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0860A - 인식가능코드를 이용한 곡물 퍼핑장치 - Google Patents

인식가능코드를 이용한 곡물 퍼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0860A
KR20120040860A KR1020100102341A KR20100102341A KR20120040860A KR 20120040860 A KR20120040860 A KR 20120040860A KR 1020100102341 A KR1020100102341 A KR 1020100102341A KR 20100102341 A KR20100102341 A KR 20100102341A KR 20120040860 A KR20120040860 A KR 201200408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oking
puffing
identification number
auxiliary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2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낙수
Original Assignee
이낙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낙수 filed Critical 이낙수
Priority to KR1020100102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40860A/ko
Publication of KR20120040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08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61Puffed cereals, e.g. popcorn or puffed ric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30Puffing or expan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06K17/0016Selecting or retrieving of images by means of their associated code-marks, e.g. coded microfilm or microfich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식가능코드를 이용한 곡물 퍼핑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인식가능코드가 부착된 용기, 상기 용기로부터 인식가능코드를 판독하는 판독부, 상기 용기에 저장된 식재료를 퍼핑유닛으로 전달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로부터 전달된 식재료를 퍼핑시키는 퍼핑유닛, 상기 판독된 인식가능코드를 분석하여 조리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조리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퍼핑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인식가능코드를 이용한 곡물 퍼핑장치{Grain Popping apparatus using codes}
본 발명은 곡물 퍼핑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형태의 곡물(예; 쌀, 보리, 콩, 옥수수)을 조리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조리하여 제공하는 곡물 퍼핑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인식가능코드를 이용한 곡물 퍼핑장치에 관한 것이다.
곡물 퍼핑장치는 곡물을 투입한 용기본체를 밀폐시켜 가열함으로써 용기본체 내부 압력을 상승시킨 후 뚜껑을 갑자기 열어 곡물의 부피를 부풀리는 과정을 통해 곡물을 조리하는 장치이다.
최근 자동화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다양한 종류의 자동조리기가 개발되고 있으며, 일반적인 커피머신, 라면자판기뿐 아니라, 뻥튀기자판기도 등장하였다.
일반적인 자동조리기는 조리정보를 기기 내에 저장하고, 저장된 조리정보를 제어하여 조리하는 형태이며, 하드웨어(machine)에 의존적이다.
따라서, 통상의 자동조리기는 식재료에 따른 조리법이 고정되어 있어, 해당 조리법에 변화가 있을 경우, 자동조리기의 하드웨어적인 업데이트가 필요하다.
또한, 종래의 자동조리기는 선택가능 메뉴에 대해 제어버튼(플라스틱버튼) 등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있어, 새로운 메뉴가 추가될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물리적으로 변경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터치스크린 화면을 제공하여 소프트웨어적으로 제어하는 자동조리기가 등장하고 있으나, 새로운 메뉴가 추가 될 경우, 조리법을 자동조리기에 갱신해줘야 하는 불편은 여전하다.
종래의 자동조리기는 식재료를 자동조리기 내에 보관?저장하여 신선도, 유통기한, 위생 문제 등이 있어왔다. 식재료를 자동조리기 내부에 저장함으로써, 자동조리기의 부피를 키우고, 주기적으로 식재료를 공급해야 하는 관리상의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식가능코드에 저장된 조리정보를 이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곡물을 조리할 수 있는 곡물 퍼핑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식재료를 용기에 저장하여 별도로 판매함으로써, 곡물 퍼핑장치를 단순화하여 크기를 줄이고, 식재료의 부패 및 유통기한 도과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곡물 퍼핑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식가능코드로부터 추출한 식별번호를 이용하여, 이미 사용된 식별번호의 재사용을 방지하도록 제어하는 곡물 퍼핑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식가능코드로부터 추출한 식별번호의 사용가능 여부를 서버로부터 검증 받아, 이미 사용된 식별번호의 재사용을 방지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서버로부터 최신 조리정보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받아, 새로운 식재료를 조리할 수 있는 곡물 퍼핑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인식가능코드가 부착된 용기, 상기 용기로부터 인식가능코드를 판독하는 판독부, 상기 용기에 저장된 식재료를 퍼핑유닛으로 전달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로부터 전달된 곡물을 퍼핑시키는 퍼핑유닛, 상기 판독된 인식가능코드를 분석하여 조리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조리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퍼핑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조리번호 및 상기 조리번호와 연관된 조리정보를 저장하는 보조저장부,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독된 인식가능코드를 분석하여 조리번호를 추출하고, 상기 보조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조리번호에 연관된 조리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퍼핑유닛을 제어하는 특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식별번호데이터를 저장하는 보조저장부,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독된 인식가능코드를 분석하여 식별번호를 추출하고, 상기 보조저장부에 저장된 식별번호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추출된 식별번호에 해당하는 용기가 이미 사용된 적이 있는지 판단하여, 상기 식별번호에 해당하는 용기가 사용된 적이 없는 경우에만 상기 퍼핑유닛이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특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통신망을 통해 원격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데이터 통신처리부,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조저장부에 저장된 식별번호데이터를 상기 데이터통신처리부를 통해 원격지의 중앙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중앙서버로부터 통합?관리되는 식별번호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보조저장부에 저장된 식별번호데이터를 갱신하는 특징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조리번호, 상기 조리번호와 연관된 조리정보 및 곡물 퍼핑장치의 버전정보를 저장하는 보조저장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통신망을 통해 원격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데이터 통신처리부,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조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곡물 퍼핑장치의 버전정보를 데이터 통신처리부를 통해 원격지의 중앙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중앙서버로부터 최신버전의 업데이트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보조저장부의 데이터를 갱신하도록 제어하는 특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용기에 저장된 식재료의 정보 및 상기 식재료를 이용하여 조리된 조리물의 정보를 포함하는 인쇄물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인식가능코드에 저장된 조리정보를 이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곡물을 조리할 수 있는 곡물 퍼핑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식재료를 용기에 저장하여 별도로 판매함으로써, 곡물 퍼핑장치를 단순화하여 크기를 줄이고, 식재료의 부패 및 유통기한 도과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곡물 퍼핑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식가능코드로부터 추출한 식별번호를 이용하여, 이미 사용된 식별번호의 재사용을 방지하도록 제어하는 곡물 퍼핑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식가능코드로부터 추출한 식별번호의 사용가능 여부를 서버로부터 검증 받아, 이미 사용된 식별번호의 재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버로부터 최신 조리정보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받아, 새로운 식재료를 조리할 수 있는 자동조리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식가능코드를 이용한 곡물 퍼핑장치의 전체 구조를 나타낸 정단면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식가능코드를 이용한 곡물 퍼핑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식가능코드를 이용한 곡물 퍼핑장치의 기본적인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식가능코드를 이용한 곡물 퍼핑장치에서, 보조저장부를 이용한 자동조리기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식가능코드를 이용한 곡물 퍼핑장치에서, 데이터통신을 통해 최신데이터를 업데이트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인식가능코드를 이용한 자동조리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식가능코드를 이용한 곡물 퍼핑장치의 전체 구조를 나타낸 정단면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식가능코드를 이용한 곡물 퍼핑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식가능코드를 이용한 제조장치(200)는 판독부(201), 공급부(202), 퍼핑유닛(203), 제어부(204), 보조저장부(205), 데이터 통신처리부(206), 출력부(207)를 포함하고, 인식가능코드가 부착된 용기(100)를 통해 식재료를 공급받는다.
용기(100)에 부착된 인식가능코드(101)는 바코드, QR코드와 같이 식별가능한 이미지객체로서, 식별번호, 조리번호, 조리정보 등을 담고 있다.
판독부(201)는 상기 용기에 부착된 인식가능코드(101)를 판독하고, 판독된 데이터를 제어부(205)로 전달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해당하는 인식가능코드(101)로 QR코드를 이용할 경우, 판독부(201)에 의해 QR코드를 읽어들이고, 제어부(204)는 QR코드에 포함된 정보를 분석한다.
QR코드에 저장되어 분석되는 정보로는 식재료가 저장되어 판매된 용기의 식별번호, 식재료의 식별정보를 담고 있는 조리번호, 식재료의 조리방법 등의 데이터를 담고 있는 조리정보 등이 있다.
상기 식별번호는, 식별가능한 제품번호로서, 판매된 제품을 관리하고, QR코드가 부착된 용기에 식재료를 리필하여 재사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어야 하므로, 유일한(unique) 번호이어야 한다.
상기 조리번호는, 자동조리될 음식물을 식별하는 정보로써, 쌀, 보리, 콩 등의 식재료 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번호가 된다. 상기 조리정보는, 식재료를 조리하는 방법으로 압력, 온도 및 가열시간 등의 정보가 되고, 상기 조리방법을 이용하여 제어부가 퍼핑유닛을 제어하여 식재료를 자동 조리하게 된다.
공급부(202)는 상기 용기(100)에 저장된 식재료를 퍼핑유닛(203)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구성요소로, 제어부(204)의 제어에 따라, 식재료를 분할해서 퍼핑유닛(203)에 전달할 수도 있다.
보조저장부(205)는 일반적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저장하기 위한 파일시스템, 메모리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식별번호데이터, 조리번호, 조리정보 등을 저장하여 사용하며, 상기 조리번호와 조리정보는 서로 연관되어 저장된다. 식별번호는 묶음으로써 식별번호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통신부(206)는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자동조리기가 통신망을 통해 원격지 서버와 연결되어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게 해준다.
출력부(207)는 상기 용기(100)의 내용물(식재료), 조리된 조리물 등의 정보를 출력해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상기 내용을 인쇄물의 형태로 출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정보가 인쇄된 스티커를 출력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인쇄된 스티커를 조리된 조리물이 포장된 비닐 등에 부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식가능코드(101)를 이용한 곡물 퍼핑장치의 기본적인 동작 흐름도이다.
곡물 퍼핑장치에 QR코드가 부착된 용기가 투입되면(S310), 판독부가 용기(100)에 부착된 QR코드를 판독하고(S320), 제어부(204)는 판독된 QR코드를 분석해서 조리정보를 추출하게 된다(S330). 이후, 제어부(204)는 상기 공급부(202)를 제어하여 식재료를 퍼핑유닛(203)으로 전달하고(S340), 상기 조리정보를 이용하여 퍼핑유닛(203)을 제어함으로써, 퍼핑을 하게 된다(S350).
상기 QR코드에는 식별번호, 조리번호, 조리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 조리정보만 포함하는 구성, 조리번호만 포함하는 구성, 식별번호 및 조리정보를 포함하는 구성, 식별번호 및 조리번호를 포함하는 구성 등이 있다.
조리음식 조리번호 식별번호 조리정보
쌀뻥튀기 R101 123331 쌀뻥튀기에 대한 조리정보로 온도, 압력, 가열시간 등의퍼핑유닛 제어정보
콩뻥튀기 R102 129020 콩을 용한 뻥튀기에 대한 조리정보
[QR코드에 포함되는 정보의 예]
상기 표1은 QR코드에 포함될 수 있는 정보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식별번호는 판매된 제품(식재료가 포함된 용기)의 제품번호이며, 조리번호는 조리될 대상물에 대한 식별번호로, 판매된 제품이 동일한 식재료를 저장하고 있는 경우, 같은 조리번호를 갖게 된다. 상기 표1에서는 QR코드 내에서 상기 식별번호와 조리번호를 구분해서 설명하고 있지만, 식별번호 내에 조리번호 정보를 포함시켜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예에서 쌀뻥튀기는 조리번호 "R101", 식별번호 "123331" 이지만, 통칭하여 식별번호를 "R101123331"로 부여하고, 제어부에서 필요에 따라, 식별번호에서 조리번호 "R101"을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식별번호는 임의생성이 불가능하도록, 체크성 정보를 포함하는 등의 공지의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식별번호의 도용 및 복제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인식가능코드를 이용한 곡물 퍼핑장치 중 가장 기본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QR코드에 식재료에 대한 조리정보를 저장하여, 곡물 퍼핑장치가 QR코드의 조리정보에 의해 조리를 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해당하는 곡물 퍼핑장치를 이용하여 설명을 하면 아래와 같다.
곡물 퍼핑장치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쌀이 주원료로 들어 있는 "쌀 뻥튀기용 용기"를 구입하고, 상기 구입한 용기(100)를 자동조리기에 투입하여 식재료(쌀)를 조리한다. 용기(100)에 부착된 QR코드에는 "쌀 뻥튀기의 조리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판독부(201)에 의해 판독되어 제어부로 전달된다. 제어부(204)는 QR코드에서 "쌀 뻥튀기의 조리정보"로 압력, 온도 및 가열시간 등의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를 이용하여 퍼핑유닛을 제어하여 쌀 뻥튀기를 제조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 QR코드에서 조리번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조리번호에 해당하는 조리정보를 보조저장부로부터 읽어 들여, 상기 퍼핑유닛을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QR코드에는 조리번호만이 포함되고, 조리번호에 대응하는 조리정보는 보조저장부에 조리번호와 연관하여 저장된다.
QR코드에는 "쌀 뻥튀기의 조리번호(예를 들어, R101)" 가 저장되어 있고, 제어부(204)는 "R102"에 연관된 조리정보를 보조저장부(205)에서 읽어들여 퍼핑유닛(203)을 제어함으로써 자동조리를 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식가능코드(101)를 이용한 곡물 퍼핑장치에서, 보조저장부(205)를 이용한 곡물 퍼핑장치의 동작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식가능코드를 이용한 곡물 퍼핑장치에서, 데이터통신을 통해 최신데이터를 업데이트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 및 도 5의 흐름도는 도3의 기본 구성에 보조저장부(205) 및 데이터 통신처리부(206)를 이용하여, 보다 효율적인 조리정보 관리 및 용기의 중복사용 방지를 위한 구성이 추가된 도면이다.
곡물 퍼핑장치에 QR코드가 부착된 용기(100)가 투입되면(S410), 판독부(201)가 용기(100)에 부착된 QR코드를 판독하고(S420), 제어부(204)는 판독된 QR코드를 분석해서 식별번호를 추출하게 된다(S430). 이후, 제어부(204)는 상기 식별번호에 해당하는 식재료가 조리되었는지를 확인하여(S440), 상기 식별번호가 사용되었다면 퍼핑유닛(203)의 작동 없이, 종료하게 된다. 만약 사용되지 않은 식별번호라면, 상기 식별번호의 사용정보를 보조저장부(205)에 저장하고(S450), 공급부(202)를 통해 용기에 저장된 식재료를 퍼핑유닛(203)으로 전달하여(S460), 퍼핑유닛(203)을 통해 조리하게 된다(S470).
제어부(204)는 조리정보를 이용하여 퍼핑유닛(203)을 제어하는데(S470), 상기 조리정보는 S430단계에서 제어부가 추출한 조리정보일 수 있지만, 도 3에서의 구성과 같이 식별번호를 이용하여 보조저장부(205)에서 읽어온 조리정보일 수도 있다.
투입된 용기(100)의 재사용여부에 대한 검증을 곡물 퍼핑장치가 아닌 원격지의 서버를 이용하여 할 수도 있다.
곡물 퍼핑장치는 보조저장부(205)에 저장되어 있는 식별번호데이터를 원격지의 중앙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중앙서버는 곡물 퍼핑장치로부터 수신된 식별번호데이터를 취합하여, 식별번호의 사용여부가 포함된 식별번호데이터를 상기 곡물 퍼핑장치로 송신하게 된다.
곡물 퍼핑장치는 상기 중앙서버로부터 수신된 식별번호데이터를 보조저장부(205)에 저장(갱신)함으로써, 타 곡물 퍼핑장치에서 사용된 용기의 식별번호를 재사용하거나, 유효하지 않은 식별번호의 사용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원격지서버는 곡물 퍼핑장치로부터 수신된 식별번호를 통합?관리하는 역할 이외에 곡물 퍼핑장치의 보조저장부에 저장된 조리정보, 곡물 퍼핑장치의 버전정보 등의 관리/갱신 작업을 할 수 있다.
곡물 퍼핑장치의 보조저장부(205)에 저장된 조리정보의 업데이트 요청이 있을 경우, 곡물 퍼핑장치는 상기 제조장치의 버전을 중앙서버로 송신하고(S510), 상기 중앙서버에서는 곡물 퍼핑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조장치의 버전이 최신 버전인지 판별하여(S520), 최신버전이 아닌 경우 업데이트 데이터를 곡물 퍼핑장치로 송신하게 된다(S540).
상기 업데이트 데이터는 최신 조리정보 데이터, 기타 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 데이터 등이 될 수 있으며, 상기 과정을 통해 전국 각지의 곡물 퍼핑장치를 통합 관리할 수 있다.
곡물 퍼핑장치의 활용 예로는 자판기(자동판매기) 및 가정용 자동조리기등이 있다. 종래의 자판기는 재료에 따른 조리법이 자판기에 의존하여 고정되어있는 반면에, 본 발명은 식재료와 자판기를 분리하고, 조리법(조리정보)이 식재료가 저장된 용기에 저장될 수 있다는 점에서, 보다 다양한 식재료를 자동조리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자판기가 식재료를 보관?관리하는 과정에서 위생문제, 식재료 부패문제, 유통기한 도과 문제 등이 발생할 수 있는 반면에, 본발명은 식재료를 용기에 담아 별도로 판매?관리한다는 점에서, 상기 식재료 관리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자판기와 식재료를 분리함으로써, 자판기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 자판기를 설치?관리하는 부분에서도 종래의 자판기에 비해 개선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 판매자는 인식가능코드가 부착된 용기를 판매하여 수익을 얻고, 구매자는 상기 용기를 구매한 후 곡물 퍼핑장치를 이용하여 자동조리 음식을 제공받을 수 있는 구조가 있다.
이 과정에서, 용기의 중복사용으로 인한 수익 감소는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용기에 부착된 QR코드에 포함된 식별번호의 유효성 체크를 통해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곡물 퍼핑장치와 서버간의 통신을 통해, 식별번호의 유효성 체크 및 조리정보 등의 데이터를 중앙집중식으로 관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전국 각지에 산재해 있는 곡물 퍼핑장치를 관리함에 있어 인건비 절감 등의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인식가능코드가 부착된 용기101 : 인식가능코드
201 : 판독부202 : 공급부
203 : 퍼핑유닛204 : 제어부
205 : 보조저장부206 : 데이터 통신처리부
207 : 출력부

Claims (6)

  1. 인식가능코드가 부착된 용기;
    상기 용기로부터 인식가능코드를 판독하는 판독부;
    상기 용기에 저장된 식재료를 퍼핑유닛으로 전달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로부터 전달된 식재료를 퍼핑시키는 퍼핑유닛; 및
    상기 판독된 인식가능코드를 분석하여 조리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조리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퍼핑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인식가능코드를 이용한 곡물 퍼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조리번호 및 상기 조리번호와 연관된 조리정보를 저장하는 보조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독된 인식가능코드를 분석하여 조리번호를 추출하고, 상기 보조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조리번호에 연관된 조리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퍼핑유닛을 제어하는, 인식가능코드를 이용한 곡물 퍼핑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식별번호데이터를 저장하는 보조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독된 인식가능코드를 분석하여 식별번호를 추출하고, 상기 보조저장부에 저장된 식별번호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추출된 식별번호에 해당하는 용기가 이미 사용된 적이 있는지 판단하여, 상기 식별번호에 해당하는 용기가 사용된 적이 없는 경우에만 상기 퍼핑유닛이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인식가능코드를 이용한 곡물 퍼핑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통신망을 통해 원격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데이터 통신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조저장부에 저장된 식별번호데이터를 상기 데이터통신처리부를 통해 원격지의 중앙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중앙서버로부터 통합?관리되는 식별번호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보조저장부에 저장된 식별번호데이터를 갱신하는 특징을 더 포함하는, 인식가능코드를 이용한 곡물 퍼핑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조리번호, 상기 조리번호와 연관된 조리정보 및 곡물 퍼핑장치의 버전정보를 저장하는 보조저장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통신망을 통해 원격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데이터 통신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조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곡물 퍼핑장치의 버전정보를 데이터 통신처리부를 통해 원격지의 중앙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중앙서버로부터 최신버전의 업데이트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보조저장부의 데이터를 갱신하도록 제어하는 특징을 더 포함하는, 인식가능코드를 이용한 곡물 퍼핑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에 저장된 식재료의 정보 및 상기 식재료를 이용하여 조리된 조리물의 정보를 포함하는 인쇄물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인식가능코드를 이용한 곡물 퍼핑장치.
KR1020100102341A 2010-10-20 2010-10-20 인식가능코드를 이용한 곡물 퍼핑장치 KR201200408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2341A KR20120040860A (ko) 2010-10-20 2010-10-20 인식가능코드를 이용한 곡물 퍼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2341A KR20120040860A (ko) 2010-10-20 2010-10-20 인식가능코드를 이용한 곡물 퍼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0860A true KR20120040860A (ko) 2012-04-30

Family

ID=46140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2341A KR20120040860A (ko) 2010-10-20 2010-10-20 인식가능코드를 이용한 곡물 퍼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4086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0137B1 (ko) * 2012-12-31 2014-07-24 서민호 용기 식별 기능을 가진 라면 조리기
KR20210049408A (ko) * 2019-10-25 2021-05-06 장동혁 통곡물 베이스 퍼핑 장치를 이용하는 통곡물 퍼핑 과자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통곡물 퍼핑 과자
KR102250892B1 (ko) * 2020-08-19 2021-05-17 주식회사 팜킷 주문 데이터에 따라 적응적으로 복수의 식품들을 조합하는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0137B1 (ko) * 2012-12-31 2014-07-24 서민호 용기 식별 기능을 가진 라면 조리기
KR20210049408A (ko) * 2019-10-25 2021-05-06 장동혁 통곡물 베이스 퍼핑 장치를 이용하는 통곡물 퍼핑 과자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통곡물 퍼핑 과자
KR102250892B1 (ko) * 2020-08-19 2021-05-17 주식회사 팜킷 주문 데이터에 따라 적응적으로 복수의 식품들을 조합하는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358495B (zh) 一种o2o餐饮的实现方法、服务器及智能烹饪装置
CN109685973B (zh) 一种可复用餐饮用具的回收方法及装置
KR101798616B1 (ko) 레시피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JP2000104927A (ja) 台所用電気製品のためのデ―タ処理装置
JP2015180293A (ja) コーヒーメーカー、およびそのネットワークによる方法および装置
CN111338222B (zh) 智能厨房的交互控制方法、装置及系统、存储介质、设备
US11761701B2 (en) Refrigerator inventory device
CN104103015A (zh) 一种口味信息识别码、应用服务器及应用终端
JP2015091418A (ja) ネットワーク用飲料マシン
CN106371337A (zh) 智能烹饪控制方法、智能厨房控制系统和智能厨房系统
US11494730B2 (en) Food inventory system and method
CN109979112B (zh) 基于智能回收装置回收可循环使用餐饮用具的方法及系统
CN108806095A (zh) 一种智能炒菜系统
KR20120040860A (ko) 인식가능코드를 이용한 곡물 퍼핑장치
WO2015085878A1 (zh) 一种方便菜与数字菜谱的权限控制方法、其系统及智能设备
US10120553B1 (en) User interface and controller for a heating system
JP2004310205A (ja) パーソナル食事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携帯端末並びにそれらに用いる記憶媒体
JP2015191576A (ja) 情報出力装置、情報出力方法、情報出力システム、端末及びプログラム
CN109541946A (zh) 服务器、烹饪装置、信息处理系统及服务器的控制方法
CN109740778B (zh) 数字化菜谱消费权限的控制方法及系统
CN108388151A (zh) 烹调设备控制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06575413A (zh) 管理系统
CN106131293A (zh) 一种手机控制智能咖啡机的系统
CN115062194A (zh) 菜谱推荐方法及装置
KR102370125B1 (ko) 레시피 기반 정보 컨텐츠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