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6252A - 미디어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미디어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6252A
KR20120056252A KR1020120053807A KR20120053807A KR20120056252A KR 20120056252 A KR20120056252 A KR 20120056252A KR 1020120053807 A KR1020120053807 A KR 1020120053807A KR 20120053807 A KR20120053807 A KR 20120053807A KR 20120056252 A KR20120056252 A KR 201200562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a content
touch signal
media
displayed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3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행석
최경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Priority to KR1020120053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56252A/ko
Publication of KR20120056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62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미디어 월(Media Wall)을 이용하여 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가 개시된다. 제어 신호에 상응하여 기본 화면에서 미디어 월 화면으로 화면 이동하고 미디어 월 화면을 적어도 하나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표시하며 적어도 하나의 영역의 각각에 서로 동일하거나 다른 타입에 해당하는 미디어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적어도 하나의 영역이 터치됨에 의해 발생하는 터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터치 신호를 판별하고 터치 신호에 상응하여 선택된 미디어 컨텐츠를 재생시키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선택된 미디어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는 중 다른 타입의 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할 경우 초기 메뉴에서 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미디어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METHOD OF PROVIDING MEDIA CONTENTS AND APPARATUS FOR THE SAME}
본 발명은 미디어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디어 월(Media Wall)을 이용하여 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소비자들은 오디오 트랙들과 비디오 파일들과 같은 미디어 컨텐츠를 저장하고 재생할 수 있는 휴대용 디바이스에 관심이 많다. 이러한 휴대용 디바이스들은 소비자들이 자기의 집이나 직장에서 떨어져 있는 동안에도 사용자들이 가장 좋아하는 미디어 컨텐츠를 즐길 수 있게 한다.
종래의 휴대용 디바이스들은 컴팩트 디스크(CD)들과 같은 미리 기록된 미디어 또는 사용자 기록 미디어만을 재생하는 반면, 사용자가 디바이스 상에 사용자가 선택한 미디어 컨텐츠를 직접 저장할 수 있고, 이후 그 미디어 컨텐츠를 변경할 수 있는 메모리 또는 하드 드라이브와 같은 재기록이 가능한 저장 매체를 포함하는 휴대용 디바이스들이 증가하고 있다.
휴대용 디바이스 상의 미디어 컨텐츠를 저장하는 가장 통상적인 방법들 중 하나는 사용자가 컴퓨터(PC)상에서 사용자가 휴대용 디바이스로 다운로드하기 원하는 오디오 또는 비디오 파일들을 선택한다. 오디오 또는 비디오 파일들은 컴퓨터 상에 이미 저장되어 있을 수 있거나, 사용자가 인터넷 서버들과 같은 외부 소스들로부터 컴퓨터로 다운로드할 수 있다.
일단, 사용자가 원하는 미디어 컨텐츠를 선택하면, 선택된 파일들은 컴퓨터와 휴대용 디바이스 사이의 케이블 또는 무선 접속을 통해 휴대용 디바이스로 다운로딩 된다. 미디어 컨텐츠 파일들은 휴대용 디바이스에 국부적으로 저장되고 사용자는 자유롭게 휴대용 디바이스를 다른 위치로 옮겨 여유 시간에 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즐길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가 휴대용 디바이스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 중에 비디오 파일의 재생을 원하는 경우, 사용자는 초기 메뉴에서 비디오 파일을 재생시키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비디오 파일을 재생해야 한다. 또한, 사용자가 휴대용 디바이스에 저장된 비디오 파일 재생하는 중에 다른 타입의 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을 원하는 경우, 사용자는 초기 메뉴에서 재생하고자 하는 미디어 컨텐츠를 재생시키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재생해야 해야하기 때문에 비효율적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미디어 컨텐츠 제공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미디어 컨텐츠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컨텐츠 제공 장치는, 제어 신호에 상응하여 기본 화면에서 미디어 월 화면으로 화면 이동하고 미디어 월 화면을 적어도 하나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표시하며 적어도 하나의 영역의 각각에 서로 동일하거나 다른 타입에 해당하는 미디어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적어도 하나의 영역이 터치됨에 의해 발생하는 터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터치 신호를 판별하고 터치 신호에 상응하여 선택된 미디어 컨텐츠를 재생시키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선택된 미디어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컨텐츠 제공 방법은, 제어 신호에 상응하여 기본 화면에서 미디어 월 화면으로 화면 이동하고 미디어 월 화면을 적어도 하나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표시하며 적어도 하나의 영역의 각각에 서로 동일하거나 다른 타입에 해당하는 미디어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와, 적어도 하나의 영역이 터치됨에 의해 발생하는 터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터치 신호를 판별하고 터치 신호에 상응하여 선택된 미디어 컨텐츠를 재생시키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선택된 미디어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미디어 월(Media Wall)을 이용하여 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이용할 경우에는 사용자는 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는 중 다른 타입의 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할 경우 초기 메뉴에서 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컨텐츠 제공 장치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컨텐츠 장치가 휴대용 디바이스에 적용된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컨텐츠 장치가 휴대용 디바이스에 적용된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컨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휴대용 디바이스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셀룰러 전화기,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 폰,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PDA), 무선 모뎀,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컴퓨터,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촬영장치,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게이밍 장치,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음악저장 및 재생 가전제품, 무선 인터넷 접속 및 브라우징이 가능한 인터넷 가전제품뿐만 아니라 그러한 기능들의 조합들을 통합하고 있는 휴대형 유닛 또는 단말기들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컨텐츠 제공 장치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미디어 컨텐츠 제공 장치는 수신부(101), 디스플레이부(102) 및 제어부(10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수신부(101)는 디스플레이부(102)가 제어부(103)의 제어에 의해 재생할 미디어 컨텐츠의 타입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중 사용자로부터 재생할 미디어 컨텐츠의 타입을 선택하는 터치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수신부(101)는 디스플레이부(102)가 제어부(103)의 제어에 의해 미디어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중 사용자로부터 재생을 멈추는 터치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부(101)는 디스플레이부(102)가 제어부(103)의 제어에 의해 미디어 컨텐츠의 리스트가 디스플레이하는 중 사용자로부터 재생할 미디어 컨텐츠를 선택하는 터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03)는 수신부(101)로부터 수신된 터치 신호를 판별할 수 있다. 먼저, 디스플레이부(102)는 제어부(103)의 제어에 의해 재생할 미디어 컨텐츠의 타입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중 수신부(101)로부터 터치 신호가 수신된 경우, 제어부(103)는 수신부(101)로부터 수신된 터치 신호가 재생할 미디어 컨텐츠의 타입을 선택하는 터치 신호라고 판별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03)는 수신부(101)로부터 수신된 재생할 미디어 컨텐츠의 타입을 판단한 후 해당 미디어 컨텐츠의 타입에 해당되는 미디어 컨텐츠의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부(102)에서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03)는 수신부(101)로부터 수신된 재생할 미디어 컨텐츠의 타입이 사진 파일이라고 판단할 경우, 제어부(103)는 휴대용 디바이스에 저장된 미디어 컨텐츠 중 미디어 컨텐츠의 타입이 사진 파일에 해당하는 미디어 컨텐츠의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부(102)에서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03)는 수신부(101)로부터 수신된 재생할 미디어 컨텐츠의 타입이 비디오 파일이라고 판단할 경우, 제어부(103)는 휴대용 디바이스에 저장된 미디어 컨텐츠 중 미디어 컨텐츠의 타입이 비디오 파일에 해당하는 미디어 컨텐츠의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부(102)에서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03)는 수신부(101)로부터 수신된 재생할 미디어 컨텐츠의 타입이 오디오 파일이라고 판단할 경우, 제어부(103)는 휴대용 디바이스에 저장된 미디어 컨텐츠 중 미디어 컨텐츠의 타입이 오디오 파일에 해당하는 미디어 컨텐츠의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부(102)에서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한다.
둘째로, 디스플레이부(102)에서 미디어 컨텐츠의 리스트가 디스플레이 되는 중 수신부(101)로부터 터치 신호가 수신된 경우, 제어부(103)는 수신부(101)로부터 수신된 터치 신호가 재생할 미디어 컨텐츠를 선택하는 터치 신호라고 판별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03)는 수신부(101)로부터 수신된 재생할 미디어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부(102)에서 재생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03)는 디스플레이부(102)에서 미디어 컨텐츠의 타입이 사진 파일에 해당하는 미디어 컨텐츠의 리스트가 디스플레이 되는 중 수신부(101)로부터 재생할 미디어 컨텐츠가 첫 번째 사진 파일이라는 것을 수신한 경우, 첫 번째 사진 파일 및 사진 파일의 촬영 정보가 디스플레이부(102)에서 재생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03)는 디스플레이부(102)에서 미디어 컨텐츠의 타입이 오디오 파일에 해당하는 미디어 컨텐츠의 리스트가 디스플레이 되는 중 수신부(101)로부터 재생할 미디어 컨텐츠가 세 번째 오디오 파일이라는 것을 수신한 경우, 세 번째 오디오 파일의 곡명 및 앨범명과 함께 오디오 파일이 디스플레이부(102)에서 재생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03)는 디스플레이부(102)에서 미디어 컨텐츠의 타입이 비디오 파일에 해당하는 미디어 컨텐츠의 리스트가 디스플레이 되는 중 수신부(101)로부터 재생할 미디어 컨텐츠가 다 섯번째 비디오 파일이라는 것을 수신한 경우, 다 섯번째 비디오 파일의 비디오 파일명 및 주연 배우 정보등과 함께 비디오 파일이 디스플레이부(102)에서 재생되도록 제어한다.
셋째, 디스플레이부(102)는 제어부(103)의 제어에 의해 미디어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중 수신부(101)로부터 터치 신호를 수신한 경우, 제어부(103)는 수신부(101)로부터 수신된 터치 신호가 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을 멈추라는 터치 신호라고 판별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03)는 디스플레이부(102)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이 멈추도록 제어할 수 있다.
넷째, 첫째부터 셋째까지의 경우에, 제어부(103)는 수신부(101)로부터 수신된 터치 신호가 메뉴를 선택하는 터치 신호라고 판별한 경우, 제어부(103)는 사용자가 재생할 미디어 컨텐츠의 타입을 선택하도록 디스플레이부(102)에서 재생할 미디어 컨텐츠의 타입 리스트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02)는 제어부(103)의 제어에 의해 재생할 미디어 컨텐츠의 타입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102)는 제어부(103)의 제어에 수신부(101)로부터 수신된 미디어 컨텐츠의 타입에 해당하는 미디어 컨텐츠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02)는 제어부(103)의 제어에 의해 미디어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 중 수신부(101)로부터 터치 신호를 수신할 경우, 제어부(103)의 제어에 의해 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을 멈출 수 있다. 그러면 이하에서는, 도 2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컨텐츠 제공 장치가 휴대용 디바이스에 적용된 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컨텐츠 장치가 휴대용 디바이스에 적용된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수신부(101)는 터치 신호를 수신한 경우 제어부(101)는 수신부(101)로부터 수신된 터기 신호가 메뉴를 나타내는 터치 신호라고 판단하고, 사용자가 재생할 미디어 컨텐츠의 타입을 선택하도록 디스플레이부(102)에서 재생할 미디어 컨텐츠의 타입 리스트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재생할 미디어 컨텐츠의 타입 리스트는 휴대용 디바이스에 저장된 서로 다른 종류의 미디어 컨텐츠의 타입을 나타내는 리스트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102)는 제어부(103)의 제어에 의해 재생할 미디어 컨텐츠의 타입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중 수신부(101)로부터 터치 신호가 수신된 경우, 제어부(103)는 수신부(101)로부터 수신된 터치 신호가 재생할 미디어 컨텐츠의 타입을 선택하는 터치 신호라고 판별하고, 이에 따라 재생할 미디어 컨텐츠의 타입이 사진 파일이라고 판단하여 사진 파일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컨텐츠 장치가 휴대용 디바이스에 적용된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휴대용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부(102)는 제어 신호(예를 들어, 좌측으로 플리킹)에 상응하여 기본 화면에서 미디어 월(Media Wall) 화면으로 화면 이동할 수 있다. 미디어 월 화면은 적어도 하나의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각각 영역에는 mp3 앨범, 사진, 동영상 등과 같은 서로 다른 타입에 해당하는 미디어 컨텐츠가 표시될 수 있다.
수신부(101)는 미디어 월 화면 상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터치함에 의하여 발생하는 터치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미디어 월 화면 상에 표시된 미디어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103)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미디어 컨텐츠를 미디어 월 화면 상에 미리 설정된 크기로 확대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선택된 미디어 컨텐츠를 재생시키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선택된 미디어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선택된 미디어 컨텐츠는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확장됨으로써, 미리 설정된 크기로 확대하여 표시될 수 있으며, 미리 결정된 방향은 대각 방향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확대되어 표시되고 있는 재생 중에 있는 선택된 미디어 컨텐츠를 터치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재생 중인 선택된 미디어 컨텐츠를 최초 상태로 복귀시킴과 동시에 재생을 정지시킬 수 있다. 즉, 수신부(101)는 미디어 월 화면에 미리 설정된 크기로 확대되어 표시된 선택된 미디어 컨텐츠를 터치함에 의해 발생하는 재생 정지에 해당하는 터치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제어부(103)는 터치 신호가 재생 정지에 해당하는 터치 신호로 판별되면, 미리 설정된 크기로 확대되어 표시된 선택된 미디어 컨텐츠를 원래의 크기로 축소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선택된 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을 정지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디스플레이부(102)는 제어부(103)의 제어에 의해 재생할 미디어 컨텐츠의 타입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중 수신부(101)로부터 터치 신호가 수신된 경우, 제어부(103)는 수신부(101)로부터 수신된 터치 신호가 재생할 미디어 컨텐츠의 타입을 선택하는 터치 신호라고 판별하고, 이에 따라 재생할 미디어 컨텐츠의 타입이 오디오 파일이라고 판단한 경우의 예시도이며, 도 3의 내부 구조는 제어부(103)가 판단한 재생할 미디어 컨텐츠의 타입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수신부(101)는 디스플레이부(102)가 제어부(103)의 제어에 의해 미디어 컨텐츠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303)하는 중 사용자로부터 터치 신호를 수신(304)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02)에서 미디어 컨텐츠의 리스트가 디스플레이(303)되는 중 수신부(101)로부터 터치 신호가 수신(304)되었기 때문에, 제어부(103)는 수신부(101)로부터 터치 신호가 재생할 미디어 컨텐츠를 선택하는 터치 신호라고 판별하고, 이에 따라 제어부(103)는 재생할 미디어 컨텐츠의 이미지를 확대하여 디스플레이부(102)에서 디스플레이(305)되도록 제어하고, 재생할 미디어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부(102)에서 재생(306)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03)는 디스플레이부(102)에서 미디어 컨텐츠의 타입이 오디오 파일에 해당하는 미디어 컨텐츠의 리스트가 디스플레이 되는 중 수신부(101)로부터 재생할 미디어 컨텐츠가 세 번째 오디오 파일이라는 것을 수신(304)한 경우, 선택된 미디어 컨텐츠의 이미지를 확대하여 디스플레이부(102)에서 디스플레이(305)되도록 제어하고, 세 번째 오디오 파일의 곡명 및 앨범명과 함께 오디오 파일이 디스플레이부(102)에서 재생(306)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수신부(101)는 디스플레이부(102)가 제어부(103)의 제어에 의해 미디어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중 사용자로부터 터치 신호(307)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02)에서 미디어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중 수신부(101)가 터치 신호를 수신(307)하였기 때문에 제어부(103)는 수신부(101)로부터 수신된 터치 신호가 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을 멈추라는 터치 신호라고 판별하고, 이에 따라 제어부(103)는 디스플레이부(102)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미디어 컨텐츠의 이미지를 축소하여 디스플레이부(102)에서 디스플레이(308)되도록 제어하고, 디스플레이부(102)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이 멈추(308)도록 제어한다. 그러면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컨텐츠 제공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컨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미디어 컨텐츠 제공 장치는 미디어 컨텐츠의 타입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한다(S401). 미디어 컨텐츠의 타입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되는 중 사용자로부터 터치 신호를 수신(S402)한 경우, 미디어 컨텐츠 제공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터치 신호가 재생할 미디어 컨텐츠의 타입을 선택하는 터치 신호라고 판별하고, 이에 따라 미디어 컨텐츠 제공 장치는 재생할 미디어 컨텐츠의 타입을 판단한 후 해당 미디어 컨텐츠의 타입에 해당되는 미디어 컨텐츠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한다(S403). 미디어 컨텐츠의 타입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되는 중 사용자로부터 터치 신호를 수신(S402)하지 않은 경우, 미디어 컨텐츠 제공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터치 신호가 수신될 때까지 미디어 컨텐츠의 타입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한다.
미디어 컨텐츠의 타입에 해당되는 미디어 컨텐츠의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되는 중 사용자로부터 터치 신호를 수신(S404)한 경우, 미디어 컨텐츠 제공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터치 신호가 재생할 미디어 컨텐츠를 선택하는 터치 신호라고 판별하고, 이에 따라 미디어 컨텐츠 제공 장치는 재생할 미디어 컨텐츠를 재생(S405)한다. 미디어 컨텐츠의 타입에 해당되는 미디어 컨텐츠의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되는 중 사용자로부터 터치 신호를 수신(S404)하지 않은 경우, 미디어 컨텐츠 제공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터치 신호가 수신될 때까지 미디어 컨텐츠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한다.
미디어 컨텐츠의 리스트 중 사용자에의해 선택된 미디어 컨텐츠가 재생되는 중 사용자로부터 터치 신호를 수신(S406)한 경우, 미디어 컨텐츠 제공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터치 신호가 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을 멈추라는 터치 신호라고 판별하고, 이에 따라 미디어 컨텐츠 제공 장치는 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을 멈춘(S407)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술한 미디어 컨텐츠 제공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미디어 컨텐츠 제공 방법으로, 제어 신호에 상응하여 기본 화면에서 미디어 월 화면으로 화면 이동하고 상기 미디어 월 화면을 적어도 하나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표시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역의 각각에 서로 동일하거나 다른 타입에 해당하는 미디어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역이 터치됨에 의해 발생하는 터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신호를 판별하고 상기 터치 신호에 상응하여 선택된 미디어 컨텐츠를 재생시키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상기 선택된 미디어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디어 컨텐츠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1: 수신부 102: 디스플레이부
103: 제어부

Claims (12)

  1. 제어 신호에 상응하여 기본 화면에서 미디어 월 화면으로 화면 이동하고, 상기 미디어 월 화면을 적어도 하나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표시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역의 각각에 서로 동일하거나 다른 타입에 해당하는 미디어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역이 터치됨에 의해 발생하는 터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터치 신호를 판별하고 상기 터치 신호에 상응하여 선택된 미디어 컨텐츠를 재생시키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상기 선택된 미디어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미디어 컨텐츠 제공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미디어 컨텐츠를 미리 설정된 크기로 확대하여 상기 미디어 월 화면에 표시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선택된 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컨텐츠 제공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미디어 월 화면에 상기 미리 설정된 크기로 확대되어 표시된 상기 선택된 미디어 컨텐츠를 터치함에 의해 발생하는 재생 정지에 해당하는 터치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컨텐츠 제공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신호가 상기 재생 정지에 해당하는 터치 신호로 판별되면, 상기 미리 설정된 크기로 확대되어 표시된 상기 선택된 미디어 컨텐츠를 원래의 크기로 축소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선택된 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을 정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컨텐츠 제공 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미디어 컨텐츠를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확장시킴으로써, 상기 미리 설정된 크기로 확대하여 상기 미디어 월 화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컨텐츠 제공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방향은,
    대각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컨텐츠 제공 장치.
  7. 미디어 컨텐츠 제공 장치에서 실행되는 미디어 컨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제어 신호에 상응하여 기본 화면에서 미디어 월 화면으로 화면 이동하고, 상기 미디어 월 화면을 적어도 하나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표시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역의 각각에 서로 동일하거나 다른 타입에 해당하는 미디어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역이 터치됨에 의해 발생하는 터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신호를 판별하고 상기 터치 신호에 상응하여 선택된 미디어 컨텐츠를 재생시키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상기 선택된 미디어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디어 컨텐츠 제공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미디어 컨텐츠를 미리 설정된 크기로 확대하여 상기 미디어 월 화면에 표시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선택된 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컨텐츠 제공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미디어 월 화면에 상기 미리 설정된 크기로 확대되어 표시된 상기 선택된 미디어 컨텐츠를 터치함에 의해 발생하는 재생 정지에 해당하는 터치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컨텐츠 제공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 신호가 상기 재생 정지에 해당하는 터치 신호로 판별되면, 상기 미리 설정된 크기로 확대되어 표시된 상기 선택된 미디어 컨텐츠를 원래의 크기로 축소하여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선택된 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을 정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컨텐츠 제공 방법.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미디어 컨텐츠를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확장시킴으로써, 상기 미리 설정된 크기로 확대하여 상기 미디어 월 화면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컨텐츠 제공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방향은,
    대각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컨텐츠 제공 방법.
KR1020120053807A 2012-05-21 2012-05-21 미디어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200562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3807A KR20120056252A (ko) 2012-05-21 2012-05-21 미디어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3807A KR20120056252A (ko) 2012-05-21 2012-05-21 미디어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5336A Division KR20120054672A (ko) 2010-10-27 2010-10-27 미디어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6252A true KR20120056252A (ko) 2012-06-01

Family

ID=46608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3807A KR20120056252A (ko) 2012-05-21 2012-05-21 미디어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5625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22318B2 (en) Smart random media object playback
KR101889378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컨텐츠 공유 방법
US20090077491A1 (en) Method for inputting user command using user's motion and multimedia apparatus thereof
TWI590070B (zh) 應用程式切換器相關之設備、方法及電腦程式
JP6265401B2 (ja) メディアを再生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端末
US8819043B2 (en) Combining song and music video playback using playlists
KR20100132705A (ko) 컨텐츠 리스트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
KR101032634B1 (ko) 미디어 파일 재생 방법 및 장치
US20110302493A1 (en) Visual shuffling of media icons
US20090249206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esenting a media history
KR100814090B1 (ko) 파일 재생 중 설정된 선호 그룹을 이용하여 파일을 재생하는 방법
JP2010205394A (ja) 音源再生装置及び音源選択再生方法
KR20130123053A (ko) 멀티미디어 확장 탐색 방법과 그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KR20090029135A (ko) 플레이리스트 편집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멀티미디어재생장치
JP2024512634A (ja) アプリケーションのビデオ処理方法及び電子機器
JP2011170849A (ja) デジタルメディアプレーヤ向けメディアファイルのアクセス制御方法並びに私のお気に入りフォルダの相互参照を関連アプリケーションに追加する方法及び装置
JP6082896B1 (ja) 画像編集装置、及び画像編集方法
KR20120054672A (ko) 미디어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0773441B1 (ko) 휴대단말의 콘텐츠파일 검색방법 및 장치
WO2008132538A1 (en) Methods, rendering application, portable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creating a play list
US20080259746A1 (en) Method of managing playlist by using key
KR20120056252A (ko) 미디어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21044601A1 (ja) アプリケーション拡張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
JP6752111B2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再生方法
KR101218540B1 (ko) 인덱스 바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