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7185A - A safety lighting device of an entrance - Google Patents

A safety lighting device of an entra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7185A
KR20120037185A KR1020100098795A KR20100098795A KR20120037185A KR 20120037185 A KR20120037185 A KR 20120037185A KR 1020100098795 A KR1020100098795 A KR 1020100098795A KR 20100098795 A KR20100098795 A KR 20100098795A KR 20120037185 A KR20120037185 A KR 201200371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magnetic sensor
lamp
guide rai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87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147070B1 (en
Inventor
윤병희
Original Assignee
(주) 첨성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첨성시스템 filed Critical (주) 첨성시스템
Priority to KR1020100098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7070B1/en
Publication of KR20120037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718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7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707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76Safety or security signalisation, e.g. smoke or burglar alarms, earthquake detectors; Self-defence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00Shades for light sources, i.e. lampshades for table, floor, wall or ceiling lamps
    • F21V1/02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7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7/00Cable-stowing arrangemen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lighting devices, e.g. ree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PURPOSE: A door safety lighting device is provided to visually and acoustically recognize opened-and-closed state of a door by controlling sound or a flicker state of a lamp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opened-and-closed state of the door. CONSTITUTION: A frame(10) is located in the lower side of a door(50) which is opened and closed with a sliding mode. A lamp(20) is located in the upper side of the frame. The lamp is exposed to outside in order to visually confirm opened-and-closed state of the door. A magnetic sensor(30) confirms the opened-and-closed state of the door by sensing the access of a magnet attached to the bottom side of the door. A controller(40) controls flicker of the lamp based 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magnetic sensor.

Description

출입문 안전조명장치{A Safety Lighting Device of an Entrance}A Safety Lighting Device of an Entrance

본 발명은 개폐되는 출입문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안전하게 진출입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출입문 안전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출입문이 슬라이딩되는 안내레일 측면을 천공하지 않고도 마그네틱센서를 이용하여 출입문 개폐상태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어 센서의 오염을 방지함은 물론 안내레일의 청소와 유지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복수의 마그네틱센서를 이용하여 출입문의 개폐가 시작되는 시점과 개폐가 진행되는 과정까지 정확하게 체크할 수 있고, 출입문 개폐상태의 변화에 따라 조명등의 점멸상태나 음향을 제어함으로써 출입문 개폐상태를 사용자가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며, 프레임내에 설치되는 조명등과 마그네틱센서의 설치가 용이함은 물론 프레임 내에서 마그네틱센서의 위치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조명등과 마그네틱센서에 연결된 전선이나 케이블이 프레임 내에서 용이하게 설치되고 단정하게 정돈되도록 하여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출입문 안전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safety lighting device installed in the door to be opened and closed to guide the user in and out safely, and more particularly,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state using a magnetic sensor without puncturing the side of the guide rail sliding the door. Accurately detect the sensor to prevent contamination of the sensor as well as to efficiently clean and maintain the guide rails, and by using a plurality of magnetic sensors, precisely unti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and the process of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By checking the blinking state or sound of the light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state, the user can recognize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state visually and acoustically accurately, and the installation of the light and magnetic sensor installed in the frame Magnetic sensors in the frame as well as ease This invention relates to a door safety lighting device that can facilitate the adjustment of the position of the wire and can easily install and tidy the wires or cables connected to the lighting lamp and the magnetic sensor in the frame to facilitate maintenance and prevent safety accidents. .

통상적으로 엘리베이터나 건물의 주 출입구에 설치되어 좌우로 슬라이딩되는 방식으로 개폐되는 출입문에서는 전자적으로 제어되어 슬라이딩 개폐되는 출입문의 상태를 사용자가 정확하게 인지하지 못하여 출입문에 부딪히거나 끼이게 되는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In general, the doors that are installed at the main entrance of an elevator or a building to be opened and closed in a sliding way to the left and right are often accidentally hit or jammed because the user does not accurately recognize the state of the door that is controlled by the electronic door. It is happening.

따라서, 이러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기존의 출입문이 설치된 바닥에서 슬라이딩되는 좌우 양측의 출입문을 안내하는 안내레일을 포함하는 바닥프레임상에 별도의 조명시설을 설치하여, 개폐되는 출입문의 상태에 따라 조명시설을 점멸시켜 사용자에게 이를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조명장치가 설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such a safety accident by installing a separate lighting system on the floor frame including a guide rail for guiding the left and right doors sliding on the floor where the existing door is installed, lighting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door to be opened and closed Safety lighting devices are installed so that the user can visually recognize this by blinking the facility.

도 1은 종래 출입문 바닥에 설치된 안전조명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종래 안전조명장치의 단면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afety lighting device installed on the bottom of a conventional door, Figure 2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conventional safety lighting device of FIG.

도 1과 2를 참조하면, 종래 출입문 바닥에 설치된 안전조명장치는 개폐되는 출입문(a)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것으로 근접센서 특히, 광센서(c)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통상 바닥프레임(b)의 안내레일(d)의 측면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광센서(c)가 위치하는 곳 즉, 안내레일(d)의 측면을 반드시 일정 부분 천공하여야 하는바(이는 상기 광센서(c)가 안내레일(d)상을 슬라이딩 이동하는 출입문(a)을 감지하기 위해서는 광센서(c)와 출입문(a) 사이에 방해되는 장애물 즉, 안내레일(d)의 측면과 같은 구성이 없어야 하기 때문임), 이로 인해 안내레일(d) 측면의 천공된 부위(f1)로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지속적으로 유입되게 되어 상기 광센서(c)를 오염시켜 광센서(c)의 성능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를 유발하게 됩니다. 1 and 2, the conventional safety lighting device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door can detect the state of the door (a) to be opened and closed, because the proximity sensor, in particular, using the optical sensor (c), usually the floor frame ( Where the optical sensor (c), which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guide rail (d) of b), that is, the side of the guide rail (d) must be drilled a certain part (this is the optical sensor (c) In order to detect the door (a) sliding sliding on the guide rail (d) is because there must be no obstructions between the optical sensor (c) and the door (a), that is, the configuration such as the side of the guide rail (d) This causes the foreign matter such as dust to continuously flow into the perforated part f1 of the side of the guide rail (d) to contaminate the optical sensor (c) to reduce the performance of the optical sensor (c) Will be triggered.

또한, 광센서(c)의 오염과 성능저하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안내레일(d)을 포함한 부위를 청소하여 청결한 상태를 유지시켜야 하나, 상기와 같이 안내레일(d) 측면의 천공된 부위(f1)로 인해 바닥프레임(b)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 등을 제거한다거나 광센서(c)를 청소하는 작업이 어렵기 때문에 유지관리작업에 있어서도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를 안게 됩니다. 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contamination and deterioration of the optical sensor (c), the parts including the guide rail (d) should be continuously cleaned to maintain a clean state, but the perforated parts on the side of the guide rail (d) as described above ( Due to f1), it is difficult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that have flowed into the floor frame (b) or to clean the optical sensor (c). Therefore, the maintenance work takes a lot of time and money.

또한, 기존의 광센서(c)나 조명시설(e)이 설치되는 상기 바닥프레임(b)의 단면을 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된 단면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광센서(c)나 조명시설(e)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설치되는 부위에 인접하여 상기 바닥프레임(b)의 측면을 천공(f2)하여야 함은 물론, 상기 광센서(c)나 조명시설(e)에 연결되는 전선이나 케이블 등을 설치, 교체하는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도 많은 불편함을 안게 되는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when looking at the cross section of the floor frame (b) in which the existing optical sensor (c) or lighting system (e) is installed, as shown in Figure 2 has a closed cross-sectional structure, the optical sensor (c) or In order to install the lighting facility (e), the side of the floor frame (b) should be drilled (f2) adjacent to the installation site, as well as the wires connected to the optical sensor (c) or the lighting facility (e). There is a problem that a lot of inconvenience in carrying out the work to install, replace the cable.

또한, 기존의 안전조명장치는 출입문 개폐상태를 각 단계에 따라 세분하여 감지한 다음 그 상태를 정확하게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인식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어서도 미흡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출입문 개폐상태를 각 단계별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보다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에 대한 필요성 역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In addition, the existing safety lighting device is insufficient in detecting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state according to each stage and then accurately visually recognize the state to the user, so the user recognizes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state at each stage. There is also a need for a system that enables more effective prevention of safety accident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의 목적은 출입문이 슬라이딩되는 안내레일 측면을 천공하지 않고도 마그네틱센서를 이용하여 출입문 개폐상태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어, 센서의 오염을 방지함은 물론 안내레일의 청소와 유지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출입문 안전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ccurately detect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state by using a magnetic sensor without puncturing the side of the guide rail sliding the door, preventing contamination of the sensor, as well as efficient cleaning and maintenance of the guide rail It is to provide a door safety lighting device that allow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의 마그네틱센서를 이용하여 출입문의 개폐가 시작되는 시점과 개폐가 진행되는 과정까지 정확하게 체크할 수 있는 출입문 안전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oor safety lighting device that can accurately check up to the time and the progress of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using a plurality of magnetic sensor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출입문 개폐상태의 변화에 따라 조명등의 점멸상태 또는 음향을 제어함으로써 출입문 개폐상태를 사용자가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출입문 안전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oor safety lighting device that enables a user to visually and acoustically accurately recognize a door opening and closing state by controlling a blinking state or a sound of a lighting lamp according to a change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stat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프레임내에 설치되는 조명등과 마그네틱센서의 설치가 용이함은 물론 프레임 내에서 마그네틱센서의 위치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출입문 안전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oor safety lighting device that can easily install a lamp and a magnetic sensor installed in the frame, as well as to easily adjust the position of the magnetic sensor in the fram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명등과 마그네틱센서에 연결된 전선이나 케이블이 프레임 내에서 용이하게 설치되고 단정하게 정돈되도록 하여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출입문 안전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oor safety lighting device that is easy to maintain and prevent safety accidents by the wires or cables connected to the lamp and the magnetic sensor is easily installed and tidy within the frame.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출입문 안전조명장치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Door safety lighting device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ollowing configur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안전조명장치는 슬라이딩방식으로 개폐되는 출입문 하단에 위치하며, 출입문 하단이 슬라이딩되도록 안내하는 안내레일을 포함하는 프레임과; 출입문 개폐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외부에 노출된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위치하여 점멸되는 조명등과; 상기 안내레일의 측면에 위치하며, 출입문 하단에 부착된 자석의 접근을 감지하여 출입문 개폐상태정보를 체크하는 마그네틱센서와; 상기 마그네틱센서에서 전송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조명등의 점멸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안내레일 측면을 천공하지 않고도 마그네틱센서를 이용하여 출입문 개폐상태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어, 센서의 오염을 방지함은 물론 안내레일의 청소와 유지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oor safety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door to be opened and closed in a sliding manner, the frame including a guide rail for guiding the lower door sliding; A lighting lamp which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exposed to the outside so as to visually check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state; A magnetic sensor positioned at a side of the guide rail and detecting door access state information by detecting an approach of a magnet attached to a lower end of the door;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blinking of the lamp based on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magnetic sensor; By including a magnetic sensor without puncturing the guide rail side can accurately detect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state, to prevent contamination of the sensor Of course, the guide rail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efficiently perform the cleaning and maintenance of the guide rail.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출입문 안전조명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틱센서는 출입문이 완전히 닫혀진 상태에서 출입문 하단에 부착된 자석으로부터 출입문이 개방되는 방향으로 떨어져 위치하는 제1마그네틱센서와, 출입문이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출입문 하단에 부착된 자석의 자력을 감지할 수 있는 곳에 위치하는 제2마그네틱센서로 이루어져, 상기 제1, 2마그네틱센서를 이용하여 출입문의 개폐가 시작되는 시점과 개폐가 진행되는 과정까지 정확하게 체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oor safety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gnetic sensor and the first magnetic sensor which is located away from the magnet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door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oor is opened in a state in which the door is completely closed; The second magnetic sensor is positioned at a position capable of detecting a magnetic force of a magnet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door while the door is completely open, and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by using the first and second magnetic sensors. Characterized in that can be checked accurately until the process proceeds.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출입문 안전조명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명등이 소등된 상태에서 상기 제1마그네틱센서가 출입문 하단에 부착된 자석의 자력을 감지하게 되면 출입문 개방시작에 따른 조명등의 점등을 제어하는 제1점등제어신호와, 상기 제1마그네틱센서의 감지 이후 상기 제2마그네틱센서가 출입문 하단에 부착된 자석의 자력을 감지하게 되면 출입문 개방완료에 따른 조명등의 점등을 제어하는 제2점등제어신호와, 상기 조명등이 점등된 상태에서 상기 제2마그네틱센서가 자석의 자력을 감지하지 않게 되면 출입문 폐쇄시작에 따른 조명등의 점등을 제어하는 제3점등제어신호와, 이후 상기 제1마그네틱센서가 출입문 하단에 부착된 자석의 자력을 감지하게 되면 출입문 폐쇄완료에 따른 조명등 소등을 제어하는 소등제어신호를 각각 생성하여 상기 조명등의 점멸을 제어함으로써, 출입문 개폐상태를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oor safety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opens the door when the first magnetic sensor detects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door while the lamp is turned off. The first lighting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lighting of the lamp according to the start, and if the second magnetic sensor detects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door after the detection of the first magnetic sensor lights up the lamp according to the completion of the door opening A second lighting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third lighting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lighting of the lamp according to the door closing start when the second magnetic sensor does not sense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while the lighting is turned on, and When the first magnetic sensor detects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door, the lamp is turned off when the door is closed. By generating the light-off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each control the flashing of the lights,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door open or closed for the user to recognize visually accurat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출입문 안전조명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안내레일에서 일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조명등과 마그네틱센서가 내설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전방격실을 형성하며, 상기 전방격실은 바닥에 위치하는 하측면의 일부가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장방향으로 개방된 개방부와, 상기 안내레일과 접하는 측면을 따라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마그네틱센서가 이동 및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 센서안내레일을 포함하여, 상기 조명등과 마그네틱센서의 설치가 용이함은 물론, 상기 마그네틱센서의 위치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oor safety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rame protrudes to one side from the guide rail to form a front compartment for providing a space for the lamp and the magnetic sensor to be built in. The front compartment may have an opening in which a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located on the floor is ope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and the magnetic sensor m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along a side contacting the guide rail. And including a sensor guide rail formed to be fixed, it is easy to install the lamp and the magnetic sensor, as well a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facilitate the position adjustment of the magnetic senso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출입문 안전조명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방격실은 상기 조명등과 마그네틱센서에 연결된 전선이나 케이블을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개방부와 인접하며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장방향으로 형성된 케이블수용부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조명등과 마그네틱센서에 연결된 전선이나 케이블이 프레임 내에서 용이하게 설치되고 단정하게 정돈되도록 하여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oor safety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compartment is adjacent to the opening and the adjacent opening so as to easily accommodate the wire or cable connected to the lamp and the magnetic sensor of the frame It further includes a cable receiving portion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wires or cables connected to the lamp and the magnetic sensor can be easily installed and tidy within the frame to facilitate maintenance and prevent safety accidents. It is characterized by.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achieve the following effects by the configuration, combination, and use relationship described above with the present embodiment.

본 발명은 출입문이 슬라이딩되는 안내레일 측면을 천공하지 않고도 마그네틱센서를 이용하여 출입문 개폐상태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어, 센서의 오염을 방지함은 물론 안내레일의 청소와 유지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accurately detect the opening and closing state of the door using a magnetic sensor without puncturing the side of the guide rail sliding the door, preventing contamination of the sensor, as well as efficient cleaning and maintenance of the guide rail. It has an effect.

본 발명은 복수의 마그네틱센서를 이용하여 출입문의 개폐가 시작되는 시점과 개폐가 진행되는 과정까지 정확하게 체크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can accurately check up to the time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and the process of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using a plurality of magnetic sensors.

본 발명은 출입문 개폐상태의 변화에 따라 조명등의 점멸상태 또는 음향을 제어함으로써 출입문 개폐상태를 사용자가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allowing the user to visually and acoustically accurately recognize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state by controlling the flashing state or sound of the lamp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state.

본 발명은 프레임내에 설치되는 조명등과 마그네틱센서의 설치가 용이함은 물론 프레임 내에서 마그네틱센서의 위치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it is easy to install the lamp and the magnetic sensor installed in the frame as well as to facilitate the position adjustment of the magnetic sensor in the frame.

본 발명은 조명등과 마그네틱센서에 연결된 전선이나 케이블이 프레임 내에서 용이하게 설치되고 단정하게 정돈되도록 하여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wires or cables connected to the lamp and the magnetic sensor can be easily installed and neatly arranged in the frame to facilitate maintenance and prevent safety accidents.

도 1은 종래 출입문 바닥에 설치된 안전조명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종래 안전조명장치의 단면을 도시한 참고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안전조명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참고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안전조명장치의 프레임 단면을 도시한 참고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안전조명장치에서 프레임에 마그네틱센서를 결합하는 과정을 도시한 참고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안전조명장치에 사용되는 조명등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참고도
도 7a 내지 7d는 출입문 개폐과정에 따라 제어부가 조명등의 점멸을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참고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afety lighting device installed on the bottom of a conventional door
2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conventional safety lighting device of FIG.
3 is a reference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door safety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a frame cross-section of the door safety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a process of coupling the magnetic sensor to the frame in the door safety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lamp used in the door safety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to 7D are reference diagrams illustrating a process of the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blinking of a lighting lamp according to a door opening and closing process;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출입문 안전조명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door safety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안전조명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참고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안전조명장치의 프레임 단면을 도시한 참고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안전조명장치에서 프레임에 마그네틱센서를 결합하는 과정을 도시한 참고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안전조명장치에 사용되는 조명등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참고도이고, 도 7a 내지 7d는 출입문 개폐과정에 따라 제어부가 조명등의 점멸을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Figure 3 is a reference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door safety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a frame cross-section of the door safety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reference view showing a process of coupling the magnetic sensor to the frame in the door safety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lamp used in the door safety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to 7D are reference diagrams illustrating a process of the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blinking of a lighting lamp according to a door opening and closing process.

도 3 내지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안전조명장치는 슬라이딩방식으로 개폐되는 출입문(50) 하단에 위치하며, 출입문(50) 하단이 슬라이딩되도록 안내하는 안내레일(110)을 포함하는 프레임(10)과; 출입문(50) 개폐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외부에 노출된 상기 프레임(10)의 상면에 위치하여 점멸되는 조명등(20)과; 상기 안내레일(110)의 측면에 위치하며, 출입문(50) 하단에 부착된 자석(60)의 접근을 감지하여 출입문 개폐상태정보를 체크하는 마그네틱센서(30)와; 상기 마그네틱센서(30)에서 전송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조명등(20)의 점멸을 제어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3 to 6, the door safety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door 50 to be opened and closed in a sliding manner, the guide rail 110 to guide the bottom of the door 50 to slide. A frame 10 comprising a; A lighting lamp 20 which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10 exposed to the outside so as to visually check the state of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50; A magnetic sensor (30)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guide rail (110) and checking the door open / close state information by detecting an approach of the magnet (60)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door (50); And a controller 40 for controlling the blinking of the lamp 20 based on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magnetic sensor 30.

상기 프레임(10)은 통상 바닥에 매설되는 것으로, 슬라이딩방식으로 개폐되는 출입문(50) 하단에 위치하며, 출입문(50) 하단이 슬라이딩되도록 안내하는 안내레일(11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조명등(20)이나 마그네틱센서(30)가 위치하게 된다. 도 4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에는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방식으로 개폐되는 출입문(50) 하단을 안내할 수 있도록 함입되어 형성된 안내레일(110)과, 상기 안내레일(110)에서 일측으로 돌출되어 후술할 조명등(20)과 마그네틱센서(30)가 내설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전방격실(120)이 형성될 수 있다. The frame 10 is usually buried in the floor,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door 50 to be opened and closed in a sliding manner, and comprises a guide rail 110 for guiding the bottom of the door 50 to slide, the present invention Illumination lamp 20 or magnetic sensor 30 to be used is located. As shown in Figure 4, the frame 10 is formed in the guide rail 110 is formed so as to guide the lower end of the door 50 to be opened and cl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one side in the guide rail 110 The front compartment 120 may be formed to protrude to provide a space to allow the lamp 20 and the magnetic sensor 30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안내레일(110)은 슬라이딩방식으로 개폐되는 출입문(50) 하단을 안내할 수 있도록 프레임(10) 길이방향으로 일정 깊이 함입되어 형성되는 구성으로, 개폐되는 출입문(50) 하단은 상기 안내레일(110) 상에 위치하여 슬라이딩됨으로써, 상기 안내레일(110)의 측면(111)에 후술할 마그네틱센서(30)를 위치시키게 되면 슬라이딩되어 좌우 이동하는 출입문(50)의 하단의 움직임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게 된다. The guide rail 110 is configured to be embedded in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10 so as to guide the lower end of the door 50 to be opened and closed in a sliding manner, the lower end of the door 50 to be opened and closed the guide rail ( By being positioned and sliding on the 110, when the magnetic sensor 30 to be described later is positioned on the side 111 of the guide rail 110, the movement of the lower end of the door 50 that is slid and moved left and right can be accurately detected. Will be.

상기 전방격실(120)은 상기 안내레일(110)에서 일측으로 돌출되어 후술할 조명등(20)과 마그네틱센서(30)가 내설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상기 전방격실(120)에 내설된 조명등(20)이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인지될 수 있기 위해서는 상기 전방격실(120)이 최소한 상기 안내레일(110)로부터 출입문(50)의 두께 이상의 길이만큼은 돌출되어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전방격실(120)의 상측면 즉, 상기 프레임(10)이 바닥에 매설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외부로 노출되는 전방격실(120)의 상측면에는 후술할 조명등(20)이 내설될 수 있도록 조명등수용공(130)이 형성되게 되며, 특히 바닥과 접하게 되는 하측면의 일부가 상기 프레임(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장방향으로 개방된 개방부(121)와, 상기 안내레일(110)과 접하는 전방격실(120)의 측면을 따라 상기 프레임(10)의 길이방향으로 후술할 마그네틱센서(30)가 이동 및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 센서안내레일(122)과, 후술할 조명등(20)이나 마그네틱센서(30)에 연결된 전선이나 케이블을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개방부(121)와 인접하며 상기 프레임(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장방향으로 형성되는 케이블수용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ront compartment 120 is configured to provide a space for protruding to one side from the guide rail 110 so that the illumination lamp 20 and the magnetic sensor 30 to be described later, in the front compartment 120 In order for the built-in lamp 20 to be visually recognized by the user, the front compartment 120 should be formed to protrude at least as long as the thickness of the door 50 from the guide rail 110.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compartment 120, that is, even when the frame 10 is buried on the floor, the upper side of the front compartment 120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illumination lamp 20 to be described later to be installed Ball 130 is formed, in particular a portion of the lower side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floor is ope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10 and the front in contact with the guide rail 110 A sensor guide rail 122 formed to move and fix the magnetic sensor 30 to be described lat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10 along a side surface of the compartment 120, and a lamp 20 or a magnetic sensor to be described later ( It may include a cable receiving portion 123 adjacent to the opening portion 121 and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10 so as to easily accommodate the wire or cable connected to the 30.

상기 개방부(121)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프레임(10)의 상기 전방격실(120)이 종래의 폐쇄적인 구조가 아닌 개방된 구조를 취하여 프레임(10) 내에 내설되는 조명등(20)이나 마그네틱센서(30)와 같은 구성의 설치 및 변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바닥과 접하게 되는 전방격실(120)의 하측면의 일부가 프레임(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장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개방부(121)를 통해 어느 위치에서건 후술할 조명등(20)이나 마그네틱센서(30)의 설치 및 변경을 자유로롭게 수행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조명시설이나 센서를 내설하기 위해 설치위치에 해당되는 지점의 프레임 일부를 천공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고 특히, 조명시설이나 센서의 위치 수정에 있어서도 자유롭게 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 The opening portion 121 is a light lamp 20 or a magnetic sensor which is installed in the frame 10 by taking an open structure in which the front compartment 120 of the frame 10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a conventional closed structure. The configuration to facilitate the installation and modification of the configuration, such as 30, is formed so that a portion of the lower side of the front compartment 120 to be in contact with the floor is ope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10. Done.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nstallation and modification of the lamp 20 or the magnetic sensor 30 to be described later at any position through the opening portion 121 can be freely performed, the lighting facility or the sensor as in the prior art. It can eliminate the hassle of having to perforate a part of the frame corresponding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in order to install the, and in particular, it has the advantage that can be freely performed even in the position of the lighting fixture or sensor correction.

상기 센서안내레일(122)은 상기 안내레일(110)과 접하는 전방격실(120)의 측면을 따라 상기 프레임(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후술할 마그네틱센서(30)가 용이하게 이동 및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도 4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레일(110)과 접하는 전방격실(120)의 측면을 따라 후술할 마그네틱센서(30)의 일측면을 삽입수용할 수 있는 형상으로 레일과 같이 프레임(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후술할 마그네틱센서(30)를 상기 프레임(10)의 전방격실(120)에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마그네틱센서(30)의 일측면을 상기 센서안내레일(122)에 삽입할 후 센서안내레일(122)을 따라 마그네틱센서(30)를 이동시켜 목적하는 위치에 고정시키는 것으로 설치 및 고정작업을 완료할 수 있게 된다. 역시 필요에 따라 마그네틱센서(30)의 위치를 변경하여야 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마그네틱센서(30)를 센서안내레일(122)을 따라 이동,고정시키게 되면 용이하게 위치변경작업도 완료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상기 센서안내레일(122)에는 센서안내레일(122)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 마그네틱센서(30)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별도의 안착홈과 같은 구성들이 다수 개 형성될 수 있다. The sensor guide rail 122 is formed along the side of the front compartment 120 in contact with the guide rail 1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10 so that the magnetic sensor 30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easily moved and fixed. In the configuration to be able to, as shown in Figure 4 and the like in the shape that can accommodate the one side of the magnetic sensor 30 to be described later along the side of the front compartment 120 in contact with the guide rail 110 and As show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10. Therefore, when the magnetic sensor 30 to be described later is to be installed in the front compartment 120 of the frame 10, first insert one side of the magnetic sensor 30 into the sensor guide rail 122, and then the sensor guide rail. By moving the magnetic sensor 30 along the 122 to be fixed to the desired position it is possible to complete the installation and fixing work. In addition, even if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magnetic sensor 30 as needed, if the magnetic sensor 30 is moved and fixed along the sensor guide rail 122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the position change operation can be easily completed. It becomes possible. For reference, the sensor guide rail 122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such as a separate seating groove that can be firmly fixed to the magnetic sensor 30 to be moved along the sensor guide rail 122.

상기 케이블수용부(123)는 후술할 조명등(20)이나 마그네틱센서(30)에 연결되는 전선이나 케이블을 상기 전방격실(120) 내에 정돈되어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개방부(121)와 인접하면서 상기 프레임(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장방향으로 형성되는 공간으로, 도 4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격실(120)에서 상기 안내레일(110)과 접하게 되는 측의 반대측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케이블수용부(123)와 상기 개방부(121) 사이에는 공간을 구획하는 수용막(1231)이 형성되어 케이블수용부(123)와 개방부(121)를 구획함은 물론 상기 케이블수용부(123) 내에 수용되는 전선이나 케이블이 개방부(121)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방어막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프레임(10) 상에 내설되는 조명등(20)이나 마그네틱센서(30)에 연결되는 케이블 등을 종래와 같이 프레임(10) 외부로 인출하여 설치하여야 한다거나, 프레임(10) 내부에 설치한다 하더라도 밀폐되는 공간에 삽입하여 위치하도록 하여 추후 교체 등의 작업이 번거롭게 되는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전선이나 케이블의 설치시에는 상기 개방부(121)를 통해 자유롭게 인입,연결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설치연결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조명등(20)이나 마그네틱센서(30)에 연결되는 케이블 등을 상기 케이블수용부(123)에 수용시켜 가지런히 정돈된 상태로 위치할 수 있게 함으로써 향후 교체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됩니다.
The cable accommodating part 123 is adjacent to the opening part 121 to easily accommodate the wires or cables connected to the lamp 20 or the magnetic sensor 30 to be described later in the front compartment 120. While it is a spac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10, it is preferably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ide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guide rail 110 in the front compartment 120 as shown in FIG. In addition, an accommodation film 1231 is formed between the cable accommodation part 123 and the opening part 121 to partition a space to partition the cable accommodation part 123 and the opening part 121 as well as the cable accommodation. The wire or cable accommodated in the part 123 serves as a shield so as not to escape to the opening part 121.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ing lamp 20 installed on the frame 10 or the cable connected to the magnetic sensor 30 should be drawn out and installed outside the frame 10 as in the prior art, or the inside of the frame 10. Even if it is installed in the airtight space, the insertion and connection work can be freely made through the opening part 121 when installing the wires or cables so as to solve the problems such as the troublesome work such as replacement later by inserting it in a sealed space. After completion of the installation connection can be carried out by replacing the lamp 20 or the cable connected to the magnetic sensor 30 in the cable accommodating unit 123 to be placed in a neat state in the future replacement When you do something, it's easy to do it.

상기 조명등(20)은 출입문(50) 개폐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외부에 노출된 상기 프레임(10)의 상면,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전방격실(120)의 상측면에 형성된 조명등수용공(130)에 위치하여 점멸되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LED조명등이 활용될 수 있다. 특히 LED로 형성되는 상기 조명등(2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가 열릴 때 발광하는 청색LED모듈(210)과, 도어가 닫히거나 정전 등의 비상상황에서 발광하는 적색LED모듈(220)을 포함하며, 상기 청색LED모듈(210)과 적색LED모듈(220)은 각각 일대일 대응되도록 인접되어 위치하고, 청색LED모듈(210)과 적색LED모듈(220)이 접합된 모듈유닛들이 프레임(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장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상기 조명등(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형성될 수 있다. The lamp 20 is a lamp receiving hole 130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10 exposed to the outside, more specifically the upper side of the front compartment 120 to visually check the opening and closing state of the door 50 Located in the blinking configuration, preferably LED lighting may be utilized. In particular, the lamp 20 formed of an LED includes a blue LED module 210 that emits light when the door is opened as shown in FIG. 6, and a red LED module 220 that emits light in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when the door is closed or a power failure. The blue LED module 210 and the red LED module 220 are adjacent to each other to correspond one-to-one, and the module units in which the blue LED module 210 and the red LED module 220 are bonded to the frame 10 are included. It may be formed in a row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amp 20 is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상기 청색LED모듈(210)과 적색LED모듈(220)은 각각 통상적인 구조의 LED모듈과 마찬가지로, 발광특성을 갖는 LED칩 상부에 청색 또는 적색형광체를 포함하는 에폭시 몰드층을 구비하고, LED칩과 에노드리드(anode lead), 캐소드리드(cathod lead)를 각각 연결한 후 그 주위를 무색 또는 착색된 투광성 수지로 몰딩하여 봉입하는 외장재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조명등(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된 상기 청색LED모듈(210)과 적색LED모듈(220)은 후술할 제어부(40)의 제어하에 개폐되는 출입문(50)의 상태에 따라 개방되는 방향으로 순차적인 점멸을 반복하거나, 계속 점등되어 있거나, 폐쇄되는 방향으로 순차적인 점멸을 반복하는 등의 다양한 형태의 점멸을 함으로써 사용자가 출입문의 개폐상태를 시각적으로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게 되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조명등(20) 이외에 사용자가 출입문(50) 개폐상태를 청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출입문(50)의 개폐상태에 따라 다른 종류의 음향을 발생시키는 음향발생수단을 추가로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The blue LED module 210 and the red LED module 220 are each provided with an epoxy mold layer including a blue or red phosphor on the LED chip having a light emitting characteristic, similar to the LED module of the conventional structure, and An anode lead and a cathode lea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surrounding material is molded and encapsulated with a colorless or colored light-transmitting resin. The blue LED module 210 and the red LED module 220 arranged in a lin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amp 20 are opened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door 50 that is opened and clos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40 to be described later. By repeating the sequential blinking in the direction of the direction, or the continual blinking in the direction of being turned on, or the sequential blinking in the closing direction, the user can visually easily recognize the opening and closing state of the door,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For reference, in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lamp 20 further includes a sound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a different type of sound in accordance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state of the door 50 so that the user can visually check the opening and closing state of the door 50.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improve convenience and safety of the user.

상기 마그네틱센서(30)는 상기 안내레일(110)의 측면,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안내레일(110)의 측면과 인접하는 상기 전방격실(120)의 센서안내레일(122)이 형성된 일측면에 위치하며, 출입문(50) 하단에 부착된 자석(60)의 접근을 감지하여 출입문 개폐상태정보를 체크하는 구성이다. 마그네틱센서란 때로는 리드센서나 오토센서 등으로 불리는 것으로, 자석의 자력선에 의해 동작하게 되는 센서를 통칭한다. 마그네틱센서는 일반적으로 밀봉된 유리관 내부에 백금, 금, 루테늄, 로듐 등의 접점 도금을 한 자성체 리드를 접점 간격을 유지하도록 한 다음 유리관 중에 질소와 수소 혼합가스와 같은 불활성 가스를 넣고 밀봉하는 방식으로 제작되는데, 마그네틱센서에 자석이 접근하게 되면 자석에서 발생하는 자력선이 자성체 리드를 자계의 방향에 따라 자화시키고 리드에 N극과 S극을 유기시켜 N극과 S극이 서로를 끌어당기는 힘이 센서 내의 접점을 서로 붙게 하여 이를 통해 전기가 흐르게 되어 전기신호를 전달하게 하는 방식으로 작동하게 됩니다. 이와 같은 상기 마그네틱센서(30)는 응답속도가 빠르고 신뢰성이 높음은 물론, 특히 종래의 광센서와 달리 자석(60)의 자력선에 반응하기 때문에 상기 마그네틱센서(30)의 감지를 위해 마그네틱센서(30)가 설치되는 프레임(10) 안내레일(110)의 측면을 일부 천공하지 않더라도 정확하게 출입문(50) 하단에 부착된 자석(60)의 움직임을 감지, 출입문(50)의 개폐상태정보를 체크하여 전송할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프레임(10) 상의 안내레일(110)의 측면 일부를 천공하지 않아도 됨에 따라, 기존에 발생하던 안내레일 측면의 천공된 부위로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지속적으로 유입되게 되어 기존의 광센서 등을 오염시켜 광센서의 성능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나, 안내레일 측면의 천공된 부위로 인해 프레임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 등을 제거한다거나 기존 광센서 등을 청소하는 작업이 어렵기 때문에 유지관리작업에 있어서도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 등을 모두 해결할 수 있게 된다. The magnetic sensor 30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side of the guide rail 110, more specifically, the sensor guide rail 122 of the front compartment 120 adjacent to the side of the guide rail 110 is formed. And, it is configured to check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state information by detecting the approach of the magnet 60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door 50. Magnetic sensors, sometimes called reed sensors or auto sensors, are commonly referred to as sensors that are operated by magnetic lines of magnetism. In general, magnetic sensors maintain contact spacing of magnetic lead coated with platinum, gold, ruthenium, rhodium, etc. in a sealed glass tube, and then inert gas such as nitrogen and hydrogen mixed gas is sealed in the glass tube. When the magnet approaches the magnetic sensor, the magnetic force line generated from the magnet magnetizes the magnetic lead along the direction of the magnetic field and induces the N pole and the S pole on the lead so that the N pole and the S pole attract each other. It works by attaching the contacts within each other so that electricity flows through them to transmit electrical signals. The magnetic sensor 30 has a high response speed and high reliability, and in particular, unlike the conventional optical sensor, the magnetic sensor 30 responds to the magnetic force line of the magnet 60 so as to detect the magnetic sensor 30. Even if the side of the frame 10, the guide rail 110 is installed is not punctured accurately detect the movement of the magnet 60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door 50, check the opening and closing state information of the door 50 to transmit You will have the advantage. Therefore, as it is not necessary to puncture a part of the side surface of the guide rail 110 on the frame 10 as described above, foreign matter such as dust is continuously introduced into the perforated portion of the side surface of the existing guide rail, which is generated conventionally. Maintenance work because it is difficult to remove the foreign substances, etc. which are introduced into the frame due to the problem of deteriorating the performance of the optical sensor by contaminating the sensor or the perforated area on the side of the guide rail, or cleaning the existing optical sensor. Even in the case of a lot of time and cost can be solved.

본 발명에서는 특히 상기 마그네틱센서(30)를 소정의 위치에 복수 개 설치(제1마그네틱센서(310)와 제2마그네틱센서(320))하여 출입문의 개폐가 시작되는 시점과 개폐가 진행되는 과정까지 정확하게 체크하여 이 정보를 이용, 후술할 제어부(40)가 상기 조명등(20)의 점멸을 다양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작동과정에 대한 설명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마그네틱센서(310)는 출입문(50)이 완전히 닫혀진 상태에서 출입문(50) 하단에 부착된 자석(60)으로부터 출입문(50)이 개방되는 방향으로 떨어져 위치하고, 상기 제2마그네틱센서(320)는 출입문(50)이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출입문(50) 하단에 부착된 자석(60)의 자력을 감지할 수 있는 곳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a plurality of magnetic sensors 30 ar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first magnetic sensor 310 and second magnetic sensor 320) to the point at which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is started and the process of opening and closing proceeds. By accurately checking and using this information, the controller 40 to be described later may control the flashing of the lamp 20 in various ways,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description of the operation process. In this case, the first magnetic sensor 310 is located away from the magnet 60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door 50 in a state in which the door 50 is completely clos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oor 50 is opened, and the second magnetic sensor 320 is preferably located where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60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door 50 in the state in which the door 50 is completely open.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마그네틱센서(30)에서 전송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조명등(20)의 점멸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특히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마그네틱센서(310)와 제2마그네틱센서(320)를 활용하여 감지한 상기 출입문(50) 개폐상태의 단계별 변화에 따라 상기 조명등(20)의 점멸상태를 다양하게 제어함으로써 출입문(50) 개폐상태를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40)는 연산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중앙처리장치와 같은 구성으로, 상기 조명등(20)이나 마그네틱센서(30) 등의 구성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상기 제어부(40)의 구체적인 제어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할 작동과정에 대한 설명에서 상술하도록 한다.
The control unit 40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blinking of the lamp 20 based on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magnetic sensor 30, in particular,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magnetic sensor 310 and the second magnetic sensor ( By controlling the blinking state of the lamp 20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step-by-step change of the door 50 opening and closing state detected by using 320, the user can visually and accurately recognize the door 50 opening and closing state. . Therefore, the control unit 40 is configured to be the same as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apable of performing the operation,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figuration of the lamp 20, the magnetic sensor 30, and the like. A detailed control process of the controller 40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description of the operation process to be described later.

이하에서는 도 7a 내지 7d를 참조하여, 출입문의 개폐과정에 따른 본 발명의 출입문 안전조명장치의 작동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ure 7a to 7d,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operation of the door safety ligh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process of the door.

먼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출입문(50)이 완전히 맞닿아 닫혀진 상태에서는 상기 조명등(20) 역시 소등상태를 유지하고 있는데, 이러한 상태에서 출입문(50)이 개방되게 되면(①방향) 슬라이딩되는 출입문(50)을 따라 출입문(50)의 하단에 부착된 자석(60) 역시 이동을 시작하게 되는데, 출입문(50)이 완전히 닫혀진 상태에서 출입문(50) 하단에 부착된 상기 자석(60)으로부터 출입문(50)이 개방되는 방향(①방향)으로 떨어져 위치하던 상기 제1마그네틱센서(310)가 가장 먼저 상기 자석(60)의 자력을 감지하여 그 신호를 상기 제어부(40)에 전송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40)는 이를 토대로 출입문(50)의 개방이 시작되는 시점을 인지하게 되고 출입문(50) 개방시작에 따른 상기 조명등(20)의 점등을 제어하는 제1점등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조명등(20)에 전송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점등제어신호는 구체적으로 조명등(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된 상기 청색LED모듈(210)이 출입문(50)이 개방되는 방향(①방향)으로 순차적인 점멸을 반복하도록 하여 이를 보는 사용자가 마치 상기 조명등(20)이 출입문(50)의 개방방향을 안내해주는 것처럼 인지하여 현재 출입문(50)이 개방되고 있는 상태임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First, as shown in FIG. 7A, when the two doors 50 are completely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closed, the lamp 20 is also turned off. In this state, when the door 50 is opened (① direction), The magnet 60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door 50 also starts to move along the door 50 to be moved, from the magnet 60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door 50 in the state in which the door 50 is completely closed. When the first magnetic sensor 310, which is loca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oor 50 is opened (① direction), first detects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60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controller 40, The control unit 40 recognizes a time point at which the opening of the door 50 starts based on this, and generates a first light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lighting of the lamp 20 according to the start of opening the door 50. Sent to 20 All. In this case, the first lighting control signal is specifically arranged so that the blue LED module 210 arranged in a lin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amp 20 repeats the sequential blinking in the direction (① direction) in which the door 50 is opened. The user sees this as if the lamp 20 guides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door 50 so that the user can intuitively recognize that the door 50 is currently being opened.

이후,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문(50)이 완전히 개방되어 상기 제2마그네틱센서(320)가 출입문(50) 하단에 부착된 자석(60)의 자력을 감지하여 그 신호를 상기 제어부(40)에 전송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40)는 이를 토대로 출입문(50)의 개방이 완료된 상태임을 인지하게 되고 출입문(50) 개방완료에 따른 상기 조명등(20)의 점등을 제어하는 제2점등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조명등(20)에 전송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점등제어신호는 구체적으로 조명등(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된 상기 적색LED모듈(220) 모두가 일제히 점등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를 보는 사용자가 현재 출입문(50)이 개방된 상태이고 곧 출입문(50)이 폐쇄되는 과정이 진행될 수 있는 상태임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Subsequently, as shown in FIG. 7B, the door 50 is completely opened so that the second magnetic sensor 320 detects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60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door 50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controller 40. When transmitting to the control unit 40, the control unit 40 recognizes that the opening of the door 50 is completed on the basis of this, and the second lighting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lighting of the lamp 20 according to the completion of the opening of the door 50 It generates and transmits to the lamp 20. In this case, the second lighting control signal specifically keeps all of the red LED modules 220 arranged in a lin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amp 20 to be kept in a lit state at the same time. This is an open state so that the door 50 can be intuitively recognized as a state in which the process of closing can proceed.

이후,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문(50)이 폐쇄되게 되면(②방향) 슬라이딩되는 출입문(50)을 따라 출입문(50)의 하단에 부착된 자석(60) 역시 이동을 시작하게 되는데, 출입문(50)이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출입문(50) 하단에 부착된 상기 자석(60)의 자력을 감지하던 상기 제2마그네틱센서(320)가 가장 먼저 자력의 이탈을 감지하여 그 신호를 상기 제어부(40)에 전송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40)는 이를 토대로 출입문(50)의 폐쇄가 시작되는 시점을 인지하게 되고 출입문(50) 폐쇄시작에 따른 상기 조명등(20)의 점등을 제어하는 제3점등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조명등(20)에 전송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3점등제어신호는 구체적으로 조명등(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된 상기 적색LED모듈(220)이 출입문(50)이 폐쇄되는 방향(②방향)으로 순차적인 점멸을 반복하도록 하여 이를 보는 사용자가 마치 상기 조명등(20)이 출입문(50)의 폐쇄방향을 안내해주는 것처럼 인지하여 현재 출입문(50)이 폐쇄되고 있는 상태임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Subsequently, when the door 50 is closed as shown in FIG. 7C (② direction), the magnet 60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door 50 also starts to move along the door 50 that is slid. The second magnetic sensor 320 that detects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60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door 50 in the state that the 50 is fully opened first detects the deviation of the magnetic force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controller ( 40, the controller 40 recognizes a time point at which the closing of the door 50 starts and controls the lighting of the lamp 20 according to the closing start of the door 50.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lamp 20. In this case, the third lighting control signal is specifically arranged so that the red LED modules 220 arranged in a lin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amp 20 repeat the sequential blinking in the direction (② direction) in which the door 50 is closed. The user sees this as if the lamp 20 guides the closing direction of the door 50 so as to intuitively recognize that the door 50 is currently closed.

이후,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문(50)이 완전히 폐쇄되어 상기 제1마그네틱센서(310)가 출입문(50) 하단에 부착된 자석(60)의 자력의 이동을 감지하여 그 신호를 상기 제어부(40)에 전송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40)는 이를 토대로 출입문(50)의 폐쇄가 완료된 상태임을 인지하게 되고 출입문(50) 폐쇄완료에 따른 상기 조명등(20)의 소등을 제어하는 소등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조명등(20)에 전송하게 된다. 이때 상기 소등제어신호는 구체적으로 조명등(20)에 설치된 상기 청색LED모듈(210) 및 적색LED모듈(220) 모두가 일제히 소등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를 보는 사용자가 현재 출입문(50)이 완전히 폐쇄된 상태로 출입할 수 없음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Subsequently, as shown in FIG. 7D, the door 50 is completely closed so that the first magnetic sensor 310 detects the movement of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60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door 50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controller. When the transmission to the 40, the control unit 40 recognizes that the closing of the door 50 is completed on the basis of this, the lights out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light off of the lamp 20 according to the completion of the door 50 closing It generates and transmits to the lamp 20. At this time, the extinguishing control signal specifically turns off all of the blue LED module 210 and the red LED module 220 installed in the lamp 20 at the same time. Intuitively recognize that you can not enter.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어부(40)가 복수의 마그네틱센서를 이용하여 출입문의 개폐가 시작되는 시점과 개폐가 진행되는 과정까지 정확하게 체크한 후, 이를 이용하여 출입문 개폐상태의 변화에 따라 조명등의 점멸상태를 다양하게 제어함으로써 출입문 개폐상태를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의 편의성 증대 및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40 accurately checks the time point at which the door is opened and closed by using a plurality of magnetic sensors and the process of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By variously controlling the state, the user can visually and accurately recognize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state to increase convenience of use and prevent safety accidents.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In the above, the Applicant has described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se embodiments are merely one embodiment for implemen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y changes or modifications may be made as long as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within the scope.

10: 프레임 110: 안내레일 111: 측면
120: 전방격실 121: 개방부 122: 센서안내레일
123: 케이블수용부 1231: 수용막 130: 조명등수용공
20: 조명등 210: 청색LED모듈 220: 적색LED모듈
30: 마그네틱센서 310: 제1마그네틱센서 320: 제2마그네틱센서
40: 제어부 50: 출입문 60: 자석
*종래 기술에 관련된 부호
a: 출입문 b: 바닥프레임 c: 광센서 d: 안내레일 e: 조명시설
f1, f2: 천공된 부위
10: frame 110: guide rail 111: side
120: front compartment 121: opening 122: sensor guide rail
123: cable receiving portion 1231: accommodating membrane 130: lamp light receiving work
20: lighting 210: blue LED module 220: red LED module
30: magnetic sensor 310: first magnetic sensor 320: second magnetic sensor
40: control unit 50: door 60: magnet
* Code related to the prior art
a: door b: floor frame c: light sensor d: guide rail e: lighting system
f1, f2: perforated area

Claims (5)

슬라이딩방식으로 개폐되는 출입문 하단에 위치하며, 출입문 하단이 슬라이딩되도록 안내하는 안내레일을 포함하는 프레임과;
출입문 개폐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외부에 노출된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위치하여 점멸되는 조명등과;
상기 안내레일의 측면에 위치하며, 출입문 하단에 부착된 자석의 접근을 감지하여 출입문 개폐상태정보를 체크하는 마그네틱센서와;
상기 마그네틱센서에서 전송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조명등의 점멸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안내레일 측면을 천공하지 않고도 마그네틱센서를 이용하여 출입문 개폐상태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어, 센서의 오염을 방지함은 물론 안내레일의 청소와 유지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 안전조명장치.
A frame including a guide rail positioned at a bottom of the door to be opened and closed by a sliding method and guiding the bottom of the door to slide;
A lighting lamp which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exposed to the outside so as to visually check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state;
A magnetic sensor positioned at a side of the guide rail and detecting door access state information by detecting an approach of a magnet attached to a lower end of the door;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blinking of the lamp based on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magnetic sensor.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detect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state using a magnetic sensor without puncturing the side of the guide rail, to prevent contamination of the sensor as well as to efficiently perform the cleaning and maintenance of the guide rail Door safety lighting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틱센서는
출입문이 완전히 닫혀진 상태에서 출입문 하단에 부착된 자석으로부터 출입문이 개방되는 방향으로 떨어져 위치하는 제1마그네틱센서와, 출입문이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출입문 하단에 부착된 자석의 자력을 감지할 수 있는 곳에 위치하는 제2마그네틱센서로 이루어져,
상기 제1, 2마그네틱센서를 이용하여 출입문의 개폐가 시작되는 시점과 개폐가 진행되는 과정까지 정확하게 체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 안전조명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agnetic sensor
The first magnetic sensor is located away from the magnet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door when the door is completely closed, and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door when the door is fully open. Consisting of a second magnetic sensor,
Door safety ligh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by using the first, the second magnetic sensor can accurately check up to the time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proceed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명등이 소등된 상태에서 상기 제1마그네틱센서가 출입문 하단에 부착된 자석의 자력을 감지하게 되면 출입문 개방시작에 따른 조명등의 점등을 제어하는 제1점등제어신호와, 상기 제1마그네틱센서의 감지 이후 상기 제2마그네틱센서가 출입문 하단에 부착된 자석의 자력을 감지하게 되면 출입문 개방완료에 따른 조명등의 점등을 제어하는 제2점등제어신호와, 상기 조명등이 점등된 상태에서 상기 제2마그네틱센서가 자석의 자력을 감지하지 않게 되면 출입문 폐쇄시작에 따른 조명등의 점등을 제어하는 제3점등제어신호와, 이후 상기 제1마그네틱센서가 출입문 하단에 부착된 자석의 자력을 감지하게 되면 출입문 폐쇄완료에 따른 조명등 소등을 제어하는 소등제어신호를 각각 생성하여 상기 조명등의 점멸을 제어함으로써,
출입문 개폐상태를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 안전조명장치.
3. The apparatus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 unit
When the first magnetic sensor detects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door in the state that the lamp is turned off, the first lighting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lighting of the lamp according to the start of opening the door, and the detection of the first magnetic sensor Then, when the second magnetic sensor detects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door, a second lighting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lighting of the lamp according to the completion of the door opening, and the second magnetic sensor in the state that the lamp is turned on When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is not detected, the third lighting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lighting of the lamp according to the start of closing the door, and when the first magnetic sensor detects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door, By generating an extinction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extinction of the illuminating lamp and controlling the blinking of the illuminating lamp,
Door safety ligh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can visually and accurately recognize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stat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안내레일에서 일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조명등과 마그네틱센서가 내설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전방격실을 형성하며,
상기 전방격실은 바닥에 위치하는 하측면의 일부가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장방향으로 개방된 개방부와, 상기 안내레일과 접하는 측면을 따라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마그네틱센서가 이동 및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 센서안내레일을 포함하여,
상기 조명등과 마그네틱센서의 설치가 용이함은 물론, 상기 마그네틱센서의 위치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 안전조명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rame is
Protruding to one side from the guide rail to form a front compartment that provides a space for the lamp and the magnetic sensor to be built in,
The front compartment has an opening in which a part of the lower side located on the floor is ope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and the magnetic sensor is moved and fix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along the side contacting the guide rail. Including a sensor guide rail formed to be,
The door safety ligh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tallation of the lamp and the magnetic sensor is easy, as well as to facilitate the position adjustment of the magnetic senso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격실은 상기 조명등과 마그네틱센서에 연결된 전선이나 케이블을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개방부와 인접하며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장방향으로 형성된 케이블수용부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조명등과 마그네틱센서에 연결된 전선이나 케이블이 프레임 내에서 용이하게 설치되고 단정하게 정돈되도록 하여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 안전조명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ront compartment further includes a cable receiving portion adjacent to the opening and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to easily accommodate the wire or cable connected to the lamp and the magnetic sensor, the lamp and the magnetic Door safety ligh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wire or cable connected to the sensor can be easily installed and tidy within the frame to facilitate maintenance and prevent safety accidents.
KR1020100098795A 2010-10-11 2010-10-11 A Safety Lighting Device of an Entrance KR1011470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8795A KR101147070B1 (en) 2010-10-11 2010-10-11 A Safety Lighting Device of an Entr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8795A KR101147070B1 (en) 2010-10-11 2010-10-11 A Safety Lighting Device of an Entran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7185A true KR20120037185A (en) 2012-04-19
KR101147070B1 KR101147070B1 (en) 2012-05-17

Family

ID=46138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8795A KR101147070B1 (en) 2010-10-11 2010-10-11 A Safety Lighting Device of an Entran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707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09557A1 (en) * 2017-06-01 2018-12-05 JC Disseny Ingenieria i Aplicacions S.L. Sealing strip for vehicle doors
KR102525742B1 (en) * 2022-09-16 2023-04-26 (주)동우자동도어 Sliding emergency door open/close detection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97578A (en) * 2017-06-28 2017-09-22 苏州见真物联科技有限公司 A kind of wireless controlled lamp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2421Y1 (en) * 2003-05-16 2003-08-09 주식회사 아이레보 Device for Sensing Opening and Shutting of Door Key Cover by Using Magnetic Sensor
JP4095951B2 (en) * 2003-11-18 2008-06-04 東急車輛製造株式会社 Railway vehicle
JP2008230839A (en) * 2007-03-23 2008-10-02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Elevator doorway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09557A1 (en) * 2017-06-01 2018-12-05 JC Disseny Ingenieria i Aplicacions S.L. Sealing strip for vehicle doors
KR102525742B1 (en) * 2022-09-16 2023-04-26 (주)동우자동도어 Sliding emergency door open/close detection system
KR102582252B1 (en) * 2022-09-16 2023-09-25 (주)동우자동도어 A method for detect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liding emergency door that can detect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liding emergency do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7070B1 (en) 2012-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02995B2 (en) Moving system using LED tube, moving method, and LED tube
KR102092616B1 (en) Lamp apparatus for swichgear
WO2007138688A1 (en) Slide door device and elevator
KR101147070B1 (en) A Safety Lighting Device of an Entrance
KR20120088371A (en) Lighting apparatus for evacuation guidance
AU2013339656B2 (en) Electronic wire bridge with safety circuit
CN106285222A (en) The lock of safe opening and closing
JP2009542548A (en) POSITION DETECTION DEVICE, ELEVATOR POSITION DETECTION DEVICE, AND ELEVATOR DEVICE
JP2008158830A (en) Lighting control system
JP5289463B2 (en) Sliding door device and elevator
CN105417329B (en) Lift appliance
JP2013185360A (en) Door set with lighting
CN203474143U (en) Landing indicator light device
KR101901411B1 (en) Door Assembly
CN110475738B (en) Power failure lamp device of elevator
KR100884563B1 (en) Lamp unit in a distributing board and control method
JP2015016942A (en) Display adjusting device of elevator
JP2010106601A (en) Door system with step illuminating light
CN107208839B (en) System for mobile electric device
KR20160004745A (en) Guide apparatus of emergency exit route
JP6452979B2 (en) Shutter device
JP6690843B1 (en) Elevator system
JP7198594B2 (en) Equipment operation monitoring device
JPH09315740A (en) Elevator door safety device
JP2008066958A (en) Electrical apparatus with remote control function, and emergency lighting apparatus with remote control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