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6375A - 신발의 미끄럼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신발의 미끄럼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6375A
KR20120056375A KR1020100117872A KR20100117872A KR20120056375A KR 20120056375 A KR20120056375 A KR 20120056375A KR 1020100117872 A KR1020100117872 A KR 1020100117872A KR 20100117872 A KR20100117872 A KR 20100117872A KR 20120056375 A KR20120056375 A KR 201200563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om plate
shoe
slip
heel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7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기용
Original Assignee
장기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기용 filed Critical 장기용
Priority to KR1020100117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56375A/ko
Publication of KR20120056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63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004Fastenings fixed along the upper edges of the uppers
    • A43C11/006Elastic fasten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3/00Wear-resisting attachments
    • A43C13/04Cleats; Simple studs; Screws; Hob-nai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02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attached to the sole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개시되는 신발의 미끄럼방지 장치는, 앞굽과 뒷굽을 가지는 신발; 상기 앞굽이 수용되는 평면으로 제1 미끄럼 방지 돌기가 구비되는 제1 바닥판; 상기 제1 바닥판에 구비되며 상기 신발의 발등에 고정되어 상기 제1 바닥판과 상기 앞굽의 접촉을 유지시키는 제1 고정부재; 상기 뒷굽이 수용되는 평면으로 제2 미끄럼 돌기가 구비되는 제2 바닥판; 상기 제2 바닥판에 구비되며 상기 신발의 발목에 고정되어 상기 제2 바닥판과 상기 뒷굽의 접촉을 유지시키는 제2 고정부재; 및 상기 제1 고정부재 및 제2 고정부재의 간격을 조절하는 길이조절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신발의 미끄럼방지 장치{SLIP-PREVENTION EQUIPMENT OF SHOES}
본 개시는, 미끄럼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행하는 노면의 환경에 따라 신발에 착용하거나 해제할 수 있는 미끄럼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두와 같은 신발은 동절기에 도로가 결빙되면 보행이 불편하게 되고, 간혹 미끄러지는 현상으로 보행자가 부상을 입게 되어 안전성에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제90-7755호에서 제시하고 있는 것은 신발의 바닥면에 안착 요부를 형성시키고, 일측면에 요철형상의 미끄럼방지돌기가 형성된 방지구를 상기 안착요부에 볼트체결시켜 보행자가 빙판길을 보행할 시에 상기 미끄럼방지돌기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절환시키게 되고, 일반도로를 보행할 시에는 다시 매끄러운 면이 노출되도록 절환시켜서 이루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상기 방지구를 절환시키기 위해 볼트를 풀고 조이는 공구가 필요하기 때문에 공구휴대의 불편함이 있는 동시에 상기 공구가 없을 경우에는 방지구의 절환이 불가능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실개소49-13148호에서 제시하고 있는 것은 신발의 뒷축측면 중앙부에 요입부를 형성시키고, 일측이 비스듬이 절곡된 판재형상의 미끄럼방지장치를 상기 요입부에 설치시켜 상기 절곡된 부위가 빙판길 보행시에는 바닥면을 향하도록 하고, 일반도로를 보행할시에는 상측을 향하도록 이루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미끄럼방지장치의 설치작업이 복잡한 동시에 신발 뒷축 일부분에만 미끄럼방지장치가 돌출되어 있어 미끄럼방지 기능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
상기 기술적 내용 외에도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실개소 제61-43404호 및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제88-3639호에서는 미끄럼방지 덧신으로 경질입자를 점착시킨 앞창용 시트와 뒷창용 시트를 밴드가 구비된 신발커버의 바닥면에 고착시켜 빙판길 보행시 신발에 착용시켜 미끄러짐을 방지시키는 것이고,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실개소 제53-1488465호 및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제90-9013호에는 설치된 다양한 수단의 미끄럼방지장치들이 제공된 것이나,이들은 제조작업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미끄러짐을 방지하는데 있었서는 많은 효과를 얻기가 어려운 문제가 항상 내포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의 문제들로 인해 종래에 실시되고 있는 신발의 미끄럼방지장치들은 제품으로 적용하여 사용하는데 생산성 및 경제성이 어느 정도 한계가 있는 동시에 효율성의 저하로 이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대한 사용상의 신뢰도 및 만족도가 극소화되는 문제들이 항상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종래의 미끄럼방지를 위한 덧신은 기계적 장치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으로 자체 중량 및 제조비용이 증가됨은 물론이고, 착용후 부식방지를 위한 관리를 위하여 별도의 작업이나 시간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눈길이나 빙판길과 같은 자연환경에 적합한 미끄럼방지를 위한 장치로서 실내의 작업환경에 적용하기에는 중량이 무겁고, 착용이 불편하다.
즉, 종래의 미끄럼 방지장치는 실내외에 건설현장이나 제조업체등에서 바닥면의 이물질에 의한 미끄러움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도구로서는 중량이 무거워 작업자의 피로도를 가중시킴과 동시에 실내의 바닥면을 손상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개시는, 보행하는 노면의 상태에 따라 신발에 착탈할 수 있는 미끄럼방지 장치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는, 신발의 크기 또는 길이에 맞추어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미끄럼방지 장치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는, 보행자의 체중에 의해 미끄러지는 방지하는 돌기가 출몰하는 미끄럼방지 장치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신발의 미끄럼방지 장치는, 앞굽과 뒷굽을 가지는 신발; 상기 앞굽이 수용되는 평면으로 제1 미끄럼 방지 돌기가 구비되는 제1 바닥판; 상기 제1 바닥판에 구비되며 상기 신발의 발등에 고정되어 상기 제1 바닥판과 상기 앞굽의 접촉을 유지시키는 제1 고정부재; 상기 뒷굽이 수용되는 평면으로 제2 미끄럼 돌기가 구비되는 제2 바닥판; 상기 제2 바닥판에 구비되며 상기 신발의 발목에 고정되어 상기 제2 바닥판과 상기 뒷굽의 접촉을 유지시키는 제2 고정부재; 및 상기 제1 고정부재 및 제2 고정부재의 간격을 조절하는 길이조절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고정부재 및 제2 고정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신발의 발등 및 측면에 조임을 가하는 탄성부재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미끄럼 방지 돌기는 발에 의해 상기 앞굽으로부터 상기 제1 바닥판으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미끄럼 방지 돌기는 상기 뒷굽으로부터 상기 제2 바닥판으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바닥판에 구비되며, 상기 제1 바닥판과 앞굽 사이의 상대운동을 방지하는 고정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바닥판에 구비되며, 상기 제2 바닥판과 뒷굽 사이의 상대운동을 방지하는 고정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고정부재는, 발목의 앞부분 및 뒷부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길이조절부재는, 상기 제1 바닥판과 제2 바닥판에 각각 구비되며 서로 체결되는 밸크로즈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신발의 미끄럼방지 장치에 의하면, 보행하는 노면의 상태에 따라 신발에 착탈할 수 있으므로, 휴대가 가능하며, 기존의 신발을 교체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신발의 크기 또는 길이에 맞추어 미끄럼방지 장치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신발의 크기에 따른 호환성이 향상되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보행자의 체중에 의해 미끄럼 방지 돌기가 출몰하는 과정에 의해 미끄럼을 방지하므로 미끄럼 방지 돌기가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신발의 미끄럼방지 장치를 다양한 방향에서 본 모습을 보인 도면,
도 4는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신발의 미끄럼방지 장치가 체결된 신발을 보인 도면,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신발의 미끄럼방지 장치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 및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미끄럼 방지 돌기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신발의 미끄럼방지 장치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신발의 미끄럼방지 장치를 다양한 방향에서 본 모습을 보인 도면이며, 도 4는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신발의 미끄럼방지 장치가 체결된 신발을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예에 따른 신발의 미끄럼방지 장치(100)는, 두 개의 바닥판(111,112), 두 개의 고정부재(121,122), 길이조절부재(130)를 포함한다.
두 개의 바닥판(111,112)은, 각각 신발(200)의 앞굽과 뒷굽이 수용되는 것으로 평면으로 구비되며, 하면에는 아래 방향으로 향하는 미끄럼 방지 돌기(150)가 복수 개 구비된다.
여기서 미끄럼 방지 돌기(150)는 철재 또는 고무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미끄럼 방지 돌기(150)는 바닥판(111,112)과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두 개의 고정부재(121,122)는, 두 개의 바닥판(111,112)에 각각 구비되며, 두 개의 바닥판(111,112)이 신발의 밑면에 밀착되도록 신발의 발등 또는 발목에 고정된다.
두 개의 고정부재(121,122)는 탄성력에 의해 신발의 발등 및 측면을 조이도록 신축성을 가지는 탄성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앞굽이 수용되는 바닥판(이하, "제1 바닥판(111)")에 구비되는 고정부재(이하, "제1 고정부재(121)")는 제1 바닥판(111)의 상부에서 신발의 발등을 고정시키도록 구비된다.
제1 고정부재(121)는 상기 제1 바닥판(111)의 상측에서 반원형으로 테두리로 형성되며, 제1 바닥판(111)과의 사이에 인입되는 신발의 앞굽 상부에 밀착되어 고정시킨다.
구체적으로, 제1 고정부재(121)는 제1 바닥판(111)의 좌우측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테두리를 형성하므로 제1 바닥판(111)과의 사이에 전방과 후방으로 개방되므로 신발의 앞굽이 인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1 고정부재(121)는 탄성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제1 바닥판(111) 사이의 공간보다 더 큰 신발앞굽이 인입되면 신장되면서 상기 신발앞굽을 조임한다.
다음으로, 뒷굽이 수용되는 바닥판(이하, "제2 바닥판(112)")에 구비되는 고정부재(이하, "제2 고정부재(122)")는 제2 바닥판(112)의 상부에서 신발의 발목 또는 발등에 고정시키도록 구비된다.
제2 고정부재(122)는, 제2 바닥판(112)의 양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며, 자체 구성에 의하여 상기 신발의 뒷굽이 수용되면 걸림되도록 턱(331)을 형성하므로 제2 바닥판(112)에 인입되는 신발의 뒷굽을 지지한다.
여기서 제2 고정부재(122)는 소정의 폭을 갖는 판형상으로 제2 바닥판(112)의 양측에서 편평한 면(321)이 상기 제2 바닥판(112)을 향하도록 형성됨에 따라서 상기 제2 바닥판(112)에 안착된 뒷굽을 탄성력으로 조임한다.
아울러, 제2 고정부재(122)는, 상측에 발목이 수용되는 고리를 형성함으로써 신발의 뒷굽과 제2 바닥판(112)을 더욱 밀착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고정부재/는 벨크로즈 또는 단추, 버클 등과 같은 체결구조로 구비되어 신발의 발등 및 측면을 조이도록 구비될 수 있다.
길이조절부재(130)는 제1 바닥판(111)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제2 바닥판(112) 측으로 연장된 제1 조절부재(131)와 제2 바닥판(112)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제1 바닥판(111) 측으로 연장된 제2 조절부재(132)로 구비된다.
여기서, 제1 조절부재(131)와 제2 조절부재(132)에는 벨크로즈(일명, "찍찍이")가 구비되어, 제1 조절부재(131)와 제2 조절부재(132)가 서로 체결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때, 제1 조절부재(131)와 제2 조절부재(132)가 체결되는 위치에 따라 제1 바닥판(111)의 선단에서 제2 바닥판(112)의 말단까지의 길이가 조절되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예에 따른 미끄럼방지 장치(100)의 길이가 조절되게 된다.
다음으로, 본 개시에 따른 신발의 미끄럼방지 장치(100)에 있어서 미끄럼 방지 돌기의 다른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신발의 미끄럼방지 장치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예에 따른 신발의 미끄럼방지 장치는 기본적인 구성에 있어서 앞선 예와 대동소이하나, 제1 바닥판(111)에 구비된 미끄럼 방지 돌기(150)가 제1 바닥판(111)의 최하면보다 높게 위치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미끄럼 방지 돌기(150)는 제1 바닥판(111)으로부터 돌출되지 않게 구비된다.
한편, 미끄럼 방지 돌기(150)가 형성된 위치에 대응되는 제1 바닥판(111)의 상면에는 압축돌기(170)가 형성된다.
이에 의해, 제1 바닥판(111)의 상면에 밀착되는 신발의 바닥 부분에 보행시 발바닥에 의해 힘이 가해지면 압축돌기(170)가 가압되어 미끄럼 방지 돌기(150)가 선택적으로 돌출되게 된다.
따라서, 미끄럼 방지 돌기(150)는 보행시 노면에 닿는 부분에서만 선택적으로 돌출되게 된다.
따라서, 미끄럼 방지 돌기(150)가 항상 돌출되어 있어서 미끄럼 방지 돌기(150)가 손상되거나, 미끄럼 방지 돌기(150)에 의해 사용자가 상해를 입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 돌기(150)는 제2 바닥판(112)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위의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미끄럼 방지 돌기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예에 따른 신발의 미끄럼방지 장치는 기본적인 구성에 있어서 앞선 예와 대동소이하나, 제1 바닥판(111)의 상면에 고정침(180)이 더 구비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고정침(180)은 제1 바닥판(111)과 신발의 밀착시 신발의 밑면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이에 의해 신발의 밑바닥(예, 앞굽)과 제1 바닥판(111) 사이의 상대운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보행시 미끄럼 방지 장치가 신발로부터 이탈되는 위험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Claims (8)

  1. 앞굽과 뒷굽을 가지는 신발;
    상기 앞굽이 수용되는 평면으로 제1 미끄럼 방지 돌기가 구비되는 제1 바닥판;
    상기 제1 바닥판에 구비되며 상기 신발의 발등에 고정되어 상기 제1 바닥판과 상기 앞굽의 접촉을 유지시키는 제1 고정부재;
    상기 뒷굽이 수용되는 평면으로 제2 미끄럼 돌기가 구비되는 제2 바닥판;
    상기 제2 바닥판에 구비되며 상기 신발의 발목에 고정되어 상기 제2 바닥판과 상기 뒷굽의 접촉을 유지시키는 제2 고정부재; 및
    상기 제1 바닥판 및 제2 바닥판의 간격을 조절하는 길이조절부재;를 포함하는 신발의 미끄럼방지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재 및 제2 고정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신발의 발등 및 측면에 조임을 가하는 탄성부재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미끄럼방지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미끄럼 방지 돌기는 발에 의해 상기 앞굽으로부터 상기 제1 바닥판으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미끄럼방지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미끄럼 방지 돌기는 상기 뒷굽으로부터 상기 제2 바닥판으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미끄럼방지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닥판에 구비되며, 상기 제1 바닥판과 앞굽 사이의 상대운동을 방지하는 고정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미끄럼방지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닥판에 구비되며, 상기 제2 바닥판과 뒷굽 사이의 상대운동을 방지하는 고정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미끄럼방지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부재는, 발목의 앞부분 및 뒷부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미끄럼방지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부재는, 상기 제1 바닥판과 제2 바닥판에 각각 구비되며 서로 체결되는 밸크로즈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미끄럼방지 장치.
KR1020100117872A 2010-11-25 2010-11-25 신발의 미끄럼방지 장치 KR201200563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7872A KR20120056375A (ko) 2010-11-25 2010-11-25 신발의 미끄럼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7872A KR20120056375A (ko) 2010-11-25 2010-11-25 신발의 미끄럼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6375A true KR20120056375A (ko) 2012-06-04

Family

ID=46608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7872A KR20120056375A (ko) 2010-11-25 2010-11-25 신발의 미끄럼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5637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3396B1 (ko) * 2017-12-11 2019-04-29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교체 가능한 미끄럼 방지 시트가 구비된 기능성 신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3396B1 (ko) * 2017-12-11 2019-04-29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교체 가능한 미끄럼 방지 시트가 구비된 기능성 신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175280A1 (en) Footwear assemblies with removable enhanced traction devices and associate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US9220313B2 (en) Spare cleat
US20060080861A1 (en) Safety crampon with generality put on
CA3088629A1 (en) Mid-sole traction device
US9622545B2 (en) Dual-molded layer overshoe
RU181879U1 (ru) Съемная противоскользящая накладка обуви с подошвой, имеющей подковообразную выемку
CA3088637A1 (en) Heel traction device
KR20180002406U (ko) 낙상 방지용 신발
KR20120056375A (ko) 신발의 미끄럼방지 장치
JP2009090032A (ja) 滑り止め具
KR20160012766A (ko) 미끄럼 방지용 신발 밑창
KR101302707B1 (ko) 미끄럼 방지 기능의 교체형 신발
KR101087619B1 (ko) 미끄럼방지용 덧신
KR20100004722A (ko) 신발용 미끄럼 방지구
KR20210003393A (ko) 미끄럼방지 신발 보조기구
KR200335174Y1 (ko) 신발의 미끄럼 방지구조
JP3160232U (ja) 靴滑止め具
KR101652234B1 (ko) 착탈 가능한 미끄럼 방지구를 갖는 신발
KR20160028243A (ko) 빙판길 미끄럼 방지부재
KR20010046381A (ko) 구두의 미끄럼 방지장치
KR20060079956A (ko) 신발에 착용하는 미끄럼 방지구
KR200143906Y1 (ko) 신발의 미끄럼방지구
JP3210929U (ja) 着脱型靴滑り止め具
JP3199123U (ja) 滑り止め器具
KR960010486Y1 (ko) 미끄럼방지결착구를 갖춘 덧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