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7076A - 차량용 블랙박스 - Google Patents

차량용 블랙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7076A
KR20120037076A KR1020100098617A KR20100098617A KR20120037076A KR 20120037076 A KR20120037076 A KR 20120037076A KR 1020100098617 A KR1020100098617 A KR 1020100098617A KR 20100098617 A KR20100098617 A KR 20100098617A KR 20120037076 A KR20120037076 A KR 201200370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data
accident
black box
vehicle
authentication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8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0723B1 (ko
Inventor
추현승
장석호
김미희
최문식
안민준
손지한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98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0723B1/ko
Publication of KR20120037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70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0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07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07C5/085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 G07C5/0866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the electronic data carrier being a digital video recorder in combination with video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1/00Fittings for identifying vehicles in case of collision; Fittings for marking or recording collision area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9/00Recording measured values
    • G01D9/005Solid-state data logg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06F21/106Enforcing content protection by specific content processing
    • G06F21/1063Personal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02Providing cryptographic facilities or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4Protecting data integrity, e.g. using checksums, certificates or signatur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08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communicating information to a remotely located st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47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digital sign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eth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chnology Law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차량용 블랙박스가 제공된다.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는, 차량의 주행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주행 데이터에 인증 코드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행 데이터는, 사고 발생 전후의 일정 시간의 주행 데이터를 포함하는 사고 주행 데이터와, 상기 사고 주행 데이터에 대한 상기 인증 코드를 제공하는 인증 코드 주행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는 인증 센터 서버와 무선 통신을 제공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인증 센터 서버는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의 사용자의 인증 요청이 있는 경우에 상기 인증 코드를 확인하고 상기 사고 주행 데이터와 상기 인증 코드 주행 데이터를 대조하여 상기 사고 주행 데이터의 위조 및 변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블랙박스{BLACK BOX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블랙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행 정보의 기밀성 및 무결성을 보장할 수 있는 차량용 블랙박스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보급이 증가하고 교통이 복잡해짐에 따라 교통 사고 발생수도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교통 사고 발생시 사고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증거를 확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로 인식되어 왔고, 이를 위해 차량용 블랙박스가 보급되고 있다. 또, 개인의 프라이버시 보호나 데이터의 안전성 및 신뢰성을 제공하기 위해 데이터에 대한 암호화 과정을 거쳐 데이터를 저장함으로써 사고 발생 당시 상황을 객관적으로 재연하기 위한 차량용 블랙박스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암호화하여 저장된 데이터라 하더라도 위조되거나 변조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주행 정보의 무결성을 보장할 수 있는 차량용 블랙박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는, 차량의 주행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주행 데이터에 인증 코드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행 데이터는, 사고 발생 전후의 일정 시간의 주행 데이터를 포함하는 사고 주행 데이터와, 상기 사고 주행 데이터에 대한 상기 인증 코드를 제공하는 인증 코드 주행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는 인증 센터 서버와 무선 통신을 제공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의 사용자의 인증 요청이 있는 경우에 상기 인증 센터 서버에 상기 사고 주행 데이터와 상기 인증 코드 주행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인증 센터 서버는 상기 인증 요청이 있는 경우에 상기 인증 코드를 확인하고 상기 사고 주행 데이터와 상기 인증 코드 주행 데이터를 대조하여 상기 사고 주행 데이터의 위조 및 변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사고 주행 데이터와 상기 인증 코드 주행 데이터는 기밀성을 제공하기 위해 암호화할 수 있다.
상기 인증 코드는 워터 마킹, CRC(Cyclic Redundancy Check), 해쉬 코드(Hash Code), 전자 서명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의 하드웨어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일 수 있고,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의 소프트웨어는 공개형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PC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고 주행 데이터에 인증 코드가 제공됨으로써 사고 주행 데이터의 위조 및 변조 여부를 판단할 수 있어 사고 주행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장할 수 있고, 기밀성을 제공할 수 있다.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PC와 같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 사용자들은 차량용 블랙박스를 위한 공개형 애플리케이션을 무료로 제공받아 자신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차량용 블랙박스로 사용할 수 있어 차량용 블랙박스를 설치하기 위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이동이 자유로워 자동차뿐만 아니라 오토바이, 자전거 등에도 블랙박스로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고 주행 데이터의 인증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실시예들을 통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용 블랙박스(100)는 저장부(110), 제어부(120), 및 통신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용 블랙박스(100)는 촬영부(200) 및 인증 센터(300)와 통신하며, 차량의 주행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송신한다. 촬영부(200)는 카메라(210)와 충격 감지부(220)를 포함할 수 있고, 인증 센터(300)는 인증 센터 서버(31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10)는 주행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주행 데이터는 주행 영상 데이터와 주행 기록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주행 영상 데이터는 차량이 주행되는 동안 촬영부(200)에 의해 촬영되어 전송된 영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고, 주행 기록 데이터는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데이터로서 예를 들어, 사고가 발생했을 때 사고의 발생 시간과 발생 위치, GPS 정보, 사용자 정보, 및 차량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 주행 데이터는 사고 주행 데이터와 인증 코드 주행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사고 주행 데이터는 주행 데이터 중에서 사고 전후 일정 시간의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나타낼 수 있고, 인증 코드 주행 데이터는 사고 주행 데이터가 복사되어 압축된 데이터로서 사고 주행 데이터의 위조 및 변조 여부를 검증할 수 있는 데이터를 나타낼 수 있다. 사고 주행 데이터는 사고 주행 영상 데이터와 사고 주행 기록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사고 주행 영상 데이터는 사고 전후 일정 시간 동안의 주행 영상 데이터를 나타낼 수 있고, 사고 주행 기록 데이터는 사고와 관련된 데이터로서, 사고의 발생 시간과 발생 위치, GPS 정보, 사용자 정보, 및 차량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차량용 블랙박스(10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충격 감지부(220)에 의해 차량에 충격이 감지된 경우, 즉 사고가 발생한 경우, 사고 주행 데이터를 저장부(110)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사고 발생시 사고 전후 일정 시간 동안의 주행 데이터를 사고 주행 데이터로 저장부(110)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사고 주행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저장부(11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암호화 기술은 워터 마킹, 대칭키를 이용한 암호화 기술, 및 인증기관의 공개키를 이용한 암호화 기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고 주행 데이터는 암호화되어 저장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임의로 접근하거나, 변환하는 것이 제한된다.
제어부(120)는 사고 주행 데이터를 복사한 후 압축한 데이터로서 인증 코드를 제공할 수 있고, 상기 인증 코드가 제공된 데이터를 인증 코드 주행 데이터로 저장부(11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인증 코드는 워터 마킹, CRC, 해쉬 코드, 전자 서명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전술한 암호화 기술을 이용해 상기 인증 코드를 암호화하여 저장부(110)에 저장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차량용 블랙박스(100)와 촬영부(100) 및 인증 센터(300) 간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통신부(130)는 예를 들어, 차량 내에 설치된 유선에 의해 촬영부(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 통신부(130)는 예를 들어, 3G 또는 와이파이를 이용하여 차량용 블랙박스(100)와 인증 센터(300) 간 무선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차량용 블랙박스(100)는 통신부(130)를 통하여 촬영부(100)로부터 주행 데이터, 특히 주행 영상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고, 인증 센터(300)에 사고 주행 데이터와 인증 코드 주행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 차량용 블랙박스(100)는 통신부(130)를 통하여 인증 센터 서버(310)로부터 인증된 사고 주행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다.
촬영부(200)는 카메라(210)와 충격 감지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210)는 차량에 설치되어 차량의 전방 및/또는 후방을 촬영할 수 있고, 충격 감지부(220)는 차량에 충격이 발생했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인증 센터(300)는 인증 센터 서버(310)를 포함할 수 있다. 인증 센터 서버(310)는 차량용 블랙박스(100)와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다. 사용자의 인증 요청시 인증 센터 서버(310)는 차량용 블랙박스(100)로부터 사고 주행 데이터와 인증 코드 주행 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할 수 있다. 또, 인증 센터 서버(310)는 인증 코드를 확인하고, 암호화된 사고 주행 영상 데이터를 복호화한 후 인증 코드 주행 데이터와 대조함으로써 사고 주행 데이터의 위조 및 변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인증 코드는 워터 마킹, CRC, 해쉬 코드, 전자 서명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인증 센터 서버(310)에 의해서만 확인되어 인증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고 주행 데이터의 무결성이 보장될 수 있다. 인증 센터 서버(310)는 인증된 사고 주행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차량용 블랙박스(10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인증된 사고 주행 데이터는, 예를 들어 사고 발생 시간, 위치에 대한 GPS 정보, 사고 영상 파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량용 블랙박스(100)는 저장부(110), 제어부(120), 통신부(130) 및 촬영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촬영부가 차량용 블랙박스에 포함되지 않는 별도의 구성이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촬영부(140)가 차량용 블랙박스(100)에 포함된다. 촬영부(140)는 차량의 전방 및/또는 후방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와, 차량의 충격을 감지할 수 있는 충격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는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PC 등 무선 통신 디바이스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용 블랙박스 하드웨어는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PC 등 무선 통신 디바이스일 수 있고, 차량용 블랙박스 소프트웨어는 공개형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상기 인증 센터는 차량용 블랙박스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사업자일 수 있고, 상기 인증 센터 서버는 사업자 서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 사용자는 차량용 블랙박스를 위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무료로 제공받아 자신의 스마트폰을 차량용 블랙박스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에 블랙박스를 설치하기 위한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스마트폰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한 후 차량 내 소정 위치에 스마트폰을 배치할 수 있고, 스마트폰에 내장된 카메라는 전술한 실시예들의 촬영부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스마트폰은 이동이 자유롭기 때문에 자동차뿐만 아니라, 오토바이, 자전거 등에도 블랙박스로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스마트폰은 차량에 설치된 카메라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 내장 카메라는 차량의 전방을 촬영하고, 차량에 설치된 카메라는 차량의 후방을 촬영하거나 그 반대로 촬영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스마트폰은 차량용 블랙박스로서 기능을 더욱 충실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고 주행 데이터의 인증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차량 주행이 시작되고(S10), 차량에 설치된 카메라(210)가 차량 전방 및 후방을 촬영한다. 차량 주행 중 사고가 발생하면 충격 감지기(220)에 의해 차량에 인가된 충격이 감지된다(S20).
사고 발생에 의한 충격이 감지되면, 제어부(120)는 사고 주행 데이터와 인증 코드 주행 데이터를 저장부(110)에 저장한다(S30). 제어부(120)는 상기 사고 주행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암호화 기술은 워터 마킹, 대칭키를 이용한 암호화 기술, 및 인증기관의 공개키를 이용한 암호화 기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고 주행 데이터는 암호화되어 저장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임의로 접근하여 변환할 수 없다. 제어부(120)는 상기 사고 주행 데이터를 복사하여 압축한 데이터로서 인증 코드를 제공할 수 있고, 상기 인증 코드가 제공된 데이터를 인증 코드 주행 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인증 코드는 워터 마킹, CRC, 해쉬 코드, 전자 서명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인증 센터 서버(310)에 사고 주행 데이터의 인증을 요청한다(S40). 사용자는 사고 발생 직후에 인증을 요청할 수도 있고, 일정 시간 경과 후에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인증을 요청할 수 있는 시간적 제한을 받지 않고, 사용자가 필요하다고 생각될 때 인증 센터 서버(310)에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는 통신부(130)를 이용하여 인증 센터 서버(310)에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의 인증 요청이 있는 경우, 인증 센터 서버(310)는 통신부(130)를 통하여 차량용 블랙박스(100)로부터 사고 주행 데이터와 인증 코드 주행 데이터를 전송받는다(S50). 인증 센터 서버(310)는 전송받은 사고 주행 데이터와 인증 코드 주행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 인증 센터 서버(310)는 인증 코드를 확인하고, 암호화된 사고 주행 영상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인증 코드 생성 후, 인증 코드 주행 데이터와 대조함으로써 사고 주행 데이터의 위조 및 변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60). 상기 인증 코드는 인증 센터 서버(310)에 의해서만 확인되어 인증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고 주행 데이터의 무결성이 보장될 수 있다. 인증 센터 서버(310)는 인증된 사고 주행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인증 센터 서버(310)는 인증된 사고 주행 데이터를 인증을 요청한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70). 인증된 사고 주행 데이터는 예를 들어, 통신부(130)를 통하여 차량용 블랙박스(100)로 전송될 수 있고, USB 등의 저장 매체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인증된 사고 주행 데이터는, 예를 들어 사고 발생 시간, 위치에 대한 GPS 정보, 사고 영상 파일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공받은 인증된 사고 주행 데이터를 사고 등의 증거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차량용 블랙박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제공받은 스마트폰 사용자는 스마트폰을 차량용 블랙박스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마트폰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인증 절차가 간편해질 수 있고, 차량용 블랙박스 설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차량용 블랙박스 110 : 저장부
120 : 제어부 130 : 통신부
140, 200 : 촬영부 210 : 카메라
220 : 충격 감지부 300 : 인증 센터
310 : 인증 센터 서버

Claims (8)

  1. 차량의 주행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주행 데이터에 인증 코드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데이터는,
    사고 발생 전후의 일정 시간의 주행 데이터를 포함하는 사고 주행 데이터와,
    상기 사고 주행 데이터에 대한 상기 인증 코드를 제공하는 인증 코드 주행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인증 센터 서버와 무선 통신을 제공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의 사용자의 인증 요청이 있는 경우에 상기 인증 센터 서버에 상기 사고 주행 데이터와 상기 인증 코드 주행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센터 서버는 상기 인증 요청이 있는 경우에 상기 인증 코드를 확인하고 상기 사고 주행 데이터와 상기 인증 코드 주행 데이터를 대조하여 상기 사고 주행 데이터의 위조 및 변조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고 주행 데이터와 상기 인증 코드 주행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코드는 워터 마킹, CRC, 해쉬 코드, 전자 서명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의 하드웨어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이고,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의 소프트웨어는 공개형 애플리케이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P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KR1020100098617A 2010-10-11 2010-10-11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 KR1012107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8617A KR101210723B1 (ko) 2010-10-11 2010-10-11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8617A KR101210723B1 (ko) 2010-10-11 2010-10-11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7076A true KR20120037076A (ko) 2012-04-19
KR101210723B1 KR101210723B1 (ko) 2012-12-10

Family

ID=46138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8617A KR101210723B1 (ko) 2010-10-11 2010-10-11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072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2334A (ko) * 2012-10-24 2014-05-07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데이터 무결성을 보장하는 블랙박스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468407B1 (ko) * 2013-05-24 2014-12-03 주식회사 보라시스템즈 디지털 포렌식 촬영장치 및 그를 이용한 개인영상정보 오남용 방지를 위한 차량장착용 디지털 포렌식 촬영 시스템
WO2017011033A1 (en) * 2015-07-14 2017-01-19 Taser Internation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n audit trail for auditable devices
US10077022B2 (en) 2016-02-26 2018-09-18 Korea University Research And Business Foundation Device for integrity verification of image data and method for integrity verification using the same
US10192277B2 (en) 2015-07-14 2019-01-29 Axon Enterpris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n audit trail for auditable devic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8685A (ko) 2015-04-29 2016-11-08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차 사고 정보 제공 방법
KR101737520B1 (ko) 2015-04-30 2017-05-18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기기간 인터랙션 기반의 차량 사고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차량 사고 정보 수집 방법 및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2334A (ko) * 2012-10-24 2014-05-07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데이터 무결성을 보장하는 블랙박스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468407B1 (ko) * 2013-05-24 2014-12-03 주식회사 보라시스템즈 디지털 포렌식 촬영장치 및 그를 이용한 개인영상정보 오남용 방지를 위한 차량장착용 디지털 포렌식 촬영 시스템
WO2017011033A1 (en) * 2015-07-14 2017-01-19 Taser Internation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n audit trail for auditable devices
US10192277B2 (en) 2015-07-14 2019-01-29 Axon Enterpris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n audit trail for auditable devices
US10848717B2 (en) 2015-07-14 2020-11-24 Axon Enterpris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n audit trail for auditable devices
US10077022B2 (en) 2016-02-26 2018-09-18 Korea University Research And Business Foundation Device for integrity verification of image data and method for integrity verification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0723B1 (ko) 2012-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0723B1 (ko)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
US10229547B2 (en) In-vehicle gateway device, storage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8677132B1 (en) Document security
US11962694B2 (en) Key pair generation based on environmental factors
KR101302562B1 (ko) 블랙박스 데이터의 위변조 방지 장치 및 방법
CN107395359B (zh) 一种电子数据固证方法、终端及系统
KR20150128328A (ko) 증거 수집 도구 제공 방법, 도메인 분리 기반 모바일 기기에서 증거 자료 확보 장치 및 방법
JP5861597B2 (ja) 認証システムおよび認証方法
KR101496318B1 (ko) 원격 디지털 포렌식 환경에서 보안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20120074892A (ko) 차량용 블랙박스 및 이의 접근 인증 방법
KR101665199B1 (ko)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 위ㆍ변조 탐지 시스템 및 방법
EP3376426B1 (en) Information management terminal device
JP6721248B2 (ja) 情報管理端末装置
KR101234347B1 (ko) 워터마킹 기술에 기초한 보안이 강화된 차량용 블랙박스 서비스 제공 방법
JP2016184917A (ja) 監視システムおよび再生装置
KR101897987B1 (ko) 전자파일의 전자지문 관리방법, 관리장치 및 관리시스템
KR101512021B1 (ko) 가역 정보 은닉을 이용한 차량용 블랙박스 영상의 무결성 검증 방법 및 그 장치
CN116011042A (zh) 数据存储方法、装置、系统、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02474498B (zh) 用户识别设备认证方法
CN106650492A (zh) 一种基于安全目录的多设备文件保护方法和装置
KR101294866B1 (ko) 개발환경 관리 시스템 및 이의 개발환경 관리 방법
KR101468407B1 (ko) 디지털 포렌식 촬영장치 및 그를 이용한 개인영상정보 오남용 방지를 위한 차량장착용 디지털 포렌식 촬영 시스템
KR20130006791A (ko) 블랙박스 정보 공유 시스템 및 방법
KR101990959B1 (ko) 데이터 무결성을 보장하는 블랙박스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20160072979A1 (en) Method of securely transmitting an image from an electronic identity document to a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