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1338A - 전기영동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영동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1338A
KR20120051338A KR1020100112725A KR20100112725A KR20120051338A KR 20120051338 A KR20120051338 A KR 20120051338A KR 1020100112725 A KR1020100112725 A KR 1020100112725A KR 20100112725 A KR20100112725 A KR 20100112725A KR 20120051338 A KR20120051338 A KR 201200513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ck matrix
black
electrode
pigment
matrix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2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추지
김진욱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2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51338A/ko
Publication of KR20120051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13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6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 G02F1/167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by electrophoresi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2Light shielding layers, e.g. black matrix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누설전류를 방지할 수 있는 전기영동표시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영동표시장치는, 서로 대향하는 제1 지지기판과 제2 지지기판; 상기 제1 지지기판의 일면 상에, 제1 방향으로 형성되는 게이트라인; 상기 제1 지지기판의 일면 상에, 상기 게이트라인과 절연되고, 제1 방향에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형성되는 데이터라인; 상기 게이트라인과 데이터라인에 연결되는 트랜지스터; 상기 트랜지스터 상부에, 상기 트랜지스터와 중첩되도록, 수지 블랙매트릭스 재료로 형성되어, 상기 트랜지스터를 커버하는 블랙매트릭스; 상기 트랜지스터와 연결되어 복수의 화소에 각각 대응하는 화소전압이 인가되는 화소전극; 상기 제2 지지기판 상에 상기 화소전극에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화소에 대응하는 공통전압이 인가되는 공통전극; 및 상기 화소전극과 공통전극 사이에, 서로 다른 극성으로 하전되는 백색안료와 흑색안료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캡슐이 나란히 배열되어 형성되는 잉크층을 포함하고, 상기 수지 블랙매트릭스 재료는, 전체 용질 중 20~70 중량비(wt%)의 함량을 갖고, 흑색을 발현하는 블랙 피그먼트와, 전체 용질 중 10 중량비(wt%) 미만의 함량을 갖고, 상기 블랙 피그먼트에 의해 발현되는 흑색을 보완하는 카본 블랙을 함유하는 혼합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전기영동표시장치{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전기영동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본격적인 정보화 시대로 접어듦에 따라 전기적 정보신호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디스플레이(display)분야가 급속도로 발전해 왔고, 이에 부응하여 박형화, 경량화, 저소비전력화의 우수한 성능을 지닌 여러 가지 다양한 평판 표시장치(Flat Display Device)가 개발되어 기존의 브라운관(Cathode Ray Tube: CRT)을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
이 같은 평판 표시장치의 구체적인 예로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전기영동표시장치(Electrophoretic Display: EPD, Electric Paper Display),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device: PDP), 전계방출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FED), 전기발광표시장치(Electro luminescence Display Device: ELD) 및 전기습윤표시장치(Electro-Wetting Display: EWD)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공통적으로 영상을 구현하는 평판 표시패널을 필수적인 구성요소로 하는 바, 평판 표시패널은 고유의 발광물질 또는 편광물질층을 사이에 두고 한 쌍의 기판을 대면 합착시킨 구성을 갖는다.
그 중, 전기영동표시장치는, 콜로이드용액에 소정의 전계(Electric field)가 형성되면, 콜로이드용액 내의 콜로이드입자가 양극 또는 음극으로 이동하는 현상, 즉 전기영동(Electrophoresis)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전기영동표시장치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전극과, 한 쌍의 전극 사이에, 서로 다른 극성으로 하전되는 백색안료와 흑색안료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캡슐들이 나란히 배열되어 형성되는 잉크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전기영동표시장치는, 복수의 화소 각각에서, 대향하는 한 쌍의 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소정의 전계에 의해, 복수의 캡슐 각각의 백색안료와 흑색안료가 서로 반대 극성으로 이동하고, 백색안료가 외부광이 입사되는 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외부광이 백색안료에 의해 반사되어 외부로 방출되면서 백색을 표시하고, 반대로, 흑색안료가 외부광이 입사되는 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백색안료에 의해 외부광이 차단되어 흑색을 표시함으로써, 단색 화상의 표시를 구현한다. 이러한 전기영동표시장치는, 반사율이 높아서 콘트라스트비(contrast ratio)가 높은 장점과, 액정표시장치보다 시야각(viewing angle)이 넓어서, 종이 같은 편안한 느낌으로 화상이 표시되는 장점 및 백색안료와 흑색안료가 서로 반대극성으로 이동한 이후에는 백색안료와 흑색안료가 쌍안정(bistable)해지는 특성에 의해, 한 프레임 동안 한 쌍의 전극 사이에 전계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필요가 없어서, 소비전력이 작은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전기영동표시장치는 신문, 책 등의 종이매체를 대체하기 위한 전자북(e-paper)에 적절히 적용될 수 있는 평판표시장치로 주목받고 있다.
또한, 전기영동표시장치는, 복수의 화소에 각각 대응하는 전계 형성 여부를 제어하는 트랜지스터 어레이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트랜지스터 어레이는, 복수의 화소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트랜지스터 및 복수의 트랜지스터에 게이트신호 또는 데이터신호를 인가하는 게이트라인과 데이터라인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런데, 잉크층에 포함되는 복수의 캡슐은 나란하게 배치되기 때문에, 이웃한 캡슐 사이에 미세한 틈이 발생한다. 이러한 캡슐 사이의 미세한 틈을 통해, 외부광이 트랜지스터 어레이로 입사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외부광에 의해 트랜지스터에 누설전류가 발생하여, 트랜지스터의 오동작 및 전력소모의 증가가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트랜지스터 어레이로 입사되는 외부광을 차단하여, 외부광에 의한 트랜지스터의 누설전류 발생 및 그로 인한 전력소모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는 전기영동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로 대향하는 제1 지지기판과 제2 지지기판; 상기 제1 지지기판의 일면 상에, 제1 방향으로 형성되는 게이트라인; 상기 제1 지지기판의 일면 상에, 상기 게이트라인과 절연되고, 제1 방향에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형성되는 데이터라인; 상기 게이트라인과 데이터라인에 연결되는 트랜지스터; 상기 트랜지스터 상부에, 상기 트랜지스터와 중첩되도록, 수지 블랙매트릭스 재료로 형성되어, 상기 트랜지스터를 커버하는 블랙매트릭스; 상기 트랜지스터와 연결되어 복수의 화소에 각각 대응하는 화소전압이 인가되는 화소전극; 상기 제2 지지기판 상에 상기 화소전극에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화소에 대응하는 공통전압이 인가되는 공통전극; 및 상기 화소전극과 공통전극 사이에, 서로 다른 극성으로 하전되는 백색안료와 흑색안료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캡슐이 나란히 배열되어 형성되는 잉크층을 포함하고, 상기 수지 블랙매트릭스 재료는, 전체 용질 중 20~70 중량비(wt%)의 함량을 갖고, 흑색을 발현하는 블랙 피그먼트와, 전체 용질 중 10 중량비(wt%) 미만의 함량을 갖고, 상기 블랙 피그먼트에 의해 발현되는 흑색을 보완하는 카본 블랙을 함유하는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전기영동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영동표시장치는, 복수의 트랜지스터 각각의 상부에, 수지 블랙매트릭스 재료로 형성되는 블랙매트릭스를 포함하여, 이웃한 캡슐 사이의 미세한 틈을 통해 입사된 광이 트랜지스터에 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에 의해 트랜지스터에서 누설전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전력소모가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영동표시장치에서, 블랙매트릭스는, 복수의 트랜지스터 뿐만 아니라, 트랜지스터에 연결되는 게이트라인과 데이터라인 각각의 상부에 더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블랙매트릭스에 의해 외부광이 차단되어, 금속으로 형성되는 게이트라인과 데이터라인에 의한 외부광의 반사가 방지되므로, 콘트라스트비의 저하가 방지될 수 있다.
이때, 수지 블랙매트릭스 재료는, 흑색을 발현하는 블랙 피그먼트를 함유하고, 블랙 피그먼트의 함량으로 블랙매트릭스의 광학밀도를 조절함에 따라, 고유전율 및 저저항의 전기적특성을 초래하는 카본블랙을 주재료로 포함하지 않으므로, 트랜지스터의 오작동을 유발하지 않는, 10 미만의 낮은 유전율 및 1012 (Ω) 이상의 높은 저항을 갖는다. 이러한 수지 블랙매트릭스 재료로 형성되는 블랙매트릭스는 저유전율 및 고저항의 전기적특성을 가지므로, 블랙매트릭스의 전기적특성에 의한 오작동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표시장치의 등가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표시장치의 하부기판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I-I'의 단면도로써, 화소가 백색을 표시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I-I'의 단면도로써, 화소가 흑색을 표시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표시장치의 하부기판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랙매트릭스를 형성하는 수지 블랙매트릭스 재료의 광학밀도 및 면저항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표시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표시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표시장치의 등가회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표시장치는, 서로 대향하는 하부기판과 상부기판, 및 하부기판과 상부기판 사이에 형성되는 잉크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하부기판은 복수의 화소에 각각 대응하는 휘도를 제어하는 트랜지스터 어레이 및 트랜지스터 어레이에 연결되어 복수의 화소에 각각 대응하는 화소전압이 인가되는 화소전극을 포함한다. 상부기판은 복수의 화소에 대응하는 공통전압이 인가되는 공통전극을 포함한다. 또한, 상부기판은, 복수의 화소에 각각 대응하여, 특정 색에 해당하는 파장영역의 광을 투과하는 염료 또는 안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컬러필터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컬러필터층에 의해, 복수의 화소 각각에서, 적색(Red: R), 녹색(Green: G), 청색(Blue: B) 및 백색(White) 중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광이 방출됨으로써, 전기영동표시장치는 컬러화상의 표시를 구현할 수도 있다. 그리고, 잉크층은 서로 다른 극성으로 하전되는 백색안료와 흑색안료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캡슐이 나란히 배열되어 형성된다.
트랜지스터 어레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화소에 각각 대응하고, 복수의 화소전극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트랜지스터(TFT), 복수의 트랜지스터에 연결되어, 게이트신호를 인가하는 게이트라인(GL: Gate Line), 복수의 트랜지스터에 연결되어, 데이터신호를 인가하는 데이터라인(DL: Data Line)을 포함한다. 이때, 도 1에서, 잉크커패시터(Cink)는, 복수의 화소에 각각 대응하여, 화소전극과 공통전극 사이에 발생된 전계에 따라 발생되는 잉크층의 커패시턴스(Capacitance)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백색안료가 (-)극성을 띄고, 흑색안료가 (+)극성을 띄도록 하전된 것으로 가정하면, 전기영동표시장치가 화상을 표시하기 위하여, 복수의 화소 각각은, 다음과 같이 광을 방출한다.
즉, 복수의 화소 중 어느 하나의 화소는, 공통전극에 공통전압이 인가되는 상태에서, 게이트라인(GL)의 게이트신호에 응답하여, 트랜지스터(TFT)가 턴온하면, 데이터라인(DL)의 데이터신호에 대응한 소정의 전압이 화소전극에 인가되고, 이때, 화소전압이 공통전압보다 낮은 전압레벨이면, (+)극성의 흑색안료가 낮은 전압레벨의 화소전극이 배치된 하측으로 이동하고, (-)극성의 백색안료가 높은 전압레벨의 공통전극이 배치된 상측으로 이동하여, 상측에서 입사되는 외부광이 백색안료에 의해 반사됨으로써, 광을 방출하므로, 백색(white)을 나타내게 된다. 반대로, 화소전압이 공통전압보다 높은 전압레벨이면, (-)극성의 백색안료가 높은 전압레벨의 화소전극이 배치된 하측으로 이동하고, (+)극성의 흑색안료가 낮은 전압레벨의 공통전극이 배치된 상측으로 이동하여, 상측에서 입사되는 외부광이 흑색안료에 의해 차단됨으로써, 광이 방출되지 않게 되므로, 하나의 화소는 흑색(검정색, black)을 나타내게 된다. 그러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백색안료와 흑색안료 각각은 (+)극성, (-)극성을 갖도록 하전될 수도 있다.
다음, 도 2, 도 3a 및 도 3b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표시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표시장치의 하부기판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I-I'의 단면도로써, 화소가 백색을 표시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고,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I-I'의 단면도로써, 화소가 흑색을 표시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표시장치에 있어서, 하부기판은, 복수의 화소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트랜지스터(TFT)와 복수의 트랜지스터(TFT)에 연결되는 게이트라인(GL)과 데이터라인(DL)을 포함하는 트랜지스터 어레이, 복수의 트랜지스터(TFT) 각각의 상부에 수지 블랙매트릭스 재료로 형성되어 복수의 트랜지스터(TFT)를 커버하는 블랙매트릭스(GM), 및 복수의 트랜지스터(TFT)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화소전극(PX)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트랜지스터 어레이에 있어서, 게이트라인(GL)은, 제1 방향으로 형성되고, 데이터라인(DL)은 제1 방향에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때, 도 2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게이트라인(GL)과 데이터라인(DL)은, 그 사이에 형성되는 게이트절연층(미도시, 도 3a과 도 3b에서 120에 해당됨)에 의해, 서로 절연된다.
트랜지스터(TFT)는 게이트라인(GL)과 데이터라인(DL)이 교차하는 영역에 배치되는데, 게이트라인(GL)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게이트전극(GX), 데이터라인(DL)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소스전극(SX), 소스전극(SX)에서 이격되어 형성되는 드레인전극(DX) 및 소스전극(SX)과 드레인전극(DX) 사이에 채널을 형성하는 반도체층(ACT)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블랙매트릭스(BM)는 트랜지스터(TFT)의 상부에 수지 블랙매트릭스 재료로 형성되어, 트랜지스터(TFT)를 커버함으로써, 트랜지스터(TFT) 측으로 입사되는 광을 차단한다. 이때, 수지 블랙매트릭스 재료는 트랜지스터(TFT)의 오작동을 유발하지 않을 정도의 고저항, 저유전율을 가지며,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화소전극(PX)은 콘택홀(CTH: ConTack Hole)을 통해 드레인전극(DX)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표시장치는, 서로 대향하는 하부기판(100)과 상부기판(200) 및 하부기판(100)과 상부기판(200) 사이에, 서로 다른 극성으로 하전되는 백색안료(310)와 흑색안료(320)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캡슐(330)이 나란하게 배열되어 형성되는 잉크층(300), 상부기판(200) 상에 형성된 잉크층(300)을 하부기판(100)에 점착하는 접착층(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하부기판(100)은, 제1 지지기판(110), 제1 지지기판(110) 상에 제1 방향으로 형성되는 게이트라인(도 2에서 GL에 해당됨)과 게이트라인(GL)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게이트전극(GX), 게이트라인(GL)과 게이트전극(GX)을 포함한 제1 지지기판(110) 상의 전면에 형성되는 게이트절연층(120), 게이트절연층(120) 상에 게이트전극(GX)과 적어도 일부 중첩되도록 형성되는 반도체층(ACT), 게이트절연층(120) 상에 제2 방향으로 형성되는 데이터라인(DL), 반도체층(ACT)의 일측과 적어도 일부 중첩되도록 데이터라인(DL)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소스전극(SX), 반도체층(ACT)의 다른 일측과 적어도 일부 중첩되도록 소스전극(SX)에서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드레인전극(DX), 반도체층(ACT)과 데이터라인(DL)과 소스전극(SX)과 드레인전극(DX)을 포함한 게이트절연층(120) 상의 전면에 형성되는 층간절연층(130), 층간절연층(130) 상에 반도체층(ACT)과 중첩되어 형성되는 블랙매트릭스(BM) 및 블랙매트릭스(BM)를 포함한 층간절연층(130) 상의 전면에 평평하게 형성되는 평탄화층(140), 드레인전극(DX)의 적어도 일부영역에 대응하여 평탄화층(140)에 형성되는 콘택홀(CTH) 및 평탄화층(140) 상에 형성되고 콘택홀(CTH)을 통해 드레인전극(DX)에 연결되는 화소전극(PX)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 지지기판(110)은, 유리(GLASS), 스테인레스(stainless:SUS) 등과 같이, 절연성(insulating)을 갖는 물질로 선택되고, 또한 전기영동표시장치가 유연한 장치로 형성되도록, 폴리이미드(polyimide)와 같이, 절연성과 유연성(flexible)을 갖는 물질로 선택될 수도 있다.
게이트라인(GL)과 게이트전극(GX)는 제1 지지기판(110) 상에,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크롬(Cr), 금(Au), 티타늄(Ti), 니켈(Ni), 네오디뮴(Nd) 및 구리(Cu)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단일층 또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다중층 또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합금으로 형성되고, 특히, 몰리브덴/알루미늄-네오디뮴 또는 몰리브덴/알루미늄의 2중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절연층(120)은, 게이트라인(GL)과 게이트전극(GX)을 커버하도록, 제1 지지기판(110)의 전면에, 유기절연물 및 SiNx 또는 SiOx 등과 같은 무기절연물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단일층 또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다중층으로 형성된다.
반도체층(ACT)은 게이트절연층(120) 상에, 비정질실리콘(a-Si)과 불순물이 도핑된 실리콘 중 어느 하나의 단일층 또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복수층으로 형성된다.
데이터라인(DL), 소스전극(SX) 및 드레인전극(DX)은, 게이트절연층(120) 상에,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크롬(Cr), 금(Au), 티타늄(Ti), 니켈(Ni), 네오디뮴(Nd) 및 구리(Cu)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단일층 또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다중층 또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합금으로 형성되고, 특히, 몰리브덴/알루미늄-네오디뮴 또는 몰리브덴/알루미늄의 2중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층간절연층(130)은, 데이터라인(DL), 소스전극(SX) 및 드레인전극(DX)을 커버하도록, 게이트절연층(120)의 전면에, 유기절연물 및 SiNx 또는 SiOx 등과 같은 무기절연물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단일층 또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다중층으로 형성된다.
블랙매트릭스(BM)는, 반도체층(ACT)과 중첩하는 층간절연층(130) 상의 일부 영역에, 수지 블랙매트릭스 재료로 형성된다. 여기서, 수지 블랙매트릭스 재료는, 전체 용질 중 20~70 중량비(wt%)의 함량을 갖고, 흑색을 발현하는 블랙 피그먼트와, 전체 용질 중 10 중량비(wt%) 미만의 함량을 갖고, 상기 블랙 피그먼트에 의해 발현되는 흑색을 보완하는 카본 블랙을 함유하는 혼합물로 이루어진다. 수지 블랙매트릭스 재료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블랙매트릭스(BM)는 반도체층(ACT) 뿐만 아니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전극(GX), 소스전극(SX) 및 드레인전극(DX)을 모두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화소전극(PX)은 게이트전극(GX), 소스전극(SX) 및 드레인전극(DX)을 포함하는 트랜지스터(TFT) 상부를 평평하게 하는 평탄화층(140) 상에, 도전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되고, 콘택홀(CTH)을 통해 드레인전극(DX)에 연결된다. 이때, 화소전극(PX)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ITZO(Indium Tin Zinc Oxide), SnO2, ZnO, In2O3, TiO2 중 어느 하나의 금속산화물 및 이들 금속산화물에 F, Sn, Al, Fe, Ga, Nb 중 적어도 하나의 불순물이 도핑된 물질과 같이, 투명도전성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고, 마그네슘(Mg), 칼슘(Ca), 알루미늄(Al), 은(Ag)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단일층 또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합금과 같이, 금속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부기판(200)은, 제2 지지기판(210)과 제2 지지기판(210) 상에 복수의 화소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공통전극(2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2 지지기판(210)은, 투과성과 절연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되며, 유연성을 더 갖는 재료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공통전극(220)은, 하부기판(100)에 마주하는 제2 지지기판(210)의 일면에, 투명도전성물질로 형성된다. 즉, 공통전극(220)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ITZO(Indium Tin Zinc Oxide), SnO2, ZnO, In2O3, TiO2 중 어느 하나의 금속산화물 및 이들 금속산화물에 F, Sn, Al, Fe, Ga, Nb 중 적어도 하나의 불순물이 도핑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부기판은, 복수의 화소에 각각 대응하여, 특정 색에 해당하는 파장영역의 광을 투과하는 염료 또는 안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컬러필터층(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잉크층(300)은, 서로 다른 극성으로 하전되는 백색안료(310)와 흑색안료(320)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캡슐(330)을 포함한다. 여기서, 복수의 캡슐(330) 각각은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백색안료(310)와 흑색안료(320)가 분산되어 있는 솔벤트(solvent)를 밀봉한 형태를 갖는다. 예를 들어, 복수의 캡슐(330) 각각은 40㎛ 내외의 지름을 갖는 구 형으로, 그 내부에 IPA(isopropyl alcohol) 등으로 이루어진 용매와, 용매 내에 분산되는 백색안료(310)와 흑색안료(320)가 밀봉되어 구성된다. 이때, 백색안료(310)와 흑색안료(320)는 나노크기를 갖고, 백색안료(310)는 산화티탄계로 선택되며, 흑색안료(320)는 카본계로 선택된다. 또한, 백색안료(310)와 흑색안료(320)는 서로 다른 (-)전하와 (+)전하로 각각 하전된다.
이러한 잉크층(300)은, 전하를 띤 안료입자(charged pigment particles)들을 포함한 솔벤트(solvent)를 코아서베이션 (coacervation)방법으로 마이크로캡슐화하여, 복수의 캡슐(330)을 형성하고, 복수의 캡슐(330)을 바인더(binder)에 혼합하여 베이스필름에 코팅(coating) 또는 라미네이팅(laminating)시켜 형성한다. 이때, 솔벤트와 바인더는 투명한 물질로 형성하여 빛이 통과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잉크층(300)에 있어서, 백색안료(310)와 흑색안료(320)는 마이크로캡슐막으로 둘러싸이므로, 인접한 화소의 전계으로부터 영향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백색안료(310)와 흑색안료(320)를 (-)전하와 (+)전하로 각각 하전한 경우를 예로 들어보면, 복수의 화소 중 어느 하나에서, 공통전극(220)에 공통전압을 인가한 상태에서, 화소전극(PX)에 공통전압보다 낮은 전압레벨의 화소전압이 인가되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하의 흑색안료(320)가 화소전극(PX) 측으로 이동하고, (-)전하의 백색안료(310)가 공통전극(220) 측으로 이동하여, 상부기판(200)을 통해 입사된 외부광이 백색안료(310)에 의해 반사되어 외부로 방출됨으로써, 백색을 표시한다. 또는, 복수의 화소 중 어느 하나에서, 공통전극(220)에 공통전압을 인가한 상태에서, 화소전극(PX)에 공통전압보다 높은 전압레벨의 화소전압이 인가되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하의 백색안료(310)가 화소전극(PX) 측으로 이동하고, (+)전하의 흑색안료(320)가 공통전극(220) 측으로 이동하여, 상부기판(200)을 통해 입사된 외부광이 흑색안료(320)에 의해 차단됨으로써, 흑색을 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표시장치는, 트랜지스터(TFT)를 커버하는 블랙매트릭스(BM)를 포함하므로, 복수의 캡슐(330) 사이의 미세한 틈을 통해 트랜지스터(TFT) 측으로 광이 입사되더라도, 블랙매트릭스(BM)에 의해 차단되어, 광에 의해 트랜지스터(TFT)에서 누설전류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누설전류로 인한 오작동 및 전력소모 증가가 최소화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표시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표시장치의 하부기판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표시장치는, 블랙매트릭스(BM)가 게이트라인(GL)과 데이터라인(DL)과 트랜지스터(TFT)를 커버하도록 형성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2,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블랙매트릭스(BM')는, 층간절연층(140) 상에, 게이트라인(GL), 데이터라인(DL) 및 트랜지스터(TFT)와 중첩하도록, 수지 블랙매트릭스 재료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복수의 캡슐(330) 사이의 미세한 틈을 통해, 하부기판(100) 측으로 광이 입사되더라도, 블랙매트릭스(BM')에 의해 차단되어, 광에 의해 트랜지스터(TFT)에서 누설전류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금속으로 형성되는 게이트라인(GL)과 데이터라인(DL)에 의해 광이 반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게이트라인(GL)과 데이터라인(DL)에 의한 광의 반사로 유발되는 콘트라스트비의 저하가 방지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표시장치에서, 블랙매트릭스(BM, BM')을 형성하는 수지 블랙매트릭스 재료에 대해 설명한다.
액정표시장치 등에서, 화소영역 외곽의 빛샘을 차단하기 위한 블랙매트릭스로 적용되는 종래의 수지 블랙매트릭스 재료는 광차단율이 향상되도록, 흑색(black)의 발현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높은 함량의 카본 블랙(Black Carbon)을 염료로 함유한다. 예를 들어, 종래의 수지 블랙매트릭스 재료는, 약 3 (/㎛)의 광학밀도(OPTICAL DENSITY, 여기서, 광학밀도는 광차단율을 나타내는 특성값임)을 갖기 위하여, 높은 함량의 카본블랙을 함유해야 하므로, 10~15의 높은 유전상수, 20 이상의 높은 유전율 및 105~106 옴(Ω)의 낮은 저항에 해당하는 전기적특성을 갖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수지 블랙매트릭스 재료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한다면, 수지 블랙매트릭스 재료의 유전율과 도전성에 의해, 불필요한 기생커패시턴스가 발생될 수 있고, 트랜지스터(TFT)가 오동작할 수 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블랙매트릭스(BM, BM')으로 선택되는 수지 블랙매트릭스 재료는 2 (/㎛) 이상의 광학밀도, 10 이하의 낮은 유전율과 1012 (Ω) 이상의 높은 저항을 갖도록,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지 블랙매트릭스 재료는, 블랙 피그먼트(black pigment, 이하, "BP"로도 지칭함)를 포함하여 흑색(black)을 발현하는 밀베이스(millbase), 피그먼트 간의 연결을 고정하는 바인더 고분자(binder polymer), 피그먼트 간을 연결하는 가교제(cross-linker), 재료에 점착성을 부가하는 첨가제(additive), 광중합 반응을 개시하는 광 개시제(photo-initiator), 수지 블랙매트릭스 재료가 도포되는 계면에서 재료의 표면장력을 감소시키는 계면활성제(Surfactants)를 포함하는 용질(solute)과, 용질을 희석하는 용매(solvent)의 혼합물이다. 이때, 수지 블랙매트릭스 재료 중 용질의 함량은 20 중량비(wt%)이고, 용매의 함량은 80 중량비(wt%)이다. 여기서, 수지 블랙매트릭스 재료의 전체 용질 중 밀베이스의 함량은 50~90 중량비(wt%)이다. 그리고, 수지 블랙매트릭스 재료의 전체 용질 중 밀베이스를 제외한 나머지, 바인더 고분자, 가교제, 첨가제, 광 개시제 및 계면활성제를 총합한 함량은 10~50 중량비(wt%)이다.
그리고, 바인더 고분자는 Epoxy acrylate로 선택될 수 있고, 가교제는 다수개의 관능기를 갖는 acrylate로 선택될 수 있으며, 광 개시제는 Oxime계 물질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첨가제는 Alkoxy 또는 Epoxy silane으로 선택될 수 있고, 계면활성제는 Polyether modified dimethylpolysiloxane copolymer로 선택될 수 있다.
밀베이스는 흑색을 발현하는 주요 안료인 블랙 피그먼트(BP), 흑색을 보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컬러피그먼트(color pigment, 이하, "CP"로도 지칭함) 및 피그먼트들의 확산을 돕는 분산제(dispersant)를 포함하는 혼합물로 이루어진다. 이때, 분산제는 polyurethane 또는 polyacrylate으로 선택될 수 있고, 블랙피그먼트 간의 연결을 고정하는 바인더 고분자(binder polymer)는 polyacrylate로 선택될 수 있으며, 블랙피그먼트를 희석하기 위한 용매는 PGMEA(Propylene Glycol Mono Ether Acetate) 또는 Cyclohexanone로 선택될 수 있다.
블랙 피그먼트(BP)는, 도전성이 낮은 유기물질(organic material)로 이루어져서, 흑색(black)을 발생시키는 안료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지 블랙매트릭스 재료는, 비교적 높은 도전성을 갖는 카본 블랙 대신, 블랙 피그먼트(BP)의 함량을 조절하여 블랙매트릭스의 광학밀도를 제어한다. 즉, 블랙 매트릭스의 광학밀도는, 블랙 피그먼트의 함량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이러한 블랙 피그먼트(BP)의 함량은 수지 블랙매트릭스 재료의 전체 용질 중 20~70 중량비(wt%)이며, 이와 같이 20~70 중량비(wt%)로 함유된 블랙 피그먼트(BP)에 의해, 수지 블랙매트릭스 재료는 1.95~3 (/㎛)의 광학밀도를 갖는다.
컬러피그먼트(CP)는 R(적색), G(녹색), B(청색) 중 어느 하나의 색상를 발생시키는 안료이다. 밀베이스는 블랙 피그먼트(BP)에 의해 발현되는 흑색을 보완하기 위하여 R(적색)의 컬러피그먼트(CP), G(녹색)의 컬러피그먼트(CP), B(청색)의 컬러피그먼트(CP) 중 둘 이상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밀베이스는, R(적색)의 컬러피그먼트(CP)와 B(청색)의 컬러피그먼트(CP)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둘 이상의 컬러피그먼트(CP)의 총함량은, 수지 블랙매트릭스 재료의 전체 용질 중 10~30 중량비(wt%)이다.
그리고, 밀베이스는, 흑색을 보완하기 위하여, 소량의 카본 블랙(C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카본 블랙(CB)의 함량은, 수지 블랙매트릭스 재료의 전체 용질 중 10 중량비(wt%) 미만으로써, 수지 블랙매트릭스 재료가 도전성을 갖지 않도록 적은 함량으로 선택된다.
광 개시제는, 수지 블랙매트릭스 재료가 광 민감성(Optical Sensitivity)을 띄게 하여, 노광에 의해 용이하게 패턴될 수 있도록 돕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지 블랙매트릭스 재료는 광 개시제를 포함하여, 종래의 블랙매트릭스 재료의 광 민감성인 100%보다, 높은 112%의 광 민감성을 갖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지 블랙매트릭스 재료의 구성 성분과 각 구성성분의 함량을 정리하면, 아래의 표 1과 같다.
Figure pat00001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지 블랙매트릭스 재료는, 흑색을 발현하기 위한 염료로, 도전성이 높은 카본 블랙(CB)이 아닌, 유기물질의 블랙 피그먼트(BP)를 함유한다. 그리고, 광학밀도가 1.95~3 (/㎛)가 되도록, 수지 블랙매트릭스 재료의 전체 용질 중 20~70 중량비(wt%)에서 블랙 피그먼트(BP)의 함량이 조절된다. 이때, 블랙 피그먼트(BP)에 의해 발현되는 흑색을 보완하기 위하여, 수지 블랙매트릭스 재료의 전체 용질 중 0~10 중량비(wt%) 내에서 카본 블랙(CB)이 조절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수지 블랙매트릭스 재료는 종래의 수지 블랙매트릭스 재료보다 소량의 카본 블랙(CB)를 함유하여, 구동에 영향을 미칠 정도의 기생커패시턴스 또는 저항을 형성하는 전기적특성을 갖지 않는다.
예를들어, 종래의 수지 블랙매트릭스 재료는 흑색을 발현하기 위한 염료로 카본 블랙(CB)을 포함하고, 블랙매트릭스가 적정값(예를 들어, 3 (/㎛)) 이상의 광학밀도를 나타낼 수 있도록, 카본 블랙(CB)의 함량을 증가시킨다. 이때, 증가된 카본 블랙에 의해, 수지 블랙매트릭스 재료는 20 이상의 높은 유전율 및 105~106 옴(Ω)의 낮은 저항을 갖게 되어, 화소전극(PX)들을 연결시키므로,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없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수지 블랙매트릭스 재료는, 흑색을 발현하기 위하여 낮은 도전성의 유기물질로 이루어진 블랙 피그먼트(BP)를 포함하고, 블랙 피그먼트(BP)의 함량을 이용하여 적정값 이상의 광학밀도를 갖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지 블랙매트릭스 재료는, 2 (/㎛)의 광학밀도를 갖는 경우, 종래보다 낮은 10 미만의 유전율, 및 종래보다 높은 1012 옴(Ω) 이상의 저항(면저항)을 갖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랙매트릭스를 형성하는 수지 블랙매트릭스 재료의 광학밀도 및 면저항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블랙피그먼트(BP)를 전체 용질의 60 중량비(wt%)로 함유하는 수지 블랙매트릭스 재료에 있어서, 적색과 청색의 컬러피그먼트(CB)를 전체 용질의 10 중량비(wt%)로 함유하는 경우(가로축의 "BP60%+CP10%")와, 적색과 청색의 컬러피그먼트(CP)를 전체 용질의 5 중량비(wt%)로 함유하고, 카본 블랙(CB)을 전체 용질의 5 중량비(wt%)로 함유하는 경우(가로축의 "BP60%+CP5%+CB5%")와, 적색과 청색의 컬러피그먼트(CP)를 전체 용질의 10 중량비(wt%)로 함유하고, 카본 블랙(CB)을 전체 용질의 5 중량비(wt%)로 함유하는 경우(가로축의 "BP60%+CP10%+CB5%") 각각에 대응하여, 광학밀도(좌측의 세로축, OD: Optical density)와 면저항(우측의 세로축, sheet resist)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경우에서, 광학밀도는 2.5 이상을 나타내면서도, 면저항(Ω/sq)은 1.00x1012 이상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수지 블랙매트릭스 재료는 적정치의 광학밀도를 가지면서도, 낮은 유전율과 높은 저항을 가지므로, 트랜지스터(TFT) 및 게이트라인(GL)과 데이터라인(DL)에 인접하게 형성되더라도, 기생커패시턴스 및 트랜지스터(TFT)에서의 누설전류를 유발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전기영동표시장치는, 낮은 유전율과 높은 저항을 갖는 수지 블랙매트릭스 재료로 형성되는 블랙매트릭스(BM, BM')를 포함하여, 블랙매트릭스(BM, BM')에 의해 기생커패시턴스 또는 누설전류가 유발되지 않으면서도, 하부기판(100) 측으로 향하는 광이 차단되어, 광에 의한 누설전류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블랙매트릭스(BM')에 의해 외부광이 차단될 수 있으므로, 외부광이 게이트라인(GL)과 데이터라인(DL)에 의해 반사되면서 흑색 표시가 불량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콘트라스트비 저하가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트랜지스터(TFT)는 게이트전극(GX)가 반도체층(ACT)보다 하부에 배치되는 바텀게이트구조인 것만을 언급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트랜지스터(TFT)는 게이트전극(GX)가 반도체층(ACT)보다 상부에 배치되는 탑게이트구조인 것일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GL: 게이트라인 DL: 데이터라인
TFT: 트랜지스터 BM: 블랙매트릭스
PX: 화소전극 CTH: 콘택홀
100: 하부기판 200: 상부기판
220: 공통전극 300: 잉크층
310: 백색안료 320: 흑색안료
330: 캡슐 400: 점착층

Claims (11)

  1. 서로 대향하는 제1 지지기판과 제2 지지기판;
    상기 제1 지지기판의 일면 상에, 제1 방향으로 형성되는 게이트라인;
    상기 제1 지지기판의 일면 상에, 상기 게이트라인과 절연되고, 제1 방향에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형성되는 데이터라인;
    상기 게이트라인과 데이터라인에 연결되는 트랜지스터;
    상기 트랜지스터 상부에, 상기 트랜지스터와 중첩되도록, 수지 블랙매트릭스 재료로 형성되어, 상기 트랜지스터를 커버하는 블랙매트릭스;
    상기 트랜지스터와 연결되어 복수의 화소에 각각 대응하는 화소전압이 인가되는 화소전극;
    상기 제2 지지기판 상에 상기 화소전극에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화소에 대응하는 공통전압이 인가되는 공통전극; 및
    상기 화소전극과 공통전극 사이에, 서로 다른 극성으로 하전되는 백색안료와 흑색안료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캡슐이 나란히 배열되어 형성되는 잉크층을 포함하고,
    상기 수지 블랙매트릭스 재료는, 전체 용질 중 20~70 중량비(wt%)의 함량을 갖고, 흑색을 발현하는 블랙 피그먼트와, 전체 용질 중 10 중량비(wt%) 미만의 함량을 갖고, 상기 블랙 피그먼트에 의해 발현되는 흑색을 보완하는 카본 블랙을 함유하는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전기영동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블랙매트릭스 재료는, 상기 블랙 피그먼트의 함량을 조절하여, 1.95 (/㎛) 이상의 광학밀도를 갖는 전기영동표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블랙매트릭스 재료는, 10 미만의 유전율 및 1012 (Ω/sq)이상의 저항을 갖는 전기영동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블랙매트릭스 재료는, 상기 블랙 피그먼트에 의해 발현되는 흑색을 보완하기 위하여, R(적색), G(녹색), B(청색) 중 어느 하나의 색상을 발현하는 둘 이상의 컬러 피그먼트를 더 포함하는 전기영동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블랙매트릭스 재료는, 광 민감성을 갖도록 광 개시제를 더 포함하는 전기영동표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블랙매트릭스 재료는,
    상기 블랙 피그먼트 간의 연결을 고정하는 바인더 고분자;
    상기 블랙 피그먼트 간을 연결하는 가교제;
    점착성을 부가하는 첨가제(additive); 및
    상기 수지 블랙매트릭스 재료가 도포되는 계면에서의 표면장력을 감소시키는 계면활성제(Surfactants)를 더 포함하는 전기영동표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블랙매트릭스 재료는, 전체 중량의 80 중량비(wt%)의 함량을 갖고 상기 용질을 희석하는 용매를 더 포함하는 전기영동표시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1 지지기판 상에, 상기 게이트라인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게이트전극;
    상기 게이트라인과 상기 게이트전극을 포함한 상기 제1 지지기판 상의 전면에 형성되는 게이트절연층;
    상기 게이트절연층 상에, 상기 게이트전극과 적어도 일부 중첩되도록 형성되는 반도체층;
    상기 게이트절연층 상에, 상기 데이터라인에서 돌출되어, 상기 반도체층의 일측과 중첩되도록 형성되는 소스전극; 및
    상기 게이트절연층 상에, 상기 소스전극에서 이격되고, 상기 제1 반도체층의 다른 일측에 중첩되도록 형성되는 드레인전극을 포함하는 전기영동표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층, 상기 데이터라인, 상기 소스전극 및 상기 드레인전극을 포함한 상기 게이트절연층 상의 전면에 형성되는 층간절연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블랙매트릭스는 상기 층간절연층 상에, 상기 게이트전극, 상기 반도체층, 상기 소스전극 및 상기 드레인전극을 커버하도록 형성되는 전기영동표시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매트릭스는, 상기 층간절연층 상에, 상기 게이트라인 및 상기 데이터라인을 커버하도록 형성되는 전기영동표시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매트릭스를 포함한 상기 층간절연층 상의 전면에 평평하게 형성되고, 상기 드레인전극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대응하는 콘택홀을 갖는 평탄화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화소전극은 상기 평탄화층 상에 형성되고, 상기 콘택홀을 통해 상기 드레인전극과 연결되는 전기영동표시장치.
KR1020100112725A 2010-11-12 2010-11-12 전기영동표시장치 KR201200513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2725A KR20120051338A (ko) 2010-11-12 2010-11-12 전기영동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2725A KR20120051338A (ko) 2010-11-12 2010-11-12 전기영동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1338A true KR20120051338A (ko) 2012-05-22

Family

ID=46268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2725A KR20120051338A (ko) 2010-11-12 2010-11-12 전기영동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5133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63907A1 (en) * 2014-04-25 2015-10-2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ligned particle lay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63907A1 (en) * 2014-04-25 2015-10-2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ligned particle lay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0545B1 (ko) 액정표시소자
US8884868B2 (en)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847967B (zh) 电泳显示器
KR101640816B1 (ko) 전기영동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EP3012865A1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1589755B1 (ko) 표시장치 어레이 기판
US8493523B2 (en) Liquid crystal display with two sub-pixel regions and a storage capacitor
TW201346330A (zh) 雙模式顯示裝置
KR20070063102A (ko) 전기 영동 표시장치와 그 제조방법
US9285647B2 (en) TFT array substrate, E-paper display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120133869A1 (en) Liquid crystal display
US843250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with improved side visibility
KR20120051337A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20080006036A (ko) 전기 영동 표시 장치
KR20120051338A (ko) 전기영동표시장치
US7751116B2 (en) Flexible display
KR20120010622A (ko) 수지 블랙매트릭스 재료 및 액정표시장치
KR20150015326A (ko) 반사형 표시장치
KR20140018576A (ko) 표시 장치
KR102457770B1 (ko) 표시 장치
KR20130024093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제조방법
KR20160141143A (ko) 표시장치
KR20110025538A (ko) 전기영동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8629859B2 (en) Electrophoretic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20110139436A (ko) 전기 영동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