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3583A - 다중 안테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공간 다중화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다중 안테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공간 다중화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3583A
KR20120053583A KR1020100114766A KR20100114766A KR20120053583A KR 20120053583 A KR20120053583 A KR 20120053583A KR 1020100114766 A KR1020100114766 A KR 1020100114766A KR 20100114766 A KR20100114766 A KR 20100114766A KR 20120053583 A KR20120053583 A KR 201200535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s
channel information
channel
channel capacity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4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2499B1 (ko
Inventor
이용환
이건욱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114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2499B1/ko
Publication of KR20120053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35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2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24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9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patial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04L25/0224Channel estimation using sounding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안테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한된 채널 정보량과 채널 정보 양자화 오류가 존재하는 환경에서 공간 다중화(spatial multiplexing) 기법을 사용하여 다중 빔(multi-beam)을 발생하여 다수의 사용자에게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채널 환경에 따라 하향링크의 채널 용량(downlink channel capacity)을 최대화하는 공간 다중화 빔 수, 채널 정보를 궤환하는 사용자의 수, 채널 정보의 양자화 비트(bit)수와 같은 시스템 변수를 도출하는 과정과, 상/하향 링크 성능을 모두 고려한 유효 채널 용량(network channel capacity)이 최대가 되도록 상기 시스템 변수를 최종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최종 결정된 시스템 변수에 따라 사용자들을 선택(즉, 스케줄링)하고 다중 빔을 생성하여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모든 사용자가 채널 정보를 궤환하게 함으로써 야기되는 상향링크의 채널 정보 궤환량 증가로 망 전체의 유효 채널 용량이 저하되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완화하고, 공간 다중화 빔 수, 채널 정보를 궤환하는 평균 사용자의 수 및 채널 양자화 비트수를 운용 환경에 따라 적응적으로 결정함으로써 시스템의 유효 채널 용량 성능을 크게 향상 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다중 안테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공간 다중화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SPATIAL MULTIPLEXING TRANSMISSION IN MULTI-ANTENN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본 발명은 채널 정보가 제한된 환경에서 기지국이 다중 안테나 기법으로 다수의 사용자에게 신호를 동시에 전송하기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과 사용자 사이의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수의 송신 안테나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시스템에서는 공간 다중화(spatial multiplexing) 기법을 사용하여 다수의 신호를 동시에 전송함으로써 채널 용량(channel capacity)을 공간 다중화 빔(beam)수에 비례하여 증가시킬 수 있고, 사용자의 수신안테나 수에 무관하게 기지국의 송신 안테나 수만큼 사용자를 동시에 선택하여 서비스가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법을 위해서는 기지국에서 사용자에 대한 채널 정보를 필요로 한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주파수 분할 이중화(frequency division duplexing) 시스템과 같이 하향링크(downlink)와 상향링크(uplink)의 채널 환경이 다른 경우에는 기지국이 사용자들로부터 채널 정보를 얻을 수 있으나, 한정된 무선 자원 때문에 채널 정보는 작은 비트(bit) 크기로 불완전하게 양자화되어 송신단에 전달되는, 소위 제한된 채널 정보 궤환(limited feedback) 환경에서 송신빔을 생성하게 된다.
불완전한 채널 정보를 이용하여 다중 빔 생성할 때 가장 큰 문제는 채널 정보의 양자화 오류로 인하여 사용자간에 간섭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사용자간 간섭은 신호대잡음비(signal-to-noise power ratio; 이하 SNR)가 높아질수록 잡음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커지기 때문에 더욱 더 정확한 채널 정보가 요구되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의 기법은 SNR이 높아질수록 채널 양자화 비트 수를 증가시켜 양자화 오류를 감소시키거나, 채널 정보를 궤환하는 사용자 수를 늘려 스케줄링 이득을 증가시켜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고려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법들은 하향링크 성능 최대화만을 생각하여 상향링크를 통한 채널 정보 궤환량(overhead)을 고려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즉, 양자화 오류로 인한 성능 저하를 줄이기 위해서 채널 양자화 비트 수를 증가시키거나 스케줄링 이득을 얻기 위해 모든 사용자가 채널 정보를 궤환하는 경우, 상향링크를 통한 상기 채널 정보 궤환량이 매우 커져 전체 시스템의 성능이 오히려 저하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채널 정보가 불완전한 환경에서 송신 안테나 수만큼 최대로 공간 다중화를 할 경우에는 다중 신호간 상호간섭 영향이 커지게 되어, 채널 환경에 따라 공간 다중화 빔 수를 적절하게 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종래의 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한된 채널 정보 궤환 조건에서 운용 환경(일례로, 송신 안테나 수, 전체 사용자 수, 사용자들의 SNR 등)에 따라 공간 다중화 빔 수, 채널 정보를 궤환하는 사용자의 수, 채널 양자화 비트 수 등의 시스템 변수를 적응적으로 결정함으로써 전체 시스템 성능을 최대화할 수 있는 공간다중화 기법에 관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견지에 따르면, 채널 정보 궤환을 함에 있어채널 상태가 상대적으로 좋은(일례로 순시 SNR이 평균 SNR보다 일정 값 이상 큰) 사용자만 채널 정보를 궤환하도록 하여, 채널 상태가 좋지 않은 사용자들의 불필요한 채널 정보 궤환을 방지하여 상향링크의 채널 정보 궤환량을 감소시키고 형평성(fairness)를 보장받는 사용자의 채널 정보 궤환 방법 및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견지에 따르면, 시스템의 유효 채널 용량 성능을 최대화하기 위한 상기 시스템 변수를 결정함에 있어 채널 정보량에 따른 하향링크의 채널 용량(downlink channel capacity)을 최대화하는 시스템 변수를 도출하는 과정과, 상기 채널 정보량을 변화시키면서 상/하향 링크 성능을 모두 고려한 유효 채널 용량이 최대가 되는 상기 시스템 변수를 최종 결정하는 기지국의 방법 및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견지에 따르면, 상기 최종 결정된 시스템 변수에 따라 사용자를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사용자들에게 다중 빔을 생성하여 전송하는 기지국의 방법 및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중 입력 다중 출력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수의 사용자에게 공간 다중화를 통하여 동시에 신호를 전송함에 있어 채널 정보량과 양자화 오류에 따른 사용자간 상호간섭 영향을 분석하여 유효 채널 용량이 최대가 되는 최적의 공간 다중화 빔 수, 채널 정보를 궤환하는 평균 사용자의 수, 채널 정보를 양자화하는 비트 수 등의 시스템 변수를 결정하고 상기 시스템 변수에 따라 다중 빔을 생성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기지국과 사용자의 장치 및 방법으로 운용 환경에 따라 상기 시스템 변수들이 적응적으로 결정됨으로써 전체 시스템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도 1은 다수의 안테나를 구비한 기지국과 복수의 사용자가 존재하는 시스템 모델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을 위한 기지국의 환경에 따라 시스템 변수를 결정하는 장치에 대한 구성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을 위한 기지국의 공간 다중화 송신 장치에 대한 구성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을 위한 사용자의 채널 정보 궤환 장치에 대한 구성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이 환경에 따라 최적의 시스템 변수를 적응적으로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이 양자화된 채널 정보를 바탕으로 최적의 사용자를 스케줄링하고 다중 빔을 생성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가 채널 정보를 궤환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고려하는 시스템 모델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기지국(101) 및 복수의 사용자(103)을 포함한다. 기지국(101)은
Figure pat00001
개 송신 안테나(ANT)를 사용하여
Figure pat00002
개의 공간 다중화 빔을 발생하여 전체
Figure pat00003
명의 사용자(103) 중
Figure pat00004
명의 사용자를 선택하여 동시에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이 때 상기 기지국(101)은 공간 다중화 송신되는 신호간의 상호간섭을 없애기 위하여 Zero-Forcing (ZF) 빔포밍 송신 기법을 사용한다. 상기 사용자(103)는 상기 기지국(101)으로부터 전송된 이미 알고 있는 신호(일례로, 파일롯(pilot) 신호)를 이용하여 채널 정보를 추정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103)는 추정된 채널 정보를
Figure pat00005
비트로 양자화한 후 상향링크 채널을 통하여 기지국에 궤환한다. 본 발명은 궤환되는 채널 정보량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채널 상태가 좋지 않은 사용자들의 불필요한 정보 궤환을 방지하는 방식을 고려한다. 일례로 사용자
Figure pat00006
는 하기 [수 1] 또는 [수 2]의 조건을 만족할 때 채널 정보를 궤환 하게 된다.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8
여기서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10
는 각각 사용자
Figure pat00011
의 순시 SNR 및 평균 SNR을 나타내며
Figure pat00012
는 기준 임계값을 나타낸다. 이 경우 상기 [수 1] 또는 [수 2]에 따라 궤환하는 사용자의 수
Figure pat00013
는 각 사용자의 채널 페이딩(fading) 환경에 따라 매 순간 변할 수 있으므로 채널 정보 궤환량은 하기 [수 3]와 같이 평균값을 고려한다.
Figure pat00014
여기서
Figure pat00015
는 평균 채널 정보량을 나타내고,
Figure pat00016
는 상기 임계값
Figure pat00017
에 따른 평균 궤환 사용자의 수를 나타내며, 일례로 [수 1]의 방식으로 선택하는 경우에는 하기 [수 4]과 같이 결정할 수 있으며 [수 2]의 방식으로 선택하는 경우에는 하기 [수 5]와 같이 결정할 수 있다.
Figure pat00018
Figure pat00019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환경에 따라 시스템 변수
Figure pat00020
를 결정하는 장치에 대한 구성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기지국(200)은 하향링크 채널 용량 계산부(201)와 유효 채널 용량 계산부(203) 및 시스템 변수 결정부(205)를 포함한다. 먼저 하향링크 채널 용량 계산부(201)에서는 하기 [수 6]에 따라 평균 채널 정보량
Figure pat00021
에 대해서 가능한 모든
Figure pat00022
조합에 따른 하향링크 채널 용량을 계산한 후, 상기 하향링크 채널 용량이 최대가 되는
Figure pat00023
와 그에 따른 최대 하향링크 채널 용량
Figure pat00024
을 도출한다.
Figure pat00025
일례로 변수
Figure pat00026
에 따른 상기 하향링크 채널 용량은 하기 [수 7]와 같이 계산할 수 있다.
Figure pat00027
여기서
Figure pat00028
는 전체 사용자의 평균 SNR를 나타내며
Figure pat00029
Figure pat00030
명의 사용자 중 순시 채널 파워가
Figure pat00031
번째로 큰 사용자의 평균 SNR로 하기 [수 8]에 따라 계산할 수 있다.
Figure pat00032
여기서
Figure pat00033
는 하기 [수 9]에 따라 계산할 수 있다.
Figure pat00034
여기서
Figure pat00035
을 의미한다. 유효 채널 용량 계산부(203)는 상기 하향링크 채널 용량 계산부(201)에서 전달받은
Figure pat00036
를 이용하여 하기 [수 10]과 같이 유효 채널 용량
Figure pat00037
을 계산한다.
Figure pat00038
\여기서
Figure pat00039
는 단위 시간(sec) 및 주파수(Hz) 당 할당된 하향링크 자원 크기를 나타내며
Figure pat00040
는 상향링크의 채널 부호화율(code rate)을 나타내며
Figure pat00041
은 전송방식에 따른 상향링크의 송신 주파수 효율을 나타낸다. 일례로
Figure pat00042
비트 채널 정보를 1/12 채널 부호화율로 QPSK 변조하여 전송할 경우
Figure pat00043
,
Figure pat00044
가 된다. 시스템 변수 결정부(205)는
Figure pat00045
를 증가시키면서 하기 도 5와 같이 반복되는 과정을 통해 상기 유효 채널 용량 계산부(203)에서 계산된
Figure pat00046
를 최대로 하는 최적의 시스템 변수
Figure pat00047
를 결정한다.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공간 다중화 송신 장치에 대한 구성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기지국(300)은 수신부(301)와 사용자 스케줄링부(303)와 빔가중치 생성부(305) 및 신호 전송부(307)을 포함한다. 먼저 수신부(301)에서는 채널 정보를 궤환한 사용자 집합과 상기 사용자 집합으로부터 전달받은
Figure pat00048
비트로 양자화된 채널 정보를 사용자 스케줄링부(303) 및 빔가중치 생성부(305)에 전달한다. 이 경우 채널 정보 궤환 사용자 지수(index) 집합
Figure pat00049
는 하기 [수 11]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50
여기서
Figure pat00051
는 상기 [수 4] 또는 [수 5]에 따라 정해지는 최적 임계값
Figure pat00052
을 기준으로 채널 정보를 궤환하는 사용자의 수이다. 사용자 스케줄링부(303)는 상기 수신부(301)로부터 전달받은
Figure pat00053
명의 사용자의 채널 정보를 바탕으로 하기 [수 12]에 따라 사용자간 채널의 직교성(orthogonality)이 최대가 되는
Figure pat00054
명의 최적 사용자 집합
Figure pat00055
를 선택한다.
Figure pat00056
여기서
Figure pat00057
Figure pat00058
의 부분 집합으로 선택된 사용자 집합을 나타내고
Figure pat00059
은 행렬
Figure pat00060
의 대각합(trace)을 나타내고
Figure pat00061
는 선택된 사용자 집합
Figure pat00062
의 양자화 된 채널 정보로 하기 [수 13]과 같이 정의된다.
Figure pat00063
여기서
Figure pat00064
Figure pat00065
비트로 양자화된 사용자
Figure pat00066
의 채널 정보를 나타낸다. 빔가중치 생성부(305)는 상기 사용자 스케줄링부(303)로부터 전달받은 선택된 사용자 집합
Figure pat00067
와 상기 수신부(301)에서 전달받은 채널 정보를 바탕으로 공간 다중화 빔 가중치
Figure pat00068
를 생성하며, 일례로 zero-forcing기법을 사용하는 경우, 하기 [수 14]과 같이
Figure pat00069
를 생성할 수 있다.
Figure pat00070
신호 전송부(307)는 선택된 사용자
Figure pat00071
의 데이터를 상기 빔가중치 생성부(305)로부터 생성된 빔 가중치
Figure pat00072
로 공간 다중화하여 신호를 전송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의 채널 정보 궤환 장치에 대한 구성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400)은 수신부(401)와 채널 추정부(403)와 양자화부(405) 및 궤환부(407)를 포함한다. 수신부(401)는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파일롯 신호와 같이 서로가 알고 있는 신호를 채널 추정부(403)에 전달한다. 채널 추정부(403)은 상기 수신부(401)로부터 전달받은 신호를 이용하여 채널을 추정하고 순시 및 평균 SNR를 계산하여 상기 [수 1] 또는 [수 2]의 조건을 만족할 경우 상기 추정한 채널 정보를 양자화부(405)에 전달한다. 양자화부(405)는 상기 채널 추정부(403)로부터 전달받은 채널 정보를 하기 [수 15]에 따라 결정된 코드북의 지수
Figure pat00073
를 궤환부(407)에 전달한다.
Figure pat00074
여기서
Figure pat00075
는 사용자
Figure pat00076
의 채널을,
Figure pat00077
Figure pat00078
비트의 크기로 양자화된 코드북의
Figure pat00079
번째 행벡터를 나타낸다. 즉, 상기 [수 15]에 따라 사용자의 양자화된 채널은
Figure pat00080
로 나타낼 수 있다. 궤환부(407)는 상기 양자화부(405)에서 결정한 상기 코드북의 지수
Figure pat00081
를 상향 채널을 통해 기지국으로 궤환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이 환경에 따라 최적의 시스템 변수
Figure pat00082
를 적응적으로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기지국은 501단계에서 상기 [수 6]에 따라 평균 채널 정보량
Figure pat00083
에 대해서 가능한 모든
Figure pat00084
경우에 따른 하향링크의 채널 용량을 계산한 후 상기 하향링크 채널 용량이 최대가 되는
Figure pat00085
와 하향링크 채널 용량
Figure pat00086
을 도출한다. 이후 기지국은 503단계에서 상기 501단계에서 도출한
Figure pat00087
를 기반으로 상기 [수 10]과 같이 유효 채널 용량
Figure pat00088
을 계산한다. 이후 기지국은 505단계에서 상기 503단계에서 도출한 유효 채널 용량
Figure pat00089
를 기존의 유효 채널 용량
Figure pat00090
와 비교하여
Figure pat00091
인 경우 시스템 변수를
Figure pat00092
로 최종 결정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Figure pat00093
를 증가시킨 후 상기 501단계로 돌아가서 상기 과정을 반복한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이 양자화된 채널 정보를 바탕으로 최적의 사용자를 스케줄링하고 다중 빔을 생성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기지국은 601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궤환받은
Figure pat00094
개의 채널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수 12]과 같이 사용자간 채널의 직교성이 최대가 되는
Figure pat00095
명의 사용자 집합
Figure pat00096
를 결정한다. 이후 기지국은 603단계에서 상기 [수 14]와 같이 공간 다중화 빔 가중치
Figure pat00097
를 생성한다. 이후 기지국은 605단계에서
Figure pat00098
에 포함된 사용자들의 신호를 상기
Figure pat00099
로 변환한 후에 전송한다.
도 7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가 채널 정보를 궤환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사용자는 701단계에서 파일럿 신호와 같이 서로가 알고 있는 신호를 이용하여 채널을 추정한다. 이후 사용자는 703단계에서 상기 [수 1] 또는 [수 2]에 따라 채널 정보 궤환 여부를 판단한다. 채널 궤환을 할 경우에는 7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수 15]을 이용하여 채널 정보를 양자화하여 궤환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상기 701단계로 돌아가서 상기 과정을 반복한다.

Claims (7)

  1. 다중 안테나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정보를 이용하는 공간 다중화 기법을 사용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에 있어서,
    망의 유효 채널 용량이 최대가 되도록 시스템 변수를 결정하는 방법 및 결정기와,
    상기 결정기에서 정해진 시스템 변수에 따라 다중 송신빔을 생성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의 방법 및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망의 유효 채널 용량이 최대가 되도록 시스템 변수를 결정하는 방법 및 결정기는,
    Figure pat00100
    을 공간 다중화 빔 수,
    Figure pat00101
    를 채널 정보를 궤환하는 평균 사용자의 수, 그리고
    Figure pat00102
    를 채널 정보 양자화 비트 수,
    Figure pat00103
    를 상향 링크를 통해 궤환되는 평균 채널 정보량이라 할때,
    Figure pat00104
    를 시스템 변수로 정의하고,
    주어진 평균 채널 정보량
    Figure pat00105
    에 따라 하향링크의 채널 용량이 최대가 되는 상기 시스템 변수를 결정하고, 이에 따른 유효 채널 용량을 계산하는 과정과,
    평균 채널 정보량을 변화시키면서 유효 채널 용량이 최대가 되는 시스템 변수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및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주어진 평균 채널 정보량
    Figure pat00106
    에 따라 하향링크의 채널 용량이 최대가 되는 상기 시스템 변수를 결정하고, 이에 따른 유효 채널 용량을 계산하는 과정은,
    주어진 평균 채널 정보량
    Figure pat00107
    에서 사용 가능한 상기 시스템 변수의 모든 경우에 대하여 하향링크의 채널 용량을 계산하여, 이들 중 상기 하향링크의 채널 용량을 최대로 하는 시스템 변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시스템 변수에 따른 유효 채널 용량을 최대 유효 채널 용량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방법 및 장치. 일례로
    Figure pat00108
    를 만족하는 모든
    Figure pat00109
    값과
    Figure pat00110
    을 변화시키면서 이에 따른 하향링크의 채널 용량
    Figure pat00111
    를 하기 [수 16] (또는 이의 근사식)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으며,
    [수 16]
    Figure pat00112

    여기서
    Figure pat00113
    는 송신단의 안테나 수를,
    Figure pat00114
    는 사용자의 평균 SNR를 나타내며,
    Figure pat00115
    Figure pat00116
    명의 사용자 중 순시 SNR이
    Figure pat00117
    번째로 큰 사용자의 평균 SNR로 하기 [수 17]과 같이 계산할 수 있으며,
    [수 17]
    Figure pat00118

    여기서
    Figure pat00119
    는 하기 [수 18]과 같이 계산할 수 있으며,
    [수 18]
    Figure pat00120

    여기서
    Figure pat00121
    을 의미한다. 이에 따른 하향링크의 채널 용량을 최대가 되게 하는 시스템 변수
    Figure pat00122
    는 하기 [수 19]와 같이 정해지며,
    [수 19]
    Figure pat00123

    이에 따른 유효 채널 용량은 하기 [수 20]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수 20]

    여기서
    Figure pat00125
    는 단위 시간(sec) 및 주파수(Hz) 당 할당된 하향링크 자원 크기를 나타내며
    Figure pat00126
    는 상향링크의 채널 부호화율(code rate)을 나타내며
    Figure pat00127
    은 상향링크의 주파수 효율을 나타낸다.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평균 채널 정보량을 변화시키면서 유효 채널 용량이 최대가 되는 시스템 변수를 결정하는 과정과정은,
    평균 채널 정보량을 사용 가능한 최소 값으로부터 증가시키면서 상기 청구항 3에 따라 유효 채널 용량을 산출하고, 상기 유효 채널 용량을 최대가 되게 하는 평균 채널 정보량, 즉 상기 시스템 변수를 최적의 변수로 결정하는 과정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및 장치. 일례로 상기 도 5와 같이 평균 정보량
    Figure pat00128
    에서 얻을 수 있는 유효 채널 용량
    Figure pat00129
    Figure pat00130
    보다 적은 채널 정보량
    Figure pat00131
    을 사용하여 얻을 수 있는 유효 채널 용량
    Figure pat00132
    (초기값은 0)과 비교하여,
    Figure pat00133
    인 경우 시스템 변수를
    Figure pat00134
    로 최종 결정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Figure pat00135
    를 증가시킨 후 상기 시스템 변수가 결정될 때까지 상기 과정을 반복한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기에서 정해진 시스템 변수에 따라 다중 송신빔을 생성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방법 및 전송기는,
    상기 정해진 시스템 변수 값
    Figure pat00136
    에 따라
    Figure pat00137
    명의 사용자로부터만 채널 정보를 궤환 받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Figure pat00138
    명의 사용자로부터 전달된
    Figure pat00139
    비트의 채널 정보로부터
    Figure pat00140
    명의 사용자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Figure pat00141
    명의 사용자들에 대한 공간 다중화 빔을 생성하여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및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정해진 시스템 변수 값
    Figure pat00142
    에 값에 따라
    Figure pat00143
    명의 사용자로부터만 채널 정보를 궤환 받는 과정은,
    다수의 사용자 중 다중 사용자 선택 방식(또는 스케쥴링 조건)을 최대로 만족시키는
    Figure pat00144
    명의 사용자만
    Figure pat00145
    비트 크기로 채널 정보를 양자화한 후 이를 궤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채널 정보 궤환 방법 및 장치. 일례로 순시 SNR이 가장 큰
    Figure pat00146
    명의 사용자를 선택하거나, 평균 SNR이 가장 큰
    Figure pat00147
    명의 사용자를 선택하거나, 또는 순시 SNR이 하기 [수 21] 또는 [수 22]을 만족하는 사용자 중 주어진 사용자 선택방식(일례로 채널 용량 또는 fairness를 최대로 만족시키는 사용자 선택 방식)에 따라
    Figure pat00148
    명의 사용자를 선택하거나 사용자 스스로 결정하게 하여, 이들
    Figure pat00149
    명의 사용자가 각각
    Figure pat00150
    비트 크기로 채널 정보를 양자화하여 기지국으로 궤환하게 할 수 있다.
    [수 21]
    Figure pat00151

    [수 22]
    Figure pat00152

    여기서
    Figure pat00153
    는 사용자
    Figure pat00154
    의 순시 SNR을 나타내고
    Figure pat00155
    는 사용자
    Figure pat00156
    의 평균 SNR을 나타내며
    Figure pat00157
    는 결정에 필요한 상수 임계값으로, 일례로 상기 [수 21]에 따라 사용자를 정하는 경우, 하기 [수 23]와 같이 정할 수 있으며 상기 [수 22]에 따라 사용자를 정하는 경우는 하기 [수 24]과 같이 정할 수 있다.
    [수 23]
    Figure pat00158

    [수 24]
    Figure pat00159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Figure pat00160
    명의 사용자로부터 전달된
    Figure pat00161
    비트의 채널 정보로부터
    Figure pat00162
    명의 사용자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Figure pat00163
    명의 사용자들에 대한 공간 다중화 빔을 생성하여 전송하는 과정은,
    상기 청구항 4에서 결정된
    Figure pat00164
    명이 궤환한
    Figure pat00165
    비트 채널 정보를 이용하여 하기 [수 25]와 같이 채널의 직교성이 최대가 되는
    Figure pat00166
    명의 사용자 집합
    Figure pat00167
    를 선택하는 과정과,
    [수 25]
    Figure pat00168

    여기서
    Figure pat00169
    는 상기 청구항 4에서 결정된 채널 정보를 궤환한
    Figure pat00170
    사용자 집합
    Figure pat00171
    의 부분 집합으로 선정한
    Figure pat00172
    명의 사용자 집합을 나타내며,
    Figure pat00173
    은 행렬
    Figure pat00174
    의 대각합(trace)을,
    Figure pat00175
    는 선정된 사용자 집합
    Figure pat00176
    의 양자화 된 채널을 나타내며 하기 [수 26]과 같이 정의된다.
    [수 26]
    Figure pat00177

    상기 선택된
    Figure pat00178
    명의 사용자간에 발생하는 간섭을 고려하여 다중 빔 가중치를 생성하고, 상기 빔 가중치를 이용하여 다중 빔을 생성,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및 장치. 일례로 ZF 빔포밍 송신기를 사용하는 경우, 다중 빔 가중치
    Figure pat00179
    는 하기 [수 27]에 따라 구할 수 있다.

    [수 27]
    Figure pat00180

    여기서
    Figure pat00181
    는 사용자
    Figure pat00182
    의 양자화된 채널 정보를 나타낸다.
KR1020100114766A 2010-11-18 2010-11-18 다중 안테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공간 다중화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1202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4766A KR101202499B1 (ko) 2010-11-18 2010-11-18 다중 안테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공간 다중화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4766A KR101202499B1 (ko) 2010-11-18 2010-11-18 다중 안테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공간 다중화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3583A true KR20120053583A (ko) 2012-05-29
KR101202499B1 KR101202499B1 (ko) 2012-11-20

Family

ID=46269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4766A KR101202499B1 (ko) 2010-11-18 2010-11-18 다중 안테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공간 다중화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24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5993A (ko) * 2014-05-26 2015-12-04 한국과학기술원 가변적인 안테나 선택 및 공간 다중화를 수행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장치,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데이터를 수신하는 장치, 및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5993A (ko) * 2014-05-26 2015-12-04 한국과학기술원 가변적인 안테나 선택 및 공간 다중화를 수행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장치,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데이터를 수신하는 장치, 및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2499B1 (ko) 2012-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73137B2 (ja) データ伝送レートのランクアダプティブな適合化を有するmimo信号処理方法
CA2567718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packet data using multiple antenna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507088B1 (ko) 다중 입출력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빔 성형 및 공간분할 다중 접속 장치 및 방법
KR101124932B1 (ko) 어레이 안테나를 이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1084831B1 (ko) Mimo 기반 통신 시스템에서의 방법 및 장치
Choi et al. Opportunistic space-division multiple access with beam selection
KR100938088B1 (ko) 무선 패킷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서의 피드백 정보 송수신방법 및 장치
KR101373808B1 (ko) 다중안테나 시스템에서 빔포밍을 고려한 채널품질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975730B1 (ko) 다중입출력시스템을 위한 랜덤 빔포밍 방법
JP5809130B2 (ja) Mimo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通信するための方法
WO2013002698A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hannel quality reporting modes used by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ers
US20110164510A1 (en)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ng a user group using quantized channel state information feedbacks from mimo capable mobile devices
CN101675601B (zh) 一种用于在多输入多输出环境中通信的方法
KR101698568B1 (ko) 프리코딩을 이용하는 다중―이용자 네트워크에서 통신하기 위한 방법 및 그의 디바이스
KR10096811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사운딩 신호 전송 장치 및 방법
WO2008046845A2 (en) Downlink scheduling method for mimo/miso cellular systems with limited feedback signalling
KR101160424B1 (ko) 다중안테나 무선 시스템에서 협력 전송 방법 및 장치
CN101472298A (zh) 时分双工多入多出下行发射系统的用户调度方法和装置
US2013001668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User MIMO
JP2013509026A (ja) Mimo−ofdmaシステムのための適応ビーム形成及び空間周波数ブロック符号化送信方式
JPWO2009107635A1 (ja) 無線通信システム、送信装置および通信制御方法
JP5134077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送信装置および通信制御方法
KR101202499B1 (ko) 다중 안테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공간 다중화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US20120057555A1 (en) Method, system, base station and mobile terminal device for collaborative communication
KR101379208B1 (ko) 다중안테나 시스템에서 스케줄링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