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8915A - 슬림형 스프링 액추에이터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구비한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장치 - Google Patents

슬림형 스프링 액추에이터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구비한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8915A
KR20120048915A KR1020100110392A KR20100110392A KR20120048915A KR 20120048915 A KR20120048915 A KR 20120048915A KR 1020100110392 A KR1020100110392 A KR 1020100110392A KR 20100110392 A KR20100110392 A KR 20100110392A KR 20120048915 A KR20120048915 A KR 201200489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elastic member
spring actuator
slim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0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경원
Original Assignee
(주)제이엠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엠씨 filed Critical (주)제이엠씨
Priority to KR1020100110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48915A/ko
Publication of KR20120048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89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이 발명의 슬림형 스프링 액추에이터(230)는, 평면상에서 일정 형태로 벤딩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231)와, 탄성부재의 양측 단부를 동일 평면상에서 각각 고정하여 메인 플레이트 또는 고정 플레이트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데 사용되며 서로 다른 크기 및 형태를 갖는 제1, 제2 결합부재(232, 233)를 포함하며, 제1 결합부재(232)는 탄성부재의 길이를 보상하는 길이를 가지며, 제1, 제2 결합부재는 탄성부재 이하의 두께를 갖는다. 이 발명은 평면상에 위치하는 1개의 탄성부재와 이를 고정하되 탄성부재보다 얇거나 동일한 탄성부재 이하의 두께를 갖되 서로 다른 크기 및 형태를 갖는 2개의 결합부재를 이용함에 따라, 전체적인 두께의 감소가 가능해 슬림형 슬라이드 타입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 발명은 탄성부재와 결합부재를 레이저 용접 등의 방식으로 일체형으로 연결함으로써, 그 연결구조를 단순화하고 연결부위에 작용하는 집중하중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이 발명은 1개의 탄성부재와 서로 다른 크기 및 형태를 갖는 2개의 고정부재를 이용함에 따라, 슬라이드 이동시에 탄성부재의 동작 영역을 최소할 수 있어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슬림형 스프링 액추에이터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구비한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장치{Spring actuator with slim for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slide apparatus of sliding type mobile phone having the spring actuator}
이 발명은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평면상에 위치하는 탄성부재와 이를 고정하되 탄성부재보다 얇거나 동일한 탄성부재 이하의 두께를 갖는 결합부재를 이용해 두께가 얇은 슬림형으로 구성한 슬림형 스프링 액추에이터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구비한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단말기의 보급률이 증가함에 따라 사용자의 욕구에 부응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과 디자인의 단말기가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들은 일반 바 타입(bar type) 단말기에서부터 플립 타입(flip type) 단말기, 플립 업 타입(flip-up type) 단말기, 폴더 타입(folder type) 단말기, 슬라이드 타입(sliding type) 단말기 등으로 발전해 오고 있는데, 현재의 주류는 슬라이드 타입 단말기이다.
슬라이드 타입 단말기는 메인 바디 및 슬라이드 바디를 상호 겹쳐서 배치하고, 각 바디에 디스플레이부 및 키 입력부가 같은 방향을 향하는 방식의 단말기로서, 기존의 폴더 타입 단말기에 비해 사용자의 변해가는 다양한 기호에 부응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슬라이드 타입 단말기의 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일반적인 슬라이드 타입 단말기에 사용되는 슬라이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타입 단말기(100)는 슬라이드 바디(120)와 메인 바디(110)의 사이에 슬라이드 장치(130)가 설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즉, 슬라이드 타입 단말기(100)는 슬라이드 바디(120)가 슬라이드 장치(130)를 통해 메인 바디(110)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하여 개방되거나 폐쇄되도록 구성된다.
메인 바디(110)에는 슬라이드 바디(120)가 개방되었을 때 보이는 면상에 키패드 어셈블리(111)가 설치된다. 키패드 어셈블리(111)는 바람직하게는 3×4 키버튼이 설치될 수 있다. 키패드 어셈블리(111)의 하측에는 마이크 장치(112)가 설치될 수 있다.
슬라이드 바디(120)에는 전면에 걸쳐 디스플레이 장치(121)가 설치되고, 디스플레이 장치(121)의 하측에는 또다른 키패드 어셈블리가 설치되며, 디스플레이 장치(121)의 상측에는 스피커 장치(122)가 설치된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장치(130)는 메인 바디(110)에 결합되는 메인 플레이트(131)와, 슬라이드 바디(120)에 결합되어 메인 플레이트(131)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132), 및 슬라이드 플레이트(132)의 슬라이드 이동시에 토션을 제공하는 한 쌍의 토션 스프링(133)을 갖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슬라이드 장치(130)는 슬라이드 바디(120)가 개방될 때 일정 개방 시점(대체적으로 1/2정도 개방되는 시점)에서 가압력의 변화가 발생하는 변곡점을 갖도록 구성된다. 즉, 슬라이드 장치(130)는 변곡 시점에서 슬라이드 바디(120)를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살짝 가압하더라도 사점이 최소화되어 슬라이드 바디(120)가 최대 개방 위치 또는 최대 폐쇄 위치로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슬라이드 장치(130)는 메인 바디(110)와 슬라이드 바디(120)가 접하는 공간상에 설치되기 때문에, 점차 슬림화되어가는 단말기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간단하면서도 동작 신뢰성이 충족되어야만 한다.
그런데, 종래의 슬라이드 장치(130)는 와이어를 감되 서로 중첩되는 형태로 감긴 비교적 부피가 큰 토션 스프링(133)을 사용함에 따라, 단말기의 부피, 즉 두께가 증가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최근 추세인 슬림형 슬라이드 타입 단말기에 역행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실용신안등록 제0431876호에는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평면상에 위치하는 둘 이상의 탄성체와 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이용해 두께를 보다 얇게 구성할 수 있는 스프링에 대해 공개되어 있다. 그런데, 이 기술은 연결부재를 탄성체 1개의 두께보다는 두껍지만 탄성체 2개를 겹쳐놓은 것보다는 작은 두께를 갖도록 구성함에 따라, 스프링의 두께를 슬림화하는 데 한계가 있다.
또한, 이 기술은 탄성체와 연결부재를 서로 연결함에 있어서, 탄성체의 단부를 ㄱ자 또는 크랭크 형상으로 구성하고, 연결부재를 이에 대응하는 형태로 구성해, 서로 간에 끼워져 연결되는 구조로 구성함에 따라, 그 연결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반복적인 슬라이드 작용시에 연결부위에 집중하중이 가해져 그 부분이 파손될 우려가 있다. 또한, 이 기술은 탄성체와 연결부재가 서로 간에 연결은 되지만 일체형을 이루지 않음에 따라 탄성체에 가해지는 비틀림 현상을 연결부재에서 완벽하게 해소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 기술은 탄성체가 연결부재의 양측에 각각 설치됨에 따라, 슬라이드 이동시에 2개의 탄성체가 넓은 동작 영역을 형성함에 따라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평면상에 위치하는 1개의 탄성부재와 이를 고정하되 탄성부재보다 얇거나 동일한 탄성부재 이하의 두께를 갖되 서로 다른 크기 및 형태를 갖는 2개의 결합부재를 이용함으로써, 두께가 얇은 슬림형으로 구성할 수 있는 슬림형 스프링 액추에이터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구비한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이 발명은 탄성부재와 결합부재를 레이저 용접 등의 방식으로 일체형으로 연결함으로써, 그 연결구조를 단순화하고 연결부위에 작용하는 집중하중 현상을 예방할 뿐만 아니라, 1개의 탄성부재를 이용함에 따라 탄성부재로 인한 비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내구성을 갖는 슬림형 스프링 액추에이터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구비한 슬라이드 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이 발명은 1개의 탄성부재와 서로 다른 크기 및 형태를 갖는 2개의 고정부재를 이용함에 따라, 슬라이드 이동시에 탄성부재의 동작 영역을 최소할 수 있어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슬림형 스프링 액추에이터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구비한 슬라이드 장치를 제공하는데 또다른 목적이 있다.
이 발명은 슬라이드 타입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드 장치를 구성하는 메인 플레이트와 슬라이드 플레이트를 서로 연결하여 일정 변곡점을 기준으로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개방 또는 폐쇄되는 방향으로 가압력을 제공하는 슬림형 스프링 액추에이터로서, 평면상에서 일정 형태로 벤딩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탄성부재의 양측 단부를 동일 평면상에서 각각 고정하여 메인 플레이트 또는 고정 플레이트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데 사용되며 서로 다른 크기 및 형태를 갖는 제1, 제2 결합부재를 포함하며, 제1 결합부재는 탄성부재의 길이를 보상하는 길이를 가지며, 제1, 제2 결합부재는 탄성부재 이하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의 탄성부재는 2열로 배열되는 2개의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발명의 제1, 제2 결합부재에는 2개의 스프링의 양측 단부가 각각 함께 끼워질 수 있는 고정홈이 1곳에 각각 형성되고, 그 고정홈에 2개의 스프링의 양측 단부가 각각 끼워진 상태에서 레이저 용접되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슬림형 스프링 액추에이터의 제조방법으로서, 제1, 제2 결합부재에는 탄성부재 또는 2개의 스프링의 양측 단부가 각각 끼워질 수 있는 고정홈을 1곳에 각각 형성하고, 고정홈에 탄성부재 또는 2개의 스프링의 양측 단부를 각각 끼운 상태에서 레이저 용접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은 메인 바디에 대해 단말기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개폐되도록 슬라이드 바디가 설치되는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장치에 있어서, 슬라이드 바디에 설치 고정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와, 슬라이드 플레이트상에서 단말기의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되도록 메인 바디상에 설치되는 메인 플레이트, 및 메인 플레이트와 슬라이드 플레이트를 서로 연결하여 일정 변곡점을 기준으로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개방 또는 폐쇄되는 방향으로 가압력을 제공하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하나 이상의 슬림형 스프링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의 탄성부재는 일정 곡률을 갖는 벤딩된 상태로 설치되어 슬라이드 플레이트에 초압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은 평면상에 위치하는 1개의 탄성부재와 이를 고정하되 탄성부재보다 얇거나 동일한 탄성부재 이하의 두께를 갖되 서로 다른 크기 및 형태를 갖는 2개의 결합부재를 이용함에 따라, 전체적인 두께의 감소가 가능해 슬림형 슬라이드 타입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 발명은 탄성부재와 결합부재를 레이저 용접 등의 방식으로 일체형으로 연결함으로써, 그 연결구조를 단순화하고 연결부위에 작용하는 집중하중 현상을 예방할 뿐만 아니라, 1개의 탄성부재를 이용함에 따라 탄성부재로 인한 비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 발명은 1개의 탄성부재와 서로 다른 크기 및 형태를 갖는 2개의 고정부재를 이용함에 따라, 슬라이드 이동시에 탄성부재의 동작 영역을 최소할 수 있어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슬라이드 타입 단말기의 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일반적인 슬라이드 타입 단말기에 사용되는 슬라이드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3은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슬림형 스프링 액추에이터가 장착된 슬라이드 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4 및 도 5는 이 발명에 따른 슬림형 스프링 액추에이터의 사시도 및 평면도이며,
도 6a 내지 도 6c는 도 3에 도시된 슬라이드 장치의 작동도이다.
아래에서, 이 발명에 따른 슬림형 스프링 액추에이터 및 그 제작방법과 이를 구비한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장치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슬라이드 장치(200)는 메인 바디(도 1의 110)에 결합되는 메인 플레이트(210)와, 슬라이드 바디(도 1의 120)에 결합되어 메인 플레이트(210)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220), 및 슬라이드 플레이트(220)의 슬라이드 이동시에 토션을 제공하는 슬림형 스프링 액추에이터(230)를 갖도록 구성된다.
이 실시예의 슬라이드 장치(200)는 슬라이드 바디(도 1의 120)가 개방될 때 일정 개방 시점(대체적으로 1/2정도 개방되는 시점)에서 가압력의 변화가 발생하는 변곡점을 갖도록 구성된다. 즉, 슬라이드 장치(200)는 변곡 시점에서 슬라이드 바디(도 1의 120)를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살짝 가압하더라도 사점이 최소화되어 슬라이드 바디(도 1의 120)가 최대 개방 위치 또는 최대 폐쇄 위치로 신속하게 이동시키는 슬림형 스프링 액추에이터(230)를 갖도록 구성된다.
한편, 이 실시예의 슬라이드 장치(200)는 설치 공간이 허용된다면, 메인 플레이트(210)와 슬라이드 플레이트(220) 없이 단말기의 메인 바디와 슬라이드 바디의 서로 마주보는 면상에 슬림형 스프링 액추에이터(230)만을 직접 설치해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슬라이드 장치(200)는 토션 수단으로 별도의 링크 조합체 등이 필요치 않으며, 소정의 슬림형 스프링 액추에이터(230) 하나만을 사용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슬림형 스프링 액추에이터(230)는 평면상에서 일정 형태로 벤딩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1개의 탄성부재(231)와, 탄성부재(231)의 양측 단부를 동일 평면상에서 각각 고정하여 메인 플레이트(210) 또는 고정 플레이트(220)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데 사용되며 서로 다른 크기 및 형태를 갖는 제1, 제2 결합부재(232, 233)로 구성된다.
탄성부재(231)는 탄성력을 갖는 재질의 소재를 평면상에서 동일 형태로 벤딩시키되 탄성력을 갖도록 벤딩시킨 2개의 스프링(231a)으로 구성한 것으로서, 각각의 스프링(231a)은 소정의 폭과 두께(높이)를 갖는 박판을 평면상에서 탄성력을 갖도록 벤딩시켜 구성한 것이다. 한편, 스프링(231a)은 일정 직경을 갖는 원형봉을 평면상에서 탄성력을 갖도록 벤딩시켜 구성할 수도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탄성부재(231)를 2열로 배열한 2개의 스프링(231a)으로 구성하였으나, 1열 또는 다수열로 배열한 1개 또는 3개 이상의 스프링(231a)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탄성부재(231)는 스프링(231a)이 더 큰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평면상에 서로 반대 방향인 두 방향으로 교대로 굴곡을 갖도록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제1, 제2 결합부재(232, 233)는 메인 플레이트(210) 또는 고정 플레이트(220)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서, 소정의 폭과 두께(높이)를 갖는 박판으로 구성된다. 한편, 제1, 제2 결합부재(232, 233)는 서로 다른 크기 및 형태를 갖는 것으로서, 제1 결합부재(232)는 기다란 형태를 갖되 일측 부분에서는 직선 형태를 갖다가 타측 부분에서는 곡선 형태를 갖도록 구성되고, 제2 결합부재(233)는 대략적인 네모난 형태를 갖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제1 결합부재(232)의 형태는 1개의 탄성부재(231)를 이용함에 따른 길이 부분을 보상하기 위한 것으로서, 원하는 정도의 길이 보상이 가능하다면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제1, 제2 결합부재(232, 233)에는 메인 플레이트(210) 또는 고정 플레이트(220)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개방홈(232a, 233a)이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제1, 제2 결합부재(232, 233)는 탄성부재(231)의 두께보다 얇거나 동일한 탄성부재 이하의 두께를 갖으며, 또한 탄성부재(231)와 레이저 용접이 가능한 재질로 구성된다. 이때, 제1 결합부재(232)의 개방홈(232a)은 제2 결합부재(233)의 개방홈(233a)과 가능한 멀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즉, 개방홈(232a)은 제1 결합부재(232)의 타측에 위치하는 곡선 형태 부분에 형성된다.
그리고, 제1, 제2 결합부재(232, 233)에는 탄성부재(231)를 구성하는 2개의 스프링(231a)이 함께 끼워질 수 있는 고정홈이 1곳에 각각 형성되고, 그 고정홈에 2개의 스프링(231a)의 양측 단부가 각각 끼워진 상태에서 레이저 용접함으로써, 제1, 제2 결합부재(232, 233)가 탄성부재(231)의 양측 단부에 각각 고정된다. 여기서, 제1 결합부재(232)의 고정홈은 제2 결합부재(233)의 고정홈과 가능한 가깝게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즉, 제1 결합부재(232)의 고정홈은 제1 결합부재(232)의 일측에 위치하는 적선 형태 부분에 형성된다. 따라서, 제1 결합부재(232)는 일정 이격거리를 갖는 일측과 타측에 고정홈과 개방홈(232a)을 각각 갖지만, 제2 결합부재(233)는 근접된 위치에 고정홈과 개방홈(233a)을 각각 갖는다. 한편, 제1, 제2 결합부재(232, 233)는 탄성부재(231)와 함께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탄성부재(231)의 양측 단부에 각각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이 실시예의 슬림형 스프링 액추에이터(230)는 1개의 탄성부재(231)와 서로 다른 크기 및 형태를 갖는 제1, 제2 결합부재(232, 233)가 동일 평면상에서 평행하게 위치하도록 서로 간에 고정된다. 한편, 이 실시예의 슬림형 스프링 액추에이터(230)는 탄성부재(231)와 제1, 제2 결합부재(232, 233)의 표면을 하드 코팅처리 하여 작동시 메인 플레이트(210) 또는 슬라이드 플레이트(220)에 접촉함에 따라 발생하는 마찰로 인한 기기의 파손 및 파티클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도 있다. 여기서, 하드 코팅으로는 우레탄 코팅, 나일론 코팅 또는 테프론 코팅 등이 가능하다.
아래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이 실시예의 슬라이드 장치(200)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되, 슬라이드 플레이트(220)가 고정된 슬라이드 바디(도 1의 120)와, 메인 플레이트(210)가 고정된 메인 바디(도 1의 110)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도 6a는 메인 바디에 대해 슬라이드 바디가 완전히 폐쇄된 상태이고, 도 6b는 슬라이드 바디가 메인 바디에 대해 변곡점에 위치한 상태이며, 도 6c는 메인 바디에 대해 슬라이드 바디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b의 상태에서, 슬라이드 바디를 상방향으로 올리면 슬라이드 바디는 완전히 개방될 것이며, 하방향으로 내리면 슬라이드 바디가 완전히 폐쇄될 것이다.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바디가 완전히 폐쇄된 상태에서는 슬라이드 플레이트(220)에 제1 결합부재(232)가 결합된 슬림형 스프링 액추에이터(230)는 완전히 벌어지려고 하는 상태이며, 이러한 경우 제2 결합부재(233)에 고정된 메인 플레이트(210)를 상방향으로(도 6a의 화살표 방향) 지속적으로 가압하려는 상태를 유지한다. 즉, 슬림형 스프링 액추에이터(230)는 탄성부재(231)가 일정 곡률로 벤딩된 상태로 제1, 제2 결합부재(232, 233)가 슬라이드 플레이트(220) 및 메인 플레이트(210)에 각각 고정되어 슬라이드 플레이트(220)에 초압을 부여하도록 설치된다.
도 6b의 경우에는 메인 플레이트(210)가 슬라이드 플레이트(220)의 거의 중앙 부분에 위치된 상태로서, 슬림형 스프링 액추에이터(230)는 최대한 굽혀진 상태로 벤딩되며, 이 경우 최대한의 가압력(복원력)을 저장하고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
도 6c의 경우에 있어서, 메인 플레이트(210)가 하측으로 하강하게 되면, 슬림형 스프링 액추에이터(230)는 도 6b의 최대한 굽혀진 상태에서 최대한 펴지려는 가압력 때문에 메인 플레이트(210)를 하방향으로(도 6c의 화살표 방향) 지속적으로 가압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슬라이드 플레이트(220)를 기준으로 보면, 메인 플레이트(210)가 슬라이드 이동하여, 슬림형 스프링 액추에이터(230)를 굽혀 벤딩시켰다가 복원력에 의해 펼치는 상태에 따라 가압력의 방향을 변화시키면서, 결과적으로 단말기의 메인 바디에 대해 슬라이드 바디를 동작시킨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1개의 슬림형 스프링 액추에이터(230)를 탄성수단으로서 메인 플레이트(210)와 슬라이드 플레이트(220) 사이에 개재시켜 사용하였으나, 설치 공간이 여유롭고 강한 탄성력 등이 요구될 경우에는 2개 이상의 슬림형 스프링 액추에이터(230)가 상호 동작 제한을 받지 않는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이 발명의 슬림형 스프링 액추에이터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구비한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장치에 대한 기술사항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이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이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이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고 첨부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200 : 슬라이드 장치 210 : 메인 플레이트
220 : 슬라이드 플레이트 230 : 슬림형 스프링 액추에이터
231 : 탄성부재 231a : 스프링
232 : 제1 결합부재 232a, 233a : 개방홈
233 : 제2 결합부재

Claims (6)

  1. 슬라이드 타입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드 장치를 구성하는 메인 플레이트와 슬라이드 플레이트를 서로 연결하여 일정 변곡점을 기준으로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개방 또는 폐쇄되는 방향으로 가압력을 제공하는 슬림형 스프링 액추에이터로서,
    평면상에서 일정 형태로 벤딩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양측 단부를 동일 평면상에서 각각 고정하여 상기 메인 플레이트 또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데 사용되며 서로 다른 크기 및 형태를 갖는 제1, 제2 결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결합부재는 상기 탄성부재의 길이를 보상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1, 제2 결합부재는 상기 탄성부재 이하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스프링 액추에이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2열로 배열되는 2개의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스프링 액추에이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결합부재에는 상기 2개의 스프링의 양측 단부가 각각 함께 끼워질 수 있는 고정홈이 1곳에 각각 형성되고, 그 고정홈에 상기 2개의 스프링의 양측 단부가 각각 끼워진 상태에서 레이저 용접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스프링 액추에이터.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슬림형 스프링 액추에이터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제1, 제2 결합부재에는 상기 탄성부재 또는 상기 2개의 스프링의 양측 단부가 각각 끼워질 수 있는 고정홈을 1곳에 각각 형성하고, 상기 고정홈에 상기 탄성부재 또는 상기 2개의 스프링의 양측 단부를 각각 끼운 상태에서 레이저 용접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스프링 액추에이터의 제조방법.
  5. 메인 바디에 대해 단말기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개폐되도록 슬라이드 바디가 설치되는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장치에 있어서,
    슬라이드 바디에 설치 고정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상에서 단말기의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되도록 메인 바디상에 설치되는 메인 플레이트, 및
    상기 메인 플레이트와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를 서로 연결하여 일정 변곡점을 기준으로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개방 또는 폐쇄되는 방향으로 가압력을 제공하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하나 이상의 슬림형 스프링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일정 곡률을 갖는 벤딩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에 초압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장치.
KR1020100110392A 2010-11-08 2010-11-08 슬림형 스프링 액추에이터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구비한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장치 KR201200489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0392A KR20120048915A (ko) 2010-11-08 2010-11-08 슬림형 스프링 액추에이터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구비한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0392A KR20120048915A (ko) 2010-11-08 2010-11-08 슬림형 스프링 액추에이터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구비한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8915A true KR20120048915A (ko) 2012-05-16

Family

ID=46266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0392A KR20120048915A (ko) 2010-11-08 2010-11-08 슬림형 스프링 액추에이터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구비한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4891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67346B2 (en) Slider mechanisms for opening and closing portable terminals
KR20060001898A (ko) 슬라이드형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장치
KR101117598B1 (ko) 휴대폰 슬라이드 모듈
KR100848858B1 (ko) 좁은 궤적을 갖는 탄성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딩 타입휴대폰의 슬라이드 장치
EP2425146A1 (en) Spring and spring assembly
KR20120046585A (ko) 슬림형 스프링 액추에이터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장치
KR20120048915A (ko) 슬림형 스프링 액추에이터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구비한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장치
KR20120050560A (ko) 슬림형 스프링 액추에이터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구비한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장치
KR200417355Y1 (ko) 슬라이딩 조립체
KR20040104359A (ko) 내구성의 토션 스프링이 설치된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의슬라이드 장치
KR100998879B1 (ko) 힌지 모듈
KR100950259B1 (ko) 휴대폰용 힌지 스프링 모듈
KR101156627B1 (ko) 탄성 모듈
KR20120135680A (ko) 스프링 액추에이터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장치
KR20120058389A (ko)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
KR101037891B1 (ko) 슬라이드형 휴대용 단말기의 초슬림형 힌지구조
KR200430928Y1 (ko) 슬라이딩 핸드폰의 슬라이딩 조립체
KR101138923B1 (ko) 와이어 스프링 액츄에이터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장치
KR20090047416A (ko) 휴대폰용 슬림 슬라이드 힌지 어셈블리
KR100665990B1 (ko) 슬라이딩방식 휴대폰용 힌지
KR101018640B1 (ko) 액츄에이터
KR200410343Y1 (ko) 슬라이드형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장치
KR100781590B1 (ko) 슬라이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슬림형 슬라이딩 타입휴대폰
KR101124218B1 (ko)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101043599B1 (ko) 슬라이드 모듈용 탄성구동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