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9980A - 텐션바의 내구성 및 작업의 정확성을 증진시킨 임플란트 시술용 토크라쳇 - Google Patents

텐션바의 내구성 및 작업의 정확성을 증진시킨 임플란트 시술용 토크라쳇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9980A
KR20120049980A KR1020100111252A KR20100111252A KR20120049980A KR 20120049980 A KR20120049980 A KR 20120049980A KR 1020100111252 A KR1020100111252 A KR 1020100111252A KR 20100111252 A KR20100111252 A KR 20100111252A KR 20120049980 A KR20120049980 A KR 201200499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rque
tension
ratchet
tension bar
coil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1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보원
Original Assignee
안보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보원 filed Critical 안보원
Priority to KR1020100111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49980A/ko
Publication of KR20120049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99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tails Of Spanners, Wrenches, And Screw Driver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텐션바의 텐션만으로 당겨서 토크를 조절하는 기존 토크 라쳇의 한계점을 보완하여 별도 구비된 탄성부재로 인해 힘의 분산이 이루어지고, 하나의 제품으로도 텐션 강도를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는 텐션바의 내구성 및 작업의 정확성을 증진시킨 임플란트 시술용 토크 라쳇에 관한 것으로,
체결공이 형성된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에 연결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헤드부 일측을 관통하여 헤드부 내측으로 돌출되는 래칫돌기가 구비된 샤프트가 안치되는 몸체부와, 그리고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토크값 조절을 위한 토크조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토크조절부는,
상기 몸체부에서 형성되는 설치부와, 일단이 상기 설치부에 축결합되고 텐션으로 특정 토크값을 부여하는 텐션부와, 상기 몸체부에서 형성되는 것으로 관통하는 텐션부의 일면을 탄지하는 기능을 구비한 작동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텐션바의 내구성 및 작업의 정확성을 증진시킨 임플란트 시술용 토크라쳇{TORQUE RATCHET}
본 발명은 임플란트 시술시 나사형태의 조임부를 가져 제작된 픽스츄어 등의 임플란트 구성품들을 회전시켜 매식할 때 사용되는 임플란트 시술용 토크 라쳇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텐션바의 텐션만으로 당겨서 토크를 조절하는 기존 토크 라쳇의 한계점을 보완하여 별도 구비된 탄성부재로 인해 힘의 분산이 이루어지고, 하나의 제품으로도 텐션 강도를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는 텐션바의 내구성 및 작업의 정확성을 증진시킨 임플란트 시술용 토크 라쳇에 관한 것이다.
임플란트 시술은 치조골에 인공적인 치아뿌리를 형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실제 치아와 흡사하게 제작된 인공치아를 결합하여 환자가 실제치아를 사용하는 효과를 얻게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임플란트 시술 과정은 치아가 빠진 치조골에 픽스츄어(Fixture)를 매식하기 위해 드릴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매식홈을 형성하고, 매식홈 내부에 픽스츄어를 매식한 후 어버트먼트(Abutment)를 결합하고, 어버트먼트에 인공치를 결합하여 임플란트 시술이 완료된다.
여기서 치조골에 매식된 픽스츄어는 치아의 뿌리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상기 어버트먼트는 인공치아와 픽스츄어를 일체화하는 연결구성이 된다.
이와 같은 임플란트 시술과정에서 상기 픽스추어는 몸체의 외면에 나사형태의 조임부를 가지며 제작되어 치조골에 조임부를 회전시켜 매식하게 되는데, 이때 픽스츄어를 회전시켜 매식시키기 위해 토크 라쳇이 사용된다(물론, 이와 같은 토크라쳇은 상기 픽스츄어만이 아니라 임플란트 구성품들의 결합이면 어디서든 사용 가능하다).
종래의 보편화된 토크 라쳇은 규격화된 픽스츄어에 결합되는 것으로 체결공이 형성된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에 결합되고 연장된 바(bar) 형태의 것으로 내부에 일단으로 래칫돌기가 돌출형성되고 타단으로 코일스프링과 체결구가 결합되는 샤프트가 삽입 설치되는 몸체와, 바(bar) 형태의 것으로 몸체부의 전방에서 연결형성되어 탄성으로 인해 적정한 토크량을 가하기 위한 토크측정부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헤드부와, 몸체부와, 그리고 토크조절부로 구성되는 종래 토크라쳇의 사용상 불편함을 보완하기 위한 여러 개량된 기술들이 소개되고 있는데,
픽스츄어 회전시 토코의 불균일한 힘 전달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안된 기술인 공개특허 제10-2010-0090399호(2010.08.16.)를 비롯하여,
몸체부와 토크조절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안정적인 시술 작업을 가능토록 한 실용신안등록 제20-0300718호(2002.12.30.), 토크라쳇이 구동모터에 의하여 전동식으로 동작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강조한 공개특허 제10-2009-0087666호(2009.08.18.) 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구동모터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되는 공개특허 제10-2009-0087666호의 기술을 제외한 다른 토크라쳇들은 모두 몸체부에 연결형성된 바 타입의 토크조절부 즉, 텐션바의 텐션으로만 당기고 풀어줌으로써 토크를 전달시키다보니 텐션바의 변형이 쉽게 일어나고,
텐션바가 변형되는 경우 토크 전달이 힘들뿐만 아니라 단계적인 힘 조절 자체가 어렵고 쉽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결국 사용하던 토크라쳇을 파기시키고 새로운 토크라쳇을 사용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게 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존 토크라쳇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텐션바에 의해 텐션을 주게되는 힘을 분산시켜 오랜 기간 사용할 수 있는 즉, 텐션바의 내구성이 보장되는 토크라쳇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텐션바의 작동 부위에 별도의 탄성을 부여할 수 있는 탄성부재를 구비하여 텐션바의 작동시 힘이 분산되는 효과로 텐션바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토크라쳇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몸체부에 일단 텐션바가 설치되면 변경이 불가능하고 이에 텐션강도의 다변화에 한계가 있는 기존 토크라쳇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삽입 설치된 탄성부재만을 간단히 교체함으로써 토크작용 범위를 다변화시킬 수 있는 토크라쳇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텐션바의 당김작용시 토크 크기 측정을 정확히 할 수 있는 토크라쳇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원발명의 임플란트 시술용 토크라쳇은,
체결공이 형성된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에 연결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헤드부 일측을 관통하여 헤드부 내측으로 돌출되는 래칫돌기가 구비된 샤프트가 안치되는 몸체부와, 그리고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토크값 조절을 위한 토크조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토크조절부는,
상기 몸체부에서 형성되는 설치부와, 일단이 상기 설치부에 축결합되고 텐션으로 특정 토크값을 부여하는 텐션부와, 상기 몸체부에서 형성되는 것으로 관통하는 텐션부의 일면을 탄지하는 기능을 구비한 작동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본원발명의 상기 작동부는 내부가 빈 중공이고, 양 측으로는 관통된 텐션부의 상하 이동을 위한 이동로드가 형성된 원통체와, 상기 원통체에 구비된 것으로 관통되는 텐션부의 일면을 탄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원발명의 토크라쳇에 있어 상기 원통체는 저면이 개구되고, 상기 개구된 저면을 개폐시키는 캡이 더 구비되어 원통체에 삽입된 탄성부재의 교체가 가능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토크라쳇에 의하면, 기존 보편화된 토크라쳇과 같은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텐션바 하부에 구비되는 탄성부재로 인해서 텐션바 작동시 분산된 힘이 작동함에 따라 텐션바 변형이 방지되고 이로 인해 정확도가 보장된다는 효과를 가진다.
이와 더불어 텐션바의 길이 자체를 기존 토크라쳇에 비해 줄일 수 있게 되어 시술자의 시야 확보가 좋아졌다는 효과를 가진다.
더욱이 텐션바를 지지하는 탄성부재의 설치에 있어 착탈식 구조를 도입함에 따라 필요한 힘 크기에 따라 토크라쳇 자체를 바꾸는 것이 아니라 탄성부재를 교체사용하면 되기에 사용의 편의성이 강조되었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별도의 토크 크기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지시바늘 즉, 토크지시부가 구비되어 토크 눈금 읽기가 용이하여 이에 따라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토크라쳇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토크라쳇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토크라쳇의 내부단면도와 외부측면도.
도 4는 종래의 토크라쳇을 도시한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발명의 토크라쳇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본 발명에 의한 토크라쳇을 설명함에 있어, 도 1에서와 같이 몸체부(20)를 기준으로 헤드부(10)가 형성되는 부분을 전방으로 정하고, 그 반대쪽을 후방으로 정하여 설명하며, 또한 몸체부(20)를 기준으로 토크조절부(30)가 설치되는 방향을 하부로 정하고 그 반대쪽을 상부로 정하여 이하 설명함을 밝힌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토크라쳇은,
체결공(11)이 형성된 헤드부(10)와, 상기 헤드부에 연결형성되는 것으로 헤드부 일측을 관통하여 헤드부 내측으로 돌출되는 래칫돌기(22a)가 구비된 샤프트(22)가 안치되는 몸체부(20)와, 그리고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토크값 조절을 위한 토크조절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몸체부(20)의 경우 내부가 빈 형태의 원통체 형상을 가지는 몸통(21)과, 상기 몸통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일단부에 래칫돌기(22a)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코일스프링(23)이 장착되는 샤프트(22)와, 상기 코일스프링이 장착된 샤프트 타단에 장착되어 몸통의 후방을 밀폐시키는 체결구(24)와, 그리고 상기 몸통의 외부까지 노출되는 샤프트 말단에 장착되는 손잡이 너트(25)로 이루어진다.
물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구(24)는 몸통(21)의 후방에서 몸통과 나사결합으로 용이하게 장착되는 구조이고,
상기 래칫돌기(22a)는 헤드부의 관통공(13)을 관통하여 헤드부의 체결공(11)으로 노출된 상태인데, 샤프트에 구비된 코일스프링으로 인해 시술자가 손잡이를 비롯한 샤프트 후단을 후방으로 잡아당기에 되면 상기 노출된 래칫돌기가 후방으로 이동되고, 이를 놓게 되면 다시 관통공을 통해 노출된 즉 전방으로 이동되는 구조인 것으로, 상기 코일스프링에 의해 탄지되는 구조이다.
다음으로 상기 토크조절부(30)의 구성을 살펴보면,
몸체부에서 형성되는 설치부(31)와, 일단이 상기 설치부에 축결합되고 텐션으로 특정 토크값을 부여하는 텐션부(32)와, 그리고 역시 몸체부에서 형성되는 것으로 관통하는 텐션부의 일면을 탄지하는 기능을 구비한 작동부(33)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작동부(33)는,
내부가 빈 중공이고, 양 측으로는 관통되는 텐션부의 상하이동을 위한 이동로드(331a)가 형성된 원통체(331)와, 상기 원통체에 구비된 것으로 관통되는 텐션부의 일면을 탄지하는 탄성부재(3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텐션부(32)는,
상기 설치부(31)에 결합되는 헤드부(321)와, 상기 헤드부로부터 연결형성된 바 타입인 것으로 상기 원통체의 이동로드(331a)를 관통하여 토크라쳇 후방으로 위치되는 텐션바(323)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탄성부재(333)는 텐션바(323)의 하면 즉, 텐션바가 이동로드를 관통할 때 접하게 되는 부분을 탄지하는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333)의 구체적인 구조로는 샤프트에 구비되는 것과 같은 코일스프링이 고려될 수 있는데,
이때 본원발명에서는 코일스프링(즉, 탄성부재(333))과 텐션바(323) 사이에 중간체(335)를 더 구비하여 코일스프링의 원활한 승?하강 작업을 도모하도록 한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간체(335)는 전체적으로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코일스프링의 중심에 삽입되는 축(335a)과 상기 축에 연결형성되고 텐션바를 지지하는 지지부(335b)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텐션바의 당김작용에 의해 코일스프링이 수축됨에 있어 코일스프링 중심으로 삽입된 중간체의 축(335a)이 기준이 되어 안정적인 코일스프링의 수축 작업과 이후 당김해제시 안정적인 코일스프링의 팽창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원통체 외주면에는 텐션부 즉, 텐션바의 당김작용에 따라 형성되는 토크값을 측정하기 위한 눈금(A)이 표시되어 있으며,
텐션부(32)에는 해당되는 눈금을 작업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토크지시부(325)가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토크지시부(325)는 텐션바 일면에 부착된 지시바늘과 같은 형상인 것으로
기존 토크라쳇에 비해 눈금읽기가 용이하며 이에 따라 작업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결국 기존의 토크라쳇의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텐션바(B) 자체의 탄성 즉 텐션에만 의존하여 토크값을 조절하게 되었는데, 이러한 경우 텐션바의 변형이 쉽게 일어나서 정확한 토크값 측정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텐션바 자체를 사용할 수 없게 되어 토크라쳇을 교체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런데 본원발명의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부 즉 원통체 내부에 탄성부재(333)가 텐션바(323)의 하면을 탄지하게 됨에 따라 당김작용이 일어날 때 힘이 텐션바 자체로만이 아니라 상기 탄성부재로도 분산이 이루어지게 되어 텐션바의 변형이 방지되고 또한 정확한 토크값 측정이 가능해진 것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토크라쳇을 사용하여 인공치아고정체를 체결하는 방식을 설명하면,
토크라쳇의 헤드부(10)에 상부외주연에 래칫홈(41a)이 형성된 어댑터(41)를 체결한 후 상기 어댑터의 하단부에 마운트스크류(43)에 의해 마운트(42)가 결합된 인공치아고정체(40)를 결합하여 치조골 내에 체결하게 된다. 이때 토크라쳇의 손잡이 부분 즉 손잡이너트(25)를 잡고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번갈아 회전시키게 되면 라쳇의 전방에 설치된 래칫돌기(22a)와 어댑터의 래칫홈(41a)에 의한 래칫작용에 의해 시계방향으로만 토크가 가해지고 반시계방향으로는 토크가 가해지지 않아 인공치아고정체가 시계방향으로만 회전되면서 서서히 치조골 내부에 체결되기 시작한다(기본 작업).
그리고 상기 인공치아고정체가 치조골 내에 일정한 깊이로 체결되면 토크라쳇에 회전저항이 느껴지게 되는데, 이때부터는 치조골 내에 형성된 암나사부가 붕괴되지 않고 인공치아고정체의 규정된 토크량으로 안정적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토크라쳇의 손잡이너트를 놓고 토크조절부의 텐션바(323)를 통해 서서히 회전력을 가하게 된다.
이때 원통체 외주면에 표시된 눈금(A)을 통해 소정의 토크값이 발생되도록 텐션바(323)를 당기고 풀어주게되면 이를 통해 가해진 회전력이 토크라쳇의 몸체부에 전해지게 되며, 이 몸체부의 회전에 따라 어댑터가 미세하게 회전되어 상기 인공치아고정체가 치조골 내에 규정된 토크량으로 체결이 완료되는 것이다(마무리 작업).
따라서 본 발명에서 텐션바 하면에 텐션바의 움직임을 탄지해줄 수 있는 탄성부재(333)를 별도 마련하게 됨에 따라, 오랜 기간 사용하더라도 휨과 같은 텐션바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어 내구성을 높일 수 있으며, 나아가 이를 통해 정확한 토크값 전달이 가능하게 된 것이다.
더욱이 별도로 마련된 탄성부재(333)가 텐션바에 대한 텐션 부여에 기능하게 됨에 따라,
기존 텐션바 자체로만 텐션을 부여하였던 토크라쳇과 같이 텐션바의 길이를 길게 구현할 필요가 없어지게 되고(도 4 참조),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텐션바(323)가 설치되는 설치부(31)는 몸체부(20)의 전방이 아닌 후방으로 치우진 위치에 설치될 수 있어
종국적으로는 임플란트 시술시 시술자의 넓은 시야확보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탄성부재를 교체 가능하도록 원통체를 구성하게되는데,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통체(331)는 저면이 개구된 상태이고 상기 개구된 저면을 개폐시키기 위한 캡(337)이 구비되는데 상기 캡은 나사결합을 통해 용이하게 원통체와의 결합 및 해제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기존 토크라쳇의 경우 텐션바의 텐션강도 한계 때문에 80N/cm이하의 힘이 형성되는 토크라쳇과, 81N/cm~500N/cm의 힘이 형성되는 토크라쳇을 별도로 마련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본원발명의 경우 원통체(331)의 구조를 텐션바의 텐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탄성부재를 교체할 수 있는 구조로 마련하여,
힘의 크기에 따라 토크라쳇 자체를 교체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탄성부재만 80N/cm이하로 작용되는 탄성부재와, 81N/cm~500N/cm의 힘으로 작용되는 탄성부재로 교체사용하도록 하여 작업의 편의성 및 제품 구입에 따른 비용절감 효과를 누릴 수 있게 하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구조를 갖는 토크라쳇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될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헤드부 11: 체결공 13: 관통공
20: 몸체부 21: 몸통 22: 샤프트 22a: 래칫돌기
23: 코일스프링 24: 체결구 25: 손잡이너트
30: 토크조절부 31: 설치부 32: 텐션부 33: 작동부
321: 헤드 323: 텐션바 325: 토크지시부
331: 원통체 331a: 이동로드 333: 탄성부재
335: 중간체 337: 캡
A: 눈금

Claims (5)

  1. 체결공이 형성된 헤드부;
    상기 헤드부에 연결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헤드부 일측을 관통하여 헤드부 내측으로 돌출되는 래칫돌기가 구비된 샤프트가 안치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토크값 조절을 위한 토크조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토크조절부는,
    상기 몸체부에서 형성되는 설치부와,
    일단이 상기 설치부에 축결합되고 텐션으로 특정 토크값을 부여하는 텐션부와, 그리고
    상기 몸체부에서 형성되는 것으로 관통하는 텐션부의 일면을 탄지하는 기능을 구비한 작동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바의 내구성 및 작업의 정확성을 증진시킨 임플란트 시술용 토크 라쳇.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내부가 빈 중공이고, 양 측으로는 관통된 텐션부의 상하 이동을 위한 이동로드가 형성된 원통체와, 상기 원통체에 구비된 것으로 관통되는 텐션부의 일면을 탄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텐션바의 내구성 및 작업의 정확성을 증진시킨 임플란트 시술용 토크 라쳇.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체는 저면이 개구되고, 상기 개구된 저면을 개폐시키는 캡이 더 구비되어 원통체에 삽입된 탄성부재의 교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바의 내구성 및 작업의 정확성을 증진시킨 임플란트 시술용 토크 라쳇.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코일스프링이고,
    상기 코일스프링과 상기 코일스프링에 탄지되는 텐션부 사이에는 코일스프링 중심에 삽입되는 축을 가져 코일스프링의 원활한 탄성 작용을 돕는 중간체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바의 내구성 및 작업의 정확성을 증진시킨 임플란트 시술용 토크 라쳇.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체 외주면에는 텐션부에 부여되는 힘의 크기를 확인할 수 있는 눈금이 표시되어 있고,
    상기 텐션부에는 해당되는 눈금의 용이한 확인을 위한 토크지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바의 내구성 및 작업의 정확성을 증진시킨 임플란트 시술용 토크 라쳇.
KR1020100111252A 2010-11-10 2010-11-10 텐션바의 내구성 및 작업의 정확성을 증진시킨 임플란트 시술용 토크라쳇 KR201200499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1252A KR20120049980A (ko) 2010-11-10 2010-11-10 텐션바의 내구성 및 작업의 정확성을 증진시킨 임플란트 시술용 토크라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1252A KR20120049980A (ko) 2010-11-10 2010-11-10 텐션바의 내구성 및 작업의 정확성을 증진시킨 임플란트 시술용 토크라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9980A true KR20120049980A (ko) 2012-05-18

Family

ID=46267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1252A KR20120049980A (ko) 2010-11-10 2010-11-10 텐션바의 내구성 및 작업의 정확성을 증진시킨 임플란트 시술용 토크라쳇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4998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0497B1 (ko) 2015-07-08 2016-09-27 황적희 치과용 일체형 토크 라쳇
KR20230037148A (ko) * 2021-09-09 2023-03-16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임플란트 시술용 토크 가변형 토크렌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0497B1 (ko) 2015-07-08 2016-09-27 황적희 치과용 일체형 토크 라쳇
KR20230037148A (ko) * 2021-09-09 2023-03-16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임플란트 시술용 토크 가변형 토크렌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112012018070B1 (pt) pilar para um implante dentário e combinação de um implante dentário e de um pilar
ATE402661T1 (de) Riegel für dentales abutment
WO2004039280A1 (en) Multiple use impression coping
JP2005518868A (ja) インプラントの位置決め装置およびその方法
WO2013186764A1 (en) Triple lock abutment system
KR100948726B1 (ko) 임플란트 시술용 토크렌치
KR20120049980A (ko) 텐션바의 내구성 및 작업의 정확성을 증진시킨 임플란트 시술용 토크라쳇
PT1274366E (pt) Elemento em forma de perno-guia para a determinação da posição espacial, em especial de um implante.
KR101705871B1 (ko) 임플란트 가이드 어셈블리
CN210144791U (zh) 一种牙种植垂直修复距离测量工具
LT6121B (lt) Sraigtinis implantas su keičiama galvute aukščio reguliavimui ir supaprastintam talpinimui
CN109925085A (zh) 一种口腔种植垂直间隙测量组件
CN108348310A (zh) 用于确定用于牙齿植入物的抵接部的相配合的量角的装置以及包含这种装置的组件
CN103976799B (zh) 用于种植牙的上颌窦微创内提升装置
CN208905702U (zh) 牙科种植体专用螺丝起
CA2123592C (en) Dual function prosthetic locking device for endosseous dental implant body
CN215908806U (zh) 一种国土空间规划用收放线装置
KR200485421Y1 (ko) 임플란트 시술용 드라이버
KR200363904Y1 (ko) 라이각 조정이 용이한 골프용 퍼터
KR101712788B1 (ko) 임플란트용 교합 측정기
US20040166460A1 (en) Orthodontic anchor
KR200300718Y1 (ko) 임플란트시술용 토크렌치
CN211957073U (zh) 一种微调装置
KR101552259B1 (ko) 어버트먼트 스크류 회전각 측정 드라이버
CN106488751B (zh) 用于张紧用于骨骼的融合、稳定和/或固定的设备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