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4870A - 휴대용 전자장치 및 그 동작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전자장치 및 그 동작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4870A
KR20120054870A KR1020100116220A KR20100116220A KR20120054870A KR 20120054870 A KR20120054870 A KR 20120054870A KR 1020100116220 A KR1020100116220 A KR 1020100116220A KR 20100116220 A KR20100116220 A KR 20100116220A KR 20120054870 A KR20120054870 A KR 201200548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electronic
electronic device
acceleration
directions
axis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6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8181B1 (ko
Inventor
한수진
이광준
정학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00116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8181B1/ko
Publication of KR20120054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48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8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81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42Graphical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장치 및 그 동작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 전자장치를 잡고 움직이는 제스처 입력의 주방향을 인식하여, 그 주방향에 따라 휴대용 전자장치의 동작을 조작할 수 있는 휴대용 전자장치 및 그 동작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장치는, 가속도 센서들을 내장하고, 가속도 센서에 측정된 복수의 방향들의 가속도 값들을 비교하여 사용자가 휴대용 전자장치를 잡고 움직이는 제스처 입력의 주방향을 결정하는 제스처인식부 및 결정된 주방향을 기초로 휴대용 전자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휴대용 전자장치 및 그 동작 제어방법{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장치 및 그 동작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 전자장치를 잡고 움직이는 제스처 입력의 주방향을 인식하여, 그 주방향에 따라 휴대용 전자장치의 동작을 조작할 수 있는 휴대용 전자장치 및 그 동작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용 전자 장치에, 가속도 센서 등을 부착하여, 이를 통해 사용자가 휴대용 전자 장치를 잡고 움직이는 제스처 입력에 대하여 가속도 센서에서 검출한 기울기, 흔들림, 3D 방향 등의 정보를 통해 휴대용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또한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가속도 센서로부터 측정된 정보를 단순한 흔들림 보정 등이 아닌, 사용자의 제스처 입력을 인식하여 휴대용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술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제스처 입력에 담긴 사용자의 의도에 대하여 보다 명확한 정보로 인지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일반적인 사용자의 제스처는, 3D 방향 예컨대, +X축 방향, -X축 방향, +Y축 방향, -Y축 방향, +Z축 방향 및 -Z축 방향 중의 하나의 방향으로 취해지지 않고 방향 값의 크기가 다른 복수 개 축의 방향으로 제스처를 취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의도하는 제스처 입력의 방향을 구분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스처 입력을 통해 의도하는 방향을 전자장치에게 올바르게 전달하기 위해서는, 자연스러운 제스처가 아닌, 일정한 방향으로 일정한 크기 이상의 제스처를 취해야만 하는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내장된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휴대용 전자장치를 잡고 움직이는 사용자의 제스처 입력의 주방향을 인식하여, 그 주방향에 따라 휴대용 전자장치의 동작을 조작할 수 있는 휴대용 전자장치 및 그 동작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전자장치는 휴대용 전자장치의 내부에 설치되어 휴대용 전자장치에 가해진 복수의 방향들의 가속도를 주기적으로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 가속도 센서에 측정된 복수의 방향들의 가속도 값들을 비교하여 사용자가 휴대용 전자장치를 잡고 움직이는 제스처 입력의 주방향을 결정하는 제스처인식부; 및 결정된 제스처 입력의 주방향을 기초로 휴대용 전자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복수의 방향들은 +X축 방향, -X축 방향, +Y축 방향, -Y축 방향, +Z축 방향 및 -Z축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스처인식부는 가속도 센서에 측정된 복수의 방향들의 가속도 값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향의 가속도 값의 변화의 크기가 기정의된 시작기준값 이상이 되는 시점을 제스처 입력의 시작 시점으로 인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스처인식부는 시작 시점의 휴대용 전자장치의 좌표를 가속도 센서의 가속도 측정의 기준점으로 설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스처인식부는 시작 시점 이후에, 가속도 센서에 측정된 복수의 방향들의 가속도 값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향의 가속도 값의 변화의 크기가 기정의된 종료기준값 이하가 되는 시점을 제스처 입력의 종료 시점으로 인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스처인식부는 시작 시점 및 종료 시점 사이에서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수집된 복수의 방향들의 가속도 값들을 각 방향별로 합산하는 방향별합산부; 및 복수의 방향들 중에서 합산된 값의 절대값이 가장 큰 방향을 제스처 입력의 주방향으로 결정하는 주방향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방향별합산부는 시작 시점 및 종료 시점 사이에서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수집된 가속도 값들 중 기정의된 횟수의 초기값 및 말기값을 제외하고 합산할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복수의 방향들의 가속도를 주기적으로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를 내장한 휴대용 전자장치의 동작제어방법은, 가속도 센서에 측정된 복수의 방향들의 가속도 값들을 비교하여 사용자가 휴대용 전자장치를 잡고 움직이는 제스처 입력의 주방향을 결정하는 제스처인식단계; 및 결정된 제스처 입력의 주방향을 기초로 휴대용 전자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복수의 방향들은 +X축 방향, -X축 방향, +Y축 방향, -Y축 방향, +Z축 방향 및 -Z축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스처인식단계는 가속도 센서에 측정된 복수의 방향들의 가속도 값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향의 가속도 값의 변화의 크기가 기정의된 시작기준값 이상이 되는 시점을 제스처 입력의 시작 시점으로 인식하는 시작시점인식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스처인식단계는 시작 시점의 휴대용 전자장치의 좌표를 가속도 센서의 가속도 측정의 기준점으로 설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스처인식단계는 시작 시점 이후에, 가속도 센서에 측정된 복수의 방향들의 가속도 값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향의 가속도 값의 변화의 크기가 기정의된 종료기준값 이하가 되는 시점을 제스처 입력의 종료 시점으로 인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스처인식단계는 시작 시점 및 종료 시점 사이에서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수집된 복수의 방향들의 가속도 값들을 각 방향별로 합산하는 방향별합산단계; 및 복수의 방향들 중에서 합산된 값의 절대값이 가장 큰 방향을 제스처 입력의 주방향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방향별합산단계는 시작 시점 및 종료 시점 사이에서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수집된 가속도 값들 중 기정의된 횟수의 초기값 및 말기값을 제외하고 합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장치 및 그 동작 제어방법에 의하면, 따로 버튼을 누르거나 하는 일 없이, 휴대용 전자장치를 한 손에 들고 흔드는 쉐이킹 조작 만으로도 휴대용 전자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어, 양 손이 자유롭지 않는 상황에서도 편리하게 휴대용 전자장치를 이용할 수 있으며, 한 손만으로도 보다 광범위한 조작이 가능하여 전자 장치의 조작성 향상이나 오락성 및 편의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에 내장된 가속도 센서에서 가속도를 측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처 인식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제스처 입력을 인식하는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제스처 입력을 통해 휴대용 전자 장치의 응용프로그램을 작동시키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더욱 분명해 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한편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다. 이하 설명에서 휴대용 전자 장치는 휴대폰, 스마트폰, PDA 등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뿐만 아니라, 디지털 카메라, MP3 플레이어, PMP, 넷북, 태플릿 PC 등과 같은 사용자가 이동 중에 휴대하고 다닐 수 있는 전자 장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이며, 이하의 설명은 이들 중 일례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반적인 구성을 가지고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장치(100)는 제어부(102), 메모리(104), 입력부(106), 출력부(108), 가속도센서(110) 및 제스처인식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어부(102)는 휴대용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02)는 음성 통화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하고, 이러한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실시예에 따라, 제스처 인식부(120)로부터 사용자가 휴대용 전자장치(100)를 잡고 움직이는 제스처 입력의 주방향을 입력받아 이를 기초로 예컨대, 소정의 방향에 대해 기지정된 입력값을 응용프로그램에 전달하는 등의 동작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한다.
메모리(104)는 제어부(102)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의 마이크로 코드와 각종 참조 데이터와, 각종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시적인 데이터 및 갱신 가능한 각종 보관용 데이터를 저장한다. 입력부(106)는 키패드, 터치패드, 음성입력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제어부(102)로 제공한다.
출력부(108)는 표시부(디스플레이)나 음성출력기로 구성될 수 있으며, 휴대 전자 장치 내에서의 정보가 처리된 결과를 사용자에게 출력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출력부(108)가 표시부로 구성되는 경우, 출력부(108)는 정보를 표시하여 출력하고, 출력부(108)가 음성출력기로 구성되는 경우, 출력부(108)는 상기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한다. 출력부(108)가 음성출력기로 구성되는 경우, 출력부(108)는 제어부(102)로부터 제공되는 디지털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음성출력기로 제공하는 음성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휴대용 전자 장치(100)에서는, 입력부(104)를 이용한 통상의 입력 외에, 「가속도 센서가 장착된 휴대용 전자 장치(100)를 손에 쥐고, 소정의 기정의된 방향을 따라 강하게 움직이는 운동을, 미리 정해진 타이밍에 행하게 한다」라고 하는 입력 방법에 의해, 휴대용 전자 장치(100)에 대한 소정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후, 이 점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조작 방법에서, 「가속도 센서가 장착된 휴대용 전자 장치(100)를 손에 쥐고, 소정의 기정의된 방향을 따라 강하게 움직이는 운동을, 미리 정해진 타이밍에 행하게 한다 」라고 하는 소정의 입력을, 여기서는 「제스처 입력」이라고도 부르기로 한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입력부(104)를 통한 사용자의 키, 터치 또는 음성 입력을 통한 입력 신호 외에도, 사용자가 휴대용 전자 장치를 잡고 움직이는 제스처 입력을 지원하기 위해, 가속도센서(110) 및 제스처인식부(12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속도 센서(110)는 휴대용 전자 장치에 가해지는 복수의 방향들의 가속도를 주기적으로 측정한다.
제스처인식부(120)는 가속도 센서(110)에 측정된 복수의 방향들의 가속도 값들을 비교하여 사용자가 휴대용 전자장치를 잡고 움직이는 제스처 입력의 주방향을 결정하여 이를 제어부(102)에 전달한다.
가속도 센서(110)는 물체에 가해지는 가속도의 크기를 출력하는 것으로, 1축, 2축, 3축 등 축 수에 의해서 타입이 나뉘어진다. 이하에서는 3축 가속도 센서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장치(100)에 내장된 가속도 센서(110)에서 가속도를 측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속도 센서(110)는 X, Y, Z축의 3축 방향의 3차원 공간에서 가속도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으며, 따라서, +X축 방향, -X축 방향, +Y축 방향, -Y축 방향, +Z축 방향 및 -Z축 방향의 6개의 방향의 가속도 값을 측정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예에 따르면, 가속도 센서(110)는 일정한 시간 간격(예컨대, 초당 60회 이하)으로 3축 방향의 가속도를 측정하고, 이처럼 주기적으로 측정된 3축 방향의 가속도의 값을 제스처 인식부(120)에 전달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처 인식부(12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라서 사용자의 제스처 입력을 인식하는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스처 인식부(120)는 기준설정부(121), 방향별합산부(122) 및 주방향결정부(1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기준설정부(121)는 가속도 센서에 측정된 복수의 방향들의 가속도 값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향의 가속도 값의 변화의 크기가 기정의된 시작기준값(예컨대, 1.3) 이상인지를 판단하여(S401), 시작기준값 이상이 되는 시점을 사용자의 제스처 입력의 시작 시점으로 인식한다(S402).
즉, 가속도 센서를 X축, Y축, Z축의 3축의 가속도 값을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수집하여, 3축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의 가속도 값의 변화가 기정의된 일정 범위(예컨대, ±1.3)이상이 되는 시점을 제스처의 시작 시점으로 인식한다.
그리고, S402 단계에서 인식된 시작 시점의 휴대용 전자장치의 좌표를 가속도 센서의 가속도 측정의 기준점으로 설정한다(S403).
이는 사용자가 제스처 입력을 위한 움직임을 시작하는 기준점이 X축, Y축, Z축의 3축의 값이 모두 0인 지점인 절대기준점이 아닌 상대기준점인 경우에는, 가속도 센서에서 측정하는 가속도 값에 절대기준점과 상대기준점의 차이만큼 오차를 포함하게 되므로, 이를 보정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X축 방향, -X축 방향, +Y축 방향, -Y축 방향, +Z축 방향 및 -Z축 방향의 6개의 방향의 가속도 값을 기정의된 시간 간격으로 수집하고(S404), 가속도 센서에 측정된 복수의 방향들의 가속도 값들 중 적어도 하나 방향의 가속도 값의 변화의 크기가 기정의된 종료기준값(예컨대, 1.3)인지를 판단하여(S405), 종료기준값 이하가 되는 시점을 사용자의 제스처 입력의 종료 시점으로 인식하여(S406), S404 단계에서의 사용자의 제스처 입력에 대한 가속도 값 수집을 종료한다.
즉, 시작시점 이후에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3축 방향의 가속도 값을 수집하여, 3축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의 가속도 값의 변화가 기정의된 일정 범위(예컨대, ±1.3)이하가 되는 시점을 제스처의 종료 시점으로 인식한다.
방향별합산부(122)는 S403 단계에서 수집된 복수의 방향들의 가속도 값들, 즉, 시작시점과 종료 시점 사이에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측정된 복수의 방향들의 가속도 값들 중 기정의된 횟수의 초기값 및 말기값을 제외한 나머지 가속도 값들을 각 방향 별로 합산한다(S407).
이하의 [수학식 1]은 시각 t(시작 시점)에서 시각 t-n(종료 시점)까지의 시간 동안에 수집된 3축의 방향들의 가속도 값들을 합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것으로, 여기에서, +Xs, -Xs, +Ys, -Ys, +Zs, -Zs는 각각 +X축, -X축, +Y축, -Y축, +Z축, -Z축 방향의 가속도 값들의 합을 가리킨다.
[수학식 1]
+XS: Xt -n+3 + Xt -n+4 + Xt -n+5 + … + Xt -5 + Xt -4 + Xt -3
-XS: (-Xt -n+3) + (-Xt -n+4) + (-Xt -n+5)+ … + (-Xt -5) + (-Xt -4) + (-Xt -3)
+YS: Yt -n+3 + Yt -n+4 + Yt -n+5 + … + Yt -5 + Yt -4 + Yt -3
-YS: (-Yt -n+3) + (-Yt -n+4) + (-Yt -n+5)+ … + (-Yt -5) + (-Yt -4) + (-Yt -3)
+ZS: Zt -n+3 + Zt -n+4 + Zt -n+5 + … + Zt -5 + Zt -4 + Zt -3
-ZS: (-Zt -n+3) + (-Zt -n+4) + (-Zt -n+5)+ … + (-Zt -5) + (-Zt -4) + (-Zt -3)
본 실시예에서, 가속도 값들을 방향별로 합산하는 과정에서, 시작 시점과 종료 시점 사이의 초기와 말기의 일부(예컨대, 시작 시점부터 약 3회, 종료 시점에서 역순으로 약 3회)의 가속도 값을 제외한 나머지 가속도 값을 방향별 합산값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하나의 수단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주방향결정부(123)는 복수의 방향들 중에서 S407 단계에서 합산된 값의 절대값이 가장 큰 방향을 제스처 입력의 주방향으로 결정한다(S408).
예컨대, |+Xs| > |+Ys| > |-Zs| > |-Ys| > |+Zs| > |-Xs|인 경우에는 제스처 입력의 주방향은 +X축의 방향으로 결정된다.
이는 사용자가 휴대용 전자장치를 잡고 일정한 방향으로 일정한 크기 이상의 제스처를 취하지 않고 자연스러운 일반적인 제스처를 취하여 X축, Y축, Z축의 3축의 방향 중 복수 개의 축으로 각각 크기가 다른 값이 획득 되더라도 사용자가 의도하는 방향의 축을 향하여 가장 큰 가속도 값의 제스처를 취한다는 점에 착안한 방법이다.
제스처 입력의 주방향을 결정하는 또다른 방법으로, Peak 값이 발생하는 방향을 주방향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Peak 값이란, 가속도 값이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시점 혹은 감소하다가 증가하는 시점의 값을 가리킨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을 취할 경우에, 제스처의 시작시점과 종료 시점 사이에 약간의 오차가 발생할 경우, 사용자의 의도와는 별개로 Peak값이 발생하는 방향이 복수 개가 되어 주방향이 복수 개가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는 점, 일반적인 사용자의 제스처가 X축, Y축, Z축의 3축의 방향 중 한 축의 방향으로 취해지지 않고, 가속도의 크기가 다른 복수 개의 축의 방향으로 제스처를 취하게 되므로, Peak값이 발생하는 방향이 복수 개가 발생하여 사용자가 의도하는 방향을 구분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점 등을 감안할 때, 본 실시예에 따라, 각 방향별로 합산된 가속도 값의 절대값이 가장 큰 방향을 제스처 입력의 주방향으로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와 같이 결정된 제스처 입력의 주방향을 기초로 휴대용 전자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스처 입력의 주방향 정보는 휴대용 전자 장치(100) 내부나 외부의 시스템에 위치하고 있는 응용프로그램에 전송되어, 응용 프로그램에서 사용자의 Yes/No 의사 데이터를 입력 받아야 하는 경우, 학습 프로그램에서 객관식 문제에 답을 입력해야 하는 경우, 게임에서 상하좌우앞뒤로 방향을 입력해야 하는 경우 등과 같은 상황에서,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방향 데이터(3D 방향, 상하좌우 등), 의사 데이터(Yes/No)등의 입력 값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사용자는 직접 키패드 입력이나, 터치패드 입력 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단말을 좌우 혹은 상하로 이동하여 제스처를 취함으로써 6개 방향(+X, -X, +Y, -Y, +Z, -Z)의 값을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양손을 사용하지 않고, 단말을 쥐고 있는 한 손만을 사용하여도 입력이 가능한 편리함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제스처 입력을 시도함에 있어서, 사용자는 X축, Y축, Z축 중 하나의 방향으로 일정한 크기 이상의 인위적인 제스처를 취하는 방식이 아닌 자연스러운 제스처를 취하여도 사용자의 제스처 입력의 주방향을 올바르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제스처 입력을 통해 휴대용 전자장치의 일 예인 이동통신단말의 응용프로그램을 작동시키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응용프로그램은 위치기반의 주변 POI 정보를 수집하여, 소정의 추천 알고리즘을 통해 상위 20개의 POI 데이터를 이동통신 단말을 통해 제공하는 것으로, 응용프로그램의 UI 상에서 메뉴 카테고리는 상하 리스트 형태로 제공되어 상하이동을 통해 각 메뉴 카테고리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되고, 각 메뉴 카테고리를 선택하면, 각 메뉴 카테고리에 속한 POI 데이터 객체들이 좌우 리스트 형태로 제공되어 좌우이동을 통해 POI 데이터 객체들을 선택할 수 있게 제공된다.
본 실시에에 따르면, 사용자는 이동중에, 주방향이 상하방향(+X축 방향 혹은 -X축 방향)이 되는 자연스러운 움직임의 제스처 입력을 통해 메뉴 카테고리를 선택하고, 주방향이 좌우방향(-Y축 방향 혹은 +Y축 방향)이 되는 자연스러운 움직임의 제스처 입력을 통해 메뉴 카테고리 내의 데이터 객체를 선택하여 POI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휴대용 전자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전자장치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휴대용 전자장치에 가해진 복수의 방향들의 가속도를 주기적으로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
    상기 가속도 센서에 측정된 복수의 방향들의 가속도 값들을 비교하여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전자장치를 잡고 움직이는 제스처 입력의 주방향을 결정하는 제스처인식부; 및
    상기 결정된 제스처 입력의 주방향을 기초로 상기 휴대용 전자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방향들은 +X축 방향, -X축 방향, +Y축 방향, -Y축 방향, +Z축 방향 및 -Z축 방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스처인식부는 상기 가속도 센서에 측정된 복수의 방향들의 가속도 값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향의 가속도 값의 변화의 크기가 기정의된 시작기준값 이상이 되는 시점을 상기 제스처 입력의 시작 시점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스처인식부는 상기 시작 시점의 상기 휴대용 전자장치의 좌표를 상기 가속도 센서의 가속도 측정의 기준점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스처인식부는 상기 시작 시점 이후에, 상기 가속도 센서에 측정된 복수의 방향들의 가속도 값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향의 가속도 값의 변화의 크기가 기정의된 종료기준값 이하가 되는 시점을 상기 제스처 입력의 종료 시점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스처인식부는
    상기 시작 시점 및 상기 종료 시점 사이에서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수집된 복수의 방향들의 가속도 값들을 각 방향별로 합산하는 방향별합산부; 및
    상기 복수의 방향들 중에서 상기 합산된 값의 절대값이 가장 큰 방향을 제스처 입력의 주방향으로 결정하는 주방향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별합산부는
    상기 시작 시점 및 상기 종료 시점 사이에서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수집된 가속도 값들 중 기정의된 횟수의 초기값 및 말기값을 제외하고 합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장치.
  8. 복수의 방향들의 가속도를 주기적으로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를 내장한 휴대용 전자장치의 동작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속도 센서에 측정된 복수의 방향들의 가속도 값들을 비교하여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전자장치를 잡고 움직이는 제스처 입력의 주방향을 결정하는 제스처인식단계; 및
    상기 결정된 제스처 입력의 주방향을 기초로 상기 휴대용 전자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장치의 동작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방향들은 +X축 방향, -X축 방향, +Y축 방향, -Y축 방향, +Z축 방향 및 -Z축 방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장치의 동작제어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스처인식단계는 상기 가속도 센서에 측정된 복수의 방향들의 가속도 값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향의 가속도 값의 변화의 크기가 기정의된 시작기준값 이상이 되는 시점을 상기 제스처 입력의 시작 시점으로 인식하는 시작시점인식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장치의 동작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스처인식단계는 상기 시작 시점의 상기 휴대용 전자장치의 좌표를 상기 가속도 센서의 가속도 측정의 기준점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장치의 동작제어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스처인식단계는 상기 시작 시점 이후에, 상기 가속도 센서에 측정된 복수의 방향들의 가속도 값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향의 가속도 값의 변화의 크기가 기정의된 종료기준값 이하가 되는 시점을 상기 제스처 입력의 종료 시점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장치의 동작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스처인식단계는
    상기 시작 시점 및 상기 종료 시점 사이에서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수집된 복수의 방향들의 가속도 값들을 각 방향별로 합산하는 방향별합산단계; 및
    상기 복수의 방향들 중에서 상기 합산된 값의 절대값이 가장 큰 방향을 제스처 입력의 주방향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장치의 동작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별합산단계는
    상기 시작 시점 및 상기 종료 시점 사이에서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수집된 가속도 값들 중 기정의된 횟수의 초기값 및 말기값을 제외하고 합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장치의 동작제어방법.
KR1020100116220A 2010-11-22 2010-11-22 휴대용 전자장치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7481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6220A KR101748181B1 (ko) 2010-11-22 2010-11-22 휴대용 전자장치 및 그 동작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6220A KR101748181B1 (ko) 2010-11-22 2010-11-22 휴대용 전자장치 및 그 동작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4870A true KR20120054870A (ko) 2012-05-31
KR101748181B1 KR101748181B1 (ko) 2017-06-16

Family

ID=46270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6220A KR101748181B1 (ko) 2010-11-22 2010-11-22 휴대용 전자장치 및 그 동작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81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44427A (zh) * 2014-01-06 2014-04-23 山东大学 加速度传感手势操作系统及操作方法
EP3415079A1 (en) * 2017-06-13 2018-12-19 Koninklijke Philips N.V. An apparatus for receiving an input indicative of one or more symptoms of a subject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45176A (ja) * 2008-03-31 2009-10-22 Mitsubishi Electric Corp モーション認識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44427A (zh) * 2014-01-06 2014-04-23 山东大学 加速度传感手势操作系统及操作方法
EP3415079A1 (en) * 2017-06-13 2018-12-19 Koninklijke Philips N.V. An apparatus for receiving an input indicative of one or more symptoms of a subject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WO2018228938A1 (en) * 2017-06-13 2018-12-20 Koninklijke Philips N.V. An apparatus for receiving an input indicative of one or more symptoms of a subject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8181B1 (ko) 2017-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53484B2 (en) Performing an action associated with a motion based input
EP2871815B1 (en) Authentication control system, authentication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20170187865A1 (en) Terminal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and Terminal
KR101469312B1 (ko) 움직임 센서들을 사용하는 가상 버튼들의 생성
US9219804B2 (en) Automatic answering of a mobile phone
CN104049759A (zh) 触摸屏和行为感知联合的指令输入与防护方法
EP3276301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alculating a bending angle
CN106705989B (zh) 记步方法、设备及终端
KR20130009857A (ko) 적응적 사용자 인터페이스 경험을 위한 스마트한 방법 및 장치
US20170144042A1 (en) Mobile terminal, training management program and training management method
KR20160025687A (ko) 웨어러블 워치 및 그것의 디스플레이 방법
KR20170026391A (ko) 스마트 장치의 위치에 기초한 애플리케이션 전환
JP2017027098A (ja) 操作認識装置、操作認識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20054870A (ko) 휴대용 전자장치 및 그 동작 제어방법
JP5407263B2 (ja) 相対加速度検出装置、相対加速度の検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70098640A (ko) 인솔 및 이동 단말기
KR101211808B1 (ko) 동작인식장치 및 동작인식방법
JP6270557B2 (ja) 情報入出力装置及び情報入出力方法
JP2015095207A (ja) 携帯端末装置
KR20160047710A (ko) 사용자 동작 인식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동작 인식 장치
JP5712663B2 (ja) 電子装置、補正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4838672B (zh) 套管的形变图像确定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JP2013222322A (ja) 携帯情報端末、及びそのタッチパネルにおける表示方法
KR100985479B1 (ko)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각도 측정 장치 및 방법
JP2017150960A (ja) 携帯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