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3441B1 - 휴대단말의 콘텐츠파일 검색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단말의 콘텐츠파일 검색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3441B1
KR100773441B1 KR1020060130310A KR20060130310A KR100773441B1 KR 100773441 B1 KR100773441 B1 KR 100773441B1 KR 1020060130310 A KR1020060130310 A KR 1020060130310A KR 20060130310 A KR20060130310 A KR 20060130310A KR 100773441 B1 KR100773441 B1 KR 1007734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ile
content file
output
sear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0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병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30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34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3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3441B1/ko
Priority to EP07123270A priority patent/EP1936971A3/en
Priority to US11/956,393 priority patent/US20080147676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4Browsing; Visualisation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27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7PVR [Personal Video Recor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92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reading from or writing on a volatile storage medium, e.g. Random Access Memory [R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4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fitting data in a restricted space on the screen, e.g. EPG data in a rectangular gr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8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for searching program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4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graphical data, e.g. 3D object, 2D graphics
    • H04N21/8153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graphical data, e.g. 3D object, 2D graphics comprising still images, e.g. texture, background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1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 H04N7/0122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the input and the output signals having different aspect rati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playing music 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6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with processing of the sound signal
    • H04N9/8063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with processing of the sound signal using time division multiplex of the PCM audio and PCM video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 H04N9/8227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the additional signal being at least another television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의 콘텐츠파일 검색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단말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콘텐츠 파일 검색시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응되는 영상을 출력시켜 출력된 영상을 검색함으로써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파일에 대한 시각적 검색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임의의 콘텐츠 파일 및 상기 콘텐츠 파일에 대응하는 영상파일이 저장된 휴대단말의 콘텐츠파일 검색방법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파일 검색모드 실행명령 입력시 상기 영상파일을 출력하는 영상출력과정과, 상기 출력 영상에 대한 이동명령 입력시 상기 영상파일을 연이어 출력시키는 영상검색과정을 포함한다.
멀티미디어 콘텐츠파일, 파일검색, 앨범 표지 영상, 휠 키

Description

휴대단말의 콘텐츠파일 검색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EARCHING STORED FILES IN MOBI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키 입력부(103)의 구성키를 도시한 키 입력부의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키 입력부(103)의 각 키에 의한 명령입력시 각 키의 동작을 묘사한 키 동작 아이콘 모음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콘텐츠파일 검색방법의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휠 키의 회전속도에 따른 영상조절과정의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뮤직모드 실행시 영상표시부 출력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앨범표지(cover) 검색모드 실행시 영상표시부 출력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앨범표지(cover) 검색기능 실행시 휠 키(201) 회전에 따라 영상표시부(104) 출력화면이 이동하는 영상검색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영상화면(앨범표지 정지영상) 및 상기 앨범에 수록된 음악목록을 도시한 화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뮤직모드의 오디오신호 실행표시도,
도 11a 내지 도 15f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영상검색과정에 따라 출력된 영상화면의 예시도,
도 16a 내지 도 17k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영상화면 출력시 옵션 키 입력에 따른 옵션명령 실행도이다.
본 발명은 휴대단말의 콘텐츠파일 검색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단말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콘텐츠 파일 검색시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응되는 영상을 출력시켜 출력된 영상을 검색함으로써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파일에 대한 시각적 검색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휴대단말기가 등장하고 있으며, 특히 대용량 메모리소자를 구비한 휴대단말기는 다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파일은 오디오파일 또는 비디오파일로서 음악파일, 사진파일, 뮤직비디오파일, 영화파일 등을 포함한다.
종래 다양한 종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파일이 저장된 대용량 메모리소자를 구비한 휴대단말기에서 임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파일을 검색하는 경우 가수명, 노래명, 앨범명, 장르명, 영화명 등의 키 워드를 입력하여 검색하거나 또는 상기 키 워드별로 미리 분류된 분류항목을 선택하여 검색하는 검색방식을 사용한다.
그러나 종래의 검색방식에서는 임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파일이 수록된 저장매체 실물(예를 들어, 음악CD 또는 음반 등)을 실제로 선별하면서 선택하는 듯한 시각적이고 직관적인 검색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검색방식에서는 단지 한정된 분야(가수명, 노래명, 앨범명, 장르명, 영화명 등)에 대한 검색결과만을 알 수 있기 때문에,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앨범표지(Album Cover Art)에 함축적으로 표현되어 있는 다양한 정보(가수명, 노래명, 앨범명, 장르명, 영화명 및 연주실황사진 등의 정지영상)를 동시에 출력하여 활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단말에 저장된 임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파일 검색에 있어서 임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파일에 대응하는 정지영상(예를 들어 특정가수의 특정음반에 수록된 특정 곡을 검색하는 경우 상기 특정 곡이 수록된 음악CD 또는 음반의 표지사진 등)을 검색함으로써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파일에 대한 직관적이고 시각적인 검색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정지영상 검색시 정지영상을 연이어 좌우로 또는 상하로 이동시켜 검색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정지영상 검색시 임의의 정지영상의 이동속도 및 화면크기를 가변적으로 조절하여 검색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단말의 콘텐츠파일 검색 방법은, 임의의 콘텐츠 파일 및 상기 콘텐츠 파일에 대응하는 영상파일이 저장된 휴대단말의 콘텐츠파일 검색방법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파일 검색모드 실행명령 입력시 상기 영상파일을 출력하는 영상출력과정과, 상기 출력 영상에 대한 이동명령 입력시 상기 영상파일을 연이어 출력시키는 영상검색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단말의 콘텐츠파일 검색 방법은, 임의의 콘텐츠 파일 및 영상파일이 저장된 휴대단말의 콘텐츠파일 검색방법에 있어서, 상기 임의의 콘텐츠파일에 대한 검색모드 실행명령 입력시 콘텐츠파일 검색메뉴리스트를 출력하는 검색메뉴 출력과정과, 상기 검색메뉴 중 영상파일 검색명령 입력시 임의의 콘텐츠파일 및 상기 임의의 콘텐츠 파일에 대응하는 영상파일을 검색하는 파일검색과정과, 상기 검색결과 해당 영상파일이 존재하면 검색된 영상파일의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출력과정과, 상기 출력 영상에 대한 이동명령 입력시 상기 검색된 임의의 영상을 연이어 출력시키는 영상검색과정과, 상기 연이어 출력되는 임의의 영상 중 특정 영상에 대한 선택명령 입력시 선택된 영상에 대응하는 콘텐츠파일리스트를 출력하는 콘텐츠파일 리스트출력과정과, 상기 출력된 콘텐츠 파일리스트 중 임의의 콘텐츠파일에 대한 선택명령 입력시 선택된 콘텐츠 파일을 실행하는 콘텐츠파일 실행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단말의 콘텐츠파일 검색 방법은, 휠 키 및 영상표시부를 구비한 휴대단말의 텐츠파일 검색방법에 있어서, 임의의 콘텐츠파일 저장명령 입력시 상기 임의의 콘텐츠파일 및 상기 콘텐츠파일에 대응하는 임의의 영상파일을 함께 저장하는 파일저장과정과, 상기 저장된 콘텐츠파일에 대한 콘텐츠 파일 검색모드 실행명령 입력시 상기 영상파일을 출력하는 영상출력과정과, 상기 출력 영상에 대한 이동명령 입력시 상기 영상파일을 연이어 출력시키는 영상검색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단말의 콘텐츠파일 검색 방법은, 휠 키 및 영상표시부를 구비한 휴대단말의 콘텐츠파일 검색방법에 있어서, 임의의 콘텐츠파일 저장명령 입력시 상기 임의의 콘텐츠파일 및 상기 콘텐츠파일에 대응하는 임의의 영상파일을 함께 저장하는 파일저장과정과, 상기 저장된 콘텐츠파일에 대한 검색모드 실행명령 입력시 콘텐츠파일 검색메뉴리스트를 출력하는 검색메뉴 출력과정과, 상기 검색메뉴 중 영상파일 검색명령 입력시 임의의 콘텐츠파일 및 상기 임의의 콘텐츠 파일에 대응하는 영상파일을 검색하는 파일검색과정과, 상기 검색결과 해당 영상파일이 존재하면 검색된 영상파일의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출력과정과, 상기 출력 영상에 대한 이동명령 입력시 상기 검색된 임의의 영상을 연이어 출력시키는 영상검색과정과, 상기 연이어 출력되는 임의의 영상 중 특정 영상에 대한 선택명령 입력시 선택된 영상에 대응하는 콘텐츠파일리스트를 출력하는 콘텐츠파일 리스트출력과정과, 상기 출력된 콘텐츠 파일리스트 중 임의의 콘텐츠파일에 대한 선택명령 입력시 선택된 콘텐츠 파일을 실행하는 콘텐츠파일 실행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단말의 콘텐츠 파일 검색 장치는, 임의의 콘텐츠 파일 및 그에 대응하는 임의의 영상파일이 저장된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콘텐츠 파일에 대한 파일 리스트 및 상기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영상표시부와, 회전방식으로 조작되는 휠 키가 구비된 키 입력부와,상기 임의의 콘텐츠파일 및 영상파일을 임의의 미디어전송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결합시켜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은 촬영기능, 이동통신기능, 디지털방송 수신기능 또는 정보처리기능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구조도이다. 상기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단말은 제어부(101), 메모리(102), 키 입력부(103), 영상표시부(104), RF(Radio Frequency)부(105), 데이터 처리부(106), 오디오 처리부(10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101)는 상기 휴대단말의 전반적인 동작 및 상기 휴대단말의 내부블록들 사이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실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1)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메모리(102), 키 입력부(103), 영상표시부(104), 데이터 처리부(106) 및 오디오 처리부(107) 사이의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상기 메모리(102)는 프로그램 메모리 영역과 데이터 메모리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 영역은 휴대단말을 부팅시키는데 필요한 운영체제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상기 데이터 메모리 영역은 유무선망 등을 통해 다운로드받은 임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파일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키 입력부(103)는 각종 기능 설정 및 제어와 관련한 정보 등을 입력하는 장치로서, 키 입력 신호를 제어부(101)로 출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키 입력부(103)는 알파뉴머릭 키 패드 대신 휠 키(201) 및 터치패드방식을 이용하여 키 입력을 실행한다. 이하 도 2에서 상기 키 입력부(103)의 구성에 관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영상표시부(104)는 상기 제어부(101)에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표시한다. 상기 영상표시부(104)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이하 'LCD'라 칭한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LCD가 터치스크린(Touch Screen)기능을 갖는 경우 데이터 입력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RF부(105)는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데이터 송수신 기능을 실행한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106)는 상기 RF부(105)를 통하여 송수신 되는 임의의 데이터를 처리하여 제어부(101)로 전달하고, 제어부(101)로부터 출력되는 임의의 데이터, 예를 들어 제어명령을 RF부(105)로 전달한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107)는 음성 또는 음향 데이터를 제어부(101)의 제어에 상응하여 스피커(SPK)를 통해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마이크(MIC)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데이터화하여 출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키 입력부(103)의 구성키를 도시한 키 입력부의 구조도이다.
상기 키 입력부(103)는 휠 키(wheel key, 201), 뮤직키(music key, 202) 및 모어 키(more key, 20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휠 키(201)는 센터 키(center key, 201k), 엔드키(end key,201e), 센드키(send key,201s), 클리어키(clear key,201c), 백 키(back key,201b)를 구비한다.
상기 휠 키(wheel key)(201)는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볼륨을 조절하는 볼륨 키 또는 임의의 콘텐츠파일 또는 기능모드를 선택하는 선택 키로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센터 키(center key)(201k)는 실행키로서 기능하며, 휠 키의 중심부에 위치한 센터 키를 누르면 상기 휠 키에 의해 선택된 콘텐츠파일이 실행되거나 또는 특정 기능모드의 하위메뉴가 영상표시부에 출력된다.
상기 클리어키(clear key)(201c)는 모드종료 키로서 기능하며, 휠 키의 위쪽 부분을 누르면 현재 실행 중인 동작모드가 종료된다.
상기 엔드키(end key)(201e)는 모드변경 키로서 기능하며, 휠 키의 오른쪽 부분을 누르면 현재 실행 중인 동작모드의 상위모드 또는 아이들 상태로 복귀한다.
상기 센드키(send key)(201s)는 콘텐츠파일 재생제어키로서 기능하며, 휠 키의 왼쪽 부분을 누르면, 현재 실행 중인 콘텐츠 파일의 실행을 일시 멈추게 하거나(pause) 또는 반대로 일시 실행이 멈춘 콘텐츠파일이 재생(playing)되도록 한다.
상기 백 키(back key)(201b)는 모드복귀 키로서 기능하며, 휠 키의 아래쪽 부분을 누르면 휴대단말의 직전 동작모드 또는 직전 화면으로 복귀한다.
상기 뮤직키(music key)(202)는 뮤직모드 실행명령키로서, 키 입력부(103)에 인접한 영상표시부(104)에 설치된다. 즉, 상기 뮤직키(202)는 'Music' 이라고 표시된 곳 바로 아래부분(즉, 영상표시부 화면의 우측 상단)에 내장된 터치감지센서에 의해 작동되며, 영상표시부(104) 화면의 좌측 상단을 터치하면 뮤직모드가 실행된다.
상기 모어 키(more key)(203)는 옵션 키로서, 키 입력부(103)에 인접한 영상표시부(104)에 설치된다. 즉, 상기 뮤직키(202)는 'More' 라고 표시된 곳 바로 아랫부분의 영상표시부(104)(즉, 영상표시부 화면의 우측 상단)에 내장된 터치감지센서에 의해 작동되며, 영상표시부(104) 화면의 우측 상단을 터치하면 옵션기능을 수행하여 뮤직모드 메뉴리스트 중 선택된 특정 기능에 대한 하위목록을 영상표시부(203)로 출력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키 입력부(103)의 각 키에 의한 명령입력시 각 키의 동작을 묘사한 키 동작 아이콘 모음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301 아이콘은 센터키 누름 표시이고, 302 아이콘은 휠 키 시계방향 회전표시(1개 화면 하향이동 또는 우측메뉴이동)이고, 303 아이콘은 휠 키 시계방향 회전표시(복수화면 하향이동 또는 우측메뉴이동)이고, 304 아이콘은 휠 키 반 시계방향 회전표시(1개 화면 상향이동 또는 좌측메뉴이동)이고, 305 아이콘은 휠 키 반 시계방향 회전표시(복수화면 상향이동 또는 좌측메뉴이동)이고, 306 아이콘은 센드키 누름 표시이고, 307 아이콘은 엔드키 누름 표시이고, 308 아이콘은 실행예약 표시이고, 309 아이콘은 클리어 키 누름 표시이고, 310 아이콘은 백 키 누름 표시이다. 한편, 상기 각 키에 의한 명령입력시 상기 도 3에 도시된 아이콘이 영상표시부(104) 화면상에 출력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콘텐츠파일 검색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S 401 과정에서, 휴대단말은 전원이 켜진(power-ON) 대기상태이다.
S 403 과정에서, 제어부(101)는 콘텐츠파일 검색모드 실행명령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점검한다. 콘텐츠파일 검색모드 실행명령이 입력된 경우 S 404 과정에서 제어부(101)는 콘텐츠파일 검색메뉴 리스트를 출력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뮤직모드 실행시 영상표시부 출력도이다. 상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뮤직모드 실행시 영상표시부(104) 화면에 뮤직모드 메뉴리스트가 출력된다. 상기 리스트에는 현재출력음악(Now playing), 아티스트(Artist), 앨범(Album), 앨범표지(Cover), 트랙이동(Track), 선호음악(Favorite) 등의 목록이 표시된다.
S 405 과정에서, 제어부(101)는 상기 콘텐츠파일에 대응하는 영상파일 검색 명령 입력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도 6의 뮤직모드에서, 뮤직모드 실행시 뮤직모드 메뉴리스트가 출력된 상태에서, 휠 키(201) 회전에 따라 선택 커서가 상하로 이동하여 '앨범표지(cover)' 목록에 위치하고 센터 키(201k)를 입력하면 앨범표지(cover) 검색모드가 실행된다.
S 407 과정에서, 제어부(101)는 임의의 미디어전송 프로토콜에 의해 결합한 콘텐츠파일 및 영상파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색한다. 상기 콘텐츠 파일은 오디오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한다. 상기 영상파일은 상기 콘텐츠 파일에 대 응하는 관련 영상으로서, 특히 상기 콘텐츠 파일이 저장된 저장매체(즉, 음악CD, 음반 등)의 표지사진 등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임의의 미디어전송 프로토콜은 오디오나 비디오 프레임 등과 같은 실제 미디어 내용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표준화된 프로토콜로서, 임의의 콘텐츠파일 및 영상파일을 대응시켜 결합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임의의 미디어전송 프로토콜의 예로서, 미디어 트랜스퍼 프로토콜(MTP, Media Transfer Protocol)이 있다. 상기 미디어 트랜스퍼 프로토콜은 이동형 기기와 윈도 기반 PC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간편하게 빠르게 수행하도록 하는 프로토콜로서, 상기 프로토콜은 국제 이미지 산업 협회(International Imaging Industry Association)에 의해서 제정된 PTP(Picture Transfer Protocol)의 기능을 더 확장하여 윈도 PC와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 이동전화 간의 데이터 이동에 사용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USB를 통한 연결 이외에 유선, 무선 IP(인터넷 프로토콜) 네트워크상에서 데이터 전송을 지원한다.
상기 미디어 트랜스퍼 프로토콜에 의하면, 휴대단말의 통신기능을 이용하여 유무선 인터넷망에 접속한 후 임의의 음악파일을 다운로드받는 경우에, 동일한 태그(tag)가 부착된 음악파일 및 상기 음악파일에 대응하는 앨범파일(예를 들어, 앨범표지 사진파일 및 아티스트 정보)이 상기 미디어 전송프로토콜에 의해 결합하여 상기 음악파일, 사진파일 및 아티스트 정보가 동시에 휴대단말 메모리(102)로 다운로드 된다. 즉, 제어부(101)는 임의의 콘텐츠파일 및 임의의 영상파일을 임의의 미디어전송프로토콜에 의해 서로 대응시키고, 상기 영상파일에 대응하는 콘텐츠파일 의 콘텐츠파일 리스트를 생성한 후, 상기 영상파일, 콘텐츠파일 및 콘텐츠파일 리스트로 이루어지는 콘텐츠파일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한다. 따라서, 앨범표지 검색모드 실행시 임의의 음악파일에 대응하는 영상파일이 검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텐츠 파일, 아티스트명 및 앨범 파일에 첨부된 태그(tag)를 이용하여 상기 각 파일이 서로 결합하므로, 동일 아티스트의 작품검색시 다수의 앨범표지 사진이 발행순서별, 앨범명 알파벳순서별로 검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휴대단말 사용자는 앨범표지 영상을 이용하여 메모리(102)에 저장된 뮤직 라이브러리(music library)의 음악을 검색할 수 있다.
S 409 과정에서, 제어부(101)는 상기 검색결과 임의의 음악파일에 대응하는 영상파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상기 영상파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S 411 과정에서 '영상파일 없음'이라는 메시지가 출력되고, 상기 S 403 과정으로 복귀한다. 그러나 상기 영상파일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S 413 과정에서 제어부(101)는 상기 검색된 영상파일의 영상파일명 알파벳순서를 점검하고, 이어서 상기 영상파일명의 알파벳 순서가 제일 앞서는 영상파일의 영상을 출력한다. 상기 영상은 정지영상, 동영상 또는 동영상의 화면캡처 영상을 포함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앨범표지(cover) 검색모드 실행시 영상표시부 출력도이다. 상기 도 6에 도시된 뮤직모드 메뉴리스트가 출력된 상태에서 휠 키(201) 회전에 따라 선택 커서를 상하로 이동시켜 '앨범표지(cover)'에 위치시키고 센터 키(201k)를 입력하면 '앨범표지(cover) 검색모드'가 실행되어 임의의 앨범표지 영상이 영상표시부(104)로 출력된다. 상기 임의의 앨범표지 영상은 휴대단말 에 저장된 다수의 앨범표지 영상파일 중 파일명 알파벳 순서가 제일 앞서는 영상파일의 앨범표지 영상이다.
S 415 과정에서, 제어부(101)는 휠 키(201)의 회전신호 입력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회전신호가 입력된 경우 시계방향 회전인지 여부를 판별한다(S 417 과정). 상기 휠 키(20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 경우 상기 S 413 과정에서 출력된 정지영상이 연이어 좌측으로 이동한다(S 419 과정), 또한, 상기 휠 키(201)가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한 경우 상기 S 413 과정에서 출력된 정지영상이 연이어 우측으로 이동한다(S 423 과정). 그에 따라, 상기 휠 키(201)의 회전속도에 따라 영상표시부 화면에 출력되는 영상화면의 개수가 변동된다(S 424 과정). 이와 같이 상기 휠 키(201)의 회전에 의해 특정 앨범을 검색하는 영상검색과정(S 415 과정 내지 S 423 과정)이 실행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앨범표지(cover) 검색기능 실행시 휠 키(201) 회전에 따라 영상표시부(104) 출력화면이 이동하는 영상검색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영상검색과정에서 제어부(101)는, 상기 출력된 영상에 대한 이동명령(휠 키(201)의 회전)에 따라 상기 S 413 과정에서 출력된 영상화면을 이동시킨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휠 키의 회전속도에 따른 영상 조절과정의 흐름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제어부(101)는, 상기 휠 키(201)의 회전속도가 증가하는지 여부를 판별하여(S 501 과정), 상기 휠 키(201)의 회전속도가 증가하는 경우, 상기 영상표시부(104) 화면의 출력 영상의 이동속도를 증가시키고, 출력 영 상 화면크기는 감소시켜 상대적으로 더 적은 개수의 앨범표지 영상을 출력시킨다(S 503 과정). 또한 상기 휠 키(201)의 회전속도가 감소하는지 여부를 판별하여(S 505 과정), 상기 휠 키(201)의 회전속도가 감소하는 경우, 상기 영상표시부(104) 화면의 출력 영상의 이동속도를 감소시키고, 화면크기는 증가시켜 상대적으로 더 많은 개수의 앨범표지 영상을 출력시킨다(S 507 과정). 또한, 상기 휠 키(201)의 회전속도가 변동 없이 일정하면 현재 출력 중인 상기 영상표시부(104) 화면의 출력 영상의 이동속도 및 화면크기를 그대로 유지한다(S 509 과정). 이와 같이, 상기 출력된 영상에 대한 이동명령(휠 키(201)의 회전)에 따라 영상 화면이동속도 및 영상화면크기가 가변적으로 조절된다.
S 425 과정에서, 제어부(101)는 상기 영상표시부(104)에 출력된 영상화면에 대한 선택명령 입력 여부를 판별한다. 상기 영상검색과정에서 상기 휠 키(201) 회전 중 센터 키(201k)를 입력하면 상기 영상표시부(104)에 출력되는 다수의 영상화면 중 특정 영상화면이 선택된다.
S 427 과정에서, 제어부(101)는 상기 선택된 영상(예를 들어 음악앨범 표지 영상) 및 상기 영상에 대응하는 콘텐츠파일 리스트(상기 음악앨범에 수록된 노래제목 목록)를 출력한다. 도 9는 상기 S 427 과정에 따라 영상표시부(104)화면에 출력된 영상화면(앨범표지 정지영상) 및 상기 앨범에 수록된 음악목록을 도시한 화면이다. 도 9에 도시된 콘텐츠파일 리스트 출력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101)는 상기 선택된 영상에 대응하는 콘텐츠파일 리스트를 판독한다. 이어서, 상기 콘텐츠 파일리스트가 상기 영상표시부 화면에 출력될 위치, 크기 및 화면종횡 비 중 적어도 하나의 속성정보를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설정된 속성정보에 따라 상기 파일리스트 화면을 상기 영상표시부로 출력한다.
S 429 과정에서, 제어부(101)는 휠 키 회전신호 입력 여부를 판별한다. 상기 회전신호 입력시, S 431 과정에서 상기 휠 키(201)의 회전방향이 시계방향인지 여부를 판별한다. S 433 과정에서, 상기 휠 키(201)의 회전방향이 시계방향이면, 음악목록상에서 선택 커서가 하향이동한다. S 435 과정에서 상기 휠 키(201)의 회전방향이 반 시계방향인지 여부를 판별한다. S 437 과정에서, 상기 휠 키(201)의 회전방향이 반 시계방향이면, 음악목록상에서 선택 커서가 상향이동한다. 상기 S 433 과정 및 S 437 과정에 따라 선택 커서가 이동하면, 선택 커서 위치에 따라 변동된 콘텐츠 파일리스트가 출력된다(S 438 과정).
S 439 과정에서, 제어부(101)는 콘텐츠파일 선택신호 수신 여부를 판별한다. 즉, 상기 S 429 과정 내지 상기 S 437 과정에서 휠 키(201) 회전방향에 따라 선택 커서가 상하로 이동하여 특정 노래제목이 선택될 수 있으므로, 상기 선택된 특정 노래제목에 대한 선택명령 입력(센드키(201s)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S 441 과정에서, 제어부(101)는 상기 선택된 특정 콘텐츠 파일을 실행한다. 즉, 상기 음악앨범에 수록된 노래제목 목록 중 특정 노래에 대한 선택명령 입력시 해당 음악파일을 실행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뮤직모드의 오디오신호 실행표시 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의 콘텐츠 파일(본 실시 예에서는 오디오파일) 실행시 영상표시부(104)화면 상에 음악파일 실행표시 아이콘(311)을 출력하여 오디오파일 실행 중임을 표시한다.
도 11a 내지 도 15f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영상검색과정에 따라 출력된 영상화면의 예시 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5f에서 휠 키 회전속도의 정도 표시로서, 상기 도 3에 도시된 아이콘과 함께 speed'w', speed'x', speed'y', speed'z'가 표시되어 있다.
상기 speed'w'는, 1개의 앨범표지 영상만 영상표시부(104) 화면 전체에 출력되도록 하는 휠 키 회전속도의 정도 표시이고,
상기 speed'x'는, 1개의 앨범표지 영상 및 상기 앨범표지 양 옆에 2개의 부분 앨범표지 영상이 출력되도록 하는 휠 키 회전속도의 정도 표시이고,
상기 speed'y'는, 3개의 앨범표지 영상 및 상기 앨범표지 양 옆에 2개의 부분 앨범표지 영상이 출력되도록 하는 휠 키 회전속도의 정도 표시이고,
상기 speed'z'는, 5개의 앨범표지 영상 및 상기 앨범표지 양 옆에 2개의 부분 앨범표지 영상이 출력되도록 하는 휠 키 회전속도의 정도 표시이다.
도 11a 내지 도 11g는 앨범표지 영상이 1개씩 연달아 영상표시부(104) 화면 전체에 출력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a는 상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뮤직모드 실행시의 영상표시부(104) 출력화면이다. 상기 뮤직모드에서 센터 키(201k)를 입력하여 'Cover'목록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앨범표지 영상파일의 영상파일명이 알파벳순으로 앞선다면, 도 11b와 같은 앨범표지 영상화면이 최초로 출력될 수 있다. 이어서 speed'w' 의 회전속도로 휠 키를 회전시키면 도 11c, 도 11d 및 도 11e와 같은 앨범표지 영상화면이 출력된다. 도 11e가 출력된 상태에서 센터 키(201k)를 입력하면, 상기 S 427 과정에 따른 도 11f가 출력되고, 도 11f의 음악 목록 중 특정 음악목록을 선택하면(센드키(201s) 입력), 도 11e의 앨범표지 영상화면에 선택음악 실행아이콘이 부가된 도 11g이 출력된다.
도 12a 내지 도 12i는 다수개의 앨범표지 영상이 연달아 영상표시부(104) 화면 전체에 출력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a는 상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뮤직모드 실행시의 영상표시부(104) 출력화면이다. 상기 뮤직모드에서 센터 키(201k)를 입력하여 'Cover'목록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앨범표지 영상파일의 영상파일명이 알파벳순으로 앞선다면, 도 12b와 같은 앨범표지 영상화면이 최초로 출력될 수 있다. 이어서 speed'x' 의 회전속도로 증가시켜 휠 키를 회전시키면 도 12c와 같이 3개의 앨범표지 영상화면이 출력되고, 이어서, speed'y' 의 회전속도로 증가시켜 휠 키를 회전시키면 도 12d와 같은 5개의 앨범표지 영상화면이 출력된다. 또한, speed'z' 의 회전속도로 증가시켜 휠 키를 회전시키면 도 12e와 같은 7개의 앨범표지 영상화면이 출력된다. 이어서, speed'y', speed'x', speed'w', speed'w' 순서로 휠 키의 회전속도를 감소시키면서 휠 키를 회전시키면, 도 12f, 도 12g, 도 12h, 도 12i와 같이 영상표시부(104) 화면상에 앨범표지 출력속도 및 앨범표지 정지영상 개수가 변동하여 출력된다.
도 13a 내지 도 13d, 도 14a 내지 도 14e, 도 15a 내지 도 15f 또한, 휠 키(201)의 회전속도를 변경시키는 경우의 영상검색과정의 출력화면이다. 특히, 도 13c, 도 14d 및 도 15e에 도시된 '1 sec' 아이콘이 표시된 경우는 영상표시부(104) 중앙에 표시된 출력화면이 휠 키 설정에 따라 일정시간(1초) 대기 후 영상표시부(104) 전체화면 크기로 확대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6a 내지 도 16f, 도 17a 내지 도 17k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영상화면 출력시 옵션 키 입력에 따른 옵션명령 실행도이다.
도 16a는 상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뮤직모드 실행시의 영상표시부(104) 출력화면이다. 상기 뮤직모드에서 센터 키(201k)를 입력하여 'Cover'목록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앨범표지 영상파일의 영상파일명이 알파벳순으로 앞선다면, 도 16b와 같은 앨범표지 영상화면이 최초로 출력될 수 있다. 이어서 'More'라고 표시된 키 입력부(103)의 아랫부분의 영상표시부(104) 화면을 터치하면, 도 1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앨범 관련사항 목록이 출력된다. 이어서 도 1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 키(201) 회전에 의해 선택목록을 선택하고 센터 키를 입력하여 특정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도 16d에서는 아티스트 목록을 선택하였으므로 아티스트명의 알파벳 순서에 따라 앨범표지 영상이 출력된다. 이어서 센드키(201s)를 입력하면, 도 1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악실행 아이콘이 부가된 화면이 출력되고 상기 도 16e에 도시된 앨범에 수록된 앨범 메인 음악파일이 실행된다.
도 17a는 상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뮤직모드 실행시의 영상표시부(104) 출력화면이다. 상기 뮤직모드에서 센터 키(201k)를 입력하여 'Cover'목록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앨범표지 영상파일의 영상파일명이 알파벳순으로 앞선다면, 도 17b와 같은 앨범표지 영상화면이 최초로 출력된다. 이어서 'More'라고 표시된 키 입력부(103)의 아랫부분의 영상표시부(104) 화면을 터치하면, 도 1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앨범 관련사항 목록이 출력된다. 이어서 도 1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 키(201) 회전에 의해 선택목록을 선택하고 센터 키를 입력하면 특정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도 17d에서는 'Show al cover art' 사항을 선택하였으므로, 상기 S 407 과정에서 검색되어 메모리(102)에 저장된 특정 아티스트의 앨범표지 영상화면이 출력된다. 즉, 도 17e 내지 도 17i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 키(201) 회전명령에 따라 특정 아티스트의 총 4개의 앨범표지 영상화면이 순차적으로 출력된다. 다만, 상기 'Show al cover art' 사항은 특정 아티스트의 앨범이 복수인 경우에만 실행된다. 도 17j는 임의의 앨범표지 영상화면 출력시 'More'키를 선택하고, 출력된 앨범관련사항 중 'Closer cover art viewer' 사항을 선택한 경우를 도시한다. 도 17j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선택이 있는 경우, 도 17k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4개의 앨범 중 가장 최근에 발표된 앨범의 표지 영상이 출력된다. 또한, 도 17 j에 도시된 앨범 표지 영상 출력상태에서 백 키(201b, back key) 입력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도 17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뮤직모드 실행시의 영상표시부(104) 출력화면으로 복귀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특허 청구항 및 청구항의 균등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단말에 저장된 임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파일 검색에 있어서 임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파일에 대응하는 영상(예를 들어 특정가수의 특정음반에 수록된 특정 곡을 검색하는 경우 상기 특정 곡이 수록된 음악CD 또는 음반의 표지사진 등)을 검색함으로써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파일에 대한 직관적이고 시각적인 검색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정지영상 검색시 정지영상을 연이어 좌우로 또는 상하로 이동시켜 검색시 임의의 정지영상의 이동속도 및 화면크기를 가변적으로 조절하여 검색할 있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23)

  1. 임의의 콘텐츠 파일 및 상기 콘텐츠 파일에 대응하는 영상파일이 저장된 휴대단말의 콘텐츠파일 검색방법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파일 검색모드 실행명령 입력시 상기 영상파일을 출력하는 영상출력과정과,
    상기 출력 영상에 대한 이동명령 입력시 상기 영상파일을 연이어 출력시키는 영상검색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콘텐츠파일 검색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이어 출력되는 영상 중 특정 영상에 대한 선택명령 입력시 선택된 영상에 대응하는 콘텐츠파일리스트를 출력하는 콘텐츠파일 리스트출력과정과,
    상기 출력된 콘텐츠 파일리스트 중 임의의 콘텐츠파일에 대한 선택명령 입력시 선택된 콘텐츠 파일을 실행하는 콘텐츠파일 실행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콘텐츠파일 검색 방법.
  3. 임의의 콘텐츠 파일 및 영상파일이 저장된 휴대단말의 콘텐츠파일 검색방법에 있어서,
    상기 임의의 콘텐츠파일에 대한 검색모드 실행명령 입력시 콘텐츠파일 검색메뉴리스트를 출력하는 검색메뉴 출력과정과,
    상기 출력된 검색메뉴 중 영상파일 검색명령 입력시 상기 콘텐츠파일 및 상기 콘텐츠 파일에 대응하는 영상파일을 검색하는 파일검색과정과,
    상기 검색결과 해당 영상파일이 존재하면 검색된 영상파일의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출력과정과,
    상기 출력 영상에 대한 이동명령 입력시 상기 검색된 임의의 영상을 연이어 출력시키는 영상검색과정과,
    상기 연이어 출력되는 임의의 영상 중 특정 영상에 대한 선택명령 입력시 선택된 영상에 대응하는 콘텐츠파일리스트를 출력하는 콘텐츠파일 리스트출력과정과,
    상기 출력된 콘텐츠 파일리스트 중 임의의 콘텐츠파일에 대한 선택명령 입력시 선택된 콘텐츠 파일을 실행하는 콘텐츠파일 실행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콘텐츠파일 검색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은 정지영상, 동영상 또는 동영상의 화면캡처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콘텐츠파일 검색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임의의 콘텐츠파일 및 상기 임의의 영상파일은 임의의 미디어전송 프로토콜에 의해 서로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콘텐츠파일 검색 방법.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출력과정은,
    상기 영상파일의 영상파일명 알파벳순서를 점검하는 과정과,
    상기 영상파일명의 알파벳 순서가 상대적으로 앞서는 영상파일의 영상을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콘텐츠파일 검색방법.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검색과정은,
    상기 출력된 영상에 대한 이동명령에 따라 영상 출력시간 및 영상 화면크기를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영상조절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콘텐츠파일 검색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조절과정은,
    상기 영상 이동명령 입력속도가 증가하면 상기 영상의 출력시간 및 화면크기가 감소하고,
    상기 영상 이동명령 입력속도가 감소하면 상기 영상의 출력시간 및 화면크기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콘텐츠파일 검색 방법.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파일 리스트 출력과정은,
    상기 선택된 영상에 대응하는 콘텐츠파일 리스트를 판독하는 과정과,
    상기 콘텐츠 파일리스트가 상기 영상표시부 화면에 출력될 위치, 크기 및 화면종횡비 중 적어도 하나의 속성정보가 설정되는 과정과,
    상기 설정된 속성정보에 따라 상기 파일리스트 화면이 상기 영상표시부로 출력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콘텐츠파일 검색 방법.
  10. 휠 키 및 영상표시부를 구비한 휴대단말의 콘텐츠파일 검색방법에 있어서,
    임의의 콘텐츠파일 저장명령 입력시 상기 임의의 콘텐츠파일 및 상기 콘텐츠파일에 대응하는 임의의 영상파일을 함께 저장하는 파일저장과정과,
    상기 저장된 콘텐츠파일에 대한 콘텐츠 파일 검색모드 실행명령 입력시 상기 영상파일을 출력하는 영상출력과정과,
    상기 출력 영상에 대한 이동명령 입력시 상기 영상파일을 연이어 출력시키는 영상검색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콘텐츠파일 검색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저장과정은,
    임의의 콘텐츠파일 및 상기 임의의 콘텐츠 파일에 대응하는 영상파일을 임의의 미디어전송 프로토콜에 의해 대응시키는 과정과,
    상기 영상파일에 대응하는 콘텐츠파일의 콘텐츠파일 리스트를 생성하는 콘텐츠파일 리스트 생성과정과,
    상기 영상파일, 콘텐츠파일 및 콘텐츠파일 리스트로 이루어지는 콘텐츠파일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데이터베이스 생성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콘텐츠파일 검색 방법.
  12. 휠 키 및 영상표시부를 구비한 휴대단말의 콘텐츠파일 검색방법에 있어서,
    임의의 콘텐츠파일 저장명령 입력시 상기 임의의 콘텐츠파일 및 상기 콘텐츠파일에 대응하는 임의의 영상파일을 함께 저장하는 파일저장과정과,
    상기 저장된 콘텐츠파일에 대한 검색모드 실행명령 입력시 콘텐츠파일 검색메뉴리스트를 출력하는 검색메뉴 출력과정과,
    상기 출력된 검색메뉴 중 영상파일 검색명령 입력시 상기 콘텐츠파일 및 상기 콘텐츠 파일에 대응하는 영상파일을 검색하는 파일검색과정과,
    상기 검색결과 해당 영상파일이 존재하면 검색된 영상파일의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출력과정과,
    상기 출력 영상에 대한 이동명령 입력시 상기 검색된 임의의 영상을 연이어 출력시키는 영상검색과정과,
    상기 연이어 출력되는 임의의 영상 중 특정 영상에 대한 선택명령 입력시 선택된 영상에 대응하는 콘텐츠파일리스트를 출력하는 콘텐츠파일 리스트출력과정과,
    상기 출력된 콘텐츠 파일리스트 중 임의의 콘텐츠파일에 대한 선택명령 입력시 선택된 콘텐츠 파일을 실행하는 콘텐츠파일 실행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콘텐츠파일 검색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저장과정은,
    임의의 콘텐츠파일 및 상기 임의의 콘텐츠 파일에 대응하는 영상파일을 임의의 미디어전송 프로토콜에 의해 대응시키는 과정과,
    상기 영상파일에 대응하는 콘텐츠파일의 콘텐츠파일 리스트를 생성하는 콘텐츠파일 리스트 생성과정과,
    상기 영상파일, 콘텐츠파일 및 콘텐츠파일 리스트로 이루어지는 콘텐츠파일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데이터베이스 생성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콘텐츠파일 검색 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출력과정은,
    상기 영상파일의 영상파일명 알파벳순서를 점검하는 과정과,
    상기 알파벳 순서가 제일 앞서는 파일명을 갖는 영상파일의 영상을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콘텐츠파일 검색방법.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검색과정은,
    상기 휠 키의 회전신호 입력에 따라 상기 출력 영상을 이동시키는 과정과,
    상기 휠 키의 회전방향변경에 따라 상기 출력 영상의 이동방향을 변경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콘텐츠파일 검색 방법.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검색과정은,
    상기 휠 키의 회전속도에 따라 상기 영상출력시간 및 영상출력화면크기를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영상조절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콘텐츠파일 검색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조절과정은,
    상기 휠 키의 회전속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회전속도에 도달함에 따라 상기 영상의 출력시간 및 화면크기가 단계별로 변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콘텐츠파일 검색 방법.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조절과정은,
    상기 휠 키의 회전속도가 증가하면 상기 영상의 출력시간 및 화면크기가 감소하고,
    상기 휠 키의 회전속도가 감소하면 상기 영상의 출력시간 및 화면크기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콘텐츠파일 검색 방법.
  19. 휴대단말의 콘텐츠파일 검색장치에 있어서,
    임의의 콘텐츠 파일 및 그에 대응하는 임의의 영상파일이 저장된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콘텐츠 파일에 대한 파일 리스트 및 상기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영상표시부와;
    회전방식으로 조작되는 휠 키가 구비된 키 입력부와;
    상기 임의의 콘텐츠파일 및 영상파일을 임의의 미디어전송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결합시켜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콘텐츠파일 검색 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된 영상을 상기 휠 키의 회전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표시부 화면상에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콘텐츠파일 검색장치.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된 임의의 영상에 대한 선택명령 입력시 선택된 영상에 대응하는 콘텐츠파일의 파일리스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콘텐츠파일 검색 장치.
  22.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된 콘텐츠 파일리스트 중 임의의 콘텐츠파일에 대한 선택명령 입력시 선택된 콘텐츠 파일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콘텐츠파일 검색 장치.
  23.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파일은,
    오디오 데이터파일 또는 비디오 데이터파일로 구성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파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콘텐츠파일 검색 장치.
KR1020060130310A 2006-12-19 2006-12-19 휴대단말의 콘텐츠파일 검색방법 및 장치 KR1007734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0310A KR100773441B1 (ko) 2006-12-19 2006-12-19 휴대단말의 콘텐츠파일 검색방법 및 장치
EP07123270A EP1936971A3 (en) 2006-12-19 2007-12-14 Content File Search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
US11/956,393 US20080147676A1 (en) 2006-12-19 2007-12-14 Content file search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0310A KR100773441B1 (ko) 2006-12-19 2006-12-19 휴대단말의 콘텐츠파일 검색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3441B1 true KR100773441B1 (ko) 2007-11-05

Family

ID=39060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0310A KR100773441B1 (ko) 2006-12-19 2006-12-19 휴대단말의 콘텐츠파일 검색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80147676A1 (ko)
EP (1) EP1936971A3 (ko)
KR (1) KR1007734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13828B2 (en) 2011-11-11 2014-12-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analysis apparatus using main col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13379B2 (ja) * 2007-07-30 2013-06-19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US20100251164A1 (en) * 2009-03-30 2010-09-30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Navigation among media files i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JP5223034B2 (ja) * 2010-04-28 2013-06-26 楽天株式会社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情報提供処理プログラム、及び情報提供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9497194B2 (en) * 2013-09-06 2016-11-15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Protection of resources downloaded to portable devices from enterprise system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1494A (ko) * 2002-07-26 2002-09-12 삼성전자 주식회사 메뉴 화면을 위한 섬네일 영상 작성 방법
US20030078079A1 (en) 2000-11-08 2003-04-24 Lavaflow, Llp Method of enabling the display of a plurality of picture files on a cellular telephone
KR20050051456A (ko) * 2003-11-27 2005-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검색방법
KR20060065328A (ko) * 2004-12-10 2006-06-14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단말기의 앨범데이터 관리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00996B1 (en) * 1999-02-01 2002-06-04 Steven M. Hoffberg Adaptive pattern recognition based control system and method
US6976229B1 (en) * 1999-12-16 2005-12-13 Ricoh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ytelling with digital photographs
KR20040041082A (ko) * 2000-07-24 2004-05-13 비브콤 인코포레이티드 멀티미디어 북마크와 비디오의 가상 편집을 위한 시스템및 방법
US6788288B2 (en) * 2000-09-11 2004-09-0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ordinate input device and portable information apparatus equipped with coordinate input device
US6907225B1 (en) * 2001-10-19 2005-06-14 Nokia, Inc. Selective media capture via a communication device
US7046230B2 (en) * 2001-10-22 2006-05-16 Apple Computer, Inc. Touch pad handheld device
US7433546B2 (en) * 2004-10-25 2008-10-07 Apple Inc. Image scaling arrangement
US7042441B2 (en) * 2002-06-28 2006-05-09 Microsoft Corporation Input device including a scroll wheel assembly for manipulating an image in multiple directions
US7166791B2 (en) * 2002-07-30 2007-01-23 Apple Computer, Inc.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methods of use thereof in a multimedia player
US20060026376A1 (en) * 2002-10-16 2006-02-02 Microsoft Corporation Retrieving graphics from slow retrieval storage devices
US7668842B2 (en) * 2002-10-16 2010-02-23 Microsoft Corporation Playlist structure for large playlists
US7079293B2 (en) * 2003-04-08 2006-07-18 Tr Marketing, Inc. Digital album and methods of use
US7512882B2 (en) * 2004-01-05 2009-03-31 Microsoft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lternate views when rendering audio/video content in a computing system
US7565139B2 (en) * 2004-02-20 2009-07-21 Google Inc. Image-based search engine for mobile phones with camera
JP2006260339A (ja) * 2005-03-18 2006-09-28 Toshiba Corp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制御方法
US7702681B2 (en) * 2005-06-29 2010-04-20 Microsoft Corporation Query-by-image search and retrieval system
US20070067738A1 (en) * 2005-09-16 2007-03-22 Microsoft Corporation Extensible, filtered lists for mobile device user interface
US8375326B2 (en) * 2006-05-30 2013-02-12 Dell Products Lp. Contextual-based and overlaid user interface elements
US8564544B2 (en) * 2006-09-06 2013-10-22 Apple Inc. Touch scre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ustomizing display of content category icons
US7581186B2 (en) * 2006-09-11 2009-08-25 Apple Inc. Media manager with integrated browsers
US8564543B2 (en) * 2006-09-11 2013-10-22 Apple Inc. Media player with imaged based brows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78079A1 (en) 2000-11-08 2003-04-24 Lavaflow, Llp Method of enabling the display of a plurality of picture files on a cellular telephone
KR20020071494A (ko) * 2002-07-26 2002-09-12 삼성전자 주식회사 메뉴 화면을 위한 섬네일 영상 작성 방법
KR20050051456A (ko) * 2003-11-27 2005-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검색방법
KR20060065328A (ko) * 2004-12-10 2006-06-14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단말기의 앨범데이터 관리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13828B2 (en) 2011-11-11 2014-12-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analysis apparatus using main col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36971A2 (en) 2008-06-25
EP1936971A3 (en) 2010-03-31
US20080147676A1 (en) 2008-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92256B2 (en) Directional touch remote
US7281214B2 (en) Automatically updating user programmable input sensors to perform user specified functions
US9600108B2 (en) Touch input device and method for portable device
US8626732B2 (en) Method and system for navigating and selecting media from large data sets
US858401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101032634B1 (ko) 미디어 파일 재생 방법 및 장치
KR101841574B1 (ko) 동영상 장면 검색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US20100169778A1 (en) System and method for browsing, selecting and/or controlling rendering of media with a mobile device
US20090119614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Heirarchical Navigation with Respect to Content Items of a Media Collection
US20110289457A1 (en) Electronic rea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iewing files
US20090249206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esenting a media history
KR100657520B1 (ko) 정보 단말 장치에서 파일 계층 구조의 탐색 방법
US20100318939A1 (en) Method for providing list of contents and multimedia apparatus applying the same
US20080092046A1 (en) Playlist management method
EP253869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media content playback
JP2003173663A (ja) データ表示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CN101271376A (zh) 用于滚动显示屏幕的系统和方法、移动终端、和记录介质
KR100773441B1 (ko) 휴대단말의 콘텐츠파일 검색방법 및 장치
WO2012144397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48354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motion picture files
AU2006284665A1 (en) Management of files in a personal communication device
KR20120054672A (ko) 미디어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2402570A (zh) 数据管理设备和记录介质
KR10078311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목록 탐색 방법
KR100772857B1 (ko) 숫자 키 입력에 따른 컨텐츠를 재생하는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