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2672A - 트래픽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트래픽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2672A
KR20120052672A KR1020100113938A KR20100113938A KR20120052672A KR 20120052672 A KR20120052672 A KR 20120052672A KR 1020100113938 A KR1020100113938 A KR 1020100113938A KR 20100113938 A KR20100113938 A KR 20100113938A KR 20120052672 A KR20120052672 A KR 201200526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irect communication
terminals
called terminal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3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8994B1 (ko
Inventor
신경철
송평중
김원익
박우구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113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8994B1/ko
Priority to US13/295,116 priority patent/US20120120794A1/en
Publication of KR20120052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26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8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89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이동 통신망의 트래픽 제어 방법으로서, 트래픽 제어 장치가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의 위치를 확인한 후,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의 위치에 기초하여 단말간 직접 통신 여부를 결정한다. 단말간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한 경우, 발신 단말의 기지국과 착신 단말의 기지국이 각각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로 단말간 직접 통신을 지시한다.

Description

트래픽 제어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GN TRAFFIC}
본 발명은 트래픽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이동 통신망 환경에서는 사용자의 연결 제어 신호 및 트래픽 데이터가 동일한 네트워크 경로를 통해서 단말로 전달된다. 다만, 접속 중인 상황에서 핸드오버를 하는 경우에는 초기 접속한 네트워크에서 핸드오버한 네트워크로 연결이 새롭게 구성되고, 트래픽도 함께 넘어간다. 또한 이동 통신망에서 제공하는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등의 서비스의 제어 신호와 사용자 트래픽도 기지국을 경유하여 단말로 전달된다.
이로 인해 향후 멀티미디어 증가와 함께 사용자 트래픽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게 될 것으로 예측됨에 따라, 이동 통신망의 트래픽 증가로 인한 망 부하가 발생하게 되고, 망 확장 구축 비용 증가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이동 통신 사업자는 새로운 구축 비용을 줄이기 위해 자기 구성망(self organizing network, SON) 기술, 그린 라디오(green radio) 기술 등을 접목할 수 있지만, 동일한 네트워크를 통해 제어 신호와 트래픽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서는 설비 투자 비용(capital expenditures, CAPEX)와 운영 비용(stock exchange, OPEX)이 증가할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이동 통신 요금으로 인해 이동 통신 서비스 활성화가 저해되고, 단말기와 기지국간 데이터 전송을 위한 단말의 배터리 소모율이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려는 과제는 이동 통신망의 부하를 줄일 수 있는 트래픽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이동 통신망의 트래픽 제어 장치의 트래픽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트래픽 제어 방법은,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의 위치에 기초하여 단말간 직접 통신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단말간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한 경우, 상기 발신 단말의 제1 기지국과 상기 착신 단말의 제2 기지국으로 각각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로 단말간 직접 통신을 지시할 것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간 직접 통신 여부를 결정할 때,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이 동일 셀 내에 있는 경우 상기 단말간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기지국과 상기 제2 기지국은 동일한 기지국일 수 있다.
상기 단말간 직접 통신 여부를 결정할 때,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이 서로 다른 셀 내에 있고,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이 통달 거리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상기 단말간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로 단말간 직접 통신을 지시할 것을 요청할 때,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상기 착신 단말의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제2 기지국으로 상기 발신 단말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트래픽 제어 방법은,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의 인증 및 위치 확인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2 기지국으로 착신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간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의 사이의 사용자 트래픽은 상기 제1 및 제2 기지국을 거치지 않고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의 사이에서 직접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이동 통신망의 단말의 트래픽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트래픽 제어 방법은, 기지국으로 착신 단말로의 연결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단말간 직접 통신 지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착신 단말과 단말간 직접 통신의 연결을 위한 메시지를 교환하여서 단말간 직접 통신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기지국을 거치지 않고 상기 착신 단말과 직접 사용자 트래픽을 주고 받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간 직접 통신 지시는 상기 이동 통신망의 게이트웨이가 상기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의 위치에 기초하여 단말간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에 전송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이 동일 셀 내에 있거나 상기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이 서로 다른 셀 내에 있으면서 통달 거리 범위 내에 있는 경우에, 상기 단말간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단말간 직접 통신 지시를 수신할 때, 상기 착신 단말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단말간 직접 통신 상태로 전환할 때, 상기 착신 단말로 단말간 직접 통신을 위한 연결 시도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착신 단말로부터 상기 연결 시도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단말간 직접 통신 상태로 전환할 때, 상기 착신 단말로부터 단말간 직접 통신을 위한 연결 시도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착신 단말로 상기 연결 시도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트래픽 제어 방법은, 상기 착신 단말로 상기 단말간 직접 통신의 연결 종료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착신 단말로부터 상기 연결 종료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래픽 제어 방법은, 상기 착신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간 직접 통신의 연결 종료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착신 단말로 상기 연결 종료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연결 설정부와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망의 트래픽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연결 설정부는,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며,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의 위치에 기초하여 단말간 직접 통신 여부를 결정한다.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연결 설정부에서 상기 단말간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한 경우, 상기 발신 단말의 제1 기지국과 상기 착신 단말의 제2 기지국으로 각각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로 단말간 직접 통신을 지시할 것을 요청한다.
상기 연결 설정부는,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이 동일 셀 내에 있는 경우 상기 단말간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설정부는,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이 서로 다른 셀 내에 있으면서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이 직접 통달 거리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상기 단말간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상기 착신 단말의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제2 기지국으로 상기 발신 단말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트래픽 증가로 인한 이동 통신망의 부하를 줄일 수 있으며, 이동 통신망에 대한 설비 투자 비용이나 운영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트래픽 제어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트래픽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UE(user equipment)는 단말(terminal),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이동국(mobile station, MS),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AT)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단말, MT, MS, SS, PSS, AT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기지국(base station, BS)은 노드B(node 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 B, eNodeB), 접근점(access point, AP),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RAS),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MMR(mobile multihop relay)-BS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노드B, eNodeB, AP, RAS, BTS, MMR-BS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이동 통신 시스템은 게이트웨이(110), 기지국(120) 및 단말(131, 132)을 포함한다.
게이트웨이(110)는 이동 통신망(112)에 연결되어 있으며, 단말의 인증 및 위치 확인을 수행하고, 단말간 직접 통신을 위해 단말(131/132)로 상대 단말(132/131)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여 직접 통신 연결 설정을 지시한다.
기지국(120)은 자신이 관리하는 영역, 즉 셀(122) 내부의 단말(131, 132)과 이동 통신망(112)의 게이트웨이(110)를 연결하며, 단말(131, 132)과의 무선 연결 설정을 제어한다.
단말(131, 132)은 기지국(120)과 게이트웨이(110)를 통해 이동 통신망(112)에 접속하며, 상대 단말과 단말간 직접 통신을 수행한다.
발신 단말(131)이 착신 단말(132)로 전화를 걸면, 연결 설정 관련 신호가 발신 단말(131), 기지국(120), 게이트웨이(110), 기지국(120) 및 착신 단말(132) 사이에서 전달되어 연결이 설정된다. 그리고 게이트웨이(110)는 착신 단말(132)의 위치를 파악하여 발신 단말(131)과 착신 단말(132)이 동일 셀 내에 있을 경우에 사용자 데이터 트래픽이 기지국(120)이나 게이트웨이(110)를 거치지 않고 발신 단말(131)과 착신 단말(132) 사이에서 직접 송수신되도록 두 단말(131, 132)을 제어한다.
도 2를 참고하면, 발신 단말(131)과 착신 단말(132)이 서로 다른 셀(122a, 122b)에 위치한다. 이 경우, 발신 단말(131)이 착신 단말(132)로 전화를 걸면, 연결 설정 관련 신호가 발신 단말(131), 발신 단말(131)이 속한 기지국(120a), 게이트웨이(110), 착신 단말(132)이 속한 기지국(120b) 및 착신 단말(132) 사이에서 전달되어 연결이 설정된다. 그리고 게이트웨이(110)는 두 단말(131, 132)의 위치와 두 단말간 직접 통달 거리를 확인한 후, 두 단말(131, 132)이 직접 통달 거리 범위 내에 있을 경우에는 두 단말간 직접 통신이 가능하도록 두 단말(131, 132)을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트래픽 제어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발신 단말(131)이 착신 단말(132)로 전화를 걸면, 먼저 발신 단말(131)이 발신 기지국(120a)으로 연결을 요청한다(S310). 발신 기지국(120a)은 발신 단말(131)에 무선 자원을 할당한 후(S312), 연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발신 단말(131)에게 무선 자원 할당되었음을 알린다(S314). 또한 발신 기지국(120a)은 이동 통신망의 게이트웨이(110)로 발신 단말(131)과 착신 단말(132)의 인증 및 위치 확인을 요청한다(S316). 게이트웨이(110)는 발신 및 착신 단말(131, 132)을 인증한 후(S318), 착신 기지국(120b)으로 발신 호의 착신을 요청한다(S320). 착신 기지국(120b)은 셀 내의 단말로 착신 페이징을 방송하고(S322). 착신 페이징을 받은 단말 중에서 착신 단말(132)은 자신에게 착신이 도달한 것을 감지하고 착신 기지국(120b)으로 무선 연결 설정을 요청한다(S324). 착신 기지국(120b)은 착신 단말(132)에 무선 자원을 할당하고(S326), 연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착신 단말(132)로 무선 자원이 할당되었음을 알린다(S328). 또한 착신 기지국(120b)은 게이트웨이(110)로 착신 요청에 대한 응답을 전송한다(S330).
다음, 게이트웨이(110)는 발신 단말(131)과 착신 단말(132)의 위치를 파악하여, 두 단말(131, 132)이 동일 셀 내에 있는지 서로 다른 셀에 있으면서 두 단말(131, 132)이 직접 통달 거리 범위 내에 있는지를 확인한다(S332). 이 조건을 만족하면 게이트웨이(110)는 두 단말(131, 132)이 연결되었음을 발신 및 착신 기지국(120a, 120b)으로 통지하여서(S334, S336), 발신 및 착신 기지국(120a, 120b)이 각각 발신 및 착신 단말(131, 132)로 단말간 직접 통신을 지시할 것을 요청한다. 이에 따라 발신 및 착신 기지국(120a, 120b)은 각각 발신 및 착신 단말(131, 132)에게 연결을 통지하여서 단말간 직접 통신을 지시한다(S338, S340). 이때 게이트웨이(110)는 발신 및 착신 기지국(120a, 120b)을 연결을 통지하는 메시지에 두 단말간 연결 유무 및 상대 단말에 대한 정보를 실어 보낼 수 있다.
발신 단말(131)이 게이트웨이(110)로부터 연결 통지 메시지를 받으면, 임의 시간 내에 직접 통신을 위한 연결 시도 메시지를 착신 단말(132)로 직접 전송한다(S342). 연결 시도 메시지를 받은 착신 단말(132)은 연결 확인 응답 메시지를 발신 단말(131)로 직접 전송한다(S344). 그러면 두 단말(131, 132)은 직접 트래픽을 주고 받을 수 있는 단말간 직접 통신 상태로 전환된다. 한편, 도 3에서는 발신 단말(131)이 연결 시도 메시지를 착신 단말(132)로 전송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와 달리 착신 단말(132)이 게이트웨이(110)로부터 연결 통지 메시지를 받은 후 연결 시도 메시지를 발신 단말(131)로 전송하고 발신 단말(131)이 이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여서, 두 단말(131, 132)이 직접 통신 상태로 전환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두 단말(131, 132)은 사용자 트래픽을 기지국(120a, 120b)을 거치지 않고 직접 주고 받는다(S346).
통화가 종료되는 경우에는 두 단말(131, 132) 중 어느 하나의 단말이 연결을 종료한다(S348, S350). 예를 들면 발신 단말(131)이 연결 종료 메시지를 착신 단말(132)로 전송하고(S348), 착신 단말(132)이 발신 단말(131)로 종료 확인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여서(S350), 직접 통신 연결을 종료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착신 단말(132)이 연결 종료 메시지를 발신 단말(131)로 전송하고, 발신 단말(131)이 착신 단말(132)로 종료 확인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여서, 직접 통신 연결을 종료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는 발신 기지국(120a)과 착신 기지국(120b)이 별도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도 1과 같이 발신 단말(131)과 착신 단말(132)이 하나의 셀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발신 기지국(120a)과 착신 기지국(120b)이 하나의 기지국일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단말(131/132)과 기지국(120a/120b)이 직접 통신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단말(131/132)과 기지국(120a/120b)은 중계기 등의 통신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거쳐서 통신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설정 등의 제어 신호는 기지국을 거쳐 송수신하지만, 사용자 트래픽을 단말 사이에서 직접 주고 받을 수 있으므로, 사용자 트래픽 증가로 인한 이동 통신망의 부하를 줄일 수 있으며, 이동 통신망에 대한 설비 투자 비용이나 운영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데이터 트래픽이 이동 통신망을 거치지 않고 단말 사이에서 직접 전달됨으로써 단말은 저렴하게 통신 서비스 제공받을 수 있으며, 또한 단말간 직접 통신을 통해 단말의 배터리 사용을 줄일 수도 있다.
다음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트래픽 제어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트래픽 제어 장치에 대해서 도 4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트래픽 제어 장치는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 게이트웨이(110)이거나 게이트웨이(110)에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트래픽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트래픽 제어 장치(400)는 송수신부(410), 인증부(420) 및 연결 설정부(430)를 포함한다.
송수신부(410)는 발신 기지국으로부터 발신 및 착신 단말의 인증 및 위치 확인 요청을 수신하며, 착신 기지국으로 발신 호의 착신을 요청한다. 또한 송수신부(410)는 착신 기지국으로부터 발신 호에 대한 착신 응답 신호를 수신하고, 발신 및 착신 기지국으로 발신 및 착신 단말이 연결되었음을 통지한다.
인증부(420)는 발신 기지국으로부터 발신 및 착신 단말의 인증 요청에 따라 발신 및 착신 단말을 인증한다.
연결 설정부(430)는 발신 및 착신 단말의 위치를 파악하여 두 단말이 동일 셀 내에 있는지 서로 다른 셀에 있으면서 직접 통달 거리 범위 내에 있는지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따라 단말간 직접 통신을 결정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20)

  1. 이동 통신망의 트래픽 제어 장치의 트래픽 제어 방법으로서,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의 위치에 기초하여 단말간 직접 통신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단말간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한 경우, 상기 발신 단말의 제1 기지국과 상기 착신 단말의 제2 기지국으로 각각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로 단말간 직접 통신을 지시할 것을 요청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트래픽 제어 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단말간 직접 통신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이 동일 셀 내에 있는 경우 상기 단말간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트래픽 제어 방법.
  3. 제2항에서,
    상기 제1 기지국과 상기 제2 기지국은 동일한 기지국인 트래픽 제어 방법.
  4. 제1항에서,
    상기 단말간 직접 통신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이 서로 다른 셀 내에 있고,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이 통달 거리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상기 단말간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트래픽 제어 방법.
  5. 제1항에서,
    상기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상기 착신 단말의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제2 기지국으로 상기 발신 단말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트래픽 제어 방법.
  6. 제5항에서,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의 인증 및 위치 확인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2 기지국으로 착신을 요청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트래픽 제어 방법.
  7. 제1항에서,
    상기 단말간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의 사이의 사용자 트래픽은 상기 제1 및 제2 기지국을 거치지 않고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의 사이에서 직접 전송되는 트래픽 제어 방법.
  8. 이동 통신망의 단말의 트래픽 제어 방법으로서,
    기지국으로 착신 단말로의 연결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단말간 직접 통신 지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착신 단말과 단말간 직접 통신의 연결을 위한 메시지를 교환하여서 단말간 직접 통신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기지국을 거치지 않고 상기 착신 단말과 직접 사용자 트래픽을 주고 받는 단계
    를 포함하는 트래픽 제어 방법.
  9. 제8항에서,
    상기 단말간 직접 통신 지시는 상기 이동 통신망의 게이트웨이가 상기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의 위치에 기초하여 단말간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에 전송되는 트래픽 제어 방법.
  10. 제9항에서,
    상기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이 동일 셀 내에 있거나 상기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이 서로 다른 셀 내에 있으면서 통달 거리 범위 내에 있는 경우에, 상기 단말간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되는 트래픽 제어 방법.
  11. 제8항에서,
    상기 단말간 직접 통신 지시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착신 단말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트래픽 제어 방법.
  12. 제8항에서,
    상기 단말간 직접 통신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착신 단말로 단말간 직접 통신을 위한 연결 시도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착신 단말로부터 상기 연결 시도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트래픽 제어 방법.
  13. 제8항에서,
    상기 단말간 직접 통신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착신 단말로부터 단말간 직접 통신을 위한 연결 시도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착신 단말로 상기 연결 시도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트래픽 제어 방법.
  14. 제8항에서,
    상기 착신 단말로 상기 단말간 직접 통신의 연결 종료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착신 단말로부터 상기 연결 종료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트래픽 제어 방법.
  15. 제8항에서,
    상기 착신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간 직접 통신의 연결 종료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착신 단말로 상기 연결 종료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트래픽 제어 방법.
  16. 이동 통신망의 트래픽 제어 장치로서,
    발신 단말과 착신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며,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의 위치에 기초하여 단말간 직접 통신 여부를 결정하는 연결 설정부, 그리고
    상기 연결 설정부에서 상기 단말간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한 경우, 상기 발신 단말의 제1 기지국과 상기 착신 단말의 제2 기지국으로 각각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로 단말간 직접 통신을 지시할 것을 요청하는 송수신부
    를 포함하는 트래픽 제어 장치.
  17. 제16항에서,
    상기 연결 설정부는,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이 동일 셀 내에 있는 경우 상기 단말간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트래픽 제어 장치.
  18. 제16항에서,
    상기 연결 설정부는,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이 서로 다른 셀 내에 있으면서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이 직접 통달 거리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상기 단말간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트래픽 제어 장치.
  19. 제16항에서,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상기 착신 단말의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제2 기지국으로 상기 발신 단말의 정보를 전송하는 트래픽 제어 장치.
  20. 제16항에서,
    상기 단말간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의 사이의 사용자 트래픽은 상기 제1 및 제2 기지국을 거치지 않고 상기 발신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의 사이에서 직접 전송되는 트래픽 제어 장치.
KR1020100113938A 2010-11-16 2010-11-16 트래픽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4189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3938A KR101418994B1 (ko) 2010-11-16 2010-11-16 트래픽 제어 방법 및 장치
US13/295,116 US20120120794A1 (en) 2010-11-16 2011-11-14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ffic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3938A KR101418994B1 (ko) 2010-11-16 2010-11-16 트래픽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2672A true KR20120052672A (ko) 2012-05-24
KR101418994B1 KR101418994B1 (ko) 2014-07-11

Family

ID=46047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3938A KR101418994B1 (ko) 2010-11-16 2010-11-16 트래픽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20120794A1 (ko)
KR (1) KR1014189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4266A (ko) * 2014-05-21 2015-12-01 삼성전자주식회사 파일을 전송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01736B2 (en) * 2012-12-13 2015-04-07 Sony Corporation Network-controlled terminal-to-terminal direct communication in wireless telecommunication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80704B1 (en) * 1999-08-26 2003-06-17 Nokia Corporation Direct mode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wo mobile terminals in access point controlled wireless LAN systems
KR100426252B1 (ko) * 2001-09-18 2004-04-08 아이피원(주) 이동통신단말기의 피어투피어 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20050101491A (ko) * 2004-04-19 2005-10-24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데이터 전송 방법
US20050288045A1 (en) * 2004-06-28 2005-12-29 Yang Jianhao M Apparatus, and an associated method, for forming direct data connection between applications of a set of mobile stations
KR101375481B1 (ko) * 2007-07-06 2014-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모드 결정 방법 및 장치
KR100969757B1 (ko) * 2007-07-09 2010-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피어 투 피어 통신 방법 및 시스템
KR100989082B1 (ko) * 2008-08-07 2010-10-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 단말간 보안 상황 정보 교환 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4266A (ko) * 2014-05-21 2015-12-01 삼성전자주식회사 파일을 전송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8994B1 (ko) 2014-07-11
US20120120794A1 (en) 2012-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47405B2 (en) Cellular system with cybercells
JP5383025B2 (ja) ユーザグループのサポートのある柔軟なネットワークアーキテクチャ
AU2007262746B2 (en) Network selection
US8982843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handover in such a system
WO2011055999A2 (ko) 무선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US20120225646A1 (en) Communication system, compact base station, and communication method
KR20140072968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연결을 이용한 단말의 핸드오버 방법
JP2008538477A (ja) 移動通信端末のハンドオーバーが可能な非同期網と同期網が混在した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ハンドオーバー方法
US2014029582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ffic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O2011136104A1 (ja) 移動局及び無線制御装置
JP5997487B2 (ja) 無線通信端末、通信制御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CN110087269B (zh) 用户设备接入网络的方法和接入设备
KR101418994B1 (ko) 트래픽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30102013A (ko) 다중모드 장치 및 그 통신 방법
KR20130017709A (ko) 데이터 오프로딩 접속을 제어하는 기지국 장치 및 가상화 기지국 시스템
WO2024065440A1 (en) Method for relay communications
JP5659296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及び通信制御方法
JP2002237837A (ja) アクセスポイント装置
JP4882029B2 (ja) 移動通信端末のハンドオーバーが可能な非同期網と同期網が混在した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ハンドオーバー方法
WO2023092485A1 (en) Service continuity of sidelink relay communication
WO2023138352A1 (zh) 一种用于系统间互操作的方法和装置
JPWO2010035835A1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無線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JP2023006096A (ja) 基地局及び通信制御方法
KR20150030588A (ko) 무선랜 정보 전송 방법 및 네트워크 시스템
CN116980897A (zh) 通信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