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6053A - 통화 연결음을 통한 단말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통화 연결음을 통한 단말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6053A
KR20120056053A KR1020100117567A KR20100117567A KR20120056053A KR 20120056053 A KR20120056053 A KR 20120056053A KR 1020100117567 A KR1020100117567 A KR 1020100117567A KR 20100117567 A KR20100117567 A KR 20100117567A KR 20120056053 A KR20120056053 A KR 201200560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terminal information
calling
information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7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00117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56053A/ko
Publication of KR20120056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60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17Customized ring-back t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통화 연결음을 통한 단말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통화 연결음을 통한 단말 정보 제공 시스템은, 발신 단말이 제공한 전화 연결 정보로부터 수신 단말의 전화 번호를 추출하는 수신 번호 추출부; 상기 추출된 수신 단말의 전화 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 단말의 단말 정보를 검출하는 단말 정보 검출부; 상기 검출된 단말 정보에 대응되는 음성 신호를 생성하는 음성 신호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음성 신호를 상기 발신 단말에게 통화 연결음으로 제공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통화 연결음을 통한 단말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ERMINAL INFORMATION BY USING RING BACK TONE}
본 발명은 통화 연결음을 통한 단말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통화 연결음을 이용하여 발신 단말에게 수신 단말의 단말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 단말의 가입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보다 많은 고객을 유치하기 위하여 각종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들 중에서도 사용자만의 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서비스가 인기를 끌고 있으며,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대방에게 전화를 걸 때 사용자에게 일반적인 통화 연결음(발신음) 대신 상대방이 설정한 통화 연결음(노래, 효과음, 재미있는 소리나 멘트 등등)을 들려주는 통화 연결음 서비스가 인기를 끌고 있다.
이러한 통화 연결음 서비스는 착신자가 지정한 통화 연결음을 발신자에게 제공한다는 개념으로, 기존에 통화할 때 발생하는 기계적인 통화 연결음, 예컨대, "따르릉 따르릉" 소리 대신 최신 가요나 팝송뿐만 아니라 새소리, 물소리 등을 비롯하여 사전에 녹음해 둔 자신의 음성까지도 통화 연결음으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서비스이다.
그런데, 최근의 휴대 단말기 시장은 피쳐폰에서 스마트폰으로 변동이 되고 있다. 다양한 스마트폰 단말기가 등장하고 있으며, 다른 단말에 대한 호환성이 떨어지는 특정 단말기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스마트폰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며, 많은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단말 간의 호환 여부는 스마트폰 사용자들 사이에는 서로 간의 정보 송수신을 위하여 필수적인 정보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통화 연결음 서비스에서는 획일적인 음원의 소리를 제공하는데 그칠 뿐, 단말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선행 기술로서, 한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03-0023671호에는 “통화 연결 대기 중 유무선 통신 사업자 알림 방법”이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는 바, 착신자가 가입한 유무선 통신 사업자가 누구인지에 관한 사업자 정보를 발신자에게 통화 연결음을 통하여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하지만, 상술한 선행 기술은 단말 간의 데이터 송수신의 가능 여부에 관한 어떠한 정보도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발신자가 수신자의 단말과 효과적으로 데이터의 공유 가능 여부를 인식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다양한 모바일 단말이 개발되어 활성화되고 있는 이동 통신 서비스에 있어서, 단말에 관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발신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단말 정보 제공 기술이 강력하게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는, 발신 단말에게 효과적으로 수신 단말의 단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통화 연결음을 통한 단말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발신 단말에게 수신 단말과의 호환 여부를 제공하여, 발신 단말 사용자가 수신 단말 사용자와 효과적으로 데이터 송수신을 하도록 할 수 있는 통화 연결음을 통한 단말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은, 발신 단말이 전화 통화를 시도하는 경우에 제공되는 전화 연결 정보로부터 수신 단말의 전화 번호를 추출하는 수신 번호 추출부; 상기 추출된 수신 단말의 전화 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 단말의 단말 정보를 검출하는 단말 정보 검출부; 상기 검출된 단말 정보에 대응되는 음성 신호를 생성하는 음성 신호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음성 신호를 상기 발신 단말에게 통화 연결음으로 제공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통화 연결음을 통한 단말 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은, 발신 단말이 전화 통화를 시도하는 경우에 수신 단말의 전화 번호를 통신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수신 단말의 전화 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 단말의 단말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단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 단말의 단말 명칭을 음성 신호로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음성 신호를 상기 발신 단말에게 통화 연결음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화 연결음을 통한 단말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측면은, 전화 통화를 수행하는 단말에 대한 단말 정보를 통신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발신 단말이 전화 통화를 시도하는 경우에 수신 단말의 전화 번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 단말의 전화 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 단말의 단말 명칭을 상기 저장된 단말 정보로부터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단말 명칭을 음성 신호로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음성 신호를 상기 발신 단말에게 통화 연결음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화 연결음을 통한 단말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전화 통화를 시도하는 발신 단말에게 효과적으로 수신 단말에 대한 단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발신 단말에게 수신 단말과의 호환 여부를 제공하여, 발신 단말 사용자가 수신 단말 사용자와 효과적으로 정보 송수신을 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정보 제공 시스템의 전체 개요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정보 제공 서버(300)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정보 저장부(330)에 저장된 단말 정보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연결음을 통한 단말 정보 제공 방법의 세부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정보 제공 시스템의 전체 개요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정보 제공 시스템은, 발신 단말(100), 수신 단말(200), 단말 정보 제공 서버(300), 통신 서비스 제공 서버(400) 및 네트워크(500)를 포함한다.
발신 단말(100)은 수신 단말(200)에게 전화 통화를 시도하는 경우에, 단말 정보 제공 서버(300)는 발신 단말(100) 및 수신 단말(200)의 전화 번호에 기초하여 각 단말의 단말 정보를 검출한다. 단말 정보 제공 서버(300)는 검출된 단말 정보에 기초하여 발신 단말(100)에게 수신 단말(200)의 단말 명칭을 통화 연결음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정보 제공 서버(300)는 발신 단말(100)과 수신 단말(200)의 단말 호환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발신 단말(100)에게 발신 단말(100)과 호환 가능한 단말에 관한 정보를 통화 연결음으로 제공할 수 있다.
통신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발신 단말(100) 및 수신 단말(200)에게 전화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며, 단말 정보 제공 서버(300)에게 전화 통화와 관련된 각종 정보 및 단말에 관한 각종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단말 정보 제공 서버(300) 및 통신 서비스 제공 서버(400)가 별개의 주체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하나의 주체에 의해 각각의 기능이 함께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발신 단말(100) 및 수신 단말(200)은 전화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각종의 유무선 단말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휴대폰, 스마트폰, PDA, VOIP폰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네트워크(500)는 전용선, LAN, VAN, 인트라넷, 사설 전화망, 공중전화망, PSTN 망 및 이들의 상호 조합을 포함하며, 도 1에 도시된 각 네트워크 구성 주체가 서로 원활하게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포괄적인 의미의 데이터 통신망이며,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및 모바일 무선 통신망을 포함한다. 또한, 네트워크(200)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나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정보 제공 서버(300)의 세부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정보 제공 서버(300)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정보 제공 서버(300)는 발신 번호 추출부(310), 수신 번호 추출부(320), 단말 정보 저장부(330), 단말 정보 검출부(340), 호환 여부 판단부(350), 음성 신호 생성부(360), 송수신부(370) 및 제어부(380)를 포함한다.
발신 번호 추출부(310)는 전화 통화를 시도하는 발신 단말(100)의 전화 번호를 추출한다. 발신 번호 추출부(310)는 전화 통화를 시도하는 발신 단말(100)로부터 전화 연결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수집된 전화 연결 정보로부터 발신 단말(100)의 전화 번호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신 단말(100)이 전화 통화를 시도하는 경우에 발신 단말의 전화 번호 표시 서비스를 통하여 발신 단말(100)의 전화 번호가 수신 단말(200)에게 제공되며, 발신 번호 추출부(310)는 수신 단말(200)에게 제공되는 발신 단말(100)의 전화 번호를 발신 단말(100) 또는 통신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수신 번호 추출부(320)는 전화 통화의 대상이 되는 수신 단말(200)의 전화 번호를 추출한다. 수신 번호 추출부(320)는 전화 통화를 시도하는 발신 단말(100)로부터 전화 통화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수집된 전화 연결 정보로부터 수신 단말(200)의 전화 번호를 추출할 수 있다.
수신 번호 추출부(320)는, 예를 들어, 발신 단말(100)이 전화 통화를 시도하는 경우에 발신 단말(100)이 속한 통신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부터 수신 단말 전화 번호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단말 정보 저장부(330)는 발신 단말(100) 및 수신 단말(200)의 단말 정보를 저장한다. 단말 정보 저장부(330)는 단말의 전화 번호, 단말이 가입된 통신 사업자, 단말의 모델명, 각 단말에 호환되는 단말 종류에 관한 정보를 단말의 전화 번호 별로 정렬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정보 저장부(330)는 단말에 관한 정보를 통신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부터 제공받아 저장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단말 정보 검출부(340)는 발신 단말(100) 및 수신 단말(200)의 단말 정보를 검출한다. 단말 정보 검출부(340)는 발신 단말(100) 및 수신 단말(200)의 전화 번호에 기초하여, 단말 정보 저장부(330)에 저장된 단말 정보로부터 발신 단말(100) 및 수신 단말(200)의 단말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단말 정보 검출부(340)는, 예를 들어, 발신 단말(100) 및 수신 단말(200)의 단말 모델명, 호환 가능 단말의 모델명 또는 통신 사업자명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호환 여부 판단부(350)는 발신 단말(100) 및 수신 단말(200)의 호환 여부를 판단한다. 호환 여부 판단부(350)는 검출된 단말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 단말(200)이 발신 단말(100)과 호환되는 단말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단말의 호환 여부는, 콘텐츠 파일의 호환 여부 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호환 여부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음성 신호 생성부(360)는 수신 단말(200)의 단말 정보 또는 호환 여부에 관한 음성 신호를 생성한다.
음성 신호 생성부(360)는 단말 정보 검출부(340)에서 검출된 수신 단말의 단말 명칭을 음성 신호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음성 신호 생성부(360)는 호환 여부 판단부(350)에서 판단된 발신 단말(100)과 수신 단말(200)의 호환 여부에 기초하여 단말의 호환 여부를 음성 신호로 생성할 수 있다.
음성 신호 생성부(360)는 TTS(Text To Speech) 기능을 이용하여 텍스트 또는 이진화된 데이터 값을 음성으로 변환할 수 있으며, 음성 신호 생성부(360)는 음성 신호 생성을 위한 각종의 장치를 이용하여 음성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송수신부(370)는 생성된 음성 신호를 발신 단말(100)에게 통화 연결음으로 제공한다. 송수신부(370)는 통신 서비스 제공 서버(400) 내에 구비된 통화 연결음 제공 서버(미도시)에게 생성된 음성 신호를 제공함으로써, 발신 단말(100)에게 생성된 음성 신호가 통화 연결음으로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발신 단말(100)은 수신 단말(200)의 단말 명칭 또는 수신 단말(200)과의 호환 여부를 음성 신호를 통하여 통화 연결음으로 제공받을 수가 있다.
제어부(380)는 단말 정보 제공 서버(300)가 발신 단말(100) 및 수신 단말(200)의 전화 번호에 기초하여 발신 단말(100)에게 수신 단말(200)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발신 번호 추출부(310), 수신 번호 추출부(320), 단말 정보 저장부(330), 단말 정보 검출부(340), 호환 여부 판단부(350), 음성 신호 생성부(360) 및 송수신부(370)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단말 정보 제공 서버(300)가 단말에 관한 각종 정보를 단말 정보 저장부(330)에 저장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단말 정보 제공 서버(300)는 통신 서비스 제공 서버(400)에 저장되어 있는 가입자 정보(통신 서비스의 제공에 필요한 각종 정보로서, 예를 들어, 가입자 이름, 전화 번호, 단말 정보 등을 포함함)를 이용하여, 수신 단말(200)의 단말 정보 또는 호환 여부 등을 확인할 수도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정보 저장부(330)에 저장된 단말 정보 테이블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정보 저장부(330)에 저장된 단말 정보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정보 테이블은 전화 번호 필드(30), 단말 모델명 필드(32), 통신 사업자 필드(34) 및 호환 단말 종류 필드(36)를 포함한다.
전화 번호 필드(30)에는 단말의 전화 번호가 기록되며, 단말 모델명 필드(32)에는 단말의 모델 명칭이 기록된다.
또한, 통신 사업자 필드(34)에는 단말이 가입된 통신 사업자의 명칭이 기록되며, 호환 단말 종류 필드(36)에는 각각의 단말에 호환되는 단말의 종류가 기록된다.
따라서, 단말 정보 제공 서버(300)는 단말 정보 테이블을 이용하여, 발신 단말(100)의 전화 번호 및 수신 단말(200)의 전화 번호에 기초하여 각각의 단말에 대한 각종의 정보를 단말 정보 저장부(330)로부터 검출할 수 있으며, 검출된 정보에 대한 음성 신호를 생성하여 발신 단말(100)에게 통화 연결음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발신 단말(100)의 사용자는 전화 통화를 시도하는 경우에, 수신 단말(200)의 명칭을 통화 연결음으로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발신 단말(100)의 사용자는 수신 단말(200)이 자신의 단말과 호환되는 단말인지 여부를 통화 연결음을 통하여 효과적으로 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전화 통화 중 또는 전화 통화 후에 호환 가능한 수신 단말(200)과 자유로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가 있게 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연결음을 통한 단말 정보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연결음을 통한 단말 정보 제공 방법의 세부 흐름도이다.
단계 S400은 발신 단말(100)의 전화 통화 시도를 확인하는 단계이다. 단계 S400에서는 발신 단말(100)이 수신 단말(200)에게 전화 통화를 시도하는 경우에 발신 단말(100)의 전화 통화 시도를 통신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단계 S402는 발신 단말(100)의 전화 번호를 수신하는 단계이다. 단계 S402에서는, 전화 통화를 시도하는 발신 단말(100)로부터 전화 연결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집된 전화 연결 정보로부터 발신 단말(100)의 전화 번호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신 단말(100)이 전화 통화를 시도하는 경우에 발신 단말의 전화 번호 표시 서비스를 통하여 발신 단말(100)의 전화 번호가 수신 단말(200)에게 제공되며, 발신 번호 추출부(310)는 수신 단말(200)에게 제공되는 발신 단말(100)의 전화 번호를 발신 단말(100) 또는 통신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단계 S404는 발신 단말(100)의 단말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이다. 단계 S404에서는 발신 단말(100)의 전화 번호에 기초하여 발신 단말(100)의 단말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단계 S404에서는 발신 단말(100)의 전화 번호에 기초하여, 통신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부터 발신 단말(100)에 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404에서는 발신 단말(100)의 전화 번호에 기초하여, 단말 정보 제공 서버(300)의 단말 정보 저장부(330)로부터 발신 단말(100)의 단말 정보를 수집할 수도 있다.
단계 S406은 수신 단말(200)의 전화 번호를 수신하는 단계이다. 단계 S406에서는 전화 통화를 시도하는 발신 단말(100) 또는 통신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부터 수신 단말(200)의 전화 번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408은 수신 단말(200)의 단말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이다. 단계 S408에서는 수신 단말(200)의 전화 번호에 기초하여 수신 단말(200)의 단말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단계 S408에서는 수신 단말(200)의 전화 번호에 기초하여, 통신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부터 수신 단말(200)에 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408에서는 수신 단말(200)의 전화 번호에 기초하여, 단말 정보 제공 서버(300)의 단말 정보 저장부(330)로부터 수신 단말(200)의 단말 정보를 수집할 수도 있다.
단계 S410은 단말의 호환성을 판단하는 단계이다. 단계 S410에서는 발신 단말(100)과 수신 단말(200)의 단말 정보에 기초하여, 양 단말의 호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410에서는, 예를 들어, 콘텐츠 파일의 호환 여부 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호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412는 단말 정보 또는 단말의 호환성에 대한 음성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단계 S412에서는 수신 단말(200)의 단말 명칭에 대한 음성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수신자의 단말은 아이폰입니다.”라는 음성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412에서는 수신 단말(200)의 호환 여부에 관한 음성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수신자의 단말은 호환 가능한 단말입니다.”, “수신자의 단말은 호환되지 않는 단말입니다.”, 또는 “수신자의 단말은 XXX님의 단말과 동일 기종의 단말입니다.”라는 음성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412에서는, TTS(Text To Speech) 기능을 이용하여 텍스트 또는 이진화된 데이터 값을 음성으로 변환할 수 있으며, 음성 신호 생성을 위한 다양한 장치를 이용하여 음성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414는 생성된 음성 신호를 발신 단말(100)에게 통화 연결음으로 제공하는 단계이다. 단계 S414에서는 생성된 음성 신호를 발신 단말(100)에게 통화 연결음으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발신 단말(100)의 사용자는 전화 통화를 시도하는 경우에, 수신 단말(200)의 명칭 또는 수신 단말(200)과의 호환 여부를 통화 연결음을 통하여 제공받을 수 있으며, 전화 통화 중 또는 전화 통화 후에 호환 가능한 수신 단말(200)과 자유로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발신 단말 200: 수신 단말
300: 단말 정보 제공 서버 310: 발신 번호 추출부
320: 수신 번호 추출부 330: 단말 정보 저장부
340: 단말 정보 검출부 350: 호환 여부 판단부
360: 음성 신호 생성부 370: 송수신부
380: 제어부

Claims (14)

  1. 통화 연결음을 통한 단말 정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발신 단말이 전화 통화를 시도하는 경우에 제공되는 전화 연결 정보로부터 수신 단말의 전화 번호를 추출하는 수신 번호 추출부;
    상기 추출된 수신 단말의 전화 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 단말의 단말 정보를 검출하는 단말 정보 검출부;
    상기 검출된 단말 정보에 대응되는 음성 신호를 생성하는 음성 신호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음성 신호를 상기 발신 단말에게 통화 연결음으로 제공하는 송수신부;
    를 포함하는 단말 정보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의 전화 번호를 추출하는 발신 번호 추출부;
    상기 발신 단말의 단말 정보 및 상기 수신 단말의 단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수신 단말의 호환 여부를 판단하는 호환 여부 판단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단말 정보 검출부는, 상기 발신 단말의 전화 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발신 단말의 단말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음성 신호 생성부는, 상기 판단된 호환 여부에 관한 음성 신호를 생성하는 것인, 단말 정보 제공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 및 상기 수신 단말의 단말 정보를 저장하는 단말 정보 저장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단말 정보 검출부는, 상기 단말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단말 정보로부터, 상기 발신 단말 및 상기 수신 단말의 단말 정보를 검출하는 것인, 단말 정보 제공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정보 저장부에는 통신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수집된 단말 정보가 저장된 것인, 단말 정보 제공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정보는, 단말의 전화 번호, 단말의 모델 명칭, 단말이 가입된 통신 사업자, 단말에 대응되는 호환 단말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단말 정보 제공 시스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호환 여부는 상기 단말 간의 콘텐츠 파일의 호환 여부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호환 여부를 포함하는 것인, 단말 정보 제공 시스템.
  7. 통화 연결음을 통한 단말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발신 단말이 전화 통화를 시도하는 경우에 수신 단말의 전화 번호를 통신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수신 단말의 전화 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 단말의 단말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단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 단말의 단말 명칭을 음성 신호로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음성 신호를 상기 발신 단말에게 통화 연결음으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 정보 제공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의 전화 번호를 상기 통신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발신 단말의 전화 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발신 단말의 단말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발신 단말의 단말 정보 및 상기 수집된 수신 단말의 단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발신 단말 및 상기 수신 단말의 호환성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호환성에 관한 음성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생성된 호환성에 관한 음성 신호는 상기 발신 단말에게 통화 연결음으로 제공되는 것인, 단말 정보 제공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말의 단말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 단말의 전화 번호에 기초하여, 통신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수신 단말에 대한 단말 정보를 수집하는 것인, 단말 정보 제공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의 단말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발신 단말의 전화 번호에 기초하여, 통신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발신 단말에 대한 단말 정보를 수집하는 것인, 단말 정보 제공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정보는, 단말의 전화 번호, 단말의 모델 명칭, 단말이 가입된 통신 사업자, 단말에 대응되는 호환 단말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단말 정보 제공 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호환 여부는 상기 단말 간의 콘텐츠 파일의 호환 여부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호환 여부를 포함하는 것인, 단말 정보 제공 방법.
  13. 통화 연결음을 통한 단말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전화 통화를 수행하는 단말에 대한 단말 정보를 통신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발신 단말이 전화 통화를 시도하는 경우에 수신 단말의 전화 번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 단말의 전화 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 단말의 단말 명칭을 상기 저장된 단말 정보로부터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단말 명칭을 음성 신호로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음성 신호를 상기 발신 단말에게 통화 연결음으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 정보 제공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 단말의 전화 번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발신 단말의 전화 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발신 단말의 단말 정보를 상기 저장된 단말 정보로부터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발신 단말의 단말 정보 및 상기 검출된 수신 단말의 단말 명칭에 기초하여, 상기 발신 단말 및 상기 수신 단말의 호환성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호환성에 관한 음성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생성된 호환성에 관한 음성 신호는 상기 발신 단말에게 통화 연결음으로 제공되는 것인, 단말 정보 제공 방법.
KR1020100117567A 2010-11-24 2010-11-24 통화 연결음을 통한 단말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560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7567A KR20120056053A (ko) 2010-11-24 2010-11-24 통화 연결음을 통한 단말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7567A KR20120056053A (ko) 2010-11-24 2010-11-24 통화 연결음을 통한 단말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6053A true KR20120056053A (ko) 2012-06-01

Family

ID=46608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7567A KR20120056053A (ko) 2010-11-24 2010-11-24 통화 연결음을 통한 단말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5605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29677B1 (en) Method and devices for language determination for voice to text transcription of phone calls
EP2611126A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essaging using voicemail
CN101951432A (zh) 一种在通信录中增加联系人信息的方法、装置及移动终端
US9894242B2 (en) Processing a fax transmission using a mobile device
CN104883457B (zh) 一种电话呼叫方法及装置
CN102946499A (zh) 可视化语音信箱系统及应用于可视化语音信箱系统的方法
CN104065824A (zh) 基于移动终端的电话拦截提示处理方法、系统及移动终端
CN106992957B (zh) 网络通话转接至移动通信终端的方法及装置
CN105611044A (zh) 通话控制方法、通话控制装置和终端
RU2641724C2 (ru) Способ и домашний шлюз для реализации функции голосовых сообщений
KR101475857B1 (ko) 발신측 제어 착신 벨소리 전환 출력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1980551A (zh) 语音短信系统及其实现方法
KR20120056053A (ko) 통화 연결음을 통한 단말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9131046B2 (en) Custom ringback tone systems and methods
CN104135579B (zh) 一种基于ivr的手机语音留言功能的实现方法
KR101429357B1 (ko) 가상번호 기반 통신을 위한 단말, 방법, 및 기록 매체
KR20110051580A (ko) 음성 프로파일을 이용한 맞춤형 tts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단말
KR101211904B1 (ko) 발신자 알림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693751B1 (ko) 엠엠에스를 이용한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55774A (ko) 발신자 정보에 기반한 맞춤형 통화 대기 서비스 제공 방법
US20060148473A1 (en) Method for assigning an representing data to be used by a remote end
US2011005975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 delivery of 411 caller information
KR101075075B1 (ko) 통신 단말기의 광고 서비스 방법
CN116390035A (zh) 组呼业务漏听处理方法及设备
KR20110116741A (ko) 유무선 통신망 회선임대를 통한 광고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