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6769A - 태양열에너지를 이용한 해수담수화 및 오수정수화 장치 - Google Patents

태양열에너지를 이용한 해수담수화 및 오수정수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6769A
KR20120056769A KR20110115130A KR20110115130A KR20120056769A KR 20120056769 A KR20120056769 A KR 20120056769A KR 20110115130 A KR20110115130 A KR 20110115130A KR 20110115130 A KR20110115130 A KR 20110115130A KR 20120056769 A KR20120056769 A KR 201200567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ater
sewage
water
ceiling
fresh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0115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9586B1 (ko
Inventor
김충현
Original Assignee
김충현
솔라시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충현, 솔라시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충현
Priority to KR20110115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9586B1/ko
Publication of KR20120056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67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9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95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xtraction
    • C02F1/265Desalin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02F1/0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 C02F1/1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using solar energ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8Seawater, e.g. for desalin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24Water desalin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24Water desalination
    • Y02A20/138Water desalination using renewable energy
    • Y02A20/142Solar thermal; Photovoltai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20Controlling water pollution; Waste water treatment
    • Y02A20/208Off-grid powered water treatment
    • Y02A20/211Solar-powered water purific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20Controlling water pollution; Waste water treatment
    • Y02A20/208Off-grid powered water treatment
    • Y02A20/212Solar-powered wastewater sewage treatment, e.g. spray evapo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30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 Y02W10/37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using solar energ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Heat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 에너지를 이용한 담수화 또는 정수화 시스템(100)으로서, 상기 시스템(100)은 태양 에너지 집열집광장치 모듈(110)과 담수화 또는 정수화 장치(120)로 이뤄지며; 상기 태양 에너지 집열집광장치 모듈(110)은 집광을 위한 렌즈 또는 반사경을 포함하고; 상기 담수화 또는 정수화 장치(120)는: (a) 상기 장치의 상부에 냉각부(130)가 위치하며; (b) 상기 장치는 종방향의 파티션(140)으로 해수영역(150)과 담수영역(160)으로 나뉨에 있어, 상기 파티션(140)은 하부에서부터 종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냉각부(130)에 닿지 않으며; (c) 증발된 해수의 응축이 일어나는 상기 냉각부의 하부 바깥면인 천정부(260)로서, 상기 천정부(260)는 상기 해수영역(150) 및 상기 담수영역(160)을 마주하고; (d) 상기 담수영역의 반대편 해수영역의 외부면에 초점평면(170)이 있고; (e) 상기 천정부는 상기 담수영역 쪽으로 기울어져 있고; 상기 초점평면(170)은 상기 집열집광장치 모듈의 초점거리에 위치하며; 상기 초점평면에 집광된 에너지로부터 상기 해수영역의 해수 또는 오수가 증발되고 증발된 증기가 상기 천정부에서 응축되어 상기 기울어진 천정부에 따라 흘러 상기 담수영역에 수집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태양열에너지를 이용한 해수담수화 및 오수정수화 장치{APPARATUS FOR DESALINATION AND WATER PURIFICATION HARNESSING SOLAR THERMAL ENERGY}
본 발명은, 태양열에너지를 이용한 해수담수화 또는 오수정수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특별하게는, 본 발명은 태양열에너지와 함께 전력 또는 가스와 같은 가열 수단을 혼용하여, 해수담수화 또는 오수정수화를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구표면의 약 70%가 물이지만 그 중 97.5%는 소금물이다. 식수나 산업용수로 사용할 수 있는 담수는 2.5%에 불과하다. 그나마 담수의 대부분은 남극과 북극의 빙하로 또는 토양수나 지하수로 존재하기 때문에 이를 제외하고 난 인류의 가용수는 1%도 되질 않는다. 하지만 이 적은 양의 담수도 세계에 고루 나눠져 있지 않으며, 인류가 사용할 수 있는 물은 점점 감소하고 있다. 이미 아프리카 주민 5억여 명은 물부족에 시달리고 있으며, 매년 5000명의 유아가 사망하고 있다고 UNESCO는 보고하고 있다. 2030년 정도가 되면 추정 세계 인구 80억의 절반인 40억 인구가 물 부족 현상을 겪을 것이라고 예측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해수담수화 및 오수정수화 기술은 계속 발전되고 있다. 이 중 세계의 해수담수화 기술은 역삼투압법과 증발법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근래에는 나노 테크놀로지의 급격한 발전으로 필터링 소재의 큰 발전을 초래하여 이를 이용하는 역삼투압법이 시장점유율을 높이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 역삼투압법은 문자 그대로 삼투압법을 역으로 이용하는 것으로서 농도가 높은 바닷물을 강압적으로 초극세 필터를 통과시키기 위하여 전력소모가 많은 단점이 있다. 상기 역삼투압법을 이용한 해수담수화 플랜트에서는 다수의 고출력 모터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역삼투압법을 이용한 해수담수화 플랜트에는 플랜트전용발전소를 부속시켜야 하며, 자체부속 발전소에 문제가 발생하여 전력 공급이 안될 경우를 대비하여 타 발전소와 연결된 거대한 변전소가 필수적으로 있어야만 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역삼투압법은 자본집약적 기술이며, 동시에 화석연료에너지집약적인 기술이다. 증발법플랜트에는 해수를 보일러에서 증발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화석연료를 저장하는 거대한 유류탱크를 필수적으로 보유하여야 한다. 이 또한 증발법 기술이 자본집약적 기술임과 동시에 화석연료에너지집약적인 기술임을 증명한다.
이러한 이유로 증발법을 이용하는 해수담수화 플랜트는 화석연료가 풍부한 중동 등의 산유국과 선진국 등에 주로 설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저개발국은 자본집약적 기술임과 동시에 화석연료에너지집약적인 기존의 역삼투압법이나 증발법을 이용하는 해수담수화 플랜트를 소유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물 생산비가 높으며, 운영비 또한 고비용인 이유로 유지하기도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역삼투압법이나 증발법 이외에, 해수를 담수화하기 위한 기술로서, 자연 그대로의 태양열에너지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해수를 증발시키고 이를 모으는 재래식 해수담수화 기술이 있다. 이러한 재래식기술은 본 발명과 같은 태양 에너지를 고온, 고밀도로 집열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가열 효율은 매우 저조하였다. 또한 종래의 재래식 해수담수화 기술은, 흐린날, 우천시 또는 밤과 같은 시간에는 태양열을 이용할 수 없어 효용가치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설시한 인류의 물부족 위기를 극복하고 지구온난화 감소에 기여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하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해수담수화 또는 오수정수화 장치는 에너지원으로 고온, 고밀도로 집열된 태양열재생에너지를 해가 있는 시간과 환경에서 사용할 뿐 만 아니라, 해가 없는 밤이나, 흐리거나 비 오는 환경에서도, 태양열에너지 이외의 별도의 추가 에너지원에 의해 전천후로 사용할 수 있는 해수담수화 또는 오수정수화 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발명은, 태양열을 고온, 고밀도로 집열시켜 고온, 고밀도로 집열된 태양열에너지로 해수 또는 오수를 가열하고, 증발시키고, 증발된 해수 또는 오수로부터 생성된 수증기를 응축시켜 담수된 또는 정수된 물을 수집하는 것으로, 아래의 시스템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해수담수화 장치는 해수 또는 오수의 정수화 또는 담수화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해수는 오수를 포함하는 개념이고, 담수는 정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고온, 고밀도로 집열된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해수담수화 또는 오수정수화 시스템(100)으로서, 상기 시스템(100)은 태양에너지 집광집열장치 모듈(110)과 해수담수화 또는 오수정수화 장치(120)로 이뤄지며; 상기 태양에너지 집광집열장치 모듈(110)은 집광집열을 위한 렌즈부 또는 반사경을 포함하고; 상기 해수담수화 또는 오수정수화 장치(120)는: (a) 상기 장치의 상부에 냉각부(130)가 위치하며; (b) 상기 장치는 종방향의 파티션(140)으로 해수 또는 오수 영역(150)과 담수 또는 정수 영역(160)으로 나뉨에 있어, 상기 파티션(140)은 하부에서부터 종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냉각부(130)에 닿지 않으며; (c) 증발된 해수 또는 오수의 수증기의 응축이 일어나는 상기 냉각부의 하부 바깥면인 천정부(260)로서, 상기 천정부(260)는 상기 해수 또는 오수 영역(150) 및 상기 담수 또는 정수 영역(160)을 마주하고; (d) 상기 담수 또는 정수 영역의 반대편 해수 또는 오수 영역의 외부면에 렌즈부 또는 반사경의 초점평면(170)이 위치하고; (e) 상기 해수 또는 오수 영역은 하나 이상의 해수 또는 오수 유출입관(180)을 가지고; (f) 상기 담수 또는 정수 영역은 하나 이상의 담수 또는 정수 유출입관(190)을 가지며; (g) 상기 천정부는 상기 담수 또는 정수 영역 쪽으로 기울어져 있고; 상기 초점평면(170)은 상기 집광집열장치 모듈의 초점거리에 위치하며; 상기 초점평면에 집광집열된 에너지로부터 상기 해수 또는 오수 영역의 해수 또는 오수가 가열되어 증발되고 증발된 증기가 상기 천정부에서 응축되어 상기 기울어진 천정부에 따라 흘러 상기 담수 또는 정수 영역에 수집되는 시스템이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상기 해수 또는 오수 영역 내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발열부(200)를 포함할 수 있어서, 에너지원으로 태양열 재생에너지를 해가 있는 시간과 환경에서 사용할 뿐만 아니라, 해가 없는 밤이나, 흐리거나 비오는 환경에서도, 전천후로 이용할 수 있는 해수담수화 또는 오수정수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서, 발열부를 포함하는 해수담수화 장치를 하이브리드형 해수담수화 장치로 칭한다.
상기 발열부는 전기에 의해 발열되는 전열선일 수 있고, 또는 소형 가스버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열선이 설치되는 경우, 상기 장치 외부에 전력 공급원이 있고, 하나 이상의 전열선이 해수 또는 오수 영역 내를 관통하여 해수 또는 오수를 가열시킬 수 있다. 또는, 대안적으로, 전력에 의해 가열 장치가 상기 해수 또는 오수 영역의 외부 표면 하단 및 주위에 위치하여 상기 위치로부터 가열하는 방식일 수 있다. 소형 가스 버너에 의한 방식도 마찬가지로, 상기 해수 또는 오수 영역 내부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해수 또는 오수 영역 외부 및 하단을 가열하는 방식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상기 렌즈부에 사용되는 렌즈는 고온, 고밀도로 집열된 태양열 에너지를 획득하기 위하여 프레넬 렌즈, 바람직하게는 고온, 고밀도로 집열된 태양열 에너지를 획득하기 위한 리니어(linear) 프레넬 렌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상기 반사경은 또한 고온, 고밀도로 집열된 태양열 에너지를 획득하기 위하여 콘센트레이팅 패러볼릭 트러프 반사경(Concentrating Parabolic Trough Reflector) 또는 콘센트레이팅 프레넬타입 반사경(Concentrating Fresnel Type Reflector)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상기 반사경은 콘센트레이팅 디쉬(Concentrating Dish)형 반사집열시스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본 발명의 해수담수화 장치는 본 발명의 집광집열 모듈(렌즈부 또는 반사경)의 초점거리에 상기 해수담수화 장치의 해수 또는 오수 영역의 외부의 한 면, 즉 집광집열 모듈(렌즈부 또는 반사경)과 마주하는 면에 초점평면이 위치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반사경 또는 렌즈부는 태양 에너지의 선형 또는 원형 초점을 형성시킨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원에서 사용되는 반사경은 세장형(elongated) 반사경을 사용하여, 선형의 초점평면을 형성시킨다.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상기 해수담수화 장치의 초점평면이 위치하는 면은 상기 선형, 원형 또는 면형 초점을 수용하기 위해 마찬가지로 세장형의 형태이다.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상기 냉각부는 하나 이상의 냉각수 유출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부는 가열된 증기의 응축을 위해 사용되다 보면, 냉각부의 냉각수는 가온되어 응축의 효능을 떨어뜨릴 수 있다. 이에 새로운 냉각수가 공급되고 가온된 종전 냉각수는 상기 냉각수 유출입부를 통해 교환된다. 이 교환을 위해 펌프가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냉각수는 해수 또는 오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냉각수 유출입부는 상기 해수 또는 오수 영역의 유출입부와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가온된 냉각수가 상기와 같은 유체 소통 연결을 통해 또는 외부 저수조를 통하여 해수 또는 오수 영역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공급된 해수 또는 오수 영역의 가온된 해수 또는 오수를 통해, 해수 또는 오수의 증발에 필요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상기 초점 평면은 상기 냉각부에서 가장 먼 위치의 상기 해수 또는 오수 영역의 하단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냉각부 영역과 상기 초점 평면 사이의 거리를 둠에 의해,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상기 천정부 면은 응축된 담수 또는 정수의 상기 담수 또는 정수 영역으로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기울기 방향과 평행한 홈 또는 돌출부를 가짐으로써 표면적을 확장하여 응축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태양추적장치(solar tracking system)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를 포함시켜 태양의 움직임에 따라 렌즈면 또는 반사경의 평면이 태양의 광선과 수직을 이루도록 하여 태양열에너지의 집열 효율을 극대화하도록 렌즈부와 반사경을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을 모듈화하여 모든 유출입구 또는 배선 등을 연결파이프 또는 추가배선 등으로 모듈 간에 연결하면 대용량의 해수담수화 또는 오수정수화 플랜트로 확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렌즈 장치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아래와 같은 시스템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집열된 고밀도의 태양 에너지를 이용한 해수담수화 또는 오수정수화 시스템(100)으로서, 상기 시스템(100)은 태양 에너지 집광집열장치 모듈(110)과 해수담수화 또는 오수정수화 장치(120)로 이뤄지며; 상기 태양 에너지 집광집열장치 모듈(110)은 집광집열을 위한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해수담수화 또는 오수정수화 장치(120)는: (a) 상기 장치의 상부에 냉각부(130)가 위치하며; (b) 상기 장치는 종방향의 파티션(140)으로 해수 또는 오수 영역(150)과 담수 또는 정수 영역(160)으로 나뉨에 있어, 상기 파티션(140)은 하부에서부터 종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냉각부(130)에 닿지 않으며; (c) 증발된 해수 또는 오수의 수증기의 응축이 일어나는 상기 냉각부의 하부 바깥면인 천정부(260)로서, 상기 천정부(260)는 상기 해수 또는 오수 영역(150) 및 상기 담수 또는 정수 영역(160)을 마주하고; (d) 상기 담수 또는 정수 영역의 반대편 해수 또는 오수 영역의 외부면에 렌즈의 초점평면(170)이 위치하고; (e) 상기 장치(120)는 천정부가 담수 영역 쪽으로 기울어지도록 상기 장치(120)가 기울어지며; (f) 해수 영역에서 더 많은 수증기 증발 및 천정부의 응축 영역을 넓히기 위해 상기 장치(120)의 초점 평면이 위치하는 부분의 상부가 증발 방향 또는 담수 영역으로부터 더 멀리 휘어지고; 상기 초점평면(170)은 상기 집광집열장치 모듈의 초점거리에 위치하며; 상기 초점평면에 집광집열된 에너지로부터 상기 해수 또는 오수 영역의 해수 또는 오수가 가열되어 증발되고 증발된 증기가 상기 천정부에서 응축되어 상기 기울어진 천정부에 따라 흘러 상기 담수 또는 정수 영역에 수집되는, 시스템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반사경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아래와 같은 시스템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집열된 고밀도의 태양 에너지를 이용한 해수담수화 또는 오수정수화 시스템(100)으로서, 상기 시스템(100)은 태양 에너지 집광집열장치 모듈(110)과 해수담수화 또는 오수정수화 장치(120)로 이뤄지며; 상기 태양 에너지 집광집열장치 모듈(110)은 집광집열을 위한 반사경을 포함하고; 상기 해수담수화 또는 오수정수화 장치(120)는: (a) 상기 장치의 상부에 냉각부(130)가 위치하며; (b) 상기 장치는 종방향의 파티션(140)으로 해수 또는 오수 영역(150)과 담수 또는 정수 영역(160)으로 나뉨에 있어, 상기 파티션(140)은 하부에서부터 종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냉각부(130)에 닿지 않으며; (c) 증발된 해수 또는 오수의 수증기의 응축이 일어나는 상기 냉각부의 하부 바깥면인 천정부(260)로서, 상기 천정부(260)는 상기 해수 또는 오수 영역(150) 및 상기 담수 또는 정수 영역(160)을 마주하고; (d) 상기 담수 또는 정수 영역의 반대편 해수 또는 오수 영역의 외부면에 반사경의 초점평면(170)이 위치하고; (e) 상기 반사경의 빛을 더 많이 수용하기 위해 상기 장치(120)의 해수 영역의 하부가 U-형태 또는 V-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초점평면(170)은 상기 집광집열장치 모듈의 초점거리에 위치하며; 상기 초점평면에 집광집열된 에너지로부터 상기 해수 또는 오수 영역의 해수 또는 오수가 가열되어 증발되고 증발된 증기가 상기 천정부에서 응축되어 상기 기울어진 천정부에 따라 흘러 상기 담수 또는 정수 영역에 수집되는, 시스템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태양 에너지를 이용한 해수담수화 또는 오수정수화 시스템(100)의 개략도이다.
도 2a 본 발명의 태양 에너지를 이용한 해수담수화 또는 오수정수화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해수담수화 또는 오수정수화 장치(120)의 사시도이다.
도 2b은 본 발명의 태양 에너지를 이용한 해수담수화 또는 오수정수화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해수담수화 또는 오수정수화 장치(120)의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태양 에너지를 이용한 해수담수화 또는 오수정수화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하이브리드형 해수담수화 또는 오수정수화 장치(120)의 사시도이다.
도 3b은 본 발명의 태양 에너지를 이용한 해수담수화 또는 오수정수화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하이브리드형 해수담수화 또는 오수정수화 장치(120)의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원 발명의 태양 에너지를 이용한 해수담수화 또는 오수정수화 시스템(100)에서, 태양 에너지 집광집열장치 모듈(110)이 패러블릭 트러프 반사경인 경우의 단면도를 예시한다.
도 4b는, 본원 발명의 태양 에너지를 이용한 해수담수화 또는 오수정수화 시스템(100)에서, 태양 에너지 집광집열장치 모듈(110)이 프레넬 반사경인 경우의 단면도를 예시하고 있다.
도 5는, 본원 발명의 태양 에너지를 이용한 해수담수화 또는 오수정수화 시스템(100)에서, 패러블릭 트러프 반사경이 가로 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다.
도 6은, 본원 발명의 태양 에너지를 이용한 해수담수화 또는 오수정수화 시스템(100)의 추가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해수담수화 또는 오수정수화 장치(120)의 추가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8a-8b는 태양의 위치에 따른 반사판의 모습을 도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태양 에너지를 이용한 해수담수화 또는 오수정수화 시스템(100)의 개략도이다. 태양 에너지 집광집열장치 모듈(110)은 태양광을 고온, 고밀도로 집광집열시키며, 해수담수화 또는 오수정수화 장치(120)의 초점평면(170)에 위치한 상기 장치의 면을 가열시키게 되며, 상기 해수 또는 오수 영역(150)의 해수는 초점 평면에 위치한 장치의 면의 가열로 증발되며, 증발된 증기는 해수 또는 오수 영역 상부에 위치한 냉각수를 함유하는 냉각부(130)의 천정부(260)에서 응축되어 액화되고, 액화된 담수 또는 정수는, 상기 담수 또는 정수 영역(160) 쪽으로 기울어진 천정부를 따라 흘러 상기 담수 또는 정수 영역에 모이게 된다. 상기 해수 또는 오수 영역과 담수 또는 정수 영역은 파티션(120)에 의해 분리되어 있으며, 상기 파티션은 상기 장치의 하부에서부터 종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냉각부(130)에 닿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장치는 해수 또는 오수 영역의 하부와 담수 또는 정수 영역의 하부가 상기 천정부와 평행한 장치이다. 상기 천정부가 담수 영역 쪽으로 기울어지도록 상기 장치가 기울어진 형태를 가진다. 이때 해수 또는 오수의 증발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초점 평면이 위치하는 장치의 해수 또는 오수 영역의 일 면의 상부는 증발 방향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이뤄질 수 있고, 또는 바람직하게는 담수 또는 정수 영역 쪽에서 멀게 휘어져 있을 수 있다.
파티션의 상단부가 렌즈부나 반사경을 향하여 일정 방향과 각도로 휘어짐을 둔 것은 렌즈부나 반사경이 고정형이거나 태양추적장치를 도입하여 기울기가 달라질 경우에도 해수 또는 오수가 담수 또는 정수 영역으로 넘어와서 서로 섞이는 것을 방지하며, 해수 또는 오수의 상단 표면적을 넓혀서 보다 많은 수증기의 증발을 구현하여 많은 수증기가 천정부에서 응축되어 본 발명의 장치가 다량의, 양질의 담수 또는 정수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하며, 생산성효율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단면도로서 자세히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해수담수화 장치(120)는 세장형일 수 있다. 세장형 해수담수화 장치의 초점평면도 세장형으로, 가로로 긴 면에 태양열이 집광집열되어 해수 또는 오수 영역의 해수를 가열하게 된다.
도 2a는 본 발명의 태양 에너지를 이용한 해수담수화 또는 오수정수화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해수담수화 또는 오수정수화 장치(120)의 사시도이고, 도 2b은 본 발명의 태양 에너지를 이용한 해수담수화 또는 오수정수화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해수담수화 또는 오수정수화 장치(120)의 횡방향 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냉각부(130)는 개폐형일 수 있다.
개폐형으로 구성하므로써 해수 또는 오수 영역 내부에 생성되는 스케일링 (scaling) 등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하고 내부를 소독, 청소하여 열전달의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따라서 담수 또는 정수의 생산성을 증가시킨다.
상기 해수담수화 장치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세장형이다. 초점 평면(170)은 세장형이다. 세장형 초점 평면에 선형 초점평면이 형성된다. 원형 초점평면에 비해 가열 면적이 증가하게 된다. 해수 또는 오수 영역의 해수 유출입부(180)가 상기 장치의 해수 또는 오수 영역의 종방향 양 말단에 존재한다. 해수 유출입부(180)를 통해 해수가 유출입되고, 담수 또는 정수 처리된 해수는 담수 또는 정수 영역의 유출입부(190)를 통해 유출입된다. 담수 또는 정수 영역의 유출입부(190)는 상기 장치의 담수 또는 정수 영역의 종방향 양 말단에 존재한다. 담수 또는 정수 영역에 수집된 담수 또는 정수된 물은 상기 담수 유출입부(190)을 통해 유출된다. 상기 해수 유출입부 및 상기 담수 유출입부를 통해 정상 상태(steady-state) 연속 작업이 가능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태양 에너지를 이용한 해수담수화 또는 오수정수화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하이브리드형 해수담수화 또는 오수정수화 장치(120)의 사시도이고, 도 3b은 본 발명의 태양 에너지를 이용한 해수담수화 또는 오수정수화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하이브리드형 해수담수화 또는 오수정수화 장치(120)의 횡방향 단면도이다. 도 2의 해수담수화 장치와 모양과 구성은 동일하고, 다만, 도 3의 하이브리드형 해수담수화 장치는 발열부(200)가 해수 또는 오수 영역을 관통하고 있다. 이러한 하이브리드형 장치를 통해, 해가 없는 시간에도 해수담수화 또는 오수정수화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발열부는 상기 논의된 바와 같이, 전열선일 수 있고, 가열된 유체 흐름 관일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발열부를 가열시키는 별도의 가열 공급원이 존재할 수 있다.
도 4a는, 본원 발명의 태양 에너지를 이용한 해수담수화 또는 오수정수화 시스템(100)에서, 태양 에너지 집광집열장치 모듈(110)이 패러볼릭 트러프 반사경인 경우의 단면도를 예시하고, 도 4b는, 본원 발명의 태양 에너지를 이용한 해수담수화 또는 오수정수화 시스템(100)에서, 태양 에너지 집광집열장치 모듈(110)이 프레넬 반사경인 경우의 단면도를 예시하고 있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패러볼릭 트러프 반사경과 프레넬 반사경은 본 발명의 장치의 세장형(elongated) 초점 평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세장형일 수 있다. 이러한 세장형 반사경을 통해, 가열지점이 점이 아닌 선 나아가서는 면을 이룰 수 있게 되어, 장치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반사경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반사된 빛의 수집을 높이기 위해 상기 장치의 해수 또는 오수 영역의 하부가 V-형태 또는 U-형태일 수 있으며, 이러한 형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본원 발명의 태양 에너지를 이용한 해수담수화 또는 오수정수화 시스템(100)에서, 패러볼릭 트러프 반사경이 가로 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으며, 이러한 패러블릭 트러프 반사경의 배치에 의해 태양광은 가로 방향으로 긴 표면에 띠 형태의 선형 초점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지만, 프레넬 렌즈를 이용한 경우에도 가로 방향으로 긴 초점 표면에 띠 형태의 선형 초점평면을 형성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도 6은, 본원 발명의 태양 에너지를 이용한 해수담수화 또는 오수정수화 시스템(100)의 추가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실시예의 시스템(100)은 태양 에너지 집광집열장치 모듈(110); 해수담수화 또는 오수정수화 장치(120); 및 반사판(115)을 포함한다.
반사판(115)은 반사율이 높은 물체로서 고효율 평면 또는 고효율의 곡면 반사판이며, 이러한 반사판으로 이용될 수 있는 예로는 3M사의 mirror film 등이 있다. 반사판(115)은 집광집열장치 모듈(110)의 초점거리에 위치하고 집광집열된 에너지를 수광 평면(125)으로 반사하여 전달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반사판(115)은 일정한 각도로 배치될 수도 있지만, 수광 평면(125)을 전체로 골고루 가열하기 위해, 그리고 태양의 위치에 따라 집광집열장치 모듈의 초점 거리를 맞추기 위해, 이동이 가능하거나 각도가 조절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수광 평면(125)은 평면일 수도 있지만, 도 6에서 도시된 것처럼 요철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요철은 해수 또는 오수 영역의 해수 또는 오수를 가열하는 면적을 넓게 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빠르게 가열할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해수담수화 또는 오수정수화 장치(120)의 추가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7에서 수광 평면(170)의 형상 역시 톱니형 또는 파도형과 같이 요철을 이루고 있을 수 있다.
한편, 도 8a-8b는 태양의 위치에 따른 반사판의 모습을 도시한다. 반사판은 반사판 상에 형성되는 초점 평면의 태양광을 반사판과 집열부(170)의 위치와 집열면의 각도에 따라 여러 각도를 이룰 수 있으며, 이러한 예는 도 8a-8b에서 도시되어 있다. 태양각의 변동에 따라 수동으로 태양광을 추적할 수도 있고 자동 태양광 추적 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도 8a 및 8b에서 보는 것처럼 태양의 위치에 따라 일정한 각도를 이루면서 태양광을 수광평면에 잘 전달할 수 있도록 각을 이루고 태양광의 초점 평면이 형성되도록 거리를 유지하게 된다. 도 8a는 태양각이 25도 일 때의 예시이고, 도 8b는 태양각이 90도 일 때의 예시이다.
이상에서는 예시적으로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취지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4)

  1. 집열된 고밀도의 태양 에너지를 이용한 해수담수화 또는 오수정수화 시스템(100)으로서,
    상기 시스템(100)은 태양 에너지 집광집열장치 모듈(110)과 해수담수화 또는 오수정수화 장치(120)로 이뤄지며;
    상기 태양 에너지 집광집열장치 모듈(110)은 집광집열을 위한 렌즈 또는 반사경을 포함하고;
    상기 해수담수화 또는 오수정수화 장치(120)는:
    (a) 상기 장치의 상부에 냉각부(130)가 위치하며;
    (b) 상기 장치는 종방향의 파티션(140)으로 해수 또는 오수 영역(150)과 담수 또는 정수 영역(160)으로 나뉨에 있어, 상기 파티션(140)은 하부에서부터 종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냉각부(130)에 닿지 않으며;
    (c) 증발된 해수 또는 오수의 수증기의 응축이 일어나는 상기 냉각부의 하부 바깥면인 천정부(260)로서, 상기 천정부(260)는 상기 해수 또는 오수 영역(150) 및 상기 담수 또는 정수 영역(160)을 마주하고;
    (d) 상기 담수 또는 정수 영역의 반대편 해수 또는 오수 영역의 외부면에 렌즈 또는 반사경의 초점평면(170)이 위치하고;
    (e) 상기 천정부는 상기 담수 또는 정수 영역 쪽으로 기울어져 있고;
    상기 초점평면(170)은 상기 집광집열장치 모듈의 초점거리에 위치하며;
    상기 초점평면에 집광집열된 에너지로부터 상기 해수 또는 오수 영역의 해수 또는 오수가 가열되어 증발되고 증발된 증기가 상기 천정부에서 응축되어 상기 기울어진 천정부에 따라 흘러 상기 담수 또는 정수 영역에 수집되는,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 또는 오수 영역 내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발열부(200)가 존재하는,
    시스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 또는 오수 영역은 하나 이상의 해수 또는 오수 유출입관(180)을 가지고; 상기 담수 또는 정수 영역은 하나 이상의 담수 또는 정수 유출입관(190)을 가지는,
    시스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초점 평면에 평행한 가로로 긴 세장형 장치이며, 상기 렌즈는 리니어(linear) 프레넬 렌즈인,
    시스템.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초점 평면에 평행한 가로로 긴 세장형 장치이며, 상기 반사경은 상기 초점 평면에 집광집열시키기 위한 세장형(elongated) 패러볼릭 트러프 반사경 또는 프레넬 반사경인,
    시스템.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는 하나 이상의 냉각수 유출입부(250)가 있으며,
    상기 냉각수 유출입부와 상기 해수 또는 오수 영역의 유출입부와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된,
    시스템.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 평면은 상기 냉각부에서 가장 먼 위치의 상기 해수 또는 오수 영역의 하단에 위치하는,
    시스템.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태양추적장치(solar tracking system)를 포함하는,
    시스템.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는 개폐형일 수 있는,
    시스템.
  10.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렌즈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파티션의 상단 일부가 해수 영역으로 휘어져 있고,
    반사경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파티션의 상단 일부가 담수영역 쪽으로 휘어져 있는,
    시스템.
  11.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들이, 상기 냉각수 유출입관(250), 상기 해수 또는 오수 유출입관(180), 또는 상기 담수 또는 정수 유출입관(190)과 그 밖의 관이나 전선 등을 통해 상하종횡으로 연결되어 배치되어 있는,
    시스템.
  12. 집열된 고밀도의 태양 에너지를 이용한 해수담수화 또는 오수정수화 시스템(100)으로서,
    상기 시스템(100)은 태양 에너지 집광집열장치 모듈(110)과 해수담수화 또는 오수정수화 장치(120)로 이뤄지며;
    상기 태양 에너지 집광집열장치 모듈(110)은 집광집열을 위한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해수담수화 또는 오수정수화 장치(120)는:
    (a) 상기 장치의 상부에 냉각부(130)가 위치하며;
    (b) 상기 장치는 종방향의 파티션(140)으로 해수 또는 오수 영역(150)과 담수 또는 정수 영역(160)으로 나뉨에 있어, 상기 파티션(140)은 하부에서부터 종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냉각부(130)에 닿지 않으며;
    (c) 증발된 해수 또는 오수의 수증기의 응축이 일어나는 상기 냉각부의 하부 바깥면인 천정부(260)로서, 상기 천정부(260)는 상기 해수 또는 오수 영역(150) 및 상기 담수 또는 정수 영역(160)을 마주하고;
    (d) 상기 담수 또는 정수 영역의 반대편 해수 또는 오수 영역의 외부면에 렌즈의 초점평면(170)이 위치하고;
    (e) 상기 장치(120)는 천정부가 담수 영역 쪽으로 기울어지도록 상기 장치(120)가 기울어지며;
    (f) 해수 영역에서 더 많은 수증기 증발 및 천정부의 응축 영역을 넓히기 위해 상기 장치(120)의 초점 평면이 위치하는 부분의 상부가 증발 방향 또는 담수 영역으로부터 더 멀리 휘어지고;
    상기 초점평면(170)은 상기 집광집열장치 모듈의 초점거리에 위치하며;
    상기 초점평면에 집광집열된 에너지로부터 상기 해수 또는 오수 영역의 해수 또는 오수가 가열되어 증발되고 증발된 증기가 상기 천정부에서 응축되어 상기 기울어진 천정부에 따라 흘러 상기 담수 또는 정수 영역에 수집되는,
    시스템.
  13. 집열된 고밀도의 태양 에너지를 이용한 해수담수화 또는 오수정수화 시스템(100)으로서,
    상기 시스템(100)은 태양 에너지 집광집열장치 모듈(110)과 해수담수화 또는 오수정수화 장치(120)로 이뤄지며;
    상기 태양 에너지 집광집열장치 모듈(110)은 집광집열을 위한 반사경을 포함하고;
    상기 해수담수화 또는 오수정수화 장치(120)는:
    (a) 상기 장치의 상부에 냉각부(130)가 위치하며;
    (b) 상기 장치는 종방향의 파티션(140)으로 해수 또는 오수 영역(150)과 담수 또는 정수 영역(160)으로 나뉨에 있어, 상기 파티션(140)은 하부에서부터 종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냉각부(130)에 닿지 않으며;
    (c) 증발된 해수 또는 오수의 수증기의 응축이 일어나는 상기 냉각부의 하부 바깥면인 천정부(260)로서, 상기 천정부(260)는 상기 해수 또는 오수 영역(150) 및 상기 담수 또는 정수 영역(160)을 마주하고;
    (d) 상기 담수 또는 정수 영역의 반대편 해수 또는 오수 영역의 외부면에 반사경의 초점평면(170)이 위치하고;
    (e) 상기 반사경의 빛을 더 많이 수용하기 위해 상기 장치(120)의 해수 영역의 하부가 U-형태 또는 V-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초점평면(170)은 상기 집광집열장치 모듈의 초점거리에 위치하며;
    상기 초점평면에 집광집열된 에너지로부터 상기 해수 또는 오수 영역의 해수 또는 오수가 가열되어 증발되고 증발된 증기가 상기 천정부에서 응축되어 상기 기울어진 천정부에 따라 흘러 상기 담수 또는 정수 영역에 수집되는,
    시스템.
  14. 집열된 고밀도의 태양 에너지를 이용한 해수담수화 또는 오수정수화 시스템(100)으로서,
    상기 시스템(100)은 태양 에너지 집광집열장치 모듈(110); 해수담수화 또는 오수정수화 장치(120); 및 반사판(115)으로 이뤄지며;
    상기 태양 에너지 집광집열장치 모듈(110)은 집광집열을 위한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해수담수화 또는 오수정수화 장치(120)는:
    (a) 상기 장치의 상부에 냉각부(130)가 위치하며;
    (b) 상기 장치는 종방향의 파티션(140)으로 해수 또는 오수 영역(150)과 담수 또는 정수 영역(160)으로 나뉨에 있어, 상기 파티션(140)은 하부에서부터 종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냉각부(130)에 닿지 않으며;
    (c) 증발된 해수 또는 오수의 수증기의 응축이 일어나는 상기 냉각부의 하부 바깥면인 천정부(260)로서, 상기 천정부(260)는 상기 해수 또는 오수 영역(150) 및 상기 담수 또는 정수 영역(160)을 마주하고;
    (d) 상기 냉각부의 반대편 해수 또는 오수 영역의 외부면에 수광 평면(125)이 위치하고, 상기 수광 평면(125)은 요철을 가지며;
    (e) 상기 천정부는 상기 담수 또는 정수 영역 쪽으로 기울어져 있고;
    상기 반사판(115)은 상기 집광집열장치 모듈의 초점거리에 위치하며;
    상기 반사판(115)은 집광집열된 에너지를 수광 평면(125)에 반사하여 전달하고, 이 에너지로부터 상기 해수 또는 오수 영역의 해수 또는 오수가 가열되어 증발되고 증발된 증기가 상기 천정부에서 응축되어 상기 기울어진 천정부에 따라 흘러 상기 담수 또는 정수 영역에 수집되는,
    시스템.
KR20110115130A 2010-11-25 2011-11-07 태양열에너지를 이용한 해수담수화 및 오수정수화 장치 KR1013095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115130A KR101309586B1 (ko) 2010-11-25 2011-11-07 태양열에너지를 이용한 해수담수화 및 오수정수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8071 2010-11-25
KR20100118071 2010-11-25
KR20110115130A KR101309586B1 (ko) 2010-11-25 2011-11-07 태양열에너지를 이용한 해수담수화 및 오수정수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6769A true KR20120056769A (ko) 2012-06-04
KR101309586B1 KR101309586B1 (ko) 2013-10-10

Family

ID=46608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0115130A KR101309586B1 (ko) 2010-11-25 2011-11-07 태양열에너지를 이용한 해수담수화 및 오수정수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95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16431A (zh) * 2013-02-28 2014-09-03 刘文晏 太阳能海水淡化装置
CN109179543A (zh) * 2018-10-17 2019-01-11 中国科学院工程热物理研究所 一种高效聚光太阳能海水淡化技术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5948A (en) 1975-12-08 1977-11-01 Kraus Robert A Solar thermal-radiation, absorption and conversion system
KR20100101325A (ko) * 2009-03-09 2010-09-17 김병준 태양열을 이용한 열교환기 및 난방장치
KR101022367B1 (ko) 2010-06-01 2011-03-22 주식회사 덕영엔지니어링 태양광 해수 담수화 장치
KR101024135B1 (ko) 2010-06-30 2011-03-22 김충현 태양에너지 집열집광장치 및 이를 구비한 태양열 모듈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16431A (zh) * 2013-02-28 2014-09-03 刘文晏 太阳能海水淡化装置
CN104016431B (zh) * 2013-02-28 2016-01-13 刘文晏 太阳能海水淡化装置
CN109179543A (zh) * 2018-10-17 2019-01-11 中国科学院工程热物理研究所 一种高效聚光太阳能海水淡化技术及系统
CN109179543B (zh) * 2018-10-17 2023-09-12 中国科学院工程热物理研究所 一种高效聚光太阳能海水淡化技术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9586B1 (ko) 2013-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afidz et al. Design and fabrication of a portable and hybrid solar-powered membrane distillation system
US4134393A (en) Solar energy collection
US20100275599A1 (en) Solar desalination system
US20030150704A1 (en) Portable water purifier
CN1931732A (zh) 淡水产生器
AU2015264360B2 (en) Multi-effect solar distillation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KR101702850B1 (ko) 독립형 태양광 해수담수화 모듈
CN202688029U (zh) 一种太阳能光热海水淡化装置
CN204873910U (zh) 一种基于吸光沸腾的太阳能海水淡化装置
WO2012070786A2 (ko) 태양열에너지를 이용한 해수담수화 및 오수정수화 장치
Deniz Solar-powered desalination
US4191594A (en) Solar energy conversion
US9517950B2 (en) Water purification systems and methods
KR101309586B1 (ko) 태양열에너지를 이용한 해수담수화 및 오수정수화 장치
Dehghan et al. Solar-driven water treatment: generation II technologies
JPWO2009044622A1 (ja) 太陽熱利用システム
JPS588881B2 (ja) 太陽熱利用の液体蒸留方法及び装置
JP2011027268A (ja) 高効率太陽光追尾集熱装置、淡水化装置、発電装置
US11505477B2 (en) Water desalinization systems
US11117814B2 (en) Water desalinization systems
Qaid et al. Water desalination by parabolic concentrator: A review
Kalogirou Concentrating solar power plants for electricity and desalinated water production
KR101721203B1 (ko) 태양열과 폐열을 이용한 담수장치
CN217025648U (zh) 一种适应于岛礁或海洋平台的太阳光聚能海水淡化装置
Al-Ghamdi et al. Solar desalination methods an d economics (litera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