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2118A - 파로모마이신을 포함하는 식물병 저항성 유도제 - Google Patents

파로모마이신을 포함하는 식물병 저항성 유도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2118A
KR20120042118A KR1020100103630A KR20100103630A KR20120042118A KR 20120042118 A KR20120042118 A KR 20120042118A KR 1020100103630 A KR1020100103630 A KR 1020100103630A KR 20100103630 A KR20100103630 A KR 20100103630A KR 20120042118 A KR20120042118 A KR 201200421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omomycin
plant
resistance
plant disease
pp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3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석
김창진
박동진
박진우
이세원
이재찬
Original Assignee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103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42118A/ko
Publication of KR20120042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21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0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 A01N43/1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six-membered rings
    • A01N43/16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six-membered rings with oxygen as the ring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465Streptomy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ir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Toxic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로모마이신을 포함하는 식물병 저항성 유도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방선균 속(Streptomyces sp .)으로부터 분리한 파로모마이신(paromomycin)이 고추역병 또는 무름병에 대한 발병도(disease severity) 및 병든 식물체(diseased plants)의 비율을 감소시킴으로써 식물병에 대한 유도저항성을 증진시키고, 상기 파로모마이신의 농도가 1 ppm인 경우 가장 효과적으로 식물병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유도저항성 향상을 위한 소량의 최적 투여량을 확립하였으므로, 본 발명의 방선균 유래 파로모마이신은 식물병에 대한 저항성 유도제 또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파로모마이신을 포함하는 식물병 저항성 유도제{Elicitor of induced systemic resistance against plant diseases comprising paromomycin}
본 발명은 파로모마이신을 포함하는 식물병 저항성 유도제에 관한 것이다.
근권(rhizosphere)은, 미생물 영양 공급원이 풍부하고 다양하게 존재하기 때문에 박테리아, 진균 및 원생동물과 같은 미생물의 종 상호작용이 있는 가장 역동적인 생태계 니치(niche)이다. 식물-미생물 상호작용에 있어서, 현재 농업분야의 연구에서는 식물 생육촉진 근권세균(plant growth-promoting rhizobacteria, PGPR)으로서 식물 생장을 자극하는 근권 미생물의 효과에 주된 관심이 모이고 있다.
고추역병(phytophthora blights)은 난균류에 속하는 피토프토라 속(Phytophthora sp .) 균에 의해서 발병하는데, 고추정식기인 5월부터 생육후기인 9월까지 전 재배 기간 중에 발생하는 토양 전염성 병이다. 대부분의 역병균은 기주 식물에 대해 강한 병원성을 가지고 있으며 상처 없이 기주 세포벽을 분해하는 1차 침입자로 병해의 주원인이 된다. 고추역병균에 감염되면 줄기 둘레 및 뿌리가 썩어 지상부가 시들어 죽게 되는 전형적인 피해 증상을 볼 수 있다(농약과학회지 제11권 제3호, 2007, pp 186-193 참조). 일반적으로, 높은 병원성과 메타락실(metalaxyl)과 같은 치료제에 대한 저항성의 증가로 인하여 고추의 역병방제는 매우 어렵다. 고추역병은 고추에 발생하는 병중 가장 피해가 큰 병으로 전국적으로 발생되며 심하게 발생될 경우 수량 감소가 50?100%에 달한다. 병든 식물체가 발견되면 조기에 제거하고 방제약제를 토양관주하여 주변으로 전파하는 것을 막는 것이 효과적이므로 고추역병 방제 약제의 필요성이 꾸준히 요구되고 있다.
고추역병은 주로 역병균(Phytophthora capsici)에 의해 유발되는데, 이는 다른 역병균에 비해 기주범위가 넓고, 주로 고추 등의 가지과 작물과 수박, 참외, 오이 등의 박과 작물을 침해하여 막대한 피해를 준다. 생육 적온은 약 25?28℃ 정도이며 병든 식물체의 조직 속이나 토양에서 월동한다. 역병균은 난방제성균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이를 방제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진균용 살균제와는 다른 메타락실(metalaxyl), 디메토모프(dimethomorph), 포세틸-에이1(focetyl-A1), 만코제브(mancozeb), 캡타폴(captafol), 클로로탈로닐(chlorothalonil), 폴리트란(polytran), 펜틴 하이드록시드(fentin hydroxide), 코시드(kocide), 쿠퍼옥시클로라이드(copper oxychloride)와 보르도액과 같은 여러 가지 화학농약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고추역병에 대한 미생물 살균제는 거의 개발되어 있지 않았고, 오늘날 환경친화형 농업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미생물을 이용한 생물농약을 이용하는 방제 방법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는 실정이기에, 미생물 균주 또는 미생물 배양액 자체를 사용하는 생물학적 방제제(biocontrol agent)의 개발이 절실한 과제이다. 또한, 역병균에 의한 피해의 시급한 해결뿐만 아니라, 먹거리의 안전성에 대한 최종 소비자의 관심증가와 농산물의 안전성에 대한 높은 신뢰도 확보 측면에서도, 식물 병해 방제 전략에 큰 변화가 요청되고 있는바, 미생물을 비롯한 생물자원을 활용한 식물병 방제 전략의 수립이 필요하다.
무름병은 5월 이후에 발병이 많아지고 수확 후 저장중 또는 수송중에 병이 진행되어 그 피해가 크다. 무름병을 일으키는 병원균은 병든 식물의 잔재 또는 토양 중에서 오랫동안 생존하다 1차 전염원이 된다. 상처부위나 해충의 식흔부터 침입하기도 한다. 침입세균은 식물 세포벽을 분해하고 세포간극을 이동하면서 인접세포를 파괴하여 무름증상이 발생하게 된다. 어위니아 속중 카로토보라 군이 무름병을 일으키고, 특히 에위니아 카로토보라 카로토보라(Erwinia carotovora subsp . carotovora)는 수많은 다육질의 과일, 채소 또는 관상식물에 무름병을 일으킨다. 무름병의 예방 및 방제를 위하여 6월 이후의 생육기를 중심으로 농용신수화제 또는 옥소리닉에시드 수화제를 살포하나, 약제에 의한 방제도 큰 효과를 보기 어려우므로 병든 식물은 즉시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
생물학적 방제제는 식물병에 대한 화학농약의 사용을 대체할 수 있는 효과적이고 친환경적인 생물학적 방제제는 병해방제(disease control) 기작으로서 천연 항생물질을 생산한다. 특히, 방선균(Streptomyces spp .)은 균사상의 형태를 갖는 미생물로서 진균으로 간주 또는 진균과 세균의 중간적인 미생물로 여겨지며, 복잡한 형태적 분화(morphological differentiation) 뿐만 아니라 항생물질이나 효소를 비롯한 수많은 생리활성 물질을 생산하는 생리적 분화(physiological differentiation)를 한다. 전세계에서 발견된 6,000 여종의 항생물질 중 60% 이상이 방선균 유래인데다 각종 효소 등의 생리활성물질의 보고라고 일컬어질 만큼 산업적으로 매우 중요한 미생물이다(Life Science & Biotechnology, No 20, p23-25 참조). 방선균이 생산하는 생리활성물질은 미생물로부터 분리한 2차 대사산물 약 16,500여 종 중 60% 이상을 차지하고, 항생물질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어 항균활성의 약리작용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50년에 스트렙토마이세스 크레스토며세티쿠스(Streptomyces krestomuceticus) 균주로부터 최초로 분리한 항생제이고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 항생제 중 하나인 파로모마이신(paromomycin)(0-2, 6-디아미노-2, 6-디데옥시-β-L-이도피라노실-(1→3)-0-β-D-리보푸라노실-(1→5)-0-[2-아미노-2-데옥시-α-D-글루코피라노실-(1→4)]-2-데옥시스트렙타민)은 16S 리보솜 RNA에 의해 단백질 합성을 저해하는 작용을 한다. 파로모마이신은 그램 음성 및 그램 양성 박테리아뿐만 아니라 원생동물(Protozoa) 및 촌충류(cestodes)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갖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Trans R Soc Trop Med Hyg. 2009 Jul;103(7):653-60; Structure. 2001 Aug;9(8):647-58). 현재까지, 많은 연구는 아미카신(amikacin), 젠타미신(gentamicin), 히그로마이신 B(hygromycin B), 카나마이신(kanamycin), 네오마이신(neomycin), 네틸마이신(netilmicin), 파로모마이신(paromomycin), 리보스타마이신(ribostamycin),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 및 토브라마이신(tobramycin)과 같은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 항생제의 생물학적 특성이 박테리아, 효모 및 원생동물에 대한 활성에 집중되고 있으나(Chambers et al. 1998; Gracenea et al. 1998; Lerner et al. 1998; Vakulenko and Mobashery 2003; Beers and Berkow 2004), 난균류(oomycetes) 또는 난균류의 민감성에 대한 파로모마이신 활성에 관한 보고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한편, 유도저항성(induced systemic resistance, ISR)은 유전자에 의해 지배되는 저항성이 아니라 재배법의 조절 등 인위적으로 유도한 저항성을 말한다. 최근 식물이 자체적으로 가지고 있는 저항성 반응을 활성화시켜 병에 대한 저항력을 유지케 하는 유도저항성 기작에 많은 관심과 노력이 집중되고 있다. 식물의 병 저항성 유도에는 식물병원균의 비친화적 반응, 병저항성 관련 화학성분 및 근권미생물 등에 의한 방법이 현실적으로 거론되고 있다. 특히 유도저항성을 이용한 생물학적 방제는 식물체가 가지고 있는 자체방어 시스템을 가동시켜 줌으로서 식물병을 방제할 수 있는 기술로서 일단 식물체에 저항성이 유도되면 진균에 의한 병해뿐 아니라 세균, 바이러스 등 여러 가지 병해에 대한 복합적인 방제가 가능하다. 따라서 식물의 유도저항성 이용기술은 최근 농약의 과다사용에 따른 농업생태계의 개선뿐 아니라 저공해 무농약 과채류생산 등의 농업생산에 많은 장점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식물병의 방제용 약제로써 주로 화학농약이 사용되고 있는바, 최근 환경규제 강화 및 농산물 안전성에 대한 관심의 증가에 따라 생물자원을 활용한 생물학적 방제 전략의 수립을 위해 연구한 결과, 방선균 속(Streptomyces . sp .)으로부터 분리한 파로모마이신(paromomycin)이 고추역병 또는 무름병에 대한 저항성을 유도함을 확인하였고, 유도저항성 향상을 위한 최적의 파로모마이신 처리 농도를 확립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파로모마이신을 포함하는 식물병 저항성 유도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파로모마이신(paromomycin)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물병에 대한 저항성 유도제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파로모마이신을 식물체 또는 그의 서식지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병에 대한 저항성을 유도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파로모마이신(paromomycin)은 고추역병 또는 무름병에 대한 발병도(disease severity) 및 병든 식물체(diseased plants)의 비율을 감소시킴으로써 식물병에 대한 저항성을 유도하고, 1 ppm의 농도로 파로모마이신을 분무 또는 토양관주한 경우 가장 효과적으로 고추역병 또는 무름병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유도저항성 향상을 위한 최적의 투여량을 확립하였으므로, 상기 파로모마이신은 식물병에 대한 저항성 유도제의 유효성분으로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파로모마이신처리에 의한 식물 병원균의 저해 효과를 저해환 크기(Inhibition zone size)로서 분석한 그림이다.
도 2는 고추역병 발병 전에 파로모마이신을 고추 식물체의 잎에 분무하여 처리한 경우의 저항성 유도 효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3은 고추역병 발병 후에 파로모마이신을 고추 식물체의 잎에 분무하여 처리한 경우의 저항성 유도 효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4는 파로모마이신을 고추 식물체의 토양에 토양 관주한 경우의 저항성 유도 효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5는 파로모마이신을 오이 식물체의 토양에 토양 관주한 경우의 오이 무름병균에 대한 저항성 유도 효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6은 애기장대에서 파로모마이신 처리에 따른 병저항성 유전자의 발현 변화를 나타낸 그림이다(1: ColO, 2: ein-1, 3: etr3 4: Jar1, 5: nahG, 6: NPR).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파로모마이신(paromomycin)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물병에 대한 저항성 유도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파로모마이신은 하기 화학식 1(C23H45N5O14)로 기재되는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Figure pat00001
상기 파로모마이신은 스트렙토마이세스 속(Streptomyces . sp .) 균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Streptomyces . sp . AMG-P1 균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파로모마이신을 생산할 수 있는 임의의 균주로부터 분리?정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로모마이신은 화학적으로 합성할 수 있으며, 상업적으로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식물병은 고추역병 또는 무름병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파로모마이신이 저항성 유도 효과를 나타내는 식물병은 무엇이든 가능하다.
상기 고추역병은 피토프토라 캡사이시(Phytophthora capsici)에 기인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무름병은 어위니아 카로토보라 카로토보라(Erwinia carotovora subsp . carotovora)에 기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파로모마이신은 식물병에 대한 엽면살포제, 관주살포제, 토양개량제 또는 퇴비부숙제의 유효성분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물병에 대한 저항성 유도제는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살충제 또는 살균제에 함유되는 물질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활성성분 이외에 부형제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고체 담체, 액체 담체, 액체 희석제, 액화된 기체 희석제, 고체 희석제, 또는 기타 적당한 보조제, 예를 들면 유화제, 분산제 또는 기포제 등의 계면활성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용제 및/또는 계면활성제 등이 포함되며, 특히 파로모마이신의 확산성/병저항성 유도 효능/방제성/안전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할 수 있는 적합한 모든 종류의 용제 및/또는 계면활성제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식물병에 대한 저항성 유도제에 사용되는 용제 또는 계면활성제의 경우, 최종 제형의 유형(예를 들면, 유제, 액제, 액상수화제 등), 유효성분의 특성 및 상태 등에 따라 적합한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비극성 용제, 극성 용제, 또는 비극성/극성 혼합 용제일 수 있다.
식물병에 대한 저항성을 유도하기 위한 유효성분과 상기 부형제를 혼합한 식물병에 대한 저항성 유도제를 농약분야에 공지된 다양한 제형으로 제제화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제제화를 위해서는 농약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제제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저항성 유도제는 바람직하게는 수화제, 입제, 분제, 유제, 스프레이상, 연막제, 캅셀형 및 젤상의 제형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저항성 유도제는 식물병에 대한 저항성을 효과적으로 유도하기 위하여 파로모마이신을 0.1 내지 1 ppm의 농도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 ppm의 농도로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이는 식물체의 종류, 생육 정도, 경작지 환경, 식물병의 발병 정도 등을 고려하여 상기 범위 내에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파로모마이신의 처리 농도는 최적의 식물병 저항성 유도 활성을 나타내는 농도로, 기존의 파로모마이신의 처리에 있어서 최대 500 ppm의 고농도의 사용보다 극히 소량의 농도의 파로모마이신을 사용하여 식물병에 대한 최적의 저항성 유도 활성을 나타내는 농도를 확립함으로써, 농약의 과다사용에 따른 농업생태계 파괴를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식물병에 대한 저항성 유도제는 식물 병원균과 직접 접촉할 수 있도록 적용하여 방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토양관주하여 처리하거나 식물체에 직접 분무하는 방법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저항성 유도제는 식물 병원균에 의한 식물병 감염 전 또는 후에 식물체에 처리함으로써, 항균 활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식물이 자체적으로 가지고 있는 유도저항성 반응을 활성화시켜 식물병에 대한 저항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
상기 유도저항성은 식물체가 가지고 있는 자체방어 시스템을 가동시켜 식물병을 방제할 수 있는 기술로서, 식물체에 저항성이 유도되면 항균제 또는 식물병 방제제의 사용에 비해, 진균, 바이러스, 환경적 스트레스 또는 여러 가지 병해에 대한 근본적이고 복합적인 방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자들은 스트렙토마이세스 속(Streptomyces sp .)으로부터 아미노글리코시드 항생물질인 파로모마이신을 분리하여, 이의 식물 병원균에 대한 억제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각각의 병원체에 대한 저해환(inhibition zone)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다른 병원체에 비해, 고추역병을 유발하는 균주인 P. capsici에 대해 강력한 억제 활성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 및 표 1 참조).
본 발명자들은 파로모마이신이 고추역병에 대한 유도저항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P. capsici 처리 전 또는 후에 0.1 내지 1000 ppm 농도의 파로모마이신을 잎에 분무, 또는 토양 관주하여 고추역병의 발병도(disease severity) 및 병든 식물체(diseased plants) 비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파로모마이신을 처리하지 않은 음성 대조군의 발명도 및 병든 식물체 비율이 고추역병 발병 전에 파로모마이신을 잎에 분무하여 처리한 경우(전-처리)에는 각각 83% 및 100%이었고, 발병 후에 처리된 경우(후-처리)에는 각각 81.7% 및 100%로 나타났다. 반면에, 파로모마이신은 고추역병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특히, 1 ppm의 파로모마이신을 처리한 경우, 전-처리 및 후-처리에 대한 발병도가 각각 20.0% 및 6.7%로 나타났고, 병든 식물체(diseased plants) 비율은 각각 50% 및 33.3%로 나타났다. 0.1 ppm 농도의 파로모마이신을 처리한 경우에도 다른 고농도로 처리된 경우보다 발병도 및 병든 식물체 비율이 현저히 감소한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2 및 표 2 참조). 또한, 토양 관주 방법으로 고추 식물체의 토양에 파로모마이신을 공급한 경우에도 잎 분무 방법과 유사한 결과가 나타났다(도 3 및 표 3 참조). 즉, 1 ppm 보다 고농도(10 내지 1000 ppm)의 파로모마이신 처리에 의해서는 오히려 고추역병에 대한 발병도 및 병든 식물체의 비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0.1 내지 1 ppm의 비교적 낮은 농도에서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특히 1 ppm의 파로모마이신이 고추역병에 대한 유도저항성 증진을 위한 최적 농도임을 확립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파로모마이신의 담배 식물체에 대한 P. capsici 저항성 증진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0.1 내지 1000 ppm의 파로모마이신을 담배 식물체에 침투시킨 후 P. capsici를 상기 식물체에 접종시켰다. 그 결과, 파로모마이신은 담배 식물체에 있어서도 P. capsici에 대한 저항성 증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0.1 내지 1 ppm의 저농도에서도 P. capsici에 대한 유도저항성 유도제로서 효과를 가짐을 확인하였다(표 4 및 도 4 참조). 또한, 파로모마이신을 처리한 담배 식물체에 대하여 GUS 활성을 분석한 결과, 병 저항성과 관련된 항균성 유전자인 PR-1a 및 PDF1.2(Plant Defensin 1.2)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파로모마이신을 처리한 애기장대에서도 PR-1a 및 PDF1.2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식물병에 대한 유도저항성이 증진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도 6 참조).
본 발명자들은 세균성 무름병균에 대한 파로모마이신의 저항성 유도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0.1 내지 1000 ppm의 파로모마이신을 오이 식물체에 침투시킨 후 어위니아 카로토보라 카로토보라(Erwinia carotovora subsp . carotovora)를 상기 식물체에 접종시켰다. 그 결과, 파로모마이신은 오이 식물체에 대한 무름병에 대해서도 저항성 증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1 ppm의 저농도에서 병든 식물체의 비율이 약 20.83%임을 확인함으로써, 오이 무름병에 대한 저항성 유도를 위한 파로모마이신의 최적 농도를 확립하였다(도 5 참조).
이에, 0.1 내지 1 ppm의 저농도, 특히 1 ppm의 파로모마이신이 고추역병균 또는 무름병균에 대한 최적의 유도저항성 증진 효과 및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기존의 항진균 작용에 요구되는 파로모마이신의 농도보다 아주 적은 농도인 약 1/100배 수준으로 식물체에 처리하여 최적의 식물병 저항성 유도 및 방제 효과가 있음을 규명하였다.
따라서, 파로모마이신은 식물병에 대한 저항성 유도제의 유효성분으로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로모마이신을 식물체 또는 그의 서식지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병에 대한 저항성 유도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파로모마이신은 상기 화학식 1(C23H45N5O14)로 기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파로모마이신은 스트렙토마이세스 속 균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Streptomyces . sp . AMG-P1 균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화학적으로 합성하여 사용하거나 상업적으로 구입가능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식물병은 고추역병 또는 무름병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파로모마이신이 저항성 유도 효과를 나타내는 식물병은 무엇이든 가능하다.
상기 고추역병은 피토프토라 캡사이시(Phytophthora capsici)에 기인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무름병은 어위니아 카로토보라 카로토보라(Erwinia carotovora subsp . carotovora)에 기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파로모마이신은 0.1 내지 1 ppm 농도로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1 ppm 농도로 처리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파로모마이신의 농도는 식물 병원균에 대한 최적의 유도저항성 증진 효과 및 항진균 활성을 나타낼 수 있고, 기존의 항진균 작용에 요구되는 파로모마이신의 농도보다 아주 극소량인 약 1/100배 수준으로 식물체에 처리함으로써 식물병에 대한 저항성을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식물체는 고추(Capsicum annuum L.), 담배 또는 오이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파로모마이신이 저항성 유도 효과를 나타내는 식물병에 걸린 식물체를 대상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한 방법은 상기 방제용 조성물을 식물 병원균과 직접 접촉할 수 있도록 적용하여 방제하는 것으로, 상기 식물병에 대한 저항성 유도제는 분무 또는 토양 관주 방법으로 식물체에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방법은 유해 진균, 이들의 번식지 또는 식물, 종자, 토양, 지면, 유해 진균을 제거해야 하는 물질 또는 공간을, 식물병에 대한 저항성 유도를 위한 유효량의 상기 유도제 또는 파로모마이신을 처리함으로써 적용가능하다. 상기 유도제 또는 파로모마이신의 처리는 식물 병원균에 의한 식물병의 감염 전 또는 후에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파로모마이신은 고추역병균(P. capsici) 또는 무름병균(E. carotovora subsp . carotovora)에 의한 발병도 및 병든 식물체의 비율을 감소시킴으로써 고추역병 또는 무름병 감염을 저해하고, 1 ppm의 농도로 파로모마이신을 처리할 경우 가장 효과적으로 식물병을 억제 또는 감소시키며 병저항성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여 최적의 처리 용량을 확립하였으므로, 파로모마이신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물병에 대한 저항성 유도제는 식물병 저항성 유도를 위해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미생물의 배양
하기 표 1에 기재된 박테리아, 진균 및 난균류 균주는 미생물 자원 데이터 베이스(Microbial Resources Data base)를 통해 동정하였고, 농촌진흥청의 한국농업과학기술원(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e Science and Technology, RDA, 한국)에 냉동건조 상태로 기탁하였다. 상기 균주는 배양에 사용되기 전까지 냉장(2 ~ 3℃) 보관되었다. 균주 배양 및 생물검정(bioassay)에 사용된 배지는 24 g의 감자 덱스트로스 브로스(potato dextrose broth, PDB)에 15 g의 감자 덱스트로스 아가(Potato Dextrose Agar, PDA)(Difco, Detroit, MI, USA)를 첨가하거나 첨가하지 않은 배지; 효모 맥아 추출물(yeast malt extract) 15 g 및 아가 15 g으로 구성된 맥아 추출물 아가; V8 야채 쥬스 200 g, CaCO3 3 g 및 아가 15 g으로 구성된 V8 야채 쥬스 아가(V8 vegetable juice agar, VA)(살균 전에 pH 7.2로 조정)를 사용하였다. 방선균(actinomycete) 균주의 보존 및 액체 배양에는, 글루코스(glucose) 10 g, 효모 추출물(yeast extract) 1 g, 박토펩톤(Bactopeptone) 2 g, 비프 추출물(beef extract) 1 g, 아가 20 g (또는 아가를 첨가하지 않음), 티아민-HCl(thiamine-HCl), 리보플라빈(riboflavin), 니아신(niacin), 피리독신-HCl(pyridoxine- HCl), 이노시톨(inositol), Ca-판토테네이트(Ca-pantothenate) 및 아미노벤조산(aminobenzoic acid) 각각 5 g, 비오틴(biotin) 25 ㎎, 사이클로헥사미드(cycloheximide) 50 ㎎ 및 날리딕스산(nalidixic acid) 10 ㎎(살균 전에 pH 7.2로 조정)로 구성된 벤넷 아가(Bennett's agar) 및 벤넷 브로스(Bennett's broth)를 사용하였다. 진균 피토프토라 캡사이시(Phytophthora capsici)는 7일간 28℃에서 V8 쥬스 아가 플레이트 상에서 배양하였다.
고추의 재배
최초 가지 단계의 고추 한별 품종(Capsicum annuum L. cv. Hanbyul )을 사용하였다. 고추 종자를 스팀 살균된 토양(steam-sterilized soil), 모래 및 퇴비가 1:1:1(v/v/v)로 포함된 플라스틱 상자(55 ㎝ × 35 ㎝ × 15 ㎝)에 심었다. 식물체가 두-잎 단계에 이르면 상기와 동일한 토양 혼합물이 포함된 플라스틱 화분(5 ㎝ × 15 ㎝ × 10 ㎝)에 옮겨 심은 후, 식물체에 복합비료를 처리하였다. 그런 다음 고추 식물체는 27 ± 2℃의 생장실(growth room)에서 16시간 동안 빛 조사하에서 성장시켰다.
스트렙토마이세서 속 균주의 파로모마이신의 주요 식물 병원균에 대한 활성 비교
<3-1> 스트렙토마이세스 속( Streptomyces sp . ) 균주의 배양
잠재적인 생물학적 방제제 선별에 대한 기초 연구를 위하여, 파로모마이신 생산 방선균인, 스트렙토마이세스 속(Streptomyces sp .) 균주를 탐색하였다. 이전 문헌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액체크로마토그래피 및 질량 분석법을 통해 아미노글리코시드계 항생물질의 분석을 실시하였다(Umezawa and Kondo 1975; Lu et al. 1997; Olson et al. 1997). 상기 항생물질의 화학적 검증(chemical verification) 후, 생산된 파로모마이신의 양을 미생물학적 종이 디스크 한천 확산법(microbial paper disc agar diffusion method)에 따라 간접적으로 측정하였다(Parenti, F. et al., 1978, J Antibiot (Tokyo) 31, 276-283). 배양 브로스(broth)의 제조를 위해, 먼저, 스트렙토마이세스 속 AMG-P1(Streptomyces sp . AMG-P1) 균주를 가용성 녹말(soluble starch) 10 g, 글루코스(glucose) 20 g, 대두박(soybean meal) 25 g, 비프 추출물(beef extract) 1 g, 효모 추출물(yeast extract) 4 g, NaCl 2 g, K2HPO4 25 g 및 CaCO3 2 g으로 구성된 60 ㎖의 감별 배지(screening medium)(살균 전에 pH 7.2로 조정)가 포함된 200 ㎖의 에를렌마이어 플라스크(Erlenmeyer flask)에 접종하여, 회전식 진동기(rotary shaker)(150 rev/min)에서 28℃에서 5일간 배양하였다. 배양을 스케일-업(scale-up)하기 위해, 상기 균주를 500 ㎖의 에를렌마이어 플라스크에 3일간 전배양하였고, 스톡 용액(3%)을 5-l 발효기(jar fermentor)(Korea Fermentor Co., 대전, 한국)에 재접종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3-2> 파로모마이신의 분리정제
상기 실시예 <3-1>에서 배양된 균주로부터 파로모마이신 항생물질을 분리정제하였다. Streptomyces . sp . AMG-P1 균주를 GSS 배지에서 2 리터 용량으로 배양한 후, 배양액을 3,000 rpm으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그 상등액을 Amberlite IRC-50(NH4 +)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흡착시킨 다음, 증류수로 세척한 후 1 노르말 암모니아수(NH4OH)으로 탈착시킨 다음 그 농축액을 Amberlite CG-50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흡착시킨 후 0.5 노르말 암모니아수로 탈착시켜 농축하였다. 그런 다음, 농축시킨 활성물질을 LH-20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흡착시킨 후 30% 암모니아수로 탈착시켜 농축한 다음 동결건조하여 파로모마이신을 분리정제하였다.
<3-3> 파로모마이신의 주요 식물 병원균에 대한 활성 비교
상기 실시예 <3-2>에서 추출한 파로모마이신을 다양한 식물 병원균이 존재하는 플레이트에 처리하여 저해환 크기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도 1 및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파로모마이신은 주요 식물 병원균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피토프토라 캡사이시(Phytophthora capsici, P. capsici)에 대한 저해환 크기가 가장 크게 나타났고, 돌연변이 균주, 야생형 균주 또는 분말을 사용한 결과, P. capsici의 저해환 크기가 다른 파로모마이신 생산 균주들에 비해 전반적으로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1 및 표 1). 즉, 스트렙토마이세스 속(Streptomyces sp.) 유래 아미노글리코시드 항생물질인 파로모마이신은 식물 병원체를 억제하는 활성을 갖고, P. capsici에 대해 가장 강력한 특이적 억제 활성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처리 저해환 크기(Inhibition zone size) (㎜)
R.
solani
F.
oxysporum
B.
cinerea
S.
scleroiorum
P.
capsici
C.
acutatum
P.
ultimum
A.
alternate
E.
carotovora
대조군 0.0 0.0 0.0 0.0 0.0 0.0 0.0 0.0 0.0
돌연변이 균주
(original volum)
14.0 22.0 11.0 0.0 28.0 26.0 4.8 18.3 0.0
돌연변이 추출물
(1/10)
0.0 16.2 0.0 0.0 6.4 19.4 0.0 17.2 0.0
야생형
추출물 (original volum)
0.0 0.0 0.0 0.0 3.2 0.0 0.0 8.7 0.0
야생형
추출물
(1/10)
0.0 0.0 0.0 0.0 0.0 0.0 0.0 0.0 0.0
분말
30000 ppm
0.0 0.0 6.2 0.0 24.0 11.2 0.0 16.4 0.0
분말
20000 ppm
0.0 0.0 4.5 0.0 15.2 13.0 0.0 16.0 0.0
분말
10000 ppm
0.0 0.0 0.0 0.0 0.0 5.8 0.0 7.4 0.0
파로모마이신의 고추 식물체에 대한 고추역병 유도저항성 유도
<4-1> 파로모마이신의 분무에 따른 고추역병에 대한 유도저항성 증진 효과
고추역병에 대한 유도저항성 유도제로서의 파로모마이신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2에서 재배한 고추 식물체에 대해 피토프토라 캡사이시(Phytophthora capsici, P. capsici)의 유주자 현탁액(105 유주자/㎖)으로 인한 줄기 손상 또는 토양관주 접종 전에, 스트렙토마이세스 속에서 분리한 다양한 농도(0.1 내지 1000 ppm)의 길항성 파로모마이신을 상기 식물체의 잎에 분무하는 방법으로 처리하였다. 그런 다음, 고추 식물체에 있어서 고추역병의 발병도(disease severity)는 P. capsici 접종 후 8일째에 0 ~ 5 단계에 기초하여 측정하였다(0 = 질병 증상 관찰 안됨; 1 = 잎이 갈색 병소로 약하게 시들고 줄기에도 나타나기 시작함; 2 = 전체 식물체에서 30 ~ 50%가 병듦; 3 = 전체 식물체에서 50 ~ 70%가 병듦; 4 = 전체 식물체에서 70 ~ 90%가 병듦; 및 5 = 죽은 식물). 이와 같은 방법으로, 파로모마이신을 고추역병 발병 후에도 처리하여 발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2, 도 2 및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파로모마이신을 처리하지 않은 음성대조군의 발명도 및 병든 식물체 비율이 각각 83% 및 100%인 반면에, 파로모마이신은 고추역병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1 ppm의 파로모마이신을 처리한 경우, 전처리 및 후처리에 대한 발병도가 각각 20.0% 및 6.7%로 나타났고, 병든 식물체(diseased lants) 비율은 각각 50% 및 33.3%로 확인되었다. 1 ppm 보다 고농도(10 내지 1000 ppm)의 파로모마이신 처리에 의해서는 오히려 발병도 및 병든 식물체의 비율이 이보다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0.1 ppm에서도 후-처리시 발병도 및 병든 식물체의 비율이 1 ppm에서보다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나, 1 ppm의 파로모마이신이 저해 효과가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됨으로써, 고추역병 저항성의 유도제로 가장 최적의 농도임을 확립하였다.
처리
(ppm)
발병도(%) 병든 식물체(%)
전-처리 후-처리 전-처리 후-처리
음성대조군 83.3 81.7 100.0 100.0
Dimethomorp 1 0.0 33.3 0.0 33.3
파로모마이신



0.1 20.0 53.3 50.0 66.7
1 20.0 6.7 50.0 33.3
10 16.7 68.3 66.7 83.3
100 51.7 60.0 66.7 100.0
1000 38.3 28.3 66.7 66.7
<4-2> 파로모마이신의 토양 관주에 따른 고추역병에 대한 유도저항성 증진 효과
상기 실시예 4-1과 동일한 방법으로 파로모마이신을 고추 식물체에 처리하였고, 잎에 분무하는 방법 대신에 토양 관주 방법으로 토양에 파로모마이신을 공급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3 및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분무 방법에 따른 결과와 동일하게 1 ppm의 파로모마이신을 처리한 경우가 가장 효과적인 발병도 및 병든 식물체 감소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토양 관주 방법에 있어서도 1 ppm의 파로모마이신이 고추역병 저항성 유도제로서 최적의 농도임을 확인하였다.
처리
(ppm)
발병도(%) 병든 식물체(%)
음성대조군 83.3 100.0
Dimethomorp 3.3 33.3
파로모마이신



0.1 38.3 66.7
1 20.0 50.0
10 45.0 83.3
100 88.3 100.0
1000 40.0 83.3
파로모마이신의 담배 식물체에 대한 유도저항성 유도
<5-1> 파로모마이신의 담배 식물체에 대한 피토프토라 캡사이시 저항성 증진 효과
파로모마이신의 담배 식물체에 대한 유도저항성 증진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0.1 내지 1000 ppm의 파로모마이신을 담배 식물체에 침투시킨 후 7일 뒤에 P. capsici를 상기 식물체에 접종시켰다. 이때, BTH를 양성 대조군으로, 물은 음성 대조군으로서 사용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파로모마이신은 P. capsici로 인한 담배 무름병 저항성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0.1 내지 1000 ppm 농도의 파로모마이신은 발병도를 현저히 감소시켰고, 양성 대조군인 BTH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낮은 농도의 파로모마이신은 담배 식물체에 대해서도 P. capsici에 대한 유도저항성 유도제로서 효과를 가짐을 확인하였다(표 4).
처리 (ppm) 발병도 (%)
음성 대조군 85.0
BTH 0.1 18.3
파로모마이신



0.1 35.0
1 46.7
10 88.3
100 32.5
1000 17.5
<5-2> 담배 생물검정 및 GUS 분석을 통한 파로모마이신의 유도저항성 증진 효과의 확인
파로모마이신의 유도저항정 증진 효과를 형질전환 담배에서 확인하기 위하여, B-글루쿠로니다제(B-glucuronidase, GUS)가 PR-1a(Pathogenesisrelated protein) 유전자의 프로모터에 연결된 유전자, 또는 PDF 1.2(Plant Defensin 1.2) 유전자 중 어느 하나를 발현하는 형질전환 담배 식물체를 사용하였다. 심은 뒤 3일 된 담배 식물체에 다양한 농도(0.1, 1, 10, 100 및 1000 ppm)의 파로모마이신을 침투시켰다. 0.1 mM의 벤조티아디아졸(Benzothiadiazole, BTH)을 양성 대조군으로써 사용하였다. 그런 다음 처리 후 12 또는 24시간 후에 상기 식물체를 수득하였다. GUS 활성은 Jefferson(Jefferson, R. A., 1987, Plant Mol. Biol, Reptr. 5:387-405) 및 Park & Kloepper(Park, K. S. and Kloepper, J. W., 2000, Biol. Control, 18:2-9)가 보고한 형광분석법(fluorometric assay)을 사용하여 어린 잎에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 파로모마이신을 처리한 경우 GUS 활성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담배에서 다량 존재하고 항진균성 활성을 나타내는 PR-1a 유전자 또는 항진균성 단백질인 PDF1.2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파로모마이신의 세균성무름병균 저항성 증진 효과
상기 실시예 <5-1>의 방법에 따라, 파로모마이신의 세균성무름병균(Erwinia carotovora subsp. carotovora SCC1)에 대한 유도저항성 증진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때, 식물체로서 오이를 사용하였고, 식물 병원균으로서는 세균성무름병균 SCC1(Erwinia carotovora subsp. carotovora SCC1)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5 및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1.0 ppm의 파로모마이신은 세균성무름병균 SCC1으로 인한 오이 무름병 저항성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1.0 ppm 보다 저농도 또는 고농도의 파로모마이신을 처리한 경우에는 양성대조군보다 병든 식물체의 비율이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무름병에 대한 저항성 유도를 위한 최적의 파로모마이신 농도는 1.0 ppm임을 확인하였다(표 5).
처리 (ppm) 병든 식물체(%)
음성대조군 58.33
BTH 0.1 62.50
파로모마이신



0.1 86.67
1.0 20.83 *
10.0 90.00
100.0 65.83
1000.0 88.33
LSD(p=0.05) 37.71
파로모마이신의 유도저항성 증진 활성의 확인
<7-1> 애기장대 식물체의 재배
파로모마이신의 유도저항성 증진 활성에 의한 항진균성 유전자의 발현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애기장대 야생형(Col-0) 및 형질전환주(부모 애기장대 생태형으로부터 유래된 PR 유전자를 발현할 수 없게 하는 nahG 유전자로 형질전환된 애기장대)를 사용하였다. 애기장대는 고추, 담배 등의 작물과는 달리 병저항성 발현 기작을 확인할 수 있는 변이주가 풍부하여 기존에 병저항성 연구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애기장대는 오하이오주립대학교 스톡 센터(Ohio State University Stock Center, 오하이오주립대학교, 콜롬비아)로부터 수득하였고, 상기 NahG 형질전환 식물은 살리실산염 디하이드로게나제(salicylate dehydrogenase)를 암호화하고 SA를 분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Delaney et al., 1995). 애기장대 종자를 표면 살균(70% 에탄올에 2분간 침지하고 1% 차아염소산나트륨(sodium Hypochlorite)에 20분간 침지하고 살균된 증류수에 4회 세척한 후, 0.8% 아가 및 1.5% 수크로스가 포함되고 pH 5.7로 조절된 절반 농도의 MS(Murashige-Skoog) 배지(GIBCO/BRL)가 담긴 페트리 접시에 올려놓은 후, 빛을 차단한 4℃ 상태에서 2일간 싹의 형성을 촉진하여 묘목을 제조하였다. 그런 다음, 상기 묘목을 12시간-빛(light)/12시간-암(dark) 주기로 설정된 성장 캐비넷에 넣고 40-W 형광등 하에서 방치하였다. 상대습도 50 내지 60%에서, 온도는 22 ± 1℃로 유지하였다. 2주 후, 상기 묘목을 24시간의 간격을 두고 1시간 동안 2회 고압증기멸균된 화분용 영양토(potting soil) 혼합물이 포함된 60 ㎖의 화분에 옮겨심었다. 상기 묘목을 화분에 옮겨심기 전에, 상기 화분용 영양토는 B1 균주 현탁액 또는 동일 용량의 10 mM MgSO4 중 어느 하나로 처리하였다. 자란 식물체는 70%의 상대습도 하에서 9시간 주(200 μE/㎡s, 24℃) 및 15시간 야(20℃) 주기로 성장 챔버에서 재배하였다. 상기 식물체는 격일로 물을 주었고 일주일에 한번 변형된 절반 농도의 호글랜드 영양분 용액(Hoagland nutrient solution)을 처리하였다. 2주 후, 상기 애기장대 식물체에 0.1, 1.0 또는 10 ppm의 파로모마이신을 토양관주하였다.
<7-2> 파로모마이신에 의한 방어유전자 발현 변화의 확인
상기 실시예 <7-1>의 애기장대 식물체에 파로모마이신을 토양관주한 뒤 12시간 또는 24시간 후, RNA 분석을 위하여 상기 식물체로부터 잎 조직을 수득하였다. 애기장대의 총 RNA는 적어도 2 g의 얼린 조직을 동일 용량의 추출 완충용액(0.35 M Glycine, 0.048 M NaOH, 0.34 M NaCl, 0.04 M EDTA, 4% (w/v) SDS)에 균질화하여 추출하였다. 그런 다음, 균질 현탁액을 페놀 및 클로로포름을 사용하여 추출하였고, RNA는 LiCl로 침전시켰다. RT-PCR은 Kishimoto가 실시하였던 방법에 따라 Ex Taq polymerase(Takara Biomedicals, Japan)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Kishimoto, K. et al., 2005. Plant Cell Physiol, 46:1093-1102). 반응 혼합물은 20 ㎕의 완충용액에 cDNA 0.1 ㎍, 정방향 및 역방향 프라이머 각각 10 pmol, dNTP 250 nmol, 및 0.5U의 Ex Taq polymerase를 포함하도록 제조하였다. 상기 PCR은 MJ Research(PTC-100, USA)를 사용하여 수행하였고, 94℃에서 5분간 처리한 후, 94℃에서 1분, 57℃에서 1분간 처리하는 것을 25 사이클 실시하였고, 최종 72℃에서 10분간 연장반응을 실시하였다. 방어 유전자에 대한 프라이머는 PDF1.2 유전자에 대한 프라이머로써, 정방향 프라이머 5'-TGCGGTAACACCGAACCATAC-3'(서열번호 1) 및 역방향 프라이머 5'-CGACAGTTGCATTGGTCCTCT-3'(서열번호 2)을 사용하였고, PR-1a 유전자에 대한 프라이머로써, 정방향 프라이머 5'-AACCGCCAAAAGCAAACGCA-3'(서열번호 3) 및 역방향 프라이머 5'-TCACGGAGGCACAACCAAGTC-3'(서열번호 4)을 사용하였다. 증폭된 PCR 산물은 1.2% 아가로스 젤을 사용하여 분석하여 상기 젤을 기록하였다(LAS-3000, Fuji photo film Co. LTD., Japan).
그 결과,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애기장대 야생형에서는 파로모마이신을 처리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파로모마이신을 처리한 경우 항진균성 유전자인 PR1 및 PDF1.2의 발현이 증가하였다. 반면에 nahG 형질전환주에서는, PR 유전자가 발현할 수 없게 형질전환되어 있으므로, 파로모마이신 처리에 의해서도 PR1 유전자의 발현은 나타나지 않았으나 PDF1.2 유전자의 발현은 파로모마이신 무처리군에 비해 증가하였다. 이때, 1.0 ppm 농도의 파로모마이신을 처리한 경우 유전자의 발현이 가장 증가된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6).
<110>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120> Elicitor of induced systemic resistance against plant diseases comprising paromomycin <130> 10p-07-58 <160> 4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DF1.2 forward primer <400> 1 tgcggtaaca ccgaaccata c 21 <210> 2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DF1.2 reverse primer <400> 2 cgacagttgc attggtcctc t 21 <210> 3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1a forward primer <400> 3 aaccgccaaa agcaaacgca 20 <210> 4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1a reverse primer <400> 4 tcacggaggc acaaccaagt c 21

Claims (12)

  1. 파로모마이신(paromomycin)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물병 저항성 유도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로모마이신은 0.1 내지 1 ppm 농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병 저항성 유도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로모마이신은 스트렙토마이세스 속(Streptomyces sp.) 균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병 저항성 유도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렙토마이세스 속 균주는 Streptomyces sp . AMG-P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병 저항성 유도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병은 고추역병 또는 무름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병 저항성 유도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고추역병은 피토프토라 캡사이시(Phytophthora capsici)에 기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병 저항성 유도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무름병은 어위니아 카로토보라 카로토보라(Erwinia carotovora subsp . carotovora)에 기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병 저항성 유도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로모마이신은 엽면살포제, 관주살포제, 토양개량제 또는 퇴비부숙제의 유효성분으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병 저항성 유도제.
  9. 파로모마이신(paromomycin)을 식물체 또는 그의 서식지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병 저항성 유도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파로모마이신은 0.1 내지 1 ppm 농도로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병 저항성 유도 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체는 고추(Capsicum annuum L.), 담배 또는 오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병 저항성 유도 방법.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병은 고추역병 또는 무름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병 저항성 유도 방법.
KR1020100103630A 2010-10-22 2010-10-22 파로모마이신을 포함하는 식물병 저항성 유도제 KR201200421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3630A KR20120042118A (ko) 2010-10-22 2010-10-22 파로모마이신을 포함하는 식물병 저항성 유도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3630A KR20120042118A (ko) 2010-10-22 2010-10-22 파로모마이신을 포함하는 식물병 저항성 유도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2118A true KR20120042118A (ko) 2012-05-03

Family

ID=46262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3630A KR20120042118A (ko) 2010-10-22 2010-10-22 파로모마이신을 포함하는 식물병 저항성 유도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4211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33408A1 (ko) * 2021-08-30 2023-03-09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스트렙토마이세스 에스피 jck-6131 균주의 배양액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물 병해충 방제용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식물 병해충 방제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33408A1 (ko) * 2021-08-30 2023-03-09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스트렙토마이세스 에스피 jck-6131 균주의 배양액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물 병해충 방제용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식물 병해충 방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28966B (zh) 一种作物病害防治复合生物制剂及其应用
Yang et al. The inhibitory mechanisms by mixtures of two endophytic bacterial strains isolated from Ginkgo biloba against pepper phytophthora blight
JP5567634B2 (ja) バチルスバリスモルティスbs07m菌株、微生物製剤、及び作物育成方法
KR101313900B1 (ko) 푸자리시딘을 이용한 식물 보호 방법
US10426171B2 (en) Methods for prophylaxis of infections in crops and ornamentals, preferably in viticulture, and in woody plants
Deka et al. Optimization of culture parameters for improved production of bioactive metabolite by endophytic Geosmithia pallida (KU693285) isolated from Brucea mollis Wall ex. Kurz, an endangered medicinal plant.
Solanki et al. Actinomycetes bio-inoculants: A modern prospectus for plant disease management
US20220104487A1 (en) Pseudomonas strains and their metabolites to control plant diseases
Radjacommare et al. PGPR mediates induction of pathogenesis-related (PR) proteins against the infection of blast pathogen in resistant and susceptible ragi [Eleusine coracana (L.) Gaertner] cultivars
Qian et al. Biocontrol of citrus canker with endophyte Bacillus amyloliquefaciens QC-Y
KR101922410B1 (ko) 바실러스 오리지콜라 yc7011이 생산하는 식물 병해충 방제 효과를 나타내는 기주 저항성 유도 신규 물질
Diby et al. Bacillus vallismortis EXTN-1-mediated growth promotion and disease suppression in rice
Shobha et al. Induction of systemic resistance by rhizobacterial and endophytic fungi against foot rot disease of Piper nigrum L. by increasing enzyme defense activity
KR20190086947A (ko) 식물병 방제 효과를 가지는 얼위니아 게런덴시스(Erwinia gerundensis) KUDC9201 균주 및 이의 이용
KR20120042118A (ko) 파로모마이신을 포함하는 식물병 저항성 유도제
Zang et al. Evaluation of imide substance from Streptomyces atratus PY-1 for the biocontrol of Phytophthora blight
Chu et al. Bacillus velezensis HN-2 crude extract inhibits Erysiphe quercicola infection of rubber tree leaves
Baskaran et al. Screening of microbial metabolites and bioactive components
KR102604427B1 (ko) 트리코더마 롱기브라키아툼 균주를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물병 방제 방법
Chowdhury et al. Plant growth promotion and antifungal activities of the mango phyllosphere bacterial consortium for the management of Fusarium wilt disease in pea (Pisum sativum L.)
Ajuna et al. The prospect of antimicrobial peptides from Bacillus species with biological control potential against insect pests and diseases of economic importance in agriculture, forestry and fruit tree production
KR102670172B1 (ko) 트리코더마 롱기브라키아툼 균주로부터 유래된 살균 화합물을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물병 방제 방법
Novikova et al. The use of chitosan salicylate to increase the biological efficiency of vitaplan against Cochliobolus sativus
CN111295388B (zh) 脂肪酸的糖苷化合物,包含其的组合物,其获得方法以及将其施加于植物或果实上或者同时施加于二者上的方法
Rai et al. Management of Alternaria leaf blight (Alternaria alternata) of Aloe vera by talc-based formulation of a potential antagoni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317

Effective date: 20150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