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8713A - 자이로스코프 원리를 이용한 수직 이착륙 비행체 - Google Patents
자이로스코프 원리를 이용한 수직 이착륙 비행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38713A KR20120038713A KR1020100100316A KR20100100316A KR20120038713A KR 20120038713 A KR20120038713 A KR 20120038713A KR 1020100100316 A KR1020100100316 A KR 1020100100316A KR 20100100316 A KR20100100316 A KR 20100100316A KR 20120038713 A KR20120038713 A KR 2012003871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nding
- main body
- vertical takeoff
- wing
- aircraf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0087 stabiliz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7306 turnover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9/00—Aircraft capable of landing or taking-off vertically, e.g.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TOL] aircraft
- B64C29/02—Aircraft capable of landing or taking-off vertically, e.g.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TOL] aircraft having its flight directional axis vertical when ground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11/00—Propellers, e.g. of ducted type; Features common to propellers and rotors for rotorcraft
- B64C11/001—Shrouded propell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6—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ving disc- or ring-shaped wings
- B64C39/06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ving disc- or ring-shaped wings having annular w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2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in aircraft; 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s
- B64D27/40—Arrangements for mounting power plants in aircraf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1/00—Power install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 B64D2041/002—Mounting arrangements for auxiliary power units (AP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자이로스코프 원리를 이용한 수직 이착륙 비행체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이착륙이 쉽다.
본 발명의 회전체는 큰 회전 관성모멘트를 가지고 있으므로 처음에는 회전속도가 느리지만 플라이휠의 역할을 하므로 차츰 고속이 되면서 매우 안정된 회전을 보여주며 자이로스코프의 속성으로 비행체의 자세를 안정시킨다. 또 양력을 발생시킬 경우 회전속도는 그대로 두고 날개의 경사각만 변화시키므로 매우 신속하고 정교한 제어가 가능하다. 이를 이용하면 비행체는 항상 안정된 자세를 유지하며 이륙과 착륙이 매우 용이해진다.
둘째, 사고의 확률이 낮다.
본 발명은 동력을 발생하는 엔진과 양력을 발생시키는 날개를 복수 개 구비하고 분산시켜 사고의 위험을 줄인다. 가령 회전용 엔진은 출력이 약한 여러 개의 엔진을 사용하여 회전을 시킬 수 있으며 비행 중 일부 엔진이 고장 나더라도 비행성능은 크게 떨어지지 않는다. 또한 여러 개의 회전 날개 중 몇 개가 파손이 되어도 당장의 비행에는 큰 지장이 없다.
셋째, 추락의 위험이 낮다.
본 발명은 큰 회전 관성모멘트를 가지는 회전체가 플라이휠과 같이 계속 회전하므로 갑자기 전체의 동력이 멈추어도 회전체의 회전속도는 거의 변하지 않고 계속된다. 따라서 비행체에 계속 양력을 발생시키고 천천히 착륙할 시간적인 여유를 준다. 또한 고속 회전하는 회전체는 자이로스코프의 역할을 하므로 상승이나 하강 시 항상 비행체의 자세를 바르게 잡아주어 공중에서 비행체가 뒤집히거나 하는 일이 발생하지 않는다.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수직 이착륙 비행체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수직 이착륙 비행체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수직 이착륙 비행체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수직 이착륙 비행체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수직 이착륙 비행체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수직 이착륙 비행체 작동상태도(날개 수평 시)
도 8은 본 발명의 수직 이착륙 비행체 작동상태도(날개 경사 시)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수직 이착륙 비행체 작동상태도
10 : 메인바디 11 : 회전축
12 : 상부바디 13 : 하부바디
14 : 랜딩기어
20 : 회전플레이트 21 : 회전홀
30 : 날개 40 : 회전체
50 : 제1 엔진 60 : 제2 엔진
70 : 베인 80 : 덮개
Claims (9)
- 제1 엔진(50)이 장착되어 상기 제1 엔진(50)을 통해 회전하며 자이로스코프의 역할을 하는 회전체(40); 및
상기 회전체(40)에 장착되어 상기 회전체(40)와 함께 회전하여 양력을 발생하는 날개(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이로스코프 원리를 이용한 수직 이착륙 비행체.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이착륙 비행체(VTOL)는,
상기 회전체(40)와 연결되되, 상기 회전체(40)가 회전 시 토크를 받지 않아 회전하지 않는 메인바디(10);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바디(10)에는 하단에 상기 수직 이착륙 비행체를 지지하기 위한 랜딩기어(14)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이로스코프 원리를 이용한 수직 이착륙 비행체.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30)는,
상기 수직 이착륙 비행체(VTOL)의 양력을 신속하고 미세하게 조정하도록 지면과의 경사각이 연속적으로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이로스코프 원리를 이용한 수직 이착륙 비행체.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엔진(50)은,
상기 회전체(40)의 외면에 복수 개가 대칭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이로스코프 원리를 이용한 수직 이착륙 비행체.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이착륙 비행체(VTOL)는,
상기 메인바디(10)를 수평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메인바디(10)의 외면에 구비되는 제2 엔진(60); 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엔진(60)은, 상기 메인바디(10)의 외면에 복수 개가 구비되며, 각각의 제어를 통해 상기 메인바디(10)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이로스코프 원리를 이용한 수직 이착륙 비행체.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이착륙 비행체(VTOL)는,
상기 날개(30)에서 발생되는 후류의 방향을 전환시켜 상기 메인바디(10)를 전후진 또는 선회시키기 위해 상기 메인바디(10)의 외면에 구비되되, 경사각이 가변되는 보조날개(Vane, 70); 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이로스코프 원리를 이용한 수직 이착륙 비행체.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이착륙 비행체(VTOL)는,
상기 회전체(40)와 날개(30)를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회전하는 각각의 날개(30) 주위의 공기흐름을 균일하게 하기위해 상기 회전체(40)와 날개(30)를 감싸도록 상기 회전체(40)와 날개(30)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일정거리 이격 설치되는 덮개(80); 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이로스코프 원리를 이용한 수직 이착륙 비행체.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이착륙 비행체(VTOL)는,
상기 회전체(40)와 상기 메인바디(1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체(40)의 회전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시키는 발전모듈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이로스코프 원리를 이용한 수직 이착륙 비행체.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이착륙 비행체(VTOL)는,
상기 메인바디(10) 또는 덮개(80) 상에 설치되며, 상기 메인바디(10)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기울이는 승강타와,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방향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이로스코프 원리를 이용한 수직 이착륙 비행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00316A KR20120038713A (ko) | 2010-10-14 | 2010-10-14 | 자이로스코프 원리를 이용한 수직 이착륙 비행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00316A KR20120038713A (ko) | 2010-10-14 | 2010-10-14 | 자이로스코프 원리를 이용한 수직 이착륙 비행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38713A true KR20120038713A (ko) | 2012-04-24 |
Family
ID=46139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00316A KR20120038713A (ko) | 2010-10-14 | 2010-10-14 | 자이로스코프 원리를 이용한 수직 이착륙 비행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20038713A (ko)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633445A (zh) * | 2015-01-07 | 2015-05-20 | 中国航空工业集团公司金城南京机电液压工程研究中心 | 一种用于流体通过的自由陀螺结构 |
CN106379537A (zh) * | 2016-09-26 | 2017-02-08 | 南京航空航天大学 | 一种可垂直起降的喷气自旋转碟盘式飞行器及工作方法 |
CN107399429A (zh) * | 2017-07-27 | 2017-11-28 | 安徽工业大学 | 一种双旋翼碟形无人机 |
CN108995808A (zh) * | 2018-08-31 | 2018-12-14 | 耿天侃 | 可垂直起降可悬停的环形翼碟形飞行器 |
CN110203401A (zh) * | 2019-07-08 | 2019-09-06 | 深圳市星石空间科技有限公司 | 介质喷洒装置及其控制方法 |
CN110588974A (zh) * | 2019-09-30 | 2019-12-20 | 合肥中科重明科技有限公司 | 一种基于地面旋转储能的高效推进装置 |
WO2024058619A1 (ko) * | 2022-09-16 | 2024-03-21 | 노동신 | 방향 전환이 용이한 비행선 |
-
2010
- 2010-10-14 KR KR1020100100316A patent/KR20120038713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633445A (zh) * | 2015-01-07 | 2015-05-20 | 中国航空工业集团公司金城南京机电液压工程研究中心 | 一种用于流体通过的自由陀螺结构 |
CN106379537A (zh) * | 2016-09-26 | 2017-02-08 | 南京航空航天大学 | 一种可垂直起降的喷气自旋转碟盘式飞行器及工作方法 |
CN107399429A (zh) * | 2017-07-27 | 2017-11-28 | 安徽工业大学 | 一种双旋翼碟形无人机 |
CN107399429B (zh) * | 2017-07-27 | 2019-07-09 | 安徽工业大学 | 一种双旋翼碟形无人机 |
CN108995808A (zh) * | 2018-08-31 | 2018-12-14 | 耿天侃 | 可垂直起降可悬停的环形翼碟形飞行器 |
CN110203401A (zh) * | 2019-07-08 | 2019-09-06 | 深圳市星石空间科技有限公司 | 介质喷洒装置及其控制方法 |
CN110588974A (zh) * | 2019-09-30 | 2019-12-20 | 合肥中科重明科技有限公司 | 一种基于地面旋转储能的高效推进装置 |
CN110588974B (zh) * | 2019-09-30 | 2021-04-27 | 中国科学院力学研究所 | 一种基于地面旋转储能的高效推进装置 |
WO2024058619A1 (ko) * | 2022-09-16 | 2024-03-21 | 노동신 | 방향 전환이 용이한 비행선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097839B2 (en) | Hybrid power systems for different modes of flight | |
US10293914B2 (en) | Aerofoil for an aircraft, and an aircraft | |
JP5676824B2 (ja) | 自家用航空機 | |
US20200108919A1 (en) | Quiet Redundant Rotorcraft | |
KR20120038713A (ko) | 자이로스코프 원리를 이용한 수직 이착륙 비행체 | |
US8690096B2 (en) | Aircraft with dual flight regimes | |
KR101125870B1 (ko) | 나셀틸트각과 플래퍼론각의 기계적 연동이 이루어지는 고성능 틸트로터 항공기 | |
US11345470B2 (en) |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light aircraft | |
US20210053672A1 (en) | Flying apparatus | |
KR20130026506A (ko) | 개인용 항공기 | |
KR101579409B1 (ko) | 프로펠러형 수직 이착륙 비행체의 토크제거 및 균형유지 겸용장치 | |
KR101967249B1 (ko) | 드론 | |
US20210245873A1 (en) | Aircraft with pusher propeller | |
JP2017074804A (ja) | マルチロータヘリコプタ | |
US10144510B1 (en) | Tethered wind turbine using a stopped rotor aircraft | |
KR101953892B1 (ko) | 수직이착륙 분산 추진형 항공기 및 이의 제어 방법 | |
US6845941B2 (en) | Rotary/fixed wing aircraft | |
EP4085005A1 (en) | Aircraft with wingtip positioned propellers | |
JP2008106619A (ja) | 複合マグナス翼 | |
US11964771B2 (en) | Rotorcraft autorotation control through electrical braking | |
KR20130052168A (ko) | 장기 체공의 수직 이착륙 비행체 | |
CN105438464A (zh) | 一种飞行器及其控制方法 | |
KR101697681B1 (ko) | 고정 로터형 드론 | |
CN113104209A (zh) | 一种机翼组件 | |
CN220616220U (zh) | 一种2n+1轴飞行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01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7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3010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2070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