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5175A - 모바일 오피스 시스템, 그의 모바일 오피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오피스 시스템, 그의 모바일 오피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5175A
KR20120045175A KR1020100106549A KR20100106549A KR20120045175A KR 20120045175 A KR20120045175 A KR 20120045175A KR 1020100106549 A KR1020100106549 A KR 1020100106549A KR 20100106549 A KR20100106549 A KR 20100106549A KR 20120045175 A KR20120045175 A KR 201200451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office
icon
mobile
screen
off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6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후정
강수남
손은경
이충현
이승희
이관재
이동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6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45175A/ko
Publication of KR20120045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51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6Schedule adjustment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7Computer-aided management of electronic mailing [e-mai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1Recording time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3Calendar-based scheduling for persons or gro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오피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그 통신 시스템에서 모바일 오피스용 대기화면을 통해 기업의 다양한 업무 프로세스에 대한 모바일 오피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 장치 및 모바일 오피스용 대기 화면 설정 및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모바일 단말 장치에서 모바일 오피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오피스용 대기 화면을 설정하고, 기업 구성원들이 기업의 다양한 업무 프로세스를 모바일 단말 장치에서 간단하고 신속한 업무 처리 및 의사 결정이 가능하므로 기업의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기업에서 제공하는 모바일 오피스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모바일 오피스용 대기 화면에서만 제공함으로써, 업무 처리의 독립성과 보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모바일 오피스 시스템, 그의 모바일 오피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 장치 및 방법{Mobile office system,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mobile office service in mobile office system}
본 발명은 모바일 오피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그 시스템에서 모바일 오피스용 대기화면을 통해 기업의 다양한 업무 프로세스에 대한 모바일 오피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단순한 통신 및 인터넷을 제공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벗어나, PC와 같은 고성능의 프로세서 및 대용량의 메모리를 탑재하고, 사용자가 자유롭게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폰(smart phone)이 급속히 보급되고 있다.
스마트폰은 휴대폰 기능에 일정 관리, 팩스 송신 및 인터넷 접속 등의 데이터 통신기능을 통합시킨 지능형 단말기로서, 무선인터넷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직접 접속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여러 가지 브라우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접속할 수 있는 점, 개방형 플랫폼을 지원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직접 제작할 수도 있는 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임의로 설치하여 자신에게 알맞은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는 점, 그리고 같은 운영체제(OS)를 가진 스마트폰 간에 애플리케이션을 공유할 수 있는 점 등과 같이 기존의 휴대폰이 갖지 못한 장점으로 인하여, 휴대 전화 시장을 빠르게 잠식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의 보급에 따라서, 기업에서도 업무의 편의를 위해 다양한 업무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도록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모바일 서비스가 요구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에서 기업의 시스템에 접속하여 기업의 업무 환경을 신속하게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오피스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을 통해 기업의 시스템에 접속하여 기업의 업무 환경을 신속하게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오피스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더하여 본 발명은, 모바일 오피스 시스템에서 모바일 오피스용 대기화면을 설정하고 이를 통해 모바일 오피스를 지원하는 모바일 단말 장치 및 모바일 오피스용 대기화면을 설정하고, 모바일 오피스 관련 어플리케이션이 모바일 오피스용 대기화면에서만 제공되도록 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더하여 본 발명은, 회의실 예약 및 구성원 검색 기능에 대한 모바일 오피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관계사별 모바일 오피스 관련 어플리케이션들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관계사 서비스 장치; 그룹 공통의 모바일 오피스 관련 어플리케이션들을 제공하는 그룹 공통 서비스 장치; 및 관계사별 및 그룹 공통의 모바일 오피스 관련 어플리케이션들을 모아서 패널들을 생성하고, 생성된 패널들을 통해 모바일 오피스용 대기 화면을 설정하고, 사용자의 입력 신호에 따라 모바일 오피스용 대기 화면에서만 제공되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모바일 오피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오피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오피스 시스템에 있어서, 모바일 단말 장치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서 사용자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입력부;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라서, 모바일 오피스 관련 어플리케이션들을 모아서 패널들을 생성하고, 생성된 패널들을 통해 모바일 오피스용 대기 화면을 설정하고, 모바일 오피스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모바일 오피스용 대기 화면에서만 제공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서 모바일 오피스용 대기 화면을 표시하고, 모바일 오피스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단말 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모바일 오피스 대기 화면에 표시될 모바일 오피스 관련 어플리케이션들을 수집하는 어플리케이션 수집부; 모바일 오피스 대기 화면에 설정할 상기 패널들을 생성하는 패널 생성부; 생성된 패널들을 모바일 오피스용 대기 화면에 설정하고, 기본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에 일정 시간 단위로 다운받은 어플리케이션들을 업데이트하여 모바일 오피스 서비스를 위한 모바일 오피스 대기 화면을 구성하는 대기 화면 구성부; 모바일 오피스용 대기 화면에 표시된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들에서 입력부로부터 전달된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라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부; 및, 모바일 오피스 대기 화면에 접근하는 사용자의 인증을 수행하여 접근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인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본 발명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모바일 오피스 관련 어플리케이션들을 수집하는 단계; 모바일 오피스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모바일 오피스 서비스를 위한 패널들을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패널들을 통해 모바일 오피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오피스용 대기 화면을 설정하는 단계; 설정된 모바일 오피스용 대기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및 모바일 오피스용 대기 화면에 설정된 모바일 오피스 관련 어플리케이션들 중 사용자의 입력 신호에 따라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오피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오피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은, 사용자의 접근에 따라 사용자의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 장치에 모바일 오피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오피스용 대기 화면을 설정하고, 기업 구성원들이 기업의 다양한 업무 프로세스를 모바일 단말 장치에서 간단하고 신속한 업무 처리 및 의사 결정이 가능하므로 기업의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기업에서 제공하는 모바일 오피스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모바일 오피스용 대기 화면에서만 제공함으로써, 업무 처리의 독립성과 보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오피스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오피스 시스템에서의 모바일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오피스용 대기 화면 설정의 일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오피스용 대기 화면 설정의 일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오피스용 대기 화면 설정의 일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모바일 오피스용 대기 화면에 설정되는 메인 화면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모바일 오피스용 대기 화면에 설정되는 관계사 아이콘 패널의 화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모바일 오피스용 대기 화면에 설정되는 그룹 공통 아이콘 패널의 화면 구성을 도시한 블록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라 모바일 오피스용 대기 화면을 실행하기 위한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라 사용자 인증 시 비밀 번호 변경을 위한 절차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오피스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오피스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관계사 서비스 장치(10), 그룹 공통 서비스 장치(20), 모바일 단말 장치(10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이들은 통신망(30)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모바일 오피스 서비스를 위한 정보들을 송수신한다.
관계사 서비스 장치(10)는 관계사의 기업 정보를 관리하고, 관계사에 대한 모바일 오피스 서비스 생성을 위해 필요한 기업 정보를 모바일 단말 장치(100)로 제공한다.
그룹 공통 서비스 장치(20)는 그룹의 기업 정보를 관리하고, 그룹에 대한 모바일 오피스 서비스 생성을 위해 필요한 기업 정보를 모바일 단말 장치(100)로 제공한다.
모바일 단말 장치(100)는 복수의 대기 화면을 지원하고, 관계사 서비스 장치(10) 및 그룹 공통 서비스 장치(20)로부터 모바일 오피스용 어플리케이션을 모아 패널들을 생성하고, 생성된 패널들을 모바일 오피스용 대기 화면에 설정함으로써, 이를 통해 모바일 오피스용 대기 화면에서 간단하게 모바일 오피스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모바일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다양한 장치가 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노트북 컴퓨터, 휴대폰(mobile phone), 태블릿 PC, 내비게이션(navigation), 스마트폰(Smart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와 같은 디지털방송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이는 예시에 불과할 뿐이며, 상술한 예 이외에도 현재 개발되어 상용화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모든 통신이 가능한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통신망(30)으로는 다양한 종류의 통신망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터넷 프로토콜을 통하여 대용량 데이터의 송수신 서비스 및 끊기는 현상이 없는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IP망, IP를 기반으로 서로 다른 망을 통합한 아이피망 구조인 All IP망, Wibro(Wireless Broadband)망과, Wi-Fi망을 포함하는 무선랜(Wireless LAN), WPAN, 유선통신망, 이동통신망,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망 및 위성통신망 등과 같이 기존에 알려져 있는 다양한 방식의 네트워크를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더하여, 향후 개발 예정인 차세대 통신망이 포함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오피스 시스템에서의 모바일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입력부(110)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서 사용자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수단으로서, 지정된 영역이나 스크린을 터치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터치 입력 수단, 지정된 키를 조작함에 의해 이루어지는 키 입력 수단, 모바일 단말 장치(100)나 사용자의 특정 움직임을 인식하여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스처 입력 수단 등 다양한 입력 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편적으로 이용되는 입력 수단으로는 터치 입력 수단을 들 수 있으며, 터치 입력 수단은, 터치 패드, 터치 센서, 터치 스크린을 포함한다. 여기서, 터치 스크린은 표시부(140)의 기능을 함께 포함하는 것이다.
제어부(120)는 모바일 단말 장치(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수단으로서, 어플리케이션 수집부(121), 패널 생성부(122), 대기 화면 구성부(123), 어플리케이션 실행부(124) 및 인증부(1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수집부(121)는 각 관계사 서비스 장치(10) 및 그룹 공통 서비스 장치(20)로부터 통신부(150)를 통해 수신한 어플리케이션들을 수집하여 저장부(130)에 저장시킨다.
패널 생성부(122)는 오피스용 대기 화면에 설정할 메인 화면 패널, 관계사 아이콘 패널들 및 그룹 공통 아이콘 패널을 포함하는 모바일 오피스 전용 패널들과,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 가능한 사용자 패널을 생성한다.
대기 화면 구성부(123)는 생성된 패널들을 모바일 오피스용 대기 화면에 설정하고, 기본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에 일정 시간 단위로 다운받은 어플리케이션들을 업데이트하여 모바일 오피스 서비스를 위한 모바일 오피스용 대기 화면을 구성한다.
어플리케이션 실행부(124)은 모바일 오피스용 대기 화면에 표시된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들에서 입력부(110)로부터 전달된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라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인증부(125)는 비밀 번호 또는 사번과 비밀번호를 입력 받아 접근하는 사용자의 인증을 수행한다.
저장부(130)는 각 관계사 서비스 장치(10) 및 그룹 공통 서비스 장치(20)로부터 수신한 어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하고, 동작에 필요한 운용 및 응용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러한 저장부(130)는 RAM(Read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와 같은 메모리뿐만 아니라 플래시 메모리, 하드디스크와 같은 스토리지(Storage)를 포괄하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표시부(140)는 상기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서, 모바일 오피스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한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GUI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15)는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표시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LCD(Liquid Crystal Display), TFT-LCD(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s),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액정 등의 표현수단을 들 수 있다.
통신부(150)는 통신망(30)을 통해 모바일 오피스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모바일 오피스 시스템에서 상술한 모바일 단말 장치(100)에서 모바일 오피스용 대기 화면을 설정 및 설정된 모바일 오피스용 대기 화면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단말 장치(100)는 복수의 대기 화면을 지원하는데, 여기서 기업의 업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모바일 오피스용 대기 화면을 설정한다. 이를 위해 우선, 모바일 오피스용 대기 화면을 구성할 패널을 생성해야 한다.
이에 따라 모바일 단말 장치(100)는 각 관계사 서비스 장치(10) 및 공통 그룹 공통 서비스 장치(20)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을 수집하고, 오피스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이를 이용하여 모바일 오피스용 대기 화면을 구성할 메인 화면 패널, 관계사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패널(Application icons panel) 및 그룹 공통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패널을 생성한다. 이러한 패널들은 모바일 오피스 전용 패널로서, 오피스와 관련이 없는 일반 메뉴와 섞일 수 없으며, 디폴트(Default)로 제공된다.
또한, 모바일 단말 장치(100)에서는 일반 메뉴와 모바일 오피스 메뉴가 섞일 수 있는 패널로서, 사용자가 마음대로 설정 할 수 있는 사용자 패널을 생성한다. 이는 일반 메뉴의 "추가" 기능을 통해 바로가기, 위젯, 폴더 등 패널 위에 사용자 설정이 가능하며, 모바일 오피스 패널에서 아이콘을 선택하여 이동 시 이동(move) 개념이 아닌 복사(copy) 개념으로 사용자 패널에 복사된다.
모바일 단말 장치(100)는 이렇게 생성된 패널들을 모바일 오피스용 대기 화면에 설정하고, 모바일 오피스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업데이트를 수행한다. 이후, 모바일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의 입력 신호에 따라 모바일 오피스용 대기 화면에 표시된 해당 모바일 오피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오피스용 대기 화면 설정의 일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오피스용 대기 화면 설정의 일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오피스용 대기 화면 설정의 일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마이 오피스 메인 화면(Main screen)과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패널이 모바일 오피스용 대기 화면에 설정되어 사용자의 플릭(Flick)을 통해 이동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라 마이 오피스 메인 화면, 관계사 아이콘 및 그룹 공통 아이콘 패널이 모바일 오피스용 대기 화면에 설정되어 사용자의 플릭을 통해 이동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서는 제2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오피스용 대기 화면에서 플릭하여 이동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패널을 설정되며, 이는 사용자가 마음대로 설정할 수 있으며, 모바일 오피스용 패널과 섞일 수 있는 패널이다.
모바일 단말 장치(100)는 모바일 오피스 서버(100)에서 생성된 패널을 수신하여 수신된 패널에 모바일 오피스 관련 어플리케이션들을 실행시키기 위한 아이콘들을 설정하고, 마이 오피스 설정을 수행한다. 또한, 모바일 단말 장치(100)는 메인 화면의 메뉴 및 아이콘들을 설정하여 사용자가 업무에 필요한 정보를 대기 화면에서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마이 오피스 메인 화면(210)은 첨부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예로 크게 내 데스크(My Desk) 영역(211), 오늘의 일정(Today) 영역(212), 주요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영역(213) 및 옵션 메뉴로 구분하여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주요 사용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영역을 제외한 다른 영역들은 고정 영역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메인 화면을 좌로 플릭하면 모바일 오피스 아이콘 패널로 이동한다. 옵션 메뉴는 배경화면, 검색, 알림, 설정 등의 항목으로 구성된다.
모바일 오피스용 대기 화면은 다운로드 직후 초기 진입 시에는 메인 화면으로 진입하나, 이후에는 마지막으로 사용한 패널로 진입한다.
내 데스크 영역(211)은 내 오피스 첫 진입 시 계정 인증을 통해 자동으로 생성되며, 새 메일, 사내 트위터(TickTok), 설문조사(Quick Poll), 구성원 검색, 날짜, 시간, 일정 2개 등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황에 따라 이러한 메뉴는 변경될 수도 있으며, 전자결재로 오픈되는 관계사인 경우에는 전자결재 기능이 더 노출된다. 여기서, 날짜는 월(MM)/일(DD)/요일, 시간은 오전(AM)/오후(PM) 시간(HH): 분(MM)으로 설정되며, 이들은 텝(Tap) 시 일정의 달력보기(월보기)로 이동한다. 또한, 일정은 현재 시간 이후 최신일정 2개(시간(AM/PM H:MM), 내용)로 구성되며, 일정 제목이 긴 경우 "…" 말 줄임으로 표시한다. 이러한 일정목록을 탭하면 해당 일정 상세화면으로 이동하며, 일정이 없는 경우에는 "일정 없음" 메시지를 제공한다. 새 메일, 사내 트위터, 설문조사는 아이콘, 타이틀, 업데이트 건수로 구성한다. 구성원 검색은 즐겨 찾기 식으로 건 수를 제공하지 않는다. 이러한 항목들 중 사용자 원하는 항목을 탭하면 해당 어플리케이션 화면으로 이동한다.
오늘의 일정 영역(212)은 최근 5개의 공지사항을 지속적으로 푸쉬(Push)하며, 위젯 내용을 탭하면 해당 내용 상세 페이지로 이동하고, ">"를 탭하면 목록화면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공지사항은 최신 컨텐츠를 일정 시간마다 한번씩 롤링(Rolling)한다. 필드는 이미지, 타이틀, 내용 3줄(길어질 경우 "…"로 표시)로 구성할 수 있다.
주요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영역(213)은 디폴트 형식으로 전화, 메시지, 이메일, 오픈마켓(업데이트해야 하는 어플리케이션 개수)등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편집모드로 진입하여 변경/이동이 가능하고, 0~4개까지 설정 가능하며, 아이콘 우측 상단에 업데이트 개수와 새로 설치한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한다.
다음으로, 관계사 아이콘 패널(220)은 첨부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콘 리스트 영역(221), 주요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영역(222) 및 옵션 영역(223)으로 구분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마이 오피스 메인 화면(210)의 좌측에 제공되는 아이콘 패널 화면이다. 또한, 관계사 아이콘 패널(220)은 아이콘 우측 상단에 업데이트 개수와 새로 설치한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며, 관계사 어플리케이션이 있는 경우에만 제공된다.
아이콘 리스트 영역(221)은 4*4 형태의 그리드 타입으로, 수집한 어플리케이션들을 어플리케이션 아이콘과 어플리케이션 명으로 구성하며, 개수가 16개 이상으로 늘어나면 아이콘 리스트 영역에서만 상하 스크롤바(Scroll Bar)가 형성되어 상하 플릭킹(flicking)으로 어플리케이션 탐색이 가능하다. 또한, 아이콘 리스트 영역(221)은 어플리케이션 하나를 롱 프레스(long press)하면 선택한 어플리케이션만 확대되면서 이동 및 삭제가 가능하며, 어플리케이션 롱 프레스 시 옵션 메뉴 아이콘이 휴지통 아이콘으로 변경되면서 휴지통 기능을 한다. 이에 어플리케이션을 롱 프레스한 상태에서 드레그 및 드롭(drag&drop)하여 휴지통에 끌어다 넣으면 어플리케이션이 모바일 오피스용 대기 화면에서 삭제된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 삭제는 영구 삭제되는 것이 아니라 대기 화면에서만 삭제되는 것이다.
또한, 아이콘 리스트 영역(221)은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을 이동/복사 시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롱 프레스하면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이 확대되면서 편집모드로 변경되고, 빈 공간에 아이콘을 옮겨 놓으면 위치가 변경된다. 만약, 빈 공간이 없으면 손가락을 땠을 때 다시 제자리로 돌아온다. 또한, 관계사 아이콘 패널(220) 및 그룹 공통 아이콘 패널(230)에서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을 홀드 및 드래그(Hold&Drag)하여 우측으로 이동하여 패널을 이동함으로써 제3 실시 예에 따른 유저 패널로 복사할 수도 있다.
주요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영역(222) 및 옵션 영역(223)은 각각 마이 오피스 메인 화면(210)의 주요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영역(213) 및 옵션 영역(214)의 설명과 동일하다.
다음으로, 그룹 공통 아이콘 패널(230)은 첨부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콘 리스트 영역(231), 주요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영역(232) 및 옵션 메뉴 영역(233)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마이 오피스 메인 화면(210)의 우측에 제공하는 아이콘 패널 화면으로서, 아이콘 우측 상단에 업데이트 개수와 새로 설치한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한다.
아이콘 리스트 영역(231)은 관계사 아이콘 패널(220)의 아이콘 리스트 영역(221)의 설명과 동일하며, 디폴트로 제공하는 위젯(좌측 최상단)에 마이 오피스 설정 아이콘이 구성된다. 주요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영역(232) 및 옵션 메뉴 영역(233)은 각각 마이 오피스 메인 화면(210)의 주요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영역(213) 및 옵션 영역(213) 설명과 동일하다.
상술한 마이 오피스 설정 아이콘은 이동은 가능하나 삭제는 불가능하며, 첨부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 설정 영역(310), 마이 오피스 아이콘 설정 영역(320) 및 옵션 메뉴 영역(330)으로 구분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디폴트로 제공하는 마이 오피스 설정 화면으로서, 댑스(Depth) 이동 없이 스크롤바를 생성하여 한 화면에서 설정 가능하다. 이러한 마이 오피스 설정 아이콘을 실행 후 로그 아웃되면 사용자 패널 화면으로 이동하고, 이 사용자 패널 화면에서 홈 키를 누르면 비활성 상태의 마이 오피스 화면으로 이동하며, 이 비활성 상태의 마이 오피스 화면에 로그인 창이 표시되어 마이 오피스를 다시 메인으로 사용할 수 있다.
홈 설정 영역(310)은 계정, 아이디 및 로그 아웃 버튼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홈 계정을 로그 아웃 할 수 있고, 로그 아웃 버튼을 탭하면 모바일 단말 장치의 기본 화면으로 변경된다. 이러한 경우 마이 오피스 홈이 해제된다.
마이 오피스 아이콘 설정 영역(320)은 그룹 공통 및 관계사 어플리케이션으로 구분하고, 기본으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및 다운로드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모두 제공한다. 현재 홈에 설정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은 "on" 상태로 표시하고, 홈에 설정되어 있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은 "off" 상태로 표시하는데, 사용자가 on/off 상태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마이 오피스 아이콘 설정 영역(320)은 어플리케이션 편집 모드로 진입하여도 삭제(어플리케이션 홈에서 설정 해제)가 가능하고, 삭제 모드 진입 시 on/off 스위치 버튼이 체크박스로 변경되며, 삭제 불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은 삭제 모드 진입 시 on/off 버튼을 희미하게(dimmed) 제공한다.
상술한 관계사 아이콘 패널(220) 및 그룹 공통 아이콘 패널(230)에서 업데이트 정보가 있을 경우 모바일 단말 장치(100)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진입했을 때 업데이트 알림 팝업을 제공한다.
그러면 이와 같이 설정된 모바일 오피스용 대기 화면의 실행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라 모바일 오피스용 대기 화면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모바일 단말 장치(100)는 미리 설정된 주기로 마이 오피스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한다(S101).
모바일 단말 장치(100)는 마이 오피스 기능이 최초 실행인지를 확인하여(S102) 최초 실행이 아닌 경우, 마지막으로 사용한 패널로 진입한다(S103). 반면, 최초 실행인 경우, 사용자가 마이 오피스 어플리케이션을 탭하면 비밀 번호 입력 화면을 표시한다(S104). 이에 따라 사용자가 비밀 번호 입력 화면에 미리 등록한 비밀번호를 입력한 후 확인 버튼을 누른 경우, 모바일 단말 장치(100)는 다운로드 한 어플리케이션들 통해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하고 업데이트를 실행한다(S105). 이때, 사용자에 의한 취소 입력 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확인한다(S106). 모바일 단말 장치(100)는 완료 화면을 통해 업데이트가 취소됨을 표시하고(S107), 확인 버튼을 누르면, 이전 화면으로 복귀한다(S108).
반면, 모바일 단말 장치(100)는 일정 시간(N초) 후 업데이트 실행이 완료되면, 마이 오피스 기능이 대기 화면으로 설정되었음을 알리는 화면을 표시한(S109) 후, 사용자로부터 확인 신호가 입력되면 모바일 오피스용 대기 화면(메인 화면)을 표시한다(S110).
상술한 모바일 오피스용 대기 화면 실행 시 첨부된 도 11를 참조하여 비밀 번호 변경을 하는 경우의 절차를 설명하기로 한다.
비밀 번호 입력 화면에서, 사용자가 비밀 번호를 입력한 후 비밀 번호 변경 버튼을 누르면, 모바일 단말 장치(100)는 비밀 번호 변경 신호를 입력 받아서(S111), 사번과 비밀번호 확인을 위한 비밀 번호 변경 화면을 표시한다(S112). 이에 따라 사용자가 사번과 비밀번호를 입력한 후 확인 버튼을 눌러 확인 신호가 입력되면(S113), 모바일 단말 장치(100)는 새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비밀번호 변경 화면을 표시한다(S114).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새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확인 신호가 입력되면, 모바일 단말 장치(100)는 업데이트 화면을 표시하여 정보를 업데이트한(S115) 후, 마이 오피스가 대기화면으로 설정되었음을 알리는 완료 화면을 표시한다(S116). 그런 다음 사용자로부터 확인 신호를 입력받으면, 모바일 오피스용 대기 화면(메인 화면)을 표시한다(S117).
이렇게 표시된 모바일 오피스용 대기 화면의 메인 화면을 통해 사용자는 간편하게 업무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관계사 및 그룹 공통 패널로 이동하여 아이콘을 선택하면, 모바일 단말 장치(100)는 선택된 아이콘의 오피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모바일 오피스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렇게 모바일 오피스 대기 화면에 설정된 어플리케이션들 중 구성원 검색 및 회의실 예약에 대한 어플리케이션을 일 예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모바일 오피스용 대기 화면에 표시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중 모바일 오피스 서비스를 위해 회의실 예약을 클릭하는 경우의 회의실 예약을 하기 위한 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회의실 예약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설정에 따라 메인 화면의 메뉴에 설정하여 간편하게 실행할 수도 있고, 아이콘 패널들에서 아이콘을 설정하여 실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설정된 회의실 예약에 대한 어플리케이션을 탭하면, 모바일 단말 장치(100)는 회의실 예약을 위한 상세 정보들을 제공한다. 즉, 모바일 단말 장치(100)는 각 층별 회의실 리스트로 이동한다. 이러한 각 층별 회의실 리스트는 예를 들어 4개씩 분리하여 표시되며, 표시되는 회의실은 1~4개까지 가변적으로 보여줄 수 있다.
모바일 단말 장치(100)는 미리 인증되었던 구성원 사번으로 저장부(130)에 미리 저장된 인사 정보를 이용하여 구성원이 일하고 있는 층의 데이터를 로드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층 정보를 디폴트(default)로 표시한다.
모바일 단말 장치(100)는 해당 층의 회의실 예약 상황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회의실을 예약하면, 클릭만으로, 예약한 시간의 색깔을 변경하여 표시한다. 이때, 회의실 예약 상황은 30분 단위로 회의실 예약 정보를 읽어와 표시해준다.
모바일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 입장에서 회의실 예약을 검색 예약, 선택 예약으로 구분하여 실행할 수 있도록 표시되는 화면에 메뉴를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회의실 예약을 위한 화면 구성은 첨부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다. 여기서 회의실 예약 화면은, 상단에 검색 예약, 선택 예약 메뉴를 구성하고, 바로 아래에 날짜 선택 메뉴를 구성한다. 그 다음은 예약 항목 입력 영역을 구성하고, 하단에 회의실 선택 버튼 및 메뉴 키를 구성할 수 있다.
검색 예약을 살펴보면, 사용자가 검색 예약을 클릭함에 따라 모바일 단말 장치(100)는 날짜-시간 설정을 위한 화면을 표시한다. 사용자가 화면에 표시된 날짜-시간을 설정하면, 모바일 단말 장치(100)는 사옥 설정 변경하여 빈 회의실을 검색한 후, 검색 결과 확인 후 회의실 예약을 수행한다.
선택 예약을 살펴보면, 사용자가 달력 화면에서 날짜를 선택한 후, 사옥-층을 선택하고, 빈 회의실을 예약한 후 예약 확인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구성원 검색에 대한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메인 화면이나 관계사 패널 또는 그룹 공통 패널에 설정된 아이콘을 탭하면 구성원 검색을 위한 상세 화면(위젯 메인 화면)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검색어(텍스트, 숫자 등)를 입력하면, 목록에서 구성원을 선택하고, 개인정보를 확인한 후 구성원에게 연락을 취한다. 또한, 사용자는 조직도를 탐색하여 팀을 선택하고, 목록에서 구성원을 선택하고 개인 정보를 확인한 후 구성원에게 연락을 취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나,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기업 환경을 제공하는 모바일 오피스 서비스분야에 적용될 수 있으며, 모바일 오피스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모바일 오피스 시스템에서 모바일 오피스용 대기화면을 통해 간단하게 기업의 다양한 업무 프로세스에 대한 모바일 오피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모바일 오피스 시스템에서 모바일 오피스 서비스를 제공 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 장치 및 모바일 오피스용 대기 화면 설정 및 관리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모바일 단말 장치에 모바일 오피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오피스용 대기 화면을 설정하고, 기업 구성원들이 기업의 다양한 업무 프로세스를 모바일 단말 장치에서 간단하고 신속한 업무 처리 및 의사 결정이 가능하므로 기업의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기업에서 제공하는 모바일 오피스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모바일 오피스용 대기 화면에서만 제공함으로써, 업무 처리의 독립성과 보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 관계사 서비스 장치 20: 그룹 공통 서비스 장치
30: 통신망 100: 모바일 단말 장치
110: 입력부 120: 제어부
130: 저장부 140: 표시부
150: 통신부

Claims (18)

  1. 관계사별 모바일 오피스 관련 어플리케이션들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관계사 서비스 장치;
    그룹 공통의 모바일 오피스 관련 어플리케이션들을 제공하는 그룹 공통 서비스 장치; 및
    상기 관계사별 및 그룹 공통의 모바일 오피스 관련 어플리케이션들을 모아서 패널들을 생성하고, 생성된 패널들을 통해 모바일 오피스용 대기 화면을 설정하고, 사용자의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모바일 오피스용 대기 화면에서만 제공되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모바일 오피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오피스 시스템.
  2. 사용자 조작에 따라서 사용자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입력부;
    상기 사용자 조작에 따라서, 모바일 오피스 관련 어플리케이션들을 모아서 패널들을 생성하고, 생성된 패널들을 통해 모바일 오피스용 대기 화면을 설정하고, 상기 모바일 오피스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모바일 오피스용 대기 화면에서만 제공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서 상기 모바일 오피스용 대기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모바일 오피스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다운로드 받은 모바일 오피스 관련 어플리케이션들 및 패널 생성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바일 오피스 대기 화면에 표시될 상기 모바일 오피스 관련 어플리케이션들을 수집하는 어플리케이션 수집부;
    상기 모바일 오피스 대기 화면에 설정할 상기 패널들을 생성하는 패널 생성부;
    상기 생성된 패널들을 상기 모바일 오피스용 대기 화면에 설정하고, 기본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에 일정 시간 단위로 다운받은 어플리케이션들을 업데이트하여 모바일 오피스 서비스를 위한 모바일 오피스 대기 화면을 구성하는 대기 화면 구성부;
    상기 모바일 오피스용 대기 화면에 표시된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들에서 상기 입력부로부터 전달된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라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부; 및
    상기 모바일 오피스 대기 화면에 접근하는 사용자의 인증을 수행하여 접근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인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오피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 장치.
  5. 모바일 오피스 관련 어플리케이션들을 수집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오피스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모바일 오피스 서비스를 위한 패널들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패널들을 통해 모바일 오피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오피스용 대기 화면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모바일 오피스용 대기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오피스용 대기 화면에 설정된 상기 모바일 오피스 관련 어플리케이션들 중 사용자의 입력 신호에 따라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오피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접근에 따라 사용자의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오피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접근에 따라 사용자의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오피스용 대기 화면을 최초 실행하는 경우 비밀 번호를 입력 받아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비밀 번호를 변경하는 경우, 상기 비밀 번호 변경 전에 사번과 상기 비밀 번호를 입력 받아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오피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일정 시간 단위로 모바일 오피스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상기 모바일 오피스용 대기 화면에 설정된 어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오피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오피스 서비스를 위한 패널들을 생성하는 단계는
    최신 공지사항이나 일정을 간단히 표시하는 메인 화면 패널을 생성하는 단계; 및
    모바일 오피스 관련 어플리케이션들을 이용하여 아이콘 패널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오피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화면 패널을 생성하는 단계;
    실행할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들, 날짜 및 시간과 오늘의 일정을 설정하는 마이 데스크 영역;
    최근의 공지사항을 설정하는 공지 영역;
    자주 사용하는 주요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들을 설정하는 주요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영역; 및
    옵션 영역으로 구분하여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오피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화면 패널은 상기 주요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고정 영역으로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오피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 패널을 생성하는 단계는
    관계사별 제공되는 모바일 오피스 관련 어플리케이션들을 이용하여 각 관계사별로 관계사 아이콘 패널을 생성하는 단계; 및
    그룹 공통으로 제공되는 모바일 오피스 관련 어플리케이션들을 이용하여 그룹 공통 아이콘 패널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오피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관계사 아이콘 패널을 생성하는 단계는,
    실행할 모바일 오피스 관련 어플리케이션들을 아이콘으로 설정하여 설정된 어플리케이션 아이콘들을 리스트 형식으로 보여주는 아이콘 리스트 영역;
    상기 아이콘들 중 주로 사용하는 주요 어플리케이션 아이콘들을 설정하는 주요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영역; 및
    옵션 영역으로 구분하여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오피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관계사 아이콘 패널은 상기 메인 화면 패널의 우측에 제공되는 아이콘 패널 화면으로서, 사용자가 메인 화면에서 우측으로 플릭함으로써 이동되며, 상단 영역에 업데이트 개수와 새로 설치한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오피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공통 아이콘 패널을 생성하는 단계는
    마이 오피스 설정 및 실행할 모바일 오피스 관련 어플리케이션들을 아이콘으로 설정하여 설정된 어플리케이션 아이콘들을 리스트 형식으로 보여주는 아이콘 리스트 영역;
    상기 아이콘들 중 주로 사용하는 주요 어플리케이션 아이콘들을 설정하는 주요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영역; 및
    옵션 영역으로 구분하여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오피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관계사 아이콘 패널은 상기 메인 화면 패널의 좌측에 제공되는 아이콘 패널 화면으로서, 사용자가 메인 화면에서 우측으로 플릭함으로써 이동되며, 상단 영역에 업데이트 개수와 새로 설치한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오피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 패널 생성 단계는
    상기 아이콘 패널에 디폴트로 제공하는 상기 구성된 화면에 상기 모바일 오피스용 대기 화면에 표시될 어플리케이션 아이콘들을 관리할 수 있는 마이 오피스 설정의 아이콘을 포함하며, 상기 마이 오피스 설정은 홈 설정 영역, 마이 오피스 아이콘 설정 영역 및 옵션 영역으로 구분되는 화면을 구성하고, 상기 구성된 화면에 어플리케이션 아이콘들의 리스트를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오피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1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오피스용 대기 화면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패널들 중 메인 화면 패널을 메인 화면에 설정하여 최신의 공지사항, 일정, 날짜 및 바로 가기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패널들 중 관계사 아이콘 패널에 관계사의 모바일 오피스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아이콘으로 설정하여 설정된 관계사 아이콘 패널을 상기 메인 화면의 좌측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패널들 중 그룹 공통 아이콘 패널에 그룹 공통의 모바일 오피스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아이콘으로 설정하여 설정된 그룹 공통 아이콘 패널을 상기 메인 화면의 우측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오피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KR1020100106549A 2010-10-29 2010-10-29 모바일 오피스 시스템, 그의 모바일 오피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 장치 및 방법 KR201200451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6549A KR20120045175A (ko) 2010-10-29 2010-10-29 모바일 오피스 시스템, 그의 모바일 오피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6549A KR20120045175A (ko) 2010-10-29 2010-10-29 모바일 오피스 시스템, 그의 모바일 오피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5175A true KR20120045175A (ko) 2012-05-09

Family

ID=46264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6549A KR20120045175A (ko) 2010-10-29 2010-10-29 모바일 오피스 시스템, 그의 모바일 오피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4517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64841A (zh) * 2018-05-27 2018-11-06 上海伯曦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环卫综合管理信息系统
KR102312457B1 (ko) 2020-12-30 2021-10-12 주식회사 피치솔루션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활용한 원격업무환경 구축 방법 및 그에 의해 구축된 원격업무환경 구축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64841A (zh) * 2018-05-27 2018-11-06 上海伯曦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环卫综合管理信息系统
KR102312457B1 (ko) 2020-12-30 2021-10-12 주식회사 피치솔루션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활용한 원격업무환경 구축 방법 및 그에 의해 구축된 원격업무환경 구축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0105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ng a home screen in a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JP5977970B2 (ja) オブジェクト変更機能支援方法及びこれを支援する携帯端末
KR102332675B1 (ko) 전자 장치의 컨텐츠 공유 방법 및 장치
US20230300241A1 (en) Favorite-object display method and terminal
US2013005010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an icon in a portable terminal
US20120023431A1 (en) Computing device, operating method of the computing device using user interface
CN102480566B (zh) 共享便携式终端中捕获数据的装置和方法
US20140245203A1 (en)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multi-application thereof
CN103927317A (zh) 切换主画面的多个页面的移动通讯装置与其适用方法
KR20150010902A (ko) 디바이스의 홈 스크린 구성 방법 및 장치
KR20100107377A (ko) 휴대 단말기의 분할 화면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KR20140082000A (ko) 관련 어플리케이션 제공 단말 및 방법
TW201706875A (zh) 用於提供經擴充的通訊服務的動態導覽欄之方法及計算設備
CN102045436A (zh) 移动通信终端及其操作方法
KR20130086409A (ko) 휴대단말기의 스크롤 제어장치 및 방법
US9563330B2 (en) Method of operating a background content and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US20130111405A1 (en) Controlling method for basic screen and portable device supporting the same
US11044358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using the same,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mobile service using the same
US20110099473A1 (en) Input signal processing device for portable device and method of the same
JP2023549764A (ja) テーブルのビュー表示方法、装置及び電子機器
KR20120045175A (ko) 모바일 오피스 시스템, 그의 모바일 오피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 장치 및 방법
EP2770707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providing a graphical representation of file attachments
KR102115259B1 (ko) 단말기의 개인 매거진 서비스 운용 방법 및 장치
KR20180007483A (ko) 단말 Native UI를 사용하는 동적 UI 배포 시스템 및 방법
US20140245175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Providing a Graphical Representation of File Attach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