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8845A - Language learn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Language learn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8845A
KR20120038845A KR1020100100525A KR20100100525A KR20120038845A KR 20120038845 A KR20120038845 A KR 20120038845A KR 1020100100525 A KR1020100100525 A KR 1020100100525A KR 20100100525 A KR20100100525 A KR 20100100525A KR 20120038845 A KR20120038845 A KR 201200388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guage
display window
display
learner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05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146566B1 (en
Inventor
양동효
Original Assignee
양동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동효 filed Critical 양동효
Priority to KR1020100100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6566B1/en
Publication of KR20120038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884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6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656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PURPOSE: A language learning apparatus is provided to improve a language study effect since a user listens to voice with a first language displayed on a front display and checks a second language displayed on a back display. CONSTITUTION: A front side display window(111) is placed on a front frame to display a first language on a screen. A back display(121) is placed on a back frame to display a second langu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language.

Description

어학 학습기{LANGUAGE LEARNING APPARATUS}Language Learner {LANGUAGE LEARNING APPARATUS}

본 발명은 어학 학습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영어, 일어 및 중국어 등의 외국어 단어나 문장 등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어학 학습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nguage lear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language learner for displaying a foreign language word or sentence such as English, Japanese, and Chinese on a display unit.

어학 학습 기능을 가지는 휴대가 간편한 어학 학습기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는데, 종래에는 휴대용 카세트 플레이어(cassette player), 컴팩트 디스크(compact disk)를 이용한 휴대용 CD 플레이어 등을 이용하여 어학 학습을 수행하여 왔다. 최근에는 컴퓨터를 통하여 어학 학습 관련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아 저장하고 이를 재생하는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어학 학습기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A portable language learner having a language learning function has various forms, and conventionally, language learning has been performed using a portable cassette player, a portable CD player using a compact disk, or the like. Recently, language learners such as MP3 players, which download, store and play language learning-related contents through a computer, are mainly used.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어학 학습기는 카세트 또는 CD에 저장된 파일, 컴퓨터에 다운로드 된 파일을 단순히 재생하는 기능만을 제공하였다. 따라서 어학 학습자가 학습 중에 생소하거나 정확한 의미를 알고 싶은 단어가 있을 경우에 이를 알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그러므로 어학 학습자는 사전이나 단어장을 휴대하여 찾아보아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such a conventional language learner provided only a function of simply playing a file stored in a cassette or a CD or a file downloaded to a computer. Therefore, there was no way for a language learner to know when there was a word that was unfamiliar or wanted to know the exact meaning.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language learners must carry a dictionary or vocabulary.

다만 최근에는 전자 사전이 보편화 되었지만, 전자 사전에서 단어를 검색하면 하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단어와 그 의미가 한꺼번에 표시되어, 어학 학습자는 상기 전자 사전으로부터 어학 학습기능을 제공받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여전히 있다.However, in recent years, the electronic dictionary has been widely used, but when a word is searched for in the electronic dictionary, a word and its meaning are displayed on one display screen at a time, and there is still a problem that a language learner cannot receive a language learning function from the electronic dictionar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어학 학습자의 어학 학습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전면 및 후면 프레임에 듀얼 디스플레이 창이 구비된 어학 학습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nguage learner having dual display windows in front and rear frames in order to improve the language learning function of language learners.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면 프레임 및 후면 프레임을 구비한 어학 학습기는, 상기 전면 프레임에 배치되어, 제1 언어를 화면에 표시하는 전면 디스플레이 창 및 상기 후면 프레임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언어에 대응하는 제2 언어를 화면에 표시하는 후면 디스플레이 창을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language learner having a front frame and a rear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the front frame, the front display window for displaying a first language on the screen and the rear And a rear display window disposed on the frame and displaying a second langu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language on a screen.

상기 어학 학습기는 상기 전면 프레임에 배치되어, 일반 학습모드와 연속 학습모드를 지원하는 모드버튼을 더 포함하되, 상기 연속 학습모드는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전면 및 후면 디스플레이 창에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언어로 형성된 다음 단어 또는 문장을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language learner is disposed on the front frame, and further includes a mode button for supporting a general learning mode and a continuous learning mode, wherein the continuous learning mode has the first and second displays on the front and rear display windows, respectively,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 function of displaying the next word or sentence formed in the second language may be performed.

상기 어학 학습기는 상기 전면 프레임에 배치되는 재생 버튼을 더 포함하되,사용자가 상기 재생 버튼을 누를 때마다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 창에 상기 제1 언어로 형성된 워드 데이터가 표시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 창에 상기 제1 언어에 대응하는 제2 언어로 형성된 워드 데이터가 표시될 수 있다.The language learner further includes a play button disposed on the front frame, each time a user presses the play button, word data formed in the first language is displayed on the front display window, and correspondingly, the rear display window is displayed. Word data formed in a second langu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language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상기 제1 언어가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 창에 표시되면 상기 제1 언어에 대응하는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출력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voice output device configured to output a voice corresponding to the first language when the first language is displayed on the front display window.

상기 어학 학습기는 상기 제1 및 제2 언어로 형성된 워드 데이터와 상기 제1 언어로 표현된 음성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anguage learner may further include a memory unit in which word data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languages and voice data expressed in the first language are stored.

상기 어학 학습기는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상기 워드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읽어들여 상기 워드 데이터를 상기 전면 및 후면 디스플레이 창으로 출력하고, 상기 음성 데이터를 상기 음성출력장치로 출력하는 중앙처리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anguage learner may further include a central processing unit that reads the word data and the voice data from the memory unit, outputs the word data to the front and rear display windows, and outputs the voice data to the voice output device. have.

상기 제1 및 제2 언어는 한국어, 영어, 일본어 또는 중국어 중 어느 하나의 언어일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languages may be any one of Korean, English, Japanese, or Chinese.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면 프레임 및 후면 프레임을 구비한 어학 학습기는, 상기 전면 프레임에 배치되어, 제1 언어가 화면에 표시되는 전면 디스플레이 창 및 상기 후면 프레임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언어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화면에 표시되는 후면 디스플레이 창을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language learner having a front frame and a rear fra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the front frame, the front display window and the first language is displayed on the screen and the The display device may include a rear display window disposed on a rear frame to display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language on a screen.

상기 어학 학습기는 상기 전면 프레임에 배치되어, 일반 학습모드와 연속 학습모드를 지원하는 모드버튼을 더 포함하되, 상기 연속 학습모드는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전면 및 후면 디스플레이 창에 각각 상기 제1 언어로 형성된 다음 단어 또는 문장과 상기 제1 언어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The language learner is disposed on the front frame, and further includes a mode button for supporting a general learning mode and a continuous learning mode, wherein the continuous learning mode has the first language on the front and rear display windows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 function of displaying a next word or sentence formed with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language may be performed.

상기 어학 학습기는 상기 전면프레임에 배치되는 재생버튼을 더 포함하되,사용자가 상기 재생버튼을 누를 때마다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 창에 상기 제1 언어로 형성된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표시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 창에 상기 제1 언어에 대응하는 이미지로 형성된 디스플레이 데이터가 표시될 수 있다. The language learner further includes a play button disposed on the front frame, each time a user presses the play button, the display unit displays display data formed in the first language on the front display window, and correspondingly, the rear display window. Display data formed of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language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상기 어학 학습기는 상기 제1 언어가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 창에 표시되면 상기 제1 언어에 대응하는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출력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anguage learner may further include a voice output device that outputs a voice corresponding to the first language when the first language is displayed on the front display window.

상기 어학 학습기는 상기 제1 언어 및 이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데이터와 상기 제1 언어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anguage learner may further include a memory unit in which display data including the first language and an image corresponding thereto and voice data corresponding to the first language are stored.

상기 어학 학습기는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읽어들여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상기 전면 및 후면 디스플레이 창으로 출력하고, 상기 음성 데이터를 상기 음성출력장치로 출력하는 중앙처리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anguage learner may further include a central processing unit that reads the display data and the voice data from the memory unit, outputs the display data to the front and rear display windows, and outputs the voice data to the voice output device. have.

상기 제1 언어는 영어 또는 일본어 또는 중국어 중 어느 하나의 언어일 수 있다.The first language may be one of English, Japanese, or Chines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어학 학습기는 어학 학습자가 전면 디스플레이 창에 표시된 제1 언어와 이에 따른 음성을 듣고 그 의미를 생각한 후, 상기 어학 학습기를 뒤집어서 후면 디스플레이 창에 표시된 제1 언어에 대응하는 제2 언어 또는 이미지를 확인함으로써, 어학 학습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language lear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fter the language learner hears the first language displayed on the front display window and the corresponding voice and thinks about the meaning, reverses the language learner to correspond to the first language displayed on the rear display window. By confirming the second language or the image, the language learning function can be improved.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학 학습기의 전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에 따른 상기 어학 학습기의 후면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어학 학습기의 전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따른 상기 어학 학습기의 후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학 학습기의 사시도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학 학습기의 내부 회로 구성을 보인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어학 학습기의 내부 회로 구성을 보인 개략도이다.
1A is a front view of a language lear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B is a rear view of the language learner according to FIG. 1A,
2A is a front view of a language lear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B is a rear view of the language learner according to FIG. 2A,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language lear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ircuit configuration of the language lear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ircuit configuration of a language lear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어학학습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장치"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a language learner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uffixes "device" and "uni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us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meanings or roles that are distinct from each other.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different embodiments are given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for the same or similar configurations, and the description is replaced with the first descrip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form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학 학습기(100)의 전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에 따른 상기 어학 학습기(100)의 후면도이다.1A is a front view of the language learn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B is a rear view of the language learner 100 according to FIG. 1A.

개시된 어학 학습기(100)는 전면 프레임(110) 및 후면 프레임(12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전면 프레임(110)에는 전면 디스플레이 창(111)이 배치되고,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 창(111)은 제1 언어를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 창(111)에 표시한다. 상기 후면 프레임(120)에는 후면 디스플레이 창(121)이 배치되고,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 창(121)은 상기 제1 언어에 대응하는 제2 언어를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 창(121)에 표시한다. The disclosed language learner 100 has a front frame 110 and a rear frame 120. The front display window 111 is disposed on the front frame 110, and the front display window 111 displays a first language on the front display window 111. A rear display window 121 is disposed on the rear frame 120, and the rear display window 121 displays a second langu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language on the rear display window 121.

따라서 상기 전면 및 후면 디스플레이 창(111, 121)은 듀얼 디스플레이를 구현하여, 사용자 등은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 창(111)에 표시된 제1 언어를 보고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 창(112)에 표시된 제2 언어를 연상하여 기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등은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 창(112)에 표시된 제2 언어를 보고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 창(111)에 표시된 제1 언어를 연상하여 기억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front and rear display windows 111 and 121 implement dual display, so that a user or the like sees the first language displayed on the front display window 111 and associates the second language displayed on the rear display window 112. I can remember it. In addition, the user may look at the second language displayed on the rear display window 112 and remember the first language displayed on the front display window 111.

상기 제1 및 제2 언어는 한국어 또는 영어 또는 일본어 또는 중국어 등의 서로 다른 언어의 조합이다. The first and second languages are a combination of different languages such as Korean or English or Japanese or Chinese.

또한 상기 전면 프레임(110)에는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 창(111) 외에도 재생버튼(112), 반복버튼(113), 탐색버튼(114), 볼륨조절버튼(115) 및 모드버튼(116)을 더 구비한다. In addition, the front frame 110 further includes a play button 112, a repeat button 113, a search button 114, a volume control button 115, and a mode button 116 in addition to the front display window 111. .

전면 디스플레이창(111)은 제1언어의 단어 또는 문장을 표시하거나 MP3 등의 음성파일의 제목을 표시한다. 또한 이 외에도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음성 볼륨(volume), 배터리(battery) 잔량, 현재 표시되고 있는 단어가 전체 단어장에서 몇 번째 단어인지 표시하는 단어 진행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The front display window 111 displays a word or sentence of the first language or a title of an audio file such as an MP3.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 a voice volume, a battery remaining amount, and a word progress state indicating how many words are currently displayed in the entire wordbook may be displayed.

사용자가 상기 재생버튼(112)을 누를 때마다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 창(111)에는 상기 제1 언어로 형성된 워드 데이터가 표시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창(121)에는 상기 제1 언어에 대응하는 제2 언어로 형성된 워드 데이터가 표시된다. Whenever the user presses the play button 112, the word data formed in the first language is displayed on the front display window 111, and correspondingly, the rear display window 121 corresponds to the first language. Word data formed in the second language is displayed.

또한 상기 재생버튼(112)은 단어 학습을 위하여 다음 단어를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 창(111)에 표시하는 기능 외에도 전원 온/오프 기능 및 MP3 등의 음성파일의 재생 및 일시정지 (PLAY/ PAUSE)의 기능을 수행한다. In addition to the function of displaying the next word on the front display window 111 for the word learning, the play button 112 has a power on / off function and a function of playing and pausing a voice file such as an MP3 (PLAY / PAUSE). Do this.

사용자가 상기 반복버튼(113)을 누를 때마다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 창(111)에 현재 표시된 상기 제1 언어로 형성된 워드 데이터가 표시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창(121)에 현재 표시된 상기 제1 언어에 대응하는 제2 언어로 형성된 워드 데이터가 반복되어 표시된다. Whenever the user presses the repeat button 113, the word data formed in the first language currently displayed is displayed on the front display window 111, and correspondingly, the first display currently displayed on the rear display window 121 is performed. Word data formed in a second language corresponding to the language is displayed repeatedly.

상기 탐색버튼(114)은 모르는 단어 및 문장 등을 학습하기 위하여 상기 단어 및 문장의 탐색 기능 및 다른 단어 및 문장 등은 빠르게 스킵하면서 진행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탐색버튼(114)은 단어 및 문장이 저장된 순서대로 탐색을 수행하는 정방향 탐색버튼(114a) 및 저장된 역순으로 탐색을 수행하는 역방향 탐색버튼(114b)을 포함한다. 상기 탐색버튼(114)은 상기 단어 및 문장 등의 탐색 뿐만 아니라 MP3 등의 음성 파일의 탐색 기능도 제공한다. The search button 114 provides a search function of the words and sentences and a process of quickly skipping other words and sentences in order to learn unknown words and sentences. The search button 114 includes a forward search button 114a that searches in the order in which the words and sentences are stored, and a reverse search button 114b that performs the search in the reverse order of the stored words. The search button 114 provides a search function of a voice file such as an MP3 as well as search of the words and sentences.

상기 볼륨 조절버튼(115)은 상기 제1 언어에 대응하는 음성에 대한 볼륨을 현재 상태보다 크거나 작게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볼륨 조절버튼(115)은 상기 볼륨을 크게 하는 볼륨 업 버튼(115a) 및 볼륨을 작게 하는 볼륨 다운 버튼(115b)를 포함한다. 상기 볼륨 조절버튼(115)은 상기 단어 및 문장 등의 탐색 뿐만 아니라 MP3 등의 음성 파일의 볼륨 조절 기능도 제공한다.The volume control button 115 adjusts the volume of the voice corresponding to the first language to be larger or smaller than the current state. The volume control button 115 includes a volume up button 115a for increasing the volume and a volume down button 115b for decreasing the volume. The volume control button 115 provides a function of adjusting the volume of a voice file such as an MP3 as well as searching the words and sentences.

상기 모드버튼(116)은 어학 학습기(100)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 간의 모드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어학 학습기(100)는 상기 재생버튼(112)이 눌려질 때마다 저장된 다음 단어가 표시되는 일반 학습모드 외에도 일정 시간 간격으로 자동으로 다음 단어가 표시되는 연속 학습모드를 제공하므로, 상기 모드버튼(116)을 누름으로써, 상기 일반 학습모드와 연속 학습모드 간의 모드 변환이 가능하다.The mode button 116 performs a mode conversion function between various services provided by the language learner 100. The language learner 100 provides a continuous learning mode in which the next word is automatically displayed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in addition to the general learning mode in which the next stored word is displayed whenever the play button 112 is pressed. By pressing 116, mode switching between the normal learning mode and the continuous learning mode is possible.

상기 어학 학습기(100)가 연속 학습모드에서 동작하는 경우에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전면 및 후면 디스플레이 창(111, 121)에 각각 상기 제1 및 제2언어로 형성된 다음 단어 또는 문장을 표시한다. 상기 연속 학습모드에서 사용자가 상기 재생버튼(112)을 누를 때마다 홀드(hold) 기능이 수행되고, 다시 상기 재생버튼(112)을 누르면 다음 단어 및 문장을 재생하는 기능이 수행된다.When the language learner 100 operates in the continuous learning mode,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the next word or sentence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languages is displayed on the front and rear display windows 111 and 121, respectively. When the user presses the play button 112 in the continuous learning mode, a hold function is performed, and when the play button 112 is pressed again, a function of playing the next word and sentence is performed.

또한 사용자가 상기 일반 또는 연속 학습모드에서 특정 단어 또는 문장만을 반복 학습하기 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어학 학습기(100)는 상기 단어 또는 문장만을 반복 학습하기 위하여 반복 학습모드를 제공하며, 상기 일반 또는 연속 학습모드와 상기 반복 학습모드 간의 모드 변환도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user may store the specific words or sentences in order to repeat the learning in the normal or continuous learning mode. The language learner 100 provides a repetitive learning mode in order to repeatedly learn only the word or sentence, and mode switching between the general or continuous learning mode and the repetitive learning mode is also possible.

또한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 창 (111)과 후면 디스플레이 창(112)에는 각각 상기 제1 언어에 해당하는 단어 및 문장 및 이에 대응하는 제2 언어가 표시되는 것 이외에도, 상기 제1 언어 및 상기 제1 언어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어학 학습 제공 뿐만 아니라 MP3 등의 음성파일의 재생 기능도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모드버튼(116)을 누름으로써, 상기 전면 프레임(111)에는 다양한 서비스 간의 모드 변환이 수행된다.In addition to the words and sentences corresponding to the first language and a second language corresponding thereto, the front display window 111 and the rear display window 112 respectively display the first language and the first language. It is also possible for the corresponding image to be displayed. In addition to providing language learning, it is also possible to play audio files such as MP3. Therefore, by pressing the mode button 116, the front frame 111 is a mode conversion between the various services.

상기 후면 프레임(120)에는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 창(121) 외에도 리셋 장치(122)를 더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rear display window 121, the rear frame 120 may further include a reset device 122.

상기 리셋 장치(122)는 상기 어학 학습기가 정상 동작 상태가 아닌 경우 재부팅(re-booting) 기능을 수행한다. The reset device 122 performs a re-booting function when the language learner is not in a normal operating state.

도 2a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어학 학습기(200)의 전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따른 상기 어학 학습기(200)의 후면도이다.2A is a front view of the language learner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B is a rear view of the language learner 200 according to FIG. 2A.

개시된 어학 학습기(200)는 전면 프레임(110) 및 후면 프레임(12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전면 프레임(110)에는 상기 전면 프레임(110)에 배치되어, 제1 언어가 화면에 표시되는 전면 디스플레이 창(111)을 구비한다. 상기 후면 프레임(120)에는 상기 후면 프레임(120)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언어에 대응하는 이미자가 화면에 표시되는 후면 디스플레이 창(221)을 구비한다. The disclosed language learner 200 has a front frame 110 and a rear frame 120. The front frame 110 includes a front display window 111 disposed on the front frame 110 and displaying a first language on a screen. The rear frame 120 includes a rear display window 221 disposed on the rear frame 120 to display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language on a screen.

또한 상기 전면 프레임(110)에는 도 1과 같이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 창(111) 외에도 재생버튼(212), 반복버튼(113), 탐색버튼(114), 볼륨조절버튼(115) 및 모드버튼(216)을 더 구비한다. 도 1a 내지 도 1b의 어학 학습기(100)와 비교할 때, 상기 재생버튼(212) 및 모드버튼(216)은 하기와 같은 기능상의 차이점을 갖는다. In addition, the front frame 110 has a play button 212, repeat button 113, navigation button 114, volume control button 115 and mode button 216 in addition to the front display window 111 as shown in FIG. It is further provided. Compared with the language learner 100 of FIGS. 1A to 1B, the play button 212 and the mode button 216 have functional differences as follows.

상기 재생버튼(212)은 상기 재생버튼(212)이 눌려질 때마다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 창(111)에 상기 제1 언어로 형성된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표시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창(221)에 상기 제1 언어에 대응하는 이미지로 형성된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표시한다. The play button 212 displays display data formed in the first language on the front display window 111 whenever the play button 212 is pressed, and correspondingly displays the display data on the rear display window 221. Display data formed of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language is displayed.

사용자가 상기 모드버튼(216)을 누름으로써 일반 학습모드 및 연속 학습모드간의 전환이 이루어진다. 상기 일반 학습모드는 상기 재생버튼(212)이 눌려질 때마다 다음 단어 또는 문장의 학습이 수행되도록 한다. The user presses the mode button 216 to switch between the normal learning mode and the continuous learning mode. In the general learning mode, the next word or sentence is learned every time the play button 212 is pressed.

반면에 상기 연속 학습모드는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전면 및 후면 디스플레이 창(111, 121)에 각각 상기 제1 언어로 형성된 다음 단어 또는 문장과 상기 제1 언어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표시한다. 상기 연속 학습모드에서 사용자가 상기 재생버튼(212)을 누를 때마다 홀드(hold) 기능이 수행되고, 다시 상기 재생버튼(212)을 누르면 다음 단어 및 문장을 재생하는 기능이 수행된다.On the other hand, the continuous learning mode displays the next word or sentence formed in the first language and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language on the front and rear display windows 111 and 121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When the user presses the play button 212 in the continuous learning mode, a hold function is performed, and when the play button 212 is pressed again, a function of playing the next word and sentence is performed.

도 1a 내지 도 1b의 어학 학습기(100)에 비하여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 창(221)에 상기 제1 언어에 대응하는 제2 언어가 표시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제1 언어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화면에 표시된다는 차이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언어들 간에 단어의 의미에 관한 일대일 대응이 항상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며, 효율적인 어학 학습을 위해서는 단어 및 문장의 번역이 아니라, 상기 단어 및 문장을 보고 들으면서 이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연상하는 것이 효율적이라는 것은 기존의 연구 결과를 통해 밝혀진 바 있다. Compared to the language learner 100 of FIGS. 1A to 1B, a second langu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language is not displayed on the rear display window 221, but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language is displayed on the screen. There is this. In general, one-to-one correspondence of the meanings of words does not always occur between languages, and for efficient language learning, it is not efficient to translate words and sentences, but it is efficient to see and listen to the corresponding images while watching the words and sentences.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상기 제1 언어는 영어 또는 일본어 또는 중국어 등이다. The first language is English or Japanese or Chines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학 학습기(100)의 사시도이다.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anguage learn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과 같이 상기 어학 학습기(100)는 상기 전면 프레임(110) 및 후면 프레임(120) 사이의 공간에 음성출력장치(1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성출력장치(131)는 제1 언어가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 창(111)에 표시되면 상기 제1 언어에 대응하는 음성을 출력한다. 상기 음성출력장치(131)는 출력부가 도 3과 같이 이어폰이나 헤드폰 등과 연결되는 단자 형태로 제공되는 것 이외에 상기 전면 또는 후면 프레임(110, 120)에 스피커(speaker) 형태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As shown in FIG. 3, the language learner 100 may further include a voice output device 131 in a space between the front frame 110 and the rear frame 120. When the first language is displayed on the front display window 111, the voice output device 131 outputs a voice corresponding to the first language. The voice output device 131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speaker on the front or rear frames 110 and 120 in addition to being provided in the form of a terminal connected to an earphone or a headphone as shown in FIG. 3.

또한 상기 도 3에 따른 상기 어학 학습기(100)의 사시도는, 도 2a 내지 도 2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어학 학습기(200)의 사시도에 대응될 수 있다. Also, a perspective view of the language learner 100 according to FIG. 3 may correspond to a perspective view of the language learner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S. 2A to 2B.

도 3을 참조하면, 어학 학습기(200)는 상기 전면 및 후면 프레임(110, 120) 사이의 공간에 음성출력장치(1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language learner 200 may further include a voice output device 131 in a space between the front and rear frames 110 and 120.

상기 어학 학습기(100)는 상기 전면 및 후면 프레임(110, 120) 사이의 공간에 인터페이스장치(13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장치(132)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내부에 배치된 전원부의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하거나,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읽어들여 저장하거나 데이터를 내보내는 역할을 수행한다. The language learner 100 may be provided with an interface device 132 in a space between the front and rear frames 110 and 120. The interface device 132 receives power from the outside to charge the battery of the power unit disposed therein, or reads data from the outside and stores or exports the data.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학 학습기(100)의 내부 회로 구성을 보인 개략도이다. Figure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ircuit configuration of the language learn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어학 학습기(100)의 내부 회로는 메모리부(140), 중앙처리장치(150), 디스플레이 구동부(160) 및 전원부(170)를 구비할 수 있다. The internal circuit of the language learner 100 may include a memory unit 140, a central processing unit 150, a display driver 160, and a power supply unit 170.

상기 어학 학습기(100)는 후면 프레임에 리셋장치(122)를, 전면 및 후면 프레임 사이의 공간에 음성출력장치(131) 및 인터페이스장치(13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리셋장치(122), 음성출력장치(131) 및 인터페이스장치(132)는 도 2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The language learner 100 may further include a reset device 122 in a rear frame, and a voice output device 131 and an interface device 132 in a space between the front and rear frames. Since the reset device 122, the audio output device 131 and the interface device 132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further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어학 학습기(100)는 상기 제1 및 제2 언어로 형성된 워드 데이터와 상기 제1 언어로 표현된 음성 데이터가 저장된 상기 메모리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language learner 100 may further include the memory unit 140 in which word data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languages and voice data expressed in the first language are stored.

보다 상세하게 상기 메모리부(140)는 복수 개의 단어 및 문장에 해당하는 제1 언어의 철자(spelling), 발음기호 및 상기 제1 언어에 대응하는 제2 언어를 포함하는 워드 데이터 및 상기 제1 언어로 표현된 음성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In more detail, the memory unit 140 may include word data and spelling of a first language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words and sentences, a pronunciation symbol, and a second langu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language. The voice data expressed as can be stored.

상기 메모리부(140)는 전원이 오프된 후 다시 전원이 온 된 뒤에도 연속적으로 학습을 하기 위하여 저장된 정보가 사라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메모리, 예를 들어 낸드 플래시(NAND Flash)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다. The memory unit 140 may be implemented as a memory, for example, a NAND flash memory, so that the stored information does not disappear for continuous learning even after the power is turned off.

상기 어학 학습기(100)는 상기 메모리부(140)로부터 상기 워드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읽어들여 상기 워드 데이터를 상기 전면 및 후면 디스플레이 창(111, 112)으로 출력하고, 상기 음성 데이터를 음성출력장치(131)로 출력하는 중앙처리장치(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anguage learner 100 reads the word data and the voice data from the memory unit 140, outputs the word data to the front and rear display windows 111 and 112, and outputs the voice data to a voice output device ( It may further include a central processing unit 150 for output to 131.

상기 중앙처리장치(150)는 표면 실장 집적회로 패키지(LQFP: Low-profile Quad Package) 형태의 부품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The CPU 150 may be implemented using components in the form of a surface-mount integrated circuit package (LQFP).

상기 중앙처리장치(150)는 ARM (Advanced RISC Machine) 프로세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ARM 프로세서는 내부 버스, 레지스터, 연산장치 등이 32비트로 구성되어, 한번에 32비트 단위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32비트 아키텍처이다. 또한 RISC (Reduced Instrction Set Computer) 방식에 의하여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명령어들의 복잡도를 줄여 소프트웨어에 유연성과 기능성을 제공할 수 있다. The CPU 150 may include an ARM (Advanced RISC Machine) processor. The ARM processor is a 32-bit architecture that can process data in 32-bit units at a time by including 32 bits of an internal bus, a register, and an operation unit. In addition, the 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er (RISC) method can reduce the complexity of instructions executed by hardware to provide flexibility and functionality to software.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부(160)는 상기 전면 및 후면 디스플레이 창(111, 121)에 각각 표시되는 컨텐츠의 휘도를 조절하는 전면 및 후면 디스플레이 구동부(161, 162)를 구비한다.The display driver 160 includes front and rear display drivers 161 and 162 that adjust brightness of contents displayed on the front and rear display windows 111 and 121, respectively.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부(160)는 제어입력 단자에 인가되는 펄스의 펄스폭 변조(PWM: Pulse Width Modulation)를 통해 상기 전면 및 후면 디스플레이 창(111, 121)에 휘도의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The display driver 160 enables adjustment of luminance on the front and rear display windows 111 and 121 through pulse width modulation (PWM) of pulses applied to a control input terminal.

상기 전원부(170)는 충전부(charger, 171), 배터리부(battery, 172) 및 전원 스위치부(power switch, 173)를 포함한다. The power supply unit 170 includes a charger 171, a battery unit 172, and a power switch 173.

상기 충전부(170)는 컴퓨터의 외부입력 단자에 연결되어, 상기 컴퓨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상기 중앙처리장치(150)는 충전모드로 인식하며, 상기 배터리부(172)는 상기 컴퓨터로부터 공급받는 전원을 상기 충전부(171)를 통해 상기 배터리부(172)로 충전 전류를 전달받아 상기 배터리부(172)가 충전된다. 상기 배터리부(172)가 완전히 충전되면, 상기 중앙처리장치(150)는 더 이상 충전이 되지 않도록 상기 전원 스위치부(173)가 스위치를 오프하도록 한다.The charging unit 17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input terminal of the computer, and receives power from the computer. The CPU 150 recognizes the charging mode, and the battery unit 172 receives the charging current supplied from the computer to the battery unit 172 through the charging unit 171. 172 is charged. When the battery unit 172 is fully charged, the CPU 150 causes the power switch unit 173 to switch off so that the battery unit 172 is no longer charged.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어학 학습기(200)의 내부 회로 구성을 보인 개략도이다. 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ircuit configuration of the language learner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어학 학습기(200)의 내부 회로는 메모리부(240), 중앙처리장치(250), 디스플레이 구동부(160) 및 전원부(170)를 구비할 수 있다. The internal circuit of the language learner 200 may include a memory unit 240, a central processing unit 250, a display driver 160, and a power supply unit 170.

상기 어학 학습기(200)는 후면 프레임에 리셋부(122)를, 전면 및 후면 프레임 사이의 공간에 음성출력장치(131) 및 인터페이스장치(13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The language learner 200 may further include a reset unit 122 in a rear frame, and a voice output device 131 and an interface device 132 in a space between the front and rear frames.

상기 어학 학습기(200)는 리셋부(122), 음성출력장치(131), 인터페이스장치(132), 디스플레이 구동부(160) 및 전원부(170)는 도 4에 따른 어학 학습기(100)와 동일하므로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Since the language learner 200 is the reset unit 122, the voice output device 131, the interface device 132, the display driver 160, and the power supply unit 170 are the same as the language learner 100 of FIG. 4. Description is omitted.

상기 어학 학습기(200)는 상기 제1 언어 및 이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데이터와 상기 제1 언어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language learner 200 may further include a memory unit 240 in which display data including the first language and an image corresponding thereto and voice data corresponding to the first language are stored.

상기 어학 학습기(200)는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읽어들여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상기 전면 및 후면 디스플레이 창(111, 221)으로 출력하고, 상기 음성 데이터를 음성출력장치(131)로 출력하는 중앙처리장치(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anguage learner 200 reads the display data and the voice data, outputs the display data to the front and rear display windows 111 and 221, and outputs the voice data to the voice output device 131. The apparatus 250 may further includ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어학 학습기는 어학 학습자가 전면 디스플레이 창에 표시된 제1 언어와 이에 따른 음성을 듣고 그 의미를 생각한 후, 상기 어학 학습기를 뒤집어서 후면 디스플레이 창에 표시된 제1 언어에 대응하는 제2 언어 또는 이미지를 확인함으로써, 어학 학습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language lear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fter the language learner hears the first language displayed on the front display window and the corresponding voice and thinks about the meaning, reverses the language learner to correspond to the first language displayed on the rear display window. By confirming the second language or the image, the language learning function can be improved.

상기와 같은 어학 학습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language learner as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th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by selectively combining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100, 200: 어학 학습기
110: 전면 프레임 120: 후면 프레임
111: 전면 디스플레이 창 121, 221: 후면 디스플레이 창
112: 재생버튼 113: 반복버튼
114: 탐색버튼 114a: 정방향 탐색버튼
114b: 역방향 탐색버튼 115: 볼륨조절버튼
115a: 볼륨 업 버튼 115b: 볼륨 다운 버튼
116: 모드버튼
122: 리셋부
131: 음성출력장치 132: 인터페이스장치
140: 메모리부 150: 중앙처리장치
160: 디스플레이 구동부 161: 전면 디스플레이 구동부
162: 후면 디스플레이 구동부
170: 전원부 171: 충전부
172: 배터리부 173: 전원 스위치부
100, 200: language learner
110: front frame 120: rear frame
111: front display window 121, 221: rear display window
112: play button 113: repeat button
114: navigation button 114a: forward navigation button
114b: reverse navigation button 115: volume control button
115a: volume up button 115b: volume down button
116: mode button
122: reset section
131: voice output device 132: interface device
140: memory unit 150: central processing unit
160: display driver 161: front display driver
162: rear display driver
170: power supply unit 171: charging unit
172: battery unit 173: power switch unit

Claims (14)

전면 프레임 및 후면 프레임을 구비한 어학 학습기에 있어서,
상기 전면 프레임에 배치되어, 제1 언어를 화면에 표시하는 전면 디스플레이 창; 및
상기 후면 프레임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언어에 대응하는 제2 언어를 화면에 표시하는 후면 디스플레이 창을 포함하는 어학 학습기.
In the language learner having a front frame and a rear frame,
A front display window disposed on the front frame and displaying a first language on a screen; And
And a rear display window disposed on the rear frame and displaying a second langu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language on a scree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프레임에 배치되어, 일반 학습모드와 연속 학습모드를 지원하는 모드버튼을 더 포함하되,
상기 연속 학습모드는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전면 및 후면 디스플레이 창에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언어로 형성된 다음 단어 또는 문장을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 학습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s disposed on the front frame, further comprising a mode button for supporting a general learning mode and continuous learning mode,
In the continuous learning mode, a language learner for displaying a next word or sentence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languages, respectively, on the front and rear display windows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프레임에 배치되는 재생버튼을 더 포함하되,
사용자가 상기 재생버튼을 누를 때마다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 창에 상기 제1 언어로 형성된 워드 데이터가 표시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 창에 상기 제1 언어에 대응하는 제2 언어로 형성된 워드 데이터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 학습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lay button disposed on the front frame,
Whenever the user presses the play button, word data formed in the first language is displayed on the front display window, and word data formed in a second langu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language is displayed on the rear display window. Language learner, characterized in tha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언어가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 창에 표시되면 상기 제1 언어에 대응하는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출력장치를 더 포함하는 어학 학습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voice output device configured to output a voice corresponding to the first language when the first language is displayed on the front display window.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언어로 형성된 워드 데이터와 상기 제1 언어로 표현된 음성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는 어학 학습기.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nd a memory unit in which word data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languages and voice data expressed in the first language are stored.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상기 워드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읽어들여 상기 워드 데이터를 상기 전면 및 후면 디스플레이 창으로 출력하고, 상기 음성 데이터를 상기 음성출력장치로 출력하는 중앙처리장치를 더 포함하는 어학 학습기.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nd a central processing unit which reads the word data and the voice data from the memory unit, outputs the word data to the front and rear display windows, and outputs the voice data to the voice output device.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언어는 한국어, 영어, 일본어 또는 중국어 중 어느 하나의 언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 학습기.
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The language learner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languages are any one of Korean, English, Japanese or Chinese.
전면 프레임 및 후면 프레임을 구비한 어학 학습기에 있어서,
상기 전면 프레임에 배치되어, 제1 언어가 화면에 표시되는 전면 디스플레이 창; 및
상기 후면 프레임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언어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화면에 표시되는 후면 디스플레이 창을 포함하는 어학 학습기.
In the language learner having a front frame and a rear frame,
A front display window disposed on the front frame and displaying a first language on a screen; And
And a rear display window disposed on the rear frame to display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language on a screen.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프레임에 배치되어, 일반 학습모드와 연속 학습모드를 지원하는 모드버튼을 더 포함하되,
상기 연속 학습모드는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전면 및 후면 디스플레이 창에 각각 상기 제1 언어로 형성된 다음 단어 또는 문장과 상기 제1 언어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 학습기.
The method of claim 8,
Is disposed on the front frame, further comprising a mode button for supporting a general learning mode and continuous learning mode,
In the continuous learning mode, a language learner for displaying a next word or sentence formed in the first language and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language, respectively, on the front and rear display windows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프레임에 배치되는 재생버튼을 더 포함하되,
사용자가 상기 재생버튼재생버튼마다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 창에 상기 제1 언어로 형성된 디스플레이 데이터가 표시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후면 디스플레이 창에 상기 제1 언어에 대응하는 이미지로 형성된 디스플레이 데이터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 학습기.
The method of claim 8,
Further comprising a play button disposed on the front frame,
The display data formed in the first language is displayed on the front display window, and the display data formed in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language is displayed on the rear display window. Language Learner.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언어가 상기 전면 디스플레이 창에 표시되면 상기 제1 언어에 대응하는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출력장치를 더 포함하는 어학 학습기.
The method of claim 8,
And a voice output device configured to output a voice corresponding to the first language when the first language is displayed on the front display window.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언어 및 이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데이터와 상기 제1 언어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는 어학 학습기.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And a memory unit configured to store display data including the first language and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language, and voice data corresponding to the first language.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읽어들여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상기 전면 및 후면 디스플레이 창으로 출력하고, 상기 음성 데이터를 상기 음성출력장치로 출력하는 중앙처리장치를 더 포함하는 어학 학습기.
The method of claim 12,
And a central processing unit for reading the display data and the voice data from the memory unit, outputting the display data to the front and rear display windows, and outputting the voice data to the voice output device.
제8 항 내지 제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언어는 영어, 일본어, 중국어 중 하나의 언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 학습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8 to 13,
The language lear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language is one of English, Japanese, Chinese.
KR1020100100525A 2010-10-14 2010-10-14 Language learning apparatus KR10114656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0525A KR101146566B1 (en) 2010-10-14 2010-10-14 Language learn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0525A KR101146566B1 (en) 2010-10-14 2010-10-14 Language learn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8845A true KR20120038845A (en) 2012-04-24
KR101146566B1 KR101146566B1 (en) 2012-05-25

Family

ID=46139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0525A KR101146566B1 (en) 2010-10-14 2010-10-14 Language learn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656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81739A (en) * 2017-01-17 2017-05-31 武汉纺织大学 A kind of English Listening and Speaking exercis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42990A (en) * 2013-01-23 2014-07-23 郭毓斌 Language learn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9305B1 (en) * 2002-02-22 2005-02-02 최석천 Method for learning characters and therefor machinery for learning characters
KR200412767Y1 (en) * 2006-01-18 2006-03-31 조형원 Learning device sticking and removal possible multimedia of mouse type body
KR100957745B1 (en) * 2007-10-22 2010-05-12 두원공과대학산학협력단 Garlic stem cutting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81739A (en) * 2017-01-17 2017-05-31 武汉纺织大学 A kind of English Listening and Speaking exercis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6566B1 (en) 2012-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4618B1 (en) View changing method for multi-purpose educational device
US8346552B2 (en) Storage medium storing pronunciation evaluating program, pronunciation evaluating apparatus and pronunciation evaluating method
US20130311187A1 (en) Electronic Apparatus
US9137483B2 (en) Video playback device, video playback metho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having stored thereon video playback program, video playback control device, video playback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having stored thereon video playback control program
JPWO2016129515A1 (en) Foreign language learning program and method
KR101146566B1 (en) Language learning apparatus
CN103413476A (en) Touch electronic pointer
US20110217688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esenting Digital Instruction
CN202615639U (en) Touch type click-to-read machine
KR20190011911A (en) Language learning apparatus for studying english and method thereof
CN104835382A (en) Sign language learning machine suitable for interactive learning
CN206179279U (en) Supplementary teaching device of intelligence foreign language based on thing networking
KR20090054951A (en) Method for studying word and word studying apparatus thereof
KR20100100103A (en) Language learning apparatus and language learning method thereof
CN111428059A (en) Audio-associated multimedia data playing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US9253436B2 (en) Video playback device, video playback metho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having stored thereon video playback program, video playback control device, video playback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having stored thereon video playback control program
CN203118256U (en) Chinese-English translation mistake corrector
KR20170009487A (en) Chunk-based language learn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to do this
US20030171912A1 (en) Translation apparatus
KR100491947B1 (en) Apparatus for studying letter
CN211264530U (en) Oral english pronunciation unscrambler
CN112685126B (en) Document content display method and device
CN211294239U (en) Multimode english teaching equipment
KR101548815B1 (en) Language learning system
US20070273661A1 (en) Input device with a page turning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