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2193A - 구강내 장착물 제작, 가공을 위한 좌표동기화용 인상모델 및 이를 이용한 구강내 장착물 제작가공방법 - Google Patents

구강내 장착물 제작, 가공을 위한 좌표동기화용 인상모델 및 이를 이용한 구강내 장착물 제작가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2193A
KR20120042193A KR1020100103745A KR20100103745A KR20120042193A KR 20120042193 A KR20120042193 A KR 20120042193A KR 1020100103745 A KR1020100103745 A KR 1020100103745A KR 20100103745 A KR20100103745 A KR 20100103745A KR 20120042193 A KR20120042193 A KR 201200421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ing
intraoral
model
coupling
attach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3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6162B1 (ko
Inventor
정제교
이태경
Original Assignee
정제교
이태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제교, 이태경 filed Critical 정제교
Priority to KR1020100103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6162B1/ko
Publication of KR20120042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21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6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6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4Computer-assisted sizing or machining of dental 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6Production methods
    • A61C13/0009Production methods using a copying mach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34Making or working of models, e.g. preliminary castings, trial dentures; Dowel pins [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 A61C9/0053Optical means or methods, e.g. scanning the teeth by a laser or light be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93Workpiece sup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5/00Control systems or devices for copying directly from a pattern or a master model; Devices for use in copying manually
    • B23Q35/04Control systems or devices for copying directly from a pattern or a master model; Devices for use in copying manually using a feeler or the like travelling along the outline of the pattern, model or drawing; Feelers, patterns, or model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1Computer-aided simulation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5Modelling of the patient, e.g. for ligaments or b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Surger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obo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강내 장착물 제작 및 가공용 인상모델과 이를 이용한 구강내 장착물 제작가공방법에 대한 것으로, 외과시술 또는 보철술식 또는 교정시술을 포함하는 구강내 시술에 사용되는 구강내 장착물의 제작 가공에서 영상 등을 활용한 시술계획에 따른 가공정보를 인상모델을 이용하여 가공장치에 손쉽고 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한 인상모델과 이를 이용한 제작가공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강내 장착물 가공용 인상모델은 외과시술 또는 보철술식 또는 교정시술을 포함하는 구강내 시술에 사용되는 구강내 장착물의 제작 또는 가공에 있어서, 상기 구강내 시술의 대상인 피시술자의 구강내 인상정보가 포함된 모델부와, 상기 모델부에는 상기 구강내 장착물의 제작 또는 가공을 위한 상대적 위치이송 또는 상기 구강내 장착물의 제작 또는 가공을 수행하는 가공장치에 마련된 고정부와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부와 고정부의 형상은 서로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며 상기 가공장치의 기준점과 소정의 위치관계를 갖도록 결합되어 상기 구강내 장착물의 제작 또는 가공을 위한 상대적 위치이송 또는 구강내 장착물의 제작 또는 가공에 대한 수치정보를 상기 가공장치의 좌표계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별다른 가공정보의 변환과정 없이 구강내 장착물을 포함하는 가공대상물에 대한 가공정보를 가공장치에 전송할 수 있고, 가공대상물의 가공과 관련된 인상모델을 가공장치에 위치시키는 과정만으로도 높은 정밀도로 가공정보를 가공장치에 이식할 수 있으며, 기기간 좌표동기화기법, 역설계공학, 접촉식 좌표동기화법 등 다양한 가공정보의 처리방법에 모두 적용될 수 있어 범용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구강내 장착물 제작, 가공을 위한 좌표동기화용 인상모델 및 이를 이용한 구강내 장착물 제작가공방법{Intraoral Master Model with Base for Synchronization of Coordination and the Methodology for Fabrication of Intraoral Appliance}
본 발명은 구강내 장착물 제작 및 가공용 인상모델과 이를 이용한 구강내 장착물 제작가공방법에 대한 것으로, 외과시술 또는 보철술식 또는 교정시술을 포함하는 구강내 시술에 사용되는 구강내 장착물의 제작 가공에서 영상 등을 활용한 시술계획에 따른 가공정보를 인상모델에 의한 좌표동기화를 통해 가공장치에 손쉽고 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한 인상모델과 이를 이용한 제작가공방법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떤 가공물에 가공을 하는 경우에 시뮬레이션 없이 가공하는 경우에는 가공 위치나 형상이 잘못되면 다시 새로운 가공 대상물을 준비하여 가공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런 경우에 원하는 위치나 형상을 정확히 파악하기 힘들어 여러 번 실패하는 경우에는 재료비 및 시간적인 면에서 많은 낭비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미리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적절한 가공 위치나 가공 형태를 시험할 필요성이 있으며, 이를 위해 가공 대상물을 스캐닝하여, 스캐닝한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적절한 가공 위치 및 가공 형태를 시뮬레이트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결정된 가공 위치나 형상으로 가공 대상물을 가공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즉, 디지털 처리기술의 발달로 일정 물체의 영상을 실제와 거의 동일하게 추출하는 장비들이 개발되었고, 추출된 영상만으로도 실제와 동일한 조건으로 가공을 모의 실험할 수 있을 정도로 영상처리기술이 발전하였다.
종래에는 구강내 장착물의 제작을 위해 CAD/CAM을 이용하여 RP나 Pathway Milling을 이용하였으나, 이러한 방법은 전통적인 제작방법과 융합되기 어려웠다. 예를 들어, 치과기공소에서는 전문인력이 개입될 수 있는 작업이 있으며, 이는 때에 따라 CAM 보다 훨씬 간편하거나 접근이 용이하고 또 정밀한 경우가 많은데, 단순히 가공대상물이나 이와 결합가능한 구내장착물의 제작을 위해 영상만을 획득하여 설계변경을 하고 RP나 Pathway CAM을 이용하여 가공하게 되면 의존적인 가공법을 벗어날 수 없다.
따라서, 보다 간단하면서도 융합가능한 공정을 설계해야 하며, 이를 위해 가공대상물 혹은 이와 결합가능한 구내장착물의 제작을 기존재하는 가공대상물을 직접 가공장치 또는 제작장치에 고정하여 제작, 가공하는 방법이 고안되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가공 대상물의 추출된 영상에 기초하여 적절한 가공 위치나 가공 형태를 결정한 경우에 적절한 가공 위치나 형태의 기초가 되는 가공 대상물을 추출된 영상의 좌표계와 가공 장치에서 가공에 기초가 되는 좌표계는 서로 차이가 있기 때문에 별도의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이미지 데이터의 좌표를 변환해주는 과정을 필수적으로 필요로 한다.
특히, 임플란트와 같이 치아 구조물의 경우에는 보다 정밀하게 가공 위치를 파악해야 하기 때문에 이러한 좌표계 변환에 따른 작은 오차율도 발생해서는 안된다.
하지만, 종래에는 각 기기마다 각자의 좌표계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미지 데이터 스캐닝시 가공 구조물의 위치를 정확하게 특정 부위에 맞춰야 하거나, 가공 장치가 이미지 데이터 추출 장치에서의 가공 대상물과 좌표계와의 관계를 미리 알고 있어야 하는 등 가공시 사용되는 가공 좌표 또는 벡터를 생성하기 위해 번거롭고 복잡한 설정 과정을 미리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가공을 위한 좌표 등 가공정보가 담긴 이미지 자체를 이용하여 RP로 가공을 하는 등 가공 정밀도, 가공과정, 가공비용의 측면에서 많은 문제가 있었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부수적인 가공정보 변환과정이 필요 없고 가공장치에 가공과 관련된 구성을 위치시키는 과정만으로도 가공정보를 높은 정밀도로 전송할 수 있는 구강내 장착물 제작, 가공용 인상모델 및 이를 이용한 구강내 장착물 제작가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구강내 장착물 가공용 인상모델은 외과시술 또는 보철술식 또는 교정시술을 포함하는 구강내 시술에 사용되는 구강내 장착물의 제작 또는 가공에 있어서, 상기 구강내 시술의 대상인 피시술자의 구강내 인상정보가 포함된 모델부와, 상기 모델부에는 상기 구강내 장착물의 제작 또는 가공을 위한 상대적 위치이송 또는 상기 구강내 장착물의 제작 또는 가공을 수행하는 가공장치에 마련된 고정부와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부와 고정부의 형상은 서로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며 상기 가공장치의 기준점과 소정의 위치관계를 갖도록 결합되어 상기 구강내 장착물의 제작 또는 가공을 위한 상대적 위치이송 또는 구강내 장착물의 제작 또는 가공에 대한 수치정보를 상기 가공장치의 좌표계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돌출형 또는 함몰형으로 마련되되, 그 단면 형상이 현이 포함된 원 또는 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복수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3개로 마련되되, 삼각형의 형태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고정부와 결합시 상기 고정부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체결부를 수용하기 위한 체결수용부가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모델부의 하면에 돌출형 또는 함몰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가공장치의 고정부와 모델부 사이에 별도로 마련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그 외곽 형상으로부터 유일한 하나의 평면과 방향성을 결정할 수 있는 참조점들을 추출할 수 있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모델부와 결합하여 경화가능한 석고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구강내 장착물 가공용 인상모델을 이용한 구강내 장착물 제작가공방법은 구강내 장착물을 이용한 외과시술 또는 보철술식 또는 교정시술을 포함하는 구강내 시술에 있어서, 상기 구강내 시술이 이루어지는 피시술자의 구강내 인상정보가 포함된 모델을 결합부를 통해 가공장치의 고정부에 결합하는 단계; 상기 가공장치와 결합된 모델에 구강내 장착물을 설치 가공하거나 상기 모델을 이용하여 구강내 장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부는 상기 고정부와 서로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며 상기 가공장치의 기준점과 소정의 위치관계로 결합되어 상기 구강내 장착물의 제작 또는 가공에 대한 수치정보를 상기 가공장치의 좌표계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하는 단계에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모델과 별도로 마련되어 상기 모델과 상기 고정부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그 외곽 형상으로부터 유일한 하나의 평면을 결정할 수 있는 참조점들을 추출할 수 있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돌출형 또는 함몰형으로 마련되되, 그 단면 형상이 현이 포함된 원 또는 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하는 단계에서, 상기 고정부와 결합부는 상기 고정부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체결부를 통해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모델부와 결합하여 경화가능한 석고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별다른 가공정보의 변환과정 없이 구강내 장착물을 포함하는 가공대상물에 대한 가공정보를 가공장치에 전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공대상물의 가공과 관련된 인상모델을 가공장치에 위치시키는 과정만으로도 시뮬레이트 된 가공정보를 높은 정밀도로 가공장치에 이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마커와 결합부의 기설정관계에 의한 좌표동기화법, 역설계공학에 의한 동기화법, 접촉식 좌표동기화법 등 다양한 가공정보의 처리방법에 모두 적용될 수 있어 범용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상모델의 평면도 및 하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상모델, 구강내 장착물이 가공장치에 결합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에 관통삽입되는 체결부가 마련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장착물 가공용 인상모델을 이용한 구강내 장착물의 제작 가공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강내 장착물 가공용 인상모델 및 이를 이용한 구강내 장착물 제작가공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2는 본 발명의 구강내 장착물 가공용 인상모델 및 가공장치에 마련된 고정부(300)의 평면도 및 하면도이다. 본 발명의 구강내 장착물 가공용 인상모델은 외과시술 또는 보철술식 도는 교정시술 등 구강내 시술에 사용하는 구강내 장착물을 제작 가공하는데에 사용되며 구강내 시술이 수행될 피시술자의 구강내 인상정보를 담은 모델부(100)와 모델부(100)의 하부 또는 결합베이스(250)에 마련되어 구강내 장착물을 제작 가공하기 위한 상대적 위치이송 또는 구강내 장착물의 제작 가공을 수행하는 가공장치에 마련된 고정부(300)와 결합하는 결합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피시술자의 구강내 인상정보를 담은 모델부(100)는 다양한 종류로 제작할 수 있지만 보철, 교합, 임플란트 등 치과에서 수행되는 구강내 술식에는 인상제를 이용하여 구강내를 본뜬 석고모델을 예로 들 수 있다. 임플란트의 경우 상실된 치아를 복원하기 위해 피시술자의 치조골을 천공하고 픽스츄어를 삽입한 후 상부에 어버트먼트와 보철물을 고정하게 된다. 임플란트에서 구강내 시술은 치조골의 천공을 들수 있는데 치조골의 천공은 개인마다 치조골의 상태, 신경관이 위치 등에 차이가 있어 정밀한 시술계획이 필요하고 이를 정확하게 시술하는 것이 중요하다. 정확한 시술을 위해 최근 Surgical template이라는 구강내 장착물을 이용하여 시술계획에 따른 천공방향을 유도하는 시술이 개발되었는데 정확한 천공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피시술자의 치조골 상태 등을 CT 등을 이용하여 영상으로 파악하고 천공 방향 등을 결정한 후 인상모델을 이용하여 구강내 장착물을 제작하거나 구강내 장착물에 천공방향을 유도할 부싱이 삽입되는 구멍을 가공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영상 등을 이용한 가공(수치)정보를 구강내 장착물을 제작 가공할 가공장치(400)에 이식 또는 전송하는 것이 필요한데 종래에는 영상을 통째로 이용하여 RP공법을 이용하여 구강내 장착물을 제작하거나 가공장치의 좌표계로 일일이 변환하여 가공하였고, 가공과정이 복잡하고 정밀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또한, 교정시술에 있어서도 교정을 위한 악관절 시술에서 교정전과 교정후의 악관절변화를 반영할 구강내 장착물이 필요하며 악과절의 변화를 피시술자에 대한 영상을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한 후 이를 반영하는 구강내 장착물을 제작 가공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악과 하악의 상대적 위치이송을 반영한 구강내 장착물이 필요하며 교정시술에 사용되는 구강내 장착물의 가공장치에서 상대적 위치이송이 높은 정밀도로 구현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구강내 장착물 제작 가공용 인상모델은 피시술자의 인상정보가 포함된 모델부(100)와 모델부(100)의 하면에 직접 마련되거나 모델부(100)와 별도로 결합베이스(250)를 마련하고 결합베이스(250)의 하면에 마련되는 결합부(200)로 이루어지며 결합부(200)는 가공장치에 마련된 고정부(300)와 결합하여 가공장치에 모델부(100)를 고정설치하게 된다. 결합부(200)와 고정부(300)는 서로 상보적인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결합 후 가공장치의 기준점과 소정 위치에 놓이도록 설계한다. 이렇게 결합부(200)와 고정부(300)의 결합만으로 영상 등을 통해 얻어진 가공정보 더욱 상세하게는 가공위치, 영역, 방향 등을 나타내는 수치정보를 가공장치의 좌표계로 손쉽게 전환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전환과정을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우선 영상 등을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등을 통해 가공정보를 얻은 후 결합부(200)가 결합된 피시술자의 구강내 인상정보를 담은 모델부(100)를 스캔한다. 스캔된 영상을 이미지 매칭을 통하건 마커를 이용한 영상정합을 이용하건 자동 정합법을 이용하던간에 영상을 정합하게 되면 가공정보가 담긴 영상내에서 결합부(200)의 상대적 위치를 결정할 수 있으며 결합부(200)가 고정부(300)와 결합하게 되면 가공장치(400)의 기준점에 결합부(200)의 위치가 확정되는 바 좌표변환을 이용하게 되면 영상 등을 통해 결정된 가공정보를 가공장치(400)의 좌표계로 전환 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결합부(200)의 위치 또는 결합부(200)를 대표할 수 있는 참조점의 위치가 (x1, y1, z1)이고 가공정보에 포함된 수치 정보 중 하나가 (x2, y2, z2)인 경우 고정부(300)의 위치가 가공장치(400)에서의 기준점인 경우에 가공장치에서의 가공정보는 (x2-x1, y2-y1, z2-z1)이 된다. 즉, 복잡한 변환과정 없이 영상에서 결정된 가공정보를 가공장치에 단순 입력하기만 하여도 내부적으로 좌표변환관계를 통해 손쉽고 정확하게 가공정보를 가공장치의 좌표계로 전환할 수 있게 된다.
위의 일예에서는 가공장치(400)에서 좌표변환을 하는 경우를 설명하였는데 가공장치(400)에 결합된 경우 결합부(200)의 위치를 미리 알고 있는 경우 영상에서 가공정보를 추출하는 과정에 적용하여 전환된 가공정보를 가공장치에 바로 입력할 수도 있다. 이러한 간단하고도 정밀한 가공정보의 전환은 결합부(200)와 고정부(300)가 서로 상보적인 형상으로 이루어져 정확한 위치, 방향으로 결합이 가능하고 결합된 후에 결합부(200)가 가공장치(400)의 기준점에서 소정의 위치에 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결합부(200)는 돌출형 또는 함몰형을 마련되며 어느 것이나 상관은 없다. 또한, 결합부(200)의 개수는 하나이든 복수개든 상관은 없지만 어느 경우나 정확한 결합만이 가능하고 결합 후 유격이 없는 형상이어야 한다.
결합부(200)의 형상의 일예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이 포함된 원 또는 다각형일 수 있다. 예로 든 형상 모두 오결합이 불가능한 형상이다. 도 1 및 2에는 결합부(200)가 복수개 마련되되 3개로 마련되어 삼각형의 형태로 배열되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각 결합부(200)의 참조점을 추출하면 결합부(200)가 위치한 단면을 의미하는 평면을 결정할 수 있고 참조점으로 연결된 삼각형의 무게중심점 등을 기준점으로 삼아 결정된 평면으로 투영된 가공정보의 위치관계를 파악할 수 있으며 투영된 위치에서의 법선거리를 이용하게 되면 결합부(200)로부터 가공정보의 위치를 간단히 표시할 수 있고 가공장치(400)에서의 좌표계로 전환과정이 매우 용이해지기 때문이다.
결합부(200)는 모델부(100)와 결합하여 경화가능한 석고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는 것이 모델부(100)의 크기의 변동에도 불구하고 가공장치(400)에서 항상 일정한 위치에 결합되도록 결합부(200)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결합부(200)와 고정부(300)의 단단한 고정을 위해 고정부(30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300)를 관통하는 체결부를 위한 홀(360)을 마련할 수 있으며 결합부에는 체결부를 수용하는 체결수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고정부(300)를 관통하는 체결부를 이용할 경우 보다 확실한 결합이 가능하다.
고정부(300)는 가공장치(400)에 마련된 고정플레이트(350)에 마련될 수도 있고, 가공장치(400)의 선반 등에 직접 마련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장착물 가공용 인상모델을 이용한 구강내 장착물의 제작 가공방법의 흐름도이다.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인상모델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우선 본 발명의 구강내 장착물 제작 가공방법은 구강내 시술이 이루어지는 피시술자의 구강내 인상정보가 포함된 모델부(100)를 결합부(200)를 통해 가공장치(400)의 고정부(300)에 결합한다.(S100) 결합이 이루어지면 모델부(100)가 가공장치(400)의 기준점에 소정의 위치에 있게 되므로 좌표변환과정을 통해 가공정보를 가공장치(400)의 좌표계로 전환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델부(100)를 이용하여 구강내 장착물을 제작 또는 가공한다.(S110)
구강내 장착물 : 10 모델부 : 100
결합부 : 200 결합베이스 : 250
고정부 : 300 고정플레이트 : 350
가공장치 : 400

Claims (15)

  1. 외과시술 또는 보철술식 또는 교정시술을 포함하는 구강내 시술에 사용되는 구강내 장착물의 제작 또는 가공에 있어서,
    상기 구강내 시술의 대상인 피시술자의 구강내 인상정보가 포함된 모델부와
    상기 모델부에는 상기 구강내 장착물의 제작 또는 가공을 위한 상대적 위치이송 또는 상기 구강내 장착물의 제작 또는 가공을 수행하는 가공장치에 마련된 고정부와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부와 고정부의 형상은 서로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며 상기 가공장치의 기준점과 소정의 위치관계를 갖도록 결합되어 상기 구강내 장착물의 제작 또는 가공을 위한 상대적 위치이송 또는 구강내 장착물의 제작 또는 가공에 대한 수치정보를 상기 가공장치의 좌표계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내 장착물 가공용 인상모델.
  2. 청구항 1에서,
    상기 결합부는 돌출형 또는 함몰형으로 마련되되, 그 단면 형상이 현이 포함된 원 또는 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내 장착물 가공용 인상모델.
  3. 청구항 1에서,
    상기 결합부는 복수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내 장착물 가공용 인상모델.
  4. 청구항 3에서,
    상기 결합부는 3개로 마련되되, 삼각형의 형태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내 장착물 가공용 인상모델.
  5. 청구항 1에서,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고정부와 결합시 상기 고정부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체결부를 수용하기 위한 체결수용부가 더 포함되는 구강내 장착물 가공용 인상모델.
  6. 청구항 1에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모델부의 하면에 돌출형 또는 함몰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내 장착물 가공용 인상모델.
  7. 청구항 1에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가공장치의 고정부와 모델부 사이에 별도로 마련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내 장착물 가공용 인상모델.
  8. 청구항 1에서,
    상기 결합부는 그 외곽 형상으로부터 유일한 하나의 평면과 방향성을 결정할 수 있는 참조점들을 추출할 수 있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내 장착물 가공용 인상모델.
  9. 청구항 1에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모델부와 결합하여 경화가능한 석고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내 장착물 가공용 인상모델.
  10. 구강내 장착물을 이용한 외과시술 또는 보철술식 또는 교정시술을 포함하는 구강내 시술에 있어서,
    상기 구강내 시술이 이루어지는 피시술자의 구강내 인상정보가 포함된 모델부를 결합부를 통해 가공장치의 고정부에 결합하는 단계;
    상기 가공장치와 결합된 모델에 구강내 장착물을 설치 가공하거나 상기 모델을 이용하여 구강내 장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부는 상기 고정부와 서로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며 상기 가공장치의 기준점과 소정의 위치관계로 결합되어 상기 구강내 장착물의 제작 또는 가공에 대한 수치정보를 상기 가공장치의 좌표계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내 장착물 가공용 인상모델을 이용한 구강내 장착물의 제작 가공방법.
  11. 청구항 10에서,
    상기 결합하는 단계에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모델과 별도로 마련되어 상기 모델과 상기 고정부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내 장착물 가공용 인상모델을 이용한 구강내 장착물의 제작 가공방법.
  12. 청구항 10에서,
    상기 결합부는 그 외곽 형상으로부터 유일한 하나의 평면을 결정할 수 있는 참조점들을 추출할 수 있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내 장착물 가공용 인상모델을 이용한 구강내 장착물의 제작 가공방법.
  13. 청구항 10에서,
    상기 결합부는 돌출형 또는 함몰형으로 마련되되, 그 단면 형상이 현이 포함된 원 또는 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내 장착물 가공용 인상모델을 이용한 구강내 장착물의 제작 가공방법.
  14. 청구항 10에서,
    상기 결합하는 단계에서, 상기 고정부와 결합부는 상기 고정부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체결부를 통해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내 장착물 가공용 인상모델을 이용한 구강내 장착물의 제작 가공방법.
  15. 청구항 10에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모델부와 결합하여 경화가능한 석고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내 장착물 가공용 인상모델을 이용한 구강내 장착물의 제작 가공방법.
KR1020100103745A 2010-10-23 2010-10-23 구강내 장착물 제작, 가공을 위한 좌표동기화용 인상모델 및 이를 이용한 구강내 장착물 제작가공방법 KR101166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3745A KR101166162B1 (ko) 2010-10-23 2010-10-23 구강내 장착물 제작, 가공을 위한 좌표동기화용 인상모델 및 이를 이용한 구강내 장착물 제작가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3745A KR101166162B1 (ko) 2010-10-23 2010-10-23 구강내 장착물 제작, 가공을 위한 좌표동기화용 인상모델 및 이를 이용한 구강내 장착물 제작가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2193A true KR20120042193A (ko) 2012-05-03
KR101166162B1 KR101166162B1 (ko) 2012-07-18

Family

ID=46263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3745A KR101166162B1 (ko) 2010-10-23 2010-10-23 구강내 장착물 제작, 가공을 위한 좌표동기화용 인상모델 및 이를 이용한 구강내 장착물 제작가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61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84638A (zh) * 2012-05-11 2015-01-14 李泰炅 用于对作业对象物提供并固定坐标的坐标同步化用板
KR20210005916A (ko) * 2018-06-27 2021-01-15 베이징 야케봇 테크놀로지 컴퍼니 엘티드 시각 마킹을 위한 덴쳐 플레이트 및 그 제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51275B2 (ja) 2004-10-29 2010-04-14 株式会社ジーシー 歯科用補綴物の三次元形状データの作製方法
KR100847384B1 (ko) 2007-04-23 2008-07-18 허민석 가공 대상물 구동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84638A (zh) * 2012-05-11 2015-01-14 李泰炅 用于对作业对象物提供并固定坐标的坐标同步化用板
KR20210005916A (ko) * 2018-06-27 2021-01-15 베이징 야케봇 테크놀로지 컴퍼니 엘티드 시각 마킹을 위한 덴쳐 플레이트 및 그 제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6162B1 (ko) 2012-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81029C2 (ru) Способ моделирования и изготовления зубного протеза
KR101156077B1 (ko) 가공의치 구조의 제조 및 삽입을 위한 시스템 및 구성
US10307227B2 (en) Methods for placing an implant analog in a physical model of the patient's mouth
EP3403612B1 (en) A method for preparing a teeth model
KR101473192B1 (ko) 임플란트용 가이드 스탠트 제조방법
US8529255B2 (en) Dental prosthesis system
US1038027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ntal articulation
KR101999671B1 (ko) 임플란트-유지형 치아 대체물을 생성하기 위한 드릴링 템플릿를 검증하는 방법
EP2319451A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a prosthetic installation
WO1999026540A1 (en) Surgical template assembly and method for drilling and installingdental implants
US11896459B2 (en) Methods for placing an implant analog in a physical model of the patient's mouth
CN104473700A (zh) 一种数字化个性化基台制作方法及其系统
EP3295892A1 (en) Calibration members and method for calibrating a virtual articulator
CN109172011B (zh) 一种牙种植导板及其制备方法
JP2018516708A (ja) 顎顔面矯正手術画像校正デザイン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AU2020319738B2 (en) Intraoral coordinate system of dentition for the design and placement of dental implants
KR101166162B1 (ko) 구강내 장착물 제작, 가공을 위한 좌표동기화용 인상모델 및 이를 이용한 구강내 장착물 제작가공방법
EP3375401A1 (en) Template and method for planning the surgery of dental implants and/or guided placement of a prosthesis on implants
ITBS20100175A1 (it) Metodo per la preparazione di una mascherina chirurgica per l installazione di un impianto dentale
US20120225409A1 (en) Method For Producing Individual Drilling Templates For Dental Implant Surgery In A Patient's Jawbone
KR102129526B1 (ko) 3d 데이터로 형성된 교합정보를 실물 교합기에 옮기기 위한 3d 프린팅 커넥터 제작 시스템 및 그 제작방법
CN105286784A (zh) 一种颜颚手术影像校正设计系统及方法
EP3295893A1 (en) A method for generating a virtual model of a maxillary cast or a mandibular cast in a virtual articulator
KR20190117069A (ko) 가공장치에 대한 가공 보정값을 제공하는 동기화용 플레이트
KR101118716B1 (ko) 좌표 동기화 기반 가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