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6334A - 실행 아이콘의 조절 방법 및 그를 적용한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실행 아이콘의 조절 방법 및 그를 적용한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6334A
KR20120046334A KR1020100107907A KR20100107907A KR20120046334A KR 20120046334 A KR20120046334 A KR 20120046334A KR 1020100107907 A KR1020100107907 A KR 1020100107907A KR 20100107907 A KR20100107907 A KR 20100107907A KR 20120046334 A KR20120046334 A KR 201200463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icon
execution icon
array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7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8309B1 (ko
Inventor
김현수
Original Assignee
유비벨록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비벨록스(주) filed Critical 유비벨록스(주)
Priority to KR1020100107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8309B1/ko
Publication of KR20120046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63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8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83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표시 화면에 사용자 편의적인 실행 아이콘의 형태로 조절하여 표시하기 위한 방법 및 그를 적용한 이동 단말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각적인 화면 내에 다운로드된 실행 아이콘의 배치, 이동 및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추가되는 실행 아이콘을 한 화면 내에 표시할 수 있도록, 가로×세로 배열의 영역에 실행 아이콘이 모두 배치될때마다 가로×세로 배열을 계속하여 증가시켜 한 화면 내에 배치하는 방법과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며, 상기와 같이 배치된 실행 아이콘을 다른 영역으로 이동시키며, 이웃하는 영역으로 크기를 확장시켜 배치하는 실행 아이콘의 이동 및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방법 및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이에, 본 발명은 한 화면 내에 다운로드된 실행 아이콘을 모두 표시하여 사용에게 실행 아이콘을 보다 간편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하게 된다.

Description

실행 아이콘의 조절 방법 및 그를 적용한 이동 단말기{METHOD FOR ADJUSTING EXECUTION ICON AND MOBILE TERMINAL ADAPTED THEREFOR}
본 발명은 실행 아이콘의 조절 방법 및 그를 적용한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표시 화면에 사용자 편의적인 실행 아이콘의 형태로 조절하여 표시하기 위한 방법 및 그를 적용한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무선 인터넷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단순히 전화나 문자를 받을 수 있는 수준의 이동 단말기에서 벗어나 스마트폰과 같이 발전된 형태의 이동 단말기로 진보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이동 단말기는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을 수 있는데, 어플리케이션의 빠른 실행을 위하여 컴퓨터의 바탕 화면에 깔려 있는 아이콘 처럼 아이콘 형태로 다운을 받아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그러나, 이동 단말기는 컴퓨터에 비하여 매우 작은 크기를 갖고 있기 때문에 작은 화면 내에 다수 개의 아이콘들을 동시에 표시하기란 쉽지 않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자 다양한 방법들이 강구되어 왔는데, 그 대표적인 예를 도 1에 개시하였다.
도 1은 종래의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 내(110)에서 구현된 아이콘 형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동 단말기(100)의 한 화면 내(110)에는 4×4 배열로 정렬된 아이콘들이 표시되었다. 그러나, 사용자에 의해 더 많은 아이콘들이 다운로드될 경우에는 이동 단말기의 한 화면 내에 표시하지 않고, 보이지 않는 화면 즉, 우측과 아래측 방향으로 확장된 화면 내에 표시하게 된다.
이럴 경우, 사용자는 손이나 입력 도구를 활용하여 화면 터치를 여러번 수행하게 되고, 그 결과로 보이지 않는 화면을 시각적인 화면 내에 위치시켜 원하는 아이콘을 찾게 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원하는 아이콘을 찾는데는 많은 시간이 소요될뿐만 아니라 매끄러운 터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다른 터치 동작을 발생시키는 원인을 제공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시각적인 화면 내에 다운로드된 아이콘(이하에서는 '실행 아이콘'이라 칭함)을 모두 표시하고, 표시된 실행 아이콘의 이동 및 크기 또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적인 실행 아이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실행 아이콘의 조절 방법 및 그를 적용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시각적인 화면 내에 다운로드된 실행 아이콘의 배치, 이동 및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어플리케이션 표시 화면을 임의의 가로×세로 배열로 구분하여 설정하는 단계; (b) 상기 가로×세로 배열 중 각 할당된 영역에 사용자에 의해 다운로드된 실행 아이콘을 배치하되, 상기 가로×세로 배열의 각 영역에 배치되는 실행 아이콘의 초과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초과 여부 판단에 의해서 초과한 것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a) 단계의 가로×세로 배열을 하나씩 더 증가시켜 배열을 재설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 후, 초과된 시점 후에 다운로드된 실행 아이콘을 임시로 저장하고 있다가 상기 재설정된 배열의 빈자리 영역에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행 아이콘의 조절 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행 아이콘의 조절 방법은 (e) 상기 재설정된 배열 및 설정된 배열에 할당된 임의의 제1 영역에 배치된 실행 아이콘을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후, 드래그되어 임의의 제2 영역으로 옮기고자 할 경우, 상기 터치와 드래그에 의해 발생된 신호에 감응하여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된 실행 아이콘을 제2 영역에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행 아이콘의 조절 방법은 (f) 상기 재설정된 배열 및 설정된 배열에 할당된 임의의 제3 영역에 배치된 실행 아이콘을 사용자에 의해 모서리 영역이 터치된 후, 드래그되어 이웃하고 있는 제4 영역으로 확장하고자 할 경우, 상기 터치와 드래그에 의해 발생된 신호에 감응하여 상기 제3 영역에 배치된 실행 아이콘의 크기를 제4 영역에까지 확장하여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 단계의 재설정된 배열에 할당된 영역은 상기 (a) 단계에서 설정된 배열의 영역보다 크기를 작게하여 화면 내에 표시되고, 상기 작아진 영역에 배치되는 실행 아이콘은 상기 (a) 단계의 실행 아이콘보다 크기를 작게하여 표시하는 상기 (c) 단계가 반복 수행되면, 각 재설정된 배열과 다운로드된 실행 아이콘의 크기를 계속하여 작게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태양에 따르면, 시각적인 화면 내에서 다운로드된 실행 아이콘의 배치, 이동 및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터치 스크린 인터페이스 기반의 이동 단말기로서, 어플리케이션 표시 화면을 임의의 가로×세로 배열로 구분하여 설정하는 배열 설정 모듈; 상기 가로×세로 배열 중 각 할당된 영역에 사용자에 의해 다운로드된 실행 아이콘을 배치하는 아이콘 배치 모듈; 상기 가로×세로 배열의 각 영역에 배치되는 실행 아이콘의 초과 여부를 확인하여 초과할 경우, 상기 아이콘 배치 설정 모듈에서 설정된 가로×세로 배열을 하나씩 더 증가시켜 배열을 재설정하는 배열 재설정 모듈; 및 상기 초과 여부 확인에 의한 초과된 시점 후에 다운로드된 실행 아이콘을 임시로 저장하고 있다가 상기 재설정된 배열의 빈자리 영역에 배치하는 아이콘 재배치 모듈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가 제공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는 상기 아이콘 배치 모듈 및 아이콘 재배치 모듈에 의해 표시된 배열 중 임의의 배열에 할당된 영역을 제1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제1 영역과 인접 또는 멀리 떨어진 영역을 제2 영역으로 구분할 때,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된 실행 아이콘을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후, 드래그되어 상기 제2 영역으로 옮기고자 할 경우, 상기 터치와 드래그에 의해 발생된 신호에 감응하여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된 실행 아이콘을 제2 영역에 배치하는 아이콘 이동 조절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는 상기 아이콘 배치 모듈 및 아이콘 재배치 모듈에 의해 표시된 배열 중 임의의 배열에 할당된 영역을 제3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제3 영역과 인접되는 영역을 제4 영역으로 구분할 때, 상기 제3 영역에 배치된 실행 아이콘을 사용자에 의해 모서리 영역이 터치된 후, 드래그되어 상기 제4 영역으로 확장하고자 할 경우, 상기 터치와 드래그에 의해 발생된 신호에 감응하여 상기 제3 영역에 배치된 실행 아이콘의 크기를 제4 영역에까지 확장하여 배치하는 아이콘 크기 조절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열 재설정 모듈은, 상기 재설정된 배열에 할당된 영역을 그 이전에 설정된 배열의 영역보다 크기를 작게하여 표시하고, 이럴 경우 상기 아이콘 재배치 모듈은 상기와 같이 작아진 영역에 배치되는 실행 아이콘의 크기도 또한 작게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열 재설정 모듈과 아이콘 재배치 모듈은, 상기 배열을 하나씩 증가시켜 재설정할 때마다 배열의 영역 크기와 추가로 다운로드된 실행 아이콘의 크기를 반복하여 작게하여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시각적인 화면내에 초과될 실행 아이콘들에 대하여 실행 아이콘이 배치될 영역을 증가시키고, 영역과 실행 아이콘의 크기를 줄여 시가적인 화면 내에 추가로 다운로드된 실행 아이콘을 모두 배치할 수 있고, 실행 아이콘의 크기 및 이동을 한 화면내에서 자유롭게 배치 함으로써 실행 아이콘을 손쉽게 찾을 수 있고, 실행 아이콘의 검색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 내(110)에서 구현된 아이콘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행 아이콘의 조절 방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실행 아이콘의 조절 방법 중 실행 아이콘의 배치 조절 방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행 아이콘의 배치 조절 방법을 이동 단말기에서 수행한 결과를 일례로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행 아이콘의 이동 조절 방법을 이동 단말기에서 수행한 결과를 일례로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행 아이콘의 크기 조절 방법을 이동 단말기에서 수행한 결과를 일례로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행 아이콘의 배치, 크기 및 이동을 조절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에서 설명될 가로×세로 배열이라 함은 실행 아이콘이 위치하게 될 영역을 구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표현된 용어이며, 상기 영역은 편의상 실행 아이콘과 다른 것으로 간주하여 설명할 예정이나 실행 아이콘과 동일한 것으로서 간주할 수도 있으며, 실행 아이콘과 다르다면 상기 실행 아이콘에 비하여 크거나 동일한 크기를 갖는 것으로서 정의한다.
실행 아이콘 조절 예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행 아이콘의 조절 방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행 아이콘의 조절 방법(S200)은 실행 아이콘의 배치 조절 단계(S210), 실행 아이콘의 이동 조절 단계(S220), 실행 아이콘의 크기 조절 단계(S230)를 포함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본 발명의 S210 단계의 보다 구체적인 방법은 도 3에 개시하였기에 그를 참조하여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실행 아이콘의 조절 방법 중 실행 아이콘의 배치 조절 방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S210 단계는 단말기의 시각적인 화면 내에 표시되는 실행 아이콘의 배치 형태를 조절하는 과정으로서, S211 내지 S217 단계로 이루어진다.
먼저 본 발명의 S211 단계에서는 어플리케이션 표시 화면을 임의의 가로×세로 배열로 구분하여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임의로 설정되는 가로×세로 배열은 3×3 배열, 4×4 배열 형식과 같이 행과 열이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방식과 3×4 배열, 4×3 배열과 같이 행과 열이 다른 형태로 이루어지는 방식을 모두 수용 가능한 것으로서 지칭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정된 가로×세로 배열은 프로그램 알고리즘 상에서 미리 정의된 설정값에 따라 실현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실행 아이콘 설정 메뉴와 같이 사용자 편의적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의 형태로 제공하여 사용자의 의도에 의해서 가로×세로 배열의 설정값을 임의로 설정하게끔 할 수도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S212 단계에서는 S211 단계에서 설정된 임의의 가로×세로 배열 중 각 할당된 영역에 사용자에 의해 다운로드된 실행 아이콘을 배치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물론, 빈 영역에 실행 아이콘을 배치하게 될 것이다.
이어서, 본 발명의 S213 단계에서는 가로×세로 배열의 각 영역에 실행 아이콘이 모두 배치되었는지를 확인하는 실행 아이콘의 초과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S211 단계에서 4×4 배열로 설정되었다라고 가정하면, 본 발명의 S213 단계에서는 4×4 배열의 영역중 빈 영역이 존재할 경우 상기와 같이 빈 영역을 확인 후에 사용자에 의해 다운로드된 실행 아이콘을 4×4 배열의 영역중 순서가 가장 빠른 빈 영역에 배치하게 된다. 그러나, 4×4 배열의 영역을 확인한 결과 빈 영역이 없다고 판단되면, 이후에 발생된 사용자의 의도에 다운로드된 실행 아이콘을 4×4 배열의 영역안에 배치할 수 없게 되므로 이런 경우에 다음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한편, 가로×세로 배열의 증가는 동시에 증가시키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가로 행과 세로 열중 어느 하나만을 증가시키는 형태를 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어서, 본 발명의 S214 단계에서는 S213 단계의 초과 여부 판단에 의해서 초과한 경우로 판단할 경우 S211 단계에서 기설정된 가로×세로 배열을 수정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되는데, 즉 기설정된 가로×세로 배열을 하나씩 더 증가시켜 배열을 재설정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재설정된 배열은 이전에 설정된 가로×세로 배열의 크기보다 작게하여 설정된다.
이어서, 본 발명의 S215 단계에서는 S214 단계 후, 초과된 시점 후에 다운로드된 실행 아이콘을 임시로 저장하고 있다가 S214 단계에서 재설정한 배열의 빈자리 영역에 배치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S215 단계는 S212 단계에서 수행한 과정과 궁극적으로 동일하나, 재설정된 배열 안에 실행 아이콘을 배치하는 것이 다를뿐이다. 이때, 배치되는 실행 아이콘도 재설정된 배열과 마찬가지로 이전의 실행 아이콘의 크기보다 작게하여 배치되어짐으로써, 시각적인 한 화면내에 증가된 배열과 실행 아이콘을 모두 표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S216 단계에서는 S215 단계에서 재설정된 배열의 영역중 비어 있는 영역이 있는지를 다시 판단하는 실행 아이콘의 초과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판단 결과, 재설정된 배열의 영역이 비어있을 있을 경우에는 S215 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하도록 하며, 재설정된 배열의 영역에 실행 아이콘이 모두 배치된 것으로서 확인되면, 다음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의 S217 단계에서는 S214 단계와 마찬가지로 S216 단계 후, 기설정된 가로×세로 배열을 하나씩 더 증가시켜 배열을 재설정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후에는 S215 단계와 같은 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하게 되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가로×세로 배열의 최대값이 기설정된다라고 가정하면, 그 기설정된 가로×세로 배열의 최대값까지 배열을 증가시키고, 그 영역안에 추가로 다운로드된 실행 아이콘을 배치하게 된다. 상기 가로×세로 배열의 최대값은 사용자에 의해 또는 프로그램 알고리즘에 정의된 설정값에 따른다.
만약, 가로×세로 배열의 계속적인 증가에 의해 한 화면내에 표시하게 되면, 매우 작은 형태로 실행 아이콘들이 배치될 수 있는데, 이런 경우에는 배치된 실행 아이콘을 동일한 색으로 표현하여 배치하거나, 실행 아이콘의 한글 자음 순으로 실행 아이콘의 명칭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시 도 1로 돌아와 S210의 다음 단계인 S220 단계부터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S220 단계에서는 설정된 가로×세로 배열 또는 재설정된 배열의 영역에 배치된 실행 아이콘들을 대상으로 실행 아이콘의 이동을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예를 들면, 4×4로 배열의 영역 중 2행 3열의 영역에 배치된 실행 아이콘을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후, 드래그되어 3행 4열의 영역으로 옮기고자 할 경우, 상기 터치와 드래그에 의해 발생된 신호에 감응하여 2행 3열의 영역에 놓인 실행 아이콘을 3행 4열의 영역에 배치하게 된다. 만약, 3행 4열의 영역에 이미 실행 아이콘이 배치된 경우에는 2행 3열의 영역에 배치된 실행 아이콘과 3행 4열의 영역에 있는 실행 아이콘을 서로 바꿔치기 하는 형태까지도 확대하여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행 아이콘의 위치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손쉽게 조정할 수있는 메카니즘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자주 사용되는 실행 아이콘을 특별한 형태로 꾸미는데 유용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S230 단계에서는 설정된 가로×세로 배열 또는 재설정된 배열의 영역에 배치된 실행 아이콘들을 대상으로 실행 아이콘의 크기를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예를 들면, 4×4 배열의 영역 중 3행 3열의 영역에 배치된 실행 아이콘을 사용자에 의해 모서리 영역이 터치된 후, 드래그되어 이웃하고 있는 3행 4열, 4행 3열 및 4행 4열로 확장하고자 할 경우, 상기와 같은 터치와 드래그에 의해 발생된 신호에 감응하여 3행 3열의 영역에 배치된 실행 아이콘의 크기를 3행 4열, 4행 3열 및 4행 4열까지 확장하여 배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예는 실행 아이콘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라는 원리를 설명한 것일뿐,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실행 아이콘을 축소하거나, 실행 아이콘의 축소 및 확대가 동시에 수행될 수 있음은 당연한 결과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실행 아이콘의 축소 및 확대가 동시에 이루어지게 되면, 3행 4열과 4행 4열에 이미 실행 아이콘이 있고, 4행 3열의 영역이 빈경우에 그 빈 영역으로 3행 3열에 배치된 실행 아이콘을 축소 확대하여 4행 3열의 영역에 배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실행 아이콘의 배치 조절 예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행 아이콘의 배치 조절 방법을 이동 단말기에서 수행한 결과를 일례로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300)는 도3에서 설명된 실행 아이콘의 배치 조절 방법 중 배열 설정 단계를 수행한 결과를 보여주기 위한 것으로서, 시각적인 화면내(310)에 3×3 배열로 설정된 결과를 보여준다. 여기서, 3×3 배열은 9개의 영역(320)으로 구분하여 설정된 결과를 나타낸다.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300)는 도 3에서 설명된 실행 아이콘의 배치 조절 방법 중 배열 재설정 단계를 수행한 결과를 보여주기 위한 것으로서, 시각적인 화면내(310)에 도 4에서 설명된 3×3 배열이 4×4 배열 형태로 바뀐 결과를 나타낸다.
즉, 도 4에서 설명된 실행 아이콘들(1~9)은 3×3 배열에 할당된 영역마다 가득하게 채워져 있었다. 이런 경우,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더 많은 실행 아이콘, 예컨대 두개의 실행 아이콘 10, 11를 다운로드를 받고자 한다면 도 5에서와 같이 4×4 배열로 설정된 다음, 다운로드된 실행 아이콘 10과 11를 각각 4×4 배열 중 3행 2열과 3행 3열에 재배치하게 된다. 도 4의 3×3 배열에서 배치된 실행 아이콘들(1~9)은 도 5에서는 4×4 배열의 순서에 맞게 재배치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아울러, 도 4 및 도 5를 통하여 알 수 있는 것은 화면 내(310)의 전체 영역(320)의 크기는 변함이 없으나 배열의 증가에 따른 영역의 크기와 그 안에 존재하는 실행 아이콘의 크기가 작게 되었다라는 것이다. 이를 통해서, 본 실시예에서는 추가하여 다운로드된 실행 아이콘을 한 화면내에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적인 실행 아이콘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하는 장점을 가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실행 아이콘의 이동 조절 예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행 아이콘의 이동 조절 방법을 이동 단말기에서 수행한 결과를 일례로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300)는 도 5에서 설명된 이동 단말기(300)를 다시 나타내어 도 3에서 설명된 실행 아이콘의 이동 조절 을 수행한 결과를 일례로 보여준다. 즉, 이동 단말기(300)의 화면내(310)의 1행 4열에 배치된 실행 아이콘 4는 도 3에서 설명된 실행 아이콘의 이동 조절 단계(S220)를 수행한 결과로서 4행 4열의 빈 영역(324)으로 이동되어 배치되어짐을 보여준다. 이와는 다르게 실행 아이콘 4가 실행 아이콘 8과 뒤바뀌어 배치되는 형태도 가능하다.
실행 아이콘의 크기 조절 예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행 아이콘의 크기 조절 방법을 이동 단말기에서 수행한 결과를 일례로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는 도 5에서 설명된 이동 단말기(300)를 다시 나타내어 도 3에서 설명된 실행 아이콘의 이동 조절을 수행한 결과를 일례로서 보여준다. 즉, 이동 단말기(300)의 화면 내(310)의 1행 1열에 배치된 실행 아이콘 1은 도 3에서 설명된 실행 아이콘의 이동 조절 단계(S230)를 수행한 결과로서 사용자에 의해 모서리 영역(330)이 터치된 후, 드래그(340)되어 이웃하고 있는 1행 2열, 2행 1열 및 2행 2열의 영역까지 확장될 수 있게된다. 그러나, 1행 2열, 2행 1열 및 2행 2열의 영역까지 확장되는 실행 아이콘 1은 1행 2열(327), 2행 1열(325) 및 2행 2열(326)의 영역의 중간 지점까지만 확장될 수도 있다. 아울러, 실행 아이콘의 축소 및 확대 변경이 가능한 경우에는 1행 1열에 있는 실행 아이콘 1을 1행 2열(327)로 크기를 조절하여 배치할 수도 있다.
실행 아이콘의 조절 방법을 적용한 이동 단말기 예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행 아이콘의 배치, 크기 및 이동을 조절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300)는 시각적인 화면 내에서 다운로드된 실행 아이콘의 배치, 이동 및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터치 스크린 인터페이스 기반의 이동 단말기로서, 배열 설정 모듈(350), 아이콘 배치 모듈(352), 배열 재설정 모듈(354), 아이콘 재배치 모듈(356), 아이콘 이동 조절 모듈(358), 아이콘 크기 조절 모듈(360), 제어 모듈(362) 및 통신 모듈(36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배열 설정 모듈(350)은 어플리케이션 표시 화면을 임의의 가로×세로 배열로 구분하여 설정하는 역할을 하고, 아이콘 배치 모듈(352)은 가로×세로 배열 중 각 할당된 영역에 사용자에 의해 다운로드된 실행 아이콘을 배치하는 역할을 하며, 배열 재설정 모듈(354)은 가로×세로 배열의 각 영역에 배치되는 실행 아이콘의 초과 여부를 확인하여 초과할 경우, 아이콘 배치 설정 모듈(354)에서 설정된 가로×세로 배열을 하나씩 더 증가시켜 배열을 재설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아이콘 재배치 모듈(356)은 배열 재설정 모듈(354)의 초과 여부 확인에 의한 초과된 시점 후에 다운로드된 실행 아이콘을 임시로 저장하고 있다가 재설정된 배열의 빈자리 영역에 배치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배열 재설정 및 아이콘의 재배치는 기설정된 배열의 최대값까지 반복하여 수행되며, 이 결과로 재설정된 배열에 할당된 영역을 그 이전에 설정된 배열의 영역보다 크기를 작게하여 표시할 수 있게 되며, 작아진 영역에 배치되는 실행 아이콘의 크기도 또한 작게하여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실행 아이콘의 크기와 재설정된 배열의 크기는 반복 횟수에 상응하여 계속해서 작게 표시하게 됨으로써, 한 화면 내에 다운로드된 모든 실행 아이콘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아이콘 이동 조절 모듈(358)은 아이콘 배치 모듈(352) 및 아이콘 재배치 모듈(356)에 의해 표시된 배열 중 임의의 배열에 할당된 영역을 제1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제1 영역과 인접 또는 멀리 떨어진 영역을 제2 영역으로 구분할 때, 제1 영역에 배치된 실행 아이콘이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후, 드래그되어 제2 영역으로 옮기고자 할 경우, 상기 터치와 드래그에 의해 발생된 신호에 감응하여 제1 영역에 배치된 실행 아이콘을 제2 영역에 배치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의 아이콘 크기 조절 모듈(360)은 아이콘 배치 모듈(352) 및 아이콘 재배치 모듈(356)에 의해 표시된 배열 중 임의의 배열에 할당된 영역을 제3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제3 영역과 인접되는 영역을 제4 영역으로 구분할 때, 제3 영역에 배치된 실행 아이콘을 사용자에 의해 모서리 영역이 터치된 후, 드래그되어 제4 영역으로 확장하고자 할 경우, 상기 터치와 드래그에 의해 발생된 신호에 감응하여 제3 영역에 배치된 실행 아이콘의 크기를 제4 영역에까지 확장하여 배치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각 모듈에서 구현된 기능들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300A)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300A)는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적인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코드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장치 또는 매체라면 어느 것이라도 가능하며, 캐쉬, 메인 메모리 및 보조 기억장치(secondary memory)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메모리 계층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계층구조는 RAM(예를 들어, SRAM, DRAM, DDRAM), ROM, FLASH, 자기 및/또는 광 저장 장치[디스크 드라이브, 자기 테이프, CD(compact disk) 및 DVD(digital video disc) 등]의 임의의 조합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컴퓨터 명령어 또는 데이터를 나타내는 정보-전달 신호(information-bearing signal)를 나르는 전송 매체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송 매체는 인터넷[월드 와이드 웹(World Wide Web)이라고도 함], 인트라넷(들), LAN(Local Area Network), WLAN(Wide Local Area Network), SAN(Storage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통신 모듈(362)은 이상에서 설명된 각 모듈과 이후에 설명될 제어기(370), I/O 인터페이스(380) 및 터치 화면(390)과 외부의 각 장치 간에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제어기(370)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300A), I/O 인터페이스(380) 및 터치 화면(390) 간에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300A)에 저장된 배열 설정 모듈(350), 아이콘 배치 모듈(352), 배열 재설정 모듈(354), 아이콘 재배치 모듈(356), 아이콘 이동 조절 모듈(358) 및 아이콘 크기 조절 모듈(360)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제어로 배열 설정 모듈(350), 아이콘 배치 모듈(352), 배열 재설정 모듈(354), 아이콘 재배치 모듈(356), 아이콘 이동 조절 모듈(358) 및 아이콘 크기 조절 모듈(360)에서 각각 고유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I/O 인터페이스(380)는 내부의 각 장치간 또는 내부와 외부간에 전송되는 데이터 흐름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적합한 데이터 형태로 포맷 변환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300A)와 터치 화면(390) 사이에 데이터 변환을 위한 입출력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거나,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적합한 데이터 형태로 포맷 변환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기능까지도 포함한다. 이를 위하여,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오디오 장치, 비디오 장치, 프로세서, 입출력 포트 및 RF 회로 등과 연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터치 화면(390)은 무선 인터넷 어플리케이션과 관련한 실행 아이콘, 가상 키보드 등과 같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와 오디오, 비디오 및 텍스트 등과 같은 데이터를 가공하여 제공하고, 사용자의 촉감에 의한 터치 및 드래그 등을 인식하고, 입력 수단에 의한 텍스트 입력 및 터치 등을 인식할 수 있는 하드웨어적인 구성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입력을 인식할 수 있는 감응이 가능한 표면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화면(390)의 예는 도 2 내지 7에서 설명하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300)는 시각적인 화면 내에 다운로드된 실행 아이콘의 배치, 이동 및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방법을 적용하기 위한 하드웨어적인 구성과 해당하는 모듈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한 실행 아이콘의 관리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300 : 이동 단말기 310 : 표시 화면
320 : 배열 영역 330 : 모서리 영역
340 : 드래그 350 : 배열 설정 모듈
352 : 아이콘 배치 모듈 354 : 배열 재설정 모듈
356 : 아이콘 재배치 모듈 358 : 아이콘 이동 조절 모듈
360 : 아이콘 크기 조절 모듈 362 : 통신 모듈
370 : 제어기 380 : I/O 인터페이스
390 : 터치 화면

Claims (10)

  1. 시각적인 화면 내에 다운로드된 실행 아이콘의 배치, 이동 및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어플리케이션 표시 화면을 임의의 가로×세로 배열로 구분하여 설정하는 단계;
    (b) 상기 가로×세로 배열 중 각 할당된 영역에 사용자에 의해 다운로드된 실행 아이콘을 배치하되, 상기 가로×세로 배열의 각 영역에 배치되는 실행 아이콘의 초과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초과 여부 판단에 의해서 초과한 것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a) 단계의 가로×세로 배열을 하나씩 더 증가시켜 배열을 재설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 후, 초과된 시점 후에 다운로드된 실행 아이콘을 임시로 저장하고 있다가 상기 재설정된 배열의 빈자리 영역에 배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행 아이콘의 조절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e) 상기 재설정된 배열 및 설정된 배열에 할당된 임의의 제1 영역에 배치된 실행 아이콘을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후, 드래그되어 임의의 제2 영역으로 옮기고자 할 경우, 상기 터치와 드래그에 의해 발생된 신호에 감응하여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된 실행 아이콘을 제2 영역에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상기 실행 아이콘의 조절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f) 상기 재설정된 배열 및 설정된 배열에 할당된 임의의 제3 영역에 배치된 실행 아이콘을 사용자에 의해 모서리 영역이 터치된 후, 드래그되어 이웃하고 있는 제4 영역으로 확장하고자 할 경우, 상기 터치와 드래그에 의해 발생된 신호에 감응하여 상기 제3 영역에 배치된 실행 아이콘의 크기를 제4 영역에까지 확장하여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상기 실행 아이콘의 조절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재설정된 배열에 할당된 영역은 상기 (a) 단계에서 설정된 배열의 영역보다 크기를 작게하여 화면 내에 표시되고,
    상기 작아진 영역에 배치되는 실행 아이콘은 상기 (a) 단계의 실행 아이콘보다 크기를 작게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실행 아이콘의 조절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가 반복 수행되면, 각 재설정된 배열과 다운로드된 실행 아이콘의 크기가 계속해서 작게하여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실행 아이콘의 조절 방법.
  6. 시각적인 화면 내에서 다운로드된 실행 아이콘의 배치, 이동 및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터치 스크린 인터페이스 기반의 이동 단말기로서,
    어플리케이션 표시 화면을 임의의 가로×세로 배열로 구분하여 설정하는 배열 설정 모듈;
    상기 가로×세로 배열 중 각 할당된 영역에 사용자에 의해 다운로드된 실행 아이콘을 배치하는 아이콘 배치 모듈;
    상기 가로×세로 배열의 각 영역에 배치되는 실행 아이콘의 초과 여부를 확인하여 초과할 경우, 상기 아이콘 배치 설정 모듈에서 설정된 가로×세로 배열을 하나씩 더 증가시켜 배열을 재설정하는 배열 재설정 모듈; 및
    상기 초과 여부 확인에 의한 초과된 시점 후에 다운로드된 실행 아이콘을 임시로 저장하고 있다가 상기 재설정된 배열의 빈자리 영역에 배치하는 아이콘 재배치 모듈;
    을 포함하여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 배치 모듈 및 아이콘 재배치 모듈에 의해 표시된 배열 중 임의의 배열에 할당된 영역을 제1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제1 영역과 인접 또는 멀리 떨어진 영역을 제2 영역으로 구분할 때,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된 실행 아이콘을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후, 드래그되어 상기 제2 영역으로 옮기고자 할 경우, 상기 터치와 드래그에 의해 발생된 신호에 감응하여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된 실행 아이콘을 제2 영역에 배치하는 아이콘 이동 조절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이동 단말기.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 배치 모듈 및 아이콘 재배치 모듈에 의해 표시된 배열 중 임의의 배열에 할당된 영역을 제3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제3 영역과 인접되는 영역을 제4 영역으로 구분할 때,
    상기 제3 영역에 배치된 실행 아이콘을 사용자에 의해 모서리 영역이 터치된 후, 드래그되어 상기 제4 영역으로 확장하고자 할 경우, 상기 터치와 드래그에 의해 발생된 신호에 감응하여 상기 제3 영역에 배치된 실행 아이콘의 크기를 제4 영역에까지 확장하여 배치하는 아이콘 크기 조절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이동 단말기.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배열 재설정 모듈은, 상기 재설정된 배열에 할당된 영역을 그 이전에 설정된 배열의 영역보다 크기를 작게하여 표시하고,
    이럴 경우 상기 아이콘 재배치 모듈은 상기와 같이 작아진 영역에 배치되는 실행 아이콘의 크기도 또한 작게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이동 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배열 재설정 모듈과 아이콘 재배치 모듈은,
    상기 배열을 하나씩 증가시켜 재설정할 때마다 배열의 영역 크기와 추가로 다운로드된 실행 아이콘의 크기를 반복하여 작게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이동 단말기.
KR1020100107907A 2010-11-02 2010-11-02 실행 아이콘의 조절 방법 및 그를 적용한 이동 단말기 KR1012083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7907A KR101208309B1 (ko) 2010-11-02 2010-11-02 실행 아이콘의 조절 방법 및 그를 적용한 이동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7907A KR101208309B1 (ko) 2010-11-02 2010-11-02 실행 아이콘의 조절 방법 및 그를 적용한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6334A true KR20120046334A (ko) 2012-05-10
KR101208309B1 KR101208309B1 (ko) 2012-12-05

Family

ID=46265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7907A KR101208309B1 (ko) 2010-11-02 2010-11-02 실행 아이콘의 조절 방법 및 그를 적용한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830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49895A (zh) * 2013-01-28 2014-03-19 华为终端有限公司 图标显示的调整方法和终端
CN107765984A (zh) * 2017-10-26 2018-03-06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调节操作对象间距的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0387014B2 (en) 2013-02-22 2019-08-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for controlling icons displayed on touch screen and method theref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43467A (zh) * 2016-03-17 2016-08-10 北京麒麟合盛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图标展示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61918A (ja) * 2001-03-02 2002-09-13 Hitachi Ltd 携帯電話機
JP2005275034A (ja) * 2004-03-25 2005-10-06 Canon Inc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49895A (zh) * 2013-01-28 2014-03-19 华为终端有限公司 图标显示的调整方法和终端
US10387014B2 (en) 2013-02-22 2019-08-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for controlling icons displayed on touch screen and method therefor
CN107765984A (zh) * 2017-10-26 2018-03-06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调节操作对象间距的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8309B1 (ko) 201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15433B2 (ja) タイルの配列
US6970749B1 (en) Grouped palette stashing
US971014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capable of intuitively editing and browsing folder
JP5614784B2 (ja) 携帯端末機のホームスクリーンのためのページ編集方法及びホームスクリーンを備える携帯端末機
EP2987068B1 (en) Method for adjusting display area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1720849B1 (ko) 터치 스크린 호버 입력 핸들링
KR101528660B1 (ko) 편집 인터페이스
CN101192129B (zh) 一种控制桌面背景的方法及装置
US8780134B2 (en) Access to control of multiple editing effects
US10747391B2 (en) Method and device for executing applications through application selection screen
EP221126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a characteristics of a multimedia item
US11662876B2 (en) Tool for arranging objects and adjusting spacing in a layout
CN106662965A (zh) 应用窗口的基于区的大小调整和定位
KR20200043325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06500685A (ja) 触覚改良画像機能を備えた対話型装置およびその方法
CN111443863A (zh) 页面操控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US20080123897A1 (en) Apparatus for simultaneously storing area selected in image and apparatus for creating an image file by automatically recording image information
JP2014529140A (ja) 装置の境界エリアの減少
US10133454B2 (en) Stackable pagination indicators
KR101208309B1 (ko) 실행 아이콘의 조절 방법 및 그를 적용한 이동 단말기
JP2012008686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TW201324312A (zh) 具有觸摸屏的電子設備及其頁面處理方法
CN109032455B (zh) 一种菜单显示的方法和装置
KR102031104B1 (ko)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 및 웹 브라우저 표시 방법
KR20080011804A (ko) 동적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