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6198A - water dispens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water dispens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6198A
KR20190106198A KR1020180027348A KR20180027348A KR20190106198A KR 20190106198 A KR20190106198 A KR 20190106198A KR 1020180027348 A KR1020180027348 A KR 1020180027348A KR 20180027348 A KR20180027348 A KR 20180027348A KR 20190106198 A KR20190106198 A KR 201901061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pe
top cover
discharge pipe
dispens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73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15063B1 (en
Inventor
윤희상
안상수
유준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7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5063B1/en
Priority to PCT/KR2019/001315 priority patent/WO2019172531A1/en
Publication of KR20190106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619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5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506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77Flow contro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81Dispensing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4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of the spou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5Arrangements of devices on wash-basins, baths, sinks, or the like for remote control of taps
    • E03C1/055Electrical control devices, e.g. with push buttons, control panel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05Fil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C2201/40Arrangement of water treatment devices in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dispensing apparatus which can minimize temperature loss of hot water or cold water. The water dispensing apparatus comprises: an under-sink unit which includes a housing including a top cover forming an upper surface of a flat shape, a raw water pipe to guide raw water supplied from outside the housing into the housing, a filter to purify water supplied along the raw water pipe into purified water, and a water discharge pipe in which water passing through the filter flows, and is installed in a sink; and a faucet including a water discharge nozzle to supply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discharge pipe to a user, wherein at least a portion thereof including the water discharge nozzle is installed outside the sink. One end of the water discharge pipe is connected to the filter, and the other end penetrates the top cover to be exposed out of the top cover. The other end of the water discharge pipe exposed out of the top cover is connected to the faucet through a connection pipe.

Description

워터 디스펜싱 장치{water dispensing apparatus}Water dispensing apparatus

본 발명은 워터 디스펜싱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dispensing apparatus.

일반적으로 워터 디스펜싱 장치는 물을 공급하는 장치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원하는 만큼의 물을 취출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In general, the water dispensing device is a device for supplying water, and is a device that can take out as much water as desired by the user's operation.

이와 같은 워터 디스펜싱 장치는 통상 사용자가 레버 또는 버튼을 조작하게 될 경우 노즐을 통해 저장된 물이 취출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워터 디스펜싱 장치는 사용자가 레버 또는 버튼을 조작하는 동안 노즐의 밸브가 개방되어 물이 취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사용자는 컵 또는 용기에 채워지는 물의 양을 확인하면서 상기 레버 또는 버튼의 조작을 종료하게 된다.In such a water dispensing apparatus, when the user operates the lever or the button, the stored water may be taken out through the nozzle. In detail, the water dispensing device is configured such that the valve of the nozzle is opened so that water can be drawn out while the user operates the lever or the button, and the user operates the lever or the button while checking the amount of water filled in the cup or the container. Will end.

이와 같은 워터 디스펜싱 장치는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으나, 대표적으로 냉장고와 정수기에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냉장고와 정수기에 구비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자동으로 설정된 양의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최근에는 이러한 워터 디스펜싱 장치에서 단순히 정수된 물의 공급뿐만 아니라, 냉수와 온수까지 공급할 수 있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Such a water dispensing device may be applied to various fields, but typically may be applied to a refrigerator and a water purifier. In particular, the water dispensing apparatus provided in the refrigerator and the water purifier is configured to have a function of supplying the automatically set amount of water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Recently, a water dispensing apparatus capable of supplying not only purified water but also cold water and hot water in such a water dispensing apparatus has been developed.

한국공개특허 10-2014-0047995호에서는, 물이 유입 또는 유출되어 처리되는 수처리장치에 형성된 연결구멍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회전연결부재 및 일측은 상기 회전연결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수처리장치 내부에서 연장된 관이 연결되며 타측은 외부에서 연장된 관이 연결되도록 구성된 관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관 연결구조가 개시된다.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4-0047995, a rotary connection member and one side configured to be coupled to a connection hole formed in a water treatment apparatus in which water is flowed in or out are treated a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rotary connection member and in the water treatment apparatus. An extended pipe is connected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pipe structure is configured to include a pipe connecting member configured to connect the pipe extending from the outside.

상기와 같은 수처리 장치가 싱크대의 하부공간에 장착된 경우, 유로의 길이를 줄여, 온수 또는 냉수 공급 시, 온도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본체의 상면을 형성하는 탑커버를 통해서, 온수, 냉수, 정수를 배출한다. When the water treatment device is installed in the lower space of the sink, the length of the flow path is reduced, and hot water, cold water, and purified water are supplied through the top cover which forms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to minimize temperature loss when supplying hot or cold water. Discharge.

또한, 상기 탑커버를 기준으로, 배관홀의 양측에 별도의 배관이 연결되는 구조를 형성한다.In addition, based on the top cover, to form a structure in which the separate pipe is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pipe hole.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 언더싱크 타입의 수처리 장치의 경우, 배관 교체 등의 이유로, 탑커버의 상측에서, 배관을 분리하면, 누수가 발생하고, 배관에 채워진 물이 배관홀을 통해서 하우징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undersink type water treatment device as described above, if the pipe is separat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top cover for reasons such as pipe replacement, water leakage occurs, and the water filled in the pipe flows into the housing through the pipe hole. There was a problem of inflow.

한국공개특허 10-2014-0047995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04799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싱크대의 내측에 설치된 언더싱크부와 싱크대 외측에 설치된 파우셋을 연결하는 배관에서의 누수 발생률을 줄일 수 있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ter dispensing apparatus capable of reducing the leak rate in the pipe connecting the undersink portion provided inside the sink and the facet provided outside the sink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또한, 언더싱크부의 상면에서, 누수가 발생하더라도, 언더싱크부의 내측으로 누수된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를 제공한다. In addition, an upper surface of the undersink portion provides a water dispensing apparatus that prevents water from leaking into the undersink portion, even if leakage occurs.

또한, 언더싱크부의 상면에서, 연결배관을 교체할 시, 물의 유동이 자동으로 차단되어 누수원인을 제거할 수 있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를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undersink portion, when replacing the connecting pipe, the flow of water is automatically cut off to provide a water dispensing apparatus that can remove the cause of leakage.

또한, 출수배관이 관통하는 배관홀과, 출수배관과 연결배관의 연결부위가 수평방향으로 이격되면서, 중력에 의해 누수된 물이 배관홀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water dispensing device that prevents water leaked by gravity from entering a pipe hole through which a water outlet pipe penetrates, and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water outlet pipe and a connection pipe is horizontally spaced. .

또한, 출수배관이 절곡된 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출수배관의 절곡된 상태의 고정이 용이한 워터 디스펜싱 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water dispensing pipe can be maintained in a more stable state, and provides a water dispensing device that is easy to fix the bent state of the water discharge pipe.

또한, 언더싱크부의 상면에서, 누수가 발생하더라도, 여러 단계로, 물의 흐름이 차단되어, 언더싱크부의 내측으로의 물의 유입이 보다 완벽히 차단될 수 있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를 제공한다. In addition, even if a leak occurs in the upper surface of the undersink portion, the flow of water is blocked in various steps, thereby providing a water dispensing apparatus that can more completely block the inflow of water into the undersink portion.

또한, 언더싱크부의 상면과 출수배관의 연결부위가 보호될 수 있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water dispensing apparatus in which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an upper surface of an undersink portion and a water discharge pipe can be protected.

또한, 언더싱크부와 파우셋을 연결하는 유로의 길이를 줄여, 유로 길이 증가에 따른 온수 또는 냉수의 온도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by reducing the length of the flow path connecting the undersink portion and the facet, it provides a water dispensing device that can minimize the temperature loss of hot or cold water according to the increase in the length of the flow path.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워터 디스펜싱 장치는, 싱크대의 내부에 설치되는 언더싱크부 및 출수노즐을 포함한 적어도 일부가 상기 싱크대의 외측에 설치되는 파우셋을 포함한다. Water disp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dersink portion is installed in the interior of the sink and at least a portion including the discharge nozzle comprises a facet is installed outside the sink.

또한, 상기 언더싱크부는, 평면 형태의 상면을 형성하는 탑 커버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서 공급된 원수을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가이드하는 원수배관과, 상기 원수 배관을 따라 공급된 물을 정수로 정화시키는 필터와, 상기 필터를 통과한 정수가 유동하는 출수배관을 포함하고, 싱크대의 내부에 설치된다.The undersink portion may include a housing including a top cover forming a top surface of a planar shape, a raw water pipe for guiding raw water supplied from the outside of the housing into the housing, and water supplied along the raw water pipe. A filter for purifying the purified water, and a water discharge pipe through which the purified water passed through the filter flows, is installed in the sink.

또한, 상기 파우셋은 상기 출수배관을 통해서 공급된 물을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출수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출수노즐을 포함한 적어도 일부가 상기 싱크대의 외측에 설치된다. In addition, the facet includes a water extraction nozzle for supplying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discharge pipe to the user, at least a portion including the water discharge nozzle is installed outside the sink.

또한, 상기 출수배관의 일측 단부는 상기 필터 측과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탑 커버를 관통하여, 상기 탑커버의 외측으로 노출된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discharge pipe is connected to the filter side, the other end passes through the top cover,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top cover.

또한, 상기 탑 커버의 외측으로 노출된 출수배관의 타측 단부는 연결배관을 통해서, 상기 파우셋과 연결된다.In addition, the other end of the water discharge pip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top cover is connected to the facet through the connection pipe.

또한, 상기 출수배관과 상기 연결배관는 별도의 연결부재를 통해서, 연결된다.In addition, the discharge pipe and the connection pipe is connected, through a separate connection member.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연결배관에서 출수배관으로 물의 유동을 단속하는 체크밸브를 포함한다. The connecting member may further include a check valve for controlling the flow of water from the connecting pipe to the outlet pipe.

또한, 상기 탑 커버에는, 상기 출수배관이 관통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배관홀과, 상기 탑 커버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배관홀과 이격하여, 상기 배관홀의 주변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외부차단벽이 형성된다. The top cover may include at least one pipe hole formed to penetrate the water discharge pipe, and protrude upward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top cover, spaced apart from the pipe hole, and surround the periphery of the pipe hole. An external blocking wall is formed.

또한, 상기 탑 커버에는, 상기 탑 커버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배관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내부차단벽이 형성된다.The top cover may include an internal blocking wall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top cover and formed along a circumference of the pipe hole.

또한, 상기 탑커버의 외측으로 노출된 출수배관의 타측 단부는, 상기 탑커버를 관통하면서 수직방향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되는 굽힘부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other end of the water discharge pip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top cover includes a bent portion that is bent from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horizontal direction while passing through the top cover.

또한, 상기 탑커버의 상면에는, 상기 굽힘부를 접촉 지지하도록, 상기 굽힘부와 대응하는 형태로 굽어진 형태로 돌출된 서포트 가이드가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top cover, the support guide protruding in the form bent in a form corresponding to the bent portion is formed to contact and support the bent portion.

또한, 상기 서포트 가이드의 상면에는, 상기 굽힘부가 수용되게 내측으로 오목한 홈부가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guide is formed with a recessed portion inwardly to accommodate the bending portion.

또한, 상기 홈부에는 상기 굽힘부의 적어도 일부가 압입되게 내측을 향해 돌출된 고정돌기가 형성된다.In addition, the groove portion is formed with a fixing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inside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bending portion is press-fitted.

또한, 상기 홈부의 입구의 폭은 상기 출수배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홈부에는 상기 출수배관의 절반 이상이 수용된다. In addition, the width of the inlet of the groove portion is formed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discharge pipe, the groove is accommodated in the groove portion more than half of the discharge pipe.

또한, 상기 탑 커버의 상면에는, 상측으로 오목한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서포트 가이드 및 상기 굽힘부를 커버하는 보호캡이 장착된다. In addition, an upper surface of the top cover is provided with a concave space upward, and a protective cap for covering the support guide and the bent portion is mounted.

또한, 상기 보호캡에는, 상기 굽힘부의 단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출수배관이 관통하는 연통홀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protective cap is formed with a communication hole through which the water discharge pipe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e end of the bent portion.

또한, 상기 보호캡의 하단은, 상기 외부차단벽과 대응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외부 차단벽의 외측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protective cap is formed in a form corresponding to the outer blocking wall, is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outer blocking wall.

또한, 상기 탑 커버의 상면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체결용보스가 형성되고, 상기 보호캡에는 상기 체결용 보스와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용 홀이 형성된다.In addition, a fastening boss protruding upward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top cover, and a fastening hole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boss on the protective cap.

또한, 상기 보호캡은 내측 상면에 하방으로 돌출된 연장벽이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protective cap is formed with an extension wall protruding downward on the inner upper surfac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워터 디스펜싱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water disp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xpected the following effects.

먼저, 싱크대의 내측에 설치된 언더싱크부와 싱크대 외측에 설치된 파우셋을 연결하는 배관에서의 누수 발생률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irs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reduce the leakage rate in the pipe connecting the undersink portion provided inside the sink and the facet provided outside the sink.

또한, 언더싱크부의 상면에서, 누수가 발생하더라도, 언더싱크부의 내측으로 누수된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even if water leak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undersink portion,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water leaked into the inside of the undersink portion does not flow.

또한, 언더싱크부의 상면에서, 연결배관을 교체할 시, 물의 유동이 자동으로 차단되어 누수원인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n the upper surface of the undersink portion, when the connection pipe is replaced, the flow of water is automatically blocke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remove the cause of leakage.

또한, 출수배관이 관통하는 배관홀과, 출수배관과 연결배관의 연결부위가 수평방향으로 이격되면서, 중력에 의해 누수된 물이 배관홀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while the piping hole through which the discharge pipe passes,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discharge pipe and the connection pipe is spaced apar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phenomenon of water leaked into the pipe hole by gravity.

또한, 출수배관이 절곡된 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출수배관의 절곡된 상태의 고정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bent state of the discharge pipe can be more stably maintained, it is easy to fix the bent state of the discharge pipe.

또한, 언더싱크부의 상면에서, 누수가 발생하더라도, 여러 단계로, 물의 흐름이 차단되어, 언더싱크부의 내측으로의 물의 유입이 보다 완벽히 차단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even if water leak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undersink portion, the flow of water is blocked in various stages, there is an effect that the inflow of water to the inside of the undersink portion can be more completely blocked.

또한, 언더싱크부의 상면과 출수배관의 연결부위가 보호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ndersink portion and the outlet pipe can be protected.

또한, 언더싱크부와 파우셋을 연결하는 유로의 길이를 줄여, 유로 길이 증가에 따른 온수 또는 냉수의 온도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by reducing the length of the flow path connecting the undersink portion and the face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minimize the temperature loss of hot or cold water according to the increase in the length of the flow path.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워터 디스펜싱 장치가 싱크대에 장착된 상태를 간략하게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워터 디스펜싱 장치에서의 온수 취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수배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워터 디스펜싱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4는 탑커버와 출수배관 및 연결배관을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서, 보호캡이 분리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일부를 확대해서 보인 도면이다.
도 8은 도 4에서, 보호캡이 제거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1 is a view brief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water disp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sink.
2 is a water pipe diagram for explaining a hot water extraction process in the water disp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a water disp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op cover and the extraction pipe and the connection pipe.
5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FIG. 4.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otective cap is removed in FIG.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FIG. 6.
8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otective cap is removed in FIG.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in which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sented, and other embodiments included 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other inventions which are deteriorated by addition, change, deletion, etc. of other components are easily provided. I can sugges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워터 디스펜싱 장치가 싱크대에 장착된 상태를 간략하게 보인 도면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워터 디스펜싱 장치에서의 온수 취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수배관도이다. 그리고, 도 3은 싱크대에 파우셋이 장착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1 is a view brief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water disp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sink. And, Figure 2 is a water pipe for explaining the hot water extraction process in the water disp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acet is mounted on a sink.

본 발명에 따른 워터 디스펜싱 장치는, 정수기, 냉장고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일 예로, 언더싱크형 정수기로 구비될 수 있다. The water disp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correspond to a water purifier or a refrigerator. For example, it may be provided with an undersink type water purifier.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워터 디스펜싱 장치는, 싱크대(10)의 내측에 설치되는 언더싱크부(100)와, 적어도 일부가 싱크대(10)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파우셋(200)을 포함한다.1 to 3, the water disp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ndersink portion 100 installed inside the sink 10,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water dispensing apparatu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ink 10. The facet 200 is included.

먼저, 상기 언더싱크부(100)는, 평면 형태의 상면을 형성하는 탑 커버(111)를 포함하는 하우징(11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에서 공급된 원수을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가이드하는 원수배관(11)과, 상기 원수 배관(11)을 따라 공급된 물을 정수로 정화시키는 필터(120)와, 상기 필터(120)를 통과한 정수가 유동하는 출수배관(30)을 포함한다. First, the undersink portion 100 includes a housing 110 including a top cover 111 forming an upper surface of a planar shape. And, the raw water pipe 11 for guiding the raw water supplied from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0 into the housing, the filter 120 for purifying the water supplied along the raw water pipe 11 with purified water, and It includes a water discharge pipe 30 through which the purified water passed through the filter 120 flows.

상기 하우징(110)은 박스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싱크대(10)의 하측에 마련된 수납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원수배관(11)은 상기 하우징(110)을 관통하면서, 급수원과 하우징(110) 내부의 필터(120)를 연결한다. 따라서, 하우징(110) 외측의 급수원에서 공급된 원수는 원수배관(11)을 통해서 필터(120)로 공급될 수 있다. The housing 110 may be provided in a box shape, and may be disposed in a storage space provided below the sink 10. In addition, the raw water pipe 11 passes through the housing 110 and connects the water supply source and the filter 120 inside the housing 110. Therefore, the raw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source outside the housing 110 may be supplied to the filter 120 through the raw water pipe 11.

상기와 같이 필터(120)로 공급된 물은, 필터(120)를 통과하면서, 정수로 정화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water supplied to the filter 120 is purified by purified water while passing through the filter 120.

또한, 필터(120)를 통과한 정수는 출수배관(30)을 통해, 싱크대의 외측에 장착된 파우셋(200) 측으로 유동한다. In addition, the purified water passing through the filter 120 flows through the water discharge pipe 30 to the facet 200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sink.

이를 위해, 상기 출수배관(30)의 일측 단부는 상기 필터(120) 측과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탑 커버(111)를 관통하여, 상기 탑커버(111)의 외측으로 노출된 후, 파우셋(200) 측과 연결된다. To this end, one end of the water discharge pipe 30 is connected to the filter 120 side, the other end penetrates through the top cover 111,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top cover 111, the pouch It is connected to the set 200 side.

또한, 탑 커버(111)의 외측으로 노출된 출수배관(30)의 타측 단부는 별도의 연결배관(130)을 통해서, 상기 파우셋(200)과 연결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ther end of the water discharge pipe 30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top cover 111 may be connected to the facet 200 through a separate connection pipe 130.

상기 연결배관(130)의 일측단부는 상기 출수배관(30)과 연결되고, 타측단부는 상기 파우셋(200)과 연결될 수 있다.One end of the connection pipe 130 may be connected to the water outlet pipe 30, and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the faucet 200.

따라서, 출수배관(30)을 통해 하우징(110) 외부로 토출된 물은 연결배관(40)을 통해서, 파우셋(200)으로 공급될 수 있다. Therefore, the water discharged out of the housing 110 through the water discharge pipe 30 may be supplied to the facet 200 through the connection pipe 40.

한편, 상기 출수배관(30)은,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에서, 정수배관(31), 냉수배관(32), 온수배관(33)으로 분기될 수 있다. Meanwhile, the water discharge pipe 30 may be branched into the purified water pipe 31, the cold water pipe 32, and the hot water pipe 33 inside the housing 110.

상기 정수배관(31), 냉수배관(32), 온수배관(33)은 출수배관(30)의 일부분으로 이해될 수 있다. The water purification pipe 31, cold water pipe 32, hot water pipe 33 may be understood as part of the water discharge pipe (30).

먼저, 정수배관(31)으로 분기된 물은 정수 상태로, 파우셋(200) 측으로 공급된다.First, the water branched into the purified water pipe 31 is supplied to the facet 200 in a purified state.

반면, 냉수배관(32)으로 분기된 물은 냉수배관(32) 상에 구비된 쿨링 탱크(140)를 거치면서 냉각된 후, 냉수의 상태로 파우셋(200) 측으로 공급된다.On the other hand, the water branched into the cold water pipe 32 is cooled while passing through the cooling tank 140 provided on the cold water pipe 32, it is supplied to the facet 200 in the state of cold water.

또한, 온수배관(33)으로 분기된 물은 온수배관(33) 상에 구비된 온수모듈(130)을 거쳐 가열된 후, 온수의 상태로 파우셋(200) 측으로 공급된다.In addition, the water branched to the hot water pipe (33) is heated through the hot water module 130 provided on the hot water pipe (33), and is supplied to the facet 200 in the state of hot water.

한편, 상기 원수배관(11) 또는 출수배관(30)에는, 물의 유량을 감지하는 유량 감지부(14), 또는 물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 조절부(20), 또는 물의 유속을 조절하는 유속밸브(미도시), 또는 물의 유동을 단속하는 개폐밸브(13,17,18,19)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raw water pipe 11 or the water discharge pipe 30, the flow rate sensing unit 14 for detecting the flow rate of the water, or the flow rate control unit 20 for adjusting the flow rate of the water, or a flow rate valve for adjusting the flow rate of the water ( Not shown), or at least one of the opening and closing valves 13, 17, 18, and 19 to regulate the flow of water may be installed.

먼저, 유량 감지부(14)가 구비되면, 쿨링탱크(140) 및 온수모듈(130)로 공급되는 물의 양이 감지될 수 있고, 그 유량 정보를 활용해서, 쿨링탱크(140) 및 온수모듈(130)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유량 조절부(20) 또는 유속밸브(미도시)가 구비되면, 쿨링탱크(140) 및 온수모듈(130)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의 냉수 및 온수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양만큼의 냉수 및 온수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개폐밸브(13,17,18,19)가 구비되면, 쿨링탱크(140) 및 온수모듈(130)로 공급되는 물의 흐름을 단속할 수 있다. 상기 개폐밸브(17, 19)는 냉수 또는 온수 생성이 필요한 경우에만 개방되어 쿨링탱크(140) 및 온수모듈(130)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First, when the flow rate detection unit 14 is provided,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cooling tank 140 and the hot water module 130 can be detected, by utilizing the flow rate information, the cooling tank 140 and the hot water module ( 130) can be adjusted. In addition, if the flow rate control unit 20 or the flow rate valve (not shown) is provided,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cooling tank 140 and the hot water module 130, to generate cold water and hot water at a temperature desired by the user can do. In addition, the user can generate an amount of cold water and hot water as desired. In addition, when the on-off valves 13, 17, 18, and 19 are provided, the flow of water supplied to the cooling tank 140 and the hot water module 130 may be regulated. The open / close valves 17 and 19 may be opened only when cold water or hot water is required to supply water to the cooling tank 140 and the hot water module 130.

변형 예로, 상기 유량 감지부(14), 유량 조절부(20), 유속밸브(미도시), 개폐밸브(19)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냉수배관(32) 또는 온수배관(33) 상에 설치될 수도 있다. As a modified example, at least one of the flow rate sensing unit 14, the flow control unit 20, the flow rate valve (not shown), and the opening / closing valve 19 may be installed on the cold water pipe 32 or the hot water pipe 33. It may be.

상기 파우셋(200)은, 상기 정수배관(31), 냉수배관(32), 온수배관(33)에서 공급된 정수, 냉수, 온수를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출수노즐(210)과, 상기 정수배관(31), 냉수배관(32), 온수배관(33)에서 공급된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미도시) 및 하나의 입구와 복수의 출구를 구비하여, 상기 정수배관(31), 냉수배관(32), 온수배관(33)에서 공급된 정수, 냉수, 온수를 온도에 따라서, 상기 출수노즐(210) 측으로 공급하거나, 외측으로 드레인하는 전환밸브(30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aucet 200 is a water extraction nozzle 210 for supplying purified water, cold water, hot water supplied from the purified water pipe 31, cold water pipe 32, hot water pipe 33, and the purified water pipe ( 31, the cold water pipe 32, the temperature sensor (not shown)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supplied from the hot water pipe 33 and one inlet and a plurality of outlets, the purified water pipe 31, cold water pipe ( 32) may include a switching valve 300 for supplying purified water, cold water, and hot water supplied from the hot water pipe 33 to the outlet nozzle 210 or draining outwards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한편, 상기 파우셋(20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가 싱크대(10)의 상부로 노출되게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전환밸브(300)가 내장된 몸체(220) 및 몸체(220)의 상부로 연장된 출수노즐(210)은 싱크대(10)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acet 200 may be mounted so that the whole is expos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ink 10, as shown in FIG. Accordingly, the body 220 having the switching valve 300 embedded therein and the water extraction nozzle 210 extend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220 may be positioned above the sink 10.

다른 예로, 상기 파우셋(20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가 싱크대(10)의 내측에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전환밸브(300)가 내장된 몸체(220)는 싱크대(10)의 내측에 배치되고, 몸체(220)의 상부로 연장된 출수노즐(210)은 싱크대(10)의 상측으로 노출되게 장착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facet 200 may have a lower portion mounted inside the sink 10 as shown in FIG. 3. Accordingly, the body 220 in which the switching valve 300 is built is disposed inside the sink 10, and the outlet nozzle 210 extend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220 is exposed to the upper side of the sink 10. Can be mounted.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전환밸브(300)는, 2방 밸브(2-way valve)로 구비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switching valve 300 may be provided as a 2-way valve.

일 예로, 상기 전환밸브(300)는 상기 온수배관(33)와 연결된 유입구, 상기 유입구와 연통하고, 상기 출수노즐(210) 측과 연결된 출수구, 상기 유입구와 연통하고, 드레인 배관(23) 또는 배수구(미도시) 측으로 연결된 배수구가 형성된 몸체 및 상기 몸체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출수구와 배수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witching valve 300 is connected to the inlet, the inlet connected to the hot water pipe 33, the outlet connected to the outlet nozzle 210, the inlet, the drain pipe 23 or drain (Not shown) may include a body formed with a drain hole connected to the side and the inside of the body, opening and closing means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outlet and the drain.

또한, 상기 파우셋(200)에는 표시 및 입력수단(240)이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acet 200 may be provided with a display and input means 240.

상기 표시 및 입력수단(240)는 터치 스크린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The display and input unit 240 may be provided by a touch screen method.

일 예로, 상기 표시 및 입력수단(240)은 출수노즐(210) 상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표시 및 입력수단(240)은 온수, 정수, 냉수 선택기능, 출수 명령 기능, 냉수 및 온수 온도 설정기능, 드레인 선택 기능, 필터 교체주기 알림기능 등을 구비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display and input unit 240 may be provided on the water extraction nozzle 210. The display and input unit 240 may be provided with hot water, purified water, cold water selection function, withdrawal command function, cold water and hot water temperature setting function, drain selection function, filter replacement cycle notification function.

또한, 상기 파우셋(200)에는 살균수 코크(23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언더싱크부(100)에는 살균수 생성유닛(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살균수 생성유닛에서 생성된 살균수는 상기 살균수 코크(230)를 통해서 싱크대(10) 외측으로 공급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acet 200 may be provided with sterilized water cock 230. In addition, the undersink unit 100 may be provided with a sterilizing water generating unit (not shown). Therefore, the sterilizing water generated in the sterilizing water generating unit may be supplied to the outside of the sink 10 through the sterilizing water cock 230.

또한, 상기 출수노즐(210) 및 살균수 코크(230)는 상기 몸체(220)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ter extraction nozzle 210 and the sterilizing water cock 230 may be rotatably mounted about the body 220.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워터 디스펜싱 장치에서의 정수,냉수,온수의 취출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a process for discharging purified water, cold water, and hot water in the water disp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상기 언더싱크부(100)는 수도 배관 등과 연결된 원수배관(11)을 통해서 원수를 입력받게 된다. 상기 원수배관(11) 상에는 감압 밸브(12)가 설치되며, 상기 감압 밸브(12)를 통과하는 원수는 설정된 압력으로 감압된다.The undersink unit 100 receives raw water through the raw water pipe 11 connected to the water pipe. A pressure reducing valve 12 is installed on the raw water pipe 11, and the raw water passing through the pressure reducing valve 12 is reduced in pressure at a set pressure.

그리고, 감압된 원수는 감압 밸브(12)와 상기 필터(120)를 연결하는 배관을 따라서 상기 필터(120) 측으로 유동하게 된다. 상기 필터(120)를 통과하는 원수는 이물질이 제거되어 정수 상태가 된다. 그리고, 유입밸브(13)의 개방에 의해 상기 정수는 출수배관(30)을 따라서 상기 유입밸브(13)를 지나 유량 감지부(14)를 차례로 통과하게 된다.The decompressed raw water flows to the filter 120 along a pipe connecting the pressure reducing valve 12 and the filter 120. The raw water passing through the filter 120 is purified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And, by opening the inlet valve 13, the purified water passes through the inflow valve 13 along the water discharge pipe 30 in order to pass through the flow rate sensing unit 14 in order.

이때, 상기 유량 감지부(14)에서 감지된 유량은 온수모듈(130)의 출력제어에 필요한 데이터로 이용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low rate detected by the flow rate detection unit 14 may be used as data necessary for output control of the hot water module 130.

한편, 상기 유량 감지부(14)를 통과한 정수는 출수배관(30)을 따라서 유동한다. 그리고, 분지관(15)을 통해서 냉정수측과 온수측으로 분지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urified water passing through the flow rate sensing unit 14 flows along the water discharge pipe (30). Then, it may be branched to the cold water side and the hot water side through the branch pipe (15).

또한, 냉정수측으로 분지된 정수는 T커넥터(16)에 의해 재차 냉수측과 정수측으로 분지되어 각각 정수배관(31)과 냉수배관(32)으로 유동한다. 상기 정수배관(31)과 냉수배관(32)에는 각각 정수 출수밸브(18)와 냉수 출수밸브(17)가 설치된다. 사용자의 정수/냉수 선택 조작에 의해 상기 정수 출수밸브(18)와 냉수 출수밸브(17)가 선택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출수버튼의 조작을 통해 선택된 밸브가 개방되어 정수 또는 냉수가 취출될 수 있다.Further, the purified water branched to the cold water side is branched to the cold water side and the purified water side again by the T connector 16 and flows to the purified water pipe 31 and the cold water pipe 32, respectively. The purified water discharge valve 18 and the cold water discharge valve 17 are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purified water pipe 31 and the cold water pipe 32. The purified water discharge valve 18 and the cold water discharge valve 17 may be selected by a user of the purified water / cold water selection operation, and the selected valve may be opened by operating the user's discharge button to extract purified water or cold water. .

이때, T커넥터(16)의 냉수측과 연결된 냉수배관(32) 및 냉수 출수밸브(17)를 통과한 물은 쿨링 탱크(140) 내부의 쿨링 코일을 통과하게 된다. 상기 쿨링 코일을 따라 유동되는 물은 상기 쿨링 탱크(140) 내부의 냉각수와 열교환되어 냉수로 냉각된다. 이를 위해 상기 냉각수는 설정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냉각된다.At this time,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cold water pipe 32 and the cold water outlet valve 17 connected to the cold water side of the T connector 16 passes through the cooling coil inside the cooling tank 140. Water flowing along the cooling coil is heat-exchanged with the cooling water inside the cooling tank 140 to be cooled by cold water. To this end, the coolant is cooled to maintain a set temperature.

또한, 상기 냉각수의 냉각을 위해 압축기가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의 구동은 상기 쿨링 탱크(140)의 내부에 구비된 냉수 온도센서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각수는 항상 설정된 온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압축기의 구동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는 인버터 압축기로 필요한 부하에 대응하여 주파수가 조절되며, 냉각 능력이 조절될 수 있다. 즉, 상기 압축기는 인버터 제어에 의해 구동될 수 있으며 상기 냉각수를 최적의 효율로 냉각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 compressor may be driven to cool the cooling water. The driving of the compressor may be determined by a cold water temperature sensor provided in the cooling tank 140. Thus, the coolant can always maintain the set temperature, the drive of the compressor can be adjusted for this purpose. The compressor may be adjusted in frequency in response to a load required by the inverter compressor, and the cooling capacity may be adjusted. That is, the compressor can be driven by the inverter control and can cool the cooling water at the optimum efficiency.

한편, 상기 압축기는 사용자가 정수기의 조작부를 조작하여 동작을 강제 오프(off) 상태로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냉수의 소비가 적은 동계나 절전이 필요한 시기, 또는 냉수의 사용을 원하지 않을 때에는 강제로 상기 압축기가 오프 상태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mpressor may be set to a force off (off) operation by the user operating the operation unit of the water purifier. It is possible to force the compressor to be in the off state when cold water consumption is low in winter or when power saving is needed, or when cold water is not desired.

상기 쿨링 탱크(140)를 지난 냉수는 냉수배관(32)과 연결된 연결배관(40) 및 출수 노즐(210)을 통해 외부로 취출될 수 있다. The cold water passing through the cooling tank 140 may be extrac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onnection pipe 40 and the water discharge nozzle 210 connected to the cold water pipe 32.

한편, 상기 정수 출수밸브(18)가 개방된 경우, T커넥터(16)의 정수측으로 유입된 정수는 정수배관(31) 및 정수 출수밸브(18)를 통과하게 되고, 정수배관(31)과 연결된 연결배관(40) 및 출수 노즐(210)을 통해 외부로 취출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purified water outlet valve 18 is opened, the purified water flowing into the purified water side of the T connector 16 passes through the purified water pipe 31 and the purified water outlet valve 18, and is connected to the purified water pipe 31 It may be taken out through the connection pipe 40 and the water extraction nozzle 210.

한편, 사용자가 온수의 취출을 선택한 경우 정수는 분지관(15)의 온수측으로 유동한 뒤, 온수배관(33)으로 유동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selects the hot water withdrawal, the purified water flows to the hot water side of the branch pipe 15, and then flows to the hot water pipe (33).

이때,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온수 출수밸브(19) 및 유량 조절부(20)가 개방되며, 상기 유량 조절부(20)를 통해서 온수배관(33)을 유동하는 물은 온수의 가열에 적절한 유량으로 조절될 수 있다. 상세히, 제어부(150)는 상기 온수모듈(130)에서 설정된 온도로 물이 가열될 수 있도록 상기 온수모듈(130)의 온수 탱크 측으로 공급되는 정수의 양을 조절한다.At this time, the hot water outlet valve 19 and the flow rate control unit 20 are opened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50, and the water flowing in the hot water pipe 33 through the flow rate control unit 20 to the heating of the hot water. It can be adjusted to an appropriate flow rate. In detail, the controller 150 adjusts the amount of purified water supplied to the hot water tank side of the hot water module 130 so that the water is heated to the temperature set by the hot water module 130.

상기와 같이 유량 조절부(20)를 지난 정수는 온수모듈(130)을 통과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온수모듈(130)을 지나는 과정에서 설정된 온도로 가열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온수모듈(130)은 유도 가열 방식으로 가열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 출력 제어부(520)에서 온수모듈(130)에 포함된 워킹 코일의 출력을 조절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purified water passing the flow control unit 20 passes through the hot water module 130. Then, the hot water module 130 can be heated to a set temperature in the process of passing. The hot water module 130 may be heated by an induction heating method, and for this purpose, the output controller 520 adjusts the output of the working coil included in the hot water module 130.

상기 온수모듈(130)을 통과한 정수는 설정된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The purified water passing through the hot water module 130 may be heated to a set temperature.

상기 온수모듈(130)을 통과하면서 가열된 온수는, 온수배관(33)를 따라 출수노즐(210) 측으로 유동하고, 온수배관(33)과 연결된 연결배관(40) 및 출수 노즐(210)을 통해 외부로 취출될 수 있다. The hot water heated while passing through the hot water module 130 flows toward the water discharge nozzle 210 along the hot water pipe 33 and is connected to the hot water pipe 33 through a connection pipe 40 and a water discharge nozzle 210. It can be taken out to the outside.

그리고, 상기 온수모듈(130)은 드레인 배관(23)과 더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배관(23)은 상기 온수모듈(130) 내부의 물이 끓게 되는 경우 발생되는 증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드레인 배관(23)에는 세이프티 밸브(231)가 구비되어 설정된 압력 이상의 압력이 발생될 경우 상기 세이프티 밸브(231)가 개방되어 증기를 외부로 배출한다.In addition, the hot water module 130 may be further connected to the drain pipe 23. The drain pipe 23 allows the steam generated when the water inside the hot water module 130 to boil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In addition, the safety valve 231 is provided in the drain pipe 23 to open the safety valve 231 to discharge steam to the outside when a pressure higher than a predetermined pressure is generated.

상세히, 상기 세이프티 밸브(231)는 상기 온수 탱크 내에서 온수의 가열시 발생하는 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온수 탱크의 내부가 증기에 의해 압력이 과도하게 증가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세이프티 밸브(231)는 설정된 압력에서 개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온수 탱크 내부의 증기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In detail, the safety valve 231 is for discharging steam generated when the hot water is heated in the hot water tank, and prevents the pressure of the inside of the hot water tank from being excessively increased. The safety valve 231 may be configured to open at a set pressure, and may have various structures to smoothly discharge steam in the hot water tank.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워터 디스펜싱 장치의 경우, 냉수, 정수, 온수가 하나의 출수 노즐(210)을 통해 외부로 취출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water disp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ld water, purified water, hot water may be taken out through a single water extraction nozzle 210.

도 4는 탑커버와 출수배관 및 연결배관을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4의 종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4에서, 보호캡이 분리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도 6의 일부를 확대해서 보인 도면이다. 그리고, 도 8은 도 4에서, 보호캡이 제거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op cover and the extraction pipe and the connection pipe. 5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FIG. 4. And, Figure 6, i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otective cap is separated. 7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FIG. 6. And, Figure 8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otective cap is removed in FIG.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탑커버(111)에는 출수배관(30)이 통과되게 배관홀(112)이 형성된다. 4 to 8, a pipe hole 112 is formed in the top cover 111 to allow the water outlet pipe 30 to pass therethrough.

언더싱크 정수기의 경우, 언더싱크부(100)와 파우셋(200)을 연결하는 유로의 길이를 줄여, 온수 또는 냉수 공급 시, 온도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탑커버(111)를 통해서, 온수, 냉수, 정수를 배출한다. In the case of the undersink water purifier, the length of the passage connecting the undersink part 100 and the faucet 200 is reduced, through the top cover 111 to minimize the temperature loss during the supply of hot or cold water, hot and cold water. , Discharge the purified water.

종래에는, 출수배관(30)이 배관홀(112)을 통과하는 구조가 아니었고, 탑커버(111)를 기준으로, 배관홀(112)의 하단에 출수배관이 연결되고, 배관홀의 상단에 연결배관이 연결되는 구조를 형성하였다. 즉, 출수배관은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고, 연결배관은 하우징의 외측에 구비되었다. Conventionally, the water discharge pipe 30 was not a structure passing through the pipe hole 112, the water discharge pipe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pipe hole 112, based on the top cover 111, connected to the top of the pipe hole The pipe is connected to form a structure. That is, the discharge pipe is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housing, the connection pipe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housing.

이러한 상태에서, 연결배관 교체 등의 이유로, 탑커버(111)의 상측에서, 연결배관을 분리하면, 그 사이에서 누수가 발생하고, 연결배관에 채워졌던 물이 배관홀(112)을 통해서 하우징(110)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문제가 있었다.In such a state, if the connection pipe is separated from the top of the top cover 111 for reasons such as replacement of the connection pipe, leakage occurs between them, and the water filled in the connection pipe passes through the housing hole 112. There was a problem flowing into the inside of 110).

본 발명의 경우, 이러한 누수문제를 해결하고자 출수배관(30)이 배관홀(112)을 통과하는 구조를 형성한다.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is leakage problem, the water discharge pipe 30 forms a structure passing through the pipe hole 112.

상기와 같이 출수배관(30) 자체가 배관홀(112)을 통과하게 형성되면, 출수배관(30)과 연결된 연결배관(40)을 따로 분리하더라도, 연결배관(40)에서 유출된 물이 배관홀(112)을 통해서, 하우징(110) 내측으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When the water discharge pipe 30 itself is formed to pass through the pipe hole 112 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 connection pipe 40 connected to the water discharge pipe 30 is separated separately, the water flowing out of the connection pipe 40 is a pipe hole Through the 112, a phenomenon that flows into the housing 110 may be prevented.

상세히, 본 발명의 경우, 하우징(110)의 외측으로 노출된 출수배관(30)의 단부가 배관홀(112)과 소정의 거리(배관홀 외측으로 연장된 출수배관의 길이) 만큼 이격된다. In detail,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d of the water discharge pipe 30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10 is spaced apart from the pipe hole 112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length of the water discharge pipe extending to the outside of the pipe hole).

따라서, 연결배관(40)을 분리하면서, 출수배관(30)의 단부에서, 누수가 발생하더라도, 배관홀(112)을 통해서, 누수된 물이 유입되지 않게 된다. Therefore, even if water leak occurs at the end of the water discharge pipe 30 while separating the connection pipe 40, the leaked water is not introduced through the pipe hole 112.

여기서, 상기 출수배관(30)은 정수배관(31), 냉수배관(32), 온수배관(33)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배관(40)은 정수배관(31)과 연결되는 정수 연결배관, 냉수배관(32)과 연결되는 냉수 연결배관, 온수배관(33)과 연결되는 온수 연결배관을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water discharge pipe 30 may mean a purified water pipe 31, cold water pipe 32, hot water pipe (33). The connection pipe 40 may include a water connection pipe connected to the purified water pipe 31, a cold water connection pipe connected to the cold water pipe 32, and a hot water connection pipe connected to the hot water pipe 33.

또한, 상기 출수배관(30)은 냉수와 정수가 공통으로 출수되는 공통배관(미도시), 온수배관(33)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배관(40)은 공통배관(미도시)과 연결되는 공통 연결배관, 온수배관(33)과 연결되는 온수 연결배관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ater discharge pipe 30 may mean a common pipe (not shown), hot water pipe 33, the cold water and the purified water in common. The connection pipe 40 may include a common connection pipe connected to a common pipe (not shown), and a hot water connection pipe connected to the hot water pipe 33.

상기 연결배관(40)은 상기 출수배관(30)과 연결되어, 출수배관(30)에서 전달받은 정수,냉수,온수를 상기 파우셋(200)으로 공급한다. The connection pipe 40 is connected to the water discharge pipe 30, and supplies purified water, cold water, hot water received from the water discharge pipe 30 to the faucet 200.

상기 연결배관(40)과 출수배관(30)은 별도의 연결부재(160)를 통해서 연결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ipe 40 and the water discharge pipe 30 may be connected through a separate connection member 160.

상기 연결부재(160)는 양측에 각각 연결배관(40) 및 출수배관(30)과 연결되는 연결구가 형성되고, 내측에는 상기 연결구와 연통하는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출수배관(30)의 물은 연결부재(160)를 통해, 연결배관(40)으로 전달될 수 있다. The connecting member 160 may b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connection pipe 40 and the outlet pipe 30 is formed on each side, the inner passage may be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connector. Therefore, the water in the water outlet pipe 30 may be delivered to the connection pipe 40 through the connection member 160.

또한, 상기 연결부재(160)는, 상기 출수배관(30)에서 연결배관(40)으로 물을 유동시키되, 연결배관(40)에서 출수배관(30)으로 물의 유동을 단속하는 체크밸브로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nection member 160, the water flows from the water discharge pipe 30 to the connection pipe 40, to be provided as a check valve to control the flow of water from the connection pipe 40 to the water discharge pipe 30. Can be.

상기와 같이 연결부재(160)가 체크밸브로 구비될 경우, 연결배관(40) 분리 시, 연결배관(40)의 물이 출수배관(30)으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connection member 160 is provided as a check valv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nnection pipe 40 is separated, a phenomenon in which water from the connection pipe 40 flows into the water discharge pipe 30 may be prevented.

다른 예로, 상기 연결부재(160)는 상기 출수배관(30) 또는 연결배관(40)이 분리되면, 분리된 연결구가 자동으로 닫히는 체크밸브로 구비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connection member 160 may be provided as a check valve that is automatically closed when the outlet pipe 30 or the connection pipe 40 is separated.

이에 따르면, 연결배관(40) 분리 시, 연결배관(40)과 연결되었던 연결구가 자동으로 닫히면서, 연결배관(40)의 물이 출수배관(30)으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뿐만 아니라, 출수배관(30)의 물이 연결부재(160)의 외측으로 유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when the connection pipe 40 is separated, the connector that wa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pe 40 is automatically closed, the water of the connection pipe 40 is not introduced into the water outlet pipe 30.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henomenon that the water in the water outlet pipe 30 is leaked to the outside of the connection member 160.

또한, 상기 탑 커버(111)에는, 상기 출수배관(30)이 관통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배관홀(112)과, 상기 탑 커버(111)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배관홀(112)과 이격하여, 상기 배관홀(112)의 주변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외부차단벽(113)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op cover 111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at least one pipe hole 112 formed so that the water discharge pipe 30 penetrates, and an upper surface of the top cover 111, and the pipe hole An outer blocking wall 113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112 so as to surround the periphery of the pipe hole 112.

상기 배관홀(112)은 상기 외부차단벽(113)의 내측 영역에 형성된다.The pipe hole 112 is formed in an inner region of the outer blocking wall 113.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160)는 상기 외부차단벽(113)의 외측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출수배관(30)과 연결배관(40)은 상기 외부차단벽(113)의 외측 영역에서 연결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nection member 160 may be disposed in an outer region of the outer blocking wall 113. That is, the water discharge pipe 30 and the connection pipe 40 may be connected in the outer region of the outer blocking wall 113.

상기 외부차단벽(113)은 배관홀(112)을 에워싸도록 형성된다. 일 예로, 상기 외부차단벽(113)은 폐곡선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외부차단벽(113)은 모서리가 둥근 사각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outer blocking wall 113 is formed to surround the pipe hole 112. For example, the external blocking wall 113 may be formed in a closed curve shape. As another example, the outer blocking wall 113 may be provided in a rectangular shape with rounded corners.

상기와 같이 외부차단벽(113)이 형성되면, 외부차단벽(113)의 외측에 배치된 연결부재(160)에서 누수가 발생하더라도, 누수된 물이 외부차단벽(113)에 의해 차단되고, 이에 따라 누수된 물이 배관홀(112)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When the external blocking wall 113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even if water leakage occurs in the connection member 160 disposed outside the external blocking wall 113, the leaked water is blocked by the external blocking wall 113, Accordingly, the leaked water may be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pipe hole 112.

상기 외부차단벽(113)은 균일한 높이로 돌출될 수 있다. The outer blocking wall 113 may protrude to a uniform height.

또한, 상기 외부차단벽(113)의 내측 영역에는, 3-4개의 배관홀(11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배관홀(112)을 통해서, 정수, 냉수, 온수, 살균수 등이 유동하는 출수배관이 각각 통과할 수 있다. In addition, three to four pipe holes 112 may be formed in an inner region of the outer blocking wall 113. Then, through each of the pipe holes 112, the water discharge pipe through which purified water, cold water, hot water, sterilization water and the like may pass.

또한, 상기 탑 커버(111)에는, 상기 탑 커버(111)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배관홀(112)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내부차단벽(114)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op cover 111 may be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top cover 111, and an internal blocking wall 114 formed along a circumference of the pipe hole 112.

상기와 같이 내부차단벽(114)이 형성되면, 외부차단벽(113)의 외측에 배치된 연결부재(160)에서 누수가 발생하더라도, 누수된 물이 외부차단벽(113)과 내부차단벽(114)에 의해 이중 차단되어 배관홀(112)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When the inner blocking wall 114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 leakage occurs in the connection member 160 disposed outside the outer blocking wall 113, the leaked water is the outer blocking wall 113 and the inner blocking wall ( It is blocked by the double 114 so that it does not flow into the pipe hole (112).

또한, 외부차단벽(113)을 넘어, 누수된 물이 유입되더라도, 내부차단벽(114)에 의해 물의 유동이 다시 한번 제한되면서, 배관홀(112)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In addition, even if the leaked water flows beyond the external blocking wall 113, the flow of water is once again restricted by the internal blocking wall 114, so that it does not flow into the pipe hole 112.

본 실시예에서, 내부차단벽(114)의 돌출높이는 외부차단벽(113)의 돌출높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protrusion height of the inner blocking wall 114 may be higher than the protrusion height of the outer blocking wall 113.

따라서, 외부차단벽(113)을 넘어, 누수된 물이 유입되더라도, 외부차단벽(113) 보다 높게 형성된 내부차단벽(114)에 의해 물의 유동이 보다 확실히 제한되면서, 배관홀(112)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Therefore, even if the leaked water flows over the external blocking wall 113, the flow of water is more restricted by the internal blocking wall 114 formed higher than the external blocking wall 113, and then flows into the pipe hole 112. Will not be.

한편, 상기 출수배관(30)은 상기 탑커버(111)를 통과하면서, 절곡된 형태를 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water discharge pipe 30 may be bent while passing through the top cover 111.

상세히, 상기 탑커버(111)의 외측으로 노출된 출수배관(30)의 타측 단부는, 상기 탑커버(111)를 관통하면서 수직방향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되는 굽힘부(30a)를 포함한다. In detail,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water discharge pipe 30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top cover 111 includes a bent portion 30a that is b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le penetrating the top cover 111.

상기 출수배관(30)은 탑커버(111)를 관통하면서, 후방으로 약 90˚ 절곡되고, 후방으로 연장된다. 이후, 후방으로 연장된 단부(30b)는 연결부재(160)를 통해서, 연결배관(40)과 연결된다.The water discharge pipe 30 penetrates through the top cover 111 and is bent about 90 ° to the rear and extends backward. Thereafter, the rear end portion 30b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pe 40 through the connection member 160.

상기와 같이 출수배관(30)이 후방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구비되면, 연결부재(160)가 배관홀(112)와 수평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재(160)에서 누수가 발생하더라도, 누수된 물이 배관홀(112)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더욱이, 외부차단벽(113)과 내부차단벽(114)에 의해 누수된 물이 배관홀(112)로 유입되는 현상이 보다 확실히 방지될 수 있다. When the water outlet pipe 30 is provided in a shape bent backward, as described above, the connection member 16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pipe hole 112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refore, even if the leakage occurs in the connecting member 160, the leaked water is not introduced into the pipe hole 112. In addition, the phenomenon that water leaked by the outer blocking wall 113 and the inner blocking wall 114 flows into the pipe hole 112 can be more surely prevented.

반면, 탑커버(111)를 관통한 출수배관(30)이 수직방향으로 연장될 경우, 연결부재(160)에서 누수가 발생하면, 누수된 물이 자중의 의해 하강하면서 배관홀(112)로 유입될 우려가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water discharge pipe 30 penetrating through the top cover 111 is exten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f the leakage occurs in the connecting member 160, the leaked water flows down into the pipe hole 112 by its own weight There is a concern.

한편, 상기 탑커버(111)의 상면에는, 상기 굽힘부(30a)를 접촉 지지하도록, 상기 굽힘부(30a)와 대응하는 형태로 굽어진 형태로 돌출된 서포트 가이드(115)가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surface of the top cover 111, the support guide 115 protruding in a form bent in a form corresponding to the bent portion (30a) is formed so as to support the bent portion (30a).

상세히, 상기 서포트 가이드(115)는 상기 배관홀(112)이 형성된 전방 하측에서, 후방 상측으로 굽어진 형태의 곡선부(115a) 및 상기 곡선부(115a)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직선부(115b)를 포함할 수 있다. In detail, the support guide 115 has a curved portion 115a having a shape bent upward and rearward from a front lower side in which the pipe hole 112 is formed, and a straight portion extending rearward from an upper end of the curved portion 115a ( 115b).

따라서, 탑커버(111)를 통과하면서 후방으로 절곡된 형태의 출수배관(30)의 하단이 서포트 가이드(115)에 접촉 지지될 수 있다. Therefore, the lower end of the water discharge pipe 30 bent backward while passing through the top cover 111 may be contacted and supported by the support guide 115.

또한, 상기 서포트 가이드(115)의 상면에는, 상기 굽힘부(30a)가 수용되게 내측으로 오목한 홈부(115c)가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guide 115, the groove portion 115c which is concave inward to accommodate the bent portion (30a) is formed.

이때, 상기 탑커버(111)의 배관홀(112)과 홈부(115c)는 연통되고, 내부차단벽(114)의 양측은 서포트 가이드(115)와 연결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pipe hole 112 and the groove 115c of the top cover 111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both sides of the inner blocking wall 114 may be connected with the support guide 115.

상기와 같이 서포트 가이드(115)에 홈부(115c)가 형성되면, 출수배관(30)이 홈부(115c)에 끼워지면서, 출수배관(30)이 서포트 가이드(115)에 보다 안정적으로 접촉 지지될 수 있다. When the groove portion 115c is formed in the support guide 115 as described above, while the water discharge pipe 30 is fitted into the groove 115c, the water discharge pipe 30 can be more stably contacted and supported by the support guide 115. have.

또한, 상기 홈부(115c)에는 상기 굽힘부(30a)의 적어도 일부가 압입되게 내측을 향해 돌출된 고정돌기(115d)가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groove 115c may be provided with a fixing protrusion 115d that protrudes inwardly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bending portion 30a is press-fitted.

상기 고정돌기(115d)는 홈부(115c)에 안착된 출수배관(30)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정돌기(115d)는 상기 홈부(115c)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돌기(115d)의 내경은 상기 출수배관(30)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The fixing protrusion 115d serves to fix the water discharge pipe 30 seated in the groove 115c. The fixing protrusion 115d is form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roove 115c. The inner diameter of the fixing protrusion 115d may be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water outlet pipe 30.

따라서, 상기 출수배관(30)은 상기 고정돌기(115d)에 압입되는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Therefore, the water discharge pipe 30 may be fixed in such a manner as to be pressed into the fixing protrusion (115d).

또한, 상기 홈부(115c)의 입구의 폭은 상기 출수배관(3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홈부(115c)의 직경은 상기 출수배관(30)의 직경과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홈부(115c)에는 상기 출수배관(30)의 절반 이상이 수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idth of the inlet of the groove 115c may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water discharge pipe 30, and the diameter of the groove 115c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diameter of the water discharge pipe 30. Then, at least half of the water outlet pipe 30 may be accommodated in the groove 115c based on the cross section.

여기서, 홈부(115a)의 입구는 상기 배관홀(112)과 연통하는 부분을 의미한다. Here, the inlet of the groove 115a means a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pipe hole 112.

상기한 바에 따르면,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 출수배관(30)은 배관홀(112)을 통과한 뒤, 폭이 좁은 홈부(115c)의 입구를 통해서, 홈부(115c)에 강제적으로 삽입되면, 출수배관(30)은 홈부(115c)의 입구를 통해서 빠져나오지 않고, 홈부(115c)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 after the water discharge pipe 30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passes through the pipe hole 112, and is forcibly inserted into the groove portion 115c through the inlet of the narrow groove portion 115c, the water discharge The pipe 30 does not exit through the inlet of the groove 115c and can mainta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groove 115c.

또한, 상기 서포트 가이드(115)는 상기 탑커버(111)의 저면에서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15e)를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guide 115 may form an extension part 115e extending downward from the bottom of the top cover 111.

상기 연장부(115e)는 상기 홈부(115a)가 형성된 상태이며, 상기와 같이 연장부(115e)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출수배관(30)은 상기 탑커버(111)의 내측에서부터 그 위치가 고정된 상태로, 서포트 가이드(115)에 접촉 지지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출수배관(30)의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다. The extension part 115e is in a state where the groove part 115a is formed, and as the extension part 115e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water discharge pipe 30 has its position fixed from the inside of the top cover 111. In this state, the support guide 115 may be contacted and supported, and as a result, the fixing force of the water outlet pipe 30 may be improved.

또한, 상기 탑 커버(111)의 상면에는, 상측으로 오목한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서포트 가이드(115) 및 상기 굽힘부(30a)를 커버하는 보호캡(170)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보호캡(170)은 상기 배관홀(112), 외부차단벽(113), 내부차단벽(114), 서포트 가이드(115), 출수배관(30)을 보호한다. In addition, an upper surface of the top cover 111 may have a concave space upward, and a protective cap 170 may be mounted to cover the support guide 115 and the bent portion 30a. The protective cap 170 protects the pipe hole 112, the external blocking wall 113, the internal blocking wall 114, the support guide 115, and the water discharge pipe 30.

또한, 상기 보호캡(170)에는, 상기 굽힘부(30a)의 단부에서 후방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출수배관(30)이 관통하는 연통홀(171)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protective cap 170 is formed with a communication hole 171 through which the water discharge pipe 30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ward the rear from the end of the bent portion (30a).

또한, 상기 연통홀(171)은 상기 보호캡(170)의 하단까지 절개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보호캡(170)을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장착할 때, 또는 보호캡(170)을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분리할 때, 연통홀(171)을 통해서, 출수배관(30)이 끼워지거나 분리될 수 있다. 즉, 연통홀(171)의 구성으로, 출수배관(30)의 간섭 없이, 보호캡(170)을 탑커버(111)이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hole 171 may take the form cut to the lower end of the protective cap 170. According to this, when the protective cap 170 is moved to the lower side, when mounting, or when the protective cap 170 is removed while moving to the upper side,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171, the water discharge pipe 30 is fitted or separated. Can be. That is, with the configuration of the communication hole 171, without the interference of the water discharge pipe 30, the top cover 111 can be mounted or separated from the protective cap 170.

또한, 상기 보호캡(170)의 하단(172)은, 상기 외부차단벽(113)과 대응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외부 차단벽(113)의 외측 둘레를 감싼다. In addition, the lower end 172 of the protective cap 170 is formed in a form corresponding to the outer blocking wall 113, surrounds the outer periphery of the outer blocking wall 113.

이에 따르면, 외부 차단벽(113)에 맞춰 보호캡(170)을 배치할 수 있어, 보호캡(170)의 장착 위치가 자동으로 정렬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the protective cap 170 can be disposed in accordance with the outer blocking wall 113, so that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protective cap 170 can be automatically aligned.

뿐만 아니라, 보호캡(170)에 의해, 외부 차단벽(113)의 외측에서, 누수가 발생하더라도, 누수된 물이 외부 차단벽(113)을 넘어 배관홀(112) 측으로 유동하는 현상이 보다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In addition, even if the leakage occurs outside the outer blocking wall 113 by the protective cap 170, the phenomenon that the leaked water flows over the outer blocking wall 113 to the pipe hole 112 side more reliably. Can be prevented.

즉, 외부 차단벽(113)의 외측에서, 누수가 발생하더라도, 보호캡(170)에 의해 물의 유입이 1차 차단되고, 외부 차단벽(113)에 물의 유입이 2차 차단되며, 내부 차단벽(114)에 의해 물의 유입이 3차 차단되어, 배관홀(112)로의 물의 유입이 확실히 차단될 수 있다. That is, outside of the outer blocking wall 113, even if water leakage, the inflow of water is first blocked by the protective cap 170, the inflow of water to the outer blocking wall 113 is blocked second, the inner blocking wall By the 114, the inflow of water is blocked three times, the inflow of water into the pipe hole 112 can be surely blocked.

이때, 상기 보호캡(170)은 내부 상황을 외측에서 파악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protective cap 170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so as to grasp the internal situation from the outside.

한편, 상기 탑 커버(111)의 상면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체결용보스(116)가 형성되고, 상기 보호캡(170)에는 상기 체결용 보스(116)와 대응되는 위치에 한 쌍의 체결용 홀(173)이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a pair of fastening boss 116 protruding upward is formed on the top surface of the top cover 111, the protective cap 170 is a pair of positions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boss 116. The fastening hole 173 is formed.

따라서, 상기 탑커버(111)의 상면에 보호캡(170)을 배치한 상태에서, 체결용 홀(173)에 볼트, 나사 등을 체결하면, 체결용 홀(173)과 체결용 보스(116)가 결합되면서, 보호캡(170)이 탑 커버(111)에 고정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protective cap 170 is disposed on the top surface of the top cover 111, when the bolt, the screw, and the like are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 173, the fastening hole 173 and the fastening boss 116 are provided. As it is coupled, the protective cap 170 may be fixed to the top cover 111.

또한, 보호캡(170)이 장착된 상태에서, 보호캡(170)의 외측에서, 체결용 홀(173)에 장착된 볼트, 나사 등을 분리하면, 체결용 홀(173)과 체결용 보스(116)의 고정력이 해제되면서, 보호캡(170)이 탑 커버(111)에서 분리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protective cap 170 is mounted, when the bolts, screws, and the like mounted on the fastening holes 173 are removed from the outside of the protective cap 170, the fastening holes 173 and the fastening bosses ( As the fixing force of 116 is released, the protective cap 170 may be separated from the top cover 111.

또한, 상기 보호캡(170)은 내측 상면에 하방으로 돌출된 연장벽(174)이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protective cap 170 is formed with an extension wall 174 protruding downward on the inner upper surface.

이때, 상기 연장벽(174)은 서포트 가이드(115)에 안착된 출수배관(30)의 굽힘부(30a)가 절곡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출수배관(30)의 상면에 접촉하면서, 눌러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extension wall 174 serves to press while touching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discharge pipe 30 to maintain the bent portion 30a of the water discharge pipe 30 seated on the support guide 115 bent. can do.

또한, 상기 연장벽(174)은 상기 내부차단벽(114)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연장벽(174)의 하단은 내부차단벽(114)의 상단과 접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xtension wall 174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ternal blocking wall 114, and the lower end of the extension wall 174 may contact the upper end of the internal blocking wall 114.

이에 따르면, 내부차단벽(114)과 연장벽(174)에 의해 내관홀(112)로의 누수된 물의 유입이 보다 확실히 차단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inflow of leaked water into the inner tube hole 112 by the inner blocking wall 114 and the extension wall 174 can be more surely blocked.

Claims (15)

평면 형태의 상면을 형성하는 탑 커버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서 공급된 원수을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가이드하는 원수배관과, 상기 원수 배관을 따라 공급된 물을 정수로 정화시키는 필터와, 상기 필터를 통과한 정수가 유동하는 출수배관을 포함하고, 싱크대의 내부에 설치되는 언더싱크부; 및
상기 출수배관을 통해서 공급된 물을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출수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출수노즐을 포함한 적어도 일부가 상기 싱크대의 외측에 설치되는 파우셋;을 포함하되,
상기 출수배관의 일측 단부는 상기 필터 측과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탑 커버를 관통하여, 상기 탑커버의 외측으로 노출되며,
상기 탑 커버의 외측으로 노출된 출수배관의 타측 단부는 연결배관을 통해서, 상기 파우셋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
A housing including a top cover forming a top surface of a planar shape, a raw water pipe for guiding raw water supplied from the outside of the housing into the housing, a filter for purifying water supplied along the raw water pipe with purified water; An undersink unit including an outlet pipe through which the purified water passing through the filter flows and installed inside the sink; And
And including a water extraction nozzle for supplying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discharge pipe to the user, at least a portion including the water discharge nozzle is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sink; includes;
One end of the water discharge pipe is connected to the filter side, the other end penetrates through the top cover,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top cover,
Water dispen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end of the water discharge pip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top cover is connected to the facet through a connection pip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배관과 상기 연결배관는 별도의 연결부재를 통해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water dispensing pipe and the connection pipe is a water dispen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hrough a separate connecting memb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연결배관에서 출수배관으로 물의 유동을 단속하는 체크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nection member, the water dispen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heck valve for regulating the flow of water from the connection pipe to the discharge pip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탑 커버에는,
상기 출수배관이 관통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배관홀;
상기 탑 커버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배관홀과 이격하여, 상기 배관홀의 주변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외부차단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top cover,
At least one pipe hole formed to penetrate the discharge pipe;
On the top surface of the top cover, the water dispensing apparatus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spaced apart from the pipe hole, is formed in the form surrounding the periphery of the pipe hole is formed.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탑 커버에는, 상기 탑 커버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배관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내부차단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top cover, the water dispen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op cover, protruding upward, the inner blocking wall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pipe hole.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탑커버의 외측으로 노출된 출수배관의 타측 단부는, 상기 탑커버를 관통하면서 수직방향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되는 굽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other end of the water discharge pip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top cover, the water dispen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ent portion that is b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le penetrating the top cover.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탑커버의 상면에는, 상기 굽힘부를 접촉 지지하도록, 상기 굽힘부와 대응하는 형태로 굽어진 형태로 돌출된 서포트 가이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upper surface of the top cover, the water dispen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guide protruding in the form bent in a form corresponding to the bent portion to support the bent portion.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가이드의 상면에는, 상기 굽힘부가 수용되게 내측으로 오목한 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guide, the water dispen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groove portion which is concave inward to accommodate the bent portion is formed.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에는 상기 굽힘부의 적어도 일부가 압입되게 내측을 향해 돌출된 고정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water dispen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groove is formed with a fixing projection protruding toward the inside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bending portion is press-fitted.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의 입구의 폭은 상기 출수배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홈부에는 상기 출수배관의 절반 이상이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width of the inlet of the groove portion is formed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water discharge pipe, the water dispen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half of the water discharge pipe is accommodated in the groove portion based on the cross section.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탑 커버의 상면에는, 상측으로 오목한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서포트 가이드 및 상기 굽힘부를 커버하는 보호캡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top surface of the top cover, the water dispensing apparatus having a concave space upward, and a protective cap for covering the support guide and the bent portion is mounted.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캡에는, 상기 굽힘부의 단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출수배관이 관통하는 연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The protective cap, the water dispen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munication hole is formed through the discharge pipe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end of the bent portion.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캡의 하단은, 상기 외부차단벽과 대응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외부 차단벽의 외측 둘레를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The lower end of the protective cap is formed in a form corresponding to the outer blocking wall, the water dispen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surroundi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outer blocking wall.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탑 커버의 상면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체결용보스가 형성되고,
상기 보호캡에는 상기 체결용 보스와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용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A fastening boss protruding upward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top cover,
Water dispen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ing hole is formed in the protective cap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boss.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캡은 내측 상면에 하방으로 돌출된 연장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The protective cap is a water dispen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extension wall protruding downward on the inner upper surface.







KR1020180027348A 2018-03-08 2018-03-08 water dispensing apparatus KR1026150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348A KR102615063B1 (en) 2018-03-08 2018-03-08 water dispensing apparatus
PCT/KR2019/001315 WO2019172531A1 (en) 2018-03-08 2019-01-30 Water dispens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348A KR102615063B1 (en) 2018-03-08 2018-03-08 water dispens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6198A true KR20190106198A (en) 2019-09-18
KR102615063B1 KR102615063B1 (en) 2023-12-19

Family

ID=67845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7348A KR102615063B1 (en) 2018-03-08 2018-03-08 water dispensing apparatus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15063B1 (en)
WO (1) WO2019172531A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9190A (en) * 2020-07-15 2022-01-24 주식회사 교원프라퍼티 Purifier including Multiple Separated Unit
KR20220009189A (en) * 2020-07-15 2022-01-24 주식회사 교원프라퍼티 Beverage Capsule Discharging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7054A (en) * 2020-10-08 2022-04-15 삼성전자주식회사 Water discharging unit and water purifier including the sam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32581A (en) * 1990-02-09 1991-10-16 Sanyo Electric Co Ltd Water cleaning device
JPH0533368A (en) * 1991-07-25 1993-02-09 I I C:Kk Piping structure of water purifier
JP3027934U (en) * 1996-02-14 1996-08-20 株式会社カクダイ Purified water discharge device for hot and cold water mixing tap
KR100794103B1 (en) * 2006-09-15 2008-01-10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urifier having pressure sensor
US20140047995A1 (en) 2011-02-15 2014-02-20 Murata Machinery, Ltd. Overhead Transport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7934B2 (en) * 1996-03-27 2000-04-0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JP4441271B2 (en) * 2004-01-07 2010-03-31 日本ヘルス工業株式会社 Water purification cartridge and water purifi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32581A (en) * 1990-02-09 1991-10-16 Sanyo Electric Co Ltd Water cleaning device
JPH0533368A (en) * 1991-07-25 1993-02-09 I I C:Kk Piping structure of water purifier
JP3027934U (en) * 1996-02-14 1996-08-20 株式会社カクダイ Purified water discharge device for hot and cold water mixing tap
KR100794103B1 (en) * 2006-09-15 2008-01-10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urifier having pressure sensor
US20140047995A1 (en) 2011-02-15 2014-02-20 Murata Machinery, Ltd. Overhead Transport Vehic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9190A (en) * 2020-07-15 2022-01-24 주식회사 교원프라퍼티 Purifier including Multiple Separated Unit
KR20220009189A (en) * 2020-07-15 2022-01-24 주식회사 교원프라퍼티 Beverage Capsule Discharg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5063B1 (en) 2023-12-19
WO2019172531A1 (en) 2019-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06198A (en) water dispensing apparatus
KR100900300B1 (en) Water dispenser
KR101926095B1 (en) water purifier
KR100592716B1 (en) Movable water purifier for hot and cold water without water service pipe
AU2021290390B2 (en) Water Purifier
KR100993891B1 (en) Purifier
KR20200047102A (en) Water dispensing apparatus
KR20150016158A (en) Apparatus for supplying functional water
US20130270256A1 (en) Instantaneous water heater
KR20110093426A (en) Hot/cold water purifier
KR102511722B1 (en) water dispen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940009069B1 (en) Hot water heating apparatus
KR101861710B1 (en) Water purifying apparatus for supplying sterilized water
KR100821369B1 (en) Hot and cold water dispenser with automatic cut-off system
KR100894475B1 (en) Refrigerator with function of hot-water supply
KR20060107692A (en) Hot water heating apparatus for refrigerator
EP4112535B1 (en) Cold and hot drinking water dispenser with disinfecting circuit
KR101196335B1 (en) Hot and Cold Water Dispenser and Sterilization Method for the same
KR101369875B1 (en) Warm water device the moment for water purifier
JP2015105794A (en) Hot water storage type water heater
JP7314820B2 (en) Sterilizer and water heater
KR20190022956A (en) Tank for water supplying and hot/cold water dispenser using the same
KR200371069Y1 (en) Movable water purifier for hot and cold water without water service pipe
KR20110093417A (en) Hot/cold water purifier
KR101506068B1 (en) Water purif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