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3264A - 멀티 디바이스 기반의 멀티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멀티 디바이스 기반의 멀티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3264A
KR20120053264A KR1020100114446A KR20100114446A KR20120053264A KR 20120053264 A KR20120053264 A KR 20120053264A KR 1020100114446 A KR1020100114446 A KR 1020100114446A KR 20100114446 A KR20100114446 A KR 20100114446A KR 20120053264 A KR20120053264 A KR 201200532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itional information
information
user
auxiliary terminal
top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4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3863B1 (ko
Inventor
정영준
김희경
박성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00114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3863B1/ko
Publication of KR20120053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32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3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3863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멀티 디바이스 기반의 멀티 서비스 제공 방법, 시스템 및 장치가 제공된다. 멀티 디바이스 기반의 멀티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셋탑 박스로부터 콘텐츠의 재생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콘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검색하는 제어 서버, 상기 셋탑 박스의 사용자 중 상기 검색된 부가 정보를 선호하는 사용자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사용자의 보조 단말기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정보 서버 및 상기 보조 단말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검색된 부가 정보를 상기 보조 단말기로 제공하는 부가 정보 제공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서버는 상기 콘텐츠와 상기 부가 정보의 출력 시점을 동기화한다.

Description

멀티 디바이스 기반의 멀티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ROVIDING MULTI-SERVICES BASED ON MULTI-DEVICES}
본 발명은 멀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멀티 디바이스 기반의 멀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IPTV 서비스 이용자들이 급증하고 있는 추세다. IPTV 서비스는 홈 내의 TV(셋탑 박스)를 중심으로 다양한 기기와의 연동을 통해 TV 시청이라는 고유 기능 이외에도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어, TV를 시청하면서 다른 사람과 트위팅으로 시청 내용에 대해 의견을 교환하는 서비스 등이다.
그러나,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 영상 콘텐츠와 부가 정보가 TV 화면에 함께 디스플레이됨으로써 여러 가지 문제점이 나타내게 되었다.
그 중 가장 큰 문제점은, 사용자들이 TV 시청을 방해 받는 것에 대하여 강한 거부감을 가진다는 것이다.
원하는 콘텐츠를 몰입하여 시청하고 있는데, 갑자기 화면의 일부를 가리거나 시선을 빼앗는 정보들이 나타나는 것을 싫어하며, 여러 사람이 함께 시청을 하고 있는 경우, 트위팅과 같은 개인 정보의 노출이나 본인과 관련이 없는 정보로 인해 시청을 방해 받는 것에 거부감을 가지는 것이다.
또한, 방송 중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에도 한계가 있다. 화면 속의 상품이나 배경 지역 등에 대한 정보의 확인, 실제 구매 또는 예약 등으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이, 현재 시청 중인 화면을 부가 정보가 덮어 버림으로써 시청이 어렵게 된다.
또한, 컨텐츠 제작에도 어려움이 있다. 메인 컨텐츠와의 관계를 고려하여 부가 정보의 노출 범위나 위치 등을 정해야 하며, 상기한 두 정보가 밀접하게 결합 되어 있어 지난 방송 보기 등과 같은 VOD 콘텐츠에 부가 정보를 추가하거나 변경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에, 한국공개특허 제2010-69380호(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리모콘 및 이와 연계된 IPTV 셋탑 단말)에서, 방송 콘텐츠를 시청하면서 방송 콘텐츠와 분리된 부가 콘텐츠를 리모콘에 부속된 모니터 화면을 통해 시청할 수 있는 기술을 개시하였다.
그러나 이는, 방송 콘텐츠와 분리된 부가 콘텐츠를 단순히 리모콘으로 전송하여 부가 콘텐츠가 시청을 방해하지 않도록 할 뿐, 셋탑 박스를 이용하는 사용자 별로 개인화된 부가 정보를 제공하거나, 개인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콘텐츠 및 이와 관련된 부가 정보 간의 연관 정보를 관리하여, 콘텐츠와 부가 정보가 동시에 출력될 때 콘텐츠의 재생 시간과 부가 정보의 노출 시점을 동기화한다.
또한, 본 발명은 TV 화면에 출력되는 콘텐츠와 연관된 다양한 부가 정보를 셋탑 박스의 사용자 별로 설정한 보조 단말기로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멀티 디바이스 기반의 멀티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셋탑 박스로부터 콘텐츠의 재생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콘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검색하는 제어 서버, 상기 셋탑 박스의 사용자 중 상기 검색된 부가 정보를 선호하는 사용자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사용자의 보조 단말기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정보 서버 및 상기 보조 단말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검색된 부가 정보를 상기 보조 단말기로 제공하는 부가 정보 제공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서버는 상기 콘텐츠와 상기 부가 정보의 출력 시점을 동기화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멀티 디바이스 기반의 멀티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는, 셋탑 박스로부터 콘텐츠에 대한 재생 시점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재생 시점에 대응하는 부가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부가 정보의 출력 시각 및 종료 시각을 추출하여, 상기 검색된 부가 정보의 출력을 제어하는 동기화 제어부, 상기 검색된 부가 정보의 아이디와 상기 셋탑 박스의 아이디를 사용자 정보 제공 수단으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 제공 수단으로부터 상기 셋탑 박스의 사용자 중 상기 검색된 부가 정보를 선호하는 사용자의 보조 단말기 정보를 수신하는 보조 단말기 정보 요청부 및 상기 동기화 제어부의 출력 제어에 기초하여, 상기 검색된 부가 정보의 아이디 및 상기 보조 단말기 정보를 부가 서비스 제공 수단으로 전송하는 부가 정보 출력 요청부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멀티 디바이스 기반의 멀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a) 셋탑 박스로부터 콘텐츠의 재생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콘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셋탑 박스의 아이디와 상기 검색된 부가 정보의 아이디를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셋탑 박스의 아이디와 상기 검색된 부가 정보의 아이디에 기초하여, 상기 셋탑 박스의 사용자 중 상기 검색된 부가 정보를 선호하는 사용자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사용자의 보조 단말기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c) 상기 검색된 부가 정보의 출력 시각 및 종료 시각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출력 시각 및 종료 시각에 기초하여 상기 검색된 부가 정보의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 및 (d) 상기 부가 정보의 출력 제어 및 상기 보조 단말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검색된 부가 정보를 상기 보조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된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멀티 디바이스 기반의 멀티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의 과제 해결 수단 중 하나에 의하면, TV 화면에 출력되는 콘텐츠와 연관된 다양한 부가 정보를 셋탑 박스의 사용자 별로 설정한 보조 단말기로 제공함으로써, 부가 정보가 TV 시청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셋탑 박스의 사용자 별로 설정한 보조 단말기로 해당 사용자가 선호하는 부가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프라이버시 보호에 효과적이다.
또한, 부가 정보를 다양한 콘텐츠로 제공할 수 있으므로, 새로운 수익 구조 창출과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을 통한 수익 증대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바이스 기반의 멀티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서버(14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바이스 기반의 멀티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정보 DB(141)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DB(131)를 도시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참고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구성도 또는 처리 흐름도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바이스 기반의 멀티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바이스 기반의 멀티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콘텐츠 제공 서버(110), 부가 정보 제공 서버(120), 사용자 정보 서버(130), 제어 서버(140), 셋탑 박스(150) 및 보조 단말기(160)를 포함한다.
각 구성 요소를 설명하면, 콘텐츠 제공 서버(110)는 IPTV 서비스에 필요한 콘텐츠를 관리하고, 제어 서버(140)로부터 사용자가 요청한 콘텐츠의 ID를 수신하면, 해당 콘텐츠를 셋탑 박스(150)로 제공한다.
이를 위해, 콘텐츠 제공 서버(110)는 IPTV 서비스를 위한 콘텐츠를 저장하는 콘텐츠 DB(11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콘텐츠 DB(111)는 콘텐츠 ID와 제목, 재생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콘텐츠 제공 서버(110)는 제어 서버(140)로부터 콘텐츠의 ID와 함께 해당 콘텐츠의 재생 시점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시점부터 콘텐츠를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부가 정보 제공 서버(120)는 부가 정보 콘텐츠(이하, 부가 정보라 칭함)를 저장하는 부가 정보 DB(121)를 포함하며, 부가 정보 DB(121)에 저장된 부가 정보를 관리한다.
또한, 부가 정보 제공 서버(120)는 제어 서버(140)로부터 부가 정보 ID를 수신하고, 수신된 ID에 대응하는 부가 정보를 부가 정보 DB(121)로부터 검색하여 보조 단말기(160)로 제공한다.
참고로, 부가 정보 ID에는 부가 정보의 타입이 코드 형태로 포함될 수도 있고, 부가 정보 ID와는 별도로 부가 정보의 타입에 대한 정보가 존재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부가 정보의 타입은 부가 정보를 미리 정해진 카테고리 별로 분류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의류, 자동차 또는 화장품 등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각 분류는 미리 정해진 코드(예를 들어, 의류는 01, 자동차는 02, 화장품은 03, 보험은 04 등)와 매핑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부가 정보 ID에 부가 정보의 타입(예를 들어, 의류, 자동차, 화장품 또는 보험 등)이 코드 형태로 포함된 경우를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부가 정보 제공 서버(120)는 해당 부가 정보를 제공받을 보조 단말기(160)의 정보를 제어 서버(140)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보조 단말기(160)의 정보로 부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보조 단말기(160)의 정보는, 보조 단말기(160)가 이동 통신 단말기인 경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장치 일련 번호(Electronic Serial Number;ESN), 국제 이동 단말기 식별 번호(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IMEI), 국제 이동국 식별 번호(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IMSI) 및 이동국 식별 번호(Mobile Identification Number, 이하, ‘이동 전화 번호’라 칭함) 등과 같은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데스크 탑 PC 또는 랩 탑 PC인 경우 IP 주소나 MAC 주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 단말기(16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하겠다.
한편, 사용자 정보 서버(130)는 셋탑 박스 ID와 해당 셋탑 박스 사용자로 등록된 사용자(들)의 ID, 각 사용자들이 선호하는 부가 정보의 타입(의류, 자동차, 화장품 또는 보험 등) 및 해당 사용자들이 입력한 보조 단말기(160)의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며, 이를 위해 상기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DB(131)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서버(130)는 제어 서버(140)로부터 부가 정보 ID와 셋탑 박스 ID를 수신하고, 수신한 셋탑 박스 ID와 매핑된 각 사용자들의 선호 부가 정보 타입을 사용자 정보 DB(131)로부터 확인한다.
이후, 사용자 정보 서버(130)는 부가 정보 ID로부터 해당 부가 정보의 타입을 추출하고, 셋탑 박스 ID와 매핑된 각 사용자들의 선호 부가 정보 타입과 일치하는 사용자를 사용자 정보 DB(131)로부터 검색한다.
검색 결과 일치하는 사용자가 존재하면, 사용자 정보 서버(130)는 해당 사용자의 ID와 매핑된 보조 단말기(160)의 정보를 제어 서버(140)로 전송한다.
참고로, 상기한 사용자의 ‘선호 부가 정보의 타입’은 서비스 사업자가 제공하는 별도의 웹 사이트에 셋탑 박스, 이동 통신 단말기 또는 PC 등을 이용하여 접속한 후, 선호하는 부가 정보 타입을 선택할 수 있는 웹 페이지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한편, 제어 서버(140)는 셋탑 박스(150)로부터 사용자가 시청하기 원하는 콘텐츠의 ID를 수신하고, 이를 콘텐츠 제공 서버(110)로 전송한다.
참고로, 사용자에 의해 콘텐츠의 재생 시점이 변경(빨리 감기 후 재생 등)된 경우, 제어 서버(140)는 변경된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를 셋탑 박스(150)로부터 수신하고, 이를 콘텐츠 제공 서버(11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서버(140)는 콘텐츠와 해당 콘텐츠에 대한 부가 정보의 출력 시점을 동기화하며, 이를 위해, 콘텐츠 정보 및 각 콘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동기화 정보 DB(141)를 포함할 수 있다.
셋탑 박스(150)로부터 사용자가 시청하기 원하는 콘텐츠의 ID와 재생 시점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제어 서버(140)는 동기화 정보 DB(141)로부터 콘텐츠의 ID와 재생 시점 정보에 대응하는 부가 정보의 ID를 검색하고, 검색된 부가 정보 ID를 부가 정보 제공 서버(120)로 전송한다.
또한, 제어 서버(140)는 셋탑 박스 ID와 검색된 부가 정보 ID를 사용자 정보 서버(130)로 전송하여, 사용자 정보 서버(130)로부터 해당 부가 정보를 제공받을 보조 단말기(160)의 정보를 수신한 후, 이를 부가 정보 ID와 함께 부가 정보 제공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서버(140)는 동기화 정보 DB(141)에 기초하여, 콘텐츠가 출력되는 중에 해당 콘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언제 제공하고 중단할 것인지를 제어할 수 있으며, 해당 부가 정보를 제공받을 보조 단말기(160)의 정보를 부가 정보 ID와 함께 부가 정보 제공 서버(120)로 전송함으로써, 부가 정보 제공 서버(120)가 부가 정보 ID에 대응하는 부가 정보를 보조 단말기(160)로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셋탑 박스(150)로 제공되는 콘텐츠와 보조 단말기(160)로 제공되는 부가 정보를 물리적으로 분리하여 관리하되, 제어 서버(140)는 콘텐츠와 부가 정보 간의 연관 정보를 관리하여, 콘텐츠와 부가 정보가 동시에 출력될 때 콘텐츠의 재생 시간과 부가 정보의 출력 시점이 동기화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 서버(140)는 보조 단말기(160)의 정보를 사용자 정보 서버(130)로부터 수신하면, 해당 보조 단말기(160)의 현재 상태(통화 중 또는 전원 off 또는 다른 부가 정보 수신 등)를 확인하기 위해, 보조 단말기(160)로 현재의 상태 정보를 요청하고, 보조 단말기(160)로부터 현재의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보조 단말기(160)에는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으며, 만일, 보조 단말기(160)가 이동 통신 단말기인 경우, 제어 서버(140)는 이동 통신사 시스템(미도시)으로 보조 단말기(160)의 정보를 전송하고, 이동 통신사 시스템(미도시)으로부터 해당 보조 단말기(160)의 상태(통화 중 또는 전원 off 등)에 대한 응답을 수신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어 서버(140)에서 보조 단말기(160)의 현재 상태를 정확히 파악함으로써, 제어 서버(140)는 콘텐츠의 재생 시점이 변경되거나 다른 콘텐츠로 변경 될 때, 이에 대응하는 부가 정보가 차질 없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셋탑 박스(150)는 사용자가 특정 콘텐츠를 선택하면, EPG 등을 참고하여 해당 콘텐츠의 ID를 제어 서버(140)로 전송한다. 이때, 셋탑 박스(150)의 ID가 함께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셋탑 박스(150)는 콘텐츠 제공 서버(110)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콘텐츠를 수신하여 셋탑 박스(150)와 연결된 디스플레이장치(TV)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
참고로, 콘텐츠 재생 중, 사용자에 의한 재생 시점 변경이 발생하는 경우, 셋탑 박스(150)는 콘텐츠의 변경된 재생 시점 정보를 제어 서버(14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보조 단말기(160)는 현재 디스플레이장치(TV)에 재생되고 있는 콘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부가 정보 제공 서버(120)로부터 수신한다.
참고로, 하나의 셋탑 박스(150)에 복수의 사용자가 등록될 수 있으며, 각 사용자는 자신이 선호하는 부가 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단말기를 등록할 수 있다.
즉, 하나의 셋탑 박스(150)에는 복수개의 보조 단말기(160) 정보가 매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댁내에 하나의 셋탑 박스(150)가 존재하는 경우, 각 가족 구성원마다 자신의 이동 통신 단말기를 부가 정보 수신을 위한 보조 단말기(160)로 등록할 수 있다.
따라서, 콘텐츠에 대한 부가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부가 정보의 타입과, 셋탑 박스에 등록된 사용자의 선호 타입을 고려하여, 콘텐츠 시청에 방해를 받지 않으면서 사용자가 선호하는 타입의 부가 정보만을 원하는 보조 단말기(160)로 수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보조 단말기(160)가 이동 통신 단말기, 보조 단말기(160)의 정보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동 전화 번호인 경우를 설명하도록 하며, 보조 단말기(160)의 정보는 이동 전화 번호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서버(14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서버(140)는 동기화 정보 DB(141), 재생 시점 변경 정보 처리부(142), 동기화 제어부(143), 보조 단말기 정보 요청부(144) 및 부가 정보 출력 요청부(145)를 포함한다.
각 구성 요소를 설명하면, 동기화 정보 DB(14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콘텐츠 및 각 콘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에 대한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한다.
동기화 정보 DB(141)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재생 시점 변경 정보 처리부(142)는 콘텐츠 변경이나 사용자에 의한 콘텐츠의 재생 시점 변경에 대한 정보를 셋탑 박스(150)로부터 수신하고, 이를 콘텐츠 제공 서버(110)로 전송한다.
한편, 동기화 제어부(143)는 동기화 정보 DB(141)에 기초하여, 콘텐츠 및 해당 콘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의 출력 시점을 동기화 한다.
즉, 동기화 제어부(143)는 셋탑 박스(150)로부터 콘텐츠의 재생이 요청되거나, 콘텐츠 변경 또는 사용자에 의한 콘텐츠의 재생 시점 변경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콘텐츠 및 해당 콘텐츠의 재생 시점에 대응하는 부가 정보를 동기화 정보 DB(141)로부터 검색하고, 검색된 부가 정보의 ID를 부가 정보 출력 요청부(145)로 전달한다.
한편, 보조 단말기 정보 요청부(144)는 부가 정보 ID와 셋탑 박스 ID를 사용자 정보 서버(130)로 전송하고, 사용자 정보 서버(130)로부터 부가 정보를 제공 받을 보조 단말기(160)의 정보, 즉, 이동 전화 번호를 수신한다.
이후, 보조 단말기 정보 요청부(144)는 수신한 이동 전화 번호에 기초하여, 해당 보조 단말기(160)의 상태 정보를 이동 통신사 시스템(미도시)으로 요청하고, 이동 통신사 시스템(미도시)으로부터 해당 보조 단말기(160)의 상태 정보를 수신한다.
한편, 부가 정보 출력 요청부(145)는 동기화 제어부(143)로부터 콘텐츠의 재생 시점 정보에 대응하는 부가 정보 ID를 전달받아 부가 정보 제공 서버(120)로 전송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 요소를 의미하며, 소정의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각 구성 요소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구성 요소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 클래스 구성 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 요소들과 같은 구성 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 요소들과 해당 구성 요소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 요소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 요소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디바이스 기반의 멀티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의 구성 요소를 참조하여 도 3의 흐름도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사용자가 콘텐츠를 선택하여 재생을 요청하면, 제어 서버(140)는 셋탑 박스(150)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콘텐츠의 ID와 해당 콘텐츠의 재생 시점 정보를 수신한다(S301).
참고로, 단계 S301은 사용자가 콘텐츠를 선택하고, 선택된 콘텐츠가 처음부터 재생되는 경우이지만, 콘텐츠 재생 중 사용자에 의해 콘텐츠의 재생 시점이 변경되는 경우 역시, 단계 S301에 포함될 수 있다.
단계 S301 후, 제어 서버(140)는 콘텐츠 ID와 셋탑 박스 ID를 콘텐츠 제공 서버(110)로 전송하고, 동기화 정보 DB(141)에 기초하여, 해당 콘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S302).
확인 결과, 관련된 부가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제어 서버(140)는 부가 정보 ID와 셋탑 박스 ID를 사용자 정보 서버(130)로 전송한다(S303).
단계 S303 후, 사용자 정보 서버(130)는 제어 서버(140)로부터 부가 정보 ID와 셋탑 박스 ID를 수신하고, 셋탑 박스 ID와 매핑된 각 사용자들의 선호 부가 정보 타입을 사용자 정보 DB(131)로부터 확인한다(S304).
단계 S304 후, 사용자 정보 서버(130)는 부가 정보 ID로부터 해당 부가 정보의 타입을 추출하고, 셋탑 박스 ID와 매핑된 각 사용자들의 선호 부가 정보 타입과 일치하는 사용자를 사용자 정보 DB(131)로부터 검색한다(S305).
단계 S305 후, 사용자 정보 서버(130)는 검색 결과 일치하는 사용자의 ID와 매핑된 보조 단말기(160)의 이동 전화 번호를 사용자 정보 DB(131)로부터 검색하여 제어 서버(140)로 전송한다(S306).
단계 S306 후, 제어 서버(140)는 사용자 정보 서버(130)로부터 보조 단말기(160)의 이동 전화 번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이동 전화 번호에 기초하여 보조 단말기(160)로 현재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여, 보조 단말기(160)로부터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S307).
단계 S307 후, 제어 서버(140)는 부가 정보 ID와 보조 단말기(160)의 이동 전화 번호, 그리고 보조 단말기(160)의 상태 정보를 부가 정보 제공 서버(120)로 전송한다(S308).
단계 S308 후, 부가 정보 제공 서버(120)는 제어 서버(140)로부터 부가 정보 ID와 보조 단말기(160)의 이동 전화 번호, 그리고 보조 단말기(160)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보조 단말기(160)의 이동 전화 번호에 기초하여, 부가 정보 ID에 대응하는 부가 정보를 보조 단말기(160)로 전송한다(S309).
이때, 보조 단말기(160)의 상태 정보가 부가 정보를 수신할 수 없는 상태, 예를 들어 통화 중이거나 다른 부가 정보를 이용하고 있는 경우, 부가 정보 제공 서버(120)는 전송하려는 부가 정보가 존재함을 알리는 메시지를 부가 정보 대신 보조 단말기(160)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309 후, 보조 단말기(160)는 부가 정보 제공 서버(120)로부터 부가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부가 정보를 화면에 출력한다(S31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정보 DB(141)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정보 DB(141)는 콘텐츠 ID, 해당 콘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 ID, 부가 정보의 출력 시각 및 종료 시각을 포함한다.
참고로, 부가 정보 ID에는 해당 부가 정보의 타입(의류, 자동차, 화장품 또는 보험 등)이 코드 형태로 포함될 수 있으며, 도 4에서는 부가 정보의 타입 코드가 의류는 01, 자동차는 02, 화장품은 03, 보험은 04로 표기되어 있다.
콘텐츠가 재생될 때, 제어 서버(140)는 동기화 정보 DB(141)에 기초하여, 콘텐츠가 출력되는 중에 부가 정보를 언제 제공하고 중단할 것인지를 제어함으로써, 콘텐츠의 재생 시간과 부가 정보의 노출 시점이 동기화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DB(131)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DB(131)는 셋탑 박스 ID와 해당 셋탑 박스를 사용하는 사용자(가입자)들의 ID, 각 사용자들이 선호하는 부가 정보의 타입(의류, 자동차, 화장품 또는 보험 등) 및 해당 사용자들이 입력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정보(이동 전화 번호 등)를 포함한다.
참고로, 사용자들이 선호하는 부가 정보의 타입의 경우, 의류는 01, 자동차는 02, 화장품은 03, 보험은 04와 같이 코드 형태로 표기되어 있다.
만일, 현재 재생 중인 콘텐츠에 자동차가 등장하고, 이 시점에 자동차와 관련된 부가 정보가 제공되는 경우, 셋탑 박스(150)에 등록된 다수의 사용자들 중 선호하는 부가 정보의 타입이 자동차(코드 02)인 사용자의 보조 단말기(150)로 자동차와 관련된 부가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 콘텐츠 제공 서버
111 : 콘텐츠 DB
120 : 부가 정보 제공 서버
121 : 부가 정보 DB
130 : 사용자 정보 서버
131 : 사용자 정보 DB
140 : 제어 서버
141 : 동기화 정보 DB
142 : 재생 시점 변경 정보 처리부
143 : 동기화 제어부
144 : 보조 단말기 정보 요청부
145 : 부가 정보 출력 요청부
150 : 셋탑 박스
160 : 보조 단말기

Claims (14)

  1. 멀티 디바이스 기반의 멀티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셋탑 박스로부터 콘텐츠의 재생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콘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검색하는 제어 서버,
    상기 셋탑 박스의 사용자 중 상기 검색된 부가 정보를 선호하는 사용자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사용자의 보조 단말기 정보를 확인하는 사용자 정보 서버 및
    상기 보조 단말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검색된 부가 정보를 상기 보조 단말기로 제공하는 부가 정보 제공 서버
    를 포함하는,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서버는 상기 콘텐츠와 상기 부가 정보의 출력 시점을 동기화하는,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서버는 상기 셋탑 박스로부터 상기 콘텐츠에 대한 재생 시점 변경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변경된 재생 시점에 대응하는 부가 정보를 검색하는,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서버는 상기 보조 단말기의 상태에 대한 정보 요청을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보조 단말기의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서버는 상기 보조 단말기로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되, 상기 보조 단말기는 상기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어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 서버는 상기 부가 정보에 대한 타입과 상기 사용자가 선호하는 부가 정보의 타입을 비교하여 상기 검색된 부가 정보를 선호하는 사용자를 추출하되, 상기 부가 정보의 타입은 상기 부가 정보를 미리 정해진 카테고리 별로 분류한 것인,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보조 단말기의 현재 상태가 상기 검색된 부가 정보를 수신할 수 없는 경우, 수신 가능한 부가 정보가 존재함을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보조 단말기로 전송하는,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멀티 디바이스 기반의 멀티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셋탑 박스로부터 콘텐츠에 대한 재생 시점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재생 시점에 대응하는 부가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부가 정보의 출력 시각 및 종료 시각을 추출하여, 상기 검색된 부가 정보의 출력을 제어하는 동기화 제어부,
    상기 검색된 부가 정보의 아이디와 상기 셋탑 박스의 아이디를 사용자 정보 제공 수단으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 제공 수단으로부터 상기 셋탑 박스의 사용자 중 상기 검색된 부가 정보를 선호하는 사용자의 보조 단말기 정보를 수신하는 보조 단말기 정보 요청부 및
    상기 동기화 제어부의 출력 제어에 기초하여, 상기 검색된 부가 정보의 아이디 및 상기 보조 단말기 정보를 부가 서비스 제공 수단으로 전송하는 부가 정보 출력 요청부
    를 포함하는, 멀티 서비스 제공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및 상기 부가 정보의 출력 시점을 매핑하여 저장하는 동기화 정보 DB
    를 더 포함하는, 멀티 서비스 제공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셋탑 박스의 아이디, 상기 셋탑 박스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아이디, 상기 사용자가 선호하는 부가 정보의 타입 정보 및 상기 부가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등록된 보조 단말기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 DB
    를 더 포함하는, 멀티 서비스 제공 장치.
  11. 멀티 디바이스 기반의 멀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셋탑 박스로부터 콘텐츠의 재생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콘텐츠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셋탑 박스의 아이디와 상기 검색된 부가 정보의 아이디를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셋탑 박스의 아이디와 상기 검색된 부가 정보의 아이디에 기초하여, 상기 셋탑 박스의 사용자 중 상기 검색된 부가 정보를 선호하는 사용자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사용자의 보조 단말기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c) 상기 검색된 부가 정보의 출력 시각 및 종료 시각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출력 시각 및 종료 시각에 기초하여 상기 검색된 부가 정보의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 및
    (d) 상기 부가 정보의 출력 제어 및 상기 보조 단말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검색된 부가 정보를 상기 보조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멀티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셋탑 박스로부터 상기 콘텐츠에 대한 재생 시점 변경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변경된 재생 시점에 대응하는 부가 정보를 검색하는, 멀티 서비스 제공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부가 정보에 대한 타입과 상기 사용자가 선호하는 부가 정보의 타입을 비교하여 상기 검색된 부가 정보를 선호하는 사용자를 추출하되, 상기 부가 정보의 타입은 상기 부가 정보를 미리 정해진 카테고리 별로 분류한 것인, 멀티 서비스 제공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단말기의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보조 단말기의 현재 상태가 상기 검색된 부가 정보를 수신할 수 없는 상태인 경우, 수신 가능한 부가 정보가 존재함을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보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멀티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00114446A 2010-11-17 2010-11-17 멀티 디바이스 기반의 멀티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17538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4446A KR101753863B1 (ko) 2010-11-17 2010-11-17 멀티 디바이스 기반의 멀티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4446A KR101753863B1 (ko) 2010-11-17 2010-11-17 멀티 디바이스 기반의 멀티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3264A true KR20120053264A (ko) 2012-05-25
KR101753863B1 KR101753863B1 (ko) 2017-07-20

Family

ID=46269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4446A KR101753863B1 (ko) 2010-11-17 2010-11-17 멀티 디바이스 기반의 멀티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3863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65743A1 (en) * 2000-03-01 2001-09-07 Peter Ernest Hookham-Miller Presenting programs
KR100727063B1 (ko) * 2005-02-25 2007-06-12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방송 서비스 수행 중의 자체 광고 출력 방법 및 그 방법을수행하는 사용자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3863B1 (ko) 2017-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4184B1 (ko) 아이피티비에서 개인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20230409634A1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media content searching
US9432740B2 (en) Enhanced information on mobile device for viewed program and control of internet TV device using mobile device
CN102870427B (zh) 输出装置、源设备、电视接收机、系统、及输出方法
CN102685097B (zh) 用于在显示设备上提供推荐的内容重放的系统及其装置
US20180376183A1 (en) Content providing method and device
US20090144811A1 (en) Content delivery system
KR20140095854A (ko) 디스플레이장치, 컨텐츠 추천정보 수신방법, 서버 및 컨텐츠 추천방법
KR101537342B1 (ko) 컨텐츠 이어보기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41265A (ko) 음악 공유 서비스에 기반하는 영상물 삽입 음악 및 광고의 제공 장치 및 제공 방법
CN105392048A (zh) 视频投放控制方法及系统
JP5740367B2 (ja) 中継装置、情報提示方法、制御プログラム、端末装置、および表示装置
KR101179121B1 (ko) 방송연동형 부가정보 처리방법
JP6353470B2 (ja) コンテンツ付加情報提供システム
JP6495477B2 (ja) 情報処理方法、及び表示装置
US20130086168A1 (en)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dlna network information
US9510052B2 (en) Broadcast receiving terminal, control method, display terminal, and recording medium
KR101231260B1 (ko) 모바일 네트워크와 연동하는 ip 방송 서버
KR20120053264A (ko) 멀티 디바이스 기반의 멀티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JP6514847B2 (ja) 機器及び端末紐付け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8141477A (zh) 用于向电子设备分配动态标识符的方法及其设备
KR20120071159A (ko)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컨텐츠의 부가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및 서버
KR101375791B1 (ko) 단말, 그의 컨텐츠 재생 방법, 메시지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컨텐츠 관련 메시지 제공 방법
JP2004235694A (ja) サーバ装置および放送受信機
JP6940673B2 (ja) 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