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2445A -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충전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충전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2445A
KR20120042445A KR1020100104140A KR20100104140A KR20120042445A KR 20120042445 A KR20120042445 A KR 20120042445A KR 1020100104140 A KR1020100104140 A KR 1020100104140A KR 20100104140 A KR20100104140 A KR 20100104140A KR 20120042445 A KR20120042445 A KR 201200424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attery
charging
tta
usb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4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6145B1 (ko
Inventor
염길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리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리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리버
Priority to KR1020100104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6145B1/ko
Publication of KR20120042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24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6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6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provisions for charging different types of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10/4257Smart batteries, e.g. electronic circuits inside the housing of the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02J7/0049Detection of fully charged condi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30Charge provided using DC bus or data bus of a compu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충전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110)에 USB 커넥터 단자(110)를 형성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10)의 내부에는 상기 USB 커넥터 단자(110)의 ID핀을 통해 출력되는 검출 신호에 따라 상기 USB 커넥터 단자(110)에 연결된 커넥터 케이블의 종류를 판단하도록 판단부(112)와, 상기 검출 신호에 따라 배터리(116)를 충전하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 경로를 서로 상이하게 제공하도록 스위칭 동작하는 스위칭부(114)와, 상기 판단부(112)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스위칭부(114)를 스위칭 제어하는 제어부(118)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를 USB 및 TTA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충전할 수 있으며, 또한 충전 방식이 다양해지더라도 휴대 단말기는 5핀 커넥터 단자만을 형성하기 때문에, 휴대 단말기의 전체 크기를 소형으로 제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충전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HARGING FOR BATTERY OF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내장된 배터리 충전에 관한 것으로, 특히 USB 커넥터 케이블 또는 TTA 커넥터 케이블 중 어느 하나의 커넥터 케이블이 연결되면 그 연결된 커넥터 케이블의 감지 및 서로 다른 충전 경로를 통해 공급되는 충전 전원을 이용하여 휴대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한 배터리 충전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단말기는 휴대가 용이하며 음성 및 영상통화, 데이터 입출력 및 저장과 같은 기능을 적어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기기이다. 이러한 휴대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 촬영, 음악 및 동영상 재생, 게임, 방송 수신 등의 멀티미디어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휴대단말기의 동작 전원은 충전과 방전을 반복하여 재사용이 가능한 충방전 배터리를 사용한다. 상기 충방전 배터리의 충전은 일반 상용전원 또는 PC의 USB 단자를 이용한 충전방법이 있다. 일반 상용전원을 이용할 경우는 충전기를 이용하며, USB 단자를 이용할 경우는 PC의 USB 단자에 연결할 케이블 커넥터를 이용한다. 따라서 상기 휴대단말기 본체의 소정 위치에는 PC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USB 단자 또는 TTA 충전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TTA 단자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휴대단말기에 USB 단자 또는 TTA 단자가 각각 구성된 경우에 대해 장단점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휴대단말기에 USB 단자가 구성된 경우이다.
이 경우는 PC의 USB단자를 이용하여 충전을 할 수 있어 손쉬운 충전이 가능하다. 아울러 USB OTG(On-The-Go) 기능 지원이 가능하다. 또한 USB 단자의 핀수가 24핀(또는 20핀)으로 이루어진 상기 TTA 단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휴대단말기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반면, PC 전원을 사용하기 때문에 급속 충전이 어려워 충전 시간을 짧게 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다음, 휴대단말기에 TTA 단자가 구성된 경우이다.
이 경우는 상술한 USB 단자를 통한 충전시간보다 전용 충전기를 사용할 수 있어 급속 충전이 가능하여 충전시간을 매우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국내에 보급된 충전기 및 데이터 케이블을 쉽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충전을 위해서는 사용자는 전용 충전기를 휴대하여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다. 또 USB 단자보다 핀 수가 많아 휴대단말기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소형화할 수 없고, USB OTG 기능을 이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처럼 상기 휴대단말기에는 충전을 위한 단자가 USB 또는 TTA 중 어느 하나가 구성되고 있기 때문에, USB 단자가 구성된 휴대단말기는 TTA 커넥터 케이블을 이용한 충전이 불가능하였고, 마찬가지로 TTA 단자가 구성된 휴대단말기는 USB 커넥터 케이블을 이용한 충전이 불가능하였다.
이로 인하여 휴대단말기 사용자는 충전을 제때 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예를 들어, 대부분의 사무실이나 가정에는 PC가 설치되어 있다. 하지만 만약 사용자가 TTA 단자가 구성된 휴대단말기를 가진 경우이고 TTA 전용 충전기를 휴대하지 못한 경우에는, 배터리 충전을 사실상 하지 못하였다.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그와 같이, 휴대단말기는 제조업체, 단말기 설계 및 사양 등에 따라 상기한 USB 단자나 TTA 단자를 독립적으로 구성하고 있고, 이는 휴대단말기에서 USB 커넥터 케이블과 TTA 커넥터 케이블을 모두 지원할 수 없는 문제를 제공하고 있어, 휴대단말기 사용자는 충전에 따른 불편한 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크기를 소형화하기 위해 USB 단자를 채용하면서도 TTA 커넥터 케이블을 이용하여 휴대단말기에 내장된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 단말기에 플러그-인(Plug - In) 되는 커넥터 케이블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충전 전원의 공급 경로를 제공하여 적정한 충전 전원이 공급되게 함으로써, 휴대 단말기에 내장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USB 커넥터 단자; 상기 USB 커넥터 단자의 ID핀을 통해 출력되는 검출 신호에 따라 상기 USB 커넥터 단자에 연결된 커넥터 케이블의 종류를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검출신호에 의해 판단된 커넥터 케이블의 종류에 따라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 경로를 서로 상이하게 제공하도록 스위칭 동작하는 스위칭부; 그리고 상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스위칭부를 스위칭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검출신호는 하이레벨 상태 및 로우레벨 상태로 출력되는 TTA 검출신호이고, 상기 커넥터 단자에 TTA 커넥터 케이블이 결합하면 상기 TTA 검출신호는 하이레벨 상태로 출력되고, 상기 커넥터 단자에 USB 커넥터 케이블이 결합하면 상기 TTA 검출신호는 로우레벨 상태로 출력된다.
상기 배터리의 충전레벨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의 감지결과 상기 배터리가 만충전 상태이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스위칭부를 오프시켜 충전경로를 차단한다.
상기 USB 커넥터 단자에 결합한 커넥터 케이블이 USB 커넥터 케이블인 경우, 상기 커넥터 단자와 배터리 사이의 충전 경로에는 충전 IC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에 구성된 USB 커넥터 단자에 USB 커넥터 케이블 또는 TTA 커넥터 케이블이 결합하는 단계; 상기 USB 커넥터 단자에서 출력되는 검출신호에 따라 상기 커넥터 단자에 결합한 커넥터 케이블의 종류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커넥터 케이블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충전 경로를 각각 형성하고, 형성된 충전경로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전원 공급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기에 내장된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한다.
상기 검출신호는 상기 USB 커넥터 단자에 USB 커넥터 케이블이 결합하면 로우레벨 상태의 TTA 신호가 출력되고, 상기 USB 커넥터 단자에 TTA 커넥터 케이블이 결합하면 하이레벨 상태의 TTA 신호가 출력된다.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고, 상기 배터리가 만충전상태이면 상기 충전경로는 모두 차단된다.
상기 휴대 단말기가 OTG 모드로 동작하고 호스트(HOST)로 동작할 경우, 상기 USB 커넥터 단자와 배터리 사이에 형성된 충전경로는 모두 차단된다.
본 발명에서는 휴대 단말기에 5핀 USB 커넥터 케이블이 연결되는 USB 커넥터 단자를 형성하고, 그 USB 커넥터 단자에 USB 커넥터 케이블 또는 젠더가 연결된 TTA 커넥터 케이블이 결합하되, 그 결합하는 커넥터 케이블의 종류를 USB 커넥터 단자의 ID핀에서 출력하는 TTA 검출신호를 통해 판단하고 있다. 그리고 판단 결과에 따라 휴대 단말기는 서로 다른 충전 경로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여 배터리를 충전하고 있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는 USB 커넥터 케이블 또는 TTA 커넥터 케이블을 통해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고, 또한 배터리 충전에 TTA 커넥터 케이블을 이용하면서도 TTA 핀 수보다 적은 USB 커넥터 단자를 형성하고 있어 휴대 단말기의 크기를 작게 제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배터리 충전장치가 구성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배터리 충전 방법을 단계별로 보인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배터리 충전방법 및 그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배터리 충전장치가 구성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보면, 휴대단말기(100)에는 5핀 USB I/O 커넥터(이하, '커넥터 단자'라고 칭하기로 함)(110)가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 단자(110)에는 USB 커넥터 케이블(A)이 연결되거나 또는 커넥터 변환 부품이 젠더(gender changer)(미도시)가 연결된다. 상기 젠더는 상기 휴대단말기(100)의 배터리를 TTA 커넥터 케이블(B)을 이용하여 충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고, 따라서 상기 젠더의 일측은 상기 커넥터 단자(110)에 연결되고 타측은 TTA 커넥터 케이블(B)이 연결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커넥터 단자(110)에 상기 TTA 커넥터 케이블(B)이 연결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상기 젠더는 휴대 단말기(100)의 기종에 따라 커넥터 핀수를 정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실시 예에서는 24핀(20핀) TTA 커넥터가 5핀 USB 커넥터와 정합되게 변환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커넥터 단자(110)에 USB 커넥터 케이블(A)이 연결될 경우, 상기 커넥터 단자(110)는 상기 USB 커넥터 케이블(A)을 통해 외부의 다른 휴대 단말기와 연결되어 동작 모드에 따라 외부의 휴대 단말기로 전원을 공급하거나 공급받고 데이터를 상호 교환한다. 통상 USB OTG 프로토콜이 적용되는 USB잭은 5개의 핀(VBUS, D+, D-, ID, GND)로 구성된다.
상기 커넥터 단자(110)에 결합하는 커넥터 케이블의 종류를 판단하는 판단부(112)가 구비된다. 상기 판단부(112)는 상기 커넥터 단자(110)의 ID 핀에서 발생하는 TTA 검출신호를 이용한다. 즉 TTA 검출신호의 하이레벨 상태 또는 로우레벨 상태로서 상기 커넥터 케이블의 종류를 판단하는데, 만약 상기 TTA 검출신호가 로우레벨 상태를 유지하면 상기 커넥터 단자(110)에는 USB 커넥터 케이블(A)이 결합한 것으로 판단하고, 반면 상기 TTA 검출신호가 하이레벨 상태를 유지하면 상기 커넥터 단자(110)에는 TTA 커넥터 케이블(B)이 결합한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판단부(11)의 판단 결과에 따라 후술하는 제어부(118)에 의해 충전 전원의 공급경로를 스위칭하는 스위칭부(114)가 구비된다. 상기 공급 경로는 상기 커넥터 단자(110)의 전원 출력핀(VBUS)과 배터리(116) 사이를 연결하며, 커넥터 케이블의 종류에 따라 서로 상이한 공급경로로서 제 1 경로 및 제 2 경로를 형성한다. 실시 예에서 상기 제 1 경로는 USB 커넥터 케이블(A)이 결합한 경우 충전 전원을 공급하는 경로로 설명한다. 이때 상기 제 1 경로에는 충전 IC(114)가 제공된다. 상기 제 2 경로는 TTA 커넥터 케이블(B)이 결합한 경우 충전 전원을 공급하는 경로로 설명한다. 아울러, 상기 스위칭부(114)에는 오프(off) 단자가 형성된다. 상기 오프 단자에 스위칭 소자가 연결되면, 제 1 경로와 제 2 경로 중 어느 경로도 연결되지 않은 상태가 된다.
상기 스위칭부(114)의 후단에는 상기 제 1 경로 또는 제 2 경로를 통해 인가되는 충전전원을 선택적으로 인가받아 충전되는 배터리(116)가 구비된다. 상기 배터리(116)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 내장된 것으로,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판단부(112)의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스위칭부(114)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18)가 구비된다. 즉 상기 제어부(118)는 스위칭 동작에 따라 제 1 경로, 제 2 경로를 각각 설정하는 한편, 상기 배터리(116)가 만충전 상태일 경우는 오프 단자로 연결하여 충전동작을 중지하도록 제어한다. 이는 상기 배터리(116)가 과충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상기 제어부(118)는 상기 휴대 단말기(110)의 동작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상기 배터리(116)의 충전레벨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120)가 구비된다.
상기 감지부(120)의 감지 결과에 따라 배터리(116)의 충전상태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122)가 구비된다. 상기 충전레벨 상태는 만충전 상태를 100%로 가정했을 때, 만충전 상태대비 현재 어느 정도의 충전이 수행되었는지를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정보 제공부(120)는 상기 휴대단말기(100)의 표시부(124) 또는 스피커(126)가 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24)는 일반적으로 표시하는 배터리 충전표시를 이용하고, 상기 스피커(126)는 상기 배터리(116)의 현재까지의 충전 상태를 음원 정보로 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충전장치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에 내장된 배터리를 충전하는 방법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배터리 충전 방법을 단계별로 보인 흐름도이다.
휴대단말기(10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5핀 USB I/O 커넥터인 커넥터 단자(11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116)에 일정 전원이 충전된 상태인 경우 사용자는 휴대단말기(100)를 휴대하면서 사용할 수 있다(s100).
이후, 제 102 단계에서 배터리(116) 충전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는 휴대단말기(100)의 동작을 중지시키고 필요에 따라 상기 커넥터 단자(110)에 USB 커넥터 케이블(A) 또는 TTA 커넥터 케이블(B)을 결합하여 충전을 하게 된다. 즉, 휴대 단말기(100)에 5핀 커넥터 단자만 형성되어 있지만, 상기 2가지 커넥터 케이블 중 어느 것이라도 상기 커넥터 단자(110)에 연결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것이다.
먼저, USB 커넥터 케이블(A)을 커넥터 단자(110)에 연결한 경우이다(s104). 상기 커넥터 단자(110)에 상기 USB 커넥터 케이블(A)이 연결되면, 상기 커넥터 단자(110)에서는 TTA 검출신호가 로우레벨 형태로 출력된다(s106).
이러한 로우레벨 형태의 TTA 검출신호는 판단부(112)로 전달된다. 상기 판단부(112)는 상기 TTA 검출신호의 레벨에 따라 상기 커넥터 단자(110)와 연결된 커넥터 케이블의 종류를 판단한다. 즉, 상기 커넥터 단자(110)로부터 TTA 검출신호가 로우레벨 형태로 출력되고 있기 때문에, 상기 판단부(112)는 상기 커넥터 단자(110)에 USB 커넥터 케이블(A)이 연결되었음을 판단한다(s108).
상기 판단부(112)의 판단 결과는 상기 제어부(118)로 전달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18)는 상기 스위칭부(114)를 스위칭 동작시켜 전원의 공급 경로로서 제 1 경로가 형성되게 한다(s110). 이와 같이 제 1 경로가 형성되면, PC로부터 공급 전원이 충전 IC(114)를 통해 배터리(116)로 제공되고, 배터리(116)가 충전되기 시작한다(s118).
반면, 상기 제 104 단계에서 커넥터 단자(110)에 TTA 커넥터 케이블(B)을 연결한 경우이다. 이 경우에는 상기 TTA 커넥터 케이블(B)에 전단에 젠더가 연결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상기 TTA 커넥터 케이블(B)의 전단에 젠더가 연결되고, 그 젠더가 상기 커넥터 단자(110)에 연결된다. 그러면 상기 커넥터 단자(110)에는 TTA 검출신호가 하이레벨 형태로 출력된다(s112).
이러한 하이레벨 형태의 TTA 검출신호는 판단부(112)로 전달된다. 상기 판단부(112)는 상기 TTA 검출신호의 레벨에 따라 상기 커넥터 단자(110)와 연결된 커넥터 케이블의 종류를 판단한다. 즉, 상기 커넥터 단자(110)로부터 TTA 검출신호가 하이레벨 형태로 출력되고 있기 때문에, 상기 판단부(112)는 상기 커넥터 단자(110)에 TTA 커넥터 케이블(B)이 연결되었음을 판단한다(s114).
상기 판단부(112)의 판단 결과는 상기 제어부(118)로 전달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18)는 상기 스위칭부(114)를 스위칭 동작시켜 전원의 공급 경로로서 제 2 경로가 형성되게 한다(s116). 이와 같이 제 2 경로가 형성되면, TTA 전용 충전기로부터 공급 전원이 배터리(116)로 제공되고, 배터리(116)가 충전되기 시작한다(s118).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 단자(100)에 USB 커넥터 케이블(A) 또는 TTA 커넥터 케이블(B)이 연결되고 전원 공급에 따라 배터리(116)가 충전되면, 상기 감지부(120)는 배터리(116)의 충전 상태를 감지한다(s120).
상기 배터리(116)의 충전은 상기 제 1 경로 또는 제 2 경로가 스위칭 연결된 상태에서는 계속 수행된다. 즉 배터리(116) 충전은 휴대 단말기(100)의 커넥터 단자(110)에서 커넥터 케이블이 제거될 때까지 지속하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 배터리(116)가 만충전 상태에서 계속 충전이 수행되면, 과충전으로 인하여 배터리(116)의 수명이 짧아지는 것과 같이 성능 저하의 요인이 된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116)가 만충전일 경우에는 배터리(116)의 충전 동작을 중지시켜야 한다. 상기 배터리(116)의 만충전 상태는 상술한 상기 감지부(120)에 의해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감지부(120)가 감지한 결과가 배터리 만충전 상태일 경우(s122), 만충전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제어부(118)로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18)는 상기 스위칭부(114)를 스위칭 동작시켜 오프 단자로 절환시킨다(s124). 따라서 상기 배터리(116)를 충전시키기 위해 전원을 공급하도록 형성된 제 1 경로 또는 제 2 경로가 연결 차단되고 배터리(116)의 충전동작이 중지된다(s126).
즉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커넥터 단자(110)에 커넥터 케이블이 연결되었지만,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에 형성된 전원 공급 경로를 차단하여 배터리(116)의 충전동작이 중지되게 하는 것이다. 이로써 상기 휴대 단말기(110)의 배터리(116)가 과충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도면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상기 감지부(120)의 감기 결과에 따른 정보는 정보 제공부(122)로도 제공된다. 그러면 상기 정보 제공부(122)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배터리 충전상태를 표시부(124) 또는 스피커(126)를 통해 출력되게 된다. 이로써 사용자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 장착된 배터리(116)의 충전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OTG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USB 커넥터 케이블(A)을 통해 슬레이브(slave)로 동작하는 다른 휴대 단말기로 전원을 공급해주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제어부(118)는 상기 스위칭부(114)를 오프시켜서 상기 충전 IC(114)로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 경로를 차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USB 커넥터 단자를 형성하더라도 USB 커넥터 케이블 또는 TTA 커넥터 케이블을 통해 쉽게 휴대 단말기에 내장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더욱이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사용자가 인지하도록 하며, 배터리가 만충전 상태가 되면 전원 경로를 자동으로 차단시켜 배터리가 과충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들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 및 범위에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변형, 변경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인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 커넥터 단자 112 : 판단부
114 : 스위칭부 115 : 충전 IC
116 : 배터리 118 : 제어부
120 : 감지부 122 : 정보 제공부
124 : 표시부 126 : 스피커

Claims (8)

  1. USB 커넥터 단자;
    상기 USB 커넥터 단자의 ID핀을 통해 출력되는 검출 신호에 따라 상기 USB 커넥터 단자에 연결된 커넥터 케이블의 종류를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검출신호에 의해 판단된 커넥터 케이블의 종류에 따라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 경로를 서로 상이하게 제공하도록 스위칭 동작하는 스위칭부; 그리고
    상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스위칭부를 스위칭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충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충전레벨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의 감지결과 상기 배터리가 만충전 상태이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스위칭부를 오프시켜 충전경로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충전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신호는 하이레벨 상태 및 로우레벨 상태로 출력되는 TTA 검출신호이고, 상기 커넥터 단자에 TTA 커넥터 케이블이 결합하면 상기 TTA 검출신호는 하이레벨 상태로 출력되고, 상기 커넥터 단자에 USB 커넥터 케이블이 결합하면 상기 TTA 검출신호는 로우레벨 상태로 출력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충전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USB 커넥터 단자에 결합한 커넥터 케이블이 USB 커넥터 케이블인 경우, 상기 커넥터 단자와 배터리 사이의 충전 경로에는 충전 IC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충전장치.
  5. 휴대 단말기에 구성된 USB 커넥터 단자에 USB 커넥터 케이블 또는 TTA 커넥터 케이블이 결합하는 단계;
    상기 USB 커넥터 단자에서 출력되는 검출신호에 따라 상기 커넥터 단자에 결합한 커넥터 케이블의 종류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커넥터 케이블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충전 경로를 각각 형성하고, 형성된 충전경로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전원 공급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기에 내장된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충전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신호는,
    상기 USB 커넥터 단자에 USB 커넥터 케이블이 결합하면 로우레벨 상태의 TTA 신호가 출력되고, 상기 USB 커넥터 단자에 TTA 커넥터 케이블이 결합하면 하이레벨 상태의 TTA 신호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충전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고,
    상기 배터리가 만충전상태이면 상기 충전경로는 모두 차단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충전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가 OTG 모드로 동작하고 호스트(HOST)로 동작할 경우, 상기 USB 커넥터 단자와 배터리 사이에 형성된 충전경로는 모두 차단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충전방법.
KR1020100104140A 2010-10-25 2010-10-25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충전방법 및 그 장치 KR101216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4140A KR101216145B1 (ko) 2010-10-25 2010-10-25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충전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4140A KR101216145B1 (ko) 2010-10-25 2010-10-25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충전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2445A true KR20120042445A (ko) 2012-05-03
KR101216145B1 KR101216145B1 (ko) 2012-12-27

Family

ID=46263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4140A KR101216145B1 (ko) 2010-10-25 2010-10-25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충전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6145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3973A (ko) * 2012-07-02 2014-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 충전을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03954861A (zh) * 2014-04-23 2014-07-30 四川虹微技术有限公司 一种双路usb负载插入检测装置
KR20160047170A (ko) * 2014-10-22 2016-05-02 주식회사 엘지화학 복합 ic를 포함하는 휴대용 보조 배터리용 회로 및 그것을 포함하는 휴대용 보조 배터리
KR20160047782A (ko) * 2014-10-23 2016-05-03 주식회사 엘지화학 복합 ic를 포함하는 휴대용 보조 배터리용 회로 및 그것을 포함하는 휴대용 보조 배터리
KR20160120105A (ko) * 2015-04-07 2016-10-1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동작 방법
US9614381B2 (en) 2013-02-13 2017-04-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for performing recharging and data communication
CN106797131A (zh) * 2014-10-06 2017-05-31 三星电子株式会社 电子设备以及用于在电子设备中充电和放电的方法
KR20170098461A (ko) * 2016-02-22 2017-08-3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휴대 단말을 이용한 외부 기기의 전원 공급 장치
CN110797950A (zh) * 2020-01-06 2020-02-14 深圳微步信息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Type-C和AC充电的自动切换方法及其移动终端
CN111711437A (zh) * 2020-06-24 2020-09-25 深圳市科特精密五金塑胶有限公司 一种可控连接器及其处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48239B2 (ja) 2002-11-08 2006-11-22 ローム株式会社 電池充電方法、電池充電回路、及び電池を有する携帯電子機器
KR100643750B1 (ko) 2004-07-28 2006-11-10 주식회사 레인콤 유에스비를 이용한 배터리 충전 장치 및 그 충전 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3973A (ko) * 2012-07-02 2014-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 충전을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9614381B2 (en) 2013-02-13 2017-04-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for performing recharging and data communication
CN103954861A (zh) * 2014-04-23 2014-07-30 四川虹微技术有限公司 一种双路usb负载插入检测装置
CN103954861B (zh) * 2014-04-23 2016-04-20 四川虹微技术有限公司 一种双路usb负载插入检测装置
CN106797131A (zh) * 2014-10-06 2017-05-31 三星电子株式会社 电子设备以及用于在电子设备中充电和放电的方法
KR20160047170A (ko) * 2014-10-22 2016-05-02 주식회사 엘지화학 복합 ic를 포함하는 휴대용 보조 배터리용 회로 및 그것을 포함하는 휴대용 보조 배터리
KR20160047782A (ko) * 2014-10-23 2016-05-03 주식회사 엘지화학 복합 ic를 포함하는 휴대용 보조 배터리용 회로 및 그것을 포함하는 휴대용 보조 배터리
KR20160120105A (ko) * 2015-04-07 2016-10-1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동작 방법
KR20170098461A (ko) * 2016-02-22 2017-08-3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휴대 단말을 이용한 외부 기기의 전원 공급 장치
CN110797950A (zh) * 2020-01-06 2020-02-14 深圳微步信息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Type-C和AC充电的自动切换方法及其移动终端
CN111711437A (zh) * 2020-06-24 2020-09-25 深圳市科特精密五金塑胶有限公司 一种可控连接器及其处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6145B1 (ko) 2012-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6145B1 (ko)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충전방법 및 그 장치
KR102609837B1 (ko) 전원 라인을 통해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11288407B2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voltage output to external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size of voltage detected at signal terminal connected to external electronic device
RU2587159C2 (ru) Мобильный терминал и способ интерфейсного подключения для него
US11258280B2 (en) Mobile terminal, peripheral device, and charging method thereof
US9772653B2 (en) Mechanism for charging portable device with USB dock
TWI451703B (zh) 察覺外部裝置的行動終端以及其控制方法
US20100060233A1 (en) Charger with USB detection
JP7016881B2 (ja) 逆方向充電装置、逆方向充電電流調整方法及び装置
US11362531B2 (en) Audio adjustment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GB2395820A (en) Communication hub for bus powered devices with a rechargeable power source for providing power to high power devices
US11176078B2 (en) Communication method using input/output interface, and apparatus therefor
KR20190136690A (ko) 충전 회로와 연결된 스위치들을 제어하는 복수의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090084488A (ko) 휴대 단말기에 접속되는 외부 장치 판별 방법 및 장치
CN111464673B (zh) 一种电子设备及其充电方法
US11462930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charging on basis of state of battery
TW201710831A (zh) 行動電源裝置及其電源控制方法
US1139422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impedance of terminal included in connector
KR20210033758A (ko) 전력 공급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200050260A (ko)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627633B1 (ko) 커넥터의 연결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로직 회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0406308Y1 (ko) 두 개의 충전포트를 갖는 헤드셋 충전장치
CN114503390A (zh) 用于控制对电子装置的电池的充电的方法及其电子装置
CN110784000A (zh) 充电盒
US11881736B2 (en) Powe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