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8223A - Hot-cold purifiers - Google Patents

Hot-cold purifie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8223A
KR20120038223A KR1020100099861A KR20100099861A KR20120038223A KR 20120038223 A KR20120038223 A KR 20120038223A KR 1020100099861 A KR1020100099861 A KR 1020100099861A KR 20100099861 A KR20100099861 A KR 20100099861A KR 20120038223 A KR20120038223 A KR 201200382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water tank
cold
air vent
pur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98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성근
박성기
김근태
김진일
Original Assignee
이성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근 filed Critical 이성근
Priority to KR1020100099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38223A/en
Publication of KR20120038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822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1Other construction detai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PURPOSE: A cool water and hot water purifier is provided to reduce a gap between a warm water tank and a purified water tank by integratedly forming an air vent and a warm water supplying pipe into a T-shaped form. CONSTITUTION: A cool water and hot water purifier includes a purified water tank(160), a cool water tank, and a warm water tank(100). The warm water tank includes a warm water supplying pipe(116) which discharges warm water to the outside of the purifier. The warm water is heated by a heater. The warm water supplying pipe is in connection with an air vent(150) which discharges vapor and air generated from the inside of the warm water tank. The warm water supplying pipe and the air vent are integrated into a T-shaped form on the upper side of the warm water tank.

Description

냉온 정수기{HOT-COLD PURIFIERS}Cold and hot water purifier {HOT-COLD PURIFIERS}

본 발명은 냉온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벤트와 온수출수관을 티이(T)자 모양으로 일체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온수탱크와 정수탱크의 간격을 줄일 수 있도록 하여 컴팩트한 냉온 정수기를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하나의 에어벤트를 이용하여 온수탱크 내부의 공기 제거 및 순환, 압력 조절, 온수의 유출 등을 방지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냉온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ld and hot water purifier, and more specifically, by forming an air vent and a hot water outlet pipe integrally in a T-shaped shape, a compact cold and hot water purifier can be realized by reducing the distance between the hot water tank and the purified water tank.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ld / hot water purifier capable of maximizing energy efficiency by using a single air vent to prevent air removal and circulation, pressure control, and outflow of hot water.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냉온 정수기는 가정이나 사무실 및 다양한 영업장소 등에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정수된 상온의 수돗물이나 생수 제공업체에서 제공되는 상온의 생수를 냉수나 온수로 변환시켜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의 물을 원하는 온도로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As is well known, cold and hot water purifiers are used in homes, offices, and various sales places, and converts the room temperature water from purified water or bottled water providers to cold or hot water to provide as much water as the user desires. It is a device that can be provided at a temperature.

이러한 냉온 정수기는 물의 온도조절을 위해 냉온 정수기의 케이스 내부에는 물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장치와 물을 가열하기 위한 전기 히터가 내장된 가열장치가 마련되며, 상기 냉각장치 및 가열장치에 의해서 냉각된 물과 가열된 물이 따로 저장되도록 하기 위한 온수탱크와 냉수탱크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온수탱크와 냉수탱크에는 각각 냉온 정수기 케이스의 외부에서 소비자가 적당량의 물을 음용할 수 있도록 냉수코크와 온수코크가 각각 연결된다.The cold water purifier is provided with a cooling device for cooling the water and an electric heater for heating the water inside the case of the cold water purifier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and the water cooled by the cooling device and the heating device. Hot water and cold water tanks are installed to allow the heated water to be stored separately. The hot water tank and the cold water tank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cold water coke and the hot water coke so that consumers can drink an appropriate amount of water from the outside of the cold water purifier case.

도 1은 상기한 바와 같은 통상적인 냉온 정수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냉온 정수기는 통상 정수된 물이 저장되는 정수탱크(100)가 구비되고, 상기 정수탱크(100)에는 수도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정수장치를 거치면서 정화된 다음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부분이다. 이때 상기 정수탱크(100) 대신에 생수 제공업체로부터 제공되는 생수통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cold and hot water purifier as described above. Referring to FIG. 1, a cold water purifier that is generally used includes a purified water tank 100 in which purified water is normally stored, and the purified water tank 100 is purified by passing water supplied from a tap water. Next is the part that is temporarily stored. At this time, instead of the purified water tank 100 can be used to install the bottled water bottle provided from the bottled water provider.

상기 정수탱크(100)의 하부에는 정수탱크(100)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고 저장하는 온수탱크(110)와, 상기 정수탱크(100)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냉각하고 저장하는 냉수탱크(120)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온수탱크(110)와 냉수탱크(120)는 공급배관(13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러한 공급배관(130)은 상기 정수탱크(100)와 연통된다. 또한 상기 온수탱크(110)에는 외부의 전원에 의해 가열되는 히터(112)가 설치되고, 상기 냉수탱크(120)에는 냉매에 의해 냉수탱크(120)를 냉각시키는 기화관(122)이 외주면을 따라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온수탱크(110)와 냉수탱크(120)에는 내부의 물 온도를 감지하는 온수온도센서(114)와 냉수온도센서(124)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온수탱크(110)와 냉수탱크(120)에는 취출배관(132)이 각각 연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각 취출배관(132)에는 온수코크(134)와 냉수코크(136)가 각각 구비된다. The hot water tank 110 for heating and storing the water supplied from the purified water tank 100 and the cold water tank 120 for cooling and storing the water supplied from the purified water tank 100 in the lower portion of the purified water tank 100 Are respectively installed. The hot water tank 110 and the cold water tank 120 is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supply pipe 130, the supply pipe 130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purified water tank (100). In addition, the hot water tank 110 is provided with a heater 112 is heated by an external power source, the cold water tank 120, the vaporization pipe 122 for cooling the cold water tank 120 by the refrigerant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s installed. In addition, the hot water tank 110 and the cold water tank 120 are provided with a hot water temperature sensor 114 and a cold water temperature sensor 124 for detecting the internal water temperature. The hot water tank 110 and the cold water tank 120 are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discharge pipe 132, respectively, each of the discharge pipe 132 is provided with hot water coke 134 and cold water coke 136, respectively.

한편, 본 발명에서 선행기술로 제시하고자 하는 냉온 정수기는 본 발명자가 2010. 2. 12.자로 특허출원한 출원번호 제10-2010-0013458호(발명의 명칭: 냉온정수기)(이하 '선출원 발명"이라 함)가 있으며, 상기 선출원 발명은 도 2에서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ld and hot water purifier to be presented as a prior ar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atent application No. 10-2010-0013458 (the name of the invention: cold and hot water purifier) patent filed by the inventor as of February 12, 20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evention invention') This invention is presented in detail in FIG. 2.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선출원 발명은 도시하지 않은 정수탱크와 냉수탱크를 포함하며, 상기 정수탱크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일정한 온도로 데워주고 가열된 물이 저장되는 온수탱크(1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정수탱크와 냉수탱크의 구성 및 역할은 이미 도 1에서 구체적으로 언급했기 때문에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2, the prior application includes a purified water tank and a cold water tank, not shown, and includes a hot water tank 10 that warms water supplied from the purified water tank to a constant temperature and stores heated water. At this time, since the configuration and role of the purified water tank and the cold water tank are already mentioned in detail in FIG. 1,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온수탱크(10)는 정수탱크로부터 공급된 물을 가열하고 저장하는 탱크로서, 내부에는 에어배출관(12), 히터(22), 온도감지봉(28), 플로트 스위치(26), 온수출수관(24) 등이 설치된다. 상기 온수탱크(10)는 내벽(10a)과 외벽(10b)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외벽(10a,10b) 사이에는 보온재(40)가 충진되거나 진공상태를 유지하도록 설계한다. 상기 에어배출관(12)은 온수탱크(10)에 저장된 물(즉, 일정온도로 데워진 물)에서 발생하는 수증기와 공기(air)를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에어배출관(12)의 입구(12a)는 온수탱크(10)의 내부 상단 가까이에 위치하고 출구(12b)는 정수탱크와 연결된다.The hot water tank 10 is a tank for heating and storing the water supplied from the purified water tank, the air discharge pipe 12, the heater 22, the temperature sensing rod 28, the float switch 26, the hot water discharge pipe 24 and the like are provided. The hot water tank 10 is composed of an inner wall (10a) and the outer wall (10b), the insulating material 40 is filled between the inner / outer walls (10a, 10b) is designed to maintain a vacuum state. The air discharge pipe 12 is for discharging steam and air generated from water stored in the hot water tank 10 (that is, water warm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the inlet 12a of the air discharge pipe 12 Is located near the inner top of the hot water tank 10 and the outlet 12b is connected to the purified water tank.

상기 정수공급관(18)은 정수탱크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온수탱크(10)의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통로 역할을 하며, 상기 정수공급관(18)을 통해 온수탱크(10)로 공급되는 물은 정수탱크(16)의 대기압에 의해 일정한 기압을 유지하면서 온수탱크(10)에 공급된다. 이때 상기 정수공급관(18)에는 역류방지를 위한 체크밸브(20)가 설치된다. 상기 히터(22)는 통상 '유(U)'자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온수탱크(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정수탱크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일정한 온도로 데워주는 역할을 한다.The purified water supply pipe 18 serves as a passage for supplying water supplied from the purified water tank into the hot water tank 10, and the water supplied to the hot water tank 10 through the purified water supply pipe 18 is a purified water tank. The atmospheric pressure of (16) is supplied to the hot water tank 10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air pressure. At this time, the purified water supply pipe 18 is provided with a check valve 20 for preventing the backflow. The heater 22 is generally formed in a 'U' shape, and is installed inside the hot water tank 10 to serve to warm water supplied from the purified water tank to a constant temperature.

상기 온도감지봉(28)은 히터(22)의 일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히터(22)의 작동을 제어하는 센서이다. 상기 온도감지봉(28)의 상부에는 돌출리브(30a,30b)가 둘레면을 따라 각각 설치되며, 상기 돌출리브(30a,30b)의 사이에는 플로트 스위치(26)가 설치된다. 상기 플로트 스위치(26)는 온도감지봉(28)에 끼워져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 상기 온수출수관(24)은 온수탱크(10)에 저장된 물(즉, 히터(22)에 의해 데워진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며, 상기 온수출수관(24)의 입구(24b)는 온수탱크(10)의 내부에 위치하고 출구(24a)는 통상의 온수코크(즉, 도 1에서 도시한 온수코크(134))와 연결된다.The temperature sensing rod 28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heater 22, and is a senso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heater 22. Protruding ribs 30a and 30b are respectively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emperature sensing rod 28, and a float switch 26 is installed between the protruding ribs 30a and 30b. The float switch 26 is coupled to the temperature sensing rod 28 to be moved in the up / down direction. The hot water outlet pipe 24 serves to discharge the water stored in the hot water tank 10 (that is, the water warmed by the heater 22) to the outside, and the inlet 24b of the hot water outlet pipe 24 is Located inside the hot water tank 10, the outlet 24a is connected to a conventional hot water coke (i.e., hot water coke 134 shown in FIG. 1).

끝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냉온 정수기는 온수탱크(10)의 바닥면을 캡(14)으로 덮은 다음에 가장자리 부분을 말아 올려서 압착 고정시킨다. 즉, 상기 캡(14)은 컬링(curling) 타입으로 정수탱크(10)의 바닥면에 마감 처리되고, 상기 캡(14)의 안쪽으로는 패킹(16)을 설치하여 실링 처리한다.Finally, the cold and hot water purifie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overs the bottom surface of the hot water tank 10 with a cap 14, and then rolls up the edge portion to fix the pressure. That is, the cap 14 is curled (curling) type is finish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purification tank 10, the cap 14 is installed inside the cap 14 to seal the treatment.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선출원 발명은 온수탱크에서 일정한 온도(예를 들면, 80~90℃)로 데워진 온수에서 생성되는 수증기와 공기를 배출시키는 에어배출관(이하 "에어벤트"라 함)을 온수탱크의 내부에 설치하게 되는데, 구체적으로는 상기 에어벤트의 입구는 온수탱크의 내부 상단 가까이에 위치시키고 출구는 정수탱크와 연결되도록 설치함으로써 온수탱크의 부피가 커질 뿐만 아니라 항상 정수탱크와 온수탱크 사이의 간격을 일정 높이만큼 유지시켜야만 하기 때문에 냉온 정수기의 크기가 커지게 되고 이로 인해 설치공간에 제약을 받게 되는 단점이 예상된다.However, the invention of the prior applica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n air discharge pip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ir vent") for discharging the steam and air generated from the hot water heated to a constant temperature (for example, 80 ~ 90 ℃) in the hot water tank It is installed inside the tank. Specifically, the inlet of the air vent is located near the inner top of the hot water tank and the outlet is connected to the purified water tank to increase the volume of the hot water tank as well as always between the purified water tank and the hot water tank.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must be maintained by a certain height, the size of the cold and hot water purifier is increased and this is expected to have a disadvantage that the installation space is limited.

특히, 이러한 선출원 발명은 온수탱크의 내부에 온수가 없는 상태(즉, 온수탱크의 내부가 완전히 비어있는 상태)에서 정수탱크로부터 물이 공급될 때에는 반드시 온수코크를 오픈(open)시켜야만 하기 때문에 냉온 정수기 설치자 또는 소비자로 하여금 번거로움을 야기시키는 단점이 예상된다.In particular, such a prior invention has a cold water purifier because the hot water coke must be opened when water is supplied from the purified water tank in a state where there is no hot water in the hot water tank (that is, the inside of the hot water tank is completely empty). Disadvantages are expected to cause annoyance for the installer or the consumer.

또한, 상기 선출원 발명은 온수탱크의 내부에 형성된 수증기와 공기를 에어벤트 쪽으로 빼내기 위하여 에어벤트의 입구를 온수탱크에 저장된 온수의 수위보다 높게 위치시켜야만 하고, 이는 정밀한 작업을 필요하게 할 뿐만 아니라 작업공정과 작업시간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며, 이에 따라 제품의 가격을 상승시키는 단점이 예상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에어벤트의 길이가 길기 때문에 소비자가 온수코크를 계속해서 오픈시키게 되면 온수탱크의 내부에 형성된 수증기(또는 공기)가 에어벤트 쪽으로 빠져나가는 시간이 더디게 되어 온수가 제대로 배출되지 않는 단점이 예상된다.
In addition, the prior application has to place the inlet of the air vent higher than the level of the hot water stored in the hot water tank in order to draw the water vapor and air formed inside the hot water tank toward the air vent, which not only requires precise work but also the work process And it is a factor that increases work time and, accordingly, the disadvantage of raising the price of the product is expected. In addition, since the length of the air vent is long, if the consumer keeps opening the hot water coke, water vapor (or air) formed in the inside of the hot water tank will be delayed to escape to the air vent, and thus hot water is not properly discharged. do.

[문헌 1] 특허출원번호 제10-2010-0013458호(발명의 명칭: 냉온정수기, 특허출원일자: 2010년 2월 12일)[Document 1] Patent Application No. 10-2010-0013458 (Invention name: Cold and hot water purifier, Patent application date: February 12, 2010)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에어벤트와 온수출수관을 티이(T)자 모양으로 일체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온수탱크와 정수탱크의 간격을 줄일 수 있도록 하여 컴팩트한 정수기를 구현할 수 있는 냉온 정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by forming the air vent and hot water outlet pipe integrally in the form of a tee (T) shape to reduce the distance between the hot water tank and the water purification tank can implement a compact water purifier. The purpose is to provide a cold and hot water purifie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나의 에어벤트를 이용하여 온수탱크 내부의 수증기 또는 공기를 제거하고, 공기의 순환, 압력 조절, 온수의 유출 방지 등을 구현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냉온 정수기를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move the water vapor or air in the hot water tank using a single air vent, and to implement the circulation of air, pressure control, prevention of hot water leakage, cold and hot water purifier that can maximize energy efficiency In providing.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에어벤트를 온수탱크의 내부에 설치하지 않음으로써 작업공정 및 작업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냉온 정수기를 제공함에 있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ld water purifier that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work process and working time by not installing the air vent in the hot water tank.

본 발명은 통상의 정수탱크와 냉수탱크 및 온수탱크를 포함하며, 상기 온수탱크에는 상기 정수탱크와 연결된 정수공급관 및 상기 정수탱크로부터 공급된 물을 가열하는 히터와, 그리고 상기 히터에 의해 데워진 온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온수출수관이 설치되며, 상기 온수출수관은 상기 온수탱크의 내부에서 생성된 수증기와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에어벤트와 연결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ventional purified water tank, cold water tank and hot water tank, the hot water tank includes a water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purified water tank and a heater for heating the water supplied from the purified water tank, and hot water warmed by the heater The hot water discharge pipe is installed to discharge to the outside, the hot water discharge pip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nected to the air vent for discharging the steam and air generated inside the hot water tank.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온수출수관과 에어벤트를 온수탱크의 상단부에 설치하고, 이들을 티이(T)자 형상으로 일체형으로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ot water outlet pipe and the air vent is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hot water tank, and these are manufactured integrally in the shape of a tee (T).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에어벤트와 온수탱크 사이에 설치되는 부레장치를 구성하는데, 상기 부레장치는 온수탱크와 연결되고 내주면을 따라 복수의 리브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안착되고 상단부에는 마개가 부착된 부레와, 상기 케이스의 상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마개의 동작에 따라 개폐되는 구멍을 가지는 캡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s a beret device installed between the air vent and the hot water tank, the beret device is connected to the hot water tank and a plurality of ribs form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seated in the interior of the case and the top end cap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cap having a hole attached to, and installed in the upper end of the case and opened and closed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stopper.

본 발명은 에어벤트와 온수출관을 티이(T)자 모양으로 일체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컴팩트한 냉온 정수기를 제작할 수 있으며, 또한 하나의 에어벤트를 이용하여 수증기 또는 공기 제거 및 순환, 공기 압력 조절 등을 구현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에어벤트를 온수탱크의 내부에 설치하지 않고 온수탱크의 외부에 온수출수관과 함께 형성함으로써 정밀한 작업공정을 요하지 않고 또한 작업공정 및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는 상승적인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form a compact cold and hot water purifier by integrally forming the air vent and hot water outlet tube in the shape of a T (T), and also implements water vapor or air removal and circulation, air pressure control using a single air vent. By doing so, there is an advantage to increase energy efficiency. In addition, by forming the air vent together with the hot water outlet pipe outside the hot water tank without installing the inside of the hot water tank, there is a synergistic effect that does not require a precise work process and also reduces the work process and working time.

도 1은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냉온 정수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선행기술로 제시되고 있는 냉온 정수기의 구성요소 중에서 온수탱크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어벤트와 온수출수관이 일체형으로 제작된 냉온 정수기의 구성을 보여주고 있는 도면.
도 4는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에어벤트에 설치된 부레장치의 구성을 분해하여 보여주고 있는 도면.
도 5a 내지 도 5d는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냉온 정수기의 동작상태를 구체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에어벤트의 내부에 체크밸브가 설치된 냉온 정수기의 구성을 보여주고 있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에어벤트와 온수출관이 일체형으로 제작된 냉온 정수기의 구성을 보여주고 있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온 정수기의 상단부에 정수공급관이 설치된 냉온 정수기의 구성을 보여주고 있는 도면.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ld and hot water purifier that is commonly used.
Figure 2 is a view showing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the hot water tank of the components of the cold and hot water purifier that is presented in the prior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ld and hot water purifier produced in one piece of the air vent and hot water outlet pi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ure device installed in the air vent shown in FIG.
5a to 5d are views showing in detail the operating state of the cold and hot water purifier shown in FIG.
6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ld and hot water purifier installed with a check valve inside the air v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ld and hot water purifier made of a single air vent and hot water outlet tub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ld hot water purifier in which the purified water supply pipe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cold hot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 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 대표적인 실시 예를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embodiments that can be present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are replaced by the description in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는 온수탱크의 내부에서 생성되는 수증기와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에어벤트를 온수탱크의 내부에 설치하지 않고 상기 에어벤트를 온수출수관과 "티이(T)"자 모양으로 일체형으로 제작함으로써 컴팩트한 냉온 정수기를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나의 에어벤트를 이용하여 다양한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최대한 높일 수 있는 냉온 정수기를 구현하고자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installing the air vent for discharging the steam and air generated in the hot water tank inside the hot water tank, the air vent is compactly manufactured by integrally forming the hot water discharge pipe and the "tee (T)" shape. In addition to realizing a cold and hot water purifier, it is intended to implement a cold and hot water purifier that can maximize energy efficiency by implementing various functions using one air vent.

또한, 본 발명은 에어벤트의 내부에 부레 또는 체크밸브를 설치하여 온수탱크의 내부에서 생성되는 수증기와 공기를 신속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있는데, 이를 구체적으로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eature to quickly discharge the steam and air generated in the interior of the hot water tank by installing a breather or check valve inside the air vent, specifically listed as follows.

첫 번째로, 에어벤트와 온수출수관을 "티이(T)"자 모양으로 일체형으로 제작하고 또한 상기 에어벤트의 내부에 부레 또는 체크밸브 혹은 에어벤트의 길이를 길게 형성함으로써 온수탱크의 내부에 온수가 없는 최초의 상태에서 정수탱크로부터 물을 공급할 때 정수기 설치자 또는 소비자가 번거롭게 온수코크를 일일이 오픈시킬 필요가 없다. 즉, 온수탱크의 내부로 정수가 공급되면 온수탱크의 내부에 있는 공기는 자연적으로 에어벤트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이에 따라 정수기 설치자 또는 소비자는 온수코크를 오픈시킬 필요가 없게 된다.Firstly, the air vent and the hot water outlet pipe are integrally formed in a “T” shape, and the length of the air vent or the check valve or the air vent is formed in the inside of the air vent so that the hot water is kept inside the hot water tank. When water is supplied from the water purification tank in the initial state without water, the water purifier installer or the consumer does not need to open the hot water coke one by one. That is, when purified water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hot water tank, the air inside the hot water tank is naturally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air vent, so that the water purifier installer or the consumer does not need to open the hot water coke.

두 번째로, 소비자가 온수코크를 통해 온수를 계속해서 빼내게 되면 온수탱크의 내부에 생성된 수증기와 공기는 에어벤트를 통해 신속하게 배출되고, 또한 상기 온수는 항상 일정한 압력으로 온수코크를 통해 배출되어진다.Secondly, when the consumer continuously draws hot water through the hot water coke, the steam and air generated inside the hot water tank are quickly discharged through the air vent, and the hot water is always discharged through the hot water coke at a constant pressure. It is done.

세 번째로, 온수탱크의 내부에 수증기와 공기가 가득차게 되면 상기 수증기와 공기는 물과 함께 정수공급관을 통해 역류(이때 약간의 물만 역류하게 됨)하게 되고, 이에 따라 온수탱크의 수위는 약간 내려감과 동시에 에어벤트 쪽으로 온수탱크에 잔존하는 나머지의 수증기와 공기가 에어벤트를 통해 배출되어진다.Third, when the steam and air is filled inside the hot water tank, the steam and air together with the water flows back through the purified water supply pipe (only a small amount of water flows back), thereby lowering the level of the hot water tank slightly. At the same time, the remaining water vapor and air remaining in the hot water tank toward the air vent are discharged through the air vent.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냉온 정수기는 길이가 긴 에어벤트를 제작할 필요가 없고 더욱이 에어벤트를 온수탱크의 내부에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많은 효과를 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출원 발명이 가지고 있는 단점들을 일시에 해소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old / hot wate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ed to manufacture a long air vent, and furthermore, it is not necessary to install the air vent inside the hot water tank, it is possible to achieve many of the above effects as well as the disadvantages of the prior invention. There is a characteristic that can be canceled at a tim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겠는 바, 상기 본 발명이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하기의 각 실시 예에서는 본 발명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특징적인 구성만을 구체적으로 제시할 것이며, 그 이외의 구성은 이미 앞에서 언급한 선출원 발명의 상세설명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였기 때문에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In each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only characteristic features intended to be implem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d other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since they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i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즉, 본 발명과 선출원 발명의 기술적 구성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히터, 온도감지봉, 플로트 스위치, 온수탱크의 내/외벽 사이에 설치되는 구성(보온재 또는 진공상태) 등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을 것이다.That is, in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ior application, the heater (temperature sensing rod), float switch, and the configuration (heat insulating material or vacuum state) installed between the inner and outer walls of the hot water tank that perform the same function is not specifically mentioned. Will not.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온수탱크의 내부에 에어벤트를 설치하지 않고 온수출수관과 일체형으로 제작하여 다양한 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것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시하고 있는 기술적 구성은 위에서 언급한 히터, 온도감지봉, 플로트 스위치 등이 설치된 냉온 정수기(즉, 선출원 발명)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냉온 정수기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한 사실임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선출원 발명에 의해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technical feature in that it is possible to create various effects by integrally manufacturing the hot water outlet pipe without installing an air vent inside the hot water tank. Therefore, the technical configuration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cold / cold water purifier (that is, a pre-opened invention) in which the heater, the temperature sensing rod, and the float switch, etc. mentioned above are installed, as well as the common cold / cold water purifier that is commonly used. It is obvious that it can be don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by the prior application.

{실시예 1}{Example 1}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어벤트와 온수출수관이 일체형으로 제작된 냉온 정수기의 구성을 보여주고 있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냉온 정수기는 내벽(100a)과 외벽(100b)으로 구성된 온수탱크(100)를 구성하고, 상기 내벽(100a)과 외벽(100b) 사이에는 진공상태를 유지하여 온수탱크(100)에 저장된 온수의 온도가 빨리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히터장치(22)의 가동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온수탱크(100)의 내부에는 일반적인 히터장치(22), 온도감지봉(28), 플로트 스위치(26), 정수공급관(18)이 설치되며, 상기 온수탱크(100)는 통상적인 정수탱크(160)와 연결된다.3 and 4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ld and hot water purifier is produced integrally with the air vent and hot water outlet pi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ld wate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s a hot water tank 100 composed of an inner wall (100a) and an outer wall (100b), and maintained in a vacuum between the inner wall (100a) and the outer wall (100b) stored in the hot water tank (10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drops quickly and to reduce the running time of the heater device 22. 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hot water tank 100, the general heater device 22, the temperature sensing rod 28, the float switch 26, the purified water supply pipe 18 is installed, the hot water tank 100 is a conventional water purification tank And connected with 160.

상기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온수탱크(100)의 상단 중앙에는 연결관(102)이 설치되고, 상기 연결관(102)에는 본 발명의 부레장치(A)가 설치되고, 상기 부레장치(A)의 상단부에는 에어벤트(15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부레장치(A)는 에어벤트(150)의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이는 설계 또는 제작상의 문제이기 때문에 상기 부레장치(A)를 에어벤트(150)의 외부에 설치하거나 혹은 내부에 설치하는 것은 중요한 문제가 아니고, 상기 부레장치(A)의 기능 및 기술적 구성이 중요하다 할 것이다.3 and 4, the upper end of the hot water tank 100, the connection pipe 102 is installed, the connection pipe 102 is installed in the beret device (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ret device The air vent 150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A). In this case, the bleeding device (A) may be installed inside the air vent 150, which is a design or manufacturing problem, so that the bleeding device (A) is installed outside or installed inside the air vent (150). It is not an important problem, but the function and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above-mentioned apparatus A will be important.

상기 도 3,4를 참조하면, 전술한 부레장치(A)는 온수탱크(100)와 연결관(102)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부레장치(A)는 캡(104), 부레(106), 케이스(110)로 구성된다. 즉, 상기 케이스(11)의 저면에는 배출관(114)이 형성되고 일측으로는 온수출수관(116)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온수출수관(116)에는 통상의 온수코크(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며, 또는 온수코크가 설치된 별도의 온수출수관을 구성하고 이 온수출수관을 케이스(110)에 형성된 온수출수관(116)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10)의 저면에 형성된 배출관(114)은 온수탱크(100)에 설치된 연결관(102)에 연결되어진다.3 and 4, the above-mentioned beret device (A) is connected through the hot water tank 100 and the connection pipe 102, the beret device (A) is a cap 104, beret 106, It is composed of a case 110. That is, the discharge pipe 114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case 11 and the hot water discharge pipe 116 is formed at one side. In this case, the hot water outlet pipe 116 is provided with a normal hot water coke (not shown), or constitutes a separate hot water outlet pipe with the hot water coke installed therein and the hot water outlet pipe formed in the case 110 ( 116). The discharge pipe 114 formed on the bottom of the case 11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pe 102 installed in the hot water tank (100).

전술한 케이스(110)는 통상 원통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그 내부에는 부레(106)가 안착된다. 즉, 상기 케이스(110)의 내주면에는 리브(112)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형성되고, 상기 리브(112)는 부레(106)가 케이스(110)에 안착될 때 케이스(110)와 부레(106)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여 공기와 수증기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즉,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10)의 바닥면에는 단턱(110a)이 형성되는데, 상기 단턱(110a)을 형성한 이유는 부레(106)가 케이스(110)의 바닥면에 안착될 때 상기 부레(106)가 수막에 의해 케이스(110)의 바닥면에 밀착되어 떨어지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단턱(110a)을 형성함으로써 부레(106)는 케이스(110)의 바닥면에 완전히 밀착되지 않고 약 1/2 정도가 케이스(110)의 바닥면으로부터 떨어져 있기 때문에 부레(106)가 자유롭게 케이스(110)의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The above-described case 110 is preferably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he inside of the buckle 106 is seated. That is, the ribs 112 ar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110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interval, and the ribs 112 are the case 110 and the beret 106 when the beret 106 is seated on the case 110. This is to create a space between the air and water so that air and water vapor can move freely (that is, discharged). And the step 110a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110, the reason why the step 110a is formed when the bule 106 is se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110 This is to prevent th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110 by the water film does not fall. That is, by forming the step 110a, the buckle 106 is not completely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110, and about half of it is separate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110. It is possible to move in the up / down direction inside the case 110.

상기 부레(106)의 상단 중앙부분에는 탄성력을 가지는 마개(108)가 부착되며, 상기 마개(108)는 온수탱크(100)의 내부에서 생성된 수증기와 공기를 순환 또는 차단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마개(108)는 탄성력을 가지는 소재, 예를 들면, 인체에 무해한 실리콘이나 고무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topper 108 having an elastic force is attached to the upper center portion of the bure 106, the stopper 108 serves to circulate or block the steam and air generated inside the hot water tank 100. At this time, the stopper 108 is preferably a material having an elastic force, for example, silicon or rubber material harmless to the human body.

한편, 전술한 케이스(110)의 상단면에는 캡(104)이 고정 설치되며, 상기 캡(104)의 중앙부분에는 구멍(104a)이 형성된다. 상기 구멍(104a)은 부레(106)에 부착된 마개(108)의 동작에 따라 열고/닫히게 되는데, 예를 들면 상기 부레(106)의 하강동작에 따라 마개(108)가 구멍(104a)으로부터 떨어지게 되면 상기 구멍(104a)을 통해서 수증기와 공기가 빠져나가게 되고, 상기 부레(106)의 상승동작에 따라 마개(108)가 구멍(104a)을 막게 되면 상기 케이스(110)와 온수탱크(100)는 밀폐상태를 유지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cap 104 is fixed to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case 110, the hole 104a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cap 104. The hole 104a is opened / clos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topper 108 attached to the buckle 106, for example, so that the stopper 108 is separated from the hole 104a according to the lowering operation of the buckle 106. When the water vapor and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hole 104a, and the stopper 108 obstructs the hole 104a according to the ascending motion of the bure 106, the case 110 and the hot water tank 100 Will remain sealed.

하기에서는, 위와 같이 구성된 온수탱크(100)의 동작 상태, 바람직하게는 부레장치(A)의 동작 상태를 도 5a 내지 도 5d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In the foll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hot water tank 1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preferably, the operating state of the pour device (A)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ures 5a to 5d.

먼저,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온수탱크(100)의 내부에 온수가 없는 상태, 즉 온수탱크(100)의 내부가 완전히 비어있는 상태에서 정수탱크(160)로부터 물이 공급되면, 상기 온수탱크(100)에 있는 공기는 도 5b와 같이 위로 상승하게 되고, 정수탱크(160)로부터 계속해서 물이 공급되면 상기 공기는 케이스(110)와 부레(106) 사이의 공간을 통해서 캡(104)의 구멍(104a) 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구멍(104a) 쪽으로 이동된 공기는 에어벤트(150)를 통해서 정수탱크(160)의 내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동작에 따라 정수기 설치자 또는 소비자는 온수코크를 오픈시킬 필요가 없게 된다.First, as shown in FIG. 5A, when water is supplied from the water purification tank 160 in a state in which no hot water is present in the hot water tank 100, that is, the interior of the hot water tank 100 is completely empty, the hot water tank 100. The air in the 100 rises as shown in FIG. 5B, and when water is continuously supplied from the water purification tank 160, the air passes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case 110 and the bure 106 of the cap 104. The air is moved toward the hole 104a and the air moved toward the hole 104a is discharged into the water purification tank 160 through the air vent 150. According to this operation, the water purifier installer or the consumer does not need to open the hot water coke.

다음,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비자가 온수탱크(100)에 저장된 온수를 음용하기 위하여 온수코크를 오픈시키게 되면 온수탱크(100)에 저장된 온수는 연결관(102), 배출관(114), 온수출수관(116)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고, 이와 동시에 케이스(110)에 가득차 있던 온수도 온수출수관(116)을 통해 외부로 함께 배출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에 있던 온수가 배출됨으로써 부레(106)는 자연스럽게 하강하게 되고, 상기 부레(106)에 설치된 마개(108)는 캡(104)의 구멍(104a)을 오픈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온수탱크(100)의 내부에 있는 수증기와 공기는 케이스(110)와 부레(106) 사이의 공간을 통해서 캡(104)의 구멍(104a) 쪽으로 배출되고, 배출된 공기와 수증기는 에어벤트(150)를 통해서 정수탱크(160)의 내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동작에 따라 온수탱크(100)의 내부에 생성된 수증기와 공기는 신속하게 에어벤트(150)로 배출됨으로써 항상 일정한 수압으로 온수는 온수코크를 통해서 계속적으로 배출되어진다.Next, as shown in FIG. 5C, when the consumer opens the hot water coke to drink hot water stored in the hot water tank 100, the hot water stored in the hot water tank 100 is connected to the pipe 102, the discharge pipe 114, and the ON. 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port water pipe 116, and at the same time the hot water filled in the case 110 is also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hot water outlet pipe (116). At this time, the hot water was discharged from the inside of the case 110, the bridle 106 is naturally lowered, the stopper 108 installed in the bridle 106 opens the hole 104a of the cap 104. Accordingly, the water vapor and the air in the inside of the hot water tank 100 is discharged toward the hole 104a of the cap 104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case 110 and the bridle 106, the discharged air and water vapor is air vent Through the 150 is discharged into the water purification tank 160. According to such an operation, water vapor and air generated inside the hot water tank 100 are quickly discharged to the air vent 150 so that hot water is constantly discharged through the hot water coke at a constant water pressure.

한편, 도 5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온수탱크(100)에 저장된 온수가 히터장치(22)에 의해 일정한 온도(예를 들면, 80~90℃)까지 계속해서 데워지게 되면, 상기 온수탱크(100)의 내부에는 뜨거운 공기와 수증기로 가득차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수증기와 공기는 정수공급관(18)을 통해 미량의 물과 함께 역류하게 되는데, 이때 정수공급관(18)을 통해 배출된 량만큼 케이스(110)의 내부에 있던 온수가 온수탱크(100)의 내부로 떨어지게 되고 이와 동시에 부레(106)는 하강하게 된다. 결국, 부레(106)에 설치된 마개(108)는 캡(104)의 구멍(104a)을 오픈시키게 되고 상기 온수탱크(100)에 있는 수증기와 공기는 케이스(110)와 부레(106) 사이의 공간을 통해서 캡(104)의 구멍(104a) 쪽으로 배출되고, 상기 배출된 공기와 수증기는 에어벤트(150)를 통해서 정수탱크(160)의 내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정수공급관(18)을 통해 역류하던 미량의 물은 체크밸브에 의해 더 이상 배출되지 않게 되며, 이는 온수탱크(100)에 생성된 압력이 수증기 및 공기와 함께 에어벤트(150)로 배출되기 때문이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5d when the hot water stored in the hot water tank 100 is continuously heated to a constant temperature (for example, 80 ~ 90 ℃) by the heater device 22, the hot water tank 100 The interior is filled with hot air and water vapor. Accordingly, the water vapor and the air flows back together with the trace amount of water through the purified water supply pipe 18, wherein the hot water in the case 110 is discharged through the purified water supply pipe 18 to the hot water tank 100. It will fall into the interior of the buckle 106 at the same time is lowered. Eventually, the stopper 108 installed in the bridle 106 opens the hole 104a of the cap 104 and the water vapor and air in the hot water tank 100 are spaces between the case 110 and the bridle 106. Through the discharge through the hole 104a of the cap 104, the discharged air and water vapor is discharged into the water purification tank 160 through the air vent 150. At this time, the trace amount of water flowing back through the purified water supply pipe 18 is no longer discharged by the check valve, and the pressure generated in the hot water tank 100 is discharged to the air vent 150 together with water vapor and air. Because.

이와 같은 동작에 따라 온수탱크(100)의 내부에서 생성된 수증기와 뜨거운 공기는 온수탱크(100)에 남아있지 않게 되고 항상 에어벤트(150)를 통해서 신속하게 배출되기 때문에 히터장치(22)와 플로트 스위치(26)의 오작동을 방지하게 되고 또한 온수가 역류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operation, the steam and hot air generated inside the hot water tank 100 do not remain in the hot water tank 100, and are always quickly discharged through the air vent 150, and thus the heater device 22 and the floa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alfunction of the switch 26 and to prevent the phenomenon in which hot water flows backward, thereby improving energy efficiency.

{실시 예 2}{Example 2}

본 발명에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벤트(150)와 온수출수관(170)을 "티이(T)"자 모양으로 일체형으로 제작하면서 상기 에어벤트(150)의 내부에 체크밸브(200)를 설치하였다. 이때 상기 체크밸브(200)는 전술한 실시 예 1에서 제시하고 있는 부레장치(A)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6, while the air vent 150 and the hot water outlet pipe 170 is produced integrally in the shape of the "T (T)" check valve 200 in the interior of the air vent 150 Was installed. At this time, the check valve 200 performs the same function as the buckle device (A) proposed in the first embodiment.

즉, 상기 체크밸브(200)는 정수공급관(18)을 통해서 물이 공급되면 온수탱크(100)의 내부에 있는 공기가 체크밸브(200)를 통해서 배출된다. 또한 소비자가 온수코크를 오픈시킬 때 온수탱크(100)에 있는 온수가 온수출수관(170)을 통해 배출되면 상기 온수탱크(100)에 있는 수증기와 공기는 체크밸브(200)를 통해서 배출되고, 상기 배출된 수증기와 공기는 에어벤트(150)를 통해서 정수탱크(160)의 내부로 배출된다.That is, when water is supplied through the purified water supply pipe 18, the check valve 200 discharges air inside the hot water tank 100 through the check valve 200. In addition, when the consumer opens the hot water coke, if the hot water in the hot water tank 100 is discharged through the hot water outlet pipe 170, the steam and air in the hot water tank 100 is discharged through the check valve 200, The discharged water vapor and air is discharged into the purified water tank 160 through the air vent 150.

이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는 체크밸브(200)와 에어벤트(150)는 전술한 실시 예 1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모든 효과를 만족시킬 수 있다.
The check valve 200 and the air vent 150 performing such an operation can satisfy all the effects to be implemented in the first embodiment.

{실시 예 3}{Example 3}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에어벤트(150)와 온수출수관(170)을 "티이(T)"자 모양으로 일체형으로 제작한 냉온 정수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ld and hot water purifier produced in one piece of the air vent 150 and the hot water outlet pipe 17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hape of a "T (T)".

상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온수탱크(100)의 내부에 생성된 수증기와 공기는 자연스럽게 에어벤트(150)를 통해 정수탱크(160) 쪽으로 배출되고, 이때 상기 온수는 정수탱크(160)에 담겨진 물의 수위만큼 상승하기 때문에 온수가 정수탱크(100)의 내부로 배출되는 현상은 없다. 즉, 상기 에어벤트(150)를 통해서는 수증기와 공기만이 배출되어진다.As shown in FIG. 7, water vapor and air generated inside the hot water tank 100 are naturally discharged toward the purified water tank 160 through the air vent 150, and the hot water is supplied to the purified water tank 160. There is no phenomenon that the hot water is discharged into the purified water tank 100 because it rises by the level of the contained water. That is, only water vapor and air are discharged through the air vent 150.

이와 같은 동작은 전술한 실시 예 1과 실시 예 2에서 제시하고 있는 동작과 동일하며, 이러한 동작으로 인해 본 발명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모든 효과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This operation is the same as the operation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second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achieve all the effects to be implem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by this operation.

{실시예 4}{Example 4}

도 8에서 제시하고 있는 본 발명의 냉온 정수기는 전술한 실시 예 1에서 기술하고 있는 냉온 정수기와 동일한 기술적 구성을 하고 있으며, 단지 정수공급관(300)을 온수탱크(100)의 하단부에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온수탱크(100)의 상단부에 설치한 것이다. 즉, 상기 정수공급관(300)의 입구는 정수탱크(160)와 연결하고 출구는 온수탱크(100)의 내부 바닥면 가까이에 위치하도록 구성하였으며, 이는 정수탱크(160)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역류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The cold / hot wate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8 has the same technical configuration as the cold / hot water purifier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and is not merely provided with the purified water supply pipe 300 at the lower end of the hot water tank 100. It is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hot water tank (100). That is, the inlet of the purified water supply pipe 300 is connected to the purified water tank 160 and the outlet is configured to be located near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hot water tank 100, which is a water flow back from the purified water tank 160 This is to prevent the phenomenon.

이와 같이 정수공급관(300)을 온수탱크(100)의 상단부에 설치함으로써 정수탱크(160)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위에서 곧바로 정수공급관(300)을 통해 공급되고, 이에 따라 히터장치(22)의 가동에 의해 온수탱크(100)에 저장된 물이 데워질 때 발생하는 압력차에 의해 온수가 정수공급관(300)으로 역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By installing the purified water supply pipe 300 at the upper end of the hot water tank 100 in this way, the water supplied from the purified water tank 160 is supplied through the purified water supply pipe 300 directly from above, thereby operating the heater device 22. The hot water is prevented from flowing back to the purified water supply pipe 300 by the pressure difference generated when the water stored in the hot water tank 100 is warmed.

100: 온수탱크 104: 캡
104a: 구멍 106: 부레
108: 마개 110: 케이스
110a: 단턱 112: 리브
116, 170: 온수출수관 150: 에어벤트
160: 정수탱크 200: 체크밸브
300: 정수공급관 A: 부레장치
100: hot water tank 104: cap
104a: hole 106: bure
108: stopper 110: case
110a: step 112: rib
116, 170: hot water outlet 150: air vent
160: water purification tank 200: check valve
300: purified water supply pipe A: burette

Claims (9)

통상의 정수탱크와 냉수탱크 및 온수탱크를 포함하며, 상기 온수탱크에는 상기 정수탱크와 연결된 정수공급관 및 상기 정수탱크로부터 공급된 물을 가열하는 히터와, 그리고 상기 히터에 의해 데워진 온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온수출수관이 설치된 통상의 냉온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온수출수관은 상기 온수탱크의 내부에서 생성된 수증기와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에어벤트와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 정수기.
It includes a normal purified water tank, cold water tank and hot water tank, the hot water tank is a water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purified water tank and a heater for heating the water supplied from the purified water tank, and the hot water heated by the heater to the outside In a normal cold and hot water purifier provided with a hot water outlet pipe,
The hot water discharge pipe is cold and hot wate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air vent for discharging the steam and air generated inside the hot water tan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출수관과 상기 에어벤트는 상기 온수탱크의 상단부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hot water outlet pipe and the air vent are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hot water tank.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출수관과 에어벤트는 티이(T)자 형상으로 일체형으로 제작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2,
The hot water extraction pipe and the air vent is cold and hot wate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integrally in the shape of a T (T).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벤트와 온수탱크 사이에는 부레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부레장치는,
상기 온수탱크와 연결되고, 내주면을 따라 복수의 리브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안착되고, 상단부에는 마개가 부착된 부레와;
상기 케이스의 상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마개의 동작에 따라 개폐되는 구멍을 가지는 캡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 정수기.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Between the air vent and the hot water tank is installed a bong device;
The bure device,
A case connected to the hot water tank and having a plurality of ribs formed alo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It is seated on the inside of the case, the upper end with a stopper attached to the stopper;
It is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case, cold and hot wate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ap having a hole opening and closing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stopp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에는 단턱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Cold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ped surface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는 탄성 재질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 정수기.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topper is cold wate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벤트의 내부에는 체크밸브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 정수기.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Cold wate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heck valve is installed inside the air vent.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벤트의 입구는 상기 온수탱크와 연결되고, 상기 에어벤트의 출구는 상기 정수탱크와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 정수기.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nd an inlet of the air vent is connected to the hot water tank, and an outlet of the air vent is connected to the purified water tank.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공급관은 상기 온수탱크의 상단부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 정수기.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purified water supply pipe is cold wate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hot water tank.
KR1020100099861A 2010-10-13 2010-10-13 Hot-cold purifiers KR2012003822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9861A KR20120038223A (en) 2010-10-13 2010-10-13 Hot-cold purifie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9861A KR20120038223A (en) 2010-10-13 2010-10-13 Hot-cold purifie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8223A true KR20120038223A (en) 2012-04-23

Family

ID=46139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9861A KR20120038223A (en) 2010-10-13 2010-10-13 Hot-cold purifie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38223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21570A (en) * 2016-02-02 2017-08-08 Lg电子株式会社 Water purifier and its control method
KR20190121528A (en) * 2018-04-18 2019-10-28 오비오주식회사 Water purifier having differential heat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heat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21570A (en) * 2016-02-02 2017-08-08 Lg电子株式会社 Water purifier and its control method
KR20190121528A (en) * 2018-04-18 2019-10-28 오비오주식회사 Water purifier having differential heat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hea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35273B2 (en) Drinking water server
CN105008265A (en) Water dispenser
WO2013141399A1 (en) Water server
US20150217984A1 (en) Water dispenser
CN105073629A (en) Water dispenser
KR20100114151A (en) Radiator
US6809302B1 (en) Bottle warming device
KR20120038223A (en) Hot-cold purifiers
US7641076B2 (en) Liquid dispensing system
KR960018050A (en) Steam iron
KR20110093426A (en) Hot/cold water purifier
KR20190106198A (en) water dispensing apparatus
US20060054305A1 (en) Heating and refrigerating water device
CN208243415U (en) A kind of wall hanging drinker with sterilizing function
JP2010227272A (en) Mixing faucet device with anti-fogging mirror
KR20110093417A (en) Hot/cold water purifier
KR20110093424A (en) Hot/cold water purifier
CN113739421A (en) Fragrance type selectable aromatherapy water heater
CN217907347U (en) Direct drinking machine with quick heating function
US7299948B2 (en) Reservoirs for bottled liquid dispensers
KR20090129828A (en) Water heater and expansion tank used therefor
CN215686854U (en) Water dispenser and water tank assembly for water dispenser
CN207428971U (en) A kind of water dispenser with drain function
CN116517070A (en) Water output mechanism and water supply device
CN216113972U (en) Steam boiler and steam mop with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