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5162A - Camera module - Google Patents

Camera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5162A
KR20120055162A KR1020100116717A KR20100116717A KR20120055162A KR 20120055162 A KR20120055162 A KR 20120055162A KR 1020100116717 A KR1020100116717 A KR 1020100116717A KR 20100116717 A KR20100116717 A KR 20100116717A KR 20120055162 A KR20120055162 A KR 201200551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exposure time
flicker
weight
previ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67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75900B1 (en
Inventor
김용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6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5900B1/en
Publication of KR20120055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51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5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590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3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the exposure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Abstract

PURPOSE: A camera module is provided to obtain a final image with a weak flicker phenomenon by setting a high brightness level. CONSTITUTION: An image sensor(20) generates a final image by sensing optical energy corresponding to input exposure time. A flicker sensing unit senses a flicker. If the flicker occurs, an image signal processing unit(30) outputs a fourth exposure time in which the weight of a central region of a preview image is equal to the weight of an edge region of the preview image.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Camera module {Ca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mera module.

일반적으로 셔터 스피드 자동 조절 기능을 갖는 카메라의 경우, 조도 레벨이 높아짐에 따라 카메라의 셔터 스피드의 속도가 빨라지며, 최대 30fps(frame per sec)까지 동작한다.In general, a camera having an automatic shutter speed adjustment function increases the speed of the camera's shutter speed as the illumination level increases, and operates up to 30 fps (frame per sec).

예를 들어, 50HZ의 상용 교류 전원에 의해 직접 점등되는 1, 500Lux 형광등 조명의 경우 1/100초 주기로 조도 변화가 발생되며, 이러한 환경 하에서 카메라의 셔터 스피드는 최대 30fps, 즉 1/120초의 셔터 스피드까지 동작된다.For example, a 1, 500Lux fluorescent light that is directly lit by a 50-HZ commercial AC power source will cause a change in illuminance at 1 / 100-second intervals.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shutter speed of the camera will be up to 30fps, or 1 / 120s. It is operated until.

그런데, 상용 교류 전원에 의해 직접 점등되는 형광등의 조명 아래에서, 카메라에 의해 피사체를 촬영하면, 형광등의 조도 변화(광량 변화)의 주파수(상용 교류 전원 주파수의 2배)와 카메라 셔터 스피드의 차이에 의해, 촬영 출력의 영상 신호에 시간적인 명암의 변화, 즉 플리커(flicker)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By the way, when the subject is photographed by a camera under the illumination of the fluorescent lamp which is turned on by a commercial AC power supply directly, to the difference of the frequency (two times of the commercial AC power supply frequency) of the illumination intensity change (light quantity change) of the fluorescent lamp and the camera shutter speed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that a change in temporal contrast, that is, flicker occurs, in the video signal of the photographing output.

예를 들면, 상용 교류 전원 주파수가 50Hz인 형광등의 조명 아래에서, 카메라에 의해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 형광등의 조도 레벨이 높아짐에 따라 카메라의 셔터 스피드의 속도가 빨라져 최대 30fps까지 동작한다.For example, when photographing a subject by a camera under a fluorescent lamp having a commercial AC power supply frequency of 50 Hz, the shutter speed of the camera is increased as the illuminance level of the fluorescent lamp is increased to operate up to 30 fps.

따라서 형광등의 조도 변화의 주기가 1/100초인 상태에서 카메라 셔터 스피드가 최대 1/120초를 가져 타이밍상 안 맞기 때문에, 형광등의 조도 변화에 대하여 각 필드의 노광 타이밍이 어긋나서, 각 화소의 노광량이 필드마다 변화된다.Therefore, since the shutter speed of the camera has a maximum of 1/120 second while the period of illumination intensity change of the fluorescent lamp is at a maximum of 1/120 seconds, the exposure timing of each field is shifted with respect to the illumination intensity change of the fluorescent lamp, and the exposure amount of each pixel It is changed for each field.

결국, 형광등과 같은 조도 변화 주기에 따른 셔터 스피드의 노광 타이밍이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일정 주기를 두고 반복적으로 플리커 구간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As a result, since the exposure timing of the shutter speed according to the illuminance change period, such as a fluorescent lamp, does not coincid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flicker section is repeatedly generated at a predetermined period.

본 발명은 조도 변화 주기와 셔터 스피드의 노광 타이밍이 일치하지 않을 때 발생하는 플리커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mera module capable of preventing the flicker phenomenon that occurs when the illuminance change cycle and the shutter speed exposure timing do not coincide.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렌즈부, 상기 렌즈부를 통해 입사되는 광 에너지를 감지하여 프리뷰 영상 이미지를 생성하고, 입력되는 노출 시간에 대응되는 상기 광 에너지를 감지하여 최종 영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센서, 상기 프리뷰 영상 이미지에 플리커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플리커가 발생 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1 이미지 센서로 상기 프리뷰 영상 이미지의 중심 영역과 엣지 영역의 가중치가 서로 다른 제1 노출 시간 또는 제2 노출 시간을 출력하고, 상기 플리커가 발생한 경우에는 상기 제1 이미지 센서로 상기 프리뷰 영상 이미지의 상기 중심 영역과 상기 엣지 영역의 가중치가 동일한 제4 노출 시간을 출력하는 이미지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ens unit, an image sensor for detecting the light energy incident through the lens unit to generate a preview image image, and detects the light energy corresponding to the input exposure time to generate a final image image And determining whether flicker has occurred in the preview image image. If the flicker does not occur, the first image sensor has a first exposure time or a first weight valu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weights of the center region and the edge region of the preview image image. A camera module including an image signal processor outputting a second exposure time and outputting a fourth exposure time equal to a weight of the center region and the edge region of the preview image image to the first image sensor when the flicker occurs; This is provid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플리커 현상이 발생할 경우 프리뷰 영상 이미지의 중심 영역과 엣지 영역의 가중치가 동일한 노출 시간으로 최종 영상 이미지를 생성함으로써, 최종 영상 이미지에서 광량 차이가 발생하지 않아 플리커 현상이 약화된 최종 영상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licker occurs, the final image is generated at the same exposure time as the weights of the center region and the edge region of the preview image image, so that the difference in the amount of light does not occur in the final image image. Video images can be obtained.

또한, 플리커 현상이 발생할 경우 휘도 레벨을 설정된 기준 휘도 레벨만큼 높게 설정함으로써, 높은 휘도에 의해 플리커 현상이 약화된 최종 영상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licker occurs, the luminance level is set as high as the set reference luminance level, thereby obtaining a final image image in which the flicker is weakened by the high luminan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신호 처리부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리커 패턴의 예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플리커 현상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노출시간 조정부의 노출 시간 조정 예시도이고, 도 4c는 플리커 현상이 발생한 경우 노출시간 조정부의 노출 시간 조정 예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리커 현상이 발생한 프리뷰 영상 이미지의 예시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최종 영상 이미지의 예시도이다.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of an image signal process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view of a flicker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and 4B illustrate exemplary exposure time adjustments of the exposure time adjusting unit when no flicker occurs, and FIG. 4C illustrates exposure time adjustment units of the exposure time adjusting unit when the flicker occurs.
5A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preview image image in which a flicker phenomenon occu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B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final image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s the inventive concept allows for various changes and numerous embodiments, particular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written descriptio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and similarly, the first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it may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present in between.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도 한다.Now,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은 렌즈부(10), 이미지 센서(20) 및 이미지 신호 처리부(3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camera module includes a lens unit 10, an image sensor 20, and an image signal processor 30.

렌즈부(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렌즈로 이루어져 있으며, 광 에너지를 입사하고 입사된 광 에너지를 집광시켜 이미지 센서(20)로 출력한다.The lens unit 10 includes at least one lens, and receives light energy and condenses the incident light energy and outputs the light energy to the image sensor 20.

이미지 센서(20)는 렌즈부(10)를 통과하는 광 에너지를 감지하는 복수의 픽셀을 포함하며, 복수의 픽셀에서 감지된 광 에너지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이미지 신호 처리부(30)로 출력한다.The image sensor 20 includes a plurality of pixels that sense the light energy passing through the lens unit 10, and converts the light energy detected by the plurality of pixels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outputs the electrical signal to the image signal processor 30. .

이미지 신호 처리부(30)에서 노출 시간이 입력되기 전에 이미지 센서(20)는 프리뷰 영상 이미지를 생성하여 이미지 신호 처리부(30)로 출력하고, 이미지 신호 처리부(30)로부터 노출 시간이 입력되면 이미지 센서(20)는 입력된 노출 시간에 따라 광 에너지를 감지한 최종 영상 이미지를 이미지 신호 처리부(30)로 출력한다.Before the exposure time is input from the image signal processor 30, the image sensor 20 generates a preview image and outputs the image to the image signal processor 30. When the exposure time is input from the image signal processor 30, the image sensor ( 20 outputs a final image image of sensing light energy to the image signal processor 30 according to the input exposure tim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신호 처리부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리커 패턴의 예시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플리커 현상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노출시간 조정부의 노출 시간 조정 예시도이고, 도 4c는 플리커 현상이 발생한 경우 노출시간 조정부의 노출 시간 조정 예시도이고,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리커 현상이 발생한 프리뷰 영상 이미지의 예시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최종 영상 이미지의 예시도이다.2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image signal process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flicker patter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4A and 4B are examples in which no flicker occurs. 4C is an exemplary view of adjusting the exposure time of the exposure time adjusting unit, and FIG. 4C is an exemplary view of adjusting the exposure time of the exposure time adjusting unit when flicker occurs, and FIG. 5A is an exemplary view of a preview image image in which the flicker occu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B is an exemplary view of a final image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신호 처리부(30)는 이미지 센서(20)로부터 입력된 프리뷰 영상 이미지에 플리커(flicker) 현상이 발생하였는지를 감지하는 플리커 감지부(31)와, 플리커 감지부(31)에서 플리커가 감지 여부에 따라 이미지 센서(20)의 노출 시간을 조정하는 노출시간 조정부(32)와, 플리커가 감지된 경우 노출시간 조정부(32)에서 조정된 노출 시간에 비해 휘도 레벨이 기준 휘도 레벨만큼 높아지도록 노출 시간을 재조정하는 노출 타겟 조정부(33)를 포함한다.As illustrated in FIG. 2, the image signal processor 30 may include a flicker detector 31 that detects whether a flicker phenomenon occurs in the preview image image input from the image sensor 20, and the flicker detector 31. ), The exposure level adjusting unit 32 adjusts the exposure time of the image sensor 20 according to whether the flicker is detected, and when the flicker is detected, the luminance level is compared with the exposure time adjusted by the exposure time adjusting unit 32. And an exposure target adjuster 33 that readjusts the exposure time to be as high as the level.

플리커 현상이 발생할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센서(20)로부터 입력되는 프리뷰 영상 이미지에는 횡 방향으로 부분 또는 전체가 물결치는 패턴이 나타나며, 플리커 감지부(31)에는 도 3의 플리커 패턴이 저장되어 있다.When the flicker phenomenon occurs, as shown in FIG. 3, a pattern in which a part or the whole is wa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ppears in the preview image image input from the image sensor 20, and the flicker detector 31 has the flicker of FIG. 3. The pattern is saved.

플리커 감지부(31)는 이미지 센서(20)로부터 프리뷰 영상 이미지가 입력되면, 미리 저장되어 있는 플리커 패턴이 프리뷰 영상 이미지에 발생하는지를 비교한다.When the preview image image is input from the image sensor 20, the flicker detector 31 compares whether a flicker pattern stored in advance is generated in the preview image image.

플리커 감지부(31)는 프리뷰 영상 이미지에서 플리커 패턴이 나타나지 않으면 플리커 현상이 발생하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제1 제어신호를 노출시간 조정부(32)로 출력하고, 프리뷰 영상 이미지에서 플리커 패턴이 나타나면 플리커 현상이 발생한 것을 나타내는 제2 제어신호를 노출시간 조정부(32)로 출력한다.If the flicker pattern does not appear in the preview image, the flicker detection unit 31 outputs a first control signal indicating that the flicker does not occur to the exposure time adjusting unit 32. When the flicker pattern appears in the preview image, the flicker phenomenon is displayed. The second control signal indicative of the occurrence is output to the exposure time adjustment unit 32.

노출시간 조정부(32)는 플리커 감지부(31)로부터 플리커 현상이 발생하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제1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도 개선을 위해 프리뷰 영상 이미지의 중심 영역에 가중치(weight)를 주는 제1 노출 시간을 설정하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뷰 영상 이미지의 엣지 영역에 가중치를 주는 제2 노출 시간을 설정하여 이미지 센서(20)로 출력한다.When the first control signal indicating that the flicker does not occur from the flicker detector 31 is input to the exposure time adjusting unit 32, the exposure time adjusting unit 32 has a weight (a weight) in the center region of the preview image image to improve the sensitivity as shown in FIG. 4A. A first exposure time giving a weight) is set, and a second exposure time giving a weight to an edge area of the preview image image is set and output to the image sensor 20 as shown in FIG. 4B.

그러면, 이미지 센서(20)에서 제1 노출 시간 또는 제2 노출 시간에 대응되는 광 에너지를 감지하여 생성된 제1 최종 영상 이미지 또는 제2 최종 영상 이미지를 이미지 신호 처리부(30)로 출력한다.Then, the image sensor 20 outputs the first final image image or the second final image image generated by sensing the light energy corresponding to the first exposure time or the second exposure time to the image signal processor 30.

이때, 제1 노출 시간에 따라 촬영된 제1 최종 영상 이미지는 중심 영역이 밝고 엣지 영역이 중심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어두운 광량 차이가 발생하는 영상 이미지이다.In this case, the first final image image photographed according to the first exposure time is an image image in which the center region is bright and the edge region has a relatively dark light quantity difference compared to the center region.

또한, 제2 노출 시간에 따라 촬영된 제2 최종 영상 이미지는 중심 영역이 엣지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어두운 광량 차이가 발생하는 영상 이미지이다.In addition, the second final image image photographed according to the second exposure time is an image image in which a central area has a relatively dark light quantity difference compared to the edge region.

일반적으로, 플리커 현상은 광량 차이가 발생할수록 더 선명하게 나타난다.In general, the flicker phenomenon appears more clearly as the amount of light difference occurs.

따라서, 노출시간 조정부(32)는 플리커 감지부(31)에서 플리커 현상이 발생한 것을 나타내는 제2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뷰 영상 이미지의 중심 영역과 엣지 영역의 가중치가 동일한 제3 노출 시간을 설정하여 노출 타겟 조정부(33)로 출력한다.Accordingly, when the exposure time adjusting unit 32 receives the second control signal indicating that the flicker occurs in the flicker detecting unit 31, the weights of the center region and the edge region of the preview image image are the same as illustrated in FIG. 4C. The third exposure time is set and output to the exposure target adjustment unit 33.

노출 타겟 조정부(33)는 휘도 레벨(Y-level)을 조정하는 것으로, 제3 노출 시간에 비해 R, G, B 레벨이 대략 20~30 정도 높아져 제3 노출 시간의 휘도 레벨(Y-level)이 설정된 기준 휘도 레벨만큼 높게 설정되도록 제3 노출 시간을 제4 노출 시간으로 재조정하여 이미지 센서(20)로 출력한다.The exposure target adjustment unit 33 adjusts the luminance level (Y-level), and the R, G, and B levels are approximately 20 to 30 degrees higher than the third exposure time, thereby increasing the luminance level (Y-level) of the third exposure time. The third exposure time is readjusted to the fourth exposure time so as to be set as high as the set reference luminance level and output to the image sensor 20.

그러면, 이미지 센서(20)는 제4 노출 시간에 대응되는 광 에너지를 감지하여 생성된 제3 최종 영상 이미지를 이미지 신호 처리부(30)로 출력한다. Then, the image sensor 20 outputs the third final image image generated by sensing the light energy corresponding to the fourth exposure time to the image signal processor 30.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센서(20)를 통해 입력되는 제4 노출 시간에 따른 최종 영상 이미지는 전체적으로 밝기가 동일한 중심 영역과 엣지 영역의 광량 차이가 발생하지 않는 영상 이미지로서, 본 발명에서는 제4 노출 시간에 따라 촬영된 최종 영상 이미지에서 광량 차이가 발생하지 않아 도 5a에 비해 플리커 현상이 약화된 도 5b의 제3 최종 영상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As shown in FIG. 5B, the final image image according to the fourth exposure time input through the image sensor 20 is an image image in which the light amount difference between the center region and the edge region having the same brightness as a whole does not occur. Since the difference in light quantity does not occur in the final image image photographed according to the fourth exposure time, the third final image image of FIG. 5B having a weaker flicker than that of FIG. 5A may be obtained.

또한, 본 발명에서는 플리커 현상이 발생할 경우 휘도 레벨을 기준 휘도 레벨(R, G, B 레벨이 대략 20~30 증가한 레벨)만큼 높게 설정함으로써, 높은 휘도에 의해 플리커 현상을 약화시킬 수 있는 제3 최종 영상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licker occurs, the luminance level is set as high as the reference luminance level (the level at which the R, G, and B levels are increased by about 20 to 30), whereby the third final factor that can weaken the flicker due to the high luminance is achieved. Video images can be obtain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ovided.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s.

10: 렌즈부
20: 이미지 센서
30: 이미지 신호 처리부
31: 플리커 감지부
32: 노출시간 조정부
33: 노출 타켓 조정부
10: lens unit
20: image sensor
30: image signal processor
31: flicker detector
32: exposure time adjustment unit
33: exposure target adjustment unit

Claims (7)

렌즈부,
상기 렌즈부를 통해 입사되는 광 에너지를 감지하여 프리뷰 영상 이미지를 생성하고, 입력되는 노출 시간에 대응되는 상기 광 에너지를 감지하여 최종 영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센서, 및
상기 프리뷰 영상 이미지에 플리커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플리커가 발생 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1 이미지 센서로 상기 프리뷰 영상 이미지의 중심 영역과 엣지 영역의 가중치가 서로 다른 제1 노출 시간 또는 제2 노출 시간을 출력하고, 상기 플리커가 발생한 경우에는 상기 제1 이미지 센서로 상기 프리뷰 영상 이미지의 상기 중심 영역과 상기 엣지 영역의 가중치가 동일한 제4 노출 시간을 출력하는 이미지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Lens,
An image sensor which detects the light energy incident through the lens unit to generate a preview image image, and detects the light energy corresponding to the input exposure time to generate a final image image;
It is determined whether flicker has occurred in the preview image image, and when the flicker does not occur, the first image sensor has a first exposure time or a second weight value different from the center and edge regions of the preview image image. And an image signal processor configured to output an exposure time and output, when the flicker occurs, a fourth exposure time equal to the weight of the center region and the edge region of the preview image image to the first image sens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출 시간은 상기 중심 영역의 가중치가 상기 엣지 영역의 가중치에 비해 높게 설정되어 있고, 상기 제2 노출 시간은 상기 중심 영역의 가중치가 상기 엣지 영역의 가중치에 비해 낮게 설정되어 있는 카메라 모듈.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exposure time is a camera module, the weight of the center area is set higher than the weight of the edge area, and the second exposure time of the camera module, the weight of the center area is set lower than the weight of the edge ar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신호 처리부는,
상기 플리커가 발생하였는지를 감지하는 플리커 감지부,
상기 플리커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노출 시간 또는 상기 제2 노출 시간을 상기 이미지 센서로 출력하고, 상기 플리커가 감지된 경우 상기 프리뷰 영상 이미지의 상기 중심 영역과 상기 엣지 영역의 가중치가 동일한 제3 노출 시간을 설정하여 출력하는 노출시간 조정부, 및
상기 노출 시간 조정부에서 출력된 제3 노출 시간에 비해 휘도 레벨이 기준 휘도 레벨만큼 높아지도록 상기 제3 노출 시간을 상기 제4 노출 시간으로 재조정하는 노출 타켓 조정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The method of claim 1,
The image signal processor,
A flicker detector for detecting whether the flicker has occurred;
Outputting the first exposure time or the second exposure time to the image sensor when the flicker is not detected; and a third weight having the same weight as that of the center region and the edge region of the preview image image when the flicker is detected. An exposure time adjusting unit for setting and outputting an exposure time; and
And an exposure target adjuster configured to readjust the third exposure time to the fourth exposure time such that the brightness level is increased by a reference brightness level compared to the third exposure time output from the exposure time adjust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리커 감지부는 미리 저장되어 있는 플리커 패턴이 상기 프리뷰 영상 이미지에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카메라 모듈.
The method of claim 3,
And the flicker detector detects whether a pre-stored flicker pattern has occurred in the preview image imag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리커가 감지된 경우, 상기 이미지 센서는 상기 제4 노출 시간에 대응되는 상기 광 에너지를 감지하여 상기 최종 영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카메라 모듈.
The method of claim 3,
And when the flicker is detected, the image sensor detects the light energy corresponding to the fourth exposure time to generate the final image imag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휘도 레벨은 상기 제3 노출 시간의 R, G, B 레벨이 설정된 범위만큼 높아지는 휘도 레벨인 카메라 모듈.
The method of claim 3,
And the reference luminance level is a luminance level at which R, G, and B levels of the third exposure time are increased by a set rang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리커 감지부에는 상기 프리뷰 영상 이미지에서 횡 방향으로 부분 또는 전체가 물결치는 패턴 형상인 플리커 패턴이 저장되어 있는 카메라 모듈.
The method of claim 3,
The flicker detection unit is a camera module that stores a flicker pattern having a pattern shape in which part or the whole wa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preview image image.
KR1020100116717A 2010-11-23 2010-11-23 Camera module KR1016759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6717A KR101675900B1 (en) 2010-11-23 2010-11-23 Camera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6717A KR101675900B1 (en) 2010-11-23 2010-11-23 Camera modu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5162A true KR20120055162A (en) 2012-05-31
KR101675900B1 KR101675900B1 (en) 2016-11-14

Family

ID=46270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6717A KR101675900B1 (en) 2010-11-23 2010-11-23 Camera modu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5900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6330A (en) * 1991-08-22 1993-03-05 Canon Inc Image pickup device
JP2007110205A (en) * 2005-10-11 2007-04-26 Mitsubishi Electric Corp Imaging apparatus
JP2009075124A (en) * 2008-11-06 2009-04-09 Honda Motor Co Ltd Distance detector
JP2009282510A (en) * 2008-04-23 2009-12-03 Panasonic Corp Interchangeable lens, camera body, and imag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6330A (en) * 1991-08-22 1993-03-05 Canon Inc Image pickup device
JP2007110205A (en) * 2005-10-11 2007-04-26 Mitsubishi Electric Corp Imaging apparatus
JP2009282510A (en) * 2008-04-23 2009-12-03 Panasonic Corp Interchangeable lens, camera body, and imaging apparatus
JP2009075124A (en) * 2008-11-06 2009-04-09 Honda Motor Co Ltd Distance det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5900B1 (en) 2016-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70134B2 (en) Imaging device,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ntrol program
JP5389274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photograph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white balance adjustment method
US20160005362A1 (en) Determination Of Optical Condition And Adjustment Of Display
JP2010103746A (en) Imaging apparatus
US781719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n image exposed to backlight
US9875423B2 (en) Image pickup apparatus that calculates light amount change characteristic,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calculating light amount change characteristic
JP2009077057A (en) Imag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imaging apparatus
US20110292241A1 (en) Extended flicker cancellation for auto exposure for a video camera
US10205886B2 (en) Imag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JP6170355B2 (en) Imag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108878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for tone control of each object region in an image
JP5331766B2 (en) Imaging device
CN103369252A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2011085699A (en) Display device
JP5106283B2 (en) Video camera
JP2011199711A (en) Image processing device
KR20120055162A (en) Camera module
KR100968377B1 (en) Device and method for removing flicker noise,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device
JP6312524B2 (en) Imaging apparatus, control method, program, and storage medium
JP2010062699A (en) Image analyzer and image analysis program
JP4958732B2 (en) Flicker correction device
JP2008206033A (en) Imaging apparatus
KR101327035B1 (en) Camera modul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11678062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storage medium for performing exposure control by prioritizing increasing an image capturing sensitivity
JP6494829B2 (en) Imaging apparatus, control method, program,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