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7635A - 발광 다트판 세트 - Google Patents

발광 다트판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7635A
KR20120037635A KR1020100099213A KR20100099213A KR20120037635A KR 20120037635 A KR20120037635 A KR 20120037635A KR 1020100099213 A KR1020100099213 A KR 1020100099213A KR 20100099213 A KR20100099213 A KR 20100099213A KR 20120037635 A KR20120037635 A KR 201200376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rt
board
segment
light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9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철
Original Assignee
김용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철 filed Critical 김용철
Priority to KR1020100099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37635A/ko
Publication of KR20120037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76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5/00Implements for throwing  ; Mechanical projectors, e.g. using spring force
    • A63B65/02Spears or the like ; Javeli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37Shooting of targ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3/00Targets for arrows or darts, e.g. for sporting or amusement purposes
    • F41J3/0009Dartbo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3/00Targets for arrows or darts, e.g. for sporting or amusement purposes
    • F41J3/02Indicators or score boards for arrow or dart g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발광 다트판 세트를 제공한다.
이 발광 다트판 세트는 전방에 끝이 뾰족한 플라스틱 바늘(110)이 나사식으로 결합된 다트핀(100); 및
빛 투광공간(211)을 갖는 테두리커버(210), 상기 테두리커버(210)의 내부에 조립되는 숫자보드(220), 상기 숫자보드(220)의 내부에 설치되며 다수의 수납공간(231)을 갖는 세그먼트 수납보드(230), 상기 세그먼트 수납보드(230)의 각 구획공간(231)에 수납되며 두께방향으로 상기 다트핀(100)의 플라스틱 바늘(110)이 꽂힐 수 있도록 바늘구멍(241)이 형성된 다수의 세그먼트(240), 상기 세그먼트 수납보드(230)의 후방에 배치되는 뒷덮개(250)로 이루어진 다트판(200);으로 구성됨을 포함하며,
상기 테두리커버(210)의 내주면에 배치되어 상기 테두리커버(210)의 빛 투광공간(212) 측으로 빛을 발산하는 LED발광부(213)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발광 다트판 세트{LUMINOUS DART BOARD SET}
본 발명은 발광 다트판 세트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다트핀, 테두리커버, 숫자보드, 세그먼트 수납보드, 세그먼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광안료, 축광안료 및 형광안료/축광안료의 혼합물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를 혼합함에 따라, 다트판의 테두리커버 내에 설치되는 LED발광부로 부터 발산되는 LED 빛에 의해 상기 안료를 발광시키거나 또는 축광하여 보다 화려하고 심미감을 갖는 다트판을 구현할 수 있는 발광 다트판 세트에 관한 것이다.
알려진 바와 같이, 다트기구(또는 다트 게임기)는 숫자가 적인 원형 과녁인 다트보드를 향해 화살촉 모양의 다트핀을 던져서 점수를 얻는 게임기로서, 이러한 다트기구는 다트보드 및 다트핀만 있으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남녀노소가 즐길 수 있는 게임기구이다.
통상적으로 다트핀은 뽀족하고 날카로운 포인트(이하 '플라스틱 바늘'이 라함), 샤프트(대), 플라이트(날개)로 구성되며, 약 18 ~ 30g의 무게를 지닌다.
다트핀의 상대물인 다트판은 예컨대, 나무재질의 부채꼴 모양으로 20등분되어 1~20점으로 점수가 정해져 있으며, 점수 배열 또한 정확하게 숫자를 맞추어야 점수를 얻도록 점수 배열을 큰 점수 옆에는 작은 점수를 배열함과 아울러, 점수 배열에는 바깥쪽에서 중앙으로 가면서 먼저 싱글(맞친 넘버가 점수가 됨), 더블(맞 친 넘버에 2배 점수가 됨), 트리플(맞친 넘버에 3배 점수가 됨), 싱글볼(25점으로 중앙 한가운데 원형의 바깥부분), 더블볼(50점으로 중앙 한가운데 원형의 안쪽부분)으로 등분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다트보드는 지상에서 약 173cm 되는 곳에 설치하며, 상기 다트핀은 다트 보드에서 약 273cm 떨어진 곳에서 던지는 것이기 때문에 실내에서는 모두 설치가 가능하다. 그리고 게임은 301점, 501점, 1001점 등으로 기본 점수를 정해놓고 다트를 던져서 얻은 점수를 총점에서 빼 나가면서 먼저 점수가 0점이 되는 쪽이 승리하는 방식의 게임이 널리 보편화되어 있으며, 게임을 더욱 흥미롭게 하기 위해 마지막 샷은 반드시 더블링 지역에 맞혀야 하는데, 더블링이란 다트 보오드의 가장자리에서 두번째 칸으로 숫자의 두배로 점수가 주어지는 칸이다. 이 밖에도 여러 가지 정해진 게임과 채점방식에 의하여 변형된 게임을 즐길 수 있다.
이러한 종전의 다트기구는 다트핀이 금속재질의 날카로운 핀이 전방측에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다트판의 전면 역시 상기 날카로운 다트핀이 꽂힐 수 있도록 코르크 재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다트핀이 꽂힌 부분에 구멍이 형성되므로 장기간 사용할 경우 코르크로 된 다트판의 전면이 훼손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다트핀의 전방측에 자석을 내삽하고 이 자석이 부착되도록 다트판의 전면에 철판 또는 철고무시트를 부착 구성함으로써, 장기간 사용시에도 다트판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날카로운 다트핀에 의해 게임자가 상해를 입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사용되는 자석 다트판은, 대개 벽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지하 카페와 같이 어두운 환경을 갖는 공간에서는 다트핀이 다트판에 부착되는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없음에 따라 게임자들 사이에 잦은 마찰이 유발되고,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다트가 설치된 벽면에 별도의 조명을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조명설치에 따른 비용부담은 물론, 설치된 조명을 항상 점등시켜야 함으로써 조명의 점등에 의한 불필요한 전력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자석다트판은 자석을 이용하여 다트핀을 다트판에 부착할 수 있다는 것 이외에는 날카로운 핀으로 이루어진 다트핀으로 구성되는 다트판과 크게 다르지 않을 뿐만 아니라, 한 번 구입한 후에는 거의 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소비성 및 시장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사용되는 자석다트판은 다트게임을 하는 게임도구 이외에는 별다른 기능이 부여되지 않음으로써 실내 인테리어 효과를 전혀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자석다트판은 그 구조적 특성상 홍보용 판촉물로 사용할 경우 홍보인쇄물의 노출이 매우 용이하지만, 어두운 실내 공간에서 광고문구나 광고인쇄물의 자체발광이 필수적인 바 유기 EL시트나 다른 발광 수단을 사용할 경우 단가가 높아지고 미감적인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어두운 환경에서도 다트핀이 꽂힌 부위를 손쉽게 식별할 수 있고, 조명성을 개선하여 화려하고 심미감 있는 조명을 연출할 수 있는 발광 다트판 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발광 다트판 세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방에 끝이 뾰족한 플라스틱 바늘(110)이 나사식으로 결합된 다트핀(100); 및 빛 투광공간(211)을 갖는 테두리커버(210), 상기 테두리커버(210)의 내부에 조립되는 숫자보드(220), 상기 숫자보드(220)의 내부에 설치되며 다수의 수납공간(231)을 갖는 세그먼트 수납보드(230), 상기 세그먼트 수납보드(230)의 각 구획공간(231)에 수납되며 두께방향으로 상기 다트핀(100)의 플라스틱 바늘(110)이 꽂힐 수 있도록 바늘구멍(241)이 형성된 다수의 세그먼트(240), 상기 세그먼트 수납보드(230)의 후방에 배치되는 뒷덮개(250)로 이루어진 다트판(200);으로 구성됨을 포함하며,
상기 테두리커버(210)의 내주면에 배치되어 상기 테두리커버(210)의 빛 투광공간(212) 측으로 빛을 발산하는 LED발광부(213)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다트핀(100), 테두리커버(120), 숫자보드(220), 세그먼트 수납보드(230), 세그먼트(2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광안료, 축광안료 및 형광안료/축광안료의 혼합물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가 혼합된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뒷덮개(250)의 상기 세그먼트(240)와 대응하는 안쪽면에 설치되는 충격흡수판(2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세그먼트(240)와 뒷덮개(250) 사이에, 상기 다트핀(100)이 세그먼트(240)의 바늘구멍(241)에 꽂히면서 발생되는 충격력을 감지하여 점수를 생성하는 점수생성시트(270); 상기 점수생성시트(2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280); 상기 인쇄회로기판(28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디스플레이부(2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280)은 상기 점수생성시트(270)의 각 구역에 대응하는 기설정된 점수값을 연산하고 상기 연산된 점수값을 상기 디스플레이부(290)로 송출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28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다트판(200)이 설치되는 입식다이(300); 상기 입식다이(300)의 다트판(200) 상측에 설치되어 다트점수를 출력하는 계수 모니터(310); 상기 입식다이(300)의 다트판(200)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계수모니터(310)의 리셋이나 온/오프 등을 조작하는 조작버튼(320); 및 상기 입식다이(300)의 조작버튼(320) 하측에 설치되는 스피커(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세그먼트 수납보드(230)의 구획공간(231)은 동심원상 또는 동심원상 및 지름방향으로 등분되게 구획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발광 다트판 세트는, 어두운 환경에서도 다트핀이 꽂힌 부위를 손쉽게 식별할 수 있고, 조명성을 개선하여 화려하고 심미감 있는 조명을 연출할 수 있어서 인테리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트점수를 자동으로 계수하여 줌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며, 어두운 곳에서도 점수를 쉽게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다트점수를 음성으로도 출력해줌으로써 시각 장애인들에게도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트판의 전면에 각종 홍보문구 또는 로고 또는 상품명 등이 구성되는 경우, 형광안료 또는 축광안료, LED발광부에 의해 시각적으로 부각시킬 수 있어서 광고주의 홍보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트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트판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트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트판의 결합상태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대한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요부확대도이다.
도 7은 도 6를 보다 확대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다트판의 여러 형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입식평 다트판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다트핀의 구성도이다.
도 15는 원형 배열된 LED발광부로 부터 빛이 조사되는 형상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발광 다트판 세트가 설명된다.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다른 구성요소 '상에' 위치한다는 것은 일 구성요소 상에 다른 구성요소가 직접 위치한다는 의미는 물론, 상기 일 구성요소 상에 제 3의 구성요소가 더 위치할 수 있다는 의미도 포함한다. 본 명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부분 등을 제1, 제2 등의 표현을 사용하여 지칭하였으나, 이는 명확한 설명을 위해 사용된 표현으로 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 표현된 구성요소들의 두께 및 상대적인 두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트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트판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트판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트판의 결합상태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에 대한 종단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요부확대도이고, 도 7은 도 6를 보다 확대한 도면이다. 또한,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다트판의 여러 형태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입식평 다트판의 정면도이며, 도 14는 다트핀의 구성도이다. 또한, 도 15는 원형 배열된 LED발광부로 부터 빛이 조사되는 형상도이다.
위의 도 1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발광 다트판 세트(S)는 다트판(200) 및 다트핀(100)으로 대별된다.
상기 다트판(200)은 금속, 합성수지로 형성되고, 전체적으로 원형을 이루고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다트판(200)의 전면은 원형으로 국한하지 않고 다각형 등의 다양한 형태로도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다트판(200)의 전면에는 자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홍보 인쇄물이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다트판(200)은 LED 발광부(213)를 갖는 테두리커버(210), 숫자보드(220), 세그먼트 수납보드(230), 세그먼트(segment:240) 및 뒷덮개(250)로 세부 구성된다.
상기 테두리커버(210)는 다트판(200)의 전방 둘레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숫자보드(220)의 둘레부에 포설된다. 이러한 테두리커버(210)는 상기 숫자보드(220)의 둘레를 감싸도록 절곡 형성된 커버부(211)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211)로 부터 내측으로 이격된 부위에 빛 투광공간(21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테두리커버(210)는 상기 숫자보드(220)의 둘레부 전면에 포설할 때, 상기 숫자보드(220)의 둘레부와 테두리커버(210)의 커버부(211)가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조립되므로 상기 커버부(211)와 숫자보드(220)의 둘레부 사이로 빛 투광공간(212)이 자연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테두리커버(210)는 형광안료, 축광안료, 형광안료와 축광안료가 혼합된 형/축광안료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함침, 도포 등의 방법에 의해 포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테두리커버(210)는 그 내주면을 따라 배치되게 설치되는 상기 LED발광부(213)를 통해 발산되는 빛에 의해 발광되거나 또는 자체발광 된다.
또한, 상기 테두리커버(210)는 그 후면부에 후술될 숫자보드(220)의 돌출결합부(222)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돌기(214)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LED발광부(213)는 상기 테두리버커(210)의 내주면에 구성되어 상기 테두리커버(210)의 빛 투광공간(212) 측으로 빛을 발산하는 것으로, 통상 발광다이오드와 이 발광다이오드가 전기적으로 연결구성되는 인쇄회로기판(미도시)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발광다이오드는 칩 타입(chip type) 다이오드 또는 볼 타입(ball type) 다이오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LED발광부(213)는 상기 테두리커버(210)의 커버부(211) 내측 둘레부를 따라 띠형으로 연결되어 구성되어, 이에 의해 발산되는 빛에 의해 테두리커버(210), 숫자보드(220), 다트핀(100), 후술될 세그먼트 수납보드(230) 및 세그먼트(240)에 포함된 안료에 대한 발광이 이루어지게 한다.
부연하면, 상기 LED발광부(213)를 통해 발산되는 빛이 테두리커버(210)와 숫자보드(220) 사이에 형성되는 빛 투광공간(212)을 통해 다방면으로 분산되면서 앞서 설명된 안료가 포함된 구성요소에 비춰짐으로써 발광효과를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인테리어 효과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상기 LED발광부(213)를 구성하는 발광다이오드는 소비전력이 0.1W ~ 0.5W 사이로 형성되며 발광다이오드는 10~100개 사이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발광다이오드는 필요에 따라 달리 구성할 수 있는 바, 그 개수나 배치형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LED발광부(213)에 구성되는 발광다이오드로부터 발광되는 빛은 백색파장 또는 청색파장은 상기 형광안료 또는 축광안료가 선택적으로 함침된 부품들에 비추어짐에 있어 최적의 발광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게임자나 관람자들 모두에게 보다 화려한 심미감과 미려감을 느끼게 해 준다.
상기 숫자보드(220)는 형광안료, 축광안료, 형광안료와 축광안료가 혼합된 형/축광안료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함침, 도포 등의 방법에 의해 포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테두리커버(210)는 그 내주면을 따라 배치되게 설치되는 상기 LED발광부(213)를 통해 발산되는 빛에 의해 발광되거나 또는 자체발광 된다.
상기 숫자보드(220)는 상기 테두리커버(210)의 후방에 배치되며, 전면(前面)에 수 개의 돌출결합부(222)가 형성된 고정부(221)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221)의 둘레를 따라 외향으로 수평 절곡된 보강부(223)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돌출결합부(222)는 상기 테두리커버(210)의 후면부에 형성되는 결합돌기(214)가 삽입에 의해 조립되는 것으로서, 돌출결합부(222)와 이에 삽입되는 결합돌기(214)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빛 투광공간(212)의 크기를 확장할 수 있다. 하지만, 이들의 길이를 너무 길게 하면 안정된 결합에 반할 수 있으므로 적정길이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 한편, 상기 테두리커버(210)와 숫자보드(220)를 결합할 때는 상기 돌출결합부(222)에 결합돌기(214)를 삽입한 후, 상기 숫자보드(220)의 내향면으로 부터 피스 또는 나사(sc)를 체결하여 양자를 결합하게 된다.
또 한편, 상기 숫자보드(220)의 고정부(221) 폭(a)을 상기 테두리커버(210)의 전면폭(b) 보다 크게 하면, 고정부 폭(a)과 전면폭(b)의 편차폭(c)에 해당되는 만큼의 원형 발광띠(미도시)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숫자보드(220)는 빛 투광공간(212)을 통해 발산되는 LED빛이 상기 테두리커버(210)의 전면폭(b) 보다 넓게 형성된 숫자보드(220)의 고정부(221) 폭(a) 측으로 조사되기 때문에 고정부(221)의 폭(a)을 따라 자연스럽게 원형의 발광띠가 형성되어 다트판(200) 전체 외관에 대한 미려함과 심미감의 고취가 가능하고, 실내 인테리어에 대한 시각적 이미지를 부각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LED발광부(213)는 도 15에서와 같이, 상기 테두리커버(210)의 안쪽으로 띠 형상에 원형으로 배열되어 있어서 다트판(200)의 중심을 향해 불빛이 비춰지게 된다. 따라서, 다트판(200)의 전면(全面)이 발광되면서 다트판의 미려함과 심미감이 고취되는 것이다.
상기 세그먼트 수납보드(230)는 상기 숫자보드(220)의 중앙부에 배치된 채 그 후방에 외향으로 수직 절곡되게 형성된 결합플랜지(231)를 통해 상기 뒷덮개(250)와 결합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세그먼트 수납보드(230)는 형광안료, 축광안료, 형광안료와 축광안료가 혼합된 형/축광안료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함침, 도포 등의 방법에 의해 포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테두리커버(210)는 그 내주면을 따라 배치되게 설치되는 상기 LED발광부(213)를 통해 발산되는 빛에 의해 발광되거나 또는 자체발광 된다.
상기 세그먼트 수납보드(230)는 그 내부에 수 개의 수납공간(232)를 갖는다. 예를 들어 상기 수납공간(232)은 가장자리를 따라 20개의 원호형 제1 수납부(232), 제1 수납부(232)의 안쪽에 역시 20개의 원호형 제2 수납부(233), 제2 수납부(233)의 안쪽에 역시 20개의 원호형 제3 수납부(234), 제3 수납부(234)의 안쪽에 역시 20개의 원호형 제4 수납부(235)를 갖도록 구성된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도 8, 9, 10, 12에서와 같이 세그먼트 수납보드(230)는 동심원상으로 다수의 원형 수납부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는 마치 양궁의 표적과 같은 형태를 갖고 있어서 양궁과 유사한 게임을 즐길 수 있음은 물론 실제로 양궁의 표적으로도 활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세그먼트 수납보드(230)의 각 수납공간(232)에 수납되는 세그먼트(240)는 그 두께방향으로 후술될 다트핀(100)의 플라스틱 핀(110)이 꽂힐 수 있도록 두께방향으로 바늘구멍(24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세그먼트 수납보드(230)는 형광안료, 축광안료, 형광안료와 축광안료가 혼합된 형/축광안료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함침, 도포 등의 방법에 의해 포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테두리커버(210)는 그 내주면을 따라 배치되게 설치되는 상기 LED발광부(213)를 통해 발산되는 빛에 의해 발광되거나 또는 자체발광 된다.
상기 뒷덮개(250)는 다트판(200)의 후방면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숫자보드(220)에 나사 조립된다.
또한, 상기 뒷덮개(250)는 대략 평판형상을 가지며, 그 가장자리에는 외향으로 수평절곡되게 형성되어 상기 숫자보드(220)의 내주면에 밀접되는 플랜지부(251)를 갖는다.
또한, 상기 뒷덮개(250)의 내면상에는 결합홈(252)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홈(252)은 상기 숫자보드(220)에 형성되는 돌출부(224)가 충격흡수판(260)를 관통하여 끼워짐으로써 숫자보드(220) 및 충격흡수판(260)을 뒷덮개(250)와 용이하게 정합시킬 수 있어서 볼트 고정을 손쉽게 하는 조립편의 구조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발광 다트판 세트(S)는 상기 뒷덮개(250)의 상기 세그먼트(240)와 대응하는 안쪽면에 설치되는 충격흡수판(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격흡수판(260)은 상기 세그먼트(240)에 꽂히는 다트핀(100)의 탄발력(충격력)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질은 형상복원이 빠른 스폰지, 스티로폼, 코르크, 러버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뒷덮개(250)의 안쪽면에 충격흡수판(260)이 배치됨에 따라 다트핀(100)이 다트판(200)에 부딪쳤을 때 발생되는 충격 및 소음이 흡수될 수 있어 다트핀(100)이 다트판(200)에 꽂히지 않고 떨어지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또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발광 다트판 세트(S)는 상기 충격흡수판(260)의 안쪽면에 설치되는 점수생성시트(270)를 더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점수생성시트(2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280)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28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디스플레이부(290)가 또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점수생성시트(270)는, 동심원상으로 각각 절연되어 구획된 제1통전선이 인쇄된 제1통전시트(271)와, 방사상으로 각각 절연되어 구획된 제2통전선이 인쇄되어 상기 제1통전시트(271)와 포개지는 제2통전시트(272)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점수생성시트(270)는, 필름타입의 멤브레인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던져지는 다트핀(100)이 부착될 때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스위칭되는 모든 수단에 적용가능하다.
미 설명부호 273은 제1,2 통전시트(271,272) 사이를 절연하기 위한 절연판이다.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280)에는, 상기 점수생성시트(270)에 감지되는 다트핀(100)의 압착에 의해 통전된 위치에 설정된 점수값을 연산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290)로 연산된 점수값을 송출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281)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발광 다트판 세트는, 게임자가 던진 다트핀(100)이 상기 점수생성시트(270)를 구성하는 제1통전시트(271)의 제1통전선과 제2통전시트(272)의 제2통전선이 서로 교차되는 어느 한 지점에 부착되면, 다트핀(100)이 부착된 지점의 제1통전선과 제2통전선이 서로 접하게 되어, 상기 제1통전시트(271)의 제1통전선과, 상기 제2통전시트(272)의 제2통전선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280)에 접지점에 대한 점수값이 전달된다.
상기 구획된 제1통전선 및 제2통전선들의 통전값의 조합에 대응하는 서로 다른 점수정보가 기설정되어 있음에 따라, 게임자가 던진 다트핀(100)이 꽂힌 지점에 위치하는 구역에 대응하는 점수값이 인쇄회로기판(280)에 구성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81)에 의해 연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290)를 통해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발광 다트판 세트(S)는 계수 모니터(310); 상기 계수모니터(310)의 리셋이나 온/오프 등을 조작하는 조작버튼(320); 및 상기 조작버튼(320) 하측에 설치되는 스피커(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발광 다트판 세트(S)는 도 9 내지 도 11에서와 같이 다트판(200)이 하부 또는 다트판(200)의 상,하부에 계수모니터(310), 조작버튼(320), 스피커(330)가 설치되는 설치부가 마련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도 13에서와 같이 발광 다트판 세트(S)를 입식으로 세워놓기 위한 입식다이(300)를 마련하고, 이에 다트판(200), 계수모니터(310), 조작버튼(320) 및 스피커(330)를 설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입식형의 경우에는 다트판(200)의 양쪽에 다트판 내에 설치되는 LED발광부(213)와는 별개로 또 다른 LED발광부(213´)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다트핀(100)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에 끝이 뾰족한 플라스틱 바늘(110)과, 상기 플라스틱 바늘(110)이 나사 결합되는 핀 몸체(120)는금속 또는 프라스틱으로 형성한, 상기 핀 몸체(120)의 후방에 나사 조립되는 다트날개(1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다트핀(100)의 플라스틱 바늘(110)과 다트날개(130) 또는 핀 몸체(120) 는 플라스틱 사출물로서, 이에는 형광안료가 함침된다. 따라서, 상기 LED발광부(213)를 통해 발산되는 빛에 의해 상기 다트핀(100)이 다트판(200)의 전면에 꽂히면 발광효과가 나타나기 때문에 어두운 공간에서 별도의 조명없이도 다트핀(100)이 다트판(200)에 부착된 위치를 쉽게 식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실시예들을 기존의 공지기술과 단순히 조합 적용한 실시예와 함께 본 발명의 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변형하여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은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100 : 다트핀 110 : 플라스틱 바늘
200 : 다트판 220 : 숫자보드
230 : 세그먼트 수납보드 240 : 세그먼트
250 : 뒷덮개 260 : 충격흡수판
270 : 점수생성시트 280 : 인쇄회로기판
290 : 디스플레이부 300 : 입식다이
310 : 계수모니터 320 : 조작버튼
330 : 스피커

Claims (7)

  1. 전방에 끝이 뾰족한 플라스틱 바늘(110)이 나사식으로 결합된 다트핀(100); 및
    빛 투광공간(211)을 갖는 테두리커버(210), 상기 테두리커버(210)의 내부에 조립되는 숫자보드(220), 상기 숫자보드(220)의 내부에 설치되며 다수의 수납공간(231)을 갖는 세그먼트 수납보드(230), 상기 세그먼트 수납보드(230)의 각 구획공간(231)에 수납되며 두께방향으로 상기 다트핀(100)의 플라스틱 바늘(110)이 꽂힐 수 있도록 바늘구멍(241)이 형성된 다수의 세그먼트(240), 상기 세그먼트 수납보드(230)의 후방에 배치되는 뒷덮개(250)로 이루어진 다트판(200);으로 구성됨을 포함하며,
    상기 테두리커버(210)의 내주면에 배치되어 상기 테두리커버(210)의 빛 투광공간(212) 측으로 빛을 발산하는 LED발광부(213)가 원형으로 배열되어 다트판(200)의 중심으로 향하는 불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트판 세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트핀(100), 테두리커버(120), 숫자보드(220), 세그먼트 수납보드(230), 세그먼트(2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광안료, 축광안료 및 형광안료/축광안료의 혼합물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가 혼합된 것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트판 세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뒷덮개(250)의 상기 세그먼트(240)와 대응하는 안쪽면에 설치되는 충격흡수판(26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트판 세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240)와 뒷덮개(250) 사이에, 상기 다트핀(100)이 세그먼트(240)의 바늘구멍(241)에 꽂히면서 발생되는 충격력을 감지하여 점수를 생성하는 점수생성시트(270);
    상기 점수생성시트(2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280);
    상기 인쇄회로기판(28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디스플레이부(29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트판 세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280)은 상기 점수생성시트(270)의 각 구역에 대응하는 기설정된 점수값을 연산하고 상기 연산된 점수값을 상기 디스플레이부(290)로 송출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281)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트판 세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트판(200)이 설치되는 입식다이(300);
    상기 입식다이(300)의 다트판(200) 상측에 설치되어 다트점수를 출력하는 계수 모니터(310);
    상기 입식다이(300)의 다트판(200)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계수모니터(310)의 리셋이나 온/오프 등을 조작하는 조작버튼(320); 및
    상기 입식다이(300)의 조작버튼(320) 하측에 설치되는 스피커(33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트판 세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 수납보드(230)의 구획공간(231)은 동심원상 또는 동심원상 및 지름방향으로 등분되게 구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트판 세트.
KR1020100099213A 2010-10-12 2010-10-12 발광 다트판 세트 KR201200376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9213A KR20120037635A (ko) 2010-10-12 2010-10-12 발광 다트판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9213A KR20120037635A (ko) 2010-10-12 2010-10-12 발광 다트판 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7635A true KR20120037635A (ko) 2012-04-20

Family

ID=46138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9213A KR20120037635A (ko) 2010-10-12 2010-10-12 발광 다트판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3763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80819A1 (ko) * 2014-11-21 2016-05-26 주식회사 홍인터내셔날 광원이 구비된 다트 보드 및 다트 보드 제어장치
KR102181417B1 (ko) 2020-09-01 2020-11-23 주식회사 스포플랫폼 타겟 영역에 대한 광 조사 기능을 구비한 전자 다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80819A1 (ko) * 2014-11-21 2016-05-26 주식회사 홍인터내셔날 광원이 구비된 다트 보드 및 다트 보드 제어장치
KR20160061057A (ko) * 2014-11-21 2016-05-31 주식회사 홍인터내셔날 광원이 구비된 다트 보드 및 다트 보드 제어장치
JP2018505370A (ja) * 2014-11-21 2018-02-22 ホン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コーポレーション 光源が備えられたダーツボードおよびダーツボード制御装置
KR102181417B1 (ko) 2020-09-01 2020-11-23 주식회사 스포플랫폼 타겟 영역에 대한 광 조사 기능을 구비한 전자 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79092B2 (en) Luminous dart board set
US10532275B2 (en) Laser activated moving target
US5492329A (en) Golf putter with electronic leveling device and message display
US6062997A (en) Magnetic dart system
US20080176679A1 (en) Luminous basket backboard
US5358253A (en) Light and sound emittable dartsboard
JP2002017971A (ja) 遊技機
KR101032402B1 (ko) 다트 보드의 세그먼트를 표시하는 다트 게임 제공 장치 및 방법
US20150145211A1 (en) Dart game device interworking with external device, gaming system and method
US20140100062A1 (en) Sports contest celebration display
JP3042323U (ja) 電子ダートボード
KR101032331B1 (ko) 발광 다트판 세트
KR20120037635A (ko) 발광 다트판 세트
KR101656638B1 (ko) 가이드라인 시현 기능을 가지는 골프 티
KR20120138536A (ko) 발광 골프공
JP2000153018A (ja) パチンコ機
US20220105423A1 (en) Illuminated support rails for pinball machines
JP2007025080A (ja) 発光風船
KR20120062277A (ko) 야광 골프공 축광장치
KR102645026B1 (ko) 윷놀이 겸용 주사위
US20230191206A1 (en) Light-emitting golf ball using small generator
JP4137770B2 (ja) 遊技機
KR20100097440A (ko) 놀이용 비행원반
JPH10113425A (ja) 遊技機の遊技部用表示装置
KR20210033797A (ko) 펜싱 검용 발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