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0088A -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및 틸트 힌지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및 틸트 힌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0088A
KR20120050088A KR1020100111426A KR20100111426A KR20120050088A KR 20120050088 A KR20120050088 A KR 20120050088A KR 1020100111426 A KR1020100111426 A KR 1020100111426A KR 20100111426 A KR20100111426 A KR 20100111426A KR 20120050088 A KR20120050088 A KR 201200500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topper
link
moving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1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현
김창수
Original Assignee
유성정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성정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성정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1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50088A/ko
Publication of KR20120050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00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및 틸트 힌지 장치로써, 휴대단말기를 자동으로 틸트시킬 수 있는 슬라이드 및 틸트 힌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및 틸트 힌지 장치는, 픽스플레이트와; 일단이 상기 픽스플레이트의 일단에 힌지결합되는 가이드플레이트와; 일단이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픽스플레이트의 타단에 힌지결합되는 링크플레이트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상부에 슬라이딩되게 결합되는 무빙플레이트와; 상기 픽스플레이트와 링크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링크플레이트가 회전하도록 탄성력을 부가하는 제1탄성부재와; 일단이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무빙플레이트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무빙플레이트가 직선운동 하도록 탄성력을 부가하는 제2탄성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픽스플레이트와 무빙플레이트 사이에는 상기 링크플레이트의 회전을 저지하는 무빙스토퍼가 배치되고, 상기 무빙플레이트가 슬라이딩하면, 상기 무빙스토퍼가 해제되어 상기 링크플레이트는 상기 제1탄성부재에 의해 일단이 타단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동시에 상기 가이드플레이트를 따라 슬라이딩하여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와 무빙플레이트를 상기 픽스플레이트에 대해 경사지게 틸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및 틸트 힌지 장치 { SLIDE AND TILT HINGE APPARATUS FOR PORTABLE DEVICE }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및 틸트 힌지 장치로써, 휴대단말기를 자동으로 틸트시킬 수 있는 슬라이드 및 틸트 힌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무선단말기는 바타입(Bar Type), 플립타입(Flip Type), 플립업타입(Flip-up Type), 폴더타입(Folder Type), 슬라이드타입(Slide type) 등이 있으며 사용되는 시대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형태가 변화하고 있다.
현재, 플립타입이나 플립업타입 등은 거의 사용되고 있지 않으며, 폴더타입, 슬라이드타입 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근래에는 휴대단말기로 단순한 통화뿐만 아니라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즐기기 위해 대형 LCD창이 요구되고 있는바, 대형 LCD창을 탑재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가 각광을 받고 있다.
이에 따라 휴대단말기에서 대형 LCD창을 사용하기 위해 화면 터치 방식의 휴대단말기가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화면 터치 방식의 휴대단말기는 스마트폰 등에 적용되어 최근 가장 인기를 끌고 있다.
화면 터치 방식이 적용된 스마트폰은 일정 및 주소관리 외에도 메모와 데이터 저장 등이 가능하고 무선 인터넷, 이메일 작성 등 다양한 기능들을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메모나 문자메시지, 이메일 작성 등의 경우 화면 터치 방식으로 많은 글자를 입력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자 입력의 어려움을 보완하기 위해 LCD창이 장착된 서브바디를 횡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고 그 하부에 쿼티패드를 장착한 휴대단말기도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휴대단말기는 LCD창이 장착된 서브바디와 쿼티패드가 장착된 메인바디가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어 사용자가 오랫동안 LCD창을 편한 각도로 보기 위해서 휴대단말기를 직접 들고 사용하거나 서브바디를 경사지게 배치하기 위해서 별도의 조작을 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하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서브바디를 슬라이딩시켜 휴대단말기를 개방하면 동시에 서브바디가 자동으로 경사지게 틸트되어 사용이 편리한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및 틸트 힌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및 틸트 힌지 장치는, 픽스플레이트와; 일단이 상기 픽스플레이트의 일단에 힌지결합되는 가이드플레이트와; 일단이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픽스플레이트의 타단에 힌지결합되는 링크플레이트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상부에 슬라이딩되게 결합되는 무빙플레이트와; 상기 픽스플레이트와 링크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링크플레이트가 회전하도록 탄성력을 부가하는 제1탄성부재와; 일단이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무빙플레이트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무빙플레이트가 직선운동 하도록 탄성력을 부가하는 제2탄성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픽스플레이트와 무빙플레이트 사이에는 상기 링크플레이트의 회전을 저지하는 무빙스토퍼가 배치되고, 상기 무빙플레이트가 슬라이딩하면, 상기 무빙스토퍼가 해제되어 상기 링크플레이트는 상기 제1탄성부재에 의해 일단이 타단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동시에 상기 가이드플레이트를 따라 슬라이딩하여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와 무빙플레이트를 상기 픽스플레이트에 대해 경사지게 틸트시킨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양측에는 상기 무빙플레이트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길게 링크가이드가 장착되고, 상기 링크플레이트는 상기 픽스플레이트와 가이드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고, 양측 일단에 상기 링크가이드 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가 돌출 형성되되, 상기 절곡부의 끝단은 링크축에 의해 상기 링크가이드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타단 방향인 상기 링크가이드의 타단에는 상기 링크축의 슬라이딩거리를 제한하는 링크스토퍼가 결합된다.
상기 무빙스토퍼는, 상기 픽스플레이트의 상부에 고정 장착되는 제1스토퍼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에 상기 무빙플레이트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슬라이딩되게 결합되고, 일단 하부에 상기 제1스토퍼가 배치된 방향으로 절곡된 걸림부가 돌출 형성된 제2스토퍼와; 상기 제2스토퍼에 상기 제1스토퍼가 배치된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가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무빙플레이트가 슬라이딩하기 전에, 상기 걸림부의 상면이 상기 제1스토퍼의 하면에 접하여 상기 링크플레이트의 회전을 저지한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에는 상기 제2스토퍼가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의 양측에는 가이드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2스토퍼의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부가 삽입되는 이동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2스토퍼가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한다.
상기 제2스토퍼에는 상기 스프링이 삽입 배치되는 압축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스토퍼의 타단에는 상기 압축공 및 이동홈과 연통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2스토퍼에는 상기 압축공에서 상기 삽입공이 형성된 반대면에 지지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에는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어 상기 압축공에 배치되는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되되, 상기 스프링은 일단이 상기 지지돌기에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돌기에 삽입된다.
상기 무빙플레이트에는 하방향으로 절곡된 해제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무빙플레이트가 슬라이딩하면, 상기 해제돌기가 상기 제2스토퍼를 상기 제1스토퍼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스프링을 압축시키고, 상기 제1스토퍼와 걸림부의 접촉이 해제되어 상기 제1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링크플레이트가 회전한다.
상기 제1스토퍼에는 상기 제2스토퍼가 배치된 방향에 경사면이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플레이트 및 무빙플레이트가 틸트된 상태에서 상기 무빙플레이트를 하방향으로 누르면서 슬라이딩시키면,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걸림부가 상기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1스토퍼의 하면에 접하게 배치된다.
상기 픽스플레이트에는 상기 무빙스토퍼의 하부가 관통하여 배치되는 관통공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및 틸트 힌지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무빙플레이트를 슬라이딩시키면 가이드플레이트 및 무빙플레이트가 픽스플레이트에 대해 자동으로 경사지게 틸트되어 휴대단말기의 서브바디를 경사지게 틸트시킴으로써, 휴대단말기의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절곡부의 끝단에 결합된 링크축이 링크가이드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안정적인 틸트동작이 가능하다.
또한, 링크가이드의 타단에 링크스토퍼를 결합시킴으로써, 틸트 각도를 쉽게 제한할 수 있다.
또한, 무빙플레이트가 슬라이딩하기 전에 무빙스토퍼에 의해 링크플레이트의 회전이 저지됨으로써, 휴대단말기가 닫힌 상태에서 틸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걸림부가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여 제1스토퍼의 하면에 접하게 됨으로써, 경사지게 틸트된 휴대단말기의 서브바디를 원 상태로 쉽게 복귀시킬 수 있다.
또한, 픽스플레이트에 무빙스토퍼의 하부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됨으로써, 휴대단말기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및 틸트 힌지 장치의 일방향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및 틸트 힌지 장치의 타방향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및 틸트 힌지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제1스토퍼를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
도 5는 도 3의 B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및 틸트 힌지 장치의 작동상태도,
도 7은 도 1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8은 도 7에서 무빙플레이트가 슬라이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도 8에서 무빙플레이트 및 가이드플레이트가 경사지게 틸트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도 9에서 휴대단말기가 닫히는 과정 중에 무빙스토퍼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및 틸트 힌지 장치가 장착된 휴대단말기의 작동상태도,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및 틸트 힌지 장치의 일방향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및 틸트 힌지 장치의 타방향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및 틸트 힌지 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제1스토퍼를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며, 도 5(a)는 도 3의 B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C-C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및 틸트 힌지 장치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스플레이트(100), 가이드플레이트(200), 무빙스토퍼, 링크플레이트(400), 제1탄성부재(500), 무빙플레이트(600), 및 제2탄성부재(700)로 이루어진다.
상기 픽스플레이트(100)는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휴대단말기의 메인바디(101)의 상부에 고정 장착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픽스플레이트(100)의 일단 상부에는 상방향으로 돌출된 제1힌지결합부(110)가 형성된다.
상기 제1힌지결합부(110)에는 원통 형상의 제1힌지축(120)에 의해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00)가 힌지결합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픽스플레이트(100)의 타단에는 하방향으로 절곡된 제2힌지결합부(130)가 형성된다.
상기 제2힌지결합부(130)에는 원통 형상의 제2힌지축(140)에 의해 상기 링크플레이트(400)가 힌지결합된다.
상기 제2힌지축(140)에는 상기 제1탄성부재(500)가 삽입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힌지결합부(130)에는 상기 제1탄성부재(500)의 끝단이 걸려 고정되는 걸림턱(131)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131)은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힌지결합부(130)의 하부에서 측방향으로 절곡된다.
그리고 상기 픽스플레이트(100)의 타단에는 상기 제1탄성부재(500)가 관통하는 회전홈(150)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홈(15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픽스플레이트(100)의 일단 방향으로 오목하게 함몰되어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픽스플레이트(100)에는 관통공(160)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160)에는 후술할 무빙스토퍼의 하부가 관통하여 배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픽스플레이트(100)에 무빙스토퍼의 하부가 관통되는 관통공(160)이 형성됨으로써, 휴대단말기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00)는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픽스플레이트(100)의 상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00)는 일단이 상기 픽스플레이트(100)의 일단에 힌지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00)의 일단은 상기 제1힌지축(120)에 의해 상기 제1힌지결합부(110)에 힌지결합되어 타단이 상기 제1힌지축(120)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00)의 양측에는 가이드레일(210)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레일(210)은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개방되며 내부에 후술할 가이드편(610)이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레일(210)의 외측면 즉, 상기 가이드레일(210)이 개방된 방향의 반대 방향에는 링크가이드(220)가 장착된다.
상기 링크가이드(2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빙플레이트(600)가 슬라이딩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레일(210)이 개방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링크가이드(220)는 일단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타단에는 링크스토퍼(230)가 결합된다.
상기 링크가이드(220)의 일단과 타단의 방향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00)의 일단과 타단의 방향과 같다.
상기 링크스토퍼(230)는 고정부(231)와 스토퍼돌기(232)로 이루어진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231)는 상기 링크가이드(220)의 타단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스토퍼돌기(232)는 상기 링크가이드(220)에 삽입된다.
상기 링크가이드(220)에 삽입된 상기 스토퍼돌기(232)의 길이에 따라 상기 링크플레이트(40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링크가이드(220)의 타단에 링크스토퍼(230)를 결합시킴으로써, 틸트 각도를 쉽게 제한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00)의 일단에는 타단 방향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결합홈(240)이 형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홈(240)의 양측에는 가이드부(241)가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결합홈(240)에는 후술할 상기 무빙스토퍼가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부(241)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결합홈(240)에는 상기 무빙스토퍼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고정돌기(242)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기(24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단으로 형성되어 후술할 스프링(330)이 삽입된다.
상기 무빙스토퍼는 상기 픽스플레이트(100)와 무빙플레이트(60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링크플레이트(400)의 회전을 저지한다.
이러한 상기 무빙스토퍼는 제1스토퍼(310), 제2스토퍼(320) 및 스프링(3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스토퍼(310)는 상기 관통공(160)이 형성된 상기 픽스플레이트(100)의 일단 상부에 고정 장착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스토퍼(310)에서 상기 관통공(160)이 형성된 방향에 하방향으로 돌출부(311)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311)는 상기 관통공(160)을 관통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2스토퍼(320)가 배치되는 방향에 경사면(312)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312)은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2스토퍼(320)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00)에 상기 무빙플레이트(600)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슬라이딩되게 결합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스토퍼(320)의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부(241)가 삽입되는 이동홈(321)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스토퍼(320)는 상기 결합홈(240)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부(241)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2스토퍼(320)의 일단 하부에는 걸림부(322)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322)는 상기 제1스토퍼(310)가 배치된 방향으로 절곡되어 휴대단말기가 닫힌 상태인 상기 무빙플레이트(600)가 슬라이딩하기 전에 상기 돌출부(311)의 하면에 접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스토퍼(320)에는 상하 관통되는 압축공(323)이 형성된다.
상기 압축공(323)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330)이 삽입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2스토퍼(320)의 타단에는 상기 고정돌기(242)가 삽입되는 삽입공(324)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공(324)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홈(321) 및 압축공(323)과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제2스토퍼(320)에는 상기 압축공(323)에서 상기 삽입공(324)이 형성된 반대면에 지지돌기(325)가 돌출 형성된다.
즉,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돌기(325)와 고정돌기(242)는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스프링(330)은 상기 압축공(323)에 삽입 배치되고, 일단이 상기 지지돌기(325)에 삽입되며 타단이 상기 고정돌기(242)에 삽입되어 상기 제2스토퍼(320)를 상기 제1스토퍼(310) 방향으로 탄성지지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프링(330)은 상기 제2스토퍼(320)가 상기 제1스토퍼(31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2스토퍼(320)에 의해 압축되고, 상기 스프링(33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다시 상기 제2스토퍼(320)를 상기 제1스토퍼(310) 방향으로 탄성지지하게 된다.
경우에 따라 상기 제2스토퍼(320)에는 상기 압축공(323) 및 삽입공(324)을 형성하지 않고 상기 제2스토퍼(320)의 타단에 상기 지지돌기(325)를 형성하여 상기 지지돌기(325)와 고정돌기(242) 사이에 상기 스프링(330)을 배치할 수도 있다.
상기 링크플레이트(400)는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픽스플레이트(100)와 가이드플레이트(200)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링크플레이트(400)는 일단이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픽스플레이트(100)의 타단에 힌지결합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크플레이트(400)의 양측에는 하방향으로 절곡된 링크부(41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링크부(410)의 일단에는 상기 링크가이드(220) 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411)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절곡부(411)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상방향으로 절곡 형성된다.
상기 절곡부(411)의 끝단에는 링크축(420)이 장착된다.
상기 링크축(420)은 상기 링크가이드(220)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링크가이드(220)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절곡부(411)의 끝단에 결합된 상기 링크축(420)이 상기 링크가이드(220)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안정적인 틸트동작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링크부(410)의 타단은 상기 제2힌지축(140)에 의해 상기 제2힌지결합부(130)에 힌지결합된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크플레이트(400)의 타단은 상기 코일부(510)가 삽입되지 않은 상기 제2힌지축(140) 외주면의 일부분과 이격되어 상기 제2힌지축(140)을 감싸도록 절곡 형성된다.
상기 제1탄성부재(500)는 상기 픽스플레이트(100)와 링크플레이트(40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링크플레이트(400)가 회전하도록 탄성력을 부가한다.
상기 제1탄성부재(500)는 코일 형상으로 형성된 코일부(510)와 상기 코일부(510) 사이에 사각형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직선부(5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코일부(5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힌지축(140)에 삽입되고 양 끝단은 상기 픽스플레이트(100)의 일단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턱(131)의 상부에 걸리게 된다.
상기 직선부(520)는 상기 회전홈(150)을 관통하여 배치되고, 상기 링크플레이트(400)의 하면에 접하여 상기 링크플레이트(400)를 상방향으로 탄성지지한다.
이러한 상기 제1탄성부재(500)는 항상 상기 코일부(510)의 양 끝단과 상기 직선부(520)가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한다.
이에 따라 상기 코일부(510)의 양 끝단은 상기 걸림턱(131)에 걸려 상기 직선부(520)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상기 직선부(520)는 상기 제2힌지축(140)을 중심으로 상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링크플레이트(400)를 회전시킨다.
상기 무빙플레이트(600)는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에 서브바디(102)가 장착되며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00)의 상부에 슬라이딩되게 결합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빙플레이트(600)의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레일(210)에 삽입되는 가이드편(610)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무빙플레이트(600)는 상기 가이드레일(210)을 따라 슬라이딩하게 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빙플레이트(600)의 일단에는 해제돌기(620)가 형성된다.
상기 해제돌기(620)는 하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무빙플레이트(600)가 타단 방향으로 슬라이딩함에 따라 상기 제2스토퍼(320)의 일단을 밀어 상기 제2스토퍼(320)를 상기 제1스토퍼(310)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제2탄성부재(700)는 토션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일단이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00)의 상부에 힌지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무빙플레이트(600)의 하부에 힌지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제2탄성부재(700)는 상기 무빙플레이트(600)가 직선운동 하도록 탄성력을 부가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탄성부재(700)에 의해 상기 무빙플레이트(600)가 상기 가이드레일(210)을 따라 슬라이딩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및 틸트 힌지 장치는 상기 무빙플레이트(600)가 슬라이딩하면, 상기 무빙스토퍼(310,320,330)가 해제되어 상기 링크플레이트(400)는 상기 제1탄성부재(500)에 의해 일단이 타단 즉, 상기 제2힌지축(140)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동시에 상기 절곡부(411)의 끝단에 장착된 상기 링크축(420)이 상기 링크가이드(220)를 따라 슬라이딩하여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00)와 무빙플레이트(600)를 상기 픽스플레이트(100)에 대해 경사지게 틸트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00)와 무빙플레이트(600)를 자동으로 경사지게 틸트시킴으로써, 휴대단말기의 사용이 편리하다.
이하, 상술한 구성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및 틸트 힌지장치의 결합 및 작동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및 틸트 힌지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6(b)는 도 6(a)에서 무빙플레이트가 슬라이딩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6(c)는 도 6(b)에서 무빙플레이트 및 가이드플레이트가 경사지게 틸트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7은 도 1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7에서 무빙플레이트가 슬라이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서 무빙플레이트 및 가이드플레이트가 경사지게 틸트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9에서 휴대단말기가 닫히는 과정 중에 무빙스토퍼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및 틸트 힌지 장치가 장착된 휴대단말기의 작동상태도이다.
상기 픽스플레이트(100)의 상부에 상기 제1스토퍼(310)를 장착한다.
상기 압축공(323)에 상기 스프링(330)을 삽입한 후, 상기 제2스토퍼(320)를 상기 결합홈(240)에 삽입하여 상기 제2스토퍼(320)를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00)에 결합시킨다.
상기 제1힌지축(120)으로 상기 제2스토퍼(320)가 결합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00)의 일단을 상기 픽스플레이트(100)의 일단에 힌지결합시킨다.
상기 제1탄성부재(500)를 상기 제2힌지축(140)에 삽입한 후, 상기 제2힌지축(140)으로 상기 링크플레이트(400)의 타단을 상기 픽스플레이트(100)의 타단에 힌지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코일부(510)의 끝단은 상기 걸림턱(131)의 상부에 걸리게 하고, 상기 직선부(520)는 상기 회전홈(510)을 관통하여 상기 링크플레이트(400)의 하면에 접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절곡부(411)에 장착된 상기 링크축(420)을 상기 링크가이드(220)에 삽입한 후, 상기 링크스토퍼(230)를 상기 링크가이드(220)의 타단에 결합시킨다.
상기 무빙플레이트(600)는 상기 가이드편(610)을 상기 가이드레일(210)에 삽입하여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00)의 상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제2탄성부재(700)는 일단이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00)의 상부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무빙플레이트(600)의 하부에 힌지결합된다.
도 6(a)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링크플레이트(400)는 상기 제1탄성부재(500)에 의해 상기 제2힌지축(140)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한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스토퍼(320)는 상기 스프링(33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스토퍼(310)가 배치된 방향으로 탄성지지되어 상기 걸림부(322)가 상기 돌출부(311)의 하면에 접하게 배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걸림부(322)는 상기 돌출부(311)의 하면에 접하게 배치됨으로써,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00)의 회전을 저지한다.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00)의 타단은 상기 제1힌지축(120)을 중심으로 회전하지 못하기 때문에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00)의 하부에 배치된 상기 링크플레이트(400) 역시 회전하지 못한다.
따라서 도 7 및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무빙스토퍼(310,320,330)에 의해 상기 서브바디(102)가 경사지게 틸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b)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기가 닫힌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서브바디(102)를 우측 방향으로 밀면 상기 무빙플레이트(600)가 슬라이딩하여 이동하게 된다.
상기 무빙플레이트(600)는 일정 구간 이동한 후에 상기 제2탄성부재(700)에 의해 나머지 구간을 자동으로 슬라이딩하여 이동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빙플레이트(600)가 슬라이딩하여 이동하면 상기 해제돌기(620)가 상기 제2스토퍼(320)를 밀어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제2스토퍼(320)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스프링(330)을 압축시키고, 상기 걸림부(322)는 상기 돌출부(311)의 하면에 접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돌출부(311)와 걸림부(322)의 접촉이 해제됨으로써, 도 6(c)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탄성부재(500)에 의해 상기 링크플레이트(400)의 일단이 상기 제2힌지축(140)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링크플레이트(400)에 의해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00)의 타단이 상기 제1힌지축(120)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00)와 함께 상기 무빙플레이트(600)가 회전하여 상기 픽스플레이트(100)에 대해 경사지게 틸트된다.
구체적으로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크플레이트(400)의 타단 즉, 상기 링크부(410)가 상기 제2힌지축(140)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절곡부(141)에 장착된 상기 링크축(420)이 상기 링크가이드(220)를 따라 우측 상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00)와 함께 상기 무빙플레이트(60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링크가이드(220)를 따라 이동하는 상기 링크축(420)은 상기 스토퍼돌기(232)에 접하여 이동이 멈추게 되고 상기 링크플레이트(400)의 회전을 저지하여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00) 및 무빙플레이트(600)의 틸트 각도를 제한한다.
상기 무빙플레이트(600)가 회전하여 틸트되면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브바디가 상기 메인바디에 대해 경사지게 틸트되어 사용자가 상기 서브바디의 상부에 장착된 LCD창을 편한 각도로 주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무빙플레이트(600)를 슬라이딩시키면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00) 및 무빙플레이트(600)가 상기 픽스플레이트(100)에 대해 자동으로 경사지게 틸트됨으로써, 휴대단말기의 사용이 편리하다.
한편, 상기 휴대단말기를 닫을 때는 사용자가 상기 서브바디(102)를 하방향으로 누르면서 슬라이딩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무빙플레이트(600)는 상기 가이드레일(210)을 따라 슬라이딩하고,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00) 및 무빙플레이트(60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해제돌기(620)가 우측 방향 즉, 상기 제2스토퍼(32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스토퍼(320)는 상기 스프링(330)에 의해 상기 제1스토퍼(310) 방향으로 탄성지지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걸림부(322)는 상기 경사면(312)에 접한 상태로 상기 경사면(312)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 무빙플레이트(600)는 사용자에 의해 일정 구간 이동하게 되면 자동으로 나머지 구간을 이동하게 되고, 상기 경사면(312)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걸림부(322)는 상기 돌출부(311)의 하면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서브바디(102)가 경사지게 틸트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메인바디(101)를 덮어 휴대단말기의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걸림부(322)가 상기 경사면(312)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1스토퍼(310) 즉, 상기 돌출부(311)의 하면에 접하게 됨으로써, 경사지게 틸트된 상기 서브바디(102)를 원 상태로 쉽게 복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인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및 틸트 힌지 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 픽스플레이트, 101 : 메인바디, 102 : 서브바디, 110 : 제1힌지결합부, 120 : 제1힌지축, 130 : 제2힌지결합부, 131 : 걸림턱, 140 : 제2힌지축, 150 : 회전홈, 160 : 관통공, 200 : 가이드플레이트, 210 : 가이드레일, 220 : 링크가이드, 230 : 링크스토퍼, 231 : 고정부, 232 : 스토퍼돌기, 240 : 결합홈, 241 : 가이드부, 242 : 고정돌기, 310 : 제1스토퍼, 311 : 돌출부, 312 : 경사면, 320 : 제2스토퍼, 321 : 이동홈, 322 : 걸림부, 323 : 압축공, 324 : 삽입공, 325 : 지지돌기, 400 : 링크플레이트, 410 : 링크부, 411 : 절곡부, 420 : 링크축, 500 : 제1탄성부재, 510 : 코일부, 520 : 직선부, 600 : 무빙플레이트, 610 : 가이드편, 620 : 해제돌기, 700 : 제2탄성부재,

Claims (9)

  1. 픽스플레이트와;
    일단이 상기 픽스플레이트의 일단에 힌지결합되는 가이드플레이트와;
    일단이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픽스플레이트의 타단에 힌지결합되는 링크플레이트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상부에 슬라이딩되게 결합되는 무빙플레이트와;
    상기 픽스플레이트와 링크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링크플레이트가 회전하도록 탄성력을 부가하는 제1탄성부재와;
    일단이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무빙플레이트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무빙플레이트가 직선운동 하도록 탄성력을 부가하는 제2탄성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픽스플레이트와 무빙플레이트 사이에는 상기 링크플레이트의 회전을 저지하는 무빙스토퍼가 배치되고,
    상기 무빙플레이트가 슬라이딩하면, 상기 무빙스토퍼가 해제되어 상기 링크플레이트는 상기 제1탄성부재에 의해 일단이 타단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동시에 상기 가이드플레이트를 따라 슬라이딩하여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와 무빙플레이트를 상기 픽스플레이트에 대해 경사지게 틸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및 틸트 힌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양측에는 상기 무빙플레이트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길게 링크가이드가 장착되고,
    상기 링크플레이트는 상기 픽스플레이트와 가이드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고, 양측 일단에 상기 링크가이드 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가 돌출 형성되되,
    상기 절곡부의 끝단은 링크축에 의해 상기 링크가이드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및 틸트 힌지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타단 방향인 상기 링크가이드의 타단에는 상기 링크축의 슬라이딩거리를 제한하는 링크스토퍼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및 틸트 힌지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스토퍼는,
    상기 픽스플레이트의 상부에 고정 장착되는 제1스토퍼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에 상기 무빙플레이트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슬라이딩되게 결합되고, 일단 하부에 상기 제1스토퍼가 배치된 방향으로 절곡된 걸림부가 돌출 형성된 제2스토퍼와;
    상기 제2스토퍼에 상기 제1스토퍼가 배치된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가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무빙플레이트가 슬라이딩하기 전에, 상기 걸림부의 상면이 상기 제1스토퍼의 하면에 접하여 상기 링크플레이트의 회전을 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및 틸트 힌지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에는 상기 제2스토퍼가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의 양측에는 가이드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2스토퍼의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부가 삽입되는 이동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2스토퍼가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및 틸트 힌지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토퍼에는 상기 스프링이 삽입 배치되는 압축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스토퍼의 타단에는 상기 압축공 및 이동홈과 연통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2스토퍼에는 상기 압축공에서 상기 삽입공이 형성된 반대면에 지지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에는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어 상기 압축공에 배치되는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되되,
    상기 스프링은 일단이 상기 지지돌기에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돌기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및 틸트 힌지 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플레이트에는 하방향으로 절곡된 해제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무빙플레이트가 슬라이딩하면, 상기 해제돌기가 상기 제2스토퍼를 상기 제1스토퍼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스프링을 압축시키고, 상기 제1스토퍼와 걸림부의 접촉이 해제되어 상기 제1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링크플레이트가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및 틸트 힌지 장치.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토퍼에는 상기 제2스토퍼가 배치된 방향에 경사면이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플레이트 및 무빙플레이트가 틸트된 상태에서 상기 무빙플레이트를 하방향으로 누르면서 슬라이딩시키면,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걸림부가 상기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1스토퍼의 하면에 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및 틸트 힌지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플레이트에는 상기 무빙스토퍼의 하부가 관통하여 배치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및 틸트 힌지 장치.
KR1020100111426A 2010-11-10 2010-11-10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및 틸트 힌지 장치 KR201200500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1426A KR20120050088A (ko) 2010-11-10 2010-11-10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및 틸트 힌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1426A KR20120050088A (ko) 2010-11-10 2010-11-10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및 틸트 힌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0088A true KR20120050088A (ko) 2012-05-18

Family

ID=46267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1426A KR20120050088A (ko) 2010-11-10 2010-11-10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및 틸트 힌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5008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0068B1 (ko) 슬라이드 힌지장치 및 슬라이드 힌지장치를 사용한개인휴대단말기
KR100781996B1 (ko) 슬라이드 다운 개폐방식 휴대 단말기
JP2005286994A (ja) スライド型携帯電話機用モジュール
US20100197372A1 (en) Information terminal apparatus and hinge unit
KR20060082523A (ko) 슬라이딩-폴딩 타입 휴대용 단말기
KR10077852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힌지 장치
US8520378B2 (en) Swing-type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hinge mechanism thereof
KR101833544B1 (ko) 휴대용 통신 장치 및 그의 슬라이딩/회전 힌지 장치
KR100799623B1 (ko) 슬라이드 다운 개폐방식의 휴대 단말기
KR20120050088A (ko)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및 틸트 힌지 장치
KR20100084325A (ko) 팝업 키패드 구조의 슬라이드 휴대폰
KR100899741B1 (ko)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
KR200326418Y1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드 이동수단
KR100617656B1 (ko) 슬라이드와 로테이트가 가능한 휴대 단말기
KR101106145B1 (ko) 오토 틸트 힌지모듈
KR20060088652A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톱퍼 구조
KR101051410B1 (ko) 슬라이드 힌지 장치
KR100686398B1 (ko) 슬라이드와 로테이트가 가능한 휴대 단말기
KR100642475B1 (ko) 2단 키패드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411625Y1 (ko) 휴대폰용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100845222B1 (ko) 휴대폰의 플립형 덮개
KR100924465B1 (ko)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딩 개폐장치
KR100783627B1 (ko) 전자기기용 개폐장치의 플런저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전자기기용 개폐장치
KR200376765Y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KR100783625B1 (ko) 전자기기용 개폐장치의 슬라이딩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