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5839A - Start switch for vehicle - Google Patents

Start switch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5839A
KR20120045839A KR1020100107665A KR20100107665A KR20120045839A KR 20120045839 A KR20120045839 A KR 20120045839A KR 1020100107665 A KR1020100107665 A KR 1020100107665A KR 20100107665 A KR20100107665 A KR 20100107665A KR 20120045839 A KR20120045839 A KR 201200458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case
indicator
illumination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76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44012B1 (en
Inventor
임성원
Original Assignee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7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4012B1/en
Publication of KR20120045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583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4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401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10Safety devices
    • F02N11/101Safety devices for preventing engine starter actuation or enga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PURPOSE: A start switch device for vehicles is provided for users to recognize a present operation state of a button unit because each operation state of a lighting lamp is changed according to an operation state of the button unit. CONSTITUTION: A start switch device for vehicles comprises a case(200), PCB(600) and a button unit(300). The case is installed inside a protective housing(100). The PCB is placed inside the case. A first and second lamp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PCB. The button unit protruded upward from the case is operated with a push button type by a user The button unit has a button knob(310) and a button indicator(320). The light of the first lamp is emitted through the button knob. The light of the second lamp is emitted through the button indicator. The button indicator connected to the button knob operates with the button knob.

Description

차량용 스타트 스위치 장치{Start Switch for Vehicle}Start Switch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스타트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에 의해 누름 조작되는 버튼부를 버튼 노브와 버튼 인디케이터로 분리 형성하고, 버튼 노브와 버튼 인디케이터로 각각 조명광이 출사될 수 있도록 2개의 조명 램프를 구비함으로써, 버튼부의 조작 상태에 따라 각 조명 램프의 동작 상태를 다양하게 조합 변경하여 버튼부의 현재 조작 상태가 사용자에게 명확하고 용이하게 인식될 수 있도록 하고, 각 조명 램프의 조명광에 대한 누광이 방지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버튼 노브와 버튼 인디케이터를 통해 출사되는 조명광의 누광이 방지되어 더욱 선명하고 정확한 조명 동작 상태를 제공할 수 있고, 스위치 장치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유입되는 수분이 케이스 내부의 부품으로 흘러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분 노출에 대한 안전성 및 보호 기능을 강화한 차량용 스타트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rt switch device for a vehicle. In more detail, the button portion to be pressed by the user is formed by separating the button knob and the button indicator, and provided with two illumination lamps so that the illumination light can be emitted to the button knob and the button indicator, respectively, By chang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lighting lamps in various combinations, the current operation state of the button unit can be clearly and easily recognized by the user, and the light leakage of the illumination light of each lighting lamp is prevented, so that the button knob and the button indicator Leakage of the emitted illumination light can be prevented to provide a clearer and more accurate lighting operation state, and to prevent the water flowing into the components inside the case from flowing from the outside of the switch device to the parts inside the case. Automotive start with increased safety and protection It relates to location apparatus.

자동차 등의 차량에는, 이동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넘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편안한 주행 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편의 수단으로서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차량에는 다양한 편의 시설과 이를 작동 및 제어하기 위한 각종 스위치들이 구비된다. BACKGROUND ART A vehicle such as an automobile has a function as a variety of convenience means for enabling a user to provide a more stable and comfortable running state beyond a function as a moving means. Accordingly, the vehicle is equipped with various convenience facilities and various switche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the same.

최근에는 운전자의 편의성을 보강하기 위한 장치로 전자인증방식을 통해 차량을 운행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키 시스템이 차량에 널리 장착되고 있는 추세인데, 이러한 추세에 따라 차량의 스티어링 휠 하부에 장착된 스타트 스위치 장치 또한 기존의 키를 이용한 방식이 아니라 단순히 누름 버튼 타입의 스타트 스위치 장치가 널리 적용되고 있다.Recently, as a device for reinforcing the driver's convenience, the smart key system that enables the vehicle to be operated through the electronic authentication method has been widely installed in the vehicle, and according to this trend, the start switch mounted under the steering wheel of the vehicle The device is also widely used as a push button type start switch device, rather than using a conventional key.

이러한 스타트 스위치 장치는 차량의 엔진 시동 대기 상태(ACC/ON) 또는 엔진 시동 상태(START)를 가능하게 하는 스위치 장치로서, 차량의 전장 부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 및 차량의 엔진을 작동시키는 기능 등을 수행한다. 따라서, 스타트 스위치 장치는 중요한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운전자의 사용 빈도수가 매우 높기 때문에, 그 편의성 및 내구성, 정확성 등이 고도로 요구된다 할 것이다.The start switch device is a switch device which enables the engine start standby state (ACC / ON) or the engine start state (START) of the vehicle, and provides a function of supplying power to the electrical components of the vehicle and operating the engine of the vehicle. Do this. Therefore, the start switch device not only performs an important function but also has a high frequency of use of the driver, and therefore, convenience, durability, accuracy, etc. will be highly demanded.

한편, 최근 차량에 사용되는 다양한 스위치 장치에는 운전자 내지 탑승자의 조작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스위치 장치의 내부에 조명 램프를 구비하는 구조를 취한다. 예를 들면,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 또는 센터페시아 등에 장착된 시트 열선 기능의 스위치를 온/오프시키는 경우, 이에 따라 스위치 장치의 내부에 구비되는 조명 램프도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즉, 시트 열선 스위치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 스위치 장치의 내부에 구비되는 램프가 작동하며 운전자 또는 탑승자에게 해당 스위치 장치의 온/오프 상태가 인식되도록 구성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various switch devices used in vehicles have a structure including lighting lamps inside the switch device in order to increase the operability of the driver or the passenger. For example, when the driver turns on / off the switch of the seat heating function mounted on the steering wheel or the center fascia, the lighting lamp provided inside the switch device is also configured to operate accordingly. That is, the lamp provided inside the switch device operates according to the on / off state of the seat heating switch and is configured to recognize the on / off state of the switch device to a driver or a passenger.

이러한 경향에 따라 스타트 스위치 장치에도 그 내부에 조명 램프가 구비되어 스타트 스위치 장치의 조작 상태에 따라 조명 램프가 작동하며 스타트 스위치 장치의 동작 상태가 운전자에게 인식되도록 구성되고 있다. According to this tendency, the start switch device is also provided with a lighting lamp therein, the lighting lamp operates according to the operating state of the start switch device, and the operating state of the start switch device is configured to be recognized by the driver.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스타트 스위치 장치는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조작하는 버튼부의 심벌 문자 부분에만 조명광이 출사되도록 구성되거나 별도의 인디케이터 기능 없이 버튼부 전체를 통해 조명광이 출사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스타트 스위치 장치의 현재 동작 상태, 예를 들면, 엔진 시동 대기 상태(ACC/ON) 또는 엔진 시동 상태(START) 등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없어서, 운전자가 스타트 스위치 장치를 잘못 조작하거나 반복 조작하는 등의 조작 실수를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별도의 인디케이터 조명을 활용하여 스타트 스위치 장치의 동작 상태를 조명 상태를 통해 구별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경우에도, 버튼부의 심벌 문자 부분에 출사되는 조명광과 인디케이터 조명광이 누광에 의해 서로 교차되는 등의 현상이 발생하여 스타트 스위치 장치의 동작 상태가 조명광에 의해 정확하게 구별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스타트 스위치 장치의 사용 빈도 및 기능의 중요성 등을 감안할 때 매우 치명적인 기술적 문제에 해당한다 할 것이다.
However, the start switch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generally configured to emit light only through the symbol character portion of the button portion operated by the user, or in such a manner that the light is emitted through the entire button portion without a separate indicator function. Therefore, the current operating state of the start switch device, for example, the engine start standby state (ACC / ON) or the engine start state START, etc. cannot be easily recognized, so that the driver incorrectly operates or repeatedly operates the start switch device. There is a problem that causes an operation error such as In addition, even when the operation state of the start switch device is distinguished through the illumination state by using a separate indicator light, the phenomenon that the illumination light and the indicator illumination light emitted to the symbol letter portion of the button portion cross each other by leakage Due to this occurrenc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peration state of the start switch device is not accurately distinguished by the illumination light, which is a very fatal technical problem in view of the frequency of use and the importance of the function of the start switch device.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에 의해 누름 조작되는 버튼부를 버튼 노브와 버튼 인디케이터로 분리 형성하고, 버튼 노브와 버튼 인디케이터로 각각 조명광이 출사될 수 있도록 2개의 조명 램프를 구비함으로써, 버튼부의 조작 상태에 따라 각 조명 램프의 동작 상태를 다양하게 조합 변경하여 버튼부의 현재 조작 상태가 사용자에게 명확하고 용이하게 인식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스타트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vent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eparate the button portion to be pushed and operated by the user to the button knob and the button indicator, the illumination light can be emitted to the button knob and the button indicator, respectively By providing two lighting lamps, the vehicle start switch device is provided so that the present operating state of the button unit can be clearly and easily recognized by the user by variously changing the operating state of each lighting lamp according to the operating state of the button unit. It i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 조명 램프의 조명광에 대한 누광을 방지하여 진행 경로가 서로 교차하지 않도록 구성함으로써, 버튼 노브와 버튼 인디케이터를 통해 출사되는 조명광의 누광이 방지되어 더욱 선명하고 정확한 조명 동작 상태를 제공할 수 있는 차량용 스타트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leakage of the illumination light of each lighting lamp so that the traveling path does not cross each other, the leakage of the illumination light emitted through the button knob and the button indicator is prevented more clear and accurate lighting operation state It is to provide a vehicle start switch device that can be provid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위치 장치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유입되는 수분이 케이스 내부의 부품으로 흘러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배수 가이드부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실수 등에 의해 스위치 장치 주변으로 음료 등을 엎지른 경우에도 스위치 장치의 내부 부품에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분 노출에 대한 안전성 및 보호 기능을 강화한 차량용 스타트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ain guide to prevent the water flowing into the interior of the case from the outside of the switch device, when the beverage spilled around the switch device due to a user mistake, etc. Edo prevents the inflow of moisture into the internal parts of the switch device to provide a vehicle start switch device with enhanced safety and protection against water exposure.

본 발명은, 보호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며 일면에 제 1 및 제 2 조명 램프가 장착되는 PCB 기판; 및 사용자에 의해 누름 버튼 방식으로 조작되도록 상기 케이스로부터 상향 돌출되게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며 상기 제 1 조명 램프의 조명광이 출사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버튼 노브와, 상기 버튼 노브와 일체로 이동하도록 상기 버튼 노브에 결합되며 상기 제 2 조명 램프의 조명광이 출사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버튼 인디케이터를 포함하는 버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타트 스위치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the case is mounted inside the protective housing; A PCB substrate disposed inside the case and having first and second lighting lamps mounted on one surface thereof; And a button knob mounted on the case to protrude upward from the case so as to be operated in a push button manner by a user, and formed so that the illumination light of the first illumination lamp can be emitted, and the button knob to move integrally with the button knob. It is coupled to and provides a start switch device for a vehicle comprising a button unit including a button indicator is formed so that the illumination light of the second illumination lamp can be emitted.

이때, 상기 버튼 인디케이터는 상기 버튼 노브의 일측에 결합되며 중앙부에 렌즈 결합홀이 관통 형성되는 인디케이터 블록; 및 상기 렌즈 결합홀에 삽입 결합되는 인디케이터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조명 램프의 조명광이 상기 인디케이터 렌즈를 통해서 외부로 출사되도록 상기 인디케이터 블록은 불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utton indicator is an indicator block coupled to one side of the button knob and the lens coupling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And an indicator len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lens coupling hole, wherein the indicator block may be formed of an opaque material so that the illumination light of the second illumination lamp is e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indicator lens.

또한, 상기 버튼 노브의 상단 내측면은 상기 제 1 조명 램프의 조명광이 집광되어 출사될 수 있도록 곡면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button knob may be formed to form a curved surface so that the illumination light of the first illumination lamp is focused and emitted.

또한, 상기 케이스 내부에는 상기 제 1 조명 램프의 조명광과 상기 제 2 조명 램프의 조명광이 각각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출사되도록 상기 제 1 조명 램프 또는 제 2 조명 램프의 조명광 경로를 가이드하는 조명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n inside of the case may be provided with an illumination guide for guiding the illumination light path of the first illumination lamp or the second illumination lamp so that the illumination light of the first illumination lamp and the illumination light of the second illumination lamp are independently separated and emitted. Can be.

또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조명 램프가 각각 관통할 수 있도록 제 1 및 제 2 램프홀이 형성되는 러버 패드가 상기 PCB 기판의 상부에 안착되고, 상기 조명 가이드부는 상기 러버 패드의 제 2 램프홀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향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rubber pad having first and second lamp holes formed therein may be sea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PCB to allow the first and second lighting lamps to penetrate the inside of the case. It may be formed to protrude upward along the edge of the second lamp hole.

또한, 상기 조명 가이드부는 상기 제 2 조명 램프의 조명광이 누광되지 않도록 상단부가 상기 버튼 인디케이터의 하단에 삽입 배치되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llumination guide part may be formed to extend so that the upper end is inserted into the lower end of the button indicator so that the illumination light of the second illumination lamp is not leaked.

또한, 상기 러버 패드에는 상기 버튼 노브가 상기 케이스로부터 상향 돌출되는 방향으로 상기 버튼 노브에 상향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ubber pad may be formed with an elastic protrusion for applying an upward elastic force to the button knob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button knob is projected upward from the case.

한편,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는 상기 버튼부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케이스 내부로 유입된 수분의 유동 경로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메인 배수 가이드부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는 상기 메인 배수 가이드부를 따라 가이드된 수분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배수홀이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is formed with a main drain guide portion to guide the flow path of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case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utton portion, the water guided along the main drain guide portion on one side of the case The drainage hole may be formed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이때, 상기 메인 배수 가이드부는 상기 배수홀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ain drain guide portion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direction close to the drain hole.

또한, 상기 버튼 인디케이터의 외주면에는 상기 버튼 인디케이터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케이스 내부로 유입된 수분의 유동 경로를 상기 메인 배수 가이드부로 가이드하는 보조 배수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n auxiliary drain guide part may b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utton indicator to guide the flow path of water introduced into the case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utton indicator to the main drain guide part.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에 의해 누름 조작되는 버튼부를 버튼 노브와 버튼 인디케이터로 분리 형성하고, 버튼 노브와 버튼 인디케이터로 각각 조명광이 출사될 수 있도록 2개의 조명 램프를 구비함으로써, 버튼부의 조작 상태에 따라 각 조명 램프의 동작 상태를 다양하게 조합 변경하여 버튼부의 현재 조작 상태가 사용자에게 명확하고 용이하게 인식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utton portion to be pressed by the user is formed by separating the button knob and the button indicator, and provided with two illumination lamps so that the illumination light can be emitted to the button knob and the button indicator,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operation state of the button portion By varying the operation state of each lighting lamp in various combinations, there is an effect that the current operation state of the button unit can be clearly and easily recognized by the user.

또한, 각 조명 램프의 조명광에 대한 누광을 방지하여 진행 경로가 서로 교차하지 않도록 구성함으로써, 버튼 노브와 버튼 인디케이터를 통해 출사되는 조명광의 누광이 방지되어 더욱 선명하고 정확한 조명 동작 상태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preventing leakage of the illumination light of each lighting lamp so that the traveling path does not cross each other, leakage of the illumination light emitted through the button knob and the button indicator is prevented to provide a more clear and accurate lighting operation state It works.

또한, 스위치 장치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유입되는 수분이 케이스 내부의 부품으로 흘러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배수 가이드부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실수 등에 의해 스위치 장치 주변으로 음료 등을 엎지른 경우에도 스위치 장치의 내부 부품에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분 노출에 대한 안전성 및 보호 기능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by providing a drain guide part to prevent the water flowing into the internal parts of the case from flowing outside from the outside of the switch device, even if the liquid spilled around the switch device due to a user mistake, etc. It prevents the ingress of water into the part, which enhances the safety and protection against water exposur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타트 스위치 장치의 조립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타트 스위치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타트 스위치 장치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타트 스위치 장치의 조명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조명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타트 스위치 장치의 배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도 3의 "B" 부분을 확대 도시한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타트 스위치 장치의 배수 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ssembly shape of a start switch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tart switch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vehicle start switch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an enlarged portion “A” of FIG. 3;
5 is an illumination state diagram illustrating an illumination state of a start switch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of FIG. 3 enlarged to show a drainage structure of a vehicle start switch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conceptually illustrating a drainage structure of a vehicle start switch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of all,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as much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well-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타트 스위치 장치의 조립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타트 스위치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타트 스위치 장치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타트 스위치 장치의 조명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조명 상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ssembly shape of a vehicle start switch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ehicle start switch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start switch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an enlarged portion “A” of FIG. 3, and FIG. 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llumination state of a vehicle start switch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Referring to FI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타트 스위치 장치는 내부에 조명 램프가 장착되어 스위치 장치의 동작 상태에 따라 조명 램프의 조명광이 변화하며 사용자에게 동작 상태가 용이하게 인식될 수 있도록 구성된 장치로서, 케이스(200)와, 조명 램프(610,620)가 장착된 PCB 기판(600)과,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버튼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tart switch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that is configured such that an illumination lamp is mounted therein so that the illumination light of the illumination lamp changes according to the operation state of the switch device and the operation state can be easily recognized by the user. 200, a PCB substrate 600 on which the illumination lamps 610 and 620 are mounted, and a button unit 300 operated by a user.

케이스(200)는 별도의 보호 하우징(100) 내부에 장착되는데, 보호 하우징(100)은 전체 스위치 장치가 차량에 장착될 수 있도록 전체 장치의 외부를 감싸는 형태로 중공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케이스(200)는 이러한 보호 하우징(100)의 내측면에 접촉 고정되도록 보호 하우징(100)에 결합된다. 케이스(200) 또한 대략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면을 따라 버튼부(300)가 상하 직선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케이스(200)의 하단에는 별도의 베이스 플레이트(700)가 결합되어 케이스(200) 내부에 여러 구성 요소들이 수용 장착되도록 구성되고, 베이스 플레이트(700)에는 PCB 기판(600)과 연결되는 별도의 커넥터 핀(710)이 돌출 형성되어 외부 전자 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Case 200 is mounted in a separate protective housing 100, the protective housing 100 is formed in a hollow cylindrical shape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entire device so that the entire switch device can be mounted to the vehicle, the case 200 ) Is coupled to the protective housing 100 to be fixed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protective housing 100. The case 200 is also formed in a substantially hollow cylindrical shape so that the button unit 300 moves vertically along the inner surface. A separate base plate 700 is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case 200 so that various components are accommodated and mounted in the case 200, and the base plate 700 is connected to the PCB substrate 600. The connector pin 710 is protruded and configur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PCB 기판(600)은 케이스(200)의 내부 공간에서 베이스 플레이트(700)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단부에 배치되며, 베이스 플레이트(700)의 커넥터 핀(7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결합된다. 이러한 PCB 기판(600)의 상면에는 버튼부(300)의 조작 상태에 따라 각각 온/오프되도록 구성되는 제 1 조명 램프(610)와 제 2 조명 램프(620)가 장착된다. 제 1 및 제 2 조명 램프(610,620)는 각각의 조명광이 버튼부(300)를 통해 외부로 출사되도록 구성되는데, 조명광의 휘도 및 에너지 측면 등을 고려할 때 LED 램프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CB substrate 600 is disposed at the lower end to be supported by the base plate 700 in the inner space of the case 200, and is coupl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or pin 710 of the base plate 700. The first lighting lamp 610 and the second lighting lamp 620 are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CB substrate 600 so as to be turned on / off according to the operation state of the button unit 300.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illumination lamps 610 and 620 is configured so that each of the illumination light is e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button unit 300. LED lamps are preferably applied when considering the luminance and energy of the illumination light.

버튼부(300)는 상단이 케이스(200) 및 보호 하우징(10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케이스(200) 내부에 배치되며 사용자에 의해 누름 버튼 방식으로 조작될 수 있도록 케이스(200) 내부에서 상하 직선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버튼부(300)는 케이스(200) 내측면에 접촉하여 상하 이동 경로가 가이드되도록 케이스(200) 형상에 대응되는 형태로 대략 원통형의 외주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 노브(310)와 버튼 인디케이터(320)로 분리 형성된다. 버튼 노브(310)는 케이스(200)로부터 상향 돌출되게 케이스(200)에 장착되어 사용자에 의해 누름 버튼 방식으로 조작되도록 구성되며, 제 1 조명 램프(610)의 조명광이 출사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버튼 인디케이터(320)는 버튼 노브(310)와 일체로 이동하도록 버튼 노브(310)의 일측에 결합되며, 제 2 조명 램프(620)의 조명광이 출사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The button unit 300 is disposed inside the case 200 so that the upper end thereof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200 and the protective housing 100, and the upper and lower straight lines inside the case 200 can be operated by a user by a push button method. It is mounted to be movable. The button unit 300 may be formed to have a substantially cylindrical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a form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case 200 so as to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200 to guide the vertical movement path, as shown in FIGS. 1 and 2. As shown, the button knob 310 and the button indicator 320 are formed separately. The button knob 310 is mounted on the case 200 so as to protrude upward from the case 200 and is configured to be operated in a push button manner by the user, and is formed so that the illumination light of the first illumination lamp 610 can be emitted. The button indicator 32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button knob 310 to move integrally with the button knob 310, and is formed so that the illumination light of the second illumination lamp 620 can be emitted.

버튼 노브(310)와 버튼 인디케이터(320)는 상하 이동 방향에 대한 직각 방향으로 서로 분리되도록 형성되며,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하나의 원통형 버튼부 상단 형태를 이룰 수 있도록 버튼 노브(310)에는 버튼 인디케이터(320)가 결합될 수 있는 오목한 형태의 결합홈(311)이 형성된다. 결합홈(311)에는 걸림 후크(314)가 형성되고, 버튼 인디케이터(320)의 측면에는 걸림 후크(314)에 맞물림되며 결합될 수 있는 걸림 돌기(325)가 형성되며, 걸림 후크(314)와 걸림 돌기(325)의 상호 결합을 통해 버튼 노브(310)와 버튼 인디케이터(320)가 상호 고정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실질적으로 사용자에 의한 누름 조작은 버튼 노브(310)를 통해 이루어지도록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 노브(310)가 상대적으로 크고 버튼 인디케이터(320)는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button knob 310 and the button indicator 320 are formed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movement direction, and the button knob 310 has a button indicator so as to form an upper shape of one cylindrical button part in a mutually coupled state. A coupling groove 311 having a concave shape to which the 320 may be coupled is formed. The engaging groove 311 is formed with a hook hook 314, the side of the button indicator 320 is engaged with the hook hook 314 is formed a locking projection 325 that can be coupled, the hook hook 314 and The button knob 310 and the button indicator 320 may be configured to be fixed to each other through mutual coupling of the locking protrusion 325. In this case,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button knob 310 is relatively large and the button indicator 320 is relatively small so that the pressing operation by the user is performed through the button knob 310. desirable.

이와 같이 분리 형성된 버튼부(300)는 제 1 조명 램프(610)의 조명광이 버튼 노브(310)를 통해 출사되고, 제 2 조명 램프(620)의 조명광이 버튼 인디케이터(320)를 통해 출사되도록 구성되는데, 이를 위해 버튼 노브(310) 및 버튼 인디케이터(320)는 빛이 투과할 수 있도록 각각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버튼 노브(310)와 버튼 인디케이터(320)가 모두 빛이 투과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각 조명 램프(610,620)의 조명광이 서로 교차하여 버튼 노브(310)와 버튼 인디케이터(320)로 출사되지 않도록 각각의 조명광 경로를 가이드할 수 있는 별도의 광 가이드(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utton unit 300 separated as described above is configured such that the illumination light of the first illumination lamp 610 is emitted through the button knob 310, and the illumination light of the second illumination lamp 620 is emitted through the button indicator 320. To this end, the button knob 310 and the button indicator 320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respectively, to allow light to pass therethrough. As such, when both the button knob 310 and the button indicator 320 are formed of a material that allows light to pass through, the illumination light of each of the illumination lamps 610 and 620 crosses each other so that the button knob 310 and the button indicator 320 are crossed. It is preferable that a separate light guide (not shown) is provided to guide each of the illumination light paths so as not to be emitted.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인디케이터(3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 노브(310)의 일측에 결합되며 중앙부에 렌즈 결합홀(324)이 관통 형성되는 인디케이터 블록(321)과, 렌즈 결합홀(324)에 삽입 결합되는 인디케이터 렌즈(32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인디케이터 블록(321)은 제 2 조명 램프(620)의 조명광이 인디케이터 렌즈(322)를 통해 외부로 출사되도록 불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불투명한 재질의 인디케이터 블록(321)이 조명광 경로를 가이드하는 광 가이드의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조명 램프(610,620)의 조명광을 각각 분리 가이드하는 별도의 광 가이드는 불필요할 것이다.At this time, the button indicator 3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button knob 310,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indicator block through which the lens coupling hole 324 is formed through the center 321 and an indicator lens 322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lens coupling hole 324, and the indicator block 321 has an external illumination light of the second illumination lamp 620 through the indicator lens 322. It may be formed of an opaque material to be emitted to. In this case, because the opaque material indicator block 321 serves as a light guide for guiding the illumination light path, as described above, separate light for separating and guiding the illumination light of the first and second illumination lamps 610 and 620, respectively. The guide will be unnecessary.

이러한 구조에 따라 제 2 조명 램프(620)의 조명광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디케이터 블록(321)의 내부 공간으로 진행하며 인디케이터 렌즈(322)를 통해 외부로 출사되고, 이때, 인디케이터 블록(321)이 불투명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버튼 인디케이터(320)로 진행하는 제 2 조명 램프(620)의 조명광은 인디케이터 블록(321)을 통해 가이드되며 외부로 누광되지 않고 모두 인디케이터 렌즈(322)를 통해 외부로 출사된다. 마찬가지로, 인디케이터 블록(321)이 불투명 재질이기 때문에, 제 1 조명 램프(610)의 조명광 또한 인디케이터 블록(321)의 내부 공간으로 진행할 수 없고, 따라서 제 1 조명 램프(610)의 조명광은 버튼 노브(310)를 통해서만 외부로 출사된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illumination light of the second illumination lamp 620 proceeds to the interior space of the indicator block 321 and is e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indicator lens 322 as shown in FIG. 3, at this time, the indicator block 321 ) Is formed of an opaque material, the illumination light of the second illumination lamp 620 proceeding to the button indicator 320 is guided through the indicator block 321 and is not leaked to the outside but all through the indicator lens 322 Is emitted. Similarly, since the indicator block 321 is an opaque material, the illumination light of the first illumination lamp 610 also cannot proceed to the interior space of the indicator block 321, so that the illumination light of the first illumination lamp 610 is controlled by the button knob ( Only through 310).

한편, 버튼 노브(310)는 버튼 인디케이터(320)와 달리 별도의 렌즈를 구비하지 않고 그 자체로 조명광이 투과되도록 형성되며, 이에 따라 버튼 노브(310)의 상면 전체 영역을 통해 제 1 조명 램프(610)의 조명광이 외부로 출사된다. 이를 위해 버튼 노브(310)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버튼 노브(310)가 그 자체로 렌즈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 노브(310)의 상단 내측면(313)이 곡면을 이루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unlike the button indicator 320, the button knob 310 does not have a separate lens and is formed so that the illumination light is transmitted by itself. Accordingly, the button knob 310 has a first illumination lamp through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button knob 310. The illumination light of 610 is emitted to the outside. For this purpose, the button knob 310 is preferably formed of a translucent material, and as shown in FIG. 3 so that the button knob 310 can perform the function of the lens itself,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button knob 310 is shown. It is preferable that 313 be formed in a curved surface.

즉, 버튼 노브(3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렌즈 없이 제 1 조명 램프(610)의 조명광이 상면 전체 영역을 통과하며 외부로 출사되기 때문에, 외부로 출사되는 조명광이 버튼 노브(31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흡수 소멸되어 외부로 출사되는 조명광의 밝기가 약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노브(310)는 이러한 조명광의 강도 감소를 방지할 수 있도록 버튼 노브(310)가 그 자체로 렌즈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형성되며, 이는 조명광이 입사되는 상단 내측면(313)을 곡면으로 형성하는 방식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이때, 버튼 노브(310)의 상단 내측면(313)의 곡면 상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하게 만곡진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제 1 조명 램프(610)의 조명광이 집광되어 외부 출사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이와 달리 오목하게 만곡진 형태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더 넓은 영역으로 조명광이 확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3, since the illumination light of the first illumination lamp 610 passes through the entire area of the upper surface and is emitted to the outside without a separate lens, the button knob 310 emits the illumination light to the outside of the button knob ( In the course of passing through 310, the brightness of the illumination light emitted and extinguished to the outside may be weakened. The button knob 3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so that the button knob 310 itself functions as a lens so as to prevent such reduction of the intensity of the illumination light, which is the upper inner surface on which the illumination light is incident. This may be accomplished through the formation of 313 as a curved surface. In this case, the curved state of the upper inner surface 313 of the button knob 310 is formed in a convexly curved shape as shown in FIG. 3, so that the illumination light of the first lighting lamp 610 may be focused and emitted externally. It is preferable to be configured so that, if necessary, it may be configured to be formed in a concave curved shape differently, so that the illumination light can be spread to a wider area.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타트 스위치 장치는 제 1 및 제 2 조명 램프(610,620)의 온/오프 동작 상태를 다양하게 변화시킴으로써, 스위치 장치의 동작 상태가 사용자에게 용이하게 인식될 수 있고, 특히, 제 1 조명 램프(610)의 조명광과 제 2 조명 램프(620)의 조명광이 각각 버튼 노브(310)와 버튼 인디케이터(320)를 통한 독립적인 영역을 통과하여 외부 출사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각 조명광의 누광이 방지되어 상호 교차되지 않아 더욱 명확하고 선명한 조명 상태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such a structure, the vehicle start switch devic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hange the on / off operation state of the first and second lighting lamps 610 and 620 in various ways, thereby mak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switch device easy for the user. It can be recognized, in particular, that the illumination light of the first illumination lamp 610 and the illumination light of the second illumination lamp 620 through the independent area through the button knob 310 and the button indicator 320, respectively, to be emitted outside By being configured, leakage of each illumination light is prevented and do not cross each other to provide a clearer and clearer illumination state to the user.

이러한 제 1 및 제 2 조명 램프(610,620)를 통한 다양한 조명 상태의 조합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전원 오프 상태일 경우에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조명 램프(610,620)의 조명광이 모두 오프되도록 구성되고, 버튼부(300)를 한번 눌러 엔진 시동 대기 상태(ACC/ON)로 동작되면,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조명 램프(620)가 온 상태로 동작되어 제 2 조명 램프(620)의 조명광이 버튼 인디케이터(320)를 통해 외부로 출사되도록 구성되며, 이 상태에서 버튼부(300)를 다시 한번 눌러 엔진 시동 상태(START)로 동작되면,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조명 램프(610)가 온 상태로 동작되어 제 2 조명 램프(620)의 조명광이 버튼 인디케이터(320)를 통해 외부로 출사되는 상태에서 이와 함께 제 1 조명 램프(610)의 조명광이 버튼 노브(310)를 통해 외부로 출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엔진 시동 상태(START)인 경우에는 제 2 조명 램프(620)가 오프 상태로 동작되고 제 1 조명 램프(610)만 온 상태로 동작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도 5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조명 램프(610)의 조명광만 버튼 노브(310)를 통해 외부로 출사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Combinations of the various lighting states through these first and second lighting lamps 610 and 620 can be configured as shown in FIG. 5, for example, as shown in FIG. As described above, when the illumination light of the first and second illumination lamps 610 and 620 is all turned off, and the button unit 300 is pressed once to operate in the engine start standby state (ACC / ON), as shown in FIG.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lighting lamp 620 is operated in an on state so that the illumination light of the second lighting lamp 620 is e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button indicator 320, and the button unit 300 is once again in this state. When pressed to operate in the engine start state START, as shown in FIG. 5C, the first lighting lamp 610 is operated in an on state so that the illumination light of the second lighting lamp 620 is the button indicator 320. Illuminated light of the first lighting lamp 610 with this in the state e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rough the button knob 310 may be configured to be emitted to the outside. Of course, in the engine start state START, the second lighting lamp 620 may be configured to be operated in an off state and only the first lighting lamp 610 may be configured to be operated in an on state. In this case, FIG. As shown in FIG. 1, only the illumination light of the first illumination lamp 610 may be configured to be e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button knob 310.

한편, 제 1 및 제 2 조명 램프(610,620)의 조명광은 버튼 인디케이터(320)의 구조상 전술한 바와 같이 누광에 의한 상호 교차 진행이 방지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는 제 1 및 제 2 조명 램프(610,620)의 조명광에 대한 누광 방지 기능이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케이스(200) 내부에 별도의 조명 가이드부(530)가 형성될 수 있다. 조명 가이드부(530)는 제 1 조명 램프(610)의 조명광과 제 2 조명 램프(620)의 조명광이 각각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출사될 수 있도록 제 1 조명 램프(610) 또는 제 2 조명 램프(620)의 조명광 경로를 가이드하도록 구성된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illumination light of the first and second illumination lamps 610 and 620 is prevented from intersecting with each other due to light leakage, and the switch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irst and second illumination lamps. A separate illumination guide 530 may be formed inside the case 200 so that the light leakage preventing function of the second illumination lamps 610 and 620 may be more stably maintained. The lighting guide unit 530 may include the first illumination lamp 610 or the second illumination lamp 620 so that the illumination light of the first illumination lamp 610 and the illumination light of the second illumination lamp 620 may be independently separated and emitted. And to guide the illumination light path.

조명 가이드부(530)는 케이스(200) 내부에 분리판이나 분리 격벽의 형태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가이드부(530)는 케이스(200) 내부에 장착되는 별도의 러버 패드(500)에 상향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lighting guide unit 530 may be variously formed in the form of a separation plate or a separation partition in the case 200, and the lighting guide unit 53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inside the case 200. It may be formed in a form protruding upward in a separate rubber pad 500.

이러한 조명 가이드부(530)의 구성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기 위해, 먼저 케이스(200) 내부의 구성부터 살펴보면, 케이스(200)의 내부에는 버튼부(300)의 상하 이동에 연동하여 상하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는 별도의 푸시바(400)가 장착된다. 푸시바(400)는 버튼부(300)와 일체로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버튼부(300)의 하단에 결합되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바(400)의 상단에 결합 돌기(401)가 형성되고, 버튼부(300)의 하단에 결합 돌기(401)이 삽입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홀(312)이 형성되며, 결합 돌기(401)와 결합홀(312)의 상호 맞물림 결합을 통해 버튼부(300)와 푸시바(400)가 상호 결합된다. 푸시바(400)의 측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 돌기(410)가 형성되어 접점 스위치를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In order to look at the configuration of the lighting guide unit 530 in more detail, first look at the configuration inside the case 200, the inside of the case 200 in conjunction with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button unit 300 in a straight line in the vertical direction A separate push bar 400 is mounted. Push bar 400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button unit 300 to move up and down integrally with the button unit 300, as shown in Figure 2 engaging projection 401 on the upper end of the push bar 400 Is formed, the coupling hole 312 is formed in the lower end of the button portion 300, the coupling protrusion 401 can be inserted and coupled, the button portion through the interlocking coupling of the coupling protrusion 401 and the coupling hole 312 The 300 and the push bar 400 are coupled to each other. Side of the push bar 400 is formed with a pressing projection 410 as shown in Figure 2 is configured to operate the contact switch.

이러한 푸시바(400)의 하부에는 버튼부(300) 및 푸시바(400)를 상향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러버 패드(500)가 배치되는데, 러버 패드(500)는 PCB 기판(600)의 상부에 안착되며, PCB 기판(600)에 장착된 제 1 조명 램프(610)와 제 2 조명 램프(620)가 각각 관통 돌출되도록 제 1 램프홀(510) 및 제 2 램프홀(520)이 형성된다. 러버 패드(500)의 양측에는 푸시바(400)의 가압 돌기(410)와 대응되는 위치에 탄성 돌기(540)가 형성되며, 탄성 돌기(540)는 가압 돌기(410)에 의해 가압되어 하향 탄성 이동하고, 반대로 상향 탄성력을 가압 돌기(410)에 가함으로써, 푸시바(400) 및 버튼부(300)가 하향 이동한 후 다시 상향 복귀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탄성 돌기(540)의 하단에는 가동 접점(미도시)이 장착되고, PCB 기판(600)의 상면에는 가동 접점과 접촉될 수 있는 고정 접점(미도시)이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버튼부(300)를 하향 가압 조작하면, 푸시바(400)의 가압 돌기(410)에 의해 탄성 돌기(540) 및 가동 접점이 하향 이동하며 고정 접점에 접촉하고, 이에 따라 전기적 신호가 생성되며 이는 커넥터 핀(710)을 통해 외부 전자 기기로 전달된다.A rubber pad 500 that applies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of moving the button part 300 and the push bar 400 upward is disposed below the push bar 400, and the rubber pad 500 of the PCB substrate 600 is disposed. The first lamp hole 510 and the second lamp hole 520 are formed to be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lamp 610 and the second lamp 620 mounted on the PCB substrate 600, respectively. do. An elastic protrusion 540 is formed at both sides of the rubber pad 50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ressing protrusion 410 of the push bar 400, and the elastic protrusion 540 is pressed by the pressing protrusion 410 to be downwardly elastic. On the contrary, by applying an upward elastic force to the pressing protrusion 410, the push bar 400 and the button unit 300 move downward and then return upward. A movable contact (not shown) is mounted on a lower end of the elastic protrusion 540, and a fixed contact (not shown) may b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PCB substrate 600. Therefore, when the user presses the button unit 300 downwardly, the elastic protrusion 540 and the movable contact move downward by the pressing protrusion 410 of the push bar 400 to contact the fixed contact, and thus the electrical signal. Is generated and communicated to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connector pin 710.

이와 같이 구성되는 스타트 스위치 장치는 PCB 기판(600)의 상부에 별도의 러버 패드(500)가 안착되고, 러버 패드(500)에는 제 1 및 제 2 조명 램프(610,620)가 각각 관통할 수 있도록 제 1 및 제 2 램프홀(510,520)이 형성되기 때문에, 전술한 조명 가이드부(530)는 이러한 러버 패드(500)의 구조를 활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조명 가이드부(53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램프홀(520)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향 돌출되는 중공의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조명 가이드부(530)는 제 2 조명 램프(620)의 조명광이 누광되지 않고 모두 버튼 인디케이터(320)로 진행할 수 있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 가이드부(530)의 상단부가 인디케이터 블록(321)의 하단에 일부 삽입 배치되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즉, 조명 가이드부(530)의 상단은 인디케이터 블록(321)의 하단에 X 거리 만큼 삽입된 상태로 배치되어 제 2 조명 램프(620)의 조명광이 인디케이터 블록(321)으로 진행하는 과정에서 전혀 외부로 누광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In the start switch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 separate rubber pad 500 is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CB substrate 600, and the rubber pad 500 may be formed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lighting lamps 610 and 620 may penetrate through, respectively. Since the first and second lamp holes 510 and 520 are formed, the above-described lighting guide 530 may be formed by utilizing the structure of the rubber pad 500. That is, the illumination guide unit 530 may be formed in a hollow cylindrical shape protruding upward along the edge of the second lamp hole 520 as shown in FIGS. 3 and 4. At this time, the illumination guide unit 530, as shown in Figure 4 so that the illumination light of the second illumination lamp 620 is not leaked to all the button indicator 320, the upper end of the indicator guide block 530 is an indicator block It may be extended to be inserted into a portion of the lower end of the 321. That is, the upper end of the lighting guide unit 530 is disposed in the state inserted into the lower end of the indicator block 321 by an X distance so that the illumination light of the second lighting lamp 620 proceeds to the indicator block 321 at all externally. It is configured not to leak.

이러한 구조에 따라 당연히 제 1 조명 램프(610)의 조명광 또한 버튼 노브(310)를 통해서만 외부로 출사될 뿐 버튼 인디케이터(320)를 통과하는 방향으로 진행할 수가 없으므로, 제 1 조명 램프(610)와 제 2 조명 램프(620)의 각각의 조명광은 더욱 완전하게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출사된다. 따라서, 제 1 조명 램프(610)의 조명광은 상대적으로 넓은 영역인 버튼 노브(310)를 통해 α각도만큼의 진행 각도를 갖고 외부로 출사되고, 제 2 조명 램프(620)의 조명광은 상대적으로 좁은 영역인 버튼 인디케이터(320)를 통해 β각도만큼의 진행 각도를 갖고 외부로 출사되며, 각각의 조명광의 진행 경로는 상호 교차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진행된다.
According to this structure, since the illumination light of the first illumination lamp 610 also exits only through the button knob 310 and cannot proceed in the direction passing through the button indicator 320, the first illumination lamp 610 and the first illumination lamp 610 may be formed. Each illumination light of the two illumination lamps 620 is more completely independently separated and emitted. Accordingly, the illumination light of the first illumination lamp 610 is e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button knob 310, which is a relatively large area, by an angle of α, and the illumination light of the second illumination lamp 620 is relatively narrow. Through the button indicator 320, which is an area, the light is emitted to the outside with the propagation angle equal to the β angl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타트 스위치 장치의 배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도 3의 "B" 부분을 확대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타트 스위치 장치의 배수 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횡단면도이다.FIG. 6 is an enlarged view of part "B" of FIG. 3 to show a drainage structure of a vehicle start switch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vehicle st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ross-sectional view conceptually showing the drainage structure of a switch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타트 스위치 장치는 케이스(200)의 내측면에 버튼부(300)의 외주면을 따라 케이스(200) 내부로 유입된 수분의 유동 경로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메인 배수 가이드부(210)가 형성되며, 케이스(200)의 일측에는 메인 배수 가이드부(210)를 따라 가이드된 수분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배수홀(22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버튼 인디케이터(320)의 외주면에는 버튼 인디케이터(320)의 외주면을 따라 케이스(200) 내부로 유입된 수분의 유동 경로를 메인 배수 가이드부(210)로 가이드하는 보조 배수 가이드부(323)가 형성될 수 있다.The start switch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guide the main drainage path to guide the flow path of water introduced into the case 200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utton unit 300 to the inner side of the case 200. The part 210 may be formed, and a drainage hole 220 may be formed at one side of the case 200 so that the water guided along the main drain guide part 210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t this time, the auxiliary drain guide portion 323 for guiding the flow path of water introduced into the case 200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utton indicator 320 to the main drain guide portion 210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utton indicator 320. Can be formed.

즉, 케이스(200)의 내측면에는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주 방향 둘레를 따라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메인 배수 가이드부(210)가 형성되어 케이스(200) 내부로 유입되는 수분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버튼 인디케이터(320)의 외주면에도 마찬가지로 동일한 형태의 보조 배수 가이드부(323)가 형성되어 케이스(200) 내부로 유입된 수분을 메인 배수 가이드부(210)로 유도하도록 구성된다. 케이스(200)의 일측에는 메인 배수 가이드부(210)를 통해 유동하는 수분이 케이스(2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메인 배수 가이드부(210)와 연결되는 배수홀(220)이 형성된다. 이때, 메인 배수 가이드부(210)는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보조 배수 가이드부(323)의 형상과 동일한 형태로 "ㄴ"자 형태로 절곡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유입된 수분을 저장 유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That is, the main drain guide portion 210 protruding in the inward direction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200, and the water flowing into the case 200 is formed. It is configured to discharge to the outside, and the auxiliary drain guide portion 323 of the same shape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utton indicator 320 to the main drain guide portion 210 to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case 200 Configured to induce. One side of the case 200 is formed with a drain hole 220 is connected to the main drain guide 210 so that the water flowing through the main drain guide 21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200. At this time, the main drain guide portion 210 is formed in a plate shape bent in a "b" shape in the same shape as the auxiliary drain guide portion 323 shown in Figs. It is formed to be.

도 7의 (a)는 이러한 메인 배수 가이드부(210)의 배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버튼부(300)를 생략한 케이스(200) 내부에 대한 수평 방향의 횡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의 (b)는 버튼부(300)가 조립된 상태에서 스위치 장치에 대해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배수 가이드부(210)는 케이스(200)의 내측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버튼부(300)의 외주면을 따라 유입된 수분을 저장함과 동시에 배수홀(220)로 유도하며, 수분이 케이스(200) 내부 부품으로 흘러가지 않도록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버튼 인디케이터(320)가 위치하는 구간은 별도의 보조 배수 가이드부(323)가 형성되며, 이를 통해 수분이 케이스(200) 내부 부품으로 흘러가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보조 배수 가이드부(323)는 메인 배수 가이드부(210)와 수분의 유동 경로가 연결되게 형성됨으로써, 보조 배수 가이드부(323)에 저장된 수분이 메인 배수 가이드부(210)로 유도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버튼부(300)의 외주면을 따라 케이스(200) 내부로 유입되는 수분은 도 7의 (b)에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배수 가이드부(323) 및 메인 배수 가이드부(210)를 따라 배수홀(220)로 유도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메인 배수 가이드부(210)는 배수홀(220)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수분의 유동 경로가 원활하게 배수홀(220)로 유도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FIG. 7A is a cross-sectional view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inside of the case 200 in which the button part 300 is omitted in order to indicate an arrangement state of the main drain guide part 210. (b) is a view showing a plan view from the top of the switch device in the state in which the button unit 300 is assembled. As shown in FIGS. 6 and 7 (a) and (b), the main drain guide part 210 is form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case 200 and flows in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utton part 300. At the same time to the storage and guides to the drainage hole 220, and performs a function to prevent moisture from flowing to the parts inside the case (200). At this time, a section in which the button indicator 320 is located is formed a separate auxiliary drain guide portion 323, thereby preventing moisture from flowing to the internal parts of the case 200, and also the auxiliary drain guide portion 323 The main drain guide portion 210 and the flow path of the water is formed to be connected, so that the water stored in the auxiliary drain guide portion 323 is configured to be guided to the main drain guide portion 210. Therefore, the water flowing into the case 200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utton unit 300 is the secondary drain guide 323 and the main drain guide 210 as shown by the arrow in Figure 7 (b) Accordingly, it is guided to the drainage hole 220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In this case, the main drain guide part 210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direction close to the drain hole 220, so that the flow path of water may be smoothly guided to the drain hole 220.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hall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보호 하우징 200: 케이스
210: 메인 배수 가이드부 220: 배수홀
300: 버튼부 310: 버튼 노브
320: 버튼 인디케이터 321: 인디케이터 블록
322: 인디케이터 렌즈 323: 보조 배수 가이드부
400: 푸시바 500: 러버 패드
530: 조명 가이드부 600: PCB 기판
610: 제 1 조명 램프 620: 제 2 조명 램프
100: protective housing 200: case
210: main drain guide portion 220: drain hole
300: button portion 310: button knob
320: button indicator 321: indicator block
322: indicator lens 323: auxiliary drain guide portion
400: push bar 500: rubber pad
530: lighting guide unit 600: PCB substrate
610: first lighting lamp 620: second lighting lamp

Claims (10)

보호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며 일면에 제 1 및 제 2 조명 램프가 장착되는 PCB 기판; 및
사용자에 의해 누름 버튼 방식으로 조작되도록 상기 케이스로부터 상향 돌출되게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며 상기 제 1 조명 램프의 조명광이 출사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버튼 노브와, 상기 버튼 노브와 일체로 이동하도록 상기 버튼 노브에 결합되며 상기 제 2 조명 램프의 조명광이 출사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버튼 인디케이터를 포함하는 버튼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타트 스위치 장치.
A case mounted inside the protective housing;
A PCB substrate disposed inside the case and having first and second lighting lamps mounted on one surface thereof; And
A button knob mounted on the case so as to protrude upward from the case so as to be operated in a push button manner by a user, and formed so that the illumination light of the first illumination lamp can be emitted, and the button knob to move integrally with the button knob. The button unit is coupled and including a button indicator that is formed so that the illumination light of the second illumination lamp can be emitted
Vehicle start switch device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인디케이터는
상기 버튼 노브의 일측에 결합되며 중앙부에 렌즈 결합홀이 관통 형성되는 인디케이터 블록; 및
상기 렌즈 결합홀에 삽입 결합되는 인디케이터 렌즈
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조명 램프의 조명광이 상기 인디케이터 렌즈를 통해서 외부로 출사되도록 상기 인디케이터 블록은 불투명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타트 스위치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button indicator
An indicator block coupled to one side of the button knob and having a lens coupling hole formed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And
Indicator lens inserted into the lens coupling hole
And the indicator block is made of an opaque material so that the illumination light of the second illumination lamp is e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indicator len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노브의 상단 내측면은 상기 제 1 조명 램프의 조명광이 집광되어 출사될 수 있도록 곡면을 이루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타트 스위치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upper inner side surface of the button knob is configured to form a curved surface so that the illumination light of the first illumination lamp is focused and emitted.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부에는 상기 제 1 조명 램프의 조명광과 상기 제 2 조명 램프의 조명광이 각각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출사되도록 상기 제 1 조명 램프 또는 제 2 조명 램프의 조명광 경로를 가이드하는 조명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타트 스위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In the case, an illumination guide for guiding the illumination light path of the first illumination lamp or the second illumination lamp is formed so that the illumination light of the first illumination lamp and the illumination light of the second illumination lamp are independently separated from each other. A vehicle start switch devic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조명 램프가 각각 관통할 수 있도록 제 1 및 제 2 램프홀이 형성되는 러버 패드가 상기 PCB 기판의 상부에 안착되고, 상기 조명 가이드부는 상기 러버 패드의 제 2 램프홀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향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타트 스위치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Inside the case, a rubber pad having first and second lamp holes formed therein so as to penetrate the first and second lighting lamps, respectively, is sea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PCB substrate, and the illumination guide part is formed of the rubber pad. The start switch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protrude upward along the edge of the lamp hol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가이드부는 상기 제 2 조명 램프의 조명광이 누광되지 않도록 상단부가 상기 버튼 인디케이터의 하단에 삽입 배치되게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타트 스위치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lighting guide unit is a start switch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end is extended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lower end of the button indicator so that the illumination light of the second lighting lamp is not leaked.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러버 패드에는 상기 버튼 노브가 상기 케이스로부터 상향 돌출되는 방향으로 상기 버튼 노브에 상향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타트 스위치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rubber pad is a start switch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an elastic protrusion for applying an upward elastic force to the button knob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button knob is projected upward from the case.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는 상기 버튼부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케이스 내부로 유입된 수분의 유동 경로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메인 배수 가이드부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는 상기 메인 배수 가이드부를 따라 가이드된 수분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배수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타트 스위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is formed with a main drain guide portion to guide the flow path of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case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utton portion, the water guided along the main drain guide portion on one side of the case outside Start switch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drain hole is formed so that it can be discharged to.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배수 가이드부는 상기 배수홀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타트 스위치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And the main drain guide part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a direction close to the drain hol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인디케이터의 외주면에는 상기 버튼 인디케이터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케이스 내부로 유입된 수분의 유동 경로를 상기 메인 배수 가이드부로 가이드하는 보조 배수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타트 스위치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Vehicle start switch devic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utton indicator is formed an auxiliary drain guide portion for guiding the flow path of water introduced into the case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utton indicator to the main drain guide portion.
KR1020100107665A 2010-11-01 2010-11-01 Start Switch for Vehicle KR1012440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7665A KR101244012B1 (en) 2010-11-01 2010-11-01 Start Switch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7665A KR101244012B1 (en) 2010-11-01 2010-11-01 Start Switch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5839A true KR20120045839A (en) 2012-05-09
KR101244012B1 KR101244012B1 (en) 2013-03-14

Family

ID=46265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7665A KR101244012B1 (en) 2010-11-01 2010-11-01 Start Switch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4012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6419B1 (en) * 2012-11-29 2014-02-14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Automotive starter button
KR101495746B1 (en) * 2013-10-30 2015-03-02 주식회사 대동 An apparatus of switch for vehicles
WO2016068500A1 (en) * 2014-10-31 2016-05-06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Button type vehicle ignition switch
CN109664816A (en) * 2017-10-13 2019-04-23 株式会社东海理化电机制作所 Start switch equipment
KR102274767B1 (en) * 2020-01-10 2021-07-07 주식회사 에스 씨디 Engine start stop button assembly
KR20230170030A (en) 2021-08-12 2023-12-18 토와 가부시기가이샤 Resin mold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resin molded product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8850B1 (en) * 2015-10-23 2016-09-22 인팩일렉스 주식회사 Engine start switch of vehicle
KR101680247B1 (en) 2015-10-23 2016-11-28 인팩일렉스 주식회사 Engine start switch of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4092B1 (en) * 2003-03-26 2005-03-10 동아전기부품 주식회사 Control knob switch for automobile aircon panel
KR100814318B1 (en) * 2006-05-04 2008-03-18 박재우 Ip switch for vehicle
KR100901307B1 (en) * 2007-10-11 2009-06-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Inpannel Switch United Cluster
KR100966733B1 (en) * 2008-04-30 2010-06-29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engine start and stop switch for a automobile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6419B1 (en) * 2012-11-29 2014-02-14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Automotive starter button
KR101495746B1 (en) * 2013-10-30 2015-03-02 주식회사 대동 An apparatus of switch for vehicles
WO2016068500A1 (en) * 2014-10-31 2016-05-06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Button type vehicle ignition switch
CN109664816A (en) * 2017-10-13 2019-04-23 株式会社东海理化电机制作所 Start switch equipment
KR102274767B1 (en) * 2020-01-10 2021-07-07 주식회사 에스 씨디 Engine start stop button assembly
JP2021111615A (en) * 2020-01-10 2021-08-02 エスシーディ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Engine start stop button device
KR20230170030A (en) 2021-08-12 2023-12-18 토와 가부시기가이샤 Resin mold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resin molded produc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4012B1 (en) 2013-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4012B1 (en) Start Switch for Vehicle
KR102017930B1 (en) Switching device
JP3123974U (en) Floating ball liquid level switch with light emitting device
KR101601393B1 (en) Emergency button for vehicle
JP5187903B2 (en) Switch device
JP4871235B2 (en) Display device
JP5986430B2 (en) Illuminated display switch device
JP2007307281A (en) Switch device for operating game machine
KR20150008433A (en) illumination display switching device
US9837228B2 (en) Illuminated keyboard with optical switch
WO2016112843A1 (en) Light-emitting keyboard switch
JP5955302B2 (en) Door handle
JP2015098707A (en) Door handle
JP2013235744A (en) Display switch
JP2008192407A (en) Operation switch
JP4609247B2 (en) Luminescent switch
KR101189026B1 (en) Haptic Switch Mounted on Steering Wheel
US7488909B2 (en) Lighted switch apparatus
KR101670366B1 (en) Indicator for an automobile
KR20160112184A (en) Switch device for button start and stop of automobile
KR200468484Y1 (en) Switch Assembly for Vehicle
JP4414423B2 (en) Vehicle control panel
KR101127366B1 (en) A hazard switch for vehicle
JP2009117065A (en) Illuminated switch device
KR20170001051U (en) An apparatus of switch for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