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0019A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긴급 상황 감지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긴급 상황 감지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0019A
KR20120050019A KR20100111316A KR20100111316A KR20120050019A KR 20120050019 A KR20120050019 A KR 20120050019A KR 20100111316 A KR20100111316 A KR 20100111316A KR 20100111316 A KR20100111316 A KR 20100111316A KR 20120050019 A KR20120050019 A KR 201200500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emergency
terminal
serving base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111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4497B1 (ko
Inventor
김경규
박중신
강현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1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4497B1/ko
Priority to US13/284,643 priority patent/US9144092B2/en
Publication of KR20120050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00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4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4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50Connection management for emergency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4Arrangements for maintain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긴급 상황 대처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긴급 상황을 감지하는 서빙 기지국의 방법은, 셀 내 단말들로부터 긴급 호출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수신되는 긴급 호출 신호의 수가 임계 횟수를 초과하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긴급 호출 신호의 수가 임계 횟수를 초과할 시, 상기 기지국에 긴급 상황이 발생했음을 감지하는 과정과, 셀 내 단말로 긴급 상황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별도의 시스템 변경 없이,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 간의 연결 단절 혹은 그 밖의 원인으로 인한 긴급 상황을 짧은 시간 내에 감지하여 긴급 상황에 대해 빠르게 대처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긴급 상황 감지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EMERGENCY STATU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긴급 상황 대처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지국의 긴급 상황을 감지하고, 해당 기지국 내 단말의 통신을 유지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통신 시스템에서는 재난과 같은 긴급 상황에 대비하여, 사용자에게 긴급 상황이 발생됨을 신속하게 알리기 위한 서비스들이 제공되고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무선통신 시스템에서는 재난 발생 시, 기지국에서 특정 주파수를 통해 재난이 발생됨을 알리는 메시지를 방송하여 모든 사용자들이 재난 상황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또한, 지진, 화재 및 테러 등과 같은 재난 발생에 따라 상기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선로가 단절될 수 있으므로, 종래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는 상기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 간에 연결 유지(Keep Alive)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송수신하여 기지국이 고립되는 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 연결 유지 메시지를 이용하는 방식은, 상기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가 소정 횟수 동안 주기적으로 상기 연결 유지 메시지를 송수신하여 상기 연결 유지 메시지의 송수신이 연속적으로 임계 횟수 이상 실패될 시, 상기 기지국이 고립된 것을 감지하기 때문에, 상기 기지국의 고립을 감지하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게 된다. 예를 들어, 종래의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는 5초 주기로 송수신되는 연결 유지 메시지가 11회 동안 연속적으로 실패되는 경우, 상기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 사이의 선로가 단절되었음을 판단하기 때문에, 상기 기지국의 고립을 감지하기까지 55초의 시간이 소요된다. 상기 55초의 시간은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짧은 시간이라고 할 수 있으나, 단 몇 초 동안 수많은 인명 및 재산 피해가 발생되는 긴급한 상황에서는 결코 짧은 시간이라고 볼 수 없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기지국의 긴급 상황을 짧은 시간 내에 감지하고, 상기 기지국 내 단말의 통신을 유지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긴급 상황을 감지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영역 내 긴급 호출 발생 횟수에 따라 기지국의 긴급 상황을 감지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코어 네트워크와의 연결 단절을 감지하고, 연결이 단절된 것을 코어 네트워크에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긴급 상황 발생 시, 단말의 핸드오버를 통해 상기 기지국의 긴급 상황을 알리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코어 네트워크와의 연결이 단절된 기지국 내 단말의 통신을 유지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긴급 상황을 감지하는 서빙 기지국의 방법은, 셀 내 단말들로부터 긴급 호출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수신되는 긴급 호출 신호의 수가 임계 횟수를 초과하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긴급 호출 신호의 수가 임계 횟수를 초과할 시, 상기 기지국에 긴급 상황이 발생했음을 감지하는 과정과, 셀 내 단말로 긴급 상황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긴급 상황을 감지하는 단말의 방법은,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긴급 상황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주변 기지국으로 상기 서빙 기지국이 긴급 상황임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견지에 따르면,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서빙 기지국의 긴급 상황을 감지하는 인접 기지국의 방법은, 단말로부터 서빙 기지국이 긴급 상황임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의 서빙 기지국이 긴급 상황임을 코어 네트워크로 보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견지에 따르면,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긴급 상황을 감지하는 서빙 기지국의 장치는, 셀 내 단말들로부터 수신되는 긴급 호출 신호의 수가 임계 횟수를 초과하는지 검사하고, 상기 긴급 호출 신호의 수가 임계 횟수를 초과할 시, 상기 기지국에 긴급 상황이 발생했음을 감지하고, 셀 내 단말로 긴급 상황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셀 내 단말들로부터 긴급 호출 신호를 수신하고, 셀 내 단말로 긴급 상황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5 견지에 따르면,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긴급 상황을 감지하는 단말의 장치는,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긴급 상황을 나타내는 메시지가 수신될 시, 주변 기지국으로 상기 서빙 기지국이 긴급 상황임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6 견지에 따르면,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서빙 기지국의 긴급 상황을 감지하는 인접 기지국의 장치는, 단말로부터 서빙 기지국이 긴급 상황임을 나타내는 메시지가 수신될 시, 상기 단말의 서빙 기지국이 긴급 상황임을 코어 네트워크로 보고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긴급 호출 메시지를 통해 긴급 상황을 감지하고, 상기 기지국의 셀 영역 내 단말의 핸드오버를 통해 상기 긴급 상황을 코어 네트워크로 보고함으로써, 별도의 시스템 변경 없이,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 간의 연결 단절 혹은 그 밖의 원인으로 인한 긴급 상황을 짧은 시간 내에 감지하여 긴급 상황에 대해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고립으로 인한 긴급 상황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긴급 상황이 발생됨을 감지하고, 이를 코어 네트워크로 알리기 위한 신호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서빙 기지국이 긴급 상황을 감지하는 동작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서빙 기지국의 긴급 상황에 따라 핸드오버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타겟 기지국이 서빙 기지국의 긴급 상황을 코어 네트워크에 보고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코어 네트워크에서 기지국의 긴급 상황을 감지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블럭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블럭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코어 네트워크의 블럭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긴급 상황을 감지하고, 상기 기지국의 셀 영역 내 단말의 핸드오버를 통해 상기 긴급 상황을 코어 네트워크에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해 설명할 것이다. 이하 설명에서는 IEEE 802.16m 혹은 IEEE 802.16n을 예로 들어 설명할 것이나,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은 메시지 수신이 필요한 단말이 존재하는 모든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고립으로 인한 긴급 상황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코어 네트워크(100), 복수의 기지국들(111 내지 113) 및 복수의 단말들(121 내지 123)이 통신하고 있는 상황에서, 상기 코어 네트워크(100)와 제 3 기지국(113) 사이의 연결 선로가 단절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코어 네트워크(100)와 상기 제 3 기지국(113) 사이의 연결 선로는, 지진, 화재 및 테러 등과 같은 재난에 의해 단절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 선로는 다른 이유에 의해 단절될 수도 있다. 또한, 여기서는 상기 제 3 기지국(113)이 정상 동작함을 가정한다.
먼저, 상기 제 3 기지국(113)이 코어 네트워크(100) 및 해당 셀 영역 내의 단말들(121, 122)과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코어 네트워크(100)와 연결 유지(Keep Alive)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송수신한다. 상기 연결 유지 메시지는 상기 제 3 기지국(113)과 상기 코어 네트워크(100) 사이의 연결 선로가 유효한지 검사하기 위해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의미한다.
이때, 재난 상황 발생으로 인해 상기 제 3 기지국(113)의 셀 영역 내에 위치한 복수의 단말들(121 내지 123)은 상기 제 3 기지국(113)으로 긴급 호출(emergency call)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 3 기지국(113)은 긴급 호출 신호가 임계 횟수 이상 수신되는지 검사하여 상기 코어 네트워크(100)와 연결 선로가 단절된 상태인지 즉, 긴급 상황이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제 3 기지국(113)은 상기 긴급 호출 신호가 임계 횟수 이상 수신될 경우, 상기 긴급 상황이 발생되었음을 판단하고, 핸드오버를 요청한 단말 혹은 셀 영역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제 1 단말(121)로 긴급 상황을 나타내는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후, 상기 제 3 기지국(113)은 독립 동작(standalone) 모드로 전환하여 자신의 셀 영역 내 단말들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 3 기지국(113)은 상기 셀 영역 내 단말들로 상기 코어 네트워크(100)와의 연결을 필요로 하지 않는 모든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기지국(113)은 이전과 동일한 채널 혹은 미리 설정된 전용 채널을 통해 독립 동작 모드에서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제 1 단말(121)은 주변 기지국을 검색하여 제 2 기지국(112)을 핸드오버 타겟 기지국으로 결정한 후, 상기 타겟 기지국(112)에 대하여 네트워크 재진입(Network re-entry) 과정을 수행하고, 상기 제 3 기지국(113)의 긴급 상황을 알린다.
이후, 상기 제 2 기지국(112)은 상기 제 3 기지국(113)이 긴급 상황임을 상기 코어 네트워크(100)로 전송하고, 상기 코어 네트워크(100)는 상기 제 3 기지국(113)의 주변 기지국을 검색하여 검색된 주변 기지국들로 파워 조절 메시지를 송신한다. 이는, 상기 주변 기지국들의 파워를 조절하여 상기 제 3 기지국(113)의 긴급 상황으로 인해 누락된 영역을 복구하기 위함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긴급 상황이 발생됨을 감지하고, 이를 코어 네트워크로 알리기 위한 신호 흐름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상기 제 3 기지국(113)은 201단계에서 코어 네트워크(100)와 통신을 수행하고, 203단계에서 복수의 단말들로부터 긴급 호출 메시지를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제 3 기지국(113)은 복수의 단말들로부터 긴급 호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으나, 편의상 제 2 단말(122)로부터 긴급 호출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만을 도시하였다.
상기 복수의 단말들로부터 긴급 호출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제 3 기지국(113)은 상기 수신된 긴급 호출 메시지의 수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 205단계에서 상기 코어 네트워크(100)와의 연결 선로가 단절되었음을 판단하고, 긴급 상황임을 감지한다. 여기서, 상기 제 3 기지국(113)은 상기 코어 네트워크(100)와 주기적으로 송수신하는 연결 유지 메시지가 성공되더라도, 상기 기지국 내 긴급 상황 발생으로 인해, 상기 코어 네트워크(100)와의 연결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음을 판단하고, 상기 긴급 상황임을 결정하여 이하 설명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긴급 상황이 감지된 후, 제 1 단말(121)이 207단계에서 상기 제 3 기지국(113)으로 핸드오버 요청(AAI_HO_REQ) 메시지를 전송할 경우, 상기 제 3 기지국(113)은 209단계에서 상기 제 3 기지국(113)에 긴급 상황이 발생됨을 나타내는 핸드오버 명령(AAI_HO_CMD) 메시지를 상기 제 1 단말(121)로 전송한다. 즉, 본 발명에 따라 긴급 상황이 발생된 기지국은 하기 표 1과 같은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단말로 전송한다.
하기 표 1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의 구성을 나타낸다.
Filed Size Value
Mode 2 0b00: HO command
0b01: Zone switch command from MZone to LZone;
0b10: AMS HO request reject(ABS in list unavailable). In the case, AAI-HO-CMD message shall not include ant T-ABS.
0b11: Reserved
If(Mode = 0b00){
Handover type 1 0: Normal HO 1: Emergency HO
If(Handover type==1){
Serving BS Condition 2 0b00: No reason
0b01: BS Broken
0b10: Backhaul Broken
0b11: Reserved
Serving BSID 48
}
}
(...) (...) (...)
상기 표 1과 같이, 상기 "Handover type"은 해당 핸드오버가 정상적인 핸드오버(Normal HO)인지 긴급 상황으로 인한 핸드오버(Emergency HO)인지 여부를 나타내며, 상기 "Serving BS Condition"은 해당 기지국의 셀 영역 내에서 발생된 다양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해당 기지국이 어떤 문제로 긴급 상황에 처해 있는지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Serving BS Condition"은 상기 긴급 상황이 해당 기지국의 문제(BS Broken) 혹은 해당 기지국과 코어 네트워크 간의 문제(Backhaul Broken)로 인한 것임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Serving BSID"는 상기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송신한 기지국의 식별자로서, 상기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 핸드오버 타겟 기지국 및 코어 네트워크에서 상기 긴급 상황이 발생된 기지국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는 상기 제 3 기지국(113)과 코어 네트워크의 연결이 단절되었으므로, 상기 제 1 단말(121)의 핸드오버 타겟 기지국을 명시하지 않을 것이다.
만일, 상기 207단계와 같이 핸드오버를 요청한 단말이 없을 경우, 상기 제 3 기지국(113)은 셀 영역의 가장자리에 존재하는 단말을 검색하고, 검색된 단말로 상기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셀 영역의 가장자리에 존재하는 단말을 검색하는 방법은 종래에 제공되는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단말이 보고하는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검색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전송한 제 3 기지국(113)은 211단계에서 독립 동작(standalone) 모드로 전환하여 자신의 셀 영역 내 단말들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 3 기지국(113)은 셀 내 단말들로 상기 독립 동작 모드로 전환함을 알릴 수 있다.
한편, 상기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제 1 단말(121)은 주변 기지국을 검색하여 제 2 기지국(112)을 핸드오버 타겟 기지국으로 결정하고, 213단계에서 상기 제 2 기지국(112)으로 레인징 요청(AAI_RNG_REQ)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상기 제 1 단말(121)이 전송한 레인징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 3 기지국(113)에 긴급 상황이 발생됨을 나타낼 수 있다.
하기 표 2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인징 요청 메시지의 구성을 나타낸다.
Field Size Value
Ranging purpose indication type 4 0b0000 = Initial network entry
0b0001 = HO reentry
0b0010 = Network reentry from idle mode
0b0011 = Idle mode location update
0b0100 = DCR mode extension
0b0101 = Emergency call setup(e.g, E911) 0b0110 = Location update for updating service flow management encodings of E-MBS flows
0b0111 = Location update for transition to DCR mode from idle mode
0b1000 = Reentry from DCR mode, coverage loss or detection of different ABS restart count. 0b1001 = Network reentry from a Legacy BS
0b1010 = Zone switch to MZONE from LZONE
0b1011 = Location update due to power down.
0b1100 = Experiencing " femto interference"
0b1101 = NS/EP call setup
0 b1110 = Emergency HO
0b1111 = reserved
(...) (...) (...)
If(Ranging purpose indication == 0b1110){ //Emergency HO
MS MAC address 48
Serving BSID 48
Serving BS condition 2 0b00: No reason
0b01: BS Broken
0b10: Backhaul Broken
0b11: Reserved
Initial Offset for uplink power control(Offset Initial) 5 The bit size represents power level ranging from -15dB(0x00) to 16dB(0x1F) with 1dB step The value is determined by AMS after successful initial ranging process
}
(...) (...) (...)
여기서, 상기 "Ranging purpose indication type"은 레인징 목적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본 발명에 따라 긴급상황에 따른 핸드오버임을 나타내는 값( 0b1110 = Emergency HO )을 추가 정의한다. 이에 따라, 상기 레인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기지국은 상기 "Ranging purpose indication type"이 0b1110인 것을 보고, 해당 단말의 레인징 목적이 긴급 상황에 따른 핸드오버임을 판단하여 네트워크 진입 과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MS MAC address"는 해당 단말의 MAC 주소를 나타내고, 상기 "Serving BSID"는 긴급 상황이 발생된 기지국의 식별자를 나타내며, "Serving BS condition"은 상기 긴급 상황이 발생된 기지국의 상태 즉, 어떤 문제로 인해 긴급 상황이 발생되었는지 나타낸다. 또한, 상기 "Initial Offset for uplink power control(Offset Initial)"은 상향링크 송신 전력에 대한 초기 옵셋을 나타내는 것으로, 초기 레인징 절차를 수행한 단말에 의해 결정되는 값이다. 상기 "Initial Offset for uplink power control(Offset Initial)" 값은 네트워크 진입 과정에서 사용됨으로써, 상기 네트워크 진입 과정을 간소화시킬 수 있다.
이후, 상기 레인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제 2 기지국(112)은 215단계에서 상기 제 1 단말(121)로 레인징 응답(AAI_RNG_RSP)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제 1 단말(121)과 상기 제 2 기지국(112)은 네트워크 진입 과정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진입 과정은 802.16m에 명시된 네트워크 진입 과정과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긴급 상황에 따라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상기 제 1 단말(121)은 네트워크 진입 과정을 빠르게 수행하기 위해 자신의 네트워크 컨텍스트(network context)를 상기 제 3 기지국(113)으로부터 수신하여 타겟 기지국인 제 2 기지국(112)으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네트워크 진입 과정을 간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긴급 상황에 따른 핸드오버를 위해, 상기 네트워크 진입 과정에서 상기 단말과 기지국 간에 협상되는 파라미터들을 미리 설정할 경우, 상기 네트워크 진입 과정을 간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긴급 상황에 따른 핸드오버를 빠르게 수행하기 위해, 물리 계층의 파라미터들인 MAC version, PKM(Privacy and Key management) 정보, MCS 레벨 등을 미리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후, 상기 제 2 기지국(112)은 219단계에서 상기 제 3 기지국(113)에 긴급 상황이 발생되었음을 보고하는 메시지를 상기 코어 네트워크(100)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긴급 상황을 보고하는 메시지는 하기 표 3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하기 표 3은 코어 네트워크로 특정 기지국의 긴급 상황을 보고하는 메시지의 구성을 나타낸다.
IE Reference point Note
BSID 5.3.2.25
>>Serving BS Condition TBD
여기서, 상기 "BSID"는 긴급 상황이 발생된 기지국의 식별자를 나타내며, 상기 "Serving BS Condition"은 긴급 상황이 발생된 기지국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로, 하기 표 4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Type TBD
Length 4
Value Indicate reason for emergency as follows:
0x00: No reason
0x01: BS Broken
0x10: Backhaul Broken
0x11: reserved
Description Report of BS in Emergency
Parent TLV None
상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Serving BS Condition"는 해당 기지국의 긴급 상황이 어떤 문제로 인해 발생되었는지 나타낼 수 있다.
이후, 상기 코어 네트워크(100)는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메시지를 통해 제 3 기지국의 긴급 상황을 판단하고, 상기 제 3 기지국의 주변 기지국들을 검색하여 221단계에서 상기 검색된 주변 기지국들로 파워 조절 메시지를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파워 조절 메시지를 송신한 주변 기지국들(111,112)은 파워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제 3 기지국(113)의 긴급 상황으로 인해 누락된 영역을 커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는 기지국에 긴급 상황이 발생될 시, 상기 표 1 내지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메시지를 통해 상기 기지국에 긴급 상황이 발생되었음을 빠르게 코어 네트워크에 알릴 수 있다. 추가로, 상기 표 1 내지 표 3에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상기 기지국에 긴급 상황이 발생된 시간을 정확히 판단하기 위해, 상기 표 1 내지 표 3의 메시지에 시간 정보를 추가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타겟 기지국이 단말과의 레인징 및 네트워크 진입 과정을 모두 수행한 후, 다른 기지국의 긴급 상황을 코어 네트워크로 보고하는 절차를 설명하였으나, 다른 기지국의 긴급 상황임을 나타내는 레인징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다른 기지국의 긴급 상황을 코어 네트워크로 보고한 후, 해당 단말과 레인징 및 네트워크 진입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서빙 기지국이 긴급 상황을 감지하는 동작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서빙 기지국은 301단계에서 셀 내 단말 및 상위 노드와 통신을 수행하고, 303단계에서 코어 네트워크와 연결 유지(Keep Alive) 메시지를 송수신한다. 상기 연결 유지 메시지는 상기 서빙 기지국과 상기 코어 네트워크 사이의 연결 선로가 유효한지 검사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송수신되는 메시지이다.
이후, 상기 서빙 기지국은 305단계에서 소정 시간 동안 긴급 호출 신호가 임계 횟수 이상 수신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만일, 소정 시간 동안 긴급 호출 신호가 임계 횟수 이상 수신될 시, 상기 서빙 기지국은 긴급 상황임을 감지하고, 하기 311단계로 진행한다.
반면, 상기 소정 시간 동안 긴급 호출 신호가 임계 횟수 이상 수신되지 않을 시, 상기 서빙 기지국은 3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연결 유지 메시지를 바탕으로 긴급 상황이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예를 들어, 상기 연결 유지 메시지의 송수신이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 연속적으로 실패되는지 여부를 검사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 연속적으로 실패된 경우, 상기 긴급 상황이 발생됨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서빙 기지국은 309단계에서 상기 검사 결과 긴급 상황이 발생되지 않았다고 판단될 시, 상기 303단계로 되돌아가고, 상기 긴급 상황이 발생되었음이 판단될 시, 311단계로 진행하여 단말로부터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가 수신될 시, 서빙 기지국은 31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긴급 상황임을 나타내는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상기 핸드오버를 요청한 단말로 전송한다. 반면, 상기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을 시, 상기 서빙 기지국은 313단계에서 셀 가장자리에 위치한 단말을 검색하고, 315단계로 진행하여 검색된 단말로 상기 긴급 상황임을 나타내는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긴급 상황임을 나타내는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는 상기 표 1과 같이, 긴급 상황에 따른 핸드오버 임을 나타내는 핸드오버 타입, 서빙 기지국의 상황 및 서빙 기지국 식별자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추가로 긴급 상황 감지 시각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서빙 기지국은 317단계에서 독립 동작 모드로 전환하고, 319단계로 진행하여 셀 내 단말들에게 독립 동작 모드로 전환함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독립 동작 모드로 전환한 서빙 기지국은 셀 영역 내 단말들로 상기 코어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필요로 하지 않는 모든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서빙 기지국은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서빙 기지국의 긴급 상황에 따라 핸드오버하는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단말은 401단계에서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수신한다. 상기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는 상기 표 1과 같이, 핸드오버 타입, 서빙 기지국의 상태 및 서빙 기지국 식별자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추가로 긴급 상황 감지 시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은 403단계에서 상기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가 긴급 상황에 따른 핸드오버를 나타내는지 검사한다. 즉, 상기 단말은 상기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에 포함된 핸드오버 타입이 긴급상황에 따른 핸드오버임을 나타내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만일, 상기 긴급 상황에 따른 핸드오버가 아닐 시, 상기 단말은 415단계로 진행하여 종래에 알려진 일반적인 핸드오버 절차를 수행하고,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반면, 상기 긴급 상황에 따른 핸드오버일 경우, 상기 단말은 405단계로 진행하여 긴급 상황이 발생된 기지국을 식별하고 상기 긴급 상황의 원인을 확인한다. 즉, 상기 단말은 상기 표 1과 같이 구성된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분석하여 상기 긴급 상황이 발생된 기지국을 나타내는 서빙 기지국 식별자를 확인하고, 상기 긴급 상황이 발생된 원인을 나타내는 서빙 기지국 상태 정보를 확인한다.
이후, 상기 단말은 407단계에서 주변 기지국을 탐색하여 타겟 기지국을 결정한다. 즉, 상기 긴급 상황임을 나타내는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는 타겟 기지국을 명시하고 있지 않으므로, 상기 단말은 논 타겟팅(non-targeting)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단말은 주변 기지국의 신호 세기를 분석하여 타겟 기지국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후, 상기 단말은 409단계에서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 상기 서빙 기지국의 긴급 상황을 나타내는 레인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레인징 요청 메시지는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인징 목적, 단말의 MAC 주소, 서빙 기지국 식별자, 서빙 기지국 상태, 상향링크 전력에 대한 초기 옵셋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추가로 긴급 상황 감지 시각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단말은 411단계에서 레인징을 수락하는 레인징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레인징을 수락하는 레인징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을 시, 상기 단말은 407단계로 되돌아가 주변 기지국을 탐색하여 다른 타겟 기지국을 결정하고 이하 단계를 재수행한다.
반면, 상기 레인징을 수락하는 레인징 응답 메시지가 수신될 시, 상기 단말은 413단계로 진행하여 타겟 기지국에 대한 네트워크 진입 절차를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진입 절차는 802.16m에 명시된 네트워크 진입 절차와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은 긴급 상황에 따른 핸드오버 시, 자신의 네트워크 컨텍스트(network context)를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여 타겟 기지국으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네트워크 진입 절차를 간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긴급 상황에 따른 핸드오버 시, 미리 설정된 파라미터들을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진입 과정을 간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MAC version, PKM 정보, MCS 레벨 등의 물리 계층 파라미터들을 미리 설정함으로써, 상기 네트워크 진입 절차를 간소화시킬 수 있다.
이후, 상기 단말은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타겟 기지국이 서빙 기지국의 긴급 상황을 코어 네트워크에 보고하는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타겟 기지국은 501단계에서 단말로부터 레인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5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레인징 요청 메시지가 긴급 상황에 따른 핸드오버를 목적으로 하는 메시지인지 여부를 검사한다. 이는, 상기 레인징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레인징 목적을 통해 검사할 수 있다.
만일, 상기 레인징 요청 메시지가 긴급 상황에 따른 핸드오버를 목적으로 하는 메시지가 아닐 경우, 상기 타겟 기지국은 517단계로 진행하여 종래에 알려진 바와 같은 일반적인 핸드오버 절차를 수행하고,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반면, 상기 레인징 요청 메시지가 긴급 상황에 따른 핸드오버를 목적으로 하는 메시지인 경우, 상기 타겟 기지국은 505단계에서 상기 레인징 요청 메시지를 분석하여 긴급 상황이 발생된 기지국을 식별하고 긴급 상황의 원인을 파악한다. 즉, 상기 타겟 기지국은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성된 레인징 요청 메시지를 분석하여 상기 긴급 상황이 발생된 기지국을 나타내는 서빙 기지국 식별자를 확인하고, 상기 긴급 상황이 발생된 원인을 나타내는 서빙 기지국 상태 정보를 확인한다.
이후, 상기 타겟 기지국은 507단계에서 상기 식별된 기지국이 긴급상황임을 코어 네트워크로 보고한다. 이때, 상기 타겟 기지국은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긴급 상황이 발생된 기지국의 식별자와 긴급 상황이 발생된 기지국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코어 네트워크로 전송한다.
이후, 상기 타겟 기지국은 509단계에서 해당 단말로 레인징을 수락하는 레인징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고, 511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단말에 대한 네트워크 진입 절차를 수행한다.
이후, 상기 타겟 기지국은 513단계에서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파워 조절 메시지를 수신하고, 515단계로 진행하여 파워 조절을 통해 상기 긴급 상황이 발생한 서빙 기지국의 셀 영역을 커버한 후, 본 발명에 따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코어 네트워크에서 기지국의 긴급 상황을 감지하는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코어 네트워크는 601단계에서 기지국과 연결 유지(Keep Alive) 메시지를 송수신한다. 상기 연결 유지 메시지는 상기 기지국과 상기 코어 네트워크 사이의 연결 선로가 유효한지 검사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송수신되는 메시지이다.
이후, 상기 코어 네트워크는 603단계로 진행하여 긴급 상황을 보고하는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검사한다. 여기서, 상기 긴급 상황을 보고하는 메시지는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긴급 상황이 발생된 기지국의 식별자와 긴급 상황이 발생된 기지국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추가로 긴급 상황 감지 시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어 네트워크는 상기 긴급 상황을 보고하는 메시지가 수신될 시, 하기 605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긴급 상황을 보고하는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을 시, 6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연결 유지 메시지를 바탕으로 긴급 상황이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예를 들어, 상기 연결 유지 메시지의 송수신이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 연속적으로 실패되는지 여부를 검사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 연속적으로 실패된 경우, 상기 긴급 상황이 발생됨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코어 네트워크는 상기 검사 결과 긴급 상황이 발생되었다고 판단될 시, 605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검사 결과 긴급 상황이 발생되지 않았다고 판단될 시 상기 601단계로 되돌아가 이하 단계를 재수행한다.
상기 코어 네트워크는 605단계에서 긴급 상황이 발생된 기지국을 식별하고, 607단계에서 상기 식별된 기지국 주변에 위치한 기지국들로 파워 조절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601단계로 되돌아가 이하 단계를 재수행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블럭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은 제어부(700), 메시지 처리부(710) 및 송수신모듈(72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700)는 긴급 상황 제어부(70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셀 내 단말 및 상위 노드와 통신을 위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 및 처리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700)는 긴급 상황 제어부(702)를 포함함으로써, 긴급 상황을 감지하고 긴급 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 및 처리한다.
즉, 상기 긴급 상황 제어부(702)는 코어 네트워크와 주기적으로 연결 유지 메시지를 송수신하여 상기 코어 네트워크와의 연결 선로가 유효한지 검사하고, 소정 시간 동안 긴급 호출 신호가 임계 횟수 이상 수신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긴급 상황 제어부(702)는 상기 연결 유지 메시지의 송수신이 연속적으로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 실패되거나 상기 긴급 호출 신호가 임계 횟수 이상 수신될 시, 상기 기지국에 긴급 상황이 발생되었음을 감지하고, 상기 기지국 내 단말의 핸드오버를 통해 상기 긴급 상황을 코어 네트워크로 보고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 및 처리한다. 즉, 상기 긴급 상황 제어부(702)는 상기 긴급 상황 발생이 감지될 시, 핸드오버를 요청한 단말 혹은 셀 가장자리의 단말로 긴급 상황을 나타내는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 및 처리한다. 이때, 상기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는 상기 표 1과 같이 구성할 수 있다. 이후, 상기 긴급 상황 제어부(702)는 독립 동작 모드로 전환하고, 셀 내 단말들로 독립 동작 모드로 동작함을 알리기 위한 기능을 제어 및 처리한다. 여기서, 상기 독립 동작 모드는 상기 코어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필요로 하지 않는 모든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는 모드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긴급 상황 제어부(702)는 단말로부터 긴급 상황에 따른 핸드오버를 목적으로 하는 레인징 요청 메시지가 수신될 시, 상기 수신된 레인징 요청 메시지를 분석하여 긴급 상황이 발생된 기지국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정보를 바탕으로 표 3과 같은 긴급 상황 보고 메시지를 생성하여 코어 네트워크로 전송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 및 처리한다.
상기 메시지 처리부(710)는 상기 제어부(700)의 제어에 따라 메시지를 생성하여 송수신 모듈(720)로 제공하고, 상기 송수신 모듈(720)로부터 제공되는 메시지를 분석하여 상기 제어부(700)로 제공한다. 즉, 상기 메시지 처리부(710)는 상기 제어부(7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표 1 및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송수신 모듈(720)은 미리 설정된 방식에 따라 유선 혹은 무선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상기 메시지 처리부(710)로 제공하고, 상기 메시지 처리부(710)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미리 설정된 방식에 따라 유선 혹은 무선 처리하여 해당 장치로 송신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블럭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은 제어부(800), 메시지 처리부(810) 및 송수신 모듈(82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800)는 핸드오버 제어부(80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위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하며, 특히 핸드오버 제어부(802)를 포함함으로써 서빙 기지국에서 다른 기지국으로 핸드오버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 및 처리한다. 특히, 상기 핸드오버 제어부(802)는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긴급 상황에 따른 핸드오버를 나타내는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가 수신될 시, 주변 기지국을 검색하여 핸드오버할 타겟 기지국을 결정하고, 타겟 기지국으로 상기 서빙 기지국의 긴급 상황을 나타내는 레인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 및 처리한다. 이때, 상기 서빙 기지국의 긴급 상황을 나타내는 레인징 요청 메시지는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이후, 상기 핸드오버 제어부(802)는 타겟 기지국으로부터 레인징 수락을 나타내는 레인징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 네트워크 진입을 위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진입 과정은 802.16m에 명시된 네트워크 진입 과정과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드오버 제어부(802)는 상기 단말의 네트워크 컨텍스트(network context)를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여 타겟 기지국으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네트워크 진입 절차를 간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핸드오버 제어부(802)는 MAC version, PKM 정보, MCS 레벨 등의 미리 협상된 물리 계층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진입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네트워크 진입 절차를 간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메시지 처리부(810)는 상기 제어부(800)의 제어에 따라 메시지를 생성하여 송수신 모듈(820)로 제공하고, 상기 송수신 모듈(820)로부터 제공되는 메시지를 분석하여 상기 제어부(800)로 제공한다. 즉, 상기 메시지 처리부(810)는 상기 제어부(8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송수신 모듈(820)은 미리 설정된 방식에 따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메시지 처리부(810)로 제공하고, 상기 메시지 처리부(810)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미리 설정된 방식에 따라 무선 처리하여 해당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코어 네트워크의 블럭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코어 네트워크는 제어부(900), 메시지 처리부(910) 및 송수신 모듈(92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900)는 긴급 상황 관리부(90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코어 네트워크의 제어부(900)는 통신 서비스를 위해 기지국 및 단말을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긴급 상황 관리부(902)를 포함함으로써, 기지국의 긴급 상황을 감지하고, 긴급 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 및 처리한다. 즉, 상기 긴급 상황 관리부(902)는 기지국과 연결 유지(Keep Alive) 메시지를 송수신한다. 상기 연결 유지 메시지는 상기 기지국과 상기 코어 네트워크 사이의 연결 선로가 유효한지 검사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송수신되는 메시지이다. 또한, 상기 긴급 상황 관리부(902)는 본 발명에 따라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성된 긴급 상황 보고 메시지가 수신되면, 수신된 긴급 상황 보고 메시지를 분석하여 긴급 상황이 발생된 기지국을 식별하고, 식별된 기지국의 주변 기지국에 파워 조절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 및 처리한다.
상기 메시지 처리부(910)는 상기 제어부(900)의 제어에 따라 메시지를 생성하여 송수신 모듈(920)로 제공하고, 상기 송수신 모듈(920)로부터 제공되는 메시지를 분석하여 상기 제어부(900)로 제공한다.
상기 송수신 모듈(920)은 미리 설정된 방식에 따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유선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메시지 처리부(910)로 제공하고, 상기 메시지 처리부(910)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미리 설정된 방식에 따라 유선 처리하여 해당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700: 제어부
702: 긴급 상황 제어부
710: 메시지 처리부
720: 송수신 모듈

Claims (28)

  1.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긴급 상황을 감지하는 서빙 기지국의 방법에 있어서,
    셀 내 단말들로부터 긴급 호출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수신되는 긴급 호출 신호의 수가 임계 횟수를 초과하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긴급 호출 신호의 수가 임계 횟수를 초과할 시, 상기 기지국에 긴급 상황이 발생했음을 감지하는 과정과,
    셀 내 단말로 긴급 상황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 상황을 나타내는 메시지는,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 상황을 나타내는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는, 셀 내 핸드오버를 요청한 단말과 셀 가장자리에 위치한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 상황을 나타내는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는, 핸드오버 타입, 서빙 기지국의 상태, 서빙 기지국 식별자 및 긴급 상황 감지 시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 상황이 발생했음을 감지한 후, 독립 동작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독립 동작 모드로 전환함을 셀 내 단말들로 알리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독립 동작 모드는, 코어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필요로 하지 않는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긴급 상황을 감지하는 단말의 방법에 있어서,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긴급 상황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주변 기지국으로 상기 서빙 기지국이 긴급 상황임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긴급 상황을 나타내는 메시지는,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주변 기지국으로 상기 서빙 기지국이 긴급 상황임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은,
    주변 기지국들 중에서 타겟 기지국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 서빙 기지국이 긴급 상황임을 나타내는 레인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레인징 요청 메시지는, 레인징 목적, 단말의 MAC 주소, 서빙 기지국 식별자, 서빙 기지국 상태, 상향링크 전력에 대한 초기 옵셋 및 및 긴급 상황 감지 시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부터 레인징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타겟 기지국과 네트워크 진입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서빙 기지국의 긴급 상황을 감지하는 인접 기지국의 방법에 있어서,
    단말로부터 서빙 기지국이 긴급 상황임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의 서빙 기지국이 긴급 상황임을 코어 네트워크로 보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빙 기지국이 긴급 상황임을 나타내는 메시지는, 레인징 요청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서빙 기지국이 긴급 상황임을 코어 네트워크로 보고하는 메시지는, 상기 서빙 기지국의 식별자와 상기 서빙 기지국의 상태 및 긴급 상황 감지 시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 레인징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과 네트워크 진입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긴급 상황을 감지하는 서빙 기지국의 장치에 있어서,
    셀 내 단말들로부터 수신되는 긴급 호출 신호의 수가 임계 횟수를 초과하는지 검사하고, 상기 긴급 호출 신호의 수가 임계 횟수를 초과할 시, 상기 기지국에 긴급 상황이 발생했음을 감지하고, 셀 내 단말로 긴급 상황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셀 내 단말들로부터 긴급 호출 신호를 수신하고, 셀 내 단말로 긴급 상황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 상황을 나타내는 메시지는,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셀 내 핸드오버를 요청한 단말과 셀 가장자리에 위치한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로 상기 긴급 상황을 나타내는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 상황을 나타내는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는, 핸드오버 타입, 서빙 기지국의 상태, 서빙 기지국 식별자 및 긴급 상황 감지 시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긴급 상황이 발생했음을 감지한 후, 독립 동작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독립 동작 모드로 전환함을 셀 내 단말들로 알리기 위한 기능을 제어하며,
    상기 독립 동작 모드는, 코어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필요로 하지 않는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긴급 상황을 감지하는 단말의 장치에 있어서,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긴급 상황을 나타내는 메시지가 수신될 시, 주변 기지국으로 상기 서빙 기지국이 긴급 상황임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긴급 상황을 나타내는 메시지는,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긴급 상황을 나타내는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가 수신될 시, 주변 기지국들 중에서 타겟 기지국을 결정하고,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 서빙 기지국이 긴급 상황임을 나타내는 레인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인징 요청 메시지는, 레인징 목적, 단말의 MAC 주소, 서빙 기지국 식별자, 서빙 기지국 상태, 상향링크 전력에 대한 초기 옵셋 및 및 긴급 상황 감지 시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4.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겟 기지국으로부터 레인징 응답 메시가 수신될 시, 상기 타겟 기지국과 네트워크 진입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5.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서빙 기지국의 긴급 상황을 감지하는 인접 기지국의 장치에 있어서,
    단말로부터 서빙 기지국이 긴급 상황임을 나타내는 메시지가 수신될 시, 상기 단말의 서빙 기지국이 긴급 상황임을 코어 네트워크로 보고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서빙 기지국이 긴급 상황임을 나타내는 메시지는, 레인징 요청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7.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서빙 기지국이 긴급 상황임을 코어 네트워크로 보고하는 메시지는, 상기 서빙 기지국의 식별자와 상기 서빙 기지국의 상태 및 긴급 상황 감지 시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8.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로 레인징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단말과 네트워크 진입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100111316A 2010-11-10 2010-11-10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긴급 상황 감지 방법 및 장치 KR101714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1316A KR101714497B1 (ko) 2010-11-10 2010-11-10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긴급 상황 감지 방법 및 장치
US13/284,643 US9144092B2 (en) 2010-11-10 2011-10-28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emergency statu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1316A KR101714497B1 (ko) 2010-11-10 2010-11-10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긴급 상황 감지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0019A true KR20120050019A (ko) 2012-05-18
KR101714497B1 KR101714497B1 (ko) 2017-03-10

Family

ID=46020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1316A KR101714497B1 (ko) 2010-11-10 2010-11-10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긴급 상황 감지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144092B2 (ko)
KR (1) KR10171449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4358A (ko) * 2011-05-03 2012-11-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기지국의 통신 방법 및 단말의 통신 방법
KR20170071803A (ko) * 2015-12-16 2017-06-26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무선 메시 네트워크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이를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01130B2 (en) * 2011-11-07 2016-03-29 Intel Deutschland Gmbh Base station, method for controlling a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operating a communication terminal
US9107085B1 (en) * 2013-01-14 2015-08-11 Polaris Wireless, Inc. Identifying suspects and witness to shooting based on examination of calls made after shooting
US9247375B2 (en) * 2013-04-25 2016-01-26 Olympus Corporation Disaster rescue mode for body area networks
US20160209907A1 (en) * 2013-08-22 2016-07-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erforming power-saving mode in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CN104735734B (zh) * 2013-12-19 2019-07-3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业务处理的方法、网络控制器及转发设备
US10356675B2 (en) * 2016-08-09 2019-07-16 Qualcomm Incorporated Handover candidate cell identification and radio link failure (RLF) mitigation in coverage areas
EP3641381B1 (en) * 2018-10-16 2021-12-01 Rohde & Schwarz GmbH & Co. KG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transparent communication
US11190546B2 (en) * 2019-05-31 2021-11-30 QDroid Inc. Secure failsafe apparatus
US11012874B1 (en) * 2020-04-01 2021-05-18 Loon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nd responding to a disruption in communication services
US11343742B2 (en) 2020-05-22 2022-05-24 Blackberry Limited Preserving emergency call during failure to transf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6566A (ja) * 1999-06-25 2001-03-30 Hitachi Ltd 端末使用制限装置
US7031714B1 (en) * 2001-11-14 2006-04-18 Sprint Spectrum L.P.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communication based on location
KR20100053418A (ko) * 2008-11-11 2010-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응급 통화를 위한 핸드오버의 수행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41848A (en) * 1996-05-07 1998-11-24 Lucent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mpleting telephone calls to emergency telephone numbers in highly concentrated access systems
US6233445B1 (en) * 1997-01-14 2001-05-15 Ericsson, Inc. Establishing emergency calls within a mobile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7039425B1 (en) * 1999-06-25 2006-05-02 Hitachi, Ltd. Terminal usage limiting apparatus
US6408172B1 (en) * 1999-09-23 2002-06-18 Ericsson Inc.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y of low battery indicator for emergency calls
US6628933B1 (en) * 2000-03-17 2003-09-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on of emergency call drops in a wireless network
GB0306711D0 (en) * 2003-03-24 2003-04-30 Nokia Corp Positioning in a communications system
US7848769B2 (en) * 2005-06-06 2010-12-07 At&T Mobility Ii Llc System and methods for providing updated mobile station location estimates to emergency services providers
US9071367B2 (en) * 2006-03-17 2015-06-30 Fatdoor, Inc. Emergency including crime broadcast in a neighborhood social network
KR101500025B1 (ko) * 2008-04-21 2015-03-06 애플 인크. 무선 중계 프레임 구조, 프로토콜, 및 오퍼레이션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8693978B2 (en) * 2008-11-14 2014-04-0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emergency call handling with position location over communication networks
US8849336B2 (en) * 2009-04-22 2014-09-30 Percello Ltd. Dynamically controlling a Femtocell base station downlink range for interference avoidance
US8385879B2 (en) * 2009-08-03 2013-02-2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contacts in emergency situation
US9143978B2 (en) * 2012-12-07 2015-09-22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Network congestion prevention and/or mitiga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6566A (ja) * 1999-06-25 2001-03-30 Hitachi Ltd 端末使用制限装置
US7031714B1 (en) * 2001-11-14 2006-04-18 Sprint Spectrum L.P.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communication based on location
KR20100053418A (ko) * 2008-11-11 2010-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응급 통화를 위한 핸드오버의 수행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4358A (ko) * 2011-05-03 2012-11-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기지국의 통신 방법 및 단말의 통신 방법
KR20170071803A (ko) * 2015-12-16 2017-06-26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무선 메시 네트워크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이를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4497B1 (ko) 2017-03-10
US9144092B2 (en) 2015-09-22
US20120115431A1 (en) 2012-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4497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긴급 상황 감지 방법 및 장치
US20190037490A1 (en) Base station, radio communications system, base station control method, radio communications method and base station control program
US20190098554A1 (en) Dterminal device having a relay function and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related to a relay function
CN106211261B (zh) 信息处理方法及通信节点
KR101950666B1 (ko) 통신 시스템에서의 연결 재수립을 위한 방법 및 구조
US9369946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providing system information of a cellular communication network
JP6898994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モビリティ管理方法及び装置
KR20120094748A (ko) 펨토셀 간섭을 고려한 핸드오버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30033386A (ko)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기지국 및 전원 제어 방법
EP3829220A1 (en) Radio link management for a connected user equipment
CN116235551A (zh) 用于中继服务的系统和方法
US8380208B2 (en) Terminal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CA2766973C (en) Method for handling communication between a user equipment and a radio network controller and program for controlling a radio network controller
US2012022565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relay station mode of mobile st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EP2747490A1 (en) Session termination in an energy-efficient cellular wireless telecommunications system
US20170325150A1 (en) Base station and processor
KR20130082065A (ko) 단말 및 단말의 통신 방법
KR20140013870A (ko) 이종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제어정보 전송방법 및 장치
KR20110054381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 및 장치
WO2022240697A1 (en) Relay user equipment (ue) radio resource control (rrc) connection status indicator
KR101539918B1 (ko) 슬립 모드 운용을 위한 펨토셀 ap 디바이스 및 그 구동 방법
US9338777B2 (en) Method and device for adjusting the transmission of the signals
WO2022240695A1 (en) Relay communication management in response to cellular connection radio link failure (rlf)
KR20140107883A (ko) 다층 셀들이 혼재된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 기지국 및 다층 셀들이 혼재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통신 방법
KR101952302B1 (ko) 기지국제어장치 및 기지국제어장치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