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3393A - A marine buoy - Google Patents
A marine buo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53393A KR20120053393A KR1020100114637A KR20100114637A KR20120053393A KR 20120053393 A KR20120053393 A KR 20120053393A KR 1020100114637 A KR1020100114637 A KR 1020100114637A KR 20100114637 A KR20100114637 A KR 20100114637A KR 20120053393 A KR20120053393 A KR 2012005339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oy
- mooring
- water
- marine
- mooring rop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02—Buoys specially adapted for mooring a vesse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02—Buoys specially adapted for mooring a vessel
- B63B22/021—Buoys specially adapted for mooring a vessel and for transferring fluids, e.g. liquids
- B63B22/025—Buoys specially adapted for mooring a vessel and for transferring fluids, e.g. liquids and comprising a restoring force in the mooring connection provided by means of weight, float or spr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04—Fixations or other anchoring arrang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18—Buoys having means to control attitude or position, e.g. reaction surfaces or teth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18—Buoys having means to control attitude or position, e.g. reaction surfaces or tether
- B63B22/20—Ballast mea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Revetment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해양, 호수, 하천 등에 사용되는 부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면 아래로 잠기는 미통에 형성된 방향타에 의해 물의 흐름을 부표의 좌우측으로 일정하게 배분하여 부표의 흔들림과 회전을 최소화할 수 있고, 부표의 연직저항력을 감소시켜 파랑과 같은 순간적인 해수면 변화에 부표가 물속으로 쉽게 들어가게 하여 계류고리나 계류로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하단부에 중추를 부착하여 부표의 무게중심이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하여 복원력을 증대시킬 수 있고, 물의 흐름에 따라 계류로프 상을 이동하면서 계류로프를 물 위로 부유시키는 보조부유장치를 이용하여 물의 흐름 반대방향의 느슨해진 계류로프가 부표나 통신케이블에 감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계류로프와 계류고리의 결합부위가 보조부유장치의 양단에 위치하는 연결고리 사이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보조부유장치가 지지봉의 길이만큼의 범위내에서만 물의 흐름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제한하여 계류로프의 감김방지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해양부표에 관한 것입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oy used in oceans, lakes, rivers, etc. More specifically, the flow of water is uniformly distribut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uoy by the rudder formed in the back pain submerged below the surface of the buoy to minimize the shaking and rotation of the buoy. It reduces the vertical resistance of the buoys so that buoys can easily enter the water due to instantaneous sea level changes such as blue to prevent breakage of mooring rings or mooring ropes.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resilience by positioning, and to loosen the mooring rope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water to the buoy or communication cable by using the auxiliary floating device that floats the mooring rope on the water while moving on the mooring rope according to the water flow. The mooring rope and the mooring ring at both ends of the auxiliary floating device. PL is for the Affairs that to maximize the protection of the mooring rope and limited so that the auxiliary floating device by arranged between link can move along the water flow only to the extent of the length of the support bar by winding effect table.
해양이나 호수, 하천 등에서는 수면상의 특정 위치를 표시하기 위해 물 위에 떠오르는 부표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부표는 통상 부력에 의해 물 위에 뜰 수 있도록 물의 비중보다 가볍고, 오뚜기처럼 외력에 대해 항상 똑바로 일어서는 복원력을 키울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되어 오고 있습니다. Oceans, lakes, and rivers use buoys that float on the water to mark specific locations on the surface of the water. These buoys are usually lighter than the specific gravity of the water so that they can float on the water by buoyancy, and always stand upright against external forces like Ottogi. It has been used to form resilience.
그러나,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부표는 물의 흐름에 따라 많은 회전을 할 수밖에 없으므로 특히, 부표가 해저에 설치된 관측기구와 통신케이블 등에 의해 연결된 경우 부표의 회전에 의해 통신케이블 등이 부표에 감겨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됩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buoys generally used have a lot of rotations according to the flow of water, and in particular, when the buoy is connected to an observation apparatus installed on the sea floor by a communication cable, etc., the communication cable is wound around the buoy and damaged. Will cause problems.
또한, 부표가 물 위에서 특정 위치를 표시하기 위해서는 부표를 일정 범위 내로 고정시키는 계류로프 등이 사용되나, 상기 계류로프 역시 물의 흐름에 따라 부표나 통신케이블에 감기게 되어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됩니다. In addition, the mooring rope is used to fix the buoy to a certain range in order to mark the specific position on the water, but the mooring rope is also wound due to the buoy or communication cable due to the flow of water.
또한, 종래의 부표는 하부 단면이 평평하게 형성되어 파랑 등에 의한 순간적인 해수면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연직저항력이 증대되어 물 속으로 쉽게 들어가지 않고 부력에 연직저항력이 더해져 순간적으로 계류로프에 큰 장력이 전달되어 계류로프 또는 계류고리가 파손 또는 마모되거나 심지어는 해저에 고정된 침추까지 파손되는 문제를 야기하게 됩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buoy, when the lower cross section is formed flat and instantaneous sea level change occurs due to the wave, the vertical resistance is increased so that the vertical resistance is added to the buoyancy and the tension is momentarily increased due to the buoyancy. This can cause the mooring ropes or mooring rings to break or wear out, or even to anchoring anchors on the sea floo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의 목적은 수면 아래로 잠기는 미통에 형성된 방향타에 의해 물의 흐름을 부표의 좌우측으로 일정하게 배분하여 부표의 흔들림과 회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해양부표를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rine buoy that can minimize the shaking and rotation of the buoy by constantly distributing the flow of water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uoy by the rudder formed in the back pain submerged below the water surfa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향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 개의 계류공을 포함하여, 계류고리의 부착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부표의 균형을 유지시킬 수 있는 해양부표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rine buoy that can maintain the balance of the buoy by including a plurality of mooring hole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udder to adjust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mooring ring.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부표의 연직저항력을 감소시켜 파랑과 같은 순간적인 해수면 변화에 부표가 물속으로 쉽게 들어가게 하여 계류고리나 계류로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해양부표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arine buoy that can reduce the vertical resistance of the buoy so that the buoy can easily enter the water due to instantaneous sea level change such as blue to prevent the breakage of mooring rings or mooring rope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미통의 하단부에 중추를 부착하여, 부표의 무게중심이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하여 복원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해양부표를 제공하는 것이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rine buoy that attaches a central portion to the lower end of the back barrel,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buoy can be positioned downward to increase the resilienc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표체 외주면에 역반사재를 포함하여, 야간에 조명불빛에 의해 부표의 위치를 용이하게 탐지할 수 있는 해양부표를 제공하는 것이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rine buoy including a retroreflective material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so that the position of the buoy can be easily detected by illumination light at nigh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물의 흐름에 따라 계류로프 상을 이동하면서 계류로프를 물 위로 부유시키는 보조부유장치를 이용하여, 물의 흐름 반대방향의 느슨해진 계류로프가 부표나 통신케이블에 감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해양부표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event the loosening of mooring ropes opposite to the flow of water on the buoy or communication cable by using an auxiliary floating device which floats the mooring ropes over the water while moving on the mooring ropes as the water flows. It is to provide a maritime buoy.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계류로프와 계류고리의 결합부위가 보조부유장치의 양단에 위치하는 연결고리 사이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보조부유장치가 지지봉의 길이만큼의 범위내에서만 물의 흐름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제한하여 계류로프의 감김방지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해양부표를 제공하는 것이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the coupling part of the mooring rope and the mooring ring to be located between the connecting rings located at both ends of the auxiliary floating device, so that the auxiliary floating device can move along the flow of water only within the range of the length of the supporting rod. It is to provide marine buoys that can be limited to maximize the anti-winding effect of mooring ropes.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해양부표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Marine buoy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ollowing configur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부표는 두표를 포함하며 수면 위로 표출되는 표체; 수면과 접하는 부체; 수면 아래로 잠기는 미통;을 포함하며, 상기 미통의 일측면에는 판형태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방향타를 포함하여, 상기 방향타에 의해 물의 흐름을 부표의 좌우측으로 일정하게 배분하여 부표의 흔들림과 회전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 ocean buo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wo bodies and the surface is expressed on the surface of the water; Floating body in contact with water; It includes; a back pain submerged down the water surface, including a rudder protruding in the form of a plate on one side of the back pain, uniformly distributes the flow of water by the rudder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uoy to minimize shaking and rotation of the buoy Characterized in tha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해양부표는 상기 방향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계류공을 포함하여, 계류고리의 부착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부표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rine bu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oring hole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udder, to maintain the balance of the buoy by adjusting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mooring ring It is characterized by.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해양부표는 상기 부체와 미통의 연결부위를 부체에서 미통으로 축경되면서 경사지게 형성되는 원뿔대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미통의 말단을 원뿔형상으로 형성하여, 부표의 연직저항력을 감소시켜 파랑과 같은 순간적인 해수면 변화에 부표가 물속으로 쉽게 들어가게 하여 계류고리나 계류로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rine bu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truncated conical shape which is inclined while reducing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floating body and the thong from the thong to the thong, by forming the end of the thong in a cone shape In addition, the vertical resistance of the buoys is reduced so that buoys easily enter the water due to instantaneous sea level change such as blue, so that the mooring ring or the mooring rop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해양부표는 상기 미통의 하단부에 중추를 부착하여, 부표의 무게중심이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하여 복원력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rine bu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by attaching a central portion to the lower end of the barrel,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buoy is located below to increase the restoring forc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해양부표는 상기 표체 외주면에 역반사재를 포함하여, 야간에 조명불빛에 의해 부표의 위치를 용이하게 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rine bu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retroreflective material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it is easy to detect the position of the buoy by the illumination light at nigh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해양부표는 해저에 설치되는 관측기기와 통신케이블로 연결되며, 해저에 고정된 침추에 양단이 고정되며, 해양부표의 계류고리에 연결되어 해양부표를 일정 범위 내에서 계류,고정시키는 계류로프와; 상기 계류로프에 연결되어 물의 흐름에 따라 계류로프 상을 이동하면서, 물의 흐름 반대방향의 느슨해진 계류로프가 부표에 감기는 것을 방지하는 보조부유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rine bu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observation device installed on the seabed and the communication cable, both ends are fixed to the invasion fixed to the seabed, connected to the mooring ring of the marine buoy marine buoy And mooring rope to moor, fixed within a certain range; And an auxiliary floating device connected to the mooring rope and moving on the mooring rope according to the flow of water, to prevent the loose mooring rope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water from being wound on the buoy.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해양부표에 있어서 상기 보조부유장치는 일정 길이를 갖는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양단에서 계류로프가 통과,연결되도록 하는 연결고리와, 상기 지지봉에 연결되어 보조부유장치가 수면위로 부상할 수 있도록 부력을 제공하는 부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arine bu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uxiliary floating device has a support rod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 connecting ring for passing and connecting the mooring ropes at both ends of the support rod, and the support ro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loat that is connected to provide a buoyancy so that the auxiliary floating device can rise above the water surfac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해양부표에 있어서 상기 보조부유장치는 계류로프와 계류고리의 결합부위가 상기 지지봉의 양단에 위치하는 연결고리 사이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보조부유장치가 지지봉의 길이만큼의 범위내에서만 물의 흐름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제한하여 계류로프의 감김방지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arine bu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uxiliary floating device is such that the coupling portion of the mooring rope and the mooring ring is located between the connecting rings located at both ends of the supporting ro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winding of the mooring rope by limiting the movement along the flow of water only within the range of the length of the support rod.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obtain the following effects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onstitution described below, the combination, and the use relationship.
본 발명은 수면 아래로 잠기는 미통에 형성된 방향타에 의해 물의 흐름을 부표의 좌우측으로 일정하게 배분하여 부표의 흔들림과 회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minimizing the shaking and rotation of the buoy by constantly distributing the flow of water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uoy by the rudder formed in the back pain submerged under the water surface.
본 발명은 방향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 개의 계류공을 포함하여, 계류고리의 부착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부표의 균형을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mooring hole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udder, so that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mooring ring can be adjusted to maintain the balance of the buoy.
본 발명은 부표의 연직저항력을 감소시켜 파랑과 같은 순간적인 해수면 변화에 부표가 물속으로 쉽게 들어가게 하여 계류고리나 계류로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vertical resistance of the buoys to easily enter the buoys into the water in the instantaneous sea level change, such as blue to prevent the breakage of mooring rings or mooring ropes.
본 발명은 미통의 하단부에 중추를 부착하여, 부표의 무게중심이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하여 복원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back pain,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buoy has an effect that can increase the restoring force to be located below.
본 발명은 표체 외주면에 역반사재를 포함하여, 야간에 조명불빛에 의해 부표의 위치를 용이하게 탐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retroreflective material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has an effect that can easily detect the position of the buoy by the illumination light at night.
본 발명은 물의 흐름에 따라 계류로프 상을 이동하면서 계류로프를 물 위로 부유시키는 보조부유장치를 이용하여, 물의 흐름 반대방향의 느슨해진 계류로프가 부표나 통신케이블에 감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The present invention uses an auxiliary floating device that floats the mooring rope over the water while moving on the mooring rope according to the flow of water, thereby preventing the loosened mooring rope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water from being wound on the buoy or the communication cable. Has
본 발명은 계류로프와 계류고리의 결합부위가 보조부유장치의 양단에 위치하는 연결고리 사이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보조부유장치가 지지봉의 길이만큼의 범위내에서만 물의 흐름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제한하여 계류로프의 감김방지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oring rope and the mooring ring are positioned between the linking rings located at both ends of the auxiliary floating device, thereby limiting the auxiliary floating device to move along the water flow within the range of the length of the supporting rod. Has the effect of maximizing the anti-wound effect of the rop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부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부표의 좌우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부표의 설치상태도
도 4는 도 1의 해양부표에서 방향타의 기능을 도시한 참고도
도 5는 도 1의 해양부표에서 계류공과 계류고리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참고도
도 6은 도 1의 해양부표에서 연직저항력을 감소시키는 미통의 형상을 도시한 참고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양부표에 사용되는 보조부유장치의 사시도
도 8은 물의 일방향 흐름에 따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양부표의 상태도
도 9는 물의 타방향 흐름에 따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양부표의 상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cean buo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left and right side view of an ocean buo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marine buo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the function of the rudder in the marine buoy of FIG.
5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mooring hole and the mooring ring in the marine buoy of FIG.
6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the shape of the back pain to reduce the vertical resistance force in the marine buoy of FIG.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uxiliary floating device used for the marine buo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tate diagram of the marine buo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one-way flow of water
9 is a state diagram of the marine buo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flow of water in the other direc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해양부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marine bu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부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부표의 좌우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부표의 설치상태도이고, 도 4는 도 1의 해양부표에서 방향타의 기능을 도시한 참고도이고, 도 5는 도 1의 해양부표에서 계류공과 계류고리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참고도이고, 도 6은 도 1의 해양부표에서 연직저항력을 감소시키는 미통의 형상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rine buo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left and right side view of the marine buo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installation state diagram of the marine buo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the function of the rudder in the marine buoy of Figure 1, Figure 5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mooring hole and the mooring ring in the marine buoy of Figure 1, Figure 6 is a marine buoy of Figure 1 It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the shape of the back pain reducing the vertical resistivity in.
도 1 내지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부표는 두표(110)를 포함하며 수면 위로 표출되는 표체(10); 수면과 접하는 부체(20); 수면 아래로 잠기는 미통(30);을 포함할 수 있다.
1 to 6, an ocean buo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able 10 and a
상기 표체(10)는 부표에서 수면 위로 노출되는 부분을 통칭하는 것으로, 상단에는 좌현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우현은 원추형으로 형성된 두표(110)가 형성되고, 상기 두표(110)의 상측으로는 부표의 존재여부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조명장치(120)가 포함되며, 상기 표체(10)의 내부에는 레이더반사기(130)가 내장되며 외부에는 선박 등의 야간조명 불빛에 의해 부표의 위치가 탐지될 수 있도록 역반사재(140)가 부착되며, 상기 표체(10)의 일측에는 부표의 인양작업을 위한 인양고리(150)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표체(10)의 재질은 본 발명에 따른 해양부표 전체의 재질과 동일하게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High Density Polyethylene)으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발포성수지가 충진되게 된다. 특히, 수면 위로 노출되는 상기 표체(10)의 특성상 상기 표체(10) 부위에는 탈색방지를 위한 별도로 UV보호재가 혼합되어 도포될 수 있다. The
상기 두표(110)는 상기 표체(10)의 상단을 형성하는 부분으로, 도 2의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현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도 2의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현은 원추형(보다 구체적으로는 운뿔대형)으로 형성되게 된다. The double table 110 is a portion forming the upper end of the
상기 조명장치(120)는 상기 두표(110)의 상측에 부표의 존재여부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해 설치되는 구성으로, 외부 선박 등에서 인지할 수 있도록 불빛을 발생시키는 것인 한 특별히 조명장치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LED조명장치가 활용될 수 있다. The
상기 레이더반사기(130)는 상기 표체(10)의 내부에 부착되어 360도 방향에서 레이더에 탐지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레이저 탐지율을 높일 수 있도록 알루미늄 내지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되는 리플렉터(reflector) 다수 개를 연속적으로 내주면의 둘레를 따라 클러스터(cluster)형식으로 부착하여 형성할 수 있다. The
상기 역반사재(140)는 선박 등의 야간조명 불빛에 의해 부표의 위치가 탐지될 수 있도록 상기 표체(10)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구성으로, 조명 불빛에 의한 반사율이 높은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외주면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부착,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retro-
상기 인양고리(150)는 본 발명에 따른 해양부표의 설치 및 수거시 인양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표체(10)의 외주면상에 부착되는 구성으로, 설치 및 수거과정에서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통상 7톤 이상의 인장강도에도 견딜 수 있는 아연 도금된 탄소강으로 제작하여 강도유지 및 부식방지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인양고리(150-1)는 상기 두표(110)의 외주면상에 부착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필요에 따라 상기 표체(10)와 부체(20)의 경계부위에도 인양고리(150-2)가 추가로 부착될 수 있다.
The
상기 부체(20)는 부표에서 수면과 접하게 되는 부위를 통칭하는 것으로, 도 1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체(20)는 부력과 균형(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표체(10)나 후술할 미통(30)의 직경보다는 확경된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부체(20)의 재질 역시 본 발명에 따른 해양부표 전체의 재질과 동일하게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High Density Polyethylene)으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발포성수지가 충진되어 선박 등과의 충돌에 의해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의 일부가 파손되는 경우에도 부표가 침수되지 않고 부유할 수 있도록 한다.
The floating
상기 미통(30)은 부표에서 수면 아래로 잠기게 되는 부분을 통칭하는 것으로,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미통(30) 부분의 전체적인 형상이 부체(20)와 미통(30)의 연결부위에서는 직경이 큰 부체(20)에서 직경이 작은 미통(30)으로 축경되면서 경사지게 형성되는 원뿔대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미통(30)의 말단부위에서는 원뿔형상으로 형성되어, 부표의 연직저항력을 감소시켜 파랑과 같은 순간적인 해수면 변화에 부표가 물속으로 쉽게 들어가게 하여 후술할 계류고리(320)나 계류로프(5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앞서 종래기술의 문제점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종래의 부표는 일반적으로 부표의 하부 단면이 평평하게 형성되어, 파랑 등에 의한 순간적인 해수면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부표의 하부에서 수면 아래를 향해 연직방향으로 발생하는 연직저항력이 증대되므로, 순간적으로 해수면이 높아지더라도 그에 따라 부표가 물 속으로 쉽게 들어가지 못하고 기존 부력에 연직저항력이 더해져 순간적으로 해저를 기준으로 부표의 레벨이 높아지게 되어 부표를 고정하고 있는 후술할 계류로프(50) 및 상기 계류로프(50)가 고정결합된 계류고리(320)에 큰 장력이 전달되어 계류로프(50) 또는 계류고리(320)가 파손 또는 마모되거나 심지어는 해저에 고정된 침추(60)까지 파손되는 문제를 야기하게 되는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미통(30)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체(20)와 미통(30)의 연결부위에서는 직경이 큰 부체(20)에서 직경이 작은 미통(30)으로 축경되면서 경사지게 형성되는 원뿔대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미통(30)의 말단부위에서는 원뿔형상으로 형성되어, 파랑 등에 의해 순간적으로 상승하는 해수면의 흐름이 미통(30) 하단부에 간섭되지 않고 원활하게 상향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하여 미통(30) 하부에서 상승하는 해수면의 흐름에 맞서 연직방향으로 발생하는 연직저항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순간적인 해수면 변화에도 부표가 물속으로 쉽게 들어가게 되어 해저를 기준으로 부표의 레벨이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종래와 같은 계류로프(50)나 계류고리(320) 또는 침추(60)의 파손 또는 마모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게 된다. The
상기 미통(30)의 일측면에는 판형태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방향타(310)와, 상기 방향타(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계류공(311)에 결합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계류고리(320)와, 부표의 무게중심이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미통(30)의 하단부에 부착되는 중추(330)를 포함할 수 있다. Mooring that can adjust the engaging position to the
상기 방향타(310)는 상기 미통(30)의 일측면에서 판형태로 연직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부분으로, 물의 흐름을 부표의 좌우측으로 일정하게 배분하여 부표의 회전이나 흔들림을 최소화하게 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면 아래에 위치하는 상기 미통(30)의 일측면에 상기 방향타(310)가 형성됨으로 인해, 상기 방향타(310)가 물의 흐름방향으로 위치하면서 물의 흐름을 부표의 좌우측방향으로 균등하게 배분할 수 있게 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부표는 종래와 달리 무수히 회전하거나 흔들리지 않게 되고 그에 따라 후수할 계류고리(320)에 연결되는 계류로프(50) 등이 꼬이거나 감기게 되는 것 역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The
상기 방향타(310)의 길이방향으로는 도 5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계류공(311)이 다수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계류공(311)에 결합되는 후술할 계류고리(32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부표가 급격한 물의 흐름에도 불구하고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부표를 일정 위치에 고정시키는 계류로프(50)가 부표에 결합되는 지점 즉, 계류고리(320)의 위치가 중요한데, 아래 식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유속에 대한 외력 즉, 저항력은 물의 흐름에 접하는 단면적에 비례하므로,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a = 1/2 * ρa * Cp * Aa * Va 2 F a = 1/2 * ρ a * C p * A a * V a 2
(Fa : 구조물에 작용하는 외력(유속), ρa(밀도) : 해수의 밀도 내지 공기의 밀도, Cp(항력계수) : 부재의 형상에 따라 0.5~2.0(일반적으로 1.0 적용), Aa(투영면적) : 외력을 받는 부재의 투영면적(㎡), Va(속도) : 외력을 받는 부재에 대한 상대속도(m/s))(F a : external force acting on the structure (velocity), ρ a (density): seawater density to air density, C p (drag coefficient): 0.5 ~ 2.0 (generally 1.0 applied,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member), A a (projection area): projected area of the externally loaded member (㎡), V a (velocity): relative speed with respect to the externally loaded member (m / s))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류로프(50)가 부표에 결합되는 지점 즉, 계류고리(320)의 위치를 중심으로 계류고리(320) 상측의 단면적(A1)과 하측의 단면적(A2)이 같을 때 부표는 유속에도 불구하고 균형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계류고리(320) 상측의 단면적(A1)이 하측의 단면적(A2)보다 클 경우에는 유속에 의해 부표는 B1방향으로 기울게 되고, 반대로 계류고리(320) 하측의 단면적(A2)이 상측의 단면적(A1)보다 클 경우에는 유속에 의해 부표는 B2방향으로 기울게 되므로, 계류고리(320)의 위치는 상하 단면적이 같아지는 지점(A1=A2)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방향타(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되어 있는 계류공(311)을 이용하여 필요에 따라 계류고리(320)의 결합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As shown in FIG. 5, the cross-sectional area A1 of the upper part of the
상기 계류고리(320)는 상기 방향타(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상기 계류공(311)에 결합되어 부표를 고정시키는 계류로프(50)가 결합,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도 5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계류고리(320)의 일측에는 상기 계류공(311)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응하게 형성되는 통공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계류로프(50)가 결합,고정될 수 있도록 역시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The
상기 중추(330)는 부표의 무게중심이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미통(30)의 하단부에 부착되는 구성으로, 이를 위해 상기 중추(330)는 수㎏ 내지 수십㎏ 무게의 금속부재가 활용될 수 있다. 해수면 위에 부유하게 되는 부표의 특성상 파랑이나 물결에 의해 순간적인 해수면의 변동이 생기더라도 그에 따른 동요를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부표의 무게중심이 최대한 부표의 하단부 즉, 미통(30)의 하단부에 있도록 하는 것이 부표의 복원력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중추(330)를 상기 미통(30)의 하단부 내부에 포함하여 부표의 무게중심을 아래쪽에 위치시키고 수중에 잠기는 부분을 상대적으로 많게 함으로써, 부표의 복원력을 증대시켜 파랑이나 물결에 의한 해수면의 변동에도 부표가 동요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위치를 고수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The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양부표에 사용되는 보조부유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물의 일방향 흐름에 따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양부표의 상태도이고, 도 9는 물의 타방향 흐름에 따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양부표의 상태도이다.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uxiliary floating device used in the marine buo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state diagram of the marine buo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one-way flow of water, Figure 9 is another direction of water State diagram of an ocean buo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flow.
도 7 내지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양부표는 해저에 설치되는 관측기기(70)와 통신케이블(80)로 연결되며, 해저에 고정된 침추(60)에 양단이 고정되며, 해양부표의 계류고리(320)에 연결되어 해양부표를 일정 범위 내에서 계류,고정시키는 계류로프(50)와; 상기 계류로프(50)에 연결되어 물의 흐름에 따라 계류로프(50)상을 이동하면서, 물의 흐름 반대방향의 느슨해진 계류로프(50)가 부표에 감기는 것을 방지하는 보조부유장치(40);를 포함할 수 있다. 7 to 9, the marine buo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해양에서는 바람, 파랑, 조류 등의 외력의 변화가 심한 지역에 주로 해양자료의 관측을 위해 해저에 관측기기(70)를 설치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관측기기(70)가 설치되는 위치를 표시하고 상기 관측기기(70)로부터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해양부표를 설치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해양부표는 해저에 설치된 상기 관측기기(70)와 통신케이블(80) 등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관측기기(70)가 설치된 위치를 표시함은 물론 관측기기(70)로부터 통신케이블(80)을 통해 전송된 데이터를 통신모듈을 이용해 재전송 하게 된다. In the ocean, the
상기 계류로프(5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면상에 부유하게 되는 해양부표가 일정범위 이내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부표를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상기 계류로프(50)의 양단은 해저암반 등에 고정되는 침추(60)에 연결되어 견고하게 고정되게 되며, 상기 계류로프(50)의 중간부분이 본 발명에 따른 해양부표의 상기 계류고리(320)에 결합,고정되게 된다. 이때, 통상 상기 계류로프(50)는 부표와 침추(60) 사이를 일직선으로 연결시키는 것보다는 일정부분 여유있는 길이로 형성되는데, 이는 부표가 물의 흐름에 따라 일정 부분 계류하면서 일정 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만 고정시킴으로써 파랑 등에 의한 급격한 해수면 변동 등에 있어 상기 계류로프(50)에 작용하는 순간장력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만, 상기와 같이 상기 계류로프(50)가 일정부분 여유있는 길이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계류로프(50)가 부표나 상기 통신케이블(80)에 감기거나 꼬이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보조부유장치(4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상기 보조부유장치(40)는 상기 계류로프(50)에 연결되어 물의 흐름에 따라 계류로프(50)상을 이동하면서, 물의 흐름 반대방향의 느슨해진 계류로프(50)가 부표나 통신케이블(80) 등에 감기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이를 위해 상기 보조부유장치(40)는 일정 길이를 갖는 지지봉(410)과, 상기 지지봉(410)의 양단에서 계류로프(50)가 통과,연결되도록 하는 연결고리(420)와, 상기 지지봉(410)에 연결되어 보조부유장치(40)가 수면위로 부상할 수 있도록 부력을 제공하는 부구(43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uxiliary floating device (40) is connected to the mooring rope (50) while moving on the mooring rope (50) in accordance with the flow of water, the loose mooring rope (50)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flow of water buoy or communication cable (80) In this configuration, the auxiliary floating
상기 지지봉(410)은 상기 보조부유장치(40)의 골격을 이루는 부분으로 일정 길이(통상 2m 내외)를 갖는 봉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봉(410)이 일정 길이를 갖는 봉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후술할 바와 같이 상기 지지봉(4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된 상기 계류로프(50)는 부표몸체에 감기거나 통신케이블과 꼬이는 것이 방지된다. The
상기 연결고리(420)는 상기 지지봉(410)의 양단에서 계류로프(50)가 통과,연결되도록 고리형상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계류로프(50)는 상기 지지봉(410)의 양단에 각각 형성된 상기 연결고리(42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연결됨으로써 상기 지지봉(4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보조부유장치(40)와 연결되게 된다. The connecting
상기 부구(430)는 상기 지지봉(410)에 연결되어 보조부유장치(40)가 수면위로 부상할 수 있도록 부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통상 상기 연결고리(420)가 형성되는 위치와 동일하게 상기 지지봉(410)의 양단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구(430)는 보조부유장치(40)는 물론 이에 연결되는 계류로프(50) 역시 부상시켜야 하는 부력을 제공하여야 하는바, 발포성수지와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이하에서는 도 8과 9를 참조하여, 물의 흐름에 따른 상기 보조부유장치(40)의 작용 및 기능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referring to FIGS. 8 and 9, the operation and function of the auxiliary floating
먼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이 일방향(①방향)에서 흐르는 경우, 상기 물의 흐름방향에 따라 부표 역시 ①방향으로 일정범위 내에서 이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부표를 고정하는 계류로프(50)는 물의 흐름방향측은 팽팽하게 되고 물의 흐름 반대방향측은 느슨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계류로프(50) 상에 연결된 상기 보조부유장치(40) 역시 ①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특히 부표의 (계류로프(50)가 부표에 결합되는 부분인)계류고리(320)를 중심으로 상기 지지봉(410)의 일단의 연결고리(420)는 계류고리(320)의 좌측에서, 지지봉(410) 타단의 연결고리(420)는 계류고리(320)의 우측에서 각각 계류로프(50)와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보조부유장치(40)의 이동범위가 지지봉(410)의 길이만큼으로 제한되면서 보조부유장치(40)가 항상 부표의 주변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상기 계류고리(320)를 중심으로 물의 흐름 반대방향에 위치하여 느슨하게 늘어진 계류로프(50)측에 위치하는 부구(430)는 지지봉(410) 및 (느슨해진)계류로프(50)를 수면으로 부상시켜 느슨해진 계류로프(50)가 부표나 통신케이블(80)과 감기거나 꼬이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First, as shown in FIG. 8, when water flows in one direction (① direction), the buoy also move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in the ① direction according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water, and thus the
반대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이 타방향(②방향)에서 흐르는 경우, 상기 물의 흐름방향에 따라 부표 역시 ②방향으로 일정범위 내에서 이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부표를 고정하는 계류로프(50)는 물의 흐름방향측은 팽팽하게 되고 물의 흐름 반대방향측은 느슨하게 되며, 상기 계류로프(50) 상에 연결된 상기 보조부유장치(40) 역시 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상기 계류고리(320)를 중심으로 물의 흐름 반대방향에 위치하여 느슨하게 늘어진 계류로프(50)측에 위치하는 부구(430)가 지지봉(410) 및 (느슨해진)계류로프(50)를 수면으로 부상시켜 느슨해진 계류로프(50)가 부표나 통신케이블(80)과 감기거나 꼬이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On the contrary, when water flows in the other direction (② direction) as shown in FIG. 9, the buoy also move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in the ② direction according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water, and thus the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longing to the scope.
10: 표체 110: 두표 120: 조명장치 130: 레이더반사기
140: 역반사재 150(150-1,150-2): 인양고리
20: 부체
30: 미통 310: 방향타 311: 계류공
320: 계류고리 330: 중추
40: 보조부유장치 410: 지지봉 420: 연결고리 430: 부구
50: 계류로프 60: 침추 70: 관측기기 80: 통신케이블10: body 110: table 120: lighting device 130: radar reflector
140: retroreflective material 150 (150-1,150-2): lifting ring
20: floating
30: unrefined 310: rudder 311: mooring ball
320: mooring ring 330: pivot
40: auxiliary floating device 410: support rod 420: hook 430: float
50: mooring rope 60: invasion 70: observer 80: communication cable
Claims (8)
상기 미통의 일측면에는 판형태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방향타를 포함하여, 상기 방향타에 의해 물의 흐름을 부표의 좌우측으로 일정하게 배분하여 부표의 흔들림과 회전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부표. Body exposed above the surface of the water; Floating body in contact with water; Cramps that fall under water;
One side of the tail barrel includes a rudder formed to protrude in the form of a plate, the marine buoy characterized in that to distribute the flow of water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uoy by the rudder to minimize the shaking and rotation of the buoy.
상기 방향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계류공을 포함하여, 계류고리의 부착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부표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부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arine buoy
A marine buoy comprising a mooring hole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udder to adjust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mooring ring to maintain the balance of the buoy.
상기 부체와 미통의 연결부위를 부체에서 미통으로 축경되면서 경사지게 형성되는 원뿔대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미통의 말단을 원뿔형상으로 형성하여, 부표의 연직저항력을 감소시켜 파랑과 같은 순간적인 해수면 변화에 부표가 물속으로 쉽게 들어가게 하여 계류고리나 계류로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부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arine buoy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floating body and the thong is formed in a truncated conical shape which is inclined while being reduced from the thong to the thong,
By forming the end of the barrel in a conical shape, by reducing the vertical resistance of the buoys buoys easily enter the water to the moment of sea level changes such as blue to prevent mooring ring or mooring rope breakage table.
상기 미통의 하단부에 중추를 부착하여, 부표의 무게중심이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하여 복원력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부표. 4. The marine buoy of claim 3 wherein
Attaching the central portion to the lower end of the back pain, marine buoys, characterized in that to increase the resilience by placing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buoy below.
상기 표체 외주면에 역반사재를 포함하여, 야간에 조명불빛에 의해 부표의 위치를 용이하게 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부표. 5. The marine buoy of claim 4 wherein
Including a retro-reflective material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the marine buo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easy to detect the position of the buoy by the illumination light at night.
상기 해양부표는 해저에 설치되는 관측기기와 통신케이블로 연결되며,
해저에 고정된 침추에 양단이 고정되며, 해양부표의 계류고리에 연결되어 해양부표를 일정 범위 내에서 계류,고정시키는 계류로프와; 상기 계류로프에 연결되어 물의 흐름에 따라 계류로프 상을 이동하면서, 물의 흐름 반대방향의 느슨해진 계류로프가 부표에 감기는 것을 방지하는 보조부유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부표. The method of claim 1,
The marine buoy is connected to the observation device installed on the seabed with a communication cable,
A mooring rope fixed at the bottom of the seabed and fixed at both ends and connected to a mooring ring of the marine buoy to moor and fix the marine buoy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nd an auxiliary floating device connected to the mooring rope and moving on the mooring rope according to the flow of water, to prevent the loose mooring rope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water from being wound around the buoy.
일정 길이를 갖는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양단에서 계류로프가 통과,연결되도록 하는 연결고리와, 상기 지지봉에 연결되어 보조부유장치가 수면위로 부상할 수 있도록 부력을 제공하는 부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부표.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auxiliary floating device
And a support rod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 connecting ring for passing and connecting the mooring ropes at both ends of the support rod, and a float connected to the support rod to provide buoyancy so that the auxiliary floating device can rise above the water surface. Marine buoy.
계류로프와 계류고리의 결합부위가 상기 지지봉의 양단에 위치하는 연결고리 사이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보조부유장치가 지지봉의 길이만큼의 범위내에서만 물의 흐름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제한하여 계류로프의 감김방지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부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auxiliary floating device
The mooring rope and the mooring ring are positioned between the connecting rings located at both ends of the supporting rod, thereby restricting the auxiliary floating device to move along the water flow within the range of the supporting rod, thereby preventing the mooring rope from being wound. An ocean buoy, characterized in that to effectively perform.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14637A KR101241235B1 (en) | 2010-11-17 | 2010-11-17 | A Marine Buo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14637A KR101241235B1 (en) | 2010-11-17 | 2010-11-17 | A Marine Buoy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53393A true KR20120053393A (en) | 2012-05-25 |
KR101241235B1 KR101241235B1 (en) | 2013-03-14 |
Family
ID=46269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14637A KR101241235B1 (en) | 2010-11-17 | 2010-11-17 | A Marine Buo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41235B1 (en)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34035B1 (en) * | 2013-02-26 | 2013-11-28 | (주)신양기술 | Multipurpose guard buoy |
CN105115480A (en) * | 2015-08-14 | 2015-12-02 | 青岛海洋地质研究所 | Seabed thermal water and cold spring observation method and system |
KR101634357B1 (en) * | 2015-11-30 | 2016-06-30 | 대한민국 | Buoy for reduction of fishing gear loss |
CN111077337A (en) * | 2019-12-20 | 2020-04-28 | 佛山世寰智能科技有限公司 | Water flow velocimeter |
CN113277011A (en) * | 2021-06-30 | 2021-08-20 | 烟台大学 | Semi-submersible type marine environment observation intelligent robot |
CN114348181A (en) * | 2021-12-24 | 2022-04-15 |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七五0试验场 | Double-cable anti-winding method and structure applied to submerged buoy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7098Y1 (en) * | 2017-09-30 | 2018-08-08 | 김남현 | Buoy |
KR102423960B1 (en) * | 2021-02-19 | 2022-07-21 | 강흥묵 | Floating self-generated light floating assembly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58575A (en) * | 1995-08-25 | 1997-03-04 | Zeniraito V:Kk | Three-point catenary mooring device for buoy |
JPH1016881A (en) * | 1996-07-05 | 1998-01-20 | Nippon Solid Co Ltd | Floating body suitable for multi-purpose use |
JP2001010585A (en) * | 1999-06-25 | 2001-01-16 | Nishiken:Kk | Buoy |
KR101025872B1 (en) * | 2008-08-26 | 2011-03-30 | 한국해양연구원 | Apparatus for vertical profiling seawater from buoy being able to observe waves |
-
2010
- 2010-11-17 KR KR1020100114637A patent/KR101241235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34035B1 (en) * | 2013-02-26 | 2013-11-28 | (주)신양기술 | Multipurpose guard buoy |
CN105115480A (en) * | 2015-08-14 | 2015-12-02 | 青岛海洋地质研究所 | Seabed thermal water and cold spring observation method and system |
KR101634357B1 (en) * | 2015-11-30 | 2016-06-30 | 대한민국 | Buoy for reduction of fishing gear loss |
CN111077337A (en) * | 2019-12-20 | 2020-04-28 | 佛山世寰智能科技有限公司 | Water flow velocimeter |
CN113277011A (en) * | 2021-06-30 | 2021-08-20 | 烟台大学 | Semi-submersible type marine environment observation intelligent robot |
CN113277011B (en) * | 2021-06-30 | 2022-04-12 | 烟台大学 | Semi-submersible type marine environment observation intelligent robot |
CN114348181A (en) * | 2021-12-24 | 2022-04-15 |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七五0试验场 | Double-cable anti-winding method and structure applied to submerged buo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41235B1 (en) | 2013-03-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41235B1 (en) | A Marine Buoy | |
US8446026B2 (en) | System for mooring a floating plant for the production of energy from currents in water | |
US4813815A (en) | Buoyant, elastically tethered articulated marine platform | |
CA2900477C (en) | Apparatus for mooring floater using submerged pontoon | |
KR102311739B1 (en) | Structure of a ocean observation buoy resistant to waves | |
US20210214048A1 (en) |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structure suspended in water | |
CN210175084U (en) | Constant tension control-based suspension anchor cable accurate positioning buoy device | |
CN106719218B (en) | Single-point anchoring type circular deepwater net cage | |
US4797033A (en) | Anchor line-stabilized system | |
KR20060112195A (en) | Buoy | |
CN202508263U (en) | Floating device and system | |
KR101602174B1 (en) | Buoy Apparatus | |
CN105432532A (en) | Anti-wind-wave soft deep sea net cage | |
JP4111694B2 (en) | Multipurpose buoy | |
CN215794320U (en) | Mooring device | |
CN112678116B (en) | Mooring device suitable for large water level change | |
CN216775827U (en) | Tension traction cable | |
US5716249A (en) | Mooring means | |
CN211308898U (en) | Novel buoy platform for submarine seismic exploration | |
US5517936A (en) | Tautline boat mooring system | |
JPS59134091A (en) | Single-point mooring arrangement | |
US5398633A (en) | Tautline boat mooring system | |
KR20090131558A (en) | Current adjusting marine observation surface marker buoy | |
CN218043247U (en) | Floating type fixed anchor system and offshore monitoring system with same | |
CN213038344U (en) | Maintainable oil containment boom suitable for harbor whar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