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6764A - 라켓을 이용한 운동장치 - Google Patents

라켓을 이용한 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6764A
KR20120056764A KR1020110112466A KR20110112466A KR20120056764A KR 20120056764 A KR20120056764 A KR 20120056764A KR 1020110112466 A KR1020110112466 A KR 1020110112466A KR 20110112466 A KR20110112466 A KR 20110112466A KR 20120056764 A KR20120056764 A KR 201200567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et
voice
swing
exercise device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2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석배
Original Assignee
박석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석배 filed Critical 박석배
Priority to KR1020110112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56764A/ko
Priority to PCT/KR2011/009069 priority patent/WO2012070911A2/ko
Publication of KR20120056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67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46Measurement devices associated with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for measuring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e.g. baseball bats with impact indicators or bracelets for measuring the golf sw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10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40Accel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3Motion sens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니스나 배드민턴과 같은 운동용 라켓에 부착 또는 내장하거나 라켓을 쥔 팔목에 장착하여 사용하며, 임의의 좌우이동거리 및 임의의 라켓 스윙방향을 음성으로 출력하여주고, 이에 대응하여 동작한 사용자의 좌우이동거리 및 라켓스윙방향을 검출하여, 상기 음성 출력된 안내멘트 내용과 실제 사용자가 동작한 좌우이동거리 및 라켓이 스윙된 방향이 일치하면 "딱"하는 미션 성공을 의미하는 음향이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실제 공이나 셔틀콕을 치지 않더라도 테니스나 배드민턴과 같은 운동을 사용자 혼자서 수행할 수 있는 라켓을 이용한 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이동을 진동으로 감지하는 진동감지수단(110); 상기 라켓의 스윙 방향을 감지하는 방향감지수단(120); 다수개의 설정스위치를 구비하며, 게임시간과 게임모드를 설정하고, 게임 시작과 종료를 선택할 수 있는 키 신호를 발생하는 설정수단(130); 소정의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출력수단(140); 상기 설정수단(130)의 키 입력에 따른 표시를 수행하고 미션 성공회수를 표시하는 표시수단(150); 및 게임 시작 시, 좌우이동거리에 따른 숫자(N1)와, 라켓스윙방향에 따른 숫자(N2)를 임의로 생성하여 이를 순차적으로 음성 출력하며, 상기 숫자(N1) 및 숫자(N2)의 음성 출력 후, 일정시간 내에 상기 진동감지수단(110) 및 방향감지수단(120)으로 입력되는 진동정보 및 방향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검출된 진동정보 및 방향정보와 상기 음성 출력된 숫자(N1) 및 숫자(N2) 정보가 일치하면 미션 성공에 따른 음향을 소정형태로 출력하여 주고, 미션 성공에 따른 횟수를 누적 저장 및 표시하여 주는 제어수단(160)을 포함하여 된 것이다.

Description

라켓을 이용한 운동장치{Exercise device using racket}
본 발명은 테니스나 배드민턴과 같은 운동용 라켓에 부착 또는 내장하거나 라켓을 쥔 팔목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운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임의의 좌우이동거리 및 임의의 라켓 스윙방향을 음성으로 출력하여주고, 이에 대응하여 동작한 사용자의 좌우이동거리 및 라켓스윙방향을 검출하여, 상기 음성 출력된 안내멘트 내용과 실제 사용자가 동작한 좌우이동거리 및 라켓이 스윙된 방향이 일치하면 "딱"하는 미션 성공을 의미하는 음향이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실제 공이나 셔틀콕을 치지 않더라도 테니스나 배드민턴과 같은 운동을 사용자 혼자서 수행할 수 있는 라켓을 이용한 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드민턴이나 테니스와 같은 스포츠는 라켓을 가지고 상대방과 셔틀콕 또는 테니스볼을 이용하여 즐기게 되는 게임이다.
따라서 이러한 게임은 반드시 상대방이 있어야 게임을 할 수 있고, 비나 눈이 오는 경우에는 실내 경기장을 이용하지 않는 한 게임을 즐길 수 없었다.
특히 시각에 장애를 가진 자는 공이나 셔틀콕을 볼 수 없기 때문에 게임 자체를 즐길 수 없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혼자서도 게임을 즐길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게 되었고, 오랜 연구 끝에 마침내 본 발명을 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테니스나 배드민턴과 같은 운동용 라켓에 부착 또는 내장하거나 라켓을 쥔 팔목에 부착 고정하여 사용하며, 임의의 좌우이동거리 및 임의의 라켓 스윙방향을 음성으로 출력하여주고, 이에 대응하여 동작한 사용자의 좌우이동거리 및 라켓스윙방향을 검출하여, 상기 음성 출력된 안내멘트 내용과 실제 사용자가 동작한 좌우이동거리 및 라켓이 스윙된 방향이 일치하면 "딱"하는 미션 성공을 의미하는 음향이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실제 테니스공이나 셔틀콕을 치지 않더라도 테니스나 배드민턴과 같은 운동을 사용자 혼자서 수행할 수 있는 라켓을 이용한 운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운동용 라켓에 부착 또는 내장하거나 라켓을 쥔 팔목에 부착 고정하여 사용하며, 임의의 좌우이동거리를 음성으로 출력하여주고, 이에 대응하여 동작한 사용자의 이동거리만을 검출하여, 상기 음성 출력된 안내멘트 내용과 실제 사용자가 동작한 이동거리가 일치하면 이동방향이나 라켓스윙방향에 관계없이 "딱"하는 미션 성공을 의미하는 음향이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실제 테니스공이나 셔틀콕을 치지 않더라도 테니스나 배드민턴과 같은 운동을 사용자 혼자서 수행할 수 있는 라켓을 이용한 운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라켓스윙 위치를 8단계로 구분하고, 음성출력된 명령에 따라 상기 라켓이 스윙된 위치와 라켓이 스윙된 방향을 검출하여, 미션 성공여부를 판단하는 라켓을 이용한 운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배드민턴이나 테니스와 같은 운동용 라켓에 부착 또는 내장되거나, 라켓을 쥔 팔목에 부착 고정하여 사용하는 운동 장치로서, 사용자의 이동을 진동으로 감지하는 진동감지수단과; 상기 라켓의 스윙 방향을 감지하는 방향감지수단과; 다수개의 설정스위치를 구비하며, 게임시간과 게임모드를 설정하고, 게임 시작과 종료를 선택할 수 있는 키 신호를 발생하는 설정수단과; 소정의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출력수단과; 상기 설정수단의 키 입력에 따른 표시를 수행하고 미션 성공회수를 표시하는 표시수단; 및 게임 시작 시, 좌우이동거리에 따른 숫자(N1)와, 라켓스윙방향에 따른 숫자(N2)를 임의로 생성하여 이를 순차적으로 음성 출력하며, 상기 숫자(N1) 및 숫자(N2)의 음성 출력 후, 일정시간 내에 상기 진동감지수단 및 방향감지수단으로 입력되는 진동정보 및 방향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검출된 진동정보 및 방향정보와 상기 음성 출력된 숫자(N1) 및 숫자(N2) 정보가 일치하면 미션 성공에 따른 음향을 소정형태로 출력하여 주고, 미션 성공에 따른 횟수를 누적 저장 및 표시하여 주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배드민턴이나 테니스와 같은 운동용 라켓에 부착 또는 내장되거나, 라켓을 쥔 팔목에 부착 고정하여 사용하는 운동 장치로서, 사용자의 이동을 진동으로 감지하는 진동감지수단과; 다수개의 설정스위치를 구비하며, 게임시간과 게임모드를 설정하고, 게임 시작과 종료를 선택할 수 있는 키 신호를 발생하는 설정수단과; 소정의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출력수단과; 상기 설정수단의 키 입력에 따른 표시를 수행하고 미션 성공회수를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게임 시작 시, 좌우이동거리에 따른 음성 안내멘트(N3)를 임의로 생성하여 출력하며, 상기 음성 안내멘트(N3)의 출력 후, 일정시간 내에 상기 진동감지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진동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검출된 진동정보와 상기 음성 안내멘트에 따른 이동거리 정보가 일치하면 미션 성공에 따른 음향을 소정형태로 출력하여 주고, 미션 성공에 따른 횟수를 누적 저장 및 표시하여 주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배드민턴이나 테니스와 같은 운동용 라켓에 부착 또는 내장되거나, 라켓을 쥔 팔목에 부착 고정하여 사용하는 운동 장치로서, 사용자의 이동을 진동으로 감지하는 진동감지수단과; 상기 라켓이 스윙되는 위치를 8단계의 위치로 구분하여 검출하는 스윙위치감지수단과; 상기 라켓이 포핸드(forehand) 방향인지 백핸드(backhand) 방향으로 스윙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스윙방향감지수단과; 다수개의 설정스위치를 구비하며, 게임시간과 게임모드를 설정하고, 게임 시작과 종료를 선택할 수 있는 키 신호를 발생하는 설정수단과; 소정의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출력수단과; 상기 설정수단의 키 입력에 따른 표시를 수행하고 미션 성공회수를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게임 시작 시, 좌우이동거리에 따른 숫자(N1)와, 라켓 스윙위치에 따른 숫자(N4)를 임의로 생성하여 이를 순차적으로 음성 출력하며, 상기 숫자(N1) 및 숫자(N4)의 음성 출력 후, 일정시간 내에 상기 진동감지수단, 스윙위치감지수단 및 스윙방향감지수단으로 입력되는 진동정보, 위치 및 방향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검출된 진동정보, 위치 및 방향정보와 상기 음성 출력된 숫자(N1) 및 숫자(N4) 정보가 일치하면 미션 성공에 따른 음향을 소정형태로 출력하여 주고, 미션 성공에 따른 횟수를 누적 저장 및 표시하여 주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음성으로 출력되는 설정된 좌우이동거리 및 라켓 스윙 방향 안내멘트에 따라 실제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고 라켓을 스윙했을 때 상기 설정된 좌우이동거리와 라켓이 스윙된 방향이 일치하면 "딱"하는 미션 성공을 의미하는 음향이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실제 테니스공이나 셔틀콕을 치지 않더라도 사용자 혼자서 테니스나 배드민턴과 같은 라켓을 쥐고 하는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각 장애를 가진 자도 테니스나 배드민턴을 즐길 수 있으며, 눈이나 비가 오는 날씨에도 실내 운동장이 아닌 일반 가정이나 실내에서 게임을 즐길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혼자서 게임하는 단일모드 이외에 대결모드를 선택하면 2명이서 셔틀콕을 사용하지 않고 게임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도 가지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라켓을 이용한 운동장치의 외형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시예에 따른 라켓을 이용한 운동장치의 외형 구성의 다른 예,
도 3은 본 발명 제1 실시예에 따른 라켓을 이용한 운동장치의 제어 블록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좌우이동거리 및 라켓위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 제1 실시예에 따른 라켓을 이용한 운동장치의 제어 흐름도,
도 6a 내지 6d는 본 발명 제1 실시예에 따른 방향감지수단에 적용되는 방향감지센서의 일실시예,
도 7은 본 발명 제1 실시예에 따른 방향감지수단에 적용되는 방향감지센서의 다른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 제1 실시예에 따른 방향감지수단에 적용되는 방향감지센서의 또 다른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 제2 실시예에 따른 라켓을 이용한 운동장치의 제어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 제2 실시예에 따른 라켓을 이용한 운동장치의 제어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 제3 실시예에 따른 라켓을 이용한 운동장치의 제어 블록도,
도 12는 본 발명 제3 실시예에 따른 라켓스윙 위치를 구분하는 개념도,
도 13은 본 발명 제3 실시예에 따른 스윙위치감지센서의 일실시예,
도 14는 상기 도 13의 평면 구성도,
도 15는 상기 도 13의 동작 설명도,
도 16은 본 발명 제3 실시예에 따른 스윙위치감지센서의 다른 실시예,
도 17 및 도 18은 상기 도 16의 감지부의 구성도,
도 19는 상기 도 16의 동작 설명도,
도 20은 본 발명 제3 실시예에 따른 스윙방향감지센서의 실시예,
도 21은 상기 도 20의 스윙방향감지센서의 제1센서의 상세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제1실시 예에 따른 라켓을 이용한 운동장치의 외형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라켓을 이용한 운동장치(10)는,
본체(11)와, 상기 본체(11)에 일체로 연결되는 밴드(12)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1)에는 게임시간과 게임모드, 그리고 시작과 종료를 선택하는 설정스위치(14)들과, 상기 설정 스위치(14)의 키 입력에 따른 표시를 수행하고 성공회수를 표시하는 표시창(13)이 포함된다.
상기 밴드(12)는 사용자가 테니스나 배드민턴 라켓을 잡는 측 팔목부위에 착용되며, 상기 팔목에 착용되면 단단히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후술하겠지만, 상기 운동장치(10)의 내부에는 음성출력을 수행하는 스피커와, 사용자의 이동을 감지하는 수단과 라켓을 휘둘렀을 때 라켓의 스윙 방향를 감지하는 수단이 더 포함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라켓을 이용한 운동장치의 외형구성의 다른 예로,
본 발명 운동장치(10A)는 라켓(20)에 장착되거나 또는 라켓(20)의 소정부위에 내장되도록 구성할 수 도 있다.
이는 본 발명 기술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함을 예시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라켓을 이용한 운동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라켓을 이용한 운동 장치는,
진동감지수단(110), 방향감지수단(120), 설정수단(130), 음성출력수단(140), 표시수단(150) 및 제어수단(160)을 포함한다.
상기 진동감지수단(110)은 사용자의 이동을 감지하는 수단으로, 사용자의 움직임을 진동으로 감지한다.
도 4a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발걸음을 띠며 이동했을 때, 한 걸음 단위로 이동하는 것을 진동으로 감지하여 몇 걸음을 이동했는지 숫자로 인식할 수 있게 하여준다.
좌측인지 우측인지 방향 인식은 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사용자가 우측으로 세 걸음 이동했다면, 3번의 진동이 상기 진동감지수단(110)에 가해지게 되고, 이때 상기 진동감지수단(110)은 3번의 진동을 감지하게 된다.
상기 진동감지수단(110)은 이미 알려진 만보기 등에 내장된 진동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방향감지수단(120)은 방향을 감지하는 수단으로, 라켓(20)이 스윙된 방향을 감지한다.
상기 방향감지수단(120)은 위치감지수단(121) 및 속도감지수단(122)을 포함한다.
상기 위치감지수단(121)은 라켓(20)의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속도감지수단(122)은 라켓(20)의 스윙속도를 감지하여 라켓의 스윙 여부를 감지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라켓이 스윙될 위치를 12단계로 구분한다.
도 4b에서와 같이, 1시부터 12시 방향으로 라켓의 스윙위치를 설정하고, 12시에서 6시 방향까지는 오른손으로 라켓을 쥐었을 때 오른쪽으로 이동하면서 스윙하게 되는 범위로 지정하고, 7시부터 11시 방향은 오른손으로 라켓을 쥐었을 때 왼쪽으로 이동하면서 백스윙하게 되는 범위로 지정한다.
위 기술한 범위(12시~6시방향, 7시~11시방향)는 일례의 범위로, 이는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위치감지수단(121)은 스윙될 방향에 따른 라켓 위치(1시~12시방향 중의 하나)를 검출하게 된다.
상기 위치감지수단(121)은 일례로 자이로(Gyro)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속도감지수단(122)은 라켓(20)의 스윙속도를 감지하는 것으로, 스윙될 방향에 라켓이 위치하고, 실제 스윙동작(전진)이 있었는지를 라켓의 움직임(속도)으로 검출하게 된다.
상기 속도감지수단(122)는 일례로 가속도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결국, 상기 방향감지수단(120)은 자이로센서 및 가속도센서를 조합하여 스윙된 라켓이 방향(위치)과 스윙여부를 검출하게 된다.
상기 설정수단(130)은 다수개의 설정스위치를 구비하며, 게임시간과 게임모드를 설정하고, 게임 시작과 종료를 선택할 수 있는 키 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음성출력수단(140)은 소정의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로,
게임 시작 시 제어수단(160)의 제어에 의해 좌우이동거리에 대한 숫자(걸음 수)와 라켓 스윙 위치 숫자(시계방향)를 음성으로 출력하고, 좌우이동거리 및 라켓스윙위치가 일치하여 성공하면 "딱"하는 미션 성공을 의미하는 음향을 출력한다.
상기 표시수단(150)은 상기 설정수단(130)의 키 입력에 따른 표시를 수행하고 미션 성공회수를 표시하는 것으로, LED나 LCD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수단(160)은 게임 시작 시, 좌우이동거리에 따른 숫자(N1)와, 라켓스윙방향에 따른 숫자(N2)를 생성한다.
상기 좌우이동거리에 따른 숫자(N1)는 사용자가 라켓을 들고 왼쪽 또는 우측으로 이동할 수 있는 걸음 숫자이며, 그 범위는 일례로 0 내지 4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N1이 '2'면, 두 걸음 이동하라는 것이 된다.
상기 라켓스윙방향에 따른 숫자(N2)는 사용자가 쥔 라켓이 스윙되는 방향을 나타내는 시계 방향 숫자이며, 그 범위는 일례로 1시 방향에서 12시 방향, 즉 12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N2가 '3'이면, 3시 방향으로 라켓을 스윙하라는 것이 된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160)은 상기 좌우이동거리에 따른 숫자(N1) 및 라켓스윙방향에 따른 숫자(N2)를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임의의 값으로 생성하고, 또 이 숫자(N1)(N2)들을 순차적으로 음성 출력하여 준다.
예를 들어 "삼", "오" 라고 출력하면, 사용자가 우측으로 3걸음 이동한 후, 5시 방향으로 라켓을 스윙하라는 의미를 내포한다.
또한, "이", "구"라고 출력하면, 사용자가 좌측으로 2걸음 이동한 후, 9시 방향으로 라켓을 스윙하라는 의미를 내포한다.
여기서 N2 숫자가 12에서 6인 경우에는 우측으로 이동하고, 7에서 11인 경우에는 좌측으로 이동하라는 의미인데, 이는 오른손으로 라켓을 쥔 사용자가 우측으로 이동할 때에는 정상 스윙을 하고, 좌측으로 이동할 때에는 백스윙을 하는 것을 기본으로 설정한 것이다. 이러한 기준은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설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160)은 상기와 같은 N1,N2 숫자의 음성 출력 후, 일정시간 내에 상기 진동감지수단(110) 및 방향감지수단(120)으로 입력되는 진동정보(좌우이동거리) 및 방향정보(라켓스윙위치)를 검출하여 상기 입력된 진동정보 및 방향정보와 출력된 N1 및 N2의 정보가 일치하면 미션 성공에 따른 음향을 소정형태('딱'소리)로 출력하여 주고, 미션 성공에 따른 횟수를 누적 저장 및 표시하여 준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160)은 상기 좌우이동거리에 따른 숫자(N1) 및 라켓스윙방향에 따른 숫자(N2)의 음성 출력 제어시, 그 순서를 "N2,N1"으로 출력할 수 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160)은 상기 좌우이동거리에 따른 숫자(N1) 및 라켓스윙방향에 따른 숫자(N2)의 음성 출력 시, 이 숫자(N1,N2)를 표시수단(150)을 통해서도 출력하여 준다.
이는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상기 숫자(N1,N2)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5는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라켓을 이용한 운동장치의 제어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라켓을 이용한 운동장치의 제어방법은,
게임모드 및 게임시간을 설정하는 과정(S10)과, 단일모드 게임으로 선택한 경우 좌우이동거리에 따른 숫자(N1)와 라켓 스윙방향에 따른 숫자(N2)를 임의로 생성하여 연속적으로 음성( 및/또는 숫자표시) 출력하는 과정(S11)과, 사용자가 이동한 거리에 따른 진동 및 라켓 스윙 방향을 검출하는 과정(S12)과, 상기 N1 및 N2 숫자와 검출된 이동거리 및 라켓 스윙 방향이 일치하는 가를 판단하는 과정(S13)과, 상기 판단과정(S13)에서 상기 N1 및 N2 숫자와 검출된 이동거리 및 라켓 스윙 방향이 일치하면 미션 성공에 따른 소정의 음향출력을 수행하는 과정(S14)과, 미션 성공 횟수를 누적 저장하고 이를 표시하는 과정(S15)과, 상기 판단과정(S13)에서 상기 N1 및 N2 숫자와 검출된 이동거리 및 라켓 스윙 방향이 일치하지 않거나, 상기 과정(S15) 이후에는 설정된 게임시간이 경과하였는가를 판단하는 과정(S16)과, 상기 판단과정(S16)에서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지 않았다면 상기 과정(S11)으로 리턴하고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었다면 프로그램 종료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대결모드과정(S20)은, 사용자 2명이서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제어방법은 단일모드 게임과정과 동일하나, 다른 점은 대결모드의 경우, 일측의 운동장치에서 1회의 기능이 종료되면, 즉 N1 및 N2 음성출력과 감지된 신호를 비교하여 미션 성공여부를 확인하는 1회의 과정이 종료되면, 일정시간(예: 5초) 또는 불규칙한 시간 간격을 둔 다음, 그 다음 1회의 기능이 다시 시작되도록 함으로써, 마치 2명이서 셔틀콕을 실제로 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주게되는 제어방법이다.
이는 다른 측 운동 장치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체 동작을 이하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도 1 이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라켓을 이용한 운동장치(10)(10A)를 라켓을 잡을 팔목에 착용하거나 라켓에 내장 또는 부착 고정한다.
그리고 설정수단(130)에 구비된 설정스위치를 이용하여 게임시간과 게임모드를 설정하고, 게임 시작 신호를 제어수단(160)으로 입력하여 준다.(S10 과정)
이와 같은, 게임시간과 게임모드(여기에서는 단일모드게임으로 설명함) 설정신호 및 게임 시작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수단(160)은 좌우이동거리에 따른 숫자(N1)와 라켓 스윙방향에 따른 숫자(N2)를 임의적으로 생성하고 이를 음성출력수단(140)을 통해서는 음성으로, 표시수단(150)을 통해서는 숫자로 출력하여 준다.(S11과정)
예를 들어, N1 및 N2가 "3", "5"로 생성된 경우, 상기 음성출력수단(140)은 "3(삼)", "5(오)"를 음성으로 출력하고, 상기 표시수단(150)은 숫자 "3"과 "5"를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여 준다.
이때 사용자는 이 내용이, 우측으로 3걸음 이동한 후, 5시 방향으로 라켓을 스윙하라는 의미로 인지하며, 실제 우측으로 3걸음 이동 한 후, 그 위치에서 라켓의 스윙 방향을 5시 방향에 맞추어 스윙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수단(160)은 진동감지수단(110)을 통해 입력된 진동의 개수, 즉 이동거리(숫자)를 검출하고, 방향감지수단(120)을 통해서 입력된 라켓 스윙 위치(방향) 및 동작을 검출하게 된다.(S12과정)
이때의 과정은, 상기 방향감지수단(120)의 위치감지수단(121)으로부터 라켓의 방향, 즉 위치(5시 방향)를 검출하고, 이어 속도감지수단(122)을 통해 라켓이 스윙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판단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N1 및 N2 숫자와 검출된 이동거리 및 라켓 스윙 방향이 일치하면, 즉 사용자가 출력된 N1 및 N2 숫자에 일치하도록 동작이 이루어 졌으면, 상기 제어수단(160)은 음성출력수단(140)을 통해 미션 성공에 따른 소정의 음향("딱"소리)이 출력되도록 하여준다.(S13,S14과정)
그리고 미션 성공에 따른 성공 횟수를 누적 저장하고 이를 표시수단(150)으로 표시하여 준다.(S15 과정)
그러나 상기 N1 및 N2 숫자와 검출된 이동거리 및 라켓 스윙 방향이 일치하지 아니하면, 즉 사용자가 출력된 N1 및 N2 숫자에 일치하도록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때에는, 상기 제어수단(160)은 음성출력수단(140)을 통해 어떤 음성 출력도 하지 않거나, 에러신호(에러음성멘트 또는 에러표시)를 출력하여 준다.
이후, 상기 제어수단(160)은 설정된 게임시간이 경과하였는가를 판단하여, 설정된 게임시간이 경과되었다면, 게임을 종료하고 미션 성공된 누적 횟수를 표시수단으로 출력하여 준다.(S16 과정)
도 6a 내지 6d는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방향감지수단(120)에 적용되는 방향감지센서(200)의 일실시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방향감지수단(120)에 적용되는 방향감지센서(200)는,
상부판(210)과 하부판(220), 상기 상부판(210) 및 하부판(220) 사이의 중앙에 연결 설치되는 감지부(2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판(210)과 하부판(220)은 도 1에 도시된 본체(11)의 상부 및 하부판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상부판(210)은 7시 방향에서 11시 방향부위 2개씩 쌍을 이룬 상부접점(211)이 일정간격을 이루도독 형성되고, 중앙에는 감지부(230)의 힌지축(231)이 삽입되는 힌지턱(21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판(220)도 12시 방향에서 6시 방향부위 2개씩 쌍을 이룬 하부접점(221)이 일정간격을 이루도독 형성되고, 중앙에는 감지부(230)의 힌지축(231)이 삽입되는 힌지턱(222)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판(210)에 형성된 상부접점(211)과 하부판(220)에 형성된 하부접점(221)은 도 6b에서와 같이 같은 방향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감지부(230)는 도 6c에서와 같이 상기 상부판(210) 및 하부판(220)의 힌지턱(212)(222)에 삽입되어 회전되는 힌지축(231)과, 상기 힌지축(231)의 중앙에 길게 형성된 절개공(232)에 삽입되어 힌지핀(234)으로 고정되는 통전부(233)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감지부(230)의 힌지축(231)은 상기 상부판(210) 및 하부판(220)의 사이에서 회전되며, 동시에 통전부(233)도 연동 회전한다. 또한 상기 통전부(233)는 전류가 흐를 수 있는 전도체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힌지축(231) 사이에 절개된 절개공(233) 내부에서 상하 회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판(210) 및 하부판(220)의 상부접점(211) 및 하부접점(221)은 일종의 스위치 기능을 하는 것으로, 상기 감지부(230)의 통전부(233)가 접촉되면 도 6b 및 6d에서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접점들이 통전부(233)에 의해 통전되어 전류가 흐름으로써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통전부(233)는 상부판(210)의 상부접점(211)에 접속되거나, 하부판(220)의 하부접점(221)에 접속되어 진다.
따라서 이의 동작을 살펴보면, 상기 방향감지센서(200)는 본 발명 운동장치의 내장되되, 상기 운동장치(10)는 일정한 형태(위치)로 부착(라켓 또는 사용자의 팔목)되어, 라켓을 쥐고 사용자가 도 4b와 같이 방향을 바꿀 때, 감지부(230)의 통전부(233)는 상부판(210) 및 하부판(220)에 형성된 상하부접점(211)(221)의 해당 방향 접점에 위치(중력에 의해)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원리로,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음성출력수단(120)으로부터 출력되는 N1 및 N2 숫자 음성멘트에 따라 일정거리 이동한 후, 라켓을 해당 위치(시계 방향)로 스윙할 때, 상기 방향감지센서(200)의 상부판(210) 및 하부판(220)이 이동하여 감지부(230)의 통전부(231)가 해당 방향의 접점을 부위에 위치하게 되며, 이때 라켓의 스윙방향, 즉 정상 스윙이나 백스윙이냐에 따라 상기 감지부(230)의 통전부(233)는 상부판(210)의 상부접점(211)에 접속되거나, 하부판(220)의 하부접점(221)에 접속된다.
여기서 정상 스윙일때에는 12시방향에서 6시 방향에 해당하는 하부판(220)의 하부접점(221)에 중 하나에 상기 감지부(230)의 통전부(233)가 접촉되고, 백스윙일때에는 반대로(라켓 스윙방향에 반대이므로) 7시방향에서 11시 방향에 해당하는 상부판(210)의 상부접점(211)에 중 하나에 상기 감지부(230)의 통전부(233)가 접촉된다.
따라서 이의 접촉을 통해 라켓이 스윙된 방향(위치)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방향감지수단에 적용되는 방향감지센서의 다른 실시예로, 상기 본 발명 일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되,
다만 다른 점은, 상부판(210)의 상부접점(211A)과, 하부판(220)의 하부접점(221A)이 한 쌍의 접점으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접점으로 구성되고, 감지부(230)의 통전부(233)를 통해 서로 접촉하는 것으로, 스위치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통전부(233)와 상하부 접점(211A)(221A)은 접촉으로 통전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방향감지수단에 적용되는 방향감지센서의 또 다른 실시 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방향감지센서는 감지부의 구성을 변형한 것이다.
상기 감지부(240)는, 상부판(210) 및 하부판(220)의 힌지턱(212)(222)에 삽입되어 회전되는 힌지축(241)과, 상기 힌지축(241)의 중앙에 관통되어 고정되는 볼트 고정부(242)와, 상기 볼트 고정부(242)의 선단부에 결합된 탄성부재(243)를 통해 고정 설치되는 통전추(244)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감지부(240)의 힌지축(241)은 상기 상부판(210) 및 하부판(220)의 사이에서 회전되며, 동시에 통전추(244)도 연동하여 회전한다. 또한 상기 통전추(244)는 전류가 흐를 수 있는 전도체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탄성부재(243)에 의해 상하로 자유롭게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상기 통전추(244)는 라켓 스윙 위치에 따라 회전되어, 해당되는 상부판(210)의 상부접점(211)에 접속되거나, 하부판(220)의 하부접점(221)에 접속되어 통전시킴으로서, 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여주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라켓을 이용한 운동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라켓을 이용한 운동장치는,
진동감지수단(110), 설정수단(130), 음성출력수단(140), 표시수단(150) 및 제어수단(160A)을 포함한다.
본 발명 제 2실시예의 구성은 본 발명 제1실시예에 구성된 방향감지수단(120)이 결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먼저, 상기 진동감지수단(110)은 사용자의 움직임을 진동으로 감지하며, 진동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설정수단(130)은 다수개의 설정스위치를 구비하며, 게임시간과 게임모드를 설정하고, 게임 시작과 종료를 선택할 수 있는 키 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음성출력수단(140)은 소정의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로, 게임 시작 시 제어수단(160A)의 제어에 의해 좌측 또는 우측 이동거리에 대한 숫자(걸음 수)를 음성으로 출력하고, 이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동작한 좌우이동거리가 일치하면 "딱"하는 미션 성공을 의미하는 음향을 출력한다.
상기 표시수단(150)은 상기 설정수단(130)의 키 입력에 따른 표시를 수행하고 미션 성공회수를 표시하는 것으로, LED나 LCD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수단(160A)은 게임 시작 시, 좌우이동거리에 따른 음성 안내멘트(N3)를 생성한다.
상기 좌우이동거리에 따른 음성 안내멘트(N3)는 사용자가 라켓을 들고 왼쪽 또는 우측으로 몇 걸음 이동하도록 알려주는 음성으로, 방향을 나타내는 제1음성과 이동할 걸음숫자를 나타내는 제2음성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음성은 '우', 또는 '좌'로 구성되고, 상기 제2음성은 0,1,2,3...'과 같은 자연수 중의 하나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음성 안내멘트(N3)의 제1음성이 '우'고, 제2음성이 '3'이면, 즉 음성 안내멘트(N3)가 "우 삼(3)'으로 출력되면, 우측으로 세 걸음 이동하라는 의미가 된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160A)은 상기 좌우이동거리에 따른 음성 안내멘트(N3)를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임의의 값으로 생성하고, 또 제1음성 및 제2음성의 출력순서를 바꾸어 출력할 수 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160A)은 상기와 같은 음성 안내멘트(N3) 출력 후, 일정시간 내에 상기 진동감지수단(110)으로부터 입력되는 진동정보(이동거리)를 검출하여 상기 입력된 진동정보와 출력된 음성 안내멘트(N3)의 정보가 일치하면 미션 성공에 따른 음향을 소정형태('딱'소리)로 출력하여 주고, 미션 성공에 따른 횟수를 누적 저장 및 표시하여 준다.
여기서 상기 제어수단(160A)은, 음성 안내멘트(N3)로는 좌측 또는 우측을 나타내는 제1음성을 출력하여 주나, 실제 진동감지수단(110)을 통해 입력되는 진동신호에는 방향을 감지할 수 있는 기능이 없어, 상기 진동감지수단(120)을 통해서는 제2음성에 따른 이동 걸음수 만을 판단하게 된다.
이 점이 본 발명 제2실시예와 제1실시예와의 차이점이 된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160A)은 상기 좌우이동거리에 따른 음성 안내멘트(N3) 출력 시, 제1음성 및 제2음성에 따른 문자 및 숫자를 표시수단(150)을 통해서도 출력하여 준다. 이는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상기 음성 안내멘트(N3)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자면, 상기 음성 안내멘트(N3)는 남자 또는 여자목소리로 출력되는 단일개의 숫자음성인 제3음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남자목소리는 우측을 암시하고, 여자목소리는 좌측을 암시하는 것으로 이용되며, 숫자는 이동 걸음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3음성이 남자목소리로 '이(2)'가 출력되면 우측으로 2걸음 이동하라는 의미이고, 여자목소리로 '사(4)'가 출력되면 좌측으로 4걸음 이동하라는 의미가 된다.
또한 상기 남자목소리나 여자목소리가 가리키는 방향은, 즉 우측방향 또는 좌측방향은 서로 변경될 수 있으며, 상기 남자 목소리와 여자 목소리의 구분은 성별이 확연히 구분될 수 있는 주파수의 음성으로 출력한다.
도 10은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라켓을 이용한 운동장치의 제어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라켓을 이용한 운동장치의 제어방법은,
게임모드 및 게임시간을 설정하는 과정(S30)과, 단일모드 게임으로 선택한 경우 좌우이동거리에 따른 음성 안내멘트(N3)를 임의로 생성하여 출력하는 과정(S31)과, 사용자가 이동한 거리에 따른 진동을 검출하는 과정(S32)과, 상기 출력된 음성 안내멘트(N3)에 따른 거리와 검출된 이동거리가 일치하는 가를 판단하는 과정(S33)과, 상기 판단과정(S33)에서 상기 음성 안내멘트(N3)의 거리와 검출된 이동거리가 일치하면 일정시간을 카운트하여 대기하는 과정(S34)과, 상기 과정(S34) 후에 미션 성공에 따른 소정의 음향출력을 수행하는 과정(S35)과, 미션 성공 횟수를 누적 저장하고 이를 표시하는 과정(S36)과, 상기 판단과정(S33)에서 상기 음성 안내멘트(N3)의 거리와 검출된 이동거리가 일치하지 않거나 상기 과정(S36) 이후, 설정된 게임시간이 경과하였는가를 판단하는 과정(S37)과, 상기 판단과정(S37)에서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지 않았다면 상기 과정(S31)으로 리턴하고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었다면 프로그램 종료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대결모드과정(S40)은, 사용자 2명이서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제어방법은 단일모드 게임과정과 동일하나, 다른 점은 대결모드의 경우, 일측의 운동장치에서 1회의 기능이 종료되면, 즉 음성 안내멘트(N3) 출력과 감지된 신호를 비교하여 미션 성공여부를 확인하는 1회의 과정이 종료되면, 일정시간(예: 5초) 또는 불규칙한 시간 간격을 둔 다음, 그 다음 1회의 기능이 다시 시작되도록 함으로써, 마치 2명이서 게임을 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주게 되는 과정이다.
이는 상대방 운동 장치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체 동작을 이하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도 1 이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라켓을 이용한 운동장치(10) 또는 운동장치(10A)를 라켓을 잡을 팔목에 착용하거나 라켓에 내장 또는 부착 고정한다.
그리고 설정수단(130)에 구비된 설정스위치를 이용하여 게임시간과 게임모드를 설정하고, 게임 시작 신호를 제어수단(160A)으로 입력하여 준다.(S30 과정)
이와 같은, 게임시간과 게임모드(여기에서는 단일모드게임으로 설명함) 설정신호 및 게임 시작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수단(160A)은 좌우이동거리에 따른 음성 안내멘트(N3)를 임의적으로 생성하고 이를 음성출력수단(140)을 통해서는 음성으로, 표시수단(150)을 통해서는 숫자로 출력하여 준다.(S31과정)
예를 들어, 상기 음성 안내멘트(N3)의 제1음성이 '좌', 제2음성이 '오(5)'로 생성된 경우, 상기 음성출력수단(140)은 "좌", "오"를 음성으로 출력하고, 상기 표시수단(150)은 문자 "좌"과 "5"를 디스플레이하여 준다.
이때 사용자는 이 내용이, 우측으로 5걸음 이동한 후, 라켓을 스윙하라는 의미로 인지하며, 실제 우측으로 5걸음 이동 한 후, 그 위치에서 라켓의 스윙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수단(160A)은 진동감지수단(110)을 통해 입력된 진동의 개수, 즉 이동거리(숫자)를 검출하게 된다.(S32과정)
이때, 상기 진동감지수단(110)으로부터 검출된 이동거리와, 상기 음성 안내멘트(N3)의 제2음성인 숫자(거리)가 일치하면, 즉 사용자가 상기 음성 안내멘트(N3)에 따라 사실상 좌측 또는 우측에 관계없이 걸음수가 일치하도록 동작이 이루어 졌으면, 일정시간 경과(예를 들어 약 1초) 후, 상기 제어수단(160A)은 음성출력수단(140)을 통해 미션 성공에 따른 소정의 음향("딱"소리)이 출력되도록 하여준다.(S33~S35과정)
여기서 상기 일정시간의 경과 후(S34 과정), 미션 성공 음향을 출력하는 이유는 사용자가 좌우로 이동한 후, 라켓을 스윙하는 타이밍을 맞추기 위한 시간 간격이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160A)은 미션 성공에 따른 성공 횟수를 누적 저장하고 이를 표시수단(150)으로 표시하여 준다.(S36 과정)
그러나 음성 안내멘트(N3)에 따른 거리와 검출된 이동거리가 일치하지 아니하면, 즉 사용자가 출력된 음성 안내멘트(N3)에 일치하도록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때에는, 상기 제어수단(160A)은 음성출력수단(140)을 통해 어떤 음성 출력도 하지 않거나, 에러신호(에러음성멘트 또는 에러표시)를 출력하여 준다.
이후, 상기 제어수단(160A)은 설정된 게임시간이 경과하였는가를 판단하여, 설정된 게임시간이 경과되었다면, 게임을 종료하고 미션 성공된 누적 횟수를 표시수단(150)으로 출력하여 준다.(S37 과정)
도 11은 본 발명 제3 실시예에 따른 라켓을 이용한 운동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제3 실시예에 따른 라켓을 이용한 운동장치는,
진동감지수단(110), 스윙위치감지수단(121A), 스윙방향감지수단(122A), 설정수단(130), 음성출력수단(140), 표시수단(150) 및 제어수단(160B)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진동감지수단(110), 설정수단(130), 음성출력수단(140) 및 표시수단(150)은 전술한 본 발명 제1 및 제2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다.
상기 스윙위치감지수단(121A)은 라켓이 스윙되는 위치를 검출하는 장치로, 본 발명 제3실시 예에서는 8단계로 구분하여 스윙위치를 검출한다.
상기 스윙방향감지수단(122A)은 라켓이 스윙되는 방향, 즉 포핸드(forehand) 방향으로 스윙되었는지, 백핸드(backhand) 방향으로 스윙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한다.
본 발명 제3 실시 예에서는 상기 라켓의 스윙 위치를 8단계로 구분한다.
도 12에서와 같이, 12시 방향을 "1"방향, 1시와 2시 사이의 방향을 "2"방향, 3시 방향을 "3"방향, 4시와 5시 사이의 방향을 "4"방향, 6시 방향을 "5"방향, 7시와 8시 사이의 방향을 "6"방향, 9시 방향을 "7"방향, 10시와 11시 사이의 방향을 "8"방향으로 지정한다.
여기서 "1"방향 및 "5"방향을 제외하고, 2방향과 8방향, 3방향과 7방향, 4방향과 6방향은 각각 포핸드 스윙 또는 백핸드 스윙에 따라 동일한 위치에 해당된다.
상기 제어수단(160B)은 게임 시작 시, 좌우이동거리에 따른 숫자(N1)와, 라켓스윙위치에 따른 숫자(N4)를 생성한다.
상기 좌우이동거리에 따른 숫자(N1)는 사용자가 라켓을 들고 왼쪽 또는 우측으로 이동할 수 있는 걸음 숫자이며, 그 범위는 일례로 0 내지 4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N1이 '2'면, 두 걸음 이동하라는 것이 된다.
상기 라켓스윙위치에 따른 숫자(N4)는 사용자가 쥔 라켓이 스윙되는 위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8단계 위치 중의 하나가 된다.
예를 들어 N4가 '4'이면, 4방향(4시와 5시 사이방향)으로 라켓을 스윙하라는 것이 된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160B)은 상기 좌우이동거리에 따른 숫자(N1) 및 라켓스윙위치에 따른 숫자(N4)를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임의의 값으로 생성하고, 또 이 숫자(N1)(N4)들을 순차적으로 음성 출력하여 준다.
예를 들어 "삼", "칠"이라고 출력하면, 사용자가 좌측으로 3걸음 이동한 후, 7방향(9시방향)으로 라켓을 스윙하라는 의미를 내포한다.
또한, "이", "이"라고 출력하면, 사용자가 우측으로 2걸음 이동한 후, 2방향(1시와 2시 사이)방향으로 라켓을 스윙하라는 의미를 내포한다.
여기서 N4 숫자가 1,2,3,4,5인 경우에는 우측으로 이동하고, 5,6,7,8,1인 경우에는 좌측으로 이동하라는 의미(여기서 1과 5는 우측 또는 좌측 관계없이 공통되다)는데, 이는 오른손으로 라켓을 쥔 사용자가 우측으로 이동할 때에는 포핸드 스윙을 하고, 좌측으로 이동할 때에는 백핸드 스윙을 하는 것을 기본으로 설정한 것이다. 이러한 기준은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설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160)은 상기와 같은 N1,N4 숫자의 음성 출력 후, 일정시간 내에 상기 진동감지수단(110), 스윙위치감지수단(121A) 및 스윙방향감지수단(122A)으로 입력되는 진동정보(좌우이동거리), 스윙위치 및 스윙방향(포핸드 또는 백핸드)을 검출하여 상기 입력된 진동정보 및 스윙위치정보와 출력된 N1 및 N4의 정보가 일치하면 미션 성공에 따른 음향을 소정형태('딱'소리)로 출력하여 주고, 미션 성공에 따른 횟수를 누적 저장 및 표시하여 준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160B)은 상기 좌우이동거리에 따른 숫자(N1) 및 라켓스윙위치에 따른 숫자(N4)의 음성 출력 시, 이 숫자(N1,N4)를 표시수단(150)을 통해서도 출력하여 준다.
이는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상기 숫자(N1,N4)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르자면, 상기 제어수단(160B)에는 무선송수신부(170)가 더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무선송수신부(170)는 본 발명 라켓을 이용한 운동장치를 이용하여 2명이서 게임모드를 수행할 때, 수행되는 구성요소이다.
즉 일측의 라켓을 이용한 운동장치로부터 동작 미션이 완료되면, 이 완료된 상태정보를 제어수단(160B)이 무선송수신부(170)를 통해 상대방측 운동장치로 무선 전송하여준다.
상대방측 운동 장치에서는 상기 상태정보를 수신 받아 동작 미션을 수행하고, 다시 미션 완료된 상태 정보를 보내오면, 이를 무선송수신부(170)를 통해 수신하여, 교대로 게임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무선송수신부(170)는 RF무선통신, Wi-Fi무선통신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 제3 실시예에 따른 스윙위치감지수단(121A)에 적용되는 스윙위치감지센서(300)의 일실시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스윙위치감지수단(121A)에 적용되는 스윙위치감지센서(300)는,
상부판(310)과 하부판(320), 상기 상부판(310) 및 하부판(320) 사이의 중앙에 연결 설치되는 격판(330)과, 상기 격판(330)에 내장되어 유동되도록 구성되는 다수개의 금속구슬(34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판(310)과 하부판(320)은 도 1에 도시된 본체(11)의 상부 및 하부판이 될 수 있다.
상기 격판(330)은 절연체인 원형의 테두리부(331)와, 상기 테두리부(331)의 내측 공간을 등간격(72ㅀ)으로 5등분하여 구획 설치된 전도체 재질의 구획판(332)과,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구획판(332)을 지지하는 절연부(333)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전도체인 구획판(332)은 일측이 테두리부(331)의 외부의 돌출되어 전선(335)과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구획판(332)에 의해 형성되는 각 영역인 제1구획부(351) 내지 제5구획부(355) 내에는 각각 금속구슬(340)이 위치하고, 이 금속구슬(340)은 스윙위치감지센서(300)의 움직임에 의해 유동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윙위치감지센서(300)는 이 센서의 움직임에 따라 금속구슬(340)이 이동되는 데, 상기 금속구슬이 인접한 구획판(332) 사이를 동시에 접촉하게 되면 인접한 구획판(332)과 구획판(332)이 서로 통전되어 금속구슬(340)에 의해 통전된 구획부(제1 내지 제5 구획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스윙위치감지센서(300)는 라켓이 스윙되는 위치를 8단계 위치로 감지한다.
즉 사용자가 라켓을 도 12의 1방향으로 위치하면 금속구슬(340)은 도 15의 (a)와 같이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금속구슬(340)은 제1구획부(351)를 이루는 인접 구획판들을 통전시켜 제어수단(150)은 이를 감지하게 된다.
또한, 라켓을 2방향으로 위치하면 금속구슬(340)은 도 15의 (b)와 같이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금속구슬(340)은 제1구획부(351)와 제5구획부(355)를 이루는 인접 구획판들을 통전시켜 제어수단(150)은 이를 감지하게 된다.
또한, 라켓을 3방향으로 위치하면 금속구슬(340)은 도 15의 (c)와 같이 위치하게 되어, 금속구슬(340)은 제1구획부(355)를 이루는 인접 구획판들을 통전시켜 제어수단(150)은 이를 감지하게 된다.
또한, 라켓을 4방향으로 위치하면 금속구슬(340)은 도 15의 (d)와 같이 위치하게 되어, 금속구슬(340)은 제4구획부(354)를 이루는 인접 구획판들을 통전시켜 제어수단(150)은 이를 감지하게 된다.
또한, 라켓을 5방향으로 위치하면 금속구슬(340)은 도 15의 (e)와 같이 위치하게 되어, 금속구슬(340)은 제3구획부(353)와 제4구획부(354)를 이루는 인접 구획판들을 통전시켜 제어수단(150)은 이를 감지하게 된다.
여기서, 6방향, 7방향, 8방향은 위 2방향, 3방향, 4방향과 동일한 감지를 수행하게 된다.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 제3 실시예에 따른 스윙위치감지수단(121A)에 적용되는 스윙위치감지센서(400)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스윙위치감지수단(121A)에 적용되는 스윙위치감지센서(400)는,
베이스판(410)의 상부에 5개의 감지부(420)가 등간격으로 설치하여 구성된 것이다.
상기 감지부(420)의 일측 단자(425)는 베이스판(410)의 중앙에 형성된 접점홀(427)을 통해 접속 고정되고, 타측 단자(426)는 베이스판(410)의 외곽에 형성된 접접홀(428)에 접속 고정되고, 이 단자는 외부의 전선(429)과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판(410)은 도 1에 도시된 본체(11)의 상부 또는 하부판이 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420)는, 전도체인 원통케이스(421)가 구성되고, 상기 원통케이스(421)의 내부에는 상기 케이스(421)의 내경과 근접한 직경을 가지는 금속구슬(424)이 삽입되며, 상기 원통케이스(421)의 일단에는 중앙의 도체부(423)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가 절연체로 구성된 절연부(422)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케이스(421) 일단의 도체부(423)와 원통케이스(421)의 타단에는 단자(425,426)가 각각 연결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이의 동작을 도 18을 통해 살펴보면, 원통케이스(421)의 내부에 삽입된 금속구슬(424)이 어떤 자중에 의해 움직여 도체부(423)에 접촉되면, 단자(425)와 단자(426)는 통전된다.
이러한 감지부(420)를 통해 라켓의 스윙위치를 검출하게 되는 데, 이를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개의 감지부(420)를 그 배치위치에 따라 편의상, 제1감지부(420a), 제2감지부(420b), 제3감지부(420c), 제4감지부(420d), 제5감지부(420e) 라 부른다.
먼저, 사용자가 라켓을 도 12의 1방향으로 위치하면 스윙위치감지센서(400)는 도 19의 (a)와 같이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금속구슬(424)의 유동(자중)에 의해 통전되는 감지부(420)는 제1감지부(420a), 제2감지부(420b) 및 제5감지부(420e)가 된다.
제어수단(160B)은 이를 감지하여 라켓의 위치가 1방향인 것을 인식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라켓을 도 12의 2방향으로 위치하면 스윙위치감지센서(400)는 도 19의 (b)와 같이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금속구슬(424)의 유동(자중)에 의해 통전되는 감지부(420)는 제1감지부(420a) 및 제5감지부(420e)가 되고, 상기 제어수단(160B)은 이를 감지하여 라켓의 위치가 2방향인 것을 인식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라켓을 3방향으로 위치하면 스윙위치감지센서(400)는 도 19의 (c)와 같이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금속구슬(424)의 유동(자중)에 의해 통전되는 감지부(420)는 제4감지부(420d) 및 제5감지부(420e)가 되고, 상기 제어수단(160B)은 이를 감지하여 라켓의 위치가 3방향인 것을 인식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라켓을 4방향으로 위치하면 스윙위치감지센서(400)는 도 19의 (d)와 같이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금속구슬(424)의 유동(자중)에 의해 통전되는 감지부(420)는 제3감지부(320c), 제4감지부(420d) 및 제5감지부(420e)가 되고, 상기 제어수단(160B)은 이를 감지하여 라켓의 위치가 4방향인 것을 인식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라켓을 5방향으로 위치하면 스윙위치감지센서(400)는 도 19의 (e)와 같이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금속구슬(424)의 유동(자중)에 의해 통전되는 감지부(420)는 제3감지부(420c) 및 제4감지부(420d)가 되고, 상기 제어수단(160B)은 이를 감지하여 라켓의 위치가 5방향인 것을 인식하게 된다.
여기서, 6방향, 7방향, 8방향은 위 2방향, 3방향, 4방향과 동일한 감지를 수행하게 된다.
도 20 및 도 21는 본 발명 제3 실시예에 따른 스윙방향감지수단(122A)에 적용되는 스윙방향감지센서(500)의 일실시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스윙방향감지수단(122A)에 적용되는 스윙위치감지센서(500)는, 도 20의 (a)와 같이 2개의 센서, 즉 제1센서(510a)와 제2센서(510b)로 구성된다.
상기 제1센서(510a)와 제2센서(510b)는 동일한 센서이며, 먼저, 상기 제1센서(510a)의 구성을 도 21의 (a)(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센서(510a)는 사각 케이스(511a)의 내부 일측에 용수철(512a)을 통해 금속구슬(513a)이 부착되고, 상기 금속구슬(513a)과 대향되는 케이스 내부 일측에는 도전판(514a)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용수철(512a)과 도전판(514a)은 케이스(511a) 외부의 2개 단자(515a,516a)에 각각 연결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이의 동작을 도 21의 (b)를 통해 살펴보면, 케이스(511a)가 A방향으로 움직이면 금속구슬(513a)과 도전판(514a)은 접촉되지 않게 되나(OFF 상태), 반대로 B방향으로 움직이면 금속구슬(513a)이 이동하여 도전판(514a)에 접촉(ON 상태)하게 된다.
즉 금속구슬(513a)과 도전판(514a)이 스위치 기능을 수행하여 단자(515a,516a)를 통해 온, 오프 신호를 발생하게 되고, 이 신호를 검출함으로써 상기 A방향 또는 B방향으로 제1센서(510a)가 움직인 방향(포핸드 또는 백핸드)을 감지하게 된다.
상기 스윙방향감지센서(500)는 본 발명 라켓운동장치(10)의 본체(11)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라켓의 포핸드 동작 또는 백핸드 동작 자체(방향)를 감지하게 된다.
상기 스윙방향감지센서(500)는 상기한 제1센서(510a)와 동일한 구성인 제2센서(510b)를 병렬로 설치하여 구성하되, 내부에 형성된 금속구슬(513a,513b)의 위치가 서로 대향되도록 설치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윙방향감지센서(500)는 도 20의 (b)와 같이 A방향으로 케이스(511a,511b)가 움직이면 제2센서(510b)는 온되고, 제1센서(510a)는 오프된다.
반대로 B방향으로 케이스(511a,511b)가 움직이면 제2센서(510b)는 오프되고, 제1센서(510a)는 온되어, 상기 제어수단(160B)은 이 신호를 검출하여 방향을 감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제3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도 1 이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라켓을 이용한 운동장치(10) 또는 운동장치(10A)를 라켓을 잡을 팔목에 착용하거나 라켓에 내장 또는 부착 고정한다.
그리고 설정수단(130)에 구비된 설정스위치를 이용하여 게임시간과 게임모드를 설정하고, 게임 시작 신호를 제어수단(160)으로 입력하여 준다.
이와 같은, 게임시간과 게임모드(여기에서는 단일모드게임으로 설명함) 설정신호 및 게임 시작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수단(160B)은 좌우이동거리에 따른 숫자(N1)와 라켓 스윙위치에 따른 숫자(N4)를 임의적으로 생성하고 이를 음성출력수단(140)을 통해서는 음성으로, 표시수단(150)을 통해서는 숫자로 출력하여 준다.(S11과정)
예를 들어, N1 및 N4가 "3", "4"로 생성된 경우, 상기 음성출력수단(140)은 "3(삼)", "4(사)"를 음성으로 출력하고, 상기 표시수단(150)은 숫자 "3"과 "4"를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여 준다.
이때 사용자는 이 내용이, 우측으로 3걸음 이동한 후, 4방향(4시와 5시 사이 방향)으로 라켓을 포핸드 스윙하라는 의미로 인지하며, 실제 우측으로 3걸음 이동 한 후, 그 위치에서 라켓의 스윙 방향을 5방향에 맞추어 포핸드 스윙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수단(160B)은 진동감지수단(110)을 통해 입력된 진동의 개수, 즉 이동거리(숫자)를 검출하고, 스윙위치감지수단(121A) 및 스윙방향감지수단(122A)을 통해서 입력된 라켓스윙위치 및 방향을 검출하게 된다.
이때의 과정은, 상기 스윙위치감지수단(121A)의 스윙위치감지센서(300 또는 400)으로부터 라켓의 방향, 즉 위치(4방향)를 검출하고, 이어 스윙방향감지수단(122A)의 스윙방향감지센서(500)를 통해 라켓이 포핸드로 스윙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판단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N1 및 N4 숫자와 검출된 이동거리 및 라켓 스윙 위치 및 방향이 일치하면, 즉 사용자가 출력된 N1 및 N4 숫자에 일치하도록 동작이 이루어 졌으면, 상기 제어수단(160B)은 음성출력수단(140)을 통해 미션 성공에 따른 소정의 음향("딱"소리)이 출력되도록 하여준다.
그리고 미션 성공에 따른 성공 횟수를 누적 저장하고 이를 표시수단(150)으로 표시하여 준다.
그러나 상기 N1 및 N4 숫자와 검출된 이동거리 및 라켓 스윙 위치/방향이 일치하지 아니하면, 즉 사용자가 출력된 N1 및 N4 숫자에 일치하도록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때에는, 상기 제어수단(160B)은 음성출력수단(140)을 통해 어떤 음성 출력도 하지 않거나, 에러신호(에러음성멘트 또는 에러표시)를 출력하여 준다.
이후, 상기 제어수단(160B)은 설정된 게임시간이 경과하였는가를 판단하여, 설정된 게임시간이 경과되었다면, 게임을 종료하고 미션 성공된 누적 횟수를 표시수단으로 출력하여 준다.
10,10A: 운동장치 110: 진동감지수단
120: 방향감지수단 121: 위치감지수단
122: 속도감지수단 130: 설정수단
140: 음성출력수단 150: 표시수단
160,160A,160B: 제어수단 121A: 스윙위치감지수단
122A: 스윙방향감지수단

Claims (21)

  1. 배드민턴이나 테니스와 같은 운동용 라켓에 부착 또는 내장되거나, 라켓을 쥔 팔목에 부착 고정하여 사용하는 운동 장치로서,
    사용자의 이동을 진동으로 감지하는 진동감지수단(110);
    상기 라켓의 스윙 방향을 감지하는 방향감지수단(120);
    다수개의 설정스위치를 구비하며, 게임시간과 게임모드를 설정하고, 게임 시작과 종료를 선택할 수 있는 키 신호를 발생하는 설정수단(130);
    소정의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출력수단(140);
    상기 설정수단(130)의 키 입력에 따른 표시를 수행하고 미션 성공회수를 표시하는 표시수단(150); 및
    게임 시작 시, 좌우이동거리에 따른 숫자(N1)와, 라켓스윙방향에 따른 숫자(N2)를 임의로 생성하여 이를 순차적으로 음성 출력하며, 상기 숫자(N1) 및 숫자(N2)의 음성 출력 후, 일정시간 내에 상기 진동감지수단(110) 및 방향감지수단(120)으로 입력되는 진동정보 및 방향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검출된 진동정보 및 방향정보와 상기 음성 출력된 숫자(N1) 및 숫자(N2) 정보가 일치하면 미션 성공에 따른 음향을 소정형태로 출력하여 주고, 미션 성공에 따른 횟수를 누적 저장 및 표시하여 주는 제어수단(160)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켓을 이용한 운동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이동거리에 따른 숫자(N1)는 사용자가 라켓을 들고 왼쪽 또는 우측으로 이동할 수 있는 걸음 숫자로, 0,1,2,3,4 중의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켓을 이용한 운동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켓스윙위치에 따른 숫자(N2)는 사용자가 쥔 라켓이 스윙되는 방향을 나타내는 시계 방향 숫자로, 1 내지 12(자연수) 중의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켓을 이용한 운동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감지수단(120)은 라켓(20)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수단(121)과, 라켓(20)의 스윙속도를 감지하는 속도감지수단(12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켓을 이용한 운동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감지수단(121)은 자이로 센서이고, 상기 속도감지수단(122)은 가속도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켓을 이용한 운동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감지수단(110)은 진동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켓을 이용한 운동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160)은 생성된 좌우이동거리에 따른 숫자(N1) 및 라켓스윙방향에 따른 숫자(N2)를 N1 및 N2 순서로 출력하거나, N2 및 N1 순서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켓을 이용한 운동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160)은 생성된 좌우이동거리에 따른 숫자(N1) 및 라켓스윙방향에 따른 숫자(N2)를 표시수단(150)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켓을 이용한 운동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감지수단(120)은,
    7시 방향에서 11시 방향부위 2개씩 쌍을 이룬 상부접점(211)이 일정간격을 이루도독 형성되고, 중앙에는 감지부(230)의 힌지축(231)이 삽입되는 힌지턱(212)이 형성된 상부판(210);
    12시 방향에서 6시 방향부위 2개씩 쌍을 이룬 하부접점(221)이 일정간격을 이루도독 형성되고, 중앙에는 감지부(230)의 힌지축(231)이 삽입되는 힌지턱(222)이 형성된 하부판(220); 및
    상기 상부판(210) 및 하부판(220)의 힌지턱(212)(222)에 삽입되어 회전되는 힌지축(231)과, 상기 힌지축(231)의 중앙에 길게 형성된 절개공(232)에 삽입되어 힌지핀(234)으로 고정되고, 상기 상부판(210)의 상부접점(211) 이나 하부판(220)의 하부접점(221)에 접촉되는 통전부(233)로 구성된 방향감지센서(200)가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켓을 이용한 운동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210)의 상부접점(211)과, 하부판(230)의 하부접점(231)은 하나의 접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켓을 이용한 운동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230)는 상부판(210) 및 하부판(220)의 힌지턱(212)(222)에 삽입되어 회전되는 힌지축(241)과, 상기 힌지축(241)의 중앙에 관통되어 고정되는 볼트 고정부(242)와, 상기 볼트 고정부(242)의 선단부에 결합된 탄성부재(243)를 통해 고정 설치되는 통전추(24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켓을 이용한 운동 장치.
  12. 배드민턴이나 테니스와 같은 운동용 라켓에 부착 또는 내장되거나, 라켓을 쥔 팔목에 부착 고정하여 사용하는 운동 장치로서,
    사용자의 이동을 진동으로 감지하는 진동감지수단(110);
    다수개의 설정스위치를 구비하며, 게임시간과 게임모드를 설정하고, 게임 시작과 종료를 선택할 수 있는 키 신호를 발생하는 설정수단(130);
    소정의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출력수단(140);
    상기 설정수단(130)의 키 입력에 따른 표시를 수행하고 미션 성공회수를 표시하는 표시수단(150); 및
    게임 시작 시, 좌우이동거리에 따른 음성 안내멘트(N3)를 임의로 생성하여 출력하며, 상기 음성 안내멘트(N3)의 출력 후, 일정시간 내에 상기 진동감지수단(110)으로부터 입력되는 진동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검출된 진동정보와 상기 음성 안내멘트(N3)에 따른 이동거리 정보가 일치하면 미션 성공에 따른 음향을 소정형태로 출력하여 주고, 미션 성공에 따른 횟수를 누적 저장 및 표시하여 주는 제어수단(160A)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켓을 이용한 운동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이동거리에 따른 음성 안내멘트(N3)는 좌측 또는 우측 방향을 나타내는 제1음성과 이동할 걸음숫자를 나타내는 제2음성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켓을 이용한 운동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음성은 '우' 또는 '좌'로 구성되고, 상기 제2음성은 0,1,2,3...'과 같은 자연수 중의 하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켓을 이용한 운동 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안내멘트(N3)는 남자 또는 여자목소리로 출력되는 단일개의 숫자음성인 제3음성으로 구성되되, 상기 남자 목소리와 여자 목소리의 구분은 성별이 확연히 구분될 수 있는 주파수의 음성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켓을 이용한 운동 장치.
  16. 배드민턴이나 테니스와 같은 운동용 라켓에 부착 또는 내장되거나, 라켓을 쥔 팔목에 부착 고정하여 사용하는 운동 장치로서,
    사용자의 이동을 진동으로 감지하는 진동감지수단(110);
    상기 라켓이 스윙되는 위치를 8단계의 위치로 구분하여 검출하는 스윙위치감지수단(121A);
    상기 라켓이 포핸드(forehand) 방향인지 백핸드(backhand) 방향으로 스윙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스윙방향감지수단(122A);
    다수개의 설정스위치를 구비하며, 게임시간과 게임모드를 설정하고, 게임 시작과 종료를 선택할 수 있는 키 신호를 발생하는 설정수단(130);
    소정의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출력수단(140);
    상기 설정수단(130)의 키 입력에 따른 표시를 수행하고 미션 성공회수를 표시하는 표시수단(150); 및
    게임 시작 시, 좌우이동거리에 따른 숫자(N1)와, 라켓 스윙위치에 따른 숫자(N4)를 임의로 생성하여 이를 순차적으로 음성 출력하며, 상기 숫자(N1) 및 숫자(N4)의 음성 출력 후, 일정시간 내에 상기 진동감지수단(110), 스윙위치감지수단(121A) 및 스윙방향감지수단(122A)으로 입력되는 진동정보, 위치 및 방향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검출된 진동정보, 위치 및 방향정보와 상기 음성 출력된 숫자(N1) 및 숫자(N4) 정보가 일치하면 미션 성공에 따른 음향을 소정형태로 출력하여 주고, 미션 성공에 따른 횟수를 누적 저장 및 표시하여 주는 제어수단(160A)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켓을 이용한 운동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라켓의 스윙 위치를 8단계는, 12시 방향인 1방향과, 1시와 2시 사이의 방향인 2방향과, 3시 방향인 3방향과, 4시와 5시 사이의 방향인 4방향과, 6시 방향인 5방향과, 7시와 8시 사이의 방향인 6방향과, 9시 방향인 7방향과, 10시와 11시 사이의 방향인 8방향으로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켓을 이용한 운동 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위치감지수단(121A)은,
    상부판(310)과 하부판(320), 상기 상부판(310) 및 하부판(320) 사이의 중앙에 연결 설치되는 격판(330)과, 상기 격판(330)에 내장되어 유동되도록 구성되는 다수개의 금속구슬(340)로 구성되고,
    상기 격판(330)은 절연체인 원형의 테두리부(331)와, 상기 테두리부(331)의 내측 공간을 등간격으로 5등분하여 구획 설치된 전도체 재질의 구획판(332)과,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구획판(332)을 지지하는 절연부(333)로 구성되며,
    상기 전도체인 구획판(332)은 일측이 테두리부(331)의 외부의 돌출되어 전선(335)과 연결되는 스윙위치감지센서(3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켓을 이용한 운동 장치.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위치감지수단(121A)은,
    베이스판(410)의 상부에 5개의 감지부(420)를 등간격으로 설치하되,
    상기 감지부(420)의 일측 단자(425)는 베이스판(410)의 중앙에 형성된 접점홀(427)을 통해 접속 고정되고, 타측 단자(426)는 베이스판(410)의 외곽에 형성된 접접홀(428)에 접속 고정되고, 이 단자는 외부의 전선(429)과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감지부(420)는, 전도체인 원통케이스(421)가 구성되고, 상기 원통케이스(421)의 내부에는 상기 케이스(421)의 내경과 근접한 직경을 가지는 금속구슬(424)이 삽입되며, 상기 원통케이스(421)의 일단에는 중앙의 도체부(423)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가 절연체로 구성된 절연부(422)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케이스(421) 일단의 도체부(423)와 원통케이스(421)의 타단에는 단자(425,426)가 각각 연결되는 스윙위치감지센서(40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켓을 이용한 운동 장치.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방향감지수단(122A)은,
    동일한 2개의 제1센서(510a) 및 제2센서(510b)를 병렬로 설치하고, 내부에 형성된 금속구슬(513a,513b)의 위치가 서로 대향되도록 설치하되,
    상기 제1센서(510a)는,
    사각 케이스(511a)의 내부 일측에 용수철(512a)을 통해 금속구슬(513a)이 부착되고, 상기 금속구슬(513a)과 대향되는 케이스 내부 일측에는 도전판(514a)이 구성되며, 상기 용수철(512a)과 도전판(514a)은 케이스(511a) 외부의 2개 단자(515a,516a)에 각각 연결되도록 한 스윙방향감지센서(50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켓을 이용한 운동 장치.
  21. 제1항, 제12항 및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에는 무선송수신부(170)가 더 연결되어 2인 게임모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켓을 이용한 운동 장치.
KR1020110112466A 2010-11-25 2011-10-31 라켓을 이용한 운동장치 KR2012005676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2466A KR20120056764A (ko) 2010-11-25 2011-10-31 라켓을 이용한 운동장치
PCT/KR2011/009069 WO2012070911A2 (ko) 2010-11-25 2011-11-25 라켓을 이용한 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7936 2010-11-25
KR1020110026802 2011-03-25
KR1020110112466A KR20120056764A (ko) 2010-11-25 2011-10-31 라켓을 이용한 운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6764A true KR20120056764A (ko) 2012-06-04

Family

ID=46608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2466A KR20120056764A (ko) 2010-11-25 2011-10-31 라켓을 이용한 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5676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26314A1 (ko) * 2013-02-13 2014-08-21 Lee Sang Sin 스트링 라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26314A1 (ko) * 2013-02-13 2014-08-21 Lee Sang Sin 스트링 라켓
KR101432978B1 (ko) * 2013-02-13 2014-08-27 이상신 스트링 라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08194B2 (en) Interactive instruments and other striking objects
US9061194B2 (en) Mobile, portable, and interactive exercise apparatus
US9616288B2 (en) Virtual exerciser device
JP4520048B2 (ja) スポーツトレーニング装置並びにスポーツトレーニングシステム
WO2007084850A2 (en) Performance monitoring in a shooting sport using sensor synchronization
JP2003288238A (ja) 評価プログラム、その記録媒体、タイミング評価装置、タイミング評価システム
CN107767930A (zh) 一种智能运动校正方法、装置及设备
KR20120056764A (ko) 라켓을 이용한 운동장치
KR20120130928A (ko) 다리 운동장치
KR20120056746A (ko) 라켓을 이용한 운동장치
US20060014589A1 (en) Apparatus for measuring golf club swing speed
KR102233896B1 (ko) 골프 스윙 시 정타를 확인할 수 있는 골프 클럽
KR20160025087A (ko) 타점 감지유닛을 가지는 라켓 운동기구 및 이를 이용한 타점 감지방법
KR101765322B1 (ko) 자세 교정 장치
KR20180085843A (ko) 스윙 자세의 교정과 게임이 가능한 스윙 분석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KR20140013260A (ko) 골프스윙 동영상의 개인휴대통신기기 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54846B1 (ko) 사용자의 자세를 분석하는 기능이 포함된 게임장치와 연습장치 및 그 분석방법
KR101867165B1 (ko) 헤드업 자세 분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골프스윙 어드바어저
KR101476425B1 (ko) 스마트폰 결합형 진동 운동판
US7636664B2 (en) Golf commentator
WO2004112919A1 (en) Electronic circuit and plaything incorporated
KR101159031B1 (ko) 태권도용 전자호구와 미트의 타격에 따른 송수신 전광판 및 그 운용방법
KR200204670Y1 (ko) 휴대용 홀컵장치
KR102563092B1 (ko) 타격 트레이닝 장치의 구동 제어 방법 및 그 제어 장치
WO2013131740A1 (en) A train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