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5180A - 일정 관리 서비스 시스템, 그의 휴대 단말 장치, 일정 관리 서비스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일정 관리 서비스 시스템, 그의 휴대 단말 장치, 일정 관리 서비스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5180A
KR20120045180A KR1020100106559A KR20100106559A KR20120045180A KR 20120045180 A KR20120045180 A KR 20120045180A KR 1020100106559 A KR1020100106559 A KR 1020100106559A KR 20100106559 A KR20100106559 A KR 20100106559A KR 20120045180 A KR20120045180 A KR 201200451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hedule
schedule management
information
tim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6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1041B1 (ko
Inventor
이범식
김광석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6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1041B1/ko
Publication of KR20120045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51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1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10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3Calendar-based scheduling for persons or grou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6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postal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Navig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목적지까지의 경로, 소요시간 및 출발 시간 등의 일정 관리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일정 관리 서비스 시스템, 그의 휴대 단말 장치, 일정 관리 서비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한번의 일정 정보 입력을 통해 교통 상황의 예측에 따른 목적지까지의 출발 시간과 이동 방법에 따른 최적 경로, 소요 시간 등의 일정을 산출하고, 산출된 일정을 사용자에게 미리 알려줌으로써, 사용자가 정해진 약속 시간에 늦지 않도록 할 수 있고, 효율적으로 일정을 관리할 수 있으며, 약속 시간 이전에 교통 상황을 반영하여 일정을 재산출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경로 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미리 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일정 관리 서비스 시스템, 그의 휴대 단말 장치, 일정 관리 서비스 장치 및 방법{pickup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pickup service in the system}
본 발명은 일정 관리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에게 목적지까지의 경로 및 소요시간을 예측하여, 출발 시간을 미리 알려주기 위한 일정 관리 서비스 시스템, 그의 휴대 단말 장치, 일정 관리 서비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정 관리 서비스는 개인 정보 관리 프로그램(PIMS: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의 기능 중 하나로써,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C(Personal Computer) 환경 어플리케이션 등 이미 포괄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서비스이다.
이러한 종래의 일정 관리 서비스는 사용자가 메뉴 선택을 이용하여 개인 정보 관리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그 상태에서 각종 개인정보, 일정정보 등을 입력, 편집, 저장하며, 저장된 정보를 열람함으로써 필요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도록 제공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개인 일정관리 서비스 방법은 일반적으로 약속 시간과 장소만을 설정하여 약속 시간 몇 분 전에 사용자에게 통보해 주는 방식이다.
때문에 이동이 필요한 약속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언제쯤 약속 장소로 출발해야 할지 알 수 없으며, 교통 상황이 어떠한지, 어떻게 약속 장소까지 가야 하는지도 모르므로 약속 장소에 늦게 도착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특정 일정에 대하여 이동 거리, 교통 정보 등을 취합하여 적절한 출발시간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사용자 요구를 충족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한번의 일정 정보 입력을 통해 일정을 산출하여 사용자에게 목적지까지의 최적의 경로와 소요시간 및 이에 따른 출발 시간 등의 일정을 알리기 위한 일정 관리 서비스 시스템, 그의 휴대 단말, 일정 관리 서비스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더하여, 본 발명은 과거의 교통 데이터를 반영하여 교통 상황의 예측에 따른 일정을 산출하여 사용자에게 목적지까지의 최적의 경로와 소요시간 및 이에 따른 출발 시간 등의 일정을 알리기 위한 일정 관리 서비스 시스템, 그의 휴대 단말, 일정 관리 서비스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더하여, 본 발명은 일정 관리 서비스 시스템에서 출발 시간 전에 일정이 있는 날에 파악된 교통 상황을 반영하여 일정을 재산출하고, 재산출된 일정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일정 관리 서비스 시스템, 그의 휴대 단말, 일정 관리 서비스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사용자로부터 약속 시간 및 약속 장소를 포함하는 일정 정보를 입력 받고, 입력된 일정 정보에 따라 산출된 일정 관리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휴대 단말 장치; 및 휴대 단말 장치로부터 사용자의 일정 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교통 데이터를 반영하여 약속 장소까지의 이동 경로, 소요 시간 및 출발 시간을 포함하는 일정 관리 정보를 산출하여 산출된 일정 관리 정보를 휴대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일정 관리 서비스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 관리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더하여, 본 발명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사용자로부터 약속 시간 및 약속 장소를 포함하는 일정 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부; 일정 정보를 포함한 일정 정보 전송 메시지를 생성하여 일정 관리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고, 일정 관리 서비스 장치로부터 상기 일정 정보에 따라 산출된 약속 시간에 약속 장소에 도착하기 위한 일정 관리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일정 관리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제어부; 일정 정보 및 일정 관리 정보 중에서 하나 이상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서, 일정 관리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해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 일정 관리 정보는 약속 장소를 목적지로 하는 이동 경로, 약속 장소까지 이동하는데 걸리는 소요시간 및 상기 소요 시간을 반영한 사용자의 출발 시간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과거의 교통 데이터를 반영하여 일정 정보에 포함된 약속 장소를 목적지로 하는 최적의 이동 경로, 소요 시간 및 출발 시간 중에서 하나 이상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일정이 있는 날의 출발 시간보다 이전의 미리 설정된 시간에 이동 경로 상의 교통 상황을 파악하고, 파악된 교통 상황을 반영한 일정 관리 정보를 재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현재 시각과 상기 출발 시간을 비교하여, 출발 시간이 되면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본 발명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서, 일정 관리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의 약속 시간 및 약속 장소를 포함하는 일정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한 일정 정보를 파악하여 약속 시간에 약속 장소에 도착하기 위한 이동 경로, 소요 시간 및 출발 시간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일정 관리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일정 관리 정보를 휴대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 및 사용자의 일정 정보, 및 일정 관리 정보 중에서 하나 이상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 관리 서비스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일정 관리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과거의 교통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한 과거의 교통 데이터를 반영하여 일정 관리 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일정 관리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일정 정보를 파악하고, 일정 정보에 포함된 약속 장소까지의 이동 경로를 교통 데이터를 반영하여 탐색하고, 탐색한 경로에 따른 소요 시간 및 출발 시간의 일정 관리 정보를 산출하는 일정 산출부; 탐색한 이동 경로를 등록시키고, 산출된 일정 관리 정보 및 상기 교통 데이터를 관리하는 일정 관리부; 및 산출된 일정 관리 정보를 포함한 산출 일정 메시지를 생성하여 휴대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메시지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일정 관리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출발 시간 이전의 미리 설정된 시간에 이동 경로 상의 교통 상황을 반영하여 일정 관리 정보를 재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일정 관리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산출 또는 재산출된 일정 관리 정보를 포함하는 일정 메시지를 이메일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본 발명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서, 약속 시간 및 약속 장소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일정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일정 정보로부터 약속 시간에 약속 장소에 도달하기 위해 필요한 이동 경로, 소요 시간 및 출발 시간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일정 관리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및 산출된 일정 관리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 관리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일정 관리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일정 관리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약속 장소까지의 이동 경로, 소요 시간 및 출발 시간 중에서 하나 이상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일정 관리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일정 관리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는, 과거 교통 데이터를 반영하여 이동 경로, 소요 시간 및 출발 시간 중에서 하나 이상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일정 관리 서비스 방법은, 출발시간보다 이전의 미리 설정된 시간이 되면, 현재의 교통 상황을 반영하여, 이동 경로, 소요 시간 및 출발 시간 중에서 하나 이상을 재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한번의 일정 정보 입력을 통해 일정을 산출하여 사용자에게 목적지까지의 최적의 경로와 소요시간 및 이에 따른 출발 시간 등의 일정을 알림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은 이동 경로, 소요 시간, 및 이에 따른 출발 시간 등의 일정을 사용자에게 알리는데 있어서, 과거의 교통 데이터를 반영한 교통 상황의 예측에 따라 이동 경로, 소요 시간 및 이에 따른 출발 시간 등의 일정을 산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정확한 일정 관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은 출발 시간 전에 일정이 있는 날에 파악된 교통 상황을 반영하여 이동 경로, 소요 시간 및 이에 따른 출발 시간을 포함하는 일정을 재산출하고, 재산출된 일정을 사용자에게 알림으로써, 이동 경로 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반영한 현실성 있고 정확한 일정 관리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가 약속 시간에 늦지 않고, 효율적으로 시간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정 관리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정 관리 서비스 시스템에서 휴대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정 관리 서비스 시스템에서 일정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일정 관리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일정 관리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일정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의 일정 관리 서비스 제공을 위한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정 관리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정 관리 서비스 시스템에서 휴대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정 관리 서비스 시스템에서 일정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정 관리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일정을 알리는 휴대 단말 장치(100) 및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정 관리 서비스 장치(20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이동해야 하는 일정이 있을 때, 가야 할 해당 일정일의 목적지까지의 소요시간을 미리 확인하여 출발시간을 알려주는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휴대 단말 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10), 제어부(120), 저장부(130), 표시부(140) 및 통신부(15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입력부(110)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서 사용자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는데, 특히, 본 발명에 의한 입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일정 정보를 입력 받는다.
여기서 입력 받는 일정 정보는 해당 일정일, 약속시간, 출발지 및 약속 장소(목적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하여 출발지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입력된 일정 정보를 포함하는 입력 일정 정보 전송 메시지를 생성하여 생성된 입력 일정 정보 전송 메시지를 일정 관리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한다. 그리고 일정 관리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상기 일정 정보로부터 산출된 일정 관리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한다. 이때, 제어부(120)는 상기 일정 관리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일정 관리 정보를 수신하지 않고, 상기 입력된 일정 정보로부터 약속 장소에 도착하기 위한 이동 경로, 소요 시간, 및 출발 시간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일정 관리 정보를 직접 산출할 수 도 있다. 이때, 이동 경로의 출발지는 일정 정보에 포함되는 출발지 정보를 적용할 수도 있고, 현재 위치를 확인하여, 확인된 현재 위치를 출발지로 할 수 도 있다. 더하여, 제어부(120)는 상기 일정 관리 정보의 산출에 과거의 교통 데이터를 반영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일정이 있는 날의 약속 시간 이전의 기 설정된 시간에 현재의 교통 상황을 확인하고, 확인된 교통 상황에 근거하여 상기 일정 관리 정보를 재산출할 수 도 있다.
저장부(130)는 입력된 일정 정보 및 사용자에게 알리는 산출한 일정 관리 정보들을 저장하고, 동작에 필요한 운용 및 응용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RAM(Read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와 같은 메모리뿐만 아니라 플래시 메모리, 하드디스크와 같은 스토리지(Storage)를 포괄하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표시부(140)는 입력된 일정 정보를 표시하고, 일정 관리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산출(재산출) 일정을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목적지까지의 경로, 소요 시간 및 출발 시간을 알려준다. 이러한 표시부(140)는 LCD, TFT-LCD, LED, OLED, AM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3차원 디스플레이 등과 같이 현재 상용화되어 있거나, 향후에 상용화가 가능한 다양한 표현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50)는 통신망(300)을 통해 일정 관리 서비스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한다.
이러한 휴대 단말 장치(200)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다양한 장치가 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노트북 컴퓨터, 휴대폰(mobile phone), 태블릿 PC, 내비게이션(navigation), 스마트폰(Smart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와 같은 디지털방송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이는 예시에 불과할 뿐이며, 상술한 예 이외에도 현재 개발되어 상용화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모든 통신이 가능한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휴대 단말 장치(200)는 단독으로 사용자에게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도 있으며, 일정 관리 서비스 장치(200)와의 연동을 통해서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일정 관리 서비스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정 관리 서비스 장치(200)는 통신부(210), 제어부(220), 및 저장부(23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통신망(300)을 통해 휴대 단말 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하여 일정 관리 서비스의 운용 및 관리를 위한 정보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210)는 일정 관리 서비스 요청 및 사용자의 일정 정보를 수신하고, 제어부(220)에 의해 산출된 이동 경로, 소요시간, 출발지 및 출발 시간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일정 관리 정보를 휴대 단말 장치(100)로 송신한다.
제어부(220)는 사용자의 서비스 요청에 따라서 일정 관리 서비스를 휴대 단말 장치(100)로 제공하는 것으로서, 일정 관리 서비스를 위해 일정 산출부(221), 일정 관리부(222) 및 메시지 생성부(223)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일정 산출부(221)는 휴대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입력 일정 정보 전송 메시지를 분석하여 입력 일정 정보 전송 메시지에 포함된 일정 정보를 이용하여 일정 관리 정보를 산출한다. 즉, 일정 산출부(221)는 일정에 포함된 약속 장소까지의 이동 경로를 탐색한다. 이때 출발지는 일정에 포함된 출발지 정보를 이용할 수 도 있고, 휴대 단말 장치(100)로부터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여 이용할 수 도 있다. 또한, 일정 산출부(221)는 상기 이동 경로로 약속 장소까지 가는데 소요되는 소요시간 및 이로부터 예측되는 출발 시간을 분석하여 제시한다. 이때, 소요 시간 및 출발 시간은 과거 교통 데이터(날짜, 시간, 시즌 등)를 반영하여 산출할 수 있다.
더하여, 일정 산출부(221)는 일정이 있는 날이 되면, 출발 시간보다 이전의 기 실정된 시간에 해당 이동 경로의 소통 현황, 사고, 교통 통제 등의 교통 상황을 파악하여 출발 시간, 경로, 소요 시간 등의 일정을 재 산출한다. 여기서 일정 시간은 출발시간 10분 전 또는 30분 전 등 사용자가 변경 가능한 시간으로 미리 설정해놓은 시간이다. 이러한 교통 상황은 다른 장치나 서버로부터 제공받을 수도 있다.
일정 관리부(222)는 산출한 일정 관리 정보를 등록시키고, 이에 대응하는 과거 또는 현재의 교통 데이터를 관리한다.
메시지 생성부(223)는 상기 산출된 일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산출 일정 메시지를 생성하고, 출발시간보다 일정 시간 전에 새로 산출한 일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재산출 일정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산출 일정 메시지 또는 재산출 일정 메시지를 휴대 단말 장치(100)로 전송한다.
저장부(230)는 수신한 일정 정보, 산출(재산출) 일정 관리 정보들 및 교통 정보 등 일정 관리 서비스를 위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한다.
한편, 통신망(300)으로는 다양한 종류의 통신망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터넷 프로토콜을 통하여 대용량 데이터의 송수신 서비스 및 끊기는 현상이 없는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IP망, IP를 기반으로 서로 다른 망을 통합한 아이피망 구조인 All IP망, Wibro(Wireless Broadband)망과, Wi-Fi망을 포함하는 무선랜(Wireless LAN), WPAN, 유선통신망, 이동통신망,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망 및 위성통신망 등과 같이 기존에 알려져 있는 다양한 방식의 네트워크를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더하여, 향후 개발 예정인 차세대 통신망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면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정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자에게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일정 관리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일정 관리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여기서, 일정 관리 서비스는 휴대 단말 장치(100)와 일정 관리 서비스 장치(200)의 연동을 통해 이루어진다.
도 4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일정 정보를 입력받고(S101), 입력된 일정 정보를 포함한 입력 일정 정보 전송 메시지를 생성하여 생성된 입력 일정 정보 전송 메시지를 일정 관리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한다(S102). 이에 따라 일정 관리 서비스 장치(200)는 입력 일정 정보 전송 메시지를 수신하여 포함된 입력 일정 정보를 이용하여 목적지까지의 경로, 소요 시간 및 출발 시간 등의 일정을 산출한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 장치(100)는 일정 관리 서비스 장치(200)에서 산출된 일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산출 일정 메시지를 수신하고(S103), 수신한 산출 일정 메시지에 포함된 산출 일정 관리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목적지까지의 경로, 소요 시간, 출발 시간 등의 일정을 알린다(S104).
이후, 휴대 단말 장치(100)는 입력된 해당 일정 일의 출발 시간의 일정 시간 전에 일정 관리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재산출된 일정 관리 정보를 포함한 재산출 일정 메시지를 수신하고(S105), 수신한 재산출 일정 관리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다시 교통 상황을 반영한 목적지까지의 경로, 소요 시간, 출발 시간 등의 일정을 알린다(S106).
이와 같은 일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의 일정 관리 서비스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일정 관리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정 관리 서비스 장치(200)는 휴대 단말 장치(100)로부터 일정일, 약속 시간, 출발지 및 목적지 등의 일정 정보를 포함하는 입력 일정 정보 메시지를 수신한다(S201).
일정 관리 서비스 장치(200)는 수신된 입력 일정 정보들을 확인하여 이를 등록하고, 미리 저장된 과거의 교통 데이터를 반영하여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한 후, 목적지(약속 장소)까지의 소요시간을 분석하여 일정을 산출한다(S202). 여기서, 출발지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반영할 수 도 있고, 사용자가 입력한 출발지 정보를 이용할 수 도 있다.
이때, 산출된 일정 관리 정보는 목적지까지의 최적의 이동 경로, 소요시간 및 출발시간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일정 관리 서비스 장치(200)는 이렇게 산출된 일정 관리 정보를 포함한 산출 일정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산출 일정 메시지를 휴대 단말 장치(100)로 전송한다(S203). 이에 따라 휴대 단말 장치(100)는 수신한 산출 일정 메시지를 확인하여 산출된 일정 관리 정보를 표시부(140)에 화면상으로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일정이 있는 날의 목적지까지의 경로, 소요 시간 및 출발 시간 등의 산출한 일정을 사용자에게 알린다.
이후, 일정이 있는 날이 되면, 일정 관리 서비스 장치(200)는 출발 시간보다 미리 설정된 일정시간 전에 해당 경로의 소통 현황, 사고, 교통 통제, 공사 구간 등의 이벤트에 따른 교통 상황을 파악하여 경로를 다시 산출하고, 이러한 경로 상에서 파악된 교통 상황을 반영한 소요 시간 및 출발 시간 등을 다시 산출한다(S205). 이때, 만약 이전에 산출된 경로 상에 어떠한 이벤트가 발생하여 교통 상황이 좋지 않아서 약속 시간까지 도착할 수 없는 경우에는 다른 경로를 재 탐색하고, 재 탐색된 경로에서 현재 교통 상황을 고려하여 과거의 교통 데이터를 반영하여 교통 상황을 예측함으로써 목적지까지의 소요 시간을 산출하고, 산출된 소요 시간에 따라 출발 시간을 다시 산출한다. 이러한 일정 재산출 과정에서,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은 경로 상에서 출발시간에서 목적지까지 소요되는 시간보다 앞선 시간에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소요 시간이 1시간이면 출발 시간 1시간 이전으로 설정되어야 한다.
일정 관리 서비스 장치(200)는 이렇게 재 산출된 일정을 포함한 재산출 일정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재산출 일정 메시지를 휴대 단말 장치(100)로 전송한다(S206). 이에 따라 휴대 단말 장치(100)는 수신한 재산출 일정 메시지를 확인하여 재산출된 일정 관리 정보를 표시부(140)에 화면상으로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출발 시간 전에 목적지까지의 경로, 경로 상의 교통 상황을 반영한 소요 시간 및 출발 시간 등의 산출한 일정을 사용자에게 다시 알린다.
한편, 일정 관리 서비스 장치(200)는 산출 일정 메시지 및 재산출 일정 메시지를 상기 휴대 단말 장치(100)로 SMS 형태로 전송하는 대신 이메일 발송을 통해 일정 관리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으며, 또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통한 휴대 단말 장치에서의 알림도 가능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일정 관리 서비스 과정의 각 단계가 일정 관리 서비스 장치(200)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기술하였으나, 이와 달리, 도 5에 도시한 일정 관리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법은 소프트웨어로 구현되어 휴대 단말 장치(100)에 탑재됨으로써, 휴대 단말 장치(100)를 통해서 실행될 수 도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경로에 대한 정보가 일정 관리 서비스 장치(200)에 저장된 것으로 기술하였으나, 이는 휴대 단말에도 저장될 수 있으며, 휴대 단말의 길안내 어플리케이션이나 네비게이션 단말의 소프트웨어(S/W)에서 다운로드 받아서 쉽게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설정하여 이용할 수 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일정에 따라 약속 장소를 차량을 통해 이동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대중 교통이나, 도보의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대중 교통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일정 산출 시 미리 다운 받은 대중 교통 정보를 이용하여 경로를 탐색하고, 탐색된 경로의 소요 시간 및 출발 시간을 산출할 수도 있다. 도보로 가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하고, 탐색된 경로의 도보 소요 시간 및 출발 시간을 산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일정 관리 서비스 시스템에서는 한번의 일정 정보 입력을 통해 교통 상황의 예측에 따른 목적지까지의 출발 시간과 이동 방법에 따른 최적 경로, 소요 시간 등의 일정을 산출하여 정해진 일정에 늦지 않도록 사용자에게 미리 일정을 알려주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나,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일정 관리 서비스 기술 분야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일정 관리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의 한번의 일정 정보 입력을 통해 교통 상황을 예측하여 일정 관리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한 일정 관리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림으로써 사용자가 일정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은, 일정 관리 서비스 시스템에서 사용자에게 목적지까지의 경로, 소요시간 및 출발 시간 등의 일정을 미리 알려주기 위한 휴대 단말 장치, 일정 관리 서비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휴대 단말 장치로 한번의 일정 정보 입력을 하면, 일정 관리 서비스 장치에서 입력된 일정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통해 교통 상황을 예측하여 목적지까지의 출발 시간과 이동 방법에 따른 최적 경로와 소요 시간 등의 일정 관리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일정 관리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 장치로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알림으로써, 사용자가 효율적으로 일정을 관리할 수 있으며, 약속 시간 이전에 교통 상황을 반영하여 일정을 재산출함으로써, 경로 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미리 피할 수 있고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0: 휴대 단말 장치
110: 입력부
120: 제어부
130: 저장부
140: 표시부
150: 통신부
200: 일정 관리 서비스 장치
210: 입력부
220: 제어부
230: 저장부
240: 표시부
250: 통신부
300: 교통정보 제공 장치

Claims (15)

  1. 사용자로부터 일정 정보를 입력 받고, 입력된 일정 정보에 따라 산출된 일정 관리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휴대 단말 장치; 및
    상기 휴대 단말 장치로부터 사용자의 일정 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교통 데이터를 반영하여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이동 경로, 소요 시간 및 출발 시간을 포함하는 일정 관리 정보를 산출하여 상기 산출된 일정 관리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일정 관리 서비스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 관리 서비스 시스템.
  2. 사용자로부터 약속 시간 및 약속 장소를 포함하는 일정에 대한 일정 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부;
    상기 일정 정보를 포함한 일정 정보 전송 메시지를 생성하여 일정 관리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일정 관리 서비스 장치로부터 상기 일정 정보에 따라 산출된 상기 약속 시간에 약속 장소에 도착하기 위한 일정 관리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일정 관리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제어부;
    상기 일정 정보 및 상기 일정 관리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서, 일정 관리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해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관리 정보는 상기 약속 장소를 목적지로 하는 이동 경로, 상기 약속 장소까지 이동하는데 걸리는 소요시간 및 상기 소요 시간을 반영한 사용자의 출발 시간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과거의 교통 데이터를 반영하여 상기 일정 정보에 포함된 약속 장소를 목적지로 하는 최적의 이동 경로, 소요 시간 및 출발 시간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일정이 있는 날에 상기 출발 시간보다 이전의 미리 설정된 시간에 상기 이동 경로 상의 교통 상황을 파악하고, 파악된 교통 상황을 반영한 일정 관리 정보를 재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현재 시각과 상기 출발 시간을 비교하여, 출발 시간이 되면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7. 일정 관리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의 약속 시간 및 약속 장소를 포함하는 일정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한 일정 정보를 파악하여 상기 약속 시간에 상기 약속 장소에 도착하기 위한 이동 경로, 소요 시간 및 출발 시간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일정 관리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일정 관리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휴대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 및
    상기 사용자의 일정 정보, 및 일정 관리 정보 중에서 하나 이상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 관리 서비스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과거의 교통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한 과거의 교통 데이터를 반영하여 상기 일정 관리 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 관리 서비스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정 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일정 정보에 포함된 약속 장소까지의 이동 경로를 교통 데이터를 반영하여 탐색하고, 탐색한 경로에 따른 소요 시간 및 출발 시간의 일정 관리 정보를 산출하는 일정 산출부;
    상기 탐색한 이동 경로를 등록시키고, 산출된 일정 관리 정보 및 상기 교통 데이터를 관리하는 일정 관리부; 및
    상기 산출된 일정 관리 정보를 포함한 산출 일정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휴대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메시지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 관리 서비스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발 시간 이전의 미리 설정된 시간에 상기 이동 경로 상의 교통 상황을 반영하여 일정 관리 정보를 새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 관리 서비스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출 일정 메시지 및 상기 재산출 일정 메시지를 이메일 또는 문자메시지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 관리 서비스 장치.
  12. 약속 시간 및 약속 장소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일정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일정 정보로부터 상기 약속 시간에 상기 약속 장소에 도달하기 위해 필요한 이동 경로, 소요 시간 및 출발 시간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일정 관리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일정 관리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 관리 서비스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관리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약속 장소까지의 이동 경로, 소요 시간 및 출발 시간 중에서 하나 이상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 관리 서비스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관리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는,
    과거 교통 데이터를 반영하여 이동 경로, 소요 시간 및 출발 시간 중에서 하나 이상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 관리 서비스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출발시간보다 이전의 미리 설정된 시간이 되면, 현재의 교통 상황을 반영하여, 상기 이동 경로, 소요 시간 및 출발 시간 중에서 하나 이상을 재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 관리 서비스 방법.
KR1020100106559A 2010-10-29 2010-10-29 일정 관리 서비스 시스템, 그의 휴대 단말 장치, 일정 관리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17710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6559A KR101771041B1 (ko) 2010-10-29 2010-10-29 일정 관리 서비스 시스템, 그의 휴대 단말 장치, 일정 관리 서비스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6559A KR101771041B1 (ko) 2010-10-29 2010-10-29 일정 관리 서비스 시스템, 그의 휴대 단말 장치, 일정 관리 서비스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5180A true KR20120045180A (ko) 2012-05-09
KR101771041B1 KR101771041B1 (ko) 2017-08-24

Family

ID=46264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6559A KR101771041B1 (ko) 2010-10-29 2010-10-29 일정 관리 서비스 시스템, 그의 휴대 단말 장치, 일정 관리 서비스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104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1244A (ko) * 2013-10-07 2015-04-16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최적 출발 알림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1712118B1 (ko) * 2015-10-12 2017-03-03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메시지 서버, 이를 이용한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591038B1 (ko) * 2022-11-30 2023-10-17 신현동 인공지능 캘린더를 활용한 일정 관리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1244A (ko) * 2013-10-07 2015-04-16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최적 출발 알림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1712118B1 (ko) * 2015-10-12 2017-03-03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메시지 서버, 이를 이용한 내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591038B1 (ko) * 2022-11-30 2023-10-17 신현동 인공지능 캘린더를 활용한 일정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1041B1 (ko) 2017-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678476B (zh) 在运送期间动态地确定编制路线
US10480956B2 (e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nowcasts along a route map
US9026101B2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schedule management based on locations of wireless devices
US8024111B1 (en) Travel route system and method
US8027877B2 (e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advertisements to mobile devices
US8606517B1 (en) Travel route system and method
CN107491825B (zh) 一种约车处理方法及系统
US9212925B2 (en) Travel departure time determination using social media and regional event information
KR20190068603A (ko) 범위에 따른 전송을 갖는 서비스 제공자 동작 결정 기법
US20070194940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ng travel alerts to mobile devices
CN111709856A (zh) 一种房源信息处理方法、装置和电子设备
KR101759657B1 (ko) 실시간 경로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597772B1 (ko) 실시간 대중교통 도착예정시간 산출방법
KR20120045180A (ko) 일정 관리 서비스 시스템, 그의 휴대 단말 장치, 일정 관리 서비스 장치 및 방법
JP5372847B2 (ja) 配信サーバ、及びシステム並びに方法
KR101934800B1 (ko) 대중교통 정보 제공 장치
KR101763304B1 (ko)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45172A (ko) 픽업 서비스 제공 시스템, 픽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단말 장치 및 정보 제공 장치, 그리고 그의 픽업 서비스 제공 방법
CN107533688A (zh) 一种业务处理方法及设备
CN109670649A (zh) 一种用于提供用户公交出行提醒信息的方法与设备
JP5521396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方法
JP6810483B1 (ja) 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装置
KR20110040169A (ko) 휴대용 단말기와 이를 이용한 출발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JP2016206710A (ja) 電子クーポン管理装置、システム、電子クーポンを管理する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7154964B (zh) 一种移动终端信息推送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