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3902A - 공기조화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3902A
KR20120043902A KR1020100105181A KR20100105181A KR20120043902A KR 20120043902 A KR20120043902 A KR 20120043902A KR 1020100105181 A KR1020100105181 A KR 1020100105181A KR 20100105181 A KR20100105181 A KR 20100105181A KR 20120043902 A KR20120043902 A KR 201200439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motors
frequency
fan
vibration sensors
f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5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2375B1 (ko
Inventor
전지훈
이기섭
조남준
양동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5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2375B1/ko
Publication of KR20120043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3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2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23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4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one central controller connected to several sub-cont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3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environmental factors not covered by group F24F2110/00
    • F24F2130/40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9Control issues
    • F25B2313/0293Control issues related to the indoor fan, e.g. controlling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12Sou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11Fan speed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는, 열교환기와 공기의 열교환을 위하여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팬; 상기 복수의 팬을 회전시키기 위한 복수의 팬 모터; 상기 복수의 팬이 회전될 때 발생되는 진동을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진동센서; 및 상기 복수의 진동센서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팬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장치{Air conditioning apparatus}
본 발명은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장치는, 냉매가 압축,응축,팽창 및 증발 과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냉매 순환 사이클을 이용하여, 실내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하는 장치이다.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복수 개가 공기조화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공기조화 시스템은 빌딩 등 규모가 큰 건물에 주로 사용될 수 있으며, 각 공기조화장치는 복수의 개별 룸의 공기를 조화할 수 있다.
일반적인 냉매 순환 사이클은, 압축기, 응축기, 팽창부재 및 증발기가 냉매 배관에 의하여 연결되어, 폐회로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응축기와 증발기에서 냉매가 공기와 열교환된다. 즉, 응축기에서는 공기와 열교환하여 냉매 온도가 낮아지고, 상기 증발기에서는 공기와 열교환하여 냉매 온도가 높아진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를 통하여 열교환된 차가운 공기가 실내로 공급되거나, 상기 응축기를 통하여 열교환된 더운 공기가 실내로 공급되도록 한다.
각 공기조화장치는, 다수의 개별 룸의 공기를 동시에 조화하기 위하여 복수의 팬 및 팬 모터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팬 모터는 실내 부하에 따라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최근에는, 상기 응축기 또는 증발기 중 어느 하나가 공기와 열교환하지 않고, 다른 유체, 예컨대 물과 열교환하도록 하는 수냉식 열교환기인 공기 조화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상세히, 응축기 또는 증발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어느 하나의 열교환기에서는 냉매와 물이 서로 섞이지 않고 열교환만 수행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팬 모터에 의해서 회전되는 각 팬의 회전에 따른 공진을 방지하여, 팬이 설치되는 구조의 손상이 방지되고, 공진에 따른 소음이 최소화되는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는, 열교환기와 공기의 열교환을 위하여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팬; 상기 복수의 팬을 회전시키기 위한 복수의 팬 모터; 상기 복수의 팬이 회전될 때 발생되는 진동을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진동센서; 및 상기 복수의 진동센서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팬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진동 센서에 감지된 센서값을 이용하여 복수의 팬 모터 작동을 제어하므로, 복수의 팬의 공진에 의한 소음 발생이 줄어들고, 제품 손상이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가 구비되는 공기조화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시스템도.
도 4는 본 발명에 공기조화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 들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가 구비되는 공기조화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기조화 시스템은 다수의 공기조화장치(1 내지 8)을 포함한다. 건물 내의 룸의 수나 부하에 따라서 상기 다수의 공기조화장치의 개수는 가별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공기조화장치(1 내지 8)는 메인 컨트롤러(9)에 의해서 제어될 수 있다. 다수의 공기조화장치는, 상기 메인컨트롤러(9)로부터 직접 제어를 받는 메인 공기조화장치(1, 5)와, 상기 메인 공기조화장치에 의해서 제어를 받는 서브 공기조화장치(2, 3, 4, 6, 7, 8)을 포함한다.
즉, 제어 측면에서 상기 메인 공기조화장치(1, 5)는 마스터(master)이고, 상기 서브 공기조화장치(2, 3, 4, 6, 7, 8)는 슬레이브(slave)이다.
상기 각 공기조화장치(1 내지 8)의 구조는 서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공기조화장치의 구조 및 제어는 다수의 공기조화장치에 동일하게 적용됨을 밝혀둔다.
이하에서는 특정 공기조화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시스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기조화장치(1)는, 냉매가 순환되는 냉매순환장치와, 물이 순환되는 물 순환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냉매와 상기 물이 열교환된다.
상기 공기조화장치(1)는, 상기 냉매순환장치 및 상기 물 순환 장치의 일부 또는 전부가 장착될 수 있는 케이스(10)를 포함한다.
상기 냉매순환장치는, 압축기(11)와, 상기 압축기(11)의 출구 측에 장착되어 냉매의 흐름 방향을 절환하는 사방 밸브(12)와, 상기 사방 밸브(12)와 연결되는 제 1 열교환기(15) 및 제 2 열교환기(30)와, 냉매의 유동 흐름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열교환기(15)와 상기 제 2 열교환기(30) 사이에 배치되어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기(14)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열교환기(15)는 공기와 냉매가 열교환되는 공랭식 열교환기이고, 상기 제 2 열교환기(30)는 냉매와 물이 열교환되는 수냉식 열교환기이다. 상기 제 1 열교환기(15)의 냉매는 팬 모터 어셈블리(121 내지 124)에 의해서 유동되는 공기와 열교환된다.
이 때, 상기 제 1 열교환기(15) 및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121 내지 124)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동일한 수로 구비되거나 다른 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물 순환장치는, 적어도 물을 작동 유체로하는 워터 유틸라이저(water utilizer)(20)와 상기 제 2 열교환기(30)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 2 열교환기(30)로는 물과 냉매가 구획되어 유동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제 2 열교환기는 상기 물 순환장치의 일부 구성인 동시에 상기 냉매순환장치의 일부 구성이다.
상기 워터 유틸라이저(20)는 워터 파이프(17)에 의하여 상기 제 2 열교환기(30)에 연결된다. 상기 워터 유틸라이저(20)는, 실내에 장착되어 실내 공기 또는 실내 바닥을 냉각 또는 가열하는 냉난방기, 또는 냉온수를 공급하는 냉온수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냉매순환장치에서의 냉매 흐름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사방 밸브(12)의 전환 상태에 따라서, 냉매의 흐름 방향이 결정된다. 상기 공기조화장치(1)가 히트 펌프와 같은 난방 사이클 운전을 할 경우 냉매의 흐름은 다음과 같다.
상세히, 상기 압축기(11)에서 고온 고압으로 압축된 과포화 냉매 기체는 상기 사방 밸브(12)에 의하여 흐름 방향이 결정되어, 상기 제 2 열교환기(30)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열교환기(30)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팽창 부재(14)를 통과하면서 저온 저압의 2상 냉매로 상변화된다. 그리고, 상기 팽창 부재(14)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제 1 열교환기(15)를 거치면서 저온 저압의 포화 냉매로 상변화된다. 그리고, 상기 사방밸브(12)를 통과하여 상기 압축기(11)로 되돌아간다. 이때, 상기 제 2 열교환기(30)에서는 냉매와 물이 열교환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즉, 상기 워터 파이프(17)를 따라 상기 제 2 열교환기(30) 내부로 유입된 물은, 상기 고온 고압의 냉매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가열된 다음 상기 워터 유틸라이저(20)로 되돌아간다. 그리고, 상기 워터 유틸라이저(20)는 실내 난방기 또는 온수기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기조화장치(1)가 에어컨과 같은 냉방 사이클 운전을 할 경우 냉매의 흐름은 다음과 같다.
상세히, 상기 압축기(11)에서 고온 고압으로 압축된 과포화 냉매 기체는 상기 사방 밸브(12)에 의하여 흐름 방향이 결정되어, 상기 제 1 열교환기(15)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열교환기(15)로 유입된 냉매는 공기와 열교환을 통하여 고온 고압의 액체 상태로 상변화된다. 그리고, 상기 팽창 부재(14)를 통과하면서 저온 저압의 2상 냉매로 상변화되고, 상기 제 2 열교환기(30)를 통과하면서 상기 워터 파이프(17)를 따라 흐르는 물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저온 저압의 포화 기체로 상변화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열교환기(30)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사방 밸브(12)를 거쳐 상기 압축기(11)로 되돌아간다. 이때, 상기 워터 파이프(17)를 따라 흐르는 물은 상기 냉매로 열을 빼앗겨 저온으로 냉각되어, 상기 워터 유틸라이저(20)는 냉방기 또는 냉수기로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공기조화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4개의 팬 모터가 어셈블리가 하나의 공기조화장치를 구성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공기조화장치(1)는, 제 1 팬모터 내지 제 4 팬 모터(121A, 122A, 123A, 124A)와, 상기 각 팬 모터(121A, 122A, 123A, 124A)에 각각 연결되어 회전되는 제 1 팬 내지 제 4 팬(121B, 122B, 123B, 124B)와, 상기 각 팬(121B, 122B, 123B, 124B)의 회전에 따른 진동을 감지하기 위한 제 1 진동 센서 내지 제 4 진동 센서(141, 142, 143, 144)와, 상기 각 진동 센서(141, 142, 143, 144)의 감지 값에 따라서 상기 각 팬 모터(121A, 122A, 123A, 124A)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각 진동 센서(141, 142, 143, 144)는 상기 각 팬(121B, 122B, 123B, 124B)의 회전에 의해서 발생되는 진동을 개별적으로 센싱하기 위하여, 상기 각 팬 모터(121A, 122A, 123A, 124A)가 설치되는 모터 마운트(미도시) 또는 상기 각 팬(121B, 122B, 123B, 124B)의 회전 시 공기 유동을 가이드하는 쉬라우드(215)에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각 진동 센서(141, 142, 143, 144)는 상기 모터 마운트가 설치되는 상기 케이스(10)에 설치될 수 있으며, 다만, 상기 각 팬(121B, 122B, 123B, 124B) 별로 발생되는 진동을 개별적으로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각 팬(121B, 122B, 123B, 124B)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각 진동 센서(141, 142, 143, 144)에서 감지된 값은 일 례로 전압 값으로 변환되어 상기 제어부(130)로 입력되며, 상기 제어부(130)는 입력된 각 전압값과 기준값을 비교하여 상기 팬 모터(121A, 122A, 123A, 124A)의 작동을 제어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공기조화장치의 운전 필요성에 의해서 상기 공기조화장치(1)가 운전을 시작하게 된다(S1).
상기 공기조화장치(1)가 운전을 시작하게 되면, 상기 팬 모터(121A, 122A, 123A, 124A)는 부하에 대응하여 작동된다(S2). 즉, 상기 제어부(130)는 부하에 대응하여 상기 팬 모터(121A, 122A, 123A, 124A)의 회전 주파수(Hz)를 제어한다. 일반적으로 부하가 커질수록 팬 모터(121A, 122A, 123A, 124A)의 회전 주파수는 커지고, 부하가 작을 수록 팬 모터(121A, 122A, 123A, 124A)의 회전 주파수는 작아진다.
상기 팬 모터(121A, 122A, 123A, 124A)가 부하에 대응하여 작동하는 중에, 상기 각 진동 센서(141, 142, 143, 144)는 진동 값을 감지하게 되고, 감지된 진동 값은 일 례로 전압값으로 변환되어 상기 제어부로 입력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진동 센서의 감지값 자체 또는 변환된 전압값을 센서 감지값으로 이름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30)는 각 센서 감지값과 기준값을 비교하여, 기순 수 이상의 센서 감지값이 기준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
일 례로 상기 제어부(130)로는 0~5V의 전압값(높을 수록 진동이 큼)이 입력되고, 상기 제어부는 입력되는 전압값이 기준값(일 례로 3.5V)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각 팬의 회전에 따른 공진이 발생되면, 상기 케이스 전체가 진동에 의해서 비틀림 등이 일어나고, 소음이 심하게 발생하게 되므로, 본 실시 예에서, 기준값은 다수 회 실험에 의해서 공진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는 조건으로 결정된다.
각 진동 센서에서 감지된 센서값 모두가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가 진동이 가장 크게 발생할 것이나, 복수의 센서값이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도 진동은 크게 발생할 수 있으므로, 본 실시 예에서 기준 수는 2 또는 2보다 큰 수일 수 있다.
단계 S3에서 판단 결과, 기준 수 이상의 센서 감지값이 기준값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30)는 기준 수(2 이상의 수) 이상의 팬 모터의 작동을 가변시킨다. 상세히, 상기 제어부(130)는 기준값을 초과한 센서값을 출력한 진동 센서와 대응되는 팬 모터의 회전 주파수를 기준 주파수(일 례로 5hz) 범위 내에서 감소시킨다(S4). 그 다음, 단계 S3로 복귀하게 된다. 이 때, 상기 감소된 회전 주파수로 기준 수 이상의 팬 모터가 일정 시간 동작한 후에 단계 S3에서의 판단을 재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기준 수 이상의 센서값이 기준값을 초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회전 주파수가 변경되었던 팬 모터가 현재의 부하에 대응하여 작동하게 된다. 즉, 팬 모터의 회전 주파수가 변경되기 전 부하에 대응하여 작동하는 것이 아니고, 현재의 부하에 대응하여 작동한다. 이는 주파수가 가변된 팬 모터가 일정 시간 동안 작동할 때, 부하가 가변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진동 센서에 감지된 센서값과 기준값을 비교하여 팬 모터 작동을 제어하므로, 소음 발생이 줄어들고, 공진에 따른 제품 손상이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위의 실시 예에서, 기준값을 초과한 센서값을 출력한 진동 센서와 대응되는 팬 모터의 회전 주파수를 기준 주파수(일 례로 5hz) 범위 내에서 감소시키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아래와 같이 제어될 수도 있다.
상기 복수의 팬 모터 및 팬은 두 개 이상이 하나의 그룹을 이룬다.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복수의 그룹을 가지고, 각 그룹에 속하는 팬 모터 및 팬은 동일하게 작동된다.
따라서, 기준 수 이상의 센서값이 기준 값을 초과한 경우, 하나 이상의 그룹의 팬 모터의 회전 주파수가 감소될 수 있다.
그리고, 센서 감지값과 기준 값의 차이에 따라 기준 주파수 범위 내에서 감소되는 주파수가 달라질 수 있다. 일 례로, 센서 감지값이 4V인 경우 3Hz가 감소하고, 4.5V인 경우 4Hz가 감소하고, 5V인 경우 5Hz가 감소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공기조화장치의 운전 필요성에 의해서 상기 공기조화장치(1)가 운전을 시작하게 된다(S11).
상기 공기조화장치(1)가 운전을 시작하게 되면, 상기 팬 모터(121A, 122A, 123A, 124A)는 부하에 대응하여 작동된다(S12). 즉, 상기 제어부(130)는 부하에 대응하여 상기 팬 모터(121A, 122A, 123A, 124A)의 회전 주파수(Hz)를 제어한다. 일반적으로 부하가 커질수록 팬 모터(121A, 122A, 123A, 124A)의 회전 주파수는 커지고, 부하가 작을 수록 팬 모터(121A, 122A, 123A, 124A)의 회전 주파수는 작아진다.
상기 팬 모터(121A, 122A, 123A, 124A)가 부하에 대응하여 작동하는 중에, 상기 제어부(130)는 안전모드 시작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3). 상세히, 상기 안전모드 시작 조건은 각 팬 모터(121A, 122A, 123A, 124A)의 회전 주파수가 한계 주파수에 도달한 경우이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한계 주파수는 상기 팬 모터의 최대회전 주파수이거나, 최대회전 주파수에 근접한 주파수이다.
일 례로, 공기조화장치가 냉방 운전하는 경우, 압축기의 목표압력에 비하여 현재압력이 높으면, 상기 팬 모터(121A, 122A, 123A, 124A)의 회전 주파수가 증가된다. 상기 팬 모터(121A, 122A, 123A, 124A)의 회전 주파수가 증가되는 경우는 일 례로 냉방 시 부하가 높은 경우이다.
상기 냉방 부하가 높은 경우 상기 팬 모터의 회전 주파수는 한계 주파수에 도달하므로, 상기 각 팬의 회전에 의해서 공진 발생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각 팬 모터 회전 주파수 전부가 한계 주파수에 도달한 경우 안전모드 시작 조건을 만족한 것으로 판단한다.
단계 S13에서, 안전모드 시작 조건을 만족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부(130)는 각 진동 센서의 센서 감지값과 기준값을 비교하여, 기순 수 이상의 센서 감지값이 기준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4).
단계 S14에서 판단 결과, 기준 수 이상의 센서 감지값이 기준값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30)는 기준 수(2 이상의 수) 이상의 팬 모터의 회전 주파수를 기준 주파수 범위 내에서 감소시킨다(S15). 그 다음, 단계 S14로 복귀하게 된다. 이 때, 상기 감소된 회전 주파수로 기준 수 이상의 팬 모터가 일정 시간 동작한 후에 단계 S14에서의 판단을 재수행한다.
본 실시 예에서, 단계 S14 이후의 단계는 제 1 실시 예의 단계 S3이후의 단계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130: 제어부
121A, 122A, 123A, 124A: 팬 모터
121B, 122B, 123B, 124B: 팬 모터
141, 142, 143, 144: 진동 센서

Claims (12)

  1. 열교환기와 공기의 열교환을 위하여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팬;
    상기 복수의 팬을 회전시키기 위한 복수의 팬 모터;
    상기 복수의 팬이 회전될 때 발생되는 진동을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진동센서; 및
    상기 복수의 진동센서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팬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진동 센서에서 감지된 각 센서값 중 기준수 이상의 센서값이 기준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팬 모터 중 일부 또는 전부의 작동 주파수가 감소되는 공기조화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팬 모터의 회전 주파수가 한계 주파수에 도달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진동 센서에서 감지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팬 모터의 작동 주파수 변경 여부를 판단하는 공기조화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한계 주파수는 상기 팬 모터의 최대회전 주파수 또는 최대회전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인 공기조화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진동 센서에서 감지된 각 센서값 중 기준수 이상의 센서값이 기준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팬 모터 중 일부 또는 전부의 작동 주파수가 감소되는 공기조화장치.
  6. 제 2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수는 2 이상인 공기조화장치.
  7. 제 2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팬 모터 중 일부는, 2 이상인 공기조화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팬 모터는 다수의 그룹을 이루고, 한 그룹은 둘 이상의 팬 모터로 구성되며,
    기준수 이상의 센서값이 기준 값을 초과하는 경우, 특정 그룹의 팬 모터의 작동 주파수가 함께 감소하는 공기조화장치.
  9. 제 2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기준수 이상의 센서값이 기준 값을 초과하는 경우, 기준값을 초과하는 센서값을 가지는 진동 센서와 대응되는 팬 모터의 회전 주파수가 감소되는 공기조화장치.
  10. 제 2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일부 또는 전부의 팬 모터의 주파수가 감소된 후에,
    상기 복수의 진동 센서에서 감지된 각 센서값 중 기준수 이상의 센서값이 기준 값을 미초과하는 경우
    회전 주파수가 감소되었던 팬 모터의 주파수가 현재 부하에 맞는 상태로 변경되는 공기조화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진동 센서의 개수는 상기 복수의 팬의 수와 동일한 공기조화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진동 센서는, 상기 각 팬의 공기 유동을 가이드하는 쉬라우드, 상기 각 팬 모터가 설치되는 모터 마운트, 상기 모터 마운트가 설치되는 케이스 중 하나에 설치되는 공기조화장치.
KR1020100105181A 2010-10-27 2010-10-27 공기조화장치 KR1012423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5181A KR101242375B1 (ko) 2010-10-27 2010-10-27 공기조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5181A KR101242375B1 (ko) 2010-10-27 2010-10-27 공기조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3902A true KR20120043902A (ko) 2012-05-07
KR101242375B1 KR101242375B1 (ko) 2013-03-14

Family

ID=46263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5181A KR101242375B1 (ko) 2010-10-27 2010-10-27 공기조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23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210418A1 (de) * 2016-06-13 2017-12-14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Steuereinheit zur Detektion von Fehlzuständen in einem Heizsystem und/oder in einer Klimaanlage sowie ein Heizsystem und/oder eine Klimaanlag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9356B1 (ko) * 2022-11-28 2024-04-19 대림로얄이앤피(주) 진동센서를 이용한 산업용 보일러 송풍기의 이상진단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7177A (ko) * 2002-06-19 2003-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장치
JP4441661B2 (ja) 2002-12-18 2010-03-31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空気調和機
KR100474349B1 (ko) 2003-04-17 2005-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두개의 송풍팬을 채용한 실외기의 소음방지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210418A1 (de) * 2016-06-13 2017-12-14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Steuereinheit zur Detektion von Fehlzuständen in einem Heizsystem und/oder in einer Klimaanlage sowie ein Heizsystem und/oder eine Klimaanl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2375B1 (ko) 2013-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60798B2 (en) HVAC unit with hot gas reheat
JP5622859B2 (ja) 熱源装置
US20140163744A1 (en) Fault detection in a cooling system with a plurality of identical cooling circuits
JP2008267722A (ja) 熱源機および冷凍空調装置
WO2014165497A1 (en) Air condition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ing system
JPWO2018193518A1 (ja) 空気調和機
WO2016077559A1 (en) On board chiller capacity calculation
JP2014214954A (ja) 冷温水供給システム及び空気調和装置
KR101242375B1 (ko) 공기조화장치
KR101883368B1 (ko) 냉동기 시스템 운전비 절감을 위한 냉방시스템 제어방법
JP6105933B2 (ja) 直膨コイルを使用した空気調和機
JP2010190484A (ja) 電子機器冷却装置
JP2013002749A (ja) 空気調和装置
JP5486425B2 (ja) 水熱源ヒートポンプユニット配管システム
US11204192B2 (en) Adjustable duct for HVAC system
KR20150009201A (ko) 히트펌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531256B2 (ja) 空気調和装置
JP2013117360A (ja) 空気調和装置及び方法
JP6902912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および全熱交換装置
KR101679576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470369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20050074706A (ko)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인버터 압축기의 예열운전 제어 방법
KR20060035242A (ko) 저온 냉방 운전 영역에서의 실외기 팬모터 제어 방법
KR100362371B1 (ko) 냉난방 겸용 멀티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
KR0128900Y1 (ko) 히트펌프식 공기조화기의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