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1198A - 배터리 팩 - Google Patents

배터리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1198A
KR20120051198A KR1020100112509A KR20100112509A KR20120051198A KR 20120051198 A KR20120051198 A KR 20120051198A KR 1020100112509 A KR1020100112509 A KR 1020100112509A KR 20100112509 A KR20100112509 A KR 20100112509A KR 20120051198 A KR20120051198 A KR 201200511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e cell
battery pack
secondary protection
lead pattern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2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1069B1 (ko
Inventor
박광영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2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1069B1/ko
Priority to US13/174,614 priority patent/US8580412B2/en
Publication of KR20120051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11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1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10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10/4257Smart batteries, e.g. electronic circuits inside the housing of the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69Constructional details of 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detecting conditions inside cells or batteries, e.g. details of voltage sens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10Temperature sensitive devices
    • H01M2200/106P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어셀에 이차보호소자를 부착하기 위해 필요한 부품의 생략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생산 비용을 절감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일례로, 본 발명은 베어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베어셀과 접촉하며 절연커버에 의해 감싸져 있는 도선패턴에 의해 상기 베어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성회로기판, 상기 연성회로기판상에 위치하며 상기 도선패턴에 의해 상기 연성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이차보호소자 및 상기 도선패턴에 의해 상기 연성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보호회로모듈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배터리 팩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배터리 팩{BATTERY PACK}
본 발명은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배터리 팩을 제작함에 있어서, 베어셀의 과열 방지를 위해 배터리 팩을 구성하는 각각의 베어셀마다 이차보호소자를 부착하는 공정을 거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이 이차보호소자를 베어셀에 부착하기 위해서는 베어셀과 이차보호소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하나의 니켈 탭과 이차보호소자를 보호회로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또 하나의 니켈 탭이 필요하며, 부품간의 전기적 절연을 위한 절연테이프가 추가적으로 필요하다.
본 발명은 배터리 팩을 제작함에 있어서, 이차보호소자를 각각의 베어셀에 부착하기 위해 필요한 니켈 탭 및 부품간의 절연을 위한 절연테이프를 부착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산 비용을 절감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 팩은,
베어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베어셀과 접촉하며 절연커버에 의해 감싸져 있는 도선패턴에 의해 상기 베어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성회로기판, 상기 연성회로기판상에 위치하며 상기 도선패턴에 의해 상기 연성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이차보호소자 및 상기 도선패턴에 의해 상기 연성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보호회로모듈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성회로기판을 구성하는 상기 도선패턴은 제 1 도선패턴, 제 2 도선패턴 및 제 3 도선패턴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도선패턴은 상기 이차보호소자의 제 1 탭과 결합되며, 상기 제 2 도선패턴은 상기 이차보호소자의 제 2 탭 및 상기 베어셀의 음극탭과 결합되고, 상기 제 3 도선패턴은 상기 베어셀의 양극탭과 결합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제 1 도선패턴의 타측 끝단 및 상기 제 2 도선패턴의 일측 끝단은 상기 접촉부상에 위치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절연커버는 상기 제1 도선패턴과 상기 이차보호소자의 제 1 탭이 결합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 1 개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도선패턴과 상기 이차보호소자의 제 2 탭이 결합되는 위치에 제 2 개방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2 도선패턴과 상기 베어셀의 음극탭이 결합되는 위치에 제 3 개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3 도선패턴과 상기 베어셀의 양극탭이 결합되는 위치에 제 4 개방부를 구비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차보호소자는 상기 베어셀의 제1 연장면과 상기 연성회로기판의 일부가 겹쳐지는 부분인 접촉부 상에 위치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차보호소자와 상기 베어셀의 제 1 연장면 사이의 공간에는 상기 베어셀에서 발생되는 열이 상기 이차보호소자에 잘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열전달수단이 도포될 수 있으며, 상기 열전달수단은 알루미늄(Al) 또는 탄화규소(SiC)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회로모듈은 제 1 접속부 및 제 2 접속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 1 접속부는 상기 제 1 도선패턴과 결합되고, 상기 제 2 접속부는 상기 제 3 도선패턴과 결합된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어셀은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연성회로기판은 상기 복수개의 베어셀 각각에 전기적으로 결합된 복수개의 연성회로기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연성회로기판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차보호소자는 상기 복수개의 베어셀 각각의 제 1 연장면상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이차보호소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은 베어셀에 이차보호소자를 부착하기 위해 필요한 부품의 생략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생산 비용을 절감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져온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극조립체와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베어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전기적 연결관계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5a는 도 4에서 X-X' 선을 따라 절취된 부분을 A방향에서 바라본 확대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4에서 Y-Y' 선을 따라 절취된 부분을 B방향에서 바라본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서 Z-Z' 선을 따라 절취된 부분을 M방향에서 바라본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전기적 연결관계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극조립체와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베어셀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전기적 연결관계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부분 확대도이다. 또한, 도 5a는 도 4에서 X-X' 선을 따라 절취된 부분을 A방향에서 바라본 확대 단면도이며, 도 5b는 도 4에서 Y-Y' 선을 따라 절취된 부분을 B방향에서 바라본 확대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4에서 Z-Z' 선을 따라 절취된 부분을 M방향에서 바라본 확대 단면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은 베어셀(110), 상기 베어셀(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연성회로기판(200), 상기 연성회로기판(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이차보호소자(300) 및 보호회로모듈(40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베어셀(100)은 전극조립체(110)와 상기 전극조립체를 수용하는 케이스(12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전극조립체(110)는 양극판(111)과 음극판(112) 및 세퍼레이터(113)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양극판(111)의 무지부(미도시)로부터 인출된 양극탭(114) 및 상기 음극판(112)의 무지부로부터 인출된 음극탭(115)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조립체(110)는 양극판(111)과 음극판(112) 사이에 세퍼레이터(113)를 개재하여 적층시킨 후, 이들을 젤리-롤(jelly-roll) 형태로 권취시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양극탭(114) 및 음극탭(115)이 인출되는 위치는 서로 바뀔 수 있으며, 이로써 상기 전극조립체(110)의 극성이 바뀔 수 있음을 미리 밝혀 둔다.
상기 케이스(120)는 상기 전극조립체가 수용되는 공간인 수용부(121), 상기 수용부(121)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제 1 연장면(122), 제 2 연장면(123), 제 3 연장면(124) 및 상기 수용부(121)의 개방된 하부 공간을 덮어주는 덮개부(125)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 1 연장면(122), 제 2 연장면(123) 및 제 3 연장면(124)은 상기 전극조립체(110)이 수용부(121)에 수용된 후, 덮개부(125)의 가장자리와 열융착된다. 이 때, 상기 제 1 연장면(121)과 덮개부(125) 사이로 상기 양극탭(114) 및 음극탭(115)이 인출된다. 또한, 상기 제 2 연장면(123) 및 제 3 연장면(124)은 덮개부(125)의 가장자리와 열융착된 이후에, 상기 수용부(121) 방향으로 접혀짐으로써 수용부(121)의 측면에 밀착되며, 이로써 베어셀이 완성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연성회로기판(200)은 도선패턴(210) 및 상기 도선패턴(210)을 감싸는 절연커버(22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성회로기판(200)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베어셀(100)의 제1 연장면(122)상에 놓여짐으로써 상기 연성회로기판(200)과 제1 연장면(122)이 겹쳐지는 부분인 접촉부(250)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연성회로기판(200)은 상기 베어셀(100)과 보호회로모듈(4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도선패턴(210)은 제 1 도선패턴(211), 제 2 도선패턴(212), 제 3 도선패턴(213)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도선패턴(210)은 구리로 형성됨이 일반적이다. 다만, 본 발명이 상기 도선패턴(210)의 재질을 구리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전성 물질로서 상기 절연커버(220)로 피복이 가능한 것이라면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제 1 도선패턴(211)은 그 일측 끝단부가 상기 보호회로모듈(4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측 끝단부는 상기 이차보호소자(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 1 도선패턴(211)은 그 타측 끝단부가 접촉부(250)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도선패턴(212)은 그 일측 끝단부가 상기 이차보호소자(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측 끝단부는 상기 베어셀(100)의 음극탭(115)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 2 도선패턴(212)는 그 일측 끝단부가 접촉부(250)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3 도선패턴(213)은 그 일측 끝단부가 상기 베어셀(100)의 양극탭(114)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측 끝단부는 상기 보호회로모듈(4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도 3 및 도 4에서는 상기 도선패턴들(211,212,213)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후술할 바와 같이 상기 도선패턴(210)은 절연커버(220)로 피복되어 있는 것이어서 상기 도선패턴(210)이 일체로 형성되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어도 무방하다.
상기 절연커버(220)는 상기 도선패턴(210)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도선패턴(210)이 배터리 팩 내에서 절연되도록 한다. 즉, 상기 배터리 팩의 전기적 연결관계에 따라 필요한 형태로 도선패턴(210)을 형성한 후, 상기 도선패턴(210)을 절연커버(220)로 피복함으로써 연성회로기판(200)을 형성한다.
또한, 도 5a, 도 5b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절연커버(220)는 도선패턴(210)과 다른 부품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결합이 필요한 부분에 용접을 위한 개방부(221,222,223,224)를 구비한다. 상기 개방부는 그 형성 위치에 따라 구별되는 제 1 개방부(221), 제 2 개방부(222), 제 3 개방부(223) 및 제 4 개방부(224)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개방부(221)는 상기 제 1 도선패턴(211)의 타측 끝단부와 후술할 이차보호소자(300)의 제 1 탭(310)이 전기적 연결을 위해 결합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2 개방부(222)는 상기 제 2 도선패턴(212)의 일측 끝단부와 후술할 이차보호소자(300)의 제 2 탭(320)이 전기적 연결을 위해 결합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제 3 개방부(223)는 상기 제 2 도선패턴(212)의 타측 끝단부와 배터리 팩(100)의 음극탭(115)의 끝단부가 전기적 연결을 위해 결합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제 4 개방부(224)는 상기 제 3 도선패턴(213)의 일측 끝단부와 배터리 팩(100)의 양극탭(114)의 끝단부가 전기적 연결을 위해 결합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연성회로기판(200)과 상기 보호회로모듈(400)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서 용접이 필요한 부분에도 개방부가 형성되는 것임을 밝혀 둔다.
도 3,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이차보호소자(300)는 상기 연성회로기판(200) 상에 형성된다. 상기 이차보호소자(300)는 그 일측 끝단에 형성되는 제 1 탭(310) 및 타측 끝단에 형성되는 제 2 탭(320)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 1 연장면(122)과 이차보호소자(300) 사이의 공간에는 연전달수단(330)이 형성된다.
상기 이차보호소자(300)는 베어셀(100)의 온도를 측정함으로써 베어셀(100)이 과열되는 경우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여 더 이상의 온도 상승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차보호소자(300)의 형성 위치는 베어셀(100)에 근접할수록 유리한 것이어서, 베어셀(100)에 직접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베어셀(100)에 있어서, 가장 발열량이 큰 부위는 전극탭(114,115)이다. 따라서, 이차보호소자가(300) 전극탭(114,115)이 인출되는 부분인 제1 연장면(122)과 연성회로기판(200)이 겹쳐지는 부분인 접촉부(250) 상에 설치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역할을 하는 이차보호소자(300)로서 PTC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PTC소자가 배터리 온도 변화에 따라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는 작동은 가역적인 것이다. 즉, 상기 PTC소자는 베어셀(100)의 온도가 규정치 이상으로 상승하면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였다가, 다시 베어셀(100)의 온도가 하강하면 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탭(310)은 상기 제 1 도선패턴(211)의 타측 끝단과 접촉하며, 절연커버(220)상에 형성된 제 1 개방부(221)를 통해 제 1 도선패턴(211)과 용접에 의해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 2 탭(320)은 상기 제 2 도선패턴(212)의 일측 끝단과 접촉하며, 절연커버(220)상에 형성된 제 2 개방부(222)를 통해 제 2 도선패턴(212)과 용접에 의해 결합된다. 이 경우, 상기 용접은 레이저 용접인 것이 바람직하다. 저항 용접을 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 1 탭(310) 및 제 2 탭(320)의 상면 뿐 아니라, 제 1 도선패턴(211) 및 제 2 도선패턴(212)의 하면에도 용접봉이 닿아야 한다. 따라서, 상기 제 1 개방부(221) 및 제 2 개방부(222)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는 절연커버(220)의 하면에도 개방부를 더 형성해야 하며, 이로 인한 추가적인 공정이 요구된다.
상기 열전달수단(330)은 이차보호소자(300)와 제 1 연장면(211) 사이에 형성되어 베어셀(100)에서 발생되는 열을 이차보호소자(300)에 전달함으로써 이차보호소자(300)가 베어셀(100)의 온도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이차보호소자(300)와 제 1 연장면(122) 사이에 위치하는 절연커버(220)를 벗겨낸 후, 그 자리에 열전도도가 높은 연전달수단(330)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연전달수단(330)은 Al(알루미늄)또는 탄화규소(SiC)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연전달수단(330)으로 사용되는 구체적인 물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열전도도가 높은 물질이라면 가능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보호회로모듈(400)은 연성회로기판(200)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제 1 접속부(410) 및 제 2 접속부(420)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베어셀(100)과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 1 접속부(410)는 제 1 도선패턴(211)과 결합되고, 상기 제 2 접속부(420)는 제 3 도선패턴(213)과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보호회로모듈(400)은 상기 베어셀(100) 및 이차보호소자(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베어셀(100)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은 연성회로기판(200)을 이용하여 베어셀(100), 이차보호소자(300) 및 보호회로모듈(400)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이므로 생산성의 향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부품간의 전기적 연결이 필요한 부분마다 리드 탭을 이용하여 결합시키고, 절연을 위한 피복 작업을 별도로 행하는 경우와 비교할 때,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공정 수를 줄이고,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가져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에 있어서, 상기 이차보호소자(300)는 베어셀(100)의 제 1 연장면(122)상에 위치함으로써 베어셀(100)의 온도에 따라 정확히 작동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상기 이차보호소자(300)는 제 1 탭(310) 및 제 2 탭(320)이 연성회로기판(200)의 도선패턴(210)과 직접 결합이 되므로 이차보호소자(300) 부착 공정이 간소화되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재료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다음은, 도 7에 나타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과 비교하여 베어셀이 복수개 형성된다는 점과 그에 따라 일부 전기적 연결관계가 다를 뿐 그 이외의 구성은 동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중복되는 부분은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은 복수의 베어셀과, 상기 복수의 베어셀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연성회로기판과, 상기 복수의 연성회로기판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이차보호소자 및 보호회로모듈(40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이 때, 상기 복수의 베어셀은 제 1 베어셀(100a), 제 2 베어셀(100b), 제 3 베어셀(100c)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연성회로기판은 제 1 연성회로기판(200a), 제 2 연성회로기판(200b), 제 3 연성회로기판(200c)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이차보호소자는 제 1 이차보호소자(300a), 제 2 이차보호소자(300b), 제 3 이차보호소자(300c)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도 7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설명하기 위해 복수의 베어셀을 3개 도시하였으나, 그 개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베어셀의 개수는 두개일 수도 있고, 4개 이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복수의 베어셀(100a,100b,100c)은 각각 제 1 연장면(122a,122b,122c), 양극탭(114a,114b,114c), 음극탭(115a,115b,115c)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연성회로기판(200a,200b,200c)는 각각 제 1 도선패턴(211a,211b,211c), 제 2 도선패턴(212a,212b,212c), 제 3 도선패턴(213a,213b,213c), 절연커버(220a,220b,220c) 및 접촉부(250a,250b,250c)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연성회로기판(200a,200b,200c)은 서로 별개로 형성된 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결합된 것일 수도 있고, 일체로 제작되어 형성된 것일 수도 있다.
이하, 상기 복수의 연성회로기판(200a,200b,200c)의 전기적 연결관계 중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과 다른 부분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 1 연성회로기판(200a)을 구성하는 제 3 도선패턴(213a)의 타측 끝단부는 제 2 연성회로기판(200b)을 향하는 방향으로 인접한 연성회로기판의 도선패턴과 직접 결합된다.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에 있어서, 제 3 도선패턴(213)의 타측 끝단부는 보호회로모듈(400)의 제 2 접속부(420)와 직접 결합되는 구성을 갖는 것과 다른 점이다.
상기 제 2 연성회로기판(200b)을 구성하는 제 1 도선패턴(211b)의 일측 끝단부는 제 1 연성회로기판(200a)을 향하는 방향으로 인접한 연성회로기판의 도선패턴과 직접 결합된다.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에 있어서, 제 1 도선패턴(211)의 일측 끝단부는 보호회로모듈(400)의 제 1 접속부(410)와 직접 결합되는 구성을 갖는 것과 다른 점이다. 또한, 상기 제 2 연성회로기판(200b)을 구성하는 제 3 도선패턴(213b)의 타측 끝단부는 제 3 연성회로기판(200c)를 향하는 방향으로 인접한 연성회로기판의 도선패턴과 직접 결합된다.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에 있어서, 제 3 도선패턴(213)의 타측 끝단부는 보호회로모듈(400)의 제 2 접속부(420)와 직접 결합되는 구성을 갖는 것과 다른 점이다.
상기 제 3 연성회로기판(200c)을 구성하는 제 1 도선패턴(211a)의 일측 끝단부는 제 2 연성회로기판(200b)을 향하는 방향으로 인접한 연성회로기판의 도선패턴과 직접 결합된다.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에 있어서, 제 1 도선패턴(211)의 일측 끝단부는 보호회로모듈(400)의 제 1 접속부(410)와 직접 결합되는 구성을 갖는 것과 다른 점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은 연성회로기판(200a,200b,200c))을 이용하여 복수의 베어셀(100a,100b,100c), 상기 복수의 베어셀(100a,100b,100c) 각각에 개별적으로 부착된 이차보호소자(300a,300b,300c) 및 보호회로모듈(400)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이므로 생산성의 향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부품간의 전기적 연결이 필요한 부분마다 리드 탭을 이용하여 결합시키고, 절연을 위한 피복 작업을 별도로 행하는 경우와 비교할 때,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공정 수를 줄이고,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가져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차보호소자(300a,300b,300c)는 복수의 베어셀(100a,100b,100c) 각각의 제 1 연장면(122a,122b,122c)상에 위치함으로써 복수의 베어셀(100a,100b,100c)의 온도에 따라 정확히 작동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상기 복수의 이차보호소자(300a,300b,300c)는 각각의 제 1 탭(310a,310b,310c) 및 제 2 탭(320a,320b,320c)이 복수의 연성회로기판(200a,200b,200c) 각각의 도선패턴들과 직접 결합이 되므로 이차보호소자(300a,300b,300c) 부착 공정이 간소화되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재료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로 설명된 것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배터리 팩 110: 전극조립체
120: 케이스 122: 제 1 연장부
200: 연성회로기판 210: 도선패턴
211: 제 1 도선패턴 212: 제 2 도선패턴
213: 제 3 도선패턴 220: 절연커버
221: 제 1 개방부 222: 제 2 개방부
223: 제 3 개방부 224: 제 4 개방부
250: 접촉부 300: 이차보호소자
310: 제 1 탭 320: 제 2 탭
400: 보호회로모듈 410: 제 1 접속부
420: 제 2 접속부

Claims (13)

  1. 베어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베어셀과 접촉하며, 절연커버에 의해 감싸져 있는 도선패턴에 의해 상기 베어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성회로기판;
    상기 연성회로기판상에 위치하며, 상기 도선패턴에 의해 상기 연성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이차보호소자; 및
    상기 도선패턴에 의해 상기 연성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보호회로모듈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배터리 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회로기판을 구성하는 상기 도선패턴은 제 1 도선패턴, 제 2 도선패턴 및 제 3 도선패턴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선패턴은 상기 이차보호소자의 제 1 탭과 결합되며, 상기 제 2 도선패턴은 상기 이차보호소자의 제 2 탭 및 상기 베어셀의 음극탭과 결합되고, 상기 제 3 도선패턴은 상기 베어셀의 양극탭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선패턴의 타측 끝단 및 상기 제 2 도선패턴의 일측 끝단은 상기 접촉부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5. 제 2 항에있어서,
    상기 절연커버는 상기 제1 도선패턴과 상기 이차보호소자의 제 1 탭이 결합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 1 개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도선패턴과 상기 이차보호소자의 제 2 탭이 결합되는 위치에 제 2 개방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2 도선패턴과 상기 베어셀의 음극탭이 결합되는 위치에 제 3 개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3 도선패턴과 상기 베어셀의 양극탭이 결합되는 위치에 제 4 개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보호소자는 상기 베어셀의 제1 연장면과 상기 연성회로기판의 일부가 겹쳐지는 부분인 접촉부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보호소자와 상기 베어셀의 제 1 연장면 사이의 공간에는 상기 베어셀에서 발생되는 열이 상기 이차보호소자에 잘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열전달수단이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수단은 알루미늄(Al) 또는 탄화규소(Si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회로모듈은 제 1 접속부 및 제 2 접속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 1 접속부는 상기 제 1 도선패턴과 결합되고, 상기 제 2 접속부는 상기 제 3 도선패턴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셀은 복수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회로기판은 상기 복수개의 베어셀 각각에 전기적으로 결합된 복수개의 연성회로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연성회로기판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보호소자는 상기 복수개의 베어셀 각각의 제 1 연장면상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이차보호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KR1020100112509A 2010-11-12 2010-11-12 배터리 팩 KR1012010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2509A KR101201069B1 (ko) 2010-11-12 2010-11-12 배터리 팩
US13/174,614 US8580412B2 (en) 2010-11-12 2011-06-30 Battery pa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2509A KR101201069B1 (ko) 2010-11-12 2010-11-12 배터리 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1198A true KR20120051198A (ko) 2012-05-22
KR101201069B1 KR101201069B1 (ko) 2012-11-14

Family

ID=46048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2509A KR101201069B1 (ko) 2010-11-12 2010-11-12 배터리 팩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580412B2 (ko)
KR (1) KR10120106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0619B1 (ko) * 2013-01-30 2014-08-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팩
KR101502900B1 (ko) * 2013-07-09 2015-03-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5863332U (zh) * 2016-07-29 2017-01-04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测温组件、电器组件、电池包连接组件及汽车电池包
EP3316384B1 (en) * 2016-10-25 2019-02-20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with a fixing for a temperature sensitive element
CN110311084A (zh) * 2018-03-20 2019-10-08 东莞新能德科技有限公司 一种电芯结构及电子产品
KR102372383B1 (ko) * 2018-12-26 2022-03-0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에너지 밀도가 향상된 구조를 갖는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79963B2 (ja) 1994-07-21 1999-11-22 日本電池株式会社 二次電池
JP2002216722A (ja) * 2001-01-17 2002-08-02 Gs-Melcotec Co Ltd 組電池及び組電池の製造方法
JP2004171895A (ja) * 2002-11-19 2004-06-17 Sony Corp 電池パック
US6972544B2 (en) * 2003-10-14 2005-12-06 Black & Decker Inc. Apparatus for interconnecting battery cells in a battery pack and method thereof
KR100922471B1 (ko) 2007-09-27 2009-10-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용 보호회로기판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KR100959871B1 (ko) 2007-12-17 2010-05-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보호회로기판 및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
JP2010003466A (ja) * 2008-06-18 2010-01-07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電池モジュール
KR101023874B1 (ko) 2008-10-22 2011-03-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보호회로모듈 및 보호회로모듈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KR101016849B1 (ko) * 2008-12-03 2011-02-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0619B1 (ko) * 2013-01-30 2014-08-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팩
KR101502900B1 (ko) * 2013-07-09 2015-03-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팩
US10069174B2 (en) 2013-07-09 2018-09-04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including unit cells, temperature detection device, and protection circuit module connected to substr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1069B1 (ko) 2012-11-14
US20120121940A1 (en) 2012-05-17
US8580412B2 (en) 2013-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1069B1 (ko) 배터리 팩
US6130465A (en) Micro-solar assembly
CN102057519B (zh) 电池模块、电池模块构造和制造电池模块的方法
EP2131412B1 (en) Battery pack
EP2835846A1 (en) Battery pack
KR101264550B1 (ko) 배터리 팩
CN104167572B (zh) 电池组
KR101254903B1 (ko) 퓨즈부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
KR20180088197A (ko) 배터리 팩
KR101036091B1 (ko) 이차 전지용 회로기판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
KR20110121916A (ko) 이차전지 보호용 회로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전지
US8431260B2 (en) Interconnection system for an energy storage assembly
WO2012117704A1 (ja) 電池ユニット、伝熱板、および伝熱板の製造方法
KR20170101604A (ko) 배터리 팩
KR102099572B1 (ko) 전지 팩
CN103050652B (zh) 二次电池
KR101093894B1 (ko) 이차전지
US20160336769A1 (en) Rechargeable battery
KR20150141472A (ko) 이차 전지
US20220190392A1 (en) Vehicular battery wiring module
KR20170038523A (ko) 이차전지
US10320035B2 (en) Battery pack
EP2876706A2 (en) Battery pack
US9362543B2 (en) Battery pack
KR101609646B1 (ko) 이차전지팩의 이차전지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