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9785A - 컬러필터용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컬러필터 - Google Patents

컬러필터용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컬러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9785A
KR20120049785A KR1020110032908A KR20110032908A KR20120049785A KR 20120049785 A KR20120049785 A KR 20120049785A KR 1020110032908 A KR1020110032908 A KR 1020110032908A KR 20110032908 A KR20110032908 A KR 20110032908A KR 20120049785 A KR20120049785 A KR 20120049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substituted
unsubstituted
resin composition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2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3701B1 (ko
Inventor
이창민
김준석
이길성
남성룡
류지현
Original Assignee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모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모직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049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9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3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37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27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 G03F7/032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with binders
    • G03F7/033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with binders the binders being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vinyl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67/00Influencing the physical, e.g. the dyeing or printing properties of dyestuffs without chemical reactions, e.g. by treating with solvents grinding or grinding assistants, coating of pigments or dyes; Process features in the making of dyestuff preparations; Dyestuff preparations of a special physical nature, e.g. tablets, films
    • C09B67/0033Blends of pigments; Mixtured crystals; Solid solutions
    • C09B67/0041Blends of pigments; Mixtured crystals; Solid solutions mixtures containing one azo dy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1Filters in the form of 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 G02B5/223Absorbing filters containing organic substances, e.g. dyes, inks or pig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 G02B5/23Photochromic filt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05Production of optical devices or components in so far as characterised by the lithographic processes or materials used therefor
    • G03F7/0007Filters, e.g. additive colour filters; Components for display de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27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 G03F7/028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with photosensitivity-increasing substances, e.g. photoinitiators
    • G03F7/031Organic compounds not covered by group G03F7/029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terials For Photolithography (AREA)
  • Optical Filters (AREA)

Abstract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구조단위,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구조단위 및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구조단위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 아크릴계 광중합성 단량체; 광중합 개시제; 착색제; 및 용제를 포함하는 컬러필터용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pat00025

[화학식 2]
Figure pat00026

[화학식 3]
Figure pat00027

(상기 화학식 1 및 2에서 R1, R11, R12, R2, R21, R22, R3, R31 및 n의 정의는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다.)

Description

컬러필터용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컬러필터{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FOR COLOR FILTER AND COLOR FILTER USING SAME}
본 기재는 컬러필터용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컬러필터에 관한 것이다.
컬러필터는 액정표시장치, 카메라의 광학필터 등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3종 이상의 색상으로 착색된 미세한 영역을 고체촬영소자 또는 투명기판상에 코팅하여 제조된다. 이와 같은 착색박막은 통상 염색법, 인쇄법, 전착법, 안료분산법, 잉크젯 방식 등에 의하여 형성된다. 현재, 이러한 방식은 휴대폰, 노트북, 모니터, TV 등의 LCD를 제조하는데 응용되고 있다.
염색법의 경우, 유리 기판상에 미리 젤라틴 등의 천연 감광성 수지, 아민 변성 폴리비닐 알코올, 아민 변성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 등의 염색기재를 가진 화상을 형성시킨 후, 직접염료 등의 염료로 염색하여 착색박막을 형성하지만, 다색 박막을 동일 기판상에 형성하기 위해서는 색상을 변화시킬 때마다 방염가공을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공정이 매우 복잡해지고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염료 및 수지 자체의 선명성과 분산성은 양호하나, 내광성, 내습성 및 가장 중요한 특성인 내열성이 나쁘다는 단점이 있다.  
인쇄법에서는 열경화성 또는 광경화성 수지에 안료를 분산시킨 잉크를 사용하여 인쇄를 행한 후, 열 또는 광으로 경화시킴으로써 착색박막이 형성된다. 이 방법에 의하면 다른 방법에 비해 재료비를 절감할 수는 있지만, 고도로 정밀하고 세밀한 화상 형성이 곤란하고, 또한, 형성되는 박막층이 균일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996-0011513호에서는 잉크젯 방식을 이용한 컬러필터의 제조방법을 제안하고 있는데, 섬세하고 정확한 색소의 인쇄를 위하여 노즐에서 분사되는 착색 수지 조성물이 염료형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염색법과 마찬가지로 내구성 및 내열성이 떨어지게 된다.  
이와 달리,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996-0029904호에서는 전기침전법을 이용한 전착법을 제안하고 있는데, 전착법은 정밀한 착색박막을 형성할 수 있고, 안료를 사용하므로 내열성 및 내광성이 우수한 특성이 있으나, 향후 화소 크기가 정밀하게 되어 전극 패턴이 세밀하게 되면, 양쪽 끝에 전기 저항으로 인한 착색 얼룩이 나타나거나 착색박막의 두께가 두꺼워져서, 고도의 정밀성을 요구하는 컬러필터에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안료분산법은 블랙 매트릭스가 제공된 투명한 기질 위에 착색제를 함유하는 광중합성 조성물을 코팅하고, 형성하고자 하는 패턴의 형태로 노광한 후, 비노광 부위를 용제로 제거하여 열경화시키는 일련의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착색박막이 형성되는 방법이다. 안료분산법은 컬러필터의 가장 중요한 성질인 내열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필름의 두께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컬러필터 제조에 사용되는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바인더 수지, 광중합성 단량체, 광중합 개시제, 안료, 용제 및 기타 첨가제로 이루어진다.  상기 바인더 수지로서, 예컨대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140654호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254133호에서는 카르복시기 함유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사용하고 있다.  
컬러필터의 제조 공정은 많은 약품 처리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조건에서 형성된 패턴을 유지하기 위해서, 컬러필터용 패턴의 현상 마진이 높고, 우수한 내화학약품성을 가져 컬러필터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컬러필터용 감광성 수지가 요구되고 있다.  
특히 기존의 컬러 액정표시장치는 통상 컬러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컬러필터 기판을 박막 트랜지스터(TFT)가 배치되는 구동용 기판과는 다르게 제작하고, 이 컬러필터 기판을 그 구동용 기판과 접합하여 제조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에서는 접합 정밀도가 낮아 차광층의 폭을 크게 만들어야 했다.  이 때문에 개구율(빛을 투과하는 개구부의 비율)을 높이는 것이 곤란하였다.  또, 근래 액정표시장치의 유리(glass) 기판 및 화면이 대형화되면서, 액정을 진공 주입시에 액정 조성물이 기판의 전면에 배치되는 시간이 길어지고 있다.  이 때문에 새로운 기술로서 실(seal)재를 인쇄하고 액정을 적하함으로써 접합 시간을 현격히 단축하는 제조 방법이 제안되고 있지만, 이와 같은 방법을 채용한 경우는 정렬 정밀도가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대해 박막 트랜지스터 방식 컬러 액정표시장치의 구동용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상에 컬러필터를 형성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는데, 이에 따라 대면의 컬러필터 기판이 불필요해지면서 대면은 투명 전극을 단순한 스퍼터링(sputtering)으로 형성한 후 두 기판을 접합하여 제조함으로써 정렬을 용이하게 하고 개구율을 높일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다.  
그러나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에 컬러필터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통상의 포지티브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사용한 포토리소그래피 방식으로 픽셀 전극을 컬러필터 상에 형성하므로, 전극 형성 이후 감광성 수지막을 박리할 필요가 있다.  즉 투명 전극막을 컬러필터의 착색 픽셀 위에 형성하고, 그 투명 전극막 상에 포지티브형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고, 그 위에 패턴, 노광 및 현상 공정을 하여 픽셀 전극을 형성한다.  픽셀 전극을 형성한 후 픽셀 전극 상에 잔존하고 있는 감광성 수지 막을 박리액으로 제거하므로,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박리액에 대한 내성이 필요하다.  종래의 컬러필터용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이와 같은 박리액 내성이 약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종래는 컬러필터 위에 박리액 내성이 있는 투명막(픽셀 보호막)을 형성하고 픽셀 전극을 형성하였다.  또 픽셀 보호막을 도포하지 않은 방법으로는 박리액의 컬러필터 중에 미치게 하는 영향을 경감하기 위해 박리액을 저온 조건 하에서 시간을 길게 처리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법에서는 공정 수나 시간이 늘어나게 되어 양품화율이 저하되거나 생산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도록 박막 트랜지스터 위에 컬러필터까지 처리하는(COA; color filter on array) 방식의 착색층을 형성하는 경화 피막의 박리액에 대한 팽창율이 5% 이하인 감방사선성 조성물을 이용한 컬러필터가 제안되었다.  또 열중합 가교제에 다관능 지환식 에폭시 화합물을 사용하고, 열중합 개시제로서 벤조페논계 과산화물을 사용하여 열중합 가교효과를 높인 컬러필터가 제안되었다.  이에 따르면 저온 및 단시간에 경화가 가능해져 내구성이 우수하고 밀착성이 양호한 컬러필터가 얻어질 수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기존 보다 고화질 대화면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므로, 개구율이 높고 고성능의 컬러필터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내열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컬러필터용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컬러필터용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명암비 및 휘도가 우수한 컬러필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A)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구조단위,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구조단위, 및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구조단위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 (B) 아크릴계 광중합성 단량체; (C) 광중합 개시제; (D) 착색제; 및 (E) 용제를 포함하는 컬러필터용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R11 및 R1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R13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10의 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의 시클로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의 아릴렌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n은 0 내지 30의 정수이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2
(상기 화학식 2에서,
R2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R21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10의 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의 시클로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의 아릴렌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R22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1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의 시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의 아릴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화학식 3]
Figure pat00003
(상기 화학식 3에서,
R3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R31은 카르복시기, -CO-R32-COOH(여기에서 R32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10 알킬렌기이거나,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10 알콕실렌기이다.)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상기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는,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 총량에 대하여,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구조단위를 1몰% 내지 50몰%,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구조단위를 5몰% 내지 70몰% 및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구조단위를 5몰% 내지 40몰%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컬러필터용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A) 상기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를 1중량% 내지 60중량%; (B) 상기 아크릴계 광중합성 단량체를 0.5중량% 내지 20중량%; (C) 상기 광중합 개시제를 0.1중량% 내지 10중량%; (D) 상기 착색제를 0.1중량% 내지 40중량%; 및 (E) 상기 용제 잔부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Mw)은 1,000 내지 100,000일 수 있고, 상기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의 산가는 20mgKOH/g 내지 200mgKOH/g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는, 하기 화학식 4 내지 화학식 8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구조단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4]
Figure pat00004
(상기 화학식 4에서,
R4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k는 1 내지 5의 정수이다.)
[화학식 5]
Figure pat00005
(상기 화학식 5에서,
R5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R51은 수소 원자, 히드록시기, 할로겐 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10 할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킬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화학식 6]
Figure pat00006
(상기 화학식 6에서,
R6 및 R62는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R61은 카르복시기이고,
R63은 카르복시기 또는 -CONHR64(여기에서 R64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10 알킬기이거나,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20 아릴기이다.)이고,
R61 및 R63은 서로 융합되어 고리를 이룬다.)
[화학식 7]
Figure pat00007
(상기 화학식 7에서,
R7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R71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기이다.)
[화학식 8]
Figure pat00008
(상기 화학식 8에서,
R8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R81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기, 알킬기 및 아릴기로 이루어진 다환구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상기 화학식 4 내지 화학식 8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구조단위는 상기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 총량에 대하여 1몰% 내지 50몰%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착색제는 안료, 염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착색제는 안료와 염료를 착색제 총 함량에 대하여 1:9 내지 9:1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분산제; 말론산; 3-아미노-1,2-프로판디올; 비닐기 또는 (메타)아크릴옥시기를 갖는 실란계 커플링제; 레벨링제; 불소계 계면활성제; 라디칼 중합 개시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예에 따르면, 상기 컬러필터용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컬러필터를 제공한다.  
기타 본 발명의 구현예들의 구체적인 사항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내열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컬러필터용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여, 고명암비, 고휘도 및 우수한 박리액 내성를 갖는 컬러필터를 제조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구현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별도의 정의가 없는 한, "알킬기"란 C1 내지 C20 알킬기를 의미하고, "시클로알킬기"란 C3 내지 C30의 시클로알킬기를 의미하고, "아릴기"란 C6 내지 C30 아릴기를 의미하고, "알킬렌기"란 C1 내지 C20 알킬렌기를 의미하고, "시클로알킬렌기"란 C3 내지 C30의 시클로알킬렌기를 의미하고, "아릴렌기"란 C6 내지 C30 아릴렌기를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작용기 중의 하나 이상의 수소원자가 할로겐 원자(F, Br, Cl, 또는 I), 하이드록시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아미노기(-NRR', R 및 R'는 독립적으로, C1 내지 C10의 알킬기임), 아미디노기, 히드라진 또는 히드라존기, 카르복실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사이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기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거나, 두 개의 수소원자가 =O, =S, =NR(R은 C1 내지 C10의 알킬기임), =PR(R은 C1 내지 C10의 알킬기임) 및 =SiRR'(R 및 R'는 독립적으로, C1 내지 C10의 알킬기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거나, 세 개의 수소원자가 ≡N, ≡P 및 ≡SiR(R은 C1 내지 C10의 알킬기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된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헤테로"란, 탄소 원자가 N, O, S, Si 및 P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원자로 치환된 것을 의미하고, "조합"이란 혼합 또는 공중합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원자 또는 화학식과 연결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컬러필터용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A)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구조단위,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구조단위 및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구조단위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 (B) 아크릴계 광중합성 단량체; (C) 광중합 개시제; (D) 착색제; 및 (E) 용제를 포함한다.  또한 (F) 기타 첨가제를 더욱 포함할 수도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9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R11 및 R1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R13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10의 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의 시클로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의 아릴렌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n은 0 내지 30의 정수이다.)
[화학식 2]
Figure pat00010
(상기 화학식 2에서,
R2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R21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10의 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의 시클로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의 아릴렌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R22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1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의 시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의 아릴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화학식 3]
Figure pat00011
(상기 화학식 3에서,
R3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R31은 카르복시기, -CO-R32-COOH(여기에서 R32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10 알킬렌기이거나,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10 알콕실렌기이다.)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컬러필터용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각 성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A)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
상기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구조단위,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구조단위 및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구조단위를 포함한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구조단위의 함량은 상기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 총량에 대하여 1몰% 내지 50몰%일 수 있고, 해당 범위에서 기판과의 밀착성 및 현상성이 우수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구조단위의 함량은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 총량에 대하여 5몰% 내지 70몰%일 수 있으며, 해당 범위에서 내열성, 내화학성, 패턴형성성 및 현상성이 우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구조단위의 함량은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 총량에 대하여 5몰% 내지 40몰%일 수 있으며, 해당 범위에서 우수한 현상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컬러필터용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COA방식 등의 컬러필터에서 중요시되는 미세패턴 구현과 우수한 내열성 및 내화학성의 확보 차원에서, 하기 화학식 4 내지 화학식 8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구조단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화학식 4]
Figure pat00012
(상기 화학식 4에서,
R4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k는 1 내지 5의 정수이다.)
[화학식 5]
Figure pat00013
(상기 화학식 5에서,
R5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R51은 수소 원자, 히드록시기, 할로겐 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10 할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킬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화학식 6]
Figure pat00014
(상기 화학식 6에서,
R6 및 R62는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R61은 카르복시기이고,
R63은 카르복시기 또는 -CONHR64(여기에서 R64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10 알킬기이거나,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20 아릴기이다.)이고,
R61 및 R63은 서로 융합되어 고리를 이룬다.)
[화학식 7]
Figure pat00015
(상기 화학식 7에서,
R7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R71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기이다.)
[화학식 8]
Figure pat00016
(상기 화학식 8에서,
R8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R81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기, 알킬기 및 아릴기로 이루어진 다환구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상기 화학식 4 내지 화학식 8로 표시되는 구조단위의 몰비를 각각 h, i, j, k 및 l이라고 하면, 5≤h≤50, 1≤i≤20, 5≤j≤20, 10≤k≤100 및 10≤l≤100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4 내지 화학식 8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구조단위는 상기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 총량에 대하여 1몰% 내지 50몰%로 포함될 수 있고, 2몰% 내지 40몰%로 포함될 수도 있으며, 상기 화학식 4 내지 화학식 8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구조단위가 상기의 범위로 포함되면, 우수한 내열성 및 현상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빛의 투과 특성을 저하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상기 측쇄(곁가지 사슬) 말단에 있는 지방족 탄화수소가 포함된 화학식 4 내지 8로 표시되는 구조단위는 이하에서 기술되는 광중합성 단량체에 포함된 광반응 작용기와 유사한 구조로, 이하에서 기술되는 광중합 개시제에 의해 유도되는 라디칼이 첨가되어 수지 내에서 광중합 반응에 의해 가교결합을 일으킬 수도 있다.  상기 광가교의 정도(가교화도)는 이하에서 기술되는 아크릴계 광중합성 단량체와 광중합 개시제의 구성 비율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아크릴계 광중합성 단량체와 광중합 개시제의 구성비율의 조절에 의해 가교화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Mw)은 1,000 내지 100,000일 수 있고, 5,000 내지 50,000일 수도 있다.  상기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이 상기의 범위일 때, 기판과의 밀착성이 우수하고 물리적, 화학적 물성이 좋으며, 점도가 적절하여 분산성이 좋다.
상기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는 상기 컬러필터용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픽셀의 해상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인자로, 산가가 20mgKOH/g 내지 200mgKOH/g이거나, 50mgKOH/g 내지 180mgKOH/g인 경우에 우수한 픽셀의 해상도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의 사용량은 상기 컬러필터용 감광성 수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중량% 내지 60중량%일 수 있고, 이 중에서 2중량% 내지 30중량%일 수도 있다.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의 함량이 상기 범위일 때, 기판과의 접착력이 좋고, 균일한 막두께를 형성할 수 있으며, 막강도, 내열성, 내화학성 및 잔상 등의 컬러필터 후공정이 우수하다. 또한, 가교성이 적절하여 표면의 평활도가 우수하다.
 
(B) 아크릴계 광중합성 단량체
상기 아크릴계 광중합성 단량체의 예로는, 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A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노볼락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카르복실기를 갖는 디펜타에리트리톨 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유도체, 에틸렌옥사이드화글리세린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옥사이드화글리세린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아크릴계 광중합성 단량체의 사용량은 컬러필터용 감광성 수지 조성물 총량에 대하여 0.5중량% 내지 20중량%일 수 있고, 1중량% 내지 15중량%일 수도 있다.  상기 아크릴계 광중합성 단량체의 함량이 상기 범위일 때, 패턴의 모서리가 깨끗하게 형성되고, 알칼리 현상액에의 현상성이 좋다.  
 
(C) 광중합 개시제
상기 광중합 개시제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광중합 개시제로서, 예를 들어 트리아진계 화합물, 아세토페논계 화합물, 벤조페논계 화합물, 티오크산톤계 화합물, 벤조인계 화합물, 옥심계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트리아진계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를 들면,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4-메톡시페닐)-1,3,5-트리아진,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4-메톡시나프틸)-1,3,5-트리아진,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4-메톡시스티릴)-1,3,5-트리아진,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2-(5-메틸퓨란-2-일)에테닐]-1,3,5-트리아진,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2-(퓨란-2-일)에테닐]-1,3,5-트리아진,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2-(4-디에틸아미노-2-메틸페닐)에테닐]-1,3,5-트리아진,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2-(3,4-디메톡시페닐)에테닐]-1,3,5-트리아진,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피페로닐)-1,3,5-트리아진, 2,4,6-트리클로로-s-트리아진, 2-페닐-4,6-비스(트리클로로 메틸)-s-트리아진, 2-(3',4'-디메톡시 스티릴)-4,6-비스(트리클로로 메틸)-s-트리아진, 2-(4'-메톡시 나프틸)-4,6-비스(트리클로로 메틸)-s-트리아진, 2-(p-메톡시 페닐)-4,6-비스(트리클로로 메틸)-s-트리아진, 2-(p-톨릴)-4,6-비스(트리클로로 메틸)-s-트리아진, 2-비페닐-4,6-비스(트리클로로 메틸)-s-트리아진, 비스(트리클로로 메틸)-6-스티릴-s-트리아진, 2-(나프토 1-일)-4,6-비스(트리클로로 메틸)-s-트리아진, 2-(4-메톡시 나프토 1-일)-4,6-비스(트리클로로 메틸)-s-트리아진, 2-4-트리클로로 메틸(피페로닐)-6-트리아진, 2-4-트리클로로 메틸(4'-메톡시 스티릴)-6-트리아진 등이 있고, 이 중에서,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4-메톡시페닐)-1,3,5-트리아진,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4-메톡시나프틸)-1,3,5-트리아진,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4-메톡시스티릴)-1,3,5-트리아진 또는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피페로닐-1,3,5-트리아진, 특히,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피페로닐-1,3,5-트리아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세토페논계 화합물로는, 디에톡시아세토페논, 2-메틸-2-모폴리노-1-(4-메틸티오페닐)프로판-1-온,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벤질디메틸케탈, 2-하이드록시-2-메틸-1-[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프로판-1-온, 1-하이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폴리노페닐)부탄-1-온, 2-(4-메틸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폴리노페닐)부탄-1-온, 2-하이드록시-2-메틸-1-[4-(1-메틸비닐)페닐]프로판-1-온 등을 들 수 있고, 이 중에서, 2-메틸-2-모폴리노-1-(4-메틸티오페닐)프로판-1-온,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폴리노페닐)부탄-1-온 또는 2-(4-메틸벤질)-2-디메틸 아미노-1-(4-모폴리노페닐)부탄-1-온, 특히,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폴리노페닐)부탄-1-온 또는 2-(4-메틸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폴리노페닐)부탄-1-온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벤조페논계 화합물로는 벤조페논, 벤조일 안식향산, o-벤조일 안식향산 메틸, 4-페닐 벤조페논, 히드록시 벤조페논, 아크릴화 벤조페논, 3,3'-디메틸-2-메톡시 벤조페논, 4,4'-디클로로 벤조페논, 4,4'-비스(디메틸아미노) 벤조페논, 4,4'-비스(디에틸아미노) 벤조페논, 4-벤조일-4'-메틸디페닐술파이드, 3,3',4,4'-테트라(tert-부틸퍼옥시카르보닐)벤조페논 및 2,4,6-트리메틸벤조페논 등이 있다.  
상기 티오크산톤계 화합물로는 티오크산톤, 2-메틸 티오크산톤, 2-이소프로필 티오크산톤, 4-이소프로필 티오크산톤, 2,4-디에틸 티오크산톤, 2,4-디이소프로필 티오크산톤, 2-클로로 티오크산톤, 1-클로로-4-프로폭시티옥산톤 등이 있다.
상기 벤조인계 화합물로는 벤조인, 벤조인 메틸에테르, 벤조인 에틸에테르, 벤조인 이소프로필에테르, 벤조인 이소부틸에테르 등이 있다.  
상기 옥심계 화합물로는 O-아실옥심계 화합물, 2-(O-벤조일옥심)-1-[4-(페닐티오)페닐]-1,2-옥탄디온, 1-(O-아세틸옥심)-1-[9-에틸-6-(2-메틸벤조일)-9H-카르바졸-3-일]에탄온, 0-에톡시카르보닐-α-옥시아미노-1-페닐프로판-1-온 등이 있다.  상기 O-아실옥심계 화합물의 구체 예로서는, 1-(4-페닐술파닐페닐)-부탄-1,2-디온2-옥심-O-벤조에이트, 1-(4-페닐술파닐페닐)-옥탄-1,2-디온2-옥심-O-벤조에이트, 1-(4-페닐술파닐페닐)-옥탄-1-온옥심-O-아세테이트 및 1-(4-페닐술파닐페닐)-부탄-1-온옥심-0-아세테이트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광중합 개시제 이외에 카바졸계 화합물, 디케톤류 화합물, 설포늄 보레이트계 화합물, 디아조계 화합물, 비이미다졸계 화합물 등도 광중합 개시제로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광중합 개시제는 컬러필터용 감광성 수지 조성물 총량에 대하여 0.1중량% 내지 10중량%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중합 개시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일 때, 패턴 형성 공정에서 노광시 광중합이 충분히 일어나고, 광중합 후 남은 미반응 개시제로 인한 투과율 저하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D) 착색제
상기 착색제는 안료, 염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안료와 염료를 함께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형태(hybrid type)의 착색제를 적용한 경우에는 컬러필터 제조 시에 과다한 안료의 사용으로 야기될 수 있는 조광 감도의 저하, 패턴 뜯김, 패턴 직진성, 잔사 등의 문제점이 개선될 수 있다.  
상기 안료로는, 레드(Red), 그린(Green), 블루(Blue), 옐로우(Yellow), 바이올렛(Vilot) 등의 색상을 갖는 안료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안트라퀴논계 안료, 페릴렌계 안료 등의 축합다환 안료, 프탈로시아닌계 안료, 아조계 안료 등으로, 이들 중 어느 한 종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최대 흡광 파장 조정 및 크로스 포인트(Cross point) 및 크로스 토크(Cross talk) 등 조정을 위해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료는 용제에 분산된 안료 분산액으로 제조되어 컬러필터용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안료 성분이 안료 분산액 중에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필요에 따라 분산제를 사용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목적으로는 비이온성, 음이온성 또는 양이온성 분산제가 모두 사용 가능하며, 예를 들면 폴리알킬렌글리콜 및 이의 에스테르, 폴리옥시알킬렌, 다가 알콜 에스테르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 알코올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 술폰산 에스테르, 술폰산염, 카르복시산 에스테르, 카르복시산염, 알킬아미드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 알킬아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 분산제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2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안료 분산액 조성물에 포함되는 용제로는 에틸렌글리콜아세테이트, 에틸셀로솔브, 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락테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사이클로헥사논, 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산제와 더불어 상기한 카르복시기를 함유한 제1 아크릴계 수지를 추가로 사용함으로써 안료 분산액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뿐더러 픽셀의 패턴성도 개선시킬 수 있다.  
상기 안료의 1차 입경은 10nm 내지 80nm일 수 있으며, 10nm 내지 70nm인 것이 바람직하다.  1차 입경이 상기 입경 범위 내에 포함될 때 안료 분산액에서의 안정성이 우수하고, 픽셀의 해상성 저하의 우려가 없어 바람직하다.  
상기 염료로는, 안트라퀴논계 화합물, 시아닌계 화합물, 메조시아닌계 화합물, 아자포피린계 화합물, 프탈로시아닌계 화합물, 피롤로피롤계 화합물, 디아조계 화합물, 카보늄계 화합물, 아크리딘계 화합물, 티아졸계 화합물, 퀴노민계 화합물, 메틴계 화합물, 퀴놀린계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착색제로서 안료와 염료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그 혼합비는 착색제 총 함량에 대하여 1:9 내지 9: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해당 범위 내에서 높은 휘도 및 명암비를 가질 수 있으며 원하는 색특성을 발현시킬 수 있다. 
상기 착색제의 사용량은 컬러필터용 감광성 수지 조성물 총량에 대하여 0.1중량% 내지 40중량%일 수 있고, 상기 착색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일 때, 착색 효과 및 현상 성능이 적절하다.  
 
(E) 용제
상기 용제는 상기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 및 다른 구성 성분 물질들과 상용성을 갖되, 반응하지 않는 것들이 사용된다.  
상기 용제의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등의 알코올 화합물; 디클로로에틸 에테르, n-부틸 에테르, 디이소아밀 에테르, 메틸페닐 에테르, 테트라히드로퓨란 등의 에테르 화합물; 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등의 글리콜 에테르 화합물; 메틸 셀로솔브 아세테이트, 에틸 셀로솔브 아세테이트, 디에틸 셀로솔브 아세테이트 등의 셀로솔브 아세테이트 화합물; 메틸에틸 카르비톨, 디에틸 카르비톨,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디메틸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메틸에틸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디에틸에테르 등의 카르비톨 화합물;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에테르 아세테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프로필에테르 아세테이트 등의 프로필렌 글리콜 알킬에테르 아세테이트 화합물;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화합물; 메틸에틸케톤, 사이클로헥사논, 4-히드록시-4-메틸-2-펜타논, 메틸-n-프로필케톤, 메틸-n-부틸케톤, 메틸-n-아밀케톤, 2-헵타논 등의 케톤 화합물; 초산 에틸, 초산-n-부틸, 초산 이소부틸 등의 포화 지방족 모노카르복실산 알킬 에스테르 화합물; 젖산 메틸, 젖산 에틸 등의 젖산 에스테르 화합물; 옥시 초산 메틸, 옥시 초산 에틸, 옥시 초산 부틸 등의 옥시 초산 알킬 에스테르 화합물; 메톡시 초산 메틸, 메톡시 초산 에틸, 메톡시 초산 부틸, 에톡시 초산 메틸, 에톡시 초산 에틸 등의 알콕시 초산 알킬 에스테르 화합물; 3-옥시 프로피온산 메틸, 3-옥시 프로피온산 에틸 등의 3-옥시 프로피온산 알킬 에스테르 화합물; 3-메톡시 프로피온산 메틸, 3-메톡시 프로피온산 에틸, 3-에톡시 프로피온산 에틸, 3-에톡시 프로피온산 메틸 등의 3-알콕시 프로피온산 알킬 에스테르 화합물; 2-옥시 프로피온산 메틸, 2-옥시 프로피온산 에틸, 2-옥시 프로피온산 프로필 등의 2-옥시 프로피온산 알킬 에스테르 화합물; 2-메톡시 프로피온산 메틸, 2-메톡시 프로피온산 에틸, 2-에톡시 프로피온산 에틸, 2-에톡시 프로피온산 메틸 등의 2-알콕시 프로피온산 알킬 에스테르 화합물; 2-옥시-2-메틸 프로피온산 메틸, 2-옥시-2-메틸 프로피온산 에틸 등의 2-옥시-2-메틸 프로피온산 에스테르 화합물, 2-메톡시-2-메틸 프로피온산 메틸, 2-에톡시-2-메틸 프로피온산 에틸 등의 2-알콕시-2-메틸 프로피온산 알킬 등의 모노옥시 모노카르복실산 알킬 에스테르 화합물; 2-히드록시 프로피온산 에틸, 2-히드록시-2-메틸 프로피온산 에틸, 히드록시 초산 에틸, 2-히드록시-3-메틸 부탄산 메틸 등의 에스테르 화합물; 피루빈산 에틸 등의 케톤산 에스테르 화합물 등이 있으며, 또한, N-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포름아미드, N-메틸포름아닐라이드, N-메틸아세트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디메틸술폭시드, 벤질에틸에테르, 디헥실에테르, 아세트닐아세톤, 이소포론, 카프론산, 카프릴산, 1-옥탄올, 1-노난올, 벤질알코올, 초산 벤질, 안식향산 에틸, 옥살산 디에틸, 말레인산 디에틸, γ-부티로락톤, 에틸렌 카보네이트,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페닐 셀로솔브 아세테이트 등의 고비점 용제를 들 수 있다.
이들 용제 중에서 상용성 및 반응성 등을 고려한다면, 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등의 글리콜 에테르 화합물; 에틸 셀로솔브 아세테이트 등의 셀로솔브 아세테이트 화합물; 2-히드록시 프로피온산 에틸 등의 에스테르 화합물;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등의 디에틸렌 글리콜 화합물;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에테르 아세테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프로필에테르 아세테이트 등의 프로필렌 글리콜 알킬에테르 아세테이트 화합물를 사용할 수 있고, 염료의 용해도를 고려한다면, 사이클로헥사논을 용제 총량에 대하여 10중량% 내지 50중량%로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용제는 상기 컬러필터용 청색 수지 조성물 총량에 대하여 다른 성분을 투입하고 나서, 용해도와 점도를 적절히 조절하고, 제품 적용 시 물리적, 광학적 특성에 유리하도록 잔부량으로 사용할 수 있다.  
 
(F) 기타 첨가제
본 발명의 컬러필터용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상기 (A) 내지 (E)의 성분 외에 안료 성분이 용제(E) 중에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분산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도포 시 얼룩이나 반점을 방지하고 레벨링 특성이나 미현상에 의한 잔사의 생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말론산; 3-아미노-1,2-프로판디올; 비닐기 또는 (메타)아크릴옥시기를 갖는 실란계 커플링제; 레벨링제; 불소계 계면활성제; 라디칼 중합 개시제 등과 같은 기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첨가제의 사용량은 원하는 물성에 따라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실란계 커플링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비닐 트리메톡시실란, 비닐 트리스(2-메톡시에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2-(3,4-에폭시 시클로헥실)에틸 트리메톡시실란, 3-클로로프로필 메틸디메톡시실란, 3-클로로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3-메타크릴록시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3-머캅토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실란계 커플링제는 상기 수지 조성물 총 함량에 대하여 0.01중량% 내지 2중량%일 수 있고, 실란계 커플링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이면 접착력, 저장 안정성 및 코팅성이 우수하다.  
상기 불소계 계면활성제로서는 플루오로카본쇄를 가지는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인 상품명으로는, (주)스미토모 쓰리엠社의 플로라이드 FC430, 플로라이드 FC431; (주)다이니혼 잉크 화학공업(DIC)社의 메카팩 F142D, 메가팩 F171, 메가팩 F172, 메가팩 F173, 메가팩 F177, 메가팩 F183, 메가팩 F470, 메가팩 F475, 메가팩 R30; (주)신아키다 화성社의 에프톱 EF301, 에프톱 EF303, 에프톱 EF351, 에프톱 EF352; (주)아사히 가라스社의 사프론 S381, 사프론 S382, 사프론 SC101, 사프론 SC105; (주)다이킨파인 케미컬 연구소의 E5844;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컬러필터는, 상기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컬러필터용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다.
본 발명의 컬러필터용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아무것도 도포되지 않은 유리기판 및 SiNx(보호막)가 500Å 내지 1,500Å의 두께로 도포되어 있는 유리기판 위에 스핀 도포, 슬릿 도포 등의 적당한 방법을 사용하여, 3.1μm 내지 3.4μm의 두께로 도포된다.  도포 후에는 컬러필터에 필요한 패턴을 형성하도록 광을 조사한다.  광을 조사한 다음, 도포층을 알칼리 현상액으로 처리하면 도포층의 미조사 부분이 용해되고 컬러필터에 필요한 패턴이 형성된다.  이러한 과정을 필요한 적(R), 녹(G), 청(B) 색의 수에 따라 반복 수행함으로써, 원하는 패턴을 갖는 컬러필터를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정에서, 현상에 의해 수득된 화상 패턴을 다시 가열하거나 또는 활성선 조사 등에 의해 경화시킴으로써 내크랙성, 내용제성 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네가티브형 감광성 수지는 유기 용제에 쉽게 박리(strip)되지 않기 때문에 잔류물에 의해 하부막을 오염시킬 수 있다.  또한, 포지티브형 감광성 수지에 비하여 하부막과의 밀착성(adhesion)이 약하여 언더컷(under-cut)이 커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컬러필터용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이러한 네가티브형 감광성 수지의 박리액에 대한 내성이 우수하고, 하부막의 오염을 방지하며, 하부막과의 밀착성이 개선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의 합성)
합성예 1
냉각관과 교반기를 구비한 플라스크에,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개시제) 10중량% 및 하기 표 1의 합성예 1에 기재된 단량체의 함량별로 투입하고,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PGMEA, 용매)를 상기 개시제와 단량체의 총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200중량부로 투입한 후, 질소 분위기 하에서 서서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80℃까지 승온시켜 8시간 동안 교반하여,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를 중합하였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중합된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 용액의 고형분 함량은 30중량%이었다.  이때, 하기 표 1에 표시된 중량평균분자량은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를 사용하여 측정한 폴리스타이렌 환산평균분자량이다.  
 
합성예 2 내지 7
상기 합성예 1에서, 하기 표 1의 합성예 1에 기재된 단량체를 대신하여 합성예 2 내지 7 각각에 기재된 단량체를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합성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 용액을 제조하였다.
합성예 1 2 3 4 5 6 7
메타크릴산
(대정화금)
15 15 15 15 15 15 15
에틸렌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
포스페이트
(TOHO Chemical)
5 5 2 10 - 5 -
시나밀메타크릴레이트
(경인양행)
50 30 50 30 50 - -
벤질메타크릴레이트
(Mitsubishi Chemical)
20 30 20 30 20 50 25
디사이클로펜타닐 메타크릴레이트 (Hitachi Chemical) 10 - - 10 10 15 20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대정화금)
- 10 3 - - 10 10
스타이렌
(대정화금)
- 10 5 5 5 - 20
n-부틸 메타크릴레이트
(Aldrich)
- - 5 - - 5 10
중량평균분자량(MW) 14,000
 
(안료 분산액의 제조)
[ 제조예 1]
    안료 분산액 [g]
    TDG-4 (DNS社, 녹색 안료) 6.2
    TDY-4 (DNS社, 황색 안료) 2.8
    Disperbyk 163 (BYK社, 분산제) 2.4
    NPR 8000 (미원상사, 바인더수지) 5.4
    PGMEA(용제) 30.0
상기 표 2에 기재된 조성을 모두 혼합한 후, ASADA社의 Pico mill을 사용하여 6시간 동안 분산을 실시하여 녹색 안료 분산액을 제조하였다.
 
[ 제조예 2]
    안료 분산액 [g]
    TDG-4 (DNS社, 녹색 안료) 9
    Disperbyk 163 (BYK社, 분산제) 2.4
    NPR 8000 (미원상사, 바인더수지) 5.4
    PGMEA(용제) 30.0
상기 표 3에 기재된 조성을 모두 혼합한 후, ASADA社의 Pico mill을 사용하여 6시간 동안 분산을 실시하여 녹색 안료 분산액을 제조하였다.
 
(컬러필터용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3
하기 표 4의 조성을 혼합하여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3의 컬러필터용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g) 비교예 실시예
성분 1 2 3 1 2 3 4
(A)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
합성예
5
합성예
6
합성예
7
합성예
1
합성예
2
합성예
3
합성예
4
8 8 8 8 8 8 8
(B) 아크릴계 광중합성 단량체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5 5 5 5 5 5 5
(C) 광중합 개시제
(Ciba specialty chemicals社의 IGACURE OXE02)
0.3 0.3 0.3 0.3 0.3 0.3 0.3
(D-1) 착색제1
   : 제조예 1의 안료분산액
40 28.5 - 40 - 40 -
(D-2) 착색제2
   : 제조예 2의 안료분산액
- 2.5 - - 28.5 - -
(D-3) 착색제3 : 염료
(Savinyl Yellow RLS,
Clariant社)
- - 5 - 2.5 - 5
(E) 용제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PGMEA)
46.6 55.6 81.6 46.6 55.6 46.6 81.6
(F) 기타 첨가제
(DIC社의 메가팩 F-475: 불소계 계면활성제)
0.1 0.1 0.1 0.1 0.1 0.1 0.1
먼저, 용제에 광중합 개시제를 용해시킨 후, 2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하고,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 및 반응성 불포화 화합물을 상기 광중합 개시제가 용해되어 있는 용액에 첨가하고, 2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물에 녹색 안료 분산액 및 황색 염료를 투입하여 1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하고, 여기에 실란 커플링제를 투입하여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조성물을 3회 여과하여 불순물을 제거하여 컬러필터용 녹색 및 황색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물성 평가 1; 내열성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내열성을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스핀-코터(spin-coater, KDNS社의 K-Spin8)를 이용하여, 아무것도 도포되지 않은 투명한 원형 유리기판(bare glass) 및 실리콘 나이트라이드(SiNx, x는 화학양론에 따라 정해지는 값임)가 500Å의 두께로 도포되어 있는 유리기판 위에,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3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3㎛의 두께로 도포하였다.  열판(hot-plate)을 이용하여 80℃에서 150초 동안 소프트-베이킹(soft-baking)을 하고, 노광기(Nikon社의 I10C)를 이용하여 60mJ의 출력(power)으로 노광을 한 후, 현상기를 이용하여 현상온도 25℃, 현상시간 60초, 수세시간 60초 및 스핀건조(spin-dry)를 25초 동안 실시하여 현상하였다.  이때, 현상액으로는 1중량% 농도의 수산화칼륨 수용액을 사용하였다.  그 후, 230℃의 오븐(oven)에서 30분 동안 하드-베이킹(hard-baking)을 한 후 색을 측정하고, 다시 230℃의 오븐(oven)에서 2시간 동안 베이킹 후 색변화(△E)를 색도계(분광광도계, Otsuka Electronics社의 MCPD3000)를 이용하여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내열성 평가 기준>
- 색변화(△E)가 3 미만이면: 우수
- 색변화(△E)가 3 이상 5 미만이면: 미흡
- 색변화(△E)가 5 이상이면: 불량
 
(물성 평가 2; 내화학성 측정- 박리액 내성)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박리액 내성을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스핀-코터(spin-coater, KDNS社의 K-Spin8)를 이용하여, 아무것도 도포되지 않은 투명한 원형 유리기판(bare glass) 및 실리콘 나이트라이드(SiNx)가 500Å의 두께로 도포되어 있는 유리기판 위에,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3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3㎛의 두께로 도포하였다.  열판(hot-plate)을 이용하여 80℃에서 150초 동안 소프트-베이킹(soft-baking)을 하고, 노광기(Nikon社의 I10C)를 이용하여 60mJ의 출력(power)으로 노광을 한 후, 현상기를 이용하여 현상온도 25℃, 현상시간 60초, 수세시간 60초 및 스핀건조(spin-dry)를 25초간 실시하여 현상하였다.  이때, 현상액으로는 1중량% 농도의 수산화칼륨 수용액을 사용하였다.  그 후, 230℃의 오븐(oven)에서 30분간 하드-베이킹(hard-baking)을 한 후 색을 측정하고, 다시 70℃의 박리액(J.T.Baker社의 PRS-2000)에 10분간 침지시킨 후 탈이온수(DIW; deionized warer)로 세척 및 건조하였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한 감광성 수지 조성물 도막의 색변화를 색도계(분광광도계, Otsuka Electronics社의 MCPD3000)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박리상태를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여, 그 결과를 다음과 같이 구분하여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박리액 내성 평가 기준>
- 색변화(△E)가 3 미만이면: 우수
- 색변화(△E)가 3 이상 5 미만이면: 미흡
- 색변화(△E)가 5 이상이면: 불량
 
<박리상태 평가 기준>
- 감광성 수지 조성물 도막의 박리가 없으면: 우수
- 감광성 수지 조성물 도막이 일부 박리되면: 미흡
- 감광성 수지 조성물 도막이 대부분 박리되면: 불량
 
구분 내열성 내화학성 박리상태
Bare glass SiNx Bare glass SiNx Bare glass SiNx
실시예 1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실시예 2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실시예 3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실시예 4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실시예 5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우수
비교예 1 미흡 미흡 미흡 미흡 미흡 미흡
비교예 2 불량 불량 불량 미흡 불량 미흡
비교예 3 불량 불량 불량 불량 불량 불량
상기 표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4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 도막은 내열성이 우수하고, 박리액 처리에 대하여 색변화가 적으면서도 도막의 박리가 없어, 본 발명에 따른 감광성 수지 조성물이 박리액에 대한 내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1)

  1. (A)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구조단위,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구조단위 및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구조단위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
    (B) 아크릴계 광중합성 단량체;
    (C) 광중합 개시제;
    (D) 착색제; 및
    (E) 용제를 포함하는
    컬러필터용 감광성 수지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17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R11 및 R1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R13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10의 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의 시클로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의 아릴렌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n은 0 내지 30의 정수이다.)
    [화학식 2]
    Figure pat00018

    (상기 화학식 2에서,
    R2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R21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10의 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의 시클로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의 아릴렌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R22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1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의 시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의 아릴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화학식 3]
    Figure pat00019

    (상기 화학식 3에서,
    R3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R31은 카르복시기, -CO-R32-COOH(여기에서 R32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10 알킬렌기이거나,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10 알콕실렌기이다.)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는,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 총량에 대하여,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구조단위를 1몰% 내지 50몰%,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구조단위를 5몰% 내지 70몰% 및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구조단위를 5몰% 내지 40몰%로 포함하는 것인 컬러필터용 감광성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필터용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A) 상기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를 1중량% 내지 60중량%;
    (B) 상기 아크릴계 광중합성 단량체를 0.5중량% 내지 20중량%;
    (C) 상기 광중합 개시제를 0.1중량% 내지 10중량%;
    (D) 상기 착색제를 0.1중량% 내지 40중량%; 및
    (E) 상기 용제를 잔부량으로 포함하는 것인
    컬러필터용 감광성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Mw)은 1,000 내지 100,000인 것인 컬러필터용 감광성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의 산가는 20mgKOH/g 내지 200mgKOH/g인 것인 컬러필터용 감광성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는,
    하기 화학식 4 내지 화학식 8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구조단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컬러필터용 감광성 수지 조성물.  
    [화학식 4]
    Figure pat00020

    (상기 화학식 4에서,
    R4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k는 1 내지 5의 정수이다.)
    [화학식 5]
    Figure pat00021

    (상기 화학식 5에서,
    R5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R51은 수소 원자, 히드록시기, 할로겐 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10 할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킬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화학식 6]
    Figure pat00022

    (상기 화학식 6에서,
    R6 및 R62는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R61은 카르복시기이고,
    R63은 카르복시기 또는 -CONHR64(여기에서 R64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10 알킬기이거나,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20 아릴기이다.)이고,
    R61 및 R63은 서로 융합되어 고리를 이룬다.)
    [화학식 7]
    Figure pat00023

    (상기 화학식 7에서,
    R7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R71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기이다.)
    [화학식 8]
    Figure pat00024

    (상기 화학식 8에서,
    R8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R81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기, 알킬기 및 아릴기로 이루어진 다환구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4 내지 화학식 8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구조단위는 상기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 총량에 대하여 1몰% 내지 50몰%로 포함되는 것인 컬러필터용 감광성 수지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제는 안료, 염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컬러필터용 감광성 수지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제는 안료와 염료를 착색제 총 함량에 대하여 1:9 내지 9:1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인 컬러필터용 감광성 수지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분산제; 말론산; 3-아미노-1,2-프로판디올; 비닐기 또는 (메타)아크릴옥시기를 갖는 실란계 커플링제; 레벨링제; 불소계 계면활성제; 라디칼 중합 개시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인 컬러필터용 감광성 수지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컬러필터용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컬러필터.
KR1020110032908A 2010-11-09 2011-04-08 컬러필터용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컬러필터 KR1013337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10987 2010-11-09
KR1020100110987 2010-11-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9785A true KR20120049785A (ko) 2012-05-17
KR101333701B1 KR101333701B1 (ko) 2013-11-27

Family

ID=46267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2908A KR101333701B1 (ko) 2010-11-09 2011-04-08 컬러필터용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컬러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37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58953A1 (en) * 2012-12-07 2014-06-12 Cheil Industries Inc.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for Color Filter, and Color Filter Using the Same
KR20150051446A (ko) * 2013-11-04 2015-05-13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08957A1 (en) 2006-06-27 2008-01-10 Eastman Kodak Company Negative-working radiation-sensitive compositions and imageable elements
WO2008090640A1 (ja) * 2007-01-23 2008-07-31 Fujifilm Corporation オキシム化合物、感光性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液晶表示素子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58953A1 (en) * 2012-12-07 2014-06-12 Cheil Industries Inc.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for Color Filter, and Color Filter Using the Same
KR20140073999A (ko) * 2012-12-07 2014-06-17 제일모직주식회사 컬러필터용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컬러필터
CN103869621A (zh) * 2012-12-07 2014-06-18 第一毛织株式会社 用于彩色滤光片的光敏树脂组合物及使用其的彩色滤光片
US9864272B2 (en) 2012-12-07 2018-01-09 Samsung Sdi Co., Ltd.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for color filter, and color filter using the same
KR20150051446A (ko) * 2013-11-04 2015-05-13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3701B1 (ko) 2013-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6147B1 (ko) 컬러필터용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컬러필터
KR101344786B1 (ko) 컬러필터용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컬러필터
KR101618685B1 (ko) 컬러필터용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컬러필터
KR101400193B1 (ko) 컬러필터용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컬러필터
KR20130002789A (ko) 컬러필터용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컬러필터
KR101413074B1 (ko) 컬러필터용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컬러필터
KR101344790B1 (ko) 컬러필터용 청색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컬러필터
KR101707908B1 (ko) 컬러필터용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컬러필터
KR101486559B1 (ko) 컬러필터용 황색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황색 컬러필터
KR20150012163A (ko)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컬러필터
KR101344789B1 (ko) 컬러필터용 청색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컬러필터
KR20100098882A (ko) 컬러필터용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컬러필터
KR101333695B1 (ko) 컬러필터용 청색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컬러필터
KR101333701B1 (ko) 컬러필터용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컬러필터
KR101618689B1 (ko) 컬러필터용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컬러필터
KR101413077B1 (ko) 컬러필터용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컬러필터
KR101443757B1 (ko) 컬러필터용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컬러필터
KR20130060036A (ko) 컬러필터용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컬러필터
KR20230073892A (ko) 고굴절 아크릴 현상바인더를 사용하는 컬러필터용 감광성 수지 조성물
US8303862B2 (en)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for color filter and color filter using same
KR20220095387A (ko)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감광성 수지막 및 컬러필터
KR20160004987A (ko) 밀착력이 우수한 광경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컬러필터
KR20120047344A (ko)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컬러필터
KR20130079859A (ko) 컬러필터용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컬러필터
KR20130018439A (ko) 인을 포함하는 아크릴계 수지의 새로운 제조방법및 이를 포함하는 컬러필터용 감광성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