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6465A - 터치패널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터치패널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6465A
KR20120056465A KR1020100118019A KR20100118019A KR20120056465A KR 20120056465 A KR20120056465 A KR 20120056465A KR 1020100118019 A KR1020100118019 A KR 1020100118019A KR 20100118019 A KR20100118019 A KR 20100118019A KR 20120056465 A KR20120056465 A KR 201200564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panel
touch
sensing unit
distance
p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8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상환
채경수
오용수
이종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8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56465A/ko
Publication of KR20120056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64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15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 G06F1/3218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of display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31Monitoring the presence, absence or movement of u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2Power saving in digitizer or table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5Power saving in display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패널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터치패널 제어장치는 터치패널(100)에 터치좌표를 입력하는 터치펜(110; Touch Pen), 터치펜(110)과의 거리가 소정거리(D) 이하이면 동작신호를 발생시키고, 터치펜(110)과의 거리가 소정거리(D) 이상이면 대기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싱부(120) 및 센싱부(120)로부터 동작신호를 전달받으면 터치패널(100)의 동작모드를 실행시키고, 센싱부(120)로부터 대기신호를 전달받으면 터치패널(100)의 대기모드를 실행시키는 제어부(130)를 포함하는 구성이며, 터치펜(110)과의 거리가 소정거리 이상으로 멀어지면, 터치패널(100)을 대기시키는 대기모드를 실행시킴으로써,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등 휴대용 기기의 사용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터치패널 제어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TOUCH PANEL}
본 발명은 터치패널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기술을 이용하는 컴퓨터가 발달함에 따라 컴퓨터의 보조 장치들도 함께 개발되고 있으며, 개인용 컴퓨터, 휴대용 전송장치, 그 밖의 개인 전용 정보처리장치 등은 키보드, 마우스와 같은 다양한 입력장치(Input Device)를 이용하여 텍스트 및 그래픽 처리를 수행한다.
하지만, 정보화 사회의 급속한 진행에 따라 컴퓨터의 용도가 점점 확대되는 추세에 있는 바, 현재 입력장치 역할을 담당하는 키보드 및 마우스만으로는 효율적인 제품의 구동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간단하고 오조작이 적을 뿐 아니라, 누구라도 쉽게 정보입력이 가능한 기기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입력장치에 관한 기술은 일반적 기능을 충족시키는 수준을 넘어서 고 신뢰성, 내구성, 혁신성, 설계 및 가공 관련기술 등으로 관심이 바뀌고 있으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텍스트, 그래픽 등의 정보 입력이 가능한 입력장치로서 터치패널(Touch Panel)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터치패널은 전자수첩,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Electroluminescence) 등의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및 CRT(Cathode Ray Tube)와 같은 화상표시장치의 표시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화상표시장치를 보면서 원하는 정보를 선택하도록 하는데 이용되는 도구이다.
터치패널의 종류는 저항막방식(Resistive Type), 정전용량방식(Capacitive Type), 전기자기장방식(Electro-Magnetic Type), 소오방식(SAW Type; Surface Acoustic Wave Type) 및 인프라레드방식(Infrared Type)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다양한 방식의 터치패널은 신호 증폭의 문제, 해상도의 차이, 설계 및 가공 기술의 난이도, 광학적 특성, 전기적 특성, 기계적 특성, 내환경 특성, 입력 특성, 내구성 및 경제성을 고려하여 전자제품에 채용되는데, 현재 가장 광범위한 분야에서 사용하는 방식은 저항막방식 터치패널과 정전용량방식 터치패널이다.
한편, 근래 터치패널은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등 휴대용 기기에 채용되는 비율이 급격히 높아짐에 따라, 터치패널은 일정량의 전기에너지가 저장된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야 한다. 따라서, 휴대용 기기에 채용된 터치패널은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한다면, 오랜시간 동안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하지만, 종래기술에 따른 터치패널의 경우,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실용적인 방안에 관한 기술이 전무한 상태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펜과의 거리에 따라 터치패널의 동작모드 또는 대기모드를 실행시킴으로써,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터치패널 제어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 제어장치는 터치패널에 터치좌표를 입력하는 터치펜, 상기 터치펜과의 거리가 소정거리 이하이면 동작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터치펜과의 거리가 소정거리 이상이면 대기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로부터 상기 동작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터치패널의 동작모드를 실행시키고, 상기 센싱부로부터 상기 대기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터치패널의 대기모드를 실행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터치펜에는 자석이 구비되고, 상기 센싱부는 홀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홀센서와 상기 자석 사이의 거리가 소정거리 이하이면 상기 동작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자석과의 거리가 소정거리 이상이면 상기 대기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석은 상기 터치패널에 접촉하는 상기 터치펜의 접촉부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홀센서는 상기 터치패널의 베젤 영역(Bezel Area)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로부터 상기 대기신호를 전달받고 소정시간 경과 후 상기 터치패널의 상기 대기모드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터치패널은 저항막방식 또는 정전용량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터치패널에는 화상표시장치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로부터 상기 동작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화상표시장치를 구동시키고, 상기 센싱부로부터 상기 대기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화상표시장치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로부터 상기 대기신호를 전달받고 소정시간 경과 후 상기 화상표시장치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 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펜과의 거리가 소정거리 이상으로 멀어지면, 터치패널을 대기시키는 대기모드를 실행시킴으로써,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등 휴대용 기기의 사용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 제어장치의 사시도;
도 2는 홀센서의 원리를 도시한 개념도; 및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 제어장치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 제어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 제어장치는 터치패널(100)에 터치좌표를 입력하는 터치펜(110; Touch Pen), 터치펜(110)과의 거리가 소정거리(D) 이하이면 동작신호를 발생시키고, 터치펜(110)과의 거리가 소정거리(D) 이상이면 대기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싱부(120) 및 센싱부(120)로부터 동작신호를 전달받으면 터치패널(100)의 동작모드를 실행시키고, 센싱부(120)로부터 대기신호를 전달받으면 터치패널(100)의 대기모드를 실행시키는 제어부(13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터치패널(100)은 터치팬의 입력을 받아 터치좌표를 산출하여 특정 알고니즘을 구동하는 것이다. 여기서, 터치패널(100)은 저항막방식(Resistive Type), 정전용량방식(Capacitive Type), 전기자기장방식(Electro-Magnetic Type), 소오방식(SAW Type; Surface Acoustic Wave Type) 및 인프라레드방식(Infrared Type) 등 당업계에 공지된 모든 방식을 이용할 수 있지만, 제작이 쉽고 응답성이 뛰어난 저항막방식이나 정전용량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터치패널(100)은 터치펜(110)과의 거리에 따라, 동작모드와 대기모드가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동작모드는 배터리 등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터치좌표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구동하는 것이고, 대기모드는 배터리 등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지 않아 구동이 멈추는 것이다.
또한, 터치패널(100)의 하측에는 화상표시장치(150)가 접착층(155)으로 부착된다. 여기서, 화상표시장치(150)는 화상을 출력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Electroluminescence) 또는 CRT(Cathod Ray Tube) 등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터치펜(110)은 터치패널(100)에 접촉하여 터치좌표를 입력하는 역할을 뿐만 아니라, 터치패널(100)과의 거리에 따라 터치패널(100)을 동작모드 또는 대기모드로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터치펜(110)으로는 당업계에 공지된 모든 형태의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을 이용할 수 있다. 다만, 터치패널(100)이 정전용량방식인 경우, 터치패널(100)과 정전유도를 일으킬 수 있는 도전성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전성 스타일러스 펜은 터치패널(100)에 접촉하는 접촉부(115)가 도전성 실리콘 고무 또는 탄소가 함유된 도전성 섬유로 구성되고, 헤드부(117)가 금속으로 구성되어 터치패널(100)과 정전유도를 일으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터치펜(110)과 터치패널(100)의 거리에 따라 터치패널(100)의 동작모드 또는 대기모드를 실행시키기 위해서, 터치패널(100)에는 홀센서(120)가 구비되고, 터치펜(110)에는 홀센서(120)에 자기장을 인가할 수 있는 자석(14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자석(140)은 홀센서(120)에 자기장을 효과적으로 인가하기 위해서, 터치패널(100)과 접촉하는 터치펜(110)의 접촉부(115)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석(140)과 홀센서(120)를 이용하여 터치패널(100)의 동작모드 또는 대기모드를 실행시키는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센싱부(120)는 터치패널(100)에 구비되어 터치펜(110)과의 거리에 따라 제어부(130)에 동작신호 또는 대기신호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센싱부(120)는 터치펜(110)과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소형이면서 경제적인 홀센서(120)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싱부(120)로 홀센서(120)를 이용하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터치펜(110)에는 상기 홀센서(120)에 자기장을 인가할 수 있는 자석(140)이 구비된다. 한편, 도 2는 홀센서의 원리를 도시한 개념도로, 이를 참조하여 홀센서(H)의 원리를 살펴보면, 홀센서(H)는 내부에 전류(I)가 흐르고 전류(I)에 직각 방향으로 자석(M)의 자기장(B)이 인가되면, 전류(I)와 자기장(B) 모두의 직각 방향으로 출력(전압(V))이 발생한다. 최종적으로, 출력(전압(V))을 이용하여 홀센서(H)와 자석(B)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홀센서(H)의 원리를 본 발명에 적용하면, 자석(140)이 홀센서(120)에 소정거리(D) 이하로 가까워질 때, 홀센서(120)에 자석(140)의 자기장이 인가되어 홀센서(120)는 제1 출력(동작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자석(140)이 홀센서(120)에 소정거리(D) 이상으로 멀어질 때, 홀센서(120)에 자석(140)의 자기장이 사라져 홀센서(120)는 제2 출력(대기신호)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소정거리(D)는 터치패널(100)의 용도나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고려하여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홀센서(120)가 출력하는 동작신호와 대기신호는 제어부(130)에 전달되어 최종적으로는 터치패널(100)의 동작모드와 대기모드가 실행된다. 한편, 홀센서(120)가 터치좌표를 인식하도록 터치패널(100)의 중심에 구비된 액티브 영역(105; Active Area)에 배치되는 경우, 터치좌표의 인식을 방해할 수 있다. 따라서, 홀센서(120)는 액티브 영역(105)의 테두리에 구비된 베젤 영역(107; Bezel Area)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130)는 터치펜(110)과 센싱부(120) 사이의 거리에 따라 터치패널(100)의 동작모드 또는 대기모드를 실행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제어부(130)는 센싱부(120)로부터 동작신호를 전달받으면 터치패널(100)의 동작모드를 실행시키고, 센싱부(120)로부터 대기신호를 전달받으면 터치패널(100)의 대기모드를 실행시킨다. 즉, 터치펜(110)과 센싱부(120) 사이의 거리가 소정거리(D) 이하여서 센싱부(120)가 동작신호를 발생시키면 제어부(130)가 이를 전달받아 터치패널(100)을 구동시키는 것이다(구동모드). 이와 반대로, 터치펜(110)과 센싱부(120) 사이의 거리가 소정거리(D) 이상이어서 센싱부(120)가 대기신호를 발생시키면 제어부(130)가 이를 전달받아 터치패널(100)의 구동을 멈추가 하는 것이다(대기모드). 터치펜(110)과 센싱부(120)의 거리에 따라 터치패널(100)를 구동시키거나 구동을 멈추게 함으로써,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등 휴대용 기기의 사용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터치패널(100) 뿐만 아니라 화상표시장치(150)까지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센싱부(120)로부터 동작신호를 전달받으면 화상표시장치(150)를 구동시키고, 센싱부(120)로부터 대기신호를 전달받으면 화상표시장치(150)를 정지시킬 수 있다. 결국, 터치펜(110)과 센싱부(120)의 거리에 따라 터치패널(100)과 함께 화상표시장치(150)를 구동시키거나 정지시킴으로써, 전력을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 제어장치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 제어장치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펜(110)과 센싱부(120)가 소정거리(D) 이상의 매우 먼 거리(D1)로 이격되어, 구동되지 않고 정지된 상태인 터치패널(100)과 화상표시장치(150)를 준비한다.
그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펜(110)이 센싱부(120)에 접근하여 소정거리(D) 이하의 거리(D2)이 되면, 센싱부(120)는 동작신호를 제어부(130)에 전달하고, 그에 따라 제어부(130)는 터치패널(100)의 동작모드를 실행시키고 화상표시장치(150)를 구동시킨다. 즉, 사용자가 터치펜(110)을 터치패널(100)에 접근시키면, 터치패널(100)과 화상표시장치(150)가 구동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터치펜(110)을 터치패널(100)에 접근시키는 것만으로, 터치패널(100)과 화상표시장치(150)를 자동으로 구동시킬 수 있고, 이후 터치펜(110)을 이용하여 터치패널(100)에 터치좌표를 입력할 수 있다.
그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펜(110)이 센싱부(120)로부터 멀어져 소정거리(D) 이상의 거리(D3)가 되면, 센싱부(120)는 대기신호를 제어부(130)에 전달하고, 그에 따라 제어부(130)는 터치패널(100)의 대기모드를 실행시키고 화상표시장치(150)를 정지시킨다. 즉, 사용자가 터치펜(110)을 터치패널(100)로부터 멀어지게 하면, 터치패널(100)과 화상표시장치(150)가 자동으로 정지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터치펜(110)으로 터치좌표를 입력한 후, 터치펜(110)을 터치패널(100)로부터 멀어지게 하는 것만으로, 터치패널(100)과 화상표시장치(150)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결국, 사용자는 터치패널(100)과 화상표시장치(150)의 전원을 오프(off)시키기 위해서 별도의 행위를 수행할 필요 없이, 터치펜(110)의 조작만으로 터치패널(100)과 화상표시장치(150)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어,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다만, 터치펜(110)을 터치패널(100)로부터 소정거리(D) 이상으로 이격시키는 동시에 터치패널(100)과 화상표시장치(150)의 구동을 정지시키면, 사용자가 터치펜(110)으로 입력한 정보를 확인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터치펜(110)이 센싱부(120)로부터 이격되어 센싱부(120)로부터 대기신호를 전달받더라도 터치패널(100)과 화상표시장치(150)의 구동을 바로 중단시키지 않고, 소정시간 경과 후 중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소정시간은 터치패널(100)의 용도나 사용자의 인식능력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터치패널 제어장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터치패널 105: 액티브 영역
107: 베젤 영역 110: 터치펜
115: 접촉부 117: 헤드부
120: 센싱부(홀센서) 130: 제어부
140: 자석 150: 화상표시장치
155: 접착층 D: 소정거리
D1, D2, D3: 거리 H: 홀센서
M: 자석 I: 전류
B: 자기장 V: 전압

Claims (8)

  1. 터치패널에 터치좌표를 입력하는 터치펜;
    상기 터치펜과의 거리가 소정거리 이하이면 동작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터치펜과의 거리가 소정거리 이상이면 대기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로부터 상기 동작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터치패널의 동작모드를 실행시키고, 상기 센싱부로부터 상기 대기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터치패널의 대기모드를 실행시키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제어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터치펜에는 자석이 구비되고,
    상기 센싱부는 홀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홀센서와 상기 자석 사이의 거리가 소정거리 이하이면 상기 동작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자석과의 거리가 소정거리 이상이면 상기 대기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제어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자석은 상기 터치패널에 접촉하는 상기 터치펜의 접촉부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제어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홀센서는 상기 터치패널의 베젤 영역(Bezel Area)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제어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로부터 상기 대기신호를 전달받고 소정시간 경과 후 상기 터치패널의 상기 대기모드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제어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널은 저항막방식 또는 정전용량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제어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널에는 화상표시장치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로부터 상기 동작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화상표시장치를 구동시키고, 상기 센싱부로부터 상기 대기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화상표시장치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제어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로부터 상기 대기신호를 전달받고 소정시간 경과 후 상기 화상표시장치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제어장치.
KR1020100118019A 2010-11-25 2010-11-25 터치패널 제어장치 KR201200564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8019A KR20120056465A (ko) 2010-11-25 2010-11-25 터치패널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8019A KR20120056465A (ko) 2010-11-25 2010-11-25 터치패널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6465A true KR20120056465A (ko) 2012-06-04

Family

ID=46608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8019A KR20120056465A (ko) 2010-11-25 2010-11-25 터치패널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56465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0359A (ko) * 2012-08-27 2014-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세서리 분실 방지 방법 및 휴대 단말
US20150002425A1 (en) * 2013-07-01 2015-01-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switching digitizer mode
KR20160003012U (ko) 2015-02-24 2016-09-01 한국강성(주) 펜심 분리구
US9817464B2 (en) 2013-01-07 2017-11-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device control method using an electric pen and portable device thereof
KR20180068925A (ko) * 2018-06-11 2018-06-22 주식회사 씨케이머티리얼즈랩 촉각 정보 제공 기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0359A (ko) * 2012-08-27 2014-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세서리 분실 방지 방법 및 휴대 단말
US9817464B2 (en) 2013-01-07 2017-11-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device control method using an electric pen and portable device thereof
US20150002425A1 (en) * 2013-07-01 2015-01-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switching digitizer mode
KR20150003626A (ko) * 2013-07-01 2015-01-0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타이저 모드 전환 방법
EP3017353A4 (en) * 2013-07-01 2017-07-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switching digitizer mode
US9977529B2 (en) * 2013-07-01 2018-05-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switching digitizer mode
KR20160003012U (ko) 2015-02-24 2016-09-01 한국강성(주) 펜심 분리구
KR20180068925A (ko) * 2018-06-11 2018-06-22 주식회사 씨케이머티리얼즈랩 촉각 정보 제공 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272060A1 (en) Touch-sensitive button with two levels
JP5780368B1 (ja) 駆動制御装置、電子機器、及び駆動制御方法
KR102087456B1 (ko) 디스플레이 영역 에지에서 사용자 입력 감지 기법
KR101167399B1 (ko) 햅틱 디바이스
US10386925B2 (en) Tactile sens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actile sensation providing apparatus
US9417696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therefor
EP4050463A1 (en) Touch panel
US20150331517A1 (en) Force Detection in Touch Devices Using Piezoelectric Sensors
JP2014238867A (ja) タッチ及びホバー感知
US20180356891A1 (en) Tactile sens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tactile sensation providing method
KR101077308B1 (ko) 터치패널의 압력센싱 모듈 및 그 작동방법
JP2012018660A (ja) ハイブリッドタッチパネルの作動モジュール及びその作動方法
US20190004662A1 (en) Touch-sensitive electronic device chasses
KR20120056465A (ko) 터치패널 제어장치
CA2765549C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therefor
JP2015181068A (ja) 駆動制御装置、電子機器、及び駆動制御方法
KR20090072347A (ko) 하이브리드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단말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0308858A (zh) 一种电子设备及触控组件的控制方法
KR101682527B1 (ko) 박형 햅틱 모듈을 이용한 마우스 겸용 터치 키패드
TW201209692A (en) Haptic presentation device
KR20160129497A (ko) 이엠알 터치 센서와 적외선 터치 센서를 갖는 좌표검출장치
KR20080063537A (ko) 터치센서를 구비한 미디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1084102A (ja) 座標入力装置
TW201239691A (en) Tactile presentation device
KR20120065741A (ko) 압력감지 인터페이스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