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7003A - 툴바의 검색창을 활용한 키워드검색 중개시스템 - Google Patents

툴바의 검색창을 활용한 키워드검색 중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7003A
KR20120057003A KR1020100118531A KR20100118531A KR20120057003A KR 20120057003 A KR20120057003 A KR 20120057003A KR 1020100118531 A KR1020100118531 A KR 1020100118531A KR 20100118531 A KR20100118531 A KR 20100118531A KR 20120057003 A KR20120057003 A KR 201200570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rch
website
keyword
toolbar
web brow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8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희원
덕 이
Original Assignee
(주)더에이미디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더에이미디어 filed Critical (주)더에이미디어
Priority to KR1020100118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57003A/ko
Publication of KR20120057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70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1Indexing; Web crawling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7Browsing optimisation, e.g. caching or content distillation
    • G06F16/9574Browsing optimisation, e.g. caching or content distillation of access to content, e.g. by ca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툴바의 검색창을 활용한 키워드검색 중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키워드 입력을 위한 툴바검색창과, 툴바검색창에 입력된 키워드에 대한 검색신호를 형성시켜서 텍스트처리모듈 및 검색처리모듈이 실행되도록 하는 선택목록을 웹브라우저의 툴바에 각각 형성시키는 웹브라우저연동모듈; 상기 툴바검색창에 입력된 키워드를 확인하고, 상기 툴바검색창에 링크된 웹사이트가 상기 키워드에 대응해 검색 전송한 검색결과물 정보를 검색해서 상기 키워드와 동일한 텍스트를 편집처리하며, 편집처리된 텍스트가 포함된 결과 웹페이지를 웹브라우저가 출력하도록 단말기에 설치되는 텍스트처리모듈; 및 상기 편집처리된 텍스트로의 마우스 오버를 확인해서 선택 가능한 웹사이트 리스트가 제시된 선택레이어를 출력하고, 웹사이트의 선택 신호에 따라 다른 웹사이트로 상기 웹브라우저가 접속해 상기 키워드에 대한 검색을 진행토록 해서, 상기 다른 웹사이트의 검색결과물 정보를 상기 웹브라우저가 수신하도록 단말기에 설치되는 검색처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툴바의 검색창을 활용한 키워드검색 중개시스템{Key-word search system having the search window}
본 발명은 툴바의 검색창을 활용한 키워드검색 중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은 정보에 관한 교류와 공유 등을 위한 단순한 매개체를 뛰어넘어 인간생활의 중요한 통신수단으로서 없어선 안되는 중요한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인터넷이 아무리 다양한 형태의 도구로 활용되어도, 이는 정보에 관한 교류와 공유 기능을 기반으로 응용되는 것이므로, 인터넷은 정보에 관한 교류와 공유 수단인 검색기능의 편의와 효율이 선행 및 보장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주지된 바와 같이, 인터넷 검색은 사용자가 검색기능을 갖는 웹사이트에 접속해서 상기 웹사이트의 검색창에 검색을 원하는 키워드를 입력하고, 상기 웹사이트는 상기 키워드를 기초로 검색작업을 진행해서 검색결과물을 출력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때, 상기 웹사이트는 각자의 검색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검색작업을 진행하므로, 동일한 키워드의 검색결과물이 웹사이트 별로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특정한 정보를 검색하기 위해 웹사이트에 접속하고, 상기 웹사이트의 검색창에 상기 특정한 정보와 관련한 키워드를 입력해 검색을 시도해서, 상기 웹사이트에서는 원하는 검색결과물을 확인할 수 없게 되면, 검색기능을 갖는 다른 웹사이트에 접속해서 전술한 검색과정을 반복할 수밖에 없었다. 물론, 이러한 반복 작업은 키워드 입력에 따른 사용자의 피로를 높이고, 웹사이트별로 검색되는 다양한 검색결과물에 대한 반복된 확인의 번거로움으로 검색효율을 저하시키는 직접적인 원인이 되었다.
한편, 인터넷 사용자는 다양한 종류의 웹페이지를 접하면서 특정 단어, 문구 또는 사안에 대해 호기심을 느낄 수 있다. 이럴 경우 종래에는 새로운 웹브라우저를 실행시키고, 상기 웹브라우저가 접속한 웹사이트의 검색창에 해당 키워드를 입력해서 키워드 검색을 진행해야 했다. 하지만, 이러한 진행 방식은 사용자로 하여금 번거로움을 느끼도록 했고, 이를 인해 인터넷 활용에 불편이 초래되는 문제가 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다양한 웹사이트에서의 키워드 검색을 사용자가 손쉽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툴바의 검색창을 활용한 키워드검색 중개시스템의 제공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키워드 입력을 위한 툴바검색창과, 툴바검색창에 입력된 키워드에 대한 검색신호를 형성시켜서 텍스트처리모듈 및 검색처리모듈이 실행되도록 하는 선택목록을 웹브라우저의 툴바에 각각 형성시키는 웹브라우저연동모듈;
상기 툴바검색창에 입력된 키워드를 확인하고, 상기 툴바검색창에 링크된 웹사이트가 상기 키워드에 대응해 검색 전송한 검색결과물 정보를 검색해서 상기 키워드와 동일한 텍스트를 편집처리하며, 편집처리된 텍스트가 포함된 결과 웹페이지를 웹브라우저가 출력하도록 단말기에 설치되는 텍스트처리모듈; 및
상기 편집처리된 텍스트로의 마우스 오버를 확인해서 선택 가능한 웹사이트 리스트가 제시된 선택레이어를 출력하고, 웹사이트의 선택 신호에 따라 다른 웹사이트로 상기 웹브라우저가 접속해 상기 키워드에 대한 검색을 진행토록 해서, 상기 다른 웹사이트의 검색결과물 정보를 상기 웹브라우저가 수신하도록 단말기에 설치되는 검색처리모듈;
을 포함하는 툴바의 검색창을 활용한 키워드검색 중개시스템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특정 웹사이트에서 진행한 검색결과에서 다른 웹사이트로 접속함 없이 동일한 키워드에 대한 검색결과물을 제공받을 수 있고, 이러한 검색 공정의 감축을 통해 사용자의 노고와 불편을 줄여서 사용자가 원하는 검색결과물의 검색을 용이하게 성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중개시스템의 모습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중개시스템에 의한 검색방법을 순차 도시한 플로차트이고,
도 3 및 도 4는 상기 검색방법에 따라 진행되는 웹페이지의 모습을 보인 이미지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중개시스템의 다른 모습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6은 도 5의 중개시스템에 의한 웹페이지 모습을 보인 이미지이고,
도 7은 툴바검색창에서 웹사이트를 지정하는 모습을 보인 이미지이고,
도 8은 도 7에서 지정된 웹사이트에 의한 검색결과물 출력 모습을 보인 이미지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중개시스템의 모습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중개시스템에 의한 검색방법을 순차 도시한 플로차트이고, 도 3 및 도 4는 상기 검색방법에 따라 진행되는 웹페이지의 모습을 보인 이미지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중개시스템은, 웹브라우저(10)의 툴바에 툴바검색창을 형성시키는 웹브라우저연동모듈(33)과, 웹브라우저(10)와 연동하도록 단말기에 설치되고 사용자가 툴바검색창에 입력한 키워드를 확인해서 검색결과물 정보에서 상기 키워드와 동일한 텍스트를 검색 및 편집하는 텍스트처리모듈(31)과, 상기 텍스트로의 마우스 오버를 확인하고 선택 가능한 다른 웹사이트의 리스트가 게시된 선택레이어를 출력하며 상기 리스트에서 선택된 웹사이트에 상기 텍스트를 키워드로 입력해 검색하도록 처리하는 검색처리모듈(32)을 포함한다.
웹브라우저(10)는 단말기의 인터넷 접속을 처리하는 공지,공용의 애플리케이션으로, 웹브라우저(10)의 실행을 통해 단말기는 다양한 웹사이트(20, 20', 20"; 이하 '20')와의 접속 및 통신이 가능하다. 웹브라우저연동모듈(33), 텍스트처리모듈(31) 및 검색처리모듈(32)은 단말기에 설치시 웹브라우저(10)와 연동하면서 사용자가 인지하지 않는 상태에서 키워드 검색에 대한 전술한 작업을 진행한다. 이에 대한 설명은 검색방법을 설명하면서 상세히 한다.
S10; 키워드 입력단계
사용자는 도 3(a)에 보인 바와 같이 검색창이 비치되지 않은 웹페이지로부터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 중에 새로운 정보에 대한 검색이 요구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웹브라우저연동모듈(33)이 웹브라우저(10)의 툴바에 형성시킨 툴바검색창에 상기 새로운 정보와 관련된 키워드를 입력해서 검색을 진행할 수 있다. 즉, 새로운 웹브라우저를 실행시키지 않아도 상기 새로운 키워드에 대한 직접 검색이 가능한 것이다.
한편, 웹브라우저연동모듈(33)은 웹브라우저(10)의 툴바에 통상적인 검색버튼에 상응하는 선택목록을 형성시킨다. 이때, 상기 선택목록은 키워드 검색을 진행할 웹사이트 리스트일 수 있고, 이를 통해 툴바검색창에 입력된 키워드의 검색을 어느 웹사이트에서 진행할 것인지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웹사이트를 선택할 경우 상기 툴바검색창은 상기 웹사이트와 링크되어서, 상기 툴바검색창에 입력되는 키워드가 상기 웹사이트로 전송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선택목록에 게시되는 웹사이트는, 웹브라우저연동모듈(33) 설치시 지정된 한 곳에서만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편집해 다수 개일 수도 있다. 참고로, 선택목록은 클릭에 따른 검색신호를 발생시켜서 검색처리모듈(32)이 실행되도록 한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아래에서 도 5를 참조해 설명한다.
S20; 키워드 검색단계
툴바검색창과 링크된 웹사이트는 상기 검색신호에 대응해서 상기 툴바검색창에 입력된 키워드에 따라 통상적인 검색을 진행하고, 도 3(b)와 같은 검색결과물 정보를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툴바검색창에 키워드가 입력되면, 검색처리모듈(32)은 링크된 웹사이트를 확인하고 웹브라우저(10)에 해당 웹사이트의 URL 정보를 제공해서, 웹브라우저(10)가 상기 웹사이트에 접속하도록 처리한다. 이때, 검색처리모듈(32)은 웹브라우저(10)가 상기 선택된 웹사이트에 접속하면서 출력할 웹사이트의 메인 웹페이지 출력을 제한시키고, 상기 선택된 웹사이트에서의 해당 키워드 검색을 지속시켜서, 검색결과물이 게시된 해당 웹사이트의 결과 웹페이지만이 최종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결국, 사용자가 상기 선택레이어에서 특정 웹사이트를 선택하면, 단말기에 출력되는 최종 웹페이지는 상기 특정 웹사이트의 검색결과물이 게시된 결과 웹페이지이므로, 사용자는 이러한 과정을 인지하지 못하고 원하는 검색결과물만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툴바검색창에 링크되는 웹사이트를 대한민국 포털사이트 중 하나인 'NAVER(네이버)'로 했고, 이를 통해 검색처리모듈(32) 및 웹브라우저(10)는 전술한 과정으로 동작해서 도 3(b)의 웹페이지를 최종 출력했다.
S30; 검색결과물의 텍스트 처리단계
텍스트처리모듈(31)은 웹사이트(20)로부터 전송된 검색결과물 정보에서 검색창에 입력된 키워드와 동일한 텍스트를 검색해 확인하고, 검색결과물이 게시된 결과 웹페이지를 출력하기 전, 상기 확인된 텍스트를 도 3(b)와 같이 처리해서 사용자가 주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텍스트에 노란색 바탕을 적용해서 사용자가 이를 주목할 수 있도록 했다. 그러나 텍스트에 대한 처리는 해당 텍스트의 바탕색에 변화를 주는 것 외에도, 밑줄을 긋거나, 글자체를 변형하거나, 글자체의 굵기 등에 변화를 주는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텍스트 처리 내용은 도 3(b)에 도시한 모습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S40; 제1검색결과물 출력단계
텍스트처리모듈(31)이 웹사이트(20)로부터 전송된 검색결과물 정보에서 해당 텍스트에 대한 처리를 완료하면, 웹브라우저(10)는 도 3(b)와 같은 완성된 결과 웹페이지를 단말기의 출력수단을 통해 출력한다.
사용자는 이렇게 출력된 결과 웹페이지에서 자신이 입력한 키워드에 대한 텍스트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고, 그 주변 내용을 확인해서 원하는 정보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한편, 검색결과물로 최종 출력되는 웹페이지는 도 3(a)의 웹페이지 창이 아닌 도 3(b)와 같은 새로운 웹페이지 창으로 출력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 3(a)의 웹페이지 창에 출력된 기존 웹페이지를 대체해서 검색결과물이 게시된 웹페이지가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S50; 텍스트 선택단계
사용자는 도 3(b)의 결과 웹페이지를 확인하면서 마우스 커서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고, 처리된 텍스트 중 하나에 마우스 오버를 진행할 수 있다.
검색처리모듈(32)은 이동중인 마우스 커서를 확인해서, 상기 처리된 텍스트에 마우스 오버 여부를 확인한다.
S60; 선택레이어 출력단계
검색처리모듈(32)은 상기 처리된 텍스트의 마우스 오버가 확인되면, 도 4(a)와 같이 다양한 웹사이트 리스트가 제시된 선택레이어를 출력한다. 물론, 사용자가 마우스 커서를 이동시켜서 마우스 오버 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선택레이어는 소멸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상기 처리된 텍스트의 마우스 오버 상태에서 마우스 커서가 상기 선택레이어의 범위로 직접 이동할 경우엔, 마우스 오버 상태의 해제로 보지 않고 상기 선택레이어의 출력을 지속시킨다.
계속해서, 검색처리모듈(32)은 사용자가 마우스 커서를 상기 선택레이어로 이동시켜서 웹사이트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S70; 선택단계
사용자가 마우스를 조작해서 선택레이어에 제시된 웹사이트 중 하나를 선택하면, 검색처리모듈(32)은 해당 선택 신호를 통해 선택된 웹사이트를 확인하고 웹브라우저(10)에 해당 웹사이트의 URL 정보를 제공해서, 웹브라우저(10)가 상기 웹사이트에 접속하도록 처리한다. 이때, 검색처리모듈(32)은 웹브라우저(10)가 상기 선택된 웹사이트에 접속하면서 출력할 웹사이트의 메인 웹페이지 출력을 제한시키고, 상기 선택된 웹사이트에서의 해당 키워드 검색을 지속시켜서, 검색결과물이 게시된 해당 웹사이트의 결과 웹페이지만이 최종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결국, 사용자가 상기 선택레이어에서 특정 웹사이트를 선택하면, 단말기에 출력되는 최종 웹페이지는 상기 특정 웹사이트의 검색결과물이 게시된 결과 웹페이지이므로, 사용자는 이러한 과정을 인지하지 못하고 원하는 검색결과물만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1차로 키워드 검색을 진행하는 웹사이트를 대한민국 포털사이트 중 하나인 'NAVER(네이버)'로 했고, 2차로 키워드 검색을 진행하는 웹사이트를 대한민국 포털사이트 중 하나인 'NATE(네이트)'로 했다. 따라서, 사용자가 선택레이어에서 네이트를 선택하면, 사용자의 단말기에는 도 4(b)의 네이트의 검색결과물이 게시된 결과 웹페이지가 출력된다.
S80; 검색결과물의 텍스트 처리단계
웹브라우저(10)가 상기 선택된 웹사이트가 전송하는 검색결과물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면,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텍스트처리모듈(31)은 해당 키워드와 동일한 텍스트를 상기 결과 웹페이지에 게시된 텍스트에서 확인하고, 확인된 상기 텍스트를 도 4(b)와 같이 처리해서 사용자가 주목할 수 있도록 한다.
S90; 제2검색결과물 출력단계
텍스트처리모듈(31)이 웹사이트(20)로부터 전송된 검색결과물 정보에서 해당 텍스트에 대한 처리를 완료하면, 웹브라우저(10)는 도 4(b)와 같은 완성된 결과 웹페이지를 단말기의 출력수단을 통해 출력한다.
물론, 처리된 텍스트에 마우스 오버가 있을 경우 검색처리모듈(32)은 선택레이어를 출력하고, 사용자는 앞서 설명한 웹사이트 선택을 반복할 수 있다.
한편, 검색처리모듈(32)은 제2검색결과물이 제1검색결과물의 결과 웹페이지 창을 대체해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고, 제1검색결과물의 결과 웹페이지 창과 독립된 별도의 결과 웹페이지 창에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전자(前者)의 경우엔 제2검색결과물이 출력될 시 단말기에는 하나의 창만이 최종 출력될 것이고, 후자(後者)의 경우엔 두 개의 창이 모두 출력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중개시스템의 다른 모습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6은 도 5의 중개시스템에 의한 웹페이지 모습을 보인 이미지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중개시스템의 웹브라우저연동모듈(33')은 사용자가 등록한 웹사이트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모듈(33a)과, 선택레이어에 제시되는 웹사이트를 관리하는 관리모듈(33b)을 더 포함한다.
사용자는 인터넷을 통해 다양한 웹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고, 특정 웹사이트에 대해서는 반복적으로 접속할 만큼의 관심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특정 웹사이트에 대해 반복적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정보모듈(33a)은 웹사이트의 URL을 등록 저장한다. 한편, 관리모듈(33b)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정보모듈(33a)로의 URL 저장 및 삭제를 처리하고, 선택레이어에 제시되는 내용을 편집한다.
관리모듈(33b)은 웹브라우저 창 상단에 형성되는 툴바에 '선택버튼'을 합성 출력시킨다. 관리모듈(33b)은 상기 선택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을 확인해서 도 6(a)에 도시한 관리레이어를 출력시키고, 사용자는 출력된 상기 관리레이어에서 선택레이어에 제시될 웹사이트를 선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네이버'만을 선택한 상태이므로, 사용자가 상기 처리된 텍스트에 마우스 오버를 하면, 선택레이어에는 '네이버'만이 제시될 것이다. 참고로, 관리레이어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선택레이어에 제시될 웹사이트 목록이 출력되고, 상기 웹사이트 목록의 웹사이트는 정보모듈(33a)에 저장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중개시스템에서의 검색 작업은 단순한 키워드 검색 이외에 전자상거래 사이트에서의 물품 검색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MP3'라는 키워드를 이용해서 검색을 진행할 경우(선택레이어에서 웹사이트를 선택한 경우도 포함) 일반 검색사이트에서는 도 3(b) 및 도 4에서 보인 바와 같이 상기 키워드와 관련한 검색결과물을 검색할 것이지만, 전자상거래 사이트에서 검색을 진행할 경우(선택레이어에서 웹사이트를 선택한 경우도 포함)엔 'MP3 플레이어' 제품 목록을 검색해 출력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중개시스템에서, 웹사이트 정보에 대한 정보모듈(33a)로의 저장 및 삭제는, 대표적인 웹브라우저인 익스플로러의 '즐겨찾기'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도 6에 보인 바와 같이 관리모듈(33b)은 웹사이트를 '포탈검색'과 '쇼핑검색' 카테고리로 나누어서 사용자가 저장을 요청하는 웹사이트 정보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해당 카테고리에 저장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도 6(b)에서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중개시스템의 관리모듈(33b)은 사용자가 관리레이어를 활용해서 카테고리별로 분류 저장된 웹사이트 정보를 일괄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상기 관리레이어에는 '테마 항목'이 구비되고, 상기 '테마 항목'에는 '포탈검색', '쇼핑검색' 및 '최신RSS' 메뉴가 포함되도록 했다. 여기서, '최신RSS' 메뉴 선택시 툴바에는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에는 최신 뉴스가 게시된다.
계속해서, '편의기능'에는 '키워드강조', '추가검색' 및 '구글번역' 메뉴가 포함되도록 했다. 여기서, '키워드강조' 기능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검색창에 입력된 키워드와 동일한 텍스트를 검색해 강조 처리(편집)하는 기능이고, '추가검색' 기능은 사용자가 키워드 검색을 통해 검색된 검색결과물 내에서 상기 키워드와 동일한 텍스트에 마우스 오버할 경우 앞서 설명한 선택레이어가 출력되도록 하는 기능이고, '구글번역'은 전문 검색사이트인 'Google'에서 제공하는 번역기능을 제공하는 기능이다. 따라서, 관리모듈(33b)은 텍스트처리모듈(31) 및 검색처리모듈(32)과 연동할 것이다.
도 3에서 보인 바와 같이, 툴바에 형성된 상기 선택모듈은 정보모듈(33a)에 저장된 웹사이트 정보와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정보모듈(33a)의 갱신에 따라 선택모듈에 게시되는 웹사이트가 수정될 수 있을 것이다.
도 7은 툴바검색창에서 웹사이트를 지정하는 모습을 보인 이미지이고, 도 8은 도 7에서 지정된 웹사이트에 의한 검색결과물 출력 모습을 보인 이미지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중개시스템은 일 회의 검색으로 다양한 웹사이트에서 검색한 검색결과물을 동시에 제공받을 수 있도록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관리모듈(33b)은 툴바검색창의 마우스 오버를 확인하고 정보모듈(33a)에 저장된 웹사이트 리스트를 제시한 지정레이어를 도 7(a)에 보인 바와 같이 출력한다.
사용자는 상기 지정레이어에 게시된 웹사이트 리스트를 확인하고, 이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네이버', '네이트' 및 '다음'을 선택한 것으로 했다. 따라서, 상기 툴바검색창에 링크되는 웹사이트는 '네이버', '네이트' 및 '다음'가 될 것이다.
지정레이어를 통한 웹사이트의 선택이 완료되고 사용자가 상기 툴바검색창을 클릭하면, 상기 지정레이어는 사라지고 상기 툴바검색창에 키워드를 입력해 넣을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된다.
계속해서, 사용자는 상기 툴바검색창에 키워드를 입력하고 검색을 시도하면, 도 8에 보인 바와 같이 상기 웹사이트의 해당 웹페이지를 출력한 웹페이지 창이 각각 독립해 출력되면서 사용자가 일시에 검색결과물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로, 도 8에서 보인 웹페이지는 '키워드강조'가 선택되지 않아서 해당 텍스트가 편집처리되지 않은 것이고, '키워드강조'가 선택될 경우 도 3 및 도 4에서 보인 바와 같이 해당 텍스트는 편집처리되어 출력될 것이다.
10; 웹브라우저 20, 20', 20"; 웹사이트
31; 텍스트처리모듈 32; 검색처리모듈
33, 33'; 웹브라우저연동모듈
33a; 정보모듈 33b; 관리모듈

Claims (4)

  1. 키워드 입력을 위한 툴바검색창과, 툴바검색창에 입력된 키워드에 대한 검색신호를 형성시켜서 텍스트처리모듈 및 검색처리모듈이 실행되도록 하는 선택목록을 웹브라우저의 툴바에 각각 형성시키는 웹브라우저연동모듈;
    상기 툴바검색창에 입력된 키워드를 확인하고, 상기 툴바검색창에 링크된 웹사이트가 상기 키워드에 대응해 검색 전송한 검색결과물 정보를 검색해서 상기 키워드와 동일한 텍스트를 편집처리하며, 편집처리된 텍스트가 포함된 결과 웹페이지를 웹브라우저가 출력하도록 단말기에 설치되는 텍스트처리모듈; 및
    상기 편집처리된 텍스트로의 마우스 오버를 확인해서 선택 가능한 웹사이트 리스트가 제시된 선택레이어를 출력하고, 웹사이트의 선택 신호에 따라 다른 웹사이트로 상기 웹브라우저가 접속해 상기 키워드에 대한 검색을 진행토록 해서, 상기 다른 웹사이트의 검색결과물 정보를 상기 웹브라우저가 수신하도록 단말기에 설치되는 검색처리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툴바의 검색창을 활용한 키워드검색 중개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웹브라우저연동모듈은
    상기 선택레이어에 제시되는 웹사이트의 URL정보가 저장된 정보모듈; 및
    상기 정보모듈의 URL정보를 저장 및 삭제하는 관리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작업의 편의와 효율을 개선한 인터넷 중개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웹브라우저연동모듈은 상기 정보모듈에 저장된 웹사이트를 상기 선택목록에 게시하고, 상기 선택목록 중 선택된 웹사이트가 상기 툴바검색창에 링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작업의 편의와 효율을 개선한 인터넷 중개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모듈은 상기 툴바검색창의 마우스 오버를 확인해서 상기 정보모듈에 저장된 웹페이지 리스트가 제시된 지정레이어를 출력하고, 상기 웹페이지 리스트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웹페이지가 상기 툴바검색창에 링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작업의 편의와 효율을 개선한 인터넷 중개시스템.
KR1020100118531A 2010-11-26 2010-11-26 툴바의 검색창을 활용한 키워드검색 중개시스템 KR201200570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8531A KR20120057003A (ko) 2010-11-26 2010-11-26 툴바의 검색창을 활용한 키워드검색 중개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8531A KR20120057003A (ko) 2010-11-26 2010-11-26 툴바의 검색창을 활용한 키워드검색 중개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7003A true KR20120057003A (ko) 2012-06-05

Family

ID=46608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8531A KR20120057003A (ko) 2010-11-26 2010-11-26 툴바의 검색창을 활용한 키워드검색 중개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5700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96076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uggested tags associated with a target web page for manipulation by a useroptimal rendering engine
US9195749B2 (en) Construction of boolean search strings for semantic search
US8332400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web search information in navigation hierarchy
US20090193352A1 (en) Interface for assisting in the construction of search queries
US11762923B1 (en) Displaying stylized text snippets with search engine results
US20190034541A1 (en) Automated contextual index suppression
CN102880711B (zh) 浏览器地址栏中输入数据的处理方法和处理装置
US20080294978A1 (en) Semantic navigation through web content and collections of documents
US20120109932A1 (en) Related links
US20100332967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web page augmentation
US20050223023A1 (en) Generating pages suitable for viewing over the internet
CN102930057A (zh) 搜索实现方法和装置
CN105095441A (zh) 一种信息获取方法及装置
US20020078095A1 (en) Method of linking web pages
JP2002024227A (ja) 無線ウェブページを生成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US20080208803A1 (en) System and method for characterising a web page
KR101350525B1 (ko) 질의에 대응하는 탭을 사용하여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하는방법 및 그 장치
US20150242536A1 (en) Advanced Search Page with Dynamic Generation of a Search Query String
AU2013336190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lligently marking online and offline resources
US8719416B1 (en) Multiple subparts of a uniform resource locator
KR100522186B1 (ko) 동적으로 홈페이지를 제작하는 방법 및 이 방법을 웹에서구현하는 장치
JP2006127531A (ja) ネットワークの情報を高速で取得する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US8413062B1 (en) Method and system for accessing interface design elements via a wireframe mock-up
JP6235744B1 (ja) ウェブページ制作支援システム
KR20120057003A (ko) 툴바의 검색창을 활용한 키워드검색 중개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