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9351A - 영상 부호화 장치에서 매크로블록 모드 결정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 부호화 장치에서 매크로블록 모드 결정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9351A
KR20120039351A KR1020100101015A KR20100101015A KR20120039351A KR 20120039351 A KR20120039351 A KR 20120039351A KR 1020100101015 A KR1020100101015 A KR 1020100101015A KR 20100101015 A KR20100101015 A KR 20100101015A KR 20120039351 A KR20120039351 A KR 201200393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croblock
intra
flickering
mode
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1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승용
박국남
이호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창해에너지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창해에너지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창해에너지어링
Priority to KR1020100101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39351A/ko
Publication of KR20120039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93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03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 H04N19/11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among a plurality of spatial predictive coding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6Incoming video signal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 H04N19/137Motion inside a coding unit, e.g. average field, frame or block dif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인트라 플리커링 현상을 줄일 수 있는 인트라 매크로블록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매크로블록 모드 결정 방법은, 인트라 플리커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매크로블록인지를 판단하고, 매크로블록의 각 모드에서의 율-왜곡 코스트를 계산하되, 인트라 플리커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매크로블록에 대해서는 인트라 플리커링의 정도를 나타내는 값을 율-왜곡 코스트에 반영한다. 그리고 율-왜곡 코스트가 가장 작은 모드를 해당 매크로블록의 모드로 설정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트라 매크로블록 모드를 결정함에 있어서 인트라 플리커링이 어느 정도 발생할 것인지의 변수를 감안하여 결정하므로, 인트라 플리커링 현상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영상 부호화 장치에서 매크로블록 모드 결정 방법 및 그 장치 {METHOD FOR DECIDING MACROBLOCK MODE IN VIDEO CODING APPARATUS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영상 부호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영상 부호화 장치에서 인트라 매크로블록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동영상 부호화 표준으로는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에서 표준으로 제정한 MPEG과 ITUT(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Tele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Sector)의 H.26x 등이 있다. H.264/AVC(Advanced Video Coding) 표준은 상기 두 단체가 JVT(Joint Video Team)을 구성하여 제정한 동영상 부호화 표준이다.
H.264/AVC 표준에서는 종래의 다른 동영상 부호화 표준과 같이 블록기반 부호화 방식을 유지하면서 우수한 비트율 왜곡(Rate-Distortion) 성능을 보여준다. 이것은 H.264/AVC 표준이 공간 방향 인트라 예측, 가변 블록 움직임 보상, 다중 참조 프레임, 정수변환 부호화, 인 루프(in-loop) 디블록킹 필터, 이미 부호화된 주변 블록들의 특징을 이용하는 CAVLC(Context Adaptive Variable Length Coding), 기존의 산술 부호화 방식에 컨텍스트 모델링을 추가하여 추정된 심볼 확률분포 모델을 적응적으로 선택하는 CABAC(Context-based Adaptive Binary Arithmetic Coding)과 같은 새로운 기술들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H.264/AVC 표준은 다중 참조 프레임 방법과 가변 블록크기를 적용하여 매크로블록 모드를 결정하는데, 이는 프레임 간에 정교한 예측이 가능하여 종래 동영상 인코딩 방법보다 높은 부호화 효율을 갖는다.
H.264/AVC 표준에서의 매크로블록의 움직임 보상 블록 크기는 16x16부터 4x4 픽셀 단위까지 다양한 크기가 가능하며, 인터 예측시에 매크로블록은 SKIP 모드, P16x16 모드, P16x8 모드, P8x16 모드, P8x8 모드를 포함하는 인터모드(101)와 4x4 및 16x16 블록의 공간 예측인 I4MB, I16MB의 2가지 인트라모드(103)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인트라모드에서 매크로블록 모드를 결정하는 절차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H.264/AVC에 의하면, 현재 매크로블록이 FRExt(Fidelity Range Extension)을 사용하지 않고 인트라모드로 부호화된 경우에, 휘도의 인트라 예측에 따른 예측 블록은 각 4×4 블록(LumaIntra4×4, 이하 '휘도 4×4 블록'이라고도 한다) 단위로 형성되거나 또는 휘도 16×16 블록(LumaIntra16×16, 이하 '휘도 16×16 블록'이라고도 한다)에 대하여 형성된다. 색차의 경우에, 예측 블록은 전체 휘도 매크로블록(ChromaIntra8×8, 이하 '색차 8×8 블록'이라고도 한다)에 대하여 형성된다. H.264/AVC에서 이들 세 개의 인트라 매크로블록 모드들은 각각 다수의 예측 모드를 포함한다.
LumaIntra4×4에서는 총 9개의 예측 모드가 존재한다. 이 중에서 8개는 공간 방향으로 표시되는 예측 방향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나머지 하나는 DC 예측 모드이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예측 모드 0'은 수직(Vertical) 예측 모드이고, '예측 모드 1'은 수평(Horizontal) 예측 모드이며, '예측모드 2'는 DC 예측 모드이며, '예측 모드 3'은 대각 좌하(Diagonal down-left) 예측 모드이며, '예측 모드 4'는 대각 우하(Diagonal down-right) 예측 모드이며, '예측 모드 5'는 수직우(Vertical-right) 예측 모드이며, '예측 모드 6'은 수평하(Horizontal-down) 예측 모드이며, '예측 모드 7'은 수직좌(Vertical-left) 예측 모드이며, '예측 모드 8'은 수평상(Horizontal-up) 예측 모드이다.
LumaIntra16×16에서는 총 4개의 예측 모드가 존재한다. 이 중에서 3개는 공간 방향으로 표시되는 예측 방향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나머지 하나는 DC 예측 모드이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예측 모드 0'은 수직(Vertical) 예측 모드이고, '예측 모드 1'은 수평(Horizontal) 예측 모드이며, '예측 모드 2'는 DC 예측 모드이며, '예측 모드 3'은 평면(Plane) 예측 모드이다.
ChromaIntra8×8에서의 예측 모드는 LumaIntra16×16에서의 예측 모드와 동일하지만, 그 순서는 색차 요소의 통계적 특성을 고려하여 LumaIntra16×16에서의 예측 모드와 다르다. 보다 구체적으로, ChromaIntra8×8에서는 '예측 모드 0'은 DC 예측 모드이며, '예측 모드 1'은 수평 예측 모드이며, '예측 모드 2'는 수직 예측 모드이며, '예측 모드 3'은 평면 예측 모드이다.
H.264/AVC 표준에서는 다양한 매크로블록 모드에 대하여 최적의 부호화 효율을 얻기 위해 비트율-왜곡치를 라그랑지안(Lagrangian) 계수를 사용한 수학식 1을 이용하여 계산한 후, 이중의 최소치를 선택하는 율-왜곡 최적화(Rate-Distortion Optimization: RDO) 기법을 사용하여 매크로블록 모드를 결정한다.
Figure pat00001
여기에서, J n 은 n번째 매크로블록의 특정 모드에서의 율-왜곡 코스트(Rate Distortion Cost)로서 이 값이 최소가 되는 모드를 해당 매크로블록의 모드로 결정한다.
SSD n 은 n번째 매크로블록의 원 화소값과 복원된 화소값과의 차이값의 자승에러합(Sum of Squared Distortion)이며, λ는 라그랑지안(Lagrangian) 계수로서 양자화 계수에 의존하는 값을 가지며, R n 은 n번째 매크로블록의 엔트로피 코딩 이후의 비트율을 나타낸다.
한편, 인트라모드에서는 동일 프레임 내에서만 부호화 예측을 하므로, 복호화된 화소값이 원 화소값과의 차이값과 최소화된 모드를 결정하였다고 하여도 이전 프레임의 동일 위치에서의 복원된 화소값과는 차이가 많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인트라 플리커링이라고 불리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인트라 플리커링은 모스키토 효과(mosquito effect)라고도 불리는데, 예를 들면 오래된 흑백 영화에서 프레임과 프레임 사이의 휘도값의 불연속성에 의해 번쩍거리는 형태로 나타난다. 현대의 디지털 비디오에서 인트라 플리커링은 매크로블록 단위로 픽셀값이 순간적으로 번쩍거리는 형태로 나타나는데 주로 배경처럼 움직임이 없는 곳에서 나타난다. 배경 영역은 프레임과 프레임 사이에서 변화가 거의 없어야 하지만, 인트라 코딩에 의해 두 프레임이 각각 서로 다른 양자화에 의해 독립적으로 압축되면서 이어지는 프레임 사이에서 변화가 발생함으로써 이러한 현상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인트라 플리커링 현상을 줄일 수 있는 인트라 매크로블록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매크로블록 모드 결정 방법은, 인트라 플리커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매크로블록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매크로블록의 각 모드에서의 율-왜곡 코스트를 계산하되, 인트라 플리커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매크로블록에 대해서는 인트라 플리커링의 정도를 나타내는 값을 율-왜곡 코스트에 반영하는 단계와, 율-왜곡 코스트가 가장 작은 모드를 해당 매크로블록의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매크로블록 모드 결정 장치는, 인트라 플리커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매크로블록인지를 판단하는 인트라 플리커링 예측부와, 매크로블록의 각 모드에서의 율-왜곡 코스트를 계산하되, 인트라 플리커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매크로블록에 대해서는 인트라 플리커링의 정도를 나타내는 값을 율-왜곡 코스트에 반영하는 율-왜곡 코스트 계산부와, 상기 율-왜곡 코스트가 최저가 되는 모드를 해당 매크로블록의 모드로 설정하는 매크로블록 모드 설정부를 구비한다.
인트라 플리커링의 정도를 나타내는 값은 해당 매크로블록에 대해 원 화소의 현재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의 차이와 복호화된 화소의 현재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의 차이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현재의 매크로블록을 I n , 현재 프레임에서의 원 화소를
Figure pat00002
, 이전 프레임에서의 원 화소를
Figure pat00003
이라 하고, 현재 프레임에서의 복원된 화소를
Figure pat00004
, 이전 프레임에서의 복원된 화소를
Figure pat00005
라 하고,
Figure pat00006
,
Figure pat00007
라고 할 때, 상기 인트라 플리커링의 정도를 나타내는 값은
Figure pat00008
에 의해 구할 수 있다.
인트라 플리커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매크로블록에 대한 율-왜곡 코스트는 아래 식에 의해 구할 수 있다.
Figure pat00009
여기에서 SSD n 은 n번째 매크로블록의 원 화소값과 복원된 화소값과의 차이값의 자승에러합(Sum of Squared Distortion)이며, λ μ는 라그랑지안(Lagrangian) 계수, R n 은 n번째 매크로블록의 엔트로피 코딩 이후의 비트율이다.
현재의 매크로블록을 I n , 현재 프레임에서의 원 화소를
Figure pat00010
, 이전 프레임에서의 원 화소를
Figure pat00011
,
Figure pat00012
이라 할 때
Figure pat00013
가 소정의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에 인트라 플리커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매크로블록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인트라 매크로블록 모드를 결정함에 있어서 인트라 플리커링이 어느 정도 발생할 것인지의 변수를 감안하여 결정하므로, 인트라 플리커링 현상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크로블록 모드 결정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크로블록 모드 결정 방법의 동작 흐름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3은 인트라 플리커링의 정도를 계산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크로블록 모드 결정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매크로블록 모드 결정 장치(10)는, 인트라 플리커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매크로블록인지를 판단하는 인트라 플리커링 예측부(11)와, 매크로블록의 각 모드에서의 율-왜곡 코스트를 계산하되, 인트라 플리커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매크로블록에 대해서는 인트라 플리커링의 정도를 나타내는 값을 율-왜곡 코스트에 반영하는 율-왜곡 코스트 계산부(12)와, 상기 율-왜곡 코스트가 최저가 되는 모드를 해당 매크로블록의 모드로 설정하는 매크로블록 모드 설정부(13)를 구비한다.
인트라 플리커링은 배경영역처럼 프레임 사이의 변화가 적은 곳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그러므로, 인트라 플리커링 예측부(11)는 각 매크로블록에 대해서 현재 프레임에서의 원 화소와 이전 프레임에서의 원 화소에 어느 정도의 변화가 있는지로 인트라 플리커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현재의 매크로블록을 I n , 현재 프레임에서의 원 화소를
Figure pat00014
, 이전 프레임에서의 원 화소를
Figure pat00015
,
Figure pat00016
이라 할 때
Figure pat00017
가 소정의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에 인트라 플리커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매크로블록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임계치는 영상의 성격이나 재생될 디스플레이의 특성 등에 따라 실험적으로 적절한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인트라 플리커링의 정도를 나타내는 값은 해당 매크로블록에 대해 원 화소의 현재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의 차이와 복호화된 화소의 현재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의 차이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를 도 3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3에서 I n 은 모드를 결정해야 할 매크로블록을 나타내며, 현재 프레임(프레임 t)에서의 원 영상의 화소를
Figure pat00018
, 이전 프레임(프레임 t-1)에서의 원 영상의 화소를
Figure pat00019
이라 하고, 현재 프레임에서의 복원된 영상의 화소를
Figure pat00020
, 이전 프레임에서의 복원된 영상의 화소를
Figure pat00021
로 표기하였다.
Figure pat00022
는 원 영상에서 화소 x의 현재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의 차이를 나타내며,
Figure pat00023
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24
는 복원된 영상에서 화소 x의 현재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의 차이를 나타내며,
Figure pat00025
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인트라 플리커링의 정도를 나타내는 값은 매크로블록 I n 에 속하는 화소에 대해서
Figure pat00026
Figure pat00027
의 차이의 제곱값을 매크로블록 I n 에 속하는 모든 화소에 대해서 더한 값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수식으로는 수학식 2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igure pat00028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인트라 플리커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매크로블록에 대해서 수학식2와 같이 구할 수 있는 인트라 플리커링의 정도를 나타내는 값을 율-왜곡 코스트에 반영하여 매크로블록 모드를 결정한다.
즉, 일실시예에서 인트라 플리커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매크로블록에 대한 율-왜곡 코스트는 다음 식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pat00029
여기에서 SSD n 은 n번째 매크로블록의 원 화소값과 복원된 화소값과의 차이값의 자승에러합(Sum of Squared Distortion)이며, λ μ는 라그랑지안 계수(Lagrangian multiplier), R n 은 n번째 매크로블록의 엔트로피 코딩 이후의 비트율이다. 수학식 3에서 중요한 것은 율-왜곡 코스트에 인트라 플리커링의 정도를 나타내는 값인 μ S n 이 포함되어 있다는 점이다. 수학식 3의 다른 항목에 수정을 가하거나 또는 새로운 항목을 더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며, 본 발명은 수학식 3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인트라 플리커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지 아니한 매크로블록에 대해서는 종래의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율-왜곡 코스트를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264의 경우에는 수학식 1을 사용하여 율-왜곡 코스트를 계산할 수 있다. 인트라 플리커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지 아니한 매크로블록에 대해서 본 발명은 특정한 율-왜곡 코스트 계산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매크로블록 모드 설정부(13)는 각 모드별로 계산된 율-왜곡 코스트를 사용하여 율-왜곡 코스트가 가장 적은 모드를 해당 매크로블록의 모드로 정한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크로블록 모드 결정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부호화 대상인 매크로블록에 대해서 인트라 플리커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매크로블록인지를 판단한다(단계 210). 인트라 플리커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매크로블록인지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이미 기술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매크로블록의 각 모드에서의 율-왜곡 코스트를 계산한다. 인트라 플리커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매크로블록에 대해서는(단계 S220의 '예'), 인트라 플리커링의 정도를 나타내는 값을 율-왜곡 코스트에 반영한, 예를 들면 수학식 3을 사용하여 계산한다(단계 230). 반대로, 인트라 플리커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지 않은 매크로블록에 대해서는(단계 S220의 '아니오'), 종래와 같은 방식으로 율-왜곡 코스트를 계산한다. 즉, H.264의 경우에는 수학식 1을 사용하여 율-왜곡 코스트를 계산한다(단계 240). 현재의 매크로블록에 대해서 가능한 모든 모드에 대해서 율-왜곡 코스트를 계산한 다음에는 율-왜곡 코스트가 가장 작은 모드를 해당 매크로블록의 모드로 설정한다(단계 250).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매크로블록 모드 결정장치
11 인트라 플리커링 예측부
12 율-왜곡 코스트 계산부
13 매크로블록 모드 설정부

Claims (10)

  1. 인트라 플리커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매크로블록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매크로블록의 각 모드에서의 율-왜곡 코스트를 계산하되, 인트라 플리커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매크로블록에 대해서는 인트라 플리커링의 정도를 나타내는 값을 율-왜곡 코스트에 반영하는 단계와,
    율-왜곡 코스트가 가장 작은 모드를 해당 매크로블록의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를 구비하는 매크로블록 모드 결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트라 플리커링의 정도를 나타내는 값은 해당 매크로블록에 대해 원 화소의 현재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의 차이와 복호화된 화소의 현재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의 차이에 의해 결정되는 것인 매크로블록 모드 결정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현재의 매크로블록을 I n , 현재 프레임에서의 원 화소를
    Figure pat00030
    , 이전 프레임에서의 원 화소를
    Figure pat00031
    이라 하고, 현재 프레임에서의 복원된 화소를
    Figure pat00032
    , 이전 프레임에서의 복원된 화소를 라 하고,
    Figure pat00034
    ,
    Figure pat00035
    라고 할 때, 상기 인트라 플리커링의 정도를 나타내는 값은
    Figure pat00036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크로블록 모드 결정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인트라 플리커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매크로블록에 대한 율-왜곡 코스트는
    Figure pat00037

    이며, 여기에서 SSD n 은 n번째 매크로블록의 원 화소값과 복원된 화소값과의 차이값의 자승에러합(Sum of Squared Distortion)이며, λ μ는 라그랑지안(Lagrangian) 계수, R n 은 n번째 매크로블록의 엔트로피 코딩 이후의 비트율인 매크로블록 모드 결정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현재의 매크로블록을 I n , 현재 프레임에서의 원 화소를
    Figure pat00038
    , 이전 프레임에서의 원 화소를
    Figure pat00039
    ,
    Figure pat00040
    이라 할 때
    Figure pat00041
    가 소정의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에 인트라 플리커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매크로블록이라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크로블록 모드 결정 방법.
  6. 인트라 플리커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매크로블록인지를 판단하는 인트라 플리커링 예측부와,
    매크로블록의 각 모드에서의 율-왜곡 코스트를 계산하되, 인트라 플리커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매크로블록에 대해서는 인트라 플리커링의 정도를 나타내는 값을 율-왜곡 코스트에 반영하는 율-왜곡 코스트 계산부와,
    상기 율-왜곡 코스트가 최저가 되는 모드를 해당 매크로블록의 모드로 설정하는 매크로블록 모드 설정부
    를 구비하는 매크로블록 모드 결정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트라 플리커링의 정도를 나타내는 값은 해당 매크로블록에 대해 원 화소의 현재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의 차이와 복호화된 화소의 현재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의 차이에 의해 결정되는 것인 매크로블록 모드 결정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현재의 매크로블록을 I n , 현재 프레임에서의 원 화소를
    Figure pat00042
    , 이전 프레임에서의 원 화소를
    Figure pat00043
    이라 하고, 현재 프레임에서의 복원된 화소를
    Figure pat00044
    , 이전 프레임에서의 복원된 화소를
    Figure pat00045
    라 하고,
    Figure pat00046
    ,
    Figure pat00047
    라고 할 때, 상기 인트라 플리커링의 정도를 나타내는 값은
    Figure pat00048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크로블록 모드 결정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인트라 플리커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매크로블록에 대한 율-왜곡 코스트는
    Figure pat00049

    이며, 여기에서 SSD n 은 n번째 매크로블록의 원 화소값과 복원된 화소값과의 차이값의 자승에러합(Sum of Squared Distortion)이며, λ μ는 라그랑지안(Lagrangian) 계수, R n 은 n번째 매크로블록의 엔트로피 코딩 이후의 비트율인 매크로블록 모드 결정 장치.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현재의 매크로블록을 I n , 현재 프레임에서의 원 화소를
    Figure pat00050
    , 이전 프레임에서의 원 화소를
    Figure pat00051
    ,
    Figure pat00052
    이라 할 때
    Figure pat00053
    가 소정의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에 인트라 플리커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매크로블록이라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크로블록 모드 결정 장치.
KR1020100101015A 2010-10-15 2010-10-15 영상 부호화 장치에서 매크로블록 모드 결정 방법 및 그 장치 KR201200393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1015A KR20120039351A (ko) 2010-10-15 2010-10-15 영상 부호화 장치에서 매크로블록 모드 결정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1015A KR20120039351A (ko) 2010-10-15 2010-10-15 영상 부호화 장치에서 매크로블록 모드 결정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9351A true KR20120039351A (ko) 2012-04-25

Family

ID=46139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1015A KR20120039351A (ko) 2010-10-15 2010-10-15 영상 부호화 장치에서 매크로블록 모드 결정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3935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2271B1 (ko) 인루프 필터링을 적용한 예측 방법을 이용한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JP7356347B2 (ja) 画像復号方法、画像符号化方法、及び記録媒体
KR101593289B1 (ko) 비디오 코딩을 위해 블록킹 현상 아티팩트들을 필터링하기
KR101515696B1 (ko) 기하학적 모션 파티셔닝을 위한 고정 소수점 구현
KR101589852B1 (ko) 비디오 코딩을 위한 2차 경계 필터링
KR100727990B1 (ko) 영상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 방법 및 그 방법을 사용하는부호화 장치
KR20200083317A (ko)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저장한 기록 매체
KR101394209B1 (ko) 영상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 방법
KR20110018188A (ko) 영상의 부호화 방법 및 장치, 영상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20070090700A (ko) 영상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 복호화 방법 및 장치
US20190335173A1 (en) Image encoding method/device, image decoding method/device and recording medium having bitstream stored therein
KR101989160B1 (ko) 영상 부호화 방법 및 장치
KR20070077609A (ko) 인트라 예측 모드 결정 방법 및 장치
KR20210035067A (ko)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저장한 기록 매체
KR20210000689A (ko)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20200145761A (ko)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373670B1 (ko) 인트라 예측 방법 및 장치
KR20070077955A (ko) 인트라 예측 모드 결정 방법 및 장치
KR101630871B1 (ko) 인트라 예측 모드 결정 방법 및 장치
KR101607613B1 (ko) 영상의 부호화 방법 및 장치, 영상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761278B1 (ko) 영상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20120039351A (ko) 영상 부호화 장치에서 매크로블록 모드 결정 방법 및 그 장치
KR20150045980A (ko) 영상의 부호화 방법 및 장치, 영상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607614B1 (ko) 영상의 부호화 방법 및 장치, 영상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606853B1 (ko) 영상의 부호화 방법 및 장치, 영상 복호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