2)에 삽입 설치되며, 에너지 변환수단인 다중프리즘(9)의 내측 중앙부에서 빛 에너지를 방출하도록 설치되고, 에너지 변환수단인 다중의 프리즘(9)과 상기 프리즘(9)을 감싸고 있는 반사능이 좋은 금속재인 원통형의 스텐레스 스틸 튜브(8)로 제공되고, 스텐레스 스틸 튜브(8)의 내측으로는 일측면이 요철부를 갖되 요철부는 균일한 높이의 삼각뿔 상태의 돌기가 균일하게 형성되는 구조의 아크릴 프리즘을 사용하여 빛 에너지를 분광 및 난 반사시키는 기능의 다중 프리즘(9)으로 제공되는 에너지 변환수단에 의해 빛의 반사 및 광전효과에 의해 전자를 발생시키고, 에너지 조정수단은 녹색의 특정 색상을 갖는 아크릴 소재의 컬러 밸런서(5)가 설치되고 후측에는 다중의 프리즘 디스크(6)를 다수개 적층 설치된 구성으로 광 에너지가 연속적으로 굴절, 분광, 상호간섭 및 중첩되도록 하여 생체에너지를 발생하게 되는바, 상기 컬러 밸런서(5)는 순수한 아크릴의 원료에 푸른 색상의 안료를 섞어 두께 1 내지 5mm 정도의 평판형태로 된 필터로서 에너지를 단색 광으로 균일하게 조정할 수 있고, 또한 전면의 에너지 배출부(B)에는 흑체 아크릴판(7)이 마련되는 구성으로 제공되어 플러그(1)를 통하여 외부의 전원과 연결되고 빛에너지 발생수단에 외부의 전원을 전원스위치(3)를 통하여 공급하면 전구소켓(2)에 끼워진 벌브(4)에서 빛 에너지를 발하게 되고, 상기 빛 에너지 발생수단으로부터 발생된 빛 에너지는 에너지 변환수단인 다중의 프리즘(9)에 의해서 일부는 분광 및 난반사 되며 또한 상기 프리즘(9)을 통과한 일부의 빛은 스텐레스 스틸 튜브(8)의 금속면에 부딪혀 반사되며, 상기 다중의 프리즘(9)은 아크릴계 재질로서 -C=C-C=O의 분자구조를 갖는 것으로 인체 내의 리노레닉 및 리노레닉산과 공통된 화학적 분자구조로서 광에너지를 흡수하여 광전자와 상호작용을 가능게 한다(D. Johanna Budwig).
상기 빛에너지는 다양한 파장을 갖는 빛이 혼합된 것으로서 다중의 반사와 분광을 거듭하면서 상호 간섭이 이루어지고 동시에 빛에너지(광자)가 스텐레스 스틸 튜브(8)의 금속면과 충돌하여 광전자를 발생시키게 되며, 상기의 각 에너지는 장치 내에 서로 혼재하고 상호작용에 의하여 에너지로 변환되게 되고, 변환된 에너지는 에너지 조정수단의 컬러 밸런서(5)를 통과하면서 균일하게 조정된다.
상기 컬러 밸런서(5)는 푸른 색상의 아크릴 필터로서 상기 푸른 색상에 의한 생체에 대한 효과는 림프구 등에 매우 효과적인 효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상기 컬러 밸런서에 의해 균일하게 조정된 에너지는 다중으로 적층된 프리즘 디스크(6)를 통과하면서 분광 및 간섭을 계속하면서 중첩 보강되어 에너지가 변환 조정되게 되고, 변환 조정된 에너지는 투과력이 있는 에너지만 전면의 흑체 아크릴판(7)을 통하여 외부로 방출되는 것이며, 투과된 에너지는 그 진동수가 생체에너지 진동수와 같아 공진상태를 일으킬 때 그 효과를 생명체에 적용시킬 수 있게 되는바, 이를 Lakhovsky는 Resonance absorption 이라 했다.
그러나 상기의 생체에너지 투사장치(10)는 예를 들면, 직경 10~20㎝의 원통형에 길이 30~50㎝ 정도의 크기로 제작되는 경우 생체에서 10㎝ 이내 범위의 근거리 에서만 생명체에 유효한 에너지를 발생시켜주는 한계점을 갖는 것으로, 적지 않은 무게와 크기를 갖는 생체에너지 조사장치를 생명체에 유익하게 적용하기 위해서 생체에너지 투사장치를 매일 소지하고 다니기도 어려운 상황에서 그 적용이 극히 제한되는 효과를 누릴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는바, 본원에서는 도 2의 실시양태로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었다.
즉 도 1에 개시된 기술사상을 통하여 얻는 것은 생체에너지는 빛 파동 에너지를 얻는 것과 동일한 것이므로, 본원에서는 본원의 기술사상을 종래의 도 1에 개시된 생체에너지 투사장치(10)와 차별화를 이루며 설명하기 위해 생체에너지 투사장치(10) + 안테나(20) + 연결관(30)으로 이루어지는 빛 파동 에너지 생성 및 전달 장치(50)로 명명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2에서는 생체에너지 투사장치(10)와 안테나(20)와 연결배관(30)으로 이루어지는 빛 파동 에너지 생성 및 전달 장치(50)를 나타낸 것으로서, 종래의 생체에너지 투사장치(10)를 통하여 빛 파동 에너지를 얻고, 빛 파동 에너지를 수용/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빛 파동 에너지 생성장치와 동조성과 방향성을 갖는 안테나(20)가 준비되고, 상기 안테나와 연결된 채 동조성과 방향성을 유지하는 연결배관(30)재의 단부가 물이 담긴 용기(40)에 담겨진 상태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에서는 안테나(20)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안테나의 하단부로는 연결배관(30)를 감싸줄 수 있는 엘보 형상의 연결부재(21)를 이루고, 연결부재(21)의 일측으로는 홀(hole)이 마련되고, 안테나(20)의 연결부재(21) 안쪽으로 연결배관(30)이 끼워지고 볼트(22)가 홀(hole)에 삽입되어 나사조임 수단에 의해 안테나(20)와연결배관(30)이 일체를 이루며 연결되는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도 2에서 연결배관(30)의 단부에 물이 담긴 용기(40)가 마련되고, 연결배관(30)의 단부가 물에 담겨진 상태를 도시한 것은 종래의 생체에너지 투사장치(10)를 통하여 발생되는 빛 파동 에너지가 안테나(20) 및 연결배관(30)을 통하여 용기(40)에 담겨진 물의 pH와 전기전도도(EC)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실험하기 위해 제공된 설비이다.
1. 실험의 실시양태.
도 2의 구성와 같이 생체에너지 투사장치(10)와 안테나(20)와 연결배관(30)이 하나의 셋트를 이루어 빛 파동 에너지 생성 및 전달 장치(50)에 전원플러그에 전원을 연결한 상태에서 방사하는 전자에너지(mV)의 측정결과 멀티미터(Multimeter)에 나타난 수치가 0.164V(AC)이었으며, 연결배관(30)의 단부에 사람의 손을 대고 측정하였더니 멀티미터(Multimeter)에 나타난 수치가 0.106V(AC)로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도 4의 사진도와 같이 용기에 물을 담고 물에 사람의 손가락을 담그고 측정하였더니 멀티미터(Multimeter)에 나타난 수치가 0.066V(AC)로 낮아지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음으로 부터 낮아지는 만큼의 전자에너지가가 신체에 흡수되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물의 pH값과 EC의 변화량을 측정하기 위한 실험.
발명자는 본원에서 제공되는 생체에너지 투사장치(10)와 안테나(20)와 연결배관(30)이 하나의 셋트를 이루어 제공되는 빛 파동 에너지 생성 및 전달 장치(50)가 물의 pH값과 전기전도도(EC)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시험하고자 하였으며, 2010년 10월1일 부터 11일간 생수와 수돗물을 이용하여 수소이온농도 pH값과 전기전도도 EC의 값을 측정한 결과를 표 1과 표 2로 나타내었다.
가. 생수에 대한 pH 및 EC 측정치

Test Date
Lapse of Time Times (interval: 12hours) Sample: 생수
pH EC
Before After Before After
2010.10.01 0일차 1 7.43 7.47 148.7 146.5
2 7.52 7.55 150.1 148.9
2010.10.02 1일차 3 7.75 7.73 152.6 158.5
4 7.78 7.72 152.4 159.5
2010.10.03 2일차 5 7.81 7.67 152.3 161.0
6 7.84 7.74 152.2 162.3
2010.10.04 3일차 7 7.83 7.87 152.1 164.2
8 7.84 7.85 152.6 165.4
2010.10.05 4일차 9 7.80 7.83 152.5 166.5
10 7.85 7.86 152.5 167.2
2010.10.06 5일차 11 7.88 7.89 152.6 168.9
12 7.84 7.82 152.2 170.5
2010.10.07 6일차 13 7.82 7.74 153.0 174.4
14 7.75 7.71 153.2 176.5
2010.10.08 7일차 15 7.79 7.61 154.0 180.6
16 7.81 7.74 154.2 181.2
2010.10.09 8일차 17 7.84 7.80 153.2 182.3
18 7.79 7.85 154.0 185.2
2010.10.10 9일차 19 7.62 7.92 153.8 189.5
20 7.58 7.90 154.1 200.4
2010.10.11 10일차 21 7.45 7.84 155.1 205.5
22 7.42 7.80 155.2 205.9
나. 수돗물에 대한 pH 및 EC 측정치

Test Date
Lapse of Time Times (interval: 12hours) Sample: 수도수
pH EC
Before After Before After
2010.10.01 0일차 1 7.09 6.99 178.2 179.5
2 7.11 7.15 185.2 181.1
2010.10.02 1일차 3 7.20 7.77 172.5 182.2
4 7.21 7.75 170.5 183.6
2010.10.03 2일차 5 7.29 7.73 468.9 185.7
6 7.33 7.76 169.1 186.5
2010.10.04 3일차 7 7.32 7.78 169.0 188.1
8 7.38 7.81 168.2 190.2
2010.10.05 4일차 9 7.29 7.83 167.1 191.5
10 7.32 7.80 167.0 193.5
2010.10.06 5일차 11 7.38 7.67 167.2 194.0
12 7.41 7.66 167.3 198.5
2010.10.07 6일차 13 7.40 7.65 165.2 200.5
14 7.42 7.62 165.1 202.5
2010.10.08 7일차 15 7.44 7.57 164.9 204.9
16 7.52 7.65 164.2 106.8
2010.10.09 8일차 17 7.66 7.77 163.7 207.5
18 7.62 7.78 164.9 210.5
2010.10.10 9일차 19 7.61 7.79 164.3 216.2
20 7.58 7.75 163.6 225.2
2010.10.11 10일차 21 7.51 7.62 163.3 234.6
22 7.59 7.67 163.1 238.5
상기 실험결과로부터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시험대상 시료를 생수와 수도 수를 대상으로 pH값과 EC를 측정 실험한 결과, pH의 경우 생수는 시간이 경과해도 올라간 pH의 값이 낮아지지 않음을 알 수 있고, pH 7 정도의 수도수는 24시간 내에 pH값이 8에 근접하게 크게 변화되는 사실을 알 수 있고 EC의 경우에는 시험기간 동안 지속적인 상승경향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의 결과는 물의 pH값이 염기성으로 변하고 전기전도도가 높게 상승하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바, 물의 pH값이 염기성으로 변하고 전기전도도가 높게 상승하는 결과는 물 분자가 전자볼트를 흡수하여 이온화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때 이온화되어 생성되는 전자(electron)을 수화 전자(hydrated electron)라고 부르는바, 이러한 수화전자를 형성하고, 이것이 다시 물과 반응하여 수소 원자와 합쳐 수산화 이온을 생성하며 이 수산화 이온은 염기성을 띠게 되는 사실과, 물 분자의 이온화로 pH 값이 증가하였다는 의미는 혈액 내의 헤모글로빈 (hemoglobin)이 산소와 반응하는 정도가 pH값과 직접적인 관계에 있으며, pH값이 증가할수록 혈중의 산소 농도가 증가한다는 보어효과(Bohr effect)에서 알 수 있듯이, pH의 증가와 산소농도의 증가 사이의 비례성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전기전도도가 생체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음이온 작용은 인체의 혈액의 정화작용, 저항력 증가작용 및 자율신경제조절작용 등의 효과를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바, 상기 실험결과로부터 생수와 수도수의 시간에 따른 pH 변화율의 측정결과 생수의 경우와 수도수의 경우가 약간 다른 결과를 보여주고 있는바, 생수의 경우에는 시험 처리 전후 pH 값이 8에 가까운 염기화된 상태로 거의 차이가 없다가 24 시간이 지나면서 처리 전 시료의 경우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처리 후의 경우 변화가 없이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수도수의 경우에는 초기 24 시간뒤 처리 후 시료의 pH 값이 높게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후 시간이 경과하여도 같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생수와 수돗물의 시간에 따른 전기전도도(EC) 측정결과, 확연하게 전기전도도가 올라가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는바, 특히, 시간에 따라서 지속적으로 전기전도도가 올라가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으며, 수도수의 경우 생수보다 좀 더 올라가는 경향이 크게 나타났으며, 200 시간을 변곡점으로 좀 더 크게 전기전도도가 상승하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신체 혈액 내 수분의 pH값이 염기성으로 변하고 전기전도도가 높아지면, 인체의 혈액을 정화하고 저항력이 강해지며, 자율신경계의 동작이 활발해지게 되는 약리적 효과는 이미 의학적으로 입증된 사실이다.
3. 전북 임실의 양계장 농원에서의 적용실험
본원 발명자는 본원의 빛 파동 에너지 생성장치와 안테나와 및 연결관으로 이루어지는 빛 파동 에너지 생성 및 전달장치가 실제적으로 생물체(양육계)에 어떻게 유익하게 사용되어 적용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전북 임실군 지사면 영천리 313번지 소재의 영산농장에서 약 7만여 마리의 양계육을 사육하는 농장에서 제1, 2, 3, 4의 사육 동 중에서 제2동에 본원의 기술사상이 적용된 빛 파동 에너지 생성장치와 안테나와 연결된 연결관의 단부가 급수조의 물 곱급라인 파이프로 사용되도록 하고 양계장의 받침대 부위중 일부가 본원의 빛 파동 에너지 생성장치와 안테나와 연결된 연결관으로 제공되는 구성을 만들어 놓고, 제1, 3, 4동에서 사육되는 육계와 제2동에서 사육되는 육계의 평균체중의 차이를 살피고자 하였으며 그 실험결과는 표 3에 나타내었다.
차량번호 공차 총중량(Kg) 실중량(Kg) 수수(마리) 평균체중(Kg)
4097 8,190 12,970 4,780 2,580 1.85 4동
4872 8,210 12,990 4,780 2,580 1.85 4동
4083 8,010 12,830 4,820 2,580 1.87 4동
4071 7,980 12,800 4,820 2,570 1.88 4동
4853 7,710 12,550 4,840 2,660 1.82 4동
4064 7,780 12,590 4,810 2,610 1.84 4동
4888 7,910 12,720 4,810 2,640 1.82 3동
4805 8,480 13,320 4,840 2,650 1.83 3동
4063 7,410 12,110 4,700 2,610 1.80 3동
4065 7,580 12,290 4,710 2,630 1.79 3동
4062 8,710 13,440 4,730 2,640 1.79 3동
4056 7,990 12,840 4,850 2,710 1.79 3동
4090 8,140 12,970 4,830 2,580 1.87 1동
4059 8,090 12,940 4,850 2,560 1.89 1동
4863 8,780 13,630 4,850 2,500 1.94 1동
4882 7,900 12,740 4,840 2,590 1.87 1동
4088 7,780 12,580 4,800 2,540 1.89 1동
1101 7,260 12,080 4,820 2,550 1.89 1동
4827 7,040 11,760 4,720 2,570 1.84 1동
4072 7,660 12,500 4,840 2,540 1.91 2동
4087 7,950 12,800 4,850 2,520 1.92 2동
4835 7,790 12,630 4,840 2,460 1.97 2동
4071 8,050 12,890 4,840 2,460 1.97 2동
4057 7,160 11,720 3,560 1,860 1.91 2동
4853 7,720 12,570 4,850 2,500 1.94 2동
전체 동 118,980 63,690 1.87
1,3,4 동 91,200 49,350 1.848
2동 27,780 14,340 1.937
상기 표 3의 자료에서 차량번호는 실제적으로 영산농장에서 간헐적으로 출하되는 양육계를 반출시킨 차량번호이고, 공차는 양육계를 적재하기 전의 차량무게이며, 총중량은 양육계를 탑재한 상태의 총중량을 나타낸 것이며, 실중량은 총중량에서 공차의 무게를 제한 실중량을 나타낸 것이고, 수수는 양육계의 마리수를 나타낸 것이고, 평균체중은 실중량을 수수값으로 나눈 값이며, 동의 사육동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의 실험결과로부터 제1, 3, 4동에서 사육되는 육계의 평균체중은 1.848 Kg으로 측정되는데 반하여 제2동에서 사육되는 육계의 평균체중은 1.937 Kg으로 측정되는 결과를 통하여 약 5% 정도로 평균체중이 증가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의 실험결과는 비단 양계장의 닭 사육에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고, 양돈 농가나 한우사육 농가 등 모든 동물 사육농가에 적용될 수 있고, 사람에게 적용되는 경우에도 신체 혈액의 pH가 염기화 되고 전기전도도가 높아지면, 인체의 혈액을 정화하고 저항력이 강해지며, 자율신경계의 동작이 활발해지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되며 이는 추후 임상학적으로, 의학적으로 입증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 : 플러그 2 : 전구소켓
3 : 전원스위치 4 : 벌브
5 : 컬러 밸런서 6 : 프리즘 디스크
7 : 흑체 아크릴판 8 : 스텐레스 스틸 튜브
9 : 프리즘 10 : 생체에너지 투사장치
20 : 안테나 21 : 연결부재
22 : 볼트 30 : 연결배관
40 : 물이 담긴 용기 50 : 빛 파동 에너지 생성. 전달 장치

Claims (8)

  1. 생물체에 생체에너지를 조사시켜 면역력을 증가시켜 주기 위한 생체에너지 조사방법에 있어서,
    동조성과 방향성을 갖는 원통형 프레임 내부에 빛에너지 발생수단과 에너지 변환수단 및 에너지 조절수단을 포함하는 생체에너지 조사장치가 제공되되, 빛에너지 발생수단이 내장되는 측부로는 원통형 프레임을 감싸는 캡(cap)부에 외부의 전원공급선과 연결되기 위한 접속플러그와 전원스위치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제공되고, 전구소켓 및 벌브를 구비한 빛에너지 발생수단과 상기 빛에너지 발생수단으로부터 발생된 빛 에너지를 분광 및 상호 간섭과 중첩으로 변환시키도록 다중프리즘으로 구성된 에너지 변환수단과 상기 에너지 변환수단으로부터 변환된 에너지를 조정하도록 컬러밸런서와 프리즘디스크로 이루어지는 에너지조절수단과 타측으로 마련되는 에너지 방출부는 원통형 프레임 내부에 내장되는 구조를 이루는 생체에너지 조사장치가 준비되는 제1단계;
    상기 생체에너지 조사장치와 동조성과 방향성을 갖는 안테나가 준비되는 제2단계;
    상기 안테나와 연결된 채 동조성과 방향성을 유지하는 배관재가 준비되는 제3단계;
    상기 생체에너지 조사장치와 안테나가 10㎝ 이내의 근접거리에 배치되고 안테나와 생체에너지 조사를 원하는 대상 생물체까지 배관재가 연결되는 구성을 이루어서 생체에너지 조사장치에서 발생되는 에너지가 원거리에 있는 생물체에 전달되어 면역력을 증가시켜 주도록 적용되는 제4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에너지 조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에너지 조사장치와 안테나 및 안테나와 연결되는 배관재는 닉켈과 크롬성분을 함유한 도금액으로 코팅된 합성수지재나 섬유재가 이용되거나 또는 닉켈과 크롬성분을 함유한 스텐레스 스틸재가 사용되어 동조성과 방향성을 이루도록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에너지 조사방법.
  3. 생물체의 면역력을 증가시켜 주기 위한 기능을 갖도록 제공되는 빛 파동 에너지 생성 및 전달 장치에 있어서,
    동조성과 방향성을 갖는 원통형 프레임 내부에 빛에너지 발생수단과 에너지 변환수단 및 에너지조절수단을 내장하여 제공되되, 빛에너지 발생수단이 내장되는 측부로는 원통형 프레임을 감싸는 캡(cap)부에 외부의 전원공급선과 연결되기 위한 접속플러그와 전원스위치가 외부에 놀출되도록 제공되고 전구소켓 및 벌브를 구비한 빛에너지 발생수단과 상기 빛에너지 발생수단으로부터 발생된 빛 에너지를 분광 및 상호 간섭과 중첩으로 변환시키도록 다중프리즘으로 구성된 에너지 변환수단과 상기 에너지 변환수단으로부터 변환된 에너지를 조정하도록 컬러밸런서와 프리즘디스크로 이루어지는 에너지조절수단과 타측으로 마련되는 에너지 방출부는 원통형 프레임 내부에 내장되는 구조를 이루는 생체에너지 조사장치와
    상기 생체에너지 조사장치와 근접하여 설치되는 안테나가 동조성과 방향성을 갖는 재질로 제공되고 안테나와 연결되는 배관재도 동조성과 방향성을 갖는 배관재로 제공됨으로 생체에너지 조사장치에서 발생되는 에너지가 원거리에 있는 생물체에 전달되어 면역력을 증가시켜 주도록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빛 파동 에너지 생성 및 전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에너지 조사장치와 안테나 및 안테나와 연결되는 배관재는 닉켈과 크롬성분을 함유한 도금액으로 코팅된 합성수지재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빛 파동 에너지 생성 및 전달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에너지 조사장치와 안테나 및 안테나와 연결되는 배관재는 닉켈과 크롬성분을 함유한 도금액으로 함침되거나 코팅된 섬유재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빛 파동 에너지 생성 및 전달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에너지 조사장치와 안테나 및 안테나와 연결되는 배관재는 닉켈과 크롬성분을 함유한 스텐레스 스틸재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빛 파동 에너지 생성 및 전달 장치.
  7. 사람을 포함한 동물체의 면역력을 증가시켜 주기 위한 면역력 증가방법에 있어서,
    동조성과 방향성을 갖는 원통형 프레임 내부에 빛에너지 발생수단과 에너지 변환수단 및 에너지 조절수단을 포함하는 빛 파동 에너지 생성장치가 제공되되, 빛에너지 발생수단이 내장되는 측부로는 원통형 프레임을 감싸는 캡(cap)부에 외부의 전원공급선과 연결되기 위한 접속플러그와 전원스위치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제공되고, 전구소켓 및 벌브를 구비한 빛에너지 발생수단과 상기 빛에너지 발생수단으로부터 발생된 빛 에너지를 분광 및 상호 간섭과 중첩으로 변환시키도록 다중프리즘으로 구성된 에너지 변환수단과 상기 에너지 변환수단으로부터 변환된 에너지를 조정하도록 컬러밸런서와 프리즘디스크로 이루어지는 에너지조절수단과 타측으로는 마련되는 에너지 방출부는 원통형 프레임 내부에 내장되는 구조를 갖는 생체에너지 조사장치가 준비되는 단계;
    상기 생체에너지 조사장치와 동조성과 방향성을 갖는 안테나가 준비되는 단계;
    상기 안테나와 연결된 채 동조성과 방향성을 유지하는 배관재가 준비되는 단계;
    상기 생체에너지 조사장치와 안테나가 10㎝ 이내의 근접거리에 배치되고 안테나와 생체에너지 조사를 원하는 사육대상 동물체까지 배관재가 연결되는 구성을 이루어서 생체에너지 조사장치에서 형성되는 에너지가 원거리에 있는 생명체의 몸체에 접촉시키는 수단에 의해 면역력을 증가시켜 주도록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체의 면역력 증가방법.
  8. 사람을 포함한 동물체의 면역력을 증가시켜 주기 위한 면역력 증가방법에 있어서,
    동조성과 방향성을 갖는 원통형 프레임 내부에 빛에너지 발생수단과 에너지 변환수단 및 에너지 조절수단을 포함하는 빛 파동 에너지 생성장치가 제공되되, 빛에너지 발생수단이 내장되는 측부로는 원통형 프레임을 감싸는 캡(cap)부에 외부의 전원공급선과 연결되기 위한 접속플러그와 전원스위치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제공되고, 전구소켓 및 벌브를 구비한 빛에너지 발생수단과 상기 빛에너지 발생수단으로부터 발생된 빛 에너지를 분광 및 상호 간섭과 중첩으로 변환시키도록 다중프리즘으로 구성된 에너지 변환수단과 상기 에너지 변환수단으로부터 변환된 에너지를 조정하도록 컬러밸런서와 프리즘디스크로 이루어지는 에너지조절수단과 타측으로는 마련되는 에너지 방출부는 원통형 프레임 내부에 내장되는 구조를 이루는 생체에너지 조사장치가 준비되는 단계;
    상기 생체에너지 조사장치와 동조성과 방향성을 갖는 안테나가 준비되는 단계;
    상기 안테나와 연결된 채 동조성과 방향성을 유지하는 배관재가 준비되는 단계;
    상기 생체에너지 조사장치와 안테나가 10㎝ 이내의 근접거리에 배치되고 안테나와 생체에너지 조사를 원하는 동물체까지 배관재가 연결되는 구성을 이루고 배관재의 단부가 동물의 음용수에 담겨지는 구성을 이루어서 생체에너지 조사장치에서 형성되는 에너지가 전달된 음용수를 동물체가 식음하도록 하여 면역력을 증가시켜 주도록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체의 면역력 증가방법.


KR1020100121671A 2010-12-01 2010-12-01 빛 파동 에너지 생성, 전달 장치 및 이의 이용방법 KR201200600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1671A KR20120060097A (ko) 2010-12-01 2010-12-01 빛 파동 에너지 생성, 전달 장치 및 이의 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1671A KR20120060097A (ko) 2010-12-01 2010-12-01 빛 파동 에너지 생성, 전달 장치 및 이의 이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0097A true KR20120060097A (ko) 2012-06-11

Family

ID=46611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1671A KR20120060097A (ko) 2010-12-01 2010-12-01 빛 파동 에너지 생성, 전달 장치 및 이의 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6009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96436A1 (ko) * 2021-11-26 2023-06-01 (주)바이오라이트 2차전자를 활용한 초미세광 전송장치
WO2024053924A1 (ko) * 2022-09-05 2024-03-14 (주) 바이오라이트 생명정보에너지 광을 활용하여 항체 형성 기능을 증진시키는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96436A1 (ko) * 2021-11-26 2023-06-01 (주)바이오라이트 2차전자를 활용한 초미세광 전송장치
WO2024053924A1 (ko) * 2022-09-05 2024-03-14 (주) 바이오라이트 생명정보에너지 광을 활용하여 항체 형성 기능을 증진시키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alter et al. Bodily variability of zinc natural isotope abundances in sheep
Rozenboim et al. The effect of monochromatic light on broiler growth and development
Miyako et al. Photofunctional nanomodulators for bioexcitation
CN102160914B (zh) Led模拟合成阳光人体生理补光智能光照装置
CN105209115A (zh) 用于促进活生物体中的维生素d产生的装置和方法
Berry et al. X-optogenetics and U-optogenetics: feasibility and possibilities
CN101928045A (zh) 同步化水及其产生方法和用途
Ferguson et al. Effects of artificial ultraviolet light exposure on reproductive success of the female panther chameleon (Furcifer pardalis) in captivity
KR20120060097A (ko) 빛 파동 에너지 생성, 전달 장치 및 이의 이용방법
Algorri et al. Advanced light source technologies for photodynamic therapy of skin cancer lesions
CN110402079A (zh) 卵中加速发育以及增进肌生成
KR940007300B1 (ko) 생체에너지 투사장치(Biological energy projector)
WO2015121895A1 (ja) 電位変動式物質変性装置
Schneider et al. Nonthermal effects of lifelong high-frequency electromagnetic field exposure on social memory performance in rats.
JP3723454B2 (ja) 発芽方法及び装置
KR101840233B1 (ko) 가축사육용 복합광 조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육방법
Boontiam et al. Assessment of the contribution of poultry and pig production to greenhouse gas emissions in South Korea over the last 10 years (2005 through 2014)
Strifler et al. Effects of Feeding Low Protein Diets with Different Energy-to-Protein Ratios on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Nitrogen Excretion of Broilers
Mei About the nature of biophotons
CN101879350A (zh) 一种骨质疏松治疗仪
CN101804247A (zh) 一种动物疾病预防保健照明装置及使用方法
CN203247266U (zh) 细胞光动力辐照仪
CN202283289U (zh) 一种医用小鼠肿瘤照射固定管及固定装置
KR20130049109A (ko) Led를 이용한 닭 사육 방법
KR950000012Y1 (ko) 어싱(Earthing)장치가 부설된 생체에너지 투사기(Biological energy Proj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0509

Effective date: 20141127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122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