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2967A - 하이브리드 배터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배터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2967A
KR20120042967A KR20127003714A KR20127003714A KR20120042967A KR 20120042967 A KR20120042967 A KR 20120042967A KR 20127003714 A KR20127003714 A KR 20127003714A KR 20127003714 A KR20127003714 A KR 20127003714A KR 20120042967 A KR20120042967 A KR 201200429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rter
converters
switch
battery
energy conve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7003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0822B1 (ko
Inventor
슈테판 부츠만
홀거 핑크
Original Assignee
에스비 리모티브 저머니 게엠베하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비 리모티브 저머니 게엠베하,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비 리모티브 저머니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20042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29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0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08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0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007Physical arrangements or structures of drive train converter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pulsion motors of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8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8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 B60L58/21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having the same nominal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67Converter structures employing plural converter units, other than for parallel operation of the units on a single load
    • H02M1/0077Plural converter units whose outputs are connected in s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4Electric machine technologies in electromobi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92Energy efficient charging or discharging system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시스템용 에너지 변환기에 관한 것으로, 에너지 변환기는 제1 및 제2 입력단(32-1, 32-2)과 제1 및 제2 출력단(33-1, 33-2)을 각각 구비한 복수의 DC/DC 컨버터(21-1, 21-2, 21-n, 31, 41-1, 41-2, 41-n)를 포함한다. DC/DC 컨버터들 중 제1 DC/DC 컨버터(21-1, 41-1)의 제1 출력단(33-1)은 에너지 변환기의 제1 출력단(23-1, 43-1)과 연결되고, DC/DC 컨버터들 중 마지막 DC/DC 컨버터(21-n, 41-n)의 제2 출력단(33-2)은 에너지 변환기의 제2 출력단(23-2, 43-2)과 연결된다. 제1 및 제2 입력단(32-1, 32-2)은 배터리 모듈(20-1, 20-2, 20-n, 30, 40-1, 40-2, 40-n)을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DC/DC 컨버터(21-1, 21-2, 21-n, 31, 41-1, 41-2, 41-n)들은 출력단 측에서 직렬로 연결된다. 에너지 변환기는, 복수의 제1 다이오드로서, 이들 제1 다이오드 각각은 DC/DC 컨버터(21-1, 21-2, 21-n, 31, 41-1, 41-2, 41-n)들 중 일측 DC/DC 컨버터의 제1 입력단(32-1)과 연결되는 애노드와, 타측 DC/DC 컨버터(21-1, 21-2, 21-n, 31, 41-1, 41-2, 41-n)의 제2 입력단(32-2)과 연결되는 캐소드를 포함함여 DC/DC 컨버터(21-1, 21-2, 21-n, 31, 41-1, 41-2, 41-n)들이 입력단 측에서 직렬로 연결되게 하는 상기 복수의 제1 다이오드(22-2, 22-n, 42-2, 42-n) 뿐만 아니라, 제1 DC/DC 컨버터(21-1, 41-1)의 제1 입력단(32-1)과 연결되는 애노드와 에너지 변환기의 제1 출력단(23-1, 43-1)과 연결되는 캐소드를 포함하는 제2 다이오드(22-1, 42-1)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배터리 시스템{HYBRID BATTERY SYSTEM}
본 발명은 배터리 시스템용 에너지 변환기에 관한 것이다.
풍력 발전소 및 비상 전력 시스템과 같은 고정된 분야(stationary application)나 차량에서 이용되는 배터리 시스템에 대한 수요는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모든 적용 분야에서 신뢰성 및 고장 안전성에 대한 요건이 높다. 그 이유는 배터리 시스템에 의한 전원 공급 장치의 완전한 고장은 시스템 전체의 고장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풍력 발전소에서는 바람이 강하게 불 때 로터 블레이드를 위치 조정하고, 풍력 발전소를 손상시키거나 심지어 파손시킬 수도 있는 과도한 기계적 부하로부터 시스템을 보호하기 위해 배터리가 이용된다.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가 고장 난 경우 전기 자동차는 운행하지 못할 수도 있다. 또한, 비상 전력 시스템은 예컨대 병원의 지속적인 운영을 직접 보장해야 하며, 그에 따라 그 자체는 가능한 고장이 나지 않아야 한다.
각각의 적용 분야에 대하여 요구되는 성능 및 가용 에너지를 제공하기 위해, 개별 배터리 셀들은 직렬 연결되고, 부분적으로는 추가로 병렬 연결된다. 도 1은 배터리들의 직렬 연결에 대한 개략적인 회로도를 도시하고 있다. 수많은 배터리 셀(10-1 내지 10-n)은, 예컨대, 승용차에서 전기 모터를 위해 필요한 높은 작동 전압을 개별 셀(10-1, ..., 10-n)들의 전압을 합산하여 얻기 위해 직렬로 연결된다. 높은 작동 전압은 출력단 측의 스위치(11-1 및 11-2)들에 의해 인버터와 같은 미도시된 후속하는 전력 전자 소자들에 의해 단절(decoupling)될 수 있다. 배터리의 총 출력 전류가 배터리 셀(10-1, ..., 10-n)들의 직렬 연결을 바탕으로 배터리 셀(10-1, ..., 10-n)들 모두에서 흐르고, 전하 이동(charge transfer)은 배터리 셀(10-1, ..., 10-n) 내부에서 전기 화학적 과정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단 하나의 배터리 셀의 고장은 극단의 경우, 전체 시스템에 전류가 흐르지 않으며 그에 따라 전기 에너지를 더 이상 공급할 수 없는 것을 의미한다. 배터리 셀(10-1, ..., 10-n)의 임박한 고장을 적시에 검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배터리 셀(10-1, ..., 10-n)들 각각의 두 단자와 연결되어 있거나 연결될 수 있으며 정기적이거나 선택 가능한 간격으로 각각의 배터리 셀(10-1, ..., 10-n)의 전압 및 온도와 같은 작동 파라미터와 그에 따른 배터리 셀의 충전 상태(State of Charge, SoC)를 판단하는 소위 배터리 관리 시스템(12)이 이용된다. 이는 배터리 시스템의 전기 데이터의 낮은 유연성과 동시에 높은 비용을 의미한다.
다수의 배터리 셀의 직렬 연결로 인한 추가 단점은 하기와 같다.
1. 배터리로 작동될 장치의 상이한 작동 상태들에 대하여, 공급할 작동 전압, 최대 전류 및 저장된 에너지에 대해, 개별 요건들의 충족을 위해 실제로 필요한 것보다 더욱 많은 개수의 배터리 셀이 결합 될 때에만 전체 요건을 만족하게 된다. 이는 특히 전기 자동차의 경우 문제가 되는 배터리 시스템의 무게 및 부피와 그 가격을 상승시킨다.
2. 배터리의 조립, 다시 말해 개별 셀들의 상호 간 연결은 직렬 연결에 의한 개별 배터리 셀들의 전압 합산으로 인해 최대 1000V의 높은 전압 조건에서 이루어지며, 그로 인해 배터리, 개별 셀들 또는 모듈들의 교환은 지역 정비소에서는 실시할 수 없으며, 정치형 분야의 경우에서는 특수 공구로 특히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만 실시하게 할 수 있다. 이는 오류가 있을 시에 배터리 시스템의 정비를 위해 높은 물류 비용을 발생시킨다.
3. 배터리 시스템을 절연하기 위해, 다시 말해 배터리를 실제 부하 장치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회로 차단기(11-1 및 11-2)들이 제공되어야 하는데, 이들 회로 차단기는 일반적으로 접촉기(contactor)로서 형성되고, 예상되는 높은 전류 및 전압에 대하여 매우 고가이다.
본 발명의 제1 관점은 배터리 시스템용 에너지 변환기(energy transformer)에 관한 것으로서, 에너지 변환기는 제1 및 제2 입력단(input)과 제1 및 제2 출력단(output)을 각각 구비한 복수의 DC/DC 컨버터를 포함한다. DC/DC 컨버터들 중 제1 DC/DC 컨버터의 제1 출력단은 에너지 변환기의 제1 출력단과 연결되고, DC/DC 컨버터들 중 마지막 DC/DC 컨버터의 제2 출력단은 에너지 변환기의 제2 출력단과 연결된다. DC/DC 컨버터의 제1 및 제2 입력단은 배터리 모듈을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DC/DC 컨버터들은 출력단 측에서 직렬로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변환기는, 복수의 제1 다이오드로서, 이들 제1 다이오드 각각은 DC/DC 컨버터들 중 일측 DC/DC 컨버터의 제1 입력단과 연결되는 애노드(anode)와 타측 DC/DC 컨버터의 제2 입력단과 연결되는 캐소드(cathode)를 포함하여 DC/DC 컨버터들이 입력단 측에서 직렬로 연결되게 하는 상기 복수의 제1 다이오드뿐 아니라, 제1 DC/DC 컨버터의 제1 입력단과 연결되는 애노드와 에너지 변환기의 제1 출력단과 연결되는 캐소드를 포함하는 제2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은, 배터리 모듈들이 제1 다이오드를 통해 직렬로 연결되고 직렬로 연결된 배터리 모듈들은 제2 다이오드를 통해 DC/DC 컨버터들에 대해 병렬로 연결된다는 장점이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대부분의 작동 상황에 충분히 낮은 전력 소모(power drain)에 적합하게 DC/DC 컨버터를 치수화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DC/DC 컨버터는 더욱 가볍고 더욱 저렴해진다. 만일 높은 전력이 소모된다면, 직렬로 연결된 DC/DC 컨버터들에 의해 생성되는 출력 전압이 감소하여 직렬로 연결된 배터리 모듈들의 전압 미만으로 강하한다. 그러면 배터리 모듈들은 제2 다이오드를 통해 연결되고 출력 전압을 다시 안정화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이한 작동 상태에 따라 공급할 전력에 관한 상이한 요건 간의 양호한 절충을 가능하게 한다. 그 외에도 각 작동 상황에 따른 적합한 총 전압의 선택도, 충분히 낮은 전력 소모를 전제로 하는 조건 하에서, DC/DC 컨버터들의 적절한 제어에 의해 가능하다. 또한, 전력 소모가 낮은 경우에도, 출력 전압은 일차 측에 연결된 배터리 셀의 개수에 종속되지 않는다. 그럼으로써 배터리 시스템의 레이아웃은 각각의 적용 분야에서 요구되는 총 전압과는 무관하게 에너지 및 전력 기준에 따라서만 이루어진다. 이런 장치 구조의 추가 장점은, 고가의 접촉기(11-1 및 11-2)가 생략될 수 있다는 점에 있는데, 그 이유는 배터리 출력단에서 고전압이 DC/DC 컨버터들의 비활성화에 의해 간단히 차단될 수 있기 때문이다.
에너지 변환기는 복수의 제1 차단 스위치(disconnecting switch)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제1 차단 스위치 중 각각의 제1 차단 스위치를 통해서는 배터리 모듈들이 DC/DC 컨버터들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차단 스위치들은 각각의 DC/DC 컨버터로부터 배터리 모듈을 분리하고, 그에 따라 DC/DC 컨버터를 절연할 수 있게 한다. 그럼으로써 배터리 모듈이 DC/DC 컨버터의 개폐 상태에 따라 단락되는 점이 방지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차단 스위치들은 릴레이로서 형성된다.
에너지 변환기는 제1 차단 스위치에 추가로 복수의 제2 차단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제2 차단 스위치 각각은 제1 다이오드 또는 제2 다이오드와 직렬로 연결된다. 제2 차단 스위치들은, 각각의 DC/DC 컨버터의 제1 입력단으로부터 각각의 DC/DC 컨버터의 제1 출력단을 분리하거나, 마지막 DC/DC 컨버터를 제외한 각각의 DC/DC 컨버터의 제2 입력단을 DC/DC 컨버터의 제2 출력단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제2 차단 스위치는 바람직하게는 급속 스위치로서 형성되며, 제1 차단 스위치가 개폐되지 않거나 너무 느리게 개폐되는 경우 배터리 모듈들의 분리를 보장한다. 이는, 특히, 제1 차단 스위치가 상대적으로 느리게 개폐되는 릴레이로서 형성될 때 바람직하다.
DC/DC 컨버터들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양방향성 비절연식 DC/DC 컨버터로서, 예컨대, 승압형(step-up)/강압형(step-down) 컨버터로서 또는 강압-승압형(buck-boost) 컨버터로서 형성된다.
에너지 변환기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DC/DC 컨버터들은 각각 코일과, 제1 내지 제4 스위치와, 이 제1 내지 제4 스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구비하며, 제1 스위치는 코일의 제1 단자와 제1 입력단 사이에 연결되고, 제2 스위치는 코일의 제1 단자와 제2 입력단 사이에 연결되고, 제3 스위치는 코일의 제2 단자와 제2 입력단 사이에 연결되며, 제4 스위치는 코일의 제2 단자와 제1 출력단 사이에 연결된다. 이와 같은 강압-승압형 컨버터의 형식은 회로 기술 측면에서 복잡성이 낮고 생성할 출력 전압의 간단한 제어를 허용한다.
여기서, 특히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컨트롤러는 제1 제어 신호를 위한 제1 제어 입력단을 포함하며,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제3 스위치 및 제4 스위치를 닫아 DC/DC 컨버터의 제2 출력단과 DC/DC 컨버터의 제1 출력단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제1 스위치를 개방하여 DC/DC 컨버터의 제1 입력단을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실시 예는, 작동 중에, 예컨대 입력단 측에 연결된 배터리 모듈의 배터리 셀에 결함이 있는 것으로 인해, DC/DC 컨버터를 선택적으로 비활성화하는 것을 허용한다. 제3 스위치를 닫음으로써, 고장이 난 DC/DC 컨버터의 제1 및 제2 출력단은 서로 통전되며, 그럼으로써 또한 장치 구조 전체에 출력 전류가 흐를 수 있게 된다. 코일을 통해 배터리 모듈을 단락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제1 스위치를 개방하는 것을 통해 배터리 모듈은 동시에 분리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실시 예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의 고장에도 장치의 추가 작동을 허용한다. 그 외에, 경우에 따라 지속적인 작동 모드에서 총 전압의 생성을 중단할 필요도 없이 배터리 모듈의 교환도 가능하다.
마지막에 언급한 두 실시 예의 개선 예에서 DC/DC 컨버터들 각각은 제2 제어 신호를 위한 제2 제어 입력단을 포함하며, 제2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DC/DC 컨버터의 제1 출력단과 제2 출력단 사이에서 전압을 상승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럼으로써 앞서 기재한 하나의 DC/DC 컨버터의 비활성화에 의한 총 전압의 강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또한 적어도 거의 변화 없는 총 전압이 감소된 개수의 DC/DC 컨버터에 의해서도 공급되게 된다. 또한, DC/DC 컨버터의 개수가 동일한 조건에서 총 전압을 상승시키고 그에 따라 또 다른 작동 상황에 적합하게 상기 총 전압을 조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은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에너지 변환기와, 복수의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배터리 모듈들은 각각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을 구비한다. 배터리 모듈의 배터리 단자들은 에너지 변환기의 DC/DC 컨버터의 제1 및 제2 입력단 중 대응하는 입력단과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발명의 제3 관점은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에너지 변환기를 장착한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앞서 언급한 선행기술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에너지 변환기에 의하면 대부분의 작동 상황에 충분히 낮은 전력 소모(power drain)에 적합하게 DC/DC 컨버터를 치수화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DC/DC 컨버터는 더욱 가볍고 더욱 저렴해진다.
본 발명은 다음에서 실시 예들의 도면에 따라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선행기술에 따른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배터리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3은 강압-승압형 컨버터로 형성된 DC/DC 컨버터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복수의 DC/DC 컨버터(21-2, 21-2 내지 21-n)는 입력단 측에서 복수의 제1 다이오드(22-2 내지 22-n)를 통해 직렬로 연결된다. 그 외에도 DC/DC 컨버터(21-1, 21-2, ..., 21-n) 각각은 입력단 측에서 배터리 모듈(20-1, 20-2, ..., 20-n)과 연결되며, 이들 배터리 모듈 각각은 직렬로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을 포함한다.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DC/DC 컨버터(21-1, 21-2, ..., 21-n)들의 출력단들은 직렬로 연결되며, 그럼으로써 장치 구조의 출력단(23-1 및 23-2)들 사이의 총 전압은 DC/DC 컨버터(21-1, 21-2, ..., 21-n)들에 의해 생성되는 개별 전압의 합으로서 제공된다. DC/DC 컨버터(21-1, 21-2, ..., 21-n)들은 공지된 방식으로 구성되고 각각의 DC/DC 컨버터(21-1, 21-2, ..., 21-n)의 제1 및 제2 출력단에 인가되는 출력 전압의 조정과, DC/DC 컨버터(21-1, 21-2, ..., 21-n)들의 비활성화를 허용하며, DC/DC 변환은 더 이상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럼으로써 출력단(23-1 및 23-2)들에서의 총 전압은 각각의 작동 상황에 적합하게 유연하게 조정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장점을 나타낸다. DC/DC 컨버터(21-1, 21-2, ..., 21-n)들의 내부에 표시된 점선들은 DC/DC 컨버터(21-1, 21-2, ..., 21-n)들의 각각의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서 가능한 전기 전도성 연결을 의미한다. 배터리 모듈(20-1, 20-2, ..., 20-n)들은 제1 다이오드(22-2, ..., 22-n) 및 제1 차단 스위치(24-1, 24-2, ..., 24-n)를 통해 직렬로 연결되고 제2 다이오드(22-1)를 통해서는 제1 DC/DC 컨버터(21-1)의 제1 출력단과 병렬로 연결된다. 그럼으로써 배터리 모듈들로 서로 연결되어 구성된 배터리는 직렬로 연결된 DC/DC 컨버터(21-1, 21-2, ..., 21-n)들에 대해 병렬로 이용된다. 이런 점은 상대적으로 낮은 전력 소모를 위한 DC/DC 컨버터(21-1, 21-2, ..., 21-n)를 설계할 수 있게 하며, 그럼으로써 DC/DC 컨버터(21-1, 21-2, ..., 21-n)들은 보다 소형화 및 경량화되고 그 가격도 더욱 저렴해진다. 통상적으로 보다 높은 전력을 가용하게 해야 하는 매우 드물게만 발생하는 작동 상태의 경우, 기재된 바와 같이 병렬로 연결된 배터리는 직접적으로 전력 원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더욱 높은 전력이 소모된다면, 출력단(23-1 및 23-2)들 사이에서 DC/DC 컨버터(21-1, 21-2, ..., 21-n)들에 의해 생성된 전압은, 제2 다이오드(22-1)가 순방향 전압(forward voltage)으로 편극될 때까지 감소하게 된다. 그런 다음 제2 다이오드(22-1)가 통전되고 배터리는 출력단(23-1 및 23-2)들 사이의 전압을 안정화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은 최대 가용한 높은 출력 전압과, 이용되는 배터리 셀의 개수와 무관한 출력 전압의 가변 생성의 장점을 조합하되, 비교적 낮은 회로 요건으로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차단 스위치(24-1, 24-2, ..., 24-n)들은, 각각의 배터리 모듈(20-1, 20-2, ..., 20-n)을 해당하는 DC/DC 컨버터(21-1, 21-2, ..., 21-n)로부터 분리하여 이 DC/DC 컨버터를 절연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는 특히 배터리 모듈(20-1, 20-2, ..., 20-n)에 결함이 있을 경우에 유용하다. 이런 경우 추가로 장치 구조 전체의 추가 기능이 보장되도록 해당하는 DC/DC 컨버터(21-1, 21-2, ..., 21-n)는 비활성화되고, 이 DC/DC 컨버터의 출력단들은 단락된다. 또한, 추가 또는 대체 실시 예로서, 대응하는 바이패스 회로가 DC/DC 컨버터의 입력단 측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그러나 DC/DC 컨버터(21-1, 21-2, ..., 21-n)들이 제2 입력단과 제2 출력단 간의 전도성 연결부를 포함하고 있다면 상기 바이패스 회로는 생략할 수 있다.
도 3은 강압-승압형 컨버터로서 형성되는 공지된 DC/DC 컨버터(31)의 회로도를 도시하고 있다. 제1 입력단(32-1)과 제2 입력단(32-2)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30-1 내지 30-n)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30)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DC/DC 컨버터(31)는 제1 내지 제4 스위치(S1, S2, S3, S4)와 코일(L1)을 구비한다. DC/DC 컨버터는 제1 및 제2 출력단(33-1, 33-2)을 포함하고, 이 두 출력단(33-1, 33-2) 사이에서 직류 전압을 생성할 수 있도록 형성되되, 직류 전압의 값은 공지된 방식에 따라 배터리 모듈(30)의 직류 전압과 무관하게 제1 내지 제4 스위치(S1, S2, S3, S4)의 개폐 주기의 선택을 통해 조정될 수 있다. 가장 간단한 경우에 강압-승압형 컨버터는 2가지 상태에서 교대로 작동된다. 충전 상태에서 제1 스위치(S1) 및 제3 스위치(S3)는 폐쇄되며(다시 말해 전도성 상태로 전환되며), 제2 스위치(S2) 및 제4 스위치(S4)는 개방된다(다시 말해 비전도성 상태로 전환된다). 그 결과 배터리 모듈(30)로부터는 코일(L1)에서 자장(magnetic field)을 구성하는 전류가 코일(L1)을 통해 흐르게 된다. 그런 다음 방전 과정에서 제1 스위치(S1) 및 제3 스위치(S3)는 개방되고 제2 스위치(S2) 및 제4 스위치(S4)가 폐쇄된다. 그럼으로써 배터리(30)는 코일(L1)로부터 분리되고 코일의 입력단은 배터리 모듈(30)의 음극 단자와 연결되고 코일의 출력단은 제1 출력단(33-1)과 연결된다. 코일(L1)은 코일 자신을 관류하는 전류의 변화를 방지하기 때문에, 코일은 자체의 자장으로부터 출력 전류를 공급하고 이때 자장을 소산시킨다. 만일 이런 과정이 빠르게 반복되면, 출력단(33-1, 33-2)들 사이에서는 직류 전압이 조정되되, 이 직류 전압의 값은 특히 반복의 빈도수에 따라 결정된다.
스위치(S1 내지 S4)들의 초핑(chopping) 동작을 작동 상황에 적합하게 조정하는 컨트롤러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또한, 통상적으로 출력단(33-1, 33-2)들에 인가되는 출력 전압을 결정하는 피드백이 제공되어 스위치(S1 내지 S4)들의 초핑의 조정을 위해 이용됨으로써 가능한 안정적인 출력 전압이 생성된다. 출력 전압의 보다 나은 평활화를 위해, 출력단(33-1, 33-2)들 사이에는 버퍼 커패시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주에서 DC/DC 컨버터들의 상기 특성은 각각의 작동 상황에 따라 목표하는 본 발명의 장치 구조의 총 전압의 조정을 허용하거나 하나 또는 모든 DC/DC 컨버터의 비활성화를 허용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스위치(S3 및 S4)들이 폐쇄되고 스위치(S1 및 S2)들은 개방되면서 DC/DC 컨버터(31)가 비활성화될 수 있다.
도 4는 제1 실시 예와 유사하게 구성되고 그에 상응하게 기능하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단 한가지 차이점으로서는 제2 차단 스위치(45-1, 45-2, 45-3)들이 추가되며, 이들 제2 차단 스위치는 배터리 모듈(40-1, 40-2, ..., 40-n)의 결함으로 인해 DC/DC 컨버터(41-1, 41-2, ..., 41-n)를 앞서 기재한 바와 같이 비활성화하는 경우를 위해 DC/DC 컨버터(41-1, 41-2, ..., 41-n)들 내부에 점선으로 도시되는, DC/DC 컨버터(41-1, 41-2, ..., 41-n)들의 제2 입력단들과 제2 출력단들 사이의 연결부를 차단해야 한다. 여기서 제2 차단 스위치들은 바람직하게는 예컨대 파워 트랜지스터와 같은 급속 스위치로서 설계되며, 바람직하게는 비교적 저속인 릴레이로서 형성되는 제1 차단 스위치(44-1, 44-2, ..., 44-n)들 중 일측의 제1 차단 스위치가 개방되지 않거나 신속하게 충분히 개방되지 않으면 배터리 모듈(40-1, 40-2, ..., 40-n)들을 분리할 수 있다. 제2 차단 스위치는 마지막 DC/DC 컨버터(41-n)에서는 필요로 하지 않는다.

Claims (10)

  1. 배터리 시스템용 에너지 변환기로서,
    상기 에너지 변환기는 제1 및 제2 입력단(32-1, 32-2)과 제1 및 제2 출력단(33-1, 33-2)을 각각 구비한 복수의 DC/DC 컨버터(21-1, 21-2, 21-n, 31, 41-1, 41-2, 41-n)를 포함하되, 상기 DC/DC 컨버터들 중 제1 DC/DC 컨버터(21-1, 41-1)의 제1 출력단(33-1)은 상기 에너지 변환기의 제1 출력단(23-1, 43-1)과 연결되고, 상기 DC/DC 컨버터들 중 마지막 DC/DC 컨버터(21-n, 41-n)의 제2 출력단(33-2)은 상기 에너지 변환기의 제2 출력단(23-2, 43-2)과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 입력단(32-1, 32-2)은 배터리 모듈(20-1, 20-2, 20-n, 30, 40-1, 40-2, 40-n)을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DC/DC 컨버터(21-1, 21-2, 21-n, 31, 41-1, 41-2, 41-n)들은 출력단 측에서 직렬로 연결되고,
    복수의 제1 다이오드로서, 상기 제1 다이오드 각각은 상기 DC/DC 컨버터(21-1, 21-2, 21-n, 31, 41-1, 41-2, 41-n)들 중 일측 DC/DC 컨버터의 제1 입력단(32-1)과 연결되는 애노드와, 타측 DC/DC 컨버터(21-1, 21-2, 21-n, 31, 41-1, 41-2, 41-n)의 제2 입력단(32-2)과 연결되는 캐소드를 포함함여 상기 DC/DC 컨버터(21-1, 21-2, 21-n, 31, 41-1, 41-2, 41-n)들이 입력단 측에서 직렬로 연결되게 하는 상기 복수의 제1 다이오드(22-2, 22-n, 42-2, 42-n)와,
    상기 제1 DC/DC 컨버터(21-1, 41-1)의 제1 입력단(32-1)과 연결되는 애노드와 상기 에너지 변환기의 제1 출력단(23-1, 43-1)과 연결되는 캐소드를 포함하는 제2 다이오드(22-1, 4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변환기.
  2.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제1 차단 스위치(24-1, 24-2, 24-n, 44-1, 44-2, 44-n)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 모듈(20-1, 20-2, 20-n, 30, 40-1, 40-2, 40-n)들은 상기 제1 차단 스위치(24-1, 24-2, 24-n, 44-1, 44-2, 44-n)들 중 각각의 제1 차단 스위치를 통해 상기 DC/DC 컨버터(21-1, 21-2, 21-n, 31, 41-1, 41-2, 41-n)들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변환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단 스위치(24-1, 24-2, 24-n, 44-1, 44-2, 44-n)들은 릴레이로 형성되는, 에너지 변환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복수의 제2 차단 스위치(45-1, 45-2, 45-3)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차단 스위치 각각은 상기 제1 다이오드(22-2, 22-n, 42-2, 42-n) 및 제2 다이오드(22-1, 42-1)와 직렬로 연결되고, 각각의 상기 DC/DC 컨버터(21-1, 21-2, 21-n, 31, 41-1, 41-2, 41-n)의 제1 입력단(32-1)으로부터 각각의 DC/DC 컨버터(21-1, 21-2, 21-n, 31, 41-1, 41-2, 41-n)의 제1 출력단(33-1)을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변환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DC/DC 컨버터(21-1, 21-2, 21-n, 31, 41-1, 41-2, 41-n)들은 양방향성 비절연식 DC/DC 컨버터로서, 바람직하게는 승압형/강압형(boost/buck) 컨버터, 또는 강압-승압형(buck-boost) 컨버터로 형성되는, 에너지 변환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DC/DC 컨버터(21-1, 21-2, 21-n, 31, 41-1, 41-2, 41-n)들은 각각 코일(L1)과, 제1 내지 제4 스위치(S1, S2, S3, S4)와, 상기 제1 내지 제4 스위치(S1, S2, S3, S4)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스위치(S1)는 상기 DC/DC 컨버터(21-1, 21-2, 21-n, 31, 41-1, 41-2, 41-n)의 제1 입력단(32-1)과 상기 코일(L1)의 제1 단자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스위치(S2)는 상기 코일(L1)의 제1 단자와 상기 DC/DC 컨버터(21-1, 21-2, 21-n, 31, 41-1, 41-2, 41-n)의 제2 입력단(32-2)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3 스위치(S3)는 상기 코일(L1)의 제2 단자와 상기 DC/DC 컨버터(21-1, 21-2, 21-n, 31, 41-1, 41-2, 41-n)의 제2 입력단(32-2)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제4 스위치(S4)는 상기 코일(L1)의 제2 단자와 상기 DC/DC 컨버터(21-1, 21-2, 21-n, 31, 41-1, 41-2, 41-n)의 제1 출력단(33-1) 사이에 연결되는, 에너지 변환기.
  7. 제6항에 있어서,
    각각의 컨트롤러는 제1 제어 신호를 위한 제1 제어 입력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3 스위치(S3) 및 상기 제4 스위치(S4)를 닫아 상기 DC/DC 컨버터(21-1, 21-2, 21-n, 31, 41-1, 41-2, 41-n)의 제2 출력단(33-2)과 상기 DC/DC 컨버터(21-1, 21-2, 21-n, 31, 41-1, 41-2, 41-n)의 제1 출력단(33-1)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제1 스위치(S1)를 개방하여 상기 DC/DC 컨버터(21-1, 21-2, 21-n, 31, 41-1, 41-2, 41-n)의 제1 입력단(32-1)을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에너지 변환기.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각각의 컨트롤러는 제2 제어 신호를 위한 제2 제어 입력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DC/DC 컨버터(21-1, 21-2, 21-n, 31, 41-1, 41-2, 41-n)의 제1 및 제2 출력단(33-1, 33-2) 사이의 전압을 상승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에너지 변환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에너지 변환기와, 복수의 배터리 모듈(20-1, 20-2, 20-n, 30, 40-1, 40-2, 40-n)을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 모듈들은 각각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30-1, 30-2, ..., 30-n)을 구비하고 상기 배터리 모듈들의 배터리 단자들은 상기 에너지 변환기의 DC/DC 컨버터(21-1, 21-2, 21-n, 31, 41-1, 41-2, 41-n)의 제1 및 제2 입력단(32-1, 32-2) 중 대응하는 입력단과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배터리 시스템.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에너지 변환기를 장착한 자동차.
KR1020127003714A 2009-07-20 2010-06-24 하이브리드 배터리 시스템 KR1012508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9027835A DE102009027835A1 (de) 2009-07-20 2009-07-20 Hybrides Batteriesystem
DE102009027835.4 2009-07-20
PCT/EP2010/058973 WO2011009690A1 (de) 2009-07-20 2010-06-24 Hybrides batterie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2967A true KR20120042967A (ko) 2012-05-03
KR101250822B1 KR101250822B1 (ko) 2013-04-05

Family

ID=42697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3714A KR101250822B1 (ko) 2009-07-20 2010-06-24 하이브리드 배터리 시스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048513B2 (ko)
EP (1) EP2457300B1 (ko)
JP (1) JP5302462B2 (ko)
KR (1) KR101250822B1 (ko)
CN (1) CN102474111B (ko)
DE (1) DE102009027835A1 (ko)
IN (1) IN2012DN00788A (ko)
WO (1) WO201100969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3583A (ko) * 2016-12-02 2018-06-12 주식회사 네오텍 소형풍력발전기 다중입력 제어시스템
US10658858B2 (en) 2016-10-05 2020-05-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with battery charging contro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24055B (fi) * 2011-01-21 2014-02-28 Amotec Oy Menetelmä ja laite sähkömoottorikäyttöön
US9673732B2 (en) * 2012-01-24 2017-06-06 Infineon Technologies Austria Ag Power converter circuit
DE102012201602B4 (de) 2012-02-03 2023-03-02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Steuereinrichtung zum Einstellen eines durch einen Batteriestrang fließenden Stromes
CN103378616A (zh) * 2012-04-18 2013-10-30 启攀微电子(上海)有限公司 锂电池电源管理电路
CN102723754B (zh) * 2012-06-01 2014-10-15 惠州市亿能电子有限公司 电池管理系统电池组采集线断线识别电路及识别方法
DE102012106261A1 (de) * 2012-07-12 2014-01-16 Hella Kgaa Hueck & Co. Gleichspannungswandler-Schaltungsanordnung
DE102012213129A1 (de) * 2012-07-26 2014-01-30 Robert Bosch Gmbh Antriebssystem für ein Elektrofahrzeug und Verfahren zum Laden einer Batterie mit Verbrennungsmotor
DE102013203974A1 (de) * 2013-03-08 2014-09-11 Robert Bosch Gmbh Schaltungsanordnung zur Ausgabe eines Stroms und Verfahren zur Stromregelung des Stroms dieser Schaltungsanordnung
DE102014200336A1 (de) 2014-01-10 2015-07-16 Robert Bosch Gmbh Elektrochemischer Speicherverbund
WO2015124161A1 (en) * 2014-02-24 2015-08-27 Volvo Truck Corporation Electrical storage system for a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id system
DE102015203003A1 (de) * 2015-02-19 2016-08-25 Robert Bosch Gmbh Batteriespeichersystem mit unterschiedlichen Zelltypen
DE102015102410A1 (de) * 2015-02-20 2016-08-25 Vossloh Kiepe Gmbh Batterieanordnung für ein Fahrzeug
JPWO2016147323A1 (ja) * 2015-03-17 2017-11-30 株式会社東芝 蓄電池システム
DE102015213053A1 (de) 2015-07-13 2017-01-19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besserte Antriebsordnung für ein elektrisch angetriebenes Fahrzeug
KR102280433B1 (ko) * 2015-09-23 2021-07-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력 공급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저장 장치
EP3276787B1 (de) 2016-07-29 2019-01-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lektrisches bordnetzsystem für kraftfahrzeuge mit einem konverter und einem hochlastverbraucher
DE102016123923A1 (de) * 2016-12-09 2018-06-14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Ladevorrichtung
KR20190033351A (ko) * 2017-09-21 2019-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 제어 장치 및 방법
CN107834652A (zh) * 2017-11-27 2018-03-23 王子豪 一种蓄电池升压方法
DE102017011040A1 (de) * 2017-11-29 2019-05-29 Iie Gmbh & Co. Kg Elektrisches System
WO2020010729A1 (zh) * 2018-07-07 2020-01-16 深圳驿普乐氏科技有限公司 一种直流电源及串并联电路
CN108649664A (zh) * 2018-07-07 2018-10-12 深圳驿普乐氏科技有限公司 一种直流电源及串并联电路
KR102549233B1 (ko) * 2018-10-23 2023-06-2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재사용을 위한 부스터 키트
CN109510270A (zh) * 2018-12-03 2019-03-2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储能系统
DE102018221018A1 (de) * 2018-12-05 2020-06-10 Continental Automotive Gmbh Batterievorrichtung und Bordnetz für ein Hybridelektro-/Elektrofahrzeug
US11594892B2 (en) 2020-06-02 2023-02-28 Inventus Power, Inc. Battery pack with series or parallel identification signal
US11588334B2 (en) 2020-06-02 2023-02-21 Inventus Power, Inc. Broadcast of discharge current based on state-of-health imbalance between battery packs
US11552479B2 (en) 2020-06-02 2023-01-10 Inventus Power, Inc. Battery charge balancing circuit for series connections
US11489343B2 (en) 2020-06-02 2022-11-01 Inventus Power, Inc. Hardware short circuit protection in a large battery pack
US11509144B2 (en) 2020-06-02 2022-11-22 Inventus Power, Inc. Large-format battery management system with in-rush current protection for master-slave battery packs
WO2021243550A1 (en) 2020-06-02 2021-12-09 Inventus Power, Inc. Large-format battery management system
US11245268B1 (en) 2020-07-24 2022-02-08 Inventus Power, Inc. Mode-based disabling of communiction bus of a battery management system
CN113707953A (zh) * 2021-08-27 2021-11-26 杭州科工电子科技有限公司 电池能量管理卡及电池能量管理方法
EP4173886A1 (en) * 2021-11-02 2023-05-03 Vitesco Technologies GmbH Battery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battery system
US11777334B2 (en) * 2021-11-11 2023-10-03 Beta Air, Llc System for charging multiple power sources and monitoring diode currents for faults
DE102021214617B4 (de) 2021-12-17 2023-09-07 Vitesco Technologies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treiben einer Batterieeinheit eines Elektrofahrzeugs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55112A (en) * 1977-06-06 1979-05-15 Motorola, Inc. Power supply circuitry
US4375912A (en) * 1978-01-25 1983-03-08 Ricoh Company, Ltd. Electric circuits for use in camera
EP0609101B1 (en) * 1993-01-29 2002-06-26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ic power accumulating apparatus and electric power system
JP3331529B2 (ja) * 1993-01-29 2002-10-07 キヤノン株式会社 蓄電装置及び電力システム
KR0135929B1 (ko) * 1993-12-30 1998-06-15 김광호 비상시 작업환경 백업용 보조 전원장치
US5990577A (en) * 1996-11-01 1999-11-23 Allied Telesis K. K. Hub for local area network with backup power supply system
US5864221A (en) * 1997-07-29 1999-01-26 Trw Inc. Dedicated avionics standby power supply
JPH11113185A (ja) * 1997-09-30 1999-04-23 Tadashi Kaneko 商用回生共用充電装置
US6069804A (en) * 1998-07-28 2000-05-30 Condor D.C. Power Supplies, Inc. Bi-directional dc-to-dc power converter
JP2001136735A (ja) * 1999-11-02 2001-05-18 Toyota Autom Loom Works Ltd 電力変換供給方法及び電力変換供給装置並びに車両
US6166527A (en) * 2000-03-27 2000-12-26 Linear Technology Corporation Control circuit and method for maintaining high efficiency in a buck-boost switching regulator
US6737762B2 (en) * 2001-10-26 2004-05-18 Onan Corporation Generator with DC boost for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or for enhanced load pickup
KR20020025151A (ko) * 2002-03-08 2002-04-03 이세선 태양전지를 이용한 핸즈프리킷
US6873134B2 (en) * 2003-07-21 2005-03-29 The Boeing Company Autonomous battery cell balancing system with integrated voltage monitoring
US7282814B2 (en) * 2004-03-08 2007-10-16 Electrovaya Inc. Battery controll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battery
DE102004031216A1 (de) * 2004-06-28 2006-01-19 Siemens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Ladungsausgleich in Reihe geschalteter Energiespeicher
DE102004060359A1 (de) * 2004-12-15 2006-07-06 Austriamicrosystems Ag Laderegleranordnung und Verfahren zum Aufladen einer Batterie
SE0500797L (sv) * 2005-04-08 2006-09-26 Creator Teknisk Utveckling Ab Batteriladdningsanordning
CN1885672A (zh) 2005-06-22 2006-12-27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直流电源与铅酸蓄电池并联供电方法及其装置
JP4866133B2 (ja) * 2006-04-10 2012-02-01 東芝三菱電機産業システム株式会社 電力変換装置
US8058844B2 (en) 2006-05-31 2011-11-15 Aeroflex Plainview, Inc. Low-power battery system
FR2915031B1 (fr) * 2007-04-16 2009-05-22 Renault Sas Systeme d'echange d'energie electrique, en particulier pour un vehicule hybride.
WO2009128080A1 (en) * 2008-04-17 2009-10-22 Eran Ofek Method and apparatus for rapidly charging a battery
DE102009000323A1 (de) * 2009-01-20 2010-07-22 Robert Bosch Gmbh Serienschaltung von Schaltreglern zur Energieübertragung in Batteriesystemen
DE102009027833A1 (de) * 2009-07-20 2011-01-27 SB LiMotive Company Ltd., Suwon Serienschaltung von Schaltreglern zur Energieübertragung in Batteriesystemen
DE102009046501A1 (de) * 2009-11-06 2011-05-12 SB LiMotive Company Ltd., Suwon Batteriesystem mit DC/DC-Umsetzer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58858B2 (en) 2016-10-05 2020-05-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with battery charging control
KR20180063583A (ko) * 2016-12-02 2018-06-12 주식회사 네오텍 소형풍력발전기 다중입력 제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474111B (zh) 2014-11-26
CN102474111A (zh) 2012-05-23
EP2457300A1 (de) 2012-05-30
IN2012DN00788A (ko) 2015-06-26
JP5302462B2 (ja) 2013-10-02
DE102009027835A1 (de) 2011-01-27
WO2011009690A1 (de) 2011-01-27
KR101250822B1 (ko) 2013-04-05
EP2457300B1 (de) 2013-10-23
JP2012533979A (ja) 2012-12-27
US9048513B2 (en) 2015-06-02
US20120181873A1 (en) 2012-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0822B1 (ko) 하이브리드 배터리 시스템
KR101641626B1 (ko) 배터리 시스템의 에너지 전달을 위한 스위칭 레귤레이터의 직렬 회로
KR101703521B1 (ko) 배터리 시스템 내에서 에너지 트랜스미션을 위한 온-오프 조절기의 직렬 접속
US9160181B2 (en) Energy storage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US8471529B2 (en) Battery fault tolerant architecture for cell failure modes parallel bypass circuit
US11104232B2 (en) Safe energy supply device for a vehicle
US20120091964A1 (en) Battery fault tolerant architecture for cell failure modes series bypass circuit
JP6178328B2 (ja) 電気化学セルを含むdc電圧源
US7732939B2 (en) Multi-functional LRM performing SSPC and ELCU functions
CN107963040B (zh) 电池组装置、用于电池组装置的运行方法以及车辆
US20060127710A1 (en) System and method for bypassing failed stacks in a multiple stack fuel cell
KR101698401B1 (ko) 냉각 부재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 및 에너지 저장 셀의 냉각 방법
CN111052527B (zh) 包括多个连接成支路的使用单元的供能设备及其运行方法
CN107612054B (zh) 用于给电网供应电能的电池组系统
CN111989814A (zh) 电池系统和用于运行电池系统的方法
US20160233758A1 (en) Multilevel Converter
JP2016506710A (ja) バッテリをインバータに組み込むための安全概念
CN110999008B (zh) 具有汇流排矩阵的电气供能设备及其运行方法
US10232728B2 (en) Electrochemical composite storage system
CN113346148A (zh) 电池系统、具有这种电池系统的车辆和用于运行电池系统的方法
US20240055978A1 (en) Method and system for emergency operation for a modular multilevel converter
CN117879080A (zh) 用于车辆的高压电网的电路
CN117879082A (zh) 用于车辆的高压电网的电路
CN115360691A (zh) 用于冗余地为至少两个电路供电的电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