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5982A - 터치 형태 추적 기반의 알파벳 입력 방법 - Google Patents

터치 형태 추적 기반의 알파벳 입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5982A
KR20120045982A KR1020100117840A KR20100117840A KR20120045982A KR 20120045982 A KR20120045982 A KR 20120045982A KR 1020100117840 A KR1020100117840 A KR 1020100117840A KR 20100117840 A KR20100117840 A KR 20100117840A KR 20120045982 A KR20120045982 A KR 201200459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phabet
alphabets
input
display
t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7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영호
정구민
여종윤
강동병
신성훈
Original Assignee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20045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59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1Circuits for selecting or indicating operating mode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 형태 추적 기반의 알파벳 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 o, z, v, i와 같은 기준 알파벳을 가운데 위치시키고 가운데 위치한 알파벳과 유사한 모양의 알파벳을 주변에 배치시켜 터치 입력을 통해 영문자를 입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간단한 터치 입력으로 영문자를 쉽게 입력할 수 있다.

Description

터치 형태 추적 기반의 알파벳 입력 방법{Method for Inputting Alphabet based on tracking Touch Shape}
본 발명은 터치 형태 추적 기반의 알파벳 이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터치 폰에서 영문을 효율적으로 입력하기 위한 터치 형태 추적 기반의 알파벳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기능 및 데이터를 지정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그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무선 인터넷 등과 같은 복잡한 기능을 갖추게 되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이러한 멀티미디어 기기의 형태로 구현된 휴대 단말기에 의해 다양한 부가 기능이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부가 기능이 제공됨에 따라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영문을 입력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영문 입력은 키패드를 이용하여 알파벳을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o, z, v, i와 같은 기준 알파벳을 가운데 위치시키고 가운데 위치한 알파벳과 유사한 모양의 알파벳을 주변에 배치시켜 터치 입력을 통해 영문자를 입력하는 터치 형태 추적 기반의 알파벳 입력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형태 추적 기반의 알파벳 입력 방법은, 표시 영역을 네 개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각각 기준 알파벳을 할당하고, 분할된 네 개의 각 영역에 기준 알파벳을 중심으로 복수의 알파벳을 할당하는 단계, 분할된 네 개의 영역 각각에 할당된 알파벳들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표시된 알파벳들 중 기준 알파벳에서 푸쉬(push) 이벤트가 발생하면, 푸쉬 이벤트가 발생한 좌표와, 기준 알파벳을 시작으로 한 특정 방향으로의 터치 후 릴리즈(release) 이벤트가 발생한 좌표를 비교하여 손가락의 이동방향을 체크하는 단계 및 기준 알파벳과 체크된 이동방향에 기초하여, 화면에 표시된 알파벳들 중 어느 하나의 알파벳을 선택하고, 선택된 알파벳에 대한 입력으로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알파벳 할당 단계는, 분할된 네 개의 각 영역에 해당 영역의 기준 알파벳과 유사한 형태의 알파벳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알파벳 할당 단계는, 표시 영역에서 네 개로 분할된 영역 중 제1 표시 영역에 제1 기준 알파벳으로 o를 할당하고, 제1 기준 알파벳과 형태가 유사한 여덟 개의 알파벳을 제1 그룹으로 하여 제1 표시 영역에 할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알파벳 할당 단계는, 표시 영역에서 네 개로 분할된 영역 중 제2 표시 영역에 제2 기준 알파벳으로 i를 할당하고, 제2 기준 알파벳과 형태가 유사한 일곱 개의 알파벳을 제2 그룹으로 하여 제2 표시 영역에 할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알파벳 할당 단계는, 표시 영역에 네 개로 분할된 표시 영역 중 제3 표시 영역에 제3 기준 알파벳으로 v를 할당하고, 제3 기준 알파벳과 형태가 유사한 다섯 개의 알파벳을 제3 그룹으로 하여 제3 표시 영역에 할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알파벳 할당 단계는, 제1 내지 제3 그룹에 포함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알파벳을 제4 그룹으로 하여 제4 표시 영역에 할당하며, 제4 그룹의 기준 알파벳인 제4 기준 알파벳에 z를 할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선택된 알파벳 입력으로 인식하는 단계 이후에, 선택된 알파벳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o, z, v, i와 같은 기준 알파벳을 가운데 위치시키고 가운데 위치한 알파벳과 유사한 모양의 알파벳을 주변에 배치시켜 터치 입력을 통해 영문자를 입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간단한 터치 입력으로 영문자를 쉽게 입력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원터치 방식으로 입력이 편리하고, 형태를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가 기억하기 용이하며, 별도의 키패드 화면이 필요하지 않아 표시 영역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형태 추적 기반의 알파벳 입력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영역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준 알파벳이 o인 경우, 알파벳 그룹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준 알파벳이 z인 경우, 알파벳 그룹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준 알파벳이 v인 경우, 알파벳 그룹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준 알파벳이 i인 경우, 알파벳 그룹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영문이 입력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형태 추적 기반의 알파벳 입력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형태 추적 기반의 알파벳 입력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형태 추적 기반의 알파벳 입력 장치는 휴대 단말기로 구비될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형태 추적 기반의 알파벳 입력 장치가 휴대 단말기로 구비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휴대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조작부(120), 인터페이스부(130), 저장부(140), 디스플레이부(150), 전원 공급부(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수신 모듈,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및 GPS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다. 이때,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 방송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나,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은 휴대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조작부(12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조작부(12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핑거 마우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50)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외부기기의 예로는,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과 같은 카드 소켓, 오디오 I/O(Input/Output) 단자, 비디오 I/O(Input/Output) 단자, 이어폰 등이 있다. 인터페이스부(130)는 이러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할 수 있고,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0)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되거나 수신된 영상 을 각각 혹은 동시에 표시할 수 있으며, UI, GUI를 표시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영역(202, 202, 204)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0)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0)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만일, 디스플레이부(150)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터치 스크린 패널, 터치 스크린 패널 제어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 패널은 외부에 부착되는 투명한 패널로서, 휴대 단말기 내부의 버스에 연결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패널은 접촉 결과를 주시하고 있다가, 터치입력이 있는 경우 대응하는 신호들을 터치 스크린 패널 제어기로 보낸다. 터치 스크린 패널 제어기는 그 신호들을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70)로 전송하여, 제어부(170)가 터치입력이 있었는지 여부와 터치스크린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0)가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와 내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통상적으로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특히, 제어부(170)는 표시 영역을 네 개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각각 기준 알파벳을 할당하고, 분할된 네 개의 각 영역에 기준 알파벳을 중심으로 복수의 알파벳을 할당하고, 분할된 네 개의 영역 각각에 할당된 알파벳들을 화면에 표시하도록 하고, 표시된 알파벳들 중 기준 알파벳에서 푸쉬(push) 이벤트가 발생하면, 푸쉬 이벤트가 발생한 좌표와, 기준 알파벳을 시작으로 한 특정 방향으로의 터치 후 릴리즈(release) 이벤트가 발생한 좌표를 비교하여 손가락의 이동방향을 체크하며, 기준 알파벳과 체크된 이동방향에 기초하여, 화면에 표시된 알파벳들 중 어느 하나의 알파벳을 선택하고, 선택된 알파벳에 대한 입력으로 인식한다. 이때, 제어부(170)는 분할된 네 개의 각 영역에 해당 영역의 기준 알파벳과 유사한 형태의 알파벳을 배치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기준 알파벳을 중심으로 8방으로 선을 긋거나 대칭 이동하여 형성할 수 있는 알파벳들을, 기준 알파벳을 중심으로 적소에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표시 영역에서 네 개로 분할된 영역 중 제1 표시 영역에 제1 기준 알파벳으로 o를 할당하고, 제1 기준 알파벳과 형태가 유사한 여덟 개의 알파벳을 제1 그룹으로 하여 제1 표시 영역에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표시 영역에서 네 개로 분할된 영역 중 제2 표시 영역에 제2 기준 알파벳으로 i를 할당하고, 제2 기준 알파벳과 형태가 유사한 일곱 개의 알파벳을 제2 그룹으로 하여 제2 표시 영역에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표시 영역에 네 개로 분할된 표시 영역 중 제3 표시 영역에 제3 기준 알파벳으로 v를 할당하고, 제3 기준 알파벳과 형태가 유사한 다섯 개의 알파벳을 제3 그룹으로 하여 제3 표시 영역에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제1 내지 제3 그룹에 포함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알파벳을 제4 그룹으로 하여 제4 표시 영역에 할당하며, 제4 그룹의 기준 알파벳인 제4 기준 알파벳에 z를 할당할 수 있다.
그리고, 전원 공급부(16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준 알파벳이 o인 경우, 알파벳 그룹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준 알파벳이 z인 경우, 알파벳 그룹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준 알파벳이 v인 경우, 알파벳 그룹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준 알파벳이 i인 경우, 알파벳 그룹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형태 추적 기반의 알파벳 입력 장치는 o를 기준 알파벳으로 하고, o와 형태가 비슷한 알파벳(b, e, d, c, a, q, p, g)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할당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형태 추적 기반의 알파벳 입력 장치는 z를 기준 알파벳으로 하고, 타 그룹에 속하지 않는 알파벳들(s, m)과 기능문자(clr, space)를 하나의 그룹으로 할당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형태 추적 기반의 알파벳 입력 장치는 v를 기준 알파벳으로 하고, v와 형태가 비슷하거나 대칭 이동하여 형성할 수 있는 알파벳(u, r, w, n, x)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할당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형태 추적 기반의 알파벳 입력 장치는 i를 기준 알파벳으로 하고, i와 형태가 비슷한 알파벳(y, l, f, t, k, j, p, h)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할당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영문이 입력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c가 입력되는 과정(702)은 기준 알파벳인 o로부터 왼쪽 방향으로의 터치 입력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c의 입력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y가 입력되는 과정(704)은 기준 알파벳인 i로부터 좌측 상단 방향으로의 터치 입력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y의 입력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o가 입력되는 과정(706)은 기준 알파벳인 o가 선택됨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o의 입력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v가 입력되는 과정(708)은 기준 알파벳인 v로부터 좌측 하단 방향으로의 터치 입력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n의 입력으로 인식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형태 추적 기반의 알파벳 입력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형태 추적 기반의 알파벳 입력 장치는 표시 영역을 네 개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각각 기준 알파벳을 할당하고, 분할된 네 개의 각 영역에 기준 알파벳을 중심으로 복수의 알파벳을 할당한다(S802). 이때, 분할된 네 개의 각 영역에 해당 영역의 기준 알파벳과 유사한 형태의 알파벳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표시 영역에서 네 개로 분할된 영역 중 제1 표시 영역에 제1 기준 알파벳으로 o를 할당하고, 제1 기준 알파벳과 형태가 유사한 여덟 개의 알파벳을 제1 그룹으로 하여 제1 표시 영역에 할당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영역에서 네 개로 분할된 영역 중 제2 표시 영역에 제2 기준 알파벳으로 i를 할당하고, 제2 기준 알파벳과 형태가 유사한 일곱 개의 알파벳을 제2 그룹으로 하여 제2 표시 영역에 할당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영역에 네 개로 분할된 표시 영역 중 제3 표시 영역에 제3 기준 알파벳으로 v를 할당하고, 제3 기준 알파벳과 형태가 유사한 다섯 개의 알파벳을 제3 그룹으로 하여 제3 표시 영역에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3 그룹에 포함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알파벳을 제4 그룹으로 하여 제4 표시 영역에 할당하며, 제4 그룹의 기준 알파벳인 제4 기준 알파벳에 z를 할당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형태 추적 기반의 알파벳 입력 장치는 분할된 네 개의 영역 각각에 할당된 알파벳들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S804).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형태 추적 기반의 알파벳 입력 장치는 표시된 알파벳들 중 기준 알파벳에서 푸쉬(push) 이벤트가 발생하면(S806), 푸쉬 이벤트가 발생한 좌표와, 기준 알파벳을 시작으로 한 특정 방향으로의 터치 후 릴리즈(release) 이벤트가 발생한 좌표를 비교하여 손가락의 이동방향을 체크한다(S808).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형태 추적 기반의 알파벳 입력 장치는 기준 알파벳과 체크된 이동방향에 기초하여, 화면에 표시된 알파벳들 중 어느 하나의 알파벳을 선택하고, 선택된 알파벳에 대한 입력으로 인식한다(S810).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형태 추적 기반의 알파벳 입력 장치는 선택된 알파벳 입력으로 인식한 후에, 선택된 알파벳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상으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표시 영역을 네 개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각각 기준 알파벳을 할당하고, 상기 분할된 네 개의 각 영역에 기준 알파벳을 중심으로 복수의 알파벳을 할당하는 단계;
    상기 분할된 네 개의 영역 각각에 할당된 알파벳들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알파벳들 중 기준 알파벳에서 푸쉬(push)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푸쉬 이벤트가 발생한 좌표와, 상기 기준 알파벳을 시작으로 한 특정 방향으로의 터치 후 릴리즈(release) 이벤트가 발생한 좌표를 비교하여 손가락의 이동방향을 체크하는 단계; 및
    상기 기준 알파벳과 상기 체크된 이동방향에 기초하여, 화면에 표시된 알파벳들 중 어느 하나의 알파벳을 선택하고, 선택된 알파벳에 대한 입력으로 인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터치 형태 추적 기반의 알파벳 입력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알파벳 할당 단계는, 상기 분할된 네 개의 각 영역에 해당 영역의 기준 알파벳과 유사한 형태의 알파벳을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형태 추적 기반의 알파벳 입력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알파벳 할당 단계는, 표시 영역에서 네 개로 분할된 영역 중 제1 표시 영역에 제1 기준 알파벳으로 o를 할당하고, 상기 제1 기준 알파벳과 형태가 유사한 여덟 개의 알파벳을 제1 그룹으로 하여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형태 추적 기반의 알파벳 입력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알파벳 할당 단계는, 표시 영역에서 네 개로 분할된 영역 중 제2 표시 영역에 제2 기준 알파벳으로 i를 할당하고, 상기 제2 기준 알파벳과 형태가 유사한 일곱 개의 알파벳을 제2 그룹으로 하여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형태 추적 기반의 알파벳 입력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알파벳 할당 단계는, 표시 영역에 네 개로 분할된 표시 영역 중 제3 표시 영역에 제3 기준 알파벳으로 v를 할당하고, 상기 제3 기준 알파벳과 형태가 유사한 다섯 개의 알파벳을 제3 그룹으로 하여 상기 제3 표시 영역에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형태 추적 기반의 알파벳 입력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알파벳 할당 단계는, 상기 제1 내지 제3 그룹에 포함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알파벳을 제4 그룹으로 하여 제4 표시 영역에 할당하며, 상기 제4 그룹의 기준 알파벳인 제4 기준 알파벳에 z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형태 추적 기반의 알파벳 입력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알파벳 입력으로 인식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선택된 알파벳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형태 추적 기반의 알파벳 입력 방법.
KR1020100117840A 2010-10-29 2010-11-25 터치 형태 추적 기반의 알파벳 입력 방법 KR201200459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07036 2010-10-29
KR1020100107036 2010-10-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5982A true KR20120045982A (ko) 2012-05-09

Family

ID=46265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7840A KR20120045982A (ko) 2010-10-29 2010-11-25 터치 형태 추적 기반의 알파벳 입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4598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2881B1 (ko) 2015-03-24 2016-08-31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터치 환경에서의 피커를 이용한 영문 입력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2881B1 (ko) 2015-03-24 2016-08-31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터치 환경에서의 피커를 이용한 영문 입력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33688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1204684B2 (en) Sticker presenta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KR101695818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가상 키 패드 제어 방법
US10402592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EP2615852A2 (en) Terminal having plural audio signal output ports and audio signal output method thereof
US20160350527A1 (en) Password Creating Method And Device
CN103854298A (zh) 一种图片与二维码融合的方法及终端
KR20150069801A (ko) 화면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20140282204A1 (en) Key input method and apparatus using random number in virtual keyboard
CN105306625A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JP2018032329A (ja) 表示方法、情報処理端末およびプログラム
CN105577913B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CN111461985A (zh) 图片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08196752B (zh) 一种显示方法及终端设备
CN112463016B (zh) 显示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穿戴显示设备
JP6612799B2 (ja) 電子機器、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KR20220053643A (ko) 송신전 감지(lbt) 부대역 분할 방법, 장치, 장비 및 매체
US10331334B2 (en) Multiple transparent annotation layers for use within a graphical user interface
KR20120045982A (ko) 터치 형태 추적 기반의 알파벳 입력 방법
CN105373317A (zh) 一种移动终端及信息处理方法
CN104777981A (zh) 信息快速分享方法及装置
WO2021083057A1 (zh) 图片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US9696817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keyboard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06201398A (zh) 一种显示方法及电子设备
CN106569682A (zh) 触摸屏显示内容选择装置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