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5150A - 모바일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 장치, 모바일 서비스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 장치, 모바일 서비스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5150A
KR20120045150A KR1020100106513A KR20100106513A KR20120045150A KR 20120045150 A KR20120045150 A KR 20120045150A KR 1020100106513 A KR1020100106513 A KR 1020100106513A KR 20100106513 A KR20100106513 A KR 20100106513A KR 20120045150 A KR20120045150 A KR 201200451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reservation
conference room
informati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6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후정
강수남
손은경
이관재
이동휘
이승희
이충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6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45150A/ko
Publication of KR20120045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51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서비스 시스템에서 회의실 예약 프로세스를 이용한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 장치, 모바일 서비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모바일 단말 장치가 모바일 서비스 장치에서 사용자의 인증을 통해 모바일 서비스를 위한 오피스 정보를 제공 받고, 제공 받은 오피스 정보 이용하여 회의실 예약을 위한 화면을 구성하여 사용자가 일하는 각 층별 회의실의 예약 정보를 표시하고, 표시된 화면을 통해 원하는 회의실을 예약하는 회의실 예약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기업 구성원들이 언제 어디서나 기업의 시스템에 접속하여 기업의 업무 환경을 제공하여 신속한 업무 처리가 가능하므로 기업의 생산성 향상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모바일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 장치, 모바일 서비스 장치 및 방법{mobile service system, mobile apparatus, mobile service apparatus and method providing mobile service in the system}
본 발명은 모바일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모바일 서비스 제공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모바일을 통한 회의실 예약 업무 프로세스에 대한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단순한 통신 및 인터넷을 제공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모바일 단말기)에서 벗어나, PC와 같은 고성능의 프로세서 및 대용량의 메모리를 탑재하고, 사용자가 자유롭게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폰(smart phone)이 급속히 보급되고 있다.
스마트폰은 휴대폰 기능에 일정 관리, 팩스 송신 및 인터넷 접속 등의 데이터 통신 기능을 통합시킨 지능형 단말기로서, 무선인터넷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직접 접속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여러 가지 브라우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접속할 수 있는 점, 개방형 플랫폼을 지원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직접 제작할 수도 있는 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임의로 설치하여 자신에게 알맞은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는 점, 그리고 같은 운영체제(OS)를 가진 스마트폰 간에 애플리케이션을 공유할 수 있는 점 등과 같이 기존의 휴대폰이 갖지 못한 장점으로 인하여, 휴대 전화 시장을 빠르게 잠식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의 보급에 따라서, 기업에서도 업무의 편의를 위해 다양한 업무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도록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모바일 서비스가 요구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에서 기업의 시스템에 접속하여 기업의 업무 환경을 신속하게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서비스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을 통해 기업의 시스템에 접속하여 기업의 업무 환경을 신속하게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더하여 본 발명은, 기업 내 오피스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일하는 장소의 층별 예약 정보를 통해 신속히 회의실을 예약하기 위한 회의실 예약 프로세스에 대한 기업용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 장치, 모바일 서비스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기업의 업무 처리를 위한 모바일 서비스에 대한 오피스 정보를 수집 및 관리하는 모바일 서비스 장치; 및 모바일 서비스 장치에서 사용자의 인증을 통해 모바일 서비스를 위한 오피스 정보를 제공 받고, 제공 받은 오피스 정보 이용하여 회의실 예약을 위한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하고, 표시된 화면을 통해 회의실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더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 조작에 따라서 사용자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입력부;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라 모바일 서비스를 위한 오피스 정보를 제공 받고, 제공 받은 오피스 정보를 이용하여 회의실 예약을 위한 화면을 구성하고, 구성된 회의실 예약 화면을 통해 회의실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어부; 구성된 회의실 예약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제공 받은 오피스 정보 및 모바일 서비스를 위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서비스를 위한 모바일 단말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서비스를 위한 모바일 단말 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기업 내 구성원 정보, 각 구성원의 인사 정보, 구성원이 일하는 장소 정보, 층별 회의실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오피스 정보를 제공 받아 디폴트로 제시함을 특징으로 하며, 사용자의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부; 사용자 인증에 따라 제공 받은 오피스 정보를 이용하여 회의실 예약을 위한 화면을 구성하는 화면 구성부; 및 회의실 예약을 위한 화면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회의실 예약 서비스를 실행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모바일 서비스 실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본 발명은 회의실 예약 서비스에 대한 모바일 서비스를 위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기업들로부터 기업의 업무에 관련된 오피스 정보 및 기업 내 구성원들에 의한 회의실 예약에 따른 예약 정보를 수집 및 관리하고,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정보 요청을 받으면, 사용자의 인증을 통해 수집된 정보를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 장치로 제공하는 제어부; 및 회의실 예약 서비스를 위한 모바일 서비스를 위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서비스를 위한 모바일 서비스 장치를 제공한다.
더하여, 본 발명은, 기업의 업무에 관련된 오피스 정보를 제공 받는 단계; 오피스 정보를 이용하여 회의실 예약 화면을 구성하는 단계; 사용자가 일하는 장소에 대한 정보를 제공 받아 층별 회의실 선택 화면을 구성하는 단계; 및 회의실 예약 화면 및 예약 정보가 표시된 층별 회의실 선택 화면을 통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회의실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오피스 정보를 이용하여 회의실 예약 화면을 구성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일하는 장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오피스 정보를 제공 받아 저장하는 단계; 층별 회의실 선택 화면에 표시할 회의실 예약 정보를 제공 받는 단계; 및 상기 장소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예약 정보를 이용하여 각 층별 회의실 리스트를 표시하는 층별 회의실 선택 화면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층별 회의실 선택 화면에 표시할 회의실 예약 정보를 미리 설정된 주기로 제공 받아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은 사용자가 직접 날짜, 시간 및 장소를 설정하여 예약할 회의실을 검색하기 위한 검색 예약 화면을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회의실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회의실 예약 화면에서 사용자가 선택 예약을 선택하는 경우, 회의실 예약 화면에서 오피스 정보에 포함된 장소 및 층별 회의실 정보를 이용하여 선택 예약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가 표시된 정보들 중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정보에 대한 회의실 예약 정보를 층별 회의실 선택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층별 회의실 선택 화면에서 빈 회의실을 선택하여 예약하는 단계; 및 회의실 예약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회의실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회의실 예약 화면에서 사용자가 검색 예약을 선택하는 경우, 회의실 예약 화면에서 회의실 검색을 위한 항목을 갖는 검색 예약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검색 예약 화면에서 날짜 및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 검색 예약 화면에서 사용자가 일하는 장소를 설정 및 변경하는 단계; 설정된 날짜 및 시간에 설정된 장소에 대한 빈 회의실을 검색하는 단계; 및 검색된 회의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예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회의실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회의실 예약 화면에서 사용자가 예약 현황 보기를 선택한 경우, 사용자의 회의실 예약 현황을 보여주는 회의실 예약 현황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의 입력 신호에 따라 예약한 회의실을 수정 또는 삭제하는 단계; 및 회의실 예약 현황 화면에서 변경된 내용을 알리기 위한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 장치에서 기업의 오피스 정보 이용하여 회의실 예약을 위한 화면을 구성하여 사용자가 일하는 각 층별 회의실의 예약 정보를 표시하고, 표시된 화면을 통해 원하는 회의실을 예약함으로써 모바일을 통해 간단하고, 신속하게 회의실 예약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은 모바일을 통해 간단한 회의실 예약 프로세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활용하여 모바일 서비스를 더욱 활성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 장치에서 모바일을 통해 회의실 예약 서비스에 대한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함에 따라 기업 구성원들이 언제 어디서나 기업의 시스템에 접속하여 기업의 업무 환경을 제공하여 신속한 업무 처리가 가능하므로 기업의 생산성 향상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모바일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모바일 서비스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모바일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회의실 예약 업무 프로세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모바일 화면에 회의실들을 표시하기 위한 일 예들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화면에 표시된 회의실 예약 화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모바일 화면에 표시되는 층별 회의실 선택 화면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건물 내 각 층에 위치한 회의실의 테이블을 도시한 표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검색 예약을 통한 회의실 예약의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선택 예약을 통한 회의실 예약의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선택 예약을 통한 회의실 예약 시 날짜 변경에 대한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선택 예약을 통한 회의실 예약 시 장소-층 변경에 대한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선택 예약을 통한 회의실 예약 시 회의실 선택에 대한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6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선택 예약을 통한 회의실 예약/취소에 대한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오피스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오피스 시스템은 모바일 단말 장치(100) 및 모바일 서비스 장치(20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이들은 통신망(300)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모바일 오피스 서비스를 위한 정보들을 송수신한다.
모바일 단말 장치(100)는 모바일 서비스 장치(200)에서 제공되는 모바일 오피스 서비스를 실행하여 실행된 모바일 오피스 서비스에 대한 화면을 대기 화면에 표시한다. 여기서 모바일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다양한 장치가 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노트북 컴퓨터, 휴대폰(mobile phone), 태블릿 PC, 내비게이션(navigation), 스마트폰(Smart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와 같은 디지털방송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이는 예시에 불과할 뿐이며, 상술한 예 이외에도 현재 개발되어 상용화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모든 통신이 가능한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모바일 서비스 장치(200)는 기업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정보들을 이용하여 생성된 모바일 서비스를 모바일 단말 장치(100)로 제공한다.
통신망(300)은 다양한 종류의 통신망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터넷 프로토콜을 통하여 대용량 데이터의 송수신 서비스 및 끊기는 현상이 없는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IP망, IP를 기반으로 서로 다른 망을 통합한 아이피망 구조인 All IP망, Wibro(Wireless Broadband)망과, Wi-Fi망을 포함하는 무선랜(Wireless LAN), WPAN, 유선통신망, 이동통신망,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망 및 위성통신망 등과 같이 기존에 알려져 있는 다양한 방식의 네트워크를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더하여, 향후 개발 예정인 차세대 통신망이 포함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모바일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 장치(100)는 입력부(110), 제어부(120), 저장부(130), 표시부(140) 및 통신부(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입력부(110)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서 사용자 입력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입력부(110)는 키 입력 수단, 터치 입력 수단, 제스처 입력 수단 등 현재 상용화되어 있거나 상용화가 가능한 다양한 입력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단말 장치(100)의 입력부(110)는 모바일 오피스 서비스 실행과 관련된 명령이나 데이터를 입력 받는데 이용된다.
제어부(120)는 모바일 단말 장치(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수단으로서, 모바일 서비스 실행부(121), 화면 구성부(122) 및 인증부(1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모바일 서비스 실행부(121)는 입력부(110)로부터 전달된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라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저장부(130)에 저장된 모바일 서비스 정보를 읽어와 모바일 서비스 즉, 회의실 예약을 실행한다.
화면 구성부(122)는 사용자 인증에 따라 모바일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오피스 정보 및 예약 정보를 이용하여 회의실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화면(대기 화면)들을 구성한다. 구체적으로, 화면 구성부(122)는 오피스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한 사용자가 일하는 장소의 각 층별 회의실 리스트를 설정된 개수로 분리하여 표시하도록 층별 회의실 선택 화면을 구성하고, 각 층별 회의실에 대한 예약 정보를 제공 받고, 구성된 층별 회의실 선택 화면에 제공 받은 예약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화면 구성부(122)는 사용자의 인증을 통해 수신한 사용자의 일하는 장소에 대한 정보(기업의 사옥, 각 사옥(건물)의 층별 정보)를 디폴트로 제시하기 위한 회의실 예약 화면의 선택 예약 화면을 구성하고, 사용자가 날짜, 시간 및 장소를 직접 설정하여 예약할 회의실을 검색하기 위한 회의실 예약 화면의 검색 예약 화면을 구성한다. 더하여, 화면 구성부(122)는 사용자의 회의실 예약 현황을 보여주기 위한 회의실 예약 현황 화면을 구성한다.
인증부(123)는 로그인 시 간단 비밀번호 로그인 화면을 통해 입력된 비밀번호를 확인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저장부(130)는 모바일 단말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운용 및 응용 프로그램과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으로서, RAM, ROM, 플래시 메모리, 하드디스크 등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된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단말 장치(100)의 저장부(130)는 모바일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및 모바일 서비스 정보 등을 저장한다.
표시부(140)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대기 화면에서 모바일 서비스 실행 화면을 표시한다. 이러한 표시부(140)는 LCD, TFT-LCD, LED, OLED, AM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3차원 디스플레이 등과 같이 현재 상용화되어 있거나, 향후에 상용화가 가능한 다양한 표현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50)는 통신망(300)을 통해 모바일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모바일 서비스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서비스 장치(200)는 통신부(210), 제어부(220) 및 저장부(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 상술한 모바일 단말 장치(10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입력부, 표시부, 통신부 및 모바일 서비스 제공을 위한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통신부(210)는 통신망(300)을 통해 모바일 단말 장치(100)와 모바일 오피스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제어부(220)는 모바일 서비스 장치(2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수단으로서, 기업의 서버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및 모바일 서비스 정보를 수집 및 제공하고,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 받기 위해 접근하는 사용자의 인증을 수행한다. 제어부(220)는 기업들로부터 기업의 업무에 관련된 오피스 정보 및 기업 내 구성원들에 의한 회의실 예약에 따른 예약 정보를 수집 및 관리하고,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정보 요청을 받으면, 사용자의 인증을 통해 수집된 정보를 모바일 단말 장치(100)로 제공한다.
저장부(230)는 각 기업들로부터 수신한 모바일 서비스를 위한 오피스 정보(예를 들어, 업무 정보, 공지 사항, 회사의 층별 정보, 구성원 정보, 회사 로고 등)들 및 예약 정보를 저장하고, 모바일 서비스에 필요한 어플리케이션, 및 동작에 필요한 운용 및 응용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러한 저장부(230)는 앞서 모바일 단말 장치(100)와 마찬가지로, RAM(Read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와 같은 메모리뿐만 아니라 플래시 메모리, 하드디스크와 같은 스토리지(Storage)를 포괄하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그러면 이와 같이 구성된 모바일 서비스 시스템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술한 모바일 단말 장치에서 회의실 예약을 위한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 장치(100)를 통해 기업이 시스템에 접속하여 언제 어디서나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 받기 위해 로그 인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모바일 단말 장치(100)는 대기 화면에 로그인 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구성원)가 비밀 번호 또는 비밀 번호와 사번을 입력하여 로그 인을 수행하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 후, 인증에 성공하면 회의실 예약을 위한 화면을 표시한다. 이러한 회의실 예약을 위한 모바일 서비스 화면은 대기 화면에 표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대기 화면은 일정 시간(예를 들어, 30분) 단위로 새로 고침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로그인 화면의 표시 방법 및 대기 화면의 새로 고침 주기를 변경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 장치(100)는 모바일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회의실 예약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정보로 사용자가 일하는 기업에 관련한 오피스 정보를 제공 받는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 장치(100)는 기업의 사옥들에 대한 정보, 각 사옥들의 층별 정보를 포함한 오피스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오피스 정보를 이용하여 회의실 예약 화면(선택 예약 화면 또는 검색 예약 화면)을 구성하여 이를 표시한다.
또한, 모바일 단말 장치(100)는 각 층별 회의실 리스트는 모바일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기업들의 오피스 정보를 다운로드 하여 얻을 수 있으며, 이러한 오피스 정보는 미리 설정된 주기(예를 들어 30분)로 모바일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다운로드 하여 업데이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모바일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회의실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모바일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사용자의 인사 정보를 포함하는 오피스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인사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일하고 있는 장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오피스 정보를 모바일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다운로드 하여 저장한다(S101).
모바일 단말 장치(100)는 회의실 예약 서비스 제공 시 미리 인증한 사용자의 사번을 통해 인사 정보를 읽어서, 미리 저장되어 있는 오피스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근무하는 건물(사옥)과 층 정보를 기본으로 설정하여 표시한다(S102). 즉, 층별 회의실 선택 화면에 건물 내 각 층별 회의실 리스트를 표시한다. 여기서, 화면 구성부(122)는 각 층별 회의실 리스트를 예를 들어 4개씩 분리하여 표시하는데, 첨부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화면에 표시되는 회의실은 1~4개(A, B, C, D)까지 가변적으로 보여줄 수 있다. 여기서 도 5(a)는 회의실이 1개인 경우, 도 5(b)는 회의실이 2개인 경우, 도 5(c)는 회의실이 4개인 경우의 회의실 예약을 위한 층별 회의실 선택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만약, 회의실이 4개를 넘는 경우에는 4까지 표시한 층별 회의실 선택 화면을 이동하여 5~8개(E, F, G, H)까지의 회의실은 도 5와 같은 방법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로운 층별 회의실 선택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도 6의 (a)는 회의실이 5개인 경우, 도 6의 (b)는 회의실이 6개인 경우, 도 6의 (c)는 회의실이 7개인 경우, 도 6의 (d)는 회의실이 8개인 경우의 회의실 예약을 위한 층별 회의실 선택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따라 모바일 단말 장치(100)는 층별 회의실 선택 화면에 회의실 예약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각 층별 시간대별 회의실 예약 상황을 보여준다(S103). 이는 예를 들어 30분 단위로 업데이트되어 표시된다.
이렇게 표시되는 층별 회의실 선택 화면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회의실을 클릭만 하면 회의실을 예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층별 회의실 선택 화면에 표시된 층별 회의실 리스트에서 원하는 회의실을 선택하면, 모바일 단말 장치(100)는 선택된 회의실을 예약 설정하고, 예약한 시간의 색깔을 변경하여 표시함으로써 회의실 예약 현황 화면을 표시한다(S104). 사용자는 이러한 회의실 예약 현황 화면을 통해 자신의 예약 현황을 확인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 입장에서 회의실 예약을 검색 예약, 선택 예약으로 구분하여 실행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회의실 예약 화면에 검색 예약, 선택 예약 메뉴를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회의실 예약을 위한 화면 구성은 첨부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여기서 회의실 예약 화면은, 위젯 타이틀 영역(410), 탭 메뉴 영역(420), 예약 항목 입력 영역(430) 및 소프트 키 메뉴(440) 등으로 화면이 구성될 수 있다.
위젯 타이틀 영역(410)은 설정된 위젯 이름과 위젯 닫기 버튼을 제공하고, 탭 메뉴 영역(420)은 검색 예약과, 선택 예약의 두 가지 모드를 지원한다.
예약 항목 입력 영역(430)은 오늘 날짜가 디폴트로 설정되고 이전 또는 다음날로 이동이 가능하며, 장소는 사용자가 근무하는 건물, 근무하는 층의 디폴트로 설정되고, 이전 또는 다음 층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예약 항목 입력 영역(430)은 날짜 또는 장소 세부 설정이 가능한 버튼을 예를 들어 달력 아이콘과 같이 제공하고, 회의실 선택이 가능한 버튼을 제공한다.
소프트 키 영역(440)은 예약 현황 및 종료하기 버튼을 제공하고, 디폴트로 숨겨져 있으며 메뉴 키 클릭 시 화면 아래에서 올라온다. 여기서 사용자가 예약 현황 버튼을 클릭하면, 예약 현황 페이지로 이동하고, 종료하기 버튼을 클릭하면 회의실 예약 서비스에 대한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된다.
예약 항목 입력 영역(430)에서 사용자가 회의실 선택하기 버튼을 클릭하면, 모바일 단말 장치(100)는 첨부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회의실 선택 화면을 표시한다. 여기서 도 8의 (a)는 회의실 선택 화면을 나타내고, (b)는 시간대별 층간 회의실 리스트 영역을 나타낸다. 회의실 선택 화면은 시간대별로 회의실을 예약할 수 있도록 하며, 예약이 완료된 시간대별 회의실들은 다른 색으로 표시된다. 화면에는 최소 회의실 선택 화면 진입 시 현재 시간을 기준으로 이전 1시간에서 이후 3시간이 보여지며, 이 화면은 상하 드레그로 간단히 원하는 시간대로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전체 시간은 예를 들어 08시에서 24시로 표시할 수 있으며, 각 시간대는 30분 단위로 보여진다. 첨부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메뉴 상단에는 회의실 명과 회의실 수용 인원수를 표시된다.
또한, 회의실 선택 화면에서 장소가 선택되면, 모바일 단말 장치(100)는 팝업창 또는 다른 화면을 통해 예를 들어 첨부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은 해당 건물의 층별 회의실 테이블을 보여줄 수 있다.
그러면 우선, 검색 예약을 통한 회의실 예약에 따른 회의실 예약 서비스 제공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검색 예약을 통한 회의실 예약의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여 검색 예약을 살펴보면, 사용자가 검색 예약을 선택한 후, 예약 항목 입력 영역(430)에 디폴트 된 오늘의 날짜를 클릭하면, 모바일 단말 장치(100)는 날짜-시간 설정을 위한 화면을 표시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날짜, 시간을 직접 설정한다(S211).
사용자가 화면에 표시된 날짜-시간을 설정하면, 모바일 단말 장치(100)는 사옥 설정 변경 화면을 표시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리스트 또는 아이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는 장소(사옥 또는 건물)을 선택하거나 장소 명을 직접 입력함으로써 장소를 직접 설정 및 변경한다(S212).
이렇게 설정 및 변경된 장소에서, 사용자는 빈 회의실이 있는지를 검색한다(S213). 이를 위해 모바일 단말 장치(100)는 빈 회의실 검색 화면을 표시한다.
검색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검색 결과를 확인 후 회의실 예약을 수행한다(S214). 이를 위해 모바일 단말 장치(100)는 검색 결과 확인 화면을 팝업 창으로 보여주고, 회의실 테이블을 표시한다.
다음으로, 선택 예약을 통한 회의실 예약에 따른 회의실 예약 서비스 제공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선택 예약을 통한 회의실 예약의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사용자가 첨부된 도 1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회의실 예약 화면의 탭 메뉴 영역(420)에서 선택 예약 버튼을 클릭하면, 모바일 단말 장치(100)는 첨부된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달력 컨포넌트 형태의 날짜 변경 화면을 표시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표시된 날짜 변경 화면에서 원하는 날짜를 선택한다(S221). 사용자가 날짜를 선택하고 확인 버튼을 누르면, 해당 날짜가 설정되며, 날짜 변경 화면은 좌-우 월별 이동이 가능하다.
사용자가 날짜를 선택하면, 모바일 단말 장치(100)는 다시 첨부된 도 1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선택 예약 화면을 표시하여 장소와 건물 층에 대한 리스트를 보여준다. 이에 따라 첨부된 도 1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회의실 예약 화면에서 장소를 선택하고, 선택된 장소의 층을 선택한다(S222). 여기서 사용자가 근무하는 장소(건물)과 층은 디폴트 값으로 보여지고, 도 1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휠 컨트롤러로 장소와 층을 변경할 수 있으며, 장소 선택 휠에서 층 선택이 불가한 경우 바('-')로 표시한다.
첨부된 도 1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회의실 예약 화면에서 사용자가 장소-층을 선택하고, 회의실 선택 버튼을 클릭하면, 모바일 단말 장치(100)는 첨부된 도 1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층별 회의실 선택 화면을 표시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표시된 층별 회의실 선택 화면에서 빈 회의실을 찾아 예약을 한다(S223).
이후, 사용자가 예약 확인을 하면, 모바일 단말 장치(100)는 팝업 창을 통해 예약 확인 화면을 표시한다(S224). 여기서 예약 확인 화면은 예약한 날짜, 장소-층, 회의실, 예약 시간 등을 한번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예약 상황을 간단히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도 1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회의실 예약 화면에서 소프트 키 메뉴 영역(440)을 클릭하여 예약 현황을 선택하면, 모바일 단말 장치(100)는 도 1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층별 회의실 선택 화면으로 이동한다. 층별 회의실 선택 화면에는 예약된 회의실 메뉴에는 상단에 예약자 이름이 표시되며, 타인의 점유 시간은 변경이 불가능하며, 비어있는 시간대의 회의실은 탭 하여 예약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자신이 예약한 회의실의 점유 시간을 취소하는 경우에는 자신이 점유한 시간의 회의실을 탭 하면 시간 단위 예약이 취소되며, 다시 한번 탭 하면 시간 단위로 예약이 된다. 이때, 사용자가 확인 버튼을 누르면 첨부된 도 1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 장치(100)는 회의실 예약 수정/취소가 완료되었음 표시하고, 사용자의 확인 신호가 입력되면 검색 예약 화면을 표시한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나,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기업용 모바일 서비스 기술 분야에 적용될 수 있으며, 모바일 서비스 시스템은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기업 구성원들이 언제 어디서나 기업의 시스템에 접속하여 기업의 업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은 모바일 서비스 시스템에서 회의실 예약 프로세스를 이용한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 장치, 모바일 서비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모바일 단말 장치가 모바일 서비스 장치에서 사용자의 인증을 통해 모바일 서비스를 위한 오피스 정보를 제공 받고, 제공 받은 오피스 정보 이용하여 회의실 예약을 위한 화면을 구성하여 사용자가 일하는 각 층별 회의실의 예약 정보를 표시하고, 표시된 화면을 통해 원하는 회의실을 예약하는 회의실 예약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기업 구성원들이 언제 어디서나 기업의 시스템에 접속하여 기업의 업무 환경을 제공하여 신속한 업무 처리가 가능하므로 기업의 생산성 향상을 극대화할 수 있다.
100: 모바일 단말 장치 110: 입력부
120: 제어부 121: 모바일 서비스 실행부
122: 화면 구성부 123: 인증부
130: 저장부 140: 표시부
150: 통신부 200: 모바일 서비스 장치
210: 통신부 220: 제어부
230: 저장부 300: 통신망

Claims (17)

  1. 기업의 업무 처리를 위한 모바일 서비스에 대한 오피스 정보를 수집 및 관리하는 모바일 서비스 장치; 및
    상기 모바일 서비스 장치에서 사용자의 인증을 통해 모바일 서비스를 위한 오피스 정보를 제공 받고, 제공 받은 오피스 정보 이용하여 회의실 예약을 위한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하고, 표시된 화면을 통해 회의실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 장치를 포함하는 모바일 서비스 시스템.
  2. 사용자 조작에 따라서 사용자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입력부;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라 모바일 서비스를 위한 오피스 정보를 제공 받고, 제공 받은 오피스 정보를 이용하여 회의실 예약을 위한 화면을 구성하고, 구성된 회의실 예약 화면을 통해 회의실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어부;
    상기 구성된 회의실 예약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제공 받은 오피스 정보 및 모바일 서비스를 위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모바일 서비스를 위한 모바일 단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업 내 구성원 정보, 각 구성원의 인사 정보, 구성원이 일하는 장소 정보, 층별 회의실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기 오피스 정보를 제공 받아 디폴트로 제시하는 모바일 서비스를 위한 모바일 단말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부;
    상기 사용자 인증에 따라 제공 받은 오피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회의실 예약을 위한 화면을 구성하는 화면 구성부; 및
    상기 회의실 예약을 위한 화면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회의실 예약 서비스를 실행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모바일 서비스 실행부를 포함하는 모바일 서비스를 위한 모바일 단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구성부는 상기 오피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일하는 장소의 각 층별 회의실 리스트를 설정된 개수로 분리하여 표시하도록 층별 회의실 선택 화면을 구성하는 모바일 서비스를 위한 모바일 단말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구성부는 상기 사용자의 인증을 통해 수신한 사용자의 일하는 장소에 대한 정보를 디폴트로 제시하기 위한 상기 선택 예약 화면을 구성하는 모바일 서비스를 위한 모바일 단말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구성부는 상기 사용자의 회의실 예약 현황을 보여주기 위한 회의실 예약 현황 화면을 구성하는 모바일 서비스를 위한 모바일 단말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구성부는 상기 사용자가 날짜, 시간 및 장소를 직접 설정하여 예약할 회의실을 검색하기 위한 검색 예약 화면을 구성하는 모바일 서비스를 위한 모바일 단말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구성부는 상기 층별 회의실 선택 화면 및 상기 회의실 예약 현황 화면에 표시되는 예약 정보를 미리 설정된 주기로 업데이트하는 모바일 서비스를 위한 모바일 단말 장치.
  10. 회의실 예약 서비스에 대한 모바일 서비스를 위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기업들로부터 기업의 업무에 관련된 오피스 정보 및 기업 내 구성원들에 의한 회의실 예약에 따른 예약 정보를 수집 및 관리하고,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정보 요청을 받으면, 상기 사용자의 인증을 통해 상기 수집된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 장치로 제공하는 제어부; 및
    상기 회의실 예약 서비스를 위한 모바일 서비스를 위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서비스 장치.
  11. 기업의 업무에 관련된 오피스 정보를 제공 받는 단계;
    상기 오피스 정보를 이용하여 회의실 예약 화면을 구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일하는 장소에 대한 정보를 제공 받아 층별 회의실 선택 화면을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회의실 예약 화면 및 예약 정보가 표시된 층별 회의실 선택 화면을 통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회의실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일하는 장소에 대한 정보를 제공 받아 층별 회의실 선택 화면을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일하는 장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오피스 정보를 제공 받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층별 회의실 선택 화면에 표시할 회의실 예약 정보를 제공 받는 단계; 및
    상기 장소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예약 정보를 이용하여 각 층별 회의실 리스트를 표시하는 층별 회의실 선택 화면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일하는 장소에 대한 정보를 제공 받아 층별 회의실 선택 화면을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층별 회의실 선택 화면에 표시할 회의실 예약 정보를 미리 설정된 주기로 제공 받아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직접 날짜, 시간 및 장소를 설정하여 예약할 회의실을 검색하기 위한 검색 예약 화면을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회의실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회의실 예약 화면에서 사용자가 선택 예약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회의실 예약 화면에서 상기 오피스 정보에 포함된 장소 및 층별 회의실 정보를 이용하여 선택 예약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표시된 정보들 중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정보에 대한 회의실 예약 정보를 층별 회의실 선택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층별 회의실 선택 화면에서 빈 회의실을 선택하여 예약하는 단계; 및
    회의실 예약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회의실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회의실 예약 화면에서 상기 사용자가 검색 예약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회의실 예약 화면에서 회의실 검색을 위한 항목을 갖는 검색 예약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검색 예약 화면에서 날짜 및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검색 예약 화면에서 상기 사용자가 일하는 장소를 설정 및 변경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날짜 및 시간에 상기 설정된 장소에 대한 빈 회의실을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회의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예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회의실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회의실 예약 화면에서 상기 사용자가 예약 현황 보기를 선택한 경우, 사용자의 회의실 예약 현황을 보여주는 회의실 예약 현황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입력 신호에 따라 예약한 회의실을 수정 또는 삭제하는 단계; 및
    상기 회의실 예약 현황 화면에서 변경된 내용을 알리기 위한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KR1020100106513A 2010-10-29 2010-10-29 모바일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 장치, 모바일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1200451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6513A KR20120045150A (ko) 2010-10-29 2010-10-29 모바일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 장치, 모바일 서비스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6513A KR20120045150A (ko) 2010-10-29 2010-10-29 모바일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 장치, 모바일 서비스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5150A true KR20120045150A (ko) 2012-05-09

Family

ID=46264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6513A KR20120045150A (ko) 2010-10-29 2010-10-29 모바일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 장치, 모바일 서비스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4515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14147A1 (ko) * 2012-07-19 2014-01-23 주식회사 이메타 화상회의 예약 시스템 및 방법
CN110288106A (zh) * 2019-05-21 2019-09-27 深圳壹账通智能科技有限公司 会议室热力图生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14147A1 (ko) * 2012-07-19 2014-01-23 주식회사 이메타 화상회의 예약 시스템 및 방법
CN110288106A (zh) * 2019-05-21 2019-09-27 深圳壹账通智能科技有限公司 会议室热力图生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297639A1 (en) Event listening integration in a collaborative electronic information system
KR102150514B1 (ko) 디바이스 및 그를 이용한 컨텐츠 공유 방법
EP2887194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composition of a scree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EP2375685B1 (en) Method of and system for providing application store service
JP7138676B2 (ja) デバイスが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をディスプレイする方法及びそのデバイス
KR20070098337A (ko) 네트워크상의 개인 커뮤니티 서비스 지원 방법
JP6368857B2 (ja) チャットメッセージをタギングする方法及びデバイス
CN104081394A (zh) 共享服务
EP2728497B1 (en) Object based server page reception in electronic device
KR20130022023A (ko) 디바이스의 액티비티 공유 방법 및 시스템
CN103477322A (zh) 在操作系统环境之间传输web数据
MX2014008567A (es) Itinerancia de caracteristicas de aplicacion para tomar notas.
KR102127336B1 (ko) Vip의 메시지를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단말
US11044358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using the same,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mobile service using the same
US20140343988A1 (en) Automatic resource scheduling
US20140344714A1 (en) Display device, information terminal device, display method, and recording medium
EP2933957B1 (en) Method and mobile terminal for displaying dlna equipment
JP6278401B2 (ja) 電子マニュアルの配信・進捗管理システム
CN103577381A (zh) 一种设备间共用输入装置的配置方法及系统
KR20120045150A (ko) 모바일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 장치, 모바일 서비스 장치 및 방법
EP2432189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users login access to multiple devices via a communication system
KR101690227B1 (ko) 통합 좌석 관리 장치
KR20190075022A (ko) 디바이스 및 그를 이용한 컨텐츠 공유 방법
KR20130021125A (ko)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파일 업로드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3687075A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