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6543A - Towing hook cap - Google Patents

Towing hook ca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6543A
KR20120036543A KR1020100098286A KR20100098286A KR20120036543A KR 20120036543 A KR20120036543 A KR 20120036543A KR 1020100098286 A KR1020100098286 A KR 1020100098286A KR 20100098286 A KR20100098286 A KR 20100098286A KR 20120036543 A KR20120036543 A KR 201200365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wing hook
cap
hook cap
bumpe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82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64484B1 (en
Inventor
전대진
김종호
고태환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00098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4484B1/en
Publication of KR20120036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654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4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448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58Auxiliary devices
    • B60D1/60Covers, caps or guards, e.g. comprising anti-theft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48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 B60D1/56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securing to the vehicle bum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48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 B60D1/52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removably 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8Air inlets for cooling; Shutters or blind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PURPOSE: A towing hook cap is provided to facilitate attachment and detachment to a bumper grill and prevent the lost of the hook cap by fixing the hook cap inside of the bumper grill. CONSTITUTION: A towing hook cap(100) comprises a cap body, a pin-shaped handle part, a coupling part, and an anchor part. The handle part is projected to the front side of the cap body and unified with the blade of the bumper grill. The coupling part is coupled with the bumper grill of a vehicle and formed to facilitate attachment and detachment to the handle part. The anchor part is included in the rear side of the cap body and coupled to the inner part of the bumper grill. And the anchor part prevents the towing hook cap from separating.

Description

토잉 후크 캡{TOWING HOOK CAP}Towing hook cap {TOWING HOOK CAP}

본 발명은 차량의 범퍼에 내장되는 토잉 후크 캡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범퍼에 내장되는 토잉 후크 캡의 조립 및 탈거 시 탈, 장착이 용이하도록 작업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킨 토잉 후크 캡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wing hook cap embedded in a bumper of a vehicl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wing hook cap having increased convenience for an operator so as to facilitate the removal and installation of the towing hook cap built in a bumper of a vehicle. It is about.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토잉 후크(towing hook)는, 사고나 고장에 의해 차량이 자력으로 움직이지 못할 때 외력에 의하여 차량을 이동시키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차량의 범퍼 커버 내측에 설치되는 부재에 고정되어 있다.In general, a towing hook of a vehicle is used to move the vehicle by external force when the vehicle cannot move by magnetic force due to an accident or breakdown, and is fixed to a member installed inside the bumper cover of the vehicle. have.

대부분 차량의 경우, 범퍼 커버의 내측 부위의 차량 프레임에 고리 형태로 형성된 견인 후크가 용접 또는 볼트 고정에 의해 설치되어 있었다.In most vehicles, a tow hook formed in a ring shape in the vehicle frame of the inner portion of the bumper cover was installed by welding or bolting.

하지만, 이러한 견인 후크가 외부로 항상 노출되어 차량의 주행 중 노면의 물체와 부딪히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여,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토잉 후크 캡(towing hook cap)을 결합시키고 있다.However, such a traction hook is always exposed to the outside, such as hitting an object on the road surface while driving the vehicle, so that a towing hook cap is coupled to block the exposure.

하지만, 이러한 토잉 후크 캡은 탈착 시 범퍼로부터 토잉 후크 캡을 분리시키기 위한 별도의 공구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와 같이 별도의 공구를 통해 토잉 후크 캡을 범퍼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에서 범퍼의 표면도장에 흠집이나 손상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도료 등이 벗겨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uch a towing hook cap has a problem in that a separate tool is required to separate the towing hook cap from the bumper when the towing hook cap is detached. Thus,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towing hook cap from the bumper through a separate tool, There was a problem that not only scratches or damage may occur, but the paint may be peeled off.

또한, 견인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범퍼 커버에서 제거된 캡을 찾지 못해 관통구멍을 원상 복귀시키지 못한 상태에서 주행을 하게 되어 외관의 미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after the towing operation is complet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ppearance of the appearance is deteriorated because the driving is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through-hole is not restored because the cap removed from the bumper cover is not found.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범퍼 그릴 내측에 형성되는 토잉 후크 캡을 분리시킬 때, 별도의 공구를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탈, 장착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토잉 후크 캡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wing hook cap which increases the ease of detachment and mounting without requiring a separate tool when separating the towing hook cap formed inside the bumper grille of a vehicl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의 범퍼 그릴 내측에 토잉 후크 캡을 연결 고정하여 분실하지 않도록 앵커부를 구비하는 토잉 후크 캡을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wing hook cap having an anchor so as not to be lost by connecting and fixing the towing hook cap inside the bumper grille of the vehicle.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차량의 범퍼에 내장되는 토잉 후크부를 개폐하는 토잉 후크 캡에 있어서, 상기 토잉 후크 캡은 돌출된 판 형상의 손잡이를 구비하며, 상기 토잉 후크 캡은 범퍼 그릴 상에 배치되어, 상기 손잡이가 상기 범퍼 그릴의 날개와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잉 후크 캡을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invention, in the towing hook cap for opening and closing the towing hook portion embedded in the bumper of the vehicle, the towing hook cap has a protruding plate-shaped handle, the towing hook cap is disposed on the bumper grill It provides a towing hook cap, characterized in that the handle is integrated with the wing of the bumper grille.

상기 토잉 후크 캡은, 상기 범퍼 그릴에 나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owing hook cap is preferably screwed to the bumper grille.

또한, 상기 토잉 후크 캡은 캡 몸체와, 상기 캡 몸체의 전면으로 돌출 형성된 손잡이부와, 상기 범퍼 그릴과 결합되는 체결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towing hook cap includes a cap body, a handle portion protruding toward the front of the cap body, and a fastening portion coupled to the bumper grille.

그리고, 상기 토잉 후크 캡은, 상기 범퍼 그릴의 내측에 결합되어, 상기 토잉 후크 캡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캡 몸체의 배면에 구비되는 앵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owing hook cap may further include an anchor portion coupled to an inner side of the bumper grill and provided at a rear surface of the cap body to prevent the towing hook cap from being separated.

이때, 상기 앵커부는 상기 캡 몸체의 배면에 연장 형성되는 앵커축과, 상기 범퍼 그릴의 내측에 연결되도록 상기 앵커축의 끝단에 형성되는 연결고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anchor portion preferably has an anchor shaft extending on the rear surface of the cap body, and a connecting ring formed at the end of the anchor shaft to be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bumper grill.

그리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손잡이부와 상기 캡 몸체가 탈, 장착이 가능하도록 상기 캡 몸체의 둘레에 돌기가 구획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the fastening por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projection is arranged around the cap body so that the handle portion and the cap body can be removed, mounted.

또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캡 몸체에 장착될 시 상기 범퍼 그릴의 날개와 일체화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astening portion is preferably formed to be integrated with the wing of the bumper grill when the handle portion is mounted to the cap body.

그리고 상기 캡 몸체, 상기 손잡이부, 상기 체결부 및 상기 앵커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ap body, the handle portion, the fastening portion and the anchor portion is preferably formed integrally.

본 발명은 차량의 범퍼 그릴 내측에 형성되는 토잉 후크 캡을 분리시킬 때, 별도의 공구를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토잉 후크 캡의 탈, 장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facilitating removal and mounting of the towing hook cap without requiring a separate tool when separating the towing hook cap formed inside the bumper grille of the vehicle.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범퍼 그릴 내측에 토잉 후크 캡을 연결 고정하도록 앵커부를 구비하여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can be prevented by providing an anchor portion to connect and fix the towing hook cap inside the bumper grille of the vehicle.

또한, 본 발명은 토잉 후크 캡이 차량의 범퍼 그릴 날개와 일체화되어 외관상의 미를 유지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towing hook cap is integrated with the bumper grille wings of the vehicle to maintain the appearance beauty.

도 1은 종래의 토잉 후크 캡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범퍼 그릴에 구비되는 토잉 후크 캡의 전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토잉 후크 캡을 A-A'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잉 후크 캡의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잉 후크 캡이 조립된 후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되는 토잉 후크 캡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림 상태인 토잉 후크 캡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끼움 결합되는 토잉 후크 캡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임.
1 schematically illustrates a conventional towing hook cap;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ront surface of a towing hook cap provided in a bumper grill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owing hook cap of FIG. 2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the towing hook c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rear side to which the towing hook cap is assemb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schematically illustrates a rotating towing hook cap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towing hook cap in the open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owing hook cap being fitted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토잉 후크 캡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towing hook cap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intended that the invention be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related related technologies and the like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종래의 토잉 후크 캡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ventional towing hook cap.

이러한 도 1은 본 발명을 개념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종래의 토잉 후크 캡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종래의 토잉 후크 캡 구조를 간략하게 살펴보도록 한다.FIG. 1 schematically illustrates a conventional towing hook cap in order to conceptua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 briefly looks at a conventional towing hook cap structure.

도 1을 참조하면, 차량의 견인 후크를 사용하기 위해 차량의 전면에 토잉 후크 캡(100)이 구비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1, a towing hook cap 100 is provided on a front surface of a vehicle for using a towing hook of a vehicle.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토잉 후크(towing hook)는, 사고나 고장에 의해 차량이 자력으로 움직이지 못할 때 외력에 의하여 차량을 이동시키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차량의 범퍼 커버 내측에 설치되는 부재에 고정되어 있다.In general, a towing hook of a vehicle is used to move the vehicle by external force when the vehicle cannot move by magnetic force due to an accident or breakdown, and is fixed to a member installed inside the bumper cover of the vehicle. have.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전면 범퍼와 조립되어 있는 범퍼 그릴(1)에 토잉 후크 캡(100)이 조립되어 구성되어 있다.As shown, the towing hook cap 100 is assembled to the bumper grill 1 assembled with the front bumper.

하지만, 이러한 토잉 후크 캡(100)은 탈착 시 범퍼로부터 토잉 후크 캡(100)을 분리시키기 위한 별도의 공구가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와 같이 별도의 공구를 통해 토잉 후크 캡(100)을 범퍼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에서 범퍼의 표면도장에 흠집이나 손상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도료 등이 벗겨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uch a towing hook cap 100 has a problem that a separate tool for separating the towing hook cap 100 from the bumper when detachable, there is a problem, the bumper towing hook cap 100 through a separate tool as described above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from the scratches or damage to the surface coating of the bumper,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paint, etc. can be peeled off.

또한, 견인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범퍼 커버에서 제거된 캡을 찾지 못해 관통구멍을 원상 복귀시키지 못한 상태에서 주행을 하게 되어 외관의 미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after the towing operation is complet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ppearance of the appearance is deteriorated because the driving is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through-hole is not restored because the cap removed from the bumper cover is not found.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범퍼 그릴에 구비되는 토잉 후크 캡의 전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front surface of a towing hook cap provided in a bumper grill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러한 도 2는 본 발명을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주요 특징 부분만을 명확히 도시한 것으로,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면에 도시된 특정 형상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2 clearly shows only the main features in order to conceptually clear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and as a result,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drawings are expected,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by the specific shapes shown in the drawings. none.

도 2를 참조하면, 토잉 후크 캡(100)은 캡 몸체(도 4의 110)와, 상기 캡 몸체(도 4의 110)의 전면으로 돌출된 판 형상의 손잡이부(도 4의 120)와, 차량의 범퍼 그릴(1)과 결합되는 체결부(도 4의 130) 및 앵커부(도 4의 1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towing hook cap 100 includes a cap body (110 of FIG. 4), a plate-shaped handle portion (120 of FIG. 4) protruding to the front of the cap body (110 of FIG. 4), A fastening portion (130 of FIG. 4) and an anchor portion (140 of FIG. 4) coupled with the bumper grill 1 of the vehicle are included.

전체적인 구성은 대략적으로 설명하되, 특징이 있는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이 설명하도록 한다.The overall configuration is outlined, but the characteristic components are described as follows.

먼저, 손잡이부(도 4의 12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First, the handle portion (120 of FIG. 4) will be described.

도시된 손잡이부(도 4의 120)는, 회전 타입으로써 좌, 우 회전에 의해 열림과 닫힘이 결정된다. 이때, 닫힘 상태의 손잡이부(도 4의 120)는, 범퍼 그릴(1)의 날개와 일체화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llustrated handle portion (120 in Fig. 4) is a rotation type, the opening and closing is determined by the left and right rotation.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handle part (120 of FIG. 4) of the closed state is integrated with the blade | wing of the bumper grill 1. As shown in FIG.

이렇게 닫힘 상태에서 손잡이부(도 4의 120)를 회전을 시키면, 캡 몸체(도 4의 110)에서 분리가 되어 열림 상태가 된다.When the handle portion (120 of FIG. 4) is rotated in the closed state, the cap body (110 of FIG. 4) is separated and is opened.

이때, 손잡이부(도 4의 120)는 열림 상태이긴 하지만, 차량의 범퍼 그릴(1) 내측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앵커부(도 4의 140)로 인해 완전히 분리되지 않는다.At this time, the handle portion (120 of FIG. 4) is open, but is not completely separated by the anchor portion (140 of FIG. 4)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bumper grill (1) of the vehicle.

즉, 열림 상태일 때에도 앵커부(도 4의 140)에 의해 구속되어 있으므로,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That is, since it is constrained by the anchor portion (140 in FIG. 4) even in the open state, an effect of preventing loss occurs.

다음으로, 체결부(도 4의 13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Next, the fastening part 130 of FIG. 4 will be described.

체결부(도 4의 130)는, 상기 손잡이부(도 4의 120)와 상기 캡 몸체(도 4의 110)가 탈, 장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The fastening part 130 of FIG. 4 is formed such that the handle part 120 of FIG. 4 and the cap body 110 of FIG. 4 can be detached and mounted.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캡 몸체(110)의 둘레에 구획 배치되는 돌기형상의 체결부(도 4의 130)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체결부(도 4의 130)가 장착될 시에는 고정이 용이하고, 회전되어 탈착될 시에는 탈착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More specifically, a protrusion-shaped fastening portion 130 of FIG. 4 is disposed around the cap body 110, and when the fastening portion 130 (FIG. 4) is mounted, fixing is easy. , When rotated and detached, it is preferable to be configured to facilitate detachment.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토잉 후크 캡을 A-A' 단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 of the towing hook cap of FIG. 2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토잉 후크 캡(100)을 단면적으로 나타내어 도시한 것으로, 그 형상은 개략적으로 표현되었다.Referring to Fig. 3, the towing hook cap 100 is shown in cross section, the shape of which is schematically represented.

도시된 바와 같이, 토잉 후크 캡(100)의 A-A' 단면형상은 차량의 범퍼 그릴(1) 사이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As shown, A-A 'cross-sectional shape of the towing hook cap 100 can be seen that the rotation is formed between the bumper grill (1) of the vehicle.

이러한 본 발명의 토잉 후크 캡(100) 구조는, 보다 용이하게 회전이 될 수 있도록 차량의 범퍼 그릴(1)에 구성되는 것이 좋다.
The structure of the towing hook cap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configured in the bumper grill 1 of the vehicle so that it can be rotated more easily.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잉 후크 캡의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the towing hook c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토잉 후크 캡(100)은 캡 몸체(110)와, 상기 캡 몸체(110)의 전면으로 돌출된 판 형상의 손잡이부(120)와, 차량의 범퍼 그릴(1)과 결합되는 체결부(130) 및 앵커부(1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4, the towing hook cap 100 is coupled to the cap body 110, the plate-shaped handle portion 120 protruding toward the front of the cap body 110, and the bumper grill 1 of the vehicle. The fastening part 130 and the anchor part 140 are included.

도시된 바와 같이, 토잉 후크 캡(100)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the towing hook cap 100 is preferably formed integrally.

즉, 토잉 후크 캡(100)의 구성인 캡 몸체(110)와, 손잡이부(120)와, 체결부(130) 및 앵커부(140)는 일체화로 되어 있는 구성인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cap body 110 which is the structure of the towing hook cap 100, the handle part 120, the fastening part 130, and the anchor part 140 are integrated.

앞서 설명한 구성요소는 생략하기로 하고, 토잉 후크 캡(100)의 앵커부(14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The components described above will be omitted, and the anchor portion 140 of the towing hook cap 100 will be described.

앵커부(140)는, 캡 몸체(110)의 배면에 연장 형성되는 앵커축(142)과, 범퍼 그릴(1)의 내측에 연결되도록 상기 앵커축(142)의 끝단에 형성되는 연결고리(144)를 구비한다.The anchor portion 140, the anchor shaft 142 extending on the back of the cap body 110, and the connecting ring 144 formed at the end of the anchor shaft 142 to be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bumper grill (1) ).

이때, 상기 연결고리(144)는 차량의 범퍼 그릴(1) 내측과 연결되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connecting ring 144 is preferably connected to and fixed to the inside of the bumper grill 1 of the vehicle.

즉, 이러한 연결고리(144)로 인해 토잉 후크 캡(100)이 열림 상태에서도 분실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due to the connecting ring 144, even when the towing hook cap 100 is opened, the loss can be prevented as much as possible.

또한, 이러한 연결고리(144)의 단면형상이 뾰족한 화살표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는 차량의 범퍼 그릴(도 3의 1)의 내측에 고정이 쉽게 되기 위한 하나의 예시적인 형상일 뿐, 본 발명은 이러한 형상에 제한될 필요가 없다.In addition, although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nnecting ring 144 is formed in the shape of a pointed arrow, this is just one exemplary shape for easy fixing inside the bumper grill (1 of FIG. 3) of the vehicle, and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need to be limited to this shape.

따라서,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안정적으로 차량의 범퍼 그릴(도 3의 1)에 고정될 수 있도록 면 접촉이 가능하며, 고정이 용이한 별 또는 사다리꼴 단면 형상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도 변형이 가능하다.
Therefore, the surface contact is possible to be more stably fixed to the bumper grille (1 in FIG. 3) of the vehicle through various embodiments, and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star or a trapezoidal cross-sectional shape that is easy to fix. .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잉 후크 캡이 조립된 후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rear surface of the towing hook cap assemb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토잉 후크 캡(100)이 범퍼 그릴(1) 내측에 조립된 후면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rear side of the towing hook cap 100 is assembled to the bumper grill 1.

이러한 토잉 후크 캡(100)이 손잡이부(120)의 회전으로 인해 열림 상태가 되면, 앵커부(140)가 범퍼 그릴(1) 내측과 고정되게 된다.When the towing hook cap 100 is opened due to the rotation of the handle part 120, the anchor part 140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bumper grill 1.

또한, 토잉 후크 캡(100)의 회전이 용이하게 되도록 범퍼 그릴(1)의 삽입구(미도시)는 체결부(130)와 일정하게 맞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insertion hole (not shown) of the bumper grill 1 is preferably consistent with the fastening portion 130 so that the rotation of the towing hook cap 100 is easy.

후술될 도 6에서는 이러한 토잉 후크 캡(100)이 회전되어 열림 상태가 되는 모습을 더욱 더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In Figure 6 to be described later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appearance that the towing hook cap 100 is opened to open state.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되는 토잉 후크 캡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schematic illustration of a rotating towing hook cap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차량의 범퍼 그릴(1)에 구비되는 토잉 후크 캡(100)을 회전하여 열림 또는 닫힘 상태로 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Referring to FIG. 6, an embodiment in which the towing hook cap 100 provided in the bumper grill 1 of the vehicle is rotated is opened or closed.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회전식의 토잉 후크 캡(100)은 좌, 우 회전을 함으로써 열림 또는 닫힘 상태가 결정된다.As shown, the rotatable towing hook cap 100 is rotated left and right to determine an open or closed state.

이때, 닫힘 상태에 있는 토잉 후크 캡(100)은 상기 차량의 범퍼 그릴(1)과 일체화되어 외관상 통일성을 주는 것이 좋다.At this time, the towing hook cap 100 in the closed state is preferably integrated with the bumper grill 1 of the vehicle to provide uniformity in appearance.

또한, 회전을 통해 토잉 후크 캡(100)이 열림 상태가 되는데, 이러한 토잉 후크 캡(100)의 회전으로 인해 열림 또는 닫힘의 조작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조작자의 편의성을 증대시켜 주는 것이다.In addition, the towing hook cap 100 is opened through the rotation, and the operation of the opening or closing is convenient due to the rotation of the towing hook cap 100. That is, the convenience of the operator is increased.

그리고, 이렇게 회전이 되어 열림 또는 닫힘 상태가 되는 토잉 후크 캡(100)은 차량의 범퍼 그릴(1)에 나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towing hook cap 100 which is rotated and thus opened or closed is preferably screwed to the bumper grill 1 of the vehicle.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림 상태인 토잉 후크 캡을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a towing hook cap in the open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토잉 후크 캡(100)을 회전시킴으로써 열림 상태로 만들었을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앵커부(140)에 의해 토잉 후크 캡(100)이 지면에 떨어지지 않고 열림 상태인체 걸려있는 것이 바람직하다.Referring to FIG. 7, when the towing hook cap 100 is opened by rotating the towing hook cap 100, the towing hook cap 100 is not opened to the ground by the anchor portion 14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desirable to hang.

도시된 바와 같이, 토잉 후크 캡(100)의 손잡이부(120)를 회전하여 열림 상태가 되었을 때, 원활하게 차량이 견인될 수 있도록 최대한 열림 상태가 되되, 지면에 닿거나 이탈하지 않고 앵커부(140)에 의해 걸려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when the handle 120 of the towing hook cap 100 is opened by being opened, the vehicle is opened as much as possible so that the vehicle can be towed smoothly, without touching or leaving the ground.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hanging by 140).

이러한 형태의 특징으로 인해 견인을 위해 열어 놓았던 토잉 후크 캡(100)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Due to this type of featu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owing hook cap 100 that is opened for towing to be lost.

그리고, 견인이 끝난 상태에서 열림 상태인체로 걸려있는 토잉 후크 캡(100)을 손잡이부(120)의 회전에 의해 다시 닫힘 상태로 복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n, it is preferable to restore the towing hook cap 100, which is caught in the open state in the towed state, to the closed state again by the rotation of the handle part 120.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끼움 결합되는 토잉 후크 캡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8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owing hook cap to be fit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러한 도 8은 토잉 후크 캡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 실시예 중 하나인 일예로써 살펴보도록 한다.8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in which the towing hook cap is one of various modified embodiments.

도 8을 참조하면, 끼움 결합되는 토잉 후크 캡(100)은 캡 몸체(110)에 끼움후크(150)가 범퍼 그릴(1) 내의 삽입구인 후크홈(152)에 삽입가능하게 형성되는데, 이는 손잡이부(120)를 삽입하여 고정하는 형태일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towing hook cap 100 to be fitted is inserted into the cap body 110 so that the fitting hook 150 is inserted into the hook groove 152 which is an insertion hole in the bumper grill 1. It may also be in the form of fixing the insert 120.

이러한 토잉 후크 캡(100) 역시 삽입 고정하여 탈, 장착을 하지만, 앵커부(140)로 인해 분실을 미리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Although the towing hook cap 100 is also inserted and fixed by removing and mounting, it can be expected to prevent the loss due to the anchor portion 140 in advance.

따라서, 본 발명은 차량의 범퍼 그릴 내측에 형성되는 토잉 후크 캡(100)을 분리시킬 때, 별도의 공구를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토잉 후크 캡(100)의 탈, 장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hen separating the towing hook cap 100 formed inside the bumper grille of the vehicle, an effect that can facilitate the removal and mounting of the towing hook cap 100 without requiring a separate tool. There is.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범퍼 그릴(1) 내측에 토잉 후크 캡(100)을 연결 고정하도록 앵커부(140)를 구비하여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anchor portion 140 to connect and fix the towing hook cap 100 inside the bumper grill 1 of the vehicl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loss.

또한, 본 발명은 토잉 후크 캡(100)이 차량의 범퍼 그릴(1) 날개와 일체화되어 외관상의 미를 유지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towing hook cap 100 is integrated with the bumper grill 1 wing of the vehicle to maintain the appearance beauty.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별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but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forms, and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person may embody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nicknam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exemplary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1 : 범퍼 그릴
100 : 토잉 후크 캡
110 ; 캡 몸체
120 : 손잡이부
130 : 체결부
140 : 앵커부
142 : 앵커축
144 : 연결고리
150 : 끼움후크
152 : 후크홈
1: bumper grill
100: Towing Hook Cap
110; Cap body
120: handle portion
130: fastening part
140: anchor portion
142: anchor shaft
144: link
150: fitting hook
152: Hook groove

Claims (9)

차량의 범퍼에 내장되는 토잉 후크부를 개폐하는 토잉 후크 캡에 있어서,
상기 토잉 후크 캡은 돌출된 판 형상의 손잡이를 구비하며,
상기 토잉 후크 캡은 범퍼 그릴 상에 배치되어, 상기 손잡이가 상기 범퍼 그릴의 날개와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잉 후크 캡.
In the towing hook cap for opening and closing the towing hook portion embedded in the bumper of the vehicle,
The towing hook cap has a protruding plate-shaped handle,
The towing hook cap is disposed on a bumper grill, the handle being integrated with a wing of the bumper gril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잉 후크 캡은,
상기 범퍼 그릴에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잉 후크 캡.
The method of claim 1,
The towing hook cap,
Towing hook cap characterized in that the screwed to the bumper gril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잉 후크 캡은,
상기 범퍼 그릴에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잉 후크 캡.
The method of claim 1,
The towing hook cap,
Towing hook cap characterized in that the fitting fitted to the bumper gril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잉 후크 캡은,
캡 몸체와,
상기 캡 몸체의 전면으로 돌출 형성된 손잡이부와,
상기 범퍼 그릴과 결합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잉 후크 캡.
The method of claim 1,
The towing hook cap,
With the cap body,
A handle part protruding from the front of the cap body,
Towing hook caps comprising a fastening portion coupled to the bumper grill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토잉 후크 캡은,
상기 범퍼 그릴의 내측에 결합되어, 상기 토잉 후크 캡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캡 몸체의 배면에 구비되는 앵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잉 후크 캡.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towing hook cap,
Towing hook cap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bumper grill,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anchor provided on the back of the cap body to prevent the towing hook cap is separated.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부는,
상기 캡 몸체의 배면에 연장 형성되는 앵커축과,
상기 범퍼 그릴의 내측에 연결되도록 상기 앵커축의 끝단에 형성되는 연결고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잉 후크 캡.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anchor portion,
An anchor shaft extending on the rear surface of the cap body;
Towing hook cap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connecting ring formed at the end of the anchor shaft to be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bumper grill.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손잡이부와 상기 캡 몸체가 탈, 장착이 가능하도록 상기 캡 몸체의 둘레에 돌기가 구획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잉 후크 캡.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astening portion
Towing hook cap,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jection is arranged around the cap body so that the handle portion and the cap body can be removed, mounted.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캡 몸체에 장착될 시 상기 범퍼 그릴의 날개와 일체화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잉 후크 캡.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astening portion
Towing hook cap, characterized in that the handle portion is formed to be integrated with the wing of the bumper grill when mounted to the cap body.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캡 몸체, 상기 손잡이부, 상기 체결부 및 상기 앵커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잉 후크 캡.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5,
Towing hook cap, characterized in that the cap body, the handle portion, the fastening portion and the anchor portion are formed integrally.
KR1020100098286A 2010-10-08 2010-10-08 towing hook cap KR10126448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8286A KR101264484B1 (en) 2010-10-08 2010-10-08 towing hook ca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8286A KR101264484B1 (en) 2010-10-08 2010-10-08 towing hook cap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6543A true KR20120036543A (en) 2012-04-18
KR101264484B1 KR101264484B1 (en) 2013-05-14

Family

ID=46138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8286A KR101264484B1 (en) 2010-10-08 2010-10-08 towing hook ca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448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74214A (en) * 2020-06-19 2020-09-18 芜湖国风塑胶科技有限公司 Integrated trailer hook blanking cov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6090B1 (en) 2014-11-19 2016-08-08 주식회사 서연이화 Towing hook cap
KR102085607B1 (en) 2018-10-29 2020-03-06 주식회사 서연이화 Towing hook cap structure
KR102436454B1 (en) 2021-03-02 2022-08-30 에코플라스틱 주식회사 Towing hook cap
KR20240057148A (en) 2022-10-24 2024-05-02 주식회사 서연이화 Towing hook cap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63169B2 (en) * 2004-12-28 2010-10-13 株式会社ニフコ Li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74214A (en) * 2020-06-19 2020-09-18 芜湖国风塑胶科技有限公司 Integrated trailer hook blanking co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4484B1 (en) 2013-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4484B1 (en) towing hook cap
JP5061780B2 (en) Rear bumper cover structure
US20050006913A1 (en) Mounting for a radiator casing in a motor vehicle
US9517656B2 (en) Rim insert system
US20160001842A1 (en) Driver protective device for two-wheeled vehicle
JP5653526B2 (en) Vehicle front structure and vehicle manufacturing method
EP2144769B1 (en) Motor vehicle bumper trim element
KR20070038722A (en) A cap for traction hook in automobiles
CN203651525U (en) Child seat fixing cover
US20150139750A1 (en) Locking position stud fastener for a vehicle lamp assembly
KR100748737B1 (en) Joint structure for vent hose of battery
JP2014000904A (en) Tow hook for automobile
CN210062590U (en) Tow hook cover plate assembly for vehicle, bumper and vehicle
KR100727128B1 (en) Hook Cap Of Vehicles
JP6876599B2 (en) Vehicle lighting fixture mounting structure
US20130140414A1 (en) Magnetic mud flap attachment device
KR20080036396A (en) A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towing bumper cover's opening department
KR20160059790A (en) Towing hook cap
KR101682813B1 (en) coupled structure of hood release handle for automobile
CN205278049U (en) Metal pole centering block mechanism
KR20170059519A (en) Frame mounting type hook for traction of a car
CN209921202U (en) Clamping structure, door backplate mounting structure and vehicle
KR101583836B1 (en) Bracket for front end module of vehicle
JP2010263708A (en) Easy-to-disassemble holder clip
KR20060119522A (en) Towing hook cap structure of automob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8