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7080A - 멀티캐스트 기반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캐스트 기반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7080A
KR20120047080A KR1020100108757A KR20100108757A KR20120047080A KR 20120047080 A KR20120047080 A KR 20120047080A KR 1020100108757 A KR1020100108757 A KR 1020100108757A KR 20100108757 A KR20100108757 A KR 20100108757A KR 20120047080 A KR20120047080 A KR 201200470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ulticast
representative
reception
data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8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1213B1 (ko
Inventor
임철호
김동건
김문기
한경식
유재황
김민석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8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1213B1/ko
Publication of KR20120047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70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1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12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08User group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5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with management of multicast group membersh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4Erro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10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 H04W28/12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using signalling between network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1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based on transmission quality or channel quality
    • H04W40/14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based on transmission quality or channel quality based on st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캐스트 기반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을 개시한다. 즉, 데이터수신 가능상태를 통보하여 상기 송신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멀티캐스트 데이터의 수신이 완료될 경우 데이터수신 완료상태를 전송하는 대표수신장치; 및 멀티캐스트 그룹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수신장치에 대한 상태정보를 요청하여 기 지정된 상기 대표수신장치에 대한 데이터수신 가능상태를 확인하며, 상기 대표수신장치의 데이터수신 가능상태가 확인될 경우, 상기 대표수신장치에 대한 데이터수신 완료상태가 확인될 때까지 상기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상기 멀티캐스트 그룹에 반복 전송하는 송신장치를 포함함으로써, 에러 발생시 데이터 재전송을 수행하여 신뢰성 있는 멀티캐스트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나아가 커버리지 내의 모든 단말장치와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연결한 것에 비해 데이터 중복 전송으로 인한 네트워크의 비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멀티캐스트 기반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DATA TRANSMISSION BASED ON MULTICAST}
본 발명은 데이터 전송 방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멀티캐스트 환경에서 특정 수신장치를 대상으로 데이터 전송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여 다수의 수신장치를 대상으로 동일한 데이터를 신뢰성 있게 전송하는 멀티캐스트 기반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송신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데이터 전송방식은 전송에 참여하는 송신자와 수신자의 관점에 따라 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브로드캐스트로 구분될 수 있다.
우선 유니캐스트는 하나의 송신자와 다른 하나의 수신자 사이의 일대일 통신을 지원하는 전송 방식으로 대부분의 인터넷 응용 프로그램은 유니캐스트 전송 방식을 기반으로 동작한다. 유니캐스트 전송방식의 특징은 데이터 전송 중에 데이터 오류가 발생하면 쉽게 인지하고 다시 재전송을 할 수 있어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위해서 적합한 방식이다.
그러나 동일한 데이터를 다수의 수신자에게 전송하고자 할 경우, 유니캐스트 전송 방식을 사용한다면 동일한 데이터를 각 수신자에게 따로 전송을 해야 하기 때문에 데이터 중복 전송으로 인하여 네트워크의 효율성이 저하된다. 이러한 문제는 수신자의 수가 증가할수록 더욱 심각하게 된다
이에 반해, 멀티캐스트는 하나 이상의 송신자와 다수의 수신자들 사이의 효율적인 일대다 또는 다대다 통신을 지원하는 전송 방식으로 인터넷 방송 등의 응용 시나리오에서 활용 가능하다. 즉, 송신자는 다수의 수신자에게 한 번에 데이터가 전송 되도록 하여, 동일한 데이터의 중복 전송으로 인한 네트워크 자원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브로드캐스트 방식 또한 멀티캐스트의 한 형태로 하나의 송신기가 같은 네트워크에서 동시에 모든 수신자에게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멀티캐스트 전송방식은 아무런 피드백 정보를 이용하지 않으므로 수신자가 정상적으로 데이터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알 수 없으며, 비록 특정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들이 어느 정도의 데이터 손실을 허용하더라도 전송 중 오류 발생 확률이 높은 무선 채널에서는 그 성능이 현저하게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송신장치가 멀티캐스트 그룹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수신장치에 대한 상태정보를 요청하고, 이를 수신한 대표수신장치가 상기 상태정보 요청에 따라 데이터수신 가능상태를 통보하며, 이에 따라 상기 송신장치가 상기 대표수신장치에 대한 데이터수신 가능상태가 확인될 경우, 상기 대표수신장치에 대한 데이터수신 완료상태가 확인될 때까지 상기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상기 멀티캐스트 그룹에 반복 전송하는 멀티태스크 기반 데이터 전송 시스템 그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다수의 수신자를 대상으로 동일한 데이터를 신뢰성 있게 전송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멀티캐스트 그룹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수신장치에 대한 상태정보를 요청하여 상기 멀티캐스트 그룹에 기 지정된 대표수신장치에 대한 데이터수신 가능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대표수신장치의 데이터수신 가능상태가 확인될 경우, 상기 대표수신장치에 대한 데이터수신 완료상태가 확인될 때까지 상기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상기 멀티캐스트 그룹에 반복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 및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다수의 수신자를 대상으로 동일한 데이터를 신뢰성 있게 전송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멀티캐스트 기반 데이터 전송 시스템이 제공되며: 이 시스템은, 데이터수신 가능상태를 통보하여 상기 송신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멀티캐스트 데이터의 수신이 완료될 경우 데이터수신 완료상태를 통보하는 대표수신장치; 및 멀티캐스트 그룹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수신장치에 대한 상태정보를 요청하여 기 지정된 상기 대표수신장치에 대한 데이터수신 가능상태를 확인하며, 상기 대표수신장치의 데이터수신 가능상태가 확인될 경우, 상기 대표수신장치에 대한 데이터수신 완료상태가 확인될 때까지 상기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상기 멀티캐스트 그룹에 반복 전송하는 송신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송신장치가 제공되며: 이 장치는, 멀티캐스트 그룹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수신장치에 대한 상태정보를 요청하여 기 지정된 상기 대표수신장치에 대한 데이터수신 가능상태를 확인하는 상태정보확인부; 및 상기 대표수신장치의 데이터수신 가능상태가 확인될 경우, 상기 멀티캐스트 그룹에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전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전송부는, 상기 대표수신장치에 대한 데이터수신 완료상태가 확인될 때까지 상기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상기 멀티캐스트 그룹에 반복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태정보확인부는, 상기 멀티캐스트 그룹에 RTS(Request To Send) 프레임을 전송하여 상태정보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태정보확인부는, 상기 대표수신장치로부터 상기 RTS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CTS(Clear To Send) 프레임을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수신 가능상태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태정보확인부는, 상기 대표수신장치를 제외한 수신장치로부터 상기 RTS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수신에러(NTS, Not Clear Send)가 수신될 경우, 상기 RTS 프레임을 재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이터전송부는, 상기 대표수신장치로부터 상기 멀티캐스트 데이터 전송에 대한 수신완료(ACK) 프레임이 수신될 때까지, 상기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반복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이터전송부는, 상기 대표수신장치를 포함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수신장치로부터 상기 멀티캐스트 데이터 전송에 대한 수신에러(NACK) 프레임이 수신될 경우, 상기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재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멀티태스크 기반 데이터 전송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송신장치가 멀티캐스트 그룹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수신장치에 대한 상태정보를 요청하는 상태정보요청단계; 대표수신장치가 상기 상태정보 요청에 따라 데이터수신 가능상태를 통보하는 가능상태통보단계; 상기 송신장치가 상기 대표수신장치에 대한 데이터수신 가능상태가 확인될 경우, 상기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상기 멀티캐스트 그룹에 전송하는 데이터전송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전송단계는, 상기 대표수신장치에 대한 데이터수신 완료상태가 확인될 때까지 상기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상기 멀티캐스트 그룹에 반복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멀티태스크 기반 데이터 전송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멀티캐스트 그룹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수신장치에 대한 상태정보를 요청하는 상태정보요청단계; 상기 멀티캐스트 그룹에 기 지정된 대표수신장치에 대한 데이터수신 가능상태를 확인하는 상태정보확인단계; 및 상기 대표수신장치의 데이터수신 가능상태가 확인될 경우, 상기 멀티캐스트 그룹에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전송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전송단계는, 상기 대표수신장치에 대한 데이터수신 완료상태가 확인될 때까지 상기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상기 멀티캐스트 그룹에 반복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태정보확인단계는, 상기 멀티캐스트 그룹에 RTS(Request To Send) 프레임을 전송하여 상태정보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태정보확인단계는, 상기 대표수신장치로부터 상기 RTS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CTS(Clear To Send) 프레임을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수신 가능상태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태정보요청단계는, 상기 대표수신장치를 제외한 수신장치로부터 상기 RTS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수신에러(NTS, Not Clear Send)가 수신될 경우, 상기 RTS 프레임을 재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이터전송단계는, 상기 대표수신장치로부터 상기 멀티캐스트 데이터 전송에 대한 수신완료(ACK) 프레임이 수신될 때까지, 상기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반복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이터전송단계는, 상기 대표수신장치를 포함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수신장치로부터 상기 멀티캐스트 데이터 전송에 대한 수신에러(NACK) 프레임이 수신될 경우, 상기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재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캐스트 기반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르면, 멀티캐스트 환경에서 커버리지에 속한 다수의 수신장치 중 특정 수신장치를 대상으로 데이터 전송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현하여 에러 발생시 데이터 재전송을 수행함으로써 신뢰성 있는 멀티캐스트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나아가 커버리지 내의 모든 수신장치와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연결한 것에 비해 데이터 중복 전송으로 인한 네트워크의 비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캐스트 기반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캐스트 기반 데이터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캐스트 기반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스템은, 멀티캐스트 커버리지에 위치한 대표수신장치(200)를 대상으로 멀티캐스트 데이터 전송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 재전송을 수행하는 송신장치(100), 및 상기 송신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멀티캐스트 데이터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는 대표수신장치(2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송신장치(100)는 멀티캐스트 그룹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수신장치에 대한 상태정보를 요청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송신장치(100)는 상기 대표수신장치(200)를 포함하는 멀티캐스트 그룹에 RTS(Request To Send) 프레임을 전송하여 데이터수신 가능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상태정보를 요청한다.
또한, 송신장치(100)는 상기 상태정보 요청에 대한 응답메시지를 기반으로 각각의 수신장치가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데이터수신 가능상태인지를 확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송신장치(100)는 상기 RTS 프레임 전송에 대한 응답으로 대표수신장치(200)로부터 CTS(Clear To Send) 프레임이 수신될 경우, 멀티캐스트 그룹을 구성하는 각각의 수신장치에 대한 데이터수신 가능상태를 인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대표수신장치(200)를 제외한 모든 수신장치는 특별한 동작 없이 대기하게 된다. 반면, 송신장치(100)는 상기 대표수신장치(200)를 제외한 수신장치로부터 상기 RTS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수신에러(NTS, Not Clear Send)가 수신될 경우, 멀티캐스트 그룹을 구성하는 각각의 수신장치에 대한 데이터수신 불가능상태를 인지하여 대표수신장치(200)로부터 CTS(Clear To Send) 프레임이 수신될 때까지 상기 RTS 프레임을 재전송한다.
아울러, 송신장치(100)는 대표수신장치(200)에 대한 데이터수신 가능상태가 확인될 경우, 상기 멀티캐스트 그룹에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전송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송신장치(100)는 대표수신장치(200)에 대한 데이터수신 완료상태가 확인될 때까지 상기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상기 멀티캐스트 그룹에 반복 전송한다. 즉, 송신장치(100)는 대표수신장치(200)로부터 상기 멀티캐스트 데이터 전송에 대한 수신완료(ACK) 프레임이 수신될 경우, 데이터 전송이 완료되었음을 인지한다. 이때, 상기 대표수신장치(200)를 제외한 모든 수신장치는 특별한 동작 없이 대기하게 된다. 반면, 송신장치(100)는 대표수신장치(200)를 포함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수신장치로부터 상기 멀티캐스트 데이터 전송에 대한 수신에러(NACK) 프레임이 수신될 경우, 대표수신장치(200)로부터 상기 멀티캐스트 데이터 전송에 대한 수신완료(ACK) 프레임이 수신될 때까지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반복 전송한다.
상기 대표수신장치(200)는 데이터수신 가능상태를 통보하여 송신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멀티캐스트 데이터의 수신이 완료될 경우 데이터수신 완료상태를 전송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대표수신장치(200)는 송신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RTS 프레임 전송에 대한 응답으로 CTS(Clear To Send) 프레임을 전송하여 데이터수신 가능상태를 통지함으로써, 송신장치(100)로부터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수신한다. 아울러, 대표수신장치(200)는 송신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멀티캐스트 데이터에 대한 수신이 완료될 경우, 수신완료(ACK) 프레임을 송신장치(100)에 전송함으로써 데이터수신 완료상태를 통지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장치(100)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즉, 송신장치(100)는 대표수신장치에 대한 데이터수신 가능상태를 확인하는 상태정보확인부(110), 및 멀티캐스트 그룹에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전송부(12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상태정보확인부(110)는 멀티캐스트 그룹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수신장치에 대한 상태정보를 요청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태정보확인부(110)는 상기 대표수신장치(200)를 포함하는 멀티캐스트 그룹에 RTS(Request To Send) 프레임을 전송하여 데이터수신 가능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상태정보를 요청한다.
또한, 상태정보확인부(110)는 상기 상태정보 요청에 대한 응답메시지를 기반으로 각각의 수신장치가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데이터수신 가능상태인지를 확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태정보확인부(110)는 상기 RTS 프레임 전송에 대한 응답으로 대표수신장치(200)로부터 CTS(Clear To Send) 프레임이 수신될 경우, 멀티캐스트 그룹을 구성하는 각각의 수신장치에 대한 데이터수신 가능상태를 인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대표수신장치(200)를 제외한 모든 수신장치는 특별한 동작 없이 대기하게 된다. 반면, 상태정보확인부(110)는 상기 대표수신장치(200)를 제외한 수신장치로부터 상기 RTS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수신에러(NTS, Not Clear Send)가 수신될 경우, 멀티캐스트 그룹을 구성하는 각각의 수신장치에 대한 데이터수신 불가능상태를 인지하여 대표수신장치(200)로부터 CTS(Clear To Send) 프레임이 수신될 때까지 상기 RTS 프레임을 재전송한다.
상기 데이터전송부(120)는 대표수신장치(200)에 대한 데이터수신 가능상태가 확인될 경우, 상기 멀티캐스트 그룹에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전송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데이터전송부(120)는 대표수신장치(200)에 대한 데이터수신 완료상태가 확인될 때까지 상기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상기 멀티캐스트 그룹에 반복 전송한다. 즉, 데이터전송부(120)는 대표수신장치(200)로부터 상기 멀티캐스트 데이터 전송에 대한 수신완료(ACK) 프레임이 수신될 경우, 데이터 전송이 완료되었음을 인지한다. 이때, 상기 대표수신장치(200)를 제외한 모든 수신장치는 특별한 동작 없이 대기하게 된다. 반면, 데이터전송부(120)는 대표수신장치(200)를 포함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수신장치로부터 상기 멀티캐스트 데이터 전송에 대한 수신에러(NACK) 프레임이 수신될 경우, 대표수신장치(200)로부터 상기 멀티캐스트 데이터 전송에 대한 수신완료(ACK) 프레임이 수신될 때까지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반복 전송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멀티캐스트 기반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따르면, 멀티캐스트 환경에서 커버리지에 속한 다수의 수신장치 중 특정 수신장치만을 대상으로 CTS(Clear To Send) 프레임과 ACK 프레임을 이용한 유니캐스트 방식을 적용하여 데이터 전송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고, 에러 발생시 데이터 재전송을 수행함으로써 신뢰성 있는 멀티캐스트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나아가 멀티캐스트를 수행함에 따라 커버리지 내의 모든 수신장치와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연결한 것에 비해 데이터 중복 전송으로 인한 네트워크의 비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캐스트 기반 데이터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캐스트 기반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송신장치(100)가 멀티캐스트 그룹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수신장치에 대한 상태정보를 요청한다(S110). 바람직하게는, 송신장치(100)는 상기 대표수신장치(200)를 포함하는 멀티캐스트 그룹에 RTS(Request To Send) 프레임을 전송하여 데이터수신 가능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상태정보를 요청한다.
그리고 나서, 대표수신장치(200)가 데이터수신 가능상태를 통보한다(S120). 바람직하게는, 대표수신장치(200)는 송신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RTS 프레임 전송에 대한 응답으로 CTS(Clear To Send) 프레임을 전송하여 데이터수신 가능상태를 통지한다. 이와 관련하여 송신장치(100)는 상기 RTS 프레임 전송에 대한 응답으로 대표수신장치(200)로부터 CTS(Clear To Send) 프레임이 수신될 경우, 멀티캐스트 그룹을 구성하는 각각의 수신장치에 대한 데이터수신 가능상태를 인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대표수신장치(200)를 제외한 모든 수신장치는 특별한 동작 없이 대기하게 된다. 반면, 송신장치(100)는 상기 대표수신장치(200)를 제외한 수신장치로부터 상기 RTS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수신에러(NTS, Not Clear Send)가 수신될 경우, 멀티캐스트 그룹을 구성하는 각각의 수신장치에 대한 데이터수신 불가능상태를 인지하여 대표수신장치(200)로부터 CTS(Clear To Send) 프레임이 수신될 때까지 상기 RTS 프레임을 재전송한다.
그런 다음, 송신장치(100)가 대표수신장치(200)에 대한 데이터수신 가능상태가 확인될 경우, 상기 멀티캐스트 그룹에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전송한다(S130). 바람직하게는, 송신장치(100)는 대표수신장치(200)에 대한 데이터수신 완료상태가 확인될 때까지 상기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상기 멀티캐스트 그룹에 반복 전송한다.
이후, 대표수신장치(200)가 송신장치(100)로부터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수신하여 데이터수신 완료상태를 통지한다(S140). 바람직하게는 대표수신장치(200)는 송신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멀티캐스트 데이터에 대한 수신이 완료될 경우, 수신완료(ACK) 프레임을 송신장치(100)에 전송함으로써 데이터수신 완료상태를 통지한다. 이와 관련하여, 송신장치(100)는 대표수신장치(200)로부터 상기 멀티캐스트 데이터 전송에 대한 수신완료(ACK) 프레임이 수신될 경우, 데이터 전송이 완료되었음을 인지한다. 이때, 상기 대표수신장치(200)를 제외한 모든 수신장치는 특별한 동작 없이 대기하게 된다. 반면, 송신장치(100)는 대표수신장치(200)를 포함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수신장치로부터 상기 멀티캐스트 데이터 전송에 대한 수신에러(NACK) 프레임이 수신될 경우, 대표수신장치(200)로부터 상기 멀티캐스트 데이터 전송에 대한 수신완료(ACK) 프레임이 수신될 때까지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반복 전송한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장치(100)의 구동 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멀티캐스트 그룹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수신장치에 대한 상태정보를 요청한다(S210). 바람직하게는, 상태정보확인부(110)가 상기 대표수신장치(200)를 포함하는 멀티캐스트 그룹에 RTS(Request To Send) 프레임을 전송하여 데이터수신 가능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상태정보를 요청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상태정보 요청에 대한 응답메시지를 기반으로 각각의 수신장치가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데이터수신 가능상태인지를 확인한다(S220-S230). 바람직하게는, 상태정보확인부(110)가 상기 RTS 프레임 전송에 대한 응답으로 대표수신장치(200)로부터 CTS(Clear To Send) 프레임이 수신될 경우, 멀티캐스트 그룹을 구성하는 각각의 수신장치에 대한 데이터수신 가능상태를 인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대표수신장치(200)를 제외한 모든 수신장치는 특별한 동작 없이 대기하게 된다. 반면, 상태정보확인부(110)는 상기 대표수신장치(200)를 제외한 수신장치로부터 상기 RTS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수신에러(NTS, Not Clear Send)가 수신될 경우, 멀티캐스트 그룹을 구성하는 각각의 수신장치에 대한 데이터수신 불가능상태를 인지하여 대표수신장치(200)로부터 CTS(Clear To Send) 프레임이 수신될 때까지 상기 RTS 프레임을 재전송한다.
이후, 대표수신장치(200)에 대한 데이터수신 가능상태가 확인될 경우, 상기 멀티캐스트 그룹에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전송한다(S240-S260). 바람직하게는, 데이터전송부(120)가 대표수신장치(200)에 대한 데이터수신 완료상태가 확인될 때까지 상기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상기 멀티캐스트 그룹에 반복 전송한다. 즉, 데이터전송부(120)는 대표수신장치(200)로부터 상기 멀티캐스트 데이터 전송에 대한 수신완료(ACK) 프레임이 수신될 경우, 데이터 전송이 완료되었음을 인지한다. 이때, 상기 대표수신장치(200)를 제외한 모든 수신장치는 특별한 동작 없이 대기하게 된다. 반면, 데이터전송부(120)는 대표수신장치(200)를 포함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수신장치로부터 상기 멀티캐스트 데이터 전송에 대한 수신에러(NACK) 프레임이 수신될 경우, 대표수신장치(200)로부터 상기 멀티캐스트 데이터 전송에 대한 수신완료(ACK) 프레임이 수신될 때까지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반복 전송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멀티캐스트 기반 데이터 전송 방법에 따르면, 멀티캐스트 환경에서 커버리지에 속한 다수의 수신장치 중 특정 수신장치만을 대상으로 CTS(Clear To Send) 프레임과 ACK 프레임을 이용한 유니캐스트 방식을 적용하여 데이터 전송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고, 에러 발생시 데이터 재전송을 수행함으로써 신뢰성 있는 멀티캐스트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나아가 멀티캐스트를 수행함에 따라 커버리지 내의 모든 수신장치와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연결한 것에 비해 데이터 중복 전송으로 인한 네트워크의 비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캐스트 기반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르면, 멀티캐스트 환경에서 특정 수신장치를 대상으로 데이터 전송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수신한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송신장치
110: 상태정보확인부 120: 데이터전송부
200: 대표수신장치

Claims (14)

  1. 데이터수신 가능상태를 통보하여 상기 송신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멀티캐스트 데이터의 수신이 완료될 경우 데이터수신 완료상태를 전송하는 대표수신장치; 및
    멀티캐스트 그룹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수신장치에 대한 상태정보를 요청하여 기 지정된 상기 대표수신장치에 대한 데이터수신 가능상태를 확인하며, 상기 대표수신장치의 데이터수신 가능상태가 확인될 경우, 상기 대표수신장치에 대한 데이터수신 완료상태가 확인될 때까지 상기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상기 멀티캐스트 그룹에 반복 전송하는 송신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태스크 기반 데이터 전송 시스템.
  2. 멀티캐스트 그룹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수신장치에 대한 상태정보를 요청하여 기 지정된 상기 대표수신장치에 대한 데이터수신 가능상태를 확인하는 상태정보확인부; 및
    상기 대표수신장치의 데이터수신 가능상태가 확인될 경우, 상기 멀티캐스트 그룹에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전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전송부는,
    상기 대표수신장치에 대한 데이터수신 완료상태가 확인될 때까지 상기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상기 멀티캐스트 그룹에 반복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정보확인부는,
    상기 멀티캐스트 그룹에 RTS(Request To Send) 프레임을 전송하여 상태정보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정보확인부는,
    상기 대표수신장치로부터 상기 RTS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CTS(Clear To Send) 프레임을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수신 가능상태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정보확인부는,
    상기 대표수신장치를 제외한 수신장치로부터 상기 RTS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수신에러(NTS, Not Clear Send)가 수신될 경우, 상기 RTS 프레임을 재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전송부는,
    상기 대표수신장치로부터 상기 멀티캐스트 데이터 전송에 대한 수신완료(ACK) 프레임이 수신될 때까지, 상기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반복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전송부는,
    상기 대표수신장치를 포함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수신장치로부터 상기 멀티캐스트 데이터 전송에 대한 수신에러(NACK) 프레임이 수신될 경우, 상기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재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장치.
  8. 송신장치가 멀티캐스트 그룹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수신장치에 대한 상태정보를 요청하는 상태정보요청단계;
    대표수신장치가 상기 상태정보 요청에 따라 데이터수신 가능상태를 통보하는 가능상태통보단계;
    상기 송신장치가 상기 대표수신장치에 대한 데이터수신 가능상태가 확인될 경우, 상기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상기 멀티캐스트 그룹에 전송하는 데이터전송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전송단계는,
    상기 대표수신장치에 대한 데이터수신 완료상태가 확인될 때까지 상기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상기 멀티캐스트 그룹에 반복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멀티태스크 기반 데이터 전송 방법.
  9. 멀티캐스트 그룹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수신장치에 대한 상태정보를 요청하는 상태정보요청단계;
    상기 멀티캐스트 그룹에 기 지정된 대표수신장치에 대한 데이터수신 가능상태를 확인하는 상태정보확인단계; 및
    상기 대표수신장치의 데이터수신 가능상태가 확인될 경우, 상기 멀티캐스트 그룹에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전송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전송단계는,
    상기 대표수신장치에 대한 데이터수신 완료상태가 확인될 때까지 상기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상기 멀티캐스트 그룹에 반복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태스크 기반 데이터 전송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정보확인단계는,
    상기 멀티캐스트 그룹에 RTS(Request To Send) 프레임을 전송하여 상태정보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태스크 기반 데이터 전송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정보확인단계는,
    상기 대표수신장치로부터 상기 RTS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CTS(Clear To Send) 프레임을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수신 가능상태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태스크 기반 데이터 전송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정보요청단계는,
    상기 대표수신장치를 제외한 수신장치로부터 상기 RTS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수신에러(NTS, Not Clear Send)가 수신될 경우, 상기 RTS 프레임을 재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태스크 기반 데이터 전송 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전송단계는,
    상기 대표수신장치로부터 상기 멀티캐스트 데이터 전송에 대한 수신완료(ACK) 프레임이 수신될 때까지, 상기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반복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태스크 기반 데이터 전송 방법.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전송단계는,
    상기 대표수신장치를 포함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수신장치로부터 상기 멀티캐스트 데이터 전송에 대한 수신에러(NACK) 프레임이 수신될 경우, 상기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재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태스크 기반 데이터 전송 방법.
KR1020100108757A 2010-11-03 2010-11-03 멀티캐스트 기반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412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8757A KR101741213B1 (ko) 2010-11-03 2010-11-03 멀티캐스트 기반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8757A KR101741213B1 (ko) 2010-11-03 2010-11-03 멀티캐스트 기반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7080A true KR20120047080A (ko) 2012-05-11
KR101741213B1 KR101741213B1 (ko) 2017-05-30

Family

ID=46265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8757A KR101741213B1 (ko) 2010-11-03 2010-11-03 멀티캐스트 기반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12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839B1 (ko) * 2012-08-06 2014-01-08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하이브리드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그 전송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839B1 (ko) * 2012-08-06 2014-01-08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하이브리드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그 전송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1213B1 (ko) 2017-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12196B2 (en) Base stations, user equipments and a system for wireless communication, as well as the corresponding methods
US7542438B2 (en) Reliable multicast data retransmission method by grouping wireless terminals in wireless communication medium and apparatus for the same
JP5317235B2 (ja) 無線ローカル・エリア・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マルチキャスト・データの確認応答および再伝送を行う方法および装置
US20070174885A1 (en) Multicast transmission method, system and communication station
US10284340B2 (en) Multicast sending apparatus, multicast receiving apparatus, and multicast transmission determining method
RU2541921C2 (ru) Механизмы ответа для беспроводных сетей с широкой полосой пропускания
JP2011526455A (ja) 無線ローカル・エリア・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マルチキャスト・データの確認応答の要求および伝送を行う装置
US10623145B2 (en) Network node, wireless device and methods performed thereby for the network node to provide information to the wireless device
JP2022133395A (ja) 単一周波数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ack/nackメッセージング
WO2016070561A1 (zh) 数据传输处理方法及装置
KR20150017910A (ko) 액세스 포인트 및 복수 개의 단말들을 포함하는 네트워크에서 피드백에 기반하여 멀티캐스트 패킷을 재전송하기 위한 액세스 포인트 및 단말의 통신 방법, 그 액세스 포인트 및 그 단말
CN101622808A (zh) 无线中继通信系统中用于重发请求的装置和方法
CN110519011B (zh) 一种基于索引标识的码块传输系统及传输方法
KR101741213B1 (ko) 멀티캐스트 기반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US9853825B2 (en) Single cell point to multi-points network system and data transmission method thereof
CN106850159B (zh) 一种组播转单播传送方法及系统
KR102160818B1 (ko) 신뢰성 확보를 위한 다중 멀티케스트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21253268A1 (zh) 通信系统的信息传输方法、通信系统及通信设备
KR20120122923A (ko) 멀티캐스트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120046416A (ko) 멀티캐스트 기반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7306498A (ja) 通信装置、データ通信方法およびデータ通信システム
GB2610377A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Multibeam Multicast
KR101142982B1 (ko) 송신국, 송신국의 패킷 송신 방법, 수신국, 그리고 수신국의 손실 복구 방법
KR20090072119A (ko) 무선환경에서의 멀티캐스트 데이터 전송 방법
KR20160127870A (ko) 무선통신망의 인덱스 코딩을 이용한 데이터 재전송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