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9162A - 엔진 유닛 및 엔진 유닛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엔진 유닛 및 엔진 유닛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9162A
KR20120059162A KR1020100120803A KR20100120803A KR20120059162A KR 20120059162 A KR20120059162 A KR 20120059162A KR 1020100120803 A KR1020100120803 A KR 1020100120803A KR 20100120803 A KR20100120803 A KR 20100120803A KR 20120059162 A KR20120059162 A KR 201200591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load
brown gas
auxiliary blowe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0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6899B1 (ko
Inventor
허다라
김용규
김은경
박희준
이승재
최재웅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0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6899B1/ko
Publication of KR20120059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91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6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6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37/00Engines characterised by provision of pumps driven at least for part of the time by exhaust
    • F02B37/04Engines with exhaust drive and other drive of pumps, e.g. with exhaust-driven pump and mechanically-driven second p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relating to, driven charging or scavenging pump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B33/00 - F02B37/00
    • F02B39/02Drives of pumps; Varying pump drive gear ratio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43/00Engines characterised by operating on gaseous fuels; Plants including such engines
    • F02B43/10Engines or plants characterised by use of other specific gases, e.g. acetylene, oxyhydrog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20/00Application
    • F05B2220/40Application in turbochar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20/00Application
    • F05D2220/40Application in turbocharg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30Use of alternative fuels, e.g. biofu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 Supercharger (AREA)

Abstract

엔진 유닛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 유닛은, 흡입공기를 과급시키는 터보차저 및 엔진의 시동시나 엔진의 저부하시에 엔진의 연소실에 흡입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보조 블로워를 구비하는 엔진; 브라운 가스를 생성하는 브라운 가스 발생장치; 및 브라운 가스 발생장치에서 생성된 브라운 가스를 엔진의 연소실로 공급하도록, 브라운 가스 발생장치와 보조 블로워 사이에 유체연통가능하게 연결되는 브라운 가스 공급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엔진 유닛 및 엔진 유닛의 구동방법{ENGINE UNIT AND OPERATING METHOD OF ENGINE UNIT}
본 발명은 엔진 유닛 및 엔진 유닛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 사용되는 디젤 엔진의 경우, 엔진의 출력을 높이기 위하여, 엔진의 연소실로 유입되는 흡입공기를 터보차저와 같은 과급기를 이용하여 과급시킨다.
그러나, 엔진을 시동할 때나 엔진의 부하(현재 엔진의 샤프트 회전수/엔진의 최고 샤프트 회전수)가 대략 50% 미만의 저부하인 경우에는 엔진의 회전수가 충분하지 않고 이에 따라 배기가스량이 줄어들게 된다. 배기가스량이 줄어들기 때문에, 터보차저의 터빈의 회전수가 낮아지게 되므로 터빈과 연결된 압축기를 통해 공기를 충분히 압축하지 못하게 되어, 흡입공기가 엔진의 연소실로 충분히 공급되지 못한다. 이로 인해, 엔진이 버벅거리는 소위 터보래그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엔진의 부하가 대략 50% 미만인 경우 연료소비율인 SFOC(Specific Fuel Oil Consumption), 즉 단위 일당 연료 소모량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선박에 사용되는 엔진의 경우 엔진의 부하가 대략 50% 미만인 경우는 통계적으로 볼 때, 전체 운항시간의 10% 이상의 기간을 차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터보차저가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없는 엔진의 저부하시와 시동시에도 엔진의 출력을 충분히 높일 수 있고, 또한 저부하시에 엔진의 완전연소를 도와 연료소비율을 감소시키면서 배기가스 중 오염물질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엔진의 연소실에 브라운 가스를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는 엔진 유닛 및 엔진 유닛의 구동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흡입공기를 과급시키는 터보차저 및 엔진의 시동시나 엔진의 저부하시에 엔진의 연소실에 흡입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보조 블로워를 구비하는 엔진; 브라운 가스를 생성하는 브라운 가스 발생장치; 및 상기 브라운 가스 발생장치에서 생성된 브라운 가스를 상기 엔진의 연소실로 공급하도록, 상기 브라운 가스 발생장치와 상기 보조 블로워 사이에 유체연통가능하게 연결되는 브라운 가스 공급관;을 포함하는 엔진 유닛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블로워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에 마련된 공기 유입구; 상기 케이싱에 마련된 공기 유출구; 상기 공기 유입구로 흡입공기를 유입시킨 후 상기 공기 유출구로 흡입공기를 유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케이싱에 장착되어 블로워를 구동시키는 모터; 및 상기 케이싱 내에서, 상기 공기 유입구와 상기 모터 사이에 유체연통가능하게 연결된 흡입공기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운 가스 공급관은 상기 흡입공기 유로에 유체연통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블로워 및 상기 브라운 가스 공급관은 각각 한 쌍으로 마련되며, 상기 한 쌍의 보조 블로워 중 어느 하나의 보조 블로워가 고장시, 상기 한 쌍의 보조 블로워 중 다른 하나의 보조 블로워가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엔진의 부하가 미리 결정된 작동개시부하 미만으로 감소되거나 엔진 시동시에 상기 보조 블로워의 모터를 구동시키고, 상기 엔진의 부하가 미리 결정된 작동정지부하를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보조 블로워의 모터를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개시부하의 값과 상기 작동정지부하의 값은 미리 결정된 값만큼 차이를 두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조 블로워 모터의 구동시 상기 브라운 가스 발생장치를 작동시키고, 상기 보조 블로워 모터의 정지시 상기 브라운 가스 발생장치를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운 가스 공급관에는, 상기 보조 블로워로 공급되는 브라운 가스의 유량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 및 상기 엔진의 부하조건에 따라 상기 밸브의 개폐시기 및 개폐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기재된 엔진 유닛의 구동방법으로서,
상기 엔진의 부하가 미리 결정된 작동개시부하 미만으로 감소되거나 엔진 시동시에 상기 보조 블로워를 작동시키는 보조 블로워 작동단계; 및 상기 엔진의 부하가 미리 결정된 작동정지부하를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보조 블로워를 정지시키는 보조 블로워 정지단계;를 포함하는 엔진 유닛의 구동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개시부하의 값과 상기 작동정지부하의 값은 미리 결정된 값만큼 차이를 두는 것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엔진 유닛 및 엔진 유닛의 구동방법에 따르면, 엔진에 브라운 가스를 효율적으로 공급함으로써, 저부하에서의 엔진의 완전연소를 가능하게 하고, 연료소비율을 낮출 수 있도록 해준다.
도 1은 엔진의 부하에 따른 연료 소모량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 유닛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2의 엔진 유닛에 있어서, 흡입공기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2의 엔진 유닛에 있어서, 엔진의 부하별 보조 블로워의 작동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 유닛의 구동방법에 대한 개략적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 유닛의 개략도이고, 도 3은 도 2의 엔진 유닛에 있어서, 흡입공기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4는 보조 블로워를 상세히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도시된 엔진 유닛(10)은 엔진(100), 브라운 가스 발생장치(180) 및 브라운 가스 공급관(190)을 포함한다. 상기 엔진(100)은, 일례로 선박에 사용되는 디젤 엔진으로서, 터보차저(120), 공기쿨러(130), 보조 블로워(140), 및 에어 리시버(150)를 포함한다.
상기 터보차저(120)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상기 엔진(100)의 연소실(미도시)로 흡입공기를 유입시키는 흡기덕트(110)에 마련되어, 흡입공기를 과급시키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상기 공기쿨러(130)는, 상기 터보차저(120)에서 흡입공기가 가압될 때 상승된 공기의 온도를 냉각시키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상기 공기쿨러(130)에서 공기가 냉각됨으로써, 상기 엔진(100)의 연소실로 유입되는 흡입공기의 밀도는 더욱 높아져 엔진의 출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브라운 가스 발생장치(180)는 물을 전기분해하여 브라운 가스를 생산하기 위한 장치이다. 여기서, 브라운 가스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전기분해를 통해 물의 해리작용으로 수소와 산소가 2 대 1의 혼합비율로 정량적으로 공존하는 가스로서, 기존의 화석연료에 비해 발열량이 3배 가까이 크고 화염속도가 현저히 빠르며 기존의 화석 연료의 연소를 촉진시킴으로써 완전 연소에 도움을 주고 있어, 차세대 연료로서 각광받고 있다. 특히, 브라운 가스는 기존의 화석연료와 비교할 때, 연소시 온도가 빠르게 올라가는 승온 특성이 좋고, 단열화염온도가 높으며, 화염속도 또한 현저히 빠른 장점이 있다.
상기 에어 리시버(150)는, 상기 터보차저(120)에 의해 가압된 공기를 모아두는 대용량의 탱크이다. 상기 에어 리시버(150)를 거쳐 흡입공기는 상기 엔진(100)의 연소실로 유입된다.
상기 보조 블로워(140)는, 상기 공기쿨러(130) 및 상기 에어 리시버(150)에 유체연통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보조 블로워(140)는, 상기 엔진(100)을 시동할 때나, 상기 엔진(100)의 배기가스량이 충분하지 않아서 상기 터보차저(120)가 엔진에 필요한 공기를 충분하게 공급하지 못할 경우에 상기 엔진(100)의 연소실에 충분한 흡입공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이하, 상기 보조 블로워(140)의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엔진(100)의 부하가 일례로 50% 미만의 저부하 상태로 상기 터보차저(120)가 충분히 작동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 보조 블로워(140) 내의 흡입공기의 흐름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보조 블로워(140)는, 케이싱(142), 공기 유입구(144), 공기 유출구(146), 모터(147), 흡입공기 유로(149)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싱(142)은 원통형 형상을 취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케이싱(142) 상에는 상기 공기 유입구(144) 및 상기 공기 유출구(146)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싱(142)의 일단에는 상기 모터(147)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공기 유입구(144)는, 상기 터보차저(120) 및 상기 공기쿨러(130)를 거친 흡입공기가 유입되는 통로이다. 상기 공기 유출구(146)는 상기 케이싱(142) 내로 유입된 흡입공기가 상기 에어 리시버(150)로 유출되는 통로이다.
한편, 상기 공기 유입구(144)에는 상기 공기 유입구(144)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142) 외부에서 상기 케이싱(142) 내부로만 흡입공기가 유동할 수 있게 하고, 반대방향으로의 흡입공기의 유동을 억제하기 위한 체크밸브(145)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모터(147)의 출력단에는 블로워(148)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모터(147)의 회전에 의한 블로워(148)의 회전에 의해 흡입공기는 상기 공기 유입구(144)로 유입된 후, 상기 공기 유출구(146)를 통하여 유출된다.
상기 흡입공기 유로(149)는 상기 공기 유입구(144)와 상기 모터(147) 사이에 유체연통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흡입공기 유로(149) 덕분에 상기 흡입공기는 보다 용이하게 상기 공기 유입구(144)를 통하여 유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모터(147)가 상기 흡입공기 유로(149)에 유체연통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모터(147)의 회전에 의한 블로워(148)의 회전에 의해 상기 흡입공기 유로(149) 내에는 부압이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흡입공기가 상기 공기 유입구(144)를 통하여 유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브라운 가스 공급관(190)의 일단은 상기 흡입공기 유로(149)에 유체연통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브라운 가스 공급관(190)의 타단은, 생산된 브라운 가스를 배출시키는 상기 브라운 가스 발생장치(180)의 출력단에 유체연통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 브라운 가스 발생장치(180)에는 생성된 브라운 가스를 송풍하기 위한 송풍기(182)가 자체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브라운 가스 발생장치(180)에서 생성된 브라운 가스는, 상기 보조 블로워(140)의 상기 흡입공기 유로(149) 내에 형성된 부압과 상기 송풍기(182)의 송풍에 의해, 상기 브라운 가스 발생장치(180)로부터 상기 브라운 가스 공급관(190)을 통하여 상기 보조 블로워(140)로 공급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엔진 유닛(10)은, 상기 엔진(100)의 부하가 미리 결정된 작동개시부하, 일례로, 상기 엔진(100)의 최대부하의 30% 내지 40% 미만으로 감소되는 경우에 상기 보조 블로워(140)의 모터(147)를 구동시키는 제어부(196)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96)는 상기 엔진(100)의 시동시에 상기 보조 블로워(140)의 모터(147)를 구동시킬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96)는, 상기 엔진(100)의 부하가 미리 결정된 작동정지부하, 일례로, 상기 엔진(100)의 최대부하의 40% 내지 50%를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보조 블로워(140)의 모터(147)를 정지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작동개시부하와 상기 작동정지부하 사이에는 미리 결정된 값, 예컨대 10% 정도의 차이를 두어서 상기 블로워(140)가 꺼졌다 켜졌다를 반복하는 채터링(chattering) 현상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196)는, 상기 엔진(100)의 부하변동에 따른 상기 보조 블로워(140)의 모터(147)의 구동에 연동하여, 상기 브라운 가스 발생장치(180)를 작동시키거나 정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96)는, 상기 보조 블로워(140)의 모터(147)가 구동시에 상기 브라운 가스 발생장치(180)를 작동시켜 브라운 가스를 생산하고, 상기 보조 블로워(140)의 모터(147)의 정지시에 상기 브라운 가스 발생장치(180)를 정지시켜 브라운 가스를 생산하지 않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브라운 가스 공급관(190)에는 밸브(192)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96)는 상기 엔진(100)의 부하조건에 따라 상기 밸브(192)의 개폐시기 및 개폐량을 제어하여, 상기 브라운 가스 발생장치(180)로부터 상기 보조 블로워(140)로 공급되는 브라운 가스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밸브(192)는 전자식 솔레노이드(solenoid) 밸브일 수 있다.
이하,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엔진 유닛(10)의 작동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는 도 2의 엔진 유닛에 있어서, 엔진의 부하별 보조 블로워의 작동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먼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엔진(100)이 저부하, 일례로 최대부하의 30% 내지 미만에서 작동하는 경우에, 상기 엔진(100)의 배기가스량이 적어서 상기 터보차저(120)는 흡입공기를 충분히 과급시킬 수 없다. 또한, 상기 터보차저(120)의 압력이 크지 않기 때문에, 상기 체크밸브(145)는 닫혀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96)가 상기 보조 블로워(140)의 모터(147)를 작동시켜 블로워(148)를 회전시킴으로써, 공기 유입구(144) 및 상기 흡입공기 유로(149)를 통하여 흡입공기를 유입시킨 후, 공기 유출구(146)를 통하여 흡입공기를 에어 리시버(150)로 공급한다.
상기 제어부(196)가 상기 모터(147)를 구동시키는 동시에, 상기 제어부(196)는 상기 브라운 가스 발생장치(180)를 작동시켜 브라운 가스를 생산한다. 생산된 브라운 가스는 브라운 가스 공급관(190)을 통하여 상기 흡입공기 유로(149) 내로 흐르는 흡입공기와 혼합되어 상기 에어 리시버(150)로 공급된 후, 상기 엔진(100)의 연소실(미도시)로 공급된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96)는 브라운 가스 공급관(190)에 마련된 밸브(192)의 개폐량을 제어하여, 적절량의 브라운 가스가 흡입공기와 혼합되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엔진(100)이 고부하, 일례로 최대부의 50%를 초과하여 작동하는 경우에, 상기 엔진(100)의 배기가스는 충분히 발생하여 상기 터보차저(120)는 흡입공기를 충분히 과급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터보차저(120)의 압력이 크기 때문에, 상기 체크밸브(145)는 열리게 된다.
따라서, 터보차저(120)로부터의 흡입공기는 상기 공기 유입구(144) 및 상기 체크밸브(145)를 통하여 상기 보조 블로워(140) 내로 유입된 후, 상기 공기 유출구(146)를 통하여 에어 리시버(150)로 공급된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96)는 상기 모터(147)를 구동시키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어부(196)는 상기 브라운 가스 발생장치(180)를 정지시켜 브라운 가스의 생산을 중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엔진 유닛(10)은, 엔진(100)의 저부하시 출력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보조 블로워를 작동시킴으로써, 엔진의 출력을 증대시킨다. 또한, 엔진(100)의 저부하시의 연소를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보조 블로워를 이용하여 상기 엔진의 연소실 내로 브라운 가스를 주입한다. 따라서, 저부하시의 연료소모량을 낮추고, 완전연소를 도와 불완전 연소로 발생할 수 있는 차르(char)등 미세입자상 물질, HCL, 다이옥신 등의 가스상의 유해물질 들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배기가스 내 오염물질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엔진 유닛(10)이 이코노마이저(economizer)와 같은 폐열회수 수단을 구비하는 경우, 엔진(100)의 저부하에서 불완전 연소로 기인할 수 있는 수트(soot) 등에 의해 이코노마이저의 성능이 저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운 가스 발생장치에서 발생된 브라운 가스가 상기 터보차저가 아닌 보조 블로워에 공급됨으로써, 고압 환경하에서의 브라운 가스의 폭발 위험성을 낮출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 블로워 및 상기 브라운 가스 공급관이 각각 한 쌍으로 마련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보조 블로워 및 상기 브라운 가스 공급관은 각각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한 쌍의 보조 블로워 중 어느 하나의 보조 블로워가 고장시, 다른 하나의 보조 블로워가 작동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 유닛의 구동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 유닛의 구동방법에 대한 개략적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엔진부하 모니터링 단계(S101)에서 제어부(196)는 상기 엔진(100)의 부하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한다.
이후, 작동개시 판단단계(S102)에서 상기 엔진(100)의 현재부하가 미리 설정된 작동개시부하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현재의 엔진부하가 작동개시부하 미만인 경우, 보조 블로워 작동단계(S103)에서 상기 제어부(196)는 상기 보조 블로워(140)를 구동시켜 엔진의 연소실로 충분한 공기가 유입되게 하는 동시에 상기 브라운 가스 발생장치(180)를 작동시켜 브라운 가스를 생산하여 흡입공기와 브라운 가스를 혼합시킨다.
한편, 상기 작동개시 판단단계(S102)에서 상기 엔진(100)의 현재부하가 상기 작동개시부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정지판단단계(S104)에서 상기 제어부(196)는 상기 엔진(100)의 현재부하가 미리설정된 작동정지부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현재의 엔진부하가 상기 작동정지부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96)는 보조 블로워 정지단계(S105)에서 상기 보조 블로워(140)를 정지시키고 상기 브라운 가스 발생장치(180)를 정지시켜 브라운 가스의 생산을 중지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엔진 유닛 100: 엔진
110: 흡기덕트 120: 터보차저
130: 공기쿨러 140: 보조 블로워
142: 케이싱 144: 공기 유입구
145: 체크밸브 146: 공기 유출구
147: 모터 148: 블레이드
149: 흡입공기 유로 150: 에어 리시버
180: 브라운 가스 발생장치 182: 송풍기
190: 브라운 가스 공급관 192: 밸브
196: 제어부

Claims (9)

  1. 흡입공기를 과급시키는 터보차저 및 엔진의 시동시나 엔진의 저부하시에 엔진의 연소실에 흡입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보조 블로워를 구비하는 엔진;
    브라운 가스를 생성하는 브라운 가스 발생장치; 및
    상기 브라운 가스 발생장치에서 생성된 브라운 가스를 상기 엔진의 연소실로 공급하도록, 상기 브라운 가스 발생장치와 상기 보조 블로워 사이에 유체연통가능하게 연결되는 브라운 가스 공급관;을 포함하는 엔진 유닛.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 블로워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에 마련된 공기 유입구;
    상기 케이싱에 마련된 공기 유출구;
    상기 공기 유입구로 흡입공기를 유입시킨 후 상기 공기 유출구로 흡입공기를 유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케이싱에 장착되어 블로워를 구동시키는 모터; 및
    상기 케이싱 내에서, 상기 공기 유입구와 상기 모터 사이에 유체연통가능하게 연결된 흡입공기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운 가스 공급관은 상기 흡입공기 유로에 유체연통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 가스를 이용하는 엔진 유닛.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 블로워 및 상기 브라운 가스 공급관은 각각 한 쌍으로 마련되며,
    상기 한 쌍의 보조 블로워 중 어느 하나의 보조 블로워가 고장시, 상기 한 쌍의 보조 블로워 중 다른 하나의 보조 블로워가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 가스를 이용하는 엔진 유닛.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부하가 미리 결정된 작동개시부하 미만으로 감소되거나 엔진 시동시에 상기 보조 블로워의 모터를 구동시키고, 상기 엔진의 부하가 미리 결정된 작동정지부하를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보조 블로워의 모터를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 가스를 이용하는 엔진 유닛.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작동개시부하의 값과 상기 작동정지부하의 값은 미리 결정된 값만큼 차이를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 가스를 이용하는 엔진 유닛.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조 블로워 모터의 구동시 상기 브라운 가스 발생장치를 작동시키고, 상기 보조 블로워 모터의 정지시 상기 브라운 가스 발생장치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 가스를 이용하는 엔진 유닛.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라운 가스 공급관에는, 상기 보조 블로워로 공급되는 브라운 가스의 유량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 및
    상기 엔진의 부하조건에 따라 상기 밸브의 개폐시기 및 개폐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 가스를 이용하는 엔진 유닛.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엔진 유닛의 구동방법으로서,
    상기 엔진의 부하가 미리 결정된 작동개시부하 미만으로 감소되거나 엔진 시동시에 상기 보조 블로워를 작동시키는 보조 블로워 작동단계; 및
    상기 엔진의 부하가 미리 결정된 작동정지부하를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보조 블로워를 정지시키는 보조 블로워 정지단계;를 포함하는 엔진 유닛의 구동방법.
  9.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작동개시부하의 값과 상기 작동정지부하의 값은 미리 결정된 값만큼 차이를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유닛의 구동방법.
KR1020100120803A 2010-11-30 2010-11-30 엔진 유닛 및 엔진 유닛의 구동방법 KR1012468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0803A KR101246899B1 (ko) 2010-11-30 2010-11-30 엔진 유닛 및 엔진 유닛의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0803A KR101246899B1 (ko) 2010-11-30 2010-11-30 엔진 유닛 및 엔진 유닛의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9162A true KR20120059162A (ko) 2012-06-08
KR101246899B1 KR101246899B1 (ko) 2013-03-25

Family

ID=46610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0803A KR101246899B1 (ko) 2010-11-30 2010-11-30 엔진 유닛 및 엔진 유닛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689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4309A (ko) * 2012-02-27 2014-11-21 디이이씨 아이엔씨 내연 기관을 추진하기 위한 산소-풍부 플라즈마 발생기
US11815011B2 (en) 2016-03-07 2023-11-14 Hytech Power, Llc Generation and regulation of HHO gas
US11828219B2 (en) 2018-01-29 2023-11-28 Hytech Power, Llc Rollover safe electrolysis unit for vehicle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308577C (zh) * 2001-06-22 2007-04-04 曼B与W狄赛尔公司 两冲程柴油发动机的涡轮增压装置
KR20100010868U (ko) * 2009-04-28 2010-11-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보조 블로워 제어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4309A (ko) * 2012-02-27 2014-11-21 디이이씨 아이엔씨 내연 기관을 추진하기 위한 산소-풍부 플라즈마 발생기
US11879402B2 (en) 2012-02-27 2024-01-23 Hytech Power, Llc Methods to reduce combustion time and temperature in an engine
US11815011B2 (en) 2016-03-07 2023-11-14 Hytech Power, Llc Generation and regulation of HHO gas
US11828219B2 (en) 2018-01-29 2023-11-28 Hytech Power, Llc Rollover safe electrolysis unit for vehic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6899B1 (ko) 2013-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45849B2 (en) Engine fueled by ammonia with selective reduction catalyst
CN102869867B (zh) 密封空气供给装置及使用了该密封空气供给装置的废气涡轮增压器
JP5938755B1 (ja) 内燃機関の過給装置
CN104756295A (zh) 发电系统及发电系统中的燃料电池的启动方法
RU2015117260A (ru) Система впрыска воздуха для охлаждения ротора в газотурбинном двигателе и способ охлаждения такого ротора
CN109404120B (zh) 一种压燃式零氮排放纯氧转子发动机及其控制方法
JP2021518504A (ja) 船舶推進システムおよび船舶推進システムの改造方法
KR101246899B1 (ko) 엔진 유닛 및 엔진 유닛의 구동방법
US20130014728A1 (en) Heat engine an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the heat engine
JP4223696B2 (ja) デュアルフューエル・ディーゼルエンジン
CN102155290B (zh) 一种用于恢复内燃机高原动力的燃机型辅助增压系统
KR101692173B1 (ko) 배열 회수 시스템 및 배열 회수 방법
JP5372848B2 (ja) Co2回収型コージェネレ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その運転制御方法
KR20120062282A (ko) 브라운 가스를 이용하는 엔진 시스템 및 엔진의 구동방법
KR101186289B1 (ko) 브라운 가스를 이용하는 엔진 시스템 및 엔진의 구동방법
US10767602B2 (en) Engine system
CN110730862B (zh) 燃料混合系统和方法
KR20150029096A (ko) 엔진 시스템
KR20010088908A (ko) 듀얼연료용 디젤엔진
JP5372859B2 (ja) Co2回収型発電システム及びその運転制御方法
JP6383925B1 (ja) 内燃機関の過給機余剰動力回収装置及び船舶
KR102113973B1 (ko) 내연 기관용 저압 터빈 방식의 공해 저감 장치
JP6348637B1 (ja) 内燃機関の過給機余剰動力回収装置及び船舶
WO2017195260A1 (ja) 内燃機関の過給装置
JP2017214856A (ja) 内燃機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