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8444A - 비주기적 참조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비주기적 참조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8444A
KR20120048444A KR1020100110073A KR20100110073A KR20120048444A KR 20120048444 A KR20120048444 A KR 20120048444A KR 1020100110073 A KR1020100110073 A KR 1020100110073A KR 20100110073 A KR20100110073 A KR 20100110073A KR 20120048444 A KR20120048444 A KR 201200484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erence signal
information
aperiodic
transmission
s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0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4366B1 (ko
Inventor
김종남
박경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100110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4366B1/ko
Priority to PCT/KR2011/008327 priority patent/WO2012060641A2/ko
Priority to US13/883,750 priority patent/US9603169B2/en
Publication of KR20120048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84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4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43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1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dedicated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a single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04L25/0224Channel estimation using sounding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1Details of reference signals
    • H04L27/2613Structure of the reference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비주기적 참조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비주기적 참조신호를 수신하는 방법은 참조신호 수신장치가 제 1 참조신호 송신장치의 환경 정보에 의하여 산출 가능한 무선 자원 영역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무선 자원 영역에서 비주기적 참조신호가 송신되도록 지시하는 제 1 지시정보를 상기 제 1 참조신호 송신장치에게 송신하는 단계, 상기 무선 자원 영역에서 주기적 참조신호를 송신하게 되는 제 2 참조신호 송신장치에게 상기 무선 자원 영역에서의 주기적 참조신호 송신을 홀딩할 것을 지시하는 제 2 지시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자원 영역에서 상기 제 1 참조신호 송신장치로부터 상기 비주기적 참조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비주기적 참조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periodic Reference Signal}
본 명세서는 무선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OFDMA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의 상태를 측정하거나 추정하기 위한 참조 신호의 비주기적(aperiodic) 송신을 빠르고 효과적으로 지시하는 한편, 주기적 참조신호와의 충돌을 방지하도록 하며, 내재적 정보를 이용하여 비주기적 참조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통신 시스템이 발전해나감에 따라 사업체들 및 개인들과 같은 소비자들은 매우 다양한 무선 단말기들을 사용하게 되었다.
현재의 3GPP, LTE(Long 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d)등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음성 위주의 서비스를 벗어나 영상, 무선 데이터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는 고속 대용량의 통신 시스템으로서, 유선 통신 네트워크에 준하는 대용량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을 뿐 아니라, 정보 손실의 감소를 최소화하고, 시스템 전송 효율을 높임으로써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적절한 오류검출 방식이 필수적인 요소가 되었다.
또한, 현재의 여러 통신 시스템에서는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를 통하여 통신 환경 등에 대한 정보를 상대 장치에 제공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신호를 사용하며, 신호의 일 실예로 참조신호 또는 기준신호(Reference Signal) 들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방법 중에 하나인 LTE 시스템에서는, 상향링크(Uplink) 전송시 단말(User Equipment; 이하 'UE' 또는 '단말'이라 함)의 채널상태를 나타내는 채널 참조(채널 측정 또는 채널 추정 기준신호)로서 사운딩 참조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를 기지국 장치로 전송한다. 한편, 하향링크(Downlink) 전송시 채널정보를 파악하기 위하여 참조신호(Reference Signal)인 CRS(Cell-specific Reference Signal)를 매 서브프레임(subframe)마다 전송한다.
한편, 이러한 참조신호(Reference Signal)들은 참조신호의 송신장치, 즉 상향링크 참조신호인 경우에는 UE, 하향링크 참조신호인 경우에는 기지국 장치가 주기적으로 생성하여 참조신호 수신장치로 전송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최근 통신 시스템의 유연성 등을 이유로 비주기적으로 채널 추정 참조신호 등을 전송하고자 하는 논의가 진행되고 있으나, 그에 대한 구체적인 방식 등은 정해지지 않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현재 통신 시스템에서는, 비주기적 채널 추정 참조신호의 구체적인 송신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는 기준 신호의 비주기적 송신에 있어서 물리 채널에 지시 정보를 포함시켜 참조신호의 설정 정보를 송수신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는 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의 채널 상태를 측정 또는 추정하기 위한 참조신호의 비주기적인 송신 기술을 제공한다.
비주기적 SRS 전송은 빠른 시간 내에 상향링크 채널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므로 동적인 사운딩 자원 할당(Dynamic Sounding Resource allocation)이 가능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는 비주기적 SRS 송신과 관련된 설정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를 물리 계층을 통해 빠르게 송신되도록 하여 비주기적 SRS의 송신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는 비주기적 참조신호가 주기적 참조신호와 충돌하지 않도록, 주기적 참조신호의 홀딩을 지시하며 비주기적 참조신호와 관련된 파라미터의 셋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는 비주기적 채널 측정을 위한 참조신호의 송신을 제어하는 설정 정보가 보다 빨리 사용자 단말에 전달될 수 있도록 내재적 정보 산출에 기반한 비주기적 참조신호 송수신과 관련된 기술을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다중안테나 상향링크 할당을 통해 비주기적 참조 신호를 송신함에 있어서 참조신호의 송신을 제어하는 설정 정보 구성 기술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비주기적 참조신호를 수신하는 방법은 참조신호 수신장치가 제 1 참조신호 송신장치의 환경 정보에 의하여 산출 가능한 무선 자원 영역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무선 자원 영역에서 비주기적 참조신호가 송신되도록 지시하는 제 1 지시정보를 상기 제 1 참조신호 송신장치에게 송신하는 단계, 상기 무선 자원 영역에서 주기적 참조신호를 송신하게 되는 제 2 참조신호 송신장치에게 상기 무선 자원 영역에서의 주기적 참조신호 송신을 홀딩할 것을 지시하는 제 2 지시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자원 영역에서 상기 제 1 참조신호 송신장치로부터 상기 비주기적 참조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비주기적 참조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은 참조신호 송신장치가 참조신호 수신장치로부터 참조신호의 송신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지시 정보가 비주기적 참조신호가 송신되도록 지시하는 제 1 지시정보인 경우, 상기 제 1 지시정보 및 환경 정보에서 상기 비주기적 참조신호가 송신될 무선 자원 영역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자원 영역 정보와 상기 제 1 지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참조신호 수신장치에게 비주기적 참조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지시 정보가 주기적 참조신호 송신을 홀딩할 것을 지시하는 제 2 지시정보인 경우, 주기적 참조신호의 송신을 홀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비주기적 참조신호를 수신하는 장치는 제 1 참조신호 송신장치의 환경 정보에 의하여 산출 가능한 무선 자원 영역을 판단하고, 상기 무선 자원 영역에서 주기적 참조신호를 송신하게 되는 제 2 참조신호 송신장치를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무선 자원 영역에서 비주기적 참조신호가 송신되도록 지시하는 제 1 지시 정보 또는 상기 무선 자원 영역에서 송신될 주기적 참조신호의 송신을 홀딩할 것을 지시하는 제 2 지시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무선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코딩부, 상기 무선제어신호를 상기 제 1 참조신호 송신장치 또는 제 2 참조신호 송신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에게 송신하고, 상기 무선 자원 영역에서 상기 제 1 참조신호 송신장치로부터 상기 비주기적 참조신호를 수신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비주기적 참조신호를 송신하는 장치는 참조신호 수신장치로부터 참조신호의 송신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참조신호 수신장치에게 참조신호를 송신하는 송수신부, 상기 지시 정보가 비주기적 참조신호가 송신되도록 지시하는 제 1 지시정보인 경우, 상기 제 1 지시정보 및 환경 정보에서 상기 비주기적 참조신호가 송신될 무선 자원 영역 정보를 산출하며, 상기 지시 정보가 주기적 참조신호 송신을 홀딩할 것을 지시하는 제 2 지시정보인 경우, 주기적 참조신호의 송신을 홀딩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 1 지시 정보 및 상기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비주기적 참조신호를 생성하는 참조신호 생성부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무선통신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 및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해 사용할 수 있는 SRS 서브프레임의 설정 정보를 보여주는 테이블이다.
도 4는 SRS 대역폭에 대한 설정 정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명세서에서 SRS 전송과 관련하여 설정할 수 있는 정보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10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향링크 리소스 블록의 개수에 따른 SRS 대역폭의 설정(SRS bandwidth configuration)과 SRS 대역폭(bandwidth)의 설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A-SRS 송신에 대해 주파수 대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충돌가능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3bit의 지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비주기적 참조신호의 송신을 위한 파라미터 셋의 구성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2bit의 지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비주기적 참조신호의 송신을 위한 파라미터 셋의 구성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콤브 정보(comb)의 내재적 설정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도 1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셀 내 단말의 ASRS 전송대역에 따른 ASRS 할당대역을 사용자 단말이 내재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A-SRS를 송신하게 되는 주파수 영역의 할당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도 15의 1510 및 표 6의 CSRS가 1인 경우 UE 또는 기지국이 산출할 수 있는 A-SRS 주파수 자원을 수학식 2, 3을 적용하여 산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참조신호 수신장치에서 참조신호 간의 충돌을 방지하며 내재적 무선 자원 영역 정보를 이용하여 비주기적 참조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참조신호 송신장치에서 참조신호 간의 충돌을 방지하며 내재적 무선 자원 영역 정보를 이용하여 비주기적 참조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참조신호 수신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참조신호 송신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무선통신시스템을 도시한다.
무선통신시스템은 음성,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배치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통신시스템은 단말(10; User Equipment, UE) 및 기지국(20; Base Station, BS)을 포함한다. 단말(10)과 기지국(20)은 아래에서 설명할 실시예와 같은 확장된 채널주정용 기준신호 생성기술을 적용하며, 이에 대해서는 도 3 이하를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단말(10)은 무선 통신에서의 사용자 단말을 의미하는 포괄적 개념으로서, WCDMA 및 LTE, HSPA 등에서의 UE(User Equipment)는 물론, GSM에서의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기지국(20) 또는 셀(cell)은 일반적으로 단말(10)과 통신하는 고정된 지점(fixed station)을 말하며, 노드-B(Node-B), eNB(evolved 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릴레이 노드(Relay Nod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20) 또는 셀(cell)은 CDMA에서의 BSC(Base Station Controller), WCDMA의 NodeB 등이 커버하는 일부 영역을 나타내는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및 릴레이 노드(relay node) 통신범위 등 다양한 커버리지 영역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이다.
본 명세서에서 단말(10)과 기지국(20)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기술 또는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두가지 송수신 주체로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특정하게 지칭되는 용어 또는 단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무선통신시스템에 적용되는 다중 접속 기법에는 제한이 없다.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FDMA, OFDM-TDMA, OFDM-CDMA와 같은 다양한 다중 접속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향링크 전송 및 하향링크 전송은 서로 다른 시간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GSM, WCDMA, HSPA를 거쳐 LTE(Long Term Evolution) 및 LTE-advanced로 진화하는 비동기 무선통신과, CDMA, CDMA-2000 및 UMB로 진화하는 동기식 무선 통신 분야 등의 자원할당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특정한 무선통신 분야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모든 기술분야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은 상향링크 및/또는 하향링크 HARQ를 지원할 수 있으며, 링크 적응(link adaptation)을 위해 CQI(channel quality indicator)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하향링크와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다중 접속 방식은 서로 다를 수 있으며, 예컨데, 하향링크는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를 사용하고, 상향링크는 SC-FDMA(Single Carrier-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를 사용할 수 있는 것과 같다..
단말과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radio interface protocol)의 계층들은 통신시스템에서 널리 알려진 개방형 시스템간 상호접속 (Open System Interconnection; OSI) 모델의 하위 3개 계층을 바탕으로 제1계층(L1), 제2 계층(L2), 제3 계층(L3)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제1 계층에 속하는 물리계층은 물리채널(physical channel)을 이용한 정보 전송 서비스(information transfer service)를 제공한다.
현재의 무선통신 방식 중 하나인 예로서 LTE(Long Term Evolution) 및 LTE-Advanced 통신시스템에서는 복조 참조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 및 사운딩 참조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이하 'SRS' 또는 '사운딩 기준신호' 또는 '사운딩 참조신호'라 함)가 정의되어 있다.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하향링크에 3가지의 참조신호(Reference Signal; RS, 또는 기준 신호)가 정의되어 있으며, 셀고유 참조신호(Cell-specific Reference Signal; CRS)와, MBSFN 참조신호 (Multicast/Broadcast over Single Frequency Network Reference Signal; MBSFN-RS) 및 단말 고유 참조신호(UE-specific Reference Signal)가 그것이다.
즉,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은 상향링크(uplink) 채널 정보를 기지국에 전달하기 위하여 참조신호의 일종인 상향링크 채널 추정 또는 측정을 위한 참조신호를 단일의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채널추정 참조신호의 일 예로서 LTE 및 LTE-Advanced에서 사용되는 사운딩 참조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를 들 수 있으며, 이는 상향링크 채널에 대한 파일롯 채널과 같은 기능을 가진다.
이하의 본 명세서에서는 참조신호의 비주기적 송신을 제어하는 과정 및 방법을 살펴보고자 한다. 참조신호는 단말과 기지국 간에 전송되는 신호를 의미한다. 참조신호의 일 실시 예로 채널추정 참조신호 및 그 일 실시예인 사운딩 참조신호(SRS)를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SRS 또는 채널 추정 또는 채널 측정을 위한 참조신호로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에서 사용되는 모든 종류의 참조신호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2 및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해 사용할 수 있는 SRS 서브프레임의 설정 정보를 보여주는 테이블이다.
주기 사운딩 참조신호(Periodic SRS)의 전송 subframe은 도 2의 210과 같이 srs-SubframeConfig으로 결정된다. srs-SubframeConfig(4-bit)(210)는 셀 특이적 파라미터(cell-specific parameter)로 상위계층(higher layer)에서 전송되며 수학식 1을 만족시키는 서브프레임의 마지막 심볼에 SRS 전송이 가능하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1
수학식 1에서 TSFC는 서브프레임 설정 기간(subframe configuration period)이며
Figure pat00002
는 오프셋(offset)이며, 이들은 셀 특이적 파라미터로 정해지거나 srs-SubframeConfig에 따라 미리 정해진 값들일 수 있다. 상기 값을 만족시키는 ns의 마지막 심볼에 SRS 전송이 가능하다. ns는 슬롯의 인덱스이다.
도 2는 LTE에 정의되어 있는 사운딩 기준신호의 서브프레임 설정표로서, 각 형식(srsSubframeConfiguration)은 4비트로 정의되며 각 경우 송신주기와 실제 송신 서브프레임의 오프셋을 규정하고 있다.
srsSubframeConfiguration 값이 8인 경우(바이너리로는 1000)를 예로 들면, 5 서브프레임마다 2, 3번째 서브프레임에 SRS를 송신함을 의미한다(TSFC는 5,
Figure pat00003
는 {2, 3}). 이 경우, 상기 SRS는 각 서브프레임의 가장 마지막 심볼에 송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서브프레임이 14개의 심볼들(Normal Cyclic Prefix인 경우)로 구성될 경우, 14번째 심볼에서 SRS를 송신하며, 12개의 심볼들(Extended Cyclic Prefix인 경우)로 구성될 경우, 12번째 심볼에서 SRS를 송신한다. 물론, 본 명세서에서 SRS가 송신되는 심볼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SRS 설정에 의하면 SRS는 셀(기지국)마다 라디오 프레임 또는 송신주기마다 주기적(Periodic)으로 송신될 수 있다.
한편, 기지국은 각 단말에게 SRS의 전송주기와 오프셋(offset)을 UE 특이적 파라미터(UE-specific parameter)인 도 3의 SRS configuration index(10-bit)(310)를 통해 알려준다. 전송주기는 {2,5,10,20,40,80,160,320} 중 한 값이, 오프셋(offset)은 각 전송주기마다 전송주기의 크기만큼의 가지 수를 갖는다. 예를 들면 ISRS=20일 때 전송주기는 20ms, 오프셋(offset)은 ISRS에서 17을 뺀 값인 3ms이다.
도 4는 SRS 대역폭에 대한 설정 정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SRS 대역폭 설정(SRS bandwidth configuration(3-bit), 410)과 SRS 대역폭(SRS bandwidth(2-bit), 420)를 나타낸다. SRS 대역폭 설정(CSRS)은 셀 특이적 파라미터(cell-specific parameter)로서 셀 내의 모든 단말에게 같은 값이 전송된다. 반면 SRS 대역폭 BSRS)는 UE 특이적 파라미터(UE-specific parameter)로서 각 단말에 서로 다른 값의 할당이 가능하다. 셀 내의 단말들은 CSRS 에 의해 결정되는 4가지 SRS 대역폭(bandwidth) 중 하나가 선택되며, UE 특이적 파라미터인 BSRS를 통해 단말이 전송할 SRS 대역폭의 크기가 결정된다. CSRS, BSRS 는 상위계층에서 전달되는 파라미터이며 그 값은 시스템 대역폭(system bandwidth)에 따라 다르다. 도 4는 시스템 대역폭을 나타내는 RB(resource block)의 범위가 40<RB(resource block)
Figure pat00004
60 인 경우의 예를 표시한 것으로 도 4에 의하면, CSRS = 2, BSRS = 2이면 단말은
Figure pat00005
의 값을 갖는다. 이는 SRS 전송 대역폭(
Figure pat00006
)이 4RB를 의미하며 N2는 다음 SRS 전송을 위한 값으로 사용된다. 다시 설명하면, CSRS값과 BSRS값을 이용하여 SRS를 송신할 수 있는 주파수의 대역과, 해당 주파수의 범위(
Figure pat00007
)가 어느 지점에서 시작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정보(N2)를 설정할 수 있다. 즉, CSRS = 2, BSRS = 2이면 전체 4개의 RB(
Figure pat00008
= 4)에 대해 SRS를 송신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명세서에서 SRS 전송과 관련하여 설정할 수 있는 정보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콤브(comb, 콤보)는 SRS를 송신함에 있어서 주파수 대역폭을 나누어 송신하도록 구성된 것을 의미한다. 도 5에서의 Comb 파라미터는 SRS 송신에서 짝수번째 또는 홀수번째 부반송파에서 SRS를 송신할 수 있도록 지시하는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Comb0는 짝수번째의 부반송파를, Comb1은 홀수번째의 부반송파를 지칭할 수 있다. Comb 파라미터를 사용함으로써 주파수 위치(frequency position), SRS 대역폭을 통해 주파수 상에서 같은 SRS 자원을 가리키는 두 대의 단말을 구분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총 8가지의 사이클릭 쉬프트(Cyclic Shift)를 나타낸다. 사이클릭 쉬프트를 지시하기 위하여 3bit의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도 7 내지 10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향링크 리소스 블록의 개수에 따른 SRS 대역폭의 설정(SRS bandwidth configuration)과 SRS 대역폭(bandwidth)에 의해 결정되는 값들(
Figure pat00009
, Nb)을 보여주고 있다. 여기서 b는 SRS 대역폭 인덱스(bandwidth index),
Figure pat00010
는 SRS 전송 대역폭의 리소스 블록(resource block) 단위의 크기를 가리킨다. Nb는 주기적 SRS에서 다음 전송을 위해 필요한 값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인 업링크 대역폭(uplink bandwidth)인
Figure pat00011
(리소스 블록의 개수)이 80~110인 경우(
Figure pat00012
) SRS-대역폭의 설정(CSRS)과 SRS-대역폭(BSRS)에 의해 결정되는 값들(
Figure pat00013
, Nb)을 보여주고 있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인 업링크 대역폭(uplink bandwidth)인
Figure pat00014
(리소스 블록의 개수)이 80~110인 경우(
Figure pat00015
) SRS-대역폭의 설정(CSRS)과 SRS-대역폭(BSRS)에 의해 결정되는 값들(
Figure pat00016
, Nb)을 보여주고 있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인 업링크 대역폭(uplink bandwidth)인
Figure pat00017
(리소스 블록의 개수)이 80~110인 경우(
Figure pat00018
) SRS-대역폭의 설정(CSRS)과 SRS-대역폭(BSRS)에 의해 결정되는 값들(
Figure pat00019
, Nb)을 보여주고 있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인 업링크 대역폭(uplink bandwidth)인
Figure pat00020
(리소스 블록의 개수)이 80~110인 경우(
Figure pat00021
) SRS-대역폭의 설정(CSRS)과 SRS-대역폭(BSRS)에 의해 결정되는 값들(
Figure pat00022
, Nb)을 보여주고 있다.
도 7 내지 10의 정보들은 주기적 SRS를 송신하는 과정에서 참조하게 되는 정보이지만, 비주기적 SRS를 송신하는 과정에 이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정보들을 이용할 수 있다.
참조신호의 송신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해당 셀의 전체 대역폭(bandwidth)와 동시에 참조신호를 송신할 사용자의 수 등에 따라 참조신호의 전송 대역(송신 대역)을 결정할 수 있다. 앞서 도 4 또는 도 7, 8, 9, 10은 참조신호 송신의 일 실시예인 주기적 전송의 설정 정보이며, 비주기적 참조신호의 송신과 같이 일부 사용자 단말이 일시적으로 넓은 대역에 거쳐 참조신호를 전송하는 비주기적 참조신호(A-SRS)의 전송에 사용되기 위해서는 주기적 전송의 설정 정보에 부가되는 제어 정보가 필요하다. 이렇게 부가되는 제어 정보는 빠른 A-SRS 송신을 위하여 물리채널을 통해 제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DCI포맷 4에 2~3bit의 정보를 부가하여 A-SRS를 제어하는 제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이 '00' 또는 '000'을 단말에 전달할 경우, 단말은 A-SRS 전송을 수행하지 않으며, 기지국이 단말에 그 이외의 값을 전달 시 단말은 미리 약속된 방식에 따라 A-SRS을 전송할 수 있다.
비주기적 참조신호의 송신은 다른 주기적 참조신호의 송신과 충돌을 회피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주기적 SRS를 송신하는 사용자 단말이 SRS를 송신하게 되어 비주기적 SRS를 송신하는 사용자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전송 대역폭(bandwidth)가 제한되거나, 또는 주기적 SRS와 비주기적 SRS간의 충돌로 인해 채널 추정의 신뢰도가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비주기적 참조신호를 송신하는 사용자 단말과 주기적 참조신호를 송신하는 사용자 단말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비주기적 참조신호 파라미터 셋의 구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SRS를 송신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정보, 즉 SRS를 송신하고자 하는 자원의 영역, SRS를 송신하게 될 시간 정보 등을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비주기적 SRS(Aperiodic SRS)를 송신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자원 및 시간에 대한 정보 역시 설정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비주기적 SRS(A-SRS)는 어느 특정 시점에 빠른 사운딩을 확인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으므로, RRC(Radio Resource Control) 차원에서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 보다 물리채널을 통한 보다 빠른 정보 송수신이 필요할 수 있다.
물리채널에는 상향링크와 관련한 정보 및 하향링크와 관련한 정보의 송수신이 존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는 물리채널에 실을 수 있는 정보의 한계로 인해 2~3비트 내에 단말의 충돌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비주기적 참조신호 파라미터 셋을 포함시키는 것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물론,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를 적용함에 있어서 2~3 비트 이외에도 더 큰 정보의 범위(4bit 이상)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다만, 최소로 사용 가능한 비트의 크기를 중심으로 본 발명의 각각의 실시예를 설명하고자 한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2~3bit를 포함시킬 물리채널의 일 실시예로는 상향링크 다중안테나 전송(Uplink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을 위한 DCI 포맷 4(format 4)를 중심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DCI 포맷 4에 비주기적 SRS 전송을 위하여 2-bit 또는 3-bit을 새롭게 추가시킬 수 있으며 이 경우 2-bit는 4가지의 정보(4-state)를 제공할 수 있고, 3bit는 8가지의 정보(8-state)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제공 가능한 정보들은 A-SRS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할 경우, 이들 정보들 중에 한 가지의 정보(1-state)는 A-SRS 전송을 보내지 않는 것을 지시하는 용도(No Aperiodic SRS activation)로 사용될 수 있고, 또 다른 한 가지의 정보(1-state)는 주기적 SRS 전송을 홀딩하는 것을 지시하는 용도(Periodic SRS holding)로 사용될 수 있다. 2bit의 경우 2가지의 정보, 3bit의 경우 6가지의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정보를 이용하여 RRC-설정 A-SRS 파라미터의 셋(RRC-configured Aperiodic SRS parameter set)을 구별하거나 또는 파라미터의 셋을 지시하는 정보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ASRS 전송 시 사용되는 안테나 수는 아래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즉, 제 1모드(At mode 1)는 하나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ontrol CHannel)를 송신하는 것으로 A-SRS 송신시 사용하게 되는 총 안테나의 수는 1, 2, 또는 4개가 될 수 있다(single antenna PUSCH transmission). 한편 제 2 모드(At mode 2)는 MIMO(Multiple-Input/Multiple-Out)를 사용하여 PUSCH를 송신하는 것(MIMO PUSCH transmission)으로 PUSCH가 2개의 안테나를 사용할 경우 A-SRS를 송신하기 위해 1 또는 2의 안테나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PUSCH가 2개의 안테나를 사용할 경우 A-SRS를 송신하기 위해 1 또는 4의 안테나를 사용하게 된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At mode 1 (single antenna PUSCH transmission) : 1 또는 2 또는 4
At mode 2 (MIMO PUSCH transmission):
PUSCH가 2개의 안테나 사용 시: 1 또는 2
PUSCH가 4개의 안테나 사용 시: 1 또는 4
상기의 조건 하에서, 기지국은 2-bit 내지 3-bit 신호 전송을 통해 각 단말이 비주기적 SRS(A-SRS)를 전송 시 사용할 전송 안테나의 수, SRS을 전송할 주파수 대역(band)의 위치 및 대역폭(bandwidth)에 대한 정보를 각 단말에 전달하거나 단말이 유추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의 정보들 이외에 주기적 SRS를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에게 A-SRS을 전송하는 단말과의 충돌을 피하기 위하여 주기적 SRS 전송을 일시 중단하는 것을 지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도 11은 A-SRS 송신에 대해 주파수 대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충돌가능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1110은 비주기적 SRS를 요청하는 경우이다. 1110의 세로축은 주파수 대역이며 비주기적 SRS의 송신이 필요한 주파수 대역은 1112와 같다.
그런데, 비주기적 SRS를 송신하게 되는 1112 주파수 대역은 1120과 같이 다수의 주기적 SRS 신호 송신이 예상된다. 즉 1120은 주기적 SRS를 위해 주파수가 예약된 상황을 보여준다. 따라서 1120의 예약된 주파수에서 1112와 같이 비주기적 SRS를 송신하기 위해서는 주기적 SRS의 송신을 홀딩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1121, 1122 대역에서 주기적 SRS 송신을 송신하게 되는 사용자 단말에 대해서는 홀딩을 지시하고(Periodic SRS hold), 1123은 비주기적 SRS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이 주파수 영역을 확장하게 된다. 1124는 비주기적 SRS를 송신하는 주파수 대역이 아니므로, 주기적 SRS의 송신을 홀딩시킬 필요가 없다. 이러한 주기적 SRS 송신의 홀딩유무, 그리고 비주기적 SRS의 송신에 필요한 주파수 설정 정보 등을 지시하면, 1130과 같이 비주기적 SRS를 필요한 주파수 대역에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의 일 실시예에서는 DCI 포맷 4에 포함시키거나 지시될 수 있는 RRC 설정 A-SRS 파라미터 셋을 설정함에 있어 2~3 bit 시그널링 방법을 제안한다. 도 11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주기적 SRS를 송신하는 사용자 단말과 비주기적 SRS를 송신하는 단말이 자원을 공유하여 사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충돌을 제어할 수 있도록 주기적 SRS 홀딩을 지시하는 정보를 시그널링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하 기지국이 송신하게 되는 비주기적 참조신호의 송신을 위한 파라미터 셋의 구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들 파라미터 셋의 원소들을 지시하기 위해 3bit 또는 2bit의 지시 정보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 정보들은 기지국이 물리채널을 통하여, 예를 들어 DCI 포맷 4에 포함되어 사용자 단말로 송신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3bit의 지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비주기적 참조신호의 송신을 위한 파라미터 셋의 구성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에서는 3bit의 지시 정보를 이용하여 A-SRS 송신에 필요한 안테나 설정 정보와 A-SRS가 전송될 전송 대역폭 정보를 사용자 단말이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각각의 지시정보(state)의 값에 따라 안테나 설정 정보(Antenna configuration)과 A-SRS 전송 대역폭 정보(A-SRS transmission Bandwidth, 리소스블럭 단위)가 매칭되어 있다. 물론 각각의 매칭에 대한 정보는 미리 기지국과 사용자 단말 간에 공유되어 있다. 이러한 공유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으로 보낼 수도 있고 물리 계층을 통해서도 가능하다. 상위계층 시그널링의 일 실시예로 RRC 시그널링을 통해 가능하며, 이하 RRC 시그널링을 중심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따라서, 기지국이 3bit의 지시 정보를 송신하게 되면 사용자 단말은 이에 해당하는 안테나 설정 정보가 무엇인지를 파악할 수 있으며, 또한 어느 주파수 대역폭의 크기만큼 A-SRS를 송신할 수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2의 파라미터 셋의 구성 방법을 적용할 경우 아래와 같이 다양한 파라미터 셋의 구성이 산출될 수 있다. 어떤 파라미터 셋의 구성을 사용할 것인지는 기지국과 사용자 단말이 미리 정할 수 있다. 물론, 기지국은 파라미터 셋의 구성 정보들을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할 수도 있고, 미리 구성된 파라미터 셋의 구성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정보 제공은 RRC 시그널링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표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3bit의 지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비주기적 참조신호의 송신을 위한 파라미터 셋의 구성 중 case-A를 보여준다.
[표 1]
Figure pat00023
표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3bit의 지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비주기적 참조신호의 송신을 위한 파라미터 셋의 구성 중 case-B를 보여준다.
[표 2]
Figure pat00024

표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3bit의 지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비주기적 참조신호의 송신을 위한 파라미터 셋의 구성 중 case-C를 보여준다.
[표 3]
Figure pat00025

표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3bit의 지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비주기적 참조신호의 송신을 위한 파라미터 셋의 구성 중 case-D를 보여준다.
[표 4]
Figure pat00026

표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3bit의 지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비주기적 참조신호의 송신을 위한 파라미터 셋의 구성 중 case-E를 보여준다.
[표 5]
Figure pat00027

도 12를 적용한 표 1 내지 표 5는 3-bit A-SRS 파라미터 셋(RRC-configured ASRS parameter set)의 예를 표시한 것이다. 3-bit 시그널링(signaling)에는 Aperiodic SRS를 송신하는데 필요한 정보들(파라미터) 중에서 안테나 설정 정보(Aperiodic SRS antenna configuration)와 대역폭(Aperiodic SRS bandwidth)의 정보가 포함되며 추가적으로 주기적 SRS 전송을 홀딩하는 정보(periodic SRS holding)가 포함된다. 여기서 ASRS 전송대역 {
Figure pat00028
}은 앞서 도 7 내지 10에서 살펴본 SRS 전송을 위해 사용되었던 값으로 ASRS 전송 대역의 단위가 된다. 기지국은 사용자 단말의 환경에 따라 ASRS 안테나 설정 정보와 ASRS 대역폭을 능동적으로 할당 할 수 있다. 표 1을 예로 들어 살펴보면 기지국이 단말에게 시그널로 2(010 또는 state2)를 전송하면 단말은 비주기적 SRS 전송을 위해 2개의 안테나를 사용하며 각 안테나의 전송대역은
Figure pat00029
이 된다. 이 때
Figure pat00030
은 도 7~10에서와 같이 사용자 단말의 상향링크 시스템 대역과 셀 특이적 파라미터인 SRS 대역폭 설정(CSRS)에 의해 결정된다. 그리고 7(111 또는 state7)은 비주기적 SRS 전송을 특정 시점에 대해 중지하도록 지시한다. 이는 주기적 SRS를 송신하게 되는 사용자 단말과 비주기적 SRS를 송신하게 되는 단말이 자원을 공유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충돌을 제어하기 위한 목적으로 충돌 발생시 비주기적 SRS 단말에게 A-SRS 전송의 우선권을 부여할 수 있다.
즉, 표 1~5의 case-A~case-E에서 지시정보가 '0' (000)인 경우에는 A-SRS가 활성화되지 않음(No Aperiodic SRS activation)을 지시하고, '7'(111)인 경우에는 주기적 SRS의 송신을 홀딩할 것(Periodic SRS holding)을 지시한다. 그리고 1(001)~6(110)의 값을 가지는 지시정보는 각각의 경우에 따라 A-SRS 안테나 설정 정보(antenna configuration)와 A-SRS가 전송될 대역폭의 크기(Transmission Bandwidth)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이 산출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2bit의 지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비주기적 참조신호의 송신을 위한 파라미터 셋의 구성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의 1310과 1320은 2-bit A-SRS 파라미터 셋(RRC-configured ASRS parameter set)의 예를 보여주고 있다.
2bit에서는 도 12의 3bit와 달리 비주기적 참조신호의 송신을 위한 파라미터 셋을 지시하기 위해 2가지의 정보로 구분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2와 달리 도 13에서는 이전에 설정된 혹은 주기적 SRS를 송신함에 있어 설정된 정보와 같이 이미 사용자 단말이 취득한 환경 정보를 기준으로 변화량을 지시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2-bit 시그널링에는 1310과 같이 주기적 SRS를 기준으로 비주기적 SRS전송을 위해 안테나 설정 수를 증가 또는 감소를 지시하거나 1320과 같이 비주기적 SRS 전송 대역을 증가 또는 감소를 지시할 수 있다.
도 13의 일 실시예로, 주기적 SRS 전송을 위한 단말의 안테나 설정이 2TX이며, 대역폭이
Figure pat00031
인 경우, 사용자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1310의 2-bit 시그널링으로 '1'(01, 또는 state1)을 수신했을 때 사용자 단말은 비주기적 SRS 전송을 위해서 안테나 설정을 2TX에서 4TX로 증가시키게 된다. 마찬가지로 사용자 단말이 '2'(10, 또는 state2)를 수신했을 때는 안테나 설정을 2TX에서 1TX로 감소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1320의 셋을 적용하여, 사용자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1320의 2-bit 시그널링으로 '1'(01, 또는 state1)을 수신했을 때 사용자 단말은 비주기적 SRS 전송을 위해 전송대역을
Figure pat00032
에서
Figure pat00033
로 증가시키고, 사용자 단말이 '2'(10, 또는 state2)를 수신했을 때는
Figure pat00034
에서
Figure pat00035
로 감소시킨다. 그리고 2-bit 시그널링에서도 3-bit 시그널링에서와 마찬가지로 주기적 SRS 전송을 중시시키는 정보(state-3)을 포함한다.
도 12, 13과 같이 2 bit 또는 3 bit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전송 대역폭과 안테나 설정 정보를 사용자 단말이 확인하게 되면, 또 다른 비주기적 SRS 송신에 필요한 정보인 콤브(comb) 정보가 필요한데, 이는 앞서 살펴본 전송 대역폭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이 유추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콤브 정보(comb)의 내재적 설정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도 5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주파수 영역을 나누어 Comb 0와 Comb 1으로 하여 A-SRS를 송신할 때, 각각의 사용자 단말은 어느 하나의 Comb에서 사운딩 참조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데 이러한 설정 정보는 SRS 설정 파라미터 중 하나인 transmissionComb-ap 값으로 설정된다. 그런데, 이러한 정보를 비주기적 SRS의 전송 대역폭에 따라 내재적으로 설정하여, 별도의 시그널링이 필요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14에서는 셀 내의 각 단말에서 송신하는 비주기적 SRS를 전송대역의 크기에 따라 두 그룹으로 나누고 각각에 서로 다른 콤브 값(transmissionComb-ap) 을 할당한다. 도 14에서와 같이 셀 내 단말의 A-SRS 전송대역이
Figure pat00036
,
Figure pat00037
,
Figure pat00038
인 경우,
Figure pat00039
를 그룹1,
Figure pat00040
,
Figure pat00041
를 그룹2로 지정하고 각 그룹에 대해 각각의 콤브값(transmissionComb-ap=0, transmissionComb-ap=1)을 할당한다. 만약 전체 시스템대역에 A-SRS를 전송하는
Figure pat00042
와 일부 대역에 A-SRS를 전송하는
Figure pat00043
,
Figure pat00044
를 콤브(transmissionComb-ap)값으로 구분한다면, 사용자 단말은 A-SRS 전송대역의 할당을 통하여 콤브값(transmissionComb-ap)을 유추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로 안테나 설정 정보를 통해 콤브 값을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셀 내의 각 단말에서 송신하는 안테나 설정(antenna configuration)에 따라 두 그룹으로 나누고 각각에 서로 다른 Comb 값(transmissionComb-ap)을 할당한다. 예를 들어 셀 내 단말의 안테나 설정이 1TX, 2TX, 4TX이라면 1TX를 그룹 1, 2TX와 4TX를 그룹 2로 지정하고 각 그룹에 대해 그룹 1에 대해서는 transmissionComb-ap=0, 그룹 2에 대해서는 transmissionComb-ap=1을 할당한다. 전체 시스템 대역에 ASRS를 전송하는 안테나 설정인 1TX와 일부 대역에 ASRS를 전송하는 안테나 설정인 2TX, 4TX를 transmissionComb-ap 값으로 구분한다면 단말은 A-SRS 안테나 설정값을 이용하여 transmissionComb-ap 값을 유추할 수 있다. 그 결과 어느 Comb에서 A-SRS를 송신할 것인지 판단할 수 있다.
도 14에서 시그널 받은 정보(지시 정보)에서 유추된 정보를 이용하여 콤브 값을 내재적으로 유추하기 위하여 제 1 실시예로 전송 대역폭을 이용하고, 제 2 실시예로 안테나 설정 정보를 이용하며, 각각의 대역폭 또는 안테나 설정 정보가 어느 그룹에 포함되어 어떤 콤브 값(transmissionComb-ap)을 가질 것인지는 구현 과정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셀 내 단말의 ASRS 전송대역에 따른 ASRS 할당대역을 사용자 단말이 내재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의 1510 및 1520은 도 12, 13과 같이 사용자 단말이 2bit 또는 3bit 시그널링을 통해 수신한 지시 정보에서 직접, 또는 지시 정보를 통해 유추되는 A-SRS 전송 대역폭(A-SRS transmission Bandwidth) 정보를 이용하여 내재적으로 A-SRS 할당 대역폭(Total ASRS allocation Bandwidth)을 산출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A-SRS 전송 대역폭은 사용자 단말이 송신하게 되는 A-SRS의 주파수 대역폭 정보를 의미하며, A-SRS 할당 대역폭은 A-SRS를 전송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폭으로, A-SRS 할당 대역폭 내에서 A-SRS 전송 대역폭 만큼 A-SRS를 송신할 수 있다. 도 15의 1510 및 1520은 전송대역폭을 통해 A-SRS 할당 대역폭을 산출하는 매핑 룰을 보여주고 있다. 기지국은 미리 1510 또는 1520을 사용할 것인지 RRC 시그널링 할 수 있다.
1510의 경우, 전송대역폭이
Figure pat00045
인 경우에는 해당 전송 대역폭을 할당 대역폭으로 그대로 사용하며, 전송대역폭이
Figure pat00046
또는
Figure pat00047
인 경우에는
Figure pat00048
Figure pat00049
를 이용하여 산출된 할당 대역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서 SRS 대역폭 설정(CSRS) 값이 1이고 전송 할당 대역폭이
Figure pat00050
인 경우,
Figure pat00051
은 32이며, N1은 3이 되므로, 1511에 의하여 A-SRS 할당 대역폭은 32x2인 64 RB가 된다. 한편, 전송 할당 대역폭이
Figure pat00052
인 경우, 1512에 의하여
Figure pat00053
(96 RB)에서 1511의 결과인 64RB를 뺀 값인 32 RB가 된다.
마찬가지로 1520을 적용할 경우, 전송대역폭이
Figure pat00054
인 경우에는 해당 전송 대역폭을 할당 대역폭으로 그대로 사용하며, 전송대역폭이
Figure pat00055
또는
Figure pat00056
인 경우에는
Figure pat00057
Figure pat00058
를 이용하여 산출된 할당 대역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서 SRS 대역폭 설정(CSRS) 값이 1이고 전송 할당 대역폭이
Figure pat00059
인 경우,
Figure pat00060
은 32이며, N1은 3이 되므로, 1521에 의하여 A-SRS 할당 대역폭은
Figure pat00061
(96 RB)에서 32x2를 뺀 32 RB가 된다. 한편, 전송 할당 대역폭이
Figure pat00062
인 경우, 1522에 의하여 32 RB가 된다.
도 15의 1510을 적용할 경우, A-SRS 할당 대역폭(RB, 리소스 블록의 개수)은 다음의 표 6과 같이 A-SRS 전송 대역폭에 매핑될 수 있다.
[표 6]
Figure pat00063
도 15의 1520을 적용할 경우, A-SRS 할당 대역폭(RB, 리소스 블록의 개수)은 다음의 표 7과 같이 A-SRS 전송 대역폭에 매핑될 수 있다.
[표 7]
Figure pat00064
할당 대역폭은 전송 대역폭과 같거나 크므로, 전송 대역폭이 할당 대역폭 중 어느 부분인지를 판단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표 6, 7 및 도 15에서와 같이 전송 대역폭 정보에 따른 A-SRS를 송신할 수 있는 할당 대역폭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면 단말은 A-SRS를 송신할 수 있는 가능 위치(frequency position) 수를 알아낼 수 있다.
다시 설명하면, 셀 내 단말의 전송 대역폭이
Figure pat00065
,
Figure pat00066
,
Figure pat00067
일 때 전송 대역폭에 따른 A-SRS 할당대역은 도 15(표 6, 7)와 같으며, 할당 대역폭과 전송 대역폭이 다른 경우(
Figure pat00068
,
Figure pat00069
) 주파수 시작점(Frequency position)을 구하기 위해서는 전송 대역폭에 따른 시작지점(
Figure pat00070
,
Figure pat00071
)을 먼저 알아야 한다. 전송 대역폭에 따른 시작지점에서부터 할당 대역의 크기 내에서 A-SRS 송신 가능 지점 중 하나가 주파수 시작점이 된다. 이 때 A-SRS 송신 가능 지점의 수는 전체 A-SRS 할당 대역폭을 전송 대역폭(transmission BW)으로 나눈 값이 된다.
따라서, 전송 대역폭에 따른 시작 지점(
Figure pat00072
,
Figure pat00073
)을 구하고, 해당 시작지점을 기준으로 각각의 사용자 단말이 송신하게 되는 A-SRS 전송 대역의 시작 지점이 무엇인지를 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우선, 주파수 위치(frequency position)의 후보의 수를 Nfreq _ position라 할 경우 도 15의 1510 및 표 6의 경우 각각의 전송 대역폭에 따른 주파수 시작 지점의 후보 수는 수학식 2와 같다.
[수학식 2]
Figure pat00074

수학식 2는 도 15의 1510에서의 A-SRS 전송 대역폭인
Figure pat00075
,
Figure pat00076
,
Figure pat00077
을 기준으로 계산하였다.
위 예에서 단말의 A-SRS 전송 대역폭이
Figure pat00078
일 때에는 할당 대역폭 역시
Figure pat00079
가 되므로, 따라서 시작 지점의 주파수 위치(frequency position)의 수가 1이며 '0'지점에서 A-SRS을 전송한다.
그러나, 단말의 A-SRS 전송 대역폭이
Figure pat00080
,
Figure pat00081
인 경우에는 A-SRS 할당 대역폭이 전송 대역폭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으므로, 수학식 2와 같이 산출할 수 있다. 이 경우 1 이상의 수가 나올 수 있다.
즉, A-SRS 전송 대역폭에 따른 시작지점의 후보수가 2이상인 경우, A-SRS 전송 주파수 대역에 따른 시작 지점(
Figure pat00082
,
Figure pat00083
)을 산출하기 위하여 서브프레임 식별 번호(subframe_ID)를 적용한다. 그리고 해당 A-SRS 전송 주파수 대역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식별 번호(UE_ID)를 적용하여, 수학식 3과 같이 A-SRS를 송신하게 되는 UE별 주파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서브프레임 식별번호는 기지국에서 트리거링 시키는 서브프레임의 식별 번호, 또는 이러한 서브프레임에서 산출 가능한 제 2의 서브프레임의 식별 번호, 혹은 A-SRS를 송신시키는 것으로 약속된 서브프레임의 식별 번호 또는 이러한 서브프레임에서 산출 가능한 제 2의 서브프레임의 식별 번호를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의 식별 번호는 사용자 단말들에게 고유 값(unique)으로 할당되어 있다.
따라서 기지국은 해당 사용자 단말 정보와 송신과 관련된 서브프레임 정보를 이용하여 A-SRS의 송신이 필요한 주파수 위치 및 대역폭 정보를 미리 계산하여 A-SRS를 트리거링 시킬 수 있다. 물론, 상기 트리거링 이전에 이러한 사항을 미리 계산하지 않고 트리거링 시킬 수도 있다.
[수학식 3]
Figure pat00084
앞서 수학식 2, 3은 각각의 전송 대역폭(transmission BW)에 따른 시작 지점(frequency position)의 수를 구하고(수학식 2), 사용자 단말의 주파수 시작 지점(수학식 3)을 구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수학식 2 및 수학식 3을 적용하여 A-SRS를 송신하게 되는 주파수 영역을 살펴보면 도 16과 같다.
도 1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A-SRS를 송신하게 되는 주파수 영역의 할당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에서 전체 대역폭(1600)에서 전송 대역폭이
Figure pat00085
인 경우 A-SRS 할당 대역폭은 1622와 1624를 합친 크기이다. 한편 전송 대역폭이
Figure pat00086
인 경우 A-SRS 할당 대역폭은 1610의 크기이다. 전체 대역폭(1600)에서 전송 대역폭이
Figure pat00087
인 경우 A-SRS 할당 대역폭이 시작하는 지점을 산출하기 위하여 수학식 3을 이용한다. 안테나 설정에 따른 시작 지점은 전체 대역을 N1으로 나누어 0 ~ N1-1까지 산출할 수 있도록 한다. 그 결과, 전송 대역폭이
Figure pat00088
인 경우 산출된 A-SRS 할당 대역폭 시작 지점은 1621(
Figure pat00089
)이며, 전송 대역폭이
Figure pat00090
인 경우에는 1611(
Figure pat00091
)이다. 도 16에서 전송 대역폭이
Figure pat00092
인 경우 할당 대역폭 시작지점인 1621에서 전체 할당 대역폭을 부과할 경우, 1622 부분을 지나게 되며 이때, 전체 대역폭의 범위를 넘어서게 되므로 다시 0에서 시작하도록 1624 범위를 할당할 수 있다. 그리고 이는 서브프레임 식별 번호를 통하여 산출된다. 이 시작점(1611, 1621)에서 각각의 UE들이 가질 수 있는 주파수 시작지점 역시 수학식 3을 적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3에서 전송 대역폭이
Figure pat00093
인 경우 및 전송 대역폭이
Figure pat00094
인 경우의 시작지점은 서브프레임 식별 번호를 통해 조절되며, 서로 중첩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로 안테나 설정 정보를 통해 할당 대역폭과 각 할당 대역폭에서의 시작 지점 값을 설정할 수도 있다. 전송 대역폭과 안테나의 설정 정보는 사용자 단말에서 도 12, 13의 지시정보를 통하여 설정되는 것으로 이들 지시 정보가 지시하는 전송 대역폭 뿐만 아니라 안테나의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서도 할당 대역폭과 각 할당 대역폭에서의 시작 지점 값을 설정할 수도 있다.
도 1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도 15의 1510 및 표 6의 CSRS가 1인 경우 UE 또는 기지국이 산출할 수 있는 A-SRS 주파수 자원을 수학식 2, 3을 적용하여 산출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서브프레임 식별 번호(subframe_ID)는 5, 사용자 단말 번호(UE_ID)는 3인 경우로 가정하여 적용하고자 한다.
대역폭이
Figure pat00095
이며 SRS 대역폭 설정 정보인 CSRS가 1인 경우, 도 7의 설정 정보 및 도 15의 1510을 이용하면 표 6과 같이, 전송 대역폭이
Figure pat00096
인 경우 A-SRS의 할당 대역폭은 96, 전송 대역폭이
Figure pat00097
인 경우 A-SRS의 할당 대역폭은 64, 전송 대역폭이
Figure pat00098
인 경우 A-SRS의 할당 대역폭은 32가 된다. 이 경우 가능한 A-SRS의 할당 대역의 예는 도 17의 1710, 1720, 1730과 같이 산출된다.
가능한 A-SRS의 할당 대역의 시작점(
Figure pat00099
,
Figure pat00100
)는 모두 N1의 구간으로 나눈 것을 의미하며, 도 17의 경우 3등분을 하였다. 96RB를 3등분 하게 되면 32RB 단위로 나뉘어지므로, A-SRS 할당 대역폭 별로 가능한 시작지점(A-SRS의 전송 대역폭에 따른 시작 지점)(
Figure pat00101
,
Figure pat00102
)은 0, 1, 2로 나뉘어지게 된다.
1710의 경우, 전송 대역폭이
Figure pat00103
인 A-SRS의 할당 대역폭은 전송 대역폭에 따른 시작 지점인
Figure pat00104
값이 0인 경우로 주파수 위치가 0인 부분에서 전송 대역폭이
Figure pat00105
인 A-SRS 할당 대역폭(1712)이 시작함을 알 수 있다. 한편, 수학식 3을 적용하면 전송 대역폭이
Figure pat00106
인 A-SRS 할당 대역폭(1714)의 시작점(전송 대역폭에 따른 시작 지점)인
Figure pat00107
를 산출하게 되는데 2(64RB)임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1720에서는 전송 대역폭이
Figure pat00108
인 경우 1(32RB)에서 A-SRS 할당 대역폭(1722)이 시작하고 전송 대역폭이
Figure pat00109
인 경우 0에서 A-SRS 할당 대역폭(1724)이 시작한다. 또한, 1730에서는 전송 대역폭이
Figure pat00110
인 경우 2(64RB)에서 A-SRS 할당 대역폭(1732, 1733)이 시작하고 전송 대역폭이
Figure pat00111
인 경우 1에서 A-SRS 할당 대역폭(1734)이 시작한다. 1730의 경우, 전송 대역폭이
Figure pat00112
인 경우의 범위가 전체 대역폭의 범위를 넘어가게 되므로 할당 대역폭(1733)이 다시 0의 위치에서 시작하게 된다.
서브프레임 식별 번호(subframe_ID)는 5, 사용자 단말 번호(UE_ID)는 3인 경우에는 1730과 같이 전송 대역폭이
Figure pat00113
인 A-SRS의 할당 대역폭의 시작점이 2이며 전송 대역폭이
Figure pat00114
인 A-SRS의 할당 대역폭의 시작점이 1이 된다. 즉, 전송 대역폭이
Figure pat00115
인 A-SRS는 '1732' 영역 또는 '1733' 영역 내에서
Figure pat00116
인 32RB만큼 A-SRS가 송신되며, 전송 대역폭이
Figure pat00117
인 A-SRS는 '1734' 영역 내에서
Figure pat00118
인 16RB 만큼 A-SRS가 송신된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전송 대역폭이
Figure pat00119
인 A-SRS 할당 대역폭은 64RB이지만 실제 사용자 단말(식별 번호 3)이 송신하게 되는 A-SRS 전송폭은 32RB(
Figure pat00120
)이므로 해당 사용자 단말의 A-SRS 전송 위치를 '1732' 영역 또는 '1733' 영역 내에서 찾아야 한다. 이를 위하여 수학식 3의 전송 대역폭이
Figure pat00121
인 의 경우 UE별 주파수 위치를 적용하면 그 값은 0이 된다. 따라서, 전송 대역폭이
Figure pat00122
로 설정된 사용자 단말은 0의 위치에서 32RB의 크기의 A-SRS를 송신하게 된다.
한편, 전송 대역폭이
Figure pat00123
인 A-SRS 할당 대역폭은 32RB 이지만 실제 사용자 단말(식별 번호 3)이 송신하게 되는 A-SRS 전송폭은 16RB(
Figure pat00124
)이므로 해당 사용자 단말의 A-SRS 전송 위치를 '1734' 영역 내에서 찾아야 한다. 이를 위하여 수학식 3의 전송 대역폭이
Figure pat00125
인 경우 UE별 주파수 위치를 적용하면 그 값은 48이 산출된다. 따라서, 전송 대역폭이
Figure pat00126
로 설정된 사용자 단말은 48RB의 위치(32RB와 64 RB 사이) 에서 16RB의 크기의 A-SRS를 송신하게 된다.
아래 수학식 4는 도 15의 1510 및 표 6의 CSRS가 1인 상황에서 수학식 2, 3을 도 17의 상황에 적용할 경우의 산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수학식 4]
Figure pat00127

지금까지 살펴본 사항들을 정리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주기적 SRS 송신 단말과의 충돌을 회피할 수 있으면서 A-SRS를 송신하게 되는 사용자 단말에게 A-SRS 전송을 위한 정보 설정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도 12 및 이의 실시예인 표 1, 2, 3, 4, 5에서 살펴본 3bit 시그널링 또는 도 13에서 살펴본 2 bit 시그널링을 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수신한 지시 정보가 3bit인 경우, 기지국으로부터 RRC 시그널링 등을 통해 수신하거나 미리 저장된 정보인 도 12 및 이의 실시예인 표 1, 2, 3, 4, 5에서 해당하는 A-SRS 파라미터인 안테나 설정 정보(A-SRS antenna configuration)와 A-SRS 전송대역(A-SRS transmission Bandwidth)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은 수신한 지시 정보가 2bit인 경우, 기지국으로부터 RRC 시그널링 등을 통해 수신하거나 미리 저장된 정보인 도 13에서 A-SRS 파라미터의 변화량(증가 또는 감소)을 확인하여, 주기적 SRS 송신에서 설정되었던 안테나 설정 정보(Periodic-SRS antenna configuration)와 전송대역(Periodic-SRS transmission Bandwidth)을 조절 또는 변화시켜 A-SRS에 적합한 A-SRS 파라미터인 A-SRS 안테나 설정 정보와 A-SRS 전송대역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시그널링된 지시정보에서 산출된 A-SRS 안테나 설정 정보와 A-SRS 전송대역을 이용하여 도 14와 같이 콤브 값, 도 15와 같이 A-SRS 전송을 위한 할당 대역폭, 도 16과 같이 A-SRS 전송을 위한 시작 지점을 사용자 단말은 내재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2 또는 도 13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2bit 또는 3bit의 시그널링을 통해서도 충분히 A-SRS 전송과 관련된 파라미터 셋을 지시할 수 있으며, 아울러, 주기적 SRS를 송신하게 되는 사용자 단말의 SRS 송신을 중지시킬 수 있어 SRS 송신 과정에서 발생하는 주기적 SRS/비주기적 SRS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비주기적 참조신호의 송신에 필요한 그 외 파라미터들의 정보들, 예를 들어 사이클릭 쉬프트와 관련된 정보는 이전에 해당 사용자 단말이 보유하고 있거나, 혹은 다른 RRC 시그널링을 통해 수신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참조신호 간의 충돌을 방지하며 내재적 무선 자원 영역 정보를 이용하여 비주기적 참조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내재적 무선 자원 영역 정보란 도 12, 13과 같이 지시 정보에 매핑되는 A-SRS 전송 대역폭 또는 안테나 설정 정보, 또는 주기적 SRS와 관련된 정보 등의 환경 정보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정보들을 이용하여 A-SRS 할당 대역폭(도 15)과 대역폭 내의 기준점(시작점)(도 16, 17) 등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도 14와 같이 사용자 단말은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어떤 콤브에서 A-SRS를 송신할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환경 정보들은 RRC 시그널링을 통해, 혹은 미리 저장된 상태에서 기지국과 사용자 단말이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참조신호 간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지시 정보에는 주기적 참조신호의 홀딩을 지시하는 정보도 포함된다.
도 1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참조신호 수신장치에서 참조신호 간의 충돌을 방지하며 내재적 무선 자원 영역 정보를 이용하여 비주기적 참조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참조신호 수신장치는 기지국이거나 혹은 참조신호의 수신 기능을 제공하며 기지국과 결합할 수 있는 장치가 될 수 있다.
참조신호 수신장치는 제 1 참조신호 송신장치의 환경 정보에 의하여 산출 가능한 무선 자원 영역을 판단한다(S1810). 그리고 상기 무선 자원 영역에서 비주기적 참조신호가 송신되도록 지시하는 제 1 지시정보를 상기 참조신호 송신장치에 송신한다(S1820). 이때 환경 정보의 일 실시예는 도 12, 13와 같이 제 1 지시 정보를 통해 매핑되거나 산출되는 A-SRS 안테나의 설정 정보 또는 A-SRS 전송 대역폭 정보가 일 실시예가 될 수 있다. 즉, 제 1 지시 정보를 통해 상기 제 1 참조신호 송신장치는 상기 비주기적 참조신호를 송신하기 위하여 사용하게 될 안테나의 설정 정보와 전송 대역폭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4, 15, 16, 17과 같이 기 저장되거나 RRC를 통해 수신한 환경정보들과 전송 대역폭 정보를 이용하여 A-SRS가 송신될 상기 무선 자원 영역 정보가 산출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A-SRS 전송 대역폭 정보를 이용하여 대역폭의 시작 정보, 또는 콤브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자원 영역에서 주기적 참조신호를 송신하게 되는 제 2 참조신호 송신장치에게 상기 무선 자원 영역에서의 주기적 참조신호 송신을 홀딩할 것을 지시하는 제 2 지시정보를 송신한다(S1830). 이는 상기 무선 자원 영역에서 송신될 비주기적 참조신호와 충돌하게 되는 주기적 참조신호의 송신을 홀딩하기 위한 것이다. 이후 상기 무선 자원 영역에서 상기 제 1 참조신호 송신장치로부터 상기 비주기적 참조신호를 수신한다(S1840). S1820 및 S1830에서 상기 제 1 지시정보 및 제 2 지시정보는 하나의 무선 제어 신호에 포함되어 제 1, 제 2 참조신호 송신장치에 송신될 수도 있다. 또한, 제 1 지시정보는 제 1 무선 제어 신호에 포함되고, 제 2 지시정보는 제 2 무선 제어 신호에 포함되어 상기 제 1 무선 제어 신호와 상기 제 2 무선 제어 신호가 각각 또는 동시에 송신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한 실시예로, 상기 제 1, 제 2 지시 정보의 크기는 2bit 또는 3bit가 될 수 있으며, 이 정보는 DCI 포맷 4에 포함된다. 그리고 DCI 포맷 4는 무선제어신호에 포함되어 송신된다.
한편 도 15와 같이 상기 A-SRS 전송 대역폭을 이용하여 상기 비주기적 참조신호의 송신이 가능한 할당 대역폭의 정보가 산출되는 경우의 일 실시예로, 도 16, 17, 수학식 2, 3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비주기적 참조신호의 송신 시점에서 산출되는 정보 및 상기 참조신호 송신장치에서 산출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할당 대역폭 내에서 상기 송신장치가 비주기적 참조신호를 송신하게 되는 대역폭의 기준점(예를 들어 시작점)을 산출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참조신호 송신장치가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고, 기지국측인 참조신호 수신장치는 이를 예측하여 지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S1810 이전에 상기 참조신호 수신장치는 RRC를 통해 상기 참조신호 송신장치에게 상기 환경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RRC를 통해 송신된 환경 정보는 별도의 변화 없이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기지국이 이를 변경하고자 할 경우, 다시 RRC를 통해 송신할 수도 있다.
도 19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참조신호 간의 충돌을 방지하며 내재적 무선 자원 영역 정보를 이용하여 비주기적 참조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참조신호 송신장치는 사용자 단말이거나 혹은 참조신호의 송신 기능을 제공하며 사용자 단말과 결합할 수 있는 장치가 될 수 있다.
참조신호 송신장치가 참조신호 수신장치로부터 참조신호의 송신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한다(S1910). 보다 상세한 실시예로, 상기 지시 정보의 크기는 2bit 또는 3bit가 될 수 있으며, 이 정보는 DCI 포맷 4에 포함된다. 그리고 DCI 포맷 4는 무선제어신호에 포함되어 수신된다. 이때 지시 정보는 정보가 비주기적 참조신호가 송신되도록 지시하는 제 1 지시정보이거나 주기적 참조신호 송신을 홀딩할 것을 지시하는 제 2 지시정보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시 정보가 비주기적 참조신호가 송신되도록 지시하는 제 1 지시정보인 경우, 상기 제 1 지시정보 및 환경 정보에서 상기 비주기적 참조신호가 송신될 무선 자원 영역 정보를 산출한다(S1930). 그리고 상기 무선 자원 영역 정보와 상기 제 1 지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참조신호 수신장치에게 비주기적 참조신호를 송신한다(S1940). 한편, 상기 지시 정보가 주기적 참조신호 송신을 홀딩할 것을 지시하는 제 2 지시정보인 경우, 주기적 참조신호의 송신을 홀딩한다(S1950). 이는 상기 무선 자원 영역에서 송신될 비주기적 참조신호와 충돌하게 되는 주기적 참조신호의 송신을 홀딩하기 위한 것이다.
무선 자원 영역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도 12 또는 도 13과 같이 상기 제 1 지시 정보에 매핑되어 상기 비주기적 참조신호를 송신하는데 있어 필요한 안테나의 설정 정보 또는 비주기적 참조신호를 송신하는데 있어 필요한 전송 대역폭 중 하나 이상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환경 정보의 일 실시예는 도 12, 13와 같이 제 1 지시 정보를 통해 매핑되거나 산출되는 A-SRS 안테나의 설정 정보 또는 A-SRS 전송 대역폭 정보가 일 실시예가 될 수 있다. 즉, 제 1 지시 정보를 통해 상기 참조신호 송신장치는 상기 비주기적 참조신호를 송신하기 위하여 사용하게 될 안테나의 설정 정보와 전송 대역폭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4, 15, 16, 17과 같이 기 저장되거나 RRC를 통해 수신한 환경정보들과 전송 대역폭 정보를 이용하여 A-SRS가 송신될 상기 무선 자원 영역 정보가 산출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A-SRS 전송 대역폭 정보를 이용하여 대역폭의 시작 정보, 또는 콤브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산출할 수 있다.
도 15와 같이 상기 A-SRS 전송 대역폭을 이용하여 상기 비주기적 참조신호의 송신이 가능한 할당 대역폭의 정보가 산출되는 경우의 일 실시예로, 도 16, 17, 수학식 2, 3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비주기적 참조신호의 송신 시점에서 산출되는 정보 및 상기 참조신호 송신장치에서 산출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할당 대역폭 내에서 상기 송신장치가 비주기적 참조신호를 송신하게 되는 대역폭의 기준점(예를 들어 시작점)을 산출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참조신호 송신장치가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S1910 이전에 상기 참조신호 송신장치는 RRC를 통해 상기 참조신호 수신장치로부터 상기 환경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RRC를 통해 송신된 환경 정보는 별도의 변화 없이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기지국(참조신호 수신장치)이 이를 변경하고자 할 경우, 다시 RRC를 통해 수신할 수도 있다.
참조신호 송신장치는 제 1 시점에서는 비주기적 참조신호를 송신하게 되고 또다른 제 2 시점에서는 주기적 참조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지시 정보 또는 제 2 지시정보 중 어느 하나가 무선 제어 신호에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참조신호 송신장치가 비주기적 참조신호를 송신하게 될 경우, 같은 셀 내의 다른 사용자 단말이 주기적 참조신호의 송신을 홀딩할 수 있으므로, 상기 사용자 단말(참조신호 송신장치)에 대한 제 2 지시 정보가 상기 무선 제어 신호에 함께 포함될 수도 있다. 즉, 셀 내의 다수의 참조신호 송신장치(사용자 단말)에 대한 제 1 지시정보 및 제 2 지시정보는 하나의 무선 제어 신호에 포함되어 제 1, 제 2 참조신호 송신장치에서 수신될 수도 있다. 또한, 제 1 지시정보는 제 1 무선 제어 신호에 포함되고, 제 2 지시정보는 제 2 무선 제어 신호에 포함되어 상기 제 1 무선 제어 신호와 상기 제 2 무선 제어 신호가 각각 또는 동시에 수신될 수도 있다.
도 20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참조신호 수신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참조신호 수신장치는 기지국이거나 혹은 참조신호의 수신 기능을 제공하며 기지국과 결합할 수 있는 장치가 될 수 있다.
참조신호 수신장치의 구성은 제어부(2010), 코딩부(2020), 송수신부(2030)이다.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제어부(2010)는 제 1 참조신호 송신장치의 환경 정보에 의하여 산출 가능한 무선 자원 영역을 판단하고, 상기 무선 자원 영역에서 주기적 참조신호를 송신하게 되는 제 2 참조신호 송신장치를 판단한다. 즉, 제어부(2010)는 참조신호의 송신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비주기적 참조신호가 송신될 영역에서 주기적 참조신호를 송신하게 되는 장치를 구별한다.
코딩부(2020)는 상기 무선 자원 영역에서 비주기적 참조신호가 송신되도록 지시하는 제 1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코딩부(2020)는 상기 무선 자원 영역에서 송신될 주기적 참조신호의 송신을 홀딩할 것을 지시하는 제 2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송수신부(2030)는 상기 무선제어신호를 상기 제 1 참조신호 송신장치 또는 제 2 참조신호 송신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에게 송신한다. 이는 상기 무선 자원 영역에서 송신될 비주기적 참조신호와 충돌하게 되는 주기적 참조신호의 송신을 홀딩하기 위한 것이다. 이후, 상기 무선 자원 영역에서 상기 제 1 참조신호 송신장치로부터 상기 비주기적 참조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이때 환경 정보의 일 실시예는 도 12, 13와 같이 제 1 지시 정보를 통해 매핑되거나 산출되는 A-SRS 안테나의 설정 정보 또는 A-SRS 전송 대역폭 정보가 일 실시예가 될 수 있다. 즉, 제 1 지시 정보를 통해 상기 제 1 참조신호 송신장치는 상기 비주기적 참조신호를 송신하기 위하여 사용하게 될 안테나의 설정 정보와 전송 대역폭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4, 15, 16, 17과 같이 기 저장되거나 RRC를 통해 수신한 환경정보들과 전송 대역폭 정보를 이용하여 A-SRS가 송신될 상기 무선 자원 영역 정보가 산출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A-SRS 전송 대역폭 정보를 이용하여 대역폭의 시작 정보, 또는 콤브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제 1 지시정보 및 제 2 지시정보는 하나의 무선 제어 신호에 포함되어 제 1, 제 2 참조신호 송신장치에 송신될 수도 있다. 또한, 제 1 지시정보는 제 1 무선 제어 신호에 포함되고, 제 2 지시정보는 제 2 무선 제어 신호에 포함되어 상기 제 1 무선 제어 신호와 상기 제 2 무선 제어 신호가 각각 또는 동시에 송신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한 실시예로, 상기 제 1, 제 2 지시 정보의 크기는 2bit 또는 3bit가 될 수 있으며, 이 정보는 DCI 포맷 4에 포함된다. 그리고 DCI 포맷 4는 무선제어신호에 포함되어 송신된다.
한편 도 15와 같이 상기 A-SRS 전송 대역폭을 이용하여 상기 비주기적 참조신호의 송신이 가능한 할당 대역폭의 정보가 산출되는 경우의 일 실시예로, 도 16, 17, 수학식 2, 3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비주기적 참조신호의 송신 시점에서 산출되는 정보 및 상기 참조신호 송신장치에서 산출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할당 대역폭 내에서 상기 송신장치가 비주기적 참조신호를 송신하게 되는 대역폭의 기준점(예를 들어 시작점)을 산출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참조신호 송신장치가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고, 기지국 측인 참조신호 수신장치는 이를 예측하여 지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2030)는 RRC를 통해 상기 참조신호 송신장치에게 상기 환경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RRC를 통해 송신된 환경 정보는 별도의 변화 없이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기지국이 이를 변경하고자 할 경우, 다시 RRC를 통해 송신할 수도 있다.
도 2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참조신호 간의 충돌을 방지하며 내재적 무선 자원 영역 정보를 이용하여 비주기적 참조신호를 송신하는 참조신호 송신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참조신호 송신장치는 사용자 단말이거나 혹은 참조신호의 송신 기능을 제공하며 사용자 단말과 결합할 수 있는 장치가 될 수 있다.
참조신호 송신장치의 구성은 제어부(2110), 참조신호 생성부(2120), 송수신부(2130)이다.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송수신부(2130)는 참조신호 수신장치로부터 참조신호의 송신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참조신호를 송신하며, 제어부(2110)는 상기 지시 정보가 비주기적 참조신호가 송신되도록 지시하는 제 1 지시정보인 경우, 상기 제 1 지시정보 및 환경 정보에서 상기 비주기적 참조신호가 송신될 무선 자원 영역 정보를 산출하며, 상기 지시 정보가 주기적 참조신호 송신을 홀딩할 것을 지시하는 제 2 지시정보인 경우, 주기적 참조신호의 송신을 홀딩한다. 또한, 참조신호 생성부(2120)는 상기 제 1 지시 정보 및 상기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비주기적 참조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보다 상세한 실시예로, 상기 지시 정보의 크기는 2bit 또는 3bit가 될 수 있으며, 이 정보는 DCI 포맷 4에 포함된다. 그리고 DCI 포맷 4는 무선제어신호에 포함되어 수신된다. 이때 지시 정보는 정보가 비주기적 참조신호가 송신되도록 지시하는 제 1 지시정보이거나 주기적 참조신호 송신을 홀딩할 것을 지시하는 제 2 지시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110)는 상기 제 1 지시 정보에 매핑되어 상기 비주기적 참조신호를 송신하는데 있어 필요한 안테나의 설정 정보 또는 비주기적 참조신호를 송신하는데 있어 필요한 전송 대역폭 중 하나 이상을 산출하게 된다. 도 12 또는 도 13과 같이 상기 제 1 지시 정보에 매핑되어 상기 비주기적 참조신호를 송신하는데 있어 필요한 안테나의 설정 정보 또는 비주기적 참조신호를 송신하는데 있어 필요한 전송 대역폭 중 하나 이상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환경 정보의 일 실시예는 도 12, 13와 같이 제 1 지시 정보를 통해 매핑되거나 산출되는 A-SRS 안테나의 설정 정보 또는 A-SRS 전송 대역폭 정보가 일 실시예가 될 수 있다. 즉, 제 1 지시 정보를 통해 상기 참조신호 송신장치는 상기 비주기적 참조신호를 송신하기 위하여 사용하게 될 안테나의 설정 정보와 전송 대역폭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4, 15, 16, 17과 같이 기 저장되거나 RRC를 통해 수신한 환경정보들과 전송 대역폭 정보를 이용하여 A-SRS가 송신될 상기 무선 자원 영역 정보가 산출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A-SRS 전송 대역폭 정보를 이용하여 대역폭의 시작 정보, 또는 콤브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시작 정보는 상기 참조신호 송신장치가 상기 비주기적 참조신호를 송신하게 되는 대역폭의 기준점이며, 상기 제어부(2110)는 상기 비주기적 참조신호의 송신 시점에서 산출되는 정보 및 상기 제 1 참조신호 송신장치에서 산출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시작 정보를 산출하게 된다. 즉, 도 15와 같이 상기 A-SRS 전송 대역폭을 이용하여 상기 비주기적 참조신호의 송신이 가능한 할당 대역폭의 정보가 산출되는 경우의 일 실시예로, 도 16, 17, 수학식 2, 3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비주기적 참조신호의 송신 시점에서 산출되는 정보 및 상기 참조신호 송신장치에서 산출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할당 대역폭 내에서 상기 송신장치가 비주기적 참조신호를 송신하게 되는 대역폭의 기준점(예를 들어 시작점)을 산출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참조신호 송신장치가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송수신부(2130)는 RRC를 통해 상기 참조신호 수신장치로부터 상기 환경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RRC를 통해 송신된 환경 정보는 별도의 변화 없이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기지국(참조신호 수신장치)이 이를 변경하고자 할 경우, 다시 RRC를 통해 수신할 수도 있다
참조신호 송신장치는 제 1 시점에서는 비주기적 참조신호를 송신하게 되고 또다른 제 2 시점에서는 주기적 참조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지시 정보 또는 제 2 지시정보 중 어느 하나가 무선 제어 신호에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참조신호 송신장치가 비주기적 참조신호를 송신하게 될 경우, 같은 셀 내의 다른 사용자 단말이 주기적 참조신호의 송신을 홀딩할 수 있으므로, 상기 사용자 단말(참조신호 송신장치)에 대한 제 2 지시 정보가 상기 무선 제어 신호에 함께 포함될 수도 있다. 즉, 셀 내의 다수의 참조신호 송신장치(사용자 단말)에 대한 제 1 지시정보 및 제 2 지시정보는 하나의 무선 제어 신호에 포함되어 제 1, 제 2 참조신호 송신장치에서 수신될 수도 있다. 또한, 제 1 지시정보는 제 1 무선 제어 신호에 포함되고, 제 2 지시정보는 제 2 무선 제어 신호에 포함되어 상기 제 1 무선 제어 신호와 상기 제 2 무선 제어 신호가 각각 또는 동시에 수신될 수도 있다.
도 18내지 21에서 설명하는 환경 정보에는 안테나 설정 정보 등도 포함되지만, 주기적 SRS(periodic SRS) 송신을 위한 정보들(도 2, 3, 4, 7, 8, 9, 10) 역시 포함될 수 있다.
비주기적 참조신호의 전송을 위해 구성되어야 할 파라미터들(cyclicshift-ap, transmissionComb-ap, srs-Bandwidth-ap, freqDomainPosition-ap, srsantennaconfig-ap) 중에서 전송 대역폭 안테나 설정을 직접 지시하거나 이를 다른 정보들과 결합하여 유추하여 산출할 수 있도록 본 명세서는 2~3bit의 작은 정보 범위(3-state or 7-state)에 설정할 수 있는 설정 파라미터 셋(Configuration parameter set)을 제공한다. 또한, 주기적 참조신호의 전송을 홀딩시키는 정보도 상기 설정 파라미터 셋에 포함되도록 하여, 주기적/비주기적 참조신호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설정 파라미터 셋의 정보들과 이전에 RRC 등을 통해 수신하거나 미리 저장된 환경 정보들을 이용하여 비주기적 참조신호의 전송을 위해 구성되어야 할 파라미터들(cyclicshift-ap, transmissionComb-ap, srs-Bandwidth-ap, freqDomainPosition-ap, srsantennaconfig-ap)을 모두 내재적으로 산출할 수 있도록 RRC-설정된 ASRS 파라미터 셋의 구성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4)

  1. 참조신호 수신장치가 제 1 참조신호 송신장치의 환경 정보에 의하여 산출 가능한 무선 자원 영역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무선 자원 영역에서 비주기적 참조신호가 송신되도록 지시하는 제 1 지시정보를 상기 제 1 참조신호 송신장치에게 송신하는 단계;
    상기 무선 자원 영역에서 주기적 참조신호를 송신하게 되는 제 2 참조신호 송신장치에게 상기 무선 자원 영역에서의 주기적 참조신호 송신을 홀딩할 것을 지시하는 제 2 지시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자원 영역에서 상기 제 1 참조신호 송신장치로부터 상기 비주기적 참조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주기적 참조신호를 수신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시 정보 및 제 2 지시 정보의 크기는 2bit 또는 3bit 이며,
    상기 제 1 지시 정보 및 제 2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DCI 포맷 4에 할당된 비트에 상기 지시 정보를 포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주기적 참조신호를 수신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시 정보는 상기 비주기적 참조신호를 송신하는데 있어 필요한 안테나의 설정 정보 또는 비주기적 참조신호를 송신하는데 있어 필요한 전송 대역폭 중 하나 이상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주기적 참조신호를 수신하는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시 정보가 지시하거나 상기 제 1 지시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전송 대역폭 정보는 비주기적 참조 신호의 전송이 가능한 할당 대역폭 정보, 상기 제 1 참조신호 송신장치가 상기 할당 대역폭 내에서 상기 비주기적 참조 신호를 송신하게 되는 시작 정보, 또는 콤브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산출하는데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주기적 참조신호를 수신하는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 정보는 상기 비주기적 참조신호의 송신 시점에서 산출되는 정보 및 상기 참조신호 송신장치에서 산출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할당 대역폭 내에서 상기 제 1 참조신호 송신장치가 비주기적 참조신호를 송신하게 되는 대역폭의 기준점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주기적 참조신호를 수신하는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신호 수신장치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제 1 또는 제 2 참조신호 송신장치에게 상기 환경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비주기적 참조신호를 수신하는 방법.
  7. 참조신호 송신장치가 참조신호 수신장치로부터 참조신호의 송신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지시 정보가 비주기적 참조신호가 송신되도록 지시하는 제 1 지시정보인 경우, 상기 제 1 지시정보 및 환경 정보에서 상기 비주기적 참조신호가 송신될 무선 자원 영역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자원 영역 정보와 상기 제 1 지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참조신호 수신장치에게 비주기적 참조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지시 정보가 주기적 참조신호 송신을 홀딩할 것을 지시하는 제 2 지시정보인 경우, 주기적 참조신호의 송신을 홀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주기적 참조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의 크기는 2bit 또는 3bit 이며, 상기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참조신호 수신장치로부터 무선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제어신호가 DCI 포맷 4인 경우, 상기 DCI 포맷에 할당된 비트에서 상기 지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주기적 참조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자원 영역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지시 정보에 매핑되어 상기 비주기적 참조신호를 송신하는데 있어 필요한 안테나의 설정 정보 또는 비주기적 참조신호를 송신하는데 있어 필요한 전송 대역폭 중 하나 이상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주기적 참조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자원 영역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대역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비주기적 참조 신호의 전송이 가능한 할당 대역폭 정보, 상기 제 1 참조신호 송신장치가 상기 할당 대역폭 내에서 상기 비주기적 참조 신호를 송신하게 되는 시작 정보, 또는 콤브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비주기적 참조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 정보는 상기 참조신호 송신장치가 상기 비주기적 참조신호를 송신하게 되는 대역폭의 기준점이며,
    상기 시작 정보는 상기 비주기적 참조신호의 송신 시점에서 산출되는 정보 및 상기 제 1 참조신호 송신장치에서 산출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주기적 참조신호를 수신하는 방법.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신호 송신장치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참조신호 수신장치로부터 상기 환경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비주기적 참조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13. 제 1 참조신호 송신장치의 환경 정보에 의하여 산출 가능한 무선 자원 영역을 판단하고, 상기 무선 자원 영역에서 주기적 참조신호를 송신하게 되는 제 2 참조신호 송신장치를 판단하는 제어부;
    상기 무선 자원 영역에서 비주기적 참조신호가 송신되도록 지시하는 제 1 지시 정보 또는 상기 무선 자원 영역에서 송신될 주기적 참조신호의 송신을 홀딩할 것을 지시하는 제 2 지시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무선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코딩부;
    상기 무선제어신호를 상기 제 1 참조신호 송신장치 또는 제 2 참조신호 송신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에게 송신하고, 상기 무선 자원 영역에서 상기 제 1 참조신호 송신장치로부터 상기 비주기적 참조신호를 수신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비주기적 참조신호를 수신하는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시 정보 및 제 2 지시 정보의 크기는 2bit 또는 3bit 이며,
    상기 코딩부는 DCI 포맷 4에 할당된 비트에 상기 지시 정보를 포함시키는, 비주기적 참조신호를 수신하는 장치.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시 정보는 상기 비주기적 참조신호를 송신하는데 있어 필요한 안테나의 설정 정보 또는 비주기적 참조신호를 송신하는데 있어 필요한 전송 대역폭 중 하나 이상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주기적 참조신호를 수신하는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시 정보가 지시하거나 상기 제 1 지시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된 전송 대역폭 정보는 비주기적 참조 신호의 전송이 가능한 할당 대역폭 정보, 상기 제 1 참조신호 송신장치가 상기 할당 대역폭 내에서 상기 비주기적 참조 신호를 송신하게 되는 시작 정보, 또는 콤브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산출하는데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주기적 참조신호를 수신하는 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 정보는 상기 비주기적 참조신호의 송신 시점에서 산출되는 정보 및 상기 참조신호 송신장치에서 산출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할당 대역폭 내에서 상기 제 1 참조신호 송신장치가 비주기적 참조신호를 송신하게 되는 대역폭의 기준점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주기적 참조신호를 수신하는 장치.
  18.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제 1 또는 제 2 참조신호 송신장치에게 상기 환경 정보를 송신하는, 비주기적 참조신호를 수신하는 장치.
  19. 참조신호 수신장치로부터 참조신호의 송신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참조신호 수신장치에게 참조신호를 송신하는 송수신부;
    상기 지시 정보가 비주기적 참조신호가 송신되도록 지시하는 제 1 지시정보인 경우, 상기 제 1 지시정보 및 환경 정보에서 상기 비주기적 참조신호가 송신될 무선 자원 영역 정보를 산출하며, 상기 지시 정보가 주기적 참조신호 송신을 홀딩할 것을 지시하는 제 2 지시정보인 경우, 주기적 참조신호의 송신을 홀딩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 1 지시 정보 및 상기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비주기적 참조신호를 생성하는 참조신호 생성부를 포함하는, 비주기적 참조신호를 송신하는 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의 크기는 2bit 또는 3bit 이며,
    상기 참조신호 수신장치로부터 상기 송수신부가 DCI 포맷 4가 포함된 무선제어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DCI 포맷에 할당된 상기 지시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주기적 참조신호를 송신하는 장치.
  21.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지시 정보에 매핑되어 상기 비주기적 참조신호를 송신하는데 있어 필요한 안테나의 설정 정보 또는 비주기적 참조신호를 송신하는데 있어 필요한 전송 대역폭 중 하나 이상을 산출하는, 비주기적 참조신호를 송신하는 장치.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역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비주기적 참조 신호의 전송이 가능한 할당 대역폭 정보, 상기 제 1 참조신호 송신장치가 상기 할당 대역폭 내에서 상기 비주기적 참조 신호를 송신하게 되는 시작 정보, 또는 콤브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산출하는, 비주기적 참조신호를 송신하는 장치.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 정보는 상기 참조신호 송신장치가 상기 비주기적 참조신호를 송신하게 되는 대역폭의 기준점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주기적 참조신호의 송신 시점에서 산출되는 정보 및 상기 제 1 참조신호 송신장치에서 산출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시작 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주기적 참조신호를 수신하는 장치.
  24.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참조신호 수신장치로부터 상기 환경 정보를 수신하는, 비주기적 참조신호를 수신하는 장치.
KR1020100110073A 2010-11-05 2010-11-05 비주기적 참조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804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0073A KR101804366B1 (ko) 2010-11-05 2010-11-05 비주기적 참조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PCT/KR2011/008327 WO2012060641A2 (ko) 2010-11-05 2011-11-03 비주기적 참조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13/883,750 US9603169B2 (en) 2010-11-05 2011-11-03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periodic reference sig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0073A KR101804366B1 (ko) 2010-11-05 2010-11-05 비주기적 참조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8444A true KR20120048444A (ko) 2012-05-15
KR101804366B1 KR101804366B1 (ko) 2018-01-11

Family

ID=46266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0073A KR101804366B1 (ko) 2010-11-05 2010-11-05 비주기적 참조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436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4366B1 (ko) 2018-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24566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muting information,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acquiring channel state using same
EP281789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reference signal
JP6204926B2 (ja) チャネル推定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EP2875690B1 (en) A network node and a method therein for scheduling a downlink data transmission to a ue
EP2903374A1 (en) Terminal, communication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US20220109473A1 (en) Terminal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JP6373369B2 (ja) Fdr送信を支援する無線接続システムにおいて信号送受信方法及び装置
CN111465101B (zh) 在新无线电中执行定位的装置和方法
EP3512143B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reference signal
US11381424B2 (en) Control of aperiodic signaling of SRS for wireless systems
KR20150080464A (ko) 상향링크 사운딩 참조신호 전송전력 제어방법 및 그 단말, 송수신포인트
WO201305516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nel information feedback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20112611A (ko) 프리코딩된 사운딩 참조신호를 이용하여 comp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 및 그 방법
JP2020504484A (ja) 基準信号の伝送方法及び通信装置
KR20160040580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방법 및 장치
JPWO2020031352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US10097251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of user equipment, method for receiving information of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thereof
KR20110114753A (ko) 제어 신호의 비주기적 전송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제어 신호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WO2021124585A1 (ja) 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EP3832923A1 (en) User terminal
US1010391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 reference sig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826393A1 (en) User terminal
KR20130018074A (ko) 사운딩 참조신호 전송 방법과 장치, 및 그를 위한 사운딩 참조신호 전송 지시 방법과 장치
KR20140023855A (ko) 상향링크 사운딩 참조신호의 전송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120023200A (ko) Mimo 환경에서의 시퀀스 및 시퀀스 그룹 호핑 정보를 이용한 참조신호 생성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